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231A -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231A
KR20230038231A KR1020237004479A KR20237004479A KR20230038231A KR 20230038231 A KR20230038231 A KR 20230038231A KR 1020237004479 A KR1020237004479 A KR 1020237004479A KR 20237004479 A KR20237004479 A KR 20237004479A KR 20230038231 A KR20230038231 A KR 20230038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group
acceptable sal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얀 쉬
지안홍 가오
잉 장
펑 허
웨이캉 타오
Original Assignee
지앙수 헨그루이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앙수 헨그루이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앙수 헨그루이 파마슈티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1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carbocyclic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glutethimide, meperidine, loperamide, phencyclidine, pimino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1/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가 제공된다. 특히, 화학식 (D)로 표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수용체 조절에 의해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이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반식 (D)에서 각각의 치환기는 설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본 개시내용은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리간드-약물 접합체(ADC)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항체-약물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접합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접합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양 세포를 정상 세포와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은 종양 세포의 세포사멸이 억제되어 종양 세포의 생존을 더욱 유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BCL-2 계열의 단백질은 세포사멸 억제를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BCL-2 계열의 단백질은 주로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며, 그 기능에 따라 2개의 주요 군, 항-세포사멸 단백질과 친-세포사멸 단백질로 분류될 수 있다. 항-세포사멸 단백질은 BCL-2, BCL-xL, BCL-w, MCL-1 등을 포함한다. 친-세포사멸 단백질은 Bax, Bak 및 BH3-단독 단백질을 포함한다. Bax와 Bak는 활성화되면 무해한 단량체에서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구멍을 형성하는 치명적인 올리고머(oligomer)로 전환되어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시토크롬 C 등의 세포질로의 방출을 촉진하여 세포사멸을 야기한다. BH3-단독 단백질은 BH3 도메인만 함유한다. 세포의 생존 상태에서, BH3-단독 단백질(예를 들어, Bim)은 항-세포사멸 단백질에 결합한다. 세포가 외부 압력을 받는 경우, 결합 균형이 깨지고, BH3-단독 단백질이 방출되어 미토콘드리아의 BAX에 결합함으로써 BAX/BAK 중합체 형성을 촉진하고, 시토크롬 C 및 SMAC의 세포질로의 방출을 촉진하며, 다운스트림 세포사멸 경로를 활성화한다.
이용 가능한 전임상 데이터는 BCL2/BCL-xL 이중 표적 억제제 ABT263이 혈액 종양(hematological tumor)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고형 종양(solid tumor), 특히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에 대해 우수한 억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혈소판에 대한 ABT263의 임상 독성은 이의 효능을 제한하여 결국 임상 시험의 종료로 이어졌다.
임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단일 제제 또는 병용 요법 또는 AD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BCL2/BCL-xL 이중 표적 억제제를 여전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R1 및 R2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R5는 할로알킬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알킬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적으로 추가로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3-원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3-원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적으로 추가로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을 형성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4는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내지 R9는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m은 2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5는 염소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5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3은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알킬; 더 바람직하게는 C1-6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t는 0, 1, 2 및 3, 바람직하게는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R4 및 R6 내지 R14는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t는 0, 1, 2 및 3, 바람직하게는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R4 및 R6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t는 0, 1, 2 및 3, 바람직하게는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1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4는 수소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C1-6 알킬;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6은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및 C1-6 알콕시; 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7, R8 및 R9는 수소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C1-6 알킬;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r은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0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일반식 (D)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A1) 또는 (DB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17
여기서,
G1은 아미노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Boc이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1) 또는 (DB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20
일반식 (DA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산성 조건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산성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약은 HCl이고;
여기서,
G1은 아미노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Boc이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이고;
r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A2) 또는 (D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21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2) 또는 (D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24
일반식 (DA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치환 반응시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약은 트리에틸아민이고;
여기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25
여기서,
G2는 하이드록시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TBS이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Figure pct00028
일반식 (DA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알칼리성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약은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이고;
여기서,
G2는 하이드록시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TBS이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Figure pct00029
여기서,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a는 결합 및 -(CH2)t-CH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알킬 말단은 약물 모이어티의 N 원자에 연결되고, -O- 말단은 링커에 연결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은 링커 단위 또는 리간드에의 공유 연결(covalent linking)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D)는 화학식 (-DI) 및 (-DII)의 구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30
;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 r, R1, R2 및 R4 내지 R14는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D)는 화학식 (-DIII), (-DIV) 및 (-DV)의 구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31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DV)에서, R1 및 R2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화학식 (-D)는 화학식 (-DVI) 및 (-DVII)의 구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32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 r 및 R5 내지 R9는 일반식 (-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Figure pct00033
여기서,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a는 결합 및 -(CH2)t-CH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1 내지 10의 정수 또는 십진수이고;
Pc는 리간드이고; L은 링커 단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일반식 (Pc-L-DIII), (Pc-L-DIV) 또는 (Pc-L-DV)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34
여기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R4 내지 R11, Pc, L 및 n은 일반식 (Pc-L-D)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n은 1 내지 8의 정수 또는 십진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의 정수 또는 십진수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Pc는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항체는 항-HER2(ErbB2) 항체, 항-트로프(Trop)-2 항체, 항-CD79b 항체, 항-EGFR 항체, 항-B7-H3 항체, 항-c-메트(Met) 항체, 항-HER3(ErbB3) 항체, 항-HER4(ErbB4) 항체, 항-CD20 항체, 항-CD22 항체, 항-CD30 항체, 항-CD33 항체, 항-CD44 항체, 항-CD56 항체, 항-CD70 항체, 항-CD73 항체, 항-CD105 항체, 항-CEA 항체, 항-A33 항체, 항-크립토(Cripto) 항체, 항-EphA2 항체, 항-G250 항체, 항-MUCl 항체, 항-루이스(Lewis) Y 항체, 항-VEGFR 항체, 항-GPNMB 항체, 항-인테그린(Integrin) 항체, 항-PSMA 항체, 항-테나신(Tenascin)-C 항체, 항-SLC44A4 항체 및 항-메소텔린(Mesothelin) 항체; 바람직하게는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페르투주맙(Pertuzumab), 니모투주맙(Nimotuzumab), 에노블리투주맙(Enoblituzumab), 에미베투주맙(Emibetuzumab), 이노투주맙(Inotuzumab), 피나투주맙(Pinatuzumab), 브렌툭시맙(Brentuximab), 겜투주맙(Gemtuzumab), 비바투주맙(Bivatuzumab), 로르보투주맙(Lorvotuzumab), cBR96 및 글레마투마맙(Glematumamab)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링커 단위 -L-은 -La-Lb-Lc-이고, 여기서 La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W는 1개 내지 6개의 원자의 -C1-6 알킬-, -C1-6 알킬-사이클로알킬- 및 선형 -헤테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헤테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며, 여기서 1개 내지 6개의 원자의 -C1-6 알킬-, -C1-6 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선형 -헤테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및 임의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알킬, 클로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추가로 치환되고;
Lb는 2개 내지 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잔기 또는 화학 결합이며, 여기서 아미노산은 임의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알킬, 클로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Lc는 -NR17(CR18R19)t-, -NH-C(R18R19)-O-C(R20R21)-C(O)-, -NH-R22-(CH2)q-OC(O)-, -C(O)NR17, -C(O)NR17(CH2)q- 및 화학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q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할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8 및 R1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0은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1은 수소, 알킬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6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22는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W는 -(CH2)2- 및 -(CH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Lb의 펩티드 잔기는 페닐알라닌, 글리신, 발린, 리신, 시트룰린, 세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으로부터 형성되는 아미노산 잔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펩티드 잔기, 디펩티드 잔기 및 화학 결합; 더 바람직하게는 글리신-글리신-페닐알라닌-글리신의 테트라펩티드 잔기 또는 발린-시트룰린의 디펩티드 잔기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링커 단위 Lc는 -NH-C(R18R19)-O-C(R20R21)-C(O)-, -NH-R22-(CH2)q-OC(O)- 및 화학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R22는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c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
R18 및 R1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0은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1은 수소, 알킬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6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링커 단위 -L-은 -La-이며, 여기서 -La-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링커 단위 -L-은 -La-Lb-Lc-이며, 여기서
La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W는 -(CH2)2- 및 -(CH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b는 테트라펩티드 잔기 및 디펩티드 잔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신-글리신-페닐알라닌-글리신의 테트라펩티드 잔기 또는 발린-시트룰린의 디펩티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c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
R18 및 R1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 할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0은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1은 수소, 알킬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20 및 R21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6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연결 단위 -L-을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L-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
여기서 a 말단은 리간드 Pc에 연결되고, b 말단은 약물 말단 R3a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되며, 여기서 링커 단위 -L-은 -La-Lb-Lc-이고, 여기서 La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W는 -(CH2)2- 및 -(CH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b는 테트라펩티드 잔기 및 디펩티드 잔기; 바람직하게는 글리신-글리신-페닐알라닌-글리신의 테트라펩티드 잔기 또는 발린-시트룰린의 디펩티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c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49
.
본 개시내용은 일반식 (Lu-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추가로 제공한다:
Figure pct00050
여기서:
La’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W는 -(CH2)2- 및 -(CH2)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b는 2개 내지 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티드 잔기 또는 화학 결합이며, 여기서 아미노산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시아노, 아미노, 알킬, 클로로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되고;
Lc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53
;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a는 결합 및 -(CH2)t-CH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하기 화합물인, 일반식 (Lu-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
