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59A -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59A
KR20230036459A KR1020210119347A KR20210119347A KR20230036459A KR 20230036459 A KR20230036459 A KR 20230036459A KR 1020210119347 A KR1020210119347 A KR 1020210119347A KR 20210119347 A KR20210119347 A KR 20210119347A KR 20230036459 A KR20230036459 A KR 20230036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sensor module
obstacl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015B1 (ko
Inventor
설갑선
Original Assignee
선안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안이엔지(주) filed Critical 선안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21011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0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접이식 도어의 개폐작동 중 장애물의 접촉으로 인해 센서부가 가압되면 도어의 개폐동작이 멈춤 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의 하단부에 돌출형성 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부의 장애물 접촉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은 도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장애물의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automatic folding door system including touch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접이식 도어의 개폐작동 중 장애물의 접촉으로 인해 센서부가 가압되면 도어의 개폐동작이 멈춤 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 사용되는 문은 한쪽의 세로틀 또는 거기에 부착한 경첩 등의 철물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형식으로 개폐하는 여닫이문(hinged door)과 홈이나 레일상을 수평이동하여 개폐하는 미닫이문(sliding door)으로 크게 분류된다. 그리고, 접이식문(folding door)은 여러 개의 개별 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접거나 펼치는 방식의 미닫이문을 의미하며, 비교적 큰 폭을 가진 출입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차량 출입이 많고 보안이 필요한 건물 등의 정문 출입구에는 차량 차단용 방호 게이트(gate)로서 전동 개폐 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자동 도어가 사용되어 지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2180015호에 따른 개폐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개폐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의 도어에 장착된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접이식 자동 도어(1000)는 설치 장소에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면에 기립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20)와 일단부가 기둥부재(20)에 힌지 결합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도어부(30)와 상기 도어부(30)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100)와 도어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부(3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200)와 장애물 접촉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300,310,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도어(31)는, 주힌지(33)에 의하여 일단부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4 중심축(C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기둥부재(20)와 결합되어 있고, 제2 도어(32)는 보조 힌지(34)에 의하여 일단부가 제1 도어(31)의 타단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문이다.
개폐 구동부(100)는, 도어부(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개폐 장치로서, 제1 중심축(C1)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축(111)을 포함하여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모터(110)와 구동축(111)의 회전 속도를 미리 정한 속도로 감속시킴으로써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감속기(120)와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도어부(30)에 전달하는 크랭크부재(130)와 양단부에 베어링(141,142)을 장착하여 크랭크부재(130)와 제1 도어(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로드부재(140)와 구동 모터(110)를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200)는, 도어부(30)가 개폐되는 경로를 미리 정한 경로로 가이드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단부가 제2 도어(32) 하단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재(2110)와 상단부가 수평부재(211)의 타단부와 결합된 수직부재(212)와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구름 운동 가능한 바퀴인 롤러(210)와 롤러(210)를 구름 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부인 가이드홀(220)을 포함한다.
도2에 의하면 도어부(3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로드부재(140)의 길이방향과 크랭크부재(130)의 길이 방향이 대략적으로 140도가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10)가 작동하게 되면 제1 중심축(C1)을 회전 중심축으로 구동축(111)이 회전하고 이어 크랭크부재(130)도 회전운동하여 베어링(141,142)으로 연결된 제1 도어(31)가 그 회전력으로 움직이게 되어 도어부(3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반경방향과 로드부재(140)의 길이 방향이 대략적으로 수직이 되며 도어부(30)가 폐쇄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3에 따르면, 제1 센서부(300)는 도어부(3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이고, 제2 센서부는 도어의 하단에 장착된 범퍼 센서로써 도어부(30) 개폐시에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충돌 감지센서부는 제1 도어(31) 및 제2 도어(32) 하단에 장착된 범퍼센서이다. 제2 센서부(310) 및 충돌 감지센서부(320)는 도어부(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도어부(30)가 다시 열리게 되고, 도어부(30)가 열리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 감지되면 도어부(30)가 정지된다.
