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316A -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316A
KR20230033316A KR1020210116129A KR20210116129A KR20230033316A KR 20230033316 A KR20230033316 A KR 20230033316A KR 1020210116129 A KR1020210116129 A KR 1020210116129A KR 20210116129 A KR20210116129 A KR 20210116129A KR 20230033316 A KR20230033316 A KR 2023003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rotective sheet
adhesive layer
cutout
inci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603B1 (ko
Inventor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1011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603B1/ko
Priority to PCT/KR2022/007874 priority patent/WO2023033316A1/ko
Priority to EP22864825.9A priority patent/EP4378377A1/en
Publication of KR2023003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5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including release sheets or l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 및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PROTECTIVE SHEET FOR ON-BODY TYPE DEVICE AND ON-BODY TYP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만성질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료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관리하는데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와,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는 트랜스미터와 결합되어 단말기 등에 생체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의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접착 레이어를 구비하고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수일에서 수십일간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는 보호 시트로 덮여 보호되고, 보호 시트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기 전에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의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터에 조립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고 있는 보호 시트를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74842호 (2020. 10. 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되, 사용자에 의해 접착 레이어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 시트가 사용자에 의해 접착 레이어로부터 쉽고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이 편리한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 및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분리 부재에 의해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상기 연결 섹션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는 중간 섹션과,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연결하는 제 1 섹션 연결부와, 상기 중간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절개 라인과,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중간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제 2 섹션을 구획하는 중간 단부 절개부와, 상기 중간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중간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중간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중간 사이드 절개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와, 상기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는 각각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제 2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외곽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제 1 섹션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크로스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는 곡선형의 제 1 절개부와, 상기 제 1 절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곽 테두리부까지 연장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 및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와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연결 섹션을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 및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와 각각 구획하는 메인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의 끝단과 상기 제 2 섹션의 끝단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메인 절개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절개부와 연결되는 크로스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와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섹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없이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일측에서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다른 일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보호 시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센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상기 보호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보호 시트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우징;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 및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보호 시트의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과,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 시트가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보호 시트가 원활하게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시트가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보호 시트가 찢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보호 시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터의 내측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어플리케이터에 장착된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보호 시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터의 내측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거나, 측정된 생보를 송신하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가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정보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혈당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10)과,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로서의 센서(112)와,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15)와, 접착 레이어(115)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 시트(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센서(112)에서 측정한 혈당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112)는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내측에 수용되고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센서(112)는 사용자의 피부 속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부(113)를 포함한다.
접착 레이어(115)는 사용자의 피부(S)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면에 구비된다. 접착 레이어(115)의 중간 부분에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접착 레이어 홀(116)이 접착 레이어(11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접착 레이어(115)가 하우징(110)의 하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접착 레이어(115)의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호 시트(120)는 접착 레이어(115)의 접착면을 덮어 보호한다. 보호 시트(120)의 중간 부분에는 접착 레이어(115)의 접착 레이어 홀(116)에 대응하는 보호 시트 홀(121)이 보호 시트(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보호 시트 홀(121)을 통과하여 보호 시트(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호 시트(120)는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제 1 섹션(124) 및 제 2 섹션(126)을 포함한다. 제 1 섹션(124) 및 제 2 섹션(126)은 보호 시트(120)의 외곽 테두리부(12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133)에 의해 구획된다. 제 1 섹션(124)과 제 2 섹션(126)은 연결 섹션(128)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섹션(128)은 제 2 섹션(126)의 내측에 제 1 섹션(124)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120)는 제 2 섹션(126)이 최외측에 배치되어 연결 섹션(128)을 감싸고, 연결 섹션(128)이 제 1 섹션(124)와 제 2 섹션(126)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섹션(124)을 감싸며, 제 1 섹션(124)이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섹션(124)에는 보호 시트 홀(121)과 접착부(144)가 구비된다. 접착부(144)는 양면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144)에는 보호 시트(12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124)과 제 2 섹션(12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12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144)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12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연결 섹션(128) 및 제 2 섹션(126)이 차례로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연결 섹션(128)은 제 2 섹션(126)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 1 섹션(124)을 둘러싸는 중간 섹션(129)과, 제 1 섹션(124)과 중간 섹션(129)을 연결하는 제 1 섹션 연결부(130)와, 중간 섹션(129)과 제 2 섹션(126)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131)를 포함한다.
