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147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147A
KR20210086147A KR1020190179878A KR20190179878A KR20210086147A KR 20210086147 A KR20210086147 A KR 20210086147A KR 1020190179878 A KR1020190179878 A KR 1020190179878A KR 20190179878 A KR20190179878 A KR 20190179878A KR 20210086147 A KR20210086147 A KR 2021008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dge
optical axis
lens barrel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923B1 (ko
Inventor
양동신
박주성
유호식
서솟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923B1/ko
Priority to US17/014,068 priority patent/US20210199925A1/en
Priority to CN202011299793.3A priority patent/CN113064249B/zh
Priority to CN202310500332.5A priority patent/CN116500744A/zh
Priority to CN202022694345.5U priority patent/CN213659063U/zh
Publication of KR2021008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147A/ko
Priority to KR1020220124115A priority patent/KR2022013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은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며, 측면에 개구를 구비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단순히 줄일 경우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유지 또는 개선하면서도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렌즈는 대체로 원형이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는 직사각 형상이므로,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렌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렌즈의 크기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의 일 부분을 제거할 경우, 렌즈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와 렌즈의 타 방향으로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은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며, 측면에 개구를 구비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으며,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광학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한 상기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스토퍼부의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부(100) 및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렌즈부(1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일 예로, 렌즈부(100)는 광축(Z축)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를 포함한다.
제1 렌즈(110)는 복수의 렌즈 중에서 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제2 렌즈(120) 내지 제5 렌즈(150)는 제1 렌즈(110)보다 이미지 센서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렌즈부(100)가 5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의 개수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학부 및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광학부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플랜지부는 렌즈를 다른 부재, 일 예로, 렌즈 배럴(300)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플랜지부는 광학부로부터 연장되며, 광학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렌즈(11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렌즈(110)는 비원형이다. 일 예로, 제1 렌즈(110)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가 광축(Z축) 및 제1 방향(X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제1 렌즈(110)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제1 렌즈(110)의 광학부(1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광학부(10)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가 광축(Z축) 및 제1 방향(X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한다.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각각 원호(arc) 형상을 갖는다.
제2 가장자리(12)는 제1 가장자리(11)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4 가장자리(14)는 제3 가장자리(13)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포함하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포함한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제2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부(30)는 적어도 일부가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에 접촉된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고,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는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절단한 것이 아니라, 사출 성형 단계에서 위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대체로 원형이고,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는 직사각 형상이므로, 원형의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렌즈(110)의 광학부(10)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제1 렌즈(110)의 크기를 줄이고, 이를 통해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사출 성형 후에 제1 렌즈(110)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그 과정에서 제1 렌즈(11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렌즈(11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제1 렌즈(110)가 변형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제1 렌즈(110)의 광학 성능도 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10)는, 사출 시에 제1 렌즈(110)가 비원형으로 성형되므로, 제1 렌즈(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제1 렌즈(110)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편의상 제1 렌즈(11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렌즈들도 제1 렌즈(110)와 마찬가지로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00)는 렌즈 배럴(300)에 수용된다. 일 예로,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는 광축(Z축)을 따라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110)는 플랜지부(30)가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렌즈 배럴(3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렌즈(120) 내지 제4 렌즈(140)는 이웃한 렌즈들 간에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120) 내지 제4 렌즈(140)는 각각의 플랜지부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광축(Z축)이 정렬될 수 있으며, 렌즈 배럴(3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5 렌즈(150)는 렌즈 배럴(3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렌즈(150)는 플랜지부가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렌즈 배럴(3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200)가 배치될 수 있다. 각 렌즈의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스페이서(200)와 접촉될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스페이서(200)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물체 측으로부터 이미지 센서를 향하여 배치된 제1 스페이서(210), 제2 스페이서(220), 제3 스페이서(230), 제4 스페이서(240), 제5 스페이서(250) 및 제6 스페이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210)는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스페이서(220)는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스페이서(230)는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스페이서(240) 내지 제6 스페이서(260)는 제4 렌즈(140)와 제5 렌즈(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스페이서(240)와 제6 스페이서(260) 사이에 제5 스페이서(250)가 배치되며, 제5 스페이서(250)는 스페이서(200)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스페이서(25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다른 스페이서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는 각각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렌즈는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렌즈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의 차가 클수록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므로, 각 렌즈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의 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300)에 개구(310)를 형성하고, 일부 렌즈의 측면을 개구(310)를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해당 렌즈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의 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00)의 복수의 렌즈 중 일부 렌즈의 측면은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노출되는 렌즈의 측면은 길이가 더 짧은 측의 측면(즉,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측면)일 수 있다.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는 복수의 렌즈 중 일부 렌즈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양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렌즈 배럴(300)의 일 측면과 반대측의 타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직경이 큰 렌즈일수록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의 차가 크므로, 측면이 노출되는 렌즈는 복수의 렌즈 중에서 직경이 가장 큰 렌즈일 수 있다.
