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04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044A
KR20230038044A KR1020210121294A KR20210121294A KR20230038044A KR 20230038044 A KR20230038044 A KR 20230038044A KR 1020210121294 A KR1020210121294 A KR 1020210121294A KR 20210121294 A KR20210121294 A KR 20210121294A KR 20230038044 A KR20230038044 A KR 20230038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plate
drain hole
refrigerator
under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훈
김동화
노효석
박성철
임창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044A/ko
Priority to PCT/KR2022/012164 priority patent/WO2023038310A1/ko
Publication of KR2023003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44A/ko
Priority to US18/590,733 priority patent/US2024020085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2Household appliances
    • B29L2031/7622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6Details of wall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사출 성형을 통해 내상의 구성품을 제조할 때, 언더컷(undercut)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하나인 후판은,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을 상기 내상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과,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아래에 상기 경사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판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조립식 내상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의 본체는 내상과 외상이 결합되어 마련된다. 내상은 저장실을 형성하며, 외상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배치된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상은 수지 재질의 판재(sheet)를 가열한 후, 늘어진 판재를 금형 위에 놓고, 금형 반대편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그 흡입력에 의해 가열된 판재가 금형 위를 덮거나 금형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는 진공 성형 방식으로 형성한다.
진공 성형 방식으로 형성된 내상은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편차를 가진다. 내상의 두께 편차로 인해 저장실 내부의 외관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이 분할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내상을 적재하여 보관 시 내상의 부피를 줄여 동일 공간에서 더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고, 한 번에 더 많은 수량의 내상을 운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내상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사출 성형을 통해 내상의 구성품을 제조할 때, 언더컷(undercut)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내상의 구성품을 고속 및 박막 사출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하나인 후판은,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을 상기 내상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과,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아래에 상기 경사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판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거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경사면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제1경사면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드레인 홀과 인접한 상기 제2경사면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리세스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판은, 상기 이격공간에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판은,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드레인 홀의 일 측으로부터 전 측을 거쳐 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상을 구성하는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판, 상기 우판 및 상기 후판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하나인 후판은, 상기 후판의 물을 상기 후판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과, 상기 후판 내부의 물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드레인 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드레인 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면과, 상기 전방 경사면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전방 경사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후판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전방 경사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거나 상기 전방 경사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경사면은, 상기 드레인 홀과 인접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판은,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서,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판은,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내상이 분할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내상을 적재하여 보관 시 내상의 부피를 줄여 동일 공간에서 더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고, 한 번에 더 많은 수량의 내상을 운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들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내상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출 성형을 통해 내상의 구성품을 제조할 때, 언더컷(undercut)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내상의 구성품을 고속 및 박막 사출 성형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내상과 외상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1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2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1내상의 후판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2내상의 후판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A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제2내상의 후판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방향은 도 1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00)과, 내상(1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40)과, 내상(100)과 외상(140)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와, 압축기(C)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27)이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22, 23, 24)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파티션(15)은 저장실(20) 내부에 가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로 분할하는 제1 파티션(17)과, 하부 저장실(23, 24)에 세로로 결합되어 하부 저장실(23, 24)을 제1 저장실(23)과 제2 저장실(24)로 분할하는 제2 파티션(19)을 포함한다.
