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691A - 얼음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691A
KR20230027691A KR1020210109761A KR20210109761A KR20230027691A KR 20230027691 A KR20230027691 A KR 20230027691A KR 1020210109761 A KR1020210109761 A KR 1020210109761A KR 20210109761 A KR20210109761 A KR 20210109761A KR 20230027691 A KR20230027691 A KR 2023002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ed water
valve
water
pipe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박찬정
박정철
김도한
홍광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691A/ko
Publication of KR2023002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정수를 냉각시켜 생성된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냉수탱크; 상기 배출구, 상기 필터 및 상기 냉수탱크와 연통하는 장착상태 및 상기 장착상태로부터 이탈된 탈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피드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필터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필터와 상기 냉수탱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밸브는, 상기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수추출밸브 및 상기 정수가 상기 배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수추출밸브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정수기{ICE PURIFIER}
본 발명은 얼음정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후 냉수로 제공되거나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온수로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정수기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정수, 냉수 및 온수가 각각 유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유로를 구비한다.
한편, 정수기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물 때로 인해 유로가 교체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유로를 교체하기 위해서 커버를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필터와 같은 구성과 유로를 분리시킨 후 유로를 교체하였다. 그러나, 유로를 필터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하기 위해서는 정수기 내부의 구조를 명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유로를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정수기 내의 복수 개의 유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유로 각각을 필터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로를 교체하기 위한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0540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특허문헌 1)는 정수필터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정수필터 연결모듈에 의하면 정수필터 연결모듈을 교체하기 위해서 정수 필터, 물공급원, 배수관 및 저장 탱크 등과 같은 복수의 주변구성과 정수필터 연결모듈을 각각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정수필터 연결모듈이 복수의 주변구성과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모듈과 주변구성 사이의 연결부에서 물이 누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식회사 교원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87942 "원터치식 유로 교체 모듈형 정수기"(특허문헌 2)는 원터치 방식으로 복수의 유로가 한번에 분리될 수 있는 유로교체 모듈형 정수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복수의 유로만 정수기로 분리될 뿐, 냉수를 출수하기 위한 냉수밸브, 정수를 출수하기 위한 정수밸브는 정수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어서 복수의 유로와 같이 분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2의 냉수밸브 및 정수밸브를 교체할 경우, 주변구성을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0540호(2019.03.04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7942(2019. 06. 04.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유로모듈이 밸브모듈로부터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밸브모듈이 얼음정수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밸브모듈이 얼음정수기로부터 분리되면, 정수추출밸브와 냉수추출밸브도 함께 분리될 수 있는 얼음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정수를 냉각시켜 생성된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냉수탱크; 상기 배출구, 상기 필터 및 상기 냉수탱크와 연통하는 장착상태 및 상기 장착상태로부터 이탈된 탈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피드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필터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필터와 상기 냉수탱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밸브는, 상기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수추출밸브 및 상기 정수가 상기 배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수추출밸브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유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각각은, 상기 정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 상기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 및 상기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각각의 유입부 또는 토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 개의 연결구는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정수가 연통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결구와 맞물리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유로모듈과 연결된 채로 상기 장착상태로부터 상기 탈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밸브모듈로 유입된 정수 중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중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로 유동하고, 상기 밸브모듈로 유입된 정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중 상기 냉수탱크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수탱크의 직상방에 놓인 채로 상기 냉수탱크와 연결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수탱크 보다 상측에 놓이며,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와 상기 냉수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제빙기로 상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또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빙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로모듈이 개방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밸브모듈이 개방됨으로써 서로 간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모듈이 유로모듈과 연결됨으로써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물을 재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모듈이 밸브모듈로부터 분리되거나 밸브모듈이 탈착상태에 놓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유로모듈 및 밸브모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이 탈착상태에 놓이면, 냉수추출밸브 및 정수추출밸브도 정수기로부터 함께 탈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모듈 및 밸브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로모듈과 밸브모듈이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로모듈의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유로모듈의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밸브모듈의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밸브모듈의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내에서 물이 유동하는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얼음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물을 여과함으로써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정수기(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얼음정수기(1)는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정수기(1)는 프레임(100), 유로모듈(200), 밸브모듈(300), 필터(400) 및 냉수탱크(500), 제빙기(600), 제어기(700) 및 배출구(8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얼음정수기(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원수, 정수, 냉수 및 온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로부터 얼음정수기(1) 내부로 유입된 물 중 필터(400)를 거치지 않은 물은 원수로 정의하며, 필터(400)를 거쳐서 여과된 물은 정수로 정의한다. 또한, 필터(400)에서 여과된 물 중 냉수탱크(500)에서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물은 냉수로 정의한다.
