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778A -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778A
KR20220012778A KR1020207026041A KR20207026041A KR20220012778A KR 20220012778 A KR20220012778 A KR 20220012778A KR 1020207026041 A KR1020207026041 A KR 1020207026041A KR 20207026041 A KR20207026041 A KR 20207026041A KR 20220012778 A KR20220012778 A KR 2022001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andheld stabilizer
state
shaft a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에 리
장쉬안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시루이 옵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손잡이 및 일단이 회동 구조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동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는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지지 구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구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상기 손잡이에 대해 밖으로 펴지는 제1 상태 및 상기 손잡이의 외주벽을 향해 밀집하는 제2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지지 구조 및 상기 손잡이가 각각 그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샤프트암을 포함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를 개시하였다. 이렇게 설계하여, 지지 구조 상의 촬영 장치가 샤프트암과 함께 손잡이 외주벽에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손잡이는 촬영 장치의 표면을 막지 않고, 촬영 장치는 반대방향으로 폴딩되어 모아지는 사프트암에서 여전히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폴딩 정에 촬영 장치를 지지 구조에서 착탈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더욱 편이하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본 출원은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용 핸드헬드 설비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진보 및 발전에 따라, 사람들이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대한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촬영 설비의 고정, 촬영 설비의 자세 조절 및 촬영 설비가 확정된 자세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한 핸드헬드 설비이고, 촬영 설비의 안정과 순리로운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및 손잡이에 설치된 지지 모듈을 포함하고, 촬영 설비는 팬틸트 어셈블리에 고정된다.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수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팬틸트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접이식 구조 설계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공고 번호 CN208253098U인 중국 전리에서 손잡이, 촬영 설비를 고정하기 위한 홀딩부, 손잡이와 홀딩부 사이에 마련된 제1 연결암 및 제2 연결암을 포함하고, 제1 연결암의 일단이 손잡이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며, 제1 연결암의 타단이 제2 연결암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제2 연결암의 타단이 홀딩부에 연결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를 개시하였다. 제1 연결암 일단과 손잡이의 상단의 힌지 연결, 제1 연결암의 타단과 제2 연결암의 일단의 힌지 연결을 통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1 연결암을 아래로 폴딩할 수 있고, 폴딩 후,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드는 동시에 제2 연결암 폴딩 후, 제2 연결암과 손잡이는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홀딩부가 손잡이와 제2 연결암 사이에 위치하여, 수납과 휴대에 편이한 목적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연결암이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홀딩부는 손잡이 방향으로 설치되기에, 촬영 설비를 연결암과 함께 폴딩 시, 폴딩 후 손잡이가 촬영 설비의 표면을 막아, 폴딩 상태에서 촬영 설비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연결암 폴딩 후 손잡이가 촬영 설비를 막아 촬영 설비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에 감안하여, 본 출원은 기존 기술에서 촬영 설비가 연결암이 폴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기술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이하와 같다.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손잡이 및
일단이 회동 구조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동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는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지지 구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구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상기 손잡이에 대해 밖으로 펴지는 제1 상태 및 상기 손잡이의 외주벽을 향해 밀집하는 제2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지지 구조 및 상기 손잡이가 각각 그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샤프트암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샤프트암이 상기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지지 구조 및 상기 손잡이가 각각 상기 샤프트암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장봉 구조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에 연결 베이스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의 일단이 제1 단부이며, 상기 연결 베이스는 상기 제1 단부가 위치하는 기둥형 공간에서 벗어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기둥형 공간 및 상기 제1 단부의 투영이 서로 같으며, 상기 샤프트암의 일단은 상기 회동 구조를 통해 상기 연장단에 회동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회동 구조는 상기 연장단에 설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샤프트암에 설치되는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감쇠 기능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회동축 사이는 외력의 작용 하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하기에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의 탑부에 제1 전동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는 상기 제1 전동기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는 일단에 상대하는 상기 샤프트암의 일단에 제2 전동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제2 전동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샤프트암은 직선형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암이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샤프트암의 길이 방향과 상기 손잡이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장착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챔버 내에 신축 로드 구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베이스가 상기 신축 로드 구조의 신축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 로드 구조의 고정단이 상기 손잡이의 장착 챔버 내에 연결되며, 상기 신축 로드 구조는 상기 장착 챔버 내에 수납되는 수축 상태 및 상기 장착 챔버 밖으로 돌출되는 확장 상태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신축 로드 구조의 신축단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가 상기 회전축에 회동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는 촬영 장치를 홀딩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촬영 장치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 기구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클램핑 기구는
홀더,
상기 홀더의 대향하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두개가 설치되는 클램핑 죠 및
일 축선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상기 클램핑 죠에 회동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 상부 공간을 향해 밀집되는 수납 위치 및 상기 홀더에 대해 밖으로 펼쳐지고 상기 홀더에 배합되어 촬영 장치를 수용하는 오목형 홀딩 공간을 형성하는 홀딩 위치를 가지는 그립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그립에 범퍼 패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범퍼 패드는 상기 홀더에서 멀어지는 상기 그립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의 일측 표면을 향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암이 상기 손잡이 본체에 회동 연결되며, 상기 아웃트리거 구조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손잡이 본체를 중심으로 밖으로 전개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스탠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상태 및 서로 클로징하여 손잡이의 핸드헬드 부분으로 되는 클로징 상태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아웃트리거에 수용 챔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 챔버 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전동기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용 챔버의 개구는 상기 아웃트리거의 내부를 향하는 일측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아웃트리거에는 상기 수용 챔버의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1.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샤프트암이 손잡이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는 지지 구조 및 손잡이가 각각 샤프트암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고, 따라서, 촬영 장치는 샤프트암과 함께 손잡이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손잡이는 촬영 장치의 표면을 막지 않고, 촬영 장치가 폴딩 상태의 샤프트암에 장착되어도 여전히 셀카 등 기능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외, 촬영 장치가 휴대폰 등 전자 통신 설비일 경우, 휴대폰이 밖으로 펴지는 샤프트암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수신, 착신, 메시지 답장, 웹, 동영상 브라우징 등)을 사용해야 할 때, 손잡이가 샤프트암 폴딩 후의 지지 구조에서 휴대폰 화면을 막지 않기에, 휴대폰을 지지 구조에서 착탈할 필요가 없고, 샤프트암을 회동하여, 샤프트암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운동하도록 하고, 손으로 손잡이를 잡기만 하면, 휴대폰의 기타 여러 기능을 편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의 촬영 기능을 다시 사용해야 할 경우, 샤프트암을 회동하기만 하면 되기에, 지지 구조에서 빈번히 휴대폰 등 촬영 장치를 장착 또는 착탈할 필요가 없으며, 지지 구조에서 휴대폰 등 촬영 장치의 장착 위치를 반복하여 조절하는 조작도 줄였고, 사용이 더욱 편이하다.