하지만 본 출원인의 상기 등록특허는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부재(211)가 롤러(210)를 통해 가이드 홀(2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구조로서, 도어 개폐시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이나 해당 부분에서는 장애물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양측 도어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정상적으로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0015호(발명의 명칭 : 개폐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하단부에 부착된 이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한 푸셔가 센서부를 가압하게 되면 도어의 개폐동작이 멈추게 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의 하단부에 돌출형성 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부의 장애물 접촉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은 도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장애물의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 양측에는 도어부의 전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공에 제1 볼트부재, 상기 제2 장공에 제2 볼트부재가 각각의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푸셔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1푸셔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 외측에 설치되는 제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1 푸셔 및 제2 푸셔가 상기 센서부를 가압하는 경우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및 제2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푸셔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푸셔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연질 소재의 완충 플레이트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탄성 재질의 튜브형태로 제작된 범퍼튜브로서, 상기 범퍼 튜브 내부에 전기 접점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동작 시 사람이나 장애물이 도어를 접촉하게 되면 개폐동작이 멈춤으로써 인명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장애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발명의 접이식 자동 도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개폐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발명의 도어에 장착된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의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의 하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이동플레이트의 전후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이동플레이트의 반시계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이동플레이트의 시계방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세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은 수평부재(211)와, 이동플레이트(500)와, 제1 및 제2 푸셔(610, 620)와, 충돌 감지센서(320), 제1 및 제2 탄성부재(810, 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부재(211)는 제2 도어(32)의 하단에 수평 전방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 부재로서, 상면 내측은 제2 도어(32)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저면 외측은 수직부재(212)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212)의 하단부에 롤러(210)가 구름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부재(212)의 길이 방향과 롤러(210)의 회전 중심축 방향은 서로 일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부재(211)의 내측 양측에는 도어부의 전면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장공(710, 7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장공(710, 720)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 볼트(711, 712)가 각각 제1 및 제2 너트(712,722)와 결합되어 있어 제1 및 제2 볼트(711, 712)가 제1 및 제2 장공(710, 7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동플레이트(500)는 상기 수평부재(211)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판재로서, 수평부재(211)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211)의 제1 및 제2 장공(710, 720)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제1 및 제2 홀(510, 520)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볼트(711, 712)과 관통 결합된다.
완충플레이트(550)는 이동플레이트(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는 수평 판재로서, 수평부재(211)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도어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이동플레이트(500)가 먼저 장애물과 접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플레이트(550)는 장애물과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연질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할 제1 및 제2 푸셔(610, 620)에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되어 단차가 형성되게 하여 이동플레이트(500)가 우측에서의 장애물 접촉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푸셔(610)가 범퍼센서를 가압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준다.
제1 및 제2 푸셔(610, 620)는 원통형이나 중공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서, 이동플레이트(500) 상면 내측 중앙 및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푸셔(610)는 이동플레이트(500)의 내측 중앙부에, 제2 푸셔(620)는 이동플레이트(500) 상면 내측의 외측방향에 위치하여 이동플레이트(50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30)에 부착된 충돌 감지센서(32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30)의 하단에 수평 전방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211) 상의 이동플레이트(500)가 장애물과 충돌 시 충돌 감지센서(320)를 용이하게 가압함으로써, 수평부재(211)와 장애물의 충돌로 인한 재산 및 인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푸셔(610, 620)는 충돌 감지센서(32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푸셔(6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재(211)에 형성된 제2 장공(720)에 대응되는 위치인 이동플레이트(500) 상면 외측의 제2 홀(520)의 상에, 중공형태의 금속봉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제2 볼트(721)가 제2 푸셔(620)와 제2 홀(520) 및 제2 중공(720)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제2 너트(722)와 결합된다.
충돌 감지센서(320)는 제1 도어(31) 및 제2 도어(32)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 장착된 범퍼센서로서, 탄성 재질의 튜브 형태로 제작되고 내부에 전기 접점 스위치가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센서가 작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충돌 감지센서(320)는 도어(30) 개폐시 주변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자동도어(1000) 자체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1 및 제 2 탄성부재(810, 820)는 일단은 수직부재(212)에, 타단은 각각 제1 볼트(711) 및 제2 볼트(721)에 결합되어 있다. 이들 탄성부재(810, 820)는 이동플레이트(500)가 장애물과 충돌하여 장공(710, 712)을 따라 충돌 감지센서(320)측으로 이동할 때,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부재(211)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장공(710, 720)을 통과하는 제1 및 제2 볼트부재(711, 721)가 각각의 너트(712, 722)와 결합되고, 그 사이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및 제2 탄성부재(810, 82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이동플레이트의 동작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장애물이 이동플레이트(500)의 정면 방향으로 부딪치는 경우로서, 장애물의 접촉으로 외력이 발생하면 제1 장공(710)에 위치한 제1 볼트(711) 과 제2 장공(720)에 위치한 제2 볼트(721)가 동시에 제2 도어(32)의 전면부 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제1 푸셔(610)와 제2 푸셔(620)가 충돌 감지센서부(320)를 가압하게 되어 장애물 충동을 감지하여 도어 개폐동작의 멈춤이 가능해진다.
