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866A -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866A
KR20230030866A KR1020210113042A KR20210113042A KR20230030866A KR 20230030866 A KR20230030866 A KR 20230030866A KR 1020210113042 A KR1020210113042 A KR 1020210113042A KR 20210113042 A KR20210113042 A KR 20210113042A KR 20230030866 A KR20230030866 A KR 2023003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uva
skin
juniper
in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377B1 (ko
Inventor
김태영
문주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씨
Priority to KR102021011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UVA에 의해 유발된 광노화(photoaging) 및 주름 형성 등과 같은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FOR INHIBITING OR PREVENTING SKIN DISEASE AND SKIN DAMAGE CAUSED BY ULTROVIOLET A}
본 발명은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UVA에 의해 유발된 광노화(photoaging) 및 주름 형성 등과 같은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것이 가능한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과도하게 조사되는 경우,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나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표피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80~320 nm) 및 UVC (200~280 nm)로 구분되며, 이 중 지표에 도달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 및 UVB로 알려져 있다.
UVA 또는 UVB에 의한 노출은 피부 내에서 자유라디칼(free radical) 형성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DNA, 세포막 및 단백질 등 세포성분들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UVA 또는 UVB로 유도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된 개발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94891호에는 해룡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4891호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출원인은 줄풀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이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 특히 UVA에 의해 유발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 및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잔사물에 대한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은 줄풀을 펙티나아제(pecti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nase),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아제(xylanas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소로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줄풀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칼슘 이온의 피부 세포 내 유입을 억제하거나,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세포 내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풀 추출물은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3 (Matrix Metalloproteinase-3) 및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9)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에 대한 억제 또는 예방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줄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이라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세포 내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을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에 대한 억제 또는 예방 효과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세포 생존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원형질막 붕괴 정도 및 propidium iodide (PI)의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calcium influx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은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LAMPs 분비량의 변화(total level & secreted level)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cathepsin B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cathepsin B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gelatin zymography 결과이다.
도 7은 UVA 조사 후,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 처리된 HDF (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의 NF-κB의 활성화도 및 MMP-3의 분비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 및 도 9는 UVA 조사된 동물 모델의 피부 조직 내 LAMP-1 및 collagen-1의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80~320 nm) 및 UVC (200~280 nm)로 구분되며, 이 중 UVC는 대부분이 오존층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지표에 도달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 및 UVB로 알려져 있다. 이 중 UVA는 UVB보다 파장이 길어 단기간 조사에 따른 위력은 미미할 수 있으나, UVB 대비 긴 파장으로 인해 피부 깊숙이 침투해 표피와 진피까지 도달하여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UVA와 UVB는 각각 파장의 길이가 다를 뿐만 아니라, 피부 내 도달 깊이 및 피부 내 손상을 일으키는 기전 등이 다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은 특히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 효과능을 발휘할 수 있다.
UVA에 의해 유발 가능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은 (예를 들어, 진피 수분 함량 저하에 따른) 피부 건조, 피부 홍반, 색소침착, (예를 들어, 주름 형성 등과 같은) 광노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UVA에 의해 유발 가능한 다양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억제" 또는 "예방"은 "치료", "개선" 또는 "방지" 등의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정의된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이 발생한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증상이 치료, 호전, 개선, 완화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이 치료, 호전, 개선, 완화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줄풀 추출물은 안전한 천연 제제로서 줄풀을 사용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단일 화합물과 다르게 인체 적용에 부작용 없이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소좀은 다양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산성 소기관이다. 리소좀은 각질화 및 색소 침착과 같은 피부 생리학 및 염증 및 종양과 같은 피부 병태 생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UVA는 멜라닌 세포에서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를 유도하여 케라티노사이트로 전달되는 세포외 운반체(extracellular vehicle)의 쉐딩(shedding)을 야기한다. 즉, UVA는 리소좀 세포외배출에 의해 멜라노사이트를 손상시켜 피부의 UV 보호 시스템을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세포질 구획(cytosolic compartment) 내 리소좀 파괴는 직접적인 세포 손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피부 세포의 사멸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줄풀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 대표적으로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세포 내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을 억제함으로써 리소좀 세포외배출에 의한 캐스케이드 효과를 방지하고, 나아가 억제함으로써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이 치료, 호전, 개선, 완화할 수 있게 된다.