2.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샤프트암이 손잡이의 외주벽을 향해 밀집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이 때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수납 상태에 처하고, 지지 구조 및 손잡이는 각각 샤프트암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여,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수납에 편이하다.
3.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장봉 구조의 손잡이는 파지하기에 편이하다.
4.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연결 베이스의 연장단은 손잡이의 일단이 위치하는 기둥형 공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손잡이가 샤프트암의 회동에 대한 간섭이 비교적 적으며, 샤프트암의 회동 각도 범위가 더욱 크고, 샤프트암이 손잡이 외주벽 방향을 향한 회동이 편이하여 가능한 더욱 손잡이에 접근할 수 있어, 폴딩 후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 크기가 감소하여, 수납에 편이하다.
5.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샤프트암은 그 위의 샤프트 슬리브가 연장단의 회동축에 회동 연결되는 구조 설치를 통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이하다.
6.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샤프트 슬리브가 감쇠 기능을 가지고 회동축에 회동 연결는 구조 설계는, 수동으로 샤프트암과 손잡이 사이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편이하여, 샤프트암에서의 촬영 장치의 부앙각을 조절하고, 촬영 장치 장착 후의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 위치 조절을 실현하여,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을 손잡이의 축선방향에 제어하기에 편이하다.
7.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손잡이 탑부에 연결 베이스가 손잡이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 전동기를 설치하고, 샤프트암 및 지지 구조 사이에 지지 구조가 샤프트암에 대해 회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 전동기를 설치하여, 샤프트암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에 배합하여 촬영 장치 자세의 임의의 조절을 실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에 대한 조절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키며, 구조가 간단하고, 촬영 장치의 자세 조절을 실현하는 그 중 하나의 방향은 수동 조절의 방식을 통해 전동기를 대체하여, 전동기의 사용 수량을 줄임으로써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자세 조절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제조 원가를 저감하였다.
8.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직선형을 이루는 샤프트암이 손잡이에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샤프트암의 길이 방향은 손잡이의 길이 방향과 동방향 설치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샤프트암 폴딩후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가능한 줄이고, 직선형을 이루는 샤프트암이 밖으로 펴지는 제1 상태(예를 들어 샤프트암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로 회동할 때, 샤프트암 상의 지지 구조는 손잡이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고, 샤프트암은 펼침 사용 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 무게 중심이 손잡이의 중심 축선에 더욱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9.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손잡이의 장착 챔버 내에 신축 로드 구조가 장착되고, 신축 로드 구조는 밖으로 확장되는 방식을 통해 연결 베이스 및 그 위의 샤프트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촬영 높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절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신축 로드 구조가 수축 상태에 처하였을 때, 신축 로드 구조는 손잡이의 장착 챔버 내에 완전히 수축될 수 있어, 신축 로드 구조의 공간 점유를 줄이고, 구조의 컴팩트성이 높으며, 체형이 작고, 기능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10.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연결 베이스 자체는 샤프트암의 회동에 대해 불가피하게 간섭이 발생되기에, 샤프트암은 연결 베이스에 대해 360도의 부앙 회동할 수 없으나, 연결 베이스는 회전축을 통해 신축 로드 구조의 신축단에 회동 장착되고, 연결 베이스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샤프트암 상의 촬영 장치의 부앙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기에, 연결 베이스의 회동은 샤프트암의 회동에 배합하여 샤프트암 상의 촬영 장치의 부앙 각도 조절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킨다. 그 외, 연결 베이스의 회동 및 샤프트암의 회동 배합을 통해, 촬영 장치를 필요한 촬영 각도로 조절하는 기초 상에, 가능한 필요 자세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의 중심 축선에 접근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11.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 및 아웃트리거 구조로 구성되고,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를 중심으로 하여 밖으로 전개되어 손잡이 본체가 스탠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상태 및 서로 클로징하여 손잡이의 핸드헬드 부분으로 되는 클로징 상태를 가지며, 아웃트리거 구조가 서로 클로징하는 클로징 상태일 경우,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의 핸드헬드부의 일부가 되어, 핸드헬드 사용에 편이하고; 아웃트리거 구조가 손잡이 본체를 중심으로 밖으로 펴지는 지지 상태일 경우,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에 지지를 제공하여,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가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여러 적용 상황에서 사용자가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대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 외, 적어도 2개의 아웃트리거는 힌지 연결 방식을 적용하여, 손잡이 본체에 연결되어, 아웃트리거 구조 및 손잡이 본체의 일체형을 실현하였고, 사용자가 외출하여 촬영 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각각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이 더욱 강하다.
