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111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111A
KR20150124111A KR1020140050475A KR20140050475A KR20150124111A KR 20150124111 A KR20150124111 A KR 20150124111A KR 1020140050475 A KR1020140050475 A KR 1020140050475A KR 20140050475 A KR20140050475 A KR 20140050475A KR 20150124111 A KR20150124111 A KR 2015012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hose
drain pan
connecting me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배
윤권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111A/ko
Publication of KR2015012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호스의 연결구조를 개선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상을 갖는 본체, 내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내상에 마련되는 드레인 팬,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 드레인 팬과 드레인 호스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드레인 팬에 안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내상의 내측에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드레인 팬과 드레인 호스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호스의 연결구조를 개선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냉장고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과,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장실을 포함한다.
냉동실 및 냉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냉매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순환팬을 통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하여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냉매사이클을 수행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증발기는 주변 공기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는 주변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응축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드레인 팬에 수집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기계실로 이동하여 증발될 수 있다.
드레인 팬은 증발기가 설치되는 내상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호스는 드레인 팬의 일 측에 연결되어 수집된 응축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드레인 호스는 내상의 외측에서 조립되고, 그를 위해 결합물질을 필요로 한다.
드레인 호스가 위치하는 내상의 외측에는 단열재가 발포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호스의 내부로 단열재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 호스와 드레인 팬의 결합부분에는 다수의 침투방지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드레인 호스를 내상의 외측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오조립이 발생할 수 있고, 응축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레인 팬과 드레인 호스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내상의 내측에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작업 공수가 축소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을 갖는 본체,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기 내상에 마련되는 드레인 팬,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 상기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호스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팬에 안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드레인 호스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은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고, 상기 관통부가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마련된 드레인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드레인 홀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상에서 상기 외상을 향하여 상기 드레인 팬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의 사이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기계실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물받이 통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물받이 통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의 제조방법은 내상 및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상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연결부재를 상기 내상에 결합하고, 상기 내상을 관통한 상기 연결부재에 드레인 호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상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내상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가 위치한 상기 내부공간에 단열재 발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연결부재에 압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단열재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내상의 내측에서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드레인 팬과 드레인 호스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의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결합재료를 삭제할 수 있고, 작업 공수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레인 팬과 연결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연결부재와 드레인 호스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드레인 팬(25), 드레인 호스(200) 등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를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냉장고임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3, 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상(20)과, 내상(20)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20)과 외상(30)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부공간(70)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20)은 저장실(3, 5)을 형성할 수 있고, 수지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외상(30)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고, 미감과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상(20)과 외상(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공간(70)에는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는 발포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는 내상(20)과 외상(30)이 결합된 후 형성된 내부공간(70)에 우레탄 원액을 주입하고 발포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3, 5)은 격벽(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4)으로 구획된 저장실(3, 5)은 저장물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3)과 저장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5)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3)과 냉동실(5)은 사용자가 식품을 투입 또는 인출하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저장실(3, 5)의 전면 개구에는 저장실(3, 5)을 차폐시키는 도어(40, 4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40, 42)는 냉장실(3)과 냉동실(5)의 전면에 각각 마련되는 냉장실도어(40)와 냉동실도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도어(40)는 한 쌍의 도어로 마련되고, 냉동실도어(42)는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도어(40) 및 냉동실도어(42)는 냉장실(3) 및 냉동실(5)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도어(42)는 냉동실(5)을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도어(40)와 냉동실도어(4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1, 43)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물의 저장이 용이하도록 냉장실(3)과 냉동실(5)을 다단으로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4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도어(40)의 내측에는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포켓(45)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54)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54)를 통해 들어온 냉기는 저장물과 열교환하여 저장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냉기를 대류시키기 위해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순환팬(52)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실(3, 5)의 일 측에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내상(20)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압축기(60) 등과 연결되어 냉매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축기(60)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계실(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50)는 주변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주변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열교환과정에서 주변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증발기(50) 표면에 맺힐 수 있다. 냉장고(1)를 이러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장고(1)는 증발기(5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 팬(25)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25)은 내상(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25)은 증발기(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증발기(50)의 표면을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드레인 팬(25)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200)는 내부공간(70)에 위치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200)는 내부공간(7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200)를 통해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기계실(7)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호스(200)에 의해 기계실(7)로 안내된 응축수는 기계실(7)의 내부에 마련되는 물받이 통(62)에 수집될 수 있다. 드레인 호스(200)는 물받이 통(62)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 통(62)에 수집된 응축수는 압축기(60) 및 응축기(미도시)의 열로 증발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드레인 팬(25)과 드레인 호스(2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드레인 팬(25)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00)는 내상(2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70)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내부공간(70)을 갖도록 내상(20)과 외상(30)을 마련한다. 내상(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도록 연결부재(100)를 내상(20)에 결합한다. 내부공간(70)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연결부재(100)에 드레인 호스(200)를 결합한다. 연결부재(100)와 결합한 드레인 호스(200)를 기계실(7)로 연장하여 설치한다. 그 후, 내부공간(70)에 단열재를 발포하여 드레인 호스(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드레인 팬(25), 드레인 호스(200) 및 연결부재(100)의 결합 및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증발기(50) 등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내상(20)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드레인 팬(25)과 연결부재(1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내상(20)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드레인 팬(25)은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팬(25)은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27)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25)은 드레인 홀(27)을 통해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25)은 연결부재(100)가 안착될 수 있는 체결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9)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9)는 드레인 홀(27)과 인접하도록 드레인 팬(25)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00)는 드레인 팬(25)에 안착되는 안착부(110)와, 안착부(110)와 연결되는 관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체결부(29)와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29)에 안착부(110)가 안착되어 드레인 팬(25)은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부(120)는 드레인 홀(27)을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관통부(120)는 드레인 홀(27)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0)는 내상(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하여 결합한다. 즉, 관통부(120)는 드레인 홀(27)을 관통하여 내부공간(7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부공간(70)으로 연장된 관통부(120)는 드레인 호스(2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연결부재(100)와 드레인 호스(200)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내상(20)의 외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연결부재(100)는 드레인 팬(25)에 고정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후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125)는 관통부(120)에 마련되어 드레인 홀(27)을 관통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00)는 후크(125)로 인해 수직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고, 함몰된 체결부(29)에 수용되어 수평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20)의 외측은 걸림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걸림부(28)는 드레인 홀(27)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28)는 후크(125)를 지지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0)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연결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130)에는 드레인 호스(200)가 압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드레인 호스(200)는 연결부재(100)와 결합하는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30)가 연결홀(130)에 압입되고, 내부공간(70)에 단열재가 발포되어 드레인 호스(200)와 연결부재(100)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단열재가 드레인 호스(2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돌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돌기(235)는 결합부(230)에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격된 복수의 차단돌기(235)는 단열재의 침투를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 내상 25 : 드레인 팬
30 : 외상 50 : 증발기
60 : 압축기 70 : 내부공간
100 : 연결부재 125 : 후크
200 : 드레인 호스 235 : 차단돌기

