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726A -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726A
KR20230034726A KR1020210117827A KR20210117827A KR20230034726A KR 20230034726 A KR20230034726 A KR 20230034726A KR 1020210117827 A KR1020210117827 A KR 1020210117827A KR 20210117827 A KR20210117827 A KR 20210117827A KR 20230034726 A KR20230034726 A KR 2023003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cement
pipe
fuse
screw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496B1 (ko
Inventor
이문승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21011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파쇄하는 버스팅부와 상기 버스팅부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상기 버스팅부를 설치하고, 상기 노후관의 교체 종료 지점에 상기 이송 장치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종료 지점에서 교체 시작 지점으로 케이블을 노후관에 관통시키고, 상기 케이블을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에 연결하는 케이블 결합 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의 후방에 선두 교체용 신관을 결합하는 신관 초기 결합 단계;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선두 교체용 신관이 결합된 버스팅부를 노후관의 내부로 이송시켜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위치한 노후관의 일부를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 후방에 후방 교체용 신관을 나사 결합시키는 제1 신관 후속 결합 단계; 상기 버스팅부를 다시 이동시켜 상기 이동 거리만큼 노후관의 일부를 다시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 및 후방 교체용 신관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 및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의 후방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을 결합시키는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Underground buried pipe non-excavation replacement method}
본 발명은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을 개착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교체할 수 있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 공급 및 오수 처리용 상,하수관은 관을 지중에 매설하는 공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관은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오염물 또는 토양의 오염물에 의해서 관의 내부 및 외부의 부식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이는 식수를 오염시키거나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관은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새로운 관으로 교체해야 한다.
노후관을 교체하는 방법의 하나로 노후관을 지중에서 파쇄한 다음, 융착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교체관을 융착한 후 장비를 이용하여 노후관의 파손된 구역으로 이동시켜 지중에서 교체관을 교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교체관이 융착이 가능한 재질의 관으로 한정되고, 융착 장비의 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융착 장비를 통해 교체관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 공간이 필요한바 장비의 크기로 인하여 기존의 맨홀을 이용한 시공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4626호(2013. 07. 10.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표면을 개착할 필요없이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 교체가 가능하고 교체용 신관에 대한 별도의 융착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을 파쇄하는 버스팅부와 상기 버스팅부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상기 버스팅부를 설치하고, 상기 노후관의 교체 종료 지점에 상기 이송 장치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종료 지점에서 교체 시작 지점으로 케이블을 노후관에 관통시키고, 상기 케이블을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에 연결하는 케이블 결합 단계;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의 후방에 선두 교체용 신관을 결합하는 신관 초기 결합 단계; 상기 이송 장치를 통해 선두 교체용 신관이 결합된 버스팅부를 노후관의 내부로 이송시켜 상기 노후관의 교체 시작 지점에 위치한 노후관의 일부를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 후방에 후방 교체용 신관을 나사 결합시키는 제1 신관 후속 결합 단계; 상기 버스팅부를 다시 이동시켜 상기 이동 거리만큼 노후관의 일부를 다시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 및 후방 교체용 신관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 및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의 후방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을 결합시키는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와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는 노후관을 교체용 신관으로 완전히 교체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과 후방 교체용 신관의 결합은 먼저 후방 교체용 신관의 전단부에 물에 접촉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는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하고, 다음으로 후방 교체용 신관을 선두 교체용 신관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과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의 결합은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의 전단부에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한 후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을 후방 교체용 신관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버스팅부에는 신관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은 전단부 외주면에 신관 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나사가 구비되고, 후단부 내주면에 후방 교체용 신관의 전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결합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1 결합부가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1 내주면,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 제2 내주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이 전단부 외주면에 제1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고, 후단부 내주면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2 결합부가 제1 결합부의 제1 내주면,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 제2 내주면에 대응하여 제1 외주면,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제3 나사, 제2 외주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가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3 내주면,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4 나사, 제4 내주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의 제1 내주면과 제2 결합부의 제1 외주면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의 제2 내주면과 제2 결합부의 제2 외주면의 길이 차이에 의해 제2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3 나사에는 수팽창 실링재가 도포되어, 상기 제2 나사 및 제3 나사의 나사 체결 부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충진막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상기 제2 나사의 나사산의 높이와 제3 나사의 나사산의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제2 나사와 제3 나사 사이에 나사공차부에 더하여 여유공간부가 추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의하면, 기존 맨홀의 크기에 따라 교체용 신관을 준비함으로써 지표면을 개착하지 않고도 지중 매설관 