여기서, '직경'은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길이가 더 긴 측의 직경(즉, 제2 방향(Y 방향)으로의 길이)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는 나머지 렌즈들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렌즈(110)의 직경이 가장 크게 형성되므로, 결국 제1 렌즈(110)의 측면은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노출된다. 제1 렌즈(110)의 측면은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에 배치된다.
제1 렌즈(110)의 측면은 제1 렌즈(110)의 플랜지부(30)의 측면의 일부 및 제1 렌즈(110)의 광학부(10)의 측면일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측면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300)에 개구(31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1 렌즈(11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를 더 길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학부(1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를 더 길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렌즈(110)의 제1 방향(X 방향)의 길이와 제2 방향(Y 방향)의 길이의 편차를 줄일 수 있으므로, 렌즈 및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스토퍼부의 변형예이다.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제1 렌즈(110)의 측면이 노출되므로, 제1 렌즈(110)가 광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즉, 렌즈 배럴(300)에 개구(31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이 제1 렌즈(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10)의 측면이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노출되므로, 제1 렌즈(110)가 광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렌즈(1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부(400)를 구비한다.
스토퍼부(400)는 제1 렌즈(110)와 렌즈 배럴(3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부(400)는 제1 렌즈(110)의 플랜지부(30)와 렌즈 배럴(3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부(400)는 제1 렌즈(110)와 렌즈 배럴(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410) 및, 제1 렌즈(110)와 렌즈 배럴(30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돌기(410)가 배치되는 홈(430)을 포함한다. 일 예로, 렌즈 배럴(300)은 플랜지부(30)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410)를 구비하고, 플랜지부(30)는 돌기(410)가 배치되는 홈(430)을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부(30)와 렌즈 배럴(300)은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홈(430)과 돌기(4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31)의 일측 끝단(렌즈 배럴(300)의 개구(310)에 가까운 부분)에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31)의 일측 끝단과 제2 플랜지부(32)의 일측 끝단에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31)의 양측 끝단과 제2 플랜지부(32)의 일측 끝단에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31)의 양측 끝단과 제2 플랜지부(32)의 양측 끝단에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경우에 렌즈 배럴(300)은 홈(4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410)를 구비한다.
돌기(410)와 홈(43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돌기(410)와 홈(430)이 서로 맞물리거나 간섭되어 제1 렌즈(110)가 광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30)은 제1 내벽(431)과 제2 내벽(433)을 포함하고, 제1 내벽(431)과 제2 내벽(433)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벽(431)과 제2 내벽(433)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에 돌기(410)가 구비되고 제1 렌즈(110)에 홈(43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돌기(410)와 홈(430)이 서로 반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렌즈 배럴(300)의 측면에 개구(310)가 구비되므로, 개구(310)를 통해 불필요한 빛이 입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페이서(210)를 통해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210)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를 통해 노출되며, 개구(310)에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페이서(210)의 측면 일부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10)에 배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210)는 제2 렌즈(1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페이서(21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렌즈(12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렌즈 배럴(300)의 내부로 불필요한 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렌즈부
200: 스페이서
300: 렌즈 배럴
400: 스토퍼부

Claims (16)

  1.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은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며, 측면에 개구를 구비한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한 상기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보다 이미지 센서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기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복수의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렌즈 각각의 직경보다 더 큰 렌즈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렌즈 조립체.
