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15A -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15A
KR20230002015A KR1020210170727A KR20210170727A KR20230002015A KR 20230002015 A KR20230002015 A KR 20230002015A KR 1020210170727 A KR1020210170727 A KR 1020210170727A KR 20210170727 A KR20210170727 A KR 20210170727A KR 20230002015 A KR20230002015 A KR 2023000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pplicator
user
sensor unit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류광열
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ublication of KR2023000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74Manufacture or production processes or steps for blood sampling devices
    • A61B5/15029Manufacture or production processes or steps for blood sampling devices for driving devices, i.e. means for driving the pierc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48Having means for aiding positioning of the piercing device at a location where the body is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69Low-profile devices which resemble patches or plasters, e.g. also allowing collection of blood samples for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본 발명은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의료용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의료용 디바이스는 만성질환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료를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모니터링하는데 신체에 부착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의료용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경피성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 속에 삽입되어 체내에서 혈당을 측정하는 경피성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과, 경피성 센서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피성 센서를 이용하는 의료용 시스템은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 방식 또한 다양하다. 현재, 대부분의 시스템은 1회용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센서 유닛를 신체에 부착한 후, 경피선 센서와 함께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직접 뽑아내야 하는 등 여러가지의 후속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1회용 센서 유닛의 포장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장착해야 하고,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유닛을 피부에 부착해야 한다. 그리고 센서 유닛의 부착 후에는 피부에 삽입된 니들을 뽑아내고, 트랜스미터를 센서 유닛에 결합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7097호 (2020. 11. 1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피성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이 조립된 상태로 제작 가능하여 경피성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경피성 센서를 피부에 삽입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유닛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 시트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센서 유닛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캐리지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보호 시트와 결합되는 제 3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캐리지와 맞물려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캐리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전진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전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디텐트부에 맞물리는 제 4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리턴부재에 의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 2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는 제 5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상기 니들과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플런저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제 1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전진하는 제 1 이동거리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이동부재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전진하는 제 2 이동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 2 디텐트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 2 이동거리만큼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전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캐리어에 의한 상기 보호 필름의 분리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이동부재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컬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에는 상기 캐리지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컬럼부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컬럼부와 상기 캐리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바닥부가 구비된 프레임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컬럼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떠받치는 스테이지와, 상기 컬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테이지의 중간에 형성되는 미들 프레임 개구를 구비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상기 니들이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 상기 캐리어가 상기 니들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부와,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도록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시트는 보호 시트 홈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보호 시트 홈에 삽입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상기 보호 시트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그립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접착 레이어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의 접착 레이어를 보호 시트로 덮어 보호함으로써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전에 접착 레이어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유닛의 접착 레이어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 시트를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의 접착 레이어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센서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센서 유닛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센서 유닛에 니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센서 유닛에서 니들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센서 유닛의 접착 레이어에 보호 시트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센서 유닛의 접착 레이어에서 보호 시트가 분리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탑 케이스가 어플리케이터 바디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보호캡 및 안전핀이 어플리케이터 바디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니들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리어와 니들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캐리어와 니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록킹 후크가 이동부재에 의해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록킹 후크가 이동부재에 의해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8은 록킹 후크가 이동부재에 의해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서 맞물린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록킹 후크가 이동부재에 의해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맞물린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센서 유닛의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센서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47 및 도 48은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1은 도 49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베이스 유닛에 전자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신체 부착 유닛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신체 부착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구성하는 베이스 유닛(200)과,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어플리케이터(30)에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되어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어플리케이터(30)의 작용으로 자동으로 조립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5)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5)로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나, 전용 의료 디바이스, PC, 서버 등 신체 부착 유닛(20)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정보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혈당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유닛(100)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200)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생체 정보를 처리하고 외부 단말기(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유닛(1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센서(110)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고정하기 위한 센서 접착부(149) 및 접착 패드(152)와,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16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센서 바디(111)와, 센서 바디(1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부(112)와, 연결부(112)를 통해 센서 바디(111)와 연결되는 중간부(113)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부(113)에 연결되는 삽입부(116)를 포함한다. 센서 바디(111)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센서 바디(111)에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센서 바디(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센서 바디(111)와 중간부(113)를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놓이도록 연결한다. 센서(110)는 센서 바디(111)가 중간부(113) 및 삽입부(116)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평판 형태로 제작된 후, 연결부(112)가 굽힘 변형되어 센서 바디(111)가 중간부(113) 및 삽입부(116)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놓이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중간부(113)와 삽입부(116)는 센서 바디(111)와 다른 평면 상에 놓이도록 센서 바디(111)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중간부(113) 및 삽입부(116)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중간부(113)가 센서 바디(111)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중간부(113)와 센서 바디(111) 사이의 각도나, 삽입부(116)와 센서 바디(111)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중간부(113)는 연결부(112)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연장부(114)와, 제 1 연장부(114)가 연결부(11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부(112)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연장부(115)를 포함한다. 삽입부(116)는 제 1 연장부(114)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6)는 사용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가늘고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12)와, 중간부(113) 및 삽입부(116)에는 센서 바디(111)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트레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110)는 센서 바디(111)와, 연결부(112) 및 중간부(113)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삽입부(116)만 센서 유닛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하우징 베이스(121)와, 하우징 베이스(121)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 캡(134)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센서(110)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중간에는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니들(450)이 삽입되는 하우징 개구(140)가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121)는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를 떠받치는 베이스부(122)와, 베이스부(1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2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2)의 일측에는 베이스부홀(123)이 베이스부(1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부(122)의 다른 일측에는 관통홀(124)이 베이스부(12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124)에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가 결합된다. 베이스부(122)의 가장자리에는 디텐트홈(125)이 마련된다.
