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55A -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355A
KR20230030355A KR1020210112482A KR20210112482A KR20230030355A KR 20230030355 A KR20230030355 A KR 20230030355A KR 1020210112482 A KR1020210112482 A KR 1020210112482A KR 20210112482 A KR20210112482 A KR 20210112482A KR 20230030355 A KR20230030355 A KR 2023003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or
wire
inspection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664B1 (ko
Inventor
박지윤
주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1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6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4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 G01R13/404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using modulation of a light beam otherwise than by mechanical displacement, e.g. by Kerr effect for discontinuous display, i.e. display of discret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1장착부와,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제 2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2장착부와,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시키면 접촉된 와이어를 통해 제 1커넥터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검사부와, 제 1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제 2커넥터의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 후 판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와이어를 삽입할 핀의 위치를 명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의 오삽입에 의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Guide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 내 모든 전장품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전자제어 모듈에 전기 신호를 전달해주는 배선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커넥터가 복수의 와이어로 연결된 구조를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 개의 커넥터와 와이어들이 하나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와 와이어를 조립하는 연결 공정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연결 공정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커넥터 A의 핀(Pin)마다 하나씩 와이어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각각의 와이어에서 커넥터 A에 연결되지 않은 반대 방향의 단부를 커넥터 B의 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커넥터들에 구비된 핀의 배열 순번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핀들이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어, 커넥터 A의 2번 핀은 커넥터 B의 8번 핀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모든 핀들이 서로 매칭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커넥터 A에 연결된 와이어들과 커넥터 B를 연결하는 공정은 핀의 배열 순번에 따라 상호 매칭되는 핀들을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잘못된 위치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가 용도나 특성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공정이 수월하나, 모든 와이어들이 동일한 색상을 갖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와이어를 삽입하여야 할 핀의 위치를 오인하기 쉽기 때문에 불량의 발생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와 와이어의 조립 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의 오삽입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1장착부;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제 2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2장착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시키면, 상기 접촉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커넥터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검사부; 및 상기 제 1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커넥터의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 후 판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단에 상기 제 1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1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 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2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에 상기 검사부와 표시부가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 2핀에 와이어가 정상 연결되면 턴오프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상기 제 1핀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와이어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커넥터의 핀과 상기 제 2커넥터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상기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서 수행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의 제어부가,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제 2커넥터를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검사부에 접촉시키면, 상기 접촉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커넥터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단계; 상기 제 1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커넥터의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 후 판별한 정보를 전송하는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립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의 제어부는, 일단에 제 1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1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 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2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에 상기 검사부와 표시부가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상기 제 1핀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와이어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제 1커넥터의 핀과 상기 제 2커넥터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상기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제 1커넥터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연결되어야 하는 제 2핀의 위치를 제 2커넥터에서 판별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와이어를 삽입할 제 2핀의 위치를 명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와이어를 삽입할 제 2핀의 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와 와이어의 연결 공정 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의 오삽입에 의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 장착된 커넥터와 복수의 와이어, 조립대상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를 조립할 조립대상 핀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 장착된 커넥터와 복수의 와이어, 조립대상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서 와이어를 조립할 조립대상 커넥터의 핀 위치를 가이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는 제 1장착부(110), 제 2장착부(120), 검사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는 커넥터에 와이어를 삽입하는 연결 공정을 수행할 때, 각각의 와이어를 삽입하여야 할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커넥터와 와이어의 연결 공정을 쉽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는 커넥터와 와이어의 연결 공정이 수행되는 조립용 데스크 또는 조립판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휴대 또는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장착부(110)는 제 1커넥터(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제 1커넥터(10)를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제 1커넥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Port)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 1커넥터(10)는 복수 개의 핀(Pin)이 구비되는데,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20)가 각각의 핀에 연결된 상태로 제 1장착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복수의 와이어(20)의 일단에 제 1커넥터(10)를 조립하는 선공정을 먼저 수행한 이후에, 다른 하나의 커넥터인 제 2커넥터(30)에 와이어들(20)의 타단을 연결하는 후공정을 수행하고자 할 때, 제 1장착부(110)에 제 1커넥터(1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 1장착부(110)는 제 1커넥터(10)에 구비된 각각의 핀과 제어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전기 배선을 구비하고, 전술한 전기 배선을 통해 제 1커넥터(10)의 각 핀에 인가된 검사용 전기신호 또는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제어부(150)까지 전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검사용 전기신호와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는 소정의 전력 또는 전압으로 형성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제 1장착부(110)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제 1커넥터(10)의 핀에 인가된 검사용 전기신호 또는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인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장착부(120)는 제 2커넥터(30)가 장착되는 것으로, 제 2커넥터(30)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장착부(120)는 복수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 2커넥터(30)에 구비된 각 핀과 제어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 2커넥터(30)는 제 1커넥터(10)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20)를 연결할 대상을 의미한다.
