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130A -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130A
KR20230036130A KR1020237004427A KR20237004427A KR20230036130A KR 20230036130 A KR20230036130 A KR 20230036130A KR 1020237004427 A KR1020237004427 A KR 1020237004427A KR 20237004427 A KR20237004427 A KR 20237004427A KR 20230036130 A KR20230036130 A KR 2023003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device
free
projection len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크마르 하클
야코브 퓌어링거
마르쿠스 다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3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조명 장치(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10)는 하기 특징들, 즉 -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로우빔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1); - 비대칭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를 구비한 빔 조리개(20)이며, 광 모듈(11)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서, 빔 조리개(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빔 조리개(2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와 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는 것인, 상기 빔 조리개(20); 및 - 광축(B)을 구비한 투영 렌즈(100)이며, 상기 투영 렌즈(100)는 주 방사 방향으로 조명 장치(10)의 전방에 광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투영 렌즈(100)는 광 입사면(110)과 이 광 입사면(11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볼록한 광 출사면(120)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투영 렌즈(100);를 포함하되, 투영 렌즈(100)는 이 투영 렌즈 상에 배치되는 광학 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장치는 각각 하나의 활성면(211)을 구비한 복수의 자유 형상 렌즈(210)를 포함하고, 광학 장치는, 투영 렌즈(100) 내로 입사되어 자유 형상 렌즈들의 활성면들을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의 일부분을, 로우빔 광 분포의 비대칭 명암 경계의 위쪽 영역 상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하기 특징들, 즉,
-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로우빔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
-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diaphragm edge)를 구비한 빔 조리개(beam diaphragm)이며, 광 모듈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서, 빔 조리개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빔 조리개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와 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는 것인, 상기 빔 조리개; 및
- 광축을 구비한 투영 렌즈이며, 상기 투영 렌즈는 주 방사 방향으로 조명 장치의 전방에 광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투영 렌즈는 광 입사면과 이 광 입사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볼록한 광 출사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투영 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명암 경계의 위쪽에 위치하는 광 분포의 상기 영역은 (교통 표지의 가시성에서 도출되는) 오버헤드(overhead) 또는 표지광(signlight) 영역으로서도 지칭된다.
상기 영역 내에서 법적 측정점들은 수평선 위쪽에서 최대 4°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측정점들에서 각각 설정되는 조도(illuminance)에 대한 최솟값 및 최댓값 그리고 이른바 합값(sum value)을 특징으로 한다.
로우빔 광 기능을 포함한 투영 시스템들은 시스템으로 인해 명암 경계의 위쪽에 매우 약한 광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오버헤드 영역이 투영 시스템들에서 이용되는 빔 조리개를 통해 유효하게 차광되기 때문이다.
유효한 차광으로 인해, 적합한 광량으로 상기 측정점들의 충분한 조명을 위한 특별한 조치들이 필요하다. 이 경우, 그와 동시에, 명암 경계의 근처에 규정된 최댓값들의 준수에도 유의해야 한다. 상기 최댓값들은 이른바 눈부심 값(glare value)으로서도 지칭된다.
광학 장치는, 일반적으로 투영 렌즈의 "원래의" 광 입사면 또는 광 출사면의 변형태(modification)이고, 명암 경계 위쪽의 영역에서 광을 편향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매우 상이한 변형태들도 가능하다.
