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066A -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066A
KR20230033066A KR1020210113218A KR20210113218A KR20230033066A KR 20230033066 A KR20230033066 A KR 20230033066A KR 1020210113218 A KR1020210113218 A KR 1020210113218A KR 20210113218 A KR20210113218 A KR 20210113218A KR 20230033066 A KR20230033066 A KR 2023003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harging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경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21011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066A/ko
Publication of KR2023003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을 개시한다.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Apartment parking convenience system for suppor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quickly}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주차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 건물은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상업 용 건물은 물론, 구청이나 정부 청사 등과 같은 관공서 건물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은 2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집합 건물 예컨대 아파트, 빌라, 연립, 빌라, 또는 타운 하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공동주택의 주차장에는 주차위치 확인(parking location identification) 및 주차유도(parking guidance)를 위한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에서 주차유도를 위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 때 차량을 빈 주차 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의 주차면들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혹은 차량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 장치나 카메라 장치를 통해 미리 인식할 수 있다.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에서 주차위치 확인을 위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은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 장치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장치들을 통해 획득되는 주차면들 각각에 관련된 이미지 혹은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판에 관련된 이미지를 처리 및 분석하는 기술들이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차장에는 내연기관 차량은 물론, 전기차가 주차될 수 있고,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차 충전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입주민이 전기차를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주차한 후에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마련된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는 급속 충전 장치, 완속 충전 장치, 및 콘센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할 때 공동주택의 입주민의 경우에도 입주민이 아닌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을 위한 이용 절차가 다소 복잡하고 번거롭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장치가 급속 충전 장치나 완속 충전 장치인 경우에 충전을 위한 인증을 받기 위해서 입주자는 충전 장치의 표시 패널에 지시된 안내에 따라 입주자의 신분을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하거나 입주자의 신분 정보가 기록된 각종 입력 카드를 충전 장치에 삽입해야 한다. 한편, 전기차 충전 장치가 과금형의 콘센트 장치인 경우에도 충전을 위한 인증을 받기 위해 입주자는 콘센트 장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스캔하거나 입주자의 신분 정보가 기록된 각종 입력 카드를 콘센트 장치에 터치하여야 한다.
공동주택의 입주민에게 전기차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서로 다른 전기차들이 한 대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접근하여 충전을 시도하는 특별한 상황일 때에도 충전 인식의 오류 없이 전기차 충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전기차들이 한 대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접근하여 충전을 시도하는 상황일 때에도 충전 인식의 오류 없이 전기차 충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설비 추가 없이도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을 수행하는 기존의 주차 편의 자원들을 이용함에 의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입주민에게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 비상벨 그룹, 및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한다. 비상벨 그룹은 상치 주차장에 설치되어 작동 시에 비상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비상벨들을 포함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벨 그룹의 비상벨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비상호출 신호를 처리 및 전송하며,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전기차들이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동일한 전기차 충전 장치에 충전 액세스를 할 수 있는 상황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동일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요구자의 ID를 수신한 후 수신된 충전 요구자의 ID와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차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카메라 그룹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그룹은 주차장에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면들 중 하나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관련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를 복수로 포함한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므로 공동주택의 입주민에게 전기차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전기차들이 한 대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접근하여 충전을 시도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동시 충전시도 가능의 상황에서도 충전 인식의 오류 없이 전기차 충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을 위한 설비 추가 없이도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을 수행하는 기존의 주차 편의 자원들을 이용함에 의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입주민에게 신속히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만공차 표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주차 유도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비상 호출 신호의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와 전기차 간의 유선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라 획득된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6의 전기차 충전 지원 과정에 사용되는 전기차 충전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라 획득된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또 다른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도 8의 전기차 충전 지원 과정에 사용되는 전기차 충전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충전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일 실시 예” 또는 “실시 예” 로의 참조는 실시 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다양한 장소들에서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라”(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구성들)구절들의 출현들은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도시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 예는 다른 실시 예보다 반드시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맥에 따라, 단수의 용어는 해당 복수의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용어는 해당 단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논의된(구성요소 도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실제 척도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다양한 파형들 및 타이밍도들이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들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히 고려되는 경우, 참조 번호들은 대응하는 및/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 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청구된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들 “한(a)”, “한(an)”, 및 “그(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될 때,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연산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연산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 및/또는 그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등의 용어들은 선행하는 명사들의 라벨(label)들로 사용되고, 그렇게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임의의 유형의 순서(예를 들어 공간적, 시간적, 논리적 등)를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들, 구성요소들, 블록들, 회로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지칭하기 위해 둘 이상의 도면들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도시의 간소화 및 논의의 용이함을 위해서만이다. 