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868A -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868A
KR20230027868A KR1020210110131A KR20210110131A KR20230027868A KR 20230027868 A KR20230027868 A KR 20230027868A KR 1020210110131 A KR1020210110131 A KR 1020210110131A KR 20210110131 A KR20210110131 A KR 20210110131A KR 20230027868 A KR20230027868 A KR 2023002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amper
shoe
air
dam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필
김대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868A/ko
Priority to PCT/KR2022/012015 priority patent/WO2023022440A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68A/ko
Priority to US18/545,867 priority patent/US202401180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신발이 수용되는 챔버와 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와 공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팬과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챔버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거치대와 분사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복수의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챔버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댐퍼와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챔버 내부에 수용된 신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 센서와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신발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의류를 건조 및 탈취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의류를 관리하는 것 이외에도, 신발을 관리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가 개발되고 있다. 신발 관리기는 건조 기능 이외에도 살균 장치 및 탈취 장치를 더 구비하여, 의류보다 위생에 취약한 신발을 제습, 탈취 및 살균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를 구비하고 있고, 챔버 내에는 신발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마련하여 신발을 관리한다. 그리고, 거치대의 일단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신발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여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신발이 수용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 상기 공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팬; 상기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거치대;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댐퍼;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신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1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에 형성된 에어 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는 모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사용자로부터 관리 코스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댐퍼 또는 상기 제2 댐퍼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상기 감지 센서에 대응하는 댐퍼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관리 코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단축된 시간이 출력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사용자로부터 신발 종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발 종류에 따라 상기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신발이 수용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 상기 공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팬, 상기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거치대,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댐퍼 및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신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1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에 형성된 에어 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는 모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관리 코스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및 상기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댐퍼 또는 상기 제2 댐퍼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관리 코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단축된 시간이 출력되도록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신발 종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및 상기 선택된 신발 종류에 따라 상기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신발이 거치된 거치대의 노즐에만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전면에서 바라본 신발 관리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챔버 내에 마련된 댐퍼를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챔버 내에 마련된 댐퍼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는 챔버 내에 설치되는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챔버 내에 설치되는 장착 레일을 도시한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공기의 흐름과 냉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신발이 한 개가 거치된 경우 댐퍼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신발이 두 개 이상이 거치된 경우 댐퍼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표시 동작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입력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 또는 전기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개시된 발명을 제한하거나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된 서수가 구성요소들 간의 배치 순서, 제조 순서나 중요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이러한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1)의 도어(20)가 설치된 방향은 전방 또는 전면으로 정의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전면에서 바라본 신발 관리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23)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면의 길이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측면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 전면의 길이(L1)가 본체(10) 측면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좁은 현관에도 신발 관리기(1)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본체(10) 전면의 길이는 제1 길이(L1), 본체(10) 측면의 길이는 제2 길이(L2)로 정의될 수 있다.