상기 광학 장치들을 포함한 모든 공지된 해결책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문제는, 편향된 빔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 집중되고, 그런 까닭에 한편으로 상기 영역에 너무 많은 광이 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영역들이 너무 낮은 광값을 보유한다는 점이며, 다시 말하면 공지된 해결책들에 의해 상기 영역이 균질하지 않게 조명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투영 렌즈가 이 투영 렌즈 상에 배치된 광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장치는 각각 하나의 활성면(active surface)을 구비한 복수의 자유 형상 렌즈(free-form lens)를 포함하되, 광학 장치는, 투영 렌즈 내로 입사되어 자유 형상 렌즈들의 활성면들을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의 일부분을, 로우빔 광 분포의 비대칭 명암 경계의 위쪽 영역 상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투영 렌즈 상에서 활성면들 및 이들의 프로파일의 목표하는 선택을 통해, 로우빔 광분포에서 최대한 폭이 넓으면서 균질하게 조명되는 표지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장치는, 투영 렌즈의 광 출사면 상에 배치되어, 광 출사면의 조작(manipulation)된 일부분이면서 볼록한 광 출사면과 다른 상기 조작된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의 활성면과 광 출사면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face intersecting line)에서 시작 에지부(start edge)를 형성할 수 있되, 활성면은 시작 에지부에서부터 출발하여 광 출사면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시작 에지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주 방사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는 광 출사면 상의 직교 투영(orthogonal projection)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출사면까지 제1 간격을 보유하고, 제2 단부는 광 출사면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출사면까지 제2 간격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장치의 자유 형상 렌즈들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서, 수평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활성면들의 제1 간격은 수평으로 배치된 자유 형상 렌즈들 중 제1 자유 형상 렌즈에서부터 출발하여 최종 자유 형상 렌즈로 향하는 코스에서 우선 제2 간격보다 더 작고, 제1 간격은 광축으로 향하는 코스에서 증가하고 제2 간격은 감소하며, 그럼으로써 자유 형상 렌즈들의 제1 간격은 광축의 영역에서 제2 간격과 동일하게 되되, 제1 간격은 광축의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코스에서 추가로 증가하고 제2 간격은 추가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장치는, 투영 렌즈의 광 입사면 상에 배치되어, 광 입사면의 조작된 일부분이면서 광 입사면과 다른 상기 조작된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유 형상 렌즈들은 상호 간에 평행한 복수의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의 활성면과 광 입사면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에서 시작 에지부를 형성할 수 있되, 활성면은 시작 에지부에서부터 출발하여 광 입사면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시작 에지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는 광 입사면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입사면까지 제1 간격을 보유하고, 제2 단부는 광 입사면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입사면까지 제2 간격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일측 활성면의 제1 간격과 제2 간격은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활성면의 제1 간격과 제2 간격은 서로 동일한 크기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장치의 자유 형상 렌즈들은, 로고, 예컨대 제조업체 로고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유 형상 렌즈들은 상호 간에 하나의 라인에 인접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활성면들은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명암 경계는 비대칭이거나 직선일 수 있다.
본원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통해 동일하게 해결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의 도면들에 근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예시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되, 조명 장치는 광 모듈을 포함하고, 광 모듈의 광은 빔 조리개를 경유하여 투영 렌즈에 의해 조명 장치의 전방에 투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투영 렌즈를 도시한 정면도이되, 투영 렌즈는 복수의 자유 형상 렌즈를 구비한 광학 장치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3의 광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예시의 자유 형상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또 다른 예시의 자유 형상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c는 또 다른 예시의 자유 형상 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투영 렌즈 및 광학 장치를 상부에서 보고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예시의 조명 장치(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로우빔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광 모듈(11)을 포함한다.
또한, 조명 장치(10)는 비대칭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를 구비한 빔 조리개(20)를 포함하고, 광 모듈(11)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서, 빔 조리개(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빔 조리개(2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와 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한다.
또한, 조명 장치는 광축(B)을 구비한 투영 렌즈(1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영 렌즈(100)는, 주 방사 방향으로 조명 장치(10)의 전방에 광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투영 렌즈(100)는 광 입사면(110)과 이 광 입사면(11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볼록한 광 출사면(120)을 포함한다.
투영 렌즈(100) 상에서 광학 장치(200)는 광 출사면(120) 상에 배치되고, 광학 장치(200)는, 광 출사면의 조작된 일부분이면서 볼록한 광 출사면(120)과 다른 상기 조작된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 장치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각각 하나의 활성면(211)을 구비한 복수의 자유 형상 렌즈(210)를 포함하고, 광학 장치(200)는, 투영 렌즈(100) 내로 입사되어 자유 형상 렌즈들의 활성면(211)들을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의 일부분을, 로우빔 광 분포의 비대칭 명암 경계의 위쪽 영역 상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a ~ 4c에는, 자유 형상 렌즈(210)들의 예시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210)의 활성면(211)과 광 출사면(120)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에서 시작 에지부(211a)를 형성하고, 활성면(211)은 시작 에지부(211a)에서부터 출발하여 광 출사면(120)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시작 에지부(211a)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211b)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주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211b)는 제1 단부(212a)와 제2 단부(212b)를 포함하고, 제1 단부(212a)는 광 출사면(12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출사면(120)까지 제1 간격(A1)을 보유하고, 제2 단부(212b)는 광 출사면(12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출사면(120)까지 제2 간격(A2)을 보유한다. 이런 경우, 활성면들은 만곡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이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간격(A1)은 제2 간격(A2)보다 더 크되, 제2 간격(A2)은 영(0)이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간격(A1)은 제2 간격(A2)보다 더 크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간격(A1)은 제2 간격(A2)과 동일한 크기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에서, 광학 장치(200)의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서, 수평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활성면(211)들의 제1 간격(A1)은 수평으로 배치된 자유 형상 렌즈들 중 제1 자유 형상 렌즈에서부터 출발하여 최종 자유 형상 렌즈로 향하는 코스에서 우선 제2 간격(A2)보다 더 작고, 제1 간격(A1)은 광축(B)으로 향하는 코스에서 증가하고 제2 간격(A2)은 감소하며, 그럼으로써, 투영 렌즈(100) 및 광학 장치(200)가 상부에서부터 보이는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자유 형상 렌즈들의 제1 간격(A2)은 광축(B)의 영역에서 제2 간격(A2)과 동일하고, 제1 간격(A1)은 광축(B)의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추가 코스에서는 추가로 증가하고 제2 간격(A2)은 추가로 감소한다.
