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909A -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909A
KR20230034909A KR1020220110588A KR20220110588A KR20230034909A KR 20230034909 A KR20230034909 A KR 20230034909A KR 1020220110588 A KR1020220110588 A KR 1020220110588A KR 20220110588 A KR20220110588 A KR 20220110588A KR 20230034909 A KR20230034909 A KR 2023003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idewall
housing assembly
coupling
wa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케이 하웁트
마틴 콜레만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공기 취급 하우징 조립체는 제1 측벽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성요소; 상기 제1 측벽과 이격된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정의된 제1 유로를 갖는 제2 하우징 구성요소; 및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제 1 벽 모듈로서, 상기 제 1 벽 모듈은 상기 제 1 측벽과 맞물리는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측벽과 맞물리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벽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AIR CONDITIONING HOUSING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난방, 환기 및 공조(HVA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유로 하우징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정렬 및 조립 특징을 갖는 HVAC 공조 시스템의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난방, 냉방 및 환기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온도를 쾌적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공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난방, 환기 및 공조(HVAC) 시스템으로 관련 기술분야에서 언급되는 통합 메커니즘에 의해 승객실이 편안하게 유지된다.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은 그 내부를 흐르는 공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공기를 승객실 전체에 분배한다.
공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가 선택한 작동 모드에 따라 차량의 승객실 내의 다양한 통풍구로의 공기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도관 및 도어를 갖는 하우징을 사용한다. 각 작동 모드는 선택된 작동 모드와 관련된 각각의 해당 통풍구로 전달되는 혼합 챔버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소정 비율을 포함한다. 상기 통풍구는 예를 들어 패널 통풍구, 콘솔 통풍구, 전석 플로어 통풍구, 후석 플로어 통풍구, 앞유리 서리 제거 통풍구 및 측면 창 서리 제거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승객이 차량의 승객실 내의 2개 이상의 상이한 구역에 대해 상이한 온도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하는 공기 처리 시스템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차량에는 승객실의 왼쪽 및 오른쪽, 승객실의 전석 및 후석 구역, 또는 임의의 조합에 대한 독립적인 온도 제어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온도 제어를 구현하는데 직면한 한 가지 문제는 승객실의 상이한 구역에 상이한 온도 조건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독립적인 유동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하우징 어셈블리가 한층 복잡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통한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다른 흐름 경로를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상이한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평행하게 배열된 다중 층의 벽을 필요로 하며, 여기서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가열 및/또는 냉각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요소는 이러한 여러 흐름 경로들 사이에 분배되어야 한다. 이는 하우징 내부 위치에서 하우징 구성요소의 여러 다른 층과 공기 처리 시스템의 작동 구성요소의 정렬 및 결합에 대한 필요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 어셈블리의 특정 구성과 결합되어 특히 어려울 수 있다 .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예시적인 공조 하우징(1)과 관련하여 직면한 하나의 과제를 도시한다. 상기 공조 하우징(1)은 적어도 제1 외부 쉘(2), 대향하는 제2 외부 쉘(3), 및 분할 구조(4)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제1 유로는 상기 제1 외부 쉘(2)과 상기 분할 구조(4)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유로는 제2 외부 쉘(3)과 분할 구조(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쉘(2)은 하우징(1)을 통한 공기의 흐름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열된 측벽(5) 및 하우징(1)을 통한 공기의 흐름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벽(5)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벽 세그먼트(6) 및 제2 벽 세그먼트(7)를 적어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1 벽 세그먼트(6)는 공기 조절 도어의 대응하는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각각의 밀봉 표면(8) 및 그 안에 열교환기를 수용하기 위한 열교환기 포켓(9)을 포함하는 반면, 제2 벽 세그먼트(7)는 하류에 배치되는 다른 공기 조절 도어의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다른 실링 표면(10)의 일부를 정의한다. 상기 제2 외부 쉘(3)은 유사하게 제1 벽 세그먼트(12)를 갖는 측벽(11) 및 제1 외부 쉘(2)의 벽 세그먼트(6, 7)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측벽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벽 세그먼트(13)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 구조(4)는 제1 벽 세그먼트(15, 16) 및 그 대향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 세그먼트(17, 18)를 갖는 격벽(14)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영역 A로 표시된 제1 외부 쉘(2)의 일부분에 대한 제1 외부 쉘(2), 제2 외부 쉘(3), 및 분할 구조(4)의 조립을 도시하며, 이는 표시된 벽 세그먼트(6, 7, 12, 13, 15, 16, 17, 18)를 갖는 구성요소(2, 3, 4) 각각의 일부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세그먼트(6, 7, 12, 13, 15, 16, 17, 18) 각각은 인접하고 평행한 벽(5, 11, 14) 각각에 의해 정의된 평면 중간 위치에서 벽 세그먼트(6, 7, 12, 13, 15, 16, 17, 18) 중 대향하는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우징 구성요소(2, 3, 4) 각각의 주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의 유동 경로의 다수의 서로 다른 독립형 및 잠재적으로 불안정한 내부 구조를 정렬할 필요성을 초래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하우징 구성 요소(2, 3, 4)가 결합되는 위치이다. 