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903A -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903A
KR20190084903A KR1020190002934A KR20190002934A KR20190084903A KR 20190084903 A KR20190084903 A KR 20190084903A KR 1020190002934 A KR1020190002934 A KR 1020190002934A KR 20190002934 A KR20190002934 A KR 20190002934A KR 20190084903 A KR20190084903 A KR 2019008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area
parking space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187B1 (ko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filed Critical 김기성
Publication of KR2019008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은,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영역 및 주차 가능 영역으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을 지도에 매핑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 단계에서 주차 공간들 중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시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와,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와, 그리고 표시 단계에서 주차 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주차 영역의 차량 소유자에게 자동 연결하는 연락 단계를 포함하게 되며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지도에 장소 제한 없이 차량 1대 주차 가능한 공간에 심벌마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1개의 심벌마크는 4가지 색으로 변하여 점유 상태를 표시하여 심벌마크가 표시하는 4가지 각각의 색을 터치하여 주차하기, 출차하기, 출차요청, 신고하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의 모듈을 이루어, 높이와 깊이 장소 제한 없이 지구의 모든 곳 주차 면에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1대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면 1개 대하여 모듈을 이루는 심벌마크 1개는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모듈들은 원하는 장소와 개수만큼 연동시켜 심벌마크의 독립적 기능보다 더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과 주차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가입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화면의 심벌마크를 터치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주차와 출차 정보를 표시하거나 외부의 전자 신호를 받아서 이용자의 터치 없이 자동으로 주차면의 주차와 출차정보를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ARKING SPACE FOR EFFICIENT USE OF PARKING SPACE}
본 발명은 주차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늘어나면 더 넓은 주차 공간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주차 문제는 거주지에 자기 주차공간이 없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거주지를 떠나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에도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 공간은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권리자가 존재할 수 있으며, 차량이 출차하면 해당 주차 공간은 주차 가능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주차공간이 비어있을 경우에도, 다른 차의 주차를 허락하지 않는 것은 주차공간 권리자가 주거지에 도착했을 때, 다른 차로 인해 자기 차량을 주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외부의 차량이 잠시 주차하는 경우에도 주차하는 차량의 주차 시간을 알 수 없기에 더 주차공간을 사용을 제한하게 된다. 아파트나 건물 관리자가 있는 주차 공간은 주민이나 고용주로부터의 문책을 당하지 않기 위하여 주차 공간을 더 제한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타인이 주차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및 주차 가능 상태로 표시하고, 주차 가능 상태의 주차 공간을 선택하여 주차하고,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공간을 주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및 주차 가능 상태로 표시하고, 주차 상태의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차주에 자동 연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및 주차 가능 상태로 표시하며, 주차중인 차량의 가입자이면 주차된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상태로 전환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소유자가 주차 공간을 지도상의 좌표에 근거하여 지점을 등록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지점에 주차 공간 관련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를 타 차량 소유자와 공유하여 주차와 출차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주차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타인이 주차 공간을 공유할 수 있고, 모든 공유지와 주택가 이면도로와 같이 주차라인이 없고 주차차량이 많이 몰리는 곳에도 주차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은,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영역 및 주차 가능 영역으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을 지도에 매핑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 단계에서 주차 공간들 중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시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와,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와, 그리고 표시 단계에서 주차 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주차 영역의 차량 소유자에게 자동 연결하는 연락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는, 웹서버에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주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과, 그리고 통신모듈 및 저장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통신 모듈을 통해 지도에 매핑된 주차 공간들 및 주차 공간들의 주차 상태 정보들을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며, 표시되는 주 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시 입력된 주차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웹서버에 전송하고,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며,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출차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웹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며, 표시되는 메인 화면에서 주차 영역을 선택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가입자의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하며, 웹서버로부터 선택된 주차 영역의 차량 소유자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소유주에 자동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타인이 주차 공간을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지, 특히 주택가 이면도로 등 모든 주차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 공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주차 공간과 매핑된 지도의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요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q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한 심벌마크의 구분 색에 따른 실행 프로세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전자장치의 통신을 통해 주차 차량이 자동으로 감지될 때의 심벌마크 구분 색에 따른 실행 프로세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 공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공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는 웹서버(100) 및 전자장치(19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100)는 센서(S1~SN) 및 관리장치(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90)는 제1 전자장치(110), 제2 전자장치(120), 및 제3 전자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S1~SN)는 차량의 주차, 출차의 실질적인 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써 구비될 수 있다.
웹서버(100)는 주차 공간들의 정보 및 주차 공간들과 매핑되는 지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100)는 주차 공간 내에 위치되어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들(S1~SN)과 센서들(S1~SN)의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주차 공간 내에 주차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장치(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90)는 네트워크(150)을 통해 웹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주차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가입자들의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190)는 주차 공간들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선택하여 주차하는 차량의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장치(120)는 주차 공간에 주차중인 차량의 전자장치가 될 수 있고, 제3 전자장치(130)는 특정 주차 공간의 주차 권리자의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19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19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전자장치(110)는 주차 공간 내의 주차 가능 영역에 주차를 실행하는 차량의 소유주가 구비하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제2 전자장치(120)는 주차 공간 내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가 구비하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제3 전자장치(130)는 특정 주차 공간의 권리자가 소유한 스마트 폰이 될 수 있다.
웹서버(100)의 관리장치(105)는 제1 전자장치(110) ~ 제3 전자장치(130)의 가입자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주차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웹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주차 공간과 매핑된 지도의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웹서버(예를들면, 도 1의 웹서버(100))는 제어부(200), 저장부(210), 센서부(220), 통신부(230), 입력부(240), 및 표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웹서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저장모듈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주차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0)은 설정된 지역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지도 정보는 해당 지역 내의 주차공간들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정보는 주차 공간 고유 정보(예를들면, 주차 공간 식별 번호), 주차 공간의 형태 정보(예, 유료 주차 공간,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 사유지, 경차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지도 정보는 주차 공간 위치에 주차 공간의 정보가 매핑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발생되는 주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주차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220)의 각 센서(S1~SN)는 각각 대응되는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20)의 각 센서(S1~SN)은 적외선 센서, 자기장 센서, 초음파 센서, 카메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증폭, 여파, 디지털 변환할 수 있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셀룰러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예, 공중 무선통신망 및/또는 인터넷 망)를 통해 전자장치(190)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 통신 모듈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관리자에 의한 웹서버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웹서버의 동작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웹서버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웹서버는 주차공간을 표시하고 고유번호가 부여된 지도를 제작할 수 있으며, 실제 주차공간과 전자지도 상에 고유번호가 일치되도록, 현지 주차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전자장치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주차 공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전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에 제공되는 지도 정보는 도 3a와 같은 화면이 될 수 있다. 지도에 표시되는 주차 공간 영역은 주차 공간의 형태, 그리고 주차 공간의 주차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예시된 주차 공간에서 짙은 색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300)은 차량이 주차된 영역을 표시하는 예가 될 수 있으며, 나머지 영역들은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영역(예, 주차 가능 영역)의 표시예가 될 수 있다.