도어(20)는 상면에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컨트롤 패널(22)는 도어(2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신발에 적절한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관리기(1)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22)은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20)는 걸이 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 부재(21)는 챔버(30)의 내부를 마주보는 도어(2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걸이 부재(21)는 거치대(50)의 손잡이(55)를 걸어두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걸이 부재(21)에 의해 거치대(50)의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걸이 부재(21)는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110)는 챔버(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 센서(110)는 거치대(50)에 신발이 거치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 도 10)에 제공한다. 감지 센서(110)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발광 센서 및 거리 감지 센서 등 다양한 공지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110c)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선반(90) 또는 덕트 선반(103)에 의해 분리된 챔버(30)의 공간 마다 설치되어 공간 마다 신발의 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스팀 노즐(122)은 챔버(3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챔버(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스팀 노즐(122)은 스팀 덕트(92)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을 챔버(30)내의 신발에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팀 노즐(122a, 122b, 122c)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선반(90) 또는 덕트 선반(103)에 의해 분리된 챔버(30)의 공간 마다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는 외부 케이스(11) 및 외부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는 챔버(30)를 형성할 수 있다. 챔버(30)의 내부에는 신발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50)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2)는 케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챔버(30)는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챔버(30)는 내부 케이스(12)의 상면(12a), 하면(12b), 좌측면(12c), 우측면(12d) 및 후면(12e)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30)에는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이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은 챔버(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거치대(50)는 신발 관리기(1)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신발의 측면이 보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 측면의 길이가 본체(10) 전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50)와 장착 레일(80)의 위치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거치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신발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50)는 챔버(30)에서 분리 가능하다. 즉, 거치대(50)는 챔버(30)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80)과 결합될 수 있고, 장착 레일(80)과 분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거치대(50)는 제2방향(Y)을 따라서 장착 레일(80)에 삽입될 수 있다. 거치대(50)가 분리 가능하므로, 신발의 크기에 따라 챔버(30) 내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노즐(51a, 52a, 도 6)을 포함하며, 거치대(50)에 신발이 거치되면, 신발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제2 덕트(70) 및 노즐(51a, 52b)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챔버(30)는 공기 유입구(60) 및 공기 배출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내부 케이스(12)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유입구(60)는 챔버(30)의 좌측면(12c)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챔버(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6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유입구(6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공기 배출구(31)는 챔버(30)의 하면(12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배출구(31)는 챔버 하면(1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30) 내 공기는 공기 배출구(31)를 통해 제1 덕트(46)로 흐를 수 있다. 공기 배출구(31)는 중앙 홀(31a)과 복수의 사이드 홀을 포함하는 그릴(31b)로 구성될 수 있다.
챔버(30) 아래에는 기계실(32)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32) 내에는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팽창 장치(44), 탈취 장치(45) 제1 덕트(46) 및 팬(4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챔버(30) 내부 또는 기계실(32) 내에는 살균 장치(49)도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41),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팽창 장치(44)는 히트 펌프 장치(40)로 정의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챔버(30)를 순환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챔버(3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덕트(46)는 챔버(30) 아래에 위치하는 덕트로서 하부 덕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 덕트(46)는 챔버(30)의 공기 배출구(31)와 연결되고 공기 배출구(31)를 통과한 공기를 팬(47)까지 안내하는 제1 유로(46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46)는 본체(10)의 측면 내에 마련되는 제2 덕트(7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70)는 상부 덕트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덕트(70)는 신발 관리기(1)의 제2 방향(Y)으로 내부 케이스(12)의 측벽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덕트(70)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포트(60)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제1 덕트(4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70)는 공기를 공급 포트(60)로 안내하는 제2 유로(7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덕트(46) 내에는 증발기(42)와 응축기(43)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42), 응축기(43) 및 팬(47)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증발기(42)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응축기(43)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스팀 덕트(92)는 신발 관리기(1)의 제2 방향(2)으로 내부 케이스(12)의 측벽 외측에 제2 덕트(70)와 나란히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덕트(92)의 일 단은 스팀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스팀 노즐(12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공급 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스팀 덕트(92) 및 스팀 노즐(122)을 통해 챔버(30)내에 공급될 수 있다.
팬(47)은 히트 펌프 장치(40)와 챔버(3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팬(47)은 미리 정해진 RPM(Rotate per minute)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47)은 제1 덕트(46)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제2 덕트(70) 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31)를 통해 제1 덕트(46)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 펌치 장치(40)의 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건조되고 응축기(4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제2 덕트(70)와 공급 포트(60)를 통해 챔버(30)로 다시 토출될 수 있다.