  7.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으며,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광학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한 상기 렌즈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측면의 일부 및 상기 광학부의 측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렌즈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렌즈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돌기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렌즈 배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가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가장자리,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원호 형상을 갖는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와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제4 가장자리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렌즈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제4 가장자리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렌즈 조립체.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보다 이미지 센서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기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렌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렌즈 조립체.
KR1020190179878A 2019-12-31 2019-12-31 렌즈 조립체 KR10245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78A KR102450923B1 (ko) 2019-12-31 2019-12-31 렌즈 조립체
US17/014,068 US20210199925A1 (en) 2019-12-31 2020-09-08 Lens assembly
CN202011299793.3A CN113064249B (zh) 2019-12-31 2020-11-19 镜头组件
CN202310500332.5A CN116500744A (zh) 2019-12-31 2020-11-19 镜头组件
CN202022694345.5U CN213659063U (zh) 2019-12-31 2020-11-19 镜头组件
KR1020220124115A KR20220136331A (ko) 2019-12-31 2022-09-29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78A KR102450923B1 (ko) 2019-12-31 2019-12-31 렌즈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15A Division KR20220136331A (ko) 2019-12-31 2022-09-29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47A true KR20210086147A (ko) 2021-07-08
KR102450923B1 KR102450923B1 (ko) 2022-10-06

Family

ID=76546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878A KR102450923B1 (ko) 2019-12-31 2019-12-31 렌즈 조립체
KR1020220124115A KR20220136331A (ko) 2019-12-31 2022-09-29 렌즈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15A KR20220136331A (ko) 2019-12-31 2022-09-29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99925A1 (ko)
KR (2) KR102450923B1 (ko)
CN (3) CN11306424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285A (ko) * 2021-08-30 2023-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121316A1 (ko) * 2021-12-22 2023-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7170A (zh) * 2023-08-21 2024-03-12 荣耀终端有限公司 镜头、摄像模组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53A (ja) * 1993-04-21 1995-01-10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構造
CN102445738A (zh) * 2010-10-08 2012-05-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KR20190107826A (ko) * 2018-03-13 2019-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29463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7135A (zh) * 2017-02-23 2023-03-28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US10996421B2 (en) * 2017-12-12 2021-05-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CN115561896A (zh) * 2018-03-02 2023-01-03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缓和杂散光的间隔件、镜头模块及数码相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53A (ja) * 1993-04-21 1995-01-10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保持構造
CN102445738A (zh) * 2010-10-08 2012-05-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KR20190107826A (ko) * 2018-03-13 2019-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29463A (ko) * 2018-05-11 2019-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285A (ko) * 2021-08-30 2023-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121316A1 (ko) * 2021-12-22 2023-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331A (ko) 2022-10-07
CN113064249A (zh) 2021-07-02
US20210199925A1 (en) 2021-07-01
CN213659063U (zh) 2021-07-09
CN116500744A (zh) 2023-07-28
KR102450923B1 (ko) 2022-10-06
CN113064249B (zh)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34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6331A (ko) 렌즈 조립체
KR102363537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620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8200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N110830684B (zh) 透镜组件、用于透镜组件的阻挡构件及便携式电子设备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129463A (ko) 렌즈 조립체
US11137585B2 (en) Lens module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EP3836526B1 (en) Camera and terminal
KR20230074084A (ko) 렌즈 조립체
KR20190005571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20220161238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20220129524A (ko)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070045507A (ko) 블랙코팅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11434B1 (ko) 렌즈 모듈
KR20210014184A (ko) 렌즈 모듈
KR20220098597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JP202008644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