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26B1 -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2026B1 KR102432026B1 KR1020200103867A KR20200103867A KR102432026B1 KR 102432026 B1 KR102432026 B1 KR 102432026B1 KR 1020200103867 A KR1020200103867 A KR 1020200103867A KR 20200103867 A KR20200103867 A KR 20200103867A KR 102432026 B1 KR102432026 B1 KR 102432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vertical frame
- unit
- prefabricated
- stack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61—Independent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A47B2087/0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the shelves being held in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s between the tubular member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의 수직프레임부,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며, 선반부는,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선반이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의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선반은 책 등의 물품을 일부 면이 폐쇄된 받침판에 꽂아 보관하거나, 받침판의 상부면에 안착시켜 진열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한국등록특허 제10-193402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2 측면프레임에 제1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제1,2 장식프레임에 제1,2 연결부재를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제1,2 선반프레임의 결합구멍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구멍에 제1,2 연결부재를 끼움식으로 삽입하여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연결부의 내측이 고정되면서 책장 결합작업을 수행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08422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정클램프를 지지봉에 설치하고 선반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상술한 연결부재 및 고정클램프가 연결된 선반 및 선반에 안착된 물품의 무게에 의하여 프레임 또는 지지봉 상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거나 기울어져 물품이 선반에서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연결부재 또는 고정클램프를 통해 연결되어, 선반 자체를 프레임 또는 지지봉 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조립이 복잡하기 때문에 잘못 조립된 부분에 대한 교체 및 수리가 번거로우며 선반을 프레임이나 지지봉에 고정하기 위한 홀, 볼트, 나사 등이 외부에서 보여 심미감을 가지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존재하며 따라서 가구의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의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는,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선반은,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에 형상 대응되는 방향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선반은, 서로 다른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방향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선반은, 상부면에 지지된 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벽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부재는, 물품이 상기 단위선반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선반의 외측 모서리를 감싸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단위선반에서 절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단위선반의 모서리에서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격벽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부면의 면적이 상기 단위선반의 상부면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의 프레임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며 이격 배치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부는,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 모서리가 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연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연결부 상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부면에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선반은,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에 형상 대응되는 방향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 각각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은, 바닥과 맞닿은 지지부에 수직프레임을 수직으로 결합하는 결합단계; 선반부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선반을 간격 조절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적층하는 적층단계; 및 적층된 상기 선반부를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선반부를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적층하기 전에, 상기 단위선반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도색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색 과정은, 상기 단위선반을 건조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막대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선반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색 과정은, 상기 단위선반의 상기 방향고정홀 일면에 형성되는 파지홀로 상기 막대를 삽입하여 상기 단위선반을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선반이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가 마련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미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 조립에 필요한 연결부재 또는 고정클램프를 생략하고 간편하게 적층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기 문에 잘못 조립된 부분에 대한 교체 및 수리가 쉬워 사용자 편의가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반을 프레임이나 지지봉에 고정하기 위한 홀, 볼트, 나사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심미감을 가지며 가구의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선반부가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방향고정홀과 파지홀이 형성된 단위선반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부에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에 격벽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격벽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이격부의 내주면에 수직프레임부의 외주면 모서리가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의 도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고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선반부가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방향고정홀과 파지홀이 형성된 단위선반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부에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에 격벽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격벽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이격부의 내주면에 수직프레임부의 외주면 모서리가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의 도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고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선반부가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방향고정홀과 파지홀이 형성된 단위선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부에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단위선반에 