KR20230038831A - 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831A
KR20230038831A KR1020210121399A KR20210121399A KR20230038831A KR 20230038831 A KR20230038831 A KR 20230038831A KR 1020210121399 A KR1020210121399 A KR 1020210121399A KR 20210121399 A KR20210121399 A KR 20210121399A KR 20230038831 A KR20230038831 A KR 2023003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aring
tank
cooling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21012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831A/ko
Publication of KR2023003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ings; for bearing r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67Quenching devices for spray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냉각수에서 베어링의 소입(燒入)이 일어나는 다수개의 담금조를 냉각수로 채워진 수냉탱크에 설치하고, 각 담금조에서 흘러넘쳐 수냉탱크로 이동되는 냉각수를 순환부를 이용해 담금조로 순환시키되, 순환되는 냉각수는 베어링의 소입시 발생하는 라이덴프로스트 현상(Leidenfrost phenomenon)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베어링의 내·외륜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담금조에 설치되는 경사분사체의 분사 냉각수로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순환부에는 냉각기를 연결하여 반복적인 침지공정에도 수냉탱크의 냉각수의 양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처리장치{Heat treatment apparatus for bearing}
본 발명은 경화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냉각수에서 베어링의 소입(燒入)이 일어나는 다수개의 담금조를 냉각수로 채워진 수냉탱크에 설치하고, 각 담금조에서 흘러넘쳐 수냉탱크로 이동되는 냉각수를 순환부를 이용해 담금조로 순환시키되, 순환되는 냉각수는 베어링의 소입시 발생하는 라이덴프로스트 현상(Leidenfrost phenomenon)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베어링의 내·외륜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담금조에 설치되는 경사분사체의 분사 냉각수로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순환부에는 냉각기를 연결하여 반복적인 침지공정에도 수냉탱크의 냉각수의 양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이라 함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베어링 중 외륜에 40t 이상의 고하중이 걸리는 베어링은 고하중 및 충격을 견디기 위해 베어링 심부의 경도는 부드러우면서 표면의 경도층은 깊어야 한다. 고하중 베어링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또한 상기한 베어링 표면과 심부의 경도차를 만들어내기 위해 임계 냉각속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빠른 냉각을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베어링을 급속냉각하는 담금질(Quenching)시 냉각액으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 가열된 베어링과 물이 접촉하는 냉각 초기에 라이덴프로스트 현상(Leidenfrost phenomenon)으로 인해 열전달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단열 증기막이 베어링을 감싸게 되고, 이로 인해 담금공정은 지체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0073090호(2009.07.02.공개)인 "반경방향-축방향 링 압연장치에서 제조된 시임리스 링의 가공열처리방법" 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표시장치(9)와 제어장치(10)를 이용해 승강장치(4)의 캐리어(5) 위에 놓인 고온링(1)을 크레인(3)을 이용해 침지조(2)의 냉각액(8)에 침지시키면, 외부와 연결된 공급라인(12)을 통해 링라인(11) 상의 압력노즐(13)을 통해 냉각액이 분사되면서 고온링(1) 주변의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을 제거한다. 상기 링라인(11)은 고온링(1)의 아래쪽에서 연결되어 고온링(1)의 내·외륜을 향해 냉각액을 분사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6은 고온링(1)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복사선고온계이고, 7은 링라인(11)의 냉각액분사를 결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장치이다.
