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035B1 -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035B1
KR102529035B1 KR1020220129261A KR20220129261A KR102529035B1 KR 102529035 B1 KR102529035 B1 KR 102529035B1 KR 1020220129261 A KR1020220129261 A KR 1020220129261A KR 20220129261 A KR20220129261 A KR 20220129261A KR 102529035 B1 KR102529035 B1 KR 102529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electric vehicle
variable
tim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경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22012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안내 장치는 주차장 내에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하는 주차 구역 관리부, 전기차가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주차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 시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주차 타임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Electric vehicle parking time guidance system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주차장 운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제공된다.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는 주차위치 확인(parking location identification) 및 주차유도(parking guidance)를 위한 공동 주택 주차 편의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는 내연 기관 차량인 비 전기차는 물론,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으로 운행되는 전기차가 주차될 수 있고,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차 충전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의 종류에는 급속 충전 장치, 완속 충전 장치, 및 콘센트형 충전 장치가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차 이용자들이 한정된 수의 전기차 충전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 장치를 이용하는 주차 구역의 주차타임이 법률적으로 혹은 공동 주택의 자치 규범적으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급속 충전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전기차는 2시간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될 수 있고, 완속 충전 장치나 콘센트형 충전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전기차는 14시간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 발생 시 대체 가능한 타 주차 구역의 존재 여부에 따라 주차 타임 카운트 중단 혹은 전기차 이동 통보를 수행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는,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주차 구역들,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는 가변 주차 구역들, 및 상기 전기차 혹은 비전기차의 주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주차 구역들을 관리하고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하는 주차 구역 관리부;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장 내의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전용 주차 구역들,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 중 어느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주차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가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에 주차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주차 타임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는,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주차 구역들,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들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며 두 개의 주차 구역들에 대한 순차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기가 설치되는 가변 주차 구역들, 및 상기 전기차 혹은 비전기차의 주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주차 구역들을 관리하고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하는 주차 구역 관리부; 상기 전기차들이 상기 주차장 내의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전용 주차 구역들,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 중 어느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주차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들이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충전기를 공유하는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차된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를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들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각기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하나라도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주차 타임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 발생 시 대체 가능한 타 주차 구역의 존재 여부에 따라 주차 타임 카운트 중단 혹은 전기차 이동 통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차 이동 통보 후에도 지정 시간 내에 이동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전기차 충전 구역에서의 충전 혹은 주차 시간의 초과 에 따른 과태료 부과를 위한 주차 위반 정보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위해 주차장에 예시적으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들과 카메라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에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에 관련된 또 다른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충전 장치와 주차장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통한 전기차 충전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기차 충전 동작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들의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주차장 통신장치와 도 1의 카메라의 설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나타나는 주차 구역 표시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들의 수와 주차 구역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운영 기준과 차량의 주차 대수에 따라 가변 주차 구역으로의 변경 유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 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일 실시 예” 또는 “실시 예” 로의 참조는 실시 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다양한 장소들에서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라”(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구성들)구절들의 출현들은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도시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 예는 다른 실시 예보다 반드시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맥에 따라, 단수의 용어는 해당 복수의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용어는 해당 단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논의된(구성요소 도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실제 척도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 유사하게, 다양한 파형들 및 타이밍도들이 단지 예시 적인 목적을 위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들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히 고려되는 경우, 참조 번호들은 대응하는 및/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 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청구된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들 “한(a)”, “한(an)”, 및 “그(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될 때,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연산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연산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 요소들, 및/또는 그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다는 것이 더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등의 용어들은 선행하는 명사들의 라벨(label)들로 사용되고, 그렇게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임의의 유형의 순서(예를 들어 공간적, 시간적, 논리적 등)를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들, 구성요소들, 블록들, 회로들, 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지칭하기 위해 둘 이상의 도면들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도시의 간소화 및 논의의 용이함을 위해서만이다. 이는 그러한 구성 요소들 또는 유닛들의 구성 또는 구조적 세부 사항이 모든 실시 예들에 걸쳐 동일한 것을 의미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공통으로 참조된 부분들/모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들의 지침들을 구현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기술적인 그리고 과학적인 용어들을 포함하는)은 본 발명에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들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뜻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임이 더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로서, 용어 “모듈(module)”은 모듈과 관련되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및/또는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용어 “소프트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에 적용된 대로,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인스트럭션 셋(set) 또는 인스트럭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하드웨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현 예에 적용된 대로, 예를 들어 개별의 혹은 임의의 조합의,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ry), 프로그래머블 회로, 상태-머신 회로(state machine circuitry),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은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집적회로, 시스템 온 칩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싱 후의 이미지 처리 동작, 통상적인 주차유도 동작, 블루투스 모듈(또는 장치)이나 차번(차량 번호)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위해 주차장에 예시적으로 배치된 전기차 충전 장치들과 카메라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주차 구역들은 전용 주차 구역(10-3),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 10-6, 10-7), 및 공유 주차 구역들(10-4, 10-5)을 포함한다.
