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88A -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388A
KR20230030388A KR1020210112561A KR20210112561A KR20230030388A KR 20230030388 A KR20230030388 A KR 20230030388A KR 1020210112561 A KR1020210112561 A KR 1020210112561A KR 20210112561 A KR20210112561 A KR 20210112561A KR 20230030388 A KR20230030388 A KR 2023003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silicone
weight
coating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457B1 (ko
Inventor
유민
박성현
한민수
박종찬
정혁
김종보
김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1011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4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료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PCM(Pre-Coated Metal) 도료는 우수한 가공성, 경도, 내스크래치성 등을 확보할 수 있어 가전제품용, 건재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재의 외장재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도막에 우수한 내후성이 요구되는 바, 도료 조성물의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공개특허 제2019-0045165호는 실온 경화성 수지와 주석 및 망가니즈를 고용한 정방정계 산화타이타늄 고용체 미립자를 핵으로 하고, 이 핵의 외측에 산화규소의 껍질을 가지는 코어 셸 미립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료 조성물은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열화를 방지하기에 내후성이 부족하여, 특히 일조량이 많은 지역이나 연간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 사용되는 경우, 색상 변화, 광택 저하, 초킹(Chalking) 발생 등 도막의 열화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광택 유지율과 색상 유지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옥외 외장재용 PCM 강판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산기가”와 같은 작용기가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적정(titration)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안료, 용제, 경화 촉진제 및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화제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광택을 부여하며, 내후성, 내식성, 가공성, 내약품성, 경도, 부착성 등 도막의 기본 물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산 모노머와 알코올 모노머를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 모노머로는 지방족 산, 방향족 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디프산(Adip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트리멜리트산 무수물(Trimellitic anhydride), 벤젠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benzenetricarboxylic acid anhydride), 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naphthalene tricarboxylic acid anhydrid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 모노머는 지방족 산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모노머로는 다관능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고,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2-부틸렌글리콜(1,2-But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diol),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글리세롤(Glycerol), 비스페놀-A(BPA), BA320TK와 같은 알콕시화 알코올(alkoxylated alcohol)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알코올 모노머는 2가 또는 3가의 지방족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4,000 g/mol, 예를 들어 1,800 내지 2,000 g/mol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10,000 g/mol, 예를 들어 5,000 내지 7,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부착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 제조 시 뭉침 현상이 발생되어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0 내지 45 ℃, 예를 들어 20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지의 유연성이 높아져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유연성이 낮아져 도료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가는 50 내지 75 KOHmg/g, 예를 들어 55 내지 70 KOHmg/g이고, 고형분 함량은 50 내지 95%, 예를 들어 6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가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수지 내의 OH기가 부족함에 따라 결합력이 저하되어 내수성 및 경화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 내에 OH기가 잔존하여 도료 내 과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가공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기본 물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내식성, 내약품성 및 외관 특성을 발현하고, 다른 기재층과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도막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실리콘 중간체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중간체는 분자 내에 실록산기 또는 메톡시기와 같은 반응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4,000 g/mol, 예를 들어 1,600 내지 2,000 g/mol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2,000 g/mol, 예를 들어 7,000 내지 9,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도막이 브리틀(Brittle)해져 소지와의 부착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뭉침 현상이 발생되어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5 내지 40 ℃, 예를 들어 10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의 유연성이 낮아져 도료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산기가가 90 내지 200 KOHmg/g, 예를 들어 100 내지 180 KOHmg/g이고,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5%, 예를 들어 60 내지 80%이고, 실리콘 함량(고형분 기준)이 15 내지 45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가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반응성이 저하되어 내수성 및 경화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결합으로 인해 가공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료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내후성(색상유지율, 