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14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146A
KR20230174146A KR1020230033149A KR20230033149A KR20230174146A KR 20230174146 A KR20230174146 A KR 20230174146A KR 1020230033149 A KR1020230033149 A KR 1020230033149A KR 20230033149 A KR20230033149 A KR 20230033149A KR 20230174146 A KR20230174146 A KR 2023017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nit
heater
inner cas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범
김재형
윤태준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818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312A1/ko
Publication of KR2023017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케이스 또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조도센서를 통해 의류의 낙하 여부 등을 판단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의류처리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에 적셔 습포로 만든 뒤에 세제의 화학작용과 드럼회전 등의 물리작용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와, 상기 습포상태의 의류를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근자에는 건포 상태의 의류를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시키는 의류관리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의류의 냄새를 탈취 하고,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살균하는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상기 의류에 선택적으로 향기까지 더할 수 있었고, 근자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와 더불어 의류처리장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도1은 스팀공급부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7545호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이너케이스(2)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의 하부에 이너케이스(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13)와, 상기 순환덕트(13)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15)와, 상기 열교환기(15)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 (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의 내부에 상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가 구동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로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의류는 건조되거나 살균될 수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5886호를 참조하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이너케이스 내부의 의류의 재질, 의류의 부하량 등을 측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였다.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추정된 의류 부하량에 기초하여 송풍 장치나 스팀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의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다만,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상기 이너케이스(2) 내부의 행어부에서 의류가 탈락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처리과정 중 옷걸이에서 탈락하는 의류를 인지할 수 없어 떨어진 의류가 스팀이나 열풍 분사구를 막는 경우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의류처리과정 종료 후에 의류가 탈락되어 제대로 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므로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옷걸이 등에 로드센서를 구비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직접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했다. 다만, 로드센서는 의류처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진동 및 가벼운 의류의 무게(1kg 이하) 등으로 인해 의류 낙하 여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 낙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전 또는 처리 중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행정을 종료하지 않고 그대로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입력/변경단계 이후 의류처리단계가 시작되고,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의류처리단계를 중단하지 않고 정해진 시간이 지날 때까지 의류처리단계를 계속 수행하였다.
이에,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낙하하여 낙하된 의류가 스팀분사구를 막을 경우 의류처리단계 중 스팀 행정시 분사되는 뜨겁고 습한 바람에 의해 의류가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이너케이스 내부를 향해 스팀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떨어지지 않고 걸려있는 의류의 처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 처리 중 의류 낙하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행정을 정지시키고 이후 행정의 진행 여부를 제어할 필요성이 생겼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중단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의류 낙하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의류가 낙하된 채로 의류처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막아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빛의 조도 변화로부터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너케이스 또는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구동되기 전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고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도 차단하고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레이더센서, 상기 행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도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빛을 방출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오픈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차단된 후 상기 도어감지부가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 낙하 여부를 다시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 낙하와 관련된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고,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한 후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이라는 구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중단하여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중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고,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행정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의류 낙하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의류가 낙하된 채로 의류처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막아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빛의 조도 변화로부터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이너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 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설치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너케이스의 공간영역 구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제1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낙하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3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3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 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 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 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 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410)와, 상기 본체바디(4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43)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바디(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4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차(43)는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20)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도어(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510)에 상기 의류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는 수용공간(220) 내부에서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500)는 도어(40)의 내면에 결합되어 의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거치된 옷걸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부(510)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행어부(510)를 진동시켜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떼어낼 수 있는 가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500)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가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도어(4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22)와, 상기 지지부(522)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상기 지지부(522)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 또는 상기 도어(4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521)와 상기 지지부(522)는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정화하거나 제습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제습 및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직접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수용공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배출 또는 흡입되는 유입홀(231)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이 토출되는 배출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배면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사이에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행어부(51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배출홀(23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통(3)과, 상기 열공급부(3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통(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과 상기 배수통(4)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원 또는 배수원과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인출입되며 별도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드로워(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는 스팀발생장치 또는 다리미가 보관될 수도 있다.
도3은 이너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부(5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옷걸이(511)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 하부에는 상기 옷걸이(511)가 안착되거나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513)가 움직이면 상기 걸이부(512)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걸이부(512)에 거치된 옷걸이(511)가 흔들리면서 상기 의류가 털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결합되는 걸이부(512)도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다량의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거치되어 리프레쉬 될 수 있다.