도 3b는 주차 공간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가 될 수 있다. 도 3b에서 380은 주차 가능 영역의 주차공간 정보의 표시 예가 될 수 있으며, 390은 주차된 영역의 주차공간의 표시예가 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주차 공간은 유료 또는 무료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 또는 사유지가 될 수 있으며, 경차 또는 대형차를 주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a와 같이 표시되는 지도의 주차 공간은 주차 공간의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b에서 흰색으로 표시되는 영역(311)은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짙은 색으로 표시되는 영역(351)은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공간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세로 라인이 표시된 영역(313)은 주차 라인이 그려진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가로줄이 표시된 영역(315)은 유료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한 개의 사선이 표시된 영역(317)은 사유지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두개의 사선들이 표시된 영역(319)은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구석에 작은 네모가 표시된 영역(321)은 경차 주차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작은 동그라미가 표시된 영역(323)은 주차 난이도가 높은 주차 공간(예, 경사가 높은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장애자 마크가 표시된 영역(325)은 장애자 주차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공간은 복수의 형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327과 같이 표시되는 주차 공간은 주차 라인이 그려진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으로 경차를 주차할 수 있는 영역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29과 같이 표시되는 주차 공간은 유료 주차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31 및 333과 같은 주차 공간은 각각 주차 라인이 그려진 사유지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390은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표시 예로써, 353과 같은 주차 공간은 사유지에 외부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표시하는 예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파트, 사유지, 거주자 우선의 주차 공간에 주변의 타인 주차를 제한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355와 같이 회색으로 표시되는 영역은 사유지에 등록되지 않은 외부 차량이 주차된 주차공간의 표시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353 및 355와 같이 아파트, 사유지, 거주자 우선의 주차 공간에 등록된 차량과 등록되지 않은 외부 차량을 구분하여 외부 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다.
웹서버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에 대하여 각각 권리자의 정보들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권리자 정보는 권리자 이름, 전화번호,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을 공유하려는 차량 소유주들의 정보들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외부 차량 소유주의 정보는 이름, 연락처 정보(예, 전화번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 이메일 정보, 회사 전화번호, 댁내 전화번호) 등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전자장치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제어부(200)는 통신부(230)을 통해 이를 인식하고, 도 3a와 같이 지도에 매핑된 주차 공간들 및 상기 주차 공간들의 주차 상태 정보들을 해당하는 전자장치(예, 도 1의 제1 전자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에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의 선택을 인식하면, 제어부(200)는 해당 주차 공간의 정보를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에서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차량의 소유주 정보가 수신되면, 웹서버는 이를 저장부(210)에 저장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소유주의 전자장치(예, 도 2의 제2 전자장치(120))가 차량 출차를 요청하면, 제어부(200)는 이를 인식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되었던 차량의 주차 시간을 확인하며, 해당 주차 공간의 총 주차 시간에 현재의 주차 시간을 누적 저장하고 이를 포인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은 지도에서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이 선택되면, 제어부(200)은 해당 주차 공간의 권리자 정보와 주차 공간을 선택한 전자장치(예, 도 1의 제3 전자장치(130))의 가입자 정보를 비교하며,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소유주의 주차 정보를 권리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주차 정보에 포함된 차량 소유주의 연락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소유주 전자장치에 자동 연결하여 차량의 이동 주차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차량 주차를 관리할 수 있으며, 주차 공간에 외부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해당 주차 공간에 포인트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포인트 적립은 특정 주차 공간(예, 사유지 주차공간)의 고유번호에만 적용될 수 있다. 사유지에 주차했던 차량이 '출차확인' 버튼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포인트를 제공(예, 1시간 이내 - 500 점, 2시간 이내 -1,000 점, 2시간 이내 - 1,500 점, 3시간 이내 - 2,000 점 등), 포인트는 사유지가 다른 사람을 위해 배려 되었다는 명예를 얻는 것과 나중에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입이 발생하면 누적 포인트에 따라 수익을 배당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에 주차한 차량이 예정 주차 시간을 초과하거나 권리자의 호출에 응답하지 않거나 또는 주차 이동 요청을 무시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벌점을 부과할 수 있다. 관리자는 벌점을 제안 받은 차량 소유주에 연락하고, 벌점에 해당하는 위반을 한 경우 홈페이지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설정된 횟수(예, 3번) 이상 위반이 반복되면, 주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인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장치는 스마트 폰 또는 랩탑 컴퓨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 저장모듈, 통신모듈, 입력모듈 및 표시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일부, 또는 이들 구성에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될 수 있다.
저장모듈(4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저장모듈(410)은 주차 관리를 위한 주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410)은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발생되는 주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40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모듈(420)은 셀룰러 통신 모듈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망(150)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 통신 모듈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430)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명령어 및/또는 키 데이터 등을 발생할 수 있다. 명령어는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 및 출차하기 위한 명령어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모듈(440)은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전자 지도 및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모듈(440)은 액정 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420)은 네트워크(예를들면 도 1의 네트워크(150))를 통해 웹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주차 공간의 정보들을 수신하고, 전자장치에서 생성된 명령어 및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입력모듈(430)을 통해 주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프로세서(40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웹서버에 이를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420)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도 3a와 같은 주차 공간 및 주차 공간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모듈(440)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소유주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주차 가능한 특정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프로세서(400)는 선택된 주차 공간을 통신모듈(420)을 통해 웹서버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를 다운로드하면, 프로세서(400)은 표시모듈(440)에서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모듈(43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을 주차 정보로 생성하여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정보는 차량 소유주의 이름, 차량 번호, 차량 종류, 연락처 정보(전화번호, SNS 정보, 이메일 등), 주차 예정 시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주차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프로세서(400)는 이를 웹서버에 통보하고, 해당하는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400)는 주차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해당 주차 공간이 주차 영역으로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430)을 통해 주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면, 프로세서(400)는 현재 전자장치의 소유주가 주차공간에 주차중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전 상태 상태에서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상태이면, 저장 모듈(410)은 주차 중 상태임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주차 타이머가 구동중인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프로세서(400)는 표시모듈(440)에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소유주가 입력모듈(430)을 통해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프로세서(400)는 출차 확인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소유주가 차량을 출차하면서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프로세서(400)은 통신모듈(420)을 통해 출차를 통보할 수 있다. 그러면 웹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에서 주차 가능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주차중인 상태에서 전자장치 및/또는 주차관리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시간을 타이머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한 시간을 확인한 후,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번호에 해당 주차 시간을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권리자는 자신의 주차 공간에 타인이 차량을 주차하고 있는 경우, 주차된 차량의 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주차 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프로세서(400)는 전자장치의 정보 및 선택된 주차 공간의 정보를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웹서버는 수신되는 전자장치 및 주차 공간의 정보와 저장하고 있는 주차 공간의 권리자 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한 전자장치의 정보가 해당하는 주차 공간의 권리자이면, 웹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하고 있는 차량의 주차 정보를 권리자의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권리자가 연락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주차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의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문자 및/또는 SNS를 통해 차량 이동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전화를 걸어 차량 이동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권리자로부터 이동 연락을 받은 차랑 소유주의 전자장치는 표시모듈(440)에 출차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가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차량 소유주의 전자장치는 차량 이동을 알리는 정보를 권리자의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표시모듈(440)에 차량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소유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통신모듈(420)을 통해 웹서버의 관리자에 이를 통보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차량 소유주에 이를 통보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차량 소유주가 응답하지 않으면, 차량 소유주에게 벌점을 부과할 수 있으며, 주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주차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한 전자장치가 해당 주차공간의 권리자 전자장치가 아니면, 웹서버는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공유하면서 주차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공간을 공유하고자 하는 차량의 소유주들은 자신의 전자장치를 통해 웹서버에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여야 한다. 