이는 그러한 구성 요소들 또는 유닛들의 구성 또는 구조적 세부 사항이 모든 실시 예들에 걸쳐 동일한 것을 의미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공통으로 참조된 부분들/모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들의 지침들을 구현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기술적인 그리고 과학적인 용어들을 포함하는)은 본 발명에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들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뜻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임이 더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로서, 용어 “모듈(module)”은 모듈과 관련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및/또는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용어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에 적용된 대로,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인스트럭션 셋(set) 또는 인스트럭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하드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 예에 적용된 대로, 예를 들어 개별의 혹은 임의의 조합의,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ry), 프로그래머블 회로, 상태-머신 회로(state machine circuitry),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은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집적회로, 시스템 온 칩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싱 후의 이미지 처리 동작, 통상적인 주차유도 동작, 블루투스 모듈(또는 장치)이나 차번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과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을 포함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 및 운영서버(300)와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 및 비상벨 그룹(270)과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컨트롤러(110)를 구비한다. 충전 컨트롤러(110)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충전을 위한 인증 패스 및 과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충전 컨트롤러(110)의 상기 인증 패스 및 과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 혹은 유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주차장의 각 구역별로 설치 가능한 급속 충전 장치, 완속 충전 장치, 및 콘센트 장치(이동형 충전 케이블 전용 콘센트 혹은 과금형 콘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전기차에 공급하는 방법은 유선 공급 방식과 무선 공급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공급 방식의 경우에 전용 충전 케이블 이외에 비상용 충전 케이블 또는 이동형 충전 케이블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용 충전 케이블 혹은 비상용 충전 케이블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아이디(ID)를 사용자 카드로부터 읽는 카드 리더기 혹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사용자 아이디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충전 케이블은 급속 충전 장치 혹은 완속 충전 장치에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충전 케이블을 지칭하고, 비상용 충전 케이블은 콘센트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구비되거나 별도의 위치에 마련된 충전 케이블을 지칭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기차 충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 혹은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에 설치된 태그 리더기에 의해 리드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컨트롤러(1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스위치를 구동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위치가 스위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면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아웃렛(콘센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계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이 상기 콘센트를 통해 충전 전원을 받아 전기차를 충전할 때 세대 과금을 위해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기계식 혹은 디지털 전력량 계량기일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충전 전원 라인에 설치된 변류기를 이용하여 충전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컨트롤러(110)와 연결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충전 컨트롤러(110)를 통해 상기 계량부의 계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상기 계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에 관련된 인증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 데이터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해 운영 서버(3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300)는 단지 서버 혹은 홈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300)는 공동주택 단지 내의 각 세대에 세대 단말로서 설치된 월패드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300)는 유선 혹은 무선일 수 있는 통신 채널을 통해 사업자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충전 사업자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충전 사업자 서버는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한 충전 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사업자 과금부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 사용량에 대한 과금은 세대 과금으로 부과될 수 있다. 세대 과금이란 비상용 충전 케이블의 사용자가 속한 공동주택의 개별 세대로 과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세대 과금은 공동주택의 수전설비에서 공급되는 전력에서 전기차용으로 분리되어 과금되는 전기 사용 요금이다. 여기서, 세대 과금의 요금 체계는 누진제를 적용하는 가정용 전기 사용 요금의 체계와는 다르며, 전기차 충전에 따른 상대적으로 값싼 요금 체계로 운영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과금은 세대 과금과는 별개인 사업자 과금으로 될 수 있다. 사업자 과금은 상기 사업자 과금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부과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고 사업자 과금이 행해질 경우에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는 충전 인식 장치(100)에 대해 부과되는 전체 세대 과금은 상기 사업자 과금을 뺀 것으로 된다. 왜냐하면, 사업자 과금은 세대 과금과는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사용된 전력량은 전체 세대 과금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카드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의 사용자 아이디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차의 충전 및 상기 계량 데이터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사용자가 전기차의 충전을 시도할 때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생성함에 의해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태그 리더기가 상기 태그부에 대한 태그 리딩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이 사업자 서버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과 상기 사업자 서버간의 통신 연결 후에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인증 확인 정보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계속 유지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한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입력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 혹은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입력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한 자동 인증이 있을 때,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 혹은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한다. 따라서, 자동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인증을 패스하고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예를 들어 세대 과금)의 충전을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은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는 주차장 내에서 주차면들의 이미지(예를 들어 6개 주차면들 혹은 12개 주차면들)를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온 칩, 및 만공차 표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주차장에 구획된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전방위 카메라 렌즈를 통해 받아 촬상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예컨대 "Sony IMX291"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위 카메라 렌즈는 어안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어안 렌즈는 적어도 4개 혹은 6개 이상의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어안 렌즈는 12개의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온 칩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상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 후 처리하여, 상기 주차면들 상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는 주차된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영상 이진화한 이진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이진화 이미지 내에서 타겟 영역내의 이미지가 빈 주차면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각각에서 타겟 영역내의 에지(Edge)를 검출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함에 의해 해당 주차면에서의 주차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면이 비어 있는 지 차 있는 지를 나타내는 만공차 표시가 구현될 수 있다.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에 포함될 수 있는 차번 인식부는 차량의 등록된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번 인식부는 통상의 LPR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번 인식부는 인식된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로 제공할 수 있다.