교체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의하면, 수팽창 실링재가 도포된 나사를 통해 상호 결합된 교체용 신관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신관 융착 작업에 비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비용도 크게 절감되며 시공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있어서, 버스팅부에 교체용 신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있어서, 교체용 신관이 버스팅부의 후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에 있어서, 교체용 신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은 준비단계(S100), 설치 단계(S200), 케이블 결합 단계(S300), 신관 초기 결합 단계(S400),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S500), 제1 신관 후속 결합 단계(S600),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 및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S800)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S100)는 노후관(10)을 교체할 시작 지점과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의 지표면에 위치한 맨홀을 개방하고,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10)을 파쇄하는 버스팅부(100)와 버스팅부(100)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2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팅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팅 헤드(110)와 버스팅 블레이드(120)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팅 헤드(110)는 노후관(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버스팅 블레이드(120)는 버스팅 헤드(110)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버스팅 블레이드(12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가 버스팅 헤드(110)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팅 헤드(110)에는 이송 장치(200)와 버스팅 헤드(110)를 연결하는 케이블(210)이 결합되는 연결부(13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210)은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케이블(210)의 전단부는 연결부(130)에 체결될 수 있는 고리 형태의 후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팅 헤드(110)는 외경이 노후관(10)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외경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증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팅 블레이드(120)는 버스팅 헤드(110)의 외경을 따라서 높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증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버스팅부(100)는 노후관(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진하면서 노후관(10)을 파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 단계(S200)는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에 상기 버스팅부(100)를 상기 노후관(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200)를 설치하고,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 준비해 놓은 상기 버스팅부(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 장치(200)는 노후관(10)의 내부에서 버스팅부(100)와 연결되어 노후관(10)의 입구에서 출구로 버스팅부(10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 장치(200)는 구동 모터(22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22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하되 일측에 케이블(210)이 권취되어 있으며 본체(230)에 배치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40)는 본체(230)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케이블 결합 단계(S300)는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에서 교체 시작 지점으로 케이블(210)을 노후관(10)에 관통시키고, 상기 케이블(210)을 상기 버스팅부(100)의 버스팅 헤드(110)에 형성된 연결부(130)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신관 초기 결합 단계(S400)는 버스팅부(100)의 후방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의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S500)는 이송 장치(200)를 통해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이 결합된 버스팅부(100)를 노후관(10)의 내부로 이송시켜 지중에 매설된 상기 노후관(10)을 교체할 시작 지점에 위치한 노후관(10)의 일부를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10)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S500)는 이송 장치(200)의 구동 모터(220)가 구동하며 케이블(210)을 당겨서 버스팅부(100)를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서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방향으로 노후관(10) 내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노후관(10)의 내경보다 큰 버스팅 헤드(110)와 버스팅 헤드(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버스팅 블레이드(120)를 포함한 버스팅부(100)가 이송 장치(200)에 의해 노후관(10) 내부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면서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10) 일부를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된 버스팅부(100)를 따라 상기 버스팅부(100)에 결합된 선두 교체용 신관(400a)도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된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이 파쇄된 노후관(10) 일부의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신관 후속 결합 단계(S600)는 선두 교체용 신관(400a) 후방에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과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결합은 먼저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에 물에 접촉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는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하고, 다음으로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과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은 맨홀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것으로 준비해두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지표면을 개착하지 않고도 기존의 맨홀을 이용하여 지중 매설관 교체 작업이 가능해진다.
상기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는 이송 장치(200)에 의해 견인되는 버스팅부(100)를 다시 소정 거리만큼 전진 이동 즉,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서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소정 거리만큼 노후관(10)의 일부를 다시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10)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 및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 거리는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길이보다 크지 않도록 하고, 이는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계속적인 결합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S800)는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후방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은 후방 교체용 신관(400b)과 동일한 구조의 관이고,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과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결합은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에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한 후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를 다시 실시한다.