또한, 광학 장치(200)는 또 다른 영역에서 투영 렌즈(100)의 광 입사면(1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되,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상호 간에 평행한 복수의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와 유사한-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210)의 활성면(211)과 광 입사면(110)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에서 시작 에지부를 형성하고, 활성면(211)은 시작 에지부(211a)에서부터 출발하여 광 입사면(110)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시작 에지부(211a)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211b)까지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211b)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는 광 입사면(11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입사면(120)까지 제1 간격(A1)을 보유하고, 제2 단부(212b)는 광 입사면(12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광 출사면(120)까지 제2 간격(A2)을 보유한다.
이런 경우, 일측 활성면(211)의 제1 간격(A1)과 제2 간격(A2)은 동일한 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활성면(211)의 제1 간격(A1)과 제2 간격(A2)은 동일한 크기이다.
예컨대 광학 장치(200)의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광학 장치가 광 입사면(110)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로고, 예컨대 제조업체 로고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10: 조명 장치
11: 광 모듈
20: 빔 조리개
100: 투영 렌즈
110: 광 입사면
120: 광 출사면
200: 광학 장치
210: 자유 형상 렌즈
211: 활성면
211a: 시작 에지부
211b: 경사 에지부
212a: 제1 단부
212b: 제2 단부
A1: 제1 간격
A2: 제2 간격
B: 광축

Claims (13)

  1.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조명 장치(10)로서, 상기 조명 장치(10)는 하기 특징들, 즉,
    -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로우빔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11);
    - 명암 경계의 생성을 위한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를 구비한 빔 조리개(20)이고, 광 모듈(11)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조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서, 빔 조리개(2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빔 조리개(20)의 광학 관련 조리개 에지부와 결합되어 로우빔 광 분포의 생성에 기여하는 것인, 상기 빔 조리개(20); 및
    - 광축(B)을 구비한 투영 렌즈(100)이고, 상기 투영 렌즈(100)는 주 방사 방향으로 조명 장치(10)의 전방에 광 모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고, 투영 렌즈(100)는 광 입사면(110)과 이 광 입사면(11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볼록한 광 출사면(120)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투영 렌즈(100);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100)는 이 투영 렌즈 상에 배치된 광학 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장치는 각각 하나의 활성면(211)을 구비한 복수의 자유 형상 렌즈(210)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장치는, 상기 투영 렌즈(100) 내로 입사되어 상기 자유 형상 렌즈들의 활성면들을 경유하여 출사되는 광의 일부분을, 로우빔 광 분포의 비대칭 명암 경계의 위쪽 영역 상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200)는, 상기 투영 렌즈(100)의 광 출사면(1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 출사면(120)의 조작된 일부분이면서 상기 볼록한 광 출사면(120)과 다른 상기 조작된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210)의 활성면(211)과 상기 광 출사면(120)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에서 시작 에지부(211a)를 형성하고, 상기 활성면(211)은 상기 시작 에지부(211a)에서부터 출발하여 상기 광 출사면(120)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상기 시작 에지부(211a)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211b)까지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주 방사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211b)는 제1 단부(212a)와 제2 단부(21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212a)는 상기 광 출사면(12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상기 광 출사면(120)까지 제1 간격(A1)을 보유하고, 상기 제2 단부(212b)는 상기 광 출사면(12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상기 광 출사면(120)까지 제2 간격(A2)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200)의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 상기 조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서, 수평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활성면(211)들의 제1 간격(A1)은 수평으로 배치된 자유 형상 렌즈들 중 제1 자유 형상 렌즈에서부터 출발하여 최종 자유 형상 렌즈로 향하는 코스에서 우선 상기 제2 간격(A2)보다 더 작고, 상기 제1 간격(A1)은 광축(B)으로 향하는 코스에서 증가하고 상기 제2 간격(A2)은 감소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자유 형상 렌즈들의 제1 간격(A1)은 상기 광축(B)의 영역에서 상기 제2 간격(A2)과 동일하게 되고, 상기 제1 간격(A1)은 상기 광축(B)의 이격 방향으로 향하는 코스에서 추가로 증가하고 상기 제2 간격(A2)은 추가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200)는, 상기 투영 렌즈(100)의 광 