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105A -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105A
KR20230029105A KR1020210111182A KR20210111182A KR20230029105A KR 20230029105 A KR20230029105 A KR 20230029105A KR 1020210111182 A KR1020210111182 A KR 1020210111182A KR 20210111182 A KR20210111182 A KR 20210111182A KR 20230029105 A KR20230029105 A KR 2023002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
outside
occupant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준
김종혁
구경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105A/ko
Priority to US17/721,845 priority patent/US11845320B2/en
Publication of KR2023002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algorithms or computational models, e.g. fuzzy logic or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는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조 장치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상기 차속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 내외부의 온도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여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조 장치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 및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을 제어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조 장치는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동작시키는 수준에 머물고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 내외부의 온도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는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조 장치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상기 차속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차량 내부에서 순환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내부 순환 공기를 다시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블로워 모터 및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토출시키는 리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가 상기 차량의 외부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및 상기 차속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 보다 빠른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은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상기 차속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차량 내부에서 순환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내부 순환 공기를 다시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블로워 모터 및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토출시키는 리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가 상기 차량의 외부 온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속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 보다 빠른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 내외부의 온도에 따라 환기량을 조절하여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차량으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기 순환과 외기 유입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 내부의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장착된 리어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100)는 센서(110), 공조장치(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10)는 시트센서,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차속센서, 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차속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공조장치(120)는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차량 내부에서 순환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차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내부 순환 공기를 다시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블로워 모터(blower motor), 및 차량 내부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토출시키는 리어팬(rear fan)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2는 차량으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기 순환과 외기 유입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서 차량 내부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후방팬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차량의 전면(A)으로 유입되고, 내부 공기는 차량의 후면(B)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이크 도어(30) 및 블로워 모터(32)는 차량의 전면(도 2의 A)에 위치할 수 있다.
인테이크 도어(30)는 차량의 내기 모드와 외기 모드에 따라 회전되어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인테이크 도어(30)는 외기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의 흐름 통로를 오픈하도록 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은 증가하고,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인테이크 도어(30)는 내기 모드로 제어되는 경우 내부 순환 공기의 흐름 통로를 오픈하도록 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은 감소하고,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로워 모터(32)는 인테이크 도어를 통과한 외부 공기 또는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로워 모터(32)의 속도가 빠를수록 외부 공기 또는 내부 순환 공기를 빠르게 차량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팬(40)은 차량의 후면(도 2d의 B)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팬(40)은 흡입 방향으로 내부 순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내부 순환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리어팬(40)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내부 순환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도 빨라진다. 리어팬(40)은 차량 내 빠른 환기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승자의 수가 많고 차속이 낮거나, 외부 주차로 인해 차량의 실내온도가 외부온도보다 높아진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공조 모드가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공조 모드가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내부온도와 차량 외부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의 수 및 차속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1인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1인을 초과하면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탑승자 수는 2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1인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즉, 1인인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 공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의 흐름 통로가 오프되도록 인테이크 도어(30)의 회전을 제어하여,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내부 순환 공기가 유입되는 양보다 증가시켜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이고, 차속이 제1 속도보다 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차속이 제1 속도인 경우 보다 차량 내부로 외부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블로우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여 외부 공기가 빠르게 차량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1 속도보다 빠르지 않은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탑승자 수는 3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인 것으로 판단하면,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의 수보다 증가하고, 차속도 제1 속도보다 증가한 경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의 흐름 통로가 오픈되도록 인테이크 도어(30)를 회전 제어하여 오픈하고,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증가하였지만 차속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가 빠르므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이고,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차속이 제2 속도인 경우보다 차량 내부로 외부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보다 증가하고,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빠른 환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블로우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함과 더불어 리어팬을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빠르게 차량 내부로 이동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증가하고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빠른 환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빠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공조 모드가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S11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의 공조 모드가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Y), 차량 내부온도와 차량 외부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S12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Y), 차량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의 수및 차속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1인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S13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1인을 초과하면(Y),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탑승자 수는 2인을 포함할 수 있다.
S14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인 것으로 판단하면(Y),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S150에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Y),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S160). S160에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의 흐름 통로가 오픈되도록 인테이크 도어(30)를 회전 제어하여,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증가시켜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50에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N),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할 수 있다(S170).
S14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N),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80). 여기서, 제2 탑승자 수는 3인을 포함할 수 있다.
S18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인 것으로 판단하면(Y),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90). 여기서,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빠른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S190에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Y),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S200). S200에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인테이크 도어(30)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의 흐름 통로를 오픈하고,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보다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증가하였지만 차속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외부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 만으로도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90에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S200). 즉, S200에서 제어부(130)는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차속이 제2 속도인 경우보다 차량 내부로 외부 공기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1 탑승자 수보다 증가하고,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빠른 환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블로우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함과 더불어 리어팬을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하여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빠르게 차량 내부로 이동하고, 차량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증가하고 차속이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8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N),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18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N),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S220).
한편, S12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낮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빠른 환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고, 리어팬을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S220).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온도가 차량 외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빠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100
센서 110
공조 장치 120
제어부 130

Claims (14)

  1.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조 장치;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상기 차속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차량 내부에서 순환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내부 순환 공기를 다시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블로워 모터; 및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토출시키는 리어팬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가 상기 차량의 외부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및 상기 차속을 판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를 증가시키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 보다 빠른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8. 차량 탑승자의 수, 차속 및 차량의 내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 상기 차속 및 상기 차량의 내외부 온도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는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및 차량 내부에서 순환된 내부 순환 공기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내부 순환 공기를 다시 상기 차량 내부로 이동시키는 블로워 모터; 및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토출시키는 리어팬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가 상기 차량의 외부 온도보다 낮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속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를 증가시키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적어도 1인을 초과하는 제1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제1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1 탑승자 수보다 큰 제2 탑승자 수이고, 상기 차속이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로 제어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의 수가 상기 제2 탑승자 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블로워 모터의 속도를 상향조절하며, 리어팬의 속도를 제1 기준속도 보다 빠른 제2 기준속도로 제어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KR1020210111182A 2021-08-23 2021-08-23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2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182A KR20230029105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7/721,845 US11845320B2 (en) 2021-08-23 2022-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182A KR20230029105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05A true KR20230029105A (ko) 2023-03-03

Family

ID=8522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182A KR20230029105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45320B2 (ko)
KR (1) KR20230029105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9493A1 (en) * 2003-06-20 2004-12-23 Valley Charles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in vehicles
JP6673063B2 (ja) * 2016-07-05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9073A1 (en) 2023-02-23
US11845320B2 (en)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219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20230029105A (ko)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215402A1 (en) Vehicle hvac water splash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JP663148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10023538A (ko)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0442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1282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800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372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917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296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1098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4008019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04937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9986B1 (ko) 포깅 방지용 내외기 흡입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198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21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25740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148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77737A (ko) 차량용 공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