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963A -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963A
KR20230037963A KR1020210121135A KR20210121135A KR20230037963A KR 20230037963 A KR20230037963 A KR 20230037963A KR 1020210121135 A KR1020210121135 A KR 1020210121135A KR 20210121135 A KR20210121135 A KR 20210121135A KR 20230037963 A KR20230037963 A KR 2023003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curtain device
exhaust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746B1 (ko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주)대영프로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프로파일 filed Critical (주)대영프로파일
Priority to KR1020210121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장치로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내부로의 공기 흡입과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하는 구동팬(200)을 포함하는 에어커튼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Air curtain apparatus and air curtai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커튼장치는, 서로 다른 장소의 경계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공기막을 형성하거나 통과하는 사용자에에 대한 에어분사가 가능한 장치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커튼장치는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는 사용자에 대한 살균 및 소독이 필요한 경우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최근상황에서는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커튼장치는, 통과하는 사용자에 대한 살균 및 탈취가 제한적이고,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설치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통과하는 사용자에 대한 순간적인 분사로는 높은 수준의 살균 및 탈취효과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용자가 수초 동안 머물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모듈화되지 못하고 설치됨에 따라 부피가 크고 무거워 설치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간적인 분사를 통해 살균 및 탈취효과가 뛰어난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장치로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내부로의 공기 흡입과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하는 구동팬(200)을 포함하는 에어커튼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흡입부(120)와, 상기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흡입커버(122)와, 상기 흡입커버(122)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배기커버(132)와, 상기 배기커버(132)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팬(200)은, 회전축이 상기 본체부(110) 내측 양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구동팬(200)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부(130)는, 상기 구동팬(200)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120) 인접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내측면 중 상기 배기부(130) 대향면(111)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대향면(111)이 인접면인 상기 흡입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구동팬(2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100) 내로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300)는, 상기 내부공간 중 상기 공기 유로에 인접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일 수 있다.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 중 상기 배기부(130)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스트를 상기 배기부(1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스트는, 탈취제, 소독액 또는 물분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20)와;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20)를 통한 상기 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장치(10)와; 상기 센서부(20) 센싱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문틀(1)에 설치되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문에 설치되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모듈화된 장치를 통해 컴팩트한 구성으로서, 제한적인 설치환경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별도의 에어펌프를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살균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을 고려하여 분사함으로써, 살균 및 탈취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은, 에어분사범위를 증가하여 적정세기로 사용자에 분사하면서도 전신에 충분한 소독, 향균, 탈취, 먼지제거 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시스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에어커튼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에어커튼장치의 내부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20)와;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20)를 통한 상기 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장치(10)와; 상기 센서부(20) 센싱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20)는,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20)는, 문틀(1)에 설치되어 문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서, 광 센서를 통해 개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20)는, 문틀(1)에 설치되어 문 개방 시 이를 센싱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30)로의 신호전달을 통해 에어커튼장치(10)가 에어를 분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부(20)는, 문 또는 문틀(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등으로서, 문의 개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부(20)는, 엘리베이터와 같은 사용자 이동 수단에 적용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제어 신호를 통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센서부(20)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신호로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며 엘리베이터의 문이 개방되는 층 도달에 따른 사용자 하차 및 사용자 탑승 전에 문이 개방되는 것으로 센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센서부(20)는, 엘리베이터의 무게감지를 통해 사용자 탑승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순 문 개방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승하차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여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 분사여부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센서부(20) 센싱에 따라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센싱을 통해 문이 개방되고 사용자가 이동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해 문틀(1) 주위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센서부(20)의 문 개방여부의 센싱에도 사용자가 통과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어커튼장치(10)를 제어하여 에어를 분사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센서부(20) 및 에어커튼장치(10)와 각각 유,무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센서부(20)의 센싱에 따라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량, 분사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에어커튼장치(10)는, 센서부(20)를 통한 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에어를 분사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10)는, 문틀(1)에 쉽게 설치되거나, 문틀(1) 자체를 형성하면서도 통과하는 사용자에 대한 확실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내부로의 공기 흡입과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하는 구동팬(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하우징부(100) 내로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장치는,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흡입부(120)와,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후면, 양측면 및 상하부면이 구비되는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면에 후술하는 흡입부(120) 및 배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문틀(1)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그 자체로서 문틀(1)의 상부 및 측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10)는, 일면에 구비되는 흡입부(1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흡입하고, 인접면에 구비되는 배기부(130)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제1면, 예를 들면 문틀(1) 기준으로 전방 측에 후술하는 흡입부(120)가 구비되며, 흡입부(120)에 인접하는 인접면인 제2면, 예를 들면 문틀(1)을 기준으로 문쪽을 향하는 면에 후술하는 