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72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720A
KR20220085720A KR1020210174451A KR20210174451A KR20220085720A KR 20220085720 A KR20220085720 A KR 20220085720A KR 1020210174451 A KR1020210174451 A KR 1020210174451A KR 20210174451 A KR20210174451 A KR 20210174451A KR 20220085720 A KR20220085720 A KR 2022008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ed
inner box
refrigerator
refrigerating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주현태
남정만
김중호
강용현
강헌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1907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15854A4/en
Priority to PCT/KR2021/018890 priority patent/WO2022131721A1/ko
Priority to CN202180074345.XA priority patent/CN116438417A/zh
Publication of KR2022008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720A/ko
Priority to US18/136,146 priority patent/US202302583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은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중 복수개의 판에는 전면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상은 상기 전면 플랜지에 결합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조립식 내상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의 본체는 내상과 외상이 결합되어 마련된다. 내상은 저장실을 형성하며, 외상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한다.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배치된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상은 수지 재질의 판재(sheet)를 가열한 후, 늘어진 판재를 금형 위에 놓고, 금형 반대편에서 공기를 빨아들여 그 흡입력에 의해 가열된 판재가 금형 위를 덥거나 금형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는 진공 성형 방식으로 형성한다.
진공 성형 방식으로 형성된 내상은 사용 가능한 재질이 수지 재질에 한정된다. 진공 성형 방식으로 내상을 가공한 후 금속 판재를 내상의 내부에 덧붙여 가공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도, 내상의 내측에 금속 판재의 접합이 가능해야 하므로, 접착 가능한 재질의 종류, 두께 및 하중 등의 제약을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이 분할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적재/보관 시 전체 부피를 줄여 동일 공간에서 더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고, 한번에 더 많은 수량을 운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은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중 복수개의 판에는 전면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상은 상기 전면 플랜지에 결합된다.
상기 상판 및 하판은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조립되도록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상기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후면 테두리에 상기 후판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판은 사면의 테두리에 상기 상판 및 하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우측판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우측판이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좌측판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하판과 상기 좌측판이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좌측판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고, 상기 하판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우측판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및 하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를 상기 후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후판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일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힌지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후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상기 상판이 힌지 조립되는 측면과 반대쪽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힌지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후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후판과 후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내상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서로 조립될 때 조립되는 양 면 중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타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홈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인접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상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서로 조립될 때 조립되는 양 면에 의해 상기 단열재가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단열재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 저장부는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발포되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침투되는 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재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판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기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 설치부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상기 제2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 경계 부분의 단열두께 차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내상에는 상기 제1내상의 하부에서 상기 제2내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패널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패널은 상기 외상과 상기 제2내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패널과 상기 외상 사이 및 상기 연장패널과 상기 제2내상 사이에 모두 상기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재가 통과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저장용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레일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엘이디가 거치되는 케이스 램프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증발기가 고정되는 증발기 고정구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내상에는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어 물류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한번에 많은 수량을 운송할 수 있어 운반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함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2 도어 중 하나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의 전면 플랜지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의 전면 플랜지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하부면에 회전가이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우측판의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측판이 조립되었을 때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좌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좌측판의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좌측판이 조립되었을 때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ㄱ"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판 및 우측판이 "ㄴ"자 형상으로 조립된 하판 및 좌측판과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후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과 제2내상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에 연장패널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패널이 제1내상의 우측판에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우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힌지축이 우측판의 힌지축 수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이 우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좌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우측판이 힌지 조립되고, 상판과 좌측판이 힌지 조립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이 후크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함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2 도어 중 하나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00)과, 내상(1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80)과, 내상(100)과 외상(180)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와, 압축기(C)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기계실(27)이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미도시)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0)의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25) 및 저장용기(26)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파티션(15)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22, 23, 24)로 분할될 수 있으며, 파티션(15)은 저장실(20) 내부에 가로로 결합되어 저장실(20)을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로 분할하는 제1 파티션(17)과, 하부 저장실(23, 24)에 세로로 결합되어 하부 저장실(23, 24)을 제1 저장실(23)과 제2 저장실(24)로 분할하는 제2 파티션(19)을 포함한다.
