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567A -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567A
KR20230028567A KR1020237004917A KR20237004917A KR20230028567A KR 20230028567 A KR20230028567 A KR 20230028567A KR 1020237004917 A KR1020237004917 A KR 1020237004917A KR 20237004917 A KR20237004917 A KR 20237004917A KR 20230028567 A KR20230028567 A KR 2023002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disposed
body portion
structural
fold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치 허우
리웨이 딩
푸 랴오
위화 우
자오지 주
캉롱 쑨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2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원은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이식 구조 부재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고, 접이식 구조 부재는 구조 본체와 스냅 조립체(200)를 포함하며; 구조 본체는 제1 방향으로 분포되는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및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130)를 포함하며, 접이식 구조 부재는 절곡부(130)를 통해 전개 상태, 내측 접이 상태 및 외측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며; 스냅 조립체(200)는 서로 스냅 결합되는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를 포함하며, 제1 스냅 부재(210)는 제1 본체부(110)에 배치되고,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 배치되며,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모두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접이된 후 유지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본원은 2020년 11월 09일에 제출된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1241328.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원은 디스플레이 설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폰 출시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휴대폰 업체들은 각자의 폴더블폰 제품을 잇따라 출시했는 바, 폴더블폰은 내측 접이, 외측 접이, 가로 접이, 세로 접이를 불문하고 여러 업체들이 앞다퉈 경쟁하는 방향으로 되었고, 휴대전화 업계는 새로운 길을 맞이했다.
플렉시블 폴더블이 내외 접이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사용 형태도 향후 발전 추세이다. 그러나 표시 장치가 내측 접이될 수도 있고 절곡될 수도 있는 경우, 표시 장치가 접이된 후 유지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가 있다.
본원 실시예는 표시 장치가 접힌 후 유지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1 양태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접이식 구조 부재를 제공하는바, 접이식 구조 부재는 구조 본체와 스냅 조립체를 포함하며;
구조 본체는 제1 방향으로 분포되는 제1 본체부, 제2 본체부, 및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접이식 구조 부재는 절곡부를 통해 전개 상태, 내측 접이 상태 및 외측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며;
스냅 조립체는 서로 스냅 결합되는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스냅 부재는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제2 스냅 부재는 제2 본체부에 배치되며,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는 모두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다.
본원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또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상술한 임의의 제1 양태의 실시예의 접이식 구조 부재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접이식 구조 부재에 있어서, 접이식 구조 부재는 구조 본체 및 스냅 조립체를 포함한다. 구조 본체는 제1 본체부, 제2 본체부 및 절곡부를 포함하며, 접이식 구조 부재는 절곡부를 통해 전개 상태, 내측 접이 상태 및 외측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다. 지지 구조 부재가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경우, 지지 구조 부재는 표시 패널을 이끌어 상이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다중 상태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스냅 조립체는 서로 스냅 결합되는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스냅 부재 및 제2 스냅 부재 중 하나는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본체부에 배치되며, 구조 본체가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는 모두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서,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접이된 후 유지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개 상태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 부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I 위치에서의 부분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의 II 위치에서의 부분 확대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원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 부재의 연결핀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원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 부재의 스냅 고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원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구조 부재의 스토퍼부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9와 결합하여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 및 표시 패널(1)을 지지하기 위한 접이식 구조 부재(2)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전개 상태와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접이 상태는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은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도 1의 Z 방향)에서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 접이 상태에서, 표시 패널(1)은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내면에 위치하고 또한 접이식 구조 부재(2)에 의해 둘러싸여, 접이식 구조 부재(2)가 표시 패널(1)에 대한 보호 기능을 향상시킨다. 