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03A -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03A
KR20170112403A KR1020160039422A KR20160039422A KR20170112403A KR 20170112403 A KR20170112403 A KR 20170112403A KR 1020160039422 A KR1020160039422 A KR 1020160039422A KR 20160039422 A KR20160039422 A KR 20160039422A KR 20170112403 A KR20170112403 A KR 20170112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parking
ti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인
이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3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403A/ko
Publication of KR201701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06K2209/1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 충전소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은,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중에 또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차량에 대한 충전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에 제 1 임계 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과태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을 벗어나 주차 구역에 제 2 임계 시간 이상 주차된 경우, 주차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료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역에서 출차하는 경우, 상기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를 합한 금액을 상기 차량에 대한 정산 금액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차량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 구역 밖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소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electric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전기 충전소의 관리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대중화에 있어 충전 인프라는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따라서 차량 운전자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중에 충전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차량 운전자는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확인하기 어렵고,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해 차량을 충전 구역에 방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충전을 대기 중인 다른 차량의 충전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충전소 운영자 입장에서는 충전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 2015-0033789호 (전기 자동차를 위한 주차 및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차량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 구역 밖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충전 구역에 방치된 차량에 과태료를 부과하여 충전소 운영자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 등의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은,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중에 또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차량에 대한 충전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에 제 1 임계 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과태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을 벗어나 주차 구역에 제 2 임계 시간 이상 주차된 경우, 주차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료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역에서 출차하는 경우, 상기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를 합한 금액을 상기 차량에 대한 정산 금액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차량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 구역 밖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소의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충전 구역에 방치된 차량에 과태료를 부과하게 충전소 운영자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충전소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소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주차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기 충전을 위하여 차량(10)이 충전소(100)에 진입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충전소(100)는 충전 구역(110) 및 주차 구역(130)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먼저, 차량(10)은, 충전 구역(110)으로 진입하여 충전 단말(120)로부터 전기 충전을 받을 수 있다. 차량(10)의 충전이 완료되면 차량 운전자는 차량(10)을 주차 구역(130)에 주차하여 둘 수도 있고, 주차 구역(130)을 경유하여 정산 단말(140)에서 요금을 정산하고 출차할 수도 있다.
만약, 충전이 완료된 차량(10)이 충전 구역(110)에 오랫동안 방치된다면, 충전을 위하여 대기 중인 다른 차량들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충전소 관리 장치(200)는, 차량(10)의 충전 진행 상황을 차량 운전자에게 안내하여, 충전이 완료된 차량(10)이 충전 구역에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전소 관리 장치(200)는, 충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 구역(110)에 오랫동안 방치된 차량(10)에 과태료를 부과하여 충전소 운영자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충전소 관리 장치(200)는, 충전소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요금(예를 들어,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 등)을 자동으로 정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단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1), 영상 획득부(122), 차량 번호 인식부(123), 충전부(124), 제어부(125) 및 통신부(12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는,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운전자로부터 차량 운전자가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는, 차량 운전자로부터 충전량 또는 충전 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는,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 출력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2)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차량 번호 인식부(12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인식부(123)는, 영상 획득부(122)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충전부(12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로부터 충전량 또는 충전 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량 또는 충전 금액만큼 차량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부(123)는, 차량에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와 차량 충전시 소비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전력 계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영상 획득부(122)로부터 주기적으로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이 충전 구역에 진입한 시간과 충전 구역에서 이동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차량의 차량 번호,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 충전 시작 시간, 충전 종료 시간, 충전 진행 상황, 전력 사용량 및 차량 이동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126)를 통하여 충전소 관리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소 관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소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소 관리 장치는, 차단기(210), 영상 획득부(220),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차단기(210)는, 차량이 충전소로 진입하려고 하거나,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요금 정산을 완료한 경우에,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개폐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220)는, 충전소의 입구 및 출구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는, 충전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번호와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는, 충전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시작 시간, 충전 종료 시간, 충전 진행 상황, 전력 사용량 및 차량 이동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해당 차량에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는, 차량 운전자가 소유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는, SMS 또는 MMS 로 제공될 수 있다.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는, 충전을 완료한 차량이 충전소로부터 출차하는 경우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 등의 요금을 정산하고, 정산 요금에 대한 정보를 정산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충전 및 주차 제어부(230)는, 정산 단말로부터 정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단기(210)를 제어하여 차량이 출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차량 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 정보 및 차량에 부과되는 각종 요금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충전 단말 및 정산 단말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주차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주차 제어부는, 차량 번호 인식부(231), SMS 처리부(232), 충전 진행 상황 정보 제공 웹서버(233), 요금 정산부(234) 및 차단기 제어부(235)를 포함한다.
차량 번호 인식부(231)는, 영상 획득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SMS 처리부(232)는, 충전 중인 또는 충전 완료된 차량의 차량 번호에 매핑된 사용자 단말에게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SMS 또는 MMS 등의 형태로 발송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에는, 차량 충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의 URL이 포함될 수 있다.
충전 진행 상황 정보 제공 웹서버(233)는,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차량에 부과할 각종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차량에 충전한 전력량만큼의 금액을 충전료로 계산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제 1 임계 시간 이상 충전 구역에 방치된 경우,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과태료를 계산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제 1 임계 시간 이상 충전 구역에 방치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충전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종료 시간 및 차량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차량이 제 2 임계 시간 이상 주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 주차한 시간에 비례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료를 계산할 수 있다. 차량이 제 2 임계 시간 이상 주차 구역에 주차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은, 충전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해당 차량에 대하여 계산된 모든 요금을 합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정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234)는, 정산 단말로부터 요금 정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차단기 제어부(23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235)는, 요금 정산부(234)로부터 요금 정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차단기를 열어 차량이 출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501)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번호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영상을 영상 인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단계(503)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차량 운전자에게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것을 안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 운전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된 전화 번호는 차량 번호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차량의 충전을 수행하고, 차량의 충전 중에 및/또는 차량의 충전 완료 후에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는 SMS 또는 MMS 형태로 발송될 수 있으며, 차량의 충전 진행 상황을 보여주는 웹 페이지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차량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충전료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 구역 내에 방치된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제 1 임계 시간 이상 충전 구역 내에 방치된 경우 단계(5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511)로 진행한다.
단계(509)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충전 완료 후 제 1 임계 시간 이상 충전 구역 내에 방치된 차량에 부과할 과태료를 계산할 수 있다. 과태료는, 차량이 충전 구역 내에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계(511)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주차 구역에 주차한 주차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시간은, 차량이 충전 구역을 벗어난 시점부터 계산될 수 있다. 만약,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충전 구역을 벗어난 시점부터 제 2 임계 시간 이후에 주차 구역에서 출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5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515)로 진행한다.
단계(513)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의 주차료를 계산할 수 있다. 주차료는, 차량이 충전 구역을 벗어난 시점부터 주차 구역에서 출차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에 비례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계(515)에서,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요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요금은,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출차하는 차량에 부과되는 요금을 안내하고, 카드 수납 또는 현금 수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