보스(127)는 베이스부(122)의 양쪽 표면 중에서 센서(110)가 놓이지 않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보스(127)에는 보스홀(128)이 보스(127)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보스홀(128)은 베이스부홀(123)과 연결되며, 베이스부홀(123)과 함께 하우징 베이스홀(132)을 형성한다. 보스홀(128)은 베이스부홀(123)과 연결되는 상부홀(129)과, 상부홀(129)과 연결되어 보스(127)의 끝단까지 연장되는 하부홀(130)을 포함한다. 상부홀(129)의 크기는 하부홀(130)의 크기보다 크다. 상부홀(129)은 센서(110)의 중간부(113)와 니들(45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하부홀(130)은 센서(110)의 삽입부(116)와 니들(45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부홀(129)에는 센서(110)의 중간부(113)를 떠받칠 수 있는 받침부(131)가 구비된다. 받침부(131)가 중간부(113)를 떠받침으로써 센서(110)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 캡(134)은 하우징 베이스(121)에 결합되어 하우징 베이스(121)에 놓이는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와 하우징 베이스(121)의 상부를 덮는다. 하우징 캡(134)의 중간에는 하우징 캡홀(135)이 하우징 캡(134)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캡홀(135)은 하우징 베이스(121)의 하우징 베이스홀(132)과 연결되어 하우징 개구(140)를 형성한다. 하우징 개구(140)에는 센서(110)와 함께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니들(450)이 삽입된다. 하우징 캡(134)에는 하우징 베이스(121)의 디텐트홈(125)에 대응하는 디텐트돌기(138)가 구비된다. 하우징 캡(134)은 디텐트돌기(138)가 디텐트홈(125)에 삽입되어 하우징 베이스(121)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하우징 베이스(121)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21)와 마주하는 하우징 캡(134)의 내면에는 돌출부(137)와 리텐션돌기(136)가 구비된다. 돌출부(137)와 리텐션돌기(136)는 하우징 베이스(121)를 향해 돌출된다. 돌출부(137)와 리텐션돌기(136)는 센서(110)에 접촉하여 센서(110)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센서(110)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137)는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에 접촉하여 센서 바디(111)를 하우징 베이스(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바디(111)가 하우징 베이스(121)로부터 들뜨지 않고 하우징 베이스(1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 캡(134)이 하우징 베이스(121)에 결합될 때 리텐션돌기(136)는 하우징 베이스홀(132)에 삽입되어 센서(110)와 접촉하게 된다. 즉 리텐션돌기(136)는 그 끝단이 하우징 베이스홀(132) 속에 삽입되어 있는 중간부(113)의 제 2 연장부(115)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센서(110)의 중간부(113)가 받침부(131)에서 들뜨지 않도록 중간부(113)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리텐션돌기(136)의 작용으로 센서(110)의 삽입부(116)가 안정적으로 센서 유닛 하우징(120)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텐션돌기(136)의 작용으로 센서(110)의 삽입부(116)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후퇴하지 않고 사용자의 피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삽입부(116)가 니들(450)과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리텐션돌기(136)가 중간부(113)를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삽입부(116)가 니들(450)과 같은 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한다. 따라서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삽입부(116)가 사용자의 피부를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116)가 부분적으로 피부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센서(110)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캡(134)은 베이스부(122)와 함께 하우징 바디(142)를 구성한다. 즉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하우징 바디(142)와, 하우징 바디(14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27)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 바디(142)는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42)는 보스(127)가 구비되는 바디부(143)와, 바디부(143)보다 넓은 커버부(144)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110)가 장착되고,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하우징 베이스(121)와 하우징 캡(134)을 포함하는 구성이나, 하우징 바디(142)와 하우징 바디(142)로부터 돌출되는 보스(127)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베이스부(122)의 관통홀(124)에 삽입되어 베이스부(12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는 일부분이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가 위치하는 베이스부(122)의 일면으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분이 베이스부(122)의 타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센서(110)와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센서 접착부(149)는 하우징 베이스(121)와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 바디(111)를 하우징 베이스(121)에 부착한다. 센서 접착부(149)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센서 접착부(149)의 일면은 하우징 베이스(121)에 접착되고, 센서 접착부(149)의 타면은 센서 바디(111)에 접착된다. 센서 접착부(149)의 중간에는 센서 접착부 개구(150)가 센서 접착부(14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는 센서 접착부 개구(150)를 통해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된다. 따라서 센서 접착부(149)는 센서 바디(111)와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 사이를 실링하여 센서 바디(111)와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 사이의 전기 연결부(170)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센서 접착부(149)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접착 패드(152)는 하우징 캡(134)과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 바디(111)를 하우징 캡(134)에 부착한다. 접착 패드(152)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접착 패드(152)의 일면은 하우징 캡(134)에 접착되고, 접착 패드(152)의 타면은 센서 바디(111)에 접착된다. 접착 패드(152)에는 접착 패드홈(153)이 접착 패드(15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캡(134)의 돌출부(137)가 접착 패드홈(153)을 통해 센서 바디(111)에 접촉함으로써 센서 바디(111)를 하우징 베이스(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접착 패드(152)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접착 레이어(155)는 하우징 베이스(121)의 표면에 배치된다. 접착 레이어(155)는 양쪽 면이 접착성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의 일면은 하우징 베이스(121)에 접착되고, 접착 레이어(155)의 타면은 보호 시트(160)로 덮인다. 접착 레이어(155)는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레이어(155)의 중간 부분에는 접착 레이어홀(156)이 접착 레이어(15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가 접착 레이어홀(156)을 통해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 사이를 실링하여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 사이의 전기 연결부(250)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접착 레이어(155)의 일측에는 접착 레이어 개구(157)가 접착 레이어(15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가 접착 레이어홀(156) 안쪽에 위치하고 보스(127)가 접착 레이어 개구(157)에 삽입되도록 하우징 베이스(121)에 부착된다.
접착 레이어(155)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어 보호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접착 레이어(155)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면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를 덮음으로써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센서 유닛(100)의 제작 공정이나, 센서 유닛(100)을 어플리케이터(30)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작업자에 의한 센서 유닛(10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보호 시트(160)는 접착 레이어(155)에 접착되는 보호부(161)와, 보호부(16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윙부(164)를 포함한다. 보호부(161)의 일측에는 보호 시트 개구(162)가 보호부(16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보호 시트(160)는 보스(127)가 보호 시트 개구(162)에 삽입되도록 접착 레이어(155)에 부착된다. 윙부(164)의 길이는 보호부(161)의 길이보다 길다. 윙부(164)는 보호부(16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보호부(161)를 완전히 가로질러 보호부(161)의 타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윙부(164)는 보호부(161)와 겹치는 제 1 윙부(165)와, 제 1 윙부(165)에서 절곡되는 제 2 윙부(166)를 포함한다. 보호 시트 개구(162)는 보호부(161)에서 제 1 윙부(16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2 윙부(166)에는 보호 시트홈(167)이 제 2 윙부(166)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윙부(614)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되어 어플리케이터(30)의 캐리지(6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시트(160)는 센서 유닛(100)이 이동하여 베이스 유닛(200)에 도달하기 전에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보호 시트(160)의 형태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센서 유닛(100)은 접착 레이어(155)에 보호 시트(160)가 부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된다. 보호 시트(160)는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기 전에 어플리케이터(30)의 리무빙 유닛(600)에 의해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전자부품은 기판(223)과,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배터리(2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23)에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칩이나, 외부 단말기(5)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는 센서(110)의 삽입부(116)와 니들(450)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211)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장착부(212)가 구비된다. 장착부(212)는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와,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의 내측에 마련되는 접촉면(216)을 포함한다. 삽입홀(211)은 센서 유닛(100)의 보스(127)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의 내측에 배치된다. 접촉면(216)은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가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는 삽입홀(211)과 연결되는 제 1 리세스(214)와, 제 1 리세스(214)보다 삽입홀(211)로부터 멀리 위치하여 제 1 리세스(214)와 연결되는 제 2 리세스(215)를 포함한다. 제 2 리세스(215)는 제 1 리세스(214)보다 넓다. 제 1 리세스(214)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바디부(14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리세스(215)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커버부(14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 하우징(120)은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유닛 하우징(120)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춤 결합됨으로써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없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홈(217)이 형성된다. 하우징홈(217)에는 어플리케이터(30)에 구비되는 록킹 후크(36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장착부(212)에 배치되어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될 때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접촉한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기판(2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분이 베이스 유닛 리세스(213) 중으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에 설치된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226)는 센서 유닛(100)의 단자부(147)와 접촉함으로써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기판(2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은 하부 하우징(219)과, 하부 하우징(219)의 상부를 덮는 상부 하우징(221)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표면에는 접착부(230)가 구비된다. 접착부(230)는 하부 하우징(219)의 표면에 부착되어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230)의 중간에는 센서(110)의 삽입부(116)와 니들(450)이 통과할 수 있는 접착부홀(231)이 접착부(23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접착부(230)는 보호 시트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접착부(230)를 덮는 보호 시트는 베이스 유닛(20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분리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설치되고 어플리케이터(30)가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도록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호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센서 유닛(100)은 니들(450)이 결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되고, 니들(450)이 결합된 상태로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움직여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후 니들(450)은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고, 신체 부착 유닛(20)만 사용자의 피부에 남아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30)는 센서 유닛(100) 및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된 상태로 작동하여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을 결합시키고,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이 결합된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상호 이격되어 어플리케이터(30)에 각각 장착된다. 어플리케이터(30)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킨 후 신체 부착 유닛(20)과 분리되며,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어플리케이터(30)는 베이스 유닛(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캡(380)과, 센서 유닛(100)을 이동시켜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는 삽입 유닛(400)과,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500)와,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기 위한 리무빙 유닛(600)을 포함한다. 삽입 유닛(400)은 센서 유닛(100)을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은 제 2 위치에서 결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형성한다.
