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943Y1 - 회전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회전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943Y1
KR200409943Y1 KR2020050033938U KR20050033938U KR200409943Y1 KR 200409943 Y1 KR200409943 Y1 KR 200409943Y1 KR 2020050033938 U KR2020050033938 U KR 2020050033938U KR 20050033938 U KR20050033938 U KR 20050033938U KR 200409943 Y1 KR200409943 Y1 KR 200409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olving door
safety plate
door
installation fram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권
Original Assignee
김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권 filed Critical 김상권
Priority to KR2020050033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4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06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tract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 외벽(1)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0)의 내부 설치공간(13)에 회전문(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단에 안전판(20)이 경첩(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안전판(20)에는 회동상태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3)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복귀수단(3)은 복귀스프링(30)이나 도어체크(4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문(2)과 설치프레임(10)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안전판(20)이 회전문(2)을 이용한 건물 출입 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부딪칠 경우 경첩(21)을 통하여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안전한 회전문(2)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 후에는 복귀스프링(30)이나 도어체크(40)로 구성된 복귀수단(3)을 통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데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회전문, 안전판, 자동복귀, 끼임, 충돌, 도어체크

Description

회전문 설치구조{Structure of Installing a Revolving Doo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복귀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복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어체크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벽 2 - 회전문
3 - 복귀수단 10 - 설치프레임
20 - 안전판 21 - 경첩
본 고안은 회전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문을 통해 출입하는 과정에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출입구에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문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4개의 도어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중심을 출입구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출입 시 회전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문은 빌딩이나 호텔 등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출입구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회전문은 크게 출입자가 직접 도어를 밀면서 사용하는 수동형 회전문과 이 도어가 전기적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자동회전문으로 구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회전문을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설치프레임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고 있으며, 이 설치프레임이 곡면이 아닌 직선을 형태를 갖고 있을 경우에는 설치프레임의 단부에 안전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안전판은 회전문과 설치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여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내부에 쌓이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통하여 회전문이 건물에 출입구에 설치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의 빈번한 왕래가 이루어지는 출입구의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건물 전체의 미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도 동시에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문은 출입하는 과정에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회전문과 안전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 었다.
즉, 이러한 안전사고의 유형은 대부분 회전문이 회전하는 도중 안전판과 회전문의 틈새가 좁아지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진입을 시도하려다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장치가 시도되고 있으며, 그 예로 건물의 출입구에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회전문과 안전판 사이에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끼일 경우 안전요원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장치는 정밀하고 세밀하지 못하여 충분한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미 사람이나 물체에는 심각한 충격이 가해진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감지센서의 작동 시에는 이미 회전문과 안전판 사이에 사람이 끼여있는 상태이므로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게 됨은 물론 이 충격에 따른 고통이 심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구호 조치하는 과정에서 회전문이나 안전판이 파손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추가적인 폐단도 발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건물 출입 시 회전문과 안전판 사이에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한 회전문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문과 설치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안전판을 접촉 시 안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동 후에는 자동으로 복귀하도 록 구성하여 회전문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회전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문과 안전판 사이에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여 안전한 