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64A - 수납 가구 - Google Patents

수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64A
KR20230029364A KR1020210111764A KR20210111764A KR20230029364A KR 20230029364 A KR20230029364 A KR 20230029364A KR 1020210111764 A KR1020210111764 A KR 1020210111764A KR 20210111764 A KR20210111764 A KR 20210111764A KR 20230029364 A KR20230029364 A KR 20230029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urniture
connection
opening
storag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154B1 (ko
Inventor
심재명
심경아
Original Assignee
심재명
심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명, 심경아 filed Critical 심재명
Priority to KR102021011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1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61Independent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는, 일면에는 수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몸체부의 일면 상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 가구{Storage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설치 공간에 맞도록 조립될 수 있는 수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1인 또는 2인으로 이루어진 세대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 원룸, 오피스텔 등과 같은 주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의 경우에는 침대, 옷장, 수납함, 책상 등이 필요로 하나 미리 제작되어 규격화된 사양을 갖기에 상대적으로 좁은 편인 실내 공간에 설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수납함은 규격화된 높이 및 폭으로 제작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을 고려하여 구입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는 수납함을 선택하고 구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공간에 맞도록 수납함의 변형 또는 재구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수납함의 경우, 수납 공간은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을 고려하여 별도로 구획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수납 공간이 구획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품을 수납한 경우, 상당한 크기의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여, 공간 효율에 있어 비효율적인 면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납 가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수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납 가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호 간에 조립된 상태로 구획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물품들을 구분된 상태로 수납하고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납 가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외관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납 가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는, 일면에는 수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몸체부의 일면 상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면에 지지부들이 위치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의 상측에서 하부 몸체에 대응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한 쌍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는 상부 몸체;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의 양측면 및 상부 몸체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측부 몸체들;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 및 측부 몸체들 사이에서 하부 몸체, 상부 몸체 및 측부 몸체들을 연결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부 몸체들 사이에서 측부 몸체들을 연결하고, 상부 몸체에 대응하면서 상부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덮개부와 연결되는 회동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들은 하부 몸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각각 측부 몸체에 접촉되도록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부들 사이의 거리는 연결 개구들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덮개부의 일면 상단부에는 덮개부의 폭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개방된 양종단면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상면에는 덮개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개방된 양종단면을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회동 샤프트가 삽입홈을 통해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는 회동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의 중앙에는 덮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에 삽입되고 접촉되어, 제 1 수납 가구와 제 2 수납 가구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들의 각각에 수평 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지지 개구의 하면에는 지지 개구와 연결되면서 지지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홈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 베이스;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삽입 개구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 및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납 공간에서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베이스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너트홈이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연결 몸체가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 몸체는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제 1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제 3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와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는 접촉되며,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 및 제 3 수납 가구의 지지부를 통과하여, 제 1 수납 가구, 제 2 수납 가구, 제 3 수납 가구 및 제 4 수납 가구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들의 각각에 수평 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지지 개구의 하면에는 지지 개구와 연결되면서 지지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부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홈이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베이스들;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삽입 개구에 대응되며, 종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가이드홈들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 몸체들;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납 공간에서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 몸체들;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홈들에 삽입되고 일부가 하나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연결 가이드; 및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가이드홈의 내측 종단면에 연결되는 연결 탄성체를 포함하되, 연결 베이스들이 각각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너트홈들이 