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608A - 엣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엣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608A
KR20230027608A KR1020210109591A KR20210109591A KR20230027608A KR 20230027608 A KR20230027608 A KR 20230027608A KR 1020210109591 A KR1020210109591 A KR 1020210109591A KR 20210109591 A KR20210109591 A KR 20210109591A KR 20230027608 A KR20230027608 A KR 2023002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707B1 (ko
Inventor
권현중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진동에도 강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엣지 커넥터가 제공된다. 엣지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결합되고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로서, 제1 상부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제1 도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를 포함하되, 하부 하우징은, 인쇄회로기판이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슬릿과, 제1 도전 커넥터의 제1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슬릿과 제2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1 돌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엣지 커넥터{EDGE CONNECTOR}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엣지(edge)에 부착되어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엣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를 통해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신뢰성은 케이블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자 장치가 자율 주행 차량 등에 탑재되면서 전자 부품이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을 잘 견디어야 한다. 인쇄회로기판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이러한 진동에 취약한 경우, 케이블이 인쇄회로기판에 신뢰성 있게 연결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39936 (2018년 4월 19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엣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과 결합되고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로서, 제1 상부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제1 도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를 포함하되, 하부 하우징은, 인쇄회로기판이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슬릿과, 제1 도전 커넥터의 제1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 슬릿과 제2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1 돌출 지지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하부 커넥터와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고,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1 접속 단자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도전 커넥터로서, 상기 제2 상부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 도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도전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단자와 상기 제2 도전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 커넥터와 상기 제2 도전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 및 제4 슬릿과, 상기 제2 도전 커넥터의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슬릿과 상기 제4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2 돌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돌출 지지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4 지지부와, 상기 제3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4 연결부와, 상기 제4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5 연결부와, 상기 제3 슬릿과 상기 제4 슬릿 사이에서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6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제2 슬릿과 상기 제3 슬릿 사이의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커넥터는,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돌출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그 결합 신뢰성이 향상되어 외부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엣지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엣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는 엣지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는 엣지 커넥터에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엣지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엣지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따라서, 엣지 커넥터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부피, 길이, 비율 및 개수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 요소들의 전단이란, 인쇄회로기판(도 1의 300)을 수용하는 측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단부(예를 들어, +X)를 의미한다. 반대로, 구성 요소들의 후단이란, 구성 요소들의 전단과 반대되는 측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단부(예를 들어, -X)를 의미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상면은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위면(예를 들어, +Z)을 의미하고, 하면은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아래면(예를 들어, -Z)을 의미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엣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는 엣지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엣지 커넥터는 하우징(100), 제1 도전 커넥터(210) 및 제2 도전 커넥터(22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가 분리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는 하우징(100)의 후단에서 X방향(예를 들어, 제2 방향)으로 하우징(100)에 수용될 수 있다. 비록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가 하우징(100)의 후단에 결합된 후,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의 후단에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는 도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여 그 후단에 삽입되는 케이블과 하우징(100)의 전단에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도전 커넥터(210)는 제1 상부 커넥터(212)와 제1 하부 커넥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커넥터(210)의 제1 상부 커넥터(212)와 제1 하부 커넥터(21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연결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넥터(212)는 상부 하우징(11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되고, 제1 하부 커넥터(214)는 하부 하우징(12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넥터(212)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제1 접속 단자(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1 하부 커넥터(214)에는 이러한 접속 단자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12a)는 Z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으로 수축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 도전 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접속 단자(212a)와 제1 상부 커넥터(2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상부 커넥터(212)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접속 단자(2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 커넥터(220)는 제2 상부 커넥터(222)와 제2 하부 커넥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 커넥터(220)의 구성은 제1 도전 커넥터(2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상부 커넥터(222)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제2 접속 단자(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2 하부 커넥터(224)에는 이러한 접속 단자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222a)는 Z방향으로 수축되어 인쇄회로기판(300)의 제2 도전 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상면(300a)과 하면(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300a)에는 제1 도전 단자(310)와 제2 도전 단자(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 단자(310)와 제2 도전 단자(320)는 Y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 단자(310)는 하우징(100)에 수용되어 제1 도전 커넥터(210)의 제1 접속 단자(2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 단자(320)는 하우징(100)에 수용되어 제2 도전 커넥터(220)의 제2 접속 단자(22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에는 앞서 설명한 상면(300a)과 달리 제1 도전 단자(310)와 제2 도전 단자(320)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도전 커넥터(210)의 제1 하부 커넥터(214)와 제2 도전 커넥터(220)의 제2 하부 커넥터(224)에는 접속 단자가 배치되지 않는다.