본 개시내용은 치료적 유효량의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Bcl-2 및/또는 Bcl-XL 억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종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암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하며, 여기서 암은 바람직하게는 흑색종(melanoma), 간암(liver cancer), 신장암(kidney cancer), 폐암(lung cancer),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비 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ncer),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결장암(colon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방광암(bladder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백혈병(leukemia),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 급성 골수기원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외투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여포 중심 림프종(follicular central lymphoma), 비 호지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T 세포 림프종(T cell lymphoma), B 세포 림프종(B cell lymphoma),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자궁경부암, 갑상선암(thyroid cancer), 림프종(lymphoma), 육종(sarcoma),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뇌 종양(brain tumor), 골수종(myeloma), 성상세포종(astrocytoma) 및 신경교종(glioma)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추가로 치료적 유효 용량의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일반식 (Pc-L-D)의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암은 바람직하게는 흑색종, 간암, 신장암, 폐암, 소세포 폐암, 비 소세포 폐암, 비인두암, 결장직장암, 결장암, 직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유방암, 방광암, 전립선암,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기원성 백혈병, 외투 세포 림프종,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여포 중심 림프종, 비 호지킨 림프종, T 세포 림프종, B 세포 림프종,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림프종, 육종, 신경모세포종, 뇌 종양, 골수종, 성상세포종 및 신경교종이다.
활성 화합물(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 따른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 바람직하게는 단위 용량 형태, 또는 대상체가 자가 투여할 수 있는 단일 용량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단위 용량은 정제, 캡슐, 카세(cachet), 바이알, 분말, 과립, 로젠지(lozenge), 좌제, 재구성(reconstitution)용 분말 또는 액체 제형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치료 방법에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일반적으로 질환의 중증도, 대상체의 체중 및 활성 화합물의 효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인 지침으로써, 적합한 단위 용량은 0.1 내지 1000 mg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충전제, 희석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부형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여 방식에 따라, 조성물은 0.1 wt.% 내지 99 wt.%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정제, 당제(dragee), 로젠지,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 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또는 시럽 또는 엘릭서(elixir) 형태일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구 조성물은 결합제, 충전제, 윤활제, 붕해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감미제, 교정제, 착색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어 보기 좋고 입에 맞는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활성 물질 및 혼합에 사용되고 수성 현탁액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교정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활성 성분을 식물성 오일에 현탁시켜 제형화될 수 있다. 유성 현탁액은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감미제 및 교정제는 입에 맞는 제형를 제공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한 분산 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은 활성 성분을 제공하고, 물을 첨가하여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와 혼합한다. 감미제, 교정제 및 착색제와 같은 다른 부형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을 보존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첨가된다.
본 개시내용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수중유(oil-in-water) 에멀젼 형태일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성 주사 가능한 수용액 형태일 수 있다. 이용 가능하고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용매는 물, 링거(Ringer)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을 포함한다. 멸균성 주사 가능한 제형은 활성 성분이 유상(oil phase)에 용해된 멸균성 주사 가능한 수중유 마이크로에멀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대두유 및 레시틴의 혼합물에 용해된다. 이어서 유성 용액이 물 및 글리세롤의 혼합물에 첨가되고 처리되어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한다. 주사제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은 대량으로 대상체의 혈류에 국부적으로 주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일정한 순환 농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용액 및 마이크로에멀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연속 정맥내 전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는 Deltec CADD-PLUS TM. 5400 정맥내 주사 펌프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근육내 및 피하 투여를 위한 멸균성 주사 가능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형태일 수 있다. 현탁액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선행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멸균성 주사 가능한 제형은 또한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희석제 또는 용매로 제조된 멸균 주사제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멸균 고정유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위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에서는 액체이므로 직장에서 녹아서 약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약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글리세로젤라틴, 수소화 식물성 오일,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투여되는 약물의 용량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대상체 연령, 대상체 체중, 대상체 건강 상태, 대상체 행동, 대상체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약물 조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투여 방식, 일반식 화합물의 1일 용량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형과 같은 최적의 치료 요법은 통상적인 치료 요법에 따라 검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상이한 암 세포, 감염성 질환 유기체를 표적화하는 개선된 능력을 갖고/갖거나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표적 (결합) 모이어티 및 약물인 치료적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항체 표적화 모이어티는 치료 효능을 증가시키는 세포 내 절단 가능한 결합을 통해 화합물 치료 모이어티에 연결된다.
수년 동안, 특정 표적 약물 요법 분야의 과학자들은 인간 암에 대한 독성제의 특정 전달을 위해 단클론 항체(MAb)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 적절한 독성제와 종양 관련 MAb의 접합체가 개발되었지만, 암 치료에 있어서는 혼합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감염성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독성제는 가장 일반적인 화학요법 약물이다. 암, 병원체 및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한 세포 내 절단 가능한 링커를 갖는 더 효과적인 항체 접합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거나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재료가 본 개시내용을 구현하거나 시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가 본원에 기재된다.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고 청구함에 있어, 다음 용어는 아래의 정의에 따라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상품명을 사용하는 경우,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의 제형을 포함하고,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제품의 약물 및 활성 약물 성분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용어 "리간드"는 표적 세포와 관련된 항원 또는 수용체를 인식하고 이에 결합할 수 있는 거대분자 화합물을 지칭한다. 리간드의 역할은 리간드가 결합하는 표적 세포 집단에 약물을 제시하는 것이며, 리간드는 단백질 호르몬, 렉틴, 성장 인자, 항체 또는 세포에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분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에서, 리간드는 Pc로 표시되고, 리간드는 리간드 상의 헤테로원자를 통해 연결 단위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며, 여기서 항체는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완전 인간 항체 및 뮤린 항체; 바람직하게는 단클론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용어 "약물"은 세포독성 약물 또는 면역조절제를 지칭한다. 세포독성 약물은 세포의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할 만큼 충분히 강한 화학 분자를 종양 세포 내에 가질 수 있다. 세포독성 약물은 원칙적으로는 충분히 높은 농도에서 종양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이성의 결여로 인해, 세포독성 약물은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한편 정상 세포의 세포사멸를 야기하여,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용어는 독소(예컨대, 박테리아, 진균류,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저분자 독소 또는 효소 활성 독소),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어,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Sm153, Bi212, P3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치료적 약물, 항생제 및 핵용해(nucleolytic) 효소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에서, 약물은 D로 표시되고, BCL2 억제제, BCL-XL 억제제 또는 BCL2/BCL-XL 이중 표적 억제제일 수 있다.
용어 "링커 단위", "링커" 또는 "링커 단편"은 화학 구조 단편 또는 결합을 지칭하며, 하나의 단부에서는 리간드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약물에 연결되며, 또한 다른 링커에 연결된 다음 약물에 연결될 수 있다.
링커는 스트레처(stretcher) 단위, 스페이서(spacer) 단위 및 아미노산 단위를 포함하며,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예컨대 US2005-0238649A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링커는 세포에서 약물의 방출을 선호하는 "절단 가능한 링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불안정(acid-labile) 링커(예를 들어, 하이드라존), 프로테아제-민감성(protease-sensitive)(예를 들어, 펩티다제-민감성) 링커, 광불안정(photolabile) 링커, 디메틸 링커 또는 이황화 함유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문헌[Chari et al., Cancer Research, 52: 127-131(1992)]; 미국 특허 제5,208,020호).
용어 "리간드-약물 접합체"는 리간드가 안정한 연결 단위에 의해 생물학적 활성 약물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리간드-약물 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항체-약물 접합체(ADC)이며, 이는 단일클론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이 안정한 연결 단위에 의해 생물학적 활성 독성 약물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아미노산에 대한 3-글자 및 1-글자 코드는 문헌[J. biol. chem, 243, p3558 (1968)]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본원에서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바람직한 항원-결합 활성 및 특이성을 나타내는 한, 단일클론 항체, 다중클론 항체, 뮤린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및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이한 항체 구조를 포함한다.
항체 및 항원-결합 단편을 생성하고 정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챕터 5-8 및 15에 기재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항원-결합 단편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편은 비-인간 CDR에 하나 이상의 인간 FR을 함유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다. 인간 FR 생식계열 서열은 ImMunoGeneTics(IMGT)의 웹사이트(http://imgt.cines.fr) 또는 문헌[Immunoglobulin Journal, 2001ISBN012441351]에서 IMGT 인간 항체 가변 영역 생식계열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MOE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얻을 수 있다.
용어 "알킬"은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기,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2개(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및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더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인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지칭한다.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n-펜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2-메틸부틸, 3-메틸부틸, n-헥실, 1-에틸-2-메틸프로필, 1,1,2-트리메틸프로필, 1,1-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 1,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2,3-디메틸부틸, n-헵틸, 2-메틸헥실, 3-메틸헥실, 4-메틸헥실, 5-메틸헥실, 2,3-디메틸펜틸, 2,4-디메틸펜틸, 2,2-디메틸펜틸, 3,3-디메틸펜틸, 2-에틸펜틸, 3-에틸펜틸, n-옥틸, 2,3-디메틸헥실, 2,4-디메틸헥실, 2,5-디메틸헥실, 2,2-디메틸헥실, 3,3-디메틸헥실, 4,4-디메틸헥실, 2-에틸헥실, 3-에틸헥실, 4-에틸헥실, 2-메틸-2-에틸펜틸, 2-메틸-3-에틸펜틸, n-노닐, 2-메틸-2-에틸헥실, 2-메틸-3-에틸헥실, 2,2-디에틸펜틸, n-데실, 3,3-디에틸헥실, 2,2-디에틸헥실 및 이의 다양한 측쇄 이성질체 등을 포함한다.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이 더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n-펜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2-메틸부틸, 3-메틸부틸, n-헥실, 1-에틸-2-메틸프로필, 1,1,2-트리메틸프로필, 1,1-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2,3-디메틸부틸 등을 포함한다. 알킬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와의 치환은 임의의 접근 가능한 연결 부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헤테로알킬"은 N, O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알킬렌"은 모(parent) 알칸의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2개의 상이한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2개의 잔기를 갖는 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지칭하며, 이는 1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기,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2개(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및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기, 더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기이다. 알킬렌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렌(-CH2-), 1,1-에틸리덴(-CH(CH3)-), 1,2-에틸리덴(-CH2CH2)-, 1,1-프로필리덴(-CH(CH2CH3)-), 1,2-프로필리덴(-CH2CH(CH3)-), 1,3-프로필리덴(-CH2CH2CH2-), 1,4-부틸리덴(-CH2CH2CH2CH2-), 1,5-부틸리덴(-CH2CH2CH2CH2CH2-)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렌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와의 치환은 임의의 접근 가능한 연결 부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및 임의적으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다.
용어 "알콕시"는 -O-(알킬) 및 -O-(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알콕시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사이클로프로필옥시, 사이클로부톡시, 사이클로펜틸옥시 및 사이클로헥실옥시를 포함한다. 알콕시는 임의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단환형 또는 다환형 탄화수소 치환기를 지칭한다. 사이클로알킬 고리는 3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단환형 사이클로알킬의 비제한적인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헥사디에닐,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헵타트리에닐, 사이클로옥틸 등을 포함한다. 다환형 사이클로알킬은 스피로 사이클로알킬,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및 가교된(bridged) 사이클로알킬을 포함한다.
용어 "사이클로알킬렌"은 모 사이클로알킬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2개의 잔기를 갖는 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기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3개 내지 20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 단환형 또는 다환형 탄화수소 치환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는 질소, 산소 및 S(O)m(여기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이고, -O-O-, -O-S- 또는 -S-S-의 환형 부분을 배제하며,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다.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고, 이 중에서 1개 내지 4개(예를 들어, 1, 2, 3 및 4개)는 헤테로원자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8개(예를 들어, 3, 4, 5, 6, 7 및 8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고, 이 중에서 1개 내지 3개(예를 들어, 1, 2 및 3개)는 헤테로원자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고, 이 중에서 1개 내지 3개는 헤테로원자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개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고, 이 중에서 1개 내지 3개는 헤테로원자이다. 단환형 헤테로사이클릴의 비제한적인 예는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호모피페라지닐 등을 포함한다. 다환형 헤테로사이클릴은 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및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을 포함한다.