배기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는, 제1면에 흡입부(120)가 설치되기 위한 일정 크기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면에 배기부(130)가 설치되기 위한 일정크기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제1면 및 제2면에 일체로 연장되어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내측면 중 제1면에 대향하는 대향면(111)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10)는, 제1면의 흡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방측으로 후술하는 구동팬(200)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내측면 중 대향면(111)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때 대향면(111)은, 제1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동팬(200) 측으로 인접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제1면에서 제1면의 대향면으로 갈수록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10)는, 흡입되는 공기가 대향면(111)의 곡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배기부(130)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0)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흡입부(120)는, 본체부(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복개하도록 설치되며, 흡입구(121)를 통해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입부(12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흡입커버(122)와, 흡입커버(122)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커버(122)는, 본체부(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여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커버(122)에 복수의 흡입구(121)가 형성됨으로써, 제1면을 통해 외부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흡입부(120)가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별도의 흡입포트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0)는,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배기부(13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배기커버(132)와, 배기커버(132)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부(130)는, 본체부(110)의 제2면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배기커버(132)가 설치될 수 있고, 이때 배기커버(132)에 복수의 배기구(131)들이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13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별도의 배기포트 또는 배기노즐을 통해 전면 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팬(200)은,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내부로의 공기 흡입과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구동팬(200)은,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측에 형성되는 흡입부(12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공기가 전면 측으로 이동하여 배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팬(200)은, 회전축이 본체부(110)의 양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본체부(110)의 양단측에 구비되는 회전축(113)에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팬(200)이 본체부(110)의 제1면, 대향면(111), 제1면의 대향면 측 순서로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흡입과 배기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300)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하우징부(100) 내로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살균부(300)는, 내부공간 중 공기 유로에 인접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일 수 있다.
즉, 상기 살균부(300)는, 내부공간 중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기부(130)를 통해 배기되기 전에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살균부(300)는, 구동팬(200)와 대향면(1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팬(200)와 대향면(111) 사이 중 흡입부(12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진입한 공기를 바로 살균함으로써, 살균되지 않은 공기가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흐름이 단순화된 상태에서 살균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전술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으며, 이로써 향균 및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는, 탈취제, 바이러스 소독용 소독액, 물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하우징부(100)의 제2면에 구비되는 분사노즐(410)과, 탈취제를 공급받아 분사노즐(410)에 전달하는 분사배관(430)과, 분사배관(430) 중 분사노즐(410) 후단에 구비되어 분사배관(430)을 개폐하는 분사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하우징부(100)의 제2면에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10)에 내부공간과 분리되어 별도로 형성되는 분리공간(11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410)은, 하우징부(100)의 제2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사노즐(410)은, 하우징부(100)의 배기부(130)와 동일평면인 제2면에 구비되어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으며, 배기부(130)에 따른 공기 분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분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410)은, 배기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공기에 적절히 미스트가 혼합되어 분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분사배관(430)은, 미스트를 공급받아 분사노즐(41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분사배관(430)은, 분사노즐(410)에 미스트를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외부 공급장치를 통해 미스트를 공급받아 제공하거나 내부에 저장되는 미스트를 분사노즐(4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배관(430)은, 내부공간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공간(114)에 구비되어 분사노즐(4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밸브(420)는, 분사배관(430) 중 분사노즐(410) 후단에 구비되어 분사배관(430)을 개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밸브(420)는, 개폐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노즐(410)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으며,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됨으로써, 미스트의 분사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달리, 미스트가 액상 또는 고체 형태로 분사노즐(410)에 일체로 제공됨으로써, 별도의 공급 및 전달없이 바로 분사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문틀 100: 하우징부
200: 구동팬 300: 살균부
400: 미스트분사부

Claims (15)

  1.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장치로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0)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내부로의 공기 흡입과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유도하는 구동팬(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10)와, 외부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도록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흡입부(120)와, 상기 흡입부(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흡입커버(122)와, 상기 흡입커버(122)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입구(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커버하는 배기커버(132)와, 상기 배기커버(132)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구(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팬(200)은,
    회전축이 상기 본체부(110) 내측 양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구동팬(200)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부(130)는,
    상기 구동팬(200)을 중심으로 상기 흡입부(120) 인접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내측면 중 상기 배기부(130) 대향면(111)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대향면(111)이 인접면인 상기 흡입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구동팬(200)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100) 내로 흡입된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부(3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300)는,
    상기 내부공간 중 상기 공기 유로에 인접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미스트를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부(4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분사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 중 상기 배기부(130)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스트를 상기 배기부(1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는,
    탈취제, 소독액 또는 물분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장치.
