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28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285A
KR20230032285A KR1020210114943A KR20210114943A KR20230032285A KR 20230032285 A KR20230032285 A KR 20230032285A KR 1020210114943 A KR1020210114943 A KR 1020210114943A KR 20210114943 A KR20210114943 A KR 20210114943A KR 20230032285 A KR20230032285 A KR 2023003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barrel
coupling member
wid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612B1 (ko
Inventor
김인건
백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612B1/ko
Priority to US17/564,395 priority patent/US20230069036A1/en
Priority to TW111101889A priority patent/TWI808615B/zh
Priority to TW111200617U priority patent/TWM629740U/zh
Priority to CN202210378560.5A priority patent/CN115728894A/zh
Priority to CN202220837939.3U priority patent/CN218158474U/zh
Publication of KR2023003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285A/ko
Priority to KR1020230071647A priority patent/KR2023008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2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one len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Prosthe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은,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는 소형 카메라에 관한 기술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높은 배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프리즘이나 미러와 같은 광로변환부재를 이용한 폴디드 카메라가 등장하였다. 폴디드 카메라에서도 낮은 F-넘버,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구경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렌즈의 일부가 커팅된 렌즈(예: 디컷렌즈)가 채용될 수 있다.
렌즈배럴 및 렌즈배럴에 수용된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은, 렌즈의 고정을 위해 압입링과 같은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압입링은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렌즈를 렌즈배럴에 고정시킨다. 종래에는 압입링이 렌즈배럴의 내주면 내측에 배치되거나 외주면 바깥에 배치된다. 렌즈배럴 내측에 압입링이 배치되는 경우 압입링으로 인해 렌즈배럴의 두께는 커지고, 렌즈배럴 외측에 압입링이 배치되는 경우 압입링에 의해 렌즈조립체 전체의 두께가 커진다. 모바일 기기에서 렌즈배럴을 얇게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압입링에 의한 배럴의 두께의 증가를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얇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렌즈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렌즈고정용 결합부재와 렌즈배럴 사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은,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은,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는, 광의 진행방향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광로변환부재; 상기 광로변환부재의 일측에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렌즈모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얇으면서도 높은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렌즈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렌즈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Ⅳ-Ⅳ' 단면도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서 제1 부재로 설명된 구성요소는 제2 부재라는 용어로 지칭되고. 제2 부재로 설명된 구성요소는 제1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본 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단수로 표현되더라도,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해당 구성요서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 예에서 제1 부재가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고 상정할 때,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해당 실시 예가 프레임 상에 1개의 제1 부재만 배치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2개 이상의 제1 부재들이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도면에 도시된 X축과 나란한 방향, Y축과 나란한 방향, 및 Z축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 다른 설명이 없는 한, X 방향이라고 하면 +X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는 Y 방향이나 Z 방향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문서에서 두개의 방향들(또는 축들)이 서로 평행하다거나 서로 수직하다는 것은, 두개 방향들(또는 축들)이 대체로 평행하거나 대체로 나란한 경우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축과 제2 축이 상호 수직하다는 것은 제1 축과 제2 축이 90도 또는 90도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일 실시 예에서"로 시작하는 단락들이 반드시 같은 실시 예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본 개시와 일치하는 어떠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to)"라는 것은 어떤 컴포넌트가 어떤 기능이 구현되는데 필요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1000)은 하우징(1100), 하우징(1100) 내부에 배치된 렌즈모듈(120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20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 모듈(1300)의 이미지 센서로 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200)은 하우징(1100)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2개 이상의 렌즈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추가적인 렌즈모듈(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두개 렌즈모듈들(1200, 1200')의 움직임에 따라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두개 이상의 렌즈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1100)에 각각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두개 이상의 렌즈모듈들이 독립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구동함에 따라 배율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000)은 광의 진행방향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광로변환부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로변환부재(1400)는, 예를 들어, 프리즘이나 거울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을 향해 Y축 방향으로 입사한 광은 광로변환부재(1400)에 의해 꺾여(folded) 렌즈모듈(1200)로 향할 수 있다. 