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803A -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 Google Patents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803A
KR20230027803A KR1020210109995A KR20210109995A KR20230027803A KR 20230027803 A KR20230027803 A KR 20230027803A KR 1020210109995 A KR1020210109995 A KR 1020210109995A KR 20210109995 A KR20210109995 A KR 20210109995A KR 20230027803 A KR20230027803 A KR 2023002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ly
unit
rotary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096B1 (ko
Inventor
김종규
최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102021010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0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28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주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사육장을 드나들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주행유닛(10);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에 필요한 물품들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되게 적재하는 적재유닛(20);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30);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가축의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육에 필요한 작업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줌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할 수가 있고,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채택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소음으로 인해 가축의 성장을 저해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Multi-purpose breeding machine for livestock farms}
본 발명은 가축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주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주행유닛으로 물품들을 운반하는 적재유닛,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을 선택적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별로 개별기기들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축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들의 잦은 운반이 요구될뿐더러 가축의 먹이인 사료를 정해진 시간마다 반듯이 공급해줘야 한다.
그리고 축사의 바닥에는 열을 발산해줌과 함께 수분을 흡수하여 상시 건조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왕겨나 짚을 깔아 놓는다.
이러한 왕겨나 짚은 가축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일정 주기마다 교체하거나 갈아엎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바닥에 깔린 왕겨나 짚을 소독하거나 중화시키기 위한 약제를 살포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기존에는 손수레를 이용하여 물품들을 운반하고, 농기구를 이용하여 왕겨나 짚을 교체하거나 갈아엎었으며, 분무기를 통해 수작업으로 약제를 살포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인한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전반적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1 내지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동손수레, 사료 공급장치, 깔짚 관리기를 제안한 바 있다.
즉, 제안된 장치들은 사료공급, 로터리, 약제살포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을 작업별로 모두 갖춰야 됨에 따라 구입비용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019호 (고안의 명칭: 전동 손수레)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971호 (발명의 명칭: 무인 사료 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116호 (고안의 명칭: 깔짚 관리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1533호 (고안의 명칭: 양계장용 친환경 전동식 깔짚 관리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단일의 주행유닛으로 물품들을 운반하는 적재유닛,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을 선택적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별로 개별기기들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축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주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사육장을 드나들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주행유닛; 상기 주행유닛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에 필요한 물품들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되게 적재하는 적재유닛; 상기 주행유닛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 상기 주행유닛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가축의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적재유닛 내지 공급유닛을 탑재하는 크기를 가진 주행프레임; 상기 주행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주행바퀴; 상기 주행프레임의 후방 하단에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바퀴; 상기 주행프레임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바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주행모터; 상기 주행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 또는 로터리유닛이나 공급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보관함; 상기 주행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상측 후방을 향해 양 갈래로 연장되어 조향을 조작받는 한 쌍의 조종대; 상기 조종대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와 로터리유닛 및 공급유닛의 작동을 단속하는 조종패널; 상기 주행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재유닛 내지 공급유닛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연결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주행프레임은, 상기 적재유닛 내지 공급유닛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중앙에 좌우로 수평하게 장착되는 연결걸대; 상기 연결노브가 체결되어 적재유닛 내지 공급유닛이 구속되도록 전방에 소정 폭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되는 체결브래킷; 상기 적재유닛 내지 공급유닛이 정 위치에 장착되게 안내하도록 상단 중앙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연결안내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의 전방 상단을 감싸는 크기를 갖는 적재프레임; 상기 적재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품들을 지지하는 적재패널; 상기 적재패널의 상단 테두리에 장착되어 물품들의 이탈을 차단하는 적재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적재프레임은, 상기 주행유닛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적재브래킷; 상기 주행유닛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적재플레이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로터리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진 로터리프레임; 상기 로터리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마다 수평하게 장착되어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의 날림을 차단하는 상자형의 로터리덮개; 상기 로터리덮개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날; 상기 로터리덮개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로터날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로터리모터; 상기 로터리프레임과 회전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상하 회전력을 부가하여 바닥으로부터 로터날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로터리프레임은, 상기 주행유닛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로터리브래킷; 상기 주행유닛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로터리플레이트; 