제1 파티션(17)과 제2 파티션(19)이 결합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파티션(15)은 저장실(20)을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저장실(22)과 하부 저장실(23, 24) 중 상부 저장실(22)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23, 24)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 24)은 전체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1 저장실(23)은 냉동실로 사용되고 제2 저장실(24)은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실(20)의 분할은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각각의 저장실(22, 23, 24)은 상기의 구성과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냉장실(22)과 냉동실(23, 24)은 각각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동실(23, 24)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는 제1도어 손잡이(32a) 또는 제2도어 손잡이(32b)를 포함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손잡이(32)를 통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22)은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에 의해 개폐되고,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가 폐쇄되었을 때,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밀폐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바(35)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바(35)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35)는 내상(100)에 형성된 회전가이드(109)에 의해 냉장실 도어(31)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는 냉동실 도어 손잡이(34)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23, 24)을 개폐하는 도어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와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31a. 33a)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은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의 도어선반(31a. 33a)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도어(31, 33)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31b, 33b)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31b, 33b)는 각각의 도어(31, 33)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지지부(31b, 33b)는 별도의 구성으로 각각의 도어(31, 33)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도어(31, 33)의 배면 테두리에는 각각의 도어(31, 33)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제1개스킷(31c, 33c)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개스킷(31c, 33c)은 각각의 도어(31, 33)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를 냉장실 도어(31)라 칭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장실 도어(31)는 도면의 좌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의 우측에 배치된 냉장실 도어(31)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냉동실 도어(33)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31)는 제1도어(40) 및 제2도어(50)를 포함하는 이중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40)는 제1힌지(60)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냉장실(22)을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도어선반(31a)과, 선반지지부(31b)와, 제1개스킷(31c)은 제1도어(4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40)는 제1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선반(31a)에 접근하여 식품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41)는 제1도어(4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도어(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의 개구(4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도어(40)의 전방에 마련되며, 제1도어(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에 설치된 제2힌지(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도어(4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도어(50)는 제2힌지(70)가 본체(10)에 설치되어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2도어(50)는 제1도어(40)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2개스킷(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개스킷은 제2도어(50)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의 전면 플랜지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의 전면 플랜지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100)은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실(22)을 형성하는 제1내상(160)과, 냉장실(22)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23, 24)을 형성하는 제2내상(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은 형상은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지만,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내상(16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내상(160)은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은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은 모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분할되어 구성되는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은 조립되어 제1내상(1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후 가공 없이도 다양한 패턴(P)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다양한 패턴(P)은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패턴(P)은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즉, 저장실(20)의 용도별로 다른 패턴(P)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이 모두 다른 패턴(P)이나 다른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냉장고를 선택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 22 참조)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F)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은 모두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1내상(16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플랜지(F)는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플랜지(F)는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모두의 각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중 일부에만 전면 플랜지(F)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의 경계면에서는 전면 플랜지(F)가 제1내상(160) 또는 제2내상(17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의 경계면을 형성하는 제1내상(160)의 하판(120)과 제2내상(170)의 상판 중 제1내상(160)의 하판(120)에만 전면 플랜지(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내상(160)의 하판(120)에 형성된 전면 플랜지(F)에는 제2내상(170)의 상판에 형성될 전면 플랜지(F')까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내상(160)의 하판(120)과 제2내상(170)의 상판 중 제1내상(160)의 하판(120)에만 전면 플랜지(F)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내상(160)의 하판(120)과 제2내상(170)의 상판 중 제2내상(170)의 상판에만 전면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랜지(F)는 제1내상(160)의 하판(120)과 제2내상(170)의 상판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참조)
내상(100)과 외상(180)의 결합 시 외상(180)은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F)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플랜지(F)는 내상(100)의 끝단으로부터 내상(100)에서 외상(18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F)에는 핫파이프(H)가 안착될 수 있다. 냉장고가 작동하게 되면,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80)으로 저장실(20) 내부의 냉기가 유입되어 외상(180)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외상(180)의 외부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110)에는 외상(140)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핫파이프(H)가 안착될 수 있다. 핫파이프(H)의 안착을 위해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F)에는 안착홈(19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안착홈(190)은 내상(100) 중 전면 플랜지(F)가 형성되는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90)은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F) 중에서 상판(110), 좌측판(130), 우측판(140)의 전면 플랜지(110)에 형성되는 제1안착홈(1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홈(191)은 제1안착홈(191)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핫파이프(H)가 외상에 밀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돌출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93)는 사출 성형되는 내상(1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안착홈(190)은 내상(100)의 전면 플랜지(F) 중에서 하판(120)의 전면 플랜지(F)에 형성되는 제2안착홈(19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30)의 전면 플랜지(F)에 형성되는 제1안착홈(191) 내부에는 핫파이프(H)가 안착될 수 있다. 