12.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전동기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아웃트리거의 수용 챔버 내에 설치하여, 비교적 큰 용량 배터리의 장착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고, 아웃트리거의 장착 공간을 충분히 이용하며,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컴팩트화, 소형화, 경량화설계를 실현하는 전제하에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장기 항속 능력을 향상시키고, 배터리를 아웃트리거에 설치하여, 배터리를 손잡이 본체 내에 장착하거나 또는 샤프트암 내에 장착하는 방식에 비해, 전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고,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13.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수용 챔버에 커버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수용 챔버 내의 배터리 교체에 편이하고, 커버 플레이트 내장 방식은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전체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들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하 설명될 도면들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아래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샤프트암이 제2 상태에 처하고, 신축 로드 구조가 수축 상태에 처하며, 아웃트리거 구조가 클로징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샤프트암이 제1 상태에 처하고, 신축 로드 구조가 수축 상태에 처하며,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샤프트암이 제1 상태에 처하고, 신축 로드 구조가 확장 상태에 처하며,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암 및 클램핑 기구 사이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기구의 그립이 클램핑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기구의 그립이 풀림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 기구의 가압판 및 핀축의 연결 관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저면도이고, 여기서 아웃트리거의 커버 플레이트를 감춰 배터리와 아웃트리거의 연결 관계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상태에 처하였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베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본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본체와 지지 베이스 사이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트리거 구조와 손잡이 본체의 연결 관계 개략도이고, 여기서 지지 베이스를 감춰 아웃트리거와 손잡이 본체 사이의 연결 관계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뿐 전체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에 대한 설명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위", "아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으로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고, 본 출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관련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동작함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또한, "제 1", "제 2", "제 3" 등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접속", "연결"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하여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출원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그 외, 이하 설명되는 본 출원의 기타 실시형태에서 언급되는 기술특징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손잡이(1), 팬틸트 어셈블리 및 클램핑 기구(4)를 포함한다. 클램핑 기구(4)는 촬영 장치을 홀당하는데 적합하고, 팬틸트 어셈블리는 손잡이(1) 및 클램핑 기구(4) 사이에 연결되어, 클램핑 기구(4)에서 촬영 장치의 자세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램핑 기구(4)는 흡착 기구를 사용하여 대체할 수도 있고, 촬영 장치는 빨판의 흡착력에 의해 흡착 기구에 흡착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1)는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손잡이 본체(11)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포함하며,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11)의 저부에 연결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1)는 오직 손잡이 본체(11)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아웃트리거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팬틸트 어셈블리는 제1 전동기(6), 연결 베이스(5), 샤프트암(2) 및 제2 전동기(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동기(6)는 손잡이(1)의 탑부에 연결되고, 연결 베이스(5)는 제1 전동기(6)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제1 전동기(6)는 연결 베이스(5)가 손잡이 본체(11)의 축선방향을 따라 회동하도록 구동하고, 샤프트암(2)의 일단은 회동 구조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 베이스(5)에 장착되며, 제2 전동기(7)는 손잡이 본체(11)가 연결되어 있는 일단에 상대되는 샤프트암(2)의 일단에 연결되고, 클램핑 기구(4)는 제2 전동기(7)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샤프트암(2)이 회동 구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에 대해 밖으로 펴지는 제1 상태 및 손잡이(1)의 외주를 향해 밀집하는 제2 상태를 가지고, 샤프트암(2)이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는 각각 샤프트암(2)의 두개의 다른 측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작동 과정은 이하와 같다. 회동 구조를 중심으로 샤프트암(2)을 회동하여, 샤프트암(2)이 손잡이(1)의 외측벽에 밀집하는 제2 상태에서 손잡이(1)의 상부 공간을 향해 펴지는 제1 상태로 전환되게 하고, 클램핑 기구(4)에서 촬영 장치의 자세를 조절하여야 할 경우, 샤프트암(2)를 수동으로 회동하기만 하면 촬영 장치의 부앙각에 대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제1 전동기(6)를 통해 연결 베이스(5)가 손잡이(1)의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촬영 장치의 선수각에 대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고, 제2 전동기(7)를 통해 클램핑 기구(4)가 회동하도록 구동하여, 촬영 장치의 롤 각에 대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동기(6), 샤프트암(2)의 회동 및 제2 전동기(7)의 공통 배합을 통해, 촬영 장치의 자세에 대한 임의의 조절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에 대한 조절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키고, 또한 이러한 팬틸트 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하여, 촬영 장치의 자세 조절을 실현하는 그 중 하나의 방향은 수동 조절의 방식을 통해 전동기를 대체하여, 전동기의 사용 수량을 줄임으로써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자세 조절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제조 원가를 절감하였다.
