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633B1 -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33B1
KR100753633B1 KR1020060086120A KR20060086120A KR100753633B1 KR 100753633 B1 KR100753633 B1 KR 100753633B1 KR 1020060086120 A KR1020060086120 A KR 1020060086120A KR 20060086120 A KR20060086120 A KR 20060086120A KR 100753633 B1 KR100753633 B1 KR 10075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rotary
revolving
actuator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복권
Original Assignee
왕복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복권 filed Critical 왕복권
Priority to KR102006008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0Revolving doors; Cages or hous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회전문에 있어 특히, 내측 회전날개가 외벽체를 향해 전개되는 구조를 갖는 개방형 자동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의 회전날개 내측 하단부에 각각 체결구와 솔레노이드를 장착 형성하되, 4개로 나뉜 회전날개에 있어 한 개의 회전날개에는 체결구를 돌출 형성하고 나머지의 회전날개에는 엑츄에이터가 출몰되는 솔레노이드를 장착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와 솔레노이드의 상호 체결 작용에 의해 그 회전날개의 내측단이 서로 견고한 체결상태를 갖게 형성함으로써,
완전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에 있어 단일 힌지축에 의한 회전날개의 흔들림이나 유동성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회전문을 통과하는 사람이나 물품 등에 의해 그 회전날개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그 회전문의 힌지축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관계부품이 파손되거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이다.
자동회전문, 회전날개, 체결구,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

Description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Automatic revolving door having wing-end fixing system using solenoid valve}
도 1은 일반적인 개방형 자동회전문의 평면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회전날개 하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솔레노이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체결구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솔레노이드 단면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교차 복귀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회전날개 2 : 제2회전날개
3 : 제3회전날개 4 : 제4회전날개
10 : 체결구 11 : 몸체부
12,12' : 삽입구 13,13' : 가이드롤러
20 : 솔레노이드 21 : 엑츄에이터
22 : 스토퍼 23 : 체결몸체
24,24' : 코일부 25,25' : 원통체
26,26' : 마감판 27,27' : 체결봉
28 : 출몰부 29 : 탄성부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자동회전문에 있어 특히, 내측 회전날개가 외벽체를 향해 전개되는 구조를 갖는 개방형 자동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회전날개의 내측 하단부에 체결구와 솔레노이드를 각기 구분 장착 형성하여, 상기 회전날개가 자동회전문의 중앙을 향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와 솔레노이드의 상호 결속상태에 의해 각각의 회전날개가 유동하거나 흔들림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는 회전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회전문을 통해 통행자 또는 각종 물건이 자유롭게 드나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상의 회전문은 출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그 회전날개를 밀어 회전축이 회전됨과 동시에 그 회전문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며, 근 자에 들어서는 상기 회전축에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출입부에는 감지센서를 각각 장착하여, 통행자가 근접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감지와 동시에 상기 동력장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와 연결된 회전축이 자동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서, 통행자가 직접 회전문을 밀고 들어가는 불편함이 극복된 자동회전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일반적인 회전문과 자동회전문은, 회전날개 단부와 투명벽체의 내주면에 물건이나 옷자락 등이 끼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며, 길이가 긴 물건을 통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날개의 형성각도에 의해 그 회전문을 통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각각의 회전날개가 그 회전축으로부터 일측 또는 양측으로 회전 절첩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서,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해당 회전날개를 접어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며, 길이가 긴 물건이나 물품을 통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해당 회전날개를 회전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절첩시켜 안전한 통행로가 확보되게 한 자동회전문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회전문 및 그 회전날개의 절첩구조는, 대부분 그 중앙회전축을 축점으로하여 평행상으로 절첩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의해 상기한 회전날개 절첩시키더라도 그 회전날개 및 이를 힌지 고정하고 있는 중앙회전축은 