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403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403A
KR20230027403A KR1020210109131A KR20210109131A KR20230027403A KR 20230027403 A KR20230027403 A KR 20230027403A KR 1020210109131 A KR1020210109131 A KR 1020210109131A KR 20210109131 A KR20210109131 A KR 20210109131A KR 20230027403 A KR20230027403 A KR 2023002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affles
header
distribution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태
손영인
최용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403A/ko
Publication of KR2023002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 F28F9/0273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distribution pipes with multiple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와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복수의 튜브에 분배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와 복수의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헤더바디 일측에 결합된 헤더커버와 헤어바디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와 분배챔버와 연결챔버를 연결시키도록 헤더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과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배플로, 각 제1 배플의 일 부분이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 및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챔버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개시는 냉매 분배 개선을 위한 열교환기의 헤더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복수의 튜브와, 복수의 튜브에 냉매를 주고 받도록 복수의 튜브에 결합되는 헤더와, 방열 면적을 넓히도록 튜브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열교환 핀을 구비하여 냉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렛 파이프를 통해 열교환기의 헤더로 유입된 냉매가 튜브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한 액냉매의 치우침으로 인하여 냉매가 복수의 튜브에 고르게 분배되지 못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헤더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냉매의 분배 개선을 위한 분배기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분배기가 헤더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는 냉매를 고르게 분배하는 분배 구조와, 분배된 냉매를 튜브로 안내하는 안내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헤더와 분배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제작이 복잡한 면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냉매 분배 향상을 위해 개선된 분배 구조를 갖는 헤더, 및 이를 갖는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보다 간소화된 분배 구조를 갖는 헤더, 이를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와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튜브에 분배시키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와 상기 복수의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측에 결합된 헤더커버와 상기 헤더바디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와 상기 분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헤더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배플로, 각 제1 배플의 일 부분이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돌기와 상기 구획돌기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돌기와 이격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헤더바디와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분배커버벽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바디는, 상기 분배커버벽과 함게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1 배플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배플홀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배플홀과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배치되어 고정홈을 형성하는 사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연결챔버를 형성하는 헤더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헤더커버벽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복수의 인렛 파이프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바디는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며 상기 분배커버벽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헤더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배홀 각각의 반지름이 1.0 mm ~ 1.5mm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와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배를 상기 복수의 튜브에 분배시키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와 상기 복수의 튜브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섹션을 포함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 측에 결합된 헤더커버와 상기 헤더바디 타 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분배섹션을 포함하는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와 상기 각각의 분배섹션와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헤더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배플로, 각 제1 배플의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상기 복수의 분배섹션과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상기 복수의 분배섹션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돌기와 상기 구획돌기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돌기와 이격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돌기가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헤더바디와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분배커버벽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홀과 상기 복수의 인렛 파이프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바디는 상기 분배커버벽과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1 배플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배플홀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배플홀 과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배치되어 고정홈을 형성하는 사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연결챔버를 형성하는 헤더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헤더커버벽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배홀 각각의 반지름이 1.0 mm ~ 1.5 mm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열교환기는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분배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렛 헤더와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일 측은 상기 인렛 헤더와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턴 헤더와 연결되는 제1 튜브들과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아웃렛 파이프로 상기 냉매를 유출시키는 아웃렛 헤더와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일 측은 상기 리턴 헤더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아웃렛 헤더와 연결되는 제2 튜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렛 헤더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와 상기 제1 튜브들과 연결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측에 결합되는 헤더커버와 상기 헤더커버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 헤더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과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하는 