용어 "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은 단환형 고리가 하나의 원자(스피로 원자로 지칭됨)를 공유하는 5-원 내지 20-원 다환형 헤테로사이클릴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는 질소, 산소 및 S(O)m(여기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다. 이러한 고리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지만, 이 중 어느 것도 완전 공액 π-전자 시스템을 갖지 않는다. 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6-원 내지 14-원, 더 바람직하게는 7-원 내지 10-원(예를 들어, 7-원, 8-원, 9-원 또는 10-원)이다. 고리 사이에 공유된 스피로 원자의 수에 따라, 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은 모노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비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폴리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및 비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 더 바람직하게는 4-원/4-원, 4-원/5-원, 4-원/6-원, 5-원/5-원 또는 5-원/6-원 모노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스피로 헤테로사이클릴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
용어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각각의 고리가 시스템 내의 다른 고리와 한 쌍의 인접한 원자를 공유하는 5-원 내지 20-원 다환형 헤테로사이클릴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고리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지만, 이 중 어느 것도 완전 공액 π-전자 시스템을 갖지 않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는 질소, 산소 및 S(O)m(여기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다.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6-원 내지 14-원, 더 바람직하게는 7-원 내지 10-원(예를 들어, 7-원, 8-원, 9-원 또는 10-원)이다. 형성된 고리의 수에 따라,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은 이환형, 삼환형, 사환형 또는 다환형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바람직하게는 이환형 또는 삼환형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 및 더 바람직하게는 5-원/5-원 또는 5-원/6-원 이환형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릴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
용어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은 임의의 2개의 고리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2개의 원자를 공유하는 5-원 내지 14-원 다환형 헤테로사이클릴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이들 고리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완전 공액 π-전자 시스템을 갖지 않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는 질소, 산소 및 S(O)m(여기서 m은 0 내지 2의 정수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다.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은 바람직하게는 6-원 내지 14-원 및 더 바람직하게는 7-원 내지 10-원(예를 들어, 7-원, 8-원, 9-원 또는 10-원)이다. 형성된 고리의 수에 따라,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은 이환형, 삼환형, 사환형 또는 다환형, 바람직하게는 이환형, 삼환형 또는 사환형 및 더 바람직하게는 이환형 또는 삼환형일 수 있다.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는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고리에 융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 구조에 부착된 고리는 헤테로사이클릴이고;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63
, 등.
헤테로사이클릴은 임의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렌"은 모 헤테로사이클릴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2개의 잔기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릴기를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릴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릴"은 공액 π-전자 시스템을 갖는 6-원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6-원 내지 10-원, 탄소 단환형 또는 융합된 다환형(즉, 한 쌍의 인접한 탄소 원자를 공유하는 고리) 기, 예컨대 페닐 및 나프틸, 바람직하게는 페닐을 지칭한다. 아릴 고리는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고리에 융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 구조에 부착된 고리는 아릴 고리이고;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
아릴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1개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및 5개 내지 14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방향족 시스템을 지칭하며, 여기서 헤테로원자는 산소, 황 및 질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헤테로아릴은 푸라닐, 티에닐, 피리디닐, 피롤릴, N-알킬피롤릴,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이미다졸릴 및 테트라졸릴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10-원, 더 바람직하게는 5-원 또는 6-원이다. 헤테로아릴 고리는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사이클로알킬 고리에 융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모 구조에 부착된 고리는 헤테로아릴 고리이고; 비제한적인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
헤테로아릴은 임의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알킬티오, 알킬아미노, 할로겐, 메르캅토, 하이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콕시, 헤테로사이클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티오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티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아미노 보호기"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반응이 분자 내 다른 곳에서 수행되는 경우 아미노 기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기를 지칭한다. 아미노 보호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아세틸, 벤질, 알릴, p-메톡시벤질 등을 포함한다. 이들 기는 할로겐, 알콕시 및 니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아미노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이다.
용어 "알케닐"은 분자 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 화합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알케닐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알킬, 알콕시, 할로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알키닐"은 분자 내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 화합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알키닐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알킬, 알콕시, 할로겐, 할로알킬, 할로알콕시, 사이클로알킬옥시, 헤테로사이클릴옥시,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알킬,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이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알킬"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로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사이클로알킬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사이클로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 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중수소화된 알킬"은 하나 이상의 중수소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하이드록시"는 -OH 기를 지칭한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지칭한다.
용어 "아미노"는 -NH2를 지칭한다.
용어 "니트로"는 -NO2를 지칭한다.
용어 "아실아미노"는 -C(O)N(알킬) 또는 -C(O)N(사이클로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카르복실레이트 기"는 -C(O)O(알킬) 또는 -C(O)O(사이클로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일반식에서, 약어 "Me"는 메틸을 지칭한다.
일반식에서, 약어 "Ph"는 페닐을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화학식 (D)의 화합물의 다양한 중수소화 형태를 포함한다. 탄소 원자에 연결된 이용 가능한 수소 원자는 각각 중수소 원자로 독립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당업자는 관련 문헌을 참조하여 일반식 (D)의 화합물의 중수소화 형태를 합성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중수소화 출발 물질은 화학식 (D)의 화합물의 중수소화 형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중수소화 보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삼중수소화 보란, 중수소화 수소화 알루미늄리튬, 중수소화 요오도에탄, 중수소화 요오도메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중수소화 시약으로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용어 "임의적인" 또는 "임의적으로"는 후속적으로 기재되는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나 반드시 발생하지는 않으며, 설명은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알킬로 임의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 기"라는 표현은 알킬이 존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존재하지는 않으며, 헤테로사이클릴 기가 알킬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은 기 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대 5개, 더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수소 원자가 상응하는 수의 치환기로 독립적으로 치환됨을 의미한다. 치환기는 이의 가능한 화학적 위치에만 존재하고, 당업자는 과도한 노력 없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치환을 (실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유리 수소를 갖는 아미노 또는 하이드록시가 불포화된(예를 들어, 올레핀계) 결합을 갖는 탄소 원자에 결합된 경우 불안정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이의 생리학적으로/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전구약물, 및 다른 화학적 구성요소,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지칭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기체에 대한 투여를 촉진하여, 활성 성분의 흡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물학적 활성을 발휘하고자 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개시내용의 리간드-약물 접합체의 염 또는 본 개시내용에 기재된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은 포유류에게 사용되는 경우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필요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리간드-약물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 기를 포함하여 산과 함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리오데이트,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옥살레이트, 니트레이트, 소르베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포스페이트, 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포르메이트, 벤조에이트, 메실레이트, 에탄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약물 로딩(loading)"은 접합체 분자에서 각 리간드 상에 로딩된 세포독성 약물의 평균 수를 지칭하며, 또한 약물 대 항체 비율(drug-to-antibody ratio, DAR)로 표시될 수 있다. 약물 로딩은 각 리간드(Pc)에 부착된 세포독성 약물 0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에서, 약물 로딩은 n으로 표시되고, 예시적으로 0 내지 12까지 범위에서 1, 2, 3, 4, 5, 6, 7, 8, 9 및 10의 평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평균,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또는 2 내지 8, 또는 2 내지 7, 또는 3 내지 8, 또는 3 내지 7, 또는 3 내지 6, 또는 4 내지 7, 또는 4 내지 6, 또는 4 내지 5의 평균일 수 있다. 커플링 반응 후 ADC 분자당 약물 로딩은 UV/가시광선 분광법, 질량 분광법, ELISA 검정, CE-SDS 및 HPLC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특징화될 수 있다.
리간드 세포독성 약물 접합체의 로딩은 다음을 포함한 비제한적인 방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1) 연결 시약 대 리간드의 몰비를 제어하는 방법
(2) 반응 시간 및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3) 상이한 반응 시약 선택하는 방법
통상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대하여는 문헌[Chinese Pharmacopoeia]을 참조한다.
용어 "담체"는 본 개시내용의 약물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 약물이 인체 내로 들어가고 인체에서 약물의 분포가 약물의 방출 속도를 제어하고 약물을 표적 장기로 전달하는 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약물 담체 방출 및 표적화된 시스템은 약물 분해와 손실을 감소시키고 부작용을 감소시키며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로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성 계면활성제는 이의 고유한 양친매성 구조로 인해 자가조립하여, 다양한 형태의 응집물, 예컨대 미쉘(micelle), 마이크로에멀젼, 젤, 액정 및 소낭(vesicle)을 바람직한 예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응집물은 약물 분자를 캡슐화하는 능력을 갖고, 막에 대해 양호한 투과성을 가지며, 따라서 우수한 약물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부형제"는 주요 약물 외에도, 약제학적 제형에의 첨가물이다. 이는 또한 보조 물질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내 결합제, 충전제, 붕해제 및 윤활제; 반고체 연고 및 크림 조제물 내 매트릭스 부분; 액체 제형 내 보존제, 항산화제, 교정제, 방향제, 공용매, 유화제, 가용화제, 장성조절제, 착색제 등은 모두 부형제로 지칭될 수 있다.
충전제로도 지칭되는 용어 "희석제"는 주로 정제의 중량 및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희석제의 첨가는 특정한 부피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주요 성분의 용량 편차를 감소시키고 약물의 압축 성형성(compression moldability) 등을 개선시킨다. 정제 형태 내 약물이 유성 구성요소를 함유하는 경우, 흡수제는 본질적으로 유성 구성요소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어, "건조(dry)"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정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예는 전분, 락토스, 칼슘의 무기 염,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등을 포함한다.
알칼리성 조건을 제공하는 시약은 유기 및 무기 염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유기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피리딘, 피페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부틸리튬,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포타슘 아세테이트, 소듐 tert-부톡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기 염기는 소듐 하이드라이드, 포타슘 포스페이트, 소듐 카르보네이트,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세슘 카르보네이트,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및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바람직하게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 마우스 피하 이종이식 종양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 피하 이종이식 종양에서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의 억제에 의해 야기되는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을 더 예시하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제시된 특정 조건 없는 실험 절차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조건에 따라, 또는 출발 물질 또는 상업적 제품의 제조사가 권장하는 조건에 따라 수행된다. 특정 출처가 표시되지 않은 시약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통상적인 시약이다.
I.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화합물의 구조는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 및/또는 질량 분광법(MS)으로 결정한다. NMR 이동(δ)은 10-6(ppm)의 단위로 주어진다. NMR 스펙트럼은 중수소화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d 6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CDCl3) 및 중수소화 메탄올(CD3OD)을 결정 용매로서 사용하고 테트라메틸실란(TMS)을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여, Bruker AVANCE NEO 500M 핵 자기 공명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질량 스펙트럼은 Agilent 1200/1290 DAD-6110/6120 Quadrupole 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 시스템(제조사: Agilent; MS 모델: 6110/6120 Quadrupole MS), Waters ACQuity UPLC-QD/SQD(제조사: Waters, MS 모델: Waters ACQuity Qda Detector/Waters SQ Detector) 및 THERMO Ultimate 3000-Q Exactive(제조사: THERMO, MS 모델: THERMO Q Exactive)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은 Agilent HPLC 1200DAD, Agilent HPLC 1200VWD 및 Waters HPLC e2695-2489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키랄 HPLC 분석은 Agilent 1260 DAD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고성능 액체 분취 크로마토그래피는 Waters 2545-2767, Waters 2767-SQ Detecor2, Shimadzu LC-20AP 및 Gilson GX-281 분취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키랄 분취 HPLC는 Shimadzu LC-20AP 분취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사용되는 CombiFlash 급속 분취 기구는 Combiflash Rf200(TELEDYNE ISCO)이다.