또한 웹서버는 설정된 지역 내에 위치되는 주차 공간들의 위치 및 정보들을 전자지도에 매핑시켜 데이터 베이스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등록된 전자장치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주차 공간의 정보를 요청하면, 웹서버는 각 주차 공간들의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전자지도를 도 3a와 같이 요청한 전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제공되는 도 3a와 같은 정보들을 메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주차 공간의 정보 및 주차 상태 정보가 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정보는 도 3b의 380 및 390과 같이 주차 공간의 형태 및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상태 정보는 해당 주차 공간의 차량의 주차 여부(예, 380과 같이 빈 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가능 지역 및 390과 같이 짙은 색으로 표시되는 주차 영역)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되는 메인 화면에서 빈 공간을 터치하면, 전자장치는 표시된 고유번호의 공간정보와 포인트 정보를 메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주차 정보는 메인 화면에서 주차된 공간이 사유지이거나 거주자 우선지역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정보가 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주차 영역을 권리자가 선택하면, 주차하면서 차주가 기록한 주차 정보와 주차 타이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연락 버튼이 활성화 되어 주차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인이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을 터치하면, 전자장치는 웹서버에 의해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차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웹서버(100)는 설정된 지역 내의 주차 공간들의 매핑된 도 3a와 같은 전자 지도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지도상에 표시되는 주차 공간은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 및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는 주차공간의 식별번호, 주차 공간의 형태(예, type, 유료 여부, 사유지/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의 크기(경차 여부) 등), 주차 공간의 난이도(예, 경사 여부 등) 등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는 도 3b와 같이 심볼(모형)로 표시할 수 있으며, 주차 공간의 상태 정보는 색깔(예, 주차 가능 지역은 녹색, 주차지역은 적색)로 표시할 수 있다.
먼저, 주차 동작을 살펴본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장치(190)는 511단계에서 웹서버(100)에 주차 공간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웹서버(100)는 이에 응답하여 513단계에서 주차 공간의 정보를 해당하는 전자장치(19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은 차량이 주차된 상태의 주차 영역 및 빈 상태(예,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태)의 주차 가능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정보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90)는 수신된 정보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자장치는 도 3a와 같이 주차공간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190)(예, 도 1의 제1 전자장치(110))가 531단계에서 도 3a와 같이 메인 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웹서버(100)는 533 단계에서 선택된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유 정보는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190)는 표시모듈에 주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사용자가 주차 정보를 입력하고 주차 확인 버튼을 입력하면, 전자장치(190)는 535 단계에서 주차 정보 및 주차 확인 정보를 웹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웹서버(100)는 537 단계에서 주차된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하고 이를 전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주차된 차량을 주차 공간에서 출차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차량을 주차한 전자장치(190)(예, 도 1의 제2 전자장치(120))이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장치(190)에는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정보가 표시되며, 출차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출차 버튼이 선택되면, 출차 확인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90)의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 공간에서 출차하고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190)는 551 단계에서 웹서버(100)에 출차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100)는 553 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주차 공간의 권리자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에 연락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주차 공간의 권리자가 자신의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된 경우,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공간의 권리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신의 주차 공간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장치(190)(예, 도 1의 제3 전자장치(130))는 주차 공간의 정보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571 단계에서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 선택이 인식되면 선택된 주차 공간의 정보 및 전자장치(190)의 정보를 웹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100)는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이 선택되면, 573 단계에서 선택된 주차 공간의 권리자와 전자장치(190)의 가입자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정당한 권리자의 선택인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정당한 권리자의 선택이면, 웹서버(100)는 575 단계에서 권리자의 주차 공간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정보를 전자장치(19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장치(190)는 577 단계에서 웹서버(100)에서 전송되는 주차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된 차량의 전자장치와 연결하여 주차 이동을 연락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 및 전자장치들은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설정된 주차 공간들을 공유하면서 주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출차하는 차량의 소유주는 주차 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전자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주차 공간의 권리자(예, 주차 공간의 주차권자)도 주차 관리 시스템에 해당 주차 공간의 권리자임을 등록한 전자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전자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소유주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거나 주차된 차량을 출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공간의 권리자는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자기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전자장치와 연결하여 주차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공간에서 빈 영역(예,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어 차량이 주차될 수 있다. 전자장치(예, 도 1의 제1 전자장치(110))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주차 공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차 공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빈 주차 공간(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예,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메인화면에서 해당하는 주차 공간을 점멸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의 화면에는 주차 확인 버튼이 표시될 수 있지만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빈 주차공간(예, 주차 가능 영역의 주차 공간)을 선택한 전자장치의 메인 화면에는 선택된 주차공간의 고유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주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입력할 수 있는 주차 정보는 차량의 소유주 이름, 소유주 연락처 정보, 차량 번호, 주차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소유주가 선택된 주차 공간에 주차하고, 주차 정보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주차 정보들을 입력하면, 주차 확인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차량 소유주가 주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이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센서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에서 주차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웹서버의 주차 상태 변경에 기반하여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예,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 및/또는 전자장치는 주차 타이머를 구동하여 주차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공간에서 주차된 차량이 출차되면 해당 주차 공간이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소유주가 자신의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장치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번호와 '출차' 버튼이 활성화하여 표시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이 소유주가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해당하는 주차 공간을 점멸 표시할 수 있으며, 출차 버튼을 출차 확인 버튼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소유주는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고 출차할 수 있다. 출차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웹서버에 출차 확인 신호 및/또는 주차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는 센서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에서 차량의 출차를 확인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영역에서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이에 따라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예, 초록색)으로 변경 표시할 수 있다. 웹서버는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시간 및/또는 웹서버에서 카운트한 주차 시간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주차 공간의 고유번호에 주차 시간에 따른 포인트를 누적하여 적립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공간의 권리자는 차량을 주차할 때 자신의 주차 공간 상태를 확인하고, 주차 상태이면 주차된 차량이 소유주에게 연락할 수 있다. 사유지나 거주자 우선지역에 주차된 차량에 대하여, 해당 주차 공간의 권리자나 웹서버의 관리자는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에 연락할 수 있다. 주차 공간(예, 사유지, 거주자 우선구역)의 권리자가 전자장치의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해당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웹서버는 권리자의 전자장치에 주차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수신되는 주차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연락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연락 방법은 주차시 입력된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락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연락 방법은 전화, 문자, 실시간 채팅, 벨소리 알림 등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웹서버 및/또는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자동으로 주차 차량 소유주의 전자장치에 연결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사전에 작성된 안내문을 발송할 수 있다. 