각각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 및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연결 몸체들이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 및 제 2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를 통과하고 체결 몸체들은 각각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연결 탄성체는 연결 가이드의 내부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위치되고 연결 몸체들의 종단면을 상호 간에 접촉시키며, 연결 가이드는 상호 간에 연결된 가이드홈들에 완전히 삽입되며, 보조 몸체가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와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 몸체들의 종단면이 상호 간에 이격될 때, 연결 탄성체는 신장되며 연결 가이드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 가구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수납 가구가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도록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2) 수납 가구가 상호 간에 조립된 상태로 구획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물품들을 구분된 상태로 수납하고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3) 수납 가구가 용이하게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를 적층하여 연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가 선반을 통해 벽면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에서 변형된 형태의 연결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를 적층하여 연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가 선반(200)을 통해 벽면(10)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는 몸체부(101), 지지부(102), 덮개부(103) 및 연결부(104)를 포함하고, 각각 물품(예를 들어, 화장지, 손수건, 양말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벽면(10) 상에 설치된 선반(200)의 하면에 설치되어 고정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1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납 공간(101a)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납 공간(101a)은 몸체부(101)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몸체부(1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1)의 상면에는 한 쌍의 연결 개구(101b)들이 형성되고, 연결 개구(101b)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수납 공간(101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는 하부 몸체(111), 상부 몸체(112), 측부 몸체(113)들, 마감 몸체(114) 및 회동 샤프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11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2)는 하부 몸체(111)에 대응되는 형상(즉, 직사각형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하부 몸체(111)의 상측에서 하부 몸체(111)에 대응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112)에는 한 쌍의 연결 개구(101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몸체(113)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측부 몸체(113)들 사이에는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가 위치될 수 있고, 하부 몸체(111)의 양측면 및 상부 몸체(112)의 양측면은 측부 몸체(113)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은 상부 몸체(112)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측부 몸체(113)의 하단면은 하부 몸체(111)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마감 몸체(114)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사이 및 측부 몸체(113)들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몸체(111), 상부 몸체(112) 및 측부 몸체(113)들을 연결하여 수납 공간(101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마감 몸체(114)는 하부 몸체(111), 상부 몸체(112) 및 측부 몸체(113)들과 조합하여 수납 공간(10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공간(101a)은 연결 개구(101b)들에 연결될 수 있다.
회동 샤프트(115)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부 몸체(113)들 사이에서 상부 몸체(112)에 대응하면서 상부 몸체(112)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샤프트(115)는 상부 몸체(112)의 두께보다 현저하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회동 샤프트(115)는 측부 몸체(113)들을 연결할 수 있고, 삽입 공간(101a)의 입구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개구(101b)들은 회동 샤프트(115)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02)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되, 몸체부(101)의 하면에서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고, 각각 몸체부(101)의 양측면 근처에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2)는 하부 몸체(111)의 하면에 위치되고, 측부 몸체(113)들 사이에 상호 간에 이격되고 각각 측부 몸체(113)에 접촉될 수 있다. 하나의 몸체부(101)에서 지지부(102)들 사이의 거리는 연결 개구(101b)들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지지부(102)의 하면은 하부 몸체(111)와 평행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2)의 각각에는 지지 개구(102a) 및 삽입 개구(102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개구(102a)는 수평 방향(즉, 지지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개구(102b)는 지지 개구(102a)의 하면에서 수평 방향(즉, 지지부(102)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지지 개구(102a)와 연결되면서 지지 개구(102a)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납 가구(100)(도 2의 상측 참조)가 제 2 수납 가구(100)(도 2의 하측 참조)의 상면에 위치된 경우, 제 1 수납 가구(100)의 삽입 개구(102b)의 하면은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덮개부(103)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의 일면 상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수납 공간(101a)을 개폐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03)는 회동 샤프트(115)에 연결되어 측부 몸체(113)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덮개부(103)가 하부 몸체(111)에 접촉될 때, 수납 공간(101a)은 덮개부(10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반면에, 덮개부(103)가 하부 몸체(111)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 몸체(111)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수납 공간(101a)은 점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3)에는 삽입홈(103a) 및 걸림홈(103b)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03a)은 덮개부(103)의 일면 상단부에서 덮개부(103)의 폭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103a)의 양종단면은 개방될 수 있고, 회동 샤프트(115)는 삽입홈(103a)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홈(103b)은 삽입홈(103a)의 상면에서 덮개부(103)의 폭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103b)의 양종단면은 개방될 수 있고, 회동 샤프트(115)는 삽입홈(103a)에 삽입되어 삽입홈(103a)을 통과한 이후에 걸림홈(103b)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홈(103b)의 상면 및 측면들은 회동 샤프트(115)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03)는 회동 샤프트(115)에 걸린 상태로 회동 샤프트(115)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3)의 일면의 반대편인 타면에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이미지들이 인쇄될 수 있다.