어플리케이터 바디(300)는 삽입 유닛(400)이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베이스 프레임(310) 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330)과, 미들 프레임(330)에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의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37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31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312)를 갖는 프레임 베이스부(311)와, 프레임 베이스부(311)로부터 돌출되어 센서 유닛(100)과 삽입 유닛(400)의 플런저(410) 등을 수용하는 컬럼부(318)를 포함한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바닥부(312)에는 베이스 유닛(200)이 장착되는 리세스(313)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200)은 접착부(230)가 사용자의 피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리세스(3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센서 유닛(100)과 이격된 제 2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부(311)에는 복수의 관통홀(314)(315)이 프레임 베이스부(31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 중 한 쌍의 관통홀(314)은 컬럼부(318)를 사이에 두고 컬럼부(318)의 양측에 배치되고, 다른 관통홀(315)은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다른 일측에 배치된다. 컬럼부(318)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관통홀(314) 각각의 상부에는 지지부(316)가 구비되고, 다른 관통홀(315)에는 보호캡(380)의 스토퍼 암(384)이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 암(384)은 이동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316)에는 베이스 유닛(20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록킹 후크(360)가 결합된다. 록킹 후크(360)는 리세스(313)에 장착된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려 베이스 유닛(200)을 리세스(313)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는 지지부(316)에 피봇 결합된다. 록킹 후크(360)는 지지부(3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부(361)와, 피봇부(361)에 연결되는 후크부(362)와, 피봇부(361)로부터 돌출되는 로드(363)를 포함한다. 후크부(362)는 베이스 유닛(200)의 하우징홈(217)에 삽입되어 베이스 유닛(200)에 맞물릴 수 있다. 후크부(362)는 피봇부(36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로드(363)는 피봇부(36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후크부(362)는 베이스 프레임(310)의 관통홀(314)에 삽입되며 그 일부분이 베이스 프레임(310)의 리세스(313) 속에 위치한다. 록킹 후크(360)는 이동부재(500)에 연동하여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록킹 후크(360)의 보다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컬럼부(318)의 양쪽 측부에는 슬릿(319)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319)의 중간 부분에는 릴리즈부(320)가 구비된다. 릴리즈부(320)는 플런저(4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캐리어(42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는 중에 캐리어(422)의 일부분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다. 릴리즈부(320)의 작용으로 캐리어(422)가 플런저(41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릴리즈부(320)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컬럼부(318)의 일측에는 플런저(41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디텐트부(321)가 구비된다. 컬럼부(318)의 내부에는 리텐션부(322)가 구비된다. 리텐션부(322)는 플런저(41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플런저 드라이버(48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컬럼부(318)의 측부에는 컬럼부홀(324)이 컬럼부(318)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컬럼부홀(324)에는 플런저(410) 및 캐리어(42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안전핀(49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컬럼부(318)의 외면에는 컬럼부 레일(325)과 고정부(326)가 구비된다. 컬럼부 레일(325)은 리무빙 유닛(600)의 캐리지(610)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고, 고정부(326)는 리무빙 유닛(600)의 캐리지 드라이버(6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밖에, 컬럼부(318)의 내부에는 내부 레일(327)과 디텐트부(328)가 구비된다. 내부 레일(327)은 플런저(410)의 안정적인 선형 이동을 유도하도록 플런저(4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디텐트부(328)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한 플런저(410)를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프레임(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미들 프레임(33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외곽 프레임(331)과, 외곽 프레임(331)의 안쪽에 배치되는 스테이지(333)와, 스테이지(333)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339)를 포함한다. 외곽 프레임(331)에는 탑 케이스(370)와 맞물릴 수 있는 후크부(332)가 구비된다. 스테이지(333)는 프레임 베이스부(311)의 위에 배치된다. 스테이지(333)의 중간에는 컬럼부(318)가 삽입되는 미들 프레임 개구(334)가 마련된다. 미들 프레임 개구(334)의 양측으로는 록킹 후크(360)의 로드(363)가 삽입되는 관통홀(335)이 형성된다. 로드(363)가 관통홀(335)을 통과하여 스테이지(333)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스테이지(333)에는 가이드돌기(336)와 개구(337)가 구비된다. 가이드돌기(336)는 이동부재(500)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337)에는 보호캡(380)의 스토퍼 암(384)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대(339)에는 이동부재(5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재(345)가 설치된다.
작동부재(345)는 버튼부(346)와, 버튼부(346)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돌기(347)를 포함한다. 작동부재(34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이동부재(500)를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346)를 누르면 작동부재(345)가 움직여 가압돌기(347)가 이동부재(500)를 밀 수 있다.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이는 이동부재(500)에 연동하여 삽입 유닛(400)과 리무빙 유닛(600)이 작동될 수 있다. 작동부재(345)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되어 삽입 유닛(400)과 리무빙 유닛(600)을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330)의 일측에는 리턴부재(350)가 구비된다. 리턴부재(350)는 이동부재(500)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작동부재(345)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재(500)를 원상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턴부재(350)는 작동부재(345)에 의해 전진한 이동부재(500)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이동부재(500)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이동부재(500)가 스테이지(333)의 일측에 지지대(339)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동부재(500)의 위치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3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미들 프레임(330)은 베이스 프레임(3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 케이스(370)는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330)과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부를 덮는다. 탑 케이스(370)의 일측에는 탑 케이스 개구(371)가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가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탑 케이스(370)는 결합홀(372)을 구비하고, 결합홀(372)에 미들 프레임(330)의 후크부(332)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될 수 있다.
탑 케이스(37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탑 케이스(370)와 미들 프레임(330)의 결합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호캡(380)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바닥부(312)를 덮을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캡(380)은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리세스(313)에 장착된 베이스 유닛(20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보호캡(380)은 캡 바디(381)와, 캡 바디(38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암(382)과, 이동부재(50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 암(384)을 포함한다. 탄성암(382)에는 외곽 프레임(331)에 마련되는 록킹홈(340)에 삽입되는 록킹돌기(383)가 구비된다. 보호캡(380)은 미들 프레임(330)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미들 프레임(330)과 결합된다. 이때, 록킹돌기(383)가 외곽 프레임(331)의 록킹홈(340)에 삽입됨으로써 보호캡(380)은 미들 프레임(3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캡(380)은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주어 당김에 따라 미들 프레임(330)에서 어렵지 않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호캡(380)이 미들 프레임(330)에 결합될 때 스토퍼 암(384)이 베이스 프레임(310)의 관통홀(315)과 미들 프레임(330)의 개구(337)를 차례로 통과하여 이동부재(500)와 맞물리게 된다. 스토퍼 암(384)이 이동부재(500)와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재(500)는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의 보관이나 운반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작동부재(345)가 조작되어 어플리케이터(30)가 작동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터(30)는 보호캡(380)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서 분리된 후 작동할 수 있다.
삽입 유닛(400)은 이동부재(500)와 연동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되어 센서 유닛(1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 유닛(400)은 미들 프레임(3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410)와, 플런저(410)와 함께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니들(450)을 구비하는 니들 어셈블리(420)를 포함한다.