프레임(100)은 얼음정수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하고 다른 구성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유로모듈(200), 밸브모듈(300), 필터(400), 냉수탱크(500) 및 제빙기(6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 일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로모듈(200)은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밸브모듈(300)과 연통할 수 있으며, 밸브모듈(300)에 수평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모듈(200)이 밸브모듈(300)과 연결되었을 때, 정수는 유로모듈(200)과 밸브모듈(300) 사이를 유동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다. 다시 말해, 유로모듈(200)은 밸브모듈(300)과 연결되었을 때, 밸브모듈(300)을 통하여 정수를 필터(4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유로모듈(200)로 유입된 정수는 다시 밸브모듈(3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유로모듈(200)은 밸브모듈(300)과 연결되었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빙기(600)와 냉수탱크(500) 사이에서 밸브모듈(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바디부(210) 및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0)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210)는 냉수탱크(5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는 정수를 유동하기 위한 유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는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2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는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각각은 측방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각각은 정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221c, 222c, 223c),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221a, 222a, 223a) 및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토출부(221b, 222b, 2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각각에 구비되는 유입부(221a, 222a, 223a) 및 토출부(221b, 222b, 223b)는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일 방향은 밸브모듈(30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는 제1 정수파이프(221), 제2 정수파이프(222) 및 제3 정수파이프(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수파이프(221), 제2 정수파이프(222) 및 제3 정수파이프(223)는 서로 비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정수파이프(221), 제2 정수파이프(222) 및 제3 정수파이프(223) 각각에서 유동하는 정수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각각의 유동경로를 따라서 유동할 수 있다.
제1 정수파이프(221)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수파이프(221)에는 필터(400)에서 여과된 정수가 밸브모듈(30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수파이프(221)는 제2 정수파이프(222) 및 제3 정수파이프(223)보다 먼저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파이프(221)는 제1 정수유입부(221a), 제2 정수토출부(221b) 및 제1 정수통로부(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수유입부(221a)는 제1 정수파이프(221)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1 정수통로부(221c)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유입부(221a)는 후술할 제1 정수토출밸브파이프(331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수유입부(221a)는 후술할 제1 정수출수연결구(331b-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 정수출수연결구(331b-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정수유입부(221a)의 일단에는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 정수유입구(221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유입구(221a-1)는 제1 정수출수연결구(331b-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정수토출부(221b)는 제1 정수파이프(221)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1 정수통로부(221c)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토출부(221b)는 후술할 제1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1a)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정수토출부(221b)는 후술할 제1 정수입수연결구(331a-1)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정수토출부(221b)는 제1 정수입수연결구(331a-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정수토출부(221b)의 일단에는 정수가 토출되기 위한 제1 정수토출구(221b-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토출구(221b-1)는 제1 정수입수연결구(331a-1)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정수통로부(221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수통로부(221c)는 일측이 제1 정수유입부(221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1 정수토출부(221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정수유입부(221a)로 유입된 정수는 제1 정수통로부(221c)를 따라 유동하고 제1 정수토출부(221b)에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수토출부(221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1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1a)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정수파이프(222)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파이프(222)는 정수를 밸브모듈(300)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정수파이프(222)에는 후술할 제2 정수토출밸브파이프(332b)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정수파이프(222)는 제2 정수유입부(222a), 제2 정수토출부(222b) 및 제2 정수통로부(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수유입부(222a)는 제2 정수파이프(222)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2 정수통로부(222c)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유입부(222a)는 제2 정수토출밸브파이프(332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정수유입부(222a)는 후술할 제2 정수출수연결구(332b-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2 정수유입부(222a)는 제2 정수출수연결구(332b-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정수유입부(222a)의 일단에는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2 정수유입구(222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유입구(222a-1)는 제2 정수출수연결구(332b-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정수토출부(222b)는 제2 정수파이프(222)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2 