특히, 덮개부(103)의 중앙에는 덮개 개구(103c)가 형성될 수 있고, 덮개 개구(103c)에는 유리 또는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부재가 덮개 개구(103c)에 설치된 경우, 수납 공간(101a)은 덮개부(10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다. 거울이 덮개 개구(103c)에 설치된 경우, 덮개부(103)는 거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03)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부재 및 이미지들을 포함한 상태에서 몸체부(101)에 설치될 수 있어, 수납 가구(100)를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104)는 적층된 한 쌍의 수납 가구(100)를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납 가구(100)가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면에 위치된 경우,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들은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04)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고정되어, 적층된 한 쌍의 수납 가구(100)를 상호 간에 연결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연결부(104)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 및 제 2 수납 가구(100)의 몸체부(101)에 걸쳐 위치되어 수납 가구(100)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4)는 연결 베이스(141), 연결 몸체(143) 및 체결 몸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베이스(14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부(102)의 하면과 지지부(102)의 삽입 개구(102b)의 하면 사이의 높이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베이스(141)의 하면에는 너트홈(141a)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홈(141a)의 내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143)의 상면과 연결 베이스(141)의 상면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베이스(141)가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 몸체(143)는 상부 몸체(112)의 상면과 삽입 개구(102b)의 하면 사이의 높이 이상으로 상부 몸체(11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43)는 삽입 개구(10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 및 양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는 볼트의 형태로 연결 개구(101b)를 통과하여 고정 베이스(141)의 너트홈(141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납 가구(100)가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면에 위치된 경우,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가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인접하도록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연결부(104)의 연결 베이스(141)는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너트홈(141a)을 연결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고, 연결 몸체(143)는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 및 양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몸체(145)는 수납 공간(101a)에서 연결 개구(101b)를 통과하여 너트홈(141a)에 점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가 너트홈(141a)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을 때, 연결 몸체(143)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를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수납 가구(100)는 연결부(104)에 의해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연결 몸체(143)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의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에 접촉되는 동시에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납 가구(100)는 선반(200)에 의해 벽면(10)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선반(200)이 벽면(10)에 설치된 경우, 연결부(104)의 연결 베이스(141)는 선반(200)의 상면에 위치되고, 너트홈(141a)과 선반(200)에 형성된 선반 개구(200a)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선반(200)의 하면에 위치되고, 연결 개구(101b)는 선반 개구(200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는 수납 공간(101a)에서 연결 개구(101b) 및 선반 개구(200a)를 통과하여 너트홈(141a)에 점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가 너트홈(141a)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을 때, 수납 가구(100)는 연결부(104)를 통해 선반(200)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납 가구(100)는 복수 개로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킬 수 있고, 연결부(104)를 이용하여 상부에 위치된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를 하부에 위치된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선반(2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 가구(100)는 상호 간에 연결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맞게 조립되어 복수 개의 수납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 가구(100)는 상호 간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 공간(101a)을 조합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공간은 수납 공간(101a)으로 인해 구획된 형태로 제공되어, 물품들을 구분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 가구(100)는 복수 개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연결되고, 분리된 복수 개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수납을 위한 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구(100)에서 변형된 형태의 연결부(104)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4)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04)는 연결 베이스(141)들, 연결 몸체(143)들, 체결 몸체(145)들, 연결 가이드(147) 및 연결 탄성체(149)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베이스(141)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베이스(141)들의 각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부(102)의 하면과 지지부(102)의 삽입 개구(102b)의 하면 사이의 높이보다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베이스(141)의 하면에는 너트홈(141a)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홈(141a)의 내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베이스(141)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의 각각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143)의 상면과 연결 베이스(141)의 상면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베이스(141)가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 몸체(143)는 상부 몸체(112)의 상면과 삽입 개구(102b)의 하면 사이의 높이 이상으로 상부 몸체(11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43)는 삽입 개구(102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 및 양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43)의 종단면에는 기둥 형상의 가이드홈(143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3a)은 연결 몸체(143)의 하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너트홈(141a)과 교차하지 않으면서 연결 베이스(141)의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43a)은 하나 이상으로 연결 몸체(143)의 종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은 상호 간에 마주할 수 있고, 가이드홈(143a)들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는 