외측 접이 상태에서, 표시 패널(1)은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표시 장치의 외면에 위치하고 접이식 구조 부재(2)는 표시 패널(1) 내에 접이되므로, 표시 패널(1)은 더 잘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은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모두 표시 패널(1)은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은 예를 들어 고리 모양이고, 접이식 구조 부재(2)는 고리 모양의 표시 패널(1) 내에 위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이식 구조 부재(2)는 상술한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이식 구조 부재(2)일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전개 상태일 경우, 접이식 구조 부재(2)는 전개 상태애 있고,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전개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시 장치가 내측 접이 상태일 경우, 접이식 구조 부재(2)는 내측 접이 상태에 있고, 접이식 구조 부재(2)의 내측 접이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시 장치가 외측 접이 상태일 경우, 접이식 구조 부재(2)는 외측 접이 상태에 있고,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외측 접이 상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원 실시예의 접이식 구조 부재(2)에 있어서, 접이식 구조 부재(2)는 구조 본체(100) 및 스냅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구조 본체(100)는 제1 방향(도 4의 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본체부(110), 제2 본체부(120) 및 절곡부(130)를 포함하며, 구조 본체(100)는 절곡부(130)에 의해 전개 상태, 내측 접이 상태 및 외측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지지 구조 부재가 표시 패널(1)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경우, 지지 구조 부재는 표시 패널(1)을 이끌어 상이한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어 표시 패널(1)의 다중 상태 표시를 구현한다. 스냅 조립체(200)는 서로 스냅 결합되는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를 포함하고,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 중 하나는 제1 본체부(110)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본체부(120)에 배치되며, 구조 본체(100)가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 있을 때,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를 통해 서로 스냅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실시예에서,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를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접이된 후 유지되지 못하고 자동으로 열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조 본체(100)에서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조 본체(100)는 접이식 구조 부재(2)의 두께 방향(도 4의 Z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면(140)과 제2면(150), 및 제1면(140)과 제2면(150)을 연결하는 측면(160)을 포함한다.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는 측면(160)에 배치함으로써,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가 표시 패널(1)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160)은 접이식 구조 부재(2)의 폭 방향(도 4의 Y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161) 및 제2 측면(162)을 포함하고,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는 제1 측면(161) 및/또는 제2 측면(162)에 배치되며, 절곡부(130)의 절곡선은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측면(161) 및 제2 측면(162)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잡지 않는 면으로서,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는 제1 측면(161) 및/또는 제2 측면(162)에 배치된다. 접이식 구조 부재(2)를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 제1 스냅 부재(210) 및 제2 스냅 부재(220)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잡는 데 영향을 주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잡힘으로 인해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의 상호 스냅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1 스냅 부재(210)는 제1 본체부(110)에서의 제2 본체부(120)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서의 제1 본체부(110)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된다. 즉,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는 절곡부(13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작은 스냅력을 사용하여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 사이의 스냅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의 상호 스냅 결합 방식은 다양하다.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측 접이 상태에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제1 스냅 부재(210)와 제1 위치에 있는 제2 스냅 부재(220)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으며, 외측 접이 상태에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위치에 있는 제2 스냅 부재(220)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스냅 부재(220)의 위치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하나의 제2 스냅 부재(220)와 제1 스냅 부재(210)의 결합에 의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스냅 연결을 구현하여, 스냅 조립체(2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제1 위치란 제2 스냅 부재(220)가 해당 위치에 있을 때, 내측 접이 상태에서의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제2 스냅 부재(220)는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제2 위치란 제2 스냅 부재(220)가 해당 위치에 있을 때,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위치에 위치한다.
제2 스냅 부재(220)가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방식은 다양한 바, 예를 들어, 제2 스냅 부재(2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飜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조 본체(100)가 내측 접이 상태에서 외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경우, 제1 스냅 부재(210)는 구조 본체(100)의 두께 방향에서의 제2 스냅 부재(220)의 일측에서 제2 스냅 부재(220)의 다른 일측으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 본체(100)가 내측 접이 상태에서 외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경우, 제1 스냅 부재(210)는 제2 스냅 부재(220)의 상방(上方)에서 하방(下方)으로 이동한다. 제2 스냅 부재(220)는 반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구조 본체(100)가 내측 접이 상태에서 외측 접이 상태로 전환할 경우, 제2 스냅 부재(220)를 반전하여 제2 스냅 부재(220)를 계속하여 제1 스냅 부재(210)에 스냅 결합시킨다.