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절연 물질을 예를 들어,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단에는 오목한 수용 공간(ES)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X방향으로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수용 공간(ES)에 수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하우징(100)이 삽입되는 삽입 홈(300c)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도전 단자(310)가 제1 도전 커넥터(210)의 제1 접속 단자(2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도전 단자(320)가 제2 도전 커넥터(220)의 제2 접속 단자(22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하우징(100)이 인쇄회로기판(300)의 삽입 홈(300c)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20)은 인쇄회로기판(300)이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4 슬릿(slit)(S1~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S1)과 제2 슬릿(S2) 사이에는 제1 돌출 지지부(122)가 배치되고, 제3 슬릿(S3)과 제4 슬릿(S4) 사이에는 제2 돌출 지지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지지부(122)는 제1 도전 커넥터(21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도전 커넥터(210)의 제1 접속 단자(212a)에 Z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돌출 지지부(124)는 제2 도전 커넥터(22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도전 커넥터(220)의 제2 접속 단자(222a)에 Z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지지부(122)는 제1 지지부(122a), 제2 지지부(122b), 제1 연결부(122c), 제2 연결부(122d), 제3 연결부(1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지지부(122)는 하우징(100)과 동일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22a)는 하부 하우징(120)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122b)는 제1 지지부(122a)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지지부(122b)의 두께는 X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2b)의 Y방향 폭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지지부(122a)의 Y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Y방향에서 바라본 제2 지지부(122b)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122c)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1 돌출 지지부(122)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 연결부(122c)에 의해 제1 슬릿(S1)의 제1 측벽(W1)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2d)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1 돌출 지지부(122)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2 연결부(122d)에 의해 제2 슬릿(S2)의 제2 측벽(W2)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122e)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1 돌출 지지부(122)를 연결한다. 제1 연결부(122c)와 제2 연결부(122d)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1 돌출 지지부(122)를 Y방향으로 연결하는데 반해, 제3 연결부(122e)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1 돌출 지지부(122)를 X방향으로 연결한다. 제3 연결부(122e)는 제1 슬릿(S1)과 제2 슬릿(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릿(S1), 제2 슬릿(S2) 및 제1 돌출 지지부(122)로 구성된 구조는, 인쇄회로기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제1 돌출 지지부(122)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도전 커넥터(21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하부 커넥터(214)와 제1 돌출 지지부(12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간극(T)이 존재한다. 즉, 제1 지지부(122a)의 하면이 제1 하부 커넥터(214)의 상면에 접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지지부(122a)의 하면이 제1 하부 커넥터(214)의 상면으로부터 간극(T) 만큼 이격된다.
이러한 간극(T) 역시, 인쇄회로기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제1 돌출 지지부(122)에 이동 공간을 부여하여, 제1 돌출 지지부(122)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1 돌출 지지부(122)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하게 되면,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300) 간의 결합 능력이 향상되어, 외부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300)이 신뢰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출 지지부(124)는 제3 지지부(124a), 제4 지지부(124b), 제4 연결부(124c), 제5 연결부(124d), 제6 연결부(124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 지지부(124)는 하우징(100)과 동일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24a)는 하부 하우징(120)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지지부(124b)는 제3 지지부(124a)로부터 Z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4 지지부(124b)의 두께는 X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24b)의 Y방향 폭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지지부(124a)의 Y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Y방향에서 바라본 제4 지지부(124b)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나, 역시,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122b)의 단면 형상과 제4 지지부(124b)의 단면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4 연결부(124c)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2 돌출 지지부(124)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4 연결부(124c)에 의해 제3 슬릿(S3)의 제3 측벽(W3)이 정의될 수 있다. 제5 연결부(124d)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2 돌출 지지부(124)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5 연결부(124d)에 의해 제4 슬릿(S4)의 제4 측벽(W4)이 정의될 수 있다.
제6 연결부(124e)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2 돌출 지지부(124)를 연결한다. 제4 연결부(124c)와 제5 연결부(122d)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2 돌출 지지부(124)를 Y방향으로 연결하는데 반해, 제6 연결부(124e)는 하부 하우징(120)과 제2 돌출 지지부(124)를 X방향으로 연결한다. 제6 연결부(124e)는 제3 슬릿(S3)과 제4 슬릿(S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3 슬릿(S3), 제4 슬릿(S4) 및 제2 돌출 지지부(124)로 구성된 구조는, 인쇄회로기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제2 돌출 지지부(124)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도전 커넥터(22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하부 커넥터(224)와 제2 돌출 지지부(124) 사이에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간극(T)이 존재한다. 이러한 간극(T) 역시, 인쇄회로기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제2 돌출 지지부(124)에 이동 공간을 부여하여, 제2 돌출 지지부(124)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2 돌출 지지부(124)가 탄성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면(300b)을 지지하게 되면,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300) 간의 결합 능력이 향상되어, 외부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300)이 신뢰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는 엣지 커넥터에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2 도전 커넥터(220)가 결합된 하우징(100)을 제공한다.