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 또는 상기 기전의 결과로는 칼슘 이온의 피부 세포 내 유입 또는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3 (Matrix Metalloproteinase-3) 및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9)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현의 증가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 및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잔사물에 대한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효소 처리에 사용된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nase),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아제(xyla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상기 줄풀 추출물은 후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됨에 따라, 상기 줄풀 추출물 중 트리신 배당체 및 유도체 배당체의 당을 분해하여 생체 이용율을 증가시키고 트리신 배당체 및 유도체의 배당체보다 활성이 뛰어난 비배당체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줄풀 추출물 내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성분들의 체내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및 플라보노이드 비배당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줄풀 추출물은 tricin, tricin-7-O-β-D-glucopyranose, salcolin A, sacolin B, sacolin C, salcolin D, tricin-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tricin-4'-O-(erythr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tricin-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및 tricin-4'-O-(erythr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풀 추출물 중 트리신의 함량은 0.1 wt% 내지 90 wt%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줄풀 추출물 이외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Ca, Mg, Zn, 레시틴, 알라닌, 타우린, 말톨, 과당, 올리고당, 영지, 글루메이트, 키토산, 아스파라긴산, 동충하초, 헛개나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밀크시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줄풀 추출물 이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풀 추출물과 상기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제조 방법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줄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원의 약학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상기 줄풀 추출물은 (1) 줄풀에 물을 첨가하고 열수 침지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열수 침지 후 냉각한 침지물에, 펙티나아제(pecti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nase),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아제(xyla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킨 뒤 여과하여 효소 처리 추출물을 얻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여과하고 남은 잔사에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2)의 효소 처리 추출물과 상기 단계 (3)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한 후 농축 또는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열수 침지는 줄풀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20℃내지 130℃에서 5분 내지 10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줄풀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50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10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줄풀에 5 내지 3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70℃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냉각은 10℃내지 9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5℃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침지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80 중량부의 효소를 처리할 수 있는 바, 효소가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게 처리되면 효소 양이 너무 적어 상기 줄풀 열수 침지물에 존재하는 트리신을 전구체로부터 원활하게 분리 및 전환해내기 어려우며, 반대로 너무 많이 처리되면, 트리신 전구체 이외의, 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물질이 높은 함량으로 함께 추출되어 트리신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효능이 저하된 추출물이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도 제조공정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단계 (2)에서, 효소를 처리하고 10℃내지 90℃에서 5분 내지 120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내지 80℃에서 5분 내지 120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에서 5분 내지 48시간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5℃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효소를 반응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적정 효소의 반응시간은 효소의 첨가량에 대하여 반비례하므로, 효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반응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2)의 효소 처리 방법은 추출액에 효소를 직접 추가하여 반응시키고 반응 후 효소를 불활성화하거나, 효소 고정화 방식에 의한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효소 처리 후 반응 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효소 처리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줄풀 열수 침지물에 존재하는 트리신 전구체로부터 트리신으로의 전환률이 낮아지고, 반대로 효소 처리 반응 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업적으로 제조공정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효소들의 복합체는 정제된 단일효소의 복합 또는 상업화된 복합효소를 1개 이상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화된 효소의 예로서, 펙티넥스 XXL (Pectinex XXL) 및/또는 비스코자임 L (Viscozyme 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에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셀룰라아제 및 헤미셀룰라아제의 3가지 효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바, 특히 이와 같이 3종의 효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종 트리신의 함량 및 수율이 가장 높았고, 그 기능성 또한 현저히 우수하였음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에서, 효소는 줄풀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를 플라보노이드 비배당체로 전환할 수 있다. 트리신 배당체 및 유도체의 배당체들은 당의 결합이 모두 R-O-β-D-glucopyranose로 트린신 및 유도체의 구조에 포도당이 베타의 결합으로 결합한 배당체들이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잔사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의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2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10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내지 100℃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잔사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의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50℃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는 바, 상기 추출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활성에 트리신 및 유효성분들의 추출 수율이 낮아지며, 추출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유효성분들이 파괴되거나, 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물질이 높은 함량으로 함께 추출되어 효능이 저하된 추출물이 제조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5 내지 95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즉,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 추출은 5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80℃에서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추출 조건에서 추출될 때 트리신의 함량, 수율 내지 기능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4)에서 혼합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거나, 농축액을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3)의 추출 전에 초음파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와 마이크로파를 병용하여 조사할 수도 있다.