도3은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가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의류가 상기 수용공간에서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된다면, 상기 행어부(510) 및 동력전달부(513)는 이너케이스(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행어부(510) 및 복수의 동력전달부(513), 복수의 걸이부(512)가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상기 행어부(510) 및 복수의 동력전달부(513), 복수의 걸이부(512)는 복수의 의류가 수용공간에 거치되거나 배치되도록 설계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510)는 상기 동력전달부(513)를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14)는 상기 동력전달부(513)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514)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스팀이나 열풍에 노출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14)는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514)에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하단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3)는 길이가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 관 형상 또는 판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상기 기계실(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4(b)는 상기 기계실(300)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의류처리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의류처리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덕트(3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340) 중 일부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후술하는 열교환기(341,342)와 상기 열교환기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41,342)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할수도 있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가 캐비닛(100) 외부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덕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과 배수통(4)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덕트(320)가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유입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결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급수통(3)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유입부(36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팬설치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덕트(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41,343)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컨트롤패널(C)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C)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설치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342),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베이스부(31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제어부(C)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가 모든 전자구성과 가깝게 배치되므로 노이즈 등의 제어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스팀공급부가 배치되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는 제어부(C)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가 상기 스팀공급부(800)과 상기 제어부(C)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에 상기 순환덕트(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800), 제어부(C), 열공급부(340)가 모듈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5(b)와 도5(c)는 상기 베이스부931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가 그 자체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덕트(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바디(321)와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41) 또는 응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덕트바디(321)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덕트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팬하우징(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팬하우징(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덕트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제어부(C)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의 구조는 후술한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베이스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증발기(341)와 응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오 상기 덕트바디(321)는 순환유로(320)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 또는 배수통(4)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며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342)와,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바디(32)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많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증발기(341) 길이와 응축기(343)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덕트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3212)가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외기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상기 열교환시 설치부(3212) 외부를 구분하는 설치격벽(3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34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설치격벽(3211)을 기준으로 너비가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덕트(320)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343) 너비 및 증발기(341) 너비 또한 베이스부(310)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너비가 확보되면, 열교환 용량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하우징(350)은 응축기(343) 또는 증발기(34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41) 및 응축기(343)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팬하우징(3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덕트(320)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어 유동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의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금형사출을 통해 베이스바닥부(310)와 순환유로(32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면을 성형하는 금형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금형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덕트바디(321)의 벽면은 금형의 제거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하부면(321a)의 너비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상부면(321b)의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덕트바디(321)의 벽면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바닥부(311)에서 멀어질수록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순환유로의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는 금형의 인출방향을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부(323)는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서 직경 또는 너비가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공기연장관(3231)과, 상기 공기연장관(3231)에서 직경이 균일한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3233)를 형성하는 공기배출관(3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연장관(3231)은 노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위의 도면과 같이 제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의 내측에서 순환유로(320)의 내부를 향해 전방으로 인출된 뒤, 순환유로(320)의 상측 개방면을 향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금형의 인출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순환덕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덕트바디(321)의 내벽에서 내부로 돌출되거나, 순환덕트의 외벽이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과 공기배출부(3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은 공기배출부(323)의 전방으로 인출된 뒤 상부로 인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하는 금형이 공기배출부(32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열교환기 설치 격벽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배출부(323)의 설계 수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배출부(323)을 성형할 때, 상기 도면의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과, 후방측을 성형하는 금형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제거 방향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전방으로 인출되는 금형이 인출 과정에서 열교환기 설치 격벽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면에서 거리1(323a)은 거리2(321c)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공기배출부(323) 전단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1(323a)은 공기배출부(323) 파팅라인과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거리2(321c)는 공기배출부(323) 전단과 열교환기 설치 격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거리2(323a)는 순환덕트의 후방개구부와 열교환기 설치 격벽(321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에 구비된 제어부 설치부 구조를 도시 한 것이다.
도9(a)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설치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C)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PCB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어부설치부(313)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은 제어부 설치부(3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공기배출부(323)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설치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순환덕트(3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순환덕트의 하부에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제어부 설치부(313)에서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의 표면에는 제어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브라켓(3131)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제어부의 상하에 배치되어 제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131)은 제어부(C)에 열 또는 진동이 전달되어 제어부(C) 내부의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3131)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9(b)는 제어부 설치부에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과 같이 제어부(C)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의 상부에 물이 유출되는 경우 상기 물이 상기 제어부(C)를 신속하게 이탈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을 상기 저수부(326)를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서포터(3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설치부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리브(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서포터(3132)는 제어부(C)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의 서포터(3132)가 상기 리브(3134)의 상측에 지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34)는 베이스부(310)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성형되어 베이스바닥부(311), 순환덕트(320) 등의 구성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의 전방면에는 돌출 형성된 돌기(31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설치부(313)의 내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는 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에 인입할 때, 돌기를 가이드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제어부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양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가 리브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과정을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제어부를 제어부 설치부의 정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처리된 공기를 팬하우징을 향해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 또는 상기 덕트바디(321)와 팬하우징(350)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벨마우스(bell mouth)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벨마우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상기 공기배출관(3232)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금형 제거 과정에서 파팅라인(3233)의 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파팅라인(32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송풍팬(353)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송풍팬(353)의 외주면 또는 외측에서 상기 배출홀(232)로 연장되는 배출덕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과 상기 배출덕트(352)는 내부에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3)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상기 팬하우징(3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시키는 유입바디(361)와,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차폐하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덕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차폐바디(363)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격벽(321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로 이동시키는 유입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내부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입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2a)와, 상기 제1리브(362a)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36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와 상기 제1리브(362a)는 제1유입구(36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상기 제2유입구(3623)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리브(362b)와 상기 유입바디(361)의 후방모서리는 제3유입구(36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입구(36222)는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의 면적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부(36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댐퍼부(364)와, 상기 댐퍼부(364)에 결합되어 상기 댐퍼부(364)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364)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댐퍼부(3641)와, 상기 제3유입구(3622)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댐퍼부(36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3621)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부(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유입구(3622)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구(3623)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미세먼지, 린트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차단필터(3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3)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입구(362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를 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3)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수분까지 