0.15 mm 내지 0.2 mm 사양의 Huanghai HSGF254 또는 Qingdao GF254 실리카 겔 플레이트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분석을 위해 채택하고 0.4 mm 내지 0.5 mm를 TLC 분리 및 정제를 위해 채택한다.
200-300 메쉬의 Yantai Huanghai 실리카 겔은 일반적으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운반체로 사용한다.
키나아제의 평균 억제 및 IC50 값은 NovoStar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MG, 독일 소재)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본원에 기재된 알려진 출발 물질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거나 이에 따라 합성할 수 있거나, ABCR GmbH & Co. KG, Acros Organics, Aldrich Chemical Company, Accela ChemBio Inc., Chembee Chemicals 및 다른 회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반응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아르곤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아르곤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는 반응 플라스크가 약 1 L의 아르곤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풍선에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수소 분위기는 반응 플라스크가 약 1 L의 수소를 함유하는 풍선에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Parr 3916EKX 수소화기, Qinglan QL-500 수소화기 또는 HC2-SS 수소화기를 가압 수소화 반응에 사용한다.
수소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진공화 및 수소 퍼지의 3회 사이클을 수반한다.
CEM Discover-S 908860 마이크로파 반응기를 마이크로파 반응에 사용한다.
실시예에서, 용액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용액을 지칭한다.
실시예에서, 반응 온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실온, 즉, 20℃ 내지 30℃이다.
실시예에서, 반응 진행의 모니터링은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수행한다. 반응을 위한 전개 용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위한 용리액 시스템 및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위한 전개 용매 시스템은 A: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시스템 및 B: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용매의 부피비를 화합물의 극성에 따라 또는 트리에틸아민 및 아세트산과 같은 염기성 또는 산성 시약을 소량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실시예 2-1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R)-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1단계
Tert-부틸(R,Z)-2-(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프-1-엔-1-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c
메틸 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2-(디메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 1b(1 g, 3.02 mmol, Accela ChemBio)를 디클로로메탄(1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빙욕(ice bath) 하에 0℃로 냉각하였다.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덱-7-엔(356 mg, 2.34 mmol, Accela ChemBio)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디클로로메탄(5 mL) 중 tert-부틸(R)-2-포르밀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a(500 mg, 2.51 mmol, PharmaBlock) 용액을 첨가하였다. 적가 후, 빙욕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열하고,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c(830 g, 수율: 81.8%)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05.0[M+H-100].
2단계
Tert-부틸(R)-2-((R)-2-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d
1c(520 mg, 1.28 mmol)를 이소프로판올(10 mL)에 용해시키고, 탄소 상 팔라듐(100 mg, 10% 로딩, 건조 기준)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를 사용하여 3회 퍼징(purge)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d(300 mg, 수율: 85.7%)를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S m/z(ESI): 273.1[M+1].
3단계
Tert-부틸(R)-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e
조생성물 1d(300 mg, 1.10 mmol)를 1,4-디옥산(4 mL)에 용해시키고, 물(1 mL), 중탄산나트륨(278 mg, 3.31 mmol) 및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285 mg, 1.10 mmol, Accela ChemBio)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e(396 mg, 수율: 72.7%)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95.1[M+H-100].
4단계
Tert-부틸(R)-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f
1e(200 mg, 0.4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 mL)에 용해시키고, 에탄올(10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수소화붕소나트륨(92 mg, 2.43 mmol) 및 염화리튬(112 mg, 2.64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8℃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빙욕 하에 냉각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 mL)을 적가하여 반응을 퀸칭(quench)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f(144 mg, 수율: 76.3%)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67.1[M+H-100].
5단계
Tert-부틸(R)-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g
1f(144 mg, 0.31 mmol)를 톨루엔(5 mL)에 용해시키고, 디페닐 디술파이드(225 mg, 1.03 mmol, Adamas) 및 트리부틸포스핀(208 mg, 1.0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80℃로 가열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g(168 mg, 97.4%)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59.1[M+H-100].
6단계
Tert-부틸(R)-2-((R)-2-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h
1g(168 mg, 0.30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아민(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감압 하에 톨루엔(5 mL)을 사용하여 농축하여 조 표제 생성물 1h(101 mg)를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S m/z(ESI): 337.1[M+1].
7단계
Tert-부틸(R)-2-((R)-3-(페닐티오)-2-((4-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j
조생성물 1h(101 mg, 0.30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용해시키고, 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젠술폰아미드 1i(102 mg, 0.33 mmol, Bide)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88 mg, 3.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50℃로 가열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j(129 mg, 68.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524.0[M+H-100].
8단계
Tert-부틸(R)-2-((R)-2-((4-(N-(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벤질)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l
1j(22 mg, 0.035 mmol)를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1k(16 mg, 0.038 mmol, 중국 특허 제CN103153954B호의 명세서 79페이지 중간체 40에 대해 제공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됨)를 첨가하고, 이어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8.6 mg, 0.07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20.3 mg, 0.106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1k(11 mg, 0.026 mmol)를 보충한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5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l(28 mg, 수율: 77.2%)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27.0[M+1].
9단계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R)-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
1l(14 mg, 0.014 mmol)를 디클로로메탄(0.2 mL)에 용해시키고, 디옥산(0.5 mL) 중 4 M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5 mg, 수율: 39.6%)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27.2[M+1].
1H NMR(500 MHz, CD3OD) δ 8.25(s, 1H), 8.06(d, 1H), 7.82(d, 2H), 7.62(d, 1H), 7.48-7.31(m, 8H), 7.26(t, 2H), 7.20(t, 2H), 6.82(d, 2H), 6.74(d, 1H), 4.44(d, 1H), 4.00-3.95(m, 1H), 3.78(d, 1H), 3.61(d, 1H), 3.52-3.45(m, 2H), 3.26-3.17(m, 2H), 2.68(t, 2H), 2.53(t, 2H), 2.27-1.92(m, 6H), 1.81-1.59(m, 4H), 1.27-1.21(m, 1H), 1.18-1.12(m, 1H), 1.02-0.90(m, 2H).
실시예 2-2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R)-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2
Figure pct00071
1(13 mg, 0.014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아세토니트릴(5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2-브로모에탄올(26 mg, 0.210 mmol, Adamas) 및 트리에틸아민(11 mg, 0.11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70℃로 가열하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2(3 mg, 수율: 22.0%)를 수득하였다.
MS m/z(ESI): 971.2[M+1].
1H NMR(500 MHz, CD3OD) δ 8.26(s, 1H), 8.03(d, 1H), 7.80(d, 2H), 7.62(d, 1H), 7.46-7.36(m, 5H), 7.35-7.27(m, 5H), 7.24(d, 1H), 7.18(d, 1H), 6.81(d, 2H), 6.63(d, 1H), 4.42(d, 1H), 3.91-3.77(m, 4H),3.63(d, 2H), 3.25-3.16(m, 2H), 2.67(t, 2H), 2.54(t, 2H), 2.36-2.29(m, 2H), 2.23-2.13(m, 3H), 2.09-1.97(m, 4H),1.81-1.71(m, 2H), 1.65-1.59(m, 2H), 1.27-1.21(m, 1H), 1.17-1.11(m, 1H), 1.02-0.90(m, 2H).
실시예 2-3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R)-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3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1단계
에틸(R)-4-(4-((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3b
에틸(R)-4-(4-((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3a(60 mg, 0.133 mmol, 중국 특허 제CN103153954B호의 명세서 63페이지 중간체 11에 대해 제공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됨)을 2 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V:V =1:1)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요오도메탄(190 mg, 1.34 mmol) 및 60% 수소화나트륨(11 mg, 0.275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빙욕 하에 냉각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5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였다. 물(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3b(57 mg, 수율: 92.1%)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64.1[M+1].
2단계
(R)-4-(4-((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산 3c
3b(57 mg, 0.122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탄올 및 물(V:V:V = 4:1:1)의 혼합 용매 3 mL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6 mg, 0.62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1 M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3으로 조정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1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3c(53 mg, 수율: 98.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36.1[M+1].
3단계
Tert-부틸(R)-2-((R)-2-((4-(N-(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일)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d
1j(32 mg, 0.051 mmol)를 디클로로메탄(5 mL)에 용해시키고, 3c(24 mg, 0.055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3 mg, 0.106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0 mg, 0.156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3c(22 mg, 0.051 mmol)를 보충하고, 보충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1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3d(53 mg, 수율: 99.6%)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41.1[M+1].
4단계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R)-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3
3d(30 mg, 0.028 mmol)를 디클로로메탄(0.4 mL)에 용해시키고, 디옥산(1.2 mL) 중 4 M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3(10 mg, 수율: 36.9%)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41.1[M+1].
1H NMR(500 MHz, CD3OD) δ 8.26(s, 1H), 8.04(dd, 1H), 7.81(d, 2H), 7.50(d, 1H), 7.47-7.41(m, 3H), 7.40-7.32(m, 3H), 7.30-7.23(m, 4H), 7.22-7.16(m, 2H), 6.81(d, 2H), 6.72(d, 1H), 4.06(d, 1H), 3.99-3.93(m, 1H), 3.77(d, 1H), 3.66(d, 1H), 3.55-3.49(m, 1H), 3.23(d, 2H), 3.17(s, 3H), 2.61(t, 2H), 2.51(t, 2H), 2.25-1.93(m, 6H), 1.72-1.58(m, 4H), 1.27-1.23(m, 1H), 1.20-1.11(m, 2H), 0.91(t, 1H).
실시예 2-4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메톡시)메틸)피페리딘-1-일)-N-((4-(((R)-1-((R)-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4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3(15 mg, 0.015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아세토니트릴(5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2-브로모에탄올(29 mg, 0.232 mmol) 및 트리에틸아민(16, 0.15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7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4(2.5 mg, 수율: 16.5%)를 수득하였다.
MS m/z(ESI): 985.1[M+1].
1H NMR(500 MHz, CD3OD) δ 8.27(s, 1H), 8.03(dd, 1H), 7.81(d, 2H), 7.51(d, 1H), 7.47-7.39(m, 5H), 7.35(t, 1H), 7.32-7.21(m, 5H), 7.18(d, 1H), 6.82(d, 2H), 6.63(d, 1H), 4.06(d, 1H), 3.90-3.75(m, 4H), 3.69-3.63(m, 1H), 3.27-3.20(m, 2H), 3.17(s, 3H), 2.62(t, 2H), 2.52(t, 2H), 2.36-2.28(m, 2H), 2.23-2.13(m, 3H), 2.09-1.94(m, 4H), 1.78-1.58(m, 4H), 1.28-1.24(m, 1H), 1.21-1.13(m, 2H), 0.91(t, 1H).
실시예 2-5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R)-1-(3-하이드록시프로필)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5
Figure pct00076
1(10 mg, 0.011 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아세토니트릴(3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3-브로모프로판올(15 mg, 0.108 mmol, Adamas) 및 트리에틸아민(11 mg, 0.1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7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5(2.5 mg, 수율: 23.5%)를 수득하였다.
MS m/z(ESI): 985.1[M+1].
1H NMR(500 MHz, CD3OD) δ 8.26(s, 1H), 8.03(d, 1H), 7.81(d, 2H), 7.61(d, 1H), 7.46-7.39(m, 5H), 7.35-7.26(m, 5H), 7.22(t, 1H), 7.18(d, 1H), 6.81(d, 2H), 6.62(d, 1H), 4.43(d, 1H), 3.89-3.84(m, 1H), 3.79(d, 1H), 3.67(t, 2H), 3.63(d, 2H), 3.25-3.15(m, 2H), 2.67(t, 2H), 2.53(t, 2H), 2.32-2.26(m, 2H), 2.19(t, 2H), 2.15-2.11(m, 1H), 2.08-1.95(m, 4H), 1.92-1.84(m, 2H), 1.79-1.67(m, 2H), 1.65-1.58(m, 2H), 1.26-1.22(m, 1H), 1.16-1.12(m, 1H), 1.02-0.96(m, 1H), 0.91(t, 1H).
실시예 2-6
4-(4-((S)-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6
Figure pct00077
1단계