팬(47)은 모터(미도시)와 블레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며,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팬(47)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47)은 원심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46) 내에는 탈취 장치(45)가 배치될 수 있다. 탈취 장치(45)는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필터(45a)와 UV LED(45b)는 챔버(30)의 공기 배출구(31)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UV LED(45b)는 탈취 필터(45a)에 광을 조사하여 공기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취 필터(45a)는 세라믹 필터, 광촉매 필터 또는 활성탄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0) 내부나 제1 덕트(46) 내에는 살균 장치(4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 장치(49)는 자외선 램프, 자외선 LED, 제논 램프, 오존 발생기 또는 살균제 스프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의 하부, 즉 기계실(32)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통(48)은 증발기(42)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배수통(48)은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챔버(3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90)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90)에는 신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반(90)은 덕트 선반(103)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선반(103)은 내부에 유로(103b)를 형성할 수 있고, 하면에 홀(10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70)를 통해 팬(47)으로부터 올라오는 공기는 덕트 선반(103)의 홀(103a)을 통해 챔버(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덕트 선반(103)의 상면에도 홀(106)이 마련될 수 있다.
덕트 선반(103)의 측면은 제2 덕트(70) 내에 배치되는 원형 덕트(104)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 노즐(104a)을 통해 챔버(30) 내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는 원형 덕트(104)를 지난 후 덕트 선반(10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형 덕트(10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 덕트(104)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가열된 공기가 제2 덕트(70)를 통해 공급할 수 있으며, 챔버(30)의 분리된 공간은 제2 덕트(70)를 공유함으로써, 가열된 공기는 분리된 모든 공간에 동시에 공급된다. 그러나, 어느 한 곳에만 신발이 거치된 경우, 모든 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제습 등의 효과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분리된 각각의 공간 마다 가열된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댐퍼(130)를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의 제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댐퍼(13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챔버 내에 마련된 댐퍼를 도시하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챔버 내에 마련된 댐퍼를 도시한다.
신발 관리기(1)는 챔버(30)의 좌측면(12c)에 마련된 복수의 댐퍼(130a, 130b)를 포함하며, 복수의 댐퍼(130a, 130b) 각각에 대응되는 모터(131a, 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30)는 거치대(50, 도 6)에 마련된 노즐(51a, 52a)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기구로써 모터(131)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모터(131)는 구동 전력 파형에 따라 댐퍼(130)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모터(131)는 스테핑 모터, DC 브러시리스 모터, 동기 모터, 릴럭턴스 모터 등 구동 전압 파형에 따라 회전량을 조절하여 댐퍼(130)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댐퍼(130)는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댐퍼(130a)는 개방되고, 제2 댐퍼(130b)는 폐쇄되거나, 제1 댐퍼(130a)는 폐쇄되고, 제2 댐퍼(130b)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가열된 공기는 챔버(30)의 모든 공간에 분사되지 않고, 개방된 댐퍼(130)에 대응되는 노즐(51a, 52a)에만 공급되어, 집중적인 제습 및 탈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댐퍼(130)는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량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댐퍼(130a) 또는 제2 댐퍼(130b)는 이동량이 결정되어, 가열된 공기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130)는 제2 방향(Y)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에어 홀(85)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130)는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량을 조절하여 가열된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130)는 제2 방향(Y)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에어 홀(85)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130)는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한 회전량을 조절하여 가열된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챔버(3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챔버(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스팀 노즐(122)이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노즐(122)은 스팀 덕트(92, 도 3)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을 챔버(30)내의 신발에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신발 관리기(1)는 챔버(30)의 좌측면(12c) 또는 우측면(12d)에 스팀 댐퍼(120a, 120b)가 마련되어, 스팀의 분사를 분리된 공간 중 어느 한곳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스팀 댐퍼(120)는 스팀 모터(121)에 의해 이동량 또는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팀 댐퍼(120) 및 스팀 모터(121)의 작동 원리는 댐퍼(130) 및 모터(131)의 작동 원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는 챔버 내에 설치되는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챔버 내에 