상기 전용 주차 구역(10-3)은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를 위한 구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용 주차 구역(10-3)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2)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 10-6, 10-7)은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는 구역들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 10-6, 10-7)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들(100-1, 100-4)과 디스플레이 장치들(110-1, 110-2, 110-3, 110-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10-4, 10-5)은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 혹은 비전기차(예를 들어 내연 기관 자동차)의 주차를 위한 구역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10-4, 10-5)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3)가 설치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주차 구역들은 전기차 및 비전기차가 주차될 수 있는 일반 주차 구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일반 주차 구역들 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가 미 설치된다.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는 복수의 카메라들(200-1, 200-2, 200-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200-1)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에 주차될 수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라이선스 플레이트의 문자 및 숫자들)를 인식하고 주차 구역 내의 차량의 주차위치 확인을 인식하는 위한 카메라이다. 제2 카메라(200-2)는 상기 전용 주차 구역(10-3)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10-4, 10-5)에 주차될 수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구역 내의 차량의 주차위치 확인을 인식하는 카메라이다. 제3 카메라(200-3)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10-6, 10-7)에 주차될 수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주차 구역 내의 차량의 주차위치 확인을 인식하는 카메라이다.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200-1, 200-2, 200-3)은 통신 라인(L10)을 통해 중계기(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는 통신 버스(BU10)를 통해 도 1의 중계기(210)에 연결된 주차 관리 장치(1000), 충전 전력 관리부(310), 주차 유도부(410), 홈네트워크 관리부(600), 및 세대 월패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주차 구역 관리부(300), 주차 위치 인식부(400), 주차 타임 관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300)는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주차 구역들과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는 가변 주차 구역들을 관리하고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한다.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400)는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장 내의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전용 주차 구역들,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 중 어느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한다.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400)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이 어느 주차 구역에 위치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확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주차위치 확인 데이터는 카메라 촬영 이미지, 이용자의 태그 동작, 이용자의 무선 송신기로부터 발생되는 송신신호 입력, 이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500)는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가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에 주차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500)는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다.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500)는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한다.
한편,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5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에 관련된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1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한다. S31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전기 차량인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차량인 지 비 전기 차량인 지의 여부는 차번 인식 카메라를 통해 차번(라이선스 플레이트에 표시된 차량번호)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차번이 기 등록된 전기차 등록 테이블에 존재하는 차번과 일치하는 지를 대조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전기 차량인 경우, S313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에 대응하는 주차 유도를 수행한다.
S314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가 복수의 주차 구역들 중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전기차가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경우, S315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 서비스 수행을 위해 필요한 차번 인식 정보 혹은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자동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인증의 수행은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2 B-111(주차 구역) : 127너8585(차량번호)과 같이 한 쌍을 이루는 주차 위치 정보가 기 등록된 101동 101호에 사는 세대 주민으로 확인된 경우에 전기차 충전을 위한 인증이 이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별도의 조작을 요함이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동 인증인 경우에 카드, 태그, 스마트 폰 등을 통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 인증일 경우에 수신된 스마트 폰의 정보가 기 등록된 이용자의 정보와 일치되는 지가 체크될 수 있다. 한편 카드를 이용하는 인증일 경우에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기 등록된 이용자의 정보와 일치되는 지가 체크될 수 있다. 또한, 키 패드 인증의 경우에 이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키들을 터치함에 의해 인증을 받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지문 인증 및 QR 코드 인증이 수동 인증 모드로서 수행될 수 있다.
S316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전 개시의 판단 여부는 전용 충전기 케이블,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이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에 접속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개시의 판단 여부는 스마트 폰 통신 혹은 카드 삽입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개시의 판단 여부는 전기차 충전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아이콘들이 터치 되었을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이 개시되면, S317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주차 타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
S318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한다.
S319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을 만료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누적 카운트된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2시간 또는 14시간)에 도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에 S32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경우에 S321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는 전기차 충전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S32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세대 월패드)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이 가변 주차 구역으로 다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구역 상태 변경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는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벗어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는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다.
S320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S32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는 상기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임을 인식하고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를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S320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전기차가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됨이 없이 그대로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과태료 부과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312에서 전기 차량이 아닌 경우에 S323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비 전기차 예를 들어 내연 기관 차량에 대응되는 주차 유도 및 주차 타임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시간 위반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주차 타임이 관리될 수 있다.
S314에서 전기차가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하지 않은 경우에 S324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혹은 공유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혹은 공유 주차 구역에 주차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수행 프로시져는 종료된다. 한편, 상기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혹은 공유 주차 구역에 주차된 경우에 S325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전용 주차 구역 혹은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주차 타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기차가 상기 공유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다면 주차 타임의 카운트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공유 주차 구역은 과태료 위반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주차 구역이기 때문이다.