볼트의 형태로 연결 개구(101b)를 통과하여 연결 베이스(141)의 너트홈(141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147)는 금속 등과 같은 변형되지 않은 재료로 제조되고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홈(143a)에 대응되는 형상 및 종단면적을 갖고, 상호 간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43a)들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가이드(147)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147)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이 상호 간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결 가이드(147)는 한 쌍의 가이드홈(143a)들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이 점점 상호 간에 이격될 때, 연결 가이드(147)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147)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143a)의 내측 종단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143a)으로부터 점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가이드(147)는 연결 몸체(143)들 사이에서 점점 노출되면서 연결 몸체(143)들을 상호 간에 연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연결 탄성체(149)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탄성체(149)의 양종단은 각각 가이드홈(143a)의 내측 종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 탄성체(149)는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을 상호 간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고, 연결 가이드(147)를 가이드홈(143a)들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탄성체(149)는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연결 몸체(143)들을 상호 간에 이격시키는 힘이 연결 베이스(141)들에 가해질 때,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은 점점 상호 간에 이격되고, 연결 탄성체(149)는 신장되며, 연결 가이드(147)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147)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143a)으로부터 점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탄성체(149)의 일부가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연결 몸체(143)들 사이의 연결 탄성체(149)는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결 가이드(147)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43)들을 상호 간에 이격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연결 탄성체(149)는 신장된 상태에서 수축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연결 몸체(143)들의 종단면은 점점 상호 간에 근접하며, 연결 가이드(147)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147)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143a)에 점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납 가구(100)(도 4의 좌측 상단 참조)가 제 2 수납 가구(100)(도 4의 좌측 하단 참조)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3 수납 가구(100) (도 4의 우측 상단 참조)가 제 4 수납 가구(100)(도 4의 우측 하단 참조)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 수납 가구(100)와 제 4 수납 가구(100)는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는 상호 간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가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인접하도록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고, 제 3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인접하도록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변형된 연결부(104)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의 지지 개구(102a)와 삽입 개구(102b) 및 제 3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의 지지 개구(102a)와 삽입 개구(102b)를 통과한 상태에서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4)에서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는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너트홈(141a)을 연결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에 연결된 연결 몸체(143)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과 양측면 및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는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너트홈(141a)을 연결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에 연결된 연결 몸체(143)는 제 3 수납 가구(100)의 삽입 개구(102b)에 삽입되어 삽입 개구(102b)의 하면과 양측면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탄성체(149)는 원래의 형상대로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완전히 위치되고, 연결 몸체(143)들을 상호 간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는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하부 및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는 다른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하부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몸체(145)는 수납 공간(101a)에서 연결 개구(101b)를 통과하여 너트홈(141a)에 점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가 너트홈(141a)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을 때, 연결 몸체(143)들은 연결 베이스(141)들과 조합하여 제 1 수납 가구(100) 및 제 3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를 동시에 제 2 수납 가구(100)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변형된 연결부(104)는 4개의 수납 가구(100)를 동시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 사이에는 보조 몸체(11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몸체(110)는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재일 수 있거나,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접착재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와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는 그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부(104)에서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는 제 2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너트홈(141a)을 연결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는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너트홈(141a)을 연결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143)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연결 탄성체(149)는 신장되며, 연결 가이드(147)는 부분적으로 연결 몸체(143)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탄성체(149)의 일부만이 연결 가이드(147)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 및 연결 가이드(147)는 제 1 수납 가구(100)의 삽입 개구(102b)의 하면,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 제 3 수납 가구(100)의 삽입 개구(102b)의 하면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1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는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하부 및 제 2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밀착될 수 있고, 제 2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는 다른 하나의 연결 베이스(141)의 일종단면의 하부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측부 몸체(113)에 밀착될 수 있다.