하우징 구성요소(2, 3, 4) 사이에 존재하는 나머지 정렬 및 결합 구조로부터 이러한 독립 구조들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이러한 정렬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공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한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 아키텍처와 같은 새로운 도어 아키텍처와 같이, 다양한 공기 지향 및 밀봉 표면이 서로 정렬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도어 아키텍처의 관점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따라서, 복잡하고 다중 유동 경로 하우징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정렬 특징을 갖는 HVAC 공조 시스템 하우징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잡하고 다중 유동 경로 하우징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정렬 특징을 갖는 공조 시스템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는 제1 측벽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성요소,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 측벽을 갖는 제2 하우징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정의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제1 벽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벽 모듈은 상기 제1 측벽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측벽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유로를 세분화하기 위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들 및 이점들 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도 첨부 도면들을 감안하여 고려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 취급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1 외부 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영역 A로 둘러싸인 제1 외부 쉘의 부분을 종래의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의 분할 구조 및 제2 외부 쉘의 대응하는 부분에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취급 하우징 어셈블리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공기 취급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1 벽 모듈 및 제1 외부 쉘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벽 모듈을 상기 공기 취급 하우징 어셈블리의 분할 구조에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1 벽 모듈을 상기 제2 벽 모듈에 결합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분리된 제1 벽 모듈 및 제2 벽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7은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 및 한 쌍의 조절 도어에 대한 상기 제1 벽 모듈의 위치를 도시한 제1 외부 쉘과 제1 벽 모듈의 어셈블리를 통해 취한 입면도이다.
도 8은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를 재지향시키도록 구성된 공기 안내 채널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된 유동 경로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제1 외부 쉘 및 제1 벽 모듈의 어셈블리를 통해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예시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 한 것은 아니다. 개시된 방법과 관련하여, 제시된 단계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이며, 따라서 단계의 순서는 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다.
기술에 대한 다음 설명은 하나 이상의 발명의 주제, 제조 및 사용의 성격상 예시일 뿐이며, 본 출원 또는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제출될 수 있는 기타 출원 또는 그로부터 발행된 특허에서 청구된 특정 발명의 범위,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방법들과 관련하여, 제시된 단계들의 순서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이며, 따라서 단계들의 순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나의"라는 표현은 항목의 "적어도 하나"가 존재함을 나타내고; 가능한 경우 이러한 항목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달리 명시적으로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상세한 설명의 모든 수치는 "약"이라는 단어로 수정된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모든 기하학적 및 공간 설명은 기술의 가장 넓은 범위를 설명할 때 "실질적으로"라는 단어로 수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치 값에 적용될 때 "약"은 계산 또는 측정이 값에 약간의 부정확성을 허용함을 나타낸다. 어떤 이유로 "약" 및/또는 "실질적으로"에 의해 제공된 부정확성이 이러한 일반적인 의미로 당업계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 및/또는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매개변수를 측정하거나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의미한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에”, “결합되어”, “연결되어”, “맞물려”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에, 결합되어, 연결되어, 맞물려 있을 수도 있고, 중간 요소 또는 중간 층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적으로", "직접 결합", "직접 연결됨" 또는 "직접 결합됨"으로 언급되는 경우, 중간 요소 또는 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도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예: "사이에" 대 "직접 사이에", "인접한”, “직접 인접한" 등).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된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구역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구역 및/또는 섹션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영역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구성 요소, 영역, 영역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 데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첫 번째", "두 번째"와 같은 용어 및 기타 숫자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순서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구성요소, 부품, 영역, 구역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구성요소, 부품, 영역, 영역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미도시)을 위한 난방, 환기 및 공조(HVAC) 시스템 또는 공조 시스템의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도시한다. 이하 간단히 하우징 어셈블리(20)로 언급되는 공기 처리 하우징 어셈블리(2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승객실(미도시)을 위한 난방, 환기 및 공조를 제공한다. 