여과할 수 있는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필터(366)는 헤파 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입구(3623)는 상기 차단필터(366)가 삽입되면 상기 제2유입구(3623)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제3유입구(3622)을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2)을 모두 차폐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3641)와 상기 제2댐퍼(3642)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36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유입후크(3612)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유입후크(36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12는 외기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덕트(370)는 베이스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와 연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외기댐퍼(373)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로 제어하는 외기구동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실링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기구동부(374)는 상기 외기덕트(370) 또는 순환덕트(320)에 결합되어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덕트(370)는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서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372)와, 상기 연장덕트(372)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덕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371)는 상기 연장덕트(372)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급수통(3)과 배수통(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과 상기 배수통(4)은 상기 흡기덕트(371)에 결합되거나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흡기덕트(371)는 일단 또는 자유단에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구(3711)와 상기 외기구(3711)를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구획리브(3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구(3711)는 상기 도어(40) 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40)에 차폐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3712)는 상기 외기구(3711) 내부를 구획하도록 구비되어 이물질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구동부(374)가 상기 외기댐퍼(373)를 회전시켜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면, 상기 흡기덕트(371)와 상기 순환덕트(320)는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캐비닛 외부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외부공기는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다시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13은 상기 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을 개방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를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며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상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면 상기 수분이 상기 차단필터(366)를 적시게되어 상기 차단필터(366)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기 전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된 이후라도 습도가 낮아진 경우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41)을 통과하여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며 이물질 등의 린트 등을 여과할 수 있다.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차폐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을 개방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차단필터(366) 보다 하류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 및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스팀이 공급되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습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상기 제3유입구(3622)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입구(36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상기 차단필터(366)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댐퍼(373)는 상기 외기흡입부(322)를 개방하고하고, 상기 제1댐퍼(3641)는 상기 제1유입구(3621)을 차폐하고, 상기 제2댐퍼(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을 차폐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부(36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 공기만 상기 순환덕트(320)로 유입되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차단필터(366)에서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면, 상기 차단필터(366)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41)과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하면서 제습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까지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과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에 신선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40)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는 상기 차단필터(366)와 상기 열 공급부(340)를 통과하며 정화되고 제습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외기구동부(374)와 유입구동부(365)를 제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와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14는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를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브라켓(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스팀케이스(8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패널(871)과 상기 하부패널(871)에서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패널(8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측면패널(87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고정클립(8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873)은 스팀케이스(8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 또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압축기(342)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스팀공급부(800)로 전이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차폐바디(363)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3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631)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물이 다량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케이스(810)가 상기 순환덕트(3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의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도달하기 전에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5는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팀케이스(81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84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결합되어 상기 히터부(8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850)와,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케이스(810)는 상기 물을 저장하고 히터부(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잇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히터(8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히터삽입홀(8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회수관(814)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회수관(814)는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때만 개방되도록 차폐마개(814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차폐마개(814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폐마개(8141)를 상기 회수관(8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폐클립(8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케이스(800)를 수리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00)의 동파 등을 예방할 때, 상기 회수관(814)을 통해 상기 스팀케이스(800)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840)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히터고정부(8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고정부(830)는 상기 히터부(840)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831)과, 상기 지지클립(831)을 상기 케이스바디(811)에 고정시키는 클립체결부재(8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831)은 상기 히터부(8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8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급수통(30)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케이스(8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15)을 통해 물이 다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하여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관(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도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스팀관(813)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수위센서홀(8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삽입되어 물에 침지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이상의 접촉돌기(852)와, 상기 접촉돌기(852)를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부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결합되거나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지지되는 센서바디(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바디(851)는 센서체결부재(853)를 통해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8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삽입홀(864)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861)와, 상기 감지장치(861)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고정시키는 지지대(863)와, 상기 지지대(863)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861)는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86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후크(8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후방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또는 별도의 스팀배출부(9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822)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히터삽입홀(8111)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시스히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제1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841)와, 제1전력 보다 더 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제1히터(841) 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터부(840)에 허용되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841)가 최대 히터전력량의 일부를 소모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최대 히터전력량의 나머지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히터부(840)에 허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최대 히터전력량이 1500w 인 경우, 상기 제1히터(841)는 60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842)는 88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0w는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더 적게 배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히터부(840)는 3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터부(3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u자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84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관통홀(8111)을 실링할 수 있는 히터실러(84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844)는 상기 제1히터(84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단자(844a)와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자(84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같은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스팀량과, 소모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16은 발광부 및 센서부가 설치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옷걸이에서 의류가 탈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의류 처리과정 중 옷걸이에서 탈락하는 의류를 인지할 수 없어 떨어진 의류가 스팀이나 열풍 분사구를 막는 경우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의류 처리 과정 종료 후에 의류가 탈락되어 제대로 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인지하게 되므로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어 제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40),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열풍과 스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300),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기 도어(40), 상기 기계실(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600),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기 도어, 상기 기계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행어부(510)에서 낙하된 상기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센서부(700)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센서부(700)가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적외선, 자외선 등 보다는 가시광선 영역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외선은 물체를 투과할 수 있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의류를 통과하는 반면,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서 인식 가능한 전자기파로서 물체를 투과하지 못한다. 또한, 가시광선을 이용한다면 빛의 차단을 이용한 의류 낙하 감지에 더 적절하고, 사용자의 시각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의 광원은 LED, 전구 등 빛을 발광하는 모든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신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도란 밝기의 척도로서 많은 양의 빛이 입사되면 조도가 높아지고, 반대로 적은 양의 빛이 입사되면 조도가 낮아진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수신여부 및 빛의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온전히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후술한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에 수신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므로 더욱 정확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과정 중 의류가 낙하했을 때 센서부(7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조도 변화로부터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너케이스의 공간영역 구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제3공간영역(V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영역(V1)은 제1위치(a) 및 제2위치(b)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b)는 상기 제1위치(a)보다 제1높이만큼 아래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위치(b)는 상기 제1위치(a)에서 제4위치(d)까지의 길이의 1/3만큼 상기 제1위치(a)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영역(V1)의 높이는 제1높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높이는 상기 행어의 높이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제1위치(a)에서 제4위치(d)까지의 길이의 1/3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영역(V1)에는 행어부(510)가 설치될 수 있다.