Tert-부틸4-(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6b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 6a(3.3 g, 10.95 mmol, 미국 특허 제US2004/171833호(2004, A1) 실시예 53의 53페이지에서 개시된 방법에 따라 합성됨)를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5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78℃로 냉각하고, 내부 온도를 -65℃ 미만으로 유지되는 반응 플라스크에 n-부틸리튬(1.40 g, 21.92 mmol)을 적가하고, 첨가 후, 혼합물을 -78℃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 mL) 중 tert-부틸 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4.67 g, 21.92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결과 혼합물을 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퀸칭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4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물(40 mL) 및 포화 브라인(brine)(30 mL)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6b(5.5 g, 수율: > 100%)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34.1[M-1].
2단계
피페리딘-4-일(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탄올 6c
6b(5.5 g, 12.63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디옥산(20 mL) 중 4 M 염화수소 용액을 빙욕 하에 첨가하였다. 첨가 후, 결과 혼합물을 자연적으로 실온으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에 톨루엔(10 mL)을 첨가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유성 펌프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조 표제 생성물 6c(4.23 g, 수율: 100%)를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S m/z(ESI): 336.0[M+1].
3단계
에틸(R)-4-(4-(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6d
에틸(S)-4-(4-(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6e
조생성물 6c(270 mg, 0.805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디메틸 술폭사이드(3 mL)를 첨가한 다음, 에틸 p-플루오로벤조에이트(270 mg, 1.61 mmol, Accela ChemBio)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04 g, 8.05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12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5 mL의 물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 mL × 5)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물(4 mL) 및 포화 브라인(4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혼합물(360 mg)을 수득하고, 이를 키랄 분취 HPLC(분취 조건: 컬럼: CHIRALPAK IG, 0.50 cm I.D*25 cm L, 0.1 μm; 이동상: MeOH = 100%; 검출 파장: UV 214 nm; 온도: 38℃)로 보내어 더 짧은 유지 시간을 갖는 피크 1(6d(73 mg)였음) 및 더 긴 유지 시간을 갖는 피크 2(6e(72 mg)였음)의 2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MS m/z(ESI): 484.1[M+1].
피크 1: 키랄 HPLC 분석: 유지 시간: 4.008분, 키랄 순도: 100%(컬럼: CHIRALPAK IG 150*4.6 mm, 5 μm(가드 컬럼이 있음); 이동상: n-헥산/에탄올= 70/30(v/v)).
피크 2: 키랄 HPLC 분석: 유지 시간: 6.289분, 키랄 순도: 100%(컬럼 CHIRALPAK IG 150*4.6 mm, 5 μm(가드 컬럼이 있음); 이동상: n-헥산/에탄올= 70/30(v/v)).
4단계
(R)-4-(4-(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조산 6f
6e(70 mg, 0.145 mmol)를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물(0.5 mL) 및 메탄올(0.5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0.3 mg, 0.72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에 물(5 mL)을 첨가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빙욕 하에 냉각하고, 1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4로 조정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n-헥산(5 mL)으로 헹구고 유성 펌프로 건조하여 표제 생성물 6f(63 mg, 수율: 95.54%)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56.0[M+1].
5단계
N-((4-(((R)-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4-(4-((S)-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즈아미드 6h
6g(30 mg,0.040 mmol, 중국 특허 제CN103153954B호 명세서 90페이지 중간체 67에 대해 제공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됨)를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6f(25 mg, 0.055 mmol)를 첨가한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5 mg, 0.091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1.2 mg, 0.09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6f(16.6 mg, 0.037 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5 mg, 0.055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7 mg, 0.055 mmol)을 보충하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5 mL) 및 포화 브라인(5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6h(40 mg, 수율: 79.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93.4[M+1].
6단계
4-(4-((S)-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6
6h(40 mg, 0.036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에 첨가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16.4 mg, 0.07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8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 mL × 2)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8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 mL × 6), 물(10 mL) 및 포화 브라인(10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6(17 mg, 수율: 47.5%)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79.2[M+1].
1H NMR(500 MHz, CD3OD) δ 8.28(d, 1H), 8.09-8.03(m, 1H), 7.80(d, 2H), 7.74(d, 2H), 7.66(d, 1H), 7.55(d, 2H), 7.48(t, 1H), 7.42-7.34(m, 2H), 7.29-7.16(m, 3H), 6.81(dd, 2H), 4.41(d, 1H), 4.02-3.97(m, 1H), 3.84-3.75(m, 2H), 3.64(d, 1H), 3.37(s, 2H), 3.30-3.18(m, 3H), 3.12-3.06(m, 2H), 2.75(s, 2H), 2.72-2.63(m, 1H), 2.59-2.50(m, 1H), 2.29-2.19(m, 2H), 2.08-2.02(m, 2H), 1.82-1.72(m, 1H), 1.66-1.58(m, 1H), 1.39-1.31(m, 4H), 1.27-1.12(m, 2H), 1.03-0.89(m, 2H).
실시예 2-7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3R)-1-((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4-(페닐티오)펜탄-3-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1단계
메틸(R)-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7b
옥살릴 클로라이드(772 mg, 6.08 mmol)를 디클로로메탄(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78℃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5 mL) 중 디메틸 술폭사이드(950 mg, 12.16 mmol)를 적가하였다. 적가 후,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3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5 mL) 중 메틸(R)-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7a(650 mg, 2.43 mmol, 중국 특허 제3153954B호 명세서 59페이지 중간체 4에 대해 제공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됨) 용액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14 g, 24.29 mmol)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결과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1 M 냉각 염산(20 mL)을 0℃에서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고, 혼합물이 액체 분리를 거치게 하였다. 유기상을 pH 7의 인산완충액(3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30 mL)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b(540 mg, 수율: 83.7%)를 수득하였다.
MS m/z(ESI): 266.2[M+1].
2단계
메틸(3R)-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하이드록시펜타노에이트 7c
7b(490 mg, 1.95 mmol)를 디에틸 에테르(15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78℃로 냉각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2.03 mmol) 중 1 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혼합물을 자연적으로 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20 mL)을 0℃에서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c(188 mg, 수율: 36.2%)를 수득하였다.
MS m/z(ESI): 282.1[M+1].
3단계
메틸(3R)-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메틸술포닐)옥시)펜타노에이트 7d
7c(220 mg, 0.782 mmol)를 디클로로메탄(8 mL)에 용해시키고, 피리딘(93 mg, 1.17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5 mg, 0.078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0℃로 냉각하고, 메탄술폰산 무수물(164 mg, 0.941 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열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8 mL × 3)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d(216 mg, 수율: 76.8%)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60.0[M+1].
4단계
메틸(3R)-3-(((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페닐티오)펜타노에이트 7e
7d(216 mg, 0.601 mmol)를 톨루엔(8 mL)에 용해시키고, 티오페놀레이트 나트륨(397 mg, 3.00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105℃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3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e(120 mg, 수율: 53.5%)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74.1[M+1].
5단계
메틸(3R)-4-(페닐티오)-3-((4-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펜타노에이트 7f
7e(112 mg, 0.300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mL)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2℃로 가온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디클로로메탄(20 mL)을 사용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고, 2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였다. 잔류물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4 mL)에 용해시키고, 1i(93 mg, 0.302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88 mg, 3.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50℃로 가열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물(2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f(119 mg, 75.3%)를 수득하였다.
MS m/z(ESI): 524.9[M-1].
6단계
(3R)-4-(페닐티오)-3-((4-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티오)아미노)펜탄산 7g
7f(119 mg, 0.226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탄올 및 물(V:V:V = 3:1:1)의 혼합 용매 5 mL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9 mg, 0.69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1 M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3-4로 조정하고, 디클로로메탄(8 mL × 3)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7g(115 mg, 수율: 99.3%)를 수득하였다.
MS m/z(ESI): 511.0[M-1].
7단계
(3R)-N-(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N-메틸-4-(페닐티오)-3-((4-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펜탄아미드 7h
7g(115 mg, 0.224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3 mL)에 용해시키고,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N-메틸에틸-1-아민(43 mg, 0.227 mmol, Accela ChemBio), 3-(디에톡시아-o-아실옥시)-1,2,3-벤조트리아진-4-온(134 mg, 0.448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8 mg, 0.448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20 mL),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2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20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h(107 mg, 수율: 69.7%)를 수득하였다.
MS m/z(ESI): 684.0[M+1].
8단계
4-(((3R)-1-((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아미노)-4-(페닐티오)펜탄-3-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젠술폰아미드 7i
7h(107 mg, 0.156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1 M 보란-테트라하이드로푸란 복합체 용액(5 mL)을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0℃로 냉각하고, 4 mL의 메탄올을 적가하여 반응을 퀸칭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메탄올(10 mL) 중 7 M 암모니아 용액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봉인 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i(10 mg, 수율: 9.5%)를 수득하였다.
MS m/z(ESI): 670.1[M+1].
9단계
(R)-4-(4-(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조산 7j
6d(70 mg, 0.145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 물(0.5 mL) 및 메탄올 (0.5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0 mg, 0.7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에 물(5 mL)을 첨가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빙욕 하에 냉각하고, 1 M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4로 조정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n-헥산(5 mL)으로 헹구고 유성 펌프로 건조하여 표제 생성물 7j(63 mg, 수율: 95.5%)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56.0[M+1].
10단계
N-((4-(((3R)-1-((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아미노)-4-(페닐티오)펜탄-3-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즈아미드 7k
7i(16 mg, 0.024 mmol)를 디클로로메탄(4 mL)에 용해시키고, 7j(13 mg, 0.028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 mg, 0.049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 mg, 0.073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3회 질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7j(13 mg, 0.028 mmol)를 사용하여 보충한 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8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8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7k(14 mg, 수율: 52.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107.2[M+1].
11단계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3R)-1-((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4-(페닐티오)펜탄-3-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7
7k(14 mg, 0.013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3 mL)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6 mg, 0.02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5 mL × 2)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8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5 mL × 6), 물(1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0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7(4.5 mg, 수율: 35.8%)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93.2[M+1].
1H NMR(500 MHz, CD3OD) δ 8.33(s, 1H), 8.02(d, 1H), 7.76(dd, 4H), 7.65(d, 1H), 7.56(dd, 4H), 7.48(t, 1H), 7.44-7.33(m, 4H), 7.21(d, 1H), 6.81(d, 2H), 6.60(d, 1H), 4.41(d, 1H), 3.97-3.92(m, 1H), 3.84-3.72(m, 3H), 3.69-3.56(m, 3H), 2.76-2.62(m, 4H), 2.55(t, 2H), 2.32-2.17(m, 3H), 2.10-1.87(m, 4H), 1.82-1.72(m, 2H), 1.64-1.58(m, 2H), 1.27-1.22(m, 1H), 1.21-1.12(m, 2H), 1.03-0.96(m, 1H), 0.92(t, 1H).
실시예 2-8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S)-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8
Figure pct00080
Figure pct00081
1단계
Tert-부틸(S)-2-(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프-1-엔-1-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b
1b(2.49 g, 7.53 mmol, Accela ChemBio)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 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빙욕 하에 0℃로 냉각한 다음, N,N-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661 mg, 6.17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78℃로 냉각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 mL) 중 tert-부틸(S)-2-포르밀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a(1.00 g, 5.02 mmol, PharmaBlock) 용액을 적가하였다. 적가 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욕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열하고,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2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B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b(1.90 g, 수율: 94.1%)를 수득하였다.