플런저(410)는 컬럼부(318)의 내부에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410)의 일측에는 플런저(4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플런저 후크(411)가 구비된다. 플런저 후크(411)는 플런저(410)로부터 돌출되며, 플런저(410)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컬럼부(318)의 디텐트부(321)에 접함으로써 플런저(4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플런저(410)의 다른 일측에는 플런저 돌기(412)가 구비된다. 플런저 돌기(412)는 이동부재(50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플런저(410)로부터 돌출된다. 플런저(410)는 플런저 돌기(412)가 이동부재(500)에 맞물림으로써 제 1 위치에 고정되고, 플런저 돌기(412)가 이동부재(500)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410)의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슬릿(413)이 센서 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슬릿(413)의 중간 부분에는 캐리어(422)의 래치부(437)가 맞물릴 수 있는 디텐트부(414)가 구비된다. 래치부(437)가 디텐트부(414)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22)는 플런저(410)와 함께 이동하고 플런저(4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없다. 플런저(410)의 내측에는 리텐션부(415)와 고정부(416)가 구비된다. 리텐션부(415)는 플런저 드라이버(480)를 지지한다. 고정부(416)에는 캐리어(422)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가 결합된다. 플런저(410)의 측부에는 플런저 레일부(417)와 플런저홀(418)이 구비된다. 플런저 레일부(417)는 컬럼부(318)의 내부 레일(327)에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런저(410)는 플런저 레일부(417)가 내부 레일(327)에 맞물림으로써 내부 레일(327)을 따라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내부 레일(327)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플런저 레일부(417)가 내부 레일(327)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내부 레일(327)과 플런저 레일부(417)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플런저홀(418)은 플런저(410)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플런저홀(418)에는 안전핀(490)이 삽입된다. 안전핀(490)이 컬럼부홀(324)을 통과하여 플런저홀(418)에 삽입될 때 플런저(410)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이 밖에, 플런저(410)의 외면에는 플런저 스토퍼(419)가 구비된다. 플런저 스토퍼(419)는 컬럼부(318)의 디텐트부(328)에 맞물릴 수 있다. 플런저(410)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플런저 스토퍼(419)가 컬럼부(318)의 디텐트부(328)에 맞물림으로써 플런저(410)는 제 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가 작동하여 센서(110)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킨 후 플런저(410)를 제 2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터(3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30)의 사용 후 니들(450)이 재장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플런저(410)를 제 2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플런저(410)는 플런저 드라이버(480)로부터 이동력을 제공받아 움직인다. 플런저 드라이버(480)는 플런저(410)에 대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8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81)는 일단이 컬럼부(318)의 리텐션부(322)에 접하고 타단이 플런저(410)의 리텐션부(415)에 접한다. 플런저(410)는 탄성부재(481)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이동부재(500)에 맞물려 제 1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런저 드라이버(48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8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플런저(410)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니들 어셈블리(420)는 센서 유닛(1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422)와, 센서 유닛(100)을 관통하도록 캐리어(422)에 결합되는 니들(450)을 포함한다. 니들(450)은 센서 유닛(100)과 결합된 상태로 센서 유닛(100)과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고, 제 2 위치에서 캐리어(422)와 함께 후퇴하여 사용자의 피부 및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22)는 플런저(41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422)는 일부분이 플런저(410)에 맞물림으로써 플런저(41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422)는 제 2 위치에서 플런저(4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캐리어(422)는 니들(450)이 결합되는 캐리어 바디(423)와, 캐리어 바디(423)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캐리어 윙(431)과, 캐리어 바디(423)의 측부에 연결되는 록킹 암(439)을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423)는 내측에 삽입홈(425)이 형성된 보스(424)를 포함한다. 삽입홈(425)에는 니들(45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425) 속에는 니들(450)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427)가 구비된다. 클램프부(427)는 니들(450)과 맞물릴 수 있는 후크(428)를 포함한다. 캐리어 바디(423)의 일측에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가 결합되는 고정부(429)가 구비된다. 캐리어(422)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에 의해 플런저(4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는 캐리어(422)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는 일단이 플런저(410)의 고정부(416)에 결합되고 타단이 캐리어(422)의 고정부(429)에 결합되는 탄성부재(486)를 포함한다. 탄성부재(486)는 인장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캐리어(422)를 플런저(410)의 고정부(416) 쪽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즉 탄성부재(486)는 캐리어(422)에 대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캐리어(422)에 결합되는 니들(450)을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86)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캐리어(422)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캐리어 바디(423)의 측부에는 캐리어홀(430)이 캐리어 바디(423)의 측부를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캐리어홀(430)에는 안전핀(490)이 삽입될 수 있다. 안전핀(490)은 캐리어(422)가 제 1 위치에서 위치한 상태에서 캐리어홀(430)에 삽입됨으로써 캐리어(422)를 제 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핀(490)은 컬럼부(318)의 컬럼부홀(324)과, 플런저(410)의 플런저홀(418)과, 캐리어(422)의 캐리어홀(430)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410)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컬럼부홀(324)과, 플런저홀(418) 및 캐리어홀(430)이 일렬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핀(490)이 컬럼부홀(324)과 플런저홀(418)을 차례로 통과하여 캐리어홀(4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안전핀(490)은 플런저(410)와 캐리어(422)를 제 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핀(490)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어플리케이터(3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안전핀(490)을 컬럼부(318)에서 분리한 후 어플리케이터(30)를 작동시켜 센서(110)를 피부에 삽입할 수 있다.
안전핀(490)의 구체적인 구성과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컬럼부를 통과하는 안전핀이 캐리어까지 도달하지 않고 플런저와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핀은 제 1 위치에서 플런저의 이동을 구속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어플리케이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캐리어 윙(431)은 캐리어 바디(423)로부터 캐리어(42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캐리어 바디(423)에 연결된다. 캐리어 윙(431)은 캐리어 바디(42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윙 바디(432)와, 윙 바디(432)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434) 및 래치부(437)를 포함한다.
트리거(434)는 윙 바디(432)의 일측에 윙 바디(4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트리거(434)는 플런저(410)의 슬릿(413) 및 컬럼부(318)의 슬릿(319)에 삽입되어 이들 슬릿(413)(31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434)가 슬릿(413)(319)에 삽입되어 슬릿(413)(319)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캐리어(422)가 더욱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트리거(434)는 플런저(410)의 슬릿(413)을 통과하여 일부분이 컬럼부(318)의 슬릿(319)에 삽입된다. 캐리어(422)가 플런저(41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34)는 컬럼부(318)의 슬릿(319) 중간에 배치되는 릴리즈부(320)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릴리즈부(320)는 트리거(434)를 가압할 수 있도록 컬럼부(318)의 슬릿(319) 중간에 배치된다. 캐리어(422)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34)가 릴리즈부(320)에 접하여 캐리어 윙(431)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트리거(434)에는 릴리즈부(320)에 접촉하는 트리거 경사부(435)가 구비된다. 캐리어(422)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 경사부(435)가 릴리즈부(320)에 접함으로써 캐리어 윙(431)이 더욱 원활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트리거(434)가 릴리즈부(320)에 접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저감되며, 릴리즈부(320)의 가압력이 더욱 원활하게 트리거(434)에 전달될 수 있다.
래치부(437)는 윙 바디(4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래치부(437)가 윙 바디(432)로부터 돌출된 방향은 트리거(434)가 윙 바디(432)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같다. 래치부(437)가 윙 바디(432)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는 트리거(434)가 윙 바디(432)로부터 돌출된 돌출 높이보다 낮다. 래치부(437)는 플런저(410)의 디텐트부(414)에 맞물릴 수 있다. 래치부(437)가 디텐트부(414)에 맞물린 상태에서 캐리어(422)는 탄성부재(486)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48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록킹 암(439)은 캐리어 바디(423)의 측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록킹 암(439)은 캐리어 바디(423)의 양측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하우징(120)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다. 록킹 암(439)에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맞물리는 록킹돌기(440)와, 컬럼부(318)의 내벽(323)에 접하는 돌출부(441)가 구비된다.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422)와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돌출부(441)가 컬럼부(318)의 내벽(323)에 접함으로써 록킹 암(439)이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은 제 1 위치에서 캐리어(422)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유닛(100)과 캐리어(422)가 베이스 유닛(200) 쪽으로 이동하여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될 때 돌출부(441)는 베이스 유닛(200)이 수용된 리세스(313)와 연결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컬럼부(318)의 내벽(323)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 암(439)의 고정력이 약해진다. 그리고 센서 유닛(100)은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 고정되므로, 캐리어(422)가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485)에 의해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 록킹 암(439)은 센서 유닛(100)에서 원활하게 맞물림 해제되어 센서 유닛(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캐리어(422)는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니들(450)과 결합되고 플런저(410)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한 쌍의 캐리어 윙(431)이 캐리어 바디(423)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캐리어 윙(431)의 개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캐리어(422)와 니들(450)의 결합 방식과, 캐리어(422)와 센서 유닛(100)의 결합 방식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니들(450)은 캐리어(422)에 고정되어 센서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450)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사용자의 피부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니들(450)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센서(110)보다 먼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센서(110)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니들(450)은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에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분리된다.
