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189B1 - 지네시소 - Google Patents

지네시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189B1
KR101098189B1 KR1020110060615A KR20110060615A KR101098189B1 KR 101098189 B1 KR101098189 B1 KR 101098189B1 KR 1020110060615 A KR1020110060615 A KR 1020110060615A KR 20110060615 A KR20110060615 A KR 20110060615A KR 101098189 B1 KR101098189 B1 KR 10109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esaw
bearing
averag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주)보아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아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보아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6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구비되고 중심이 축 결합된 평균대와, 상기 평균대의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시소에 있어서, 상기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의 평균대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평균대의 끝단부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전면(前面)에 체결되는 지지구와, 스프링의 끝단에 걸려 상기 지지구의 통공 및 고정구의 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U볼트와, 상기 U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네시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평균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평균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시소 구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모든 시소가 연동되어 좌우상하, 즉 역학적으로 움직여 놀이기구의 유희성을 극대화할 뿐더러 기존 시소의 단순한 상하 움직임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에게 시소의 역학적 움직임에 의한 새로운 공간을 자각하게 하여 창의력 개발과 함께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기능으로 인해 직접적인 몸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레저산업의 활황으로 인한 새로운 놀이기구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지네시소{Seesaw}
본 발명은 지네시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평균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평균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시소 구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모든 시소가 연동되어 좌우상하, 즉 역학적으로 움직여 놀이기구의 유희성을 극대화할 뿐더러 기존 시소의 단순한 상하 움직임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에게 시소의 역학적 움직임에 의한 새로운 공간을 자각하게 하여 창의력 개발과 함께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기능으로 인해 직접적인 몸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레저산업의 활황으로 인한 새로운 놀이기구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지네시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소는 양쪽 끝에 사람이 타고 서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어린이용 놀이기구의 일종으로, 2인이 1조가 되어 지지대 상에 중심이 힌지 결합된 평균대의 양끝에 앉아 서로 무게를 느끼며 균형감각 및 조정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되며, 놀이터 등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널리 알려진 놀이기구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시소는 단순한 상하 움직임으로 인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즐거움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고, 또 무게 중심에 의해 시소가 기울어지는 통상적인 작동에 의해 서로 체중의 차이가 많이 나는 어린이들은 시소놀이를 할 수 없어 오히려 그 유희성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소는 단순한 상하 움직임에 의한 시소놀이만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어린이들에게 그 이상의 다른 학습의욕이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뿐더러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습효과를 얻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부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평균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평균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시소 구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모든 시소가 연동되어 좌우상하, 즉 역학적으로 움직여 놀이기구의 유희성을 극대화할 뿐더러 기존 시소의 단순한 상하 움직임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에게 시소의 역학적 움직임에 의한 새로운 공간을 자각하게 하여 창의력 개발과 함께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기능으로 인해 직접적인 몸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레저산업의 활황으로 인한 새로운 놀이기구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지네시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네시소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구비되고 중심이 축 결합된 평균대와, 상기 평균대의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로 이루어진 시소에 있어서, 상기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의 평균대가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평균대의 끝단부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전면(前面)에 체결되는 지지구와, 스프링의 끝단에 걸려 상기 지지구의 통공 및 고정구의 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U볼트와, 상기 U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외측으로는 자브라 형태의 커버가 씌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 결합구조는, 상기 평균대의 중심부에는 축 결합구가 끼움·고정되고, 상기 축 결합구의 양내측 하단에는 평균대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1 샤프트가 