제1 스냅 부재(210)와 제2 스냅 부재(220)의 배치 방식은 다양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스냅 부재(210)는 스냅 기둥(211)을 포함하고, 제2 스냅 부재(220)는 스냅 기둥(211)과 스냅 결합하는 스냅 고리(221)를 포함하며, 스냅 고리(221)는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2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스냅 고리(221)를 반전함으로써,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모두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를 통해 서로 스냅 결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냅 기둥(211 )에서의 제1 본체부(110)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스냅 고리(221)와 스냅 결합하는 고정부(212)를 배치하며, 스냅 고리(221)는 고정부(212)에서의 제1 본체부(110)를 향하는 일측에 정지된다.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가 서로 결합할 경우, 적어도 일부 스냅 고리(221)는 고정부(212)와 제1 본체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부(212)는 스냅 고리(221)에 제한력을 부여하여 스냅 고리(221)와 스냅 기둥(211)의 상대적 위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고정부(212)의 개수 및 형상 배치 방식은 다양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12)는 스냅 기둥(211)의 원통형 면에 위치하는 오목 구조로 구성되고, 스냅 고리(221)는 오목 구조에 스냅되며, 내측 접이 상태 또는 외측 접이 상태에서, 스냅 고리(221)와 스냅 기둥(211)이 서로 결합할 때 고정부(212)는 스냅 고리(221)에 제한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고정부(212)는 스냅 고리(221)의 두께 방향에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볼록 구조로 구성되며,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 스냅 고리(221)와 스냅 기둥(211)이 서로 결합할 때 고정부(212)는 스냅 고리(221)에 제한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212)는 고리 모양으로서 스냅 기둥(211)의 주위를 둘러싸여 배치된다.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가 서로 스냅 결합할 때 고정부(212)는 스냅 고리(221)에 상이한 방향의 제한력을 부여할 수 있다.
스냅 기둥(211)을 제1 본체부(110)에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스냅 기둥(211)은 제1 본체부(110)의 측면에 고정된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스냅 기둥(211)은 자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제1 본체부(110)에 배치한다. 선택적으로, 스냅 기둥(211)은 제1 본체부(110) 내에 위치하는 위치와 제1 본체부(110) 밖으로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접이식 구조 부재(2)가 전개 상태에 있고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를 결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스냅 기둥(211)은 제1 본체부(110) 내에 위치하며, 접이식 구조 부재(2) 외관의 완전성과 미관을 확보할 수 있다. 접이식 구조 부재(2)가 내측 접이 상태 또는 외측 접이 상태에 있고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가 서로 결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스냅 기둥(211)은 제1 본체부(110) 밖으로 연장되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스냅 기둥(211)과 스냅 고리(221)를 통해 서로 스냅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스냅 부재(220)가 제1 측면(161) 및/또는 제2 측면(162)에 배치될 경우, 제2 방향은 폭 방향이고, 제1 축선은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스냅 부재(220)가 제1 방향의 대향하는 단면에 배치될 경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평행이고, 제1 축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스냅 부재(220)가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며,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에서의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모두 제2 스냅 부재(220)와 제1 스냅 부재(210)에 의해 상호 스냅 연결될 수 있으면 된다.
제2 스냅 부재(220)가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선택적으로, 제2 스냅 부재(220)는 제2 본체부(120)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사이는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접이식 구조 부재(2)가 V자형인 상태에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제1 스냅 부재(210)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스냅 부재(220)를 통해 서로 스냅한다. 미리 설정된 위치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의 경로에서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제2 스냅 부재(220)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사이는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제2 스냅 부재(220)를 제2 본체부(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냅 고리(221)는 연결핀(222)을 더 포함하고, 연결핀(222)은 제2 본체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스냅 고리(221)는 연결핀(222)를 통해 제2 본체부(120)에 연결하며, 스냅 고리(221)는 연결핀(222)에 대해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스냅 고리(221)는 연결핀(222)를 통해 제2 본체부(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므로, 스냅 고리(221)를 반전 및 회전하여 지정된 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에는 장착 구멍(121)이 개설되어 있다. 연결핀(222)은 연장 방향으로 분포되는 연결단(222a)과 장착단(222b)을 포함하고, 스냅 고리(221)는 연결단(222a)에 연결하며, 장착단(222b)은 장착 구멍(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핀(222)은 제2 본체부(120)의 장착 구멍(1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장착단(222b)의 반경 방향 치수는 연결단(222a)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다. 장착단(222b)의 반경 방향 치수가 작으므로 연결핀(222)이 제2 본체부(1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연결단(222a)은 개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연결 구멍(222c)을 포함하고, 스냅 고리(221)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자유단(221a)을 구비하며, 각 자유단(221a)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각 연결 구멍(222c) 내에 배치된다. 스냅 고리(221)는 막대 구조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막대 구조 부재의 양단을 맞붙혀서 스냅 고리(221)를 형성하므로 스냅 고리(221)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자유단(221a)이 형성된다. 각 자유단(221a)은 각 연결 구멍(222c) 내에 각각 배치할 수 있으므로 스냅 고리(221)를 연결단(222a)에 연결할 수 있다.