입사면(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 입사면(110)의 조작된 일부분이면서 상기 광 입사면(110)과 다른 상기 조작된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상호 간에 평행한 복수의 라인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자유 형상 렌즈(210)의 활성면(211)과 광 입사면(110)은 하나의 공통 면 교차선에서 시작 에지부(211a)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활성면(211)은 상기 시작 에지부(211a)에서부터 출발하여 상기 광 입사면(110)의 이격 방향으로 2개의 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상기 시작 에지부(211a)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경사 에지부(211b)까지 연장되고, 상기 경사 에지부(211b)는 제1 단부(212a)와 제2 단부(21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212a)는 상기 광 입사면(11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상기 광 입사면(120)까지 제1 간격(A1)을 보유하고, 상기 제2 단부(212b)는 상기 광 입사면(110) 상의 직교 투영에서 표면 법선을 따라서 상기 광 입사면(110)까지 제2 간격(A2)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일측 활성면(211)의 제1 간격(A1)과 제2 간격(A2)은 서로 동일한 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활성면(211)의 제1 간격(A1)과 제2 간격(A2)은 서로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200)의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로고, 예컨대 제조업체 로고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형상 렌즈(210)들은 상호 간에 하나의 라인에 인접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면(211)들은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 경계는 비대칭이거나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20237004427A 2020-09-25 2021-07-26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KR20230036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8338.4A EP3974709A1 (de) 2020-09-25 2020-09-25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EP20198338.4 2020-09-25
PCT/EP2021/070886 WO2022063461A1 (de) 2020-09-25 2021-07-26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130A true KR20230036130A (ko) 2023-03-14

Family

ID=7265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427A KR20230036130A (ko) 2020-09-25 2021-07-26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974709A1 (ko)
JP (1) JP2023542150A (ko)
KR (1) KR20230036130A (ko)
CN (1) CN116194709A (ko)
WO (1) WO20220634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8253U1 (de) * 2005-03-14 2006-04-15 Zizala Lichtsysteme Gmbh Linse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DE102011114636A1 (de) * 2011-10-04 2013-04-0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Anordnung und Dimensionierung von Overhead-Elementen auf einer Projektionslinse eines Kraftfahrzeugscheinwerfers
DE102012107427A1 (de) * 2012-08-14 2014-05-22 Hella Kgaa Hueck & Co. Optische Fläche und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DE102012107426A1 (de) * 2012-08-14 2014-02-20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CN105121946B (zh) * 2013-04-02 2018-03-02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灯具
DE102014118745B4 (de) * 2014-12-16 2022-03-17 HELLA GmbH & Co. KGaA Scheinwerfer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2150A (ja) 2023-10-05
EP3974709A1 (de) 2022-03-30
CN116194709A (zh) 2023-05-30
WO2022063461A1 (de) 2022-03-31
EP4217647A1 (de)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9311B (zh) 车辆用灯具
JP4766698B2 (ja) 車輌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US10054279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s
JP2018067535A (ja) 自動車ヘッドランプ用のストライプ分割ビームを生成する照明装置
JP6402260B2 (ja) 光線シェード部材を有する照射装置
CN111380026B (zh) 车辆用灯具
KR101393659B1 (ko) 차량용 전조등
CN114992577B (zh) 用于车辆的灯及包括该灯的车辆
EP3249284A1 (en) Vehicle lighting module
KR20220011393A (ko) 차량용 램프
JP7471885B2 (ja) 車両用灯具
KR2023003613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CN112997034B (zh) 用于产生具有明暗边界的光分布的机动车大灯用的照明单元
CN110220156A (zh) 光导组件、照明或信号指示装置和机动车辆
KR20230036130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2421071B1 (ko) 차량용 램프
CN116802431A (zh) 用于给道路照明的机动车辆照明装置
EP0561410B1 (en) Projector-type headlamp for vehicles
US4041303A (en) Vehicle headlamps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JP2012199156A (ja) 車両用前照灯
KR20220043782A (ko) 차량용 램프
JP2578223Y2 (ja)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JP2577572Y2 (ja)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