승객실은 복수의 상이한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승객실은 필요에 따라 전석 및 후석 구역, 운전석 및 조수석 구역, 및 이들의 조합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어셈블리(20)는 승객실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구역에 대한 공기의 독립적인 흐름 및/또는 온도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어셈블리(20)는 2존(zone) 제어, 3존 제어 또는 4존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존 제어는 필요에 따라 전석 구역 및 후석 구역 각각으로 향하는 공기의 독립적인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3존 제어는 전석 영역을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분하여 전석 운전석, 전석 조수석, 후석 각각으로 향하는 공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4존 제어는 후석을 운전석 및 조수석 존으로 더 구분하여, 전석 운전석, 전석 조수석, 후석 운전석, 후석 조수석 각각으로 향하는 공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된 하우징 어셈블리(20)는 내부를 통과하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 복수의 하우징 구성요소(21, 22, 23, 24, 25)로 구성되며, 여기서 각각의 별개의 유로는 승객실의 특정 구역 또는 구역의 조합으로 전달될 공기의 흐름과 관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실시예는 제1 외부 쉘(21), 제1 벽 모듈(22), 분할 구조(23), 제2 벽 모듈(24), 및 제2 외부 쉘(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외부 쉘(21)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측벽(30) 및 상기 측벽(30)의 외주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분할 구조(23)를 향해 연장되는 둘레벽(31)을 포함한다. 여기서, 횡방향은 하우징(20)을 통한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따라서 상기 둘레벽(31)은 상기 측벽(3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31)의 적어도 일부는 림(32)에서 종료되고, 상기 림(32)의 적어도 일부는 횡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
상기 제2 외부 쉘(25)은 상기 제1 외부 쉘(21)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고 유사하게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측벽(40) 및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벽(41)을 포함한다. 상기 둘레벽(41)의 적어도 일부는 림(42)에서 종료되고, 상기 림(42)의 적어도 일부는 횡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
상기 분할 구조(23)는 그에 의해 공기의 흐름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격벽(50)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50)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와 제2유로의 경계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측벽(30)과 상기 격벽(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둘레벽(31)은 이격된다. 상기 측벽(30)은 횡방향에 대해 상기 격벽(50)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측벽(40)과 상기 격벽(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둘레벽(41)은 상기 격벽(50)으로부터 상기 측벽(40)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측벽(30) 형태의 제1 측벽 및 상기 격벽(50) 형태의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로는 유사하게 상기 측벽 형태의 제1 측벽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격벽(50)은 이하에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측벽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분할 구조(23)는 도관 부분(51) 및 내부에 통합되고 상기 격벽(50)에 의존하는 슬라이딩 도어 조립체(52)를 더 포함하지만, 상기 분할 구조(23)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식으로 제1 및 제2 벽 모듈(22, 24)과 상호작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상기 격벽(50) 외에 실질적으로 임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부 쉘(21)은 상기 림(32)을 따라 상기 격벽(50)의 일 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외부 쉘(25)은 상기 림(42)을 따라 상기 격벽(50)의 대향 측면에 결합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부 쉘(21)은 대응하는 림(32, 42)을 따라 상기 제2 외부 쉘(25)에 결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분할 구조(23)는 필요에 따라 상기 쉘(21, 25) 사이에 위치되어 쉘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상기 측벽(30, 40)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유로 중 하나의 형성을 위해 격벽(50)으로부터 이격되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여전히 속하면서, 쉘(21, 25) 및 분할 구조(23)를 결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임의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벽 모듈(22)은 상기 제1 외부 쉘(21)와 상기 분할 구조(23)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연장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벽 모듈(24)은 상기 제2 외부 쉘(25)과, 상기 분할 구조(23)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연장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벽 모듈(22)은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101),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제2 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102), 및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103, 104)를 포함한다. 개시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연장 벽 구조(103, 104)는 제1 벽 구조(103) 및 이격된 제2 벽 구조(10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01, 102)과 벽 구조(103, 104) 사이에 개구(10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105)는 상기 제1 벽 모듈(22)이 상기 제1 외부 쉘(21)과 상기 분할 구조(23) 사이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 내에 설치될 때 이를 통해 공기가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 벽 구조의 수, 형태 및 구성은 대응하는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해 형성된 유동 구성에 구체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제2 벽 모듈(24)은 유사하게 제1 체결부(201), 대향하게 배치된 제2 체결부(202), 및 제1 벽 구조(203) 및 이격된 제2 벽 구조(204)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구조를 포함하고, 여기서 설명된 상기 제2 벽 모듈(24)은 상기 분할 구조(23)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벽 모듈(22)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상기 제2 벽 모듈(24)에서도, 또한 상기 체결부(201, 202) 및 벽 구조(203, 204) 사이에 개구(205)가 형성된다.