MS m/z(ESI): 305.0[M+H-100].
2단계
Tert-부틸(2S)-2-(2-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c
8b(1.90 g, 4.7 mmol)를 이소프로판올(50 mL)에 용해시키고, 탄소 상 팔라듐(380 mg, 10% 로딩, 건조 기준)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회 수소를 사용하여 퍼징하고, 8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20 mL) 및 메탄올(20 mL)로 헹구었다. 여과물을 농축하여 조 표제 생성물 8c(1.28 g)를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3단계
Tert-부틸(S)-2-((S)-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d
Tert-부틸(S)-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메톡시-3-옥소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e
조생성물 8c(1.28 g, 4.7 mmol)를 1,4-디옥산(40 mL)에 용해시키고, 물(10 mL), 중탄산나트륨(1.17 g, 14.1 mmol) 및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1.21 g, 4.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A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d(1.03 g, 44.2%, 피크 1) 및 8e(513 mg, 22.1%, 피크 2)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95.2[M+1].
피크 1: UPLC 분석: 유지 시간: 2.77분(컬럼: ACQUITY UPLC BEHC18 50*2.1 mm, 1.7 μm;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포름산 = 10/90/0.1(v/v/v) 내지 95/5/0.1(v/v/v) 구배 용리).
피크 2: UPLC 분석: 유지 시간: 2.69분(컬럼: ACQUITY UPLC BEHC18 50*2.1 mm, 1.7 μm;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포름산 = 50/50/0.1(v/v/v) 내지 95/5/0.1(v/v/v) 구배 용리).
4단계
Tert-부틸(S)-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f
8e(169 mg, 0.34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8 mL)에 용해시키고, 에탄올(8 mL), 수소화붕소나트륨(77 mg, 2.05 mmol) 및 염화리튬(94 mg, 2.2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28℃에서 교반하고, 포화 염화암모늄(5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였다. 용매를 농축 건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에 용해시키고, 물(10 mL) 및 포화 염화나트륨(10 mL)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A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f(125 mg, 78.4%)를 수득하였다.
MS m/z(ESI): 467.2[M+1].
5단계
Tert-부틸(S)-2-((R)-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g
8f(120 mg, 0.26 mmol)를 톨루엔(5 mL)에 용해시키고, 디페닐 디술파이드(168 mg, 0.77 mmol) 및 트리부틸포스핀(156 mg, 0.77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농축 건조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A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g(135 mg, 93.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559.2[M+1].
6단계
Tert-부틸(S)-2-((R)-2-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h
8g(135 mg, 0.24 mmol)를 디클로로메탄(4 mL)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아민(4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생성물 8h(81.6 mg)를 수득하고, 이를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7단계
Tert-부틸(S)-2-((R)-4-(페닐티오)-3-((4-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i
조생성물 8h(81.6 mg, 0.24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용해시키고, 1i(82 mg, 0.27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14 mg, 2.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5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퀸칭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 mL × 3)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용리액 시스템 A를 사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i(105 mg, 69.3%)를 수득하였다.
MS m/z(ESI): 622.1[M-1].
8단계
Tert-부틸(S)-2-((R)-2-((4-(N-(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일)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j
8i(30 mg, 0.048 mmol)를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1k(24 mg, 0.058 mmol)를 첨가한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9 mg, 0.09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2 mg, 0.096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1k(12 mg, 0.038 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9 mg, 0.09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2 mg, 0.096 mmol)을 보충한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5 mL) 및 포화 브라인(5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8j(30 mg, 수율: 60.7%)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27.2[M+1].
9단계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S)-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8
8j(30 mg, 0.029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1,4-디옥산(2 mL) 중 4 M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 농축하고, 이는 3회 반복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8(25 mg, 수율: 92.3%)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27.1[M+1].
1H NMR(500 MHz, CD3OD) δ 8.24(d, 1H), 8.05-8.01(m, 1H), 7.82(d, 2H), 7.60(d, 1H), 7.45-7.39(m, 3H), 7.37(d, 2H), 7.34-7.28(m, 3H), 7.23(t, 2H), 7.20-7.14(m, 2H), 6.80(d, 2H), 6.72(d, 1H), 4.42(d, 1H), 3.97(br, 1H), 3.84-3.74(m, 1H), 3.27-3.21(m, 2H), 3.19-3.07(m, 3H), 3.06-2.97(m, 1H), 2.69-2.61(m, 1H), 2.55-2.48(m, 1H), 2.16-2.00(m, 5H), 1.98-1.89(m, 2H), 1.88-1.80(m, 1H), 1.78-1.69(m, 1H), 1.63-1.57(m, 2H), 1.54-1.49(m, 1H), 1.26-1.20(m, 1H), 1.15-1.04(m, 1H), 1.01-0.94(m, 1H).
실시예 2-9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S)-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9
Figure pct00082
8(15 mg, 0.016 mmol)을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6 mg, 0.16 mmol) 및 브로모에탄올(20 mg, 0.16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7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9(10 mg, 수율: 63.4%)를 수득하였다.
MS m/z(ESI): 971.2[M+1].
1H NMR(500 MHz, CD3OD) δ 8.25(d, 1H), 8.06(dd, 1H), 7.80(d, 2H), 7.61(dd, 1H), 7.49-7.35(m, 5H), 7.35-7.28(m, 3H), 7.24(dd, 2H), 7.20-7.14(m, 2H), 6.79(t, 3H), 4.42(d, 1H), 4.02(t, 1H), 3.84-3.70(m, 3H), 3.61(d, 2H), 3.28-3.14(m, 2H), 3.06(br, 1H), 2.96(br, 1H), 2.71-2.59(m, 1H), 2.56-2.45(m, 1H), 2.45-2.35(m, 1H), 2.32-2.22(m, 1H), 2.10-1.97(m, 4H), 1.96-1.86(m, 1H), 1.85-1.69(m, 2H), 1.60(t, 2H), 1.26-1.18(m, 1H), 1.06-1.08(m, 1H), 1.01-0.92(m, 1H), 0.92-1.86(m, 1H).
실시예 2-10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0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1단계
N-((4-(((R)-4-((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즈아미드 10a
6g(30 mg, 0.040 mmol)를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7j(25 mg, 0.055 mmol)를 첨가한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5 mg, 0.091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1.2 mg, 0.09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7j(16.6 mg, 0.037 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5 mg, 0.055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7 mg, 0.055 mmol)을 보충한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5 mL) 및 포화 브라인(5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0a(40 mg, 수율: 79.9%)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93.4[M+1].
2단계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0
10a(40 mg, 0.036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2 mL)에 첨가하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16 mg, 0.07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8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 mL × 2)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감압 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8 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 mL × 6), 물(10 mL) 및 포화 브라인(10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0(17 mg, 수율: 47.5%)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79.2[M+1].
1H NMR(500 MHz, CD3OD) δ 8.26(d, 1H), 8.04(dd, 1H), 7.79(d, 2H), 7.72(d, 2H), 7.64(d, 1H), 7.53(d, 2H), 7.46(t, 1H), 7.40-7.31(m, 3H), 7.29-7.12(m, 4H), 6.86-6.71(m, 3H), 4.39(d, 1H), 3.98(br, 1H), 3.84-3.71(m, 3H), 3.62(d, 1H), 3.26-3.16(m, 3H), 3.14-2.96(m, 2H), 2.80-2.60(m, 4H), 2.56-2.49(m, 1H), 2.19(t, 1H), 2.11-1.93(m, 3H), 1.76(d, 1H), 1.27-1.18(m, 1H), 1.17-1.10(m, 1H), 1.03-0.93(m, 1H), 0.94-0.83(m, 1H).
실시예 2-11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S)-1-(3-하이드록시프로필)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1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8(20 mg, 0.021 mmol)을 아세토니트릴(2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22 mg, 0.22 mmol) 및 브로모에탄올(30 mg, 0.22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7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1(13 mg, 수율: 61.1%)을 수득하였다.
MS m/z(ESI): 985.1[M+1].
1H NMR(500 MHz, CD3OD) δ 8.28(d, 1H), 8.09(dd, 1H), 7.86-7.78(m, 2H), 7.63(dd, 1H), 7.48-7.38(m, 5H), 7.37-7.31(m, 3H), 7.27(dd, 2H), 7.23-7.17(m, 2H), 6.81(t, 3H), 4.44(d, 1H), 4.08-4.00(m, 1H), 3.81(d, 1H), 3.72-3.55(m, 4H), 3.25(dd, 2H), 3.05(s, 1H), 2.94(s, 1H), 2.73-2.63(m, 1H), 2.59-2.50(m, 1H), 2.48-2.39(m, 1H), 2.29(s, 1H), 2.21(t, 1H), 2.10-2.01(m, 4H), 1.97-1.70(m, 5H), 1.62(s, 1H), 1.31-1.20(m, 3H), 1.15(d, 1H), 1.04-0.95(m, 1H), 0.93(d, 1H).
실시예 2-12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S)-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2
Figure pct00087
1단계
Tert-부틸(S)-2-((R)-2-((4-(N-(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벤조일)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2a
8i(80 mg, 0.13 mmol)를 디클로로메탄(3 mL)에 용해시키고, 7j(70 mg, 0.15 mmol)를 첨가한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9 mg, 0.2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2 mg, 0.26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7j(47 mg, 0.10 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9 mg, 0.2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2 mg, 0.26 mmol)을 보충한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5 mL) 및 포화 브라인(5 mL)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전개 용매 시스템 A를 사용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 12a(80 mg, 수율: 58.8%)를 수득하였다.
MS m/z(ESI): 1059.0[M-1].
2단계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페닐티오)-3-((S)-피롤리딘-2-일)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2
12a(50 mg, 0.047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에 용해시키고, 1,4-디옥산(2 mL) 중 4 M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건조 농축하고, 이는 3회 반복되었다. 생성된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2(6 mg, 수율: 66.2%)를 수득하였다.
MS m/z(ESI): 961.2[M+1].
1H NMR(500 MHz, CD3OD) δ 8.23(s, 1H), 8.03(d, 1H), 7.80(d, 2H), 7.72(d, 2H), 7.64(d, 1H), 7.53(d, 2H), 7.47(t, 1H), 7.35(t, 3H), 7.27-7.14(m, 4H), 6.79(d, 2H), 6.73(d, 1H), 4.39(d, 1H), 3.98(s, 1H), 3.81-3.73(m, 1H), 3.63-3.58(m, 1H), 3.56-3.50(m, 1H), 3.21-3.13(m, 2H), 2.64(t, 1H), 2.50(t, 1H), 2.33-2.25(m, 1H), 2.25-2.20(m, 1H), 2.11-1.91(m, 6H), 1.80-1.65(m, 2H), 1.64-1.54(m, 2H), 1.25-1.17(m, 2H), 1.16-1.10(m, 1H), 1.00-0.93(m, 1H).
실시예 2-13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S)-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3
Figure pct00088
12(30 mg, 0.031 mmol)를 아세토니트릴(4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32 mg, 0.31 mmol) 및 브로모에탄올(39 mg, 0.31 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시스템을 7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Sharpsil-T Prep C18; 이동상: 중탄산암모늄,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13(25 mg, 수율: 56.9%)을 수득하였다.
MS m/z(ESI): 1005.1[M+1].
1H NMR(500 MHz, CD3OD) δ 8.27(d, 1H), 8.08(dd, 1H), 7.85-7.79(m, 2H), 7.74(d, 2H), 7.68-7.63(m, 1H), 7.55(d, 2H), 7.50-7.46(m, 1H), 7.42-7.35(m, 3H), 7.29-7.18(m, 4H), 6.87-6.69(m, 3H), 4.41(d, 1H), 4.03(br, 1H), 3.83-3.73(m, 3H), 3.67-3.56(m, 2H), 3.25-3.18(m, 2H), 3.14-2.86(m, 2H), 2.72-2.59(m, 1H), 2.58-2.47(m, 1H), 2.46-2.36(m, 1H), 2.33-2.23(m, 1H), 2.10-1.97(m, 4H), 1.96-1.87(m, 1H), 1.84-1.72(m, 2H), 1.66-1.55(m, 1H), 1.28-1.19(m, 1H), 1.16(d, 1H), 1.03-0.95(m, 1H), 0.95-0.89(m, 1H).
실시예 2-14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2R)-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3-메틸-1-(페닐티오)부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4
Figure pct00089
실시예 2-15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5-((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1-(페닐티오)펜탄-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5
Figure pct00090
실시예 2-16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R)-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6
Figure pct00091
실시예 2-17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R)-1-메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7
Figure pct00092
실시예 2-18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S)-1-메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8
Figure pct00093
실시예 2-19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S)-1-메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19
Figure pct00094
실시예 2-20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R)-1-((S)-1-(2-하이드록시에틸)-2-메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20
Figure pct00095
실시예 2-21
4-(4-((R)-하이드록시(4'-(트리플루오로메틸)-[1,1'-바이페닐]-2-일)메틸)피페리딘-1-일)-N-((4-(((R)-1-((S)-1-(2-하이드록시에틸)-2-메틸피롤리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21
Figure pct00096
실시예 2-22
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N-((4-(((2R)-1-(1-(2-하이드록시에틸)아제티딘-2-일)-3-(페닐티오)프로판-2-일)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술포닐)벤즈아미드 22