상기 주행유닛에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후방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는 로터리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로터리유닛은, 상기 로터리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로터리모터나 액추에이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수납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진 공급프레임; 상기 공급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고, 가축의 사료나 중화약제를 수용하는 상광하협형의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의 우측 하단에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에 수용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슈트; 상기 공급호퍼와 배출슈트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에 마련된 사료통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배출슈트의 일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출슈트와 연통되게 전개되어 사료가 배출되는 경로를 연장하는 연장슈트; 상기 공급호퍼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에 수용된 사료가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게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공급프레임과 공급호퍼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호퍼에 수용된 중화약제를 방사로 살포하는 살포날개; 상기 공급프레임과 공급호퍼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와 살포날개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동부; 상기 공급프레임과 공급호퍼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에 마련된 약제통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프레임은, 상기 주행유닛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공급브래킷; 상기 주행유닛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공급플레이트; 상기 공급호퍼를 지지하며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후방 상단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와 살포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패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호퍼는, 내부용량이 증가되도록 상단에 탈/장착되는 연장호퍼; 상기 연장슈트와 맞물려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슈트고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장슈트는, 상기 배출슈트로부터 배출되는 사료가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도록 일단에 장착되어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모터;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살포날개는,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낙하되는 약제를 수용하며, 약제가 포물선 궤적으로 살포되도록 중심을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진 원반형 살포플레이트; 상기 살포플레이트의 상면에 방사로 배열되고, 약제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방사로 살포시키는 ㄱ형 단면형상의 살포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공급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와 살포날개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공급모터; 상기 공급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기립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와 살포날개의 중심에 삽입 장착되는 구동축; 상기 공급모터와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력을 부가 및 전달받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들의 외면에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상기 공급프레임의 상단에 회전 및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벨트의 외면에 밀착되어 긴장되게 연결시키는 장력롤러; 상기 공급프레임과 장력롤러에 연결되어 긴장력을 부가하는 장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공급호퍼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에 마련된 약제통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레이트; 상기 공급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레버; 상기 공급프레임의 후방 상단에 조절레버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스윙각도를 단계별로 고정해주는 조절브래킷;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개폐레버의 일단에 다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폐레버와 개폐플레이트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는, 상기 주행유닛의 전방이나 공급유닛의 전방에 탈/장착되고, 사료가 배출되는 바닥에 비닐을 자동으로 깔아주는 포설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포설유닛은, 상기 주행유닛의 전방이나 공급유닛의 전방 하단에 탈/장착되는 포설프레임; 상기 포설프레임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형 비닐의 심지에 삽입되어 풀림을 유도하는 포설롤러; 상기 포설프레임의 우측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설롤러로부터 풀려지는 비닐을 바닥을 향해 눌러주는 안내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포설유닛은 바닥에 깔리는 비닐을 우측 주행바퀴가 밟아지게 풀어 비닐의 끝단을 고정시키지 않고도 주행속도에 맞춰 비닐이 자동으로 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사육에 필요한 작업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줌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할 수가 있고,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채택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소음으로 인해 가축의 성장을 저해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단일의 주행유닛으로 물품들을 운반하는 적재유닛,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을 선택적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작업별로 개별기기들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과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전반적인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공급유닛이 사료를 교반해줌과 함께 배출되는 사료로 진동을 부가해줌으로써, 사료를 정해진 정량으로 연속 배출이 가능하고, 소독 및 중화약제를 방사형으로 뿌려줌으로써, 기존의 스프레이 분사방식에 비해 광범위한 면적으로 균일하게 살포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공급유닛으로부터 사료가 배출되는 바닥에 자동으로 비닐을 깔아주는 포설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비닐로 인한 사료의 변질이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비닐포설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의 주행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유닛에 적재유닛이 장착되어 운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의 적재유닛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유닛에 로터리유닛이 장착되어 로터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의 로터리유닛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유닛에 공급유닛이 장착되어 사료공급 및 약제살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의 공급유닛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유닛에 공급유닛과 포설유닛이 장착되어 사료공급 및 비닐포설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가축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주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주행유닛(10)과 적재유닛(20) 및 로터리유닛(30)과 공급유닛(4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유닛(10)은 도 1처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전동차이다.
이러한 주행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프레임(11), 주행바퀴(12), 조향바퀴(13), 주행모터(14), 배터리보관함(15), 조종패널(17), 연결노브(18)로 구성된다.