제1 파티션(17)과 제2 파티션(19)이 결합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파티션(15)은 저장실(20)을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 중 상부 저장실(22)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3, 24)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 24)은 전체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실(20)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실(22, 23, 24)은 상기의 구성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냉장실(22)과 냉동실(23, 24)은 각각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동실(23, 24)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는 제1도어 손잡이(32a) 또는 제2도어 손잡이(3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손잡이(32)를 통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22)은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에 의해 개폐되고,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가 폐쇄되었을 때,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바(35)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바(35)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35)는 내상(100)에 형성된 회전가이드(108)에 의해 냉장실 도어(31)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는 냉동실 도어 손잡이(34)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23, 24)을 개폐하는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31a, 33a)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은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도어(31, 33)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31b, 33b)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31b, 33b)는 각각의 도어(31, 33)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지지부(31b, 33b)는 별도의 구성으로 각각의 도어(31, 33)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도어(31, 33)의 배면 테두리에는 각각의 도어(31, 33)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1개스킷(31c, 33c)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개스킷(31c, 33c)은 각각의 도어(31, 33)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를 냉장실 도어(31)라 칭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장실 도어(31)는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의 우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31)는 제1도어(40) 및 제2도어(50)를 포함하는 이중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40)는 제1힌지(60)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냉장실(22)을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도어선반(31a)과, 선반지지부(31b)와, 제1개스킷(31c)은 제1도어(4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40)는 제1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선반(31a)에 접근하여 식품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41)는 제1도어(4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도어(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의 개구(4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도어(40)의 전방에 마련되며, 제1도어(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에 설치된 제2힌지(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도어(4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도어(50)는 제2힌지(70)가 본체(10)에 설치되어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개스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개스킷은 제2도어(50)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내상과 외상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1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2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내상(100)은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실(22)을 형성하는 제1내상(100a)과, 냉장실(22)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23, 24)을 형성하는 제2내상(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상(100a)과 제2내상(100b)은 형상만 일부 상이할 뿐, 동일한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100a)은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상(100a)은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은 별개의 체결 부재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은 각각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 각각은 4개의 테두리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판들(101, 102, 103, 104, 105)은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판(101)은 저장실(2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하판(102)은 저장실(22)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좌판(103)은 저장실(22)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우판(104)은 저장실(22)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후판(105)은 저장실(2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의 형태는 굴곡이 없이 편평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은 굴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은 각각 저장실(22)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 중에 서로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제1내상(100a)은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그보다 적은 개수의 파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판(101)과 제1우판(10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제1하판(102)과 제1좌판(10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제1상판(101)과 제1좌판(10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제1하판(102)과 제1우판(10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내상(100a)이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및 제1후판(10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더 적은 개수의 파트로 구성된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내상(100a)은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은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은 모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분할되어 구성되는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은 조립되어 제1내상(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후 가공 없이도 다양한 패턴(미도시)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즉, 저장실(20)의 용도별로 다른 패턴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이 모두 다른 패턴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냉장고를 선택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1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1내상(100a)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랜지(110)는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101)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35)가 냉장실 도어(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108)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좌판(103)과 제1우판(104)에는 엘이디(L, 도 1 참조)가 배치되는 램프 케이스(107)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좌판(103)과 제1우판(104)에는 저장용기(26)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레일(106)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후판(105)은 재료비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박막으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게이트(미도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제1후판(105)은 증발기(E)에서 낙하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홀(10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 제1후판(105)에는 조립을 위해 복수의 조립후크(10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상판(101), 제1하판(102), 제1좌판(103), 제1우판(104)은 4개의 