S326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이 없이, 상기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S327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을 만료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누적 카운트된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2시간 또는 14시간)에 도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에 S328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경우에 S329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S33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세대 월패드)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이 가변 주차 구역으로 다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구역 상태 변경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는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벗어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는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다.
S328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S33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임을 인식하고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를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S330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전기차가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됨이 없이 그대로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과태료 부과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용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한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예를 들어 급속 충전기의 경우 2시간)에 도달되었다면, S33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용 주차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정된 시간 내에 전기차가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됨이 없이 그대로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에 관련된 또 다른 제어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11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한다. S41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전기 차량인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차량인 지 비 전기 차량인 지의 여부는 차번 인식 카메라를 통해 차번(라이선스 플레이트에 표시된 차량번호)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차번이 기 등록된 전기차 등록 테이블에 존재하는 차번과 일치하는 지를 대조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들이 전기 차량인 경우, S413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들에 대응하는 주차 유도를 수행한다.
S414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들이 복수의 주차 구역들 중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은 예를 들어, 도 1의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들이 상기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된 경우, S415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들의 배터리 충전 서비스 수행을 위해 필요한 차번 인식 정보 혹은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자동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S416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제1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에 제1 전기차는 도 1의 가변 주차 구역들(10-1, 10-2) 중 제1 가변 주차 구역(10-1)에 주차된 전기차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차의 충전이 개시되면, S417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제1 전기차에 대하여 주차 타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상기 제1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할 수 있다.
S418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제1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 전기차 충전 장치에서 제1 전기차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S419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전기차의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을 만료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전기차의 상기 누적 카운트된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2시간 또는 14시간)에 도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1 전기차의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에 S42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도 1의 가변 주차 구역들(10-6, 10-7)중 하나가 미 주차된 상태로 비어 있는 경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경우에 S421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1 전기차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S42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1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세대 월패드)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이 가변 주차 구역으로 다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구역 상태 변경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기차의 이용자는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벗어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1 전기차는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다.
S420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S42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상기 제1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기차의 이용자는 제1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임을 인식하고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1 전기차를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지정된 시간 내에 전기차가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됨이 없이 그대로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과태료 부과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412에서 전기 차량이 아닌 경우에 S423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비 전기차 예를 들어 내연 기관 차량에 대응되는 주차 유도 및 주차 타임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에 주차된 경우에 주차 시간 위반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주차 타임이 관리될 수 있다.
S414에서 전기차들이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하지 않은 경우에 S424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전기차들에 대하여 상기 별도의 주차 타임 관리 및 충전 동작 프로시져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차들 중 하나가 상기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에 주차하지 않고 타 가변 주차 구역이나 전용 주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에 상기 전기차들 중 하나에 대하여 주차 타임이 카운트될 수 있고 또한 충전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S416에서 상기 제1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지 않는 경우에 S425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는 지 혹은 충전을 대기하는 지를 판단한다. S425에서 상기 제2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지 않거나 충전을 대기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 수행 프로시져는 종료된다. 즉, 제1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면, 제2 전기차에 대한 주차 타임 카운트는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전기차가 충전을 개시하거나 충전을 대기하는 경우에 S426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된 제2 전기차에 대하여 주차 타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전기차가 충전을 수행함이 없이 상기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 중 제1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만 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전기차에 대한 주차 타임의 카운트는 수행되지 않는다. 설정 조건에 다를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에 우선적으로 주차한 전기차가 충전을 행함이 없이 주차만 한 경우에 그 우선 주차된 전기차에 대한 주차 타임은 카운트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S427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제2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S427의 동작은 S418에서 제1 전기차로 공급되던 충전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전기차가 충전을 대기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전기차로 공급되던 충전 전력이 차단되면 즉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제2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27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가변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제2 전기차로 충전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S428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전기차의 충전 완료 시 전기차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제2 전기차로 인가되는 충전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29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제2 전기차의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을 만료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누적 카운트된 상기 제2 전기차의 주차 타임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2시간 또는 14시간)에 도달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에 S430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는 경우에 S431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다. 이에 따라,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2 전기차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S43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제2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세대 월패드)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이 가변 주차 구역으로 다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구역 상태 변경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기차의 이용자는 제2 전기차가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벗어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2 전기차는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다.