주행프레임(11)은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을 탑재하는 차체로, 복수의 파이프들이 소정 형상의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주행프레임(11)의 중앙에는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과 맞물려 고정을 유도하는 연결걸대(11a)가 좌우로 수평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주행프레임(11)의 전방에는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의 구속을 유도하는 체결브래킷(11b)이 소정 폭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체결브래킷(11b)에는 연결노브(18)가 체결되도록 중앙에 나사홀이 형성된다.
또한, 주행프레임(11)의 상단 중앙에는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이 정 위치에 장착되게 안내를 유도하는 연결안내판(11c)이 상측으로 수직하게 장착된다.
주행바퀴(12)는 주행프레임(1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주행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아 전후(정/역방향)로 회전한다.
조향바퀴(13)는 주행프레임(11)의 후방 하단에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행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주행모터(14)는 주행프레임(1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주행바퀴(12)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한다.
배터리보관함(15)은 주행프레임(11)의 후방 상단에 장착되는 상자형 함체로써,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납한다.
이러한 배터리보관함(15)에는 배터리를 관리하는 모듈과, 배터리의 전원을 주행모터(14) 또는 로터리유닛(30)이나 공급유닛(40)으로 공급하는 단자가 구성된다.
조종대(16)는 주행프레임(11)의 후방 상단에 상측 후방을 향해 양 갈래로 연장되어 사용자로부터 조향을 조작 받는다.
조종패널(17)은 조종대(16)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주행모터(14)와 로터리유닛(30) 및 공급유닛(40)의 작동을 조작 받는다.
연결노브(18)는 체결브래킷(11b)에 각각 체결되어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을 탈/장착시켜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재유닛(20)은 도 3처럼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육에 필요한 물품들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되게 적재한다.
이러한 적재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21)과 적재패널(22) 및 적재대(23)로 구성된다.
적재프레임(21)은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을 감싸는 크기를 갖는 골격으로, 복수의 파이프들이 소정 형상의 구조로 연결된다.
적재패널(22)은 적재프레임(21)의 상단에 장착되는 금속의 판재로, 운반될 물품들을 지지한다.
적재대(23)는 적재패널(22)의 상단 테두리에 장착되는 파이프로, 적재패널(22)에 안착된 물품들의 이탈을 차단한다.
여기서 적재프레임(21)의 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ㄷ형의 적재브래킷(21a)이 장착된다.
이러한 적재브래킷(21a)은 주행프레임(11)의 연결걸대(11a)의 외면에 감싸지게 맞물려 고정을 유도한다.
그리고 적재프레임(21)의 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적재플레이트(21b)가 장착된다.
이러한 적재플레이트(21b)에는 연결노브(18)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고, 체결브래킷(11b)에 체결되는 연결노브(18)에 의해 구속되어 주행유닛(10)과 고정을 유도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유닛(30)은 도 5처럼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어준다.
이러한 로터리유닛(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프레임(31), 회전프레임(32), 로터리덮개(33), 로터날(34), 로터리모터(35), 액추에이터(36)로 구성된다.
로터리프레임(31)은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골격으로, 복수의 파이프들이 소정 형상의 구조로 연결된다.
회전프레임(32)은 로터리프레임(31)의 전방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로, 로터리덮개(3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로터리덮개(33)는 회전프레임(32)의 일단마다 수평하게 장착되는 하부 개구형 상자로,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의 날림을 차단한다.
로터날(34)은 로터리덮개(33)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어준다.
로터리모터(35)는 로터리덮개(33) 사이에 장착되고, 로터날(34)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한다.
액추에이터(36)는 로터리프레임(31)과 회전프레임(32)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 또는 전동실린더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36)는 회전프레임(32)으로 상하 회전력을 부가하여 바닥으로부터 로터날(34)의 높낮이를 조절해준다.
여기서 로터리프레임(31)의 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ㄷ형의 로터리브래킷(31a)이 장착된다.
이러한 로터리브래킷(31a)은 주행프레임(11)의 연결걸대(11a)의 외면에 감싸지게 맞물려 고정을 유도한다.
그리고 로터리프레임(31)의 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로터리플레이트(31b)가 장착된다.
이러한 로터리플레이트(31b)에는 연결노브(18)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고, 체결브래킷(11b)에 체결되는 연결노브(18)에 의해 구속되어 주행유닛(10)과 고정을 유도한다.