격벽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격벽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이격부의 내주면에 수직프레임부의 외주면 모서리가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은 크게 지지부(200), 수직프레임부(400), 선반부(600), 이격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400)가 바닥을 향해 넘어지지 않도록 수직프레임부(4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상부면의 면적이 후술할 단위선반(620)의 상부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직프레임부(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모서리가 라운드지는 형태로 마련되어 조립식 선반(10)으로 인접한 사용자의 발이 지지부(200)에 부딪혀 넘어지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200)는, 바닥면에 대한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하부면에 미끌림방지패드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부(400)는 지지부(20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20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수직프레임부(400)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 모서리를 가지는 다수의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부(400)가 바닥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다각형의 프레임으로 마련됨에 따라서 수직프레임부(400)가 가지게 되는 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후술할 선반부(600)의 방향전환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주면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이라 가정하면, 후술할 단위선반(620)은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수직프레임부(400) 외주 사면에 대응한 4방향으로 방향전환 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주면이 삼각형이라 가정하면, 후술할 단위선반(620)은 수직프레임부(400) 외주 삼면에 대응한 3방향으로 방향전환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주면 형상이 육각형일 경우에는 후술할 단위선반(620)은 수직프레임부(400) 외죽 육면에 대응한 6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정리하자면 선반부(600)가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적어도 3개 이상의 모서리를 가지는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n개의 면에 대응하여 n개의 방향으로 전환될 수만 있다면, 수직프레임부(400)의 면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내용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선반부(600)는 수직프레임부(400)의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620)을 구비하며, 각각의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 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면에 지지부(200)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미끌림방지패드가 선반부(600)의 단위선반(620)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단위선반(620)은 도 2에 도시된 계단식 형태로 수직프레임부(400)에 배치 조립되어 캣타워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이격부(800)는 수직프레임부(400)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선반(62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이격부(800)는 수직프레임 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단위선반(620) 사이에 적층되어 이격부(80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거리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선반(6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반부(600)는,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단위선반(620)의 방향을 전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미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3을 통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수직프레임부(400)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방향이 전환되는 단위선반(62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위선반(620)은, 수직프레임부(400)가 삽입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측면에 형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방향고정홀(6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고정홀(622)은 단위선반(620)의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위선반(6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정방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선반부(600)에 지지된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꺼내는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드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부(400)가 사각형의 프레임이고, 방향고정홀(622)이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주면에 형상대응된 사각형의 홀이라고 가정하면, 단위선반(620)의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부(400)의 서로 다른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방향고정홀(622)은, 단위선반(620)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선반부(600)가 서로 다른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에 연결되어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간의 배치 간격에 맞춰 길게 형성된 장방체의 단위선반(620)의 일측과 타측, 다시 말해서, 수직프레임부(400)간의 배치 간격 또는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방향고정홀(622)이 단위선반(620)에 형성되고 각각의 방향고정홀(622)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이 각각 삽입되어,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과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가 소정 간격으로 3개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방향고정홀(622)은 수직프레임부(400)의 개수 및 배치간격에 대응하여 단위선반(620) 상에 3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프레임부(400) 외측 모서리에 내주면이 접하도록 마련된 이격부(800)가 각가 배치되어 인접한 단위선반(62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수직프레임부(400)의 배치 형태가 'ㄱ','ㄴ'과 같이 일방향으로 나란하지 않은 형태인 경우에는 단위선반(620)도 수직프레임부(400)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ㄱ','ㄴ' 형태로 마련되고, 단위선반(620) 내에 3개의 방향고정홀(622)이 수직프레임부(400)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단위선반(620)은, 단위선반(620)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이 방향고정홀(622)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색된 단위선반(620)을 건조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과정에서 단위선반(620)의 도색이 훼손되어 방향고정홀(622)의 내주면에 훼손으로 인핸 도장돌출부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부(400)와 선반부(600)간 조립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파지홈은 방향고정홀(622)의 내측 일면 중 어느 한면에 접하며 단위선반(6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요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단위선반(620)은 방향고정홀(622)의 내면 중 어느 한면이 파지홈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파지홈의 내주면에 조립방법에서 후술할 막대(A)를 삽입하여 방향고정홀(622)의 내측면의 도색을 훼손하지 않고 단위선반(620)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단위선반(620)은 격벽부재(6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부재(626)는 상부면에 지지된 