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699A - 횡단보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699A
KR20230036699A KR1020210119535A KR20210119535A KR20230036699A KR 20230036699 A KR20230036699 A KR 20230036699A KR 1020210119535 A KR1020210119535 A KR 1020210119535A KR 20210119535 A KR20210119535 A KR 20210119535A KR 20230036699 A KR20230036699 A KR 2023003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safety bar
safety
vehicl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남
Original Assignee
(주)영은시스템
노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은시스템, 노기남 filed Critical (주)영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1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699A/ko
Publication of KR2023003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 시에 도로쪽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를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에 따라 도로쪽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는 새로운 안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보행신호 시에 차량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하도록 하는 한편, 이중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안전바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이 안전바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안전바나 차량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충격흡수를 통해 운전자 상해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는 안전바에 LED를 부착하여 야간 시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PEDESTRIAN IN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 시에 도로쪽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여 보행자를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주변 또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이러한 횡단보도의 양측에는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교통신호 체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차량 운전자들은 녹색신호가 깜빡이게 되면, 보행자의 통행 여부와 관계없이 차량을 운행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보행자의 심리적인 불안감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차량이 정지선을 넘어서 횡단보도를 진입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이 있다.
최근에는 도시가 발전하고 산업화되어감에 따라 차량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차량 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주변 횡단보도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차량 사고는 운전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무척이나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주변 지역은 평소 차량 속도 제한 및 특별 관리를 체계적으로 받아온 특정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고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의 발생 여건에서 볼 때, 초등학교 주변 지역에서만이라도 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좀더 강력한 제도적 보완과 안전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횡단보도의 양측에 설치되어 보행자 또는 차량의 진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횡단보도 내에 차량의 진입을 막는 일부 차단시설물이 제시되어 있으나, 기존 대부분의 차단시설물은 하드한 소재로 되어 있어서 차량 접촉 시에 차량 파손 또는 운전자 상해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고, 차량과의 충돌로 인해 차단시설물이 손상되는 등 유지관리 및 보수 측면은 물론 재설치에 따른 비용적인 부담 등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551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77657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78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92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에 따라 도로쪽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는 새로운 안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보행신호 시에 차량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하도록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안전바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이 안전바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안전바나 차량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충격흡수를 통해 운전자 상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는 안전바에 LED를 부착하여 야간 시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중공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지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한 안전바 지지블록과, 상기 안전바 지지블록에 한쪽이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스트의 개구부를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수평자세로 설치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튜브 형태의 안전바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안전바에 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와,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를 입력받아서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안전바가 도로쪽과 인도쪽으로 90°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안전바는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전바의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사이에는 홀을 가지면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격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의 외주면에는 안전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야간 시에 점등되는 LED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와 연계하여 도로쪽으로 90°펼쳐지면서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보행신호 시에 차량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중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안전바를 적용함으로써, 차량이 안전바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안전바나 차량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충격흡수를 통해 운전자 상해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 그리고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는 안전바에 LED를 부착함으로써, 야간 시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 또는 차량 신호등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면서 보행 신호 시(차량 정지 신호 시) 안전바(14)를 도로측으로 펼쳐줌으로써, 차량이 횡단보도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지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포스트(10)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10)는 중공의 바 형태, 예를 들면 금속 재질의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게 되며, 횡단보도에 접하는 인도쪽의 차량 진입측 위치(예컨대, 횡단보도 좌측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포스트(10)의 내부로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미도시), 예를 들면 횡단보도 신호등에 전원 등을 제공하기 위해 매설한 전원선이나 신호선 등과 같은 배선(미도시)으로부터 분기되는 배선이 진입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모터(11), 