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270A - 농업용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270A
KR20230032270A KR1020210114902A KR20210114902A KR20230032270A KR 20230032270 A KR20230032270 A KR 20230032270A KR 1020210114902 A KR1020210114902 A KR 1020210114902A KR 20210114902 A KR20210114902 A KR 20210114902A KR 20230032270 A KR20230032270 A KR 20230032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coupled
working position
driv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명
양동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270A/ko
Publication of KR2023003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좌석지지부; 및 상기 좌석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좌석부재, 및 상기 제1좌석부재에 결합된 제2좌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은 상기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상기 좌석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이앙기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앙기는 못자리나 육묘 상자에서 기른 모를 논으로 옮겨 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기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는 백호(Back Hoe) 등과 같은 작업기가 장착될 수 있다. 백호는 작업지에 대한 굴착작업, 굴삭작업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작업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이 마련된다. 작업자가 농업용 작업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좌석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작업자가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백호 등의 작업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좌석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에 배치된 좌석과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에 배치된 서로 다른 좌석을 구비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백호 등의 작업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주행위치에 배치된 좌석을 작업위치에 배치된 다른 좌석으로 전환시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자가 주행위치와 작업위치에 배치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좌석을 전환시켜 주행 또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주행위치를 향해 배치된 좌석과 작업위치를 향해 배치된 다른 좌석을 구비함으로써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좌석이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 간에 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좌석지지부; 및 상기 좌석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은,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좌석부재, 및 상기 제1좌석부재에 결합된 제2좌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은 상기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상기 좌석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좌석이 차량본체에 전환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의 양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좌석으로 주행위치와 작업위치에 배치되도록 구현되는 경우보다 주행위치와 작업위치간 전환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를 향해 배치되는 좌석을 하나로 구현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행위치와 작업위치 간 전환이 가능한 하나의 좌석을 구비함으로써, 두 개의 좌석이 구비되어 주행위치와 작업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주행위치와 작업위치 간 전환가능하게 결합된 좌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주행위치에 위치한 좌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작업위치에 위치한 좌석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회전부재, 슬라이딩부재, 및 전방지지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회전부재, 및 슬라이딩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방지지대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좌석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방고정후크 또는 후방고정후크와 전방조절레버 또는 후방조절레버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전방고정후크가 주행위치에서 좌석의 전방고정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후방고정후크가 작업위치에서 좌석의 후방고정핀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등받이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차량본체(2), 좌석지지부(3), 및 좌석(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는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본체(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엔진(Engine,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본체(2)는 상기 엔진을 지지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좌석(4)에 탑승하여 조향장치(미도시), 조작장치(미도시) 등을 조작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자율주행 방식으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본체(2)에는 바퀴(21), 변속기(Transmission, 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이 상기 변속기를 거쳐 상기 바퀴(22)에 전달되면, 상기 차량본체(2)는 상기 바퀴(21)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차량본체(2)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좌석(4)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차량본체(2)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에 고정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좌석지지부(3)는 상기 차량본체(2)에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에 대해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좌석(4)은 상기 좌석지지부(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좌석(4)은 상기 차량본체(2)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에는 작업자가 착석할 수 있다. 상기 좌석(4)에는 작업자가 착석하여 상기 차량본체(2)에 설치된 조향장치 등을 조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좌석(4)은 상기 좌석지지부(3)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좌석(4)은 상기 좌석지지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석(4)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는 작업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상기 좌석지지부(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좌석(4)은 제1좌석부재(41), 및 제2좌석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작업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작업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하나의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에 전환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는 작업위치의 양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개의 좌석으로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에 배치되도록 구현되는 경우보다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간 전환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는 작업위치를 향해 배치된 상기 좌석(4)을 하나로 구현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간 전환이 가능한 하나의 좌석(4)을 구비함으로써, 두 개의 좌석이 구비되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좌석(4)은 힌지축(44)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는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는 상기 