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985A -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985A
KR20230037985A KR1020210121165A KR20210121165A KR20230037985A KR 20230037985 A KR20230037985 A KR 20230037985A KR 1020210121165 A KR1020210121165 A KR 1020210121165A KR 20210121165 A KR20210121165 A KR 20210121165A KR 20230037985 A KR20230037985 A KR 2023003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unit
base
work tabl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484B1 (ko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84B1/ko
Priority to TW111126651A priority patent/TWI829244B/zh
Priority to CN202210920820.7A priority patent/CN115781067A/zh
Priority to US17/823,984 priority patent/US20230083630A1/en
Publication of KR2023003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6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10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using a fixed support, i.e. involving moving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6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6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10Mass, e.g. mass flow rate; Weight;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2Compensating; Taking-up
    • B65H2601/124Un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공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릴과, 가공이 종료된 상기 가공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릴과,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작업대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의 무게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조정부와, 상기 밸런스 조정부를 구동하는 밸런스 구동부와, 상기 밸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Working table for reel-to-reel process}
본 발명은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릴투릴 공정은 롤투롤 공정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연성의 가공물 등을 릴에 감거나 풀어 가공하는 것으로서, 대량의 가공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어 여러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릴투릴 공정을 위해서는 연성의 가공 대상물이 감겨 있는 공급릴과 회수릴이 필요하고, 공급릴과 회수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장치도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45539호에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공개특허공보 10-2006-0045539호에는 시트상 워크가 감겨있는 공급릴과 감기릴을 구비하고, 시트상 워크를 가공테이블로 이동시켜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레이저 가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공개특허공보 10-2006-0045539호에 개시된 기술은 공급릴과 감기릴을 서로 인근에 배치하여 시트상 워크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고 시트상 워크가 여러 가이드 롤러와 반전 롤러를 지나므로 접히거나 굽혀져 시트상 워크에 주름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릴투릴 공정을 위한 개선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공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릴;과, 가공이 종료된 상기 가공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릴;과,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작업대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의 무게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조정부;와, 상기 밸런스 조정부를 구동하는 밸런스 구동부;와, 상기 밸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상기 공급릴을 회전시키는 공급릴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상기 회수릴을 회전시키는 회수릴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런스 조정부는, 무게추부와, 상기 무게추부가 설치되며 상기 밸런스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구동부는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베이스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은, 연성의 가공 대상물이 공급릴에서 회수릴로 이동하더라도 그 무게의 불균형을 보정하여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제어 및 가공이 가능하여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적용된 레이저 가공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밸런스 조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으로서, 공급릴에 가공 대상물이 더 많이 감겨 있는 작업 초기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으로서, 회수릴에 가공 대상물이 더 많이 감겨 있는 작업 후기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크기, 길이의 비율 등에서 과장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상면, 하면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적용된 레이저 가공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밸런스 조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100)은 레이저 가공기(10)에 적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레이저 가공기(10)에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레이저 가공기 뿐만 아니라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장치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투릴 공정을 이용한 스크린 프린팅 장치, 에칭 장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기(10)는, 프레임(11), 이동 테이블(12), 레이저 가공 헤드(13), 작업 테이블(100)을 포함한다.
프레임(11)은 레이저 가공기(10)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레임(11)에는 이동 테이블(12)이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동 테이블(12)은 작업 테이블(1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송 레인(12a)을 따라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송 테이블(12)을 Y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 테이블(100) 상의 공급릴(110), 회수릴(120), 가공 작업대부(140) 등을 세팅하고 다시 Y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 테이블(100)을 작업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레이저 가공 헤드(13)는 천공 등의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는 장치로, 이를 위해 레이저 발진기, 복수의 미러, 렌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 테이블(100)은, 이동 테이블(12) 위에 설치되며, 공급릴(110), 회수릴(120), 베이스부(130), 가공 작업대부(140), 밸런스 조정부(150), 밸런스 구동부(160), 제어부(170), 센서(180)를 포함한다.