이러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샤프트암(2)이 손잡이(1)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는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가 각각 샤프트암(2)의 두개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고, 따라서, 촬영 장치는 샤프트암(2)과 함께 손잡이(1)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손잡이(1)는 촬영 장치의 표면을 막지 않고, 촬영 장치가 폴딩 상태의 샤프트암(2)에 장착되어도 여전히 셀카 등 기능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외, 촬영 장치가 휴대폰 등 전자 통신 설비일 경우, 휴대폰이 밖으로 펴지는 샤프트암(2)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수신, 착신, 메시지 답장, 웹 동영상 브라우징 등)을 사용해야 할 때, 손잡이(1)가 샤프트암(2) 폴딩 후의 클램핑 기구(4)에서 휴대폰 화면을 막지 않기에, 휴대폰을 클램핑 기구(4)에서 착탈할 필요가 없고, 샤프트암(2)을 회동하여, 샤프트암(2)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운동하도록 하고, 손으로 손잡이(1)를 잡기만 하면, 휴대폰의 기타 여러 기능을 편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폰의 촬영 기능을 다시 사용해야 할 경우, 샤프트암(2)을 회동하기만 하면 되기에, 클램핑 기구(4)에서 빈번히 휴대폰 등 촬영 장치를 장착 또는 착탈할 필요가 없으며, 클램핑 기구(4)에서 휴대폰 등 촬영 장치의 장착 위치를 반복하여 조절하는 조작도 줄였고, 사용이 더욱 편이하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팬틸트 어셈블리는 오직 샤프트암(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샤프트암(2)은 직접 회동 구조를 통해 손잡이(1)의 탑부에 회동 장착될 수도 있으며, 클램핑 기구(4)는 샤프트암(2)에서 손잡이(1)가 연결되어 있는 측에서 멀리하는 일단에 고정되고, 연결 베이스(5), 제1 전동기(6), 제2 전동기(7)는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샤프트암(2)이 손잡이(1)의 외주에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가 각각 샤프트암(2)의 다른 두개의 측면에 위치하여, 손잡이(1)가 클램핑 기구(4) 상의 촬영 장치의 표면을 막지 않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샤프트암(2)이 손잡이(1)의 외주에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는 각각 샤프트암(2)의 상대되는 두개의 측면에 위치한다. 샤프트암(2)이 제2 상태로 회동할 때의 샤프트암(2)에 있어서, 이 때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수납 상태에 처하고,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가 각각 샤프트암(2)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는 배치 방식은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 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제일 작은 배치 방식이기에, 이러한 설치를 통해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수납에 편이하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베이스(5)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1)의 일단을 제1 단부로 하고, 연결 베이스(5)는 제1 단부가 위치하는 기둥형 공간에서 벗어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단(51)을 구비하며, 손잡이(1)의 축방향에서의 기둥형 공간 및 제1 단부의 투영이 서로 같고, 샤프트암(2)의 일단은 회동 구조를 통해 연장단(51)에 회동 연결될 수 있다. 연장단(51)은 손잡이(1)의 일단이 위치하는 기둥형 공간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손잡이(1)가 샤프트암(2)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폴딩하는 과정에서의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샤프트암(2)의 회동 각도 범위가 더욱 크며, 샤프트암(2)이 가능한 손잡이(1)의 외주벽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할 수 있어 폴딩 후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 크기가 감소되어, 수납에 편이하다. 구체적으로, 연결 베이스(5)의 연장단(51)은 손잡이(1)의 방사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단(51)은 손잡이 본체(11)의 외주벽에 직접 성형되고 손잡이(1)의 방사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샤프트암(2)은 직선형을 이루고, 샤프트암(2)이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샤프트암(2)의 길이 방향과 손잡이(1)의 길이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직선형을 이루는 샤프트암(2)은 샤프트암(2) 폴딩후 수납 상태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샤프트암(2)이 밖으로 펴지는 제2 상태(예를 들어 샤프트암(2)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로 회동 시, 직선형을 이루는 샤프트암(2) 상의 클램핑 기구(4)는 손잡이(1)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고, 샤프트암(2)이 펼침 사용 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 무게 중심은 손잡이(1)의 중심 축선에 더욱 접근하여,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안정성이 더욱 높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 구조는 연장단(51)의 두개의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축(3) 및 샤프트암(2)에 설치되는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고. 샤프트암(2)은 그 위의 샤프트 슬리브가 연장단(51)의 회동축(3)에 회동 설치되는 구조 설치를 통해,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이하다. 추가적으로, 샤프트 슬리브가 감쇠 기능을 가지고 회동축(3)에 회동 연결되어, 샤프트 슬리브와 회동축(3) 사이는 외력의 작용 하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하기에 적합하다. 샤프트 슬리브가 감쇠 기능을 가지며 회동축(3)에 회동 연결되는 구조 설계는 수동으로 샤프트암(2)과 손잡이(1) 사이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편이하여, 샤프트암(2)에서의 촬영 장치의 부앙각을 조절하고, 촬영 장치 장착 후의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 위치 조절을 실현하여,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을 손잡이(1)의 축선방향에 제어하기에 편이하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 구조는 연장단(51)에 고정되는 구형 힌지 및 샤프트암(2)에 설치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볼 조인트는 감쇠 기능을 가지며 구형 힌지에 회동 연결된다. 또한, 샤프트암(2) 및 연장단(51) 사이의 회동 구조도 전동기 구동으로 수동을 대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1)는 내부에 장착 챔버(112)를 구비하는 원통형 구조이고, 신축 로드 구조(8)의 고정단은 손잡이 본체(11)의 장착 챔버(112) 내에 고정되며, 신축 로드 구조(8)는 손잡이 본체(11)의 장착 챔버(112) 내에 완전히 수납되는 수납 상태 및 장착 챔버(112) 밖으로 돌출되는 확장 상태를 가지고,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11)의 저부에 연결된다. 