상기 분할 구조(23)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가 실질적으로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외부 쉘(21), 상기 제1 벽 모듈(22) 및 상기 분할 구조(23)의 조립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작용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분할 구조(23), 상기 제2 벽 모듈(24), 및 상기 제2 외부 쉘(25)의 조립에서도 동일한 상호작용이 있고, 상기 분할 구조(23)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제1 벽 모듈(22) 및 제2 벽 모듈(24)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벽 모듈(22, 24) 각각에 존재하는 커플링 특징부로 인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101)는 실질적으로 평면 또는 판형일 수 있고, 제1 체결부(101)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측벽(30)의 대응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부분은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체결부(101)는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조립할 때 제1 외부 쉘(21)에 대해 제1 벽 모듈(22)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해 제1 벽 모듈(22)의 위치 결정 특징부(110)를 형성하는 측벽(3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101)의 위치 결정 특징부(110)는 상기 제1 외부 쉘(21)의 측벽(30)의 대응하는 위치 결정 특징부(33)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101)의 위치 결정 특징부(110)는 삽입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체결부(10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30)의 위치 결정 특징부(33)는 상기 측벽(30) 내로 횡방향으로 함몰된 포켓(34)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안에 삽입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구조는 상기 포켓(34)의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주변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부(101)의 측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삽입 구조는 희망하는 바에 따라 상기 포켓(34)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구조 중 상기 포켓(34)의 대응하는 둘레부 형상은 상기 제1 벽 모듈(22)이 상기 포켓(34) 내로 횡방향으로 수용되고 상기 측벽(30)과 맞물릴 때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체결부(101)의 위치 결정 특징부(110)는 상기 제1 체결부(101)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111a, 1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111a) 중 하나는 상기 제1 체결부와(101)와 상기 제1 벽 구조(103)의 교차점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구 중 다른 하나(111b)는 상기 제1 체결부(101) 및 상기 제2 벽 구조(104)의 교차점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측벽(30)의 위치 결정 특징부(33)는 대응하는 수의 돌출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35a, 35b)는 상기 개구(111a, 111b) 중 하나와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35a, 35b)는 핀이고, 각각의 개구(111a, 111b)는 내부에 핀 중 하나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대안적인 결합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돌출부(35a, 35b)는 대안적인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개구(111a, 111b)는 돌출부(35a, 35b) 중 대응하는 것과 짝을 이루기 위한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개구(111a, 111b)는 돌출부(35a, 35b) 중 하나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는 관통 구멍 또는 만입부로 제공된다. 각각의 돌출부(35a, 35b)는 내부에 형성된 포켓(34)을 포함하는 측벽(30)의 일부를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측벽(30)의 오목한 영역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102)는 실질적으로 평면이거나 판형일 수 있고, 제2 체결부(1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격벽(50)의 대응하는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부분은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결합부(102)는 상기 격벽(5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조립할 때 분할 구조(23)의 격벽(50)에 제1 벽 모듈(22)을 결합하기 위한 제1 벽 모듈(22)의 커플링 특징부(120)를 형성하며, 제2 결합부(102)의 커플링 특징부(120)는 격벽(50)의 대응하는 커플링 특징부(53)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101)의 커플링 특징부(120)는 다양한 상이한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는 개시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는 원하는 경우 특정 유형의 결합 구조를 생략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조합으로 임의의 수의 개시된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는 제2 결합부(102)의 둘레부 주위에 분포된 복수의 스냅-핏(snap-fit) 커넥터(121a, 121b, 121c, 121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냅-핏 커넥터(121a, 121c)는 암 커넥터로, 상기 스냅-핏 커넥터(121b, 121d)는 수 커넥터로 제공된다. 각각의 암 커넥터는 대응하는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수 커넥터는 대응하는 암 커넥터로의 각각의 수 커넥터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횡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벽 모듈(22)의 각각의 스냅-핏 커넥터(121a, 121b, 121c, 121d)는 제2 벽 모듈(24)의 커플링 특징부(220)와 관련된 대응하는 스냅-핏 커넥터(221a, 221b, 221c, 221d)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벽 모듈(22, 24)의 이러한 결합은 벽 모듈(22, 24)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대칭 구성으로부터의 편차를 초래할 수 있지만 벽 모듈들(22, 24)은 그 구성 및 작동이 유사하다. 상기 격벽(50)의 커플링 특징부(53)는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 개구(54a, 54b, 54c, 54d)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개구(54a, 54b, 54c, 54d) 각각은 스냅-핏 커넥터의 대응하는 쌍(121a, 121b, 121c, 121d, 221a, 221b, 221c, 221d)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벽 모듈(22)을 상기 제2 벽 모듈(24)에 연결하는 것은 대응하는 커넥터 개구(54b, 54d)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의 각각의 수 스냅-핏 커넥터들(121b, 121d)을 대응하는 커플링 특징부(220)의 각각의 암 스냅-핏 커넥터들(221b, 221d) 내부로 수용하는 것과, 대응하는 커넥터 개구(54a, 54c)를 통해 연장되는 커플링 특징부(220)의 수 스냅-핏 커넥터(221a, 221c)의 각각을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의 대응하는 암 스냅-핏 커넥터(121a, 121c)의 각각의 내부로 수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 구조(23)에 대해 상기 제1 벽 모듈(22)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시된 스냅-핏 연결부 각각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스냅-핏 커넥터(121a, 121b, 121c, 121d)가 격벽(50)을 통과해 상기 스냅-핏 커넥터(221a, 221b, 221c, 221d)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인해 상기 커플링 특징부(120)를 통해 상기 제1 벽 모듈(22)이 상기 격벽(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벽 모듈(22, 24)이 도시 및 