정수통로부(222c)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토출부(222b)는 후술할 제2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2a)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정수토출부(222b)는 후술할 제2 정수입수연결구(332a-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2 정수토출부(222b)는 제2 정수입수연결구(332a-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정수토출부(222b)의 일단에는 정수가 토출되기 위한 제2 정수토출구(222b-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토출구(222b-1)는 제2 정수입수연결구(332a-1)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정수통로부(222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수통로부(222c)는 일측이 제2 정수유입부(222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2 정수토출부(222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정수유입부(222a)로 유입된 정수는 제2 정수통로부(222c)를 따라 유동하고 제2 정수토출부(222b)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정수토출부(222b)를 통하여 토출된 정수는 제2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2a)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정수파이프(223)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파이프(223)는 정수를 밸브모듈(30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정수파이프(223)에는 후술할 제3 정수토출밸브파이프(333b)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3 정수파이프(223)는 제3 정수유입부(223a), 제3 정수토출부(223b) 및 제3 정수통로부(2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정수유입부(223a)는 제3 정수파이프(223)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3 정수통로부(223c)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유입부(223a)는 제3 정수토출밸브파이프(333b)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정수유입부(223a)는 후술할 제3 정수출수연결구(333b-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3 정수유입부(223a)는 제3 정수출수연결구(333b-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정수유입부(223a)의 일단에는 정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3 정수유입구(223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유입구(223a-1)는 제3 정수출수연결구(333b-1)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정수토출부(223b)는 제3 정수파이프(223)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3 정수통로부(223c)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토출부(223b)는 후술할 제3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3a)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정수토출부(223b)는 후술할 제3 정수입수연결구(333a-1)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3 정수토출부(223b)는 제3 정수입수연결구(333a-1)에 맞물렸을 때,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정수토출부(223b)의 일단에는 정수가 토출되기 위한 제3 정수토출구(223b-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토출구(223b-1)는 제3 정수입수연결구(333a-1)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정수통로부(223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정수통로부(223c)는 일측이 제3 정수유입부(223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3 정수토출부(223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정수유입부(223a)로 유입된 정수는 제3 정수통로부(223c)를 따라 유동하고 제3 정수토출부(223b)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3 정수토출부(223b)를 통하여 토출된 정수는 제3 정수유입밸브파이프(333a)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밸브모듈(300)은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300)은 정수가, 배출구(800), 냉수탱크(500) 및 제빙기(600)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유동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300)은 배출구(800), 필터(400) 및 냉수탱크(500)와 연통하는 장착상태 및 장착상태로부터 이탈된 탈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300)이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필터(400)와 배출구(8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고, 필터(400)와 냉수탱크(5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300)은 유로모듈(200)과 연결된 채로 장착상태로부터 탈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300)은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밸브모듈(300)로 유입된 정수 중 일부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중 배출구(800)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220)로 유동하고, 밸브모듈(300)로 유입된 정수 중 다른 일부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중 냉수탱크(500)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220)로 유동하고, 또 다른 일부는 제빙기(600)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220)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300)은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냉수탱크(500)의 직상방에 놓인 채로 냉수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브모듈(300)은,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빙기(600)와 냉수탱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모듈(300)은 유로모듈(20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300)에 의해 유로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냉수탱크(500)의 직상방에 놓인 채로 냉수탱크(500)와 연통될 수 있다 밸브모듈(300)은 유로모듈(200)과 연결될 때,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와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는 밸브모듈(300)과 유로모듈(200) 사이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하며, 밸브모듈(300)과 유로모듈(200) 사이를 교번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300)은 지지체(310), 제빙기밸브(320),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피드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310)는 제빙기밸브(320),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및 피드밸브(340)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10)는 냉수탱크(500)의 