신축 로드 구조(8)는 밖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연결 베이스(5) 및 그 위의 샤프트암(2)의 높이를 조절하여,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촬영 높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절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신축 로드 구조(8)가 수축 상태에 처하였을 때, 신축 로드 구조(8)는 손잡이(1)의 장착 챔버(112) 내에 완전히 수축될 수도 있어, 신축 로드 구조(8)의 공간 점유를 줄이고, 구조의 컴팩트성이 높으며, 체형이 작고, 기능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1) 내의 장착 챔버(112) 및 신축 로드 구조(8)를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축 로드 구조(8)의 신축단에 회전축(9)이 연결되어 있고, 연결 베이스(5)는 회전축(9)에 회동 연결된다. 연결 베이스(5) 자체는 샤프트암(2)의 회동에 대해 불가피하게 간섭이 발생되기에, 샤프트암(2)은 연결 베이스(5)에 대해 360도의 부앙 회동할 수 없고, 연결 베이스(5)는 회전축(9)을 통해 신축 로드 구조(8)의 신축단에 회동 장착되며, 연결 베이스(5)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샤프트암(2) 상의 촬영 장치의 부앙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기에, 연결 베이스(5)의 회동은 샤프트암(2)의 회동에 배합하여 샤프트암(2) 상의 촬영 장치의 부앙 각도 조절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킨다. 그 외, 연결 베이스(5)의 회동 및 샤프트암(2)의 회동 배합을 통해, 촬영 장치를 필요한 촬영 각도로 조절하는 기초 상에, 필요 자세에 처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1)의 중심 가능한 축선에 접근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베이스(5)는 신축 로드 구조(8)의 출력단에 직접 고정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1)의 외면에 기능키가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기능키는 다방향 조작버튼, 지시등 및 모듈 선택 다이얼판 등을 포함하나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손잡이 본체(11)의 내부에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안정 보강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 회로판이 마련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핑 기구(4)는 홀더(41), 클램핑 죠(42) 및 그립(43)을 포함한다. 여기서, 클램핑 죠(42)는 두개가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각각 홀더(41)의 대향하는 양측에 고정되며, 클램핑 죠(42)의 높이는 홀더(41)의 높이보다 다소 높고, 두개의 클램핑 죠(42) 및 홀더(41) 사이의 배합을 통해 중간이 함몰된 오목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립(43)의 일단에 핀축(45)이 고정 연결되어 있고, 클램핑 죠(42)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모두 핀축(45)양단에 각각 배합되는 핀축홀이 개설되어 있으며, 핀축(45)의 축선방향은 한쌍의 클램핑 죠의 연결선 방향에 수직된다. 그립(43)은 핀축(45)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응 클램핑 죠(42)의 탑부에 회동 연결된다. 그립(43)이 핀축(4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홀더(41) 상부 공간을 향해 밀집되는 수납 위치, 및 홀더(41)에 대해 밖으로 펼쳐지고 홀더(41)에 배합되어 촬영 장치를 수용하는 오목형 홀딩 공간을 형성하는 홀딩 위치를 가진다. 클램핑 죠(42)에 하나의 회동 폴딩 가능한 그립(43)이 연결되어 있고,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가 비 사용 상태일 때, 그립(43)은 홀더(41)의 상부에 접근하는 수납 위치에 위치하여, 클램핑 죠(42) 및 그립(43)이 전체적으로 밖으로 펼쳐진 길이를 줄임으로써,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가 수납 상태에서의 공간 점유를 줄인다. 추가적으로, 핀축(45) 및 핀축홀 사이에 반발 구조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반발 구조의 탄성력은 그립(43)이 홀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한쌍의 그립(43)이 홀딩 위치에 위치 시, 촬영 장치의 홀딩력 크기를 확보하고, 촬영 장치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립(43)에 범퍼 패드(44)가 더 연결되어 있고, 범퍼 패드(44)는 그립(43)이 홀더(41)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위치하고 홀더(41)의 일측 표면을 향한다. 범퍼 패드(44)의 설치는 그립(43)이 촬영 장치를 더욱 잘 압착하여, 촬영 장치가 느슨해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립(43)이 촬영 장치에 대한 손상을 줄인다.
도 8 내지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1)는 손잡이 본체(11)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포함하고, 샤프트암(2)의 일단 연결 베이스(5)를 통해 손잡이 본체(11)에 회동 연결되며, 아웃트리거 구조는 각각 손잡이 본체(11)가 연결 베이스(5)에 배향하는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3개의 아웃트리거(12)를 포함하고, 3개의 아웃트리거(12)는 손잡이 본체(11)를 중심으로 하여 밖으로 전개되어 손잡이 본체(11)가 스탠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상태, 및 서로 클로징하여 손잡이(1)의 핸드헬드 부분으로 되는 클로징 상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아웃트리거(12)의 저부 및 지지 저면 사이의 지지 방식은 포인트 지지, 라인 지지 또는 면지지일 수 있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웃트리거(12)의 수량은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고, 각 아웃트리거(12) 및 지지 저면 사이의 지지 포인트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아웃트리거(12) 및 손잡이 본체(11) 사이의 힌지 연결 구조는 회동축 경첩 구조 또는 구형 힌지 구조일 수 있다. 3개의 아웃트리거(12)가 서로 클로징하는 클로징 상태일 경우, 3개의 아웃트리거(12)는 손잡이(1) 핸드헬드부의 일부가 되어, 핸드헬드 사용에 편이하고, 3개의 아웃트리거(12)가 손잡이 본체(11)를 중심으로 펴지는 지지 상태일 경우, 3개의 아웃트리거(12)는 손잡이 본체(11)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가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여러 적용 상황에서 사용자가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대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 외, 3개의 아웃트리거(12)는 모두 힌지 연결 방식을 통해 손잡이 본체(11)에 연결되어, 아웃트리거 구조 및 손잡이 본체(11)의 일체형을 실현하였고, 사용자가 외출하여 촬영 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각각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이 더욱 강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아웃트리거(12)의 내부에 모두 수용 챔버가 개설되어 있고, 3개의 수용 챔버 내에는 제1 전동기(6), 제2 전동기(7) 및 신축 로드 구조(8)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15)가 수납되어 있으며, 배터리(5)는 박편 형상의 리튬 배터리이고, 수용 챔버 내에 수납되며, 리튬 배터리(15)는 단위 용적이 비교적 커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항속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아웃트리거(12)에 수용 챔버를 관통하는 3개의 케이블 엔트리(122)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15)에 연결된 3개의 도선(16)은 각각 대응되는 케이블 엔트리(122)를 통과한 후 손잡이 본체(11)의 장착 챔버(112) 내에 진입하고, 그 후 팬틸트 어셈블리 상의 전동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공급 회로를 형성한다.