작업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44)은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서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착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는 상기 주행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해 착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상방(UD)에 앉음으로써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략 수직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전방(FD)에 등을 기댐으로써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을 향하도록 상기 좌석(4)에 착석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을 주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좌석(4)이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는 상기 작업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와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해 착석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략 평행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상방(UD)에 앉음으로써 상기 제2좌석부재(42)는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략 수직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후방(BD)에 등을 기댐으로써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도록 상기 좌석(4)에 착석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결합된 백호(Back Hoe)와 같은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좌석(4)은 회전부재(43), 및 힌지축(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는 상기 좌석지지부(3)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3)에는 상기 제1좌석부재(4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는 상기 좌석지지부(3)에 상기 힌지축(44)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43)는 상기 좌석지지부(3)에 대해 상기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가 상기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좌석(4) 또한 상기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회전부재(43)를 통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43)는 상기 좌석(4)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43)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좌석(4)이 배치되는 높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좌석(4)은 상기 회전부재(4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간에 전환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가 시계방향(도 2의 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좌석(4)은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작업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3)가 반시계방향(도 2의 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좌석(4)은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주행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좌석(4)이 배치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좌석(4)은 슬라이딩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상기 회전부재(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상기 좌석(4)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제1좌석부재(4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상기 좌석(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힌지축(44)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결합된 상기 제2좌석부재(42)도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좌석부재(41)는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 또는 하방(D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결합된 상기 제2좌석부재(42)도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 또는 하방(DD)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좌석지지부(3)는 전방지지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대(5)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석(4)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대(5)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전방지지대(5)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지지대(5)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지지대(5)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방지지대(5)를 통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배치된 상기 좌석(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부재(43)는 고정홀(431)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5)는 전방고정홀(451), 및 후방고정홀(4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석(4)은 고정핀(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431)은 상기 고정핀(46)이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홀(431)에는 상기 고정핀(46)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431)은 상기 회전부재(4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홀(45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고정홀(451)에는 상기 고정핀(46)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홀(451)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전방고정홀(451)은 상기 고정홀(431)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46)은 상기 고정홀(431)과 상기 전방고정홀(451)에 연속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 또는 후방(BD)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차량본체(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전방지지대(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홀(452)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고정홀(452)에는 상기 고정핀(46)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홀(452)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홀(452)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5)에서 상기 전방고정홀(451)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후방고정홀(452)은 상기 고정홀(431)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46)은 상기 고정홀(431)과 상기 후방고정홀(452)에 연속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 또는 하방(DD)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 또는 하방(DD)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차량본체(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서 후술할 후방지지대(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방고정홀(451)이 상기 고정홀(431)과 중첩되어 상기 고정핀(46)이 삽입될 때에 비해 상기 후방고정홀(452)이 상기 고정홀(431)과 중첩되어 상기 고정핀(46)이 삽입될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으로 이동되어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좌석(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방지지대(5)는 전방지지부재(51), 전방지지본체(52), 및 탄성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전방지지본체(52)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좌석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에서 전달되는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방지지부재(51)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는 상기 전방지지부재(51)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는 