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부재(62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선반(620)의 외측 모서리를 감싸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단위선반(620)에 수용시켜, 물품이 선반부(6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격벽부재(626)는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파지하는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모서리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격벽부재(626)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단위선반(620)에서 절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책을 포함하는 물품을 지지하거나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벽부재(626)는 단위선반(620)의 모서리에서 독립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격벽판을 포함하여 단위선반(620)의 적어도 어느 한 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800)는 중공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하는 높이에 따라 (a),(b)와 같이 다양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부(800)는 인접한 단위선반(620)을 서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길이, 재질 등에 대하여는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격부(800)가 인접한 단위선반(620)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800)는 그 내주면에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측면 모서리가 접하도록 수직프레임부(400)에 삽입되어 상측 단위선반(620)의 하부를 지지하고 하측에 마련된 다른 단위선반(6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하측 단위선반(620)들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격시키도록 마련하는 방법이 간편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선반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가 배치되고 배치된 수직프레임부(400)를 연결하는 연결부(9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20)은 크게 지지부(200), 수직프레임부(400), 선반부(600), 이격부(800), 연결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 수직프레임부(400), 선반부(600), 이격부(8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의 지지부(200), 수직프레임부(400), 선반부(600), 이격부(800)와 동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서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가 마련되는 경우에,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부(600)가 선반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직프레임부(4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반부(600)는 수직프레임부(400)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되도록 하여 개인의 취향과 미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심미감을 나타내도록 마련되고, 이와 별도로 연결부(900)가 마련되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620) 사이에 배치되어, 단위선반(620) 사이를 이격시키며 이격 배치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결부(900)는 상술한 이격부(800)의 기능과 함께 수직프레임부(40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900)는 복수의 연결관(9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관(920)은 내주면에 수직프레임부(400)의 외측면 모서리가 접하도록 마련되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단위선반(620)을 안정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관(920)은, 연결부(900) 상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400)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900)는, 상부면에 물품을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부면이 수직프레임부(4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900)가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되어 가구의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할 수 있으며, 상부에 다양한 악세서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수직프레임부(4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400)를 모두 지지하는 하나의 판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는 수직프레임부(4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프레임부(400)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각각의 수직프레임부(400)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의 형태는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적층단계의 도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의 고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0) 제조방법은 결합단계(S1), 적층단계(S2), 고정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선반(10)은 다음과 같은 조립단계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결합단계(S1)를 통해 바닥과 맞닿은 지지부(200)에 수직프레임을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부(400)를 지면서 소정거리 이격시켜 수평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지지부(200)를 수직프레임부(400)의 일단에 고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의 일측에는 수직프레임부(400)가 회전하지 않도록 수직프레임부(40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너트(220)가 돌출형성되고, 수직프레임부(400)를 지지부(200)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너트(220)에 삽입한 다음, 지지부(200) 타측면에서 볼팅하여 체결한다음 결합된 지지부(200) 및 수직프레임부(400)를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단계(S2)를 통해 지지부(200)에 의하여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 고정된 수직프레임부(400)에 선반부(60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선반(620)을 이격부(800) 또는 연결부(900)를 통해 간격 조절하여 수직프레임부(400)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부(400)에 동일한 길이의 이격부(800)를 복수개 삽입하여 인접한 단위선반(6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이격부(800)를 마련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접한 단위선반(6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적층단계(S2)는, 선반부(600)를 상기 수직프레임부(400)에 적층하기 전에, 상기 단위선반(620)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도색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색 과정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막대(A)를 이용하여 단위선반(620)을 파지하여 단위선반(620)을 건조위치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막대(A)를 단위선반(620)의 방향고정홀(622) 일면에 형성되는 파지홀(624)로 삽입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가 도포된 단위선반(620)을 건조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과정에서 단위선반(620)의 도색이 훼손되어 방향고정홀(622)의 내주면에 훼손으로 인핸 도장돌출부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부(400)와 선반부(600)간 조립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정단계(S3)를 통해 수직프레임부(400)에 적층된 선반부(600)를 수직프레임부(40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부(400) 상단에서 적층된 선반부(600)를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부(400)의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가 이격부(800)의 외주 직경과 동일한 별도의 고정편(H)을 수직프레임부(400)의 상단에 배치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편(H)을 수직프레임부(400)에 고정함으로써, 적층된 선반부(600) 전체가 고정되는 방법이 간편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10)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10) 조립방법을 통해 복수의 단위선반(620)이 수직프레임부(400)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600)가 마련됨으로써, 개인의 취향과 미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선반(10) 조립에 필요한 연결부(900)재 또는 고정클램프를 생략하고 간편하게 적층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기 문에 잘못 조립된 부분에 대한 교체 및 수리가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선반을 프레임이나 지지봉에 고정하기 위한 홀, 볼트, 나사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심미감을 가지며 가구의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최근 추세를 반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A: 막대