비상벨 그룹(270)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되어 작동 시에 비상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비상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벨 그룹(270)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300)와 연결되거나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함이 없이 상기 운영 서버(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벨 그룹(270)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간의 통신은 유선 통신 혹은 근거리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주차 관련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 비상벨 그룹(270)의 비상벨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비상호출 신호를 처리 및 전송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 즉 상기 주차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의 각각은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빈 주차면이나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해당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의 스마트 폰은 주차위치 확인 관련 어플을 다운한 경우에 상기 주차장 내에서의 주차위치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스마트 폰의 화면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가 설치된 주차 구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 확인 동작은 차량을 주차 완료한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몇 보 걸어 갈 때 스마트 폰이 차량의 주차위치를 결정하고 주차위치 확인 신호를 생성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들이 상기 스마트 폰의 정보를 받아 처리함에 의해 주차위치 확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이 상기 주차유도 관련 어플을 다운한 경우에 상기 주차장 내에서의 네비게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주차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 시에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 시에 주차장의 선호 주차 영역 주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이 운전자에게 휴대되지 않은 경우나 기본적인 주차 유도 제어의 경우에 스마트 폰을 통해 주차유도 정보를 제공함이 없이, 주차유도 전광판 혹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을 통해 주차유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차량의 차번 혹은 상기 운전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단말기의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비상벨 그룹(270)로부터 제공되는 비상호출 신호 혹은 진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도시의 편의상 하나의 주차장 단말기만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에 속하는 하나의 주차장 단말기는 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주차위치 결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 및 운영서버(300)의 통신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대상으로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210)는 상기 운영서버(3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10)는 이더넷 통신, RS485 통신, UART 통신, 및 GIPO 통신 중의 하나가 수행될 시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인터페이스(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2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220)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사안이 다른 경우에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혹은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 및 운영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23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orth American Digital Communications (NADC), Extend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E-TDMA), Wideband CDMA (WCDMA), CDMA2000, Wi-Fi, Municipal Wi-Fi (Muni Wi-Fi), Bluetooth,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D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Fast low-latency access with seamless handof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lash-OFDM), IEEE 802.2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iBurst,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iMAX-Advanc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 Time Division Duplex (UMTS-TDD),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Evolution Data Optimized (EVDO),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LTE Advanced), Multichanne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 (MMDS), 및 기타 등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230)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시리얼통신, CAN통신, 및 TCP/IP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상기 제어부(220)의 처리 혹은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위치 결정부(250)는 상기 제어부(220)와 연동하여 주차장 내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위치를 결정한다. 주차위치 결정부(25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이 어느 구역의 주차면에 위치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확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도 1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은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므로 입주민은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통해 전기차 충전을 위한 별도의 인증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 시 입주민의 인증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입주민의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전기차 충전을 지원하는 동작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먼저, 도 1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에서 주차 유도를 위한 만공차 표시의 예시는 도 2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고, 주차 유도 과정의 제어 흐름의 예시는 도 3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며, 비상벨이 포함된 경우 비상 호출 신호의 처리 과정의 예시는 도 4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만공차 표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유도를 위한 만공차 표시부(261,262)가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내의 주차유도 카메라(260-1)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만공차 표시부(162)는 예를 들어 대응 설정된 6개 혹은 12개의 주차면들 모두가 주차되어 있는 상태일 때 적(RED)색의 빛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만공차 표시부(161)는 대응 설정된 6개 혹은 12개의 주차면들 중에서 1개 이상이 비어 있는 상태일 때 녹(GREEN)색의 빛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주차 유도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0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과 연결된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의 차번 인식부로부터 차량 번호(차량의 라이센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02에서, 운영서버(300)는 단지 입구에 설치된 통신 장치 예컨대 단지 입구 비콘 장치로부터 탑승자(예 차량 운전자나 동승자)의 스마트 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은 이미 주차유도 어플이 실행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차유도 어플의 실행 직전 단계에 있을 수도 있다.