직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체(310)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와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가 서로 연결될 경우, 바디부(2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빙기밸브(320)는 정수가 제빙기(600)로 유동하도록 후술할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빙기밸브(320)는 제7 밸브파이프(3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밸브(320)에 의해 후술할 제1 밸브파이프(331)에서 유동되는 정수 중 일부는 제7 밸브파이프(337)로 유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각각은 정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331c, 332c, 333c, 334c, 335c, 336c 337c),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331a, 332a, 333a, 334a, 335a, 336a, 337a),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토출부(331b, 332b, 333b, 334b, 335b, 336b, 337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의 유입부(221a, 222a, 223a) 또는 토출부(221b, 222b, 223b)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 개의 연결구(331b-1. 332a-1, 333b-1. 334a-1, 335b-1, 336a-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의 유입부(331a, 332a, 333a, 334a, 335a, 336a, 337a) 또는 토출부(331b, 332b, 333b, 334b, 335b, 336b, 337b)에 연결구(331b-1. 332a-1, 333b-1. 334a-1, 335b-1, 336a-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결구(331b-1. 332a-1, 333b-1. 334a-1, 335b-1, 336a-1)는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연결구(331b-1. 332a-1, 333b-1. 334a-1, 335b-1, 336a-1)는 유로모듈(20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결구(331b-1. 332a-1, 333b-1. 334a-1, 335b-1, 336a-1)에는 정수가 연통하도록 워터파이프(220)의 유입부(221a, 222a, 223a) 및 토출부(221b, 222b, 223b)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는 제1 밸브파이프(331), 제2 밸브파이프(332), 제3 밸브파이프(333), 제4 밸브파이프(334), 제5 밸브파이프(335), 제6 밸브파이프(336) 및 제7 밸브파이프(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파이프(331)는 필터(400)로부터 토출된 정수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파이프(331)는 제1 정수파이프(221) 및 제빙기밸브(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파이프(331)에 의해 정수는 제1 정수파이프(221) 및 제빙기밸브(320) 중 하나 이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파이프(331)에 의해 제1 정수파이프(221)는 제1 밸브파이프(331)에 연결되어 필터(40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밸브파이프(331)는 제1 밸브파이프유입부(331a),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 및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33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파이프유입부(331a)는 제1 밸브파이프(331)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1 밸브파이프(33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파이프유입부(331a)에 의해, 필터(400)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1 밸브파이프(33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는 제1 밸브파이프(331)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1 밸브파이프(331)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는 제1 정수유입부(221a)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1 정수유입부(221a)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에는 제1 정수유입구(221a-1)와 맞물리는 제1 밸브파이프연결구(331b-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331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331c)는 일측이 제1 밸브파이프유입부(331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331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331c)는 제빙기밸브(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331c)에 의해 정수는 제빙기밸브(32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밸브파이프(332)는 제1 정수파이프(221)에서 토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밸브파이프(332)는 제1 정수파이프(2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파이프(332)는 정수를 피드밸브(34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파이프(332)는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332b) 및 제2 밸브파이프통로부(3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는 제2 밸브파이프(332)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2 밸브파이프(33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는 제1 정수토출부(221b)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정수토출부(221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에는 제1 정수토출구(221b-1)와 맞물리는 제2 밸브파이프연결구(332a-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332b)는 제2 밸브파이프(332)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2 밸브파이프(332)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332b)는 피드밸브(34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332b)에서 토출된 정수는 피드밸브(34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밸브파이프통로부(332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파이프통로부(332c)는 일측이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332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332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333)는 피드밸브(34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파이프(333)는 피드밸브(340)의 후술할 냉수추출밸브(3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밸브파이프(333)는 냉수추출밸브(341)의 개폐여부에 의해 제2 밸브파이프(33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파이프(333)는 제2 정수파이프(2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파이프(333)에 의해 정수는 제2 정수파이프(222)로 유동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333)는 제3 밸브파이프유입부(333a),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 및 제3 밸브파이프통로부(3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유입부(333a)는 제3 밸브파이프(333)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3 