니들(45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 바디(451)와, 캐리어(422)에 결합되는 니들 헤드(458)와, 니들 바디(451)와 니들 헤드(458)를 연결하는 니들 넥(469)과, 니들 헤드(458)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니들 테일(475)을 포함한다. 니들(450)은 니들 바디(451)와, 니들 헤드(458)와, 니들 넥(469)과, 니들 테일(475)이 동일한 모재로부터 프레스 가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 바디(451)는 끝단에 니들 팁(455)이 구비된 니들 바디 베이스(452)와, 니들 바디 베이스(452)의 양쪽 측부에 배치되는 제 1 니들 바디 윙(453) 및 제 2 니들 바디 윙(454)을 포함한다. 제 1 니들 바디 윙(453) 및 제 2 니들 바디 윙(454)은 니들 바디 베이스(452)의 양측 측부에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니들 바디 베이스(452)와 제 1 니들 바디 윙(453) 및 제 2 니들 바디 윙(454)은 제 1 채널(456)을 구획 형성한다. 제 1 채널(456)에는 센서(110)의 삽입부(116)가 삽입될 수 있다. 니들(450)은 제 1 채널(456)에 삽입부(116)가 삽입되도록 센서 유닛(100)에 결합된다.
니들 헤드(458)는 니들 바디 베이스(452)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니들 헤드 베이스(459)와, 니들 헤드 베이스(459)의 양쪽 측부에 배치되는 제 1 니들 헤드 윙(460) 및 제 2 니들 헤드 윙(461)을 포함한다. 제 1 니들 헤드 윙(460) 및 제 2 니들 헤드 윙(461)은 니들 헤드 베이스(459)의 양측 측부에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니들 헤드 베이스(459)와 제 1 니들 헤드 윙(460) 및 제 2 니들 헤드 윙(461)은 제 2 채널(462)을 구획 형성한다. 제 2 채널(462)의 폭은 제 1 채널(456)의 폭보다 크다.
니들 헤드(458)에는 캐리어(422)의 클램프부(427)에 맞물리는 록킹부(464)가 구비된다. 록킹부(464)는 클램프부(427)의 후크(428)가 삽입될 수 있는 니들홀(465)을 포함한다. 니들홀(465)은 니들 헤드 베이스(45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니들(450)은 니들 헤드(458)가 캐리어(422)의 삽입홈(425)에 삽입되어 후크(428)가 니들홀(46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캐리어(4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니들 헤드(458)에는 관통홀(466)과 홈부(467)가 구비된다. 관통홀(466)은 니들 헤드 베이스(45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홈부(467)는 제 1 니들 헤드 윙(460) 및 제 2 니들 헤드 윙(461)에 각각 형성된다. 관통홀(466)과 홈부(467)는 니들(450)의 무게를 줄이고, 모재로부터 니들 헤드(458)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니들 헤드(458)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466)과 홈부(467)는 캐리어(422)와의 결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 넥(469)은 니들 헤드(458)에서 니들 바디(451)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니들 바디(451)와 니들 헤드(458)를 연결한다. 니들 넥(469)은 니들 바디 베이스(452)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니들 넥 베이스(470)와, 니들 넥 베이스(470)의 양쪽 측부에 배치되는 제 1 니들 넥 윙(471) 및 제 2 니들 넥 윙(472)을 포함한다. 제 1 니들 넥 윙(471) 및 제 2 니들 넥 윙(472)은 니들 넥 베이스(470)의 양측 측부에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니들 넥 베이스(470)는 니들 바디 베이스(452)와 니들 헤드 베이스(459)를 연결하고, 제 1 니들 넥 윙(471)은 제 1 니들 바디 윙(453)과 제 1 니들 헤드 윙(46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 2 니들 넥 윙(472)은 제 2 니들 바디 윙(454)가 제 2 니들 헤드 윙(461)을 연결한다. 니들 넥 베이스(470)와 제 1 니들 넥 윙(471) 및 제 2 니들 넥 윙(472)은 제 3 채널(473)을 구획 형성한다. 제 3 채널(473)은 제 2 채널(462)에서 제 1 채널(456)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채널(456)과 제 2 채널(462)과 각각 연결된다.
센서(110)와 니들(45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센서(110)의 삽입부(116)를 제 2 채널(462)과 제 3 채널(473)을 차례로 거쳐 제 1 채널(456)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센서(110)와 니들(450)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니들(450)이 센서(110)의 삽입부(116)가 상대적으로 폭이 큰 제 2 채널(462) 및 제 3 채널(473)을 거쳐 제 1 채널(456)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센서(110)와 니들(450)의 결합 시 센서(110)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니들 테일(475)은 니들 헤드 베이스(459)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니들 헤드 베이스(459)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니들 테일(475)의 폭은 니들 헤드 베이스(459)의 폭보다 작다.
니들(450)은 니들 바디(451)와 니들 헤드(458) 및 니들 넥(469)이 동일한 모재로부터 프레스 가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니들(450)은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단가가 낮다. 그리고 니들(450)은 니들 헤드(458)를 캐리어(422)의 삽입홈(425)에 단순히 끼워 넣는 방식을 통해 캐리어(422)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니들 헤드(458)를 삽입홈(425)에 일정 깊이 삽입하면 캐리어(422)의 후크(428)가 니들 헤드(458)의 니들홀(465)에 삽입됨으로써 니들(450)이 캐리어(42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니들(4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이동부재(500)는 삽입 유닛(400) 및 리무빙 유닛(600)과 연동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된다. 이동부재(500)는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에 선형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동부재(500)는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500)는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조작함에 따라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하여 리턴부재(350)를 탄성 변형시키고, 리턴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부재(345) 쪽으로 후퇴하여 원상 복귀될 수 있다. 이동부재(500)는 이동부재 바디(510)와, 플런저(410)를 떠받치기 위한 받침부(518)와, 리무빙 유닛(600)의 캐리지(610)와 맞물릴 수 있는 제 1 디텐트부(520) 및 제 2 디텐트부(522)를 포함한다.
이동부재 바디(510)의 중간 부분에는 이동부재 개구(512)가 이동부재 바디(5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동부재 개구(512)에는 컬럼부(318)가 삽입된다. 이동부재 바디(510)의 한쪽 끝단 부분에는 브라켓부(513)가 이동부재 바디(5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동부재(500)는 브라켓부(513)가 미들 프레임(330)의 지지대(339)와 마주하도록 스테이지(333) 위에 배치된다. 지지대(339)에 설치되는 작동부재(345)의 가압돌기(347)가 브라켓부(513)에 접하여 브라켓부(513)를 리턴부재(35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동부재 바디(51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레일부(515)가 구비된다. 레일부(515)는 미들 프레임(330)의 가이드돌기(336)와 맞물릴 수 있다. 이동부재(500)는 레일부(515)가 가이드돌기(336)에 맞물림으로써 스테이지(333)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미들 프레임(330)에 결합될 수 있고, 스테이지(333) 상에서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 바디(510)와 미들 프레임(330)의 결합 방식이나, 이동부재 바디(510)와 작동부재(345)의 연결 방식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받침부(518)는 이동부재 개구(512)의 양쪽 가장자리에 한 쌍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받침부(518)는 이동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어 플런저(410)의 플런저 돌기(412)를 떠받칠 수 있다.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이동하기 전에 받침부(518)는 플런저(410)의 플런저 돌기(412)를 떠받쳐서 플런저(410)를 제 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할 때 받침부(518)가 플런저 돌기(412)에서 벗어남으로써 플런저(410)가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받침부(518)는 이동부재 바디(51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 이외에 플런저 돌기(412), 또는 플런저(410)의 일부분을 떠받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 1 디텐트부(520)는 캐리지(6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부재 개구(512)의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된다. 캐리지(610)가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릴 때 캐리지(610)의 이동이 구속된다. 제 2 디텐트부(522)는 캐리지(6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디텐트부(520)로부터 캐리지(610)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위치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디텐트부(522)는 받침부(518)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지(610)가 제 2 디텐트부(522)에 맞물릴 때 캐리지(610)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동부재(500)는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리턴부재(350)와 접하여 지지대(339)에 접근한 위치에 대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부재(500)는 플런저(410)와 맞물려 플런저(410)를 제 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하기 전에 캐리지(610)가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리며, 캐리지(610)는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했다가 리턴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는 동작이 발생할 때 캐리지(610)는 이동부재(500)를 벗어나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0)는 작동부재(345)와 연계하여 삽입 유닛(400)과 리무빙 유닛(6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 이동부재(500)는 베이스 유닛(200)을 고정하는 록킹 후크(360)를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들 프레임(330)의 스테이지(333)와 마주하는 이동부재 바디(510)의 일면에는 록킹 후크(360)와 맞물리는 가이드부(524)가 구비된다.