광로변환부재(1400)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0)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긴 총 트랙 길이(total track length)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높은 배율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렌즈모듈(1200, 1200')의 예시를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즉, 도 2 내지 도 11에서 설명되는 렌즈모듈(100, 200)은 도 1의 카메라 모듈(10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렌즈모듈 또는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광축 방향은 광의 진행방향을 의미한다. 광축 방향은 물체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물체측 방향은 렌즈모듈에서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측 방향은 렌즈모듈에서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은 Z축과 나란하고, 물체측 방향은 +Z 방향, 상측 방향은 -Z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렌즈모듈(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00)은 렌즈배럴(110), 렌즈배럴(110) 내부에 배치된 렌즈(120), 및 렌즈(120)를 렌즈배럴(1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도시된 요소들 외에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렌즈배럴(110) 내부에 하나의 렌즈(120)가 배치되나, 이는 예시이고, 도시된 렌즈(120) 외의 렌즈들이 렌즈배럴(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광축(O)과 대응하는 입사공을 정의하고, 렌즈(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링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렌즈(120)와 적어도 일부 접촉하고 렌즈배럴(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렌즈(120)를 렌즈배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결합부재(130)의 일부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결합부재(130)의 다른 일부와 광축(O)과 수직인 방향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결합부재(130)가 특정 방향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렌즈배럴(110)이 결합부재(130)을 해당 방향으로 가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렌즈모듈(100)을 해당방향으로 바라볼 때, 결합부재(130)의 일부가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결합부재(130)와 광축(O)에 수직인 제1 방향(A1)으로 결합부재(130)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광축(O)에 수직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A2)으로 결합부재(13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을 참고하면, 결합부재(130)는 X 방향으로 렌즈배럴(110)과 일부 중첩하고, Y 방향으로 일부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100)은, 렌즈모듈(100)의 제1 방향(A1)의 폭이 제1 방향(A1)에 교차하는 제2 방향(A2)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모듈(100)의 Y 방향 폭은 X 방향 폭보다 작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 제1 방향(A1)은 렌즈모듈(100)의 작은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 단축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방향(A2)은 렌즈모듈(100)의 큰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 장축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축방향(A1)과 장축방향(A2)은 렌즈모듈(100)을 구성하는 요소들(예: 렌즈배럴(110), 렌즈(120), 결합부재(130))의 길이를 정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의 단축방향(A1)의 폭(W31)은 렌즈배럴(110)의 단축방향(A1)의 폭(W11)과 일치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모듈(100)의 단축방향(A1) 폭이 결합부재(130)에 의해 늘어나지 않고, 카메라 모듈(100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결합부재(1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리세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물체측 단부면(112)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제1 함몰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면(113) 및 제1 함몰면(113)의 양단에서 물체측 단부면(112)으로 연장하는 면은 제1 리세스(111)를 정의할 수 있다. 결합부재(130)의 일부는 제1 리세스(111)에 배치되며, 단축방향(A1)으로 노출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렌즈배럴(110)의 단축방향(A1)의 폭을 정의하는 제1 측부(114)와 렌즈배럴(110)의 장축방향(A2)의 폭을 정의하는 제2 측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10)의 제1 측부(114)는 광축(O)을 기준으로 단축방향(A1)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결합부재(130)의 제2 측부(115)는 광축(O)을 기준으로 장축방향(A2)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측부(114)는 렌즈(120)의 단축방향(A1)에 배치되고, 제2 측부(115)는 렌즈(120)의 장축방향(A2)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결합부재(130)를 단축방향(A1)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부(114)는 제1 리세스(111)를 포함하고, 결합부재(130)는 제1 리세스(111)를 통해 단축방향(A1)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은 결합부재(130)와 장축방향(A2)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배럴(110)의 제2 측부(115)는 결합부재(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는, 결합부재(130)의 단축방향(A1)의 폭를 정의하는 제1 부분(131) 및 결합부재(130)의 장축방향(A2)의 폭을 정의하는 제2 부분(13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30)의 제1 부분(131)은 광축(O)을 기준으로 단축방향(A1)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은 광축(O)을 기준으로 장축방향(A2)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30)의 제1 부분(131)은 렌즈배럴(110)의 제1 리세스(111)를 통해 단축방향(A1)으로 노출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은 렌즈배럴(110)에 의해 장축방향(A2)으로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고, 장축방향(A2)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120)는 광축(O)에 수직인 제1 방향(A1)으로의 폭이, 광축(O)에 교차하고 상기 제1 방향(A1)과 교차하는 제2 방향(A2)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0)의 Y 방향 폭은 렌즈(120)의 X 방향 폭보다 작다. 