회전문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문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 외벽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의 내부 설치공간에 회전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일단에 안전판이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안전판에는 회동상태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이 설치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회전문과 설치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안전판이 회전문을 이용한 출입 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부딪칠 경우 경첩을 통하여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된 후 복귀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안전한 회전문의 사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건물 외벽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설치프레임이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고, 이 설치프레임의 내부 설치공간에 회전문이 회전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복귀수단의 실시 예를 요부 확대도로 나타낸 것으로, 설치프레임과 이 설치프레임의 일단에 경첩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안전판 사이에 복귀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복귀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요부 확대도로 나타낸 것으로, 설치프레임과 안전판 사이에 도어체크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도어체크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설치프레임과 안전판 사이에 설치된 도어체크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회전문(2)을 이용한 출입 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출입구에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건물 외벽(1)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0)의 내부 설치공간(13)에 회전문(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단에 안전판(20)이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안전판(20)에 복귀수단(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0)은 건물 외벽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회전문(2)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10)은 곡선프레임(11)과 직선프레임(12)이 혼합된 형 태로 성형 제작되어 회전문(2)이 설치되는 건물의 미감을 상승시킴과 아울러 편의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프레임(10)의 내부 설치공간(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문(2)은 4개의 도어를 서로 교체되게 결합한 후 그 중심을 설치공간(13)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문(2)이 설치프레임(10)을 통하여 건물 외벽(1)에 설치되어 출입구로 사용됨에 따라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보다 편하고 자유롭게 건물에 출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안전판(20)은 설치프레임(10) 중 직선프레임(12)의 단부에 경첩(2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문(2)과 직선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문(2)을 이용한 건물의 출입 과정에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안전판(20)과 회전문(2) 사이에 끼이거나 안전판(20)에 부딪칠 경우 안전판(20)이 경첩(21)을 통해서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되어 이 출입구에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안전사고의 유형은 대부분 회전문(2)이 회전하는 도중 회전문(2)과 안전판(20)의 틈새가 좁아지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진입을 시도하려다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안전판(20)이 경첩(21)을 통하여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될 경우 출입구의 공간을 확장시키게 되어 사람이나 동물, 물체가 출입구 사이에 끼이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첩(21)에는 안전판(20)이 출입구의 바깥으로 회동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도록 스토퍼(22)가 형성되어 상기 안전판(20)이 허용된 각도(예로 90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은 구성의 안전판(20)에는 경첩(21)에 의해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된 안전판(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3)이 설치된다.
상기 복귀수단(3)의 실시 예로 본 고안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판(20)과 직선프레임(12)의 안쪽에 각각 고정구(31)를 장착한 후 이 고정구(31)에 복귀스프링(30)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복귀스프링(30)은 안전판(20)의 회동 시 도 2의 가상선과 같이 압축되어 그 길이가 줄어들었다가 상기 안전판(20)을 회동시킨 힘이 해제될 경우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래의 길이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움직임을 갖는 복귀스프링(30)이 고정구(31)를 통하여 안전판(20)과 직선프레임(12) 사이에 장착됨에 따라 회전문(2)을 이용한 건물의 출입 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부딪쳐 안쪽으로 회동된 안전판(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판(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3)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판(20)과 직선프레임(12) 사이에 도어체크(40)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도어체크(40)는 안전판(20)의 안쪽에 설치된 도어체크몸체(41)와, 상기 도어체크몸체(41)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링크부재(42)와, 상기 링크부재(42)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안전판(20)이 설치된 설치프레임(10)의 안쪽에 고정되어 안전판(20)의 회동 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재(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체크몸체(41)는 내부에 작동실(44)이 형성되어 이 작동실(44)에 가압부재(4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가압부재(45)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46)가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45)의 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47)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 시 가압부재를 슬라이드 시키는 피니언기어(48)가 수용된다.