S430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S432에서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에서의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상기 제2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전기차의 이용자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임을 인식하고 현재 주차된 주차 구역에 있는 제2 전기차를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시간 내에 전기차가 다른 주차 구역으로 이동됨이 없이 그대로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구청 등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과태료 부과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충전 장치와 주차장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통한 전기차 충전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주차장 통신 장치(24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도 1의 전기차 충전 장치들(100-1, 100-2, 100-3, 100-4)중 하나에 대응되는 충전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주차장 통신 장치 그룹(240-1, 240-2, …, 240-n)내의 어느 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도 7에서와 같이 카메라(200-1)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충전 컨트롤러(110), 인증부(120), 구동 스위치부(130, 131, 132), 통신 모듈(150), 및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주차장의 각 주차 구역별로 설치 가능한 급속 충전 장치, 완속 충전 장치, 및 콘센트 충전 장치(이동형 충전기 케이블 전용 콘센트 혹은 과금형 콘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은 인입 전원 라인에 인가되는 전력(PWR)을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는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와는 이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가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좌측에 설치된 경우에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우측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변 주차 구역(10-1)에 주차되는 제1 전기차는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를 통해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2 가변 주차 구역(10-2)에 주차되는 제2 전기차는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를 통해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스위치부(130, 131, 및 132)는 제1, 2, 3 스위치 제어신호들(C1, C2, C3)에 각기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 중 하나를 전기차 충전 실행모드에서 활성화한다. 상기 구동 스위치부(130, 131, 및 13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6의 운영 테이블에 따라 제공되는 제1, 2, 3 스위치 제어신호들(C1, C2, C3)에 응답하여 턴온(turned-on)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스위치(130)는 상기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하이(High)인 경우에 턴온되어 제2 구동 스위치(131) 및 제3 구동 스위치(132)로 충전을 위한 인입 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스위치(131)는 상기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하이인 경우에 턴온되어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에 충전을 위한 인입 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구동 스위치(132)는 상기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하이인 경우에 턴온되어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에 충전을 위한 인입 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입 전력은 상기 인입 전원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전력(PWR)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에 각기 연결되는 전기차들에 대한 충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20)는 전기차들의 충전 인증을 독립적으로 혹은 종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인증은 상기 전기차가 주차되었을 때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 생성방식으로 생성된 주차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전기차의 충전을 위한 인증이 성공된 경우, 전기차가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1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차가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2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2 구동 제어신호들은 상기 제1, 2, 3 스위치 제어신호들(C1, C2, C3)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신호들이다.
또한,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충전을 위한 인증 패스 및 과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도 2의 상기 충전 전력 관리부(310)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컨트롤러(110)의 상기 인증 패스 및 과금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의 송수신은 무선 혹은 유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을 전기차에 공급하는 방법은 유선 공급 방식과 무선 공급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공급 방식의 경우에 전용 충전기 케이블 이외에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 또는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와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간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전용 충전기 케이블 혹은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아이디(ID)를 사용자 카드로부터 읽는 카드 리더기 혹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통해 사용자 아이디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충전기 케이블은 급속 충전 장치 혹은 완속 충전 장치에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충전기 케이블을 지칭하고,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은 콘센트 충전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구비되거나 별도의 위치에 마련된 충전기 케이블을 지칭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전기차 충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 혹은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에 설치된 태그 리더기에 의해 리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계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상기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또는 이용자 휴대용 충전기 케이블)이 상기 콘센트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전원을 받아 전기차를 충전할 때 세대 과금을 위해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기계식 혹은 디지털 전력량 계량기일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충전 전원 라인에 설치된 변류기를 이용하여 충전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계량부에 의해 계량된 계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계량 데이터는 상기 통신 모듈(15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에 관련된 인증 확인 정보는 상기 통신 모듈(150)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 데이터는 주차장 통신장치(240-1)을 통해 별도의 데이터 서버 혹은 도 2의 홈네트워크 관리부(6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부(600)는 공동 주택 단지 내의 각 세대에 세대 단말로서 설치된 세대 월패드(6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부(600)는 유선 혹은 무선일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700)를 통해 사업자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서버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충전 사업자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충전 사업자 서버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한 충전 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사업자 과금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의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와 연결되는 주차 유도부(410)는 주차장에서의 주차유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을 이용자의 스마트 폰(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은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를 통해 단말기(50)인 상기 스마트 폰(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50)은 상기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주차장의 맵이 표시되고 주차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경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 혹은 이용자 휴대용 충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충전 사용량에 대한 과금은 세대 과금으로 부과될 수 있다. 