상기 검사부(130)는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노출된 접촉부에 접촉한 물체를 통해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130)는 제어부(15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에 의해 턴온되면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부(130)는 제 1커넥터(10)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2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21)를 접촉시키면, 접촉한 와이어(21)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검사용 전기신호는 와이어(21)를 통해 그 와이어에 연결된 제 1커넥터(10)의 제 1핀으로 출력되고, 해당 제 1핀에 연결된 전기 배선을 통해 제어부(150)까지 전달된다.
상기 표시부(140)는 제 2커넥터(30)에서 와이어(21)를 삽입하여 연결할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한다. 즉, 작업자는 커넥터와 와이어의 연결 공정을 수행할 때, 설계 도면을 따로 확인할 필요없이 표시부(140)를 보고, 와이어(21)를 삽입할 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복수 개의 엘이디(141)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엘이디(141)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엘이디 모듈(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복수 개의 엘이디(141)는 제 2장착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커넥터(30)에 구비되는 핀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행 또는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즉, 복수 개의 엘이디(141)는 제 2장착부(120)에 장착할 제 2커넥터(30)의 규격이나 형태에 따라 엘이디의 개수나 배열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 모듈(142)은 일단이 제어부(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각각의 엘이디(141)에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엘이디 모듈(142)과 제어부(15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데, 특히,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의 용도도 쓰일 수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로 연결되어,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명령과 소정의 전력 또는 전압으로 형성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엘이디 모듈(142)은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제 2핀의 위치가 판별되면, 제어부(150)로부터 제 2핀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엘이디 모듈(142)은 복수 개의 엘이디(141) 중에서 전술한 제 2핀의 위치에 설치된 특정 엘이디를 턴온하여, 와이어(21)를 연결할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엘이디 모듈(142)은 제어부(150)로부터 와이어(21)가 정상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어 엘이디를 턴오프하라는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턴온되어 있는 엘이디를 턴오프하고 다른 엘이디를 턴온하기 위한 신호나 제어 명령을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도록 검사부(130)를 제어하고,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여 와이어(21)를 삽입할 제 2핀을 판별하며, 판별한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일단에 제 1장착부(110)가 연결되어 제 1장착부(110)에 장착되는 제 1커넥터(10)의 각 핀과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 2장착부(120)가 연결되어 제 2장착부(120)에 장착되는 제 2커넥터(30)의 각 핀과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에 검사부(130)와 표시부(140)가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검사부(130)를 턴온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복수의 와이어(20)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10)를 제 1장착부(110)에 장착하고, 제 2장착부(120)에는 제 2커넥터(3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제 1커넥터(10)에 조립된 복수의 와이어(2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21)를 검사부(130)에 접촉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검사용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제 1장착부(110)에 장착된 제 1커넥터(10)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 2커넥터(30)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에 연결되어야 하는 제 2핀을 판별하고, 판별한 제 2핀의 위치에 대한 신호 또는 제어 명령을 표시부(140)의 엘이디 모듈(142)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에는 제 1커넥터(10)의 핀과 제 2커넥터(30)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가 사전에 입력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저장된 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제 2핀을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핀 위치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범용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제어부(15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 2핀이 판별되면, 판별한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게 되는데,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는 제 2핀에 와이어가 정상 연결되었을 경우 해당 와이어를 통해 제 1커넥터(10)의 제 1핀으로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제 1커넥터(10)의 제 1핀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와이어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정상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표시부(140)의 엘이디를 턴오프하기 위한 신호 또는 제어 명령을 엘이디 모듈(142)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는 와이어(21)를 삽입할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와이어(21)를 삽입할 대상을 명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넥터와 와이어의 연결 공정 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의 오삽입에 의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4는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될 수 있도록 검사부(130)를 턴온한다(S100).
이때, 작업자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20)가 조립된 상태의 제 1커넥터(10)가 제 1장착부(110)에 장착되고, 복수의 와이어(20)에 조립할 제 2커넥터(30)가 제 2장착부(120)에 장착되며, 복수의 와이어(2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21)를 검사부(130)에 접촉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50)는 제 1커넥터(10)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한다(S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일단에 제 1장착부(110)가 연결되고 제 1장착부(110)를 통해 제 1커넥터(10)의 각 핀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 1커넥터(10)의 각 핀에서 검사용 전기신호의 감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제 2커넥터(30)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에 연결되어야 하는 제 2핀을 판별하는 판별한다(S300).
이때, 제어부(150)는 제 1커넥터(10)의 핀과 제 2커넥터(30)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핀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 1커넥터(10)의 4번 핀에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확인되고, 핀 위치 정보에 제 1커넥터(10)의 4번 핀과 제 2커넥터(30)의 3번 핀이 서로 매칭되어 있다면, 제 2커넥터(30)의 3번 핀을 와이어를 삽입할 대상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와이어를 삽입할 제 2핀이 판별되면 표시부(140)를 턴온하여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한다(S400).