광택유지율, 쵸킹저항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멜라민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멜라민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과 경화 반응을 일으켜 안정한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멜라민 수지로는 메톡시 멜라민 수지, 부톡시 멜라민 수지, 메톡시/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3,000 g/mol, 예를 들어 300 내지 1,000 g/mol이고, 고형분 함량이 70 내지 100%, 예를 들어 7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소지와의 부착성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경화도가 높아져 도막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멜라민 수지의 혼합비(중량비)는 12.5 내지 80 : 1 : 3.5 내지 30, 예를 들어 18 내지 50 : 1 : 4 내지 15, 다른 예로 20 내지 50 : 1 : 6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3종의 수지를 전술한 범위의 비율로 혼용할 경우, 도막 내에 실리콘의 함량이 적정량 잔존하게 되고,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결합에너지가 높아 빛에 의해 쉽게 결합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도막의 우수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배합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결합에너지가 너무 강해져 가공성 및 내후성(색상유지율, 광택유지율, 쵸킹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의 결합에너지가 낮아져 자외선이 강하고 고온 다습한 조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도막의 내후성(색상유지율, 광택유지율, 쵸킹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멜라민 수지의 배합비가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외선이 강하고 고온 다습한 조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내후성(색상유지율, 광택유지율, 쵸킹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안료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유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유색 안료는 도료에 원하는 색상을 부여하거나 도막의 강도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색 안료로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메탈릭 안료, 알루미늄-페이스트(Al-paste), 펄(pearl)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티탄 백색, 시아닌 블루, 산화철 적색, 카본 블랙, 크롬 옐로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경화도 및 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제는 도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제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부틸 카비톨, 이소포론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 등이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도막의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경화 반응을 촉진하고, 도막의 고온 신뢰성 및 연속 작업성의 주기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 촉진제로는 아민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산 화합물 및 주석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경화 촉진제는 p- 톨루엔 설폰산(p-TSA) 등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3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료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레벨링제, 가소제, 침강 방지제, 왁스, 광안정제, 광택 조절제 등이 있다.
레벨링제는 도료 조성물이 평탄하고 매끄럽게 코팅되도록 레벨링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는 도장 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포제로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도료의 침전을 방지하는 침강 방지제(예,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도막 표면에 슬립(slip)성을 부여하는 왁스(예, 파라핀 왁스),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컬을 흡수하는 광안정제(예, HALS), 도막 표면의 경화를 촉진하는 경화 촉진제(예, 트리에틸아민, N,N-디에틸에탄아민), 광택을 조절하는 소광제(예,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첨가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일 경우, 도막의 외관 및 경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12]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안료, 용제, 경화 촉진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각 실험예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2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부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폴리에스테르 수지 1(PE 1): Mn 2,000, Mw 6,600, Tg 21℃, OHV 60, NV 70%
폴리에스테르 수지 2(PE 2): Mn 1,800, Mw 5,600, Tg 25℃, OHV 64, NV 70%
폴리에스테르 수지 3(PE 3): Mn 4,800, Mw 10,000, Tg 15℃, OHV 25, NV 60%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SMP 1): Mn 1,900, Mw 7,700, Tg 15℃, OHV 175.7, NV 70%, Silicon 함량 33%(wt%/solid)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SMP 2): Mn 1,600, Mw 5,600, Tg 18℃, OHV 107.4, NV 70%, Silicon 함량 27%(wt%/solid)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SMP 3): Mn 2,550, Mw 17,900, Tg 19℃, OHV 60, NV 62%, Silicon 함량 26%(wt%/solid)
멜라민 수지 1: Full Methoxy Melamine, Mw 2,000, NV 97%
멜라민 수지 2: Highly methylated melamine, Mw 1,000, NV 76%
용제 1: BLACK TINTER
용제 2: RED TINTER
용제 3: YELLOW TINTER
용제 4: WHITE TINTER
용제 5: Cyclo Hexanone
용제 6: Kocosol #150
안료 1: Fumed Silica Sol'N, Fumed Silica D200(KCC 실리콘)
안료 2: Aerosil 200 Sol'N, Aerosil R972, Fumed Silica, EVONIK INDUSTRIES AG HERMANY
경화 촉진제 1: p-TSA Cat 50% Sol'N
경화 촉진제 2: TEA Sol'N
레벨링제: Thermo Plastic Acryl, NV 62-64%
소포제: Polyolefin(SPECTRANSYN 40)
왁스: PARAFFIN WAX
광안정제: Tinuvin 123, HALS
소광제: Silicone dioxide
[물성 평가]
각 실험예에 따라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가공성
ASTM D4145에 따라, 시편을 굽혀(0T,1T,2T) VICE에 물려 시험한 후, 가공 부위의 CRACK 여부를 확인하였다(15배 확대경).
경화도(MEK Rubbing)
GUAZE에 용제(MEK)를 적신 후 1 kg 하중으로 왕복한 횟수를 측정하였다.
부착성(C.C.E.T.)