구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이고,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열교환기는 각각 튜브에 유량이 고르게 분배되어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열교환기는 유입 헤더측의 분배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코스트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인렛 헤더와 리턴 헤더 및 복수의 튜브 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인렛 헤더와 복수의 튜브 등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인렛 헤더와 복수의 튜브 등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내의 유로의 방향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인렛 헤더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배플과 헤더바디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2 배플과 헤더바디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1 배플과 헤더바디등을 다른 높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배챔버 단면적에 따른 분배홀의 유량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분배챔버 단면적에 따른 유량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열교환기(1)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튜브(2)와, 외부에서 냉매를 공급 받아 복수의 튜브(2)로 분배하는 인렛 헤더(10)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는 복수의 튜브(2)로부터 냉매를 공급 받아 복수의 튜브(3)로 분배하는 리턴 헤더(11)와,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튜브(3)으로부터 냉매를 공급 받아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아웃렛 헤더(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 헤더(12)는 아웃렛 파이프(6)을 통해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튜브(2,3)는 일 방향(Z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 3)는 납작한 플랫 형태 또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 3)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 3)는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의 일단은 인렛 헤더(10)에 결합되고 타단은 리턴 헤더(11)에 결합된다. 복수의 튜브(3)의 일단은 리턴 헤더(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아웃렛 헤더(12)에 결합된다. 인렛 헤더(10), 리턴 헤더(11), 아웃렛 헤더(12)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는 전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복수의 튜브(2, 3)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열교환 핀(4)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핀(4)은 복수의 튜브(2, 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 핀(4)는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렛 헤더(10)에는 외부의 냉매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인렛 파이프(5)가 결합될 수 있고, 아웃렛 헤더(12)에는 외부로 냉매를 유출시키는 복수의 아웃렛 파이프(6)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2,3)와 열교환기 핀(4), 인렛 헤더(10), 리턴 헤더(11) 그리고 아웃렛 헤더(12)은 브레이징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인렛 파이프(5)가 세 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로 이와 같은 구조가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인렛 헤더(10)는 복수의 인렛 파이프(5)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복수의 튜브(2)에 분배시키도록 일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헤더(10)는 복수의 튜브(2)와 연결되는 연결챔버(80)를 형성하도록 헤더바디(30) 일측에 결합된 헤더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헤더(10)는 헤더바디(30)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70)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렛 파이프(5)는 분배챔버 커버(20)에 연결될 수 있다.
인렛 헤더(10)는 일 방향(Z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일 부분이 분배챔버(70)를 구획하도록 헤더바디(30)를 관통하여 분배챔버(70)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5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렛 헤더(10)는 복수의 제1 배플(50)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50) 사이에서 일 방향(Z방향)으로 배열되어 연결챔버(80)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6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챔버(70)는 복수의 제1 배플(50)에 의해 복수의 분배섹션(71)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연결챔버(80)는 복수의 제2 배플(60)에 의해 복수의 안내섹션(81)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인렛 헤더(10)는 분배챔버(70)와 연결챔버(80)을 연결시키도록 헤더바디(30)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31)은 분배챔버(70)내에서 유동하는 냉매를 분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분배챔버(70)의 냉매는 복수의 분배홀(31)을 통해 연결 챔버(80)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31)은 일 방향(Z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31) 각각의 반지름은 1.0 mm ~ 1.5 mm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외부의 냉매는 복수의 인렛 파이프(5)로부터 유입될 수 있다. 인렛 파이프(5)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분배섹션(71)에 유입되어 복수의 분배홀(31)을 통해 냉매가 분배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31) 각각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각각의 연결섹션(81)을 지나 복수의 튜브(2)로 유동된다. 복수의 튜브(2)는 제1 튜브들(2)일 수 있다. 복수의 튜브(3)는 제2 튜브들(3)일 수 있다. 연결섹션(81)의 개수는 제1 튜브들(2)의 개수와 일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 섹션(81)과 제1 튜브들(2)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써, 인렛 파이프(5)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냉매는 분배챔버(70)를 유동하면서 복수의 분배홀(31)을 통해 복수의 연결 섹션(81)으로 고르게 분배되고, 연결섹션(81)으로 유입된 냉매는 다른 연결섹션(81)의 냉매와 섞이지 않고 그대로 대응되는 제1 튜브(2)로 안내될 수 있다.
제1 튜브들(2)로 안내된 냉매는 제1 튜브들(2)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한 후에 리턴 헤더(11)로 유동할 수 있다.
리턴 헤더(11)는 각각의 제1 튜브(2)와 제2 튜브(3)가 결합된 각각의 분배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턴 헤더(11)으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제2 튜브들(3)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한 후에 아웃렛 헤더(12)에서 합류된 후에 아웃렛 파이프(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배플(50) 각각은 분배챔버(70)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플(50)은 구획돌기(51)의 양측에 배치되어 구획돌기(51)와 이격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돌기(51)의 적어도 일부는 분배챔버 커버(20)을 관통하여 분배챔버 커버(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돌기(51)는 분배챔버(70)를 복수의 분배섹션(7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플(60) 각각은 분배챔버(70)에 대응되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개방부(6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분배챔버(70)는 각각의 제1 배플(5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나, 각각의 제2 배플(60)에 의해 구획되지 않는다. 즉, 냉매는 개방부(61)을 통해 분배섹션(71)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연결챔버(80)는 각각의 제1 배플(50)과 각각의 제2 배플(6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플(50)과 각각의 제2 배플(60)은 연결챔버(80)를 복수의 연결섹션(8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분배챔버 커버(20)는 복수의 제1 홀(21)과 복수의 제2 홀(22)을 포함하고, 반원의 외주면 형상인 분배커버벽(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챔버 커버(20)의 분배커버벽(23)은 헤더바디(30)와 함께 분배챔버(70)를 형성할 수 있다.