절개 라인(133)은 제 1 섹션(124)과 중간 섹션(129)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절개 라인(134)과, 제 2 섹션(126)과 중간 섹션(129)을 분리하는 중간 섹션 절개 라인(139)을 포함한다.
제 1 섹션 절개 라인(134)은 제 1 섹션(124)의 한쪽 단부와 중간 섹션(129)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와,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136)와,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136)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37)를 포함한다.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12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12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연결 섹션(128)과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136)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곽 테두리부(122)를 향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136)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136)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37)는 제 1 섹션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37)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37)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12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12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연결 섹션(128)과 분리될 수 있다.
중간 섹션 절개 라인(139)은 중간 섹션(129)의 한쪽 단부와 제 2 섹션(126)을 구획하는 중간 단부 절개부(140)와, 중간 단부 절개부(140)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중간 섹션 사이드 절개부(141)와, 한 쌍의 중간 섹션 사이드 절개부(141)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42)를 포함한다. 중간 단부 절개부(140)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 단부 절개부(140)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 섹션(128)이 제 1 섹션(124)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연결 섹션(128)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126)과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섹션 사이드 절개부(141)는 중간 단부 절개부(140)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곽 테두리부(122)를 향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중간 섹션 사이드 절개부(141)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한 쌍의 중간 섹션 사이드 절개부(141)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42)는 중간 연결부(13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42)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42)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결 섹션(128)이 제 1 섹션(124)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연결 섹션(128)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126)과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142)는 중간 단부 절개부(140)보다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135)에 가까이 배치된다. 따라서 보호 시트(120)가 분리 부재에 의해 당겨질 때, 제 1 섹션(124)의 한쪽 끝단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여 제 1 섹션(124) 전체가 분리된 후, 제 1 섹션 연결부(130) 및 중간 섹션(129)의 한쪽 끝단이 분리되기 시작하여 중간 섹션(129) 전체가 분리된 후, 중간 연결부(131) 및 제 2 섹션(126)의 한쪽 끝단이 분리되기 시작하여 제 2 섹션(126) 전체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보호 시트(120) 전체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의 보호 시트(120)는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섹션(124)과 제 2 섹션(126) 및 연결 섹션(128) 각각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제 1 섹션 연결부(130)와 중간 연결부(131)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나의 접착부(144)가 제 1 섹션(124)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접착부(144)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12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어플리케이터(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는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과,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삽입 유닛(30)과, 사용자 조작을 위한 작동 부재(40)와,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개방된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캡(5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위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가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가 제 1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동한 위치이다.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은 일단이 사용자의 피부(S)에 접할 수 있는 외부 케이스(21)와, 외부 케이스(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 유닛(30)을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23)를 포함한다. 삽입 유닛(30)은 내부 케이스(23)에 설치된다. 삽입 유닛(30)은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지지하고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셔틀(31)과, 셔틀(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니들(35)을 지지하는 캐리어(33)와, 셔틀(31)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7)과, 캐리어(33)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9)을 포함한다. 니들(35)은 센서(112)의 삽입부(113)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될 수 있도록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의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니들(35)은 접착 레이어(115)의 접착 레이어 홀(116) 및 보호 시트(120)의 보호 시트 홀(121)을 통과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니들(35)은 캐리어(33)에 결합되어 셔틀(31)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될 수 있다. 셔틀(31)은 스프링(37)에 의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33)는 니들(35)과 삽입부(113)가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된 후 스프링(39)에 의해 니들(35)을 사용자의 피부(S)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호 캡(50)은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개방된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112)의 삽입부(113)와 니들(35)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캡(50)은 보호 시트(12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보호 캡(50)이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 캡(50)의 일측이 보호 시트(120)의 접착부(144)에 부착되어 보호 시트(120)와 연결된다. 보호 캡(50)은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될 때 보호 시트(12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 밖에, 어플리케이터(10)는 셔틀(31)을 제 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부재(60)와, 스토퍼 부재(60)를 탄력적을 지지하는 리턴 부재(70)를 포함한다. 