자유단(221a)의 단면은 원형이고, 연결 구멍(222c)은 원통형의 내벽면을 가지며, 자유단(221a)은 연결 구멍(222c)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스냅 고리(221)는 두 개의 자유단(221a)과 연결 구멍(222c)의 결합을 통해 연결단(222a)에 대해 반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는 장착 구멍(121)과 연통(連通)하는 대피 공간(122)을 더 포함하고, 장착단(222b)은 장착 구멍(121)을 통해 대피 공간(122)에 진입하며, 제2 스냅 부재(220)는 스토퍼부(223)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부(223)는 대피 공간(122)에 위치하고 장착단(222b)에 연결함으로써, 연결핀(222)이 장착 구멍(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장착단(222b)에는 연결핀(222)을 제2 본체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부(223)가 배치된다. 스토퍼부(223)는 고리 모양의 바디부(223a) 및 바디부(223a)에 위치하는 노치(223b)를 포함하며, 스토퍼부(223)는 노치(223b)를 통해 바디부(223a)를 장착단(222b)에 끼워 배치한다. 스토퍼부(223)는 노치(223b)의 배치를 통해 장착단(222b)에 장착하므로, 접이식 구조 부재(2)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단(222b)에는 장착홈(222d)이 배치되며, 스토퍼부(223)는 장착홈(222d)에 걸릴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에는 스냅 고리(221)를 수용하기 위한 대피홈(123)이 배치된다. 대피홈(123) 내에는 가압부(124)가 배치되며, 스냅 고리(221)가 대피홈(123) 내에 위치할 때 가압부(124)와 스냅 고리(221)가 조임 결합됨으로써 스냅 고리(221)와 대피홈(123)의 상대적 위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개선이 가능하며 그 내부의 부품은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적 특징들은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

Claims (20)

  1. 표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접이식 구조 부재에 있어서,
    구조 본체와 스냅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 본체는 제1 방향으로 분포되는 제1 본체부,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구조 부재는 상기 절곡부를 통해 전개 상태와 접이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스냅 조립체는 서로 스냅 결합되는 제1 스냅 부재와 제2 스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냅 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접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모두 상기 제1 스냅 부재와 상기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는, 접이식 구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상태는 내측 접이 상태와 외측 접이 상태를 포함하는, 접이식 구조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측 접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스냅 부재 및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접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스냅 부재 및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는, 접이식 구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한, 접이식 구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사이는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접이식 구조 부재가 V자형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스냅 부재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스냅 부재를 통해 서로 스냅 연결될 수 있는, 접이식 구조 부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스냅 부재는 스냅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스냅 기둥과 스냅 결합하는 스냅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기둥에는 상기 스냅 고리와 스냅 결합하는 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제1 본체부를 향하는 일측에 정지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스냅 기둥의 양측에는 모두 상기 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내측 접이 상태와 상기 외측 접이 상태에서, 상기 스냅 고리는 모두 상기 고정부에 정지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기둥은 자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상기 제1 본체에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고리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2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연결핀를 통해 상기 제2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연결핀에 대해 상기 제2 축선을 중심으로 반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에는 장착 구멍이 개설되고;
    상기 연결핀은 연장 방향으로 분포되는 연결단과 장착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연결단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단은 상기 장착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개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연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스냅 고리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자유단을 구비하며, 각 상기 자유단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각 상기 연결 구멍에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장착 구멍과 연통하는 대피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대피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핀이 상기 장착 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고리 모양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위치하는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노치를 통해 상기 바디부를 상기 장착단에 끼워 배치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에는 장착홈이 배치되고, 상기 스냅 고리는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 내에는 가압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냅 고리가 상기 장착홈 내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와 상기 스냅 고리는 조임 결합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본체는 상기 접이식 구조 부재의 두께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면과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냅 부재와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접이식 구조 부재의 폭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냅 부재와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1 측면 및/또는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절곡선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접이식 구조 부재.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냅 부재는 상기 제1 본체부에서의 상기 제2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냅 부재는 상기 제2 본체부에서의 상기 제1 본체부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는, 접이식 구조 부재.