공개특허 제10-2009-0073090호 (2009.07.02.공개) 공개특허 제10-2014-0129837호 (2014.11.07.공개) 공개특허 제10-2014-0122543호 (2014.10.20.공개) 등록특허 제10-0935112호 (2009.12.24.등록)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냉각액(8)이 담긴 침지조(2)에 고온링(1)이 침지되면 외부로부터 냉각액을 공급받는 공급라인(12)에 연결된 링라인(11)을 통해 냉각액이 분사된다. 이러한 고온링(1)의 침지과정이 반복될수록 냉각액은 침지조(2)에 누적되어 침지조(2) 밖으로 누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반복공정 상에서 침지조(2)의 냉각액 온도는 상승하게될 여지가 자명하며, 상승된 냉각액 온도로 인해 고온링(1)의 침지시간 또한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는 경화 열처리과정에서 반복되는 침지공정에서도 수냉탱크의 냉각수의 양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비등으로 베어링 주변에 발생하는 단열 증기막을 파괴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선행기술에서 보다 신속하게 증기막을 처리할 수 있는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수냉장치는, 상면이 개구되어 냉각수가 담기는 수냉탱크; 상기 수냉탱크에 다수개 설치되며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베어링을 냉각수에 소입시키는 담금조; 상기 수냉탱크에 연결되는 회수관 및 상기 담금조에 연결되는 공급관이 모터로 구동되는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수냉탱크와 상기 담금조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 상기 담금조에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베어링의 내·외주면을 향해 상향 경사각으로 분사하여 상기 베어링의 소입시 냉각수의 비등으로 발생하는 증기막을 상향으로 밀어내는 내·외부 경사분사체;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수냉탱크의 냉각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각기; 상기 모터 및 상기 냉각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 열처리장치에는 열처리장치의 설치라인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크레인; 상기 이송크레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후크톱니바퀴가 구비되는 갈고리가 설치판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갈고리부와, 상기 후크톱니바퀴에 대응하는 모터톱니바퀴를 통해 상기 갈고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갖는 승강지그; 상기 베어링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갈고리에 연결되는 상단의 연결고리와 베어링이 안착되는 하단의 지지단을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내부공간과 상기 연결봉에 끼워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통하는 적재지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수에서 베어링의 소입(燒入)이 일어나는 다수개의 담금조를 냉각수로 채워진 수냉탱크에 설치하고, 각 담금조에서 흘러넘쳐 수냉탱크로 이동되는 냉각수를 순환부를 이용해 담금조로 순환시키되, 순환되는 냉각수는 담금조에 설치되어 소입시 베어링의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을 제거하는 경사분사체의 냉각수로 이용되도록 하고, 순환부에는 냉각기를 연결하여 반복적인 침지공정에도 수냉탱크의 냉각수의 양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사분사체는 베어링의 내·외륜을 향해 분사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에 기인한 증기막을 파괴함과 동시에 상향으로 밀어내어 신속하게 증기막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열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지그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적재지그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열처리장치의 평면도(A) 및 수직단면 개략도(B).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 열처리장치(H)는 가열된 베어링(B)을 냉각수(W)인 물에 소입시키는 경화 열처리장치(H)로 소입이 일어나는 수냉장치(100)는 수냉탱크(110), 상기 수냉탱크(110)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담금조(120), 상기 수냉탱크(110)와 상기 담금조(120)의 냉각수(W)를 순환시키는 순환부(130), 상기 각 담금조(120)에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 상기 순환부(130)에 연결되어 냉각수(W)를 냉각시키는 냉각기(150), 상기 순환부(130)와 상기 냉각기(1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에서 처럼, 상기 수냉장치(100) 내의 이동을 포함하여 열처리장치(H)에서의 베어링(B)의 이동을 위해서는 설치라인을 따라 상측으로 레일(R)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R) 따라 이송크레인(21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크레인(210)에는 승강 및 회전 가능한 갈고리(222b)를 갖는 승강지그(2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갈고리(222b)에는 적재지그(2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적재지그(230)에 베어링(B)이 끼워져 이송된다.
상기 수냉탱크(110)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로, 내부에는 냉각수(W)가 가득 채워진다.
상기 냉각수(W)는 통상의 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연수(軟水, soft water)에 경수(硬水, hard water)가 2.5%의 농도로 첨가된다. 경수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베어링(B)의 표면 경화층의 깊이에는 문제가 없으나, 베어링(B) 심부의 경도가 다소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경수가 2.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베어링(B)의 표면 경화층이 너무 낮게 형성되고, 심부 또한 낮은 경도로 형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담금조(120)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로, 내부에는 냉각수(W)가 가득 채워진다. 상기 담금조(120)는 상기 수냉탱크(110)의 내부에 다수개가 고정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사각의 상기 수냉탱크(110)에 원통형의 상기 담금조(120) 6∼8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냉탱크(110)의 높이를 상기 담금조(120)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하여 담금조(120)에서 냉각수(W)가 넘치더라도 수냉탱크(110)의 내부에 머무르도록 구성한다.