밸브파이프(333)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파이프유입부(333a)에 의해, 피드밸브(340)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3 밸브파이프(333)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는 제3 밸브파이프(333)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3 밸브파이프(333)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는 제2 정수유입부(222a)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2 정수유입부(222a)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에는 제2 정수유입구(222a-1)와 맞물리는 제3 밸브파이프연결구(331b-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통로부(333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파이프통로부(333c)는 일측이 제3 밸브파이프유입부(333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333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4 밸브파이프(334)는 제2 정수파이프(222)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파이프(334)는 정수를 냉수탱크(5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파이프(334)에 의해 정수는 냉수탱크(500)로 유동될 수 있다. 제4 밸브파이프(334)는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334b) 및 제4 밸브파이프통로부(33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는 제4 밸브파이프(334)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4 밸브파이프(33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는 제2 정수토출부(222b)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정수토출부(222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에는 제2 정수토출구(222b-1)와 맞물리는 제4 밸브파이트연결구(334a-1)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334b)는 제4 밸브파이프(334)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4 밸브파이프(334)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334b)는 정수를 냉수탱크(50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334b)에서 토출된 정수는 냉수탱크(5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4 밸브파이프통로부(334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파이프통로부(334c)는 일측이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334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334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335)는 피드밸브(340)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파이프(335)의 후술할 정수추출밸브(34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5 밸브파이프(335)는 정수추출밸브(342)의 개폐여부에 따라 제2 밸브파이프(33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파이프(335)는 제3 정수파이프(2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파이프(335)에 의해 정수는 제3 정수파이프(223)로 유동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335)는 제5 밸브파이프유입부(335a),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335b) 및 제5 밸브파이프통로부(3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유입부(335a)는 제5 밸브파이프(335)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5 밸브파이프(335)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파이프유입부(335a)에 의해, 피드밸브(340)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5 밸브파이프(335)로 유입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335b)는 제5 밸브파이프(335)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5 밸브파이프(335)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파이프(335)는 제3 정수유입부(233a)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335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3 정수유입부(233a)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335b)에는 제3 정수유입구(233a-1)와 맞물리는 제5 밸브파이프연결구(335b-1)가 형성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통로부(335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파이프통로부(335c)는 일측이 제5 밸브파이프유입부(335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335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6 밸브파이프(336)는 제3 정수파이프(223)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6 밸브파이프(336)는 정수를 배출구(8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파이프(336)에 의해 정수는 배출구(800)로 유동될 수 있다. 제6 밸브파이프(336)는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336b) 및 제6 밸브파이프통로부(33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는 제6 밸브파이프(336) 중 정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며, 제6 밸브파이프(336)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는 제3 정수토출부(223b)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정수토출부(223b)에서 토출된 정수는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에는 제3 정수토출구(223b-1)와 맞물리는 제6 밸브파이트연결구(336a-1)가 형성될 수 있다.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336b)는 제6 밸브파이프(336) 중 정수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제6 밸브파이프(336)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336b)는 정수를 배출구(80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336b)에서 토출된 정수는 배출구(8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6 밸브파이프통로부(336c)는 정수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파이프통로부(336c)는 일측이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336a)와 연통하고, 타측이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336b)와 연통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7 밸브파이프(337)는 제빙기밸브(320)에서 토출되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7 밸브파이프(337)는 제빙기밸브(3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7 밸브파이프(337)는 제빙기밸브(320)의 개폐여부에 의해 제1 밸브파이프(33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제7 밸브파이프(337)는 정수를 제빙기(600)로 안내할 수 있다.