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에 초음파 또는/및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에 대한 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초음파는 15 내지 25 kHz 및 500 내지 800 와트로 2 내지 30분간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파는 2000 내지 3000 MHz 및 50 내지 400 와트로 5 내지 60초간 조사될 수 있는 바, 초음파 또는 마이크로파의 조사 에너지 및 조사 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조사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물질의 추출률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혼합물을 대상으로, 통상의 여과 방법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거나 여과체 또는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체는 1 내지 200 μm, 마이크로 필터는 0.2 내지 0.8 μm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본원에서 정의된 약학 조성물과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이상으로 특별히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오는 기능, 즉 생체 방어, 질병의 예방 및 회복, 신체 리듬의 조절 등의 기능을 가진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다양한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기전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유효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장내 환경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풀 추출물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2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UVA에 의해 유발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 효능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서 상기 줄풀 추출물을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줄풀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제조예. 줄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시판되는 줄풀 100g을 조 분쇄하여 칭량한 후, 20배수 중량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침지하였다. 이어서, 상기 열수 침지물에 Pectinex XXL 및 Viscozyme L을 각각 줄풀 투입량 기준 0.3중량%가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한 다음 pH를 4.5로 맞추고 35℃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1차 여과하여 110℃에서 효소를 불활성화 하여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Pectinex XXL은 펙티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및 아라비나아제를 포함하는 다효소 복합체(multi-enzyme complex)이며, Viscozyme L은 아라비나아제,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및 자일라아제를 포함하는 다효소 복합체이다.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잔사물에 10배수 중량의 50w/w% 발효 주정을 투입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2차 여과하여 줄풀 주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과 상기 줄풀 주정 추출물을 혼합한 후 멸균하여 줄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줄풀 추출물 중 트리신의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HPLC 분석한 결과, 상기 줄풀 추출물 1g 당 트리신의 함량은 0.9mg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1. In-vitro 시험
(1) 세포 모델 준비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를 각각 다른 농도의 줄풀 추출물(0.5, 1μg/mL) 또는 트리신(1ng/mL)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 배지로 교체하였으며, 이어서 UVA (20J/cm- 2)를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2) 세포 생존률 평가
UVA가 조사되지 않은 경우, 세포 생존률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효 성분 세포 생존률(%)
실시예 1 줄풀 추출물(0.5μg/mL) 100.4±3.6
실시예 2 줄풀 추출물(1μg/mL) 99.7±5.5
참조예 1 트리신(1ng/mL) 96.5±6.8
참조예 2 - 100
UVA 조사 후,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참조예 1의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대비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참조예 1의 세포 생존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A 조사 후 원형질막(plasma membrane)의 붕괴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UVA 조사 후 원형질막의 붕괴가 발생하며, propidium iodide (PI)의 흡수율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막의 붕괴 및 막 투과도 증가가 거의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UVA-유도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 lysosomal shedding) 억제 평가
UVA 조사 후 calcium ion influx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UVA 조사 후 손상된 세포막을 통한 calcium ion influx가 증가하나,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calcium ion influx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A 조사에 의해 lysosomal associated membrane proteins (LAMPs)의 분비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AMP는 세포 내 가수분해효소의 수송 및 막 융합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UVA는 원형질막 내 LAMP의 localization를 일으키고, 리소좀 세포외배출을 야기하여 손상된 세포막을 통해 세포외 기질로부터 calcium ion의 유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음성 대조군 대비 총 LAMPs 양 및 분비된 LAMPs 양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소좀 세포외배출은 리소좀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의 분비를 유도하여 ECM을 파괴함으로써 VEFG나 FGF와 같은 다양한 성장 인자의 분비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Cathepsin B의 발현 정도는 변함이 없으나, UVA 조사된 HDF 세포에서 UVA 조사되지 않은 세포 대비 cathepsin B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cathepsin B의 분비는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의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UVA 조사된 세포에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이 처리된 경우, cathepsin B의 발현을 변하시키지는 않으나, 분비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athepsin B는 MMP-2 및 MMP-9 등과 같은 pro-MMP를 활성화시켜 ECM의 분해 또는 주름을 형성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gelatin zymography 결과로부터, UVA 조사가 MMP-2 및 MMP-9의 발현의 증가를 야기하며, 특히 MMP-9의 활성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의 처리는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의 발현 및 MMP-9의 활성화를 줄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항산화 평가
UVA 유도된 ROS 및 관련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 광과민성을 매개하고, 주름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A를 조사한 HDF의 ROS는 UVA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 대비 116.7% 증가했으며,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UVA 조사군 대비 ROS가 각각 61.5%, 64.2%, 44.0% 감소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NF-κB의 활성화는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반면,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NF-κB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A 조사에 의해 NF-κB가 활성화된 후, MMP-3의 분비 수준이 상향 조절되는 반면, 줄풀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처리한 경우, MMP-3의 분비 수준이 하향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풀 추출물은 산화 및 NF-κB의 활성화 및 MMP-3 발현 등과 같은 이의 캐스케이드 효과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In-vivo 시험
(1) 동물 모델 준비
동물 모델로서 6주령 암컷 SKH-1 hairless mice를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아래와 같이 각각 10마리씩 6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 실시예 3 :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100 mg/kg/day) 투여;
- 실시예 4 : UVA 조사 후 줄풀 추출물(200 mg/kg/day) 투여;
- 참조예 3 : UVA 조사 후 트리신(0.5 mg/kg/day) 투여;
- 참조예 4 : UVA 조사 후 아스코르브산(50 mg/kg/day) 투여;
- 참조예 5 : UVA 조사하지 않고, vehicle (PBS) 투여
- 비교예 2 : UVA 조사 후 vehicle (PBS) 투여
-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참조예 4에서 줄풀 추출물, 트리신, 아스코르브산 은 10주 동안 매일 경구로 투여되었다.