이하 제1 방향(A1)은 단축방향, 제2 방향(A2)은 장축방향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120)는 디컷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0)의 가장자리는 단축방향(A1)으로 대향하는 직선부(121), 및 장축방향(A2)으로 대향하는 곡선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0)의 장축방향(A2) 폭은 두개 곡선부들(12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고, 렌즈(120)의 단축방향(A1) 폭은 두개 직선부들(12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120)는 광학성능을 발휘하는 광학부(123) 및 광학부(123)에서 바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24)는 광학성능를 발휘하지 않으며, 렌즈(120)가 렌즈배럴(11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30)의 하부면은 플랜지부(124)에 접촉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의 제1 부분(131)은 렌즈(120)의 직선부(121)를 따라 연장하고,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은 렌즈(120)의 곡선부(12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30)의 제1 부분(131)은 장축방향(A2)으로 연장하고, 제2 부분(132)은 광축(O)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30)의 전체적인 형상은 렌즈(120)와 마찬가지로 디컷형태(또는 트랙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의 제1 측부(114)는 렌즈(120)의 직선부(121)를 따라 평판(plane panel) 형태로 제공되고, 제2 측부(115)는 렌즈(120)의 곡선부(122)를 따라 곡판(curved panel)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렌즈(120)와 마찬가지로 디컷형태(또는 트랙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30)의 제1 부분(131)의 외측면은 렌즈배럴(110)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은 렌즈배럴(1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132)의 외측면은 렌즈배럴(11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의 장축방향(A2) 폭(W32)은 렌즈배럴(110)의 제2 측부(115)의 장축방향(A2) 폭(W1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의 일부는 렌즈배럴(110)과 광축(O)에 나란하거나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결합부재(130)의 다른 일부는 렌즈배럴(110)과 광축(O)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이 서로 특정 방향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양자 사이의 결합면(또는 접촉면)이 해당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이 서로 Z 방향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 사이의 결합면의 법선이 Z 방향과 나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의 단축방향(A1) 폭을 정의하는 부분(또는 제1 부분(131))은 렌즈배럴(110)과 광축(O)에 나란하거나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렌즈배럴(110)과 결합부재(130) 사이의 제1 결합면(133)은 Z축과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과 결합부재(130) 사이의 제1 결합면(133)은 단축방향(A1)(즉, Y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면(133)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제1 결합면(133)은 Z 방향과 Y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의 장축방향(A2) 폭을 정의하는 부분(또는 제2 부분(132))은 광축(O)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배럴(110)과 접촉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렌즈배럴(110)과 결합부재(130) 사이의 제2 결합면(134)은 X 축과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110)과 결합부재(130) 사이의 제2 결합면(134)은 광축(O) 방향(즉, Z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면(134)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제2 결합면(134)은 X 방향과 Z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 또는 렌즈배럴(110)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렌즈배럴(110)과 결합부재(130) 사이에 그루브(135)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 사이에 그루브(135)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35)에 접착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140)는 결합부재(130)를 렌즈배럴(1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접착부재(140)는 액체상태로 그루브(135)에 채워진 후 경화되어 결합부재(130)를 렌즈배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35)는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 사이의 제2 결합면(13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루브(135)에 채워지는 접착부재(140)의 일부는 제2 결합면(134)으로 침투하여 결합부재(130)와 렌즈배럴(110) 사이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135)는 결합부재(130)의 장축방향(A2) 길이를 정의하는 부분(즉, 제2 부분(132))과 렌즈배럴(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부분(132)은 결합부재(130)의 물체측 단부면(130a)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제2 함몰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함몰면(136)은 그루브(135)의 바닥면을 일부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과 렌즈배럴(110)은 각각 그루브(135)를 일부 정의하는 경사면(116, 1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30)의 제2 부분(132)은 제2 함몰면(136)에서 물체측으로 연장하는 경사면(137)을 포함한다. 