세대 과금이란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의 사용자가 속한 공동 주택의 개별 세대로 과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과금은 세대 과금과는 별개인 사업자 과금으로 될 수 있다. 사업자 과금은 상기 사업자 과금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의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부과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카드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의 사용자 아이디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차의 충전 및 상기 계량 데이터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의 사용자가 전기차의 충전을 시도할 때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생성함에 의해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의 태그 리더기가 상기 태그부에 대한 태그 리딩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이 사업자 서버로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과 상기 사업자 서버 간의 통신 연결 후에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의 인증 확인 정보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계속 유지하여 상기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한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다양한 입력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 혹은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차 충전 인증을 위한 입력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를 통해 자동 인증이 수행되었을 때, 상기 비상용 충전기 케이블 혹은 이동형 충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카메라(예 200-1)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에 제공되고,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근거하여 주차 유도 정보 및 주차위치 확인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로부터 충전시도 신호가 수신될 때 충전 시도를 행하는 전기차가 공동 주택의 세대 이용자로 등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가 주차위치 확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인증된다. 따라서, 자동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는 인증을 패스하고 입주자 전용 과금 방식(예를 들어 세대 과금)의 충전을 상기 전기차를 대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주차장 통신 장치 그룹(240-1, 240-2, …, 240-n)내의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인터페이스 및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 및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의 통신에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대상으로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통신, RS485 통신, UART 통신, 및 GIPO 통신 중의 하나가 수행될 시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주차장 통신 장치(240-1)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220)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사안이 다른 경우에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혹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상기 전기차 충전 장치(100) 및 상기 주차 관리 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23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North American Digital Communications (NADC), Extend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E-TDMA), Wideband CDMA (WCDMA), CDMA2000, Wi-Fi, Municipal Wi-Fi (Muni Wi-Fi), Bluetooth,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DECT),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Fast low-latency access with seamless handof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lash-OFDM), IEEE 802.20,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iBurst,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iMAX-Advanc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 Time Division Duplex (UMTS-TDD),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Evolution Data Optimized (EVDO),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LTE Advanced), Multichanne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 (MMDS), 및 기타 등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230)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시리얼통신, CAN통신, 및 TCP/IP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30)는 BLE 통신을 통해 이용자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5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는 단말기(50)와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은 통신의 원활화를 위해 무선 중계기(WOP)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LTE 통신 혹은 UWB 통신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마트 폰은 이미 주차 위치 확인 어플 혹은 주차유도 어플이 실행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차 위치 확인 어플 혹은 주차유도 어플의 실행 직전 단계에 있을 수도 있다. 스마트 폰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전기차 이용자의 정보 즉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 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220)의 처리 혹은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전기차 충전 동작에 이용되는 제어 신호들의 운영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의 동작 모드, 충전 대기에서의 동작 모드, 및 차량 번호 및 주차 위치 인식 후의 동작 모드가 테이블 내에 나타나 있다. 상기 초기 상태의 동작 모드는 전기차 충전 장치(100)의 동작 초기 상태의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충전 대기에서의 동작 모드는 전기차 충전 대기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차량 번호 및 주차 위치 인식 후의 동작 모드는 접속 감지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를 통한 충전의 동작 모드 및 제2 접속부를 통한 충전의 동작 모드는 전기차 충전 실행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초기 상태에서 에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이 모두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로우,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로우, 및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로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모드가 변할 때 까지는 제1 충전 접속부(100-1a) 또는 제2 충전 접속부(100-1b)중 어느 접속부에도 충전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구동 스위치부(130)가 메인 차단 스위치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의 생성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충전 대기 모드에서 구동 스위치부(130)만 스위칭 온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을 여전히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하이,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로우, 및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로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차량 번호 및 주차위치 인식이 수행된 후에,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상기 제1 및 제2 충전 접속부들(100-1a, 100-1b)이 모두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하이,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하이, 및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하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타임 구간 동안에 제1 충전 접속부(100-1a) 및 제2 충전 접속부(100-1b) 모두를 통해 충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제1 접속부를 통한 충전의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제1 충전 접속부(100-1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하이,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하이, 및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로우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충전 