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26A - 평균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평균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26A
KR20230031426A KR1020210113649A KR20210113649A KR20230031426A KR 20230031426 A KR20230031426 A KR 20230031426A KR 1020210113649 A KR1020210113649 A KR 1020210113649A KR 20210113649 A KR20210113649 A KR 20210113649A KR 20230031426 A KR20230031426 A KR 2023003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onnecting rod
balance beam
height direc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710B1 (ko
Inventor
한향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코스
Priority to KR102021011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00Balance be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일면에 홈이 배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 받침대의 타면에 결합하는 제1 발판대;및 받침대의 홈에 결합하는 제2 발판대을 포함하고, 제1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은 제2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고, 받침대의 일면은 제2 발판대와 적어도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돌출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균대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일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와 타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평균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균대 조립체{Balance beam assembly}
본 발명은 평균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저학년의 학생뿐만 아니라 고학년의 학생들도 이용할수 있도록 발판대가 마련되고, 다양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는 평균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평균대는 발판대와, 발판대가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떠 있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발판대 위에 서서 균형을 잡거나 보행을 포함하는 놀이나 체조를 즐길 수 있다.
발판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발이나 손을 딛는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은 사용자의 운동 균형 능력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운동 균형 능력이 부족한 저학년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 좌우방향 폭이 넓은 발판대가 필요하다. 운동 균형 능력이 발달되지 않은 저학년 학생이 좁은 발판대를 사용하는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대적으로 운동 균형 능력이 발달한 고학년 학생이 사용하는 경우, 좌우방향 폭이 좁은 발판대가 필요하다. 운동 균형 능력에 비해 발판대가 좁은 경우 놀이나 운동의 의미가 반감된다.
따라서, 기존의 평균대는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연령별로 준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균대는 발판대의 길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평균대를 활용한 놀이나 운동에 제약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평균대를 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평균대의 형상을 고려할 때, 한정된 공간에 여러 개의 평균대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9791호(2017.06.21.공개)
본 발명은, 하나의 평균대를 저학년의 학생뿐만 아니라 고학년의 학생들도 사용 가능하고, 복수 개의 평균대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좁은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평균대와 평균대 사이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평균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일면에 홈이 배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와, 받침대의 타면에 결합하는 제1 발판대 및 받침대의 홈에 결합하는 제2 발판대을 포함하고, 제1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은 제2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고, 받침대의 일면은 제2 발판대와 적어도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돌출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균대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일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와 타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평균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판대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연결대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높이방향으로, 제2 발판대와 연결대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2 체결홀에 결합함으로써, 제2 발판대와 연결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고, 연결봉을 축중심을 하여, 연결대와 제2 발판대의 연결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연결대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의 높이방향 두께는, 제2 영역의 높이방향 두께보다 작고, 제1 영역은 높이방향으로 제2 발판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제2 체결홀은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연결대의 일면과 제2 발판대의 일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일면은 제2 발판대의 타면과 접촉하되, 제1 영역의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연결대의 단부의 회전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받침부에 배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고, 바퀴는 상기 받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바퀴의 접촉면은 높이방향으로 받침부의 일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좌우방향 폭이 상이한 제1 발판대와 제2 발판대가 마련되어, 신체 조건이 상이한 다양한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높이방향으로 받침대의 일측에 제1 발판대가 배치되고, 받침대의 타측에 제2 발판대를 배치함으로써, 제1 발판대와 제2 발판대 중 어느 하나가 발판대로 사용되면 다른 하나는 지지구조로 활용됨으로써, 평균대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연결대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평균대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평균대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연결봉을 축중심으로 하여, 평균대와 연결대의 연결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협소한 평균대의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평균대 조립체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의 평균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평균대 조립체가 뒤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평균대 조립체의 평면도,
도 5는 폐루프 형태로 배치된 평균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변형례에 따른 받침대와 변형례에 따른 연결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받침대와 연결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의 평균대(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평균대 조립체가 뒤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평균대(10)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평균대(10)의 좌우방향을 나타내고, z축은 평균대(10)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는, 복수 개의 평균대(10)를 포함하고, 각 평균대(10)는, 복수 개의 받침대(100)와, 제1 발판대(200)와, 제2 발판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00)는 제1 발판대(200)와 제2 발판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받침대(100)는 전후방향(x)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주고 배치될 수 있다. 높이방향(z)으로, 받침대(100)의 일면에는 제2 발판대(300)가 배치되고, 타면에는 제1 발판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00)는 일측의 좌우방향 폭이 타측의 좌우방향 폭과 상이할 수 있다.
받침대(100)의 일면에는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발판대(300)의 단부는 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홈(110)의 형상과 크기는 제2 발판대(300)의 단면 형상과 크기에 대응한다.