설명된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 개시된 커넥터 개구(54a, 54b, 54c, 54d) 각각은 커플링 특징부(120)의 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커넥터 개구(54a, 54b, 54c, 54d) 중 하나 이상은 필요에 따라 커플링 특징부(120)의 대응하는 암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돌출된 수 커넥터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부(102)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벽 모듈(24)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필요 없이 격벽(5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특징부(120)는 패스너(미도시)를 관통하여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스 구조(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냅-핏 커넥터(121a, 121b, 121c, 121d)와 유사하게, 상기 보스 구조(125)은 제2 벽 모듈(24)의 대응하는 보스 구조(225)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보스 구조(125)는 보스 구조(225)의 형태인 암형 부품 내의 수용되도록 구성된 수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스 구조(125, 225)는 패스너가 관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 구조(125)는 상기 보스 구조(225)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격벽(50)을 통해 형성된 보스 개구(55)를 통해 횡방향으로 다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벽 모듈(22, 24)이 상기 격벽(50)을 통과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보스 개구(55)는 상기 보스 구조(225) 에 대응하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벽 모듈(22)은 짝을 이루는 보스 구조를 통과하는 패스너의 수용을 통해 격벽(5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102)의 커플링 특징부(120)는 또한, 개시된 커플링 구조들 각각이 격벽(50)에 대해 제1 벽 모듈(22)을 위치시키므로, 제2 체결부(102)의 위치 결정 특징부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체결부(102)는 개시된 결합 구조에 더하여 그 위치 결정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위치 결정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102)는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126a, 126b)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개구(126a, 126b)는 내부에 격벽(5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돌출부(56a, 56b)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돌출부(56a, 56b) 각각은 핀일 수 있고 개구(126a, 126b) 각각은 관통 구멍일 수 있지만, 원하는 경우 대안적인 돌출부 및 개구 형상 및 구성을 포함하는 반대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돌출부 및 개구의 구성은 또한 개시된 구성과 반대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벽 모듈(22)의 제1 벽 구조(103)는 아치형 부분(131) 및 아치형 부분(131)의 상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선형 부분(132)을 포함한다. 상기 아치형 부분(131)의 오목 표면은, 하우징 어셈블리(20)와 관련된 공기 처리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포켓(133)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30)은 구성요소 포켓(133)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내부로 횡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내부에 형성된 구성요소 개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켓(34)은 상기 구성요소 개구(36)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벽(30)은 구성요소 포켓(133)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요소 포켓(3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벽 모듈(22)이 구성요소 포켓(133)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단부 반대편에 구성요소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포켓(37)과 함께 제1 외부 쉘(21)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격벽(50)은 또한 횡방향으로 유사하게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관통 형성된 구성요소 개구(57)를 포함할 수 있고, 도관부(51)와 분할 구조(23)의 슬라이딩 도어 조립체(52)는 상기 제1 외부 쉘(21)의 구성요소 포켓(37)과 횡방향으로 배열된 또 다른 구성요소 포켓(58)을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개구(36, 57) 및 포켓(37, 58, 133)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는 HVAC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냉매 회로의 응축기, 냉각 시스템의 라디에이터, 전기 가열 장치 등과 같이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 교환기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어셈블리(20)의 부분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온풍 존 또는 온풍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은 제1 벽 모듈(22)의 벽 구조(103, 104) 각각의 기능을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처리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제1 외부 쉘(21) 및 제1 벽 모듈(22)을 통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 벽 구조(103)의 아치형 부분(131)에 의해 형성된 구성요소 포켓(133)은 내부에 가열 열교환기(300)를 수용하기 위한 열교환기 포켓을 형성한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300)가 차지하는 공간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온풍 존 또는 영역으로 간주된다. 상기 제1 벽 구조(103)의 직선 부분(132)은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400)와 같은 조절 도어를 체결하기 위한 도어 체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400)는 가열 열교환기(300)를 통한 통로에 의해 형성된 온풍 존 또는 영역을 통과하거나 우회하는 공기의 분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벽 구조(103) 또한, 제1 유동 경로 내에 유동 분할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벽 구조(103)는 제1 벽 구조(103)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제1 벽 구조(103)의 제1 측면으로의 제1 부분 유동 및 제1 벽 구조(103)의 제2 측면으로의 제2 부분 유동으로 분할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벽 구조(104)는 도 7에 도시된 개략적으로 개시된 회전 도어(500)와 같은 다른 조절 도어를 결합하기 위한 도어 체결면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 도어(500)는 승객실의 다른 영역을 향해 통과하는 공기의 분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벽 구조(104)는 또한 제2 벽 구조(104)가 제1 유로 내에 유동 분할기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가열 열교환기(300)에 의해 형성되는 온풍 존 또는 영역의 하류 단부에 배치되고, 여기서 제2 벽은 구조(104)은 제2 벽 구조(104)과 만나는 공기의 흐름을 제2 벽 구조(104)의 제1 측면으로의 제1 부분 흐름 및 제2 벽 구조(104)의 제2 측면으로의 제2 부분 흐름으로 나누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벽 구조(103, 104)는 흐름 분할기, 흐름 가이드, 조절 도어와 같은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면, 또는 가열 장치와 같은 구성요소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지정 또는 위치 결정 특징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벽 구조(103, 104)의 특정 기능은 대응하는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특정 구조에 의존한다.