피드밸브(340)는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드밸브(340)는 제2 밸브파이프(332)로부터 토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밸브(340)와 밸브파이프(330)는, 가요성 튜브를 비포함하는 단일 솔리드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밸브(340)는 제2 밸브파이프(332), 제3 밸브파이프(333) 및 제5 밸브파이프(335)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밸브(340)는 개폐됨으로써 제2 밸브파이프(332)로부터 유입되는 정수를 제3 밸브파이프(333) 및 제5 밸브파이프(335) 중 적어도 한 곳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밸브(340)는 냉수추출밸브(341) 및 정수추출밸브(34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추출밸브(341)는 정수가 냉수탱크(5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수추출밸브(341)는 제3 밸브파이프(333)와 제2 밸브파이프(332)가 연통되도록 제3 밸브파이프(333)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냉수추출밸브(341)에 의해 제2 밸브파이프(332)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제3 밸브파이프(333), 제2 정수파이프(222), 제4 밸브파이프(334) 및 냉수탱크(500)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정수추출밸브(242)는 정수가 배출구(8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 중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수추출밸브(242)는 제5 밸브파이프(335)와 제2 밸브파이프(332)가 연통되도록 제5 밸브파이프(335)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추출밸브(242)에 의해 제2 밸브파이프(332)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제5 밸브파이프(335), 제3 정수파이프(223), 제6 밸브파이프(336) 및 배출구(800)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400)는 얼음정수기(1) 내로 유입된 원수를 정수로 여과시킬 수 있다. 필터(40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1 밸브파이프(331)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필터(4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400)는 유로모듈(2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수탱크(500)는 정수를 냉각시켜 생성된 냉수를 수용할 수 있다. 냉수탱크(500)는 밸브모듈(300)로부터 정수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수탱크(500)에는 제4 밸브파이프(334)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탱크(500)는 일 예로, 물탱크 형태로 구성되어 냉수가 유동하는 공간과 냉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수탱크(500)는 얇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거나 내부에 격벽이 설치된 물탱크 형태 구성되어 정수가 냉각되는 즉시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500)는 냉수를 배출구(800)로 토출할 수 있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빙기(600)는 얼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빙기(600)는 밸브모듈(300)로부터 정수를 받아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빙기(600)는 제7 밸브파이프(337)로부터 토출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빙기(600)는 밸브모듈(3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빙기(600)는, 적어도 일부가 냉수탱크(500)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700)는 냉수, 정수 및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밸브모듈(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700)는 냉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피드밸브(3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제2 밸브파이프(332)에서 유동되는 정수가 제3 밸브파이프(333)로 유동되도록 냉수추출밸브(34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정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피드밸브(3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제2 밸브파이프(332)에서 유동되는 정수가 제5 밸브파이프(335)로 유동되도록 정수추출밸브(3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정수가 제빙기(600)로 유동되도록 제빙기밸브(32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기(7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출구(800)는 온수, 냉수, 정수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출구(800)는 냉수탱크(500)로부터 토출된 냉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제6 밸브파이프(336)에서 유동되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800)는 프레임(100)의 전방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하방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얼음정수기(1) 내부에서 물이 유동하는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얼음정수기(1)의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필터(400)에서 여과된 후, 밸브모듈(300)의 제1 밸브파이프(331)로 유동한다. 제1 밸브파이프(331)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제1 정수파이프(221)를 통해 제2 밸브파이프(332)로 유동된다. 또한, 제2 밸브파이프(332)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피드밸브(340)에 의해 제3 밸브파이프(333) 또는 제5 밸브파이프(335)로 유동될 수 있다. 제3 밸브파이프(333)로 유입된 정수는, 제2 정수파이프(222)를 통해 제4 밸브파이프(334)로 유동되어 냉수탱크(500)로 안내될 수 있다. 제5 밸브파이프(335)로 유입된 정수는 제3 정수파이프(223)를 통해 제6 밸브파이프(336)로 유동되고, 배출구(800)로 안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빙기밸브(320)가 제7 밸브파이프(337)를 개방할 경우, 제1 밸브파이프(331)에서 유동되는 정수는 제7 밸브파이프(337)를 통해 제빙기(600)로 유동될 수 있다. 냉수탱크(500)에서 토출되는 냉수는 배출구(800)로 유동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정수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얼음정수기(1)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얼음정수기(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수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킴으로써 냉수, 정수 및 얼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얼음정수기(1) 내에서 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의 경우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물 때로 인해 교체될 필요가 발생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유로모듈(200)을 밸브모듈(300)로부터 분리하거나, 밸브모듈(300)을 탈착상태에 놓이도록 유로모듈(200) 또는 밸브모듈(300)을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유로모듈(200)과 밸브모듈(300)을 이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를 한번에 세척하거나, 새로운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220)가 포함된 유로모듈(200) 또는 새로운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330)가 포함된 밸브모듈(300)을 얼음정수기(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300)이 탈착상태로 놓음으로써, 제빙기밸브(320), 냉수추출밸브(341) 및 정수추출밸브(342)를 한번에 얼음정수기(1)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얼음정수기 100: 프레임
