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23Y1 -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23Y1
KR200447923Y1 KR2020090012384U KR20090012384U KR200447923Y1 KR 200447923 Y1 KR200447923 Y1 KR 200447923Y1 KR 2020090012384 U KR2020090012384 U KR 2020090012384U KR 20090012384 U KR20090012384 U KR 20090012384U KR 200447923 Y1 KR200447923 Y1 KR 200447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elevator
injector
duct
functio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두
Original Assignee
정수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두 filed Critical 정수두
Priority to KR202009001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는, 승강기 상부의 조명실 내에 설치되어 기능성 물질이 승강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덕트;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덕트의 공기 흐름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덕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 내부에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액체로부터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덕트로 공급하되 상기 미스트가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습기식 분사장치; 및 상기 덕트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덕트로 공급된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필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기, 살균제, 방향제

Description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Apparatus for spraying functional materials in elevator}
본 고안은 승강기 내부로 기능성 물질을 분사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살균제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기체화하여 승강기 내부로 분사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또는, 엘리베이터)는 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 안쪽에 설치된 한 쌍의 안내 레일을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옮기는 장치이다. 주거용 아파트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상업용 빌딩 역시 저층, 고층을 막론하고 승강기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한편, 탑승자용 승강기는 한정된 공간에 일정 인원 내에서 탑승자를 승차시킨 후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밀폐된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는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에는 탑승자의 체취나 땀 냄새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탑승자 간의 신체적인 접촉 또는 호흡기 등을 통해서 진드기 같은 해충이나 병원균이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에는 신종 인플루엔자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데, 승강기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는 더욱 쉽게 전염될 가능성이 있 다.
따라서, 승강기 내에 방향제 및 살균제를 분사하여 승강기 내의 공기를 상쾌하게 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해충,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승강기는 건물 내로 출입하기 위한 실질적인 출입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물 내로 출입하는 사람의 해충,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건물 내로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승강기 내부를 살균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본 출원의 고안자가 출원하여 공개된 특허공개번호 10-2009-0044661(이하, 종래기술)에는 승강기 내의 방향제 및 살균제 분사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탱크에 수용된 방향제 및 살균제가 펌프에 의해 분사되기 때문에 승강기 내부로 분사되는 방향제 및 살균제의 일부분은 기체 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방향제 및 살균제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기 위한 송풍기 등의 구성이 포함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탱크 내에 담겨진 방향제 및 살균제가 다 사용되어진 경우에 다시 방향제 및 살균제를 탱크 내로 리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승강기 작동과 관련 분사장치가 어떻게 작 동되는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능성 물질을 기체 상태로 승강기 내로 분사할 수 있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펌프 및 송풍기 등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기능성 물질을 기체화하여 승강기 내로 분사할 수 있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오히려 상쾌함을 유발시키면서 승강기 내로 기능성 물질을 기체화하여 분사할 수 있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능성 물질이 다 사용되어진 경우에 쉽게 리필할 수 있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는, 승강기 상부의 조명실 내에 설치되어 기능성 물질이 승강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덕트;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덕트의 공기 흐름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덕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 내부에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액체로부터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덕트로 공급하되 상기 미스트가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습기식 분사장치; 및 상기 덕트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덕트로 공급된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필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덕트로 공급된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여과시키는 필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기에 탑승자가 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가 작동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는, 살균작용을 갖는 액체이며,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 내에 수용된 압축공기에는 방향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는, 상기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 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는,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 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외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공기를 상기 덕트로 강제 유입시키는 급기팬;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의하면, 기능성 물질이 기체 상태로 승강기 내로 분사될 수 있어서 탑승자에 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승강기 내로 기능성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펌프 및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기능성 물질을 승강기 내로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어서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의하면, 기능성 물질을 쉽게 리필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 가습기식 분사장치(30), 필터(40), 압력조절필터(50), 덕트(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70)는 바람직하게 승강기(10) 상부의 조명실에 설치되며, 기능성 물질이 승강기(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는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작동 시에 상기 압축공기를 덕트(70)로 