제2 도전 커넥터(220)에 관한 설명은 제1 도전 커넥터(210)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고, 제2 돌출 지지부(124)에 관한 설명 역시 제1 돌출 지지부(122)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제1 도전 커넥터(210)와 제1 돌출 지지부(122)를 위주로 설명한다.
제1 도전 커넥터(210)가 상부 하우징(110)에 결합되면, 제1 접속 단자(212a)는 수용 공간(ES)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제1 돌출 지지부(122)도 수용 공간(ES)을 향해 돌출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300)이 수용 공간(ES)으로 수용됨에 따라, 제1 접속 단자(212a)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의해 상부 하우징(110) 방향(예를 들어, +Y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또한, 제1 돌출 지지부(122)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의해 하부 하우징(120) 방향(예를 들어, -Y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300)이 수용 공간(ES)으로 완전히 수용됨에 따라, 제1 접속 단자(212a)는 상부 하우징(110) 방향(예를 들어, +Y방향)으로 변형되고, 인쇄회로기판(300)의 제1 도전 단자(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돌출 지지부(122)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의해 하부 하우징(120) 방향(예를 들어, -Y방향)으로 간극(도 4의 T)만큼 이동하여, 제1 하부 커넥터(214)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300)은 제1 접속 단자(212a)와 제1 돌출 지지부(122)에 의해 신뢰성 있게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우징
210, 220: 도전 커넥터
212a, 222a: 접속 단자
300: 인쇄회로기판
310, 320: 도전 단자
S1, S2, S3, S4: 슬릿

Claims (10)

  1.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로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제1 상부 커넥터와 제1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상부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 도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제1 도전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슬릿과,
    상기 제1 도전 커넥터의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1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는 엣지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엣지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엣지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엣지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엣지 커넥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와 이격되는 엣지 커넥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고,
    상기 제1 하부 커넥터에는 상기 제1 접속 단자가 배치되지 않는 엣지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제2 상부 커넥터와 제2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도전 커넥터로서, 상기 제2 상부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 도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도전 커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단자와 상기 제2 도전 단자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 커넥터와 상기 제2 도전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 및 제4 슬릿과,
    상기 제2 도전 커넥터의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슬릿과 상기 제4 슬릿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2 돌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엣지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 지지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4 지지부와,
    상기 제3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4 연결부와,
    상기 제4 슬릿의 측벽을 정의하고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5 연결부와,
    상기 제3 슬릿과 상기 제4 슬릿 사이에서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제6 연결부를 포함하는 엣지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제3 지지부를 상기 제2 슬릿과 상기 제3 슬릿 사이의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하는 엣지 커넥터.
KR1020210109591A 2021-08-19 2021-08-19 엣지 커넥터 KR10258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91A KR102584707B1 (ko) 2021-08-19 2021-08-19 엣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591A KR102584707B1 (ko) 2021-08-19 2021-08-19 엣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608A true KR20230027608A (ko) 2023-02-28
KR102584707B1 KR102584707B1 (ko) 2023-10-05

Family

ID=8532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591A KR102584707B1 (ko) 2021-08-19 2021-08-19 엣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762A (ko) * 1997-12-03 1999-07-26 루이스 에이. 헥트 회로 기판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ㄱ
KR20080047399A (ko) * 2005-10-06 2008-05-28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180039936A (ko) 2016-10-11 2018-04-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210004116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KR20210004115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762A (ko) * 1997-12-03 1999-07-26 루이스 에이. 헥트 회로 기판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ㄱ
KR20080047399A (ko) * 2005-10-06 2008-05-28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180039936A (ko) 2016-10-11 2018-04-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210004116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KR20210004115A (ko) * 2019-07-03 2021-01-1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707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4140B2 (en) Connector excellent in reliability of contact
US8062041B2 (en) Connector
JP5001740B2 (ja) 電気コネクタ
US10109942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ptacle with an enlarged portion to lock an enlarged portion of contacts
JP5685209B2 (ja) 電池ホルダ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JP697562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1638379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stacking connectors on boards from coming apart and electronic device
JP34315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CN111630723A (zh) 立式直接pcb连接器
US20110232935A1 (en) Groun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20050026494A1 (en) 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JPH1050371A (ja) 電気コネクタ
US7841879B2 (en) Floating-type connector
KR20130023089A (ko) 커넥터
EP1096757B1 (en) Earphone jack holding device
JP200813026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20070131778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186150B1 (en) Split key in a press-fit connector
KR20230027608A (ko) 엣지 커넥터
JP4162509B2 (ja) カードアダプタ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1725647B (zh) 连接器
US9337560B2 (en) Connector having a mounting surface with engagement hooks offset from each other in an insertion direction of a flexible integrated wiring
JP2019139907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