저고리, 아기옷, 치마 등 상기 제1높이보다 길이가 짧고 작은 옷은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영역(V2)은 상기 제1공간영역(V1)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위치(b) 및 제2위치(b)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3위치(c)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영역(V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높이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셔츠, 자켓 등 길이가 비교적 일반적인 옷은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영역(V3)은 상기 제2공간영역(V2)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위치(c) 및 상기 제4위치(d)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코트, 바지 등 길이가 긴 옷은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
낙하한 의류는 상기 제3공간영역(V3)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상기 제2공간영역(V2), 상기 제3공간영역(V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위치(a)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4위치(d)보다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행어부(510)에 걸려있을 경우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에는 의류에 의해 차단됐던 빛이 의류의 낙하로 인해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단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같은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제5위치(e)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처음부터 차단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2공간영역(V2) 또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되는 경우 길이가 짧고 작은 의류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만 구비되어 있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최소한 상기 제5위치(e)보다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위치(e)는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제3공간영역(V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상기 제5위치(e)가 제1공간영역(V1)에 있을 경우에도 의류 낙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중에서도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차단하는 것을 이용하여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서로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가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 내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제1공간영역(V1)을 지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짧은 의류가 걸려있는 경우에도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700)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기 위해 반사부(400)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개수는 같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 또한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는 한 개만 구비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발광부(600)는 서로 다른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된 상기 제2발광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발광부(610) 또는 제2발광부(62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보도록 상기 발광부(600)가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610)는 상기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공간영역(V1) 및 상기 제2공간영역(V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부(620)는 상기 제2발광부(6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2공간영역(V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의 차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고, 제2발광부(620)에서 방출되는 빛의 차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공간영역(V2)에 구비된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5위치(e)가 어디에 구비되어 있는지와 무관하게 상기 센서부(700)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한꺼번에 수신하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를 한번에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의류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된 행어부(510)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서 상기 일측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걸려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는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낙하된 의류의 전방에 구비된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도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의 너비방향과 동일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의 측면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가 낙하하지 않은 경우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행어부(510)가 5개라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또한 5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 사이의 간격은 행어부(5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6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 사이의 간격은 행어부(51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제4센서부(740), 제5센서부(750)는 각각 상기 제1발광부(610), 제2발광부(620), 제3발광부(630), 제4발광부(640), 제5발광부(650)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만약 상기 제1발광부(610) 및 상기 제1센서부(710) 사이에 있는 의류가 낙하되는 경우, 의류에 의해 제1발광부(61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센서부(710)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제1센서부(710)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 제2공간영역(V2) 또는 제3공간영역(V3)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제5위치(e)가 상기 센서부(700)보다 상부에 있는 경우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없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1공간영역(V1)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행어부(510)에 걸려있는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의류가 낙하되면 상기 센서부(700)는 그 의류와 같은 선상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한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제어부(C)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가 빛의 조도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 뿐만 아니라 어떤 의류가 낙하했는지까지 판단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한 의류가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센서부(700)로 도달하지 못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가 낙하하지 않았을 때 제1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제1값보다 작은 값을 감지하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일부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이너케이스(200)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가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의류에 의해 상기 센서부(700)로 도달하지 못하여야 하므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가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 있더라도 감지불가영역을 줄여 의류가 어느 위치에서 낙하하더라도 낙하한 의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더욱 많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같은 공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 낙하시 의류는 제3공간영역(V3)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는 상기 의류 최하단 높이(e)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 보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부에 걸려있는 의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의류의 길이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조도 감소만을 이용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의류가 여러 개 구비된 경우에도 더욱 쉽고 정확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600) 및 센서부(700)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2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행어부(51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의류 낙하시 의류에 의해 상기 센서부(700)가 가려지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기계실 내부 또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수리 및 전원공급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일직선상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가 낙하하면 상기 센서부(700)가 가려져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차단된다. 그 결과, 상기 센서부(700)가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부(700)는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경우 의류가 낙하할 때 중력에 의해 걸려있던 영역의 주변으로 낙하하므로 상기 센서부(700)가 여러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는 의류 낙하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는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발광부(60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낙하하여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센서부(710), 제2센서부(720), 제3센서부(7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빛의 조도 감소를 감지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길이, 개수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빛의 조도 감소만을 이용하여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직진하여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한다. 따라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직진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낙하하는 경우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낙하영역(S1) 및 상기 제1낙하영역(S1)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되는 감지불가영역(X)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가 상기 제1낙하영역(S1)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여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지만, 의류가 상기 감지불가영역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못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다만, 낙하된 의류가 상기 제1낙하영역(S1)에 조금이라도 걸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의류의 일부분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여 의류가 어디에 낙하하는지와 무관하게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구비된 면과 다른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1반사판(410)이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제2반사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낙하영역(S2) 및 상기 제3낙하영역(S3)을 더 넓여 감지불가영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반사판(41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2낙하영역(S2) 및 상기 제2반사판(420)에 반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제3낙하영역(S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되지 않았을 때보다 상기 감지불가영역의 넓이가 감소한다. 