분사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 치(20)는 내부에 수용된 압축공기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미도시)와, 상기 배출된 압축공기를 덕트(70)로 분사시키는 노즐(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에서 분사된 고압의 압축공기는 그 압력에 의해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별도의 펌프 및 송풍기 등이 없어도 승강기 내로 기능성 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는 덕트(70) 내의 공기 흐름 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이는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사된 압축공기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덕트(7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노즐(22)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는 내부에 상기 압축공기를 수용하는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탱크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탱크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다 사용되어진 경우에 리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내부에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액체로부터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유출구(32)를 통해 덕트(7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이란, 공기 청정, 방향제 또는 살균 기능 등을 말한다. 즉,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액체로 사용되거나, 방향 제 기능을 가지는 액체로 사용되거나, 살균 기능을 가지는 액체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는 살균 기능을 가지는 액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 기능을 갖는 액체는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호흡기 전염성 질병인 각종 바이러스와 병원성 세균 진균 등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금물, 차아염소산수(HCl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가 기능성을 가지는 액체로부터 기능성을 가지는 미스트를 생성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가습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열에 의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가열과 초음파 모두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덕트(70)의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가습기식 분사장치(30)에서 생성되어 덕트(70)로 공급된 미스트가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에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되어 승강기(10) 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내부에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탱크는 가습기식 분사장치(3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탱크에 수용된 액체가 다 사용되어진 경우에 리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 내에 수용된 압축공기에는 방향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에 의해 생성된 살균 기능을 갖는 미스트의 냄새는 살균 기능이라는 그 기능의 특성상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압축공기에 방향제가 포함되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향제로 인한 냄새로 인해 상쾌함을 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40)는 가습기식 분사장치(30) 후방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와 가습기식 분사장치(30)에서 생성되어 덕트(70)로 공급된 미스트를 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40)는 압축공기와 미스트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추가적인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40)는 일반적인 필터 중 압축공기와 미스트는 통과시키면서 압축공기와 미스트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줄 수 있는 정도의 메쉬 사이즈를 갖는 필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40)는 덕트(7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터(4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압력조절 필터(50)는 덕트(70)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 내에 수용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 그 압력으로 인해 강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한 공기의 흐름이 그대로 승강기(10) 내로 분사되면 탑승자가 그 강한 공기의 흐름을 그대로 맞게 되어 불쾌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덕트(70)의 출구 측에 압력조절 필터(5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기(10) 내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미스트가 적정한 압력으로 승강기(10) 내로 분사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압력조절 필터(50)는 일반적인 필터 중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압축공기의 분사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정도의 필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는 외부 또 는 승강기(10) 내부와 덕트(70)를 연통시키는 보조덕트(80)가 덕트(70)의 입구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승강기(10) 내의 공기가 덕트(70)로 유입되어 다시 승강기(10) 내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10) 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덕트(80)에 설치되어 외부 또는 승강기(10) 내부 공기를 덕트(70)로 강제 유입시키는 급기팬(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승강기(10)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덕트(7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외부란, 건물 외부 또는 건물 내부에서의 승강기 외부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덕트(80)가 외부와 덕트(70)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승강기 내부로 신선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와 가습기식 분사장치(30)의 작동을 위해 승강기(10)에 탑승자가 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는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에만 승강기(10) 내부로 기능성 물질을 분사시킬 필요가 있는데, 상기 센서(14)는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에만 승강기(10) 내부로 기능성 물질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14)는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승강기(10)의 출입문(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문(12)이 열렸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존재한다거나, 승강기(10)의 출입문이 열렸다는 것 은 승강기(10) 내부로 탑승자가 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는, 상기 센서(14)는 승강기(10) 내의 버튼(미도시)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기(10) 내의 버튼이 눌러졌다는 것은 승강기(10)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14)는 건물 출입구 측에 구비되어 추후 승강기(10)를 탑승하게 될 방문자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는 상기 센서(14)에 의해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와 가습기식 분사장치(2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14)에 의해 승강기(10) 내에 탑승자가 존재한다거나, 승강기(10)의 출입문(12)이 열려진 것이 감지된 경우에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와 가습기식 분사장치(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14)에 의해 출입문(12)이 열려진 것이 감지된 후 소정시간이 지난 