(2) 피부 손상 보호 평가
줄풀 추출물 및 트리신이 UVA 조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줄풀 추출물 및 트리신 처리 후 5주, 8주, 10주에 SKH-1 무모 마우스에서 UVA 조사된 등 피부(dorsal skin)의 진피 수분 함량(dermal moisture content), TEWL 및 진피 홍반 지수(dermal erythema index)를 측정했다.
참조예 5,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피부 수분 함량은 각각 5주차에서 50.2±2.8, 34.1±3.0, 35.8±2.3, 36.3±1.5, 38.8±2.5 및 38.3±1.8 AU, 8주차에서 각각 51±2.3, 36.9±3.1, 44±2.4, 43.4±2.1, 42.4±1.1 및 44.8±1.6 AU, 10주차에서 각각 53.3±2.0, 35.1±3.5, 47.6±2.5, 50.6±1.9, 50.7±1.9 및 52.7±1.9 AU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진피 수분 함량은 참조예 5 대비 5주, 7주 및 10주차에서 각각 47%, 38% 및 51.5%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진피 수분 함량은 비교예 2 대비 처리 10주차에서 각각 35.4%, 44%, 44.4% 및 44.9%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참조예 5,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TEWL은 각각 5주차에서 9.5±0.9, 11.9±1.3, 11.7±0.7, 11.4±1.1, 9.1±1 및 10.3±0.8g/h/m2, 8주차에서 각각 8.2±0.4, 11.8±0.5, 9.4±0.5, 10±0.3, 9.5±0.5 및 9.4±0.4 g/h/m2, 10주차에서 5.9±0.5, 10.2±0.7, 7.2±0.4, 7.3±0.3, 7.5±0.5 및 6.8±0.4g/h/m2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TEWL이 참조예 5에 비해 8주차 및 10주차에서 각각 30.2% 및 41.5%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에서 TWEL의 결과는 비교예 2 대비 8주차에서 각각 20.1%, 15.5%, 18.9% 및 20.4%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10주차에서 각각 29.3%, 28.1%, 26.4% 및 32.9% 감소하였다.
참조예 5,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홍반 지수는 각각 5주차에서 221±6.9, 220.4±8.3, 223.1±8.2, 204.5±10.6, 229.9±9.8 및 214.8±8, 8주차에서 각각 232.7±8.3, 275.4±5.9, 253.6±9.2, 246.8±5.3, 243.6±8.3 및 243±6.9, 10주차에서 각각 229.6±5.7, 269.8±11, 240.5±10.9, 247.3±7, 242.3±5.7 및 244.5±9.2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홍반은 참조예 5에 비해 8주차 및 10주차에서 각각 15.5% 및 14.9%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실시예 4 및 참조예 3 그룹의 경우 비교예 2 대비 8주차에서 각각 10.4% 및 11.5% 유의하게 감소했다.
즉, UVA 조사는 수분 함량을 감소시키고 TEWL과 홍반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상기 결과로부터 UVA 조사에 의한 피부의 표면 손상이 아스코르브산 및 트리신의 경구 투여와 마찬가지로 줄풀 추출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억제, 예방 또는 완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주름 형성 억제 평가
주름 형성에 대한 줄풀 추출물 및 트리신의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Visiloine VL650을 사용하여 UVA 조사된 SKH-1 무모 마우스의 등쪽 피부에서 주름의 평균 깊이 및 주름의 평균 길이를 측정했다.