도 9는 장애물이 이동플레이트(500)의 좌측 사선방향에서 부딪치는 경우로서, 장애물의 접촉으로 외력이 발생하면 제 2 볼트(721)가 제2 장공(720)을 통해 도어 전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500)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푸셔(620)가 충돌 감지센서부(320)를 가압하게 되어 개폐동작의 멈춤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제2 장공(720)의 형태는 완만한 곡선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장애물이 이동플레이트(500)의 우측 사선방향에서 부딪치는 경우로서, 장애물의 접촉으로 외력이 발생하면 제 1볼트(711)가 제1 장공(710)을 통해 도어 전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500)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푸셔(610)가 충돌 감지센서부(320)를 가압함으로써 개폐동작의 멈춤이 되어 주변 사람이나 물체가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접이식 자동도어(1000) 자체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 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접이식 자동 도어,
10: 베이스 20: 기둥부재
30: 도어부 31: 제1 도어
32: 제2 도어 33: 주 힌지
34: 보조힌지 100: 개폐 구동부
110: 구동모터 111: 구동축
120: 감속기 130: 크랭크 부재
140: 로드부재 141: 상기 제1 베어링
142: 상기 제2 베어링 143: 베어링 지지부재
150: 하우징 200: 롤러
211: 수평 부재 212: 수직 부재
213(a),(b): 너트 220: 가이드홀
300: 제1 센서부 310: 제2 센서부
320: 충돌 감지센서부(제3센서부) 500: 이동플레이트
510: 제1 홀 520: 제2 홀
550: 완충플레이트 610: 제1 푸셔
620: 제2 푸셔 710: 제1 장공
711: 제1 볼트 712(a),(b):제1 너트
720: 제2 장공 721: 제2 볼트
722(a),(b):제2 너트 810: 제1 탄성부재
820: 제2 탄성부재

Claims (7)

  1.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도어를 포함하는 접이식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를 개폐하는 개폐 구동부와;
    상기 제1 도어 또는 제2 도어의 하단부에 돌출형성 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부의 장애물 접촉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은
    상기 도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장애물의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를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 양측에는 도어부의 전면방향을 따라 제 1 및 2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장공에 제 1 볼트부재, 상기 제 2 장공에 제2 볼트부재가 각각의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 1푸셔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 외측에 설치되는 제 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1 푸셔 및 제 2 푸셔가 상기 센서부를 가압하는 경우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 1 및 제2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푸셔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6. 제 1항, 제 3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연질 소재의 완충 플레이트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제1 및 제2 푸셔와 대응되는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7.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탄성 재질의 튜브형태로 제작된 범퍼튜브로서, 상기 범퍼 튜브 내부에 전기 접점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KR1020210119347A 2021-09-07 2021-09-07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KR10266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47A KR102666015B1 (ko) 2021-09-07 2021-09-07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47A KR102666015B1 (ko) 2021-09-07 2021-09-07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59A true KR20230036459A (ko) 2023-03-14
KR102666015B1 KR102666015B1 (ko) 2024-05-14

Family

ID=8550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347A KR102666015B1 (ko) 2021-09-07 2021-09-07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0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690A (ja) * 1994-09-19 1996-04-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用引き戸の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KR102180015B1 (ko) 2020-03-04 2020-11-17 선안이엔지(주) 개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690A (ja) * 1994-09-19 1996-04-0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用引き戸の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KR102180015B1 (ko) 2020-03-04 2020-11-17 선안이엔지(주) 개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015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7049A1 (en) Block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Gate Used as a Checkpoint
US20070200313A1 (en) Retractable Step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EP3108084B1 (en) Panel shutter with a deformation detection arrangement
JP4083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2180015B1 (ko) 개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JP3942346B2 (ja) 扉装置
KR20010105153A (ko) 플랫폼용 스텝장치
KR102209673B1 (ko)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KR20230036459A (ko)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JP59781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200413097Y1 (ko) 피난갱문
JP2000016281A (ja) 可動ホーム柵装置
WO2023160059A1 (zh) 汽车电梯用带缓冲的层门防撞阻挡装置及汽车电梯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KR102349019B1 (ko) 스크린 도어 연동형 안전 발판 장치
KR20090109692A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19980071879A (ko) 회전기능을 구비한 자동문
KR200409943Y1 (ko) 회전문 설치구조
JPH0624675A (ja) 両引き扉の安全装置
CN107857177B (zh) 一种电梯防撞装置
JP4285922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CN210659783U (zh) 一种用于旋转门的主动退缩式安全翼
KR20050087898A (ko) 피난갱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