렌즈배럴(110)의 제2 측부(115)는 결합부재(130)와의 제2 결합면(134)과 연결되고 물체측으로 연장하는 경사면(116)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130)는 물체측 단부면(130a)(object-side end surface)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 제3 함몰면(138)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정의되는 제2 리세스(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세스(139)는 그루브(135)와 연결되고, 접착부재(140)를 그루브(135)에 주입하는 바늘형태의 접착제 주입 장치(adhesive filling device)가 위치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리세스(139)는 결합부재(130)의 장축방향(A2) 길이를 정의하는 부분(즉, 제2 부분(13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함몰면(136)은 제3 함몰면(138)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20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렌즈모듈(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Ⅳ-Ⅳ' 단면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200)은 렌즈배럴(210), 렌즈배럴(210) 내부에 배치된 렌즈(220), 및 렌즈(220)를 렌즈배럴(2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200)은 도시된 요소들 외에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렌즈배럴(210) 내부에 하나의 렌즈(220)가 배치되나, 이는 예시이고, 도시된 렌즈(220) 외의 렌즈들이 렌즈배럴(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230)는 광축(O)과 대응하는 입사공을 정의하고, 렌즈(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링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재(230)는, 렌즈(220)와 적어도 일부 접촉하고 렌즈배럴(2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렌즈(220)를 렌즈배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결합부재(230)의 일부와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결합부재(230)의 다른 일부와 광축(O)과 수직인 방향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결합부재(230)가 특정 방향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렌즈배럴(210)이 결합부재(230)을 해당 방향으로 가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렌즈모듈(200)을 해당방향으로 바라볼 때, 결합부재(230)의 일부가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결합부재(230)와 광축(O)에 수직인 제1 방향(A1)으로 결합부재(230)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광축(O)에 수직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A2)으로 결합부재(23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결합부재(230)는 X 방향으로 렌즈배럴(210)과 일부(partially) 중첩하고, Y 방향으로 일부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모듈(200)은, 렌즈모듈(200)의 제1 방향(A1)의 폭이 제1 방향(A1)에 교차하는 제2 방향(A2)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모듈(200)의 Y 방향 폭은 X 방향 폭보다 작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2000)의 전체적인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 제1 방향(A1)은 렌즈모듈(200)의 작은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 단축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방향(A2)은 렌즈모듈(200)의 큰 폭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서 장축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축방향(A1)과 장축방향(A2)은 렌즈모듈(200)을 구성하는 요소들(예: 렌즈배럴(210), 렌즈(220), 결합부재(230))의 길이를 정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의 단축방향(A1)의 폭(W31')은 렌즈배럴(210)의 단축방향(A1)의 폭(W11')과 일치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모듈(200)의 단축방향(A1) 폭이 결합부재(230)에 의해 늘어나지 않고, 카메라 모듈(200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렌즈배럴(210)의 단축방향(A1)의 폭을 정의하는 제1 측부(214)와 렌즈배럴(210)의 장축방향(A2)의 폭을 정의하는 제2 측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210)의 제1 측부(214)는 광축(O)을 기준으로 단축방향(A1)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결합부재(230)의 제2 측부(215)는 광축(O)을 기준으로 장축방향(A2)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측부(214)는 렌즈(220)의 단축방향(A1)에 배치되고, 제2 측부(215)는 렌즈(220)의 장축방향(A2)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결합부재(230)를 단축방향(A1)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은 결합부재(230)와 장축방향(A2)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230)는 렌즈배럴(210)의 제2 측부(215)를 일부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는, 결합부재(230)의 단축방향(A1)의 폭를 정의하는 제1 부분(231) 및 결합부재(230)의 장축방향(A2)의 폭을 정의하는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30)의 제1 부분(231)은 광축(O)을 기준으로 단축방향(A1)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결합부재(230)의 제2 부분(232)은 광축(O)을 기준으로 장축방향(A2)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도 6,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결합부재(230)의 제1 부분(231)은 렌즈배럴(210)의 단축방향(A1)으로 노출될 수 있다. 결합부재(230)의 제2 부분(232)은 렌즈배럴(210)를 장축방향(A2)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하고, 렌즈배럴(210)의 일부는 장축방향(A2)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렌즈(220)는 광축(O)에 수직인 제1 방향(A1)으로의 폭이, 광축(O)에 교차하고 상기 제1 방향(A1)과 교차하는 제2 방향(A2)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220)의 Y 방향 폭은 렌즈(220)의 X 방향 폭보다 작다. 이하 제1 방향(A1)은 단축방향, 제2 방향(A2)은 장축방향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220)는 디컷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220)의 가장자리는 단축방향(A1)으로 대향하는 직선부(221), 및 장축방향(A2)으로 대향하는 곡선부(22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220)의 장축방향(A2) 폭은 두개 곡선부들(22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고, 렌즈(220)의 단축방향(A1) 폭은 두개 직선부들(22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220)는 광학성능을 발휘하는 광학부(223) 및 광학부(223)에서 바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224)는 광학성능를 발휘하지 않으며, 렌즈(220)가 렌즈배럴(21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고하면 결합부재(230)의 하부면은 플랜지부(224)에 접촉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의 제1 부분(231)은 렌즈(220)의 직선부(221)를 따라 연장하고, 결합부재(230)의 제2 부분(232)은 렌즈(220)의 곡선부(222)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230)의 제1 부분(231)은 장축방향(A2)으로 연장하고, 제2 부분(232)은 광축(O)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230)의 전체적인 형상은 렌즈(220)와 마찬가지로 디컷형태(또는 트랙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의 제1 측부(214)는 렌즈(220)의 직선부(221)를 따라 평판(plane panel) 형태으로 제공되고, 제2 측부(215)는 렌즈(220)의 곡선부(222)를 따라 곡판(curved