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탑승자의 정보 즉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303에서, 운영서버(300)는 상기 차번 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번호와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탑승자의 정보가 동일 세대에 매칭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동 501호 거주자의 차량 번호가 56마2301이고 전화번호가 010-257-1254 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차번 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차량번호가 56마2301이고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010-257-1254 라면 운영서버(300)는 수신된 차량 번호와 스마트 폰의 정보가 101동 501호 거주자에 소속(매칭)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304에서, 운영서버(300)는 주차장에서의 주차유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을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주차장의 맵이 표시되고 주차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경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305에서, 운영서버(300)는 타겟 영역에 관련된 주차유도 제어 서비스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타겟 영역은 차량 운전자가 주차하기를 원하는 주차 목적지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타겟 영역은 전기차의 충전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주차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의 복수의 주차면들 가운데 차량 운전자는 타겟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면들을 어플을 통해 미리 등록하여 둘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 시에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가 타겟 영역을 설정하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타겟 영역의 설정이 스마트 폰을 통해 수행될 경우에도 운영서버(3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 시에 타겟 영역의 설정 정보도 함께 받아 타겟 영역에 관련된 주차유도 제어 서비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타겟 영역 주차유도인 경우에 동작 S307로 진행되어 비어 있는 타겟 영역의 주차면이 주차유도 목적지로 설정되고, 타겟 영역 주차유도가 아닌 경우에 동작 S306으로 진행되어 비어 있는 노말 영역의 주차면이 주차유도 목적지로 설정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보유 및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유도 목적지는 빈 주차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에서 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S308에서, 운영서버(300)는 스마트 폰의 정보 및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 목적지로 가도록 하기 위해 주차장 내에서의 교차로에서 차량이 직진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좌 또는 우회전을 해야 하는 지를 유도할 필요가 있으므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이 필요하다. 스마트 폰과 차량 카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의 정보와 차량 카드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 중의 하나 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으로부터 차량 진입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내의 주차장 단말기는 주차장의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내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위해 스마트 폰으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 예컨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09에서,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보드(디스플레이 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유도 정보를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화면에는 주차장 네비게이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주차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통상의 네비게이션 경로 표시와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보드는 유도 안내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주차유도 보드에는 주차유도에 관련된 차번 정보 및 방향지시 정보가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310에서, 운영서버(3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목적지가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310은 상술된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311에서, 운영서버(3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S311은 상술된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312에서,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완료를 상기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릴 수 있다. 주차유도 완료가 스마트 폰으로 알려질 경우에 스마트 폰의 주차유도 어플은 완료될 수 있다. 주차유도 완료가 주차유도 보드로 알려질 경우에 주차유도 보드에 표시되어 있던 주차유도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도 3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는 차량 카드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동작 S308과는 달리, 운영서버(300)는 주차장의 차번 인식 카메라 장치로부터 차량 번호를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운영서버(300)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260)으로부터 주차장의 교차로에서 인식된 차량의 차번을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이 때 인식된 차번은 주차유도 제어를 위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차번 인식 카메라는 주차장 내의 직진,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는 교차로마다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스마트 폰과 차량 카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의 정보와 차량 카드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교차로에서의 차번 인식을 통해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차유도 제어는 차량 카드가 없더라도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영서버(300)는 차번 인식을 통해 수신된 차량 번호 혹은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번 인식 및 차량 카드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차번 인식 카메라 및 차량 카드 중의 하나 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는 스마트 폰이 없더라도 차량 카드만에 의해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차량의 통과 여부는 상기 BLE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입 위치를 확인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BLE 신호에는 RSSI신호는 물론 방향 탐지 기능의 지원을 위한 방향성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노르딕의 nRF52 시리즈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된 nRF52811 SoC는 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루투스 5.1의 방향 탐지 기능은 물론, 스레드 및 지그비와 같은 무선 사물인터넷(IoT) 기능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방향성 정보는 RSSI 신호 세기만을 이용한 삼각 측량 없이도, 차량의 위치확인을 위해 차량의 다가옴 혹은 멀어짐을 인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비상 호출 신호의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 호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비상벨 그룹(270)과 연결된 상기 운영서버(300)는 동작 S801에서 비상벨로부터 수신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수신 정보의 존재 시, 동작 S802에서 운영서버(300)는 수신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 버퍼에 저장한다.
동작 S803에서 운영서버(300)는 데이터 버퍼에 저장된 수신 정보에서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는 지를 체크한다.
비상호출 신호를 검출되는 경우에 동작 S804에서 운영서버(300)는 집중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CCTV 집중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CCTV 저장 장치는 비상벨이 눌려진 주위의 영상을 저장한다.
동작 S805에서 운영서버(300)는 비상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ACK 신호를 비상벨 그룹(270)으로 전송한다.
동작 S806에서 운영서버(300)는 비상 해제 입력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키보드 혹은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해 비상 해제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 운영서버(300)는 동작 S807에서 집중 모니터링 모드에서 일반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비상해제 입력이 없을 경우에 동작 S808에서 운영서버(300)는 자동 복구 타임을 카운팅한다.
동작 S809에서 운영서버(300)는 카운팅된 자동 복구 타임이 타임 최대 값을 초과하는 지를 체크한다. 자동 복구 타임이 타임 최대 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은 동작 S806을 돌아간다. 자동 복구 타임이 타임 최대 값을 초과한 경우에 동작은 동작 S807로 진행한다.
동작 S803에서 비상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자가진단 동작 모드의 수행을 의미할 수 있다. 자가 진단 모드는 동작 S810부터 시작된다.
동작 S810에서 운영서버(300)는 저장된 수신 정보에서 비상벨 ID 및 충전 전압 값을 추출하여 DB에 저장한다.
동작 S811에서 운영서버(300)는 충전 전압 값이 기준 값 이하인 지를 체크한다.
충전 전압 값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동작 S812에서 운영서버(300)는 비상벨의 배터리 점검 혹은 교체를 데이터 통신 혹은 경보를 통해 알린다.