접속부(100-1a)를 통해 충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컨트롤러(110)는 제2 접속부를 통한 충전의 실행 모드에서 상기 제2 충전 접속부(100-1b)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스위치 제어신호(C1)가 로직 하이, 제2 스위치 제어신호(C2)가 로직 로우, 및 제3 스위치 제어신호(C3)가 로직 하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충전 접속부(100-1b)를 통해 충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2 접속부들을 통한 충전의 실행 모드 이전에 이용자의 승인입력에 의존하는 최종 인증이 사안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이용자가 지닌 스마트 폰에 충전 인증의 표시 창이 나타나도록 하고, 이용자가 이를 최종적으로 승인하는 경우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주차위치 정보로부터 얻어진 차량번호 및 입주자 ID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1차적 인증에 더하여 해당 차량의 이용자 승인에 의한 최종 인증이 결제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주차장 통신장치와 도 1의 카메라의 설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장 통신 장치 그룹(240-1, 240-2, …, 240-n)내의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상기 카메라(200-1)와 일체로 혹은 밀착되어 단일의 하우징(28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80)은 주차장의 레이스 웨이(90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와 상기 카메라(200-1)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280)은 주차장 내에서 대응 주차 구역 별로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빈 주차면이나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에 차량용 카드가 비치된 경우 차량 카드를 읽어 해당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는 스마트 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이나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 상기 주차장 통신 장치(240-1)의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200-1)의 제어부는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300)는 주차장 통신 장치 그룹(240-1, 240-2, …, 240-n)내의 주차장 통신 장치들과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나타나는 주차 구역 표시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0-1, 110-2, 110-3, 110-4)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날 수 있는 화면의 표시 변화가 도시된다. 먼저, 가변 주차 구역에 전기차가 주차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예 110-1)의 화면은 가변 주차 구역(110a)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변 주차 구역에 전기차가 주차되거나 주차 된 후 충전될 경우에 상기 가변 주차 구역(110a)은 화살 부호(AR1)를 따라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변경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동작들 S321 및 S421에서와 같이,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 설정된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면,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은 화살 부호(AR2)를 따라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다시 변경 표시된다.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을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바꾸어 표시하는 경우 현재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에 있는 전기차는 주차 시간 위반에 따른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 장치들의 수와 주차 구역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테이블(90)은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서의 총 주차 구역 수가 1000 구역이라고 할 경우 급속 충전기는 10대, 완속 충전기는 40대, 콘센트 타입 충전기는 20대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전기차 충전 장치의 규정에 명시된 의무적 설치 대수는 총 주차 구역 수의 5%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90)의 경우에 20대의 콘센트 타입 충전기는 5%를 초과하는 여분의 충전기로 운영될 수 있다.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세대원들의 전기차 대수에 따라, 가변 주차 구역의 설정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전기차 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 가변 주차 구역의 개수는 증가되고, 전기차 대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 가변 주차 구역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9에서 테이블(92)은 전체 주차 구역들에 운영될 수 있는 각 주차 구역들의 예를 정의한다. 전체 주차 구역은 전용 주차 구역, 가변 주차 구역, 공유 주차 구역, 및 일반 주차 구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용 주차 구역에는 전기차 충전 장치가 설치되고, 주차 구역의 바닥 면에 전기차 충전을 나타내는 그림이 표시된다. 전용 주차 구역은 타임 초과 주차 시 과태료 적용 대상이 되는 구역이며, 타임 초과 주차를 감시하기 위한 카운트 대상이 되는 구역이다. 전용 주차 구역에는 전기차만 주차되는 구역이다.
가변 주차 구역에는 상기 전용 주차 구역과 마찬가지로 전기차 충전 장치가 설치되고, 주차 구역의 바닥 면에 전기차 충전을 나타내는 그림이 표시된다. 다만,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는 도 8과 같은 화면 표시를 수행하기 위해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110-1, 110-2, 110-3, 110-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주차 구역은 타임 초과 주차 시 타 가변 주차 구역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과태료 적용 대상의 유무가 결정되는 주차 구역이며, 일단은 타임 초과 주차를 감시하기 위한 카운트 대상 구역이다. 상기 가변 주차 구역에는 전기차 및 비전기차가 모두 주차 가능한 구역이다.
한편, 공유 주차 구역은 전기차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구역이다. 일반 주차 구역은 전기차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역이다.
공유 주차 구역 및 일반 주차 구역은 타임 초과 주차 시 과태료 부과 적용이 되지 않는 구역들이며, 타임 초과 주차를 감시하기 위한 카운트 대상에서 제외되는 구역들이다. 상기 공유 주차 구역 및 일반 주차 구역에는 전기차 및 비전기차가 모두 주차 가능한 구역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운영 기준과 차량의 주차 대수에 따라 가변 주차 구역으로의 변경 유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동 주택의 주차장에 전기차가 4대로 운영되고, 가변 주차 구역이 4 구역으로 설정된 경우 가변 주차 구역들의 화면 표시 변화가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제1 경우(CA1)에서 1대의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에 주차되거나 주차된 후 충전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을 표시할 수 있다(도 10에서는 이를 △ 으로 나타냄). 결국, 이 경우에는 1대의 전기차가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 어디에도 주차되지 않았으므로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모두 가변 주차 구역(110a)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경우(CA2)에서 2대의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 가변 주차 구역에 각기 주차되거나 각기 주차된 후 충전되는 경우에 제1 가변 주차 구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변경된다. 이후 타임 초과 주차가 발생되고 여분의 타 가변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이 경우에는 제2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에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다시 변경 표시된다. 상기 제1 가변 주차 구역에서의 O→△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되었다가 다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을 여전히 표시할 수 있다(도 10에서는 이를 △ 으로 나타냄). 결국, 이 경우에는 2대의 전기차들이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 가변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으므로 제2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모두 가변 주차 구역(110a)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3 경우(CA3)에서 3대의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2 가변 주차 구역들에 각기 주차되거나 각기 주차된 후 충전되는 경우에 제1,2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각기 변경된다. 이후 타임 초과 주차가 발생되고 여분의 타 가변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이 경우에는 제3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에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다시 변경 표시된다. 