분배챔버 커버(20)는 각각의 제1 배플(50)의 구획돌기(51)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홀(21)은 일 방향(Z 방향)으로 분배커버벽(23)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배챔버 커버(20)는 복수의 인렛 파이프(5)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렛 파이프(5) 내의 냉매가 제2 홀(22)을 통해 분배챔버(70)으로 유입된다.
헤더바디(30)는 베이스(35)와 한 쌍의 고정돌기들(36)과 한 쌍의 고정홈들(37)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바디(30)는 복수의 분배홀(31)과 복수의 제1 배플홀(32) 그리고 복수의 제2 배플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바디(30)는 베이스(35)와 베이스(35)의 양 측에 배치되어 일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벽(3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5)는 분배커버벽(23)과 함께 분배챔버(70)을 형성하는 수용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고).
헤더바디(30)는 분배챔버 커버(20)를 고정시키기 위해 베이스(35)의 일 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 방향(Z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들(3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돌기들(36)은 분배챔버 커버(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헤더바디(30)의 일 측에는 분배커버벽(23)이 결합되며, 한 쌍의 고정돌기들(36)이 분배커버벽(23)의 외측에서 분배커버벽(2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분배챔버(70)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인렛 헤더(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냉매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헤더바디(30)는 타 측에 베이스(35)와 사이드벽(34) 사이에 위치하며 헤더커버(40)이 삽입되어 고정시키며 일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홈들(37)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홈들(37)은 헤더커버(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연결챔버(80)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열교환기(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즉, 냉매를 복수의 튜브(2)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수용부(35a)는 분배커버벽(23)과 함께 분배챔버(7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분배커버벽(23)과 베이스(35)의 수용부(35a)가 반원의 외주면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더바디(30)는 복수의 제1 배플(50)에 대응하도록 베이스(35)에 배열되어 복수의 제1 배플(50)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배플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바디(30)는 일 방향(Z방향)으로 베이스(35)에 배열되어 복수의 제2 배플(60)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배플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배플홀(32)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플홀(33)은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배플(50)이 복수의 제1 배플홀(32)과 복수의 제1 홀(21)에 삽입됨으로써 분배챔버(70)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배플(50)이 복수의 제1 배플홀(32)에 삽입되고 복수의 제2 배플(60)이 복수의 제2 배플 홀(33)에 삽입됨으로써 연결챔버(80)를 구획할 수 있다.
헤더커버(40)는 반원의 외주면 형상인 헤더커버벽(44)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41, 42)와 복수의 튜브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커버벽(44)은 헤더바디(30)의 타 측에서 결합되며, 고정홈(37)에 헤더커버벽(44)이 삽입되어 베이스(35)와 함께 연결챔버(8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헤더커버벽(44)은 반원의 외주면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더커버(40)는 일 방향(Z방향)으로 복수의 제1 배플(50) 또는 복수의 제2 배플(60)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커버(40)는 복수의 튜브(2)가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41, 42)와 복수의 튜브홀(43)은 각각 번갈아 헤더커버벽(44)에 배열될 수 있다.