체결 몸체(145)는 수납 공간(101a)에서 연결 개구(101b)를 통과하여 너트홈(141a)에 점점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연결 몸체(143)들은 연결 가이드(147) 및 연결 베이스(141)들과 조합하여 제 1 수납 가구 및 제 3 수납 가구(100)의 지지부(102)를 동시에 제 2 수납 가구 및 제 4 수납 가구(100)의 상부 몸체(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연결부(104)는 상호 간에 인접한 수납 가구(100)들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더라도,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4개의 수납 가구(100)를 동시에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변형된 연결부(104)는 연결 가이드(147) 및 연결 탄성체(149) 없이 연결 몸체(143)들을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수납 가구
101: 몸체부
102: 지지부
103: 덮개부
104: 연결부

Claims (10)

  1. 일면에는 수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 및
    몸체부의 일면 상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면에 지지부들이 위치되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의 상측에서 하부 몸체에 대응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한 쌍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는 상부 몸체;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의 양측면 및 상부 몸체의 양측면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대응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측부 몸체들;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 및 측부 몸체들 사이에서 하부 몸체, 상부 몸체 및 측부 몸체들을 연결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측부 몸체들 사이에서 측부 몸체들을 연결하고, 상부 몸체에 대응하면서 상부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덮개부와 연결되는 회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들은 하부 몸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각각 측부 몸체에 접촉되도록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부들 사이의 거리는 연결 개구들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4. 제2항에 있어서,
    덮개부의 일면 상단부에는 덮개부의 폭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개방된 양종단면을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의 상면에는 덮개부의 폭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개방된 양종단면을 갖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회동 샤프트가 삽입홈을 통해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는 회동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5. 제1항에 있어서,
    덮개부의 중앙에는 덮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6. 제2항에 있어서,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에 삽입되고 접촉되어, 제 1 수납 가구와 제 2 수납 가구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부들의 각각에 수평 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지지 개구의 하면에는 지지 개구와 연결되면서 지지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홈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 베이스;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삽입 개구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 및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납 공간에서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 베이스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너트홈이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연결 몸체가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 몸체는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제 1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9. 제2항에 있어서,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제 3 수납 가구의 지지부들은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들에 접촉되고,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와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는 접촉되며,
    수납 가구는,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서 연결 개구에 대응되고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 및 제 3 수납 가구의 지지부를 통과하여, 제 1 수납 가구, 제 2 수납 가구, 제 3 수납 가구 및 제 4 수납 가구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10. 제9항에 있어서,
    지지부들의 각각에 수평 방향을 따라 삽입 개구가 형성되고, 지지 개구의 하면에는 지지 개구와 연결되면서 지지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삽입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부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홈이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 베이스들;
    각각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베이스의 일종단면의 상부에 위치되고, 삽입 개구에 대응되며, 종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가이드홈들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 몸체들;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납 공간에서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한 쌍의 체결 몸체들;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홈들에 삽입되고 일부가 하나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연결 가이드; 및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가이드홈의 내측 종단면에 연결되는 연결 탄성체를 포함하되,
    연결 베이스들이 각각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 및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너트홈들이 각각 제 2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 및 제 4 수납 가구의 상부 몸체의 연결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연결 몸체들이 제 1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 및 제 2 수납 가구의 지지부의 삽입 개구를 통과하고 체결 몸체들은 각각 연결 개구를 관통하여 너트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연결 탄성체는 연결 가이드의 내부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위치되고 연결 몸체들의 종단면을 상호 간에 접촉시키며, 연결 가이드는 상호 간에 연결된 가이드홈들에 완전히 삽입되며,
    보조 몸체가 제 2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와 제 4 수납 가구의 측부 몸체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 몸체들의 종단면이 상호 간에 이격될 때, 연결 탄성체는 신장되며 연결 가이드의 일부는 하나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 가이드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홈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구.