베어링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제1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저부 중심에는 평균대의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2 샤프트가 베어링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지지 및 베어링의 결합을 위한 베어링 고정구는 지지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평균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평균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평균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시소 구동에 의해 이와 연결된 모든 시소가 연동되어 좌우상하, 즉 역학적으로 움직여 놀이기구의 유희성을 극대화할 뿐더러 기존 시소의 단순한 상하 움직임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에게 시소의 역학적 움직임에 의한 새로운 공간을 자각하게 하여 창의력 개발과 함께 원을 그리며 움직이는 기능으로 인해 직접적인 몸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레저산업의 활황으로 인한 새로운 놀이기구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지네시소의 연결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지네시소의 축 결합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네시소(100)는, 지지대(101)와, 상기 지지대 상(101)에 구비되고 중심이 축 결합된 평균대(102)와, 상기 평균대(102)의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103)로 이루어진 시소에 있어서, 상기 평균대(102)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의 평균대(102)가 연결부(11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110)는, 인접한 평균대(102)의 끝단부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111)와, 상기 고정구(111)의 전면(前面)에 체결되는 지지구(112)와, 스프링(114)의 끝단에 걸려 상기 지지구(112)의 통공(112a) 및 고정구(111)의 장공(111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U볼트(113)와, 상기 U볼트(113)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구(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U볼트(113)가 관통되는 다수의 장공(111a) 및 지지구(112)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111b)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한 쌍의 결합공(111c)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111c)을 통한 체결수단(111d)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구(111)가 평균대(102)의 끝단부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공(111c)에 대응하는 고정공(102a)이 상기 평균대(102)의 끝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장공(111a)은 하기의 지지구(112) 및 U볼트의 안정적인 지지와 결합을 위해 등간격으로 3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구(112)는 스프링(114)의 고정을 위한 U볼트(113)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볼트(113)의 양단이 관통되는 한 쌍의 통공(112a)이 상기 고정구(111)의 장공(11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체결수단(112c)에 의해 상기 지지구(112)를 고정구(111)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12b)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U볼트(113)는 스프링(114)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U볼트(113)는 상기 스프링(114)의 양단을 걸어 상기 지지구(112)의 통공(112a), 고정구의 장공(11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고정된다.
상기 스프링(114)은 일측 평균대(102)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에 의해 타측 평균대(102)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즉 다수의 평균대(102)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스프링(114)의 외측으로는 자브라 형태의 커버(115)를 씌워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스프링(114)의 사이에 끼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커버(115)는 평균대(102)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에 의해 스프링(114)이 구부러질 때 커버(115) 또한 구부러지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네시소(100)의 축 결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대(102)의 중심부에는 축 결합구(120)가 끼움·고정되고, 상기 축 결합구(120)의 양내측 하단에는 평균대(102)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1 샤프트(121)가 베어링(122)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제1 샤프트(12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4)의 저부 중심에는 평균대(102)의 좌우 움직임, 즉 회전가능토록 제2 샤프트(125)가 베어링(126)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제2 샤프트(125)의 지지 및 베어링(126)의 결합을 위한 베어링 고정구(127)는 지지대(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샤프트(121)는 평균대(102)의 중심에 상기 평균대(10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축 결합구(120)의 내측 양단에 베어링 고정구(123)에 의해 고정된 베어링(122)에 축 결합된다.
물론 상기 축 결합구(120) 및 베어링 고정구(123)는 체결수단(102a,123a)에 의해 각각 평균대(102)와 축 결합구(120)에 고정됨은 당연하다.
나아가 상기 제1 샤프트(121)는 지지프레임(124)에 의해 지지·고정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124)의 저부 중심에는 제2 샤프트(125)가 베어링(126)에 축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제1 샤프트(121)에 의해 평균대(102)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제2 샤프트(125)에 의해 평균대(102)는 제한된 범위, 즉 스프링(114)의 탄성력과 복원력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물론 상기 평균대(102)의 좌우 움직임은 상기 평균대(102)의 회전을 의미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지네시소
101: 지지대 102: 평균대
103: 손잡이 110: 연결부
111: 고정구 112: 지지구
113: U볼트 114: 스프링
115: 커버 120: 축 결합구
121: 제1 샤프트 122,126: 베어링
123,127: 베어링 고정구 124: 지지프레임
125: 제2 샤프트