또한, 로터리프레임(31)의 후방에는 소정 높이로 기립되는 로터리손잡이(31c)가 장착된다.
이러한 로터리손잡이(31c)는 사용자가 운반할 수 있게 파지부위를 제공하여 주행유닛(10)에 탈/장착이 용이하게 해준다.
이때, 로터리유닛(30)은 로터리프레임(31)의 상단에 장착되는 배터리수납함(37)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터리수납함(37)은 전술한 배터리보관함(15)과 같이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수납하는 함체이다.
즉, 로터리모터(35)와 액추에이터(36)로 인해 전원사용량이 높아짐에 따라 주행유닛(10)의 배터리와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유닛(40)은 도 8처럼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가축의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한다.
이러한 공급유닛(4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프레임(41), 공급호퍼(42), 배출슈트(43), 개폐도어(44), 연장슈트(45), 교반날개(46), 살포날개(47), 구동부(48), 조절부(49)로 구성된다.
공급프레임(41)은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골격으로, 복수의 파이프들이 소정 형상의 구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프레임(41)의 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ㄷ형의 공급브래킷(41a)이 장착된다.
즉, 공급브래킷(41a)은 주행프레임(11)의 연결걸대(11a)의 외면에 감싸지게 맞물려 고정을 유도한다.
그리고 공급프레임(41)의 전방 하단에는 소정 폭을 두고 공급플레이트(41b)가 장착된다.
이러한 공급플레이트(41b)는 연결노브(18)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되고, 체결브래킷(11b)에 체결되는 연결노브(18)에 의해 구속되어 주행유닛(10)과 고정을 유도한다.
또한, 공급프레임(41)의 후방 상단에는 소정 높이로 기울어진 보조프레임(41c)이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프레임(41c)은 공급호퍼(42)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운반할 수 있게 파지부위를 제공하여 주행유닛(10)에 탈/장착이 용이하게 해준다.
여기서 보조프레임(41c)의 상단 일측에는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패널(41d)이 장착된다.
공급호퍼(42)는 상광하협형으로 형성되어 가축의 사료나 중화약제를 대량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공급프레임(41)의 상단에 기립 장착된다.
여기서 공급호퍼(42)의 하단 우측에는 도 12와 같이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통로(H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통로(H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급호퍼(42)는 도 14 내지 도 16처럼 상단에 탈/장착되어 내부용량을 증가하는 연장호퍼(42a)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급호퍼(42)와 연장호퍼(42a)는 볼트나 나사로 탈/장착될 수 있고, 매미고리를 통해 탈/장착될 수 있다.
또한, 공급호퍼(42)의 상단 우측에는 연장슈트(45)와 맞물려 결착되는 슈트고리(42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약제살포작업을 수행할 경우 도 8처럼 슈트고리(42b)를 통해 연장슈트(45)가 공급호퍼(42)로 접혀진 상태로 고정해준다.
배출슈트(43)는 공급호퍼(42)의 우측 하단에 약제통로(H2)와 연통되게 장착되어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사료를 배출한다.
개폐도어(44)는 공급호퍼(42)와 배출슈트(43)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어 공급호퍼(42)에 마련된 사료통로(H1)를 가변적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개폐도어(44)의 슬라이드 이동 즉, 사료통로(H1)의 개방범위에 따라 사료의 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연장슈트(45)는 배출슈트(43)의 일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배출슈트(43)와 연통되게 전개되어 사료가 배출되는 경로를 연장해준다.
여기서 연장슈트(45)의 일단 저부에는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모터(45a)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진동모터(45a)는 슬라이드 낙하되는 사료에 진동을 부가하여 사료를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게 해준다.
교반날개(46)는 공급호퍼(42)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사료나 중화약제를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게 교반해준다.
살포날개(47)는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중화약제를 방사로 살포한다.
이러한 살포날개(47)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 살포플레이트(47a)와, ㄱ형 단면형상의 살포날(47b)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살포플레이트(47a)는 중심을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진 V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살포플레이트(47a)는 공급호퍼(42)로부터 낙하되는 약제를 중앙에 모아주고, 약제가 포물선 궤적으로 살포되게 유도한다.
살포날(47b)은 살포플레이트(47a)의 상면에 방사로 배열되고, 약제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방사로 살포시켜준다.