상기 체결부(101, 1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내부에 형성된 공기 안내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공기 안내 채널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제1 존 또는 영역으로부터 공기를 제2 존 또는 영역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공기 안내 채널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제1 및 제2 존 또는 영역 사이에 보다 직접적인 또는 선형 경로를 형성하는 흐름 유도 특징부로 지칭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상기 제1 벽 모듈(22)의 제2 체결부(102)의 구조에 통합된 공기 안내 채널(200)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기 안내 채널(200)은 제2 체결부(102)의 횡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안내 채널(200)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면(201)에 대해 횡방향으로 만입된 제2 체결부(102)의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면(201) 각각은 상기 격벽(50)과 마주하고 격벽과 직접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격벽(50)과 상기 제2 결합부(102)의 체결면(201)은 공기가 바람직하지 않게 그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면(201)과 격벽(50)이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상보적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상보적 구조는 평면 구조의 격벽(50)의 상보적 부분 뿐만 아니라 체결면(201) 각각을 포함하고, 여기서 체결면(201)과 격벽(50)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평면은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 및 횡방향에 수직이다.
공기 안내 채널(200)을 따른 제2 체결부(102)을 횡방향으로 함몰시켜, 공기 안내 채널(200)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공기 안내 벽(202)이 형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공기 안내 벽(202)은 대응되는 체결면(201)의 가장자리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공기 안내 벽(202)은 대응하는 공기 안내 벽(202)과 만나는 공기를 하우징 어셈블리(200)의 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재지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102)가 격벽(50)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때, 공기 안내 채널(200)의 측면 함몰은 공기 안내 채널(200)을 정의하는 제2 체결부(102)의 표면과 분할 벽(50)의 대향 표면 사이에 유로(205)의 형성을 초래한다. 상기 공기 안내 채널(200)은 또한 공기가 유로(205)로 들어가고 제2 체결부(102)과 분할 벽(50) 사이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2개 이상의 위치에서 제2 체결부(102)의 둘레와 교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안내 채널(200)은 횡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방향에 대해 제1 벽 구조(103)의 제1 측면에 배치된 유입구(206) 및 횡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 방향에 대해 제1 벽 구조(103)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 배출구(207)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로(205)를 통해 흐르는 임의의 공기는 제1 벽 구조(103)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벽 모듈(22)의 일부를 통과하면서 제1 벽 구조(103)의 제1 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 통과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유입구(206)는 가열 열교환기(300)의 하류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배출구(207)는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전달 섹션(700)의 일부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상기 전달 섹션(700)은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앞유리 또는 측면 유리의 디프로스트 통풍구(702) 중 하나로 공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체결부(102) 내의 공기 안내 채널(200)의 존재는 제 1 외부 쉘(21)과 분할 구조(23) 사이에 정의된 제 1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제 1 외부 쉘(21)과 제 2 체결부(102) 사이를 통과하는 제 1 부분 유동 및 제 2 체결부(102)와 상기 유로(205)를 따른 격벽(50) 사이를 통과하는 제 2 부분 유동으로 횡방향으로 분할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안내 채널(200)은 상기 가열 열교환기(30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 흐름이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혼합 섹션(600)을 우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로(205)는 우회 유로(205)로 지칭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혼합 섹션(600)은 하우징 어셈블리(200) 내에서 독립적으로 가열 및/또는 냉각된 복수의 상이한 부분 기류가 승객실의 다양한 다른 벤트로 전달되는 공기의 원하는 온도 및/또는 압력을 달성하기 위해 만나고 혼합되는 영역으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가열 열교환기(300)를 통해 제1 벽체(103)의 일측으로 전달된 공기는 가열 열교환기(300)를 바이패스하여 제1 벽체(103)의 반대측으로 혼합된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혼합 섹션(600)을 우회하는 것에 의해 최근에 가열된 공기가 벤트(702)에 대한 단축된 경로를 갖는 전달 섹션(700)의 일부로 안내되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관련 자동차의 제상 능력과 연관된다. 