  20.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이식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37004917A 2020-11-09 2021-08-27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KR20230028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241328.4 2020-11-09
CN202011241328.4A CN114464082A (zh) 2020-11-09 2020-11-09 可折叠结构件及显示装置
PCT/CN2021/115165 WO2022095568A1 (zh) 2020-11-09 2021-08-27 可折叠结构件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567A true KR20230028567A (ko) 2023-02-28

Family

ID=8140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917A KR20230028567A (ko) 2020-11-09 2021-08-27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9092A1 (ko)
EP (1) EP4181489A4 (ko)
KR (1) KR20230028567A (ko)
CN (1) CN114464082A (ko)
WO (1) WO2022095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915B (zh) * 2019-06-25 2020-10-0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屏的支撑装置、可折叠的显示模组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99355Y (zh) * 2004-05-27 2005-05-11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卡钩隐藏及释放机构
US20050047069A1 (en) * 2004-10-01 2005-03-03 Chu Chih Hui Universal entertainment system
CN201629779U (zh) * 2010-02-11 2010-11-10 招家荣 一种手机携带装置
CN103687376B (zh) * 2012-09-24 2016-07-06 宏碁股份有限公司 栓锁结构与电子组件
CN204229296U (zh) * 2014-10-31 2015-03-25 武汉大学 一种平板笔记本一体机三合一电脑
CN204317786U (zh) * 2014-12-31 2015-05-13 北京市维卡莱林户外用品有限公司 双向可开闭的盒子
CN206282175U (zh) * 2016-08-25 2017-06-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式显示装置及显示设备
CN106711183B (zh) * 2017-02-16 2019-1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08211693U (zh) * 2018-03-21 2018-12-11 无锡菲尚米贸易有限公司 一种多功能彩笔盒
CN208046698U (zh) * 2018-03-27 2018-11-02 黎鹤 手机固定座
CN207910845U (zh) * 2018-03-28 2018-09-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移动终端
CN208243104U (zh) * 2018-04-18 2018-12-18 聂利 一种方便消毒医用工具箱
CN108682302B (zh) * 2018-04-28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208817244U (zh) * 2018-10-22 2019-05-03 中山市鸿天展示制品有限公司 一种站立式灯箱
CN209017107U (zh) * 2018-12-21 2019-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CN209748968U (zh) * 2019-02-21 2019-1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壳以及具有该保护壳的电子设备
KR20200117638A (ko) * 2019-04-05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굴곡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121151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210444629U (zh) * 2019-06-20 2020-05-01 西南石油大学 一种便于安装的控制器安装盒
CN110176188B (zh) * 2019-06-26 2023-03-1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内折叠显示装置
CN210787528U (zh) * 2019-09-29 2020-06-19 河南星伟智能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全封闭式干粉砂浆生产破碎装置
CN211653537U (zh) * 2019-11-26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210518451U (zh) * 2019-12-27 2020-05-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电子设备
CN211792409U (zh) * 2020-03-25 2020-10-27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终端外壳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7986A (ja) 2023-09-06
US20230199092A1 (en) 2023-06-22
EP4181489A1 (en) 2023-05-17
CN114464082A (zh) 2022-05-10
EP4181489A4 (en) 2024-01-17
WO2022095568A1 (zh)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KR101290267B1 (ko)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88097B (zh) 终端设备
US1021283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7103844B (zh) 显示屏护角机构及显示屏
WO2015093801A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KR20230028567A (ko) 접이식 구조 부재 및 표시 장치
CN109002079B (zh) 一种用于柔性屏的折叠机构及移动终端
US2020040941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2286282B (zh) 便携式信息设备
JP2021523645A (ja) 回動軸体及び電子機器
KR20190046578A (ko)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KR101148150B1 (ko) 이동단말기의 휴대용 거치대
KR20220012778A (ko)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TWI594638B (zh) 耳機
CN101453497A (zh) 摆动铰链模块和应用该摆动铰链模块的便携式终端
KR20130001825U (ko) 접이식 테이블
KR20180000621U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102278840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JP7484014B2 (ja) 折り畳み可能な構造部材及び表示装置
US853849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210109671U (zh) 一种适用于折叠屏的无重叠式铰链机构
WO2020077975A1 (zh) 便携式显示屏
CN211890796U (zh) 一种可折叠物料架
KR200439165Y1 (ko) 휴대기기의 화면 확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