동작 S813에서 운영서버(300)는 비상벨 ID 및 충전 전압 값이 입력된 타임을 DB에 저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4는 운영서버(300)가 비상 호출 신호에 응답된 동작 및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전기차 충전 장치와 전기차 간의 유선 연결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20)는 충전 케이블(30)을 통해 전력 소켓(40)으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30)은 충전 커넥터(31), 콘센트 소켓 접속부(33) 및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ICCB)(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전기차의 유선 충전은 충전 케이블(30)이 전기차(20)의 플러그 접속구(21)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전력 소켓(40)사이에 접속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30)은 상술한 전용 충전 케이블에 해당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이 상기 충전 케이블(30)은 상술한 비상용 충전 케이블 또는 이동형 충전 케이블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전기차(20)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와 같이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동력 장치인 전기 모터의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차량(automobile)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20)는 전기 모터와 일반적인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을 함께 갖는 하이브리드 자동 차를 포함할 수 있고, 자동차(automobile)뿐만 아니라 모터사이클(motocycle), 카트(cart), 스쿠터(scooter) 및 전기 자전거(electric bicycl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차(20)는 유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20)를 플러그인 전기차(Plug-in Electric Vehicle, PEV)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20)에 구비된 플러그 접속구(21)는 완속 충전을 지원하거나 급속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기차(20)는 하나의 플러그 접속구를 통해 완속 충전과 급속 충전을 모두 지원하거나, 완속 충전과 급속 충전을 지원하는 각각의 플러그 접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차(20)는 완속 충전 또는 일반적인 전력 계통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통한 충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온보드 충전기(On Board Charger)를 포함할 수 있다. 온보드 충전기는 완속 충전시 외부에서 유선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고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차(20)에 내장된 배터리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20)의 플러그 접속구(21)에 완속 충전을 위한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온보드 충전기를 거쳐 충전이 수행될 수 있고, 플러그 접속구(21)에 급속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온보드 충전기를 거치지 않고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커넥터(31)는 전기차(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 부일 수 있고,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ICCB; In-cable control box)(32)는 전기차(20)와 통신하여 전기차(2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기차(20)로의 전력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32)는 충전 케이블(3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충전 케이블(30) 이외의 장소에 탑재되거나 SECC에 결합되거나 SECC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콘센트 소켓 접속부(33)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소켓(40)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켓(40)은 기존에 전기차(20) 이용자의 아파트 주차장 혹은 건물의 주차구역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아웃렛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켓(40)이 설치된 건물이나 장소(예를 들면 스탠드)에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32) 또는 전기차(20)의 구성 요소 중 하나(예를 들면 EVCC)와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 절차를 제어하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를 SECC(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SECC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력망(power grid) 또는 전력망을 관리하는 인프라 관리 시스템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전력 소켓(40)이 설치된 건물의 관리 서버(단지 서버) 또는 인프라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소켓(40)은 전력 계통의 교류 전원을 그대로 공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P2W(단상2선식)와 3P4W(3상4선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해당하는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케이블(30)은 완속 충전을 지원하여 완속 충전을 위한 전력을 전기차(2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완속 충전 전력량으로 3kWh 내지 14kWh 사이의 전력을 전기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케이블(30)은 급속 충전을 지원하여 급속 충전을 위한 전력을 전기차(20)에 공급할 수도 있는데, 이때 급속 충전 전력량으로 50kWh 내지 100kWh 사이의 전력을 전기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입주민이 아닌 전기차 이용자의 경우에 전력 소켓(40)에 위치 정보가 담긴 RFID 태그(Tag)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과금을 하는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CCB(32)가 RFID 태그를 인식하고, ICCB(32)가 내부에 위치하는 4G 혹은 5G통신 모듈을 통하여 위치 및 전력량을 외부의 서버로 송신함에 의해 전기차 전용 요금이 이용자에게 부과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스마트 폰내 GPS 기능을 이용하여 충전소의 위치가 인식되도록 함에 의해 과금을 하는 방식도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폰이 충전소 위치를 인식하고 스마트 폰이 상기 ICCB(32)와 무선으로 통신함에 의해 전력량을 해당 서버로 송신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라 획득된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의 동작 S1201 내지 동작 S1213은 도 1의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내의 제어부(2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S120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주차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유도의 수행은 도 3을 통해 상술된 바와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 주차 유도의 수행 시에 이용자의 스마트 폰 화면에는 도 1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접근 가능한 주차 구역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용자의 스마트 폰은 어플을 통해 주차장 진입 시에 활성화되고, 충전 중 상태가 아닌 대기 중인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접근 가능한 주차 구역들이 표시될 수 있다.동작 S1202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주차위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주차위치 확인은 어떤 차량이 주차장의 어느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지를 인식되는 함에 의해 수행되며 이 또한 상술된 바와 동일 혹은 유사할 수 있다.