연락을 받은 차주의 전자장치는 권리자의 차량 이동 요청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에 출차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차량 소유주가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화면에 해당하는 주차 공간을 점멸 표시할 수 있으며, 권리자의 전자장치 및/또는 웹서버에 바로 차량을 이동하겠다는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주차한 차량의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 권리자의 전자장치는 웹서버의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는 해당 차량에 벌점을 부과할 수 있으며, 이를 홈 페이지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벌점을 초과하면, 웹서버는 해당 차량의 주차 공간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장치의 사용자는 주차, 출차 또는 연락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는 611 단계에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웹서버로부터 도 3a와 같은 주차 공간의 정보들을 다운로드하여 표시모듈에 메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주차 가능 영역을 표시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613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615 단계에서 주차 정보의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정보를 입력하고 주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617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주차 정보 및 주차 확인신호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19단계에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고, 주차 타이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주차 차량을 소유한 전자장치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장치는 631단계에서 차량이 주차 상태에서 출차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출차가 요청되면, 전자장치는 633단계에서 주차 공간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고 출차 확인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차량을 출차하고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635 단계에서 출차 확인을 인식하고, 637 단계에서 출차된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의 고유번호에 주차시간을 누적하여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을 표시하는 메인 화면에서 주차 영역이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65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653 단계에서 선택된 주차 공간 정보 및 전자장치의 가입자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55 단계에서 웹서버로부터 선택된 주차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657 단계에서 수신된 주차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소유주의 전자장치에 차량 이동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차량의 주차를 제어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장치는 7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713 단계에서 웹서버로부터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715 단계에서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를 표시모듈에 메인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화면으로 표시되는 정보는 도 3a와 같이 설정된 지역의 전자 지도에 주차 공간들이 표시되고, 표시되는 각각의 주차 공간은 주차 가능 영역 및 주차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717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719 단계에서 선택된 주차 공간의 정보를 전송하고, 표시모듈에 선택된 주차 공간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주차 공간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선택된 주차 공간을 점멸 표시하고 주차 확인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차 확인 버튼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차량 소유주는 차량을 이동하여 선택된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주차 가능 영역의 주차 공간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719 단계에서 주차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표시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은 차량의 소유주 이름, 차량 번호, 차량의 종류, 주차 예정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전자장치는 표시모듈에 표시되는 주차 확인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는 주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여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 주차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723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727 단계에서 웹서버에 주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는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면 센서를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주차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주차한 차량의 주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는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에서 주차 영역으로 변경하고, 이를 전자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727 단계에서 주차 공간의 변경에 따라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에 주차 영역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면, 전자장치 및/또는 웹서버는 주차 타이머를 구동하여 해당 주차 공간의 차량 주차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주차 가능 영역의 주차 공간을 선택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주차 정보의 입력 및 주차 확인 버튼이 선택되지 않으면, 전자장치는 72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주차 동작의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차량의 출차를 제어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장치는 자신의 차량이 주차 공간에 주차중임을 알 수 있다. 즉, 차량을 주차하면, 전자장치는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며, 주차 타이머를 구동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장치는 8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13 단계에서 현재 주차중인 상태를 검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주차중인 상태이면, 전자장치는 813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15 단계에서 표시모듈에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번호 및 출차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차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주차중인 주차 공간을 점멸하여 표시하고, 출차 확인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고 출차하면, 전자장치는 817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19 단계에서 출차 확인신호를 웹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출차 확인신호와 함께 주차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주차 시간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출차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웹서버는 센서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의 출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출차된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에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도 3a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웹서버는 웹서버에서 카운트된 주차 시간 및/또는 전자장치에서 전송된 주차 시간을 해당 주차 공간의 고유 번에 누적하여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표시되는 주차 공간은 사유지 또는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차량이 주차중인 상태에서 해당 주차 공간의 권리자로부터 차량 이동을 요구하는 연락을 받을 수 있다. 주차 공간에 주차중인 상태에서 차량 이동 연락이 수신되면, 전자장치는 85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53 단계에서 표시모듈의 화면에 출차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출차 버튼이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855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857 단계에서 차량 이동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권리자의 전자장치 및/또는 웹서버의 관리자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소유주는 해당 주차 공간으로 이동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이동하고 출차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장치는 859 단계에 이를 인식하고 81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주차 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요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전자장치는 911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도 3a와 같은 메인화면을 표시모듈에 표시하여 주차 공간들의 주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화면에서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이 선택되면, 전자장치는 해당 전자장치의 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915 단계에서 선택된 주차 공간의 권리자임을 인식할 수 있다. 웹서버는 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공간의 고유식별 번호 및 전자장치의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권리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권리자이면 웹서버는 해당하는 전자장치에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917 단계에서 수신되는 주차 정보를 표시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주차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 차량의 전자장치에 차량 이동을 요청하면, 전자장치는 919 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921 단계에서 해당 연락처로 차량 이동을 요청하는 통화를 수행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전자장치는 917 단계에서 주차 정보를 수신하면, 919 단계의 동작을 생략하고 921 단계에서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차량 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923 단계에서 주차 공간에 주차한 차량의 전자장치로부터 차량 이동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이 이동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 공간 찾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픈된 지도 소스(예, 오픈 소스 구글 지도) 배경 위에, 전국의 주차가 가능한 공간의 중심점 좌표가 덧입혀질 수 있다. 주차 가능 공간의 중심점 좌표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공간 고유번호는 사유지나 거주자 우선 지역의 경우에, 주차 요금 결제와 통계에 활용될 수 있다. 중심점 좌표에 대응하는 핀(pin)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중심점 좌표에 차량이 주차되면 '주차 중'을 의미하는 빨간색 원(빨간색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를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차량 출차로 인해 해당 공간이 빈 공간이 되면, '주차 가능'을 의미하는 초록색 원(초록색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차를 체크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초록색으로 표시된 공간을 찾아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 공간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점 좌표로 표시된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는 수시로 입력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주차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초록색 원이 선택(예, 터치)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예, 사유지, 거주자 우선지, 공유지, 유료, 장애인, 경차, 주차 난이도, 주차 가능 시간 등)가 제공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이 확인된 후 해당 초록색 원(초록색 공간)이 선택(예, 터치)되면 주차 예약 버튼이 활성화되며, 초록 버튼이 터치되면 해당 초록색 공간이 보통 속도로 점멸하기 시작할 수 있다.