의류가 낙하하여 의류의 일부분이 제1낙하영역(S1), 제2낙하영역(S2), 제3낙하영역(S3) 중 어느 하나에 걸쳐지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의류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여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의 어느 영역에 떨어지더라도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계실(300)의 상부에 필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로 유입되는 먼지를 여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기 유입바디(361)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부면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바디필터(3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필터(386)는 큰 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바디필터(386)가 안착되는 바디커버(3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상기 유입바디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제1유입구(3621) 및 제3유입구(3622) 상부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가 제1유입구(3621) 및 제3유입구(3622)의 상면을 차폐하는 부분은 타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는 상기 바디필터(386)가 미장착되는 경우 등에 큰 먼지를 차단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80)는 상기 바디커버(385) 및 상기 바디필터(386)를 고정하기 위해 필터고정부(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384)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의 둘레면은 상기 필터고정부(384)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필터고정부(384)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384)는 기계실(300) 및 드로워(5)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커버(385) 상부에 필터덮개(3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바디커버(385)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바디필터(386)의 일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은 격자형태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덕트(320)로 유입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 상부에는 차단커버(3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커버(381)는 상기 기계실(300)의 개구된 상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발광부 및 센서부 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낙하된 의류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행어부(510) 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어부(510) 보다 하부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에서 상기 제2공간영역(V2), 상기 제3공간영역(V3) 및 상기 기계실(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보다 하부 중 특히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전원 공급 및 수리가 유리해질 수 있고, 의류 낙하 여부 판단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걸려있는 의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에 수신되도록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덮개(382)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제3공간영역(V3)에 존재하고, 상기 센서부(700)는 낙하된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즉 제3공간영역(V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경로의 일부가 상기 이너케이스(300)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너비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지나야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센서부(7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 낙하시 의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에 낙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700)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디필터(386) 보다 사부에서 상기 바디커버(385)의 전방모서리 또는 후방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서도 상기 바디필터(386)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바디필터(386)에 걸러지는 먼지 등에 의해 상기 발광부(60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눈에 빛이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바디필터(386)를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바디필터(386)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 또는 후방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제1유입구(3621) 또는 상기 제3유입구(3622)의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의 상기 제2유입구(3623)에는 상기 제2유입구(3623)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유입구(3623) 상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없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측면보다는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600)는 광원을 설치할 수 있는 조명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설치부는 상기 유입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디필터(386)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센서부(700)에서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해 의류 낙하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필터(386) 착탈 여부 또는 바디필터(386) 오염도까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 좌측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의 너비방향의 중앙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의 중앙은 같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너비방향의 중앙은 상기 기계실(300)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기계실(300)의 너비방향의 중앙이 아닌 상기 의류처리장치 너비방향의 중앙과 같은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 바닥면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유입바디(361)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7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는 한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재료비 및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하나의 센서부(700)를 이용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바디필터(386)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각도 및 상기 바디커버(385)와 상기 이너케이스(200) 사이의 단차 때문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면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700)로 빛이 도달할 수 없다.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광부(600)가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하부를 향해 유도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센서부(700)에 도달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구비된 경우,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고, 감지에 필요한 조도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60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각도,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가 어디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여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6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은 곧바로 상기 반사부(400)에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디필터(386)보다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필터(366) 및 상기 발광부(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디커버(385)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반사부(400)로 유도되어 상기 바디필터(386)의 국부적인 영역의 오염도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필터덮개(382)와 상기 바디필터(38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385)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극복하고 상기 반사부(400)에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에 있는 상기 센서부(700)에 유도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필터덮개(382)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 하부면에 상기 반사부(400)를 설치하기 위한 반사부(400)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의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이로써, 상기 필터덮개(382)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 바닥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하여 상기 센서부(700)가 낙하된 의류에 의한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도27은 제1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발광부(600)와 높이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구비되는 제1반사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너비방향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상기 센서부(700) 및 상기 제1반사판(410)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반사판(410)에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곧바로 상기 센서부(700)에 반사시키는 제1반사면(4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면(4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판(410)에는 상기 필터덮개(382)와 결합할 수 있는 후크(38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면(41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1경로(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로(R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를 지날 수 있다. 상기 제1경로(R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과 가깝게 지날 수 있다.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제1경로(R1)를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0)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
도2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a)는 상기 필터부(380)의 분해 사시도를, 도 28(b)는 상기 기계실을 가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반사판(410)만으로는 상기 센서부(700)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8(a)와 같이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에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양측에 대칭되어 배치되는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 모서리에 가깝도록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2반사판(420)에 반사시키는 제2반사면(412), 상기 발광부(600)에서 반사되는 빛을 상기 제3반사판(430)에 반사시키는 제3반사면(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판(420)은 상기 제2반사면(412)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4반사면(4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제3반사면(413)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제5반사면(4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4, 5반사(421, 431)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상기 센서부(7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반사판(410)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제3반사판(430)으로 반사된 빛은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상기 제2반사면(412) 및 상기 제2반사판(420)의 상기 제4반사면(42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2경로(R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반사판(410)의 상기 제3반사면(413)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의 상기 제5반사면(431)을 거쳐 상기 센서부(700)로 유도되는 제3경로(R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는 상기 제2경로 및 상기 제3경로를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는 이상 조도 감소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제1, 2, 3경로(R1, R2, R3)로 유도되어 상기 바디필터(386)의 국부적인 영역의 오염도까지 감지할 수 있다.
도2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반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8과 같이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제1반사판(410),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상기 제1경로(R1),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약 0~66%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필터(386)가 장착되고,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약 60~70%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와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는 빛의 양의 중복되는 범위가 생기고, 만약 약 66% 이하의 빛을 감지하게 된다면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의류 낙하를 판단하는 정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중복되는 범위를 없애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바디필터(386)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행어부(510) 보다 상기 필터부(380)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반사부(400)가 상기 제1반사판(410)을 제외한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만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바디필터(386)를 지나 상기 제2경로(R2) 및 상기 제3경로(R3)를 지날 수 있다.