이후에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와 가습기식 분사장치(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승강기(10) 내의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와 가습기식 분사장치(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본 고안에 따른 분사장치만을 위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승강기(10)의 제어부와 별도로 작동되도록 구비되거나, 승강기(10)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승강기(10)의 제어부와 연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분사장치는 별도의 제어부가 구비되지 않고, 승강기(10)의 제어부에 의해 압축공기식 분사장치(20) 및 가습기식 분사장치(30)가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식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내부에 수용된 기능성을 가지는 액체(36)를 가열하여 미스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유출구(32)가 구비된 케이스(34)와,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가열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38)는 작동 시에 케이스(34)에 채워진 액체(36)를 가열하여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10)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작동되거나, 배터리 등과 같이 별도로 구비된 전원부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부(38)는 승강기(10)의 전원부와 별도로 구비된 전원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기능성을 갖는 액체(36)를 수용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30)는 별도의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에 의하면, 기능성 물질이 기체 상태로 승강기(10) 내로 분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펌프 및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기능성 물질을 승강기(10) 내로 원활하게 분사시킬 수 있으며, 쉽게 기능성 물질을 리필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식 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6)

  1. 승강기 상부의 조명실 내에 설치되어 기능성 물질이 승강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덕트;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덕트의 공기 흐름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덕트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압축공기식 분사장치;
    내부에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작동 시 상기 액체로부터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덕트로 공급하되 상기 미스트가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습기식 분사장치; 및
    상기 덕트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덕트로 공급된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필터; 를 포함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에서 생성되어 상기 덕트로 공급된 상기 기능성을 갖는 미스트를 여과시키는 필터; 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 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에 탑승자가 탔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와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가 작동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는,
    살균작용을 갖는 액체이며,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 내에 수용된 압축공기에는 방향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식 분사장치는,
    상기 압축공기를 수용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 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기식 분사장치는,
    상기 기능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탱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또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공기를 상기 덕트로 강제 유입시키는 급기팬; 을 더 포함하는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KR2020090012384U 2009-09-21 2009-09-21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KR200447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84U KR200447923Y1 (ko) 2009-09-21 2009-09-21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84U KR200447923Y1 (ko) 2009-09-21 2009-09-21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923Y1 true KR200447923Y1 (ko) 2010-03-03

Family

ID=4421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84U KR200447923Y1 (ko) 2009-09-21 2009-09-21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67B1 (ko) 2012-01-19 2012-05-11 주식회사 비비테크 크린엘리베이터카 및 그의 탑승실 공기흐름제어방법
KR101922242B1 (ko) 2017-05-08 2018-11-26 주식회사 미들테크 부스형 전신 스프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360A (ja) 1997-10-24 1999-05-18 Nichirei Corp 除塵装置
JP2000296974A (ja) 1999-04-09 2000-10-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用芳香装置
JP2008184322A (ja)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KR20090044661A (ko) * 2007-11-01 2009-05-07 정수두 승강기내의 방향제 및 살균제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360A (ja) 1997-10-24 1999-05-18 Nichirei Corp 除塵装置
JP2000296974A (ja) 1999-04-09 2000-10-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用芳香装置
JP2008184322A (ja)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KR20090044661A (ko) * 2007-11-01 2009-05-07 정수두 승강기내의 방향제 및 살균제 분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67B1 (ko) 2012-01-19 2012-05-11 주식회사 비비테크 크린엘리베이터카 및 그의 탑승실 공기흐름제어방법
KR101922242B1 (ko) 2017-05-08 2018-11-26 주식회사 미들테크 부스형 전신 스프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CN203671777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JP5103204B2 (ja) 消臭エアシャワー装置
KR101209309B1 (ko) 살균기능을 갖는 기화식 가습기
KR101908929B1 (ko) 신체 소독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10010639A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및 온수의 멸균방법
JP2014057952A (ja) 霧発生装置
WO2009124428A1 (zh) 具有二氧化氯消毒器的光触媒杀菌消毒机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KR20090008761U (ko) 에어클린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현관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KR200447923Y1 (ko) 승강기 기능성 물질 분사장치
JP2012000178A (ja) スプリンクラ設備
KR20090044661A (ko) 승강기내의 방향제 및 살균제 분사 장치
JP5641475B2 (ja) 自動ドア連動型エアーカーテン装置
WO2020121786A1 (ja) 薬液噴霧装置
KR100688927B1 (ko) 자동 급수 방식의 복합기능 가정용 가습기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JP6475044B2 (ja) 除菌装置及び除菌方法
JP2001033070A (ja) 加湿器
KR20110127373A (ko) 습한 오존과 공기 와류 생성을 이용한 공기살균장치 및 공기살균방법
US20120189490A1 (en) Cleansing system using ozone and nebulized fluids
KR200485094Y1 (ko) 아로마 분사장치
KR20190134151A (ko)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한 공기 제균 시스템
JP2006153316A (ja) 気化式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