H: 고정편
10: 조립식 선반
200: 지지부
220: 고정너트
400: 수직프레임부
600: 선반부
620: 단위선반
622: 방향고정홀
624: 파지홀
626: 격벽부재
800: 이격부
900: 연결부
920: 연결관
S1: 결합단계
S2: 적층단계
S3: 고정단계
H: 고정편
10: 조립식 선반
200: 지지부
220: 고정너트
400: 수직프레임부
600: 선반부
620: 단위선반
622: 방향고정홀
624: 파지홀
626: 격벽부재
800: 이격부
900: 연결부
920: 연결관
S1: 결합단계
S2: 적층단계
S3: 고정단계
Claims (10)
-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면으로 형성된 다각형의 프레임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키며 이격 배치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부는, 서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이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서로 다른 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단위선반은,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에 형상 대응되는 방향고정홀; 및
도색된 상기 단위선반을 건조시키기 위해 파지하는 과정에서 도색이 훼손되어 상기 방향고정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선반부간 조립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방향고정홀의 내측 일면 중 어느 한면에 접하며 상기 단위선반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선반은,
서로 다른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방향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중공관 형태로 마련되어 내주면에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 모서리가 접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면의 면적이 상기 단위선반의 상부면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프레임부 상에서 인접하게 적층된 상기 단위선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위선반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 모서리가 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연결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 바닥과 맞닿은 지지부에 수직프레임부를 수직으로 결합하는 결합단계;
선반부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선반을 간격 조절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적층하는 적층단계; 및
적층된 상기 선반부를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선반은,
중심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부의 외측면에 형상 대응되는 방향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선반부를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적층하기 전에, 상기 단위선반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도색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색 과정은,
도색이 훼손되어 상기 단위선반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선반부 간의 조립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막대를 이용하여 상기 방향고정홀의 내측 일면 중 어느 한면에 접하며 상기 단위선반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홈을 파지하여 상기 단위선반을 건조위치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867A KR102432026B1 (ko) | 2020-08-19 | 2020-08-19 |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3867A KR102432026B1 (ko) | 2020-08-19 | 2020-08-19 |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657A KR20220022657A (ko) | 2022-02-28 |
KR102432026B1 true KR102432026B1 (ko) | 2022-08-16 |
Family
ID=8049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3867A KR102432026B1 (ko) | 2020-08-19 | 2020-08-19 |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202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3771A (ja) | 1999-03-12 | 2000-09-19 | Tanakkusu:Kk | 室内用ペットの遊戯装置 |
JP2011103797A (ja) | 2009-11-16 | 2011-06-02 | Bonbi:Kk | ペット遊戯装置 |
CN202060391U (zh) * | 2011-05-03 | 2011-12-07 |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 连管接口压紧拼装式多用途展示架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8524Y1 (ko) * | 1991-10-08 | 1993-12-23 | 안진조 | 스탠드형 옷걸이 |
KR20150132907A (ko) * | 2014-05-19 | 2015-11-27 | 이우현 | 수납공간이 구비된 단일 포스트형 행거 |
KR20170068337A (ko) * | 2015-12-09 | 2017-06-19 | 김태혁 | 캣타워 |
-
2020
- 2020-08-19 KR KR1020200103867A patent/KR1024320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3771A (ja) | 1999-03-12 | 2000-09-19 | Tanakkusu:Kk | 室内用ペットの遊戯装置 |
JP2011103797A (ja) | 2009-11-16 | 2011-06-02 | Bonbi:Kk | ペット遊戯装置 |
CN202060391U (zh) * | 2011-05-03 | 2011-12-07 |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 连管接口压紧拼装式多用途展示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2657A (ko) | 2022-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02525A (en) | Knockdown support and spacer for bookshelves | |
US11324313B2 (en) | Portable paper organizer | |
US5452811A (en) | Stackable partitioned shipping container | |
US9198508B1 (en) | Portable, compact, and collapsible shelving unit | |
US20040155002A1 (en) | Connecting corner for knock down racks | |
US9060601B2 (en) | Foldable shelving unit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compacting same | |
US20070132345A1 (en) | Furnitu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 |
JP2008126057A (ja) | 組立式棚 | |
US20080265631A1 (en) | Folding ottoman | |
US4050386A (en) | Shelving apparatus | |
KR101665254B1 (ko) |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 |
KR102432026B1 (ko) | 조립식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방법 | |
KR20080022896A (ko) | 부품 운반용 카트 | |
JP3195205U (ja) | 組み立て式棚 | |
US3186781A (en) | Display booth | |
EP2843157B1 (en) | A modular staging system with a trolley | |
US11008773B1 (en) | Collapsible pergola | |
KR102032355B1 (ko) | 조립식 진열대 | |
CN209064602U (zh) | 一种便于拆装便于使用的教具箱 | |
JP4917407B2 (ja) | ラック体 | |
KR200144177Y1 (ko) | 간막이 기능을 겸비한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구조 | |
KR200360866Y1 (ko) | 절첩식 책상 | |
JPH0130936Y2 (ko) | ||
JP3108158U (ja) | 連結部材 | |
JP3647800B2 (ja) | 段飾り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