상기 좌석지지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의 일측은 상기 좌석지지부(3)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전방지지본체(52)의 타측은 상기 전방지지부재(5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는 상기 좌석지지부(3)에 결합되어서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는 상기 좌석지지부(3)와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전방지지부재(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와 상기 전방지지부재(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본체(52)와 상기 전방지지부재(5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전방지지본체(52)에 대해 상기 전방지지부재(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와 상기 전방지지부재(51)의 사이에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53)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이 작업지를 이동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좌석(4)으로 전달되는 충격 등을 완화 또는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탄성부재(53)를 통해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주행 또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전방지지대(5)는 전방고정후크(5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좌석(4)은 전방고정핀(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좌석(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주행위치에서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차량본체(2)의 하방(DD)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전방고정후크(54)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핀(411)은 상기 전방고정후크(54)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전방고정핀(411)과 체결되어 상기 좌석(4)을 상기 주행위치에 고정시키는 전방고정위치와 상기 전방고정핀(411)과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좌석(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전방해제위치 간에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전방고정핀(411)을 지지하여 상기 좌석(4)을 상기 주행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전방고정후크(54)를 통해 상기 좌석(4)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좌석(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전방지지본체(5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전방조절레버(5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전방고정위치에서 상기 좌석(4)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전방고정핀(411)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전방고정핀(41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차량본체(2)의 하방(DD)을 향해 배치된 상기 전방고정핀(41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조절레버(55)가 조작되면 상기 전방고정후크(54)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조절레버(55)가 조작되면 상기 전방고정후크(54)가 상기 전방고정위치와 상기 전방해제위치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전방조절레버(55)를 상기 좌석(4)의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전방고정후크(54)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좌석(4)을 고정하는 상기 전방고정위치에서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좌석(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상기 전방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좌석(4)은 상기 회전부재(43)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후방지지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좌석(4)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2좌석부재(4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방지지대(6)를 통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대(6)는 상기 전방지지대(5)와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후방지지대(6)는 후방지지부재(61), 및 후방지지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상기 후방지지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와 상기 후방지지본체(62)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좌석부재(4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상기 후방지지본체(62)에서 전달되는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후방지지부재(61)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후방지지대(6)는 후방고정후크(63)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좌석(4)은 후방고정핀(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좌석(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차량본체(2)의 하방(DD)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후방고정후크(63)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핀(421)은 상기 후방고정후크(63)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후방고정핀(421)과 체결되어 상기 좌석(4)을 상기 작업위치에 고정시키는 후방고정위치와 상기 후방고정핀(421)과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좌석(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후방해제위치 간에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의 상기 후방고정핀(421)을 지지하여 상기 좌석(4)을 상기 작업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후방고정후크(63)를 통해 상기 좌석(4)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좌석(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가 상기 차량본체(2)의 전방(FD)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후방지지본체(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후방지지본체(6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후방조절레버(64)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후방고정위치에서 상기 좌석(4)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후방고정핀(421)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하부에 결합된 상기 후방고정핀(42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고정후크(63)는 상기 차량본체(2)의 하방(DD)을 향해 배치된 상기 후방고정핀(421)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좌석(4)은 등받이부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주행위치의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좌석(4)이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작업위치의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등받이부재(47)를 통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의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등받이부재(47)는 회전결합부재(4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재(471)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사이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회전결합부재(471)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서 상기 작업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에서 분리된 후 상기 회전결합부재(47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주행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에서 분리된 후 상기 회전결합부재(47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한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간에 전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재(47)도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간 분리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4)은 