이후, 상기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S800)와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는 노후관(10)을 교체용 신관(400)으로 완전히 교체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버스팅부(100)를 분리하고 이송장치(200)를 수거하며 정리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노후관 교체 작업을 완료한다(S9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 및 적어도 하나의 후방 교체용 신관(400b)으로 교체용 신관(400)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은 버스팅부(100)의 신관 연결부(14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은 선두 교체용 신관(400a) 후방에 전단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후단부에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체용 신관(400)은 교체하고자 하는 노후관(10)의 길이만큼 마련됨으로써 노후관(10)의 파쇄된 구역을 따라 노후관(10)을 대체하게 된다.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신관 연결부(140)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나사(P1)가 구비되고,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결합부(410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부(410a)는 후방 교체용 신관(400a)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고, 그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1 내주면(411a),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P2), 제2 내주면(41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410a)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결합부(410b)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제3 결합부(420b)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부(410b)는 제1 결합부(410a)의 제1 내주면(411a),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P2), 제2 내주면(412a)에 대응하여 제1 외주면(411b),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제3 나사(P3), 제2 외주면(41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결합부(420b)는 상기 제1 결합부(410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그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3 내주면(421b),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4 나사(P4), 제4 내주면(42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410a)와 제2 결합부(410b)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410a)의 제1 내주면(411a)과 제2 결합부(410b)의 제1 외주면(411b)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제1 공간(S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410a)와 제2 결합부(410b)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410a)의 제2 내주면(412a)과 제2 결합부(410b)의 제2 외주면(412b)의 길이 차이에 의해 제2 공간(S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나사(P3)에는 수팽창 실링재가 도포되며, 이로 인해 제2 나사(P2) 및 제3 나사(P3)의 나사 체결 부위,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에 충진막(Q)이 형성되고, 상기 수팽창 실링재로 이루어진 충진막(Q)이 교체용 신관(4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접촉되어 팽창됨으로써 전방 교체용 신관(400a)과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수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체용 신관(400)의 나사 결합 부위에는 모두 수팽창 실링재가 도포됨으로써 교체용 신관(400)의 전체에 대하여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나사(P2) 및 제3 나사(P3)는 사각나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 나사(P2) 및 제3 나사(P3)가 일반적인 사각나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3 나사(P3)에 수팽창 실링재를 너무 적은 양으로 도포하면 충진막(Q) 형성이 불량해지며 너무 많은 양으로 도포하면 남는 수팽창 실링재가 교체용 신관(40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나사(P2)의 나사산의 높이(H1)와 제3 나사(P3)의 나사산의 높이(H2)를 달리하여 상기 제2 나사(P2)와 제3 나사(P3) 사이에 나사공차부(D)에 더하여 여유공간부(450)가 추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여유공간부(450)로 인해 작업자는 도포량에 대하여 크게 신경쓰지 않고 충분한 양의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해지고, 충분한 양의 수팽창 실링재는 수밀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결합부(410a), 제2 결합부(410b) 및 제3 결합부(420b)에 단순히 나사만 형성한 것이 아니라 제1 내주면(411a)과 제1 외주면(411b) 사이에 제1 공간(S1)을 제2 내주면(412a)과 제2 외주면(412b) 사이에 제2 공간(S2)을 추가 구성하고 있는바, 상기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은 과도하게 도포된 수팽창 실링재의 잉여량을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잉여 수팽창 실링재로 인해 교체용 신관(400)의 수밀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공간(S2)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지중의 토사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공간(S2)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실링 커버(S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노후관 100: 버스팅부
110: 버스팅 헤드 120: 버스팅 블레이드
130: 연결부 140: 신관 연결부
200: 이송 장치 210: 케이블
220: 구동 모터 230: 본체
240: 전원 공급부 400: 교체용 신관
400a: 선두 교체용 신관 410a: 제1 결합부
400b: 후방 교체용 신관 400b':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
410b: 제2 결합부 420b: 제3 결합부
450: 여유공간부 SC: 실링 커버

Claims (10)

  1. 지중에 매설된 노후관(10)을 파쇄하는 버스팅부(100)와 상기 버스팅부(100)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20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O0);
    상기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 상기 버스팅부(100)를 설치하고, 상기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에 상기 이송 장치(200)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S200);
    상기 노후관(10)의 교체 종료 지점에서 교체 시작 지점으로 케이블(210)을 노후관(10)에 관통시키고, 상기 케이블(210)을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100)에 연결하는 케이블 결합 단계(S300);
    상기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 설치된 버스팅부(100)의 후방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을 결합하는 신관 초기 결합 단계(S400);
    상기 이송 장치(200)를 통해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이 결합된 버스팅부(100)를 노후관(10)의 내부로 이송시켜 상기 노후관(10)의 교체 시작 지점에 위치한 노후관(10)의 일부를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10)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초기 파쇄ㆍ교체 단계(S500);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 후방에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나사 결합시키는 제1 신관 후속 결합 단계(S600);