동작 S1203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비상벨 신호를 중계하는 경우에 비상벨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비상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동작 S1204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CCTV 모니터링 및 비상벨 경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S1205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전기차 충전 요구가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요구는 도 1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예를 들어, 도 5에서 설명된 충전 케이블(30)이 전기차(20)의 플러그 접속구(21)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전력 소켓(40)사이에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전기차 충전 요구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 충전 요구는 상술한 전용 충전 케이블, 비상용 충전 케이블, 이동형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접속될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입력들(카드 리딩 정보 입력 혹은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인증 확인 정보 수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동작 S1205 이후의 동작들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인증의 방법을 통해 상기 전용 충전 케이블, 상기 비상용 충전 케이블, 혹은 상기 이동형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 장치(100)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입력들(카드 리딩 정보 입력 혹은 이동형 충전 케이블의 인증 확인 정보 수신)이 없는 경우에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한 자동 인증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므로, 동작 S1205 이후의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동작 S1205 이후의 동작들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을 통해 주차관련 정보에 기반한 자동 인증을 전제로 하는 동작들이다.
동작 S1206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주차위치 확인정보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주민의 전기차가 주차된 주차위치 확인 정보가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에 맞는(fit)경우에 입주 차량의 이용자가 충전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주차 구역정보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와 사전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가 설치된 근방의 하나 이상의 주차 구역정보에 미리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위치 확인 정보가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와 맞지 않은 경우라면 충전을 위한 자동인증은 실패로 결정될 것이다. 한편, 차량이 주차된 주차위치 확인 정보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에 맞더라도 주차위치 확인 정보가 비입주민의 차량에 의해 생성된 경우라면 비입주민의 전기차(또는 입주민의 비인가된 전기차)의 이용자가 충전을 시도하는 것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동작 S1207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입주 차량에서의 충전 요구가 생성되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결국, 동작 S1206의 수행에 의해 동작 S1207에서의 충전 인증 체크는 이용자의 별도 입력 조작을 요구함이 없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입주 차량에서의 충전 요구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동작 S1209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충전 승인정보를 제공하고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으로 충전 시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1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충전 승인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충전이 승인되었음을 인식하고 전기차(20)로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입주민에 의한 전기차 충전 요구가 발생된 경우에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승인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주민이 충전을 요구하는 경우에 조작 입력에 의한 충전 승인이나 데이터 저장 매체를 통한 충전 승인이 별도로 필요 없으므로 전기차 충전이 신속히 지원된다.
한편, 비입주 차량에서의 충전 요구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동작 S1208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충전 승인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 방문자 전용 과금 방식으로 충전 시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에 충전 승인은 방문자의 수동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방문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에 방문자의 고유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신용 카드, 체크 카드, 방문자용 카드, 혹은 모바일 장치 등을 삽입 혹은 이용함에 의해 충전 승인을 위한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방문자의 충전 요구에 의한 충전이 승인되었음을 인식하고 전기차(20)로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1210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충전 종료의 이벤트가 발생되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충전 종료의 이벤트는 도 5에서 설명된 충전 케이블(30)이 전기차(20)의 플러그 접속구(21)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전력 소켓(40)사이에서 접속 해제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종료의 이벤트는 전기차의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압이 충전 한계 기준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종료의 이벤트는 충전 과정에서 과전류, 과열이나 기타 이상이 감지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충전 종료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동작 S121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전기차의 충전 전력량과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기기 ID를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운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212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공동주택 단지에서 운용되는 운영 서버(300)로부터 과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1213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필요에 따라 충전 전력량 및 과금정보를 표시하고 전기차, 이용자의 등록된 스마트 폰, 혹은 해당 세대의 월패드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전력량 및 과금정보는 운영 서버(300)와 복수로 연결된 해당 세대의 월패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전력량 및 과금정보는 충전 이용자에 대응되는 스마트 폰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은 어플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과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을 행함에 의해 상기 충전 전력량 및 과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설비 추가 없이도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을 수행하는 기존의 주차 편의 자원들을 이용함에 의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이 입주민에게 신속히 지원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전기차 충전 지원 과정에 사용되는 전기차 충전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 유도의 경우에 AR10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번호 및 입주자 ID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아파트의 101동 5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는 127조 8485이고 전화번호는 010-5675-1010 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05동 603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는 128조 9269이고 전화번호는 010-2222-1254 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비입주자 예를 들어 방문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 만이 AR10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주차 위치의 경우에 AR20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동 5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지하 2층 A구역 301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는 F2A-3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105동 603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지하 3층 B구역 202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는 F3B-202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비상벨의 경우에 AR30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2층 A구역 101에 설치된 비상벨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는 F2A-1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지하 3층 C구역 402에 설치된 비상벨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는 F3C-402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의 경우에 AR40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 및 충전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2층 A구역 301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에서 충전 요구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는 EC2 이고 충전 위치 정보는 F2A-3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AR20 영역의 F2A-301로서 주차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와 AR40 영역의 F2A-301로서 저장된 충전 위치 정보가 서로 일치(fit)되고 AR10 영역의 101동 501호가 매칭되면, 이는 501호의 입주민이 전기차의 충전 시도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차를 가진 입주민은 충전 승인을 위한 번거로운 조작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충전 승인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지하 3층 B구역 205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에서 충전 요구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는 EC9 이고 충전 위치 정보는 F3B-205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AR20 영역의 F3B-202로서 주차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와 AR40 영역의 F3B-205로서 저장된 충전 위치 정보가 정확히 서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서로 맞는(fit)경우이고 AR10 영역의 105동 603호가 매칭되면, 이는 603호의 입주민이 전기차의 충전 시도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 위치 정보는 복수의 주차 구역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한 대의 전기차 충전 장치는 6개 내지 12개 정도의 주차 구역들 중 어느 하나에 주차되는 전기차의 충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라 획득된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 확인의 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차 충전을 신속히 지원하는 또 다른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에서 도 6의 동작 S1201 내지 동작 S1213에 추가로 마련된 동작 S1301 및 동작 S1302는 도 1의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내의 제어부(2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제어 과정들은 특별한 이벤트 발생의 경우에 입주민들에게도 인증을 요구하고 충전을 지원하는 과정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의 경우와는 다르게, 2개의 전기차가 각각의 주차 구역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주차된 후 충전을 시도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별히 충전 승인을 위한 자동 인증은 수행되지 않고, 충전을 시도하는 입주자의 ID 인증을 요구한다.