공급릴(110)은 가공 대상물(W)을 공급하는데, 공급릴(110)에는 가공 전의 가공 대상물(W)이 감겨져 있다. 가공 대상물(W)은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공급릴(110)에 감길 수만 있다면 그 종류나 형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대상물(W)을 연성 기판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공급릴 회전부(111)는 공급릴(110)을 회전시킨다. 즉, 공급릴(110)은 공급릴 회전부(111)의 회전축(S1)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진다. 공급릴 회전부(111)는 구동 모터(미도시), 감속기, 회전각 측정을 위한 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0)와 신호를 주고 받아 공급릴(110)을 회전시킨다.
공급릴 회전부(111)는 베이스부(130)에 설치되므로, 공급릴(110)은 베이스부(130)에 설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릴 회전부(111)가 공급릴(110)을 능동적으로 회전시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릴 회전부(111)가 공급릴(110)을 능동적으로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 경우 가공 대상물(W)은 회수릴(12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공급릴(110)과 가공 작업대부(140) 사이에는 보조 롤러(R)가 배치되어, 가공 작업대부(140)로 향하는 가공 대상물(W)에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여 주름을 방지한다.
회수릴(120)은 가공이 종료된 가공 대상물(W)이 감겨져 가공 대상물(W)을 회수한다.
회수릴 회전부(121)는 회수릴(120)을 회전시킨다. 즉, 회수릴(120)은 회수릴 회전부(121)의 회전축(S2)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진다. 회수릴 회전부(121)는 구동 모터(미도시), 감속기, 회전각 측정을 위한 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0)와 신호를 주고 받아 회수릴(120)를 회전시킨다.
회수릴 회전부(121)는 베이스부(130)에 설치되므로, 회수릴(120)은 베이스부(130)에 설치되게 된다.
회수릴(120)과 가공 작업대부(140) 사이에는 보조 롤러(R)가 배치되어, 회수릴(120)로 향하는 가공 대상물(W)에 적절한 장력을 제공하여 주름을 방지한다.
한편, 베이스부(130)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베이스부(130)에는 공급릴(110), 회수릴(120), 가공 작업대부(140), 밸런스 조정부(150) 등이 설치된다.
베이스부(130)는 4개의 베이스 가이드부(131)를 포함하는데, 베이스 가이드부(131)는 밸런스 조정부(150)의 이동부(152)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베이스 가이드부(131)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부(131)는 4개로 이루어지고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을 가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부(131)의 개수와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부는 1개, 2개, 3개, 5개, 6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부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봉의 형상이 될 수 있고, 베이스부(130)의 상면에서 연장된 레일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30)는 베이스 가이드부(131)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는 베이스 가이드부(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부(130)의 부분 중 베이스 가이드부(131) 사이에는 가이드 장공(132)이 형성된다. 가이드 장공(132)에는 밸런스 조정부(150)의 연결부(152b)가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130)에는 가이드 장공(132)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에는 가이드 장공(1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가공 작업대부(140)는 베이스부(130)에 설치되어 가공 대상물(W)의 가공이 수행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공 작업대부(140) 상에서 가공 대상물(W)의 레이저 가공이 수행된다.
한 쌍의 밸런스 조정부(150)는 베이스부(130)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에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조정부(150)는 한 쌍으로 설치되고 베이스부(130)에 대칭으로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130)에 설치되는 밸런스 조정부(150)의 개수와 배치 형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밸런스 조정부(150)는 1개, 3개, 4개, 5개 등으로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130)에 대해 비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밸런스 조정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부(151)와, 이동부(152)를 포함한다.
무게추부(151)는 무게추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게추부(151)의 무게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작업 테이블(100)의 밸런스 조정을 위한 최적의 무게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이동부(152)에는 무게추부(151)가 설치되는데, 이동부(152)는 밸런스 구동부(1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한다. 이를 위해 이동부(152)는 너트부(152a)를 포함하고, 너트부(152a)의 나사 구멍(152a_1)은 밸런스 구동부(160)의 이송 스크류(161)와 결합한다.
이동부(152)는 너트부(152a)와 연결부(152b)로 연결되어 있는데, 연결부(152b)는 베이스부(130)의 가이드 장공(132)에 움직이도록 설치되므로, 가이드 장공(13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152)는 연결부(152b)에 의해 너트부(152a)와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152b)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그 경우 이동부(152)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의 내주에 나사를 형성하여, 이동부(152)가 너트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베이스부(130)에는 가이드 장공(13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부(152)에는 이동 가이드부(152c)를 포함한다. 이동 가이드부(152c)는 가이드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 가이드부(152c)는 베이스 가이드부(131)와 함께 이동부(152)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가이드부(131)는 이동 가이드부(152c)를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밸런스 구동부(160)는 밸런스 조정부(150)를 구동한다.