이러한 살포방식은 소독 및 중화약제를 방사형으로 뿌려줌으로써, 기존의 스프레이 분사방식에 비해 광범위한 면적으로 균일하게 살포할 수가 있다.
구동부(48)는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 사이에 장착되고,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로 회전력을 부가한다.
이러한 구동부(48)는 도 11처럼 공급모터(48a), 구동축(48b), 구동풀리(48c), 구동벨트(48d), 장력롤러(48e), 장력스프링(48f)으로 구성된다.
공급모터(48a)는 공급프레임(41)의 후방에 장착되고,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로 회전력을 부가한다.
구동축(48b)은 공급프레임(4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기립 장착되고,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의 중심에 삽입 장착된다.
구동풀리(48c)는 공급모터(48a)와 구동축(48b)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력을 부가 및 전달받는다.
구동벨트(48d)는 구동풀리(48c)들의 외면에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장력롤러(48e)는 공급프레임(41)의 상단에 회전 및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벨트(48d)의 외면에 밀착되어 긴장되게 연결시켜준다.
장력스프링(48f)은 공급프레임(41)과 장력롤러(48e)에 연결되어 일정한 긴장력을 부가해준다.
이러한 구동부(48)의 동력전달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기어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자명한다.
조절부(49)는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에 장착되고, 공급호퍼(42)에 마련된 약제통로(H2)를 가변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조절부(49)는 도 11처럼 개폐플레이트(49a), 개폐레버(49b), 조절브래킷(49c), 링크부재(49d)로 구성된다.
개폐플레이트(49a)는 공급호퍼(42)의 하단에 구동축(48b)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러한 개폐플레이트(49a)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일부위에는 약제가 배출되는 호형의 배출홀이 형성된다.
즉, 개폐플레이트(49a)의 배출홀과 약제통로(H2)가 일치되면,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약제가 살포날개(47)로 낙하된다.
물론, 개폐플레이트(49a)의 배출홀과 약제통로(H2)의 일치범위에 따라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개폐레버(49b)는 공급프레임(41)의 후방 상단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플레이트(49a)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조작을 받는다.
조절브래킷(49c)은 공급프레임(41)의 후방 상단에 조절레버(49b)와 맞물리게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브래킷(49c)은 일면에 복수의 홈부가 배열되어 조절레버(49b)의 스윙각도를 단계별로 고정해준다.
링크부재(49d)는 개폐플레이트(49a)와 개폐레버(49b)의 일단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개폐레버(49b)와 개폐플레이트(49a)의 작동을 연동시켜준다.
이러한 링크부재(49d)는 힌지로 연결되는 막대플레이트들로 구성할 수 있고, 스프링과 와이어로도 구성할 수 있다.
즉, 개폐레버(49b)의 스윙에 따라 개폐플레이트(49a)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약제통로(H2)를 개폐하고, 개폐레버(49b)의 스윙각도별로 약제통로(H2)의 개구범위를 가변시켜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여기서 살포날개(47)로 낙하되는 약제의 배출량에 따라 약제의 살포양이 가변되고, 살포날개(47)의 회전속도에 따라 약제의 살포범위가 가변된다.
한편, 별도의 사료자리가 없거나 사료공급 위치를 가변적으로 운영할 경우에는 사료의 변질이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닥에 비닐(V)을 포설하고, 포설된 비닐(V)위에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기는 도 14 내지 도 16처럼 주행유닛(10)의 전방이나 공급유닛(40)의 전방에 탈/장착되어 사료가 배출되는 바닥에 비닐(V)을 자동으로 깔아주는 포설유닛(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설유닛(50)은 포설프레임(51)과 포설롤러(52) 및 안내대(53)로 구성된다.
포설프레임(51)은 주행유닛(10)이나 공급유닛(40)에 탈/장착이 가능한 크기를 가진 골격으로, 복수의 파이프들이 소정 형상의 구조로 연결된다.
포설롤러(52)는 포설프레임(51)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롤형 비닐(V)의 심지에 삽입되어 풀림을 유도한다.
안내대(53)는 포설프레임(51)의 우측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포설롤러(52)로부터 풀려지는 비닐(B)을 바닥을 향해 눌러준다.
즉, 포설유닛(50)은 바닥에 깔리는 비닐(V)을 우측 주행바퀴(12)가 밟아지게 풀어준다.