따라서 도 6의 동작들에 더하여 S1301 및 동작 S1302이 추가로 마련된다.
동작 S130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특정 범위내의 주차 구역들에 복수의 전기차들이 주차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복수의 전기차들이 주차되고 충전 요구가 발생되어진 경우에 동작 S1302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자동 인증 수행없이, 충전 요구자의 ID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충전 요구자는 입주민 혹은 비 입주민일 수 있다. 충전 요구자로부터의 ID 수신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요구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 안내에 따라 방문자의 고유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직접 입력은 터치 스크린을 충전 요구자가 직접 터치하거나 텐키, 기능키, 및 문자키를 충전 요구자가 누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요구자는 입주민 카드, 신용 카드, 혹은 체크 카드를 리더기에 삽입함에 의해 충전 요구자의 ID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요구자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통신을 통해 충전 요구자의 ID를 제공하여 충전을 위한 인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동작 S1201 내지 동작 S1213은 도 6의 동작 S1201 내지 동작 S1213과 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는 도 8의 전기차 충전 지원 과정에 사용되는 전기차 충전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차 유도의 경우에 AR11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번호 및 입주자 ID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아파트의 101동 5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는 127조 8485이고 전화번호는 010-5675-1010 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05동 1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는 128조 9269이고 전화번호는 010-2222-1254 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05동 502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차량번호는 127조 8484이고 전화번호는 010-3484-2849 로서 저장될 수 있다.
주차 위치의 경우에 AR21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동 5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지하 2층 A구역 301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는 F2A-3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101동 101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지하 2층 A구역 301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도 F2A-3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주차 구역 정보이더라도 실제 주차 위치는 서로 이웃하거나 근방의 주차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101동 502호에 거주하는 입주자의 차량이 지하 2층 A구역 302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위치 확인된 주차 구역 정보는 F2A-302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비상벨의 경우에 AR31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2층 A구역 101에 설치된 비상벨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는 F2A-101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지하 3층 C구역 402에 설치된 비상벨에서 비상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비상신호 발생 위치 정보는 F3C-402로서 저장될 수 있다.
주차 위치의 경우 AR21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 이상의 전기 차량이 동일한 주차 구역 그룹 내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주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은 자동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전기차 충전의 경우에 AR41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 및 충전 위치 정보가 중복 저장될 수 있는 경우에 101동 501호 입주민이 충전을 시도하는 지 아니면 101동 101호 입주민이 충전을 시도하는 지를 판단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수의 전기차들이 주차되고 충전 요구가 발생되어진 특별한 경우에, 동작 S1302를 통해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자동 인증 수행없이, 충전 요구자의 ID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전기차들이 한 대의 전기차 충전 장치에 접근하여 충전을 시도하는 상황일 때에도 충전 인식의 오류 없이 전기차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따른 충전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충전 과정은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32)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30)을 통해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전기차(20)로 유선 충전을 제공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기차(20)에 충전 커넥터(31)가 연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101). 일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전기차 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전기차(20)로 송신될 수 있다(S1102). 이후,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커넥터(31)가 연결되는 것이 감지되면, 충전시도 신호를 생성하여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한다. 입주민의 차량으로 인증성공 시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200)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상기 충전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충전을 개시한다(S1103).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개시 이후 충전되는 전력량을 누적하여 계측하다가 사용자 또는 전기차(20)로부터 감지되는 충전 종료 동작을 인지하면(S1104), 누적 계측된 전력량을 기초로 충전 정보를 도출한다(S1105). 도출된 충전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전기차로 전송될 수 있다(S1106).