밸런스 구동부(160)는, 이송 스크류(161)와 모터(162)를 포함하며, 베이스부(13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송 스크류(161)는 너트부(152a)의 나사 구멍(152a_1)과 결합하여, 이송 스크류(161)의 회전 운동은 너트부(152a)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구동부(160)는 이송 스크류(161)를 포함하고, 이동부(152)는 너트부(152a)를 포함하여, 이동부(152)의 이동은 스크류 이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의 이동 방식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는 로프 구동, 체인 구동, 벨트 구동, 리니어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모터(162)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아 이송 스크류(161)를 회전시키며,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162)는 기어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구동부(160)의 모터(162)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그 경우 별개의 감속기가 추가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밸런스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를 반영하여 밸런스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센서(180)로부터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벨런스 구동부(160)를 피드백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기 회로 기판, 집적 회로칩 등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제어를 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작업 테이블(100) 전용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70)는 작업 테이블(100)이 적용된 장치,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이저 가공기(10)의 제어부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180)는 적어도 하나가 베이스부(130)에 설치되어 베이스부(13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센서(180)로부터 기울기 신호를 받아 피드백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센서(180)는 베이스부(13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와 형식에 관련없이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기울기 센서뿐만 아니라 가속도계, 각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센서(180)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센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이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으로서, 공급릴에 가공 대상물이 더 많이 감겨 있는 작업 초기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업 테이블이 작동하는 모습으로서, 회수릴에 가공 대상물이 더 많이 감겨 있는 작업 후기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공급릴(110)에 가공 대상물(W)이 더 많이 감겨 있다. 가공 대상물(W)은 공급릴(110)로부터 풀려 나와, 가공 작업대부(140)로 이동하여,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고, 레이저 가공이 수행된 가공 대상물(W)은 회수릴(120)로 이동하여 감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점차 공급릴(110)의 무게가 줄고, 회수릴(120)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회전수(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가공 대상물(W)의 이송에 따른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회전수(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를 계산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의 계산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이 회전축(S1)(S2)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공급릴 회전부(111)와 회수릴 회전부(121)에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공급릴(110)과 회수릴(120)의 무게 변화에 따라 밸런스 구동부(160)를 구동한다. 즉, 제어부(170)는 밸런스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밸런스 조정부(150)를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부(130)의 균형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모터(162)를 구동하여 이송 스크류(161)를 회전시키고, 너트부(152a)는 이송 스크류(16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밸런스 조정부(150)가 이동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부(151)를 구비한 밸런스 조정부(150)가 회수릴(120)쪽에서 공급릴(110)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공급릴(110)의 무게 감소분에 따른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과정에서 센서(180)는 베이스부(13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70)로 보내어 피드백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런스 조정부(150)가 관성력 등에 의해 지나치게 공급릴(110)쪽으로 이동하여 밸런스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센서(180)에서 기울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밸런스 조정부(150)를 다시 회수릴(120)쪽으로 약간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작업 테이블(100)의 균형이 유지되면, 가공 작업 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작업 테이블(100)이 레이저 가공기(10)에 적용되면, 정밀한 위치 제어를 통해 레이저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100)은, 연성의 가공 대상물(W)이 공급릴(110)에서 회수릴(120)로 이동하더라도 밸런스 조정부(150)에 의해 무게의 불균형을 보정하여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정밀한 제어 및 가공이 가능하여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작업 테이블 제조 산업과 작업 테이블이 적용되는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10: 레이저 가공기 100: 작업 테이블
110: 공급릴 120: 회수릴
130: 베이스부 140: 가공 작업대부
150: 밸런스 조정부 160: 밸런스 구동부
170: 제어부 180: 센서

Claims (7)