Claims (15)

  1. 내상을 갖는 본체;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기 내상에 마련되는 드레인 팬;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드레인 호스;
    상기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호스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드레인 팬에 안착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드레인 호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은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고, 상기 관통부가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마련된 드레인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드레인 홀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상에서 상기 외상을 향하여 상기 드레인 팬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의 사이에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한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기계실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마련되는 물받이 통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물받이 통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내상 및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상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도록, 연결부재를 상기 내상에 결합하고,
    상기 내상을 관통한 상기 연결부재에 드레인 호스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상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장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내상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가 위치한 상기 내부공간에 단열재 발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를 상기 연결부재에 압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단열재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20140050475A 2014-04-28 2014-04-2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20150124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75A KR20150124111A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75A KR20150124111A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11A true KR20150124111A (ko) 2015-11-05

Family

ID=5460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75A KR20150124111A (ko) 2014-04-28 2014-04-28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1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81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173107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3038310A1 (ko) * 2021-09-10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81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173107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3038310A1 (ko) * 2021-09-10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1735C2 (ru) Бытовой холодильник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EP3864355B1 (en) Refrigerator
CN103975209B (zh) 冷藏库
KR20140047360A (ko) 도어가스켓의 응결 방지용 냉장고
WO2009008613A2 (en) Refrigerator
KR101643641B1 (ko) 냉장고
US20080078197A1 (en) Refrigerator with cooling chamber-connecting drain pipe
KR2015012411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2622740B1 (ko) 냉장고
KR2017011686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KR19980014956U (ko) 냉장고
KR20160036401A (ko) 업소용 냉장고
CN106196821B (zh) 制冷器具
KR100750262B1 (ko) 냉각부품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3-도어 타입의 냉장고
RU188653U1 (ru) Холодильник
JP2005257087A (ja) 冷蔵庫
US10161668B2 (en) Refrigerator
EP3945270A1 (en) No-frost refrigerator appliance
RU188652U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0651308B1 (ko) 냉장고
KR20210089551A (ko) 냉장고
JPH1144479A (ja) 冷蔵庫
KR20210089550A (ko) 냉장고
JP6460620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