본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지만, 구현 세부 사항은 어느 청구된 주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 예에 특정한 특징의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도의 실시 예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 예에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에, 단일 실시 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다중 실시 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특징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처음에는 그렇게 주장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특징이 경우에 따라 조합에서 제외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이 특정 순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그러한 동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바람직한 결과들을 얻기 위해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의 분리는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설명된 프로그램 구성 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생성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생성물로 패키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주제의 특정 실시 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다. 다른 실시 예는 다음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에, 청구 범위들에 명시된 동작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에서,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전기차 충전, 주차유도 주차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기차 충전 장치
200: 주차장 단말기 그룹
260: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
270: 비상벨 그룹
300: 운영 서버

Claims (30)

  1.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 및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성공은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의 주차 구역 정보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의 충전위치 정보가 매칭될 경우에 상기 주차유도 정보로부터 얻어진 차량번호 및 입주자 ID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은 상기 입주자 ID에 대응하는 공동주택의 개별 세대로 과금이 수행되는 방식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성공이 실패된 경우에 방문자 전용 과금 방식으로 충전이 더 수행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연동되며,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지닌 스마트 폰 혹은 휴대 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주차위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 혹은 상기 휴대 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공동현관 리더기; 및
    상기 공동현관 리더기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지닌 상기 스마트 폰 혹은 상기 휴대 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출입 인증되었을 경우에 공동현관의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홈넷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된 경우에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과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과금 정보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0.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
    상치 주차장에 설치되어 작동 시에 비상호출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비상벨들을 포함하는 비상벨 그룹; 및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상벨 그룹의 비상벨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비상호출 신호를 처리 및 전송하며,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성공은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의 주차 구역 정보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의 충전위치 정보가 매칭될 경우에 상기 주차유도 정보로부터 얻어진 차량번호 및 입주자 ID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은 상기 입주자 ID에 대응하는 공동주택의 개별 세대로 과금이 수행되는 방식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성공이 실패된 경우에 방문자 전용 과금 방식으로 충전이 더 수행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연동되며,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지닌 스마트 폰 혹은 휴대 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주차위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 혹은 상기 휴대 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공동현관 리더기; 및
    상기 공동현관 리더기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지닌 상기 스마트 폰 혹은 상기 휴대 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출입 인증되었을 경우에 공동현관의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홈넷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된 경우에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과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과금 정보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비상벨 그룹의 비상벨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생성될 경우에 상기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상호출 신호의 발생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0.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라이센스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들 및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 및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전기차들이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동일한 전기차 충전 장치에 충전 액세스를 할 수 있는 상황을 확인한 경우에 상기 동일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요구자의 ID를 수신한 후 수신된 충전 요구자의 ID와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 및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의 충전이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성공은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의 주차 구역 정보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의 기기 ID의 충전위치 정보가 매칭될 경우에 상기 주차유도 정보로부터 얻어진 차량번호 및 상기 충전 요구자의 ID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은 상기 충전 요구자 ID에 대응하는 공동주택의 개별 세대로 과금이 수행되는 방식인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연동되며,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지닌 스마트 폰 혹은 휴대 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주차위치 서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된 경우에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월패드와 연결된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충전 전력량과 상기 기기 ID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과금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수신된 과금 정보를 표시 및 전송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7. 주차장에 마련된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면들 중 하나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관련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를 복수로 포함하는 카메라 그룹; 및
    상기 카메라 그룹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차면들에 주차된 상기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에 대응되는 상기 주차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입주민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상기 주차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인증하고 인증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를 통한 인증 패스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련 정보는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가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콘센트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충전시도 신호는 전용 충전 케이블, 비상용 충전 케이블, 및 이동형 충전 케이블 중 하나가 접속될 때 발생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패스의 수행 후 충전량의 과금은 입주자 전용의 과금 방식인 세대 과금으로 부과되며, 과금된 정보는 해당 세대의 월패드로 전송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KR1020210113218A 2021-08-26 2021-08-26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KR20230033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18A KR20230033066A (ko) 2021-08-26 2021-08-26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218A KR20230033066A (ko) 2021-08-26 2021-08-26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66A true KR20230033066A (ko) 2023-03-08

Family

ID=8550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218A KR20230033066A (ko) 2021-08-26 2021-08-26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0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754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billing system using the same
US11252544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er
KR102343194B1 (ko)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US10406930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P25873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CN110370977B (zh) 车辆充电系统、车辆及车辆充电系统的认证方法
KR101271412B1 (ko) 주차장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4561A (ko) 주차 겸용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190225107A1 (en) Recharging system, recharging controller, battery charger, information device, rechar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999522B1 (ko) 주차 안내를 위해 각 주차구획을 모니터링하여 주차장 주차 현황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JP2020088871A (ja) 電動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システム
CN109785654A (zh) 基于位置空间模型的车辆引导
CN212627964U (zh) 一种车辆换电装置、系统及换电站
KR102529035B1 (ko)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KR20230033066A (ko) 전기차 충전을 신속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KR102193383B1 (ko)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이동형 충전기
CN209388371U (zh) 存取车设备及系统
KR101863665B1 (ko)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CN106652222B (zh) 一种电动汽车分时租赁装置和使用方法
US202301826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230156180A (ko) 복수의 전기차들에 연속충전을 지원하는 공동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
KR102208615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무선 비상벨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및 주차유도 시스템
US12017554B2 (en) Automatically identifying an intended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