  1. 가공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릴;
    가공이 종료된 상기 가공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릴;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이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이 수행되는 가공 작업대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릴과 상기 회수릴의 무게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런스 조정부;
    상기 밸런스 조정부를 구동하는 밸런스 구동부; 및
    상기 밸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을 회전시키는 공급릴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릴을 회전시키는 회수릴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조정부는,
    무게추부; 및
    상기 무게추부가 설치되며 상기 밸런스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구동부는 상기 너트부와 결합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베이스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KR1020210121165A 2021-09-10 2021-09-10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KR10259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65A KR102596484B1 (ko) 2021-09-10 2021-09-10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TW111126651A TWI829244B (zh) 2021-09-10 2022-07-15 用於捲對捲製程之工作桌
CN202210920820.7A CN115781067A (zh) 2021-09-10 2022-08-02 用于卷盘到卷盘工艺的工作台
US17/823,984 US20230083630A1 (en) 2021-09-10 2022-09-01 Working table for reel-to-reel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65A KR102596484B1 (ko) 2021-09-10 2021-09-10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985A true KR20230037985A (ko) 2023-03-17
KR102596484B1 KR102596484B1 (ko) 2023-11-01

Family

ID=8543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165A KR102596484B1 (ko) 2021-09-10 2021-09-10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83630A1 (ko)
KR (1) KR102596484B1 (ko)
CN (1) CN115781067A (ko)
TW (1) TWI82924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928A (ko) * 2004-07-05 2006-01-12 주식회사 동성기연 스트립 공급용 언코일러장치
KR20160013555A (ko) * 2014-07-28 2016-02-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인쇄용 마이크로 래터럴 변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9465A (ko) * 2015-04-30 2016-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밸런스웨이트 자동 부착시스템
KR102215190B1 (ko) * 2019-10-10 2021-02-15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고속 롤투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08876U (zh) * 2015-01-21 2015-09-11 Flexium Interconnect Inc 拉鏈機構及其軟性薄膜製程設備
JP6842031B2 (ja) * 2016-08-23 2021-03-1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ロールツーロール方式の表面処理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CN106163121A (zh) * 2016-08-29 2016-11-23 广州炬森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卷对卷一体化检测装置
CN112272448A (zh) * 2020-10-20 2021-01-26 苏州维信电子有限公司 一种卷对卷方式双面贴合设备及工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928A (ko) * 2004-07-05 2006-01-12 주식회사 동성기연 스트립 공급용 언코일러장치
KR20160013555A (ko) * 2014-07-28 2016-02-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인쇄용 마이크로 래터럴 변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9465A (ko) * 2015-04-30 2016-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밸런스웨이트 자동 부착시스템
KR102215190B1 (ko) * 2019-10-10 2021-02-15 주식회사 에프원테크 고속 롤투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3630A1 (en) 2023-03-16
TWI829244B (zh) 2024-01-11
CN115781067A (zh) 2023-03-14
TW202312797A (zh) 2023-03-16
KR102596484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753B2 (ja) ロボット、搬送装置、及び慣性センサーを用いた制御方法
JP4760830B2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KR101545355B1 (ko) 와이어 소 및 피가공물 가공방법
CN1623870B (zh) 基片加工设备
JP3105431B2 (ja) ワイヤソーにおけるワイヤ張力制御装置
KR20230037985A (ko) 릴투릴 공정을 위한 작업 테이블
JP4635734B2 (ja) ウエブの間欠送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599827A2 (en) Plane motion mechanism
JP2007203339A (ja) フィード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
KR102647694B1 (ko) 공작물의 런아웃 조절기구
US20150270062A1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coil winding method
KR102659879B1 (ko) 공작물의 런아웃 측정 및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7167909A (ja) フィードバックテンション装置
WO2005025820A1 (ja) 穿孔装置、穿孔方法及び製品
JP3189864B2 (ja) ワイヤソーのワイヤトラバース装置
JP5850087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TW202306680A (zh) 雷射處理設備、操作彼之方法、及使用彼處理工件之方法
KR102265739B1 (ko) 기준점 복귀가 용이한 원단 권취용 위치 제어장치
JP7056928B2 (ja) フィルムの原反径の計測システム
JP6857509B2 (ja) ワイヤソー
JP5541258B2 (ja) ロボット、搬送装置、及び制御装置
JPH05138564A (ja) ヘツド部駆動方法及び機構
JPH0357290Y2 (ko)
CN113205959A (zh) 绕线装置以及绕线方法
TW202222513A (zh) 生產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