만약 상기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에 낙하되는 경우 상기 의류는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통해 상기 의류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필터(386)가 장착되고,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약 60~70%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상기 제2경로(R2) 또는 상기 제3경로(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약 0~5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을 때와 상기 의류가 낙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는 빛의 양의 중복되는 범위가 없어져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만으로도 상기 제어부(C)는 의류 낙하 및 상기 바디필터(386)의 착탈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3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의류낙하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 또는 상기 바디필터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600)가 방출되는 빛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으로 방출되므로 상기 필터덮개(382)에 가려져 상기 센서부(700)가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 즉 감지불가영역(X)이 생길 수도 있다. 의류가 상기 감지불가영역(X)에 낙하한다면 낙하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못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 감소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바닥면으로 낙하한 의류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0(a)와 같이, 의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방으로 낙하하거나, 낙하하는 의류의 면적이 감지불가영역(X)보다 넓어 감지불가영역(X)의 일부분에만 낙하할 가능성이 더욱 높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600)가 상기 기계실(300) 또는 상기 바디필터(366)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도 30(b)와 같이 스카프 등 부피가 매우 작은 의류가 낙하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경우에는 낙하하는 의류의 면적이 감지불가영역(X)보다 좁아 감지불가영역(X)에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0(c)와 같이 상기 센서부(700)의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상기 센서부(700)의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필터덮개(382)의 후면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반사판(420) 및 상기 제3반사판(430)은 최대한 상기 필터덮개(382)의 양측 및 후면모서리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감지불가영역(X)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 보다 상기 발광부(60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상기 발광부(600)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400)는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부(400)는 상기 센서부(700) 및 발광부(600)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3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1(a)는 필터덮개(382)의 하부사시도를, 도31(b)는 상기 반사부(400)가 구비된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제1반사판(410)을 설치할 수 있는 제1반사판 설치부(382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제2반사판(420)을 설치할 수 있는 제2반사판 설치부(3821b), 상기 제3반사판(430)을 설치할 수 있는 제3반사판 설치부(38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판 설치부(3821b) 및 상기 제3반사판 설치부(3821c)는 상기 제1반사판 설치부(3821a)의 양측에 대칭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필터고정부(384)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383)를 설치할 수 있는 링크 설치부(38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면에 상기 필터고정부(384)에 지지되는 후크(38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덮개(382)는 상기 필터덮개(382)의 하부에 공기를 탈취할 수 있는 아로마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아로마시트 설치부(3824)를 구비할 수 있다.
도3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처리 전 또는 처리 중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없어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행정을 종료하지 않고 그대로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입력/변경단계 이후 의류처리단계가 시작되고, 의류가 낙하하더라도 의류처리단계를 중단하지 않고 정해진 시간이 지날 때까지 의류처리단계를 계속 수행하였다.
상기 의류처리단계에는 상기 히터부(840)를 구동시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 또는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시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낙하하여 낙하된 의류가 스팀분사구를 막을 경우 의류처리단계 중 스팀 행정시 분사되는 뜨겁고 습한 바람에 의해 의류가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이너케이스 내부를 향해 스팀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떨어지지 않고 걸려있는 의류의 처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 처리 중 의류 낙하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행정을 정지시키고 이후 행정의 진행 여부를 제어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에, 본 발명은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200),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510),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부(84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342)가 구비되는 기계실(300),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기계실(30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700), 상기 히터부(840),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센서부(7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C)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을 차단한다는 것은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이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켜고 전원이 공급되면 코스입력/변경단계(미도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40) 또는 상기 캐비닛(100)에 구비되어 상기 코스의 입력 또는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입력/변경단계(미도시)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그에 따라 상기 압축기(342), 상기 히터부(840), 상기 가진부(520) 등이 구동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한 경우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히터부(840)의 가동이 시작된다.
상기 코스입력/변경단계(미도시) 이후 상기 센서부(700)를 통한 조도 변화 감지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또는 상기 제어부(C)가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의류 낙하 감지단계(A1)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700)는 의류 낙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700)는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레이더센서, 상기 행어부(51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센서부(700)는 조도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700)는 빛의 차단 또는 도달로 인한 조도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를 간접적으로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가 조도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700)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온전히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600) 및 상기 센서부(700)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전술하였다. 상기 발광부(600)와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의 낙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행어부(5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의류 낙하 감지단계(A1)에서 상기 센서부(700)는 상기 발광부(600)에서 방출되는 빛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의류 낙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낙하 감지단계(A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의류처리단계 수행 전 또는 의류처리단계 수행 중에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 낙하 감지단계(A1)에서 이상 조도 증가 또는 이상 조도 감소가 감지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 낙하를 판단하는 경우 이후의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A2)한다. 종료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를 중단하는 것과 코스를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반적인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하여 상기 히터부(840)가 가동되는 도중 이상 조도 증가 또는 이상 조도 감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히터부(840)의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히터부(840)가 아직 가동되기 전에 이상 조도 증가 또는 이상 조도 감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히터부(840)의 가동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의류처리단계 정지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꺼질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류가 낙하하여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중단된 것을 알지 못하더라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꺼져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A1)에서 상기 센서부(700)를 통해 이상 조도 변화가 감지되어 행정이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대와 다르게 의류처리가 진행되지 않아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상 조도 변화 감지단계(A1)에서 상기 센서부(700)를 통해 이상 조도 변화가 감지되어 행정이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또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C)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알림단계(A3)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 낙하와 관련된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에서 상기 센서부(700)를 통해 의류낙하를 감지한 경우에는 즉시 의류처리단계 정지(A2) 후 알림단계(A3)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한 후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의류 낙하를 인지하게 함으로써 의류가 낙하된 채로 의류처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막아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A3)에서는 사용자에게 의류 낙하로 인한 상기 의류처리단계의 중단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A1)에서 상기 센서부(700)가 이상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중단되더라도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의 정도 및 제어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분사 중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 낙하된 의류가 스팀분사구를 막기 때문에 스팀단계 종료 후 건조단계에서 의류가 낙하하는 경우보다 의류가 심하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의류 낙하가 감지되어 의류처리단계가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후 의류처리단계의 수행 여부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상기 의류가 낙하된 시점에 따라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낙하 시점에 따라 의류처리단계의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 또는 자동으로 이후 의류처리단계의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600)가 빛을 방출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3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되기 전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을 차단하고 대기할 수 있다.