여전히 회전문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넓은 통행로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회전문이나 자동회전문은 공통으로 수직의 중앙회전축에 많은 수의 회전날개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통행로의 확보 또는 안전상의 이유로 그 회전날개를 접어야 하는 경우 그 회전날개는 상기한 중앙회전축으로부터 절첩되는 구조이므로, 회전문 내측 중앙에는 여전히 그 중앙회전축과 회전날개가 위치하게 되므로 넓은 통행로의 확보가 불가능한 것이며, 보디가드를 동행하여야 하는 귀빈이나 연예인의 경우에는 회전문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본인 단독으로 통과하여야 하므로 신변이 일시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며, 자동차 전시장이나 가구 전시장 또는 이와 유사한 크기의 물품이 전시되거나 진열되어야 하는 장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회전축을 갖는 회전문을 이용하여 자동차나 물품이 출입할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출입통로나 대형의 여닫이문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5-69334호와 같이, 일정각도로 분할된 각각의 회전날개를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되는 상판 하측에 각기 힌지 장착하되, 상기 회전날개의 상단 외측은 상판 내측 지지대의 외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회전날개의 상단 내측은 상판 내측 크로스바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가 선단 외측을 축점으로 그 외벽체를 향해 전개되게 함으로서, 중앙회전축이 없는 상태에서도 종래와 같은 회전문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만족하면서도, 회전문의 통행로를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 회전날개를 외벽체의 내측으로 절첩 전개시켜 그 회전문의 통행로가 완전 개방될 수 있게 하므로,
안전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귀빈이나 연예인이 동행인과 함께 출입할 수 있으면서도, 자동차나 가구와 같은 대형 물품이 그 회전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으므 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됨은 물론 별도의 여닫이문을 설치하지 않아도 각종 물품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일시에 많은 수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개방로의 역할을 겸할 수 있어 그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을 안출한 바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2005-69369호 및 도 1의 도시와 같이, 내통체를 가로질러 형성된 크로스바(100)(100')의 상측에 작동모터(101)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102)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그 나사축(102)에는 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이동구는 회전날개(103)(103')에 형성된 슬라이더의 이동로드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상기 작동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102)을 회전시켜 이동구 및 슬라이더의 유동에 의해 그 회전날개(103)(103')가 자동으로 외벽체(104)(104')를 향해 전개되거나 중앙으로 복귀되게 하여 보다 편리한 회전날개의 개방상태 또는 복원상태를 가변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크로스바를 이용하여 나사축과 작동모터만을 추가하므로 구조의 단순함과 더불어 저비용으로 회전날개의 자동전개구조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 접철구조를 제안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회전문은 그 회전날개가 외벽체를 향해 완전히 전개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자동회전문이 가동되기 위해서는 전개되어 있던 상태의 회전날개가 교차 형태로 그 중앙을 향하여 복귀되어야 하는 것 인데, 상기와 같은 교차 상태에서의 작동시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의 내측단이 모두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회전날개가 흔들리거나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은 각각의 회전날개의 선단이 상부 힌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어 자동회전문의 가동시에는 상기 힌지축이 편심 위치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불안정한 지지력을 갖게 되어 작은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서도 쉽게 유동하거나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예측할 수 없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각각의 회전날개가 유동하면서 이들 간의 마찰소음을 유발시키면서도, 회전날개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한 힌지축으로 집중되므로 해당 부분이 파손되거나 사용수명이 극히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의 회전날개 내측 하단부에 각각 체결구와 솔레노이드를 장착 형성하되, 4개로 나뉘어진 회전날개에 있어 한 개의 회전날개에는 체결구를 돌출 형성하고 나머지의 회전날개에는 엑츄에이터가 출몰되는 솔레노이드를 장착 형성하여, 상기 체결구와 솔레노이드의 상호 체결 작용에 의해 그 회전날개의 내측단이 서로 견고한 체결상태를 갖게 형성함으로써,
완전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에 있어 단일 힌지축에 의한 회전날개의 흔들림이나 유동성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회전문을 통과하는 사람이나 물품 등에 의해 그 회전날개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그 회전문의 힌지축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관계부품이 파손되거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회전날개 하부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솔레노이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문의 체결구 평단면도이다.