주차 예약 버튼이 선택(예, 터치)된 후 점멸하고 있는 초록색 공간이 선택(예, 터치)되면, 주차 정보 입력 창이 표시되고, 주차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주차확인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주차 완료 버튼이 선택(예, 터치)되면, 점멸하던 초록색 공간은 빨간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차량 주차 시, 출차 예정 시간이 설정될 수 있고 출차 예정 시간 타이머가 작동될 수 있다. 주차 확인 시, 소정의 시간(예, 10분) 이전 알림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 정보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된 차량이 있음을 나타내는 빨간색 원(빨간색 공간)이 선택(예, 터치)되면, 차량번호,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 주차 후 경과 시간, 출차 예정 시간, 이중 주차 여부, 주차한 차량의 주차 매너 벌점(별이 많을수록 매너 나쁨)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출차는 일반 출차와 요청 출차로 구분될 수 있다. 출차 요청은 해당 주차 구역의 소유자 또는 거주자에 의해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능하고, 이중 주차의 경우에 출차 요청이 가능하다. 차량에 대한 출자를 요청한 사용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차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요청을 받지 않은 차량은 출차 예정 시간에 맞춰 출차할 수 있다. 출차 요청을 받지 않은 차량이 출차 예정 시간을 초과해서 출차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에 벌점이 부여될 수 있다.
출차 요청을 받은 차량이 출차 예정 시간 이전에 출차하는 경우에, 출차 요청한 사용자에게 출차 완료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출차 요청을 받은 차량이 출차 예정 시간을 초과해서 출차하는 경우에, 해당 차량에 벌점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운전자와의 연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연락 버튼이 선택(예, 터치)되면, 전화, 문자, 비상 및 도움에 관한 4가지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고, 문자나 알림이 발송될 수 있다.
연락을 받은 사용자에 의해 요청 출차 버튼이 선택(예, 터치)되면, 빨간색 원(빨간색 공간)이 빠른 속도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가 연락을 받고 출차를 위해 이동하고 있음이 알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속한 소통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소수의 차량에게 차량 이동이 요청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만약 빨간색 원이 선택(예, 터치)되면 연락 기능이 활성화 되어 전화 또는 문자가 가능하다.
화재나 긴급 상황 등이 발생하여 다수의 차량에게 차량 이동이 요청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지역별로 묶인 차량 그룹에게 비상 연락(예, 문자 전송)이 가능하다.
도움 요청이 필요한 경우에, 비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반경 소정 거리(예, 반경 100m) 이내의 운전자에게 비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 매너 평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점 부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차된 차량이 주차 라인을 벗어나거나 차량 통행에 방해를 주는 경우에, 해당 빨간색 원의 선택(예, 터치)을 통해 벌점이 해당 차량에 부여될 수 있고, 해당 차량의 벌점이 누적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차 문화가 개선될 수 있다.
사유지에 주차된 차량에게 출차 요청이 전달된 경우에, 출차 요청을 받은 운전자의 반응에 대한 평가가 벌점으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출차 요청 전화를 받지 않거나, 늑장 출차하거나, 불손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에, 해당 차량에 벌점이 부여되고, 벌점은 해당 차량에 누적되며, 검색 시 벌점이 표시될 수 있다.
벌점 주기 버튼이 선택(예, 터치)되면, 벌점 체크란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락 안 받음 또는 연락처 없음은 별 5개에 해당하고, 2번 이상의 연락 또는 연락 받고 느린 출차는 별 4개에 해당하고, 출차 요청에 대한 불손한 반응은 별 3개에 해당하고, 다른 차량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주차는 별 2개에 해당하고, 주차라인 이탈 주차는 별 1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료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유지가 개방되어 주차공간으로써 활용되는 경우에, 차량 운전자는 웹(web)에서 포인트를 구입하고, 사유지 주차 시간에 따라 포인트가 해당 주차 공간의 고유번호에 누적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의 고유번호에 누적된 포인트는 현금으로 환급되어 사유지 주차 공간의 소유주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유지 개방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와 전자장치는 주차 및 운행 통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들이 지역 그룹으로 묶일 수 있고, 해당 지역 그룹의 차량들의 시간대별 입차와 출차 통계가 산정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해 주차 계획이 세워질 수 있다.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에,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서버로 일정한 신호가 전송되어 도로의 교통상황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주차 공간은 운전자의 거주지(A)에 꼭 있어야 하지만, 자동차는 업무를 위한 이동 수단이기 때문에 거주지 외에 업무를 위한 방문지(B)에도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 운전가가 업무를 위해 거주지를 떠나는 경우에는, 거주지 주차 공간(A)은 비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어 있는 거주치 주차 공간(A)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주차난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들 상호 간에 연락이 가능하여 주차 분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연락 기능을 통해 다양한 위험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와 차량 이동에 대한 통계에 기초해 주차와 도로주행 계획이 세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매너에 대한 평가를 통해 주차 문화가 개선될 수 있다.
동네 주택과 아파트의 주차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주차 및 출차에 대한 정보가 공유될 수 있고, 주차된 차량의 차주와의 편리한 연락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등록을 위한 아이디, 비밀번호, 연락처, 차량번호, 및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q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이 실행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은 웹서버 및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도가 화면에 표시되고 지도 상에서 해당 위치의 주차 구역이 표시된다. 즉, 지도(예, 구글에 의해 제공되는 지도) 위에 주차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주차 가능 구역은 녹색으로 표시되고, 주차 불가능 구역은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 가능 지역이 검색될 수 있다. 지상 주차 공간 뿐만 아니라 지하 주차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하 주차 공간, 지상 주차 공간, 및 주차 타워가 지도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겹쳐져 있는 경우에, 겹쳐져 있는 주차 공간이 화면에 표시되면, 화면 하단에 건물 이름 및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겹쳐져 있는 주차 구역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예, 지상 버튼, 지하1층 버튼, 지하2층 버튼 등)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이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차 구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차 가능한 구역(예, 초록색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주차 구역의 고유 번호, 선택된 주차 구역의 이미지, 선택된 주차 구역의 주차 가능 시간, 선택된 주차 구역의 세부 정보, 및 선택된 주차 구역의 주의사항(예, '출차시간을 꼭 지켜주세요')이 표시된다.
주차 공간 고유 번호는 우편번호, 지상 또는 지하를 나타내는 코드(예, 지하1층=B1, 지하2층=B2, 지하3층=B3, 지상1층=F1, 지상2층=F2, 지상3층=F3 등), 및 주차 구역 순번(예, 0001, 0002, 0003, ...)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공간 고유 번호 '08532-F10001'에서, '08532'는 우편번호를 나타내고, 'F1'은 지상 1층을 나타내고, '0001'은 주차 구역 순번을 나타낸다.