이 피니언기어(48)를 수용하기 위하여 작동실(44) 내에는 별도의 수용실(44a)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42)는 피니언기어(48)의 중심 결합부(48a)에 일단이 결합되어 안전판(20)의 회동 시 상기 피니언기어(48)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42)의 회동 시 피니언기어(48)가 헛돌지 않도록 링크부재(42)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48)의 중심 결합부(48a)는 사각형태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링크부재(42)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안전판(20)이 설치된 직선프레임(12)의 안쪽에 고정되는 가변부재(43)는 안전판(20)의 회동 시 그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링크부재(42)의 움직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변부재(43)는 그 길이가 자유롭게 가변되는 탄성스프링 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실린더(43a)와 이 실린더(43a)를 따라 움직이는 피스톤(43b)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안전판(20)의 회동 시 링크부재(42)에 의해 피니언기어(48)가 회전되고, 이를 따라 이 피니언기어(48)와 치차 결합된 가압부재(45)가 래크기어(47)를 따라 도면 상 좌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탄성체(46)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42)에 연결된 가변부재(43)는 링크부재(42)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피스톤(43b)이 실린더(43a)로부터 인출되어 그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링크부재(42)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체크(40)를 작동시키던 압력이 해제될 경우 압축된 탄성체(46)가 자체 탄성력을 통하여 가압부재(45)를 원래의 위치로 밀어내게 되고, 이 가압부재(45)의 슬라이드에 의해 래크기어(47)와 치차 결합된 피니언기어(48)가 회동되며, 이 피니언기어(48)의 회동에 의해 링크부재(42) 및 이와 연결된 가변부재(4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도어체크(40)의 움직임을 통하여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에 부딪쳐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되었던 안전판(20)은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어 직선프레임(12)과 회전문(2)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복귀수단(3)을 통하여 자동으로 복귀된 안전판(20)은 경첩(21)에 형성된 스토퍼(22)에 의해 단속되어 출입구의 바깥으로는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문과 설치프레임 사이의 빈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안전판이 회전문을 이용한 출입 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등이 부딪칠 경우 경첩을 통하여 출입구의 안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안전한 회전문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 후에는 복귀스프링이나 도어체크로 구성된 복귀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데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건물 외벽(1)에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0)의 내부 설치공간(13)에 회전문(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단에 안전판(20)이 경첩(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안전판(20)에는 회동상태를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3)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3)은 내부 작동실(44)에 가압부재(4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가압부재(45)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46)가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재(45)의 일면에 형성된 래크기어(47)와 치차 결합된 피니언기어(48)가 수용되어 안전판(20)의 안쪽에 설치된 도어체크몸체(41)와, 상기 피니언기어(48)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링크부재(42)와, 상기 링크부재(42)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안전판(20)이 설치된 설치프레임(10)의 안쪽에 고정되어 안전판(20)의 회동 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재(43)를 구비하여서 된 도어체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 설치구조.
KR2020050033938U 2005-12-01 2005-12-01 회전문 설치구조 KR200409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38U KR200409943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938U KR200409943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943Y1 true KR200409943Y1 (ko) 2006-03-03

Family

ID=4176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938U KR200409943Y1 (ko) 2005-12-01 2005-12-01 회전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33B1 (ko) 2006-09-07 2007-08-29 왕복권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KR101593392B1 (ko) 2014-08-13 2016-02-15 (주)해밀 스윙도어용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33B1 (ko) 2006-09-07 2007-08-29 왕복권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KR101593392B1 (ko) 2014-08-13 2016-02-15 (주)해밀 스윙도어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7049A1 (en) Block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Gate Used as a Checkpoint
US20200010304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for Protecting Hand from Getting Jammed
US20080016772A1 (en) Revolving Door
KR200409943Y1 (ko) 회전문 설치구조
WO2006068945A3 (en) Hinged door safety device
CN105658481B (zh) 具有冲击保护装置的鸥翼门
US5445206A (en) Flexible closures formed of interlocking segments
KR101292418B1 (ko) 수평밀착형 창호의 오동작 방지 핸들
KR102248737B1 (ko)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EP1378622A2 (en) A door opening and/or closing device
KR200422226Y1 (ko) 도어 안전장치
CN100491684C (zh) 防盗推拉窗通用限位器
CN109653619B (zh) 一种限位器
KR100854054B1 (ko)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JP6967590B2 (ja) ドアまたは窓の取付アセンブリ、および、取付アセンブリを用いたドアまたは窓アセンブリ
KR200222848Y1 (ko) 자바라셔터식방범창문
KR20030090134A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US11566462B2 (en)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KR102666015B1 (ko) 장애물 감지 센서모듈을 갖는 자동 접이식 도어장치
CN214697637U (zh) 一种防反转单向闸机
KR102264558B1 (ko)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CN215671976U (zh) 一种具有安全防夹机构的平移伸缩门
CN216305753U (zh) 一种三翼自动环柱旋转门
KR200196482Y1 (ko) 출입문의 손가락 보호장치
KR20050101441A (ko) 회전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