도 6, 7, 9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1 배플(50)은 일 측으로 돌출되는 구획돌기(51)와 구획돌기(51)의 양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플(50)은 헤더바디(30)과 분배챔버 커버(20)을 관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돌기(51)와 한 쌍의 양측돌기(52)는 제1 배플홀(32)을 통해 베이스(35)를 관통할 수 있다. 구획돌기(51)는 제1 홀(21)을 통해 분배챔버 커버(2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1 배플(50)은 일 측에서 복수의 제1 홀(21)을 통해 분배챔버 커버(20)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배플홀(32)을 통해 헤더바디(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분배커버벽(23)와 베이스(35)의 수용부(35a)에 의해 형성되는 분배챔버(70)는 복수의 분배섹션(71, 도 4 참고)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획돌기(51)가 분배챔버(70)내에 배치될 수 있어, 분배챔버(70) 내의 냉매는 구획돌기(51)을 통해 상하로 유동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1 배플(50)은 타 측에서 헤더커버(40)을 관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1 배플(50)은 개구(42)를 통해 헤더커버벽(44)를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1 배플(50)은 타 측에서 복수의 개구(41)를 통해 헤더커버(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헤더커버벽(44)과 베이스(35)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챔버(80)는 복수의 연결섹션(81, 도4 참고)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플(50)은 한 쌍의 측부돌기(52)로 인해 베이스(35)에 안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배플(50)은 헤더커버벽(44)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배플(50) 각각은 안정적으로 분배챔버(70)를 구획하여 냉매를 분배시킬 수 있다. 제1 배플(50) 각각은 안정적으로 연결챔배(80)을 구획하여 냉매를 복수의 튜브(2)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분매 구조가 보다 간소화 되어 분배 구조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6,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2 배플(60)은 일 측의 중앙에 배치되는 개방부(61)와 개방부(61)의 양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61)는 분배챔버(70)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돌기(62)는 한 쌍의 측부돌기(52)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헤더바디(30)을 관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한 쌍의 양측돌기(62)는 제2 배플홀(33)을 통해 헤더바디(3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2 배플(60)은 일 측에서 복수의 제2 배플홀(33)을 통해 헤더바디(30)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분배챔버(70)을 구획하지 않아 분배챔버(70) 내의 냉매는 개방부(62)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헤더커버(40)을 관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2 배플(60)은 개구(42)를 통해 헤더커버벽(44)을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제2 배플(60)은 타 측에서 복수의 개구(42)를 통해 헤더커버(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35)와 헤더커버벽(44)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챔버(80)는 복수의 연결섹션(81, 도 4 참고)으로 구획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한 쌍의 측부돌기(62)로 인해 베이스(35)에 안착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배플(60)은 헤더커버벽(44)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2 배플(60) 각각은 안정적으로 연결챔버(80)를 구획하여 냉매를 복수의 튜브(2)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분배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어 분배 구조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10를 참조하여 분배챔버(70)의 단면적에 따른 분배홀(31)에서의 유량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분배챔버(70)의 단면적에 따라 일 방향(Z방향)에 있어서 최하단 분배홀(31)과 최상단 분배홀(31) 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최하단 분배홀(31)과 최상단 분배홀(31)은 인렛 파이프(5)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증발되어 2상류의 냉매가 될 수 있어 중력의 영향으로 가장 냉매 분배차가 많이 나는 한 쌍의 분배홀(31)일 수 있다. 도 10의 결과는 인렛 파이프(5)에 대응되는 분배홀(31)의 개수가 10개이며, 분배홀(31)의 내경이 1mm 일 수 있다.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분배챔버(70)내에 유동하는 2상류의 냉매가 중력의 영향으로 액체나 기체의 냉매 모두 분배챔버(70)의 하단으로 보다 더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일정 수준보다 큰 경우에는 최하단 분배홀(31)의 유량이 최상단 분배홀(31)의 유량에 비해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분배챔버(70) 내에 유동하는 냉매가 중력의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냉매의 관성력 등에 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분배챔버(70) 내의 2상류의 냉매 중 액체중 많은 양의 액체가 최상단 분배홀(31)로 유동될 수 있다. 분배챔버(70) 내의 2상류의 냉매 중 많은 양의 기체가 최하단 분배홀(31)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일정 수준보다 작을 경우에는 2상류의 냉매 중 많은 양의 기체가 흐르는 최하단 분배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량보다 많은 양의 액체가 흐르는 최상단 분배홀(31)을 흐르는 냉매의 유량이 커질 수 있다.
한편, 2상류의 냉매는 고유량으로 흐르는 경우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 보다 관성력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상류의 냉매는 저유량으로 흐르는 경우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더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분배챔버(70) 내에 흐르는 저유량의 2상류 냉매가 복수의 튜브(2)로 균등하게 분배되면 열교환기(1)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하단 분배홀(31)과 최상단 분배홀(31)에서의 유량이 평균값(10%)에서 2% 이내가 되면 성능차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최하단 분배홀(31)과 최상단 분배홀(31)에서의 냉매가 평균값(10%)에서 2% 이내가 되기 위해서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7.5 ~ 16.0 mm2 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2상류의 냉매가 저유량으로 흐르는 경우, 중력의 영항에도 균등하게 복수의 튜브(2)로 분배되어 열교환기(1)의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11을 참조하여, 분배챔버(70) 단면적과 복수의 분배홀(31) 단면적의 합 비율에 따른 유량편차(분배홀 유량 max - 분배홀 유량 min, %)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의 결과는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7.5 ~ 16.0 mm2 범위 내일 수 있다. 복수의 분배홀(31)의 단면적은 분배홀(31)의 개수와 단면적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7.5 ~ 16.0 mm2 범위 내에서 분배홀(31)의 개수가 커질수록 분배홀(31)의 유량편차가 커질 수 있다. 분배챔버(70)의 단면적이 7.5 ~ 16.0 mm2 범위 내에서 각각의 분배홀(31)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분배홀(31)의 유량편차가 커질 수 잇다.