Claims (3)

  1. 지지대(101)와, 상기 지지대 상(101)에 구비되고 중심이 축 결합된 평균대(102)와, 상기 평균대(102)의 상측에 구비된 손잡이(103)로 이루어진 시소에 있어서,
    상기 평균대(102)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의 평균대(102)가 연결부(11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110)는, 인접한 평균대(102)의 끝단부에 끼움·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111)와, 상기 고정구(111)의 전면(前面)에 체결되는 지지구(112)와, 스프링(114)의 끝단에 걸려 상기 지지구(112)의 통공(112a) 및 고정구(111)의 장공(111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U볼트(113)와, 상기 U볼트(113)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구(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1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네시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14)의 외측으로는 자브라 형태의 커버(115)가 씌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네시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결합구조는, 상기 평균대(102)의 중심부에는 축 결합구(120)가 끼움·고정되고, 상기 축 결합구(120)의 양내측 하단에는 평균대(102)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1 샤프트(121)가 베어링(122)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제1 샤프트(12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4)의 저부 중심에는 평균대(102)의 좌우 움직임, 즉 회전가능토록 제2 샤프트(125)가 베어링(126)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제2 샤프트(125)의 지지 및 베어링(126)의 결합을 위한 베어링 고정구(127)는 지지대(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네시소.
KR1020110060615A 2011-06-22 2011-06-22 지네시소 KR10109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15A KR101098189B1 (ko) 2011-06-22 2011-06-22 지네시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15A KR101098189B1 (ko) 2011-06-22 2011-06-22 지네시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189B1 true KR101098189B1 (ko) 2011-12-23

Family

ID=4550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615A KR101098189B1 (ko) 2011-06-22 2011-06-22 지네시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94B1 (ko) * 2015-09-14 2016-09-26 (주)보아스코리아 다관절 시소
KR102611097B1 (ko) 2023-01-13 2023-12-06 박윤희 회전형 멀티 탄성 다리
KR102663481B1 (ko) 2023-01-13 2024-05-03 박윤희 고정형 멀티 탄성 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9Y1 (ko) 2006-10-24 2007-12-07 예건산업 주식회사 다인승 연동형 시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9Y1 (ko) 2006-10-24 2007-12-07 예건산업 주식회사 다인승 연동형 시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694B1 (ko) * 2015-09-14 2016-09-26 (주)보아스코리아 다관절 시소
KR102611097B1 (ko) 2023-01-13 2023-12-06 박윤희 회전형 멀티 탄성 다리
KR102663481B1 (ko) 2023-01-13 2024-05-03 박윤희 고정형 멀티 탄성 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4021A (en) Amusement and exercising toy
CN101601897B (zh) 具有保护圈的小蹦床
KR101098189B1 (ko) 지네시소
EP3017851B1 (en) Generation swing seat
US8951132B2 (en) Children's rocker
CN102361671A (zh) 朝前后倾斜椅子而摇荡的秋千
KR20100006523U (ko) 다용도 체육기구의 지지베이스
US5364313A (en) Child entertainment device
KR20120120126A (ko) 회전 놀이 기구
KR102163804B1 (ko) 트렘플린기구의 스펙조절수단
KR100823079B1 (ko) 트램폴린
CN103767372A (zh) 坐式多向转动摆摇椅
KR101780901B1 (ko) 악기가 구비된 트램펄린
CN201441773U (zh) 跳跳健身器
CN201880352U (zh) 趣味拼图玩具
US20060063646A1 (en) Play/athletic training appliance
KR101057979B1 (ko) 어린이 놀이기구
JP3165098U (ja) 登攀運動系遊具
KR20110028411A (ko) 어린이 놀이용 시소
KR20110076851A (ko) 시소장치
CN213407711U (zh) 一种趣味秋千
KR101750719B1 (ko) 세차운동을 하는 시소
CN218129828U (zh) 一种滑索器材
KR20140044543A (ko) 시소가 부착된 테이블
KR200443823Y1 (ko) 시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