방석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주행위치의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좌석(4)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좌석(4)이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작업위치의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은 상기 방석부재를 통해 상기 주행위치와 상기 작업위치의 상기 좌석(4)에 착석한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7)와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좌석부재(41)와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분리결합되는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좌석(4)이 전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1)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석(4)은 상기 주행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좌석(4)은 상기 전방지지대(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좌석(4)에 결합된 상기 전방고정핀(411)으로부터 상기 전방고정후크(54)를 상기 전방조절레버(55)를 통해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4)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을 회전하기 위해 상기 전방고정홀(451)과 상기 고정홀(431)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46)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좌석(4)은 상기 회전부재(43)가 상기 힌지축(44)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석(4)은 상기 차량본체(2)의 후방(BD)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좌석(4)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5)가 상기 회전부재(43)를 따라 상기 차량본체(2)의 상방(UD)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좌석(4)은 상기 후방고정홀(452)과 상기 고정홀(431)에 상기 고정핀(46)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차량본체(2)에서 높이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석(4)은 상기 작업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석(4)은 상기 후방고정핀(421)이 상기 후방고정후크(6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작업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석(4)은 상기 후방지지대(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좌석(4)이 갖는 상기 제2좌석부재(42)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제2좌석부재(42)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좌석(4)이 갖는 상기 제1좌석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재(47)는 상기 작업위치에서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농업용 작업차량 2: 차량본체
21: 바퀴 3: 좌석지지부
4: 좌석 41: 제1좌석부재
411: 전방고정핀 42: 제2좌석부재
421: 후방고정핀 43: 회전부재
431: 고정홀 44: 힌지축
45: 슬라이딩부재 451: 전방고정홀
452: 후방고정홀 46: 고정핀
47: 등받이부재 471: 회전결합부재
5: 전방지지대 51: 전방지지부재
52: 전방지지본체 53: 탄성부재
54: 전방고정후크 55: 전방조절레버
6: 후방지지대 61: 후방지지부재
62: 후방지지본체 63: 후방고정후크
64: 후방조절레버 7: 등받이부재
FD: 차량본체의 전방 BD: 차량본체의 후방
UD: 차량본체의 상방 DD: 차량본체의 하방

Claims (10)

  1.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좌석지지부; 및
    상기 좌석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작업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좌석부재, 및 상기 제1좌석부재에 결합된 제2좌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은 상기 차량본체의 전방을 향하는 주행위치와 상기 차량본체의 후방을 향하는 작업위치 간에 전환되도록 상기 좌석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좌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하체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지지부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는, 상기 좌석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재, 상기 전방지지부재에 연결된 전방지지본체, 및 상기 전방지지본체와 상기 전방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전방지지본체에 대해 상기 전방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좌석지지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1좌석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차량본체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상기 좌석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제1좌석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작업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받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은 작업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방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석부재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지지부는 상기 좌석이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좌석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제1좌석부재에 결합된 전방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지대는 상기 주행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의 상기 전방고정핀과 체결되어 상기 좌석을 상기 주행위치에 고정시키는 전방고정위치와 상기 전방고정핀과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좌석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전방해제위치 간에 전환되는 전방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좌석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제2좌석부재에 결합된 후방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지지대는 상기 작업위치에 위치된 상기 좌석의 상기 후방고정핀과 체결되어 상기 좌석을 상기 작업위치에 고정시키는 후방고정위치와 상기 후방고정핀과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좌석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는 후방해제위치 간에 전환되는 후방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KR1020210114902A 2021-08-30 2021-08-30 농업용 작업차량 KR20230032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02A KR20230032270A (ko) 2021-08-30 2021-08-30 농업용 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02A KR20230032270A (ko) 2021-08-30 2021-08-30 농업용 작업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270A true KR20230032270A (ko) 2023-03-07

Family

ID=8551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902A KR20230032270A (ko) 2021-08-30 2021-08-30 농업용 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22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261B2 (en) Operat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US9352673B2 (en) Armrest
US3448820A (en) Vehicle seat structure
KR20230032270A (ko) 농업용 작업차량
US8820700B2 (en) Adjustable pod support for machine control device
JP6235431B2 (ja) ミッドマウント型草刈機
JP7055011B2 (ja) 水田作業機
US2572399A (en) Garden tractor
JP3690005B2 (ja) 田植機
JP2004330918A (ja) 乗用田植機
JP2006211927A (ja) 農用作業車
JP2004267069A (ja) 農用作業台車
US6481520B2 (en) Skid steer loader forearm rest
KR100928015B1 (ko) 이앙기
US4508188A (en) Garden and lawn tractor
KR102524701B1 (ko) 수전 작업기
EP3639641B1 (en) Improved agricultural apparatus
JP2002347670A (ja) 田植機の作業機操作レバー配置構成
KR20200066437A (ko) 작업차량용 암레스트
JP2018161106A (ja) 乗用苗移植機
JP3752559B2 (ja) ミッドマウント型農作業機
JPH0965725A (ja) 不耕起移植機
JPH0651901U (ja) 農機の制御装置
JPH089349B2 (ja) 乗用型作業機
JP3907850B2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