제1 발판대(200)는 받침대(10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판대(300)는 받침대(100)의 일면에 배치된 홈(110)에 결합될 수 있다. 높이방향(z)으로, 제1 발판대(200)는 받침대(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발판대(300)는 받침대(1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판대(200)와 제2 발판대(300) 중 어느 하나가 발판대로 사용되면 다른 하나는 지지구조로 활용됨으로써, 평균대(10)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제1 발판대(200)의 좌우방향 폭(W1)이 제2 발판대(300)의 좌우방향 폭(W2)보다 크다.
상대적으로 신체가 덜 발달한 저학년의 사용자가 평균대(10)를 사용할 경우, 좌우방향 폭이 큰 제1 발판대(200)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평균대(10)를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신체가 더 발달한 고학년의 사용자가 평균대(10)를 사용할 경우, 좌우방향 폭이 작은 제2 발판대(300)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평균대(10)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평균대(10)를 가지고, 사용자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평균대(10)의 활용도를 높이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발판대(30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제1 체결홀(310)이 배치될 수 있다.
바퀴(400)는 받침대(100)에 배치될 수 있다. 바퀴(400)는 받침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바퀴(400)는 그 접촉면이 높이방향(z)으로 제2 발판대(300)가 위치한 받침대(100)의 일면보다 낮게 배치된다. 이러한 바퀴(400)은 받침대(100)의 일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퀴(400)은 좌우방향(y)을 기준으로, 홈(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평균대(10)는, 복수 개가 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평균대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평균대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평균대 조립체는 복수 개의 평균대(10)와 평균대(10)들을 연결하는 연결대(20)와, 평균대(10)와 연결대(20)를 체결하는 연결봉(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대(20)는 이웃하는 제1 평균대(10A)와 제2 평균대(10B)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대(20)는, 제1 평균대(10A)의 제2 발판대(300A)와 제2 평균대(10B)의 제2 발판대(300B)를 연결한다.
연결대(20)는 제1 평균대(10A)의 제2 발판대(300A)와 제2 평균대(10B)의 제2 발판대(300B)를 연결하는 또 하나의 발판대로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평균대(10A)의 제2 발판대(300A) 위의 사용자는 연결대(20)를 건너서 제2 평균대(10B)의 제2 발판대(300B)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연결대(20)의 양 단부에는 제2 체결홀(21)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대(20)의 단부는 제2 발판대(300:300A,300B)의 단부와 높이방향(z)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제1 체결홀(310)과 제2 체결홀(21)이 정렬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대(20)의 단부와 제2 발판대(300A,300B)의 단부가 겹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연결대(20)는 제2 발판대(300A,300B)에 단차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방향(x)으로, 제1 체결홀(310) 및 제2 체결홀(21)은 받침대(100)와 정렬되어 배치된다.
연결봉(30)은 제2 발판대(300A,300B)의 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대(20)의 제2 체결홀(21)을 관통하여 제2 발판대(300A,300B)의 제1 체결홀(310)에 결합되어, 연결대(20)를 제2 발판대(300A,300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폐루프 형태로 배치된 평균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봉(30)을 축중심으로 하여 연결대(20)와 제2 발판대(300)가 이루는 각도(연결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평균대 조립체의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평균대(10:10A,10B)들과 연결대(20)등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제1 평균대(10A)와 제2 평균대(10B)를 연결대(20)를 통하여 연결하여, 폐루프 형태로 평균대(10)들과 연결대(20)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대 조립체는 좁은 설치공간에서 평균대(10)의 전체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공간활용도를 높임으로써, 놀이나 운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변형례에 따른 받침대(500)와 변형례에 따른 연결대(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받침대(500)와 연결대(5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변형례에 따른 연결대(50)는 그 일면이 제2 발판대(300)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제2 발판대(300)의 일면과 제2 발판대(300)의 일면 사이의 단차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이동 편의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연결대(50)는 연결대(50)의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51)은 연결대(50)의 단부로서, 그 높이방향 두께(t1)는, 제2 영역(52)의 높이방향 두께(t2)보다 작고, 높이방향(z)으로 제2 발판대(300)와 오버랩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2 영역(52)의 높이방향 두께(t2)는 제2 발판대(300)의 높이방향 두께(t3)보다 크다.