테두리 면 중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테두리 면을 통해 서로 조립되기 때문에, 전면 플랜지(110)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테두리 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판(105)은 4개의 테두리 면 모두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상판(101)과 제1우판(104)의 조립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상판(101)의 우측면에는 복수의 조립후크(109a)가 형성되고, 제1상판(101)의 우측면에 조립되는 제1우판(104)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상판(101)의 우측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가 형성되고 제1우판(104)의 상부면에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상판(101)의 우측면에 복수의 조립홀(109b)이 형성되고 우측판(104)의 상부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하판(102)의 경우는 3개의 테두리 면의 하부 쪽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가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조립후크(109a)는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내상(100b)은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상(100b)은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은 별개의 체결 부재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 각각은 상호 결합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은 각각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 각각은 4개의 테두리들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판들(111, 112, 113, 114, 115)은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상판(111)은 저장실(2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하판(112)은 저장실(22)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좌판(113)은 저장실(22)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우판(114)은 저장실(22)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후판(115)은 저장실(2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의 형태는 굴곡이 없이 편평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은 굴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은 각각 저장실(23, 24)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 중에 서로 인접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제2내상(100b)은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그보다 적은 개수의 파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상판(111)과 제2우판(11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제2하판(112)과 제2좌판(11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제2상판(111)과 제2좌판(113)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제2하판(112)과 제2우판(114)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내상(100b)이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및 제2후판(115)의 5개의 파트가 아니라, 더 적은 개수의 파트로 구성된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내상(100b)은, 제1내상(100a)과 마찬가지로,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은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은 모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분할되어 구성되는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은 조립되어 제2내상(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후 가공 없이도 다양한 패턴(미도시)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즉, 저장실(20)의 용도별로 다른 패턴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이 모두 다른 패턴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냉장고를 선택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2내상(100b)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랜지(120)는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좌판(113)과 제2우판(114)에는 각각 저장용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레일(113a, 미도시)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2후판(115)은 재료비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박막으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게이트(미도시)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제2후판(115)은 증발기(E)에서 낙하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 제2후판(115)에는 조립을 위해 복수의 조립후크(11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상판(111), 제2하판(112), 제2좌판(113), 제2우판(114)은 4개의 테두리 면 중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테두리 면을 통해 서로 조립되기 때문에, 전면 플랜지(120)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테두리 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1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후판(115)은 4개의 테두리 면 모두에 복수의 조립후크(119a) 또는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상판(111)과 제2우판(114)의 조립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상판(111)의 우측면에는 복수의 조립후크(119a)가 형성되고, 제2상판(111)의 우측면에 조립되는 제2우판(114)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상판(111)의 우측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19a)가 형성되고 제2우판(114)의 상부면에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상판(111)의 우측면에 복수의 조립홀(119b)이 형성되고 제2우판(114)의 상부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1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판(112)의 경우는 3개의 테두리 면에 복수의 조립후크(119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1내상의 후판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2내상의 후판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1내상(100a)의 제1후판(105)과, 제2내상(100b)의 제2후판(115)은 각각 드레인 홀(105a, 115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내상(100a)의 제1후판(105)에 대해 설명하면, 제1후판(105)은 제1내상(100a) 내부의 물을 제1내상(100a)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1후판(105)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105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홀(105)은 제1내상(100a)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E)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제1내상(100a)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증발기(E)는 제1내상(100a)의 후방으로서, 제1후판(10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E)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드레인 홀(105a)은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제1후판(105)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후판(105)은 드레인 홀(105a)의 주변으로 이동한 물이 드레인 홀(105a)을 향해 흐르도록 드레인 홀(105a)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복수의 경사면(105b, 105c, 105d, 105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경사면(105b, 105c, 105d, 105e)은 드레인 홀(105a)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105b)과, 드레인 홀(105a)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105c)과, 드레인 홀(105a)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3경사면(105d)과 제4경사면(10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105b)의 아래에는 제1경사면(105b)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후판(105)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경사면(105b)과 언더컷 방지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제1경사면(105b)과 언더컷 방지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105f)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내상(100a)의 제2후판(115)에 대해 설명하면, 제2후판(115)은 제2내상(100b) 내부의 물을 제2내상(100b)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2후판(115)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홀(115)은 제2내상(100b)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E)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제2내상(100b)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증발기(E)는 제2내상(100b)의 후방으로서, 제2후판(11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E)에서 발생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드레인 홀(115a)은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제2후판(115)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내상(100b)은 좌우로 배치되는 제1저장실(23)과 제2저장실(2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참조)