200: 유로모듈
210: 바디부 220: 워터파이프
221: 제1 정수파이프 221a: 제1 정수유입부
221a-1: 제1 정수유입구 221b: 제1 정수토출부
221b-1: 제1정수토출구 221c: 제1 정수통로부
222: 제2 정수파이프 222a: 제2 정수유입부
222a-1: 제2 정수유입구 222b: 제2 정수토출부
222b-1: 제2 정수토출구 222c: 제2 정수통로부
223: 제3 정수파이프 223a: 제3 정수유입부
223a-1: 제3 정수유입구 223b: 제3 정수토출부
223b-1: 제3 정수토출구 223c: 제3 정수통로부
300: 밸브모듈
310: 지지체 320: 제빙기밸브
330: 밸브파이프 331: 제1 밸브파이프
331a: 제1밸브파이프유입부 331b: 제1 밸브파이프토출부
331b-1: 제1 밸브파이프연결구 331c: 제1 밸브파이프통로부
332: 제2 밸브파이프 332a: 제2 밸브파이프유입부
332a-1: 제2 밸브파이프연결구 332b: 제2 밸브파이프토출부
332c: 제2 밸브파이프통로부 333: 제3 밸브파이프
333a: 제3 밸브파이프유입부 333b: 제3 밸브파이프토출부
333b-1: 제3 밸브파이프연결구 333c: 제3 밸브파이프통로부
334: 제4 밸브파이프 334a: 제4 밸브파이프유입부
334a-1: 제4 밸브파이프연결구 334b: 제4 밸브파이프토출부
334c: 제4 밸브파이프통로부 335: 제5 밸브파이프
335a: 제5 밸브파이프유입부 335b: 제5 밸브파이프토출부
335b-1: 제5 밸프파이프연결구 335c: 제5 밸브파이프통로부
336: 제6 밸브파이프 336a: 제6 밸브파이프유입부
336a-1: 제6 밸프파이프연결구 336b: 제6 밸브파이프토출부
336c: 제6 밸브파이프통로부 337: 제7 밸브파이프
337a: 제7 밸브파이프유입부 337b: 제7 밸브파이프토출부
337c: 제7 밸브파이프통로부 340: 피드밸브
341: 냉수추출밸브 342: 정수추출밸브
400: 필터 500: 냉수탱크
600: 제빙기 700: 제어기
800: 배출구

Claims (8)

  1.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상기 정수를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정수를 냉각시켜 생성된 냉수를 수용할 수 있는 냉수탱크; 및
    상기 배출구, 상기 필터 및 상기 냉수탱크와 연통하는 장착상태 및 상기 장착상태로부터 이탈된 탈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피드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필터와 상기 배출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필터와 상기 냉수탱크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밸브는,
    상기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수추출밸브 및
    상기 정수가 상기 배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수추출밸브를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유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각각은,
    상기 정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부, 상기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부 및 상기 정수가 토출되도록 상기 통로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각각의 유입부 또는 토출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복수 개의 연결구는 일 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얼음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정수가 연통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결구와 맞물리는,
    얼음정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유로모듈과 연결된 채로 상기 장착상태로부터 상기 탈착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얼음정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밸브모듈로 유입된 정수 중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중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로 유동하고, 상기 밸브모듈로 유입된 정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복수 개의 워터파이프 중 상기 냉수탱크와 연통하는 워터파이프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얼음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수탱크의 직상방에 놓인 채로 상기 냉수탱크와 연결되는,
    얼음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수탱크 보다 상측에 놓이며,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장착상태에 놓였을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와 상기 냉수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얼음정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제빙기로 상기 정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밸브파이프 중 또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빙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얼음정수기.
KR1020210109761A 2021-08-19 2021-08-19 얼음정수기 KR20230027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61A KR20230027691A (ko) 2021-08-19 2021-08-19 얼음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761A KR20230027691A (ko) 2021-08-19 2021-08-19 얼음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91A true KR20230027691A (ko) 2023-02-28

Family

ID=8532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761A KR20230027691A (ko) 2021-08-19 2021-08-19 얼음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6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40A (ko)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987942B1 (ko)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원터치식 유로 교체 모듈형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40A (ko) 2017-08-21 2019-03-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987942B1 (ko)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원터치식 유로 교체 모듈형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477583B (zh) 净水器
KR20220096521A (ko) 정수기
CN105692854A (zh) 饮用水供应装置的清洁方法
US20220324738A1 (en) Water purifier
KR20220093863A (ko) 정수기
CN110550765B (zh) 水处理机及其机体
KR20230027691A (ko) 얼음정수기
KR20230027686A (ko) 얼음정수기
ITMI20001615A1 (it) Filtro carburante per motori biesel a cartuccia intercambiabile.
KR20220046953A (ko) 정수기
KR20220049449A (ko) 정수기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101296528B1 (ko) 정수기 및 그의 필터 세척 방법
CN212450886U (zh) 净水器
KR100710423B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JP4063611B2 (ja) 浄水機能付水道用コンセント
KR10210180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66144A (ko) 정수기
JP7557620B2 (ja) 浄水器
KR20220046952A (ko) 정수기
KR20220046951A (ko) 정수기
KR20220046950A (ko) 정수기
KR20200040732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53833A (ko) 정수기
CN213865605U (zh) 软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