콤프레서(15), 콘트롤러(16) 등에 전원 및 각종 신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착탈 가능한 점검구(22)가 설치되며, 이때의 점검구(22)를 열고 내부의 각종 부품, 예를 들면 모터(11), 콤프레서(15), 콘트롤러(16) 등과 같은 부품을 점검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포스트(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뚫어놓은 형태의 개구부(13)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개구부(13)는 약 90°내지 100°정도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안전바(14)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안전바(14)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모터(11)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1)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서, 콘트롤러(16)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11)는 수직자세를 취하면서 포스트(10)의 내부에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안전바(14)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안전바 지지블록(12)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바 지지블록(12)은 원통형의 블록 형태로서, 내부에는 2열의 공기통로(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기통로(23)를 통해서는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로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통로(23)는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저면을 관통하여 그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진행된 후에 수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2열로 분기되어 진행된 후에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안전바 지지블록(12)은 그 저면 중심부를 통해 모터(11)의 축에 직결되거나 또는 커플러를 매개로 모터 축에 연결되는 축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1)의 회전 시 안전바 지지블록(12)도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홈에는 내측 튜브(17) 및/또는 외측 튜브(18)가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안전바(14)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바(14)는 공기압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튜브 형태로서, 한쪽은 안전바 지지블록(12)에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스트(10)의 개구부(13)를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안전바(14)는 이중 튜브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어느 하나의 튜브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의 튜브가 바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바(14)는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 사이에는 공기 통과를 위한 홀(19)을 가지면서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줌과 더불어 튜브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하는 링 모양의 격판(20)이 다수 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격판(20)은 내외측 튜브(17,18)의 소재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법으로 내외측 튜브(17,18)에 일체식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는 한쪽 단부를 이용하여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튜브(17)의 한쪽 단부는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외주면에 있는 홈 부분에 끼워져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외측 튜브(17)의 한쪽 단부, 즉 플랜지 부분은 안전바 지지블록(12)의 외주면 상에 밀착되어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의 각 내부 공간은 안전바 지지블록(12)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기통로(23)와 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바(17)의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는 공기주입과 함께 팽팽한 상태의 바 형태를 유지하면서 차단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모터(11)의 작동 시에는 안전바 지지블록(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인도쪽으로 접혀지거나 차도쪽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바(14)가 공기압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내외측 튜브(18)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과 부딪히는 경우에도 공기완충 특성 및 휘어지는 특성을 발휘하여 차량측이나 운전자측에 전혀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고, 결국 차량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 안전바(14)가 손상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안전바(14)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콤프레서(15)를 포함한다.
상기 콤프레서(15)는 포스트(10)의 내부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콤프레서(15)의 출력측은 튜브나 호스 등에 의해 안전바 지지블록(12)에 있는 공기통로(23)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나 호스는 충분한 여유길이를 가질 수 있고, 또 플렉시블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안전바 지지블록(12)이 90°범위를 회전하는 경우에도 꼬이거나 뒤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콤프레서(15)는 콘트롤러(15)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공기압 센서(미도시),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안전바(14)의 내부 공기압이 기설정 압력보다 떨어지는 경우 콤프레서(15)를 가동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서 공기가 보충되도록 하고, 또 안전바(14)의 내부 공기압이 기설정 압력에 도달하여 안전바(14)가 팽팽한 상태가 되는 경우 콤프레서(15)의 가동을 중지하는 동시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아서 공기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여 안전바(14)의 내부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바는 모터(11), 콤프레서(15) 등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콘트롤러(16)를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러(16)는 포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신호, 예를 들면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모터(11)를 작동시켜서 안전바(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되면, 콘트롤러(16)의 출력 제어에 의해 모터(11)가 작동되고, 계속해서 모터(11)의 작동으로 안전바(14)는 도로쪽과 인도쪽을 왕복하여 90°회전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안전바는 야간 시에 안전바(14)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LED(21)를 포함한다.
상기 LED(21)는 안전바(14)의 외주면에 안전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콘트롤러(16)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또 ON/OFF 제어를 받게 된다.
이때, 상기 LED(12)의 ON/OFF 작동 제어는 포스트(10) 상의 일측에 조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조도센서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콘트롤러(16)의 출력 제어에 의해 LED(12)가 ON/OFF 작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콘트롤러(16)측에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하여 LED(12)가 ON/OFF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는 안전바(14)에 LED(21)를 부착함으로써, 야간 시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등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횡단보도에 접하는 인도쪽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쪽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전바(14)는 공기가 주입되어 상시 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다.