상기 제1,2 가변 주차 구역들에서의 O→△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되었다가 다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3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을 여전히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에는 3대의 전기차들이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2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으므로 제3 및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모두 가변 주차 구역(110a)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제4 경우(CA4)에서 4대의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 내지 제3 가변 주차 구역들에 각기 주차되거나 각기 주차된 후 충전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각기 변경된다. 이후 제1 내지 제3 가변 주차 구역들에서 타임 초과 주차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 가변 주차 구역들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나, 제3 가변 주차 구역의 경우에 더 이상 타 가변 구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3 가변 주차 구역에서 화면만은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에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변경 표시되지 못하고, 그대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을 유지한다. 상기 제3 가변 주차 구역에서의 O→O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되었다가 전기차 지정 구역(100b)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4 가변 주차 구역에는 전기차가 아직 주차되지 않았으므로 제4 가변 주차 구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을 여전히 표시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에는 4대의 전기차들이 전용 주차 구역 및 제1 내지 제3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으므로 제3 가변 주차 구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만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나타나고, 제1,2,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에는 가변 주차 구역(110c)이 표시될 수 있다. 제4 경우(CA4)에 4대의 전기차들 중 주차장에 먼저 주차되는 가변 주차 구역의 순으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은 가변 주차 구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5 경우(CA4)에서 6대의 전기차가 전용 주차 구역,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 및 공유 구역에 각기 주차되거나 각기 주차된 후 충전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은 도 8에서의 가변 주차 구역(110a)→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각기 변경된다. 이후 제1 내지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서 타임 초과 주차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 가변 주차 구역들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 가변 주차 구역이 존재하나, 제3 및 제4 가변 주차 구역의 경우에 더 이상 타 가변 구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3 및 제4 가변 주차 구역에서 화면들은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에서 가변 주차 구역(110c)으로 변경 표시되지 못하고, 그대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을 유지한다. 상기 제3 및 제4 가변 주차 구역들 에서의 O→O는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되었다가 전기차 지정 구역(100b)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이 경우에는 6대의 전기차들이 해당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으므로 제3 및 제4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만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110b)으로 나타나고, 제1,2 가변 주차 구역들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들에는 가변 주차 구역(110c)이 표시될 수 있다. 제5 경우(CA4)에도 6대의 전기차들 중 주차장에 먼저 주차되는 가변 주차 구역의 순으로 화면 상에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은 가변 주차 구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가변 구역들에 주차된 차량들의 주차 타임 초과 시에 차량 이동이 없으면 과태료 부과 대상으로 된다.
도 10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가변 주차 구역들의 운영은 공동 주택의 등록된 전기차들의 대수, 전기차 충전 장치들의 설치 대수, 주차 구역들의 설정 현황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기차의 주차 및 충전 시에 주차 구역에서의 경과된 주차 타임 발생 시 대체 가능한 타 주차 구역의 존재 여부에 따라 주차 타임 카운트 중단 혹은 이용자에게 전기차 이동 통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정 구현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지만, 구현 세부 사항은 어느 청구된 주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 예에 특정한 특징의 설명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도의 실시 예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 예에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에, 단일 실시 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다중 실시 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특징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처음에는 그렇게 주장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특징이 경우에 따라 조합에서 제외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이 특정 순서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그러한 동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바람직한 결과들을 얻기 위해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의 분리는 모든 실시 예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설명된 프로그램 구성 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생성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생성물로 패키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주제의 특정 실시 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다. 다른 실시 예는 다음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에, 청구 범위들에 명시된 동작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에서, 멀티 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전기차 주차 타임 모니터링, 전기차 충전, 주차유도 주차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주차 구역 관리부
400: 주차 위치 인식부
500: 주차 타임 관리부

Claims (28)

  1.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주차 구역들,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는 가변 주차 구역들, 및 상기 전기차 혹은 비전기차의 주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주차 구역들을 관리하고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하는 주차 구역 관리부;
    상기 전기차가 상기 주차장 내의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전용 주차 구역들,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 중 어느 주차 구역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주차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가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에 주차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주차 타임 관리부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 인식부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차량 번호 인식 및 주차 구역 인식을 수행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한 후,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구역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수신하는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 또는 세대 월패드인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가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주차 이동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주차 시간 위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주차 타임의 카운트 시작 시점을 상기 전기차의 충전 시작 시점 및 주차 시점 중 어느 하나의 시점 또는 혼합 시점으로 설정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광판 또는 고보 라이트 장치의 형태를 가지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용 주차 구역, 가변 주차 구역, 및 공유 주차 구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 중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표시될 디스플레이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가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상기 전기차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과태료 부과를 위한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정보는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4. 주차장 내에 설정된 전체 주차 구역들 중 배터리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기차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주차 구역들, 상기 전체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전기차들의 충전 및 주차를 위해 가변적으로 지정되며 두 개의 주차 구역들에 대한 순차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기가 설치되는 가변 주차 구역들, 및 상기 전기차 혹은 비전기차의 주차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주차 구역들을 관리하고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을 설정된 구역들 수 이내에서 가변적으로 지정하는 주차 구역 관리부;