Figure pct00097
실시예 2-23
Figure pct00098
실시예 2-24 AZD4320
Figure pct00099
화합물은 국제 특허 제WO2012017251호 160-161페이지 실시예 3(양성 대조군 화합물 AZD4320)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LD-1
4-((S)-2-((S)-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산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5-우레이도펜탄아미도)벤질(R)-2-((R)-2-((4-(N-(4-(4-((R)-(4'-클로로-[1,1'-바이페닐]-2-일)(하이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벤조일)술파모일)-2-((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페닐)아미노)-3-(페닐티오)프로필)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LD-1
Figure pct00100
1(3 mg, 0.003 mmol)을 0.5 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첨가하고, 4-((S)-2-((S)-2-(6-(2,5-디옥소-2,5-디하이드로-1H-피롤-1-일)헥산아미노)-3-메틸부탄아미도)-5-우레이도펜탄아미도)벤질(4-니트로페닐)카르보네이트 LD-1a(3.1 mg, 0.004 mmol, Haoyuan)를 첨가한 다음, 0.1 mL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회 아르곤을 사용하여 퍼징하고,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2 mg, 0.014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 mg, 0.015 mmol)을 첨가하였다. 결과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분리 조건: 컬럼: XBridge Prep C18; 이동상: 암모늄 아세테이트, 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분획을 채취하고, 감압 하에 농축하여 표제 생성물 LD-1(2 mg, 수율: 40.5%)을 수득하였다.
MS m/z(ESI): 1525.0[M+1].
1H NMR(500 MHz, CD3OD) δ 8.17(s, 1H), 7.92-7.80(m, 3H), 7.64-7.51(m, 3H), 7.46-7.09(m, 12H), 6.84-6.74(m, 3H), 6.48-6.40(m, 2H), 5.35(t, 4H), 4.41(d, 1H), 4.15(d, 1H), 4.00-3.71(m, 6H), 3.66-3.54(m, 2H), 3.44(t, 2H), 3.22-3.05(m, 6H), 2.77(t, 1H), 2.72-2.62(m, 2H), 2.53(t, 2H), 2.23(t, 2H), 2.18(t, 4H), 2.11-2.06(m, 2H), 1.96-1.82(m, 4H), 1.80-1.71(m, 2H), 1.65-1.51(m, 8H), 1.17-1.09(m, 2H), 1.00-0.89(m, 9H).
생물학적 평가
시험예 1. BCL-xL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결합 활성에 대한 분석
시험관내(In vitro) BCL-xL-결합 활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시약: His-태그된 BCL-xL 단백질(R&D, 카탈로그 번호: 894-BX-050); 비오틴-표지된 BIM 단백질(R&D, 카탈로그 번호: 3526/1); 결합 완충액(Cisbio, 카탈로그 번호: 62DLBDDF); 분석 완충액(Cisbio, 카탈로그 번호: 62DB1FDG); MAb 항-6His-Eu 크립테이트(Cisbio, 카탈로그 번호: 61HI2KLA); 및 친화성 스트렙토마이신 연결된 XL665(Cisbio, 카탈로그 번호: 611SAXLA).
아래 기재된 시험관내 결합 분석은 BCL-xL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결합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시험 화합물을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실험에 필요한 구배 농도로 희석하고,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제형화된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을 결합 완충액으로 100배 희석시켰다. BCL-xL을 결합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4 μL/웰로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희석된 시험 화합물을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2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비오틴-표지된 BIM 단백질을 결합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4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MAb 항-6His-Eu 크립테이트 및 친화성 스트렙토마이신 연결된 XL665를 각각 분석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5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신호 값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MG Labtech, 모델: PHERAstar FS)에서 HTRF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1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101
결론: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BCL-xL에 대한 비교적 높은 결합 활성을 갖는다.
시험예 2. BCL-2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결합 활성에 대한 분석
시험관내 BCL-2-결합 활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시약: His-태그된 BCL-2 단백질(R&D 시스템, 카탈로그 번호: 827-BC-050); 비오틴-표지된 BIM 단백질(R&D, 카탈로그 번호: 3526/1); 결합 완충액(Cisbio, 카탈로그 번호: 62DLBDDF); 분석 완충제(Cisbio, 카탈로그 번호: 62DB1FDG); MAb 항-6His-Eu 크립테이트(Cisbio, 카탈로그 번호: 61HI2KLA); 및 친화성 스트렙토마이신 연결된 XL665(Cisbio, 카탈로그 번호: 611SAXLA).
아래 기재된 시험관내 결합 분석은 BCL-2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결합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시험 화합물을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실험에 필요한 구배 농도로 희석하고,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제형화된 다양한 농도의 화합물을 결합 완충액으로 100배 희석시켰다. BCL-2를 결합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4 μL/웰로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희석된 시험 화합물을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2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비오틴-표지된 BIM 단백질을 결합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4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MAb 항-6His-Eu 크립테이트 및 친화성 스트렙토마이신 연결된 XL665를 각각 분석 완충액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농도로 희석하고,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 5 μL/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플레이트를 25℃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신호 값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MG Labtech, 모델: PHERAstar FS)에서 HTRF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102
결론: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BCL-2에 대한 비교적 높은 결합 활성을 갖는다.
시험예 3. RS4;11 세포 및 NCI-H146 세포의 증식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 결정
RS4;11 세포 및 NCI-H146 세포의 증식에 대한 시험관내 억제 활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시약: RPMI-1640 배지(HyCLone, 카탈로그 번호: SH30243018); 태아 소 혈청(Gibco, 카탈로그 번호: 10099-141); 판크레아틴(Gibco, 카탈로그 번호: 25200-072); Cell Titer-Glo(Promega, 카탈로그 번호: G7571).
사용되는 물질: RS4;11 세포(Nanjing Kebai Biotechnology Co., Ltd, 카탈로그 번호: CBP60641); 및 NCI-H146 세포(ATCC, 카탈로그 번호: HTB-173).
아래 기재된 시험관내 세포 증식 분석은 RS4;11 세포 및 NCI-H146 세포의 증식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RS4;11 세포(또는 NCI-H146 세포)를 10%의 FBS가 함유된 RPMI-1640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고 1:3 또는 1:5의 계대비로 주 2-3회 계대하였다. 계대 동안, 세포를 원심분리 튜브로 이동시키고 1200 rpm으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신선한 배양 배지를 첨가하여 세포를 재현탁시켰다. 90 μL의 세포 현탁액을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RS4;11 세포 및 NCI-H146 세포를 2.22×105 세포/mL의 밀도로 첨가하였다. 100 mL의 완전 배지(10% FBS를 함유하는 RPMI-1640 배지)만 96-웰 플레이트의 주위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37℃, 5% CO2).
시험 샘플을 실험의 필요에 따라 디메틸 술폭사이드로 적절한 농도 구배로 희석하였다. 구배 농도에서 제조된 시험 화합물 용액 5 mL를 신선한 배양 배지 95 mL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양 배지 10 μL를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3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37℃, 5% CO2). CellTiter-Glo 시약 50 mL를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빛을 피해 5-10분 동안 방치하였다. 화학발광 신호를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BMG Labtech, 모델: PHERAstar FS)로 판독하고, 데이터를 GraphPad 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103
결론: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RS4;11 세포 및 NCI-H146 세포의 증식에 대한 비교적 높은 억제 활성을 갖는다.
시험예 4. SD 랫트 대상 7일 동안의 반복 정맥내 투여 독성 시험
1. 목적
본 실험은 화합물 9 및 AZD4320의 SD 랫트에 대한 7일 동안의 반복 정맥내 투여에 의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 시험 화합물
보관 조건: 빛을 닿지 않는 실온에서 건조기에 보관.
화합물 9, 순도 100%, 분자량: 976.1.
화합물 AZD4320, 순도 100%, 분자량: 945.5.
3. 실험 설계 및 절차
3.1 실험 동물 및 수용 조건
Zhejiang Vital River Laboratory Animal Technology Co., Ltd.에서 구입한 30마리의 SD 랫트, 체중 약 180-200 g, 6-7주령, 절반은 수컷, 절반은 암컷, SPF 등급. 동물 인증 번호: 200917Aazz0619000298 및 20200917Aazz0619000104. 생산 허가 번호: SCXK(Zhejiang) 2019-0001.
수용 조건: SPF 등급 동물을 케이지(cage)당 2-3마리씩 플라스틱 및 투명한 랫트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실내 온도는 20-26℃, 상대 습도는 40%-70%였다. 조명을 12/12 명/암 주기로 제어하였다. 마우스용 과립 사료를 무제한으로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3.2 동물의 그룹화
랫트를 무작위로 다음의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비히클 대조군, 화합물 9-1 mg/kg 군 및 화합물 AZD4320-1 mg/kg 군, 각 군에 6마리의 랫트, 반은 수컷, 반은 암컷.
3.3 실험 절차
랫트에 대한 7일간의 독성 시험을 위한 시험 샘플의 투여량: 연속 7일 동안 1 mg/kg(qd). 투여 경로: 정맥내 주사, 투여량: 10 mL/kg, 투여 빈도 및 투여 기간: 매일 아침 7일 간.
비히클: 1.5% DMA + 98.5%(10% HS-15), 여기서 DMA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Shanghai Titan Scientific Co., Ltd., 카탈로그 번호: 01013630); HS-15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15(Solutol HS15)(Shanghai Xietai Chemical Co., Ltd., 카탈로그 번호: 50253404)이다.
3.4 실험 기구
Hitachi 7100 자동 생화학 분석기
Siemens advia 2120i 자동 혈액 세포 분석기
Sysmex ca1500 자동 응고 분석기
독성동태 데이터 수집: AB 4000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광계
3.5 데이터 표현 및 통계 처리
검출 결과는 PC의 Excel에 입력하고, 통계 처리하였다.
임상 증상, 섭식량 및 해부의 일반적인 육안 관찰 결과는 통계적으로 계산하지 않았고, 체중, 장기 중량 및 임상 검사와 같은 지표는 T-시험(T-test)를 이용하여 계수하였다.
4. 결과
SD 랫트에게 1 mg/kg의 화합물 9 또는 1 mg/kg의 AZD4320을 5 mL/kg에서 7일 동안 반복하여 정맥내 투여하였다.
치료 동안 화합물 9 투여군에서 동물의 임상 관찰에서 유의항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군 간에 동물의 체중 및 체중 증가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 0.05), 음식 섭취량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화합물 9 투여군에서 랫트의 혈소판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배경 정상 범위 내에 있는 반면, AZD 4320 랫트의 혈소판은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1). 시험 결과는 표 4에 제시되었다.
Figure pct00104
각주: *는 p < 0.05를 나타내며; **는 p < 0.01을 나타낸다.
5. 결론
본 실험의 조건에서, 비히클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AZD 4320군과 비교하여, 화합물 9는 양성 대조군보다 혈소판 감소량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시험예 5. 마우스에서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약동학 평가
1. 요약
화합물 10 및 AZD4320의 정맥내(iv) 투여 후 상이한 시점에서 시험 동물(마우스)의 혈장에서의 약물 농도를 LC/MS/MS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마우스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약동학 거동을 연구하고 약동학 프로파일을 평가하였다.
2. 방법론
2.1. 시험 화합물
화합물 10
2.2. 시험 동물
Zhejiang Vital River Laboratory Animal Technology Co., Ltd에서 18마리의 C57 마우스, 암컷, 무작위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구입, 동물 생산 허가 번호: SCXK(Shanghai) 2017-0005.
2.3. 약물 제조
특정량의 화합물 10을 칭량하고, 5 부피%의 DMSO 및 5% Tween 80(Shanghai Titan Scientific Co., Ltd.)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90%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0.1 mg/mL의 투명 용액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AZD4320을 화합물 10과 같이 제형화하였다.
2.4. 투여
정맥내 투여: 화합물 10 및 AZD4320을 각각 2.0 mg/kg의 용량 및 20.0 mL/kg의 부피로 마우스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3. 절차
마우스에 화합물 10을 정맥내 투여하고, 투여 전 및 투여 후 5분, 0.25시간, 0.5시간, 1.0시간, 2.0시간, 4.0시간, 8.0시간, 11.0시간 및 24.0시간 후 0.1 mL의 혈액을 채취하고, EDTA-K2 항응고 튜브에 넣고, 10,000 rpm에서 1분(4℃)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혈장을 1시간 이내에 분리하고, 시험을 위해 -20℃에서 보관하였다. 채혈부터 원심분리까지의 과정을 빙욕 하에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화합물 AZD4320을 정맥내 투여하고, 0.1 mL의 혈액을 투여 전 및 투여 후 5분, 0.25시간, 0.5시간, 1.0시간, 2.0시간, 4.0시간, 8.0시간, 11.0시간 및 24.0시간 후 채취하고, EDTA-K2 항응고관에 넣고, 1분 동안 10,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4℃). 혈장을 1시간 이내에 분리하고, 시험을 위해 -20℃에서 보관하였다. 채혈부터 원심분리까지의 처리를 빙욕 하에 수행하였다.
투여 후 마우스 혈장에서 상이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함량을 결정하였다: 투여 후 각 시점에서 10 μL의 마우스 혈장을 200 μL의 메탄올(내부 표준 용액 캄프토테신(100 ng/mL) 함유)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1분 동안 와류(vortex)하고,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18,000 r/min), 3 μL의 상청액을 LC/MS/MS 분석을 위해 취하였다.
4. 약동학 매개변수
Figure pct00105
결론: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10은 마우스에서 서서히 제거되고, 양성 대조군 AZD 4320보다 더 긴 제거 단계 반감기를 가지며, 약동학 이점을 갖는다.
실험예 6.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 마우스 피하 이종이식 종양에 대한 치료 효과
본 실험을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 마우스 피하 이종이식 종양에 대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1. 실험 동물 및 수용 조건
Beijing Huafukang Biotechnology Co., Ltd.에서 구입한 NOD-Scid 마우스, 5주령, 생산 허가 번호: SCXK(Beijing) 2019-0008; 동물 인증 번호: 110322211100992176. 수용 환경: SPF 등급. 비히클군에서 6마리의 마우스 및 화합물군에서 8마리의 마우스.
2. 시험 화합물
화합물 9, 화합물 10 및 비히클군.
5 mg의 화합물을 250 μL의 DMSO에 첨가하고 와류하여 20 mg/mL 용액을 제공하고, 이를 30%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P-β-CD, InnoStar Biotechnology Nantong Co., Ltd, Nantong)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3. 실험 설계 및 절차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을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였다. RS4;11 세포를 5% CO2를 함유하는 37℃의 인큐베이터에서 10% 태아 소 혈청(Gibco) 및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RPMI 1640 배양 배지(Gibco)를 사용하여 10 cm 페트리 접시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주 2회 계대하고, 지수 성장기에 있을 때 채취, 계수 및 접종하였다.
각 마우스에 1 × 107 RS4;11 세포를 피하 접종하였다. 종양이 100~200 mm3까지 성장하였을 때, 마우스를 종양 부피에 따라 그룹화하고, 0.1 mL/10 g 체중의 주입량 및 10 mg/kg의 용량으로 총 4회 동안 주 1회(QW) 정맥내 주사(IV)하였다.
4. 결과
실험 지표는 종양 성장에 대한 약물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으며, 특정 지표는 T/C% 또는 종양 성장 억제(TGI%)였다.
종양 직경을 버니어 캘리퍼를 사용하여 주 2회 측정하였고, 종양 부피(V)를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V = 1/2 × a × b2
여기서 a와 b는 각각 길이와 너비를 나타낸다.
T/C(%) = (T - T0)/(C - C0) × 100, 여기서 T 및 C는 각각 처리군과 대조군에서 실험 종료 시 동물의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T0 및 C0은 각각 처리군 및 대조군에서 실험 초기 동물의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종양 성장 억제%(TGI%) = 100 - T/C(%).
종양 퇴행 시작 시, 종양 성장 억제%(TGI%) = 100 - (T - T0)/T0 × 100.
종양이 초기 부피와 비교하여 감소된 부피를 갖는 경우, 즉 T < T0 또는 C < C0인 경우, 이를 종양의 부분 퇴행(PR)으로 정의하고; 종양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 이를 종양의 완전 퇴행(CR)으로 정의하였다.
Figure pct00106
결론: 화합물 9(10 mg/kg, IV, QW × 3) 및 화합물 10(10 mg/kg, IV, QW × 3)은 인간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RS4;11 마우스 피하 이종이식 종양의 성장에 대한 유의한 억제 효과를 가지고(도 1)(종양 억제율이 각각 72% 및 82%인 경우); 종양이 있는 마우스는 모두 위의 약물을 잘 견딜 수 있으며, 유의한 체중 감소와 같은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2).