제1저장실(23)과 제2저장실(24)의 내부에는 각각 증발기(E)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내상(100b)의 제2후판(115)은 한 쌍의 드레인 홀(115a, 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상(100b)의 제2후판(115)에 형성되는 한 쌍의 드레인 홀(115a, 115b)은 그 구조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드레인 홀(115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후판(115)은 드레인 홀(115a)의 주변으로 이동한 물이 드레인 홀(115a)을 향해 흐르도록 드레인 홀(115a)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복수의 경사면(131, 132, 133, 13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경사면(131, 132, 133, 134)은 드레인 홀(115a)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131)과, 드레인 홀(115a)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132)과, 드레인 홀(115a)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3경사면(133)과 제4경사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경사면(131)과 제2경사면(132)은 각각 전방 경사면(131)과 후방 경사면(13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경사면(131)의 아래에는 제1경사면(131)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후판(115)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13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경사면(131)과 언더컷 방지면(135) 사이에는 이격공간(14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격공간(141)에는 제1경사면(131)과 언더컷 방지면(135)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14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내상(100a)의 제1후판(105)에 마련되는 드레인 홀(105a)과, 복수의 경사면(105b, 105c, 105d, 105e)과, 언더컷 방지면(미도시) 및 연결 리브(105g)는, 제2내상(100b)의 제2후판(115)에 마련되는 드레인 홀(115a)과, 복수의 경사면(131, 132, 133, 134)과, 언더컷 방지면(135) 및 연결 리브(140)와 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내상(100b)의 제2후판(115)에 마련되는 드레인 홀(115a)과 그 주변부의 구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A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드레인 홀(115a)의 주변에는 드레인 홀(115a)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면 내지 제4경사면(131, 132, 133, 13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홀(115a)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경사면(131)의 아래에는 언더컷 방지면(135)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출 성형되는 제2후판(115)이 언더컷 방지면(135)을 포함함으로써 제2후판(115)의 사출 성형 시 발생하는 언더컷(undercut)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후판(115)을 박막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후판(115)을 다수의 게이트(G, 도 11 참조)를 통해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2후판(115)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2후판(115)을 사출 성형할 시, 언더컷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고속 및 박막으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일 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후 방향으로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거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후판(115)을 사출 성형할 때, 언더컷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제1금형(미도시)과 제2금형(미도시)에 의해 제2후판(115)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금형과 제2금형의 결합 및 분리 방향이 전후 방향이기 때문에, 제1경사면(13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다. 제1경사면(131)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기 때문이다. 사출 성형 과정에서, 제1금형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금형이 후방으로 이동한다고 할 때, 제1경사면으로 인해 제2금형의 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2후판(115)은 언더컷 방지면(135)을 포함함으로써 제1경사면(131)으로 인한 언더컷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아래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후판(115)의 외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 참조)
제2후판(115)의 외면을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135)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면,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1금형 및 제2금형에서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언더컷 방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더라도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1금형 및 제2금형에서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2후판(115)을 고속으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 제2후판(115)은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후판(115)은 고속 및 박막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2후판(115)의 고속 및 박막 사출 성형을 위해, 언더컷 방지면(135)의 두께는 제1경사면(13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언더컷 방지면(135)과 제1경사면(131) 사이에는 이격공간(141)이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과 제1경사면(131) 사이에 이격공간(141)이 형성됨으로써 언더컷 방지면(135)의 두께와 제1경사면(131)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과 제1경사면(131) 사이의 이격공간(141)에는 연결 리브(14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140)는 이격공간(141)에서 언더컷 방지면(135)과 제1경사면(1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리브(140)는 복수의 연결 리브(14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연결 리브(140)는 이격공간(14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리브(140)는, 얇은 두께로 인해 강도가 약한 제1경사면(131)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 리브(140)를 보강 리브(140)로 칭할 수 있다.
제2후판(11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드레인 홀(115a)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면(132)은, 드레인 홀(115a)과 인접한 제2경사면(132)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32a)는 드레인 홀(115a)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고, 드레인 홀(115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2a)는 함몰부(132a)의 둘레를 형성하고, 제2경사면(132)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리세스면(1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참조) 리세스면(132b)은 함몰부(132a)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면(132b)과 함몰부(132a)가 마련됨으로써, 제2후판(115)의 후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드레인 홀(115a)의 주변에 고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후판(115)의 후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은 경사각이 큰 리세스면(132b)에 의해 함몰부(132a)로 가이드될 수 있고, 함몰부(132a)로 가이드된 물은 드레인 홀(115a)을 통해 제2후판(11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132a)와 리세스면(132b)은 제2후판(115)의 물고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함몰부(132a)와 리세스면(132b)이 제2경사면(132)에만 마련되는 이유는 제2경사면(132)이 복수의 경사면(131, 132, 133, 134) 중 가장 짧게 마련되기 때문이다. 