코스입력단계(B1) 후 스팀분사단계(B5) 전 수행되는 의류낙하감지단계(B2)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단계 정지(B3) 후 알림단계(B4)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분사단계(B5) 에서는 스팀이 분사되기 전이라도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부(840)가 구동된 후 스팀이 분사되기 전 의류낙하감지단계(B2)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정지단계에서는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이 분사되기 전에 의류가 낙하되어 처음부터 의류 처리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도 차단하고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달리 상기 코스입력/변경단계(B1) 후 상기 의류처리단계 전 의류낙하감지단계(B2)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의류처리단계를 시작하지 않고 상기 알림단계(B4)가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도어를 오픈하여 의류를 다시 상기 행어부(510)에 걸고 다시 상기 코스입력/변경단계(B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또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C)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3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 구동 중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부(840)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C2) 수행 중 의류낙하감지단계(C2)가 수행되어 의류의 낙하가 감지된 경우에는 바로 상기 스팀분사단계(C2) 정지(C3) 후 알림단계(C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C2)를 정지(C3)한다는 의미는 상기 히터부(840)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과 상기 히터부(840)는 그대로 구동하고 스팀 분사만을 정지하는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C2)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낙하된 의류가 스팀분사구를 막는 경우 스팀행정시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4(a)와 같이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C3)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알림단계(C5)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꺼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중단된 것을 알지 못하더라도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도 34(b)와 같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은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알림단계(C5-1) 이후 자동으로 건조단계(C6)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걸려있는 의류를 즉시 건조시킴으로써 스팀 중단 후 스팀이 분사된 채로 오래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C3-1)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팀 분사를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인 상기 건조단계(C6)를 수행할 수 있다.
도3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알림단계(D5)에서 사용자에게 의류 낙하가 감지되어도 상기 스팀분사단계(D2)를 계속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물을 수도 있다.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부(840) 또는 상기 압축기(342)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 또는 상기 캐비닛(100)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부(840) 또는 상기 압축기(342)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이라는 구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D5)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히터부(840) 또는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팀분사단계(D2)를 중단하고 상기 건조단계(D7)를 수행하지 않고 코스를 종료하는 것을 선택하였다면 즉시 모든 행정이 종료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알림단계(D5)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코스를 계속 진행하는 것을 선택하였다면 상기 건조단계(D7)가 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의류처리단계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3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압축기(342) 구동 중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부(840) 구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분사단계(E2) 후 또는 건조단계(E3) 수행 중 의류낙하감지단계(E4)를 수행하여 의류 낙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바로 상기 건조단계(E3) 정지(E5) 후 알림단계(E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E3)를 정지한다는 것은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과 상기 압축기(342)는 그대로 구동하고 열풍의 분사만 정지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E6)에서는 사용자에게 의류가 낙하되어 상기 건조단계가 중단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문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낙하된 의류가 열풍분사구를 막는 경우 열풍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3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알림단계(F6)에서 사용자에게 코스를 계속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물을 수도 있다. 상기 알림단계(F6)에서 사용자가 상기 건조단계(F3)를 계속 진행하는 것을 선택하였다면 상기 건조단계(F3)가 이어서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알림단계(F6)에서 사용자가 상기 건조단계(F3)를 중단하고 코스를 종료하는 것을 선택하였다면 즉시 모든 행정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의류낙하감지단계(F4)에서 의류 낙하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팀 분사단계(F2)를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인 상기 건조단계(F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분사단계(F2) 종료 후 상기 건조단계(F3) 수행 중 의류 낙하가 감지된 경우에도 상기 건조단계(F3) 정지 없이 상기 건조단계(F3)가 계속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F2)와 달리 건조단계(F3)에서는 낙하된 의류의 손상 위험이 적고 코스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에 코스를 마무리하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도3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스팀 분사 중 또는 스팀 분사 후 의류 낙하가 감지되어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하여 낙하된 의류를 상기 행어부(510)에 다시 걸었는데도 이후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수행되지 않고 코스가 종료된다면 사용자가 처음부터 코스를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류 처리 과정 중 의류 낙하가 감지되어 의류처리단계가 정지되는 경우 도어 오픈이 감지되면 의류처리단계를 다시 시작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100) 또는 상기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40)의 오픈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차단된 후 상기 도어감지부가 상기 도어(40)가 오픈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도어 오픈 감지단계(G6)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오픈 감지단계(G6)에서 상기 도어(40)가 오픈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오픈 감지단계(G6)에서는 도어 오픈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알림단계(G5)에서 의류 낙하를 인지한 경우 상기 도어(40)를 오픈하여 낙하된 의류를 상기 행어부(510)에 다시 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오픈 감지단계는 상기 알림단계(G5)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오픈 감지단계(G6)에서 상기 도어가 오픈되지 않으면 상기 의류처리단계는 그대로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꺼질 수 있다.