시편을 1 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100개의 Cross cut을 한 후, 6 mm 압입하여 테이프로 떼어낸 후 박리 상태를 평가하였다.
연필 경도
ASTM D3363에 따라, Mitsubishi Penci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 - 3H > 2H > H > F > HB > B > 2B)
내약품성
5% NaOH 및 5% HCL에 24시간 침지 후, 도막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촉진 내후성(WOM)
ASTM G155-1에 따라 4,000 시간 조사 후, 색차, 광택 유지율, 초킹을 평가하였다.
(광원: 340 nm Xenon lamp(태양광과 유사), 물: 이온수, 기기: 내부 온도 63℃, 습도 50%, 사이클: Light mode 102분 및 Light and spray mode 18분)
촉진 내후성(QUV-A)
ASTM D4587에 따라, Q-LAB社 QUV-A TEST로 4,000 시간 조사한 후, 색차, 광택 유지율, 초킹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3, 4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를 본 발명에 따른 혼합비로 사용한 실험예 1-8의 도료 조성물의 경우 측정 항목 모두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의 혼합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실험예 9, 10의 도료 조성물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실험예 11, 12의 도료 조성물의 경우, 측정 항목 전반적으로 실험예 1-8에 비해 열세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5)

  1.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멜라민 수지의 혼합비(중량비)가 12.5 내지 80 : 1 : 3.5 내지 30인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4,000 g/mol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0 내지 45 ℃이고, 수산기가가 50 내지 75 KOHmg/g이고,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5%인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4,000 g/mol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2,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 내지 40 ℃이고, 수산기가가 90 내지 200 KOHmg/g이고,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5%이고, 실리콘 함량(고형분 기준)이 15 내지 45 중량%인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3,000 g/mol이고, 고형분 함량이 70 내지 100%인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내지 60 중량%,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0.2 내지 10 중량% 및 멜라민 수지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0210112561A 2021-08-25 2021-08-25 도료 조성물 KR10260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1A KR102602457B1 (ko) 2021-08-25 2021-08-25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61A KR102602457B1 (ko) 2021-08-25 2021-08-25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88A true KR20230030388A (ko) 2023-03-06
KR102602457B1 KR102602457B1 (ko) 2023-11-15

Family

ID=8550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61A KR102602457B1 (ko) 2021-08-25 2021-08-25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4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420A (ja) * 1994-05-27 1996-02-13 Nippon Oil & Fats Co Ltd プレコート鋼板用塗料組成物
KR20160097214A (ko) * 2013-12-17 2016-08-17 발스파 소싱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콘-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코팅
KR20210017543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용성 피씨엠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420A (ja) * 1994-05-27 1996-02-13 Nippon Oil & Fats Co Ltd プレコート鋼板用塗料組成物
KR20160097214A (ko) * 2013-12-17 2016-08-17 발스파 소싱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콘-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코팅
KR20210017543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용성 피씨엠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457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460B1 (ko) 도료 조성물
AU4261900A (en) Addition-crosslinkable epoxy-functional organopolysiloxane polymer and coating composition
WO1998022547A1 (fr) Composition de revetement non salissant
EP1042402B2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US5760137A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WO2014199653A1 (ja) 塗料組成物
JP2021014587A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フィルム
CA2147831A1 (en) An acid-epoxy-melamine coating composition modified with a silane polymer
JP5840132B2 (ja) 耐久性に優れた耐汚染塗料組成物
TW201728611A (zh) 具有優異的耐熱性與溶劑溶解度之聚酯樹脂及包含其之塗覆組成物
CN114502671B (zh) 透明涂料组合物
CA2886932C (en) Paint composition which has excellent staining resistance and paint films obtained by coating same
KR102602457B1 (ko) 도료 조성물
EP0754209B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JP2002309170A (ja) 塗料組成物、塗装仕上げ方法及び塗装物品
KR102640735B1 (ko) 도료 조성물
JPH08259667A (ja) 硬化性樹脂組成物、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形成方法
US5750624A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JP6135861B2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80101788A (ko) 도료 조성물
JP2005179573A (ja) 2液硬化型水性塗料組成物及び水性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4007466B2 (ja) 上塗り塗料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塗装物
JPH0782522A (ja) 塗料用樹脂組成物
CN115260468A (zh) 高耐候聚酯树脂及面漆组合物
JP2000026766A (ja) 耐候性、耐汚染性に優れた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