스토퍼 부재(60)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셔틀(31)과 맞물려 셔틀(31)을 제 1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작동 부재(40)에 의해 셔틀(31)과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호 시트(120)를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가 어플리케이터(10)에 작착된 상태에서 보호 시트(120)는 보호 캡(5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보호 캡(50)을 이용하여 보호 시트(120)를 분리하는 과정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보호 캡(50)을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보호 시트(120)의 제 1 섹션(12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가 보호 캡(50)을 더욱 당겨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호 시트(120)의 중간 섹션(129)이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되고, 마지막으로 보호 시트(120)의 제 2 섹션(126)에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 시트(120)의 제 1 섹션(124)과 중간 섹션(129) 및 제 2 섹션(126)이 차례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보호 시트(120)를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호 시트(120)를 제거하여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의 접착 레이어(115)를 노출시킨 후 어플리케이터(1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일단부를 사용자의 피부(S)에 위치시키고 작동 부재(40)를 조작한다. 작동 부재(40)가 누름 조작되면 스토퍼 부재(60)가 셔틀(31)과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스토퍼 부재(60)가 셔틀(31)에서 맞물림 해제되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셔틀(31)이 스프링(37)에 의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니들(35) 및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사용자의 피부(S) 속으로 삽입된다.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가 제 2 위치에 도달할 때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접착 레이어(115)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된다. 그리고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사용자의 피부(S)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리어(33)는 셔틀(31)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스프링(39)에 의해 제 1 위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니들(35)이 사용자의 피부(S)에서 분리된다.
니들(35)이 사용자의 피부(S)에서 분리된 후, 사용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된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어플리케이터(10)는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어플리케이터 하우징(20)의 개방된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캡(50)이 보호 시트(12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보호 시트(120)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는 보호 캡(50) 이외에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20은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1에 나타낸 보호 시트(21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211)과, 외곽 테두리부(21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22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214) 및 제 2 섹션(216)을 포함한다. 제 1 섹션(214)과 제 2 섹션(216)은 연결 섹션(218)에 의해 연결된다. 보호 시트(210)는 제 2 섹션(216)이 연결 섹션(218)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섹션(214)에는 보호 시트 홀(211)과 접착부(225)가 구비된다. 접착부(225)에는 보호 시트(2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214)과 제 2 섹션(21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21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225)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21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제 2 섹션(216)이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220)은 제 1 섹션(214)의 한쪽 단부와 제 2 섹션(216)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21)와,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21)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22)와,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22)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23)를 포함한다.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21)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21)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21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21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216)과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22)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2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곽 테두리부(212)를 향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22)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22)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23)는 연결 섹션(218)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23)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23)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21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21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216)과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210)의 제 1 섹션(214)과 제 2 섹션(216) 및 연결 섹션(21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225)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21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보호 시트(25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251)과, 외곽 테두리부(25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26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254) 및 제 2 섹션(256)과, 접착부(266)를 포함한다. 제 1 섹션(254)과 제 2 섹션(256)은 연결 섹션(258)에 의해 연결된다. 보호 시트(250)는 제 2 섹션(256)이 연결 섹션(258)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섹션(254)에는 보호 시트 홀(251)이 구비되고, 제 2 섹션(256)에는 접착부(266)가 구비된다. 접착부(266)에는 보호 시트(2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254)과 제 2 섹션(25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25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260)은 제 1 섹션(254)의 한쪽 단부와 제 2 섹션(256)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61)와,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61)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와,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63)와,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크로스 절개부(264)를 포함한다. 크로스 절개부(264)는 외곽 테두리부(252)로부터 제 1 섹션(254)을 향해 연장되어 하나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의 끝단에 연결된다.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61)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61)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25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25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256)과 분리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261)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외곽 테두리부(252)를 향해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호 수렴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63)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263)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25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25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256)과 분리될 수 있다.