상기 도어 오픈 감지단계(G6)에서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다시 시작 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단계는 처음부터 다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코스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경우 불필요한 시간 및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수행되고 있었던 의류처리단계를 이어서 다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건조단계가 시작되는 시점에 의류 낙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단계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 없이 건조단계만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처음부터 코스를 다시 시작하지 않더라도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의류의 처리를 제대로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히터부(840)와 상기 압축기(342) 중 어느 하나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센서부(700)가 상기 의류 낙하 여부를 다시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단계가 다시 시작되어 상기 의류가 다시 낙하되더라도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고 의류 처리를 완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3 급수통 4 배수통 5 드로워
40 도어
41 메인플레이트
42 디스플레이부
43 단차
100 캐비닛
200 이너케이스
210 개구부
220 수용공간
230 관통홀 231 유입홀 232 배출홀 233 스팀홀
300 기계실
310 베이스
311 베이스바닥부
312 압축기설치부
313 제어부설치부
3131 브라켓 3132 서포터
3133 수용부
3133a 수용바닥면
320 순환덕트
321 덕트바디
3211 설치격벽 3212 열교환기 설치부
321a 하부면길이 321b 상부면 길이 321c 설치길이
322 외기흡입부
323 공기배출부
3231 공기연장관 3232 공기배출관 3233 파팅라인
323a 돌출길이
324 개방면
325 바닥면
326 저수부 3261 저수바닥면 3262 함몰부 3263 배수관 3264 필터
327 워터커버
330 잔수처리부
331 배수펌프
332 유입관
333 안내관
334 배출관
335 배수호스
340 열공급부
341 증발기 342 압축기 343 응축기 344 팽창밸브
350 팬설치부
351 팬하우징 352 배출덕트
353 송풍팬
360 베이스커버
361 유입바디 3611 조설설치부 3612 유입후크
362 유입덕트 유입부
362a 제1리브
362b 제2리브
3621 제1유입구
3622 제3유입구
3263 제2유입구
363 차폐바디
3631 체결부 3632 수용리브 3633 강화리브 3634 차폐후크
364 댐퍼부
365 유입구동부
3651 구동모터 3652 주동기어 3653 종동기어 3654 스토퍼
366 차단필터
370 외기덕트
371 흡기덕트 372 연장덕트 373 외기댐퍼 374 외기구동부
380 필터부
381 차단커버
382 필터덮개 3821 반사판 설치부 3821a 제1반사판 설치부
3821b 제2반사판 설치부
3821c 제3반사판 설치부
3822 링크설치부 3823 후크 3824 아로마시트 설치부
383 링크
384 필터고정부
385 바디커버
386 바디필터
400 반사부
410 제1반사판 411 제1반사면 412 제2반사면 413 제3반사면
420 제2반사판 421 제4반사면
430 제3반사판 431 제5반사면
500 거치부
510 행어부
520 가압부
521 지지부
522 압박부
600 발광부
610 제1발광부 620 제2발광부 630 제3발광부
640 제4발광부 650 제5발광부
700 센서부
710 제1센서부 720 제2센서부 730 제3센서부
740 제4센서부 750 제5센서부
CL 의류
a 제1위치(행어부 최하단 위치) b 제2위치 c 제3위치 d 제4위치(이너케이스 최하단 위치) e 제5위치(의류 최하단 위치)
V1 제1공간영역 V2 제2공간영역 V3 제3공간영역
h1 제1높이
R1 제1경로 R2 제2경로 R3 제3경로
X 감지불가영역 S1 제1낙하영역 S2 제2낙하영역 S3 제3낙하영역
C 제어부 (컨트롤패널)
800 스팀공급부
810 스팀케이스
811 케이스측면 8111 히터삽입홀
812 분리격벽
813 스팀배출관
814 회수관
815 급수관
820 케이스커버 821 커버후크
830 히터고정부
831 고정클립 832 지지클립 833 클립체결부재
840 히터부
841 제1히터
842 제2히터
843 히터실러
850 수위센서
851 센서바디 852 접촉돌기 853 센서체결부재
860 온도센서
870 설치브라켓
871 하부패널 872 측면패널 873 고정클립
880 스팀펌프
890 급수관
900 스팀배출부
910 공급용기
911 용기측면
912 제1바닥면 9121 제1관 9122 제2관
913 제2바닥면 9131 제3관 9132 차폐관 9133 개방면
920 용기커버
921 고정돌기 922 수분분리판 923 스팀분사홀 924 체결후크

Claims (3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여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상기 의류가 낙하된 시점에 따라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구동되기 전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고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도 차단하고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가 낙하되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 구동 중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 구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레이더센서,
    상기 행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도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낙하된 상기 의류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통해 상기 의류 낙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는 상기 행어부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과 연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바디와, 상기 유입바디에서 유입된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부가 설치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를 연통하고 상기 유입바디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유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유입바디에 장착되는 바디필터와,
    상기 바디필터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필터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필터덮개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측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가 빛을 방출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오픈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이 차단된 후 상기 도어감지부가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 낙하 여부를 다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 낙하와 관련된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다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고,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한 후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와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의류처리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정보에는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할 것이라는 구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다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구동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의류를 거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옷걸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옷걸이를 흔드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이너케이스에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가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가 낙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히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의류가 낙하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33149A 2022-06-20 2023-03-14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8183 WO2023249312A1 (ko) 2022-06-20 2023-06-1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196 2022-06-20
KR20220075196 202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46A true KR20230174146A (ko) 2023-12-27

Family

ID=8937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149A KR20230174146A (ko) 2022-06-20 2023-03-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4146A (ko)
WO (1) WO20232493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295A (ja) * 1998-09-17 2000-03-28 Rinnai Corp 衣類乾燥機
KR101710390B1 (ko) * 2009-12-15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JP2012239585A (ja) * 2011-05-18 2012-12-10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102627707B1 (ko) * 2018-11-3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7060270B1 (ja) * 2020-11-09 2022-04-26 ワイズプラント株式会社 業務用衣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312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2689B2 (en) Clothing care system
KR101396971B1 (ko) 스팀건조기
US1004120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1276815B1 (ko) 페데스탈 건조기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AU2007277599C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9010508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0138586B2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3017414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414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395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3193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1130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66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16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RE49131E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40113086A (ko) 의류처리장치
AU202321195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36937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소형 건조기
KR2024011836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03157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