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는 핸드헬드 사용의 기본 필요에 따라, 손잡이 본체(11)의 길이 및 외경 모두 일정한 제한을 받게 되고, 손잡이 본체(11) 내의 장착 공간이 제한된다. 신축 로드 구조(8)는 손잡이 본체(11)의 장착 챔버(112) 내에 장착되어, 손잡이 본체(11) 내의 대부분 장착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손잡이 본체(11) 내에 제어 회로판 등 일부 필수 부품이 장착되어야 하기에, 손잡이 본체(11) 내에서 배터리(15) 장착에 사용되는 장착 공간이 아주 작거나 거이 없어, 손잡이 본체(11) 내에 체형 용적이 비교적 큰 배터리(15)를 장착할 수 없어, 핸드헬드의 안정성의 장기적인 항속 능력이 비교적 저하되고, 만약 배터리(15)를 샤프트암(2)에 장착하면, 제1 전동기(6)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고,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장기적인 항속 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15)를 아웃트리거(12) 내의 수용 챔버 내에 설치하여, 비교적 큰 용량의 배터리(15)의 장착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고, 아웃트리거(12) 상의 장착 공간을 충분히 이용하며,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전체적인 컴팩트화, 소형화, 경량화설계를 실현하는 전제하에서,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장기 항속 능력을 향상시키고, 배터리(15)를 아웃트리거(12)에 설치하여, 배터리(15)를 손잡이 본체(11) 내에 장착하거나 또는 샤프트암(2) 내에 장착하는 방식에 비해, 전체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고,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1)는 두개의 부품 유닛(111)을 접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 챔버(112)을 구비하는 원통형 구조이며, 장착 챔버(112) 내에 신축 로드 구조(8) 등 기타 부품을 조립하도록 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1)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 유닛(111)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11) 저부의 단면에 고정 연결되고, 손잡이 본체(11)와 동측으로 설치되는 지지 베이스(13)를 더 포함하고, 3개의 아웃트리거(12)는 각각 그 위에 연결된 힌지 조인트(14)를 통해 지지 베이스(13)에 힌지 연결 장착되며, 지지 베이스(13)는 중간 관통홀(133)을 가지는 원형의 시트체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지지 베이스(13)는 볼트를 조이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손잡이 본체(11)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웃트리거 구조는 손잡이 본체(11)의 저단 또는 손잡이 본체(11)의 외주 측벽에 직접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아웃트리거 구조가 지지 베이스(13)를 통해 손잡이 본체(11)에 힌지 연결 장착되는 방식은 아웃트리거 구조를 손잡이 본체(11)에 직접 힌지 연결하는 방식에 비해, 전체 손잡이(1) 구조의 안정성이 더욱 높고, 아웃트리거(12) 및 손잡이 본체(11)의 조립에도 편이하며, 손잡이 본체(11) 구조 설계를 간소화하고, 그 외, 지지 베이스(13)는 두개의 부품 유닛(111)을 함께 연결하여, 두개의 부품 유닛(111) 사이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베이스(13)의 외주 측벽에 원주방향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노치홈(131)이 개설되어 있고, 3개의 아웃트리거(12) 상의 3개의 힌지 조인트(14)는 각각 대응되는 노치홈(131) 내에 회동 연결된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치홈(131)은 지지 베이스(13)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힌지 연결 베이스에 마련될 수도 있고, 지지 베이스(13)에 힌지 조인트(14)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지지 베이스(13)가 손잡이 본체(11)를 향하는 표면에 대응되는 노치홈(131)의 홈 저부와 서로 연통되는 3개의 제1 요홈(132)이 마련되어 있고, 손잡이 본체(11)가 지지 베이스(13)를 향하는 표면에 제1 요홈(132) 위치에 일일히 대응되는 3개의 제2 요홈(1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요홈(113) 및 대응되는 제1 요홈(132)이 배합되어 힌지 조인트(14)에 대해 위치제한을 진행하는 위치제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힌지 조인트 장착 구조, 힌지 조인트(14) 및 손잡이 본체(11) 또는 지지 베이스(13) 사이에 별도로 힌지 조인트(14)가 그 둘레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는 중심축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지지 베이스(13)를 손잡이 본체(11)에 고정하기만 하면, 제2 요홈(113) 및 제1 요홈(132)은 힌지 조인트(14)를 이출을 위치제한하는 위치제한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힌지 조인트(14)는 그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 사이즈는 일정한 규격보다 작을 수 없기에, 힌지 조인트(14)의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손잡이 본체(11) 저부의 일정한 높이를 차지해야 하고, 손잡이 본체(11)의 저부에 제2 요홈(113)를 마련하여 힌지 조인트(14)를 위치제한 공간의 일부분으로 하여, 손잡이 본체(11) 내의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핸드헬드의 안정성, 컴팩트성, 소량화 및 경량화의 설계 요구를 더울 잘 만족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12)에서 수용 챔버의 개구는 아웃트리거(12)가 내부를 향하는 일측 표면에 위치하고, 수용 챔버에는 수용 챔버의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121)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21)의 탈착 가능한 구조는 수용 챔버 내의 배터리(15) 교체에 편이하고, 커버 플레이트(121) 내장 방식은, 손잡이(1) 전체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체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웃트리거(12)에서 수용 챔버의 개구는 아웃트리거(12)가 외부를 향하는 일측 표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커버 플레이트(121)는 수용 챔버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3개의 아웃트리거(12)가 클로징 상태에 처하였을 때, 3개의 아웃트리거(12) 사이에 캐비티를 구비하여, 배터리(15) 작동 시 생성되는 열량이 캐비티를 통해 외부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 배터리(15) 발열에 따른 위험을 줄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12)에는 수용 챔버를 관통하는 3개의 케이블 엔트리(122)가 더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15)에 연결된 3개의 도선(16)은 각각 대응되는 케이블 엔트리(122) 및 지지 베이스(13) 중간의 관통홀(133)을 통과하여 손잡이 본체(11)의 장착 챔버(112) 내로 연장된다. 