KR1020210111764A 2021-08-24 2021-08-24 수납 가구 KR10261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64A KR102610154B1 (ko) 2021-08-24 2021-08-24 수납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64A KR102610154B1 (ko) 2021-08-24 2021-08-24 수납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64A true KR20230029364A (ko) 2023-03-03
KR102610154B1 KR102610154B1 (ko) 2023-12-04

Family

ID=8551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764A KR102610154B1 (ko) 2021-08-24 2021-08-24 수납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1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34Y1 (ko) * 2003-04-12 2003-07-16 최규수 도서 진열장
JP2004016377A (ja) * 2002-06-14 2004-01-22 Tetsuya Tomita 展示棚
KR20070082082A (ko) * 2005-09-12 2007-08-21 주식회사 신생 화학약품 보관 시약장
KR20110003408U (ko) * 2009-09-29 2011-04-06 정진석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적층형 조립식 신발장
US8567615B1 (en) * 2011-08-02 2013-10-29 Sheila O. Rainey Modular stackable shoe organizer kit
US20150366378A1 (en) * 2010-06-14 2015-12-24 Towel Tracker, Llc System for tracking reusable items
CN206414018U (zh) * 2016-10-13 2017-08-18 魏凡夫 一种易装卸的多功能组合书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377A (ja) * 2002-06-14 2004-01-22 Tetsuya Tomita 展示棚
KR200320234Y1 (ko) * 2003-04-12 2003-07-16 최규수 도서 진열장
KR20070082082A (ko) * 2005-09-12 2007-08-21 주식회사 신생 화학약품 보관 시약장
KR20110003408U (ko) * 2009-09-29 2011-04-06 정진석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적층형 조립식 신발장
US20150366378A1 (en) * 2010-06-14 2015-12-24 Towel Tracker, Llc System for tracking reusable items
US8567615B1 (en) * 2011-08-02 2013-10-29 Sheila O. Rainey Modular stackable shoe organizer kit
CN206414018U (zh) * 2016-10-13 2017-08-18 魏凡夫 一种易装卸的多功能组合书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154B1 (ko) 202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31B2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US20160166087A1 (en) Collapsing clothing display fixture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US20040206013A1 (en) Modular shelf unit enclosure or greenhouse
JPH09168441A (ja) ラック
KR20230029364A (ko) 수납 가구
US7789473B2 (en) Multi-section cabinet
KR20080073184A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0327237Y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20080097612A (ko) 가변형 수납장
US20190248540A1 (en) Display container
KR20130042220A (ko) 조립식 캐비넷
KR101808441B1 (ko) 가변선반을 갖는 물품 보관장치
KR100365372B1 (ko) 조립식 가구
KR102091361B1 (ko) 선반용 고정 장치
KR200293638Y1 (ko) 다용도 수납함
JP4188439B2 (ja) 吊戸棚
KR200401934Y1 (ko) 회전선반
WO2005058102A1 (en) Showcase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KR100650298B1 (ko) 건축물 내부 거실 다용도 구조물
KR200439840Y1 (ko) 화장품 수납용 가방
KR101498462B1 (ko) 물품 보관함
KR102432026B1 (ko)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WO1994008489A1 (en) A modular element for furnis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