접착부(266)는 크로스 절개부(264)에 인접하도록 제 2 섹션(256)의 끝단에 구비된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266)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2 섹션(256)의 끝단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여 제 2 섹션(256) 전체가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된 후, 제 1 섹션(254)이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250)의 제 1 섹션(254)과 제 2 섹션(256) 및 연결 섹션(25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266)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25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절개부(264)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262)에 사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보호 시트(31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311)과, 외곽 테두리부(31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32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314) 및 제 2 섹션(316)을 포함한다. 제 1 섹션(314)과 제 2 섹션(316)은 연결 섹션(318)에 의해 연결된다. 보호 시트(310)는 제 2 섹션(316)이 제 1 섹션(314)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섹션(314)에는 보호 시트 홀(311)과 접착부(326)가 구비된다. 접착부(326)에는 보호 시트(3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314)과 제 2 섹션(31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31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326)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31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제 2 섹션(316)이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320)은 제 1 섹션(314)을 둘러싸는 곡선형의 제 1 절개부(321)와, 제 1 절개부(321)와 연결되어 외곽 테두리부(312)까지 연장되는 제 2 절개부(322)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제 2 절개부(322)가 제 1 절개부(321)와 연결되는 직선형의 직선부(323)와, 직선부(323)와 연결되어 외곽 테두리부(312)의 일측까지 연장되는 곡선부(324)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2 절개부(322)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326)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31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되고, 이후 나선형의 제 2 섹션(316)이 내측부로부터 차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310)의 제 1 섹션(314)과 제 2 섹션(316) 및 연결 섹션(31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326)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31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보호 시트(35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351)과, 외곽 테두리부(35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36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354) 및 제 2 섹션(356)을 포함한다. 제 1 섹션(354)과 제 2 섹션(356)은 연결 섹션(358)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섹션(354)과 제 2 섹션(356)은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연결 섹션(358)은 제 1 섹션(354)의 측부 및 제 2 섹션(356)의 측부와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351)은 제 1 섹션(354)과 제 2 섹션(356) 및 연결 섹션(358)이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 1 섹션(354)에는 접착부(365)가 구비된다. 접착부(365)에는 보호 시트(3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354)과 제 2 섹션(35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35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365)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35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연결 섹션(358) 및 제 2 섹션(356)이 차례로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360)은 연결 섹션(358)을 제 1 섹션(354)의 측부 및 제 2 섹션(356)의 측부와 각각 구획하는 메인 절개부(361)와, 제 1 섹션(354)의 끝단과 제 2 섹션(356)의 끝단을 구획하는 크로스 절개부(362)와, 메인 절개부(361)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서브 절개부(3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서브 절개부(363) 중 하나는 제 1 섹션(354)과 연결 섹션(358)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연결 섹션(358)과 제 2 섹션(356)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메인 절개부(361)는 보호 시트 홀(351)을 통과하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다. 크로스 절개부(362)는 외곽 테두리부(352)로부터 메인 절개부(361) 쪽으로 연장되어 메인 절개부(361)와 연결된다. 크로스 절개부(362)는 보호 시트 홀(351)에 연결됨으로써 보호 시트 홀(351)을 통해 메인 절개부(361)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절개부(363)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절개부(363)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35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35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연결 섹션(358)과 분리될 수 있고, 연결 섹션(358)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제 2 섹션(356)과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350)의 제 1 섹션(354)과 제 2 섹션(356) 및 연결 섹션(35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365)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35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메인 절개부(361)와 크로스 절개부(362)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메인 절개부(361)와 크로스 절개부(362) 각각의 배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절개부(361)나 크로스 절개부(362)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보호 시트(41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441)과, 외곽 테두리부(41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42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414) 및 제 2 섹션(416)을 포함한다. 