  1. 충전 구역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중에 또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자의 전화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차량에 대한 충전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에 제 1 임계 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방치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과태료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충전 구역을 벗어나 주차 구역에 제 2 임계 시간 이상 주차된 경우, 주차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주차료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구역에서 출차하는 경우, 상기 충전료, 과태료 및 주차료를 합한 금액을 상기 차량에 대한 정산 금액으로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KR1020160039422A 2016-03-31 2016-03-31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KR20170112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22A KR20170112403A (ko) 2016-03-31 2016-03-31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22A KR20170112403A (ko) 2016-03-31 2016-03-31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03A true KR20170112403A (ko) 2017-10-12

Family

ID=6014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22A KR20170112403A (ko) 2016-03-31 2016-03-31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4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348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소 방치 차량 자동 과금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05118A (ko) * 2020-02-18 2021-08-26 (주)블루네트웍스 전기자동차 충전 주차장 운영 시스템
KR102529035B1 (ko) * 2022-10-09 2023-05-03 (주)참슬테크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348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소 방치 차량 자동 과금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63930B2 (en) 2018-10-15 2021-03-3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billing a vehicle left unattended in a charging station, a system having same, and a method thereof
KR20210105118A (ko) * 2020-02-18 2021-08-26 (주)블루네트웍스 전기자동차 충전 주차장 운영 시스템
JP2021131007A (ja) * 2020-02-18 2021-09-09 株式会社ブルーネットワークス 電気自動車充電駐車場運営システム
KR102529035B1 (ko) * 2022-10-09 2023-05-03 (주)참슬테크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64B1 (ko)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CN104952277B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停车系统及方法
CN204926181U (zh) 一种无人值守电动汽车租赁系统
CN105139460B (zh) 一种通过手机扫描二维码实现停车场收费管理的方法
CN106228625A (zh) 基于移动互联网的不停车收费方法及系统
CN105741369A (zh) 一种车辆收费方法、系统及电子标签
CN105631946A (zh) 停车场收费的方法、停车场收费的系统和终端
CN102340149A (zh) 利用路灯杆兼做电动车充电桩的方法和设备
CN110428250B (zh) 一种基于蓝牙的公交无感支付方法、设备、介质及装置
CN104331972A (zh) 车辆通行请求发送方法、通行控制方法、通行方法及系统
KR20170112403A (ko) 전기 충전소 관리 자동화 방법
CN110223402A (zh) 基于车牌识别与用户位置定位的收费方法
CN109583969A (zh) 停车位的收费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060420B (zh) 充电计费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073002A (ja) 車載通信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CN108335388A (zh) 车辆放行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7244243A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无人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5374076A (zh) 一种路桥自动收费方法、收费站系统及终端
KR10128729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25554A (zh) 基于车辆识别的消费方法及系统
CN111275834A (zh) 停车费用支付方法及停车管理装置
JP2012173867A (ja) 課金システム、料金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2256289A (ja) 課金システム、利用料金算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6524A (ko)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729762A (zh) 基于手机支付的信息发送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