제2경사면(132)은 제1경사면(131)과 제3경사면(133) 및 제4경사면(134) 대비 짧게 마련되기 때문에 물을 충분히 가이드할 수 없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함몰부(132a)와 리세스면(132b)이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경사면(13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1경사면(13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언더컷 방지면(135)은 드레인 홀(115a)이 배치되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언더컷 방지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2후판(115)은 드레인 홀(115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드레인 홀(115a)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로 유입된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언더컷 방지면(135)은 제1부분(135a)과 제2부분(1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35a)은 좌방으로부터 우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고, 제2부분(135b)은 좌방으로부터 우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부분(135a)과 제2부분(135b)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부분(135a)은 제3경사면(133)과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부분(135b)은 제4경사면(134)과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후 방향으로는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언더컷 방지면(135)은 전후 방향으로는 편평하게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는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제2내상의 후판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리브(142)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2후판(115)은, 제2후판(115)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가이드 리브(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드레인 홀(115a)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로 유입된 물을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의 일 측으로부터 전 측을 거쳐 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142a)와, 드레인 홀(115a)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142c)와, 상기 제1가이드부(142a)와 상기 제2가이드부(142c)를 연결하는 연결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42a)와 제2가이드부(142b)는 각각 드레인 홀(115a)의 좌 측 또는 우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142b)는 드레인 홀(115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가이드 리브(14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는 폐루프를 형성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는 드레인 홀(115a)의 일 측으로부터 전 측을 거쳐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드레인 홀(115a)의 후 측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2)가 상기한 U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이유는, 제2후판(115)을 사출 성형할 시, 제1금형과 제2금형이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가이드 리브(142)가 드레인 홀(115a)의 후방에는 마련되지 않음으로써, 금형이 제2후판(115)의 후방으로 분리될 때, 가이드 리브(142)로 인한 언더컷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 저장실
30 : 도어
100 : 내상
100a : 제1내상
100b : 제2내상
111 : 제2상판
112 : 제2하판
113 : 제2좌판
114 : 제2우판
115 : 제2후판
115a : 드레인 홀
131 : 제1경사면
132 : 제2경사면
133 : 제3경사면
134 : 제4경사면
135 : 언더컷 방지면
140 : 연결 리브
141 : 이격공간
142 : 가이드 리브
140 : 외상
150 : 단열재

Claims (20)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어느 하나인 후판은,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을 상기 내상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과,
    상기 내상 내부의 물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아래에 상기 경사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후판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 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거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경사면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경사면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제1경사면의 아래에 배치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드레인 홀과 인접한 상기 제2경사면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리세스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상기 이격공간에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리브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리브는 상기 이격공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 배치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드레인 홀의 일 측으로부터 전 측을 거쳐 타 측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판들은 상기 저장실의 상, 하, 좌, 우, 후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판과, 하판과, 좌판과, 우판과, 상기 후판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냉장실을 형성하는 내상으로서,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 중 하나인 후판은,
    상기 후판의 물을 상기 후판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후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드레인 홀과,
    상기 후판 내부의 물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으로서, 상기 드레인 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드레인 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면과,
    상기 전방 경사면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전방 경사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후판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언더컷 방지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상기 전방 경사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편평하게 마련되거나 상기 전방 경사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방지면은,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경사면은, 상기 드레인 홀과 인접한 상기 후방 경사면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서, 상기 전방 경사면과 상기 언더컷 방지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0121294A 2021-09-10 2021-09-10 냉장고 KR20230038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94A KR20230038044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PCT/KR2022/012164 WO2023038310A1 (ko) 2021-09-10 2022-08-16 냉장고
US18/590,733 US20240200858A1 (en) 2021-09-10 2024-02-2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94A KR20230038044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44A true KR20230038044A (ko) 2023-03-17

Family

ID=855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94A KR20230038044A (ko) 2021-09-10 2021-09-10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200858A1 (ko)
KR (1) KR20230038044A (ko)
WO (1) WO20230383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580B2 (ja) * 1997-10-31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0444963B1 (ko) * 2002-06-28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결합장치 및 이를 갖춘 김치냉장고
KR101235196B1 (ko) * 2006-05-03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1904B1 (ko) * 2009-07-15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124111A (ko) * 2014-04-28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310A1 (ko) 2023-03-16
US20240200858A1 (en) 202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4201A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33635B1 (ko) 냉장고
US9964349B2 (en) Refrigerator
KR20200107390A (ko) 냉장고
EP2787312B1 (en) Refrigerator
US20090167130A1 (en) A dual drawer bottom mount freezer and mullion
US11821676B2 (en) Refrigerator
US20210095910A1 (en) Refrigerator
US20230258391A1 (en) Refrigerator
KR1018708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JPH08296957A (ja) 冷蔵庫の引き出し構造
JPH116683A (ja) 冷蔵庫の引き出し構造
KR20230038044A (ko) 냉장고
KR20230038046A (ko) 냉장고
KR20220085720A (ko) 냉장고
TWM312648U (en) Refrigerator
KR20230038043A (ko) 냉장고
KR20230038034A (ko) 냉장고
US20230079270A1 (en) Refrigerator
US20230204275A1 (en) Refrigerator
JPH10205998A (ja) 冷蔵庫
US20210247112A1 (en) Refrigerator
KR20220027422A (ko) 냉장고
KR20240109532A (ko) 냉장고 발포 장치
KR20230038071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