설치되는 장착 레일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거치대(50)는 지지프레임(51, 52), 손잡이(55), 지지 몸체(56) 및 결합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몸체(56)는 손잡이(55), 결합부(57) 및 지지프레임(51, 52)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1, 52)은 제1 지지프레임(51) 및 제2 지지프레임(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51)과 제2 지지프레임(52)은 챔버(30)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돌출되며 제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51, 52)은 2개로 도시되었으나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51)과 제2 지지프레임(52)은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되므로 복수의 신발이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51, 52)은 거치된 신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51, 52)은 챔버(30)의 하면(12b)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50)에 거치된 신발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손잡이(55)는 거치대(50)의 이동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55)를 파지하여 거치대(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잡이(55)를 이용하여 거치대(50)를 장착 레일(8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손잡이(55)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55)는 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5)에는 그립 부재(55a)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립 부재(55a)를 이용하여 손잡이(55)를 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결합부(57)는 공기 유입구(60)와 연결되어 제2 덕트(7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지지프레임(51, 52)으로 안내할 수 있다. 결합부(57)는 중공의 타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대(50)의 지지프레임(51, 52)은 각각 노즐(51a, 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51)은 제1 노즐(51a)을 포함하고, 제2 지지프레임(52)는 제2 노즐(52a)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51a, 52a)은 지지프레임의 하면(51b, 52b) 또는 측면(51c, 52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51a, 52a)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51a, 52a)은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노즐(51a, 52a)을 통해 챔버(30)의 분리된 공간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체결홈(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레일(80)의 고정돌기(84)는 체결홈(58)에 삽입되어 거치대(50)를 고정할 수 있다. 거치대(50)는 보강재(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59)는 손잡이(55)와 연결되며 지지 몸체(56)를 보강할 수 있다.
도 8은 챔버 내에 설치되는 장착 레일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착 레일(80)의 일 단(81)은 거치대(50)가 이탈하지 않도록 막혀 있고, 장착 레일(80)의 타 단(82)은 거치대(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장착 레일(80)은 고정프레임(83) 및 고정돌기(8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3)은 장착 레일(80)의 일 단(81)으로부터 타 단(82)으로 연장되고, 거치대(50)의 결합부(57)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돌기(84)는 거치대(50)의 체결홈(58)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50)가 장착 레일(80)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대(50)는 장착 레일(8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장착 레일(80)은 에어 홀(8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70)와 챔버(30)의 공기 유입구(6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장착 레일(80)의 에어 홀(85)을 통해 거치대(5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구(60)로부터 유입되는공기는 에어 홀(85)을 통해 거치대(50)의 지지프레임(51, 52)으로 제공될 수 있고, 노즐(51a, 52a)을 통해 챔버(30) 내로 분사될 수 있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공기의 흐름과 냉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S)을 수용하는 챔버(30), 신발(S)을 건조하기 위해 챔버(30) 내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히트 펌프 장치(40) 및 히트 펌프 장치(40)와 챔버(3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47)을 포함한다.
히트 펌프 장치(40)는 압축기(41), 응축기(43), 팽창 장치(44) 및 증발기(42)를 포함한다. 압축기(41), 응축기(43), 팽창 장치(44) 및 증발기(42)는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히트 펌프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고, 냉매는 냉매 배관을 흐르면서 히트 펌프 사이클에 따라 순환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저온저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로 토출한다. 토출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43)로 유입되고, 응축기(43)에서는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가 응축온도 이하의 고압의 액상 혹은 액상에 가까운 냉매로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43)를 통과한 고압의 액상 혹은 액상에 가까운 냉매는 팽창 밸브(130)에서 팽창되어 감압되고, 팽창 장치(44)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이상(Two-phase) 냉매는 증발기(42)에 유입된다. 증발기(42)에서는 이상(Two-phase) 냉매가 기상 냉매로 증발될 수 있다.
챔버(30)와 히트 펌프 장치(40)는 제1 덕트(46) 및 제2 덕트(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챔버(30) 내의 공기는 덕트를 통해 이동하며 히트 펌프 장치(40)와 챔버(30)를 순환할 수 있다.
챔버(3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42)에 유입된 저온 저압의 이상(Two-phase) 냉매는 증발기(42)를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상 냉매로 증발될 수 있고, 증발기(42)를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냉각됨과 동시에 습기가 제거되어 저온 건조한 공기가 된다.