    상기 전기차들이 상기 주차장 내의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상기 전용 주차 구역들, 및 상기 공유 주차 구역들 중 어느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는 지를 인식하는 주차 위치 인식부; 및
    상기 주차 구역 관리부 및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와 통신하며, 상기 전기차들이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상기 충전기를 공유하는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에 주차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차된 인접 가변 주차 구역들 중 하나를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전기차들의 주차 타임 또는 충전 타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누적 카운트하여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각기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하나라도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면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의 지정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만료된 상기 전기차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주차 타임 관리부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허용 주차 설정 타임이 모두 만료된 경우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 중 나머지에서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들의 지정이 모두 또는 일부 허용되면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들 모두 또는 일부를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로 바꾸어 표시하고, 상기 또 다른 가변 주차 구역들의 지정이 모두 또는 일부 허용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전기차들의 해당 이용자 단말기들로 주차 시간 위반 방지를 위한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치 인식부는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통해 상기 전기차들의 차량 번호 인식 및 주차 구역 인식을 수행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들을 가변 주차 구역들로 바꾸어 표시한 후, 상기 전기차들의 이용자 단말기로 주차 구역 상태 변경을 나타내는 알림을 전송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수신하는 상기 전기차들의 해당 이용자 단말기들은 스마트 폰 또는 세대 월패드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가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주차 이동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전기차에 대한 주차 시간 위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주차 타임의 카운트 시작 시점을 상기 전기차들의 충전 시작 시점 및 주차 시점 중의 하나로 설정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상기 가변 주차 구역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주차된 가변 주차 구역을 상기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전기차 지정 주차 구역을 가변 주차 구역으로 바꾸어 표시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광판 또는 고보 라이트 장치의 형태를 가지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용 주차 구역, 가변 주차 구역, 및 공유 주차 구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 중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표시될 디스플레이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가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을 전송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까지 상기 전기차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 상기 주차 타임 관리부는 과태료 부과를 위한 주차 위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정보는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 구역의 이미지 정보, 상기 충전 구역에 주차된 번호판 식별 가능한 자동차의 이미지 정보, 및 위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이동 알림은 알림 톡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문자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로 전송되는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KR1020220129261A 2022-10-09 2022-10-09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KR10252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261A KR102529035B1 (ko) 2022-10-09 2022-10-09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261A KR102529035B1 (ko) 2022-10-09 2022-10-09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035B1 true KR102529035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261A KR102529035B1 (ko) 2022-10-09 2022-10-09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38B1 (ko) 2023-06-30 2024-03-1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03A (ko) * 2016-03-3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KR20190084903A (ko) * 2018-01-09 2019-07-17 김기성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200009446A (ko) * 2018-07-19 2020-0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00129623A (ko) * 2019-05-09 2020-11-18 김태훈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KR20210124031A (ko) * 2021-01-26 2021-10-14 이상화 충전위치 선택형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03A (ko) * 2016-03-31 2017-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KR20190084903A (ko) * 2018-01-09 2019-07-17 김기성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200009446A (ko) * 2018-07-19 2020-0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00129623A (ko) * 2019-05-09 2020-11-18 김태훈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KR20210124031A (ko) * 2021-01-26 2021-10-14 이상화 충전위치 선택형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38B1 (ko) 2023-06-30 2024-03-1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7779B1 (en) Nfc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529035B1 (ko)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CA2987052A1 (en)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4069744A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7160114A1 (ko) 아파트 단지 주자창을 이용한 세차 관리 시스템
CN103679883A (zh) 基于wifi的感应式门禁系统
CN102081807A (zh) 一种停车场停车管理系统及引导停车的方法
CN20434809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车位预定系统
CN101484923A (zh) 自动租赁系统
CN107067809A (zh) 一种智慧城市云计算停车管理信息系统
CN10440896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车位预定系统
KR102193153B1 (ko) 다수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CN204929142U (zh) 基于无线通信技术的智能楼宇对讲系统
WO2016148483A1 (ko) 홈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비콘을 이용한 홈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2093801A2 (ko) Rfid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WO2018182128A1 (ko) 스마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441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출입 제어 방법
CN110619401A (zh) 访客信息车辆管理方法及管理系统
KR20130042903A (ko) 다차로 요금 징수 시스템의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통신 방법
WO2015102131A1 (ko) 입력장치를 갖는 무선식별 태그
CN203433551U (zh) 一种车载装置
CN205595828U (zh) 一种智能充换电控制设备的控制电路
CN104597762A (zh) 一种具有虹膜识别功能的智能家居系统
CN203848877U (zh) 站区通讯机房温湿度远程监控系统
CN102722649A (zh) 电子名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