  13.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20)와;
    문틀(1)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센서부(20)를 통한 상기 문의 개방여부에 따라 에어를 분사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에어커튼장치(10)와;
    상기 센서부(20) 센싱에 따라 상기 에어커튼장치(10)를 통한 에어분사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문틀(1)에 설치되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문에 설치되어 문 개방여부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시스템.
KR1020210121135A 2021-09-10 2021-09-10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KR10257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35A KR102577746B1 (ko) 2021-09-10 2021-09-10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35A KR102577746B1 (ko) 2021-09-10 2021-09-10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963A true KR20230037963A (ko) 2023-03-17
KR102577746B1 KR102577746B1 (ko) 2023-09-12

Family

ID=8587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135A KR102577746B1 (ko) 2021-09-10 2021-09-10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69U (ko) * 1998-08-14 1998-11-25 권필목 에어커튼
KR20120132857A (ko) * 2011-05-30 2012-12-10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65952B1 (ko) * 2015-02-27 2015-11-05 김동수 소독액 분무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장치
EP3168545A1 (de) * 2015-11-16 2017-05-17 Ulf Peschke Luftschleieranlage
JP2017181012A (ja) * 2016-03-25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アカーテン
KR101939616B1 (ko) * 2018-05-31 2019-04-05 윤상근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69U (ko) * 1998-08-14 1998-11-25 권필목 에어커튼
KR20120132857A (ko) * 2011-05-30 2012-12-10 (주)세기시스템 횡류형 에어커튼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65952B1 (ko) * 2015-02-27 2015-11-05 김동수 소독액 분무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장치
EP3168545A1 (de) * 2015-11-16 2017-05-17 Ulf Peschke Luftschleieranlage
JP2017181012A (ja) * 2016-03-25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アカーテン
KR101939616B1 (ko) * 2018-05-31 2019-04-05 윤상근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746B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0695034B1 (ko) 사람 소독 장치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20190076579A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JP2011051715A (ja) 乗籠内部の消毒を行う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109939A (ko)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US20130283629A1 (en) Dryer, especially hand dryer
KR102473982B1 (ko) 플라즈마 살균모듈을 가진 로봇걸레청소기
JP2003169842A (ja) 次亜塩素酸水溶液による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KR20210133515A (ko) 소독설비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KR20230037963A (ko)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커튼시스템
JP5641475B2 (ja) 自動ドア連動型エアーカーテン装置
KR102192527B1 (ko) 기능성 살균 컨테이너
CN112761385A (zh) 一种防病毒诊断房及其使用方法
JP2000197689A (ja) 次亜塩素酸含有水溶液による室内殺菌・脱臭方法及び装置
KR20160142214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KR102385449B1 (ko) 워킹 스루 터널형 방역장치
KR102399805B1 (ko) 대상자의 신장에 따라 분사 높이가 조절되며 수조통이 일괄 분리되어 유지 관리가 간편한 대인방역소독기
JP3994618B2 (ja) 手乾燥装置およびその殺菌方法
KR200495820Y1 (ko) 에어 커튼이 형성된 도어
KR200220372Y1 (ko) 축산용 연막소독 장치
KR20180051818A (ko) 에어 워시 장치
KR200447923Y1 (ko)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KR20230087736A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