증발기(42)를 통과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43)에 유입되고, 응축기(43)에서는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와 저온 건조한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액상 혹은 액상에 가까운 냉매로 응축되면서 열을 방출할 수 있고, 저온 건조한 공기는 냉매의 응축 과정에서 방출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응축기(43)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다시 챔버(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순환 사이클에 의해, 챔버(30)에 수용된 신발(S)의 건조가 가능하다.
팽창 장치(44)는 모세관 또는 전기 신호에 의해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식 팽창 밸브(Electric Expansion Valve)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압축기(41)는 주파수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로 구현될 수 있다. 압축기(41)의 주파수는 압축기(41)의 압축실에 연결된 모터의 초당 회전수를 의미한다. 건조 행정 시작 시 압축기(41)는 미리 정해진 기동 주파수로 작동할 수 있고, 이후 승온 시 압축기(41)는 작동 주파수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41)는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최소 작동 주파수와 최대 작동 주파수는 설계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 히트 펌프 장치(40), 탈취 장치(45), 팬(47), 살균 장치(49), 전원부(16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신발 관리기(1)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상술한 신발 관리기(1)의 구성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구성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신발 관리기(1)의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6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전원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60)는 콘덴서, 코일, 저항 소자, 프로세서 등 및 이들이 실장된 전원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신발 관리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기억 및/또는 저장하는 메모리(220)를 포함하고, 메모리(220)에 기억 및/또는 저장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발 관리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프로세서(210)와 메모리(220)가 실장된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하드 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 및/또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2)을 조작하여 관리 코스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신발 관리기(1)는 선택된 관리 코스에 대응하는 신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이 도어(20)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한 신발 종류 및 관리 코스의 선택에 기초하여 목표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신발 종류 및 관리 코스의 선택에 기초하여 작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이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신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22)은 신발 종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신발 종류 메뉴 또는 관리 코스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관리 코스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신발 종류는 구두, 운동화, 등산화, 부츠, 샌들, 레인부츠 등 용도나 형상에 따른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발 종류는 가죽, 면, 나일론, 혼합재, 실크, 에나멜, 스웨이드, 네오프렌 등 소재에 따른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신발 종류에 기초하여 챔버(30)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목표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신발은 종류에 따라 특성이 다르므로, 신발의 특성에 따라 신발의 관리를 위한 목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 소재의 신발에는 30
Figure pat00001
이상 38
Figure pat00002
미만의 낮은 목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가죽 소재의 신발에는 38
Figure pat00003
이상 43
Figure pat00004
미만의 중간 목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면 소재의 신발에는 43
Figure pat00005
이상 60
Figure pat00006
미만의 높은 목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종류 이상의 신발들이 관리 대상이거나 신발에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제습을 위한 목표 온도는 40
Figure pat00007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고, 탈취를 위한 목표 온도는 40
Figure pat00008
이상 60
Figure pat00009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습과 탈취가 모두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습 후 탈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신발의 수분을 낮은 온도에서 제거한 후 높은 온도에서 탈취를 진행함으로써 신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신발 종류에 기초하여 챔버(30)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댐퍼(130)의 이동량을 제어하여, 노즐(51a, 52a, 도 6)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소재의 신발에는 댐퍼(130)의 개방 정도를 30%로 설정하여 적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가죽 소재의 신발에는 댐퍼(130)의 개방 정도를 50%로 설정하여 중간 정도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면 소재의 신발에는 개방 정도를 100%로 설정하여 많은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이용하여 신발에 적절한 관리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관리 코스에 기초하여 신발 관리기(1)의 작동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코스는 표준 코스, 쾌속 코스, 강력 코스 또는 청정 보관 코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코스는 기본적인 관리 코스로서, 제습 효과와 탈취 효과를 정상적으로 발휘하는 표준 시간(예를 들면, 30분) 동안 신발 관리기(1)가 작동하는 관리 코스로 정의될 수 있다. 쾌속 코스는 표준 코스보다 빠른 시간 내에 최소한의 제습 효과와 탈취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관리 코스로 정의될 수 있다. 강력 코스는 표준 코스보다 긴 시간 동안 작동하여 최대의 제습 효과와 탈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관리 코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청정 보관 코스는 신발을 장시간 보관하는 관리 코스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신발에 대해 다양한 관리 코스가 적절히 적용될 수 있으므로, 신발 관리의 편리성과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목표 온도와 외기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작동 주파수로 압축기(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목표 온도와 외기 온도는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예를 들면, 외기 온도가 저온일 경우, 챔버(30)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빠르게 도달시키기 위해,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가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외기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목표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이가 작을 경우(예를 들면, 목표 온도와 외기 온도의 차이가 10
Figure pat00010