제1안착홈(191)은 제1안착홈(191) 내부의 바닥면에서 내상(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193)는 핫파이프(H)가 내상(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상(180)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핫파이프(H)는 복수개의 돌출부(123)에 의해 외상(180)과 밀착되어 핫파이프(H) 내부로 흐르는 고온의 냉매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외상(18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감소되어 외상(180)의 외부면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내상(100)의 상판(110) 및 우측판(140)의 전면 플랜지(F)에는 좌측판(130)의 전면 플랜지(F)에 형성되는 제1안착홈(191)과 복수개의 돌출부(193)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전면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핫파이프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100)의 하판(120) 전면에는 전면 플랜지(F)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120)의 전면 플랜지(F)에는 제2안착홈(1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홈(195) 내부에는 핫파이프(H)가 안착될 수 있다. 제2안착홈(195) 내부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리브(19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홈(195)에 핫파이프(H)가 안착되면 중간 앞판(13)이 전면 플랜지(F)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97)는 제2안착홈(195) 내부의 바닥면에 내상(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97)는 제2안착홈(195) 내부의 바닥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197)는 핫파이프(H)가 내상(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상(180)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핫파이프(H)는 복수개의 리브(197)에 의해 외상(180)과 밀착되어 핫파이프(H) 내부로 흐르는 고온의 냉매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외상(18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감소되어 외상(180)의 외부면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하부면에 회전가이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35)가 냉장실 도어(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109)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 참조)
좌측판(130)과 우측판(140)에는 저장용기(26)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레일(105)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좌측판(130)과 우측판(140)에는 엘이디(L)가 기치되는 케이스 램프(106)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1 참조)
후판(150)에는 증발기(E)가 설치되는 증발기 설치부(15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증발기 설치부(153)의 전면에는 증발기(E)를 고정시키는 증발기 고정구(107)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증발기 설치부(153)의 후면에는 나사(미도시)가 고정되는 나사 고정구(108)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후판(150)는 재료비의 경쟁력을 갖기 위해 박막으로 사출 성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수의 게이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후판(150)은 증발기(E)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재(155)는 후판(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배수부재(155)의 형상에 의해 배수부재(155) 부분에는 게이트를 위치시킬 수 없어 배수부재(155)를 후판(150)에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일 수 있다.
상판(110)은 좌측판(130)과, 우측판(140) 및 후판(150)이 조립되도록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예를 들면, 조립후크일 수 있다. 즉, 상판(110)은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립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상판(110)의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복수의 제1돌출부(11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110)의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제1돌출부(111)와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120)은 좌측판(130)과, 우측판(140) 및 후판(150)이 조립되도록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예를 들면, 조립후크일 수 있다. 즉, 하판(120)은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립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하판(120)의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복수의 제1돌출부(12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판(120)의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제1돌출부(121)와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 참조)
좌측판(130)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상판(110) 및 하판(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 121)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오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는 예를 틀면, 조립후크가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일 수 있다. 즉, 좌측판(130)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좌측판(130)의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복수의 제1오목부(13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좌측판(130)의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제1오목부(131)와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좌측판(130)이 조립되는 상판(110) 및 하판(120)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판(130)은 후면 테두리에 후판(150)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예를 들면, 조립후크일 수 있다. 즉, 좌측판(130)은 후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립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좌측판(130)의 후면 테두리에 복수의 제2돌출부(13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좌측판(130)의 후면 테두리에 제2돌출부(133)와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좌측판(130)이 조립되는 후판(150)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 참조)
우측판(140)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상판(110) 및 하판(1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 121)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오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는 예를 틀면, 조립후크가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일 수 있다. 즉, 우측판(140)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우측판(140)의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복수의 제1오목부(14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우측판(140)의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제1오목부(141)와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우측판(140)이 조립되는 상판(110) 및 하판(120)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우측판(140)은 후면 테두리에 후판(150)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예를 들면, 조립후크일 수 있다. 즉, 우측판(140)은 후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립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우측판(140)의 후면 테두리에 복수의 제2돌출부(14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우측판(140)의 후면 테두리에 제2돌출부(143)와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우측판(140)이 조립되는 후판(150)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후판(150)은 사면의 테두리에 상판(110) 및 하판(120)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 121)와, 좌측판(130) 및 우측판(140)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133, 143)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오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는 예를 틀면, 조립후크가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일 수 있다. 즉, 후판(150)은 사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후판(150)의 사면 테두리에 복수의 제2오목부(15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판(150)의 사면 테두리에 제2오목부(151)와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후판(150)이 조립되는 상판(110) 및 하판(120)의 후면 테두리와 좌측판(130) 및 우측판(140)의 후면 테두리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우측판의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우측판이 조립되었을 때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를 우측판(140)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오목부(141)에 조립하여 상판(110)과 우측판(140)을 조립할 수 있다. 상판(110)과 우측판(140)은 "ㄱ"자 형상을 갖도록 조립되고, "ㄱ"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1내상(160)이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1내상(160)을 "ㄱ"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를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면 적재/보관 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시에도 한번에 더 많은 수량을 운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판(110)과 우측판(140)을 조립하기 전에 각각 평판 형상인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도 있다.