따라서 비닐(B)의 끝단을 고정시키지 않고도 주행속도에 맞춰 비닐(V)이 자동으로 풀려지면서 바닥으로 긴밀하게 깔려진다.
그리고 비닐(V)이 바닥에 깔려짐과 동시에 비닐(V)의 상면에 사료가 배출됨에 따라 비닐(B)이 흩날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H1: 사료통로
H2: 약제통로
V: 비닐
10: 주행유닛
11: 주행프레임
11a: 연결걸대
11b: 체결브래킷
11c: 연결안내판
12: 주행바퀴
13: 조향바퀴
14: 주행모터
15: 배터리보관함
16: 조종대
17: 조종패널
18: 연결노브
20: 적재유닛
21: 적재프레임
21a: 적재브래킷
21b: 적재플레이트
22: 적재패널
23: 적재대
30: 로터리유닛
31: 로터리프레임
31a: 로터리브래킷
31b: 로터리플레이트
31c: 로터리손잡이
32: 회전프레임
33: 로터리덮개
34: 로터날
35: 로터리모터
36: 액추에이터
37: 배터리수납함
40: 공급유닛
41: 공급프레임
41a: 공급브래킷
41b: 공급플레이트
41c: 보조프레임
41d: 제어패널
42: 공급호퍼
42a: 연장호퍼
42b: 슈트고리
43: 배출슈트
44: 개폐도어
45: 연장슈트
45a: 진동모터
46: 교반날개
47: 살포날개
47a: 살포플레이트
47b: 살포날
48: 구동부
48a: 공급모터
48b: 구동축
48c: 구동풀리
48d: 구동벨트
48e: 장력롤러
48f: 장력스프링
49: 조절부
49a: 개폐플레이트
49b: 개폐레버
49c: 조절브래킷
49d: 링크부재
50: 포설유닛
51: 포설프레임
52: 포설롤러
53: 안내대

Claims (11)

  1. 가축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해주는 작업기에 있어서,
    적어도 사육장을 드나들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는 주행유닛(10);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에 필요한 물품들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되게 적재하는 적재유닛(20);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가축의 사료를 공급하거나 소독 및 중화약제를 살포하는 공급유닛(40);을 포함하여
    상기 적재유닛(20)은,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을 감싸는 크기를 갖는 적재프레임(21);
    상기 적재프레임(21)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품들을 지지하는 적재패널(22);
    상기 적재패널(22)의 상단 테두리에 장착되어 물품들의 이탈을 차단하는 적재대(2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닛(10)은,
    상기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을 탑재하는 크기를 가진 주행프레임(11);
    상기 주행프레임(11)의 전방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주행바퀴(12);
    상기 주행프레임(11)의 후방 하단에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향바퀴(13);
    상기 주행프레임(1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바퀴(12)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주행모터(14);
    상기 주행프레임(11)의 후방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14) 또는 로터리유닛(30)이나 공급유닛(4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보관함(15);
    상기 주행프레임(11)의 후방 상단에 상측 후방을 향해 양 갈래로 연장되어 조향을 조작받는 한 쌍의 조종대(16);
    상기 조종대(16)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모터(14)와 로터리유닛(30) 및 공급유닛(40)의 작동을 단속하는 조종패널(17);
    상기 주행프레임(11)의 전방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연결노브(1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프레임(11)은,
    상기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중앙에 좌우로 수평하게 장착되는 연결걸대(11a);
    상기 연결노브(18)가 체결되어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이 구속되도록 전방에 소정 폭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되는 체결브래킷(11b);
    상기 적재유닛(20) 내지 공급유닛(40)이 정 위치에 장착되게 안내하도록 상단 중앙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연결안내판(11c);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프레임(21)은,
    상기 주행유닛(10)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적재브래킷(21a);
    상기 주행유닛(10)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적재플레이트(21b);
    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닛(1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탈/장착되고, 사육장의 깔린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리유닛(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유닛(30)은,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진 로터리프레임(31);
    상기 로터리프레임(31)의 전방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32);
    상기 회전프레임(32)의 일단마다 수평하게 장착되어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의 날림을 차단하는 상자형의 로터리덮개(33);
    상기 로터리덮개(33)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왕겨나 짚 또는 토양을 갈아엎는 로터날(34);
    상기 로터리덮개(33)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로터날(34)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로터리모터(35);
    상기 로터리프레임(31)과 회전프레임(3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프레임(32)으로 상하 회전력을 부가하여 바닥으로부터 로터날(3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36);포함하고,
    상기 로터리프레임(31)은,
    상기 주행유닛(10)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로터리브래킷(31a);