참조예 5,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평균 주름 깊이는 4주차에서 각각 22.5±1.4, 27.4±1.9, 20.8±1.4, 25.7±1.3 및 21.5±1.8μm, 8주차에서 각각 22.1±0.9, 26.4±1.4, 27.3±2.3, 30±0.8, 25.8±2.4 및 25.3±1μm, 10주차에서 각각 20.5±1.3, 37.6±3, 33.1±2.7, 32.2±3.4, 30.4±2.1 및 26.6±2.5μm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조예 5, 비교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평균 주름 길이는 4주차에서 각각 108±8.6, 150±16.4, 112±24, 114±16.3, 138±2 및 108±14.6μm, 8주차에서 106±6, 140±14.8, 142±21.3, 172±28.2, 124±16.3 및 134±9.3μm, 10주차에서 각각 88±10.2, 244±42.8, 206±37.7, 166±28.9, 158±21.8 및 154±34.7μ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평균 주름 길이는 참조예 5 대비 10주차에서 63.9%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의 평균 주름 길이는 비교예 2 대비 10주차에서 각각 32%, 35.2% 및 36.9%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UVA 조사는 피부 내 수분 함량을 감소시키는 등 피부 표면에 주름 형성을 촉진시키나, 상기 결과로부터 UVA 조사에 의한 피부 표면의 주름 형성이 아스코르브산 및 트리신의 경구 투여와 마찬가지로 줄풀 추출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억제, 예방 또는 완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UVA-유도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 lysosomal shedding) 억제 평가
줄풀 추출물 및 트리신의 경구 투여가 UVA-유도 리소좀 세포외배출, 특히 LAMP-1 및 collagen-1 단백질의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동물 모델의 등 피부(dorsal skin)로부터 추출된 단백질에 대한 Western blot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 2에서 LAMP-1의 발현량은 참조예 5와 비교할 때 2.28±0.11배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에서 LAMP-1의 발현량은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각각 0.58±0.13, 0.53±0.07, 0.54±0.11 및 0.51±0.13배로 측정되었다. 특히,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실시예 4에서 LAMP-1의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2에서 collagen-1의 발현량은 참조예 5와 비교할 때 0.38±0.11배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 3, 실시예 4, 참조예 3 및 참조예 4 그룹에서 collagen-1의 발현량은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각각 1.19±0.14, 1.74±0.2, 1.47±0.19 및 1.43±0.17배로 측정되었다. 특히,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실시예 4에서 collagen-1의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UVA 조사에 의해 피부 조직 내 LAMP-1 및 collagen-1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변할 수 있으며,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리소좀 세포외배출이 아스코르브산 및 트리신의 경구 투여와 마찬가지로 줄풀 추출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억제, 예방 또는 완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칼슘 이온의 피부 세포 내 유입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세포 내 리소좀 세포외배출(Lysosomal Exocytosis)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3 (Matrix Metalloproteinase-3) 및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9)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 및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을 수득하고 남은 잔사물에 대한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추출물;
    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효소 처리 추출물은 줄풀을 펙티나아제(pectin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nase),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아제(beta-glucanase) 및 자일라아제(xylanas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소로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풀 추출물은 tricin, tricin-7-O-β-D-glucopyranose, salcolin A, sacolin B, sacolin C, salcolin D, tricin-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tricin-4'-O-(erythr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tricin-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 및 tricin-4'-O-(erythro-β-guaiacylglyceryl) ether 7"-O-β-D-glucopyranos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Ultraviolet 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113042A 2021-08-26 2021-08-26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582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42A KR102582377B1 (ko) 2021-08-26 2021-08-26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42A KR102582377B1 (ko) 2021-08-26 2021-08-26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66A true KR20230030866A (ko) 2023-03-07
KR102582377B1 KR102582377B1 (ko) 2023-09-25

Family

ID=8551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42A KR102582377B1 (ko) 2021-08-26 2021-08-26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99B1 (ko) * 2004-06-22 2005-05-19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1194891B1 (ko) 2010-04-15 2012-10-2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해룡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조성물
KR20160080513A (ko) * 2014-12-29 2016-07-08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99B1 (ko) * 2004-06-22 2005-05-19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1194891B1 (ko) 2010-04-15 2012-10-2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해룡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조성물
KR20160080513A (ko) * 2014-12-29 2016-07-08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ol.27, No.1 (2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77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CN104041828B (zh) 黑枸杞美白祛斑片
KR20090098732A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JP2003095913A (ja) 化粧料組成物又は飲食品
JP4336486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30031590A (ko)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 콜라겐, 블루베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12955A (ko)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용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JP4755325B2 (ja) 絹蛋白質加水分解物由来の生理活性作用組成物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61179B1 (ko) 홍차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48904A (ko) 코스투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KR101440675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04146B1 (ko)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558184B1 (ko) 적포도잎 추출물, 베리 혼합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82377B1 (ko)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uva 유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손상의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0802005B1 (ko) 진세노사이드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
KR102195880B1 (ko) 귀뚜라미 및 갈색거저리 유충의 가압증숙 및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또는 발모 촉진 조성물
KR101223684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