주차 구역의 세부 정보는 사유지 여부, 공유지 여부, 거주자 우선 지역 여부, 장애인 전용 여부, 경차 전용 여부, 및 야간 주차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차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공간 고유 번호 및 차량 번호가 표시될 수 있고, 출차 예정 시간 및 이중 주차 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0e에서 주차를 위해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10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팝업창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에는 입차시간 및 출차 예정 시간이 표시될 수 있고, 출차 예정 시간의 10분 전에 알림을 받을 것인지에 대한 선택이 입력될 수 있다.
도 10g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차의 경우에 주차 타이머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공간 고유 번호, 출차 예정 시간에 기반한 주차 타이머, 및 '출차시간 10분 전 알림이 선택되었는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h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차시간 10분 전 알림이 선택된 경우에, 출차 예정 시간의 10분 전이 되면 알림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i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출차 완료된 경우에, 출차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j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도에서 '주차 중'을 의미하는 빨간색 영역이 선택(예, 터치)되면, 빨간색 영역에 관한 정보(예, 주차 공간 고유번호, 주차중인 차량 번호, 입차시간, 출차 예정 시간, 주차 경과 시간, 이중주차여부 등)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주차 경과 시간이 출차 예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 시간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차량의 차주에게 연락하기 위한 버튼(이하 '연락하기 버튼')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연락하기 버튼이 선택(예, 터치)되는 경우에, 도 10k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차 차량의 차주에게 전화하기 위한 버튼, 그리고 주차 차량의 차주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버튼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출차 요청이 주차 차량의 차주에게 전달된 경우에,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의 상태는 '출차 대기 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출차 요청을 받은 차량이 출차 완료되면, 출차 완료 정보가 출차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출차 완료된 차량에 대한 평가가 출차를 요청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l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차 완료된 차량을 평가하기 위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차량이 주차되었던 주차 공간 고유번호,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 벌점 별 평가 항목, 및 해당 차량에 부여되는 벌점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m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차량 이미지, 회원의 차량 번호, 회원의 등록된 주차 구역, 및 회원의 누적 벌점 등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구역 리스트가 회원의 전자 장치를 통해 등록, 수정, 및 확인될 수 있다.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예, 주차 공간 이미지, 주차 공간 고유 번호, 주차 공간의 인증 상태(예, '인증 요청 중', '인증 대기 중', '인증 완료', '인증 실패') 등)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주차 구역 리스트에 포함된 주차 구역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차 구역에 관한 상세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n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역(주차 공간)이 회원의 전자 장치를 통해 등록 또는 수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구역의 형태(예, 사유지, 가주자 우선 지역, 유료 주차 공간, 경차 주차 공간 등), 주차 구역을 등록하는 회원의 정보(예, 이름, 주소, 연락처), 주차 공간 고유 번호, 및 주차 공간 이미지가 입력되면, 주차 공간의 등록을 위한 승인 요청이 입력된 정보와 함께 회원의 전자 장치를 통해 웹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웹서버에 의해 승인이 완료되면, 해당 주차 공간의 등록이 완료된다.
도 10o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원의 차량이 관리(예, 차량 등록, 차량 추가, 차량 삭제, 차량 정보 수정 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관리(예, 차량 등록)를 위하여, 도 10p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이미지, 차량의 종류(예,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 전기차 등), 차량 제조사, 차량 번호, 및 대표 차량 여부 등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회원 관리(예, 회원 목록의 제공, 벌점이 부여된 회원 목록의 제공, 주차 구역(예, 사유지, 거주지)의 승인을 요청한 회원 목록의 제공, 회원 검색 등), 주차 구역 관리(예, 주차 구역 정보의 입력, 주차 구역 정보의 수정, 주차 구역 검색 등), 지도 관리(예, 주차 구역의 등록(예, 주소, 우편번호, 주차 공간 고유 번호, 중심점 좌표, 등록날짜 등), 주차 구역의 수정 등), 및 통계 기능이 웹서버 및 전자 장치(또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0q에 예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주차 구역(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예, 주차 공간 이미지, 주차 공간 고유 번호, 주차가능시간, 도 3b의 주차 공간 표시 정보, 소유자/거주자 ID, 주의 사항 등)가 입력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주차 구역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주차 구역 리스트에 포함된 주차 구역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주소가 입력되면,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주차 구역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 웹서버, 전자 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의 순서도로 이를 참고하여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가입자가 소유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치(19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웹서버(100)와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버(100)는 인터넷망 서비스 사업자(ISP) 또는 클라우드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인터넷망이 연결되는 장소를 이용하여 서버를 설치 기동할 수 있는 곳을 통해 중앙 집중형의 서버 연결 방식이 활용된다.
이 같은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 구성과 연결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주차장 공유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전자장치(19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최초 실행할 시에는 소유 차량의 번호와 이를 이용하는 차량 소유주의 연락처를 입력하여 접속인증을 받아 가입자가 되는 등록 단계를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게 된다.
이 후 가입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지도 화면을 바탕으로 주차 가능 영역 및 점유된 주차 영역의 상태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이 전자지도에 매핑되어 주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단계로 진행된다.
이 때 가입자는 전자지도상에서 원하는 지점을 탐색하여 주차 가능 지점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상, 지하의 장소도 지정이 가능하다. 이는 전자지도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높이 깊이 장소 제한 없이 심벌마크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심벌마크 생성 시, 전자지도의 표면을 1층으로 하고, 1씩 증가하는 층으로 높이의 제한 없이 심벌마크를 생성하고, 1층을 기준으로 1씩 감소하는 층으로 지하의 깊이 제한 없이 심벌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심벌마크는 원형, 타원형, 세모, 네모, 차량모형 등 여러 형태로의 표현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 1대가 주차될 수 있는 주차면을 표시하게 된다.
생성된 심벌마크는 어플리케이션 운영 관리자에게 통보되고 어플리케이션 운영 관리자의 승인 후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성화 된다.
이를 통해 특정 지점에 심벌마크를 생성시키고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생성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생성 단계에서 입력하는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라 함은 주차 가능 시간, 주차 가능 차량 종류(장애인용 차량, 경차, 대형차 또는 전기차 등을 위한 주차 공간 등), 주차 난이도, 주차 공간의 형태(사유지, 거주자우선구역, 공유지, 유료지 등), 주의사항 등을 입력할 수 있고 이는 타 가입자가 해당 심벌마크를 선택 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된다. 상기 심벌마크를 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주차하기', '출차하기', '연락하기', '신고하기'를 통해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주차하기'를 통해서는 주차 예상 시간을 지정할 수 있고 최종 확인시에는 해당 시각으로의 타이머가 활성화 된다. 이 때 차량 소유주가 출차를 할 시 '출차하기'를 진행하게 되면 비점유 상태로 심벌마크의 색이 변경되고 주차 예상시간을 준수하지 않았을 시에는 해당 가입자에게 벌점이 부과되게 된다.