제 1 섹션(414)과 제 2 섹션(416)은 연결 섹션(418)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섹션(414)과 제 2 섹션(416)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섹션(414)에는 보호 시트 홀(441)과 접착부(424)가 구비된다. 접착부(424)에는 보호 시트(4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제 1 섹션(414)과 제 2 섹션(416)은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연결 섹션(418)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424)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414)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연결 섹션(418) 및 제 2 섹션(416)이 차례로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420)은 제 1 섹션(414)의 측부와 제 2 섹션(416)의 측부를 구획하도록 외곽 테두리부(412)의 일측으로부터 연결 섹션(418)까지 연장되는 메인 절개부(421)와, 연결 섹션(418)에 인접하도록 메인 절개부(421)의 끝단에 연결되는 서브 절개부(422)를 포함한다. 서브 절개부(422)는 아치형이나 다른 형태의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절개부(422)가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섹션(414)이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 1 섹션(414)이 찢어지지 않고 더욱 원활하게 연결 섹션(418)과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410)의 제 1 섹션(414)과 제 2 섹션(416) 및 연결 섹션(41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24)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44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절개부(421)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보호 시트(45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451)과, 외곽 테두리부(45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46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454) 및 제 2 섹션(456)과, 보호 시트(4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되는 접착부(462)를 포함한다. 제 1 섹션(454)과 제 2 섹션(456)은 연결 섹션(458)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섹션(454)과 제 2 섹션(456)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451)은 일부분이 제 1 섹션(454)에 놓이고 다른 일부분이 제 2 섹션(456)에 놓이는 형태로 구비된다. 접착부(462)는 제 1 섹션(454) 및 제 2 섹션(456)에 각각 구비된다. 제 1 섹션(454)에 구비되는 접착부(462)와 제 2 섹션(456)에 구비되는 접착부(462)는 절개 라인(4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섹션(454)과 제 2 섹션(456)은 연결 섹션(458)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462)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454)과 제 2 섹션(456)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동시에 분리되거나 또는 차례로 분리되고, 마지막으로 연결 섹션(458)이 접착 레이어(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460)은 제 1 섹션(454)의 측부와 제 2 섹션(456)의 측부를 구획하도록 외곽 테두리부(452)의 일측으로부터 연결 섹션(458)까지 연장된다. 절개 라인(460)은 보호 시트 홀(451)을 통과하도록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450)는 접착부(462)가 제 1 섹션(454) 및 제 2 섹션(456) 모두에 구비됨으로써 분리 부재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450)의 제 1 섹션(454)과 제 2 섹션(456) 및 연결 섹션(45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462)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45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 라인(460)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보호 시트(51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511)과, 외곽 테두리부(51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520)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514) 및 제 2 섹션(516)과, 보호 시트(5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되는 접착부(522)를 포함한다. 제 1 섹션(514)과 제 2 섹션(516)은 연결 섹션(518)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섹션(514)과 제 2 섹션(516)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511)은 일부분이 제 1 섹션(514)에 놓이고 다른 일부분이 제 2 섹션(516)에 놓이는 형태로 구비된다. 접착부(522)는 연결 섹션(518)에 구비된다. 제 1 섹션(514)과 제 2 섹션(516)은 연결 섹션(518)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에 의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522)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연결 섹션(518)이 먼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제 1 섹션(514)과 제 2 섹션(516)이 동시에 분리되거나 또는 차례로 분리될 수 있다.
절개 라인(520)은 제 1 섹션(514)의 측부와 제 2 섹션(516)의 측부를 구획하도록 외곽 테두리부(512)의 일측으로부터 연결 섹션(518)까지 연장된다. 절개 라인(520)은 보호 시트 홀(511)을 통과하도록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510)는 접착부(522)가 제 1 섹션(514) 및 제 2 섹션(516) 모두에 구비됨으로써 분리 부재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510)의 제 1 섹션(514)과 제 2 섹션(516) 및 연결 섹션(518)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522)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51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 라인(520)은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보호 시트(55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551)과, 외곽 테두리부(55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558)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554) 및 제 2 섹션(556)과, 보호 시트(5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되는 접착부(560)를 포함한다. 제 1 섹션(554)과 제 2 섹션(556)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551)은 제 1 섹션(554)에 위치한다.