분할벽체의 내측으로부터 4방향의 회전날개가 교차 회전되거나, 직선상으로 회전 개방되게 한 자동회전문에 있어서,
4개로 된 회전날개에 있어, 그 중 제1회전날개(1)의 일측 하단에는 체결구(10)를 돌출되게 장착하고,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의 일측 하단에는 엑츄에이터(21)가 출몰되는 솔레노이드(20)를 장착하되,
상기 체결구(10)는, 제1회전날개(1)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몸체부(11)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노출 단부에는 측 3방향으로 삽입구(12)(12')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삽입구(12)(12')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가이드롤러(13)(13')가 수직으로 상기 몸체부(11)에 핀 고정되어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중간부에 보다 확장경으로 된 스토퍼(22)가 형성된 엑츄에이터(21)의 외측에는, 그 중간부에 체결몸체(23)가 위치하고 그 체결몸체(23)의 양측에는 내부에 코일부(24)(24')를 갖는 원통체(25)(25')가 위치하며, 상기 원통체(25)(25')의 외측단에는 마감판(26)(26')이 위치하여, 상기 체결몸체(23)를 관통하여 양단의 마감판(26)(26')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체결봉(27)(27')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엑츄에이터(21)의 단부에는 비교적 연질의 금속재로 된 출몰부(28)를 체결 형성하고, 그 출몰부(28)의 단부에는 연질의 고무재로 된 탄성부재(29)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개형 자동회전문의 경우 종래와 같이 회전날개가 자동회전문의 중앙기둥에 동시에 장착된 것이 아니라, 각각의 회전날개가 각기 분리되어 그 외측단이 힌지 고정되어 이를 통해 각 단부가 교차 위치하거나 직선상으로 회전 전개되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교차 위치하여 회전하는 회 전날개는 그 교차부의 결속장치가 없었으므로 흔들리거나 하중에 의해 부하 회전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각각의 회전날개에 체결구와 솔레노이드를 각각 장착하여 이들의 상호 결합 작용에 의해 분리된 회전날개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제1회전날개(1)와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로 각기 구분된 상태에서 제1회전날개(1)의 일측 하단부에 체결구(10)를 장착 형성하고,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의 일측 하단부에는 솔레노이드(20)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의 체결구(10)는 측 3방향으로 삽입구(12)(12')가 형성되어 있어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에 장착된 솔레노이드(10) 내의 엑츄에이터(21)가 상기 삽입구(12)(12') 내로 삽입되어 서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한 체결구(10)는 제1회전날개(1)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몸체부(11)를 갖고 제1회전날개(1)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측 3방향으로 삽입구(1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삽입구(12)(12') 양측에는 수직의 가이드롤러(13)(13')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솔레노이드(20)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양측 코일부(24)(24')에 의해 구동하는 방식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인데, 일반적인 단방향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게 되면 회전날개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엑츄에이터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자체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낭비는 그 사용수명에 있어서도 비합리적인 것이다.
따라서, 금속체로 된 엑츄에이터(21)의 외측 중앙에는 체결몸체(23)를 형성하고, 그 체결몸체(23)의 양측에 각각 코일부(24)(24')가 구분 내장된 원통체(25)(25')를 위치시키며, 상기 원통체(25)(25')의 외측단에는 대향의 마감판(26)(26')을 위치시켜 별도의 체결봉(27)(27')에 의해 이들을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엑츄에이터(21)의 내측 중앙에는 탄성 고무재 등으로 된 스토퍼(22)가 형성되어 있어 코일부(24)(24')에 각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엑츄에이터(21)가 출몰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체결몸체(23)의 내측에서만 유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스토퍼(22)에 의해 상기 엑츄에이터(21)의 출몰 길이 등을 제한하여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일측 코일부(24)에 전원을 인가하면 그에 따라 엑츄에이터(21)가 인가된 코일부(24) 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므로 이를 통해 별도의 체결구(10) 내의 삽입구(12)(12') 내측으로 단부가 끼워지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하여도 이동된 엑츄에이터(21)는 인위적이거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기 전에는 복귀하거나 스스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상기한 체결구(10)와의 결합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타측의 코일부(24')에 전원을 인가하면 돌출되어 있던 내부의 엑츄에이터(21)가 급속하게 함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체결 구(10)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므로 각각의 회전날개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전개 개방상태가 완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엑츄에이터(21)는 단일 금속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 체결구(10)와의 결합부인 출몰부(28)를 보다 무른 금속재로 형성하여 이를 본래의 엑츄에이터(21)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무른 재질에 의해 출몰부(28)와 가이드롤러(13)(13') 간의 마찰 소음을 감소시켜 보다 부드럽고 정숙한 체결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출몰부(28)의 외측 단부에는 고무재 등으로 된 탄성부재(29)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마찰 소음의 감소는 물론 간섭 충격 등을 완화시켜 더욱 향상된 상호 체결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던 각각의 회전날개 중 제1회전날개(1)가 우선 회전된 상태에서 나머지의 회전날개(2)(3)(4)가 순차적으로 교차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의 내측에 장착되오 있는 솔레노이드(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그 