    상기 주행유닛(10)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로터리플레이트(31b);
    상기 주행유닛(10)에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후방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는 로터리손잡이(31c);
    상기 로터리프레임(31)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로터리모터(35)나 액추에이터(36)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수납함(37);
    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40)은,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진 공급프레임(41);
    상기 공급프레임(41)의 상단에 장착되고, 중화약제를 수용하는 상광하협형의 공급호퍼(42);
    상기 공급호퍼(42)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중화약제를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게 교반하는 교반날개(46);
    상기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중화약제를 방사로 살포하는 살포날개(47);
    상기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동부(48);
    상기 공급프레임(41)과 공급호퍼(42)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42)에 마련된 약제통로(H2)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조절부(49);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관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40)은,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 상단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가진 공급프레임(41);
    상기 공급프레임(41)의 상단에 장착되고, 가축의 사료를 수용하는 상광하협형의 공급호퍼(42);
    상기 공급호퍼(42)의 우측 하단에 내부와 연통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슈트(43);
    상기 공급호퍼(42)와 배출슈트(43)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42)에 마련된 사료통로(H1)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44);
    상기 배출슈트(43)의 일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출슈트(43)와 연통되게 전개되어 사료가 배출되는 경로를 연장하는 연장슈트(45);
    상기 공급호퍼(42)의 내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급호퍼(42)에 수용된 사료가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게 교반해 주는 교반날개(46);를 포함하여,
    상기 공급프레임(41)은,
    상기 주행유닛(10)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ㄷ형의 공급브래킷(41a);
    상기 주행유닛(10)에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전방 하단에 소정 폭을 두고 장착되는 공급플레이트(41b);
    상기 공급호퍼(42)를 지지하며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후방 상단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는 보조프레임(41c);
    상기 보조프레임(41c)의 상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패널(41d);
    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퍼(42)는,
    내부용량이 증가되도록 상단에 탈/장착되는 연장호퍼(42a);
    상기 연장슈트(45)와 맞물려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슈트고리(42b);로 더 구성되고,
    상기 연장슈트(45)는,
    상기 배출슈트(43)로부터 배출되는 사료가 정량으로 연속 배출되도록 일단에 장착되어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모터(45a);
    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살포날개(47)는,
    상기 공급호퍼(42)로부터 낙하되는 약제를 수용하며, 약제가 포물선 궤적으로 살포되도록 중심을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진 원반형 살포플레이트(47a);
    상기 살포플레이트(47a)의 상면에 방사로 배열되고, 약제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방사로 살포시키는 ㄱ형 단면형상의 살포날(47b);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48)는,
    상기 공급프레임(41)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공급모터(48a);
    상기 공급프레임(4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기립 장착되고, 상기 교반날개(46)와 살포날개(47)의 중심에 삽입 장착되는 구동축(48b);
    상기 공급모터(48a)와 구동축(48b)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력을 부가 및 전달받는 구동풀리(48c);
    상기 구동풀리(48c)들의 외면에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48d);
    상기 공급프레임(41)의 상단에 회전 및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벨트(48d)의 외면에 밀착되어 긴장되게 연결시키는 장력롤러(48e);
    상기 공급프레임(41)과 장력롤러(48e)에 연결되어 긴장력을 부가하는 장력스프링(48f);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49)는,
    상기 공급호퍼(42)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공급호퍼(42)에 마련된 약제통로(H2)를 가변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레이트(49a);
    상기 공급프레임(41)의 후방 상단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폐플레이트(49a)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레버(49b);
    상기 공급프레임(41)의 후방 상단에 조절레버(49b)와 맞물리게 장착되고, 상기 조절레버(49b)의 스윙각도를 단계별로 고정해주는 조절브래킷(49c);