가열되고 혼합되지 않은 공기가 전달 섹션(700)으로 더욱 분배되면 제상 기능이 요청될 때 통풍구(702)로 전달되는 공기의 온도와 압력이 증가하고, 이는 결국 해당 유리창의 제상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의 공기 안내 채널(200)은 대안적으로 가열 열교환기(300)를 통과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 통풍구(702)에 도달하는 공기의 백분율을 증가시키도록 공기 안내 채널(200)이 위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온풍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로부터, 식별된 디프로스트 벤트(702) 이외의 벤트로 향하는 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전달 섹션(700)의 대응하는 부분을 향해 재지향시키는 동안, 공기 안내 채널(200)이 상기 가열 열교환기(300)를 우회하도록, 공기 안내 채널(200)을 우회하도록 가열 열교환기(300)의 상류 위치에서 제2 체결부(102)의 구조에 대신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공기 안내 채널(200)과 만나는 공기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상류에 배열된 증발기 또는 다른 냉각 열 교환기(미도시) 내에서 이미 냉각되었다고 가정하면, 그러한 상류에 배열된 공기 유도 채널(200)은 냉각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의 공기 채널을 포함하고, 승객실의 하나 이상의 지정된 통풍구에 도달하는 냉각된 공기의 백분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벽 모듈(24)은 또한 개시된 공기 안내 채널(200)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격벽(50)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대응하는 공기 안내 채널(도시되지 않음)이 내부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벽 모듈(22, 24) 각각은 제1 체결부(101, 201)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내에 공기 안내 채널 중 하나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는 점도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상술한 제2 체결부(102, 202)와 격벽(50) 사이의 상호작용과 동일한 관계를 갖도록, 각각의 측벽(30, 40)들의 구조는 대응되는 체결부(101, 201)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는 벽 모듈(22, 24)의 구조에 대한 분할 구조(23)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벽 모듈(22, 24) 및 대응하는 측벽(30, 40, 50)의 구조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횡방향에 대해 동일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측면에 유사한 특징을 포함하는 격벽(50) 대신에, 격벽(50)의 측면 중 하나는 외부 쉘(21, 22)과 관련된 구조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는 반면, 외부 쉘(21, 22) 중 하나는 격벽(50)의 측면 중 하나와 관련된 구조를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적 구성은 2개 이상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유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하우징 구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측벽(30, 40, 50)의 구조 및 벽 모듈(22, 24)은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원하는 흐름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흐름 경로를 적층할 수 있다.
대응하는 하우징 어셈블리를 형성할 때 벽 모듈(22, 24)의 사용은 종래 기술의 하우징 어셈블리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모든 위치 결정 및 결합 특징부가 각각의 벽 모듈(22, 24)의 대향하는 횡방향 단부 부분에 형성되는 방식은 하우징 어셈블리(20)의 내부 내에서 독립형 및 불안정한 에지 또는 표면을 정렬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대신에, 각각의 벽 모듈(22, 24)은 벽 모듈(22, 24)을 대향하는 다른 측벽(30, 40, 50)에 배치하거나 결합하기 전에 측벽(30, 40, 50) 중 대응하는 하나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이는 이러한 특징부들의 정렬을 크게 단순화한다. 상기 벽 모듈(22, 24)이 측벽(50) 중 하나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방식은 외부 쉘(21, 25)이 연결된 벽 모듈(22, 24) 및 그 사이에 존재하는 분할 구조(23)의 어셈블리 주위에 횡방향으로 함께 결합된다. 개시된 구성은 또한 횡방향에 대해 각각의 유로의 중간 부분 내의 불연속적인 특징부의 제거를 허용한다. 개시된 구조는 또한 임의의 수의 공기 흐름에 대해 독립적인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흐름 경로의 많은 상이한 층에 대해 쉽게 반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벽 모듈(22, 24)의 사용은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한 공기의 특정 부분흐름, 예를 들어 제상 과정에서 차량의 창문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공기 흐름을 위해 희망하는 유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안내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유도 구조를 벽 모듈(22, 24)에 통합하면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통해 원하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추가로 감소시키고, 하우징 어셈블리 제조 시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수용되어야 하는 구성요소의 다른 층을 추가로 제거합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용도 및 조건에 맞게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가할 수 있다.