예컨대, 제어부(150)는 제 2커넥터(30)의 3번 핀이 와이어(21)를 삽입할 대상으로 판별되면, 3번 핀에 대한 신호 또는 3번 핀의 위치를 표시하라는 제어 명령을 표시부(140)의 엘이디 모듈(142)에 출력하며, 엘이디 모듈(142)은 복수 개의 엘이디(141) 중에서 3번 핀에 대응하는 3번째 엘이디를 턴온하여 와이어(21)를 조립할 대상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와이어(21)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감지한다(S500).
이때, 제어부(150)는 제 2장착부(120)에 연결된 전기 배선을 통해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한 이후에는, 제 2핀에 대응하는 제 1핀에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그 다음, 제어부(150)는 와이어(21)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한다(S600).
이때, 제어부(150)는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에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감지되면, 와이어(21)가 정상 연결된 것으로 판정하고, 제 1커넥터(10)에서 제 1핀이 아닌 다른 핀에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감지되면, 와이어(2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1)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전술한 S400단계에 따라 와이어(21)를 연결할 제 2핀의 위치를 계속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와이어(21)가 정상 연결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150)는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140)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한다(S700).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의 엘이디(141)를 턴오프하기 위한 신호 또는 제어 명령을 엘이디 모듈(142)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S700단계에 따라 표시부(140)가 턴오프되면, 전술한 S200단계에 따라 제 1커넥터(10)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핀을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110 : 제 1장착부
120 : 제 2장착부
130 : 검사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1장착부;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제 2커넥터가 장착되는 제 2장착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시키면, 상기 접촉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커넥터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검사부; 및
    상기 제 1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커넥터의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 후 판별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단에 상기 제 1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1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제 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2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에 상기 검사부와 표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 2핀에 와이어가 정상 연결되면 턴오프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상기 제 1핀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와이어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 1커넥터의 핀과 상기 제 2커넥터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상기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6.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에서 수행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의 제어부가,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의 제 1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할 제 2커넥터를 장착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검사부에 접촉시키면, 상기 접촉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커넥터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검사 단계;
    상기 제 1커넥터의 핀들 중에서 검사용 전기신호가 인가된 제 1핀의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커넥터의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한 후 판별한 정보를 전송하는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립 가이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의 제어부는,
    일단에 제 1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1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제 2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제 2커넥터의 각 핀이 연결되며, 또 다른 일단에 상기 검사부와 표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핀에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연결 확인용 전기신호가 상기 제 1핀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하여 와이어의 정상 연결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제 1커넥터의 핀과 상기 제 2커넥터의 핀이 일대일로 매칭된 핀 위치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상기 제 1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핀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이드 방법.
KR1020210112482A 2021-08-25 2021-08-25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9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2A KR102619664B1 (ko) 2021-08-25 2021-08-25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2A KR102619664B1 (ko) 2021-08-25 2021-08-25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55A true KR20230030355A (ko) 2023-03-06
KR102619664B1 KR102619664B1 (ko) 2023-12-29

Family

ID=8550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82A KR102619664B1 (ko) 2021-08-25 2021-08-25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070A (ja) * 1994-11-28 1996-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検査装置
JP2010060403A (ja) * 2008-09-03 2010-03-18 Ateikku:Kk ワイヤーハーネス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070A (ja) * 1994-11-28 1996-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検査装置
JP2010060403A (ja) * 2008-09-03 2010-03-18 Ateikku:Kk ワイヤーハーネス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664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049B2 (en) Electrical field device and expansion module for insertion into an electrical field device
JPH10507297A (ja) プログラム可能なケーブル・アダプタ
KR102230405B1 (ko) 자동 데이터 버스 와이어 무결성 검증 디바이스
EP1835295A1 (en) Test connector, ki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a group of wires from other wires of a multi-wire cable
US7881887B2 (en) Wireless wireharness testing system
KR101283618B1 (ko) 에어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080315902A1 (en) Test device, test card, and test system
CN210038539U (zh) 可适配多种控制器的硬件在环测试系统
US5997360A (en) Aircraft equipment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interface
KR20230030355A (ko) 와이어 연결 가이드 장치 및 그 방법
CN106785530B (zh) 致动器
WO2020091705A2 (en) Automatic multi-channel electronic test and measurement device
US7231540B2 (en) Method of identifying connection err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KR100351106B1 (ko) 자동차용 와이어링 하네스의 조립 및 회로검사 지그
US6044700A (en) Aircraft equipment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interface guide
US202101115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n adapt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vehicle using a 3d printer
CN110635220A (zh) 电子设备及nfc天线
KR20150021797A (ko) Usb 접속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
US11979956B2 (en) Reading data from a log data storage in an emergency lighting converter
CN215219118U (zh) 一种车辆测试用线束模块检测工具
KR20220034609A (ko) 액셀러레이터 데이터 확인 장치
JP2017110987A (ja) 配電盤試験監視装置
JPH09161920A (ja) 制御機器用中継器
CN117676124A (zh) 一种电视背板元件的接插量测方法、装置、介质和设备
JPH0618592A (ja) 多芯ケーブルの接続確認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