    상기 개폐플레이트(49a)와 개폐레버(49b)의 일단에 다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폐레버(49b)와 개폐플레이트(49a)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링크부재(49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는,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이나 공급유닛(40)의 전방에 탈/장착되고, 사료가 배출되는 바닥에 비닐(V)을 자동으로 깔아주는 포설유닛(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포설유닛(50)은,
    상기 주행유닛(10)의 전방이나 공급유닛(40)의 전방 하단에 탈/장착되는 포설프레임(51);
    상기 포설프레임(51)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형 비닐(V)의 심지에 삽입되어 풀림을 유도하는 포설롤러(52);
    상기 포설프레임(51)의 우측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포설롤러(52)로부터 풀려지는 비닐(B)을 바닥을 향해 눌러주는 안내대(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KR1020210109995A 2021-08-20 2021-08-20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KR10262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95A KR102627096B1 (ko) 2021-08-20 2021-08-20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95A KR102627096B1 (ko) 2021-08-20 2021-08-20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03A true KR20230027803A (ko) 2023-02-28
KR102627096B1 KR102627096B1 (ko) 2024-01-23

Family

ID=8532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95A KR102627096B1 (ko) 2021-08-20 2021-08-20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09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19Y1 (ko) 2009-12-01 2011-10-07 주식회사 공성 전동 손수레
KR101277878B1 (ko) * 2012-11-13 2013-06-21 서진모 살포기
KR101330833B1 (ko) * 2013-02-22 2013-11-29 국립식량과학원 다기능 생력농기계
KR20140132570A (ko) * 2013-05-08 2014-11-18 김남주 농업용 작업기
KR101577971B1 (ko) 2013-12-12 2015-12-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사료 공급장치
KR200479116Y1 (ko) 2015-02-23 2015-12-21 최정우 깔짚 관리기
KR20190090632A (ko) * 2018-01-25 2019-08-02 (주)알파닉스 양계장용 친환경 전동식 깔짚 관리기
KR102122036B1 (ko) * 2018-10-30 2020-06-11 김완수 다목적 스마트 농기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19Y1 (ko) 2009-12-01 2011-10-07 주식회사 공성 전동 손수레
KR101277878B1 (ko) * 2012-11-13 2013-06-21 서진모 살포기
KR101330833B1 (ko) * 2013-02-22 2013-11-29 국립식량과학원 다기능 생력농기계
KR20140132570A (ko) * 2013-05-08 2014-11-18 김남주 농업용 작업기
KR101577971B1 (ko) 2013-12-12 2015-12-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사료 공급장치
KR200479116Y1 (ko) 2015-02-23 2015-12-21 최정우 깔짚 관리기
KR20190090632A (ko) * 2018-01-25 2019-08-02 (주)알파닉스 양계장용 친환경 전동식 깔짚 관리기
KR102071533B1 (ko) 2018-01-25 2020-03-02 (주)알파닉스 양계장용 친환경 전동식 깔짚 관리기
KR102122036B1 (ko) * 2018-10-30 2020-06-11 김완수 다목적 스마트 농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096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8564C2 (ru) Откидной концевой отводной щиток кукурузоуборочной приставки к зерноуборочному комбайну
US6994039B1 (en) Bulk seed handling and dispensing system
US8668154B2 (en) Lawn mower and fertilizer spreader combination
AU2011200297A1 (en) Metering assembly for an air seeder
US8683948B2 (en) Tree mountable animal feeder
KR20230027803A (ko) 가축 사육장용 다목적 작업기
EP3785515A1 (en) Work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EP0951213B1 (en) An implement for mixing fodder
KR200483458Y1 (ko)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US10791675B1 (en) Combine system
KR20090068068A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퇴비살포기
US11219203B2 (en) Sectional control for air boom spreader
KR20080070803A (ko)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200383441Y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적재함탑재식 퇴비살포장치
US6241451B1 (en) Distributor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s
EP3785505A1 (en) Power generator unit and working machine
KR200296544Y1 (ko) 다목적 정량 살포기
JP2009124984A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2010000014A (ja) 苗移植機
US20220279717A1 (en) Swing-out spreader for agricultural combines
CA2317846C (en) A distributor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s
JP2509928Y2 (ja) コンバインの穀粒貯溜装置
KR20230029296A (ko) 탈부착이 자유로운 엔진부착 적재함식 퇴비 살포기
KR101381809B1 (ko) 사료 급이 시스템
KR20210128674A (ko) 트랙터에 착탈되도록 견인되는 퇴비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