Claims (20)

  1.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로서,
    제1 측벽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성요소;
    상기 제1 측벽과 이격된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정의된 제1 유로를 갖는 제2 하우징 구성요소; 및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제 1 벽 모듈로서, 상기 제 1 벽 모듈은 상기 제 1 측벽과 맞물리는 제 1 체결부, 상기 제 2 측벽과 맞물리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벽 모듈;을 포함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과 이격된 제 3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과 상기 제 3 측벽 사이에 수용되는 제 2 벽 모듈을 갖는 제 3 하우징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 모듈은 제3 측벽과 맞물리는 제1 체결부, 제2 측벽과 맞물리는 제2 체결부, 및 제1 체결부와 그 제2 체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물을 포함하고, 제2 유로가 제2 측벽 및 제3 측벽사이에 정의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성요소는 제1 외부 쉘이고, 상기 제3 하우징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외부 쉘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 외부 쉘이며, 상기 제2 하우징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쉘 사이에 배치되는 벽 구조인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2 결합부는 제2 벽 모듈의 제2 결합부와 직접 결합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벽 모듈의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 커넥터이고, 제2 벽 모듈의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암 커넥터인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제1 위치 결정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1 결합부는 제2 위치 결정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결정 특징부는 제2 위치 결정 특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벽 모듈을 제1 하우징 구성요소에 대해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제3 위치 결정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2 결합부는 제4 위치 결정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 결정 특징부는 제4 위치 결정 특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벽 모듈을 제2 하우징 구성요소에 대해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제1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2 결합부는 제2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특징부는 상기 제2 커플링 특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벽 모듈을 상기 제2 측벽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제1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1 결합부는 제2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특징부는 상기 제2 커플링 특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성요소를 제1 벽 모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특징부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특징부는 상기 포켓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삽입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구조는 상기 포켓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특징부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특징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1 결합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제1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 모듈의 제1 결합부는 제2 커플링 특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링 특징부는 제2 커플링 특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성요소를 상기 벽 모듈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는 열 교환기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의 일부를 형성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분할하는 유동 분할기를 형성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는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조절 도어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면을 형성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는 제1 벽 구조 및 그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벽 구조를 포함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 및 제2 측벽 사이에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공기 안내 채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며, 상기 공기 안내 채널은 상기 제2 측벽을 향하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표면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에 횡방향으로 위치한 지점에서 공기를 흐르도록 하면서, 공기 흐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 구조의 제1 측면에서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KR1020220110588A 2021-09-03 2022-09-01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KR20230034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46,846 2021-09-03
US17/446,846 US20230072982A1 (en) 2021-09-03 2021-09-03 Warm air channel with integrated housing wal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909A true KR20230034909A (ko) 2023-03-10

Family

ID=8522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588A KR20230034909A (ko) 2021-09-03 2022-09-01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72982A1 (ko)
KR (1) KR20230034909A (ko)
CN (1) CN115742662A (ko)
DE (1) DE1020222090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0885B4 (de) * 2005-07-01 2015-06-18 Valeo Klimasysteme Gmbh Anlagengehäuse, insbesondere für eine Heiz-, Belüftungs- und/oder Klimaanlage eines Fahrzeugs
US8382563B2 (en) * 2007-11-08 2013-02-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zone control modul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90389273A1 (en) * 2018-06-21 2019-12-26 Calsonic Kansei North America Inc.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an hvac housing with divider for multiple z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42662A (zh) 2023-03-07
DE102022209002A1 (de) 2023-03-09
US20230072982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755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963696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sub-casing sandwiched by division casings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EP1134103A2 (en) Air conditioner unit for vehicle
KR20190004252A (ko) 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hvac용 온도 도어
KR20230034909A (ko) 차량용 공조 하우징 어셈블리
US11872868B2 (en) Sliding temperature door architecture for HVAC module
US20100243199A1 (en) Hvac module interior wall insert
JP6699525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11027588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US20170282681A1 (en) Door for air conditioning unit
EP2944487B1 (en) Light weight hvac module
KR102136642B1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US11260718B2 (en) Split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HVAC) assembly
JP407360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ケース構造
KR20220024940A (ko) 트라이 또는 쿼드 hvac 시스템의 독립적인 후방 구역을 위한 고유한 기류 전달 경로
JP587802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スライドドアユニット
KR102379897B1 (ko)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30067368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N113939413B (zh) 偏移三区滑动温度门策略
JP628209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117931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2022000133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025974A (zh) 用于多区域应用的模块化结构hvac
KR20200141670A (ko) 차량용 공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