가이드부(524)는 록킹 후크(360)의 로드(363) 끝단이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부재(5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로드(363)의 끝단이 가이드부(524)에 맞물리므로 록킹 후크(360)는 이동부재(500)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 후크(360)는 이동부재(500)의 위치에 따라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200)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하기 전에 가이드부(524)는 록킹 후크(360)를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반면,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할 때 가이드부(524)는 록킹 후크(360)를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리턴부재(350) 쪽으로 전진하는 경우, 록킹 후크(360)의 로드(363) 끝단이 가이드부(524)에 의해 이동부재(500)의 이동부재 개구(5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록킹 후크(360)는 피봇부(361)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후크부(362)가 베이스 유닛(20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편향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재(500)의 작용으로 록킹 후크(360)는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이기 전에는 베이스 유닛(200)과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베이스 유닛(200)을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리세스(313)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500)가 플런저(41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도록 전진할 때 록킹 후크(360)는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이 조립된 후,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30)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가이드부(524)가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이부는 록킹 후크(360)와 맞물려 이동부재(500)의 이동에 따라 록킹 후크(360)를 편향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부의 형태 등에 따라 록킹 후크도 베이스 유닛(200)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에 도달하여 베이스 유닛(200)에 결합되기 전에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설치된다. 리무빙 유닛(600)은 보호 시트(160)와 결합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610)와, 캐리지(610)에 이동력을 제공하여 캐리지(610)를 이동시키는 캐리지 드라이버(630)를 포함한다.
캐리지 드라이버(630)는 캐리지(610)에 대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바닥부(3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3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631)는 일단이 컬럼부(318)의 고정부(326)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리지(610)에 연결된다. 캐리지 드라이버(630)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631)를 포함하는 구성 이외에 캐리지(610)에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캐리지(610)는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되도록 끌어당길 수 있다. 캐리지(610)는 컬럼부(318)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지(610)는 캐리지 바디(611)와, 이동부재(500)의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릴 수 있도록 캐리지 바디(611)의 일측에 구비디는 디텐트돌기(619)와, 이동부재(500)의 제 2 디텐트부(522)에 맞물릴 수 있도록 캐리지 바디(611)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돌기(621)를 포함한다.
캐리지 바디(61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컬럼부(318)의 컬럼부 레일(325)에 맞물리는 캐리지 윙(612)이 구비된다. 캐리지(610)는 캐리지 윙(612)이 컬럼부 레일(325)에 맞물림으로써 컬럼부 레일(325)을 따라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캐리지(610)는 컬럼부 레일(325)에 의해 가이드되어 플런저(4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캐리지 바디(611)의 일측에는 탄성부재(631)가 연결되는 고정부(614)가 구비된다. 또한 캐리지 바디(611)의 양쪽 표면 중에서 컬럼부(318)와 마주하지 않는 표면에는 보호 시트(160)의 윙부(164)가 결합될 수 있는 그립부(6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캐리지 바디(611)의 중간 부분에는 윙부(164)가 통과할 수 있는 캐리지홀(617)이 캐리지 바디(6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컬럼부(318)의 안쪽에 놓이는 센서 유닛(100)의 보호 시트(160)가 컬럼부(318)의 개구(329)와 캐리지홀(617)을 통과하여 그립부(616)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616)는 일부분이 윙부(164)의 보호 시트홈(16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500)와 보호 시트(160)의 결합 방식은 그립부(616)를 이용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부재(500)는 접착 방식으로 보호 시트(160)와 결합되거나, 보호 시트(160)의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보호 시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디텐트돌기(619)는 캐리지 바디(611)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어 이동부재(500)의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릴 수 있다.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이기 전에 디텐트돌기(619)가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리게 되며, 이때 캐리지(610)는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일정 거리 전진할 때 디텐트돌기(619)는 제 1 디텐트부(520)에서 맞물림 해제되며, 이때 캐리지(610)가 캐리지 드라이버(630)에 의해 일정 거리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돌기(621)는 캐리지 바디(611)의 다른 일측에 돌출 구비되어 이동부재(500)의 제 2 디텐트부(522)에 맞물릴 수 있다.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움직이기 전에 스토퍼돌기(621)는 제 2 디텐트부(52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3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일정 거리 전진하여 캐리지(610)가 캐리지 드라이버(630)에 의해 일정 거리 움직이면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에 맞물린다. 이때, 캐리지(610)는 움직일 수 없고,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와 맞물림으로써 이동부재(500) 또한 더욱 전진할 수 없다.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와 맞물려 이동부재(500)의 이동이 제한될 때 이동부재(500)의 받침부(518)는 플런저(410)를 떠받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캐리지(610)가 이동부재(500)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더라도 이동부재(500)는 플런저(410)와 맞물림 해제되는 위치까지 전진할 수 없고, 플런저(410)는 제 1 위치에 대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도 3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리턴부재(350)에 의해 초기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에서 벗어나고, 캐리지(610)가 보호 시트(160)를 끌고 바닥부(3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무빙 유닛(600)은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무빙 유닛(600)의 캐리지(610)는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일정 거리 전진할 때, 디텐트돌기(619)가 이동부재(500)의 제 1 디텐트부(520)와 맞물리는 제 3 위치에서 스토퍼돌기(621)가 이동부재(500)의 제 2 디텐트부(522)와 맞물리는 제 4 위치까지 일정 거리 움직인다. 제 4 위치에 위치하는 캐리지(610)는 이동부재(500)가 플런저(410)에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부재(500)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그리고 캐리지(610)는 이동부재(500)가 리턴부재(350)에 의해 원래 위치로 후퇴함에 따라 이동부재(500)와 맞물림 해제되며, 제 4 위치에서 제 5 위치까지 이동하여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한번 누름에 따라 삽입 유닛(40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리무빙 유닛(600)만 먼저 작동하여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리무빙 유닛(600)이 작동한 후, 이동부재(500)는 캐리지(610)와 간섭되지 않고 플런저(410)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위치까지 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또 한번 누를 때 이동부재(500)가 플런저(410)에서 맞물림 해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삽입 유닛(400)이 작동할 수 있다.