절개 라인(558)은 제 1 섹션(554)과 제 2 섹션(556)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없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외곽 테두리부(552)의 일측에서 외곽 테두리부(552)의 다른 일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558)은 보호 시트(550)의 중심(C)을 통과하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보호 시트(550)의 중심(C)은 보호 시트(550)의 무게중심일 수 있다. 절개 라인(558)은 보호 시트(55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558)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554) 및 제 2 섹션(556)은 보호 시트(55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접착부(560)는 제 1 섹션(554) 및 제 2 섹션(556) 모두에 구비된다. 접착부(560)에는 보호 시트(5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5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554)과 제 2 섹션(556)은 각각 개별적으로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부(560)가 제 1 섹션(554) 및 제 2 섹션(556) 각각의 끝단에 구비됨으로써 분리 부재가 당겨질 때 제 1 섹션(554)과 제 2 섹션(556)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550)의 제 1 섹션(554)과 제 2 섹션(556)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560)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55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 라인(558)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보호 시트(61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611)과, 외곽 테두리부(61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618)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614) 및 제 2 섹션(616)과, 보호 시트(6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되는 접착부(620)를 포함한다. 제 1 섹션(614)과 제 2 섹션(616)은 각각의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611)은 일부분이 제 1 섹션(614)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이 제 2 섹션(616)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보호 시트 홀(611)은 보호 시트(610)의 중심(C)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 라인(618)은 제 1 섹션(614)과 제 2 섹션(616)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없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외곽 테두리부(612)의 일측에서 외곽 테두리부(612)의 다른 일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618)은 보호 시트(610)의 중심(C)을 통과하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섹션(614) 및 제 2 섹션(616)은 절개 라인(618)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620)는 제 1 섹션(614) 및 제 2 섹션(616) 모두에 구비된다. 제 1 섹션(614)의 접착부(620)와 제 2 섹션(616)의 접착부(620)는 절개 라인(61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접착부(620)에는 보호 시트(61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62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614)과 제 2 섹션(616)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610)의 제 1 섹션(614)과 제 2 섹션(616)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620)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61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 라인(618)의 형태도 직선형 등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보호 시트(650)는 센서(112)의 삽입부(113)가 통과할 수 있는 보호 시트 홀(651)과, 외곽 테두리부(652)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658)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654) 및 제 2 섹션(656)과, 보호 시트(6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되는 접착부(660)를 포함한다. 제 1 섹션(654)과 제 2 섹션(656)은 각각의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보호 시트 홀(651)은 일부분이 제 1 섹션(654)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분이 제 2 섹션(656)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보호 시트 홀(651)은 보호 시트(650)의 중심(C)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 라인(658)은 제 1 섹션(654)과 제 2 섹션(656)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없이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외곽 테두리부(652)의 일측에서 외곽 테두리부(652)의 다른 일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658)은 보호 시트(650)의 중심(C)을 통과하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658)은 보호 시트(65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절개 라인(658)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654) 및 제 2 섹션(656)은 보호 시트(65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접착부(660)는 제 1 섹션(654) 및 제 2 섹션(656) 모두에 구비된다. 제 1 섹션(654)의 접착부(660)와 제 2 섹션(656)의 접착부(660)는 보호 시트(65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접착부(660)에는 보호 시트(650)를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다. 분리 부재가 접착부(66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가 당겨지면 제 1 섹션(654)과 제 2 섹션(656)은 접착 레이어(115)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시트(650)의 제 1 섹션(654)과 제 2 섹션(656) 각각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660)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시트 홀(65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개 라인(658)은 직선형 등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보호 시트가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보호 시트는 3분할 또는 3분할 이상의 개수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부착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용도 이외에,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터 20 : 어플리케이터 하우징
30 : 삽입 유닛 31 : 셔틀
32 : 캐리어 35 : 니들
37, 39 : 스프링 40 : 작동 부재
50 : 보호 캡 60 : 스토퍼 부재
70 : 리턴 부재 100 : 신체 부착 디바이스
110 : 하우징 112 : 센서
113 : 삽입부 115 : 접착 레이어
120, 210, 250, 310, 350, 410, 450, 510, 550, 610, 650 : 보호 시트
121, 211, 251, 311, 351, 411, 451, 511, 551, 611, 651 : 보호 시트 홀
122, 212, 252, 312, 352, 412, 452, 512, 552, 612, 652 : 외곽 테두리부
124, 214, 254, 314, 354, 414, 454, 514, 554, 614, 654 : 제 1 섹션
126, 216, 256, 316, 356, 416, 456, 516, 556, 616, 656 : 제 2 섹션
128, 218, 258, 318, 358, 418, 458, 518 : 연결 섹션
133, 220, 260, 320, 360, 420, 460, 520, 558, 618, 658 : 절개 라인
144, 225, 266, 326, 365, 424, 462, 522, 560, 620, 660 : 접착부

Claims (14)