Claims (35)

  1.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107

    일반식 (D)에서,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은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R1 및 R2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R5는 할로알킬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알킬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적으로 추가로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피롤리디닐을 형성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08

    일반식 (D-I)에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4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09

    일반식 (D-II)에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10

    일반식 (D-III)에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3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11

    일반식 (D-IV)에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 내지 R9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은 2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염소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수소, 하이드록시알킬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12

    일반식 (D-V)에서,
    t는 0, 1, 2 및 3, 바람직하게는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R4 및 R6 내지 R14는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13

    일반식 (D-VI)에서,
    t는 0, 1, 2 및 3, 바람직하게는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R4 및 R6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D-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Figure pct00114

    일반식 (D-VII)에서,
    r 및 R1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제1항 내지 제14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수소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은 수소 및 알콕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7. 제1항 내지 제16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 R8 및 R9는 수소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8.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및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9.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은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0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0.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15

    Figure pct00116

    Figure pct00117

    Figure pct00118
    Figure pct00119
    .
  21. 일반식 (DA1) 또는 (DB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120

    일반식 (DA1) 또는 (DB1)에서,
    G1은 아미노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Boc이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A1) 또는 (DB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2. 제2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1) 또는 (DB1)의 화합물:
    Figure pct00121

    Figure pct00122
  23.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Figure pct00123

    일반식 (DA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산성 조건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산성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약은 HCl이고;
    G1은 아미노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Boc이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수소이고;
    r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4. 일반식 (DA2) 또는 (D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124

    일반식 (DA2) 또는 (DB2)에서,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A2) 또는 (D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5. 제24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2) 또는 (DB2)의 화합물:
    Figure pct00125

    Figure pct00126
  26.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Figure pct00127

    일반식 (DA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치환 반응시켜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 조건에서 사용되는 시약은 트리에틸아민이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하이드록시알킬이고;
    r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7.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128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에서,
    G2는 하이드록시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TBS이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8. 제27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 (DA3), (DB3) 또는 (DC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129
    Figure pct00130
  29.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Figure pct00131

    일반식 (DA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2는 하이드록시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TBS이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D-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0.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Figure pct00132

    화학식 (-D)에서,
    R1은 중수소, 수소, 알킬 및 중수소화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추가로 치환되는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3a는 결합 및 -(CH2)t-CH2-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중수소화된 알킬 및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할로겐 및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알킬,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은 수소, 할로겐,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하이드록시 및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8 및 R9는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중수소화된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R10 및 R11은 이들이 부착되는 원자와 함께 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R12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3은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4는 수소, 중수소, 중수소화된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콕시 및 사이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은 링커 단위 또는 리간드에의 공유 연결(covalent linking)을 나타내는,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1. 제30항에 있어서, 화학식 (-D)는 화학식 (-DIII), (-DIV) 및 (-DV)의 구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ct00133

    화학식 (-DIII), (-DIV) 및 (-DV)에서,
    t는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및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물결선, r, R1, R2 및 R4 내지 R11은 제3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2.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0항 또는 제31항에 따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3. Bcl-2 및/또는 Bcl-XL 억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0항 또는 제31항에 따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34. 종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0항 또는 제31항에 따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35. 암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반식 (D)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0항 또는 제31항에 따른 화학식 (-D)의 구조를 포함하는 리간드-약물 접합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32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암은 바람직하게는 흑색종(melanoma), 간암(liver cancer), 신장암(kidney cancer), 폐암(lung cancer),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비 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ncer),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결장암(colon cancer), 직장암(rectal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난소암(ovarian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방광암(bladder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백혈병(leukemia),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emi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 급성 골수원성 백혈병(acute myelogenous leukemia), 외투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여포 중심 림프종(follicular central lymphoma), 비 호지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T 세포 림프종(T cell lymphoma), B 세포 림프종(B cell lymphoma),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자궁경부암, 갑상선암(thyroid cancer), 림프종(lymphoma), 육종(sarcoma),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뇌종양(brain tumor), 골수종(myeloma), 성상세포종(astrocytoma) 및 신경교종(glioma)인, 용도.
KR1020237004479A 2020-07-10 2021-07-09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38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63125.8 2020-07-10
CN202010663125 2020-07-10
PCT/CN2021/105436 WO2022007940A1 (zh) 2020-07-10 2021-07-09 磺酰苯甲酰胺类衍生物及其偶联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231A true KR20230038231A (ko) 2023-03-17

Family

ID=7955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479A KR20230038231A (ko) 2020-07-10 2021-07-09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250077A1 (ko)
EP (1) EP4180422A4 (ko)
JP (1) JP2023533735A (ko)
KR (1) KR20230038231A (ko)
CN (1) CN115697967A (ko)
AU (1) AU2021306781A1 (ko)
BR (1) BR112023000320A2 (ko)
CA (1) CA3184959A1 (ko)
MX (1) MX2023000346A (ko)
TW (1) TW202214565A (ko)
WO (1) WO20220079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8020A (en) 1989-10-25 1993-05-04 Immunogen Inc. Cytotoxic agents comprising maytansinoid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7223879B2 (en) 1998-07-10 2007-05-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igands for metals and improved metal-catalyzed processes based thereon
SG195524A1 (en) 2003-11-06 2013-12-30 Seattle Genetics Inc Monomethylvaline compounds capable of conjugation to ligands
WO2005049593A2 (en) * 2003-11-13 2005-06-02 Abbott Laboratories N-acylsulfonamide apoptosis promoters
TWI535712B (zh) 2010-08-06 2016-06-01 阿斯特捷利康公司 化合物
CN109311871B (zh) * 2016-08-05 2020-02-28 密歇根大学董事会 作为bcl-2抑制剂的n-(苯基磺酰基)苯甲酰胺及相关化合物
JOP20190191A1 (ar) * 2017-02-22 2019-08-08 Astrazeneca Ab وحدات شجرية علاجية
WO2019001383A1 (zh) * 2017-06-26 2019-01-03 深圳市塔吉瑞生物医药有限公司 用于抑制Bcl-2蛋白的N-苯磺酰基苯甲酰胺类化合物及其组合物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3735A (ja) 2023-08-04
WO2022007940A1 (zh) 2022-01-13
TW202214565A (zh) 2022-04-16
CA3184959A1 (en) 2022-01-13
MX2023000346A (es) 2023-02-13
AU2021306781A1 (en) 2023-03-02
BR112023000320A2 (pt) 2023-01-31
US20230250077A1 (en) 2023-08-10
EP4180422A1 (en) 2023-05-17
CN115697967A (zh) 2023-02-03
EP4180422A4 (en)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6543B (zh) 依喜替康類似物的配體-藥物偶聯物、其製備方法及其應用
KR101948347B1 (ko) 비스(플루오로알킬)-1,4-벤조디아제피논 화합물
JP2023018157A (ja) 親水性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EP3750545A1 (en) Phospholipid ether analogs as cancer-targeting drug vehicles
JP2023545581A (ja) カンプトテシン系誘導体及びそのリガンド-薬物複合体
JP2023545580A (ja) 重水素化カンプトテシン系誘導体及びその抗体薬物複合体
TW201705983A (zh) 半胱胺酸工程改造抗體之結合物
WO2021190586A1 (zh) B7h3抗体-依喜替康类似物偶联物及其医药用途
CN111295380B (zh) 一种高活性csf1r抑制剂化合物
CN112888460A (zh) Lrkk2的野生型及突变型的降解剂
JP2023508097A (ja) タンパク質分解剤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使用
JP2023521956A (ja) 抗体薬物複合体の調製方法
WO2022017365A1 (zh) 含硫异吲哚啉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17069793A (zh) 双功能接头化合物、抗体药物偶联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38231A (ko) 술포닐벤즈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22148358A1 (zh) 稠杂环基取代的环己二酰亚胺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JP7454520B2 (ja) 光学活性なアザビシクロ環誘導体からなる医薬
TW202313125A (zh) 一種抗腫瘤化合物及其應用
CN114181277A (zh) 一种用于雄激素受体蛋白靶向降解的嵌合体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TW202334176A (zh) 新穎的澳瑞他汀(auristatin)類似物及其免疫綴合物
WO2023215449A1 (en) Tetrahydroisoquinoline heterobifunctional bcl-xl degraders
WO2023051814A1 (zh) 吡咯并苯并二氮杂卓类衍生物及其偶联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AU2022380491A1 (en) Novel auristatin analogs and immunoconjugates thereof
JP2024520283A (ja) 化学的カップリングリンカー及びその使用
TW202012384A (zh) 特定芳基普拉二烯內酯化合物及其使用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