이하일 경우),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챔버(30) 내 온도가 급상승할 경우 목표 온도를 초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00)는 응축기(43)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온도와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1)의 작동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각 구성 및 각 구성 별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신발 관리기(1)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신발이 한 개가 거치된 경우 댐퍼의 작동을 도시하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 신발이 두 개 이상이 거치된 경우 댐퍼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1에 따른 신발 관리기(1)의 제어 방법은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신발 관리기(1)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1101). 이 때, 사용자의 선택 명령은 관리 코스에 관한 입력 또는 신발 종류에 관한 컨트롤 패널(22)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표준 코스, 쾌속 코스, 강력 코스 또는 청정 보관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구두, 운동화, 등산화, 부츠, 샌들, 레인부츠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된 신발 종류에 따른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110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110c)는 챔버(30) 내에 수용된 신발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110a)는 챔버(30) 상단에 형성된 공간의 신발을 감지하면 제1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고, 제2 감지 센서(110b)는 챔버(30) 중단에 형성된 공간의 신발을 감지하면 제2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고, 제3 감지 센서(110c)는 하단에 형성된 공간의 신발을 감지하면 제3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단, 도 2에 도시된 예는 일 예에 불과하며, 챔버(30)는 2 이상의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댐퍼(130)를 개방한다(1103).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3 개의 신발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사용자가 챔버(30)의 분리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서 신발을 관리하고자 할 때, 신발이 수용되지 않은 공간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댐퍼(130)만을 개방하여 실제 신발이 수용된 공간에서만 집중적인 케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댐퍼(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댐퍼(130)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로부터 수신한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댐퍼(130a) 및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중 제2 감지 센서(110b)로부터 수신한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댐퍼(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댐퍼(130)는 제3 감지 센서(110c)로부터 수신한 제3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3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댐퍼는 챔버(30)의 하단에 마련된 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제3 댐퍼가 개방되면 통해 원형 덕트 노즐(104a, 도 3참조)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챔버(30) 하단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댐퍼(130a)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제2 댐퍼(130b)를 개방하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댐퍼(130a)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제2 댐퍼(130b)를 개방할 수 있다. 결국,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수용된 위치에 있는 댐퍼(130)만을 개방하여 히트 펌프 장치(40)에서 가열된 공기를 신발 하나에만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댐퍼(130)의 작동은 컨트롤 패널(22)에 대한 사용자에 입력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수용된 위치에 마련된 제2 댐퍼(130b)를 개방하고, 신발이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 마련된 제1 댐퍼(130a)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공간에 신발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신발을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제1 감지 신호와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제1 댐퍼(130a)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제2 댐퍼(130b)를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제1 댐퍼(130a)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제2 댐퍼(130b)를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챔버(30)의 분리된 공간 중 최우선 순위로 신발이 관리되는 공간을 정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히트 펌프 장치(40)를 가동한다(1104).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댐퍼(130a, 130b)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고, 히트 펌프 장치(40)에서 생성된 가열 공기를 분리된 챔버(30)의 공간 중 어느 한 곳에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신발 관리기(1)에 댐퍼(130) 제어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분리된 챔버(30)의 공간 중 어느 한 곳에만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관리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개시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신발 종류에 따라 댐퍼(130)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표시 동작을 도시하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입력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110c)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 감지 센(110)서에 대응되는 댐퍼(130)만을 개방한다. 이로 인해, 신발 관리기(1)의 실제 가동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사용자로부터 관리 코스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은 것에 응답하여, 제1 댐퍼(130a) 또는 제2 댐퍼(130b) 중 어느 하나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 때, 신발 관리기(1)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감지 센서(110)에 대응하는 댐퍼(130)를 폐쇄할 수 있다. 신발 관리기(1)는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110c)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감지하면, 선택 명령에 따른 관리 코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단축된 시간이 출력되도록 컨트롤 패널(22)을 제어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관리 코스 중 통상적으로 30 분이 소요되는 표준 코스를 선택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110a, 110b, 110c)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만이 발생하면, 신발 관리기(1)는 30 분에서 단축된 시간인 20 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5를 참조하면, 신발 관리기(1)는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신발 종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패널(2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챔버(30)의 공간 별로 신발 종류를 택하도록 하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22)을 통해 신발 종류를 선택하면, 신발 관리기(1)는 선택된 신발 종류에 따라 댐퍼(130)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신발이 수용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