상기 순환부(130)는 상기 수냉탱크(110)에 연결되는 회수관(131)과, 상기 각 담금조(120)에 연결되는 공급관(132)과, 펌프(134)와, 모터(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134)는 상기 회수관(131)에서 회수된 냉각수(W)를 상기 모터(133)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급관(132)을 통해 후술할 상기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로 보낸다.
도 1에서는 상기 회수관(131)이 상기 수냉탱크(110)의 일측에 1개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냉탱크(110)의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 저면 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회수관(131)에는 이 회수관(131)을 개폐하는 회수밸브(13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32)은 도 1에서 상기 수냉탱크(110)의 저면을 통해 상기 담금조(120)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수냉탱크(110)의 측면을 통해 담금조(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담금조(120)의 개방된 상면으로는 베어링(B)을 안착시킨 상기 적재지그(230)가 승강해야 하므로, 공급관(132)이 수냉탱크(110)와 담금조(12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개별 담금조(120)에 연결되는 상기 개별 공급관(132)이 모두 상기 하나의 펌프(134)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4개의 개별 담금조(120)에 연결된 공급관(132)을 하나의 공급관(132)으로 묶고, 묶여진 이 공급관(132)이 펌프(134)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134)와 상기 모터(133) 또한 1개 이상 설치됨이 마땅하다. 그리고 상기 개별 공급관(132)에는 이 공급관(132)을 개폐하는 공급밸브(132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32)에는 상기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가 연결된다. 상기 내부 경사분사체(141)와 외부 경사분사체(142)는 상기 개별 담금조(120)에 설치되며, 담금조(120)에 침지되는 베어링(B)의 내륜과 외륜을 향해 일정각도로 상향하는 경사각으로 냉각수(W)를 고속으로 분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에는 일정각도로 상향하는 분사노즐(143)이 설치되는데, 베어링(B)의 내·외륜에 대응하는 상기 분사노즐(143)의 경사각은 15도에서 60도 가량이며, 바람직한 경사각은 45도이다.
15도 미만의 경사각에서도 분사노즐(143)에서 분사된 냉각수(W)을 이용해 베어링(B) 주변의 증기막을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분사노즐(143)의 분사각이 15도 미만일 경우에는 증기막을 위쪽으로 밀어내기 보다는 파괴되지 않은 증기막이 분사노즐(143)쪽으로 튕겨질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15도 미만의 경사각을 갖는 분사노즐(143)의 분사압력을 높이면 해결할 수 있지만, 분사압력을 높이면 오히려 높은 분사압력으로 인해 냉각수(W)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는 분사노즐(143)이 3bar 를 초과하는 분사압력으로 냉각수(W)를 분사할 경우 분사압력으로 인해 기포가 발생하였다.
또한, 경사각이 60도를 넘는 경우, 상기 담금조(120)의 하단과 최하부에 배치되는 베어링(B)의 하단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져야만, 최하단 분사노즐(143)에서 분사된 냉각수(W)가 베어링(B)의 하부에 닿을 수 있게 된다. 즉, 경사각이 커질수록 상기 수냉탱크(110)와 상기 담금조(120)의 깊이는 상대적으로 증가해야만 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냉각수(W)와 더 많은 재료를 투여해야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경사분사체(142)는 상기 담금조(120)의 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단에서 분배관(144)으로 연결되어 담금조(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외부 경사분사체(14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144)은 환형으로 설치되고, 환형의 지름방향을 가로지르는 중앙 분배관(144)의 중간부에 상기 내부 경사분사체(141)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냉각기(150)는 상기 펌프(134)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펌프(134)를 지나는 냉각수(W)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상기 냉각기(150)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터를 동작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공급관(132)으로 공급되는 냉각수(W)의 양과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수냉탱크(110)에는 수냉탱크(110)의 냉각수(W) 상태를 확인하는 센서(161)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61)의 감지신호에 따라 공급관(132)의 냉각수(W)의 양과 함께 분사수압을 조절하고, 상기 냉각기(150)를 제어하여 냉각수(W)의 온도를 조절한다.