제2 체결홀(51b)은 이러한 제1 영역(5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51)이 제2 발판대(300)의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제1 체결홀(310)과 제2 체결홀(51b)이 정렬된다. 연결봉(30)이 제1 체결홀(310)을 관통하여 제2 체결홀(51b)이 체결되면, 연결대(50)는 제2 발판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영역(51)의 일면(51a)은 제2 발판대(300)의 타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1 영역(51)의 전면(51a)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연결대(50)와 제2 발판대(300)의 연결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연결봉(30)을 축으로 하여 연결대(50)를 회전시킬 때, 제1 영역(51)의 전면(51a)이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대(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을 갖는 연결대(50)의 형상에 대응하여, 받침대(100)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대(500)는 높이방향(z)으로 배치되는 제1 파트(510)와, 제1 파트(510)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배치되는 제2 파트(52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방향(z)으로 제2 파트(520)는 연결대(50)의 제1 영역(51)의 타면과 접촉하여 연결대(50)를 지지할 수 있다. 높이방향(z)으로, 제2 파트(520)는 연결대(50)의 제1 영역(51)과 제1 발판대(200) 사이에 배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평균대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평균대
20,50: 연결대
30,40: 연결봉
21,51b: 제2 체결홀
100,500: 받침대
200: 제1 발판대
300: 제2 발판대
310: 제1 체결홀
400: 휠

Claims (5)

  1. 높이방향으로 일면에 홈이 배치된 복수 개의 받침대;
    받침대의 타면에 결합하는 제1 발판대;및
    받침대의 홈에 결합하는 제2 발판대을 포함하고,
    제1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은 제2 발판대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고,
    받침대의 일면은 제2 발판대와 적어도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돌출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평균대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일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와 타측의 평균대의 제2 발판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평균대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제2 발판대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연결대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높이방향으로, 제2 발판대와 연결대가 오버랩된 상태에서,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2 체결홀에 결합함으로써, 제2 발판대와 연결대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고,
    연결봉을 축중심을 하여, 연결대와 제2 발판대의 연결각도가 조절되는 평균대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연결대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의 높이방향 두께는, 제2 영역의 높이방향 두께보다 작고,
    제1 영역은 높이방향으로 제2 발판대와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제2 체결홀은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연결대의 일면과 제2 발판대의 일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균대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제1 영역의 일면은 제2 발판대의 타면과 접촉하되, 제1 영역의 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연결대의 단부의 회전공간을 확보하는 평균대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받침부에 배치되는 휠을 더 포함하고,
    휠은 상기 받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휠의 접촉면은 높이방향으로 받침부의 일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평균대 조립체.
KR1020210113649A 2021-08-27 2021-08-27 평균대 조립체 KR10262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49A KR102626710B1 (ko) 2021-08-27 2021-08-27 평균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49A KR102626710B1 (ko) 2021-08-27 2021-08-27 평균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26A true KR20230031426A (ko) 2023-03-07
KR102626710B1 KR102626710B1 (ko) 2024-01-18

Family

ID=8551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49A KR102626710B1 (ko) 2021-08-27 2021-08-27 평균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3152U (zh) * 2009-10-09 2010-08-11 宋玉芳 新型平衡木
KR20120113444A (ko) * 2011-04-05 2012-10-15 서정수 좁아지는 평균대 놀이교구
KR20170069791A (ko) 2015-12-11 2017-06-21 경상남도 (교육청) 조립식 평균대
CN206549044U (zh) * 2017-01-19 2017-10-13 北京睿优铭管理咨询有限公司 幼儿平衡木
US20190201728A1 (en) * 2018-01-02 2019-07-04 Yen-Po Chiu Balance beam gam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43152U (zh) * 2009-10-09 2010-08-11 宋玉芳 新型平衡木
KR20120113444A (ko) * 2011-04-05 2012-10-15 서정수 좁아지는 평균대 놀이교구
KR20170069791A (ko) 2015-12-11 2017-06-21 경상남도 (교육청) 조립식 평균대
CN206549044U (zh) * 2017-01-19 2017-10-13 北京睿优铭管理咨询有限公司 幼儿平衡木
US20190201728A1 (en) * 2018-01-02 2019-07-04 Yen-Po Chiu Balance beam gam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10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2768A (en) Rollable fulcrum balancing board recreational and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non-linear stabilization features
US4055341A (en) Tilting maze race game
US3895794A (en) Rollable fulcrum balancing board recreational and exercise device provided with non-linear stabilization features
CA2353663C (en) Recreational balancing apparatus
CA2027717C (en) Ski exercising apparatus
EP0963766A1 (en) Buffer structure for a jogging machine
JP2009539530A (ja) バランスボード
KR20060116674A (ko) 전방향 진행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20230031426A (ko) 평균대 조립체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KR102248791B1 (ko) 포터블 밸런스 보드
US3995852A (en) Teeter board device
JP2015084873A (ja) クライミング遊具
KR101098189B1 (ko) 지네시소
EP0464280A1 (en) Semi-stable balance board toy
JP3206886U (ja) 多機能リズムボード
US7001311B2 (en) Playground equipment
KR101750719B1 (ko) 세차운동을 하는 시소
KR20230018840A (ko) 스케이트 보드
CN211410968U (zh) 一种儿童玩具木马
JP3141773U (ja) 折り畳み式脚立
CN2336834Y (zh) 直排溜冰鞋分离式避震底座
CN209548595U (zh) 一种新型空中网道
KR100648645B1 (ko) 다방향 스케이트보드
KR200353883Y1 (ko) 승물놀이구용 보조발판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