    상기 공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팬;
    상기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거치대;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댐퍼;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신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 센서;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1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하는 신발 관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하는 신발 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에 형성된 에어 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신발 관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신발 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노즐;을 더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관리 코스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댐퍼 또는 상기 제2 댐퍼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신발 관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지 않은 상기 감지 센서에 대응하는 댐퍼를 폐쇄하는 신발 관리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관리 코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단축된 시간이 출력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신발 관리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신발 종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발 종류에 따라 상기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신발 관리기.
  12. 신발이 수용되는 챔버, 상기 챔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 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 장치, 상기 공기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팬, 상기 팬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챔버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일단에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복수의 거치대,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복수의 거치대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챔버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댐퍼 및 상기 챔버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상기 신발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1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댐퍼 및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제2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제2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개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폐쇄하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댐퍼를 폐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댐퍼를 개방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는,
    상기 챔버의 측면에 마련되는 장착 레일에 형성된 에어 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의 댐퍼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관리 코스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및
    상기 선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댐퍼 또는 상기 제2 댐퍼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관리 코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단축된 시간이 출력되도록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신발 종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고; 및
    상기 선택된 신발 종류에 따라 상기 댐퍼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의 제어 방법.
KR1020210110131A 2021-08-20 2021-08-20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27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31A KR20230027868A (ko) 2021-08-20 2021-08-20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2015 WO2023022440A1 (ko) 2021-08-20 2022-08-11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18/545,867 US20240118027A1 (en) 2021-08-20 2023-12-19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31A KR20230027868A (ko) 2021-08-20 2021-08-20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68A true KR20230027868A (ko) 2023-02-28

Family

ID=8524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31A KR20230027868A (ko) 2021-08-20 2021-08-20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18027A1 (ko)
KR (1) KR20230027868A (ko)
WO (1) WO20230224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05B1 (ko) * 2005-11-08 2012-11-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발의 소독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KR2012007455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71982B1 (ko) *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신발 보관함
KR20160001224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중화정밀 신발 건조기
JP2021040909A (ja) * 2019-09-10 2021-03-18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靴乾燥機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8027A1 (en) 2024-04-11
WO2023022440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7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27707B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EP3814566B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0715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US1149275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0508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102401A (ko) 의류처리장치
JP2022501097A (ja) 衣類処理装置及び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230414062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30027868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63193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385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25442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38711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145728A (ko)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85556A (ko) 신발 겸용 의류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JP2023018953A (ja) 衣類乾燥機
KR2023017414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06824A (ko) 의류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5224A (ko) 의류처리장치
JP2007285589A (ja) ミストサウ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