보호 시트(16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보호 시트(160)가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 사이에 끼이거나, 보호 시트(16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는 센서 유닛(100)이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보호 시트(160)의 분리 동작을 완료함으로써 보호 시트(16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에 도달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캐리지(610)의 디텐트돌기(619)를 이동부재(500)의 제 1 디텐트부(520)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이동부재(500)가 전진하는 제 1 이동거리가 플런저(410)를 이동부재(500)와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이동부재(500)가 전진하는 제 2 이동거리보다 짧게 하는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런저(410)를 떠받치는 이동부재(500)의 받침부(518)는 이동부재(500)의 이동 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받침부(518)가 이동부재(50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다르게 설계함에 따라 센서 유닛(100)이 제 2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동작과 보호 시트(160)를 분리하는 동작이 함께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3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먼저 보호캡(380)을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에서 분리하고 안전핀(490)을 제거한 후, 베이스 유닛(200)이 접착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어플리케이터(30)의 바닥부(312)를 사용자의 피부에 위치시킨다. 작동부재(345)가 조작되기 전에 캐리어(422)에 결합된 센서 유닛(100)은 보호 시트(160)가 접착 레이어(155)를 덮은 상태로 제 1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의 받침부(518)가 플런저(410)를 떠받쳐 플런저(410)가 제 1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지(610)의 디텐트돌기(619)가 이동부재(500)의 제 1 디텐트부(520)에 맞물려 캐리지(610)는 보호 시트(160)와 결합된 상태로 제 3 위치에 놓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3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부재(345)를 누르면 작동부재(345)가 이동부재(500)를 가압하여 이동부재(500)가 리턴부재(35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동부재(500)가 작동부재(345)에 의해 일정 거리 전진함에 따라 도 3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텐트돌기(619)가 제 1 디텐트부(520)에서 맞물림 해제된다. 이때, 캐리지(610)는 탄성부재(631)의 탄성력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바디(300)의 바닥부(3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움직이며, 도 3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돌기(621)가 이동부재(500)의 제 2 디텐트부(522)에 맞물림에 따라 제 4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와 맞물림으로써 이동부재(500)는 더욱 전진할 수 없고, 이동부재(500)의 받침부(518)는 플런저(410)를 떠받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도 3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부재(500)가 리턴부재(350)에 의해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스토퍼돌기(621)가 제 2 디텐트부(522)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4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지(610)가 탄성부재(631)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 시트(160)를 끌고 제 5 위치까지 이동하여 보호 시트(160)를 접착 레이어(155)에서 분리시킨다.
이후, 도 4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부재(345)를 다시 한번 누르면 이동부재(500)가 플런저(410)와 맞물림 해제되는 위치까지 전진할 수 있다. 플런저(410)가 이동부재(500)로부터 벗어나면, 플런저(410)는 탄성부재(48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410)는 플런저 스토퍼(419)가 컬럼부(318)의 디텐트부(328)에 맞물림으로써 제 2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센서(110)의 삽입부(116) 및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보호 시트(160)가 분리된 센서 유닛(100)은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 부착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이 조립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을 결합시키고,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베이스 유닛(2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접착 레이어(155)가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 사이의 전기 연결부(250)를 실링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 사이의 전기 연결부(250)로 수분이나 이물질, 체액 등이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체 부착 유닛(20)이 오작동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고, 신체 부착 유닛(2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도 4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410)가 움직여 삽입부(116) 및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때, 캐리어(422)의 트리거(434)가 컬럼부(318)의 릴리즈부(32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422)의 캐리어 윙(431)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캐리어(422)의 래치부(437)가 플런저(410)의 디텐트부(414)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캐리어(422)가 플런저(4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면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캐리어(422)는 탄성부재(486)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센서(110)의 삽입부(116)가 피부에 삽입된 후 니들(450)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센서 유닛 하우징(120)의 리텐션돌기(136)가 센서(110)의 중간부(113)에 접하여 삽입부(116)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116)는 니들(450)과 같은 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200)과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이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 유닛(200)과 맞물린 록킹 후크(360)가 이동부재(500)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록킹 후크(360)는 이동부재(500)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서 맞물림 해제되도록 편향된다. 따라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와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어플리케이터(30)와 분리된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5)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0)는 센서 유닛(100)의 접착 레이어(155)가 보호 시트(160)로 덮인 상태로 어플리케이터(30)에 장착되어 장시간 사용되지 않더라도 접착 레이어(155)의 접착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동부재(345)를 조작함에 따라 리무빙 유닛(600)이 작동하여 센서 유닛(100)에서 보호 시트(160)가 자동으로 제거되고, 삽입 유닛(400)이 작동하여 센서 유닛(100)이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00)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을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5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5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700)과, 센서 유닛(7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4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 유닛(7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160)와, 전자부품(710)을 포함한다. 전자부품(710)은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기판에 설치되어 센서(110)가 측정한 생체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프로세스 칩과,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칩과,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700)은 니들(450)과 결합된 상태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는 리무빙 유닛(600)을 이용하여 센서 유닛(700)에서 보호 시트(160)를 제거하고 센서 유닛(700)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700)은 제 2 위치에서 센서(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 유닛(70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후, 니들(450)은 피부에서 분리되고, 센서 유닛(700)은 어플리케이터(30)와 분리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50)는 센서 유닛(700)이 신호 처리 기능과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므로, 별도의 베이스 유닛이 필요없이 센서 유닛(700)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정보를 외부 단말기(5) 등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47 및 도 48은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낸 센서 유닛(180)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센서(110)와, 센서(110)가 결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120)과, 센서(110)를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고정하기 위한 센서 접착부(149) 및 접착 패드(152)와, 베이스 유닛(26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센서 유닛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155)와, 접착 레이어(155)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센서 유닛(180)은 센서(110)를 베이스 유닛(26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가 생략된 구성을 갖는다.
베이스 유닛(260)은 센서 유닛(180)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과,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223)과, 센서 유닛(180)의 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65)와, 배터리(228)를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210)의 표면에는 접착부(230)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센서 유닛(180)이 베이스 유닛(260)에 결합될 때 센서(110)와 접촉한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기판(2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부분이 접촉면(216)으로부터 돌출되어 센서(110)에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는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에 구비되는 복수의 접점(미도시)과 각각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266)는 센서 바디(111)의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센서(110)와 기판(22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단자부(266)는 센서 바디(111)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센서 바디(111)에 접촉할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 유닛(180)은 접착 레이어(155)에 의해 베이스 유닛(260)에 부착됨으로써 베이스 유닛(260)과 함께 신체 부착 유닛(60)을 구성한다. 센서 유닛(180)이 베이스 유닛(260)이 결합될 때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65)가 접착 레이어 홀(156)과 관통홀(124)와 센서 접착구 개구(150)를 통과하여 센서(110)의 센서 바디(111)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110)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65)를 통해 베이스 유닛(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레이어(155)는 센서(110)와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65) 사이를 실링하여 센서 유닛(180)과 베이스 유닛(260) 사이의 전기 연결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센서(110)와 베이스 유닛(2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260)에 구비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개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4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0은 도 49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센서 유닛과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51는 도 49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베이스 유닛에 전자 유닛이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9에 나타낸 어플리케이터 조립체(70)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10)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100)과, 센서 유닛(100)과 결합되도록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베이스 유닛(800)과, 어플리케이터(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센서 유닛(100)과 어플리케이터(3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800)은 어플리케이터(30)에 상호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어플리케이터(3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센서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80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작동한다.
베이스 유닛(800)은 센서 유닛(100)이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810)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 하우징(810)에는 센서(110)와 니들(450)이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211)과, 센서 유닛(100)이 장착되는 장착부(212)와, 센서 유닛(100)의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전자 유닛(900)이 결합되는 결합부(812)와, 전자 유닛(9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813)가 구비된다.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813)는 베이스 유닛 하우징(810)에 구비되는 전도성 라인(미도시)을 통해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베이스 유닛(800)은 베이스 유닛 하우징(810)의 표면에는 구비되는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에 의해 센서 유닛(100)이 베이스 유닛(800)에 결합된 후, 어플리케이터(30)가 베이스 유닛(800)에서 분리되고 베이스 유닛(800)은 접착부(230)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센서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30)가 베이스 유닛(800)에서 분리된 후, 베이스 유닛(800)의 결합부(812)에 전자 유닛(900)이 결합된다.