도 2에서 처럼, 상기 승강지그(220)는 설치판(221)과, 상기 설치판(221)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갈고리(222b)를 갖는 갈고리부(222)와, 상기 갈고리(222b)와 접속하여 이 갈고리(222b)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222)는 상기 담금조(120)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또한, 갈고리부(222)는 상기 설치판(221)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설치구(222a)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설치판(221) 단부에 가이드대(222d)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대(222d)에는 일단이 상기 중앙설치구(222a)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대(222d)에 설치되는 권취롤러(미도시)에 권취모터(미도시)의 동작으로 권취되는 와이어(222e)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222e)에 연결되는 갈고리(222b)는 권취모터(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가이드대(222d)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수냉장치(100) 이전의 열처리로에서 상기 적재지그(230)에 안착되는 베어링(B)을 중앙으로 몰아 한꺼번에 가열한 후 상기 수냉장치(100)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담금로에 대응하도록 적재지그(230)의 간격을 상기 컨트롤러(160)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설치구(222a)와 가이드대(222d) 사이에는 안내롤러(222f)를 설치하여 와이어(222e)가 안정적인 이동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대(222d)의 단부에는 모터단(223a)이 설치되는데, 이 모터단(223a)에 상기 회전부(223)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223)는 회전모터(223b)와 이 회전모터(223b)의 축에 설치되는 모터톱니바퀴(223c)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톱니바퀴(223c)는 상기 갈고리(222b)에 형성되는 후크톱니바퀴(222c)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대(222d)의 단부까지 이동된 갈고리(222b)의 후크톱니바퀴(222c)가 모터톱니바퀴(223c)에 접속되면 회전모터(223b)가 동작하여 갈고리(222b)를 회전시킨다.
도 3과 같이, 상기 적재지그(230)에는 베어링(B)이 안착된다. 이를 위해 적재지그(230)의 하단에는 베어링(B)을 지지하는 지지단(233)이 설치되고,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고리(231)와 상기 지지단(233)과 상기 연결고리(231)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232)은 베어링(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적재지그(230)의 상단으로 끼워진 베어링(B)이 상기 지지단(233)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적재지그(230)의 내부공간(234)으로 상기 내부 경사분사체(141)가 삽입되는데, 내부 경사분사체(141)에서 고속분사되는 냉각수(W)가 베어링(B)의 내륜에 이르도록 적재지그(230)의 내부공간(234)은 적재되는 베어링(B)의 내륜과 통한다.
또한, 상기 적재지그(230)의 지지단(233)에 안착된 베어링(B)의 상단으로는 이격구(235)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이격구(235)는 적재지그(230)에 다수의 베어링(B)이 끼워질 경우 베어링(B)과 베어링(B) 간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격구(235)는 베어링(B)간 접촉으로 인한 베어링(B)의 상단 또는 하단의 열처리를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량의 베어링(B)을 열처리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열처리장치(H)의 작용을 설명한다.
베어링(B)을 가열하는 열처리로에서 이송크레인(210)을 동작하여 승강지그(220)가 상승하면, 베어링(B)을 적재한 적재지그(230)의 연결고리(231)를 걸어 고정하는 갈고리(222b)는 가이드대(222d)를 따라 설치판(221)의 테두리부분으로 이동하여 갈고리(222b)에 형성된 후크톱니바퀴(222c)가 회전부(223)의 모터톱니바퀴(223c)에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상태에 이르는 동안, 이송크레인(210)은 레일(R)을 따라 냉각장치로 이동하여 승강지그(220)를 하강시킨다. 승강지그(220)의 하강에 의해 각 갈고리(222b)에 매달린 개별 적재지그(230)가 수냉탱크(110)에 설치된 개별 담금조(120)의 냉각수(W)에 침지되는 것으로 적재지그(230)에 적재된 베어링(B)이 소입된다.
담금조(120)에 베어링(B)이 침지되면 담금조(120)에 설치된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의 분사노즐(143)에서 베어링(B)의 내·외륜을 향해 45도 각도로 냉각수(W)가 분사된다. 침지 공정의 초기에는 가능한 가장 높은 압력인 3bar의 압력으로 냉각수(W)가 분사노즐(143)로 분사되도록 컨트롤러(160)를 설정하여 분사시킨다.