    상기 버스팅부(100)를 다시 이동시켜 상기 이동 거리만큼 노후관(10)의 일부를 다시 파쇄하고, 파쇄된 노후관(10) 구역에 선두 교체용 신관(400a) 및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위치시키는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 및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후방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결합시키는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S800);
    를 포함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관 후속 결합 단계(S800)와 노후관 후속 파쇄ㆍ교체 단계(S700)는 노후관(10)을 교체용 신관(400)으로 완전히 교체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실시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과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결합은 먼저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에 물에 접촉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는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하고, 다음으로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과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결합은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에 수팽창 실링재를 도포한 후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을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후방에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팅부(100)에는 신관 연결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선두 교체용 신관(400a)은
    전단부 외주면에 신관 연결부(140)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나사(P1)가 구비되고, 후단부 내주면에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 제1 결합부(410a)가 구비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410a)는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1 내주면(411a),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P2), 제2 내주면(41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은
    전단부 외주면에 제1 결합부(410a)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결합부(410b)가 구비되고, 후단부 내주면에 다른 후방 교체용 신관(400b')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제3 결합부(420b)가 구비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410b)는
    제1 결합부(410a)의 제1 내주면(411a),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나사(P2), 제2 내주면(412a)에 대응하여 제1 외주면(411b),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제3 나사(P3), 제2 외주면(41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부(420b)는
    후방 길이 방향으로 제3 내주면(421b),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4 나사(P4), 제4 내주면(42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410a)와 제2 결합부(410b)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410a)의 제1 내주면(411a)과 제2 결합부(410b)의 제1 외주면(411b)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제1 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410a)와 제2 결합부(410b)의 나사 결합시 제1 결합부(410a)의 제2 내주면(412a)과 제2 결합부(410b)의 제2 외주면(412b)의 길이 차이에 의해 제2 공간(S2)이 형성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나사(P3)에는 수팽창 실링재가 도포되어,
    상기 제2 나사(P2) 및 제3 나사(P3)의 나사 체결 부위,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에 충진막(Q)이 형성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P2)의 나사산의 높이(H1)와 제3 나사(P3)의 나사산의 높이(H2)를 달리하여 상기 제2 나사(P2)와 제3 나사(P3) 사이에 나사공차부(D)에 더하여 여유공간부(450)가 추가 형성되는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KR1020210117827A 2021-09-03 2021-09-03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KR102541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27A KR102541496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27A KR102541496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26A true KR20230034726A (ko) 2023-03-10
KR102541496B1 KR102541496B1 (ko) 2023-06-12

Family

ID=8551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827A KR102541496B1 (ko) 2021-09-03 2021-09-03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060A (ja) * 2006-12-28 2008-07-17 Yoshika Kk 管路形成用既製管材
KR101169040B1 (ko) * 2012-01-06 2012-07-27 영진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팽창파쇄부를 포함하는 확장 및 신관 교체 보수 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284626B1 (ko) 2013-02-25 2013-07-10 이종석 비굴착 방식을 이용한 매설관 매설방법 및 노후관 교체방법
KR102042743B1 (ko) * 2018-11-29 2019-11-08 (주)몰크리켓 파이프 버스팅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4060A (ja) * 2006-12-28 2008-07-17 Yoshika Kk 管路形成用既製管材
KR101169040B1 (ko) * 2012-01-06 2012-07-27 영진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팽창파쇄부를 포함하는 확장 및 신관 교체 보수 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284626B1 (ko) 2013-02-25 2013-07-10 이종석 비굴착 방식을 이용한 매설관 매설방법 및 노후관 교체방법
KR102042743B1 (ko) * 2018-11-29 2019-11-08 (주)몰크리켓 파이프 버스팅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496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756A (en)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placing pipe beneath an earthfill
US6176523B1 (en) Joint for variable wall thickness conduit
US6109832A (en) Ram burster and method for installing tubular casing underground
US3602263A (en) Pipe relining method and apparatus
EP1362977B1 (en) Tubing containing electrical wiring insert
JPH08502340A (ja) 圧入連結により2本の鋼管を連結するための管連結組立体及び方法
US20120175872A1 (en) Pipe joining device
TW201013082A (en) T-nut assembly for sealing an existing connection in a lined conduit
KR102541496B1 (ko) 지중 매설관 비개착 교체방법
US20180058607A1 (en) Pullhead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KR102054579B1 (ko) 지중관의 비개착 교체기
US7390143B1 (en) Articulated lead for trenchless pipe replacement
JP2007023545A (ja) 推進管の発進用エントランス、発進用エントランスの構造および発進用エントランスの止水工法
JP2586959B2 (ja) 管路の更新方法
KR101390175B1 (ko) 상수도관 갱생구간 내 임시급수공법
JPH0361792A (ja) 下水管渠等地下管路の故障修正装置を用いた非開削による故障修正工法
KR102104710B1 (ko) 지중매설 상수도관의 부단수 비개착 교체방법
KR102335870B1 (ko) 관로 재건 파이프 조립체를 이용한 관로 재건 방법
JPH10122432A (ja) 地中埋設管の入れ替え方法および引き抜き方法
US1125546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placing existing utility piping
KR20210042597A (ko) 케이블 보호관 보수장치
CN102099609A (zh) 一体的90度接头液压快速联接器和附件及采用其的作业机械
JP4516695B2 (ja) 埋設ガス配管の入替え施工方法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