전자 유닛(900)은 전자 유닛 하우징(910)과, 베이스 유닛(800)의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813)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전자 유닛 하우징(9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자 유닛 전기 연결부(912)와, 전자 유닛 하우징(9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전자부품은 기판,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유닛(900)이 베이스 유닛(800)에 결합될 때 전자 유닛 전기 연결부(912)가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813)와 접촉함으로써 전자 유닛(900)이 베이스 유닛(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 유닛(900)은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225) 및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813)를 통해 센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 유닛(900)은 센서 유닛(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서 유닛(100)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관련 정보를 외부 단말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유닛은 단순히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유닛이 베이스 유닛에 결합될 때 센서 유닛과 전자 유닛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그립부를 갖는 캐리지가 센서 유닛의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보호 시트를 분리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보호 시트의 분리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그립부와 센서 유닛 하우징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보호 시트를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그립부는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의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유닛이 삽입 유닛에 의해 움직일 때 보호 시트가 그립부에 의해 당겨져 센서 유닛 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립부는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캐리지가 센서 유닛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캐리지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센서 유닛이 니들과 결합된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센서 유닛은 플런저 또는 플런저에 구비되는 별도의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런저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이동부재가 리턴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작동부재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동부재는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별도의 드라이버에 의해 움직이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조작부재가 한번 조작될 때 리무빙 유닛만 먼저 작동하여 리무빙 유닛이 보호 시트를 제거하고, 조작부재가 두 번째 작동될 때 삽입 유닛이 작동하여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어플리케이터는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가 조작부재를 한 번 조작함에 따라 삽입 유닛과 리무빙 유닛이 모두 작동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무빙 유닛에 의한 보호 시트의 분리 동작이 완료된 후 센서 유닛이 제 2 위치로 움직이거나, 보호 시트의 분리 동작과 센서 유닛의 이동이 함께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조작부재가 이동부재를 움직여 삽입 유닛과 리무빙 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조작부재와 삽입 유닛의 연결 구조나, 조작부재와 리무빙 유닛의 연결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삽입 유닛과 리무빙 유닛은 하나의 이동부재에 연동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동일한 작동부재, 또는 각기 다른 작동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50, 70 :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0, 60 : 신체 부착 유닛
30 : 어플리케이터 100, 180 : 센서 유닛
110 : 센서 111 : 센서 바디
112 : 연결부 113 : 중간부
116 : 삽입부 120 : 센서 유닛 하우징
121 : 하우징 베이스 122 : 베이스부
127 : 보스 131 : 받침부
134 : 하우징 캡 136 : 리텐션돌기
140 : 하우징 개구 142 : 하우징 바디
143 : 바디부 144 : 커버부
146 : 센서 유닛 전기 접촉부 149 : 센서 접착부
152 : 접착 패드 155 : 접착 레이어
160 : 보호 시트 161 : 보호부
164 : 윙부 200, 260 : 베이스 유닛
210 : 베이스 유닛 하우징 212 : 장착부
213 : 베이스 유닛 리세스 219 : 하부 하우징
221 : 상부 하우징 223 : 기판
225, 265 : 베이스 유닛 전기 접촉부
228 : 배터리
230 : 접착부 300 : 어플리케이터 바디
310 : 베이스 프레임 311 : 프레임 베이스부
312 : 바닥부 313 : 리세스
316 : 지지부 318 : 컬럼부
320 : 릴리즈부 327 : 내부 레일
330 : 미들 프레임 331 : 외곽 프레임
333 : 스테이지 336 : 가이드돌기
339 : 지지대 340 : 록킹홈
345 : 작동부재 350 : 리턴부재
360 : 록킹 후크 370 : 탑 케이스
380 : 보호캡 384 : 스토퍼 암
400 : 삽입 유닛 410 : 플런저
417 : 플런저 레일부 419 : 플런저 스토퍼
420 : 니들 어셈블리 422 : 캐리어
423 : 캐리어 바디 424 : 보스
427 : 클램프부 428 : 후크
431 : 캐리어 윙 432 : 윙 바디
434 : 트리거 437 : 래치부
439 : 록킹 암 450 : 니들
480 : 플런저 드라이버 481 : 탄성부재
485 :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 486 : 탄성부재
500 : 이동부재 510 : 이동부재 바디
515 : 레일부 518 : 받침부
520 : 제 1 디텐트부 522 : 제 2 디텐트부
524 : 가이드부 600 : 리무빙 유닛
610 : 캐리지 611 : 캐리지 바디
612 : 캐리지 윙 616 : 그립부
619 : 디텐트돌기 621 : 스토퍼돌기
630 : 캐리지 드라이버 631 : 탄성부재
700 : 센서 유닛 710 : 전자부품
800 : 베이스 유닛 810 : 베이스 유닛 하우징
812 : 결합부 813 : 베이스 유닛 전기 연결부
900 : 전자 유닛 910 : 전자 유닛 하우징
912 : 전자 유닛 전기 연결부

Claims (24)

  1.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센서 유닛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캐리지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보호 시트와 결합되는 제 3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캐리지와 맞물려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캐리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전진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전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디텐트부에 맞물리는 제 4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리턴부재에 의해 후퇴함에 따라 상기 제 2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되어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는 제 5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센서 유닛과 함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니들과,
    상기 플런저에 설치되어 상기 니들과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플런저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를 상기 제 1 디텐트부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전진하는 제 1 이동거리는 상기 플런저를 상기 이동부재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가 전진하는 제 2 이동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제 2 디텐트부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 2 이동거리만큼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전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캐리어에 의한 상기 보호 필름의 분리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이동부재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컬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부에는 상기 캐리지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컬럼부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컬럼부와 상기 캐리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는,
    상기 바닥부가 구비된 프레임 베이스부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컬럼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떠받치는 스테이지와, 상기 컬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스테이지의 중간에 형성되는 미들 프레임 개구를 구비하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이 상기 센서와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후 상기 캐리어가 상기 니들을 사용자의 피부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니들 릴리즈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부와,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도록 상기 보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보호 시트 홈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보호 시트 홈에 삽입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제 1 위치에서 움직이기 전에 상기 보호 시트의 분리 동작을 완료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19.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그립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22.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과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센서를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23. 센서와,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유닛 하우징과,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를 덮는 보호 시트를 구비하는 센서 유닛;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바디;
    상기 센서 유닛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기 센서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삽입 유닛;
    상기 보호 시트의 일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보호 시트를 상기 접착 레이어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캐리지;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캐리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4. 제 23 항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 하우징 및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유닛 하우징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접착 레이어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닛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0210170727A 2021-06-29 2021-12-02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18 2021-06-29
KR20210084618 2021-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15A true KR20230002015A (ko) 2023-01-05

Family

ID=8469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727A KR20230002015A (ko) 2021-06-29 2021-12-02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44629A1 (ko)
KR (1) KR20230002015A (ko)
WO (1) WO20232772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4842B2 (en) * 2014-09-03 2019-02-05 Nova Biomedical Corporation Subcutaneous sensor inserter and method
KR101891309B1 (ko) * 2018-02-23 2018-08-23 주식회사 티포엘 인체 부착식 혈당측정센서 삽입장치
KR102200138B1 (ko) * 2018-07-31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00136B1 (ko) * 2018-07-31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KR102222045B1 (ko) * 2018-07-31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097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272A1 (ko) 2023-01-05
EP4344629A1 (en)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367B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센서 유닛
KR102665620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2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5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664738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97679B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102592776B1 (ko) 경피성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니들 및 니들 어셈블리
KR20230002013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9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08828A (ko) 메디컬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146279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02014A (ko) 생체 정보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JP2024528277A (ja) 経皮性センサー用アプリケーター及びアプリケーター組立体
KR20230146278A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21404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KR20230021405A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