panel)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2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렌즈(220)와 마찬가지로 디컷형태(또는 트랙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결합부재(230)의 제1 부분(231)의 외측면은 렌즈배럴(210)의 외측면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결합부재(230)의 제2 부분(232)은 상측(image-side)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232a)를 포함하고, 연장부(232a)는 렌즈배럴(21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또는 렌즈배럴(210)의 제2 측부(215)는 물체측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215a)를 포함하고, 제2 연장부(215a)는 결합부재(23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230)의 제2 부분(232)의 장축방향(A2) 폭(W32)은 렌즈배럴(210)의 제2 측부(215)의 제2 연장부(215a)의 장축방향(A2) 폭(W12)보다 클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의 일부는 렌즈배럴(210)과 광축(O)에 나란하거나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결합부재(230)의 다른 일부는 렌즈배럴(210)과 광축(O)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이 서로 특정 방향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양자 사이의 결합면(또는 접촉면)이 해당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이 서로 Z 방향으로 접촉한다는 것은,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 사이의 결합면의 법선이 Z 방향과 나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의 단축방향(A1) 폭을 정의하는 부분(또는 제1 부분(231))은 렌즈배럴(210)과 광축(O)에 나란하거나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고하면, 렌즈배럴(210)과 결합부재(230) 사이의 제1 결합면(233)은 Z축과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과 결합부재(230) 사이의 제1 결합면(233)은 단축방향(A1)(즉, Y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면(233)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고하면, 제1 결합면(233)은 Z 방향과 Y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의 장축방향(A2) 폭을 정의하는 부분(또는 제2 부분(232))은 광축(O)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렌즈배럴(210)과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렌즈배럴(210)과 결합부재(230) 사이의 제2 결합면(234)은 X 축과 수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배럴(210)과 결합부재(230) 사이의 제2 결합면(234)은 광축(O) 방향(즉, Z 방향)으로 연장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면(234)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고하면, 제2 결합면(234)은 X 방향과 Z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230) 또는 렌즈배럴(210)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렌즈배럴(210)과 결합부재(230) 사이에 그루브(235)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 사이에 그루브(235)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235)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결합부재(230)를 렌즈배럴(2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접착부재는 액체상태로 그루브(235)에 채워진 후 경화되어 결합부재(230)를 렌즈배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235)는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 사이의 제2 결합면(23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루브(235)에 채워지는 접착부재의 일부는 제2 결합면(234)으로 침투하여 결합부재(230)와 렌즈배럴(210) 사이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그루브(235)는 결합부재(230)의 장축방향(A2) 길이를 정의하는 부분(즉, 제2 부분(232))과 렌즈배럴(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카메라 모듈
1100: 하우징
1200, 1200': 렌즈모듈
1300: 이미지 센서 모듈
1400: 광로변환부재
100, 200: 렌즈모듈
110, 210: 렌즈배럴
120, 220: 렌즈
130, 230: 결합부재

Claims (16)

  1.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coupl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configured such that~),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키고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렌즈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과 일치하는,
    렌즈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물체측 단부면(object-side end surface)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정의되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결합부재를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모듈.
  4. 제1항에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을 정의하는 제1 측부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을 정의하는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중첩되는,
    렌즈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를 정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을 정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렌즈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 또는 상기 렌즈배럴은, 상호 결합되었을 때,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면과 연결되는 그루브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렌즈모듈.
  7. 제6항에서,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모듈.
  8. 제1항에서,
    상기 렌즈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직선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곡선부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9. 제8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직선부과 대응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곡선부과 대응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렌즈배럴과 상기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하는,
    렌즈모듈.
  10. 제9항에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물체측 단부면(object-side end surface)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정의되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모듈.