엑츄에이터(21)가 돌출하므로 상기 제1회전날개(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체결구(10)와 동시에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각기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제1회전날개(1) 및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가 유동하거나 흔들림없이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은, 완전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에 있어 단일 힌지축에 의한 회전날개의 흔들림이나 유동성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회전문을 통과하는 사람이나 물품 등에 의해 그 회전날개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그 회전문의 힌지축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관계부품이 파손되거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분할벽체의 내측으로부터 4방향의 회전날개가 교차 회전되거나, 직선상으로 회전 개방되게 한 자동회전문에 있어서,
    4개로 된 회전날개에 있어, 그 중 제1회전날개(1)의 일측 하단에는 체결구(10)를 돌출되게 장착하고,
    제2 내지 제4회전날개(2)(3)(4)의 일측 하단에는 엑츄에이터(21)가 출몰되는 솔레노이드(20)를 장착하되,
    상기 체결구(10)는, 제1회전날개(1)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몸체부(11)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노출 단부에는 측 3방향으로 삽입구(12)(12')가 각각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삽입구(12)(12') 내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가이드롤러(13)(13')가 수직으로 상기 몸체부(11)에 핀 고정되어 구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20)는, 중간부에 보다 확장경으로 된 스토퍼(22)가 형성된 엑츄에이터(21)의 외측 중간부에 관통체로 된 체결몸체(23)가 위치하고 그 체결몸체(23)의 양측에는 내부에 코일부(24)(24')를 갖는 원통체(25)(25')가 위치하며, 상기 원통체(25)(25')의 외측단에는 마감판(26)(26')이 위치하여, 상기 체결몸체(23)를 관통하여 양단의 마감판(26)(26')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체결봉(27)(27')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2. 제 1항에 있어서,
    엑츄에이터(21)의 단부에는 비교적 연질의 금속재로 된 출몰부(28)를 체결 형성하고, 그 출몰부(28)의 단부에는 연질의 고무재로 된 탄성부재(29)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KR1020060086120A 2006-09-07 2006-09-07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KR10075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20A KR100753633B1 (ko) 2006-09-07 2006-09-07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20A KR100753633B1 (ko) 2006-09-07 2006-09-07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633B1 true KR100753633B1 (ko) 2007-08-29

Family

ID=3861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20A KR100753633B1 (ko) 2006-09-07 2006-09-07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75A (zh) * 2011-04-29 2011-09-28 北京宝盾门业技术有限公司 具有宽通道的双体旋转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285A (en) 1987-06-10 1989-10-10 C. J. Rush Inc. Quarter point return mechanism for manually operated revolving doors
US4989368A (en) 1989-08-22 1991-02-05 Trikilis Emmanuel M Turnstile assembly
KR200409943Y1 (ko) 2005-12-01 2006-03-03 김상권 회전문 설치구조
KR100641268B1 (ko) 2005-07-29 2006-11-03 왕복권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285A (en) 1987-06-10 1989-10-10 C. J. Rush Inc. Quarter point return mechanism for manually operated revolving doors
US4989368A (en) 1989-08-22 1991-02-05 Trikilis Emmanuel M Turnstile assembly
KR100641268B1 (ko) 2005-07-29 2006-11-03 왕복권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KR200409943Y1 (ko) 2005-12-01 2006-03-03 김상권 회전문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75A (zh) * 2011-04-29 2011-09-28 北京宝盾门业技术有限公司 具有宽通道的双体旋转门
CN102199975B (zh) * 2011-04-29 2012-09-19 北京宝盾门业技术有限公司 双体旋转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281B1 (ko)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KR100641268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US935356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driving a movable partition
JP5371500B2 (ja) 航空機用化粧室のドア構造
EP2877663B1 (en) Bi-parting, bi-directional door system
EP2872716B1 (en) Hinge for rotatably moving a door, in particular a reinforced door
KR100753633B1 (ko) 솔레노이드에 의한 회전날개의 단부 고정구조를 갖는자동회전문
US8393056B2 (en) Control motion hinge
US9322203B2 (en) Mini slat folding door
KR100756645B1 (ko) 자동회전문의 전개형 회전날개용 코너 마감구
JP4862811B2 (ja) 化粧室ユニット
CA2758450C (en) Panel movement system
KR102167596B1 (ko)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KR101119924B1 (ko)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180093706A (ko) 미관이 수려한 접철식 방충도어의 손끼임 방지 연결구조
KR200399720Y1 (ko)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KR200399721Y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JPH0387485A (ja) ヒンジ
JP3975216B2 (ja) 非常用開放機構付き開き戸
KR100365297B1 (ko) 슬라이드 접이식 창호용 롤러
JP2003278434A (ja) 戸パネル用のガイドレール装置
KR200358355Y1 (ko) 개찰구용 스윙 게이트 장치
KR100712316B1 (ko) 장애인용 화장실 도어
JP3595459B2 (ja) 折れ戸
KR200383810Y1 (ko) 지하철 출입문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