제1내상(160)은 상판(110)의 제1돌출부(111)와 우측판(140)의 제1오목부(141)에 의해 상판(110)과 우측판(14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단열재 저장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 저장부(101)는 내상(100)과 외상(180) 사이에 발포되는 단열재(11)의 일부가 저장실(20) 내부로 침투되는 경로에 위치하여 단열재(11)가 저장실(2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단열재 저장부(101)가 상판(110)과 우측판(140)이 조립될 때 제1돌출부(111)와 제1오목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열재 저장부(101)는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후판(150)이 조립될 때 조립되는 양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좌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좌측판의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좌측판이 조립되었을 때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0)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21)를 좌측판(130)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오목부(131)에 조립하여 하판(120)과 좌측판(130)을 조립할 수 있다. 하판(120)과 좌측판(130)은 "ㄴ"자 형상을 갖도록 조립되고, "ㄴ"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1내상(160)이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제1내상(160)을 "ㄴ"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를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면 적재/보관 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수량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시에도 한번에 더 많은 수량을 운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판(110)과 좌측판(130)을 조립하기 전에 각각 평판 형상인 상태로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도 있다.
하판(120)은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조립될 때, 좌측판(130)과 조립되는 하판(120)의 좌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판(130)은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조립될 때, 하판(120)과 조립되는 좌측판(130)의 하부 우측면에 돌출부(125)가 수용되도록 홈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돌출부(125)가 하판(120)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홈부(135)가 좌측판(130)의 하부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판(120)과 우측판(140)이 조립될 때는 하판(120)의 우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우측판(140)의 하부 좌측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110)과 우측판(140)이 조립될 때는 상판(110)의 우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우측판(140)의 상부 좌측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110)과 좌측판(130)이 조립될 때는 상판(110)의 좌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좌측판(130)의 상부 우측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내상(160)은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조립될 때를 예로 들면, 돌출부(125)와 홈부(135)를 포함하는 인접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접면(103)은 한 변을 공유하지만, 같은 평면에 놓여 있지 않은 두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내상(160)이 인접면(103)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내상(160)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조립될 때도 상판(110)과 우측판(140)이 조립될 때와 마찬가지로, 상판(120)의 제1돌출부(121)와 좌측판(130)의 제1오목부(131)에 의해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단열재 저장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ㄱ"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판 및 우측판이 "ㄴ"자 형상으로 조립된 하판 및 좌측판과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후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과 제2내상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상에 연장패널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판(110) 및 우측판(140)과 "ㄴ"자 형상으로 조립된 하판(120) 및 좌측판(130)은 상판(110)이 좌측판(130)과 조립되고, 하판(120)이 우측판(140)과 조립될 수 있다. 상판(110)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를 좌측판(130)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오목부(131)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하판(120)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21)를 우측판(140)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오목부(141)에 조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은 조립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은 조립된 상태에서 후판(150)이 조립될 수 있다. 상판(110) 및 하판(120)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111, 121)는 후판(150)의 상부면 및 하부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2오목부(151)에 조립될 수 있다. 좌측판(130) 및 우측판(140)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133, 143)는 후판(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제2오목부(151)에 조립될 수 있다. 후판(150)의 후면에는 배수부재(15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 및 후판(150)이 모두 조립되어 제1내상(160)이 모두 조립된 후에는 제2내상(170)도 제1내상(160)과 동일하게 조립한 후,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을 조립할 수 있다.