팬틸트 어셈블리에 연결된 도선(16)은 장착 챔버(112) 내에서 배터리(15)로부터 인출된 도선(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신축 로드 구조(8)는 적어도 2단의 서로 슬리브 연결되고 횡단면적이 서로 다른 중공의 지지 로드를 포함하고, 배터리(15) 및 팬틸트 어셈블리 사이의 배선은 적어도 2단의 중공의 지지 로드의 내강을 통과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하고, 샤프트암(2)이 손잡이(1)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는 클램핑 기구(4) 및 손잡이(1)는 각각 손잡이(1)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고, 따라서, 촬영 장치가 샤프트암(2)과 함께 손잡이(1)의 외주벽을 향해 접근하는 제2 상태로 회동할 때, 손잡이(1)는 촬영 장치의 표면을 막지 않고, 촬영 장치가 폴딩 상태 하의 샤프트암(2)에 장착되어도 여전히 셀카 등 기능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외, 촬영 장치가 휴대폰 등 전자 통신 설비일 경우, 휴대폰이 밖으로 펴지는 샤프트암(2)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휴대폰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수신, 착신, 메시지 답장, 웹 동영상 브라우징 등)을 사용해야 할 때, 손잡이(1)가 샤프트암(2) 폴딩 후의 클램핑 기구(4)에서 휴대폰 화면을 막지 않기에, 휴대폰을 클램핑 기구(4)에서 착탈할 필요가 없고, 샤프트암(2)을 회동하여, 샤프트암(2)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운동하도록 하고, 손으로 손잡이(1)를 잡기만 하면, 휴대폰의 기타 여러 기능을 편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시 휴대폰의 촬영 기능을 사용해야 할 경우, 회동 샤프트암(2)을 다시 회동하기만 하면 되고, 클램핑 기구(4)에서 빈번히 휴대폰 등 촬영 장치를 장착 또는 착탈할 필요가 없으며, 클램핑 기구(4)에서의 휴대폰 등 촬영 장치의 장착 위치를 반복하여 조절하는 조작도 줄였고, 사용이 더욱 편이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명백한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고, 실시형태에 대한 한정이 아닌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이서,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다른 형식의 변경 및 변동을 할 수 있고, 여기에서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철저하게 열거할 수도 필요도 없다. 또한 이로부터 파생된 변화 및 변동은 여전히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손잡이; 11: 손잡이 본체; 111: 부품 유닛; 112: 장착 챔버; 113: 제2 요홈; 12: 아웃트리거; 121: 커버 플레이트; 122: 케이블 엔트리; 13: 지지 베이스; 131: 노치홈; 132: 제1 요홈; 133: 관통홀; 14: 힌지 조인트; 15: 배터리; 16: 도선; 2: 샤프트암; 3: 회동축; 4: 클램핑 기구; 41: 홀더; 42: 클램핑 죠; 43: 그립; 44: 범퍼 패드; 45: 핀축; 5: 연결 베이스; 51: 연장단; 6: 제1 전동기; 7: 제2 전동기; 8: 신축 로드 구조; 9: 회전축

Claims (18)

  1.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에 있어서,
    손잡이(1) 및
    일단이 회동 구조를 통해 상기 손잡이(1)에 회동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 촬영 장치에 지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지지 구조(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구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상기 손잡이(1)에 대해 밖으로 펴지는 제1 상태 및 상기 손잡이(1)의 외주를 향해 밀집하는 제2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지지 구조(4) 및 상기 손잡이(1)가 각각 그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는 샤프트암(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암(2)이 상기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지지 구조(4) 및 상기 손잡이(1)가 각각 상기 샤프트암(2)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가 장봉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에 연결 베이스(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5)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1)의 일단이 제1 단부이며, 상기 연결 베이스(5)는 상기 제1 단부가 위치하는 기둥형 공간에서 벗어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단(51)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1)의 축방향에서의 상기 기둥형 공간 및 상기 제1 단부의 투영이 서로 같으며, 상기 샤프트암(2)의 일단이 상기 회동 구조를 통해 상기 연장단(51)에 회동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조는 상기 연장단(51)에 설치되는 회동축(3) 및 상기 샤프트암(2)에 설치되는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감쇠 기능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3)에 회동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와 상기 회동축(3) 사이는 외력의 작용 하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의 탑부에 제1 전동기(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5)가 상기 제1 전동기(6)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가 연결되어 있는 일단에 상대하는 상기 샤프트암(2)의 일단에 제2 전동기(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가 상기 제2 전동기(7)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암(2)은 직선형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암(2)이 제2 상태에 처하였을 때, 상기 샤프트암(2)의 길이 방향과 상기 손잡이(1)의 길이 방향이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의 내부에 장착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챔버 내에 신축 로드 구조(8)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베이스(5)가 상기 신축 로드 구조(8)의 신축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 로드 구조(8)의 고정단이 상기 손잡이(1)의 장착 챔버 내에 연결되며, 상기 신축 로드 구조(8)가 상기 장착 챔버 내에 수납되는 수축 상태 및 상기 장착 챔버 밖으로 돌출되는 확장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로드 구조(8)의 신축단에 회전축(9)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베이스(5)가 상기 회전축(9)에 회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촬영 장치를 홀딩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홀더(41),