상향 분사되는 냉각수(W)에 의해 증기막이 파괴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베어링(B) 표면에 일정한 단열 효과를 발생시켜 베어링(B)의 열방출을 방해하는 라이덴프로스트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과 같이 물을 냉각수(W)로 사용하더라도 냉각공정이 가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급관(132)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W)가 담금조(120)의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에서 분사되어 누적됨에 따라 각 담금조(120)의 냉각수(W)는 수냉탱크(110)로 넘치게 된다. 담금조(120)에서 넘치는 냉각수(W)는 수냉탱크(110)의 센서(161)에 의해 감지되고, 센서(161)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컨트롤러(160)는 모터(133)를 동작시킨다. 모터(133)에 의해 펌프(134)가 동작하여 회수관(131)을 통해 수냉탱크(110)의 냉각수(W)를 공급관(132)으로 전달하고, 공급관(132)으로 전달된 냉각수(W)는 다시 내·외부 경사분사체(14,142)로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승강지구에 의해 적재지그(230)에 안착된 베어링(B)은 인상과 담금을 반복할 수 있으며, 모터톱니바퀴(223c)와 후크톱니바퀴(222c)가 접속하여 회전함에 따라 갈고리(222b)에 매달린 적재지그(230)와 함께 베어링(B)이 회전하여 베어링(B) 표면 전체가 고르게 열처리된다.
가열된 베어링(B)의 반복되는 침지공정에 의해 수냉탱크(110) 및 담금조(120)의 냉각수(W)의 온도가 변화할 수 있는데, 센서(161)에 의한 냉각수(W)의 온도변화를 감지한 컨트롤러(160)는 펌프(134)를 지나는 냉각수(W)를 냉각기(150)를 통해 냉각하여 공급관(132)으로 공급한다.
H: 열처리장치 B: 베어링
R: 레일 W: 냉각수
100: 수냉장치 110: 수냉탱크
120; 담금조 130: 순환부
131: 회수관 132: 공급관
133: 모터 134: 펌프
141: 내부 경사분사체 142: 외부 경사분사체
143: 분사노즐 144: 분배관
150: 냉각기 160: 컨트롤러
210: 이송크레인 220: 승강지그
221: 설치판 222: 갈고리부
222a: 중앙설치구 222b: 갈고리
222c: 후크톱니바퀴 222d: 가이드대
222e: 와이어 222f: 안내롤러
223: 회전부 223a: 모터단
223b: 회전모터 223c: 모터톱니바퀴
230: 적재지그 231: 연결고리
232: 연결봉 233: 지지단
234: 내부공간 235: 이격구

Claims (2)

  1. 가열된 베어링(B)을 수냉시키는 수냉장치(100)를 갖는 열처리장치(H)에 있어서,
    상기 수냉장치(100)는, 상면이 개구되어 냉각수(W)가 담기는 수냉탱크(110);
    상기 수냉탱크(110)에 다수개 설치되며 개구된 상면을 통해 상기 베어링(B)을 냉각수(W)에 소입시키는 담금조(120);
    상기 수냉탱크(110)에 연결되는 회수관(131) 및 상기 담금조(120)에 연결되는 공급관(132)이 모터(133)로 구동되는 펌프(134)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134)의 작동으로 상기 수냉탱크(110)와 상기 담금조(120)의 냉각수(W)를 순환시키는 순환부(130);
    상기 담금조(120)에 상기 공급관(132)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132)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W)를 상기 베어링(B)의 내·외륜을 향해 상향하는 경사각으로 분사하여 상기 베어링(B)의 소입시 냉각수(W)의 비등으로 발생하는 증기막을 파괴함과 동시에 상향으로 밀어내는 내·외부 경사분사체(141,142);
    상기 펌프(134)에 연결되어 상기 수냉탱크(110)의 냉각수(W)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각기(150);
    상기 모터(133) 및 상기 냉각기(1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60); 를 포함하는 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열처리장치(H)의 설치라인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크레인(210);
    상기 이송크레인(2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후크톱니바퀴(222c)가 구비되는 갈고리(222b)가 설치판(22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는 갈고리부(222)와, 상기 후크톱니바퀴(222c)에 대응하는 모터톱니바퀴(223c)를 통해 상기 갈고리(222b)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23)를 갖는 승강지그(220);
    상기 베어링(B)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갈고리(222b)에 연결되는 상단의 연결고리(231)와 베어링(B)이 안착되는 하단의 지지단(233)을 연결봉(232)으로 연결하여, 내부공간(234)과 상기 연결봉(232)에 끼워지는 상기 베어링(B)의 내륜이 통하는 적재지그(230); 를 더 포함하는 열처리장치.