또한 '신고하기'를 통해서는 무질서한 주차가 예상되거나 다른 차량 주차나 통행에 불편을 주는 공간, 또는 불법 주차 공간에 등록된 심벌마크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운영 관리자에게 알림이 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연락하기'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SMS 전송 및 전화 연결 또는 출차 요청 푸시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생성 단계로 진입하지 않고 표시 단계에서 서비스를 이용 시에는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심벌마크를 선택하면 주차 정보 화면을 표시하며, 가입자가 주차 확인 선택 시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주차 정보 화면에서 주차 가능 시간을 확인하고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을 선택함으로 주차 타이머가 활성화 된다. 또한 타이머의 활성화 후 출차 예정 특정 시각 내로 진입하였을 시 이를 가입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선택된 시간 내 가입자가 출차를 원할 시에는 가입자가 주차한 심벌마크를 선택하여 주차 정보 화면으로 진입한 후 출차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생성된 심벌마크가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되게 되는 출차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에서 점유된 주차 영역의 심벌마크를 선택 시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SMS 전송 및 전화 연결 또는 출차 요청 푸시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 단계가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는 가입자가 전자지도상에 표시된 심벌마크의 상태 확인을 통해 타 가입자의 출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긴급한 상황이나 요청이 필요한 상황에 있을 시 실시간으로 연락 또는 알림을 통해 상대방에게 차량 이동 등에 대한 요청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화재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해당 지역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대피해야 할 차량의 심벌마크를 모두 선택하여 한 번에 다수의 차량에 비상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상기 심벌마크는 하나의 차량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면 정보를 독립적으로 표시하게 되고, 하나 이상의 심벌마크를 그룹화하면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일한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는 상기 심벌마크는 직관적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심벌마크로 표시되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지정된 색으로 구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생성 단계에서 만들어진 심벌마크는 주차 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녹색으로 지정되고 가입자의 소유 차량을 주차하여 주차 공간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은 청색, 상기 가입자 외 타 가입자가 주차 가능 영역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은 적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 시, 제 1전자장치(110) 가입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표시 단계에 진입하여 전자지도상에 등록된 심벌마크가 녹색이면 어떠한 차량도 해당 지점을 점유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청색이면 제 1전자장치(110)를 소유한 가입자의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적색이면 제 2전자장치(120)를 소유한 가입자의 차량 또는 그 이외의 가입자가 소유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녹색인 심벌마크를 선택하여 출차 예정 시간을 입력 후 주차 확인을 선택하면 해당 가입자가 소유한 차량이 주차 공간을 점유한 상태인 청색으로 심벌마크가 변하게 된다. 또한 주차 예상 시간 내에 출차 확인을 선택하게 되면 다시 녹색으로 복구된다.
또한 적색으로 표시된 심벌마크를 선택하게 되면 출차를 요청할 수 있는 연락과 알림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출차 요청과 입차시간, 출차 예정 시간, 주차 후 경과된 시간, 신고하기와 같은 선택 사항과 정보가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주차 공간 상태에 대한 세가지 구분 외 추가적인 상태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는 전자지도상에서 특정 지역 또는 범위를 지정하여 이에 포함되는 심벌마크에 대해 그룹으로 지정하게 될 때의 상태 표시이다.
상기 심벌마크가 생성된 일정 범위를 지정하여 그룹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가입자의 소유 차량이 상기 주차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가입자가 주차 가능 영역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다세대주택, 아파트 단지, 유료/공용 주차장, 사업장 내 지정 주차장 등의 특정 공간에 주차 공간으로 지정될 수 있는 지점에 등록 된 심벌마크를 그룹핑하여 이 심벌마크를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을 등록시키고 이 외의 차량이 해당 그룹핑 심벌마크로의 주차를 하는 주차 단계를 진행하게 되면 회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에 외부 차량의 주차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허용하게 할 시에는 해당 그룹핑을 지정한 단체 또는 권리자에게 포인트를 적립하고 적립된 포인트에 따른 보상이 가능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재나 긴급 상황 발생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가입자는 해당 지역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대피해야 할 차량의 심벌마크를 모두 선택하여 한 번에 다수의 차량에 비상 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반대로 가입자가 선택한 주차 예상 시간에 따라 출차가 예정 된 시각 이후에도 출차가 되지 않을 시에는 해당 가입자에게 벌점이 부과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심벌마크 위치가 무질서한 주차나 다른 차량 주차나 주행에 불편을 주는 주차를 야기할 시에는 타 가입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심벌마크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신고하기 기능을 통하여 신고하여 벌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주차 단계에서 이중 주차가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심벌마크의 선택을 통한 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출차 예정 시간에 대한 사전 인지와 이를 통한 원활한 주차 및 출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주차 단계에서 이중주차 기능을 활용 시에는 이중 주차 영역의 일정 범위 내에서 기존 주차 차량의 출차가 완료되었을 시 해당 주차 공간의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 주차 차량의 이동 경로를 막지 않도록 비점유 공간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단계에서 가입자가 타 지역의 확인을 위해 전자지도를 탐색하거나 본인의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표시단계에서 가입자의 주차 지점이 확인될 수 있도록 전자지도 화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전자장치(190)와 센서부(220, S1-SN)의 통신 및 감지를 통해 자동으로 표시 단계에 주차 단계와 출차 단계가 가입자의 어플리케이션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심벌마크의 상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표시 단계에서 가입자의 전자장치가 주차 가능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되면 위치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시 센서부(220)에 의해 가입자의 전자장치가 센서부(220)의 감지영역을 벗어날 시에는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자동으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 출차되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며 가입자의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차량 위치 여부가 신뢰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한 심벌마크의 구분 색에 따른 실행 프로세스로 어플리케이션 가입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을 때 심벌마크 색 구분과 동작을 간략히 나타내는 프로세스로 상기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와 전자장치의 통신을 통해 주차 차량이 자동으로 감지될 때의 심벌마크 구분 색에 따른 실행 프로세스로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차량이 진입하였을 때의 가입자의 전자장치, 즉 스마트폰과의 통신으로 전자신호에 따라 감지되었을 때를 '+'로 구분하여 자동으로 주차 공간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색이 변경될 수 있고 '-'로 구분하여 가입자의 전자장치가 감지되지 않을 시 비점유 상태의 주차공간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에 있어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영역 및 주차 가능 영역으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을 지도에 매핑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주차 공간들 중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시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
    상기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 및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주차 공간의 권리자가 주차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주차 영역의 차량 소유자에게 자동 연결하는 연락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단계는
    표시되는 상기 주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상기 주차 정보 입력 화면에 차주, 차량 번호, 연락처 및 주차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주차 확인시 주차 타이머를 활성화시키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주차 공간을 주차영역으로 사용하는 가입자인가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차 단계는
    해당하는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 고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출차 확인시 상기 주차 영역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4.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에 있어서,
    웹서버에 통신하는 통신모듈;
    주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및 저장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지도에 매핑된 주차 공간들 및 상기 주차 공간들의 주차 상태 정보들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되는 주 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시 입력된 상기 주차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고,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고,