이 상태에서,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등일 경우(또는 횡단보도의 차량 신호등이 녹색등일 경우), 이때의 안전바(14)는 인도쪽으로 접혀져 있어 보행자가 차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다음,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이 녹색등일 경우(또는 횡단보도의 차량 신호등이 황색등 또는 적색등일 경우), 이때의 신호는 콘트롤러(16)에 입력되고, 이와 동시에 콘트롤러(16)의 출력 제어에 의해 모터(11)가 정회전 작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모터(11)의 축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바 지지블록(12) 및 이 안전바 지지블록(12)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바(14)가 90°수평 회전하면서 도로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도로쪽에 펼쳐진 상태로 가로막고 있는 안전바(14)를 인식하여 차량을 멈추게 되고, 결국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이 차단되면서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된다.
물론, 보행자 신호가 다시 적색등으로 전환되면, 이때의 신호를 입력받은 콘트롤러(16)의 출력 제어에 의해 모터(11)가 역회전 작동하면서 안전바(14)는 재차 인도쪽으로 90°수평 회전하여 접혀진 상태가 되고, 따라서 안전바(14)가 인도쪽을 가로막는 상태가 되면서 보행자가 무의식적으로 차도쪽에 내려서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되는 등 보행자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에 따라 도로쪽으로 펼쳐지면서 차량의 횡단보도 진입을 차단하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신호 시에 차량 등의 횡단보도 진입을 막아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는 등 횡단보도에서의 각종 사고로부터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10 : 포스트
11 : 모터
12 : 안전바 지지블록
13 : 개구부
14 : 안전바
15 : 콤프레서
16 : 콘트롤러
17 : 내측 튜브
18 : 외측 튜브
19 : 홀
20 : 격판
21 : LED
22 : 점검구
23 : 공기통로

Claims (4)

  1. 중공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지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1);
    상기 모터(11)의 축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한 안전바 지지블록(12);
    상기 안전바 지지블록(12)에 한쪽이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포스트(10)의 개구부(13)를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수평자세로 설치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는 튜브 형태의 안전바(14);
    상기 포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안전바(14)에 공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서(15);
    상기 포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등의 보행자 신호를 입력받아서 모터(11)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안전바(14)가 도로쪽과 인도쪽으로 90°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콘트롤러(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14)는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14)의 내측 튜브(17)와 외측 튜브(18) 사이에는 홀(19)을 가지면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격판(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14)의 외주면에는 안전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야간 시에 점등되는 LED(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0210119535A 2021-09-08 2021-09-08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230036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5A KR20230036699A (ko) 2021-09-08 2021-09-08 횡단보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35A KR20230036699A (ko) 2021-09-08 2021-09-08 횡단보도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99A true KR20230036699A (ko) 2023-03-15

Family

ID=8551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35A KR20230036699A (ko) 2021-09-08 2021-09-08 횡단보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69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51Y1 (ko) 2006-05-24 2006-08-08 조기정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90003784U (ko) 2007-10-18 2009-04-22 노찬우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10116929A (ko) 2010-04-20 2011-10-26 최상암 횡단보도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51Y1 (ko) 2006-05-24 2006-08-08 조기정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777657B1 (ko) 2007-04-13 2007-11-19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90003784U (ko) 2007-10-18 2009-04-22 노찬우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110116929A (ko) 2010-04-20 2011-10-26 최상암 횡단보도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0942499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101061583B1 (ko) 횡단보도용 지능형 안전차단장치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EA032379B1 (ru) Световое 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орожным движением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200434715Y1 (ko) 신호등에 연계되어 발광하는 표지병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1289433B1 (ko) 보행자 안전차단기
KR20150058870A (ko) 횡단보도용 보행 및 주행차단장치
KR200423551Y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230036699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KR102351316B1 (ko)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101048803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교통신호등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KR102472223B1 (ko)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
KR20160095276A (ko) 보행신호등에 독립적 장착 및 동작 가능한 경보장치
KR200408879Y1 (ko) 횡단보도용 보행 신호 장치
KR200265874Y1 (ko) 도로횡단보도용 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