KR1020210121399A 2021-09-13 2021-09-13 열처리장치 KR20230038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99A KR20230038831A (ko) 2021-09-13 2021-09-13 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99A KR20230038831A (ko) 2021-09-13 2021-09-13 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831A true KR20230038831A (ko) 2023-03-21

Family

ID=8580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399A KR20230038831A (ko) 2021-09-13 2021-09-13 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87635A (zh) * 2024-04-07 2024-05-07 湖南电气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铝镁合金材料生产的热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090A (ko) 2006-09-28 2009-07-02 로테 에르데 게엠베하 반경방향-축방향 링 압연장치에서 제조된 시임리스 링의 가공열처리방법
KR100935112B1 (ko) 2008-08-12 2010-01-08 주식회사 평산 중공관 형상의 열처리물 급속 워터냉각장치
KR20140122543A (ko) 2013-04-10 2014-10-20 (주)비엠웍스 금속 열처리용 냉각장치 및 이를 갖는 금속 열처리장치
KR20140129837A (ko) 2013-04-30 2014-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처리 제품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090A (ko) 2006-09-28 2009-07-02 로테 에르데 게엠베하 반경방향-축방향 링 압연장치에서 제조된 시임리스 링의 가공열처리방법
KR100935112B1 (ko) 2008-08-12 2010-01-08 주식회사 평산 중공관 형상의 열처리물 급속 워터냉각장치
KR20140122543A (ko) 2013-04-10 2014-10-20 (주)비엠웍스 금속 열처리용 냉각장치 및 이를 갖는 금속 열처리장치
KR20140129837A (ko) 2013-04-30 2014-11-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처리 제품 냉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87635A (zh) * 2024-04-07 2024-05-07 湖南电气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铝镁合金材料生产的热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926B2 (ja) 径方向−軸方向−リング圧延装置で継目なく製造されたリングの熱機械的処理方法
US11085096B2 (en) Method for preventing cracking along the surface at the inner hole of a hollow shaft during horizontal water quenching
US20060144481A1 (en) Track bush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KR20230038831A (ko) 열처리장치
KR101683486B1 (ko) 수직형 급냉 열처리장치
CN111690797A (zh) 一种用于金属热处理淬火的设备
CN103397162B (zh) 钢板倾斜浸液淬火冷却方法及设备
CN107841613A (zh) 一种大型环件感应加热热处理装置
US3682722A (en) Quenching of tubular metal articles
CN218860803U (zh) 真空双室热处理炉
US3522357A (en) Vacuum furnace having a liquid quench and a vertically movable work holder
US2589495A (en) Apparatus for hardening rolls
JP4577310B2 (ja) 焼入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JP5274762B2 (ja) 熱処理方法
US4575054A (en) Apparatus for quenching steel pipes
JP6583327B2 (ja) 鋼管の焼入れ装置および焼入れ方法、ならびに、鋼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8024904A (ja) 冷却装置、並びに、冷却方法
KR100330862B1 (ko) 강철의열처리경화방법및그의장치
US3504896A (en) Roll heat-treating apparatus
US3558115A (en) Roll heat treating apparatus
KR100885951B1 (ko) 고온빌렛의 침적냉각장치
JPH0748662Y2 (ja) 内周面焼入装置
JP3159478B2 (ja) 鋼球の表面均一加熱方法
JP2016069682A (ja) 焼入装置および焼入方法
US3505133A (en) Roll heat tre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