  1.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 및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분리 부재에 의해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차례로 분리 가능하되, 상기 연결 섹션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 2 섹션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는 중간 섹션과,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연결하는 제 1 섹션 연결부와,
    상기 중간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절개 라인과,
    상기 제 2 섹션과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중간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중간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제 2 섹션을 구획하는 중간 단부 절개부와,
    상기 중간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중간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 절개 라인은,
    상기 중간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중간 사이드 절개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와, 상기 한 쌍의 중간 섹션 연결 단부 절개부는 각각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한쪽 단부와 상기 제 2 섹션을 구획하는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 단부 절개부의 양쪽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 상기 외곽 테두리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외곽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제 1 섹션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섹션 사이드 절개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크로스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을 둘러싸는 곡선형의 제 1 절개부와,
    상기 제 1 절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곽 테두리부까지 연장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의 끝단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 및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와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연결 섹션을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 및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와 각각 구획하는 메인 절개부와,
    상기 제 1 섹션의 끝단과 상기 제 2 섹션의 끝단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메인 절개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절개부와 연결되는 크로스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각각의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의 측부와 상기 제 2 섹션의 측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연결 섹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없이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일측에서 상기 외곽 테두리부의 다른 일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은 상기 보호 시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센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상기 보호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보호 시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14.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우징;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 및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 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보호 시트의 외곽 테두리부 안쪽에 배치되는 절개 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과,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분리 부재가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KR1020210116129A 2021-09-01 2021-09-01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KR10261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29A KR102614603B1 (ko) 2021-09-01 2021-09-01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PCT/KR2022/007874 WO2023033316A1 (ko) 2021-09-01 2022-06-02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EP22864825.9A EP4378377A1 (en) 2021-09-01 2022-06-02 Protection sheet for body attachment device and body attachment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29A KR102614603B1 (ko) 2021-09-01 2021-09-01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16A true KR20230033316A (ko) 2023-03-08
KR102614603B1 KR102614603B1 (ko) 2023-12-19

Family

ID=8541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29A KR102614603B1 (ko) 2021-09-01 2021-09-01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8377A1 (ko)
KR (1) KR102614603B1 (ko)
WO (1) WO202303331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606A (ko) * 2012-04-04 2013-10-14 이승현 포장팩용 개폐스티커 및 이를 갖는 포장팩
KR20180132553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6731A1 (en) * 2010-03-24 2022-10-05 Abbott Diabetes Care, Inc. Medical device inserters
US20170137196A1 (en) * 2015-11-12 2017-05-18 Juan Carlos Tinoco Peel Reclose Package with Laser Features
KR20200085975A (ko) * 2019-01-07 2020-07-16 주식회사 유진프린팅 포장팩용 개폐스티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606A (ko) * 2012-04-04 2013-10-14 이승현 포장팩용 개폐스티커 및 이를 갖는 포장팩
KR20180132553A (ko)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174842B1 (ko) 2017-06-02 2020-11-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316A1 (ko) 2023-03-09
KR102614603B1 (ko) 2023-12-19
EP4378377A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4735T3 (es) Aparatos de recolección continua de glucosa
JP7440610B2 (ja) 連続血糖測定用センサー部材
KR102332928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신체 부착 유닛의 보조 접착 패치
WO2021025257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삽입 가이드 니들 제작 방법
JP2022166311A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JP2022162114A (ja) 連続血糖測定用身体付着ユニット
CN113164112A (zh) 双刚性粘合贴片
KR102614603B1 (ko)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신체 부착 디바이스
KR20230002012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238431B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삽입 가이드 니들
EP4098189A1 (en)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KR102576680B1 (ko) 신체 부착 디바이스용 접착 테이프
KR102592776B1 (ko) 경피성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니들 및 니들 어셈블리
KR102637367B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센서 유닛
KR20230002013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4A (ko) 생체 정보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KR20230002015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