    상기 주화면을 표시할 때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상기 출차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고, 및 상기 표시되는 주화면에서 주차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가입자의 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웹서버로부터 선택된 주차 영역의 차량 소유자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소유주에 자동 연결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표시되는 상기 주화면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차 공간의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주차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며,
    입력되는 차주, 차량 번호, 연락처 및 주차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며,
    주차 확인시 상기 웹서버에 이를 통보하고 주차 타이머를 활성화시키고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공간을 주차영역으로 사용하는 가입자인가 검사하며,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하는 주차 영역의 주차 공간 고유 정보를 표시하고, 출차 확인시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고 해당 주차 영역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
  7.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에 있어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가능 영역 및 점유된 주차 영역의 상태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을 전자지도에 매핑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상기 주차 공간들 중에서 주차 가능 영역이 선택되면 주차 정보 화면을 표시하며, 주차 확인 시 선택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 확인 시 해당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점유된 주차 영역을 선택 시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SMS 전송 및 전화 연결 또는 출차요청 푸시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 단계;와
    가입자의 연락처와 소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등록 단계;와
    전자지도상에서 주차 가능 지점을 지정하여 심벌마크를 생성시키고 상기 주차 공간의 정보를 입력하는 생성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생성 단계의 주차 공간의 정보에는 주차 가능 시간, 주차 가능 차량 종류, 주차 난이도, 주차 공간의 형태, 주의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생성 단계의 심벌마크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에 기반하여 지정된 색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상기 표시 단계에서는 가입자의 주차 지점이 검색되어 전자지도가 주차 지점영역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주차 단계에서 주차되는 상기 심벌마크 일정범위 내에서 타 가입자의 차량이 출차가 완료될 시 이에 대해 가입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마크는 하나의 차량이 주차될 수 있는 주차면 정보를 독립적으로 표시하게 되고, 하나 이상의 심벌마크를 그룹화하면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일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마크의 색 구분은 상기 생성 단계에서 심벌마크를 생성시키고 점유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가입자의 소유 차량을 주차하여 주차 공간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상기 사용자 외 타 가입자가 주차 가능 영역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타이머가 종료되어 출차가 예정 된 시각 이후에도 출차가 되지 않을 시에는 해당 가입자에게 벌점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심벌마크를 주차 불가한 지점에 생성하여 사용할 시에는 타 가입자가 상기 심벌마크를 선택하여 관리자에게 신고하여 벌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마크가 생성된 일정 범위를 지정하여 그룹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가입자의 소유 차량이 상기 주차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가입자가 주차 가능 영역을 점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색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13.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에 있어서,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주차 가능 영역 및 점유된 주차 영역의 상태로 구별되는 주차 공간들을 지도에 매핑하여 주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가입자의 전자장치가 주차 가능 영역에서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위치한 주차 가능 영역을 주차 영역으로 변경 표시하는 주차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주차영역을 사용하는 가입자이면 해당 차량이 주차된 주차 공간을 표시하고, 출차시 센서에 의해 가입자의 전자장치가 센서의 감지영역을 벗어날 시에는 주차 공간을 주차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출차 단계;와
    상기 표시 단계에서 점유된 주차 영역을 선택 시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게 SMS 전송 및 전화 연결 또는 출차요청 푸시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연락 단계;와
    가입자의 연락처와 소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등록 단계;와
    지도상에서 주차 가능 지점을 지정하여 심벌마크를 생성시키고 상기 주차 공간의 정보를 입력하는 생성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생성 단계의 주차 공간의 정보에는 주차 가능 시간, 주차 가능 차량 종류, 주차 난이도, 주차 공간의 형태, 주의사항을 입력하고
    상기 생성 단계의 심벌마크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에 기반하여 지정된 색깔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상기 표시 단계에서는 가입자의 주차 지점이 검색되어 지도가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14.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주차장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장치.


KR1020190002934A 2018-01-09 2019-01-09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187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690 2018-01-09
KR20180002690 2018-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903A true KR20190084903A (ko) 2019-07-17
KR102187187B1 KR102187187B1 (ko) 2020-12-04

Family

ID=6751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934A KR102187187B1 (ko) 2018-01-09 2019-01-09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121B1 (ko) 2020-09-14 2020-11-03 메이크모어엔터티 주식회사 영상을 근거로 한 주차 공간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5486B1 (ko) * 2019-10-11 2021-04-01 김범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별 주차위치 알림 방법
KR20220096327A (ko) * 2020-12-31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격 주차 제어 공유 방법 및 원격 주차 제어 공유 시스템
KR102515789B1 (ko) * 2021-10-13 2023-03-29 김원준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29035B1 (ko) * 2022-10-09 2023-05-03 (주)참슬테크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6872A (ko) * 2011-10-05 2013-04-15 권형석 지피에스를 통한 간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주차등록방법
KR101268903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268904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284741B1 (ko) * 2012-11-05 2013-07-17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6872A (ko) * 2011-10-05 2013-04-15 권형석 지피에스를 통한 간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주차등록방법
KR101268903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268904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284741B1 (ko) * 2012-11-05 2013-07-17 주식회사 코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86B1 (ko) * 2019-10-11 2021-04-01 김범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별 주차위치 알림 방법
KR102173121B1 (ko) 2020-09-14 2020-11-03 메이크모어엔터티 주식회사 영상을 근거로 한 주차 공간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96327A (ko) * 2020-12-31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격 주차 제어 공유 방법 및 원격 주차 제어 공유 시스템
KR102515789B1 (ko) * 2021-10-13 2023-03-29 김원준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29035B1 (ko) * 2022-10-09 2023-05-03 (주)참슬테크 공동 주택의 전기차 주차타임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187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903A (ko) 주차공간 효율적 활용을 위한 주차장 공유 방법 및 장치
US10352719B2 (en)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parking space management method, mobile terminal, and server
US20060229928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objects being serviced
CN104609270B (zh) 一种智能电梯控制系统及方法
US20130073350A1 (en)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371607A1 (en)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CN108172011A (zh) 基于二维码的车辆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528822A (zh) 一种基于车位锁和道闸的车位管理方法及系统
CN101101648A (zh) 一种停车位预订系统及其使用方法
CN110979405B (zh) 一种基于多场景客流控制的引导方法及装置
KR20130090207A (ko)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및 그 예약 시스템
CN110415558B (zh) 一种停车场管理与服务系统
CN204990732U (zh) 停车位或物流仓储空间的分享与租用系统
CN107103780A (zh) 一种停车场智能停车寻车系统
CN102663837A (zh) 基于手机客户端的路边停车缴费系统和方法
JP2021044003A (ja) 集合体選択用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CN106164950A (zh) 对群组的跨客户端订阅
CN104156898B (zh) 人口信息、出租屋信息和经营场所信息管理方法和系统
WO2017033066A1 (en) A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KR20160116849A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691400B1 (ko) 주차 센서,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1198936A1 (en) Visi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40142815A (ko) Gps를 통한 위치정보기반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20110129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092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 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