냉동실(23, 24)을 형성하는 제2내상(170)의 양 측면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2)은 냉장실(22)을 형성하는 제1내상(160)의 양 측면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1)보다 클 수 있다. 냉동실(23, 24)의 경우 냉장실(22)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다 두꺼운 단열두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열두께가 차이 나게 되면,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의 경계 부분, 즉 제1파티션(17)이 위치하는 중간격 부분 및 제2내상(170)의 상부 부분과 인접한 외상(180)에는 수축 및 굴곡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2내상(170)의 양 측면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2)과 제1내상(160)의 양 측면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1)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내상(160)에는 제1내상(160)의 하부에서 제2내상(17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패널(16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패널(161)은 제1내상(160)의 하부로부터 제2내상(170)의 상부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연장패널(161)이 제1내상(160)의 하부에서 제2내상(17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장패널은 제2내상(170)의 상부에서 제1내상(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패널은 제2내상(170)의 상부로부터 제1내상(160)의 하부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패널(161)에 의해 제1내상(160)과 제2내상(170)의 경계 부분에서 제1내상(160)의 양 측면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1)과 연장패널(161)과 외상(180) 사이의 간격(D3)의 차이는 최소화 될 수 있다. 연장패널(161)은 연장패널(161)과 외상(180) 사이 및 연장패널(161)과 제2내상(170)의 양 측면 사이에 모두 단열재(11)가 배치될 수 있도록 단열재(11)가 통과되는 복수의 홀(1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패널이 제1내상의 우측판에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패널(165)은 복수의 홀(167)을 포함하는 그물망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연장패널(165)이 우측판(140)에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판(120) 및 좌측판(130)에도 연장패널(165)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우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힌지축이 우측판의 힌지축 수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이 우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0)과 우측판(140)은 힌지 조립될 수 있다. 즉, 하판(120)의 우측면과 우측판(140)의 하면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판(120)의 우측면 테두리에는 힌지축(123)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판(140)의 하면 테두리에는 힌지축(12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 수용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하판(120)의 우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하판(120)과 동일하게 복수의 제1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판(140)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우측판(140)과 동일하게 복수의 제1오목부(141)와 복수의 제2오목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좌측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좌측판(130)은 힌지 조립될 수 있다. 즉, 상판(110)의 좌측면과 좌측판(130)의 상면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판(110)의 좌측면 테두리에는 힌지축(113)이 형성될 수 있다. 좌측판(130)의 상면 테두리에는 힌지축(11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 수용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의 좌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상판(110)과 동일하게 복수의 제1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판(130)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좌측판(130)과 동일하게 복수의 제1오목부(131)와 복수의 제2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과 우측판이 힌지 조립되고, 상판과 좌측판이 힌지 조립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이 후크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우측판(140)은 후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하판(120)과 좌측판(130)은 후크 조립될 수 있다. 상판(110)과 우측판(140)이 후크 조립되고, 하판(120)과 좌측판(130)이 후크 조립되는 구성은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판(110), 하판(120), 좌측판(130), 우측판(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후판(150)이 조립되는 구성은 도 2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 상에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 타입의 냉장고를 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장실과 냉동실이 상하로 배치되어 각각 하나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TMF(Top Mounted Freezer)나 BMF(Bottom Mounted Freezer) 타입의 냉장고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SBS(Side By Side) 타입의 냉장고나 저장실이 1개인 1도어 냉장고의 내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단열재
13 : 중간 앞판 15 : 파티션
17 : 제1파티션 19 : 제2파티션
20 : 저장실 22 : 냉장실(상부 저장실)
23 : 제1저장실(냉동실, 하부 저장실)
24 : 제2저장실(냉동실, 하부 저장실)
25 : 선반
26 : 저장용기 27 : 기계실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2 : 냉장실 도어 손잡이 32a : 제1도어 손잡이
32b : 제2도어 손잡이 33 : 냉동실 도어
34 : 냉동실 도어 손잡이
31a, 33a : 도어선반 31b, 33b : 선반지지부
31c, 33c : 제1개스킷 35 : 회전바
40 : 제1도어 41 : 개구
50 : 제2도어
60 : 제1힌지 70 : 제2힌지
100 : 내상 101 : 단열재 저장부
103 : 인접면 105 : 레일
106 : 케이스 램프 107 : 증발기 고정구
108 : 나사 고정구 109 : 회전가이드
110 : 상판 111 : 제1조립후크
113 : 힌지축
120 : 하판 121 : 제1조립후크
123 : 힌지축 125 : 돌출부
130 : 좌측판 131 : 제1조립홀
133 : 제2조립후크 135 : 홈부
139 : 힌지축 수용부
140 : 우측판 141 : 제1조립홀
143 : 제2조립후크 149 : 힌지축 수용부
150 : 후판 151 : 제2조립홀
153 : 증발기 설치부 155 : 배수부재
160 : 제1내상 170 : 제2내상
161, 165 : 연장패널 163, 167 : 홀
180 : 외상 190 : 안착홈
191 : 제1안착홈 193 : 돌출부
195 : 제2안착홈 197 : 리브
C : 압축기 E : 증발기
L : 엘이디 P : 패턴
F, F' : 전면 플랜지

Claims (23)