    상기 홀더(41)의 대향하는 양측에 쌍을 이루어 두개가 설치되는 클램핑 죠(42) 및
    일 축선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상기 클램핑 죠(42)에 회동 연결되고,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41) 상부 공간을 향해 밀집되는 수납 위치 및 상기 홀더(41)에 대해 밖으로 펼쳐지고 상기 홀더(41)에 배합되어 촬영 장치를 수용하는 오목형 홀딩 공간을 형성하는 홀딩 위치를 가지는 그립(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43)에 범퍼 패드(4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범퍼 패드(44)가 상기 홀더(41)에서 멀어지는 상기 그립(43)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41)의 일측 표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촬영 장치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는 손잡이 본체(11) 및 아웃트리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암(2)이 상기 손잡이 본체(11)에 회동 연결되며, 상기 아웃트리거 구조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 본체(11)에 힌지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아웃트리거(12)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의 상기 아웃트리거(12)는 상기 손잡이 본체(11)를 중심으로 밖으로 전개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11)가 스탠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상태 및 서로 클로징하여 손잡이(1)의 핸드헬드 부분으로 되는 클로징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12)에 수용 챔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수용 챔버 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전동기(6)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챔버의 개구는 상기 아웃트리거(12)가 내부를 향하는 일측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아웃트리거(12)에는 상기 수용 챔버의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121)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KR1020207026041A 2020-07-21 2020-08-05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KR20220012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09097.9A CN113958848A (zh) 2020-07-21 2020-07-21 一种手持稳定器
CN202010709097.9 2020-07-21
PCT/CN2020/107046 WO2022016617A1 (zh) 2020-07-21 2020-08-05 一种手持稳定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778A true KR20220012778A (ko) 2022-02-04

Family

ID=7945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041A KR20220012778A (ko) 2020-07-21 2020-08-05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45297A (ko)
KR (1) KR20220012778A (ko)
CN (1) CN113958848A (ko)
WO (1) WO2022016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357021U (zh) * 2022-04-28 2022-09-02 慈溪欣轮电器有限公司 一种方便收纳的辐射取暖器
CN116906780B (zh) * 2023-09-14 2023-11-28 宜宾本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型一体机电脑
CN117267530B (zh) * 2023-09-14 2024-05-03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唐县供电公司 一种手持伸缩供电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388U (ja) * 2004-02-12 2004-08-12 義昌 陳 撮影器材用スタンド
JP2005234352A (ja) * 2004-02-20 2005-09-02 Asahi:Kk 三脚
JP2005321722A (ja) * 2004-05-11 2005-11-17 Fuji Photo Film Co Ltd 三脚
CN101414103B (zh) * 2007-10-16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脚架
WO2015101822A1 (en) * 2014-01-02 2015-07-09 Mastortech Limited Camera stabilisation mounting
CN207018779U (zh) * 2017-05-26 2018-02-16 深圳市陆星实业有限公司 一种带伸缩杆的拍摄支架
CN108426157B (zh) * 2018-04-28 2024-06-21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手持云台及其夹持机构
CN210567422U (zh) * 2019-05-27 2020-05-1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
CN210485212U (zh) * 2019-05-31 2020-05-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及拍摄设备
CN210662231U (zh) * 2019-06-19 2020-06-02 桂林智神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臂折叠结构及稳定器
CN212480794U (zh) * 2020-07-21 2021-02-05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稳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58848A (zh) 2022-01-21
WO2022016617A1 (zh) 2022-01-27
JP2022545297A (ja)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2778A (ko) 핸드헬드 스테빌라이저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EP3686472B1 (en) Foldable device and foldable fan and foldable table lamp applicable thereto
KR102349489B1 (ko) 셀프 촬영 장치
CN212298476U (zh) 一种手柄式辅助拍摄的装置
CN213628066U (zh) 折叠式风扇
CN215682350U (zh) 可折叠式移动终端支架
CN212480794U (zh) 一种手持稳定器
CN111131581A (zh) 一种带三脚支撑功能的自拍杆
CN206130501U (zh) 一种自拍杆
CN210565233U (zh) 带充放电功能的可收纳折叠风扇
KR20220000801A (ko) 손잡이식 보조 촬영 장치
CN216280795U (zh) 一种便捷式补光灯
CN221463315U (zh) 魔术臂支架
US20230221626A1 (en) Surround shooting device
CN220891647U (zh) 摄影支架
CN217603689U (zh) 一种拍摄辅助装置
CN220957621U (zh) 折叠支架
CN217208728U (zh) 夹持件可隐藏收叠的自拍杆
CN220749525U (zh) 一种自拍杆三脚架组合式结构
CN214744245U (zh) 云台稳定器
CN210839695U (zh) 一种带三脚支撑功能的自拍杆
CN214744244U (zh) 云台稳定器
US11988320B2 (en) Shooting stand with balancing weight
CN220749534U (zh) 一种手机夹面板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