  11. 제9항에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물체측 단부면(object-side end surface)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정의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12.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배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부재(coupl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촉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렌즈배럴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촉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모듈.
  13. 제12항에서,
    상기 렌즈는, 광축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광축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고(configured such that~),
    상기 렌즈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직선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대향하는 곡선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직선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곡선부를 따라 연장하는,
    렌즈모듈.
  14. 제13항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2 방향의 폭과 일치하는,
    렌즈모듈.
  15. 제12항에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물체측 단부면(object-side end surface)으로부터 상측(image-side)으로 함몰된 면에 의해 적어도 일부 정의되는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을 적어도 일부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모듈.
  16. 광의 진행방향을 변환하도록 구성된 광로변환부재;
    상기 광로변환부재의 일측에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제1항의 렌즈모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14943A 2021-08-30 2021-08-30 카메라 모듈 KR10254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43A KR102541612B1 (ko) 2021-08-30 2021-08-30 카메라 모듈
US17/564,395 US20230069036A1 (en) 2021-08-30 2021-12-29 Camera module
TW111101889A TWI808615B (zh) 2021-08-30 2022-01-17 透鏡模組及相機模組
TW111200617U TWM629740U (zh) 2021-08-30 2022-01-17 透鏡模組及相機模組
CN202210378560.5A CN115728894A (zh) 2021-08-30 2022-04-12 相机模块
CN202220837939.3U CN218158474U (zh) 2021-08-30 2022-04-12 透镜模块以及相机模块
KR1020230071647A KR20230088315A (ko) 2021-08-30 2023-06-02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43A KR102541612B1 (ko) 2021-08-30 2021-08-30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647A Division KR20230088315A (ko) 2021-08-30 2023-06-0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285A true KR20230032285A (ko) 2023-03-07
KR102541612B1 KR102541612B1 (ko) 2023-06-12

Family

ID=834380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943A KR102541612B1 (ko) 2021-08-30 2021-08-30 카메라 모듈
KR1020230071647A KR20230088315A (ko) 2021-08-30 2023-06-02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647A KR20230088315A (ko) 2021-08-30 2023-06-0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69036A1 (ko)
KR (2) KR102541612B1 (ko)
CN (2) CN218158474U (ko)
TW (2) TWI8086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12B1 (ko) * 2021-08-30 2023-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00B1 (ko) * 2007-04-1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7146439A (ja) * 2016-02-17 2017-08-24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70130271A (ko) * 2016-05-18 2017-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86147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000981A (en) * 2008-06-27 2010-01-01 Hon Hai Prec Ind Co Ltd Lens module
TWM502181U (zh) * 2014-11-19 2015-06-0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鏡頭模組以及可攜式電子裝置
US11852896B2 (en) * 2019-08-30 2023-12-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WI759835B (zh) * 2020-05-20 2022-04-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相機模組及電子裝置
KR102541612B1 (ko) * 2021-08-30 2023-06-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00B1 (ko) * 2007-04-12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7146439A (ja) * 2016-02-17 2017-08-24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70130271A (ko) * 2016-05-18 2017-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86147A (ko) * 2019-12-31 2021-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8615B (zh) 2023-07-11
KR102541612B1 (ko) 2023-06-12
KR20230088315A (ko) 2023-06-19
CN218158474U (zh) 2022-12-27
TWM629740U (zh) 2022-07-21
US20230069036A1 (en) 2023-03-02
CN115728894A (zh) 2023-03-03
TW202309580A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49496A (ja) 撮像装置
KR2016013432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KR20230088315A (ko) 카메라 모듈
CN211206922U (zh) 光学组件驱动机构
KR10245977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835246B (zh) 隔圈及相机模块
KR20220136331A (ko) 렌즈 조립체
KR20240041301A (ko) 렌즈 조립체
US8373938B2 (en) Lens unit
KR20230074084A (ko) 렌즈 조립체
JP7124366B2 (ja) 撮像素子固定構造及び撮像装置
JP2017223829A (ja) レンズユニット
JP2012088374A (ja) 撮像ユニット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20220062726A (ko)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30073788A (ko) 카메라 모듈
KR102425752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95069A (ko) 카메라 모듈
JP2014145881A (ja) 監視カメラ
CN113934085A (zh) 相机模块及电子装置
KR20200092644A (ko) 액체 렌즈 모듈 및 이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장치
JP2011209493A (ja) 撮像装置
JP2016140037A (ja) 画像読取装置
JP2012078635A (ja) 光学機器用遮光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