  1. 저장실을 형성하고, 각각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판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들은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 중 복수개의 판에는 전면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상은 상기 전면 플랜지에 결합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은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조립되도록 전면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면 테두리 및 하면 테두리에 상기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오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후면 테두리에 상기 후판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은 사면의 테두리에 상기 상판 및 하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오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우측판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상판과 상기 우측판이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좌측판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하판과 상기 좌측판이 조립된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보관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좌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좌측판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고, 상기 하판의 우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를 상기 우측판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이 조립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의 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를 상기 후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오목부에 조립하여 상기 후판이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에 조립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일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힌지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후크 조립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기 상판이 힌지 조립되는 측면과 반대쪽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힌지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의 측면은 상기 좌측판 또는 상기 우측판과 후크 조립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및 우측판은 상기 후판과 후크 조립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서로 조립될 때 조립되는 양 면 중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타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홈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인접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이 서로 조립될 때 조립되는 양 면에 의해 상기 단열재가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단열재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 저장부는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발포되는 상기 단열재의 일부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침투되는 경로에 위치하여 상기 단열재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기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 설치부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16.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기 하판, 상기 좌측판, 상기 우측판 및 후판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1내상과 상기 제2내상 경계 부분의 단열두께 차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내상에는 상기 제1내상의 하부에서 상기 제2내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패널이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패널은 상기 외상과 상기 제2내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패널과 상기 외상 사이 및 상기 연장패널과 상기 제2내상 사이에 모두 상기 단열재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재가 통과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저장용기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되는 레일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20.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엘이디가 거치되는 케이스 램프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21.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증발기가 고정되는 증발기 고정구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22.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상에는 나사가 고정되는 나사 고정구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23. 상판, 하판, 좌측판, 우측판 및 후판이 분할되어 구성되고,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1내상과,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2내상을 포함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장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1내상에는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냉장실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냉장고.
KR1020210174451A 2020-12-15 2021-12-08 냉장고 KR20220085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907025.7A EP4215854A4 (en) 2020-12-15 2021-12-13 REFRIGERATOR
PCT/KR2021/018890 WO2022131721A1 (ko) 2020-12-15 2021-12-13 냉장고
CN202180074345.XA CN116438417A (zh) 2020-12-15 2021-12-13 冰箱
US18/136,146 US20230258391A1 (en) 2020-12-15 2023-04-1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5230 2020-12-15
KR1020200175230 2020-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720A true KR20220085720A (ko) 2022-06-22

Family

ID=8221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451A KR20220085720A (ko) 2020-12-15 2021-12-0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9357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008032B2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KR102627719B1 (ko) 냉장고
EP2787312B1 (en) Refrigerator
KR200459216Y1 (ko) 냉장고
US20230258391A1 (en) Refrigerator
KR1018708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US20190178555A1 (en) Modular flipper mullion receiver
JP2001147072A (ja) 電気冷蔵庫
KR20220085720A (ko) 냉장고
JPH116683A (ja) 冷蔵庫の引き出し構造
JPH10259986A (ja) 冷蔵庫
KR20230038043A (ko) 냉장고
US11747074B2 (en) Heater in a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
KR20230038034A (ko) 냉장고
KR20230038046A (ko) 냉장고
KR20230038044A (ko) 냉장고
CN113906265A (zh) 遮蔽装置及具有该遮蔽装置的冰箱
US20230235945A1 (en) Refrigerator
KR20230115794A (ko) 냉장고
US20240191929A1 (en) Refrigerator
US20230079270A1 (en) Refrigerator
KR20230038071A (ko) 냉장고
KR20230115795A (ko) 냉장고
US20220341648A1 (en) Variable climate zone compar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