이와 관련하여, 냉매출구 과열도 편차 1도 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냉매출구 과열도 편차 1도 내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 유량 편차는 8%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유량편차 8% 기준으로 한 경우 복수의 분배홀(31) 단면적의 합이 분배챔버(70) 단면적의 3.5배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냉매가 분배챔버(70)와 연결챔버(80)를 거치면서 각각의 분배홀(31)에 따른 유량편차가 줄어들어 균등하게 복수의 튜브(2)로 분배되어 열교환기(1)의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열교환기(1)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20), 팽창 기구(130), 및 실내 열교환기(210)가 연결된 냉매 회로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1)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는 모든 가전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열교환기(1)는 공기조화 냉장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를 일 예로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를 포함하고,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20), 팽창기구(130), 실외팬(140)을 포함하고, 실내기(200)는 실내 열교환기(210), 실내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에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이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고온 가스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로 토출한다. 실외 열교환기(120)는 냉매의 열을 방출하여 냉매를 응축시킨다. 이때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상 변화될 수 있다.
팽창기구(130)는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 흡수 작용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실외 열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강하시킨 후 실내 열교환기(210)에 전달한다. 즉, 팽창밸브(13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는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변화된다.
실내 열교환기(210)는 팽창 기구(13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켜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이때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상 변화된다.
상술한 열교환기(1)가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술한 열교환기(1)는 실외 열교환기(120)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열교환기(1)가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경우, 상술한 열교환기(1)는 실내 열교환기(210)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의 흐름은 상기한 것과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열교환기
2,3: 복수의 튜브
4: 열교환 핀
5: 인렛 파이프
6: 아웃렛 파이프
10: 인렛 헤더
11: 리턴 헤더
12: 아웃렛 헤더
20: 분배챔버 커버
30: 헤더바디
40: 헤더커버
50: 복수의 제1 배플
60: 복수의 제2 배플
70: 분배챔버
80: 연결챔버

Claims (20)

  1.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튜브에 분배시키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
    상기 복수의 튜브와 연결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측에 결합된 헤더커버;
    상기 헤더바디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
    상기 분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헤더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배플로, 각 제1 배플의 일 부분이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돌기와 상기 구획돌기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돌기와 이격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커버의 외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헤더바디와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분배커버벽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바디는,
    상기 분배커버벽과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복수의 제1 배플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배플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배플홀;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배치되어 고정홈을 형성하는 사이드벽;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연결챔버를 형성하는 헤더커버벽;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헤더커버벽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
    상기 복수의 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복수의 인렛 파이프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홀을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바디는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며 상기 분배커버벽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헤더바디와 결합되는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 인 열교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인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홀 각각의 반지름이 1.0 mm ~ 1.5 mm 사이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12. 냉매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압축기;
    상기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튜브;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상기 복수의 튜브에 분배시키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
    상기 복수의 튜브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내섹션을 포함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 측에 결합된 헤더커버;
    상기 헤더바디 타 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분배섹션을 포함하는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
    상기 각각의 분배섹션과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헤더바디에 마련된 복수의 분배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배플로, 각 제1 배플의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와 상기 연결챔버를 상기 복수의 분배섹션과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상기 복수의 안내섹션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상기 복수의 분배섹션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돌기와 상기 구획돌기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돌기와 이격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돌기가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 커버는 상기 헤더바디와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분배커버벽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홀과 상기 복수의 인렛 파이프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바디는 상기 분배커버벽과 함께 상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1 배플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구획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배플홀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배플홀과 상기 베이스의 양 측에 배치되어 고정홈을 형성하는 사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헤더 커버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연결챔버를 형성하는 헤더커버벽과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헤더커버벽에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플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튜브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인 에어컨.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인 에어컨.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배홀 각각의 반지름이 1.0 mm ~ 1.5 mm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컨.
  18. 복수의 인렛 파이프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분배시키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렛 헤더;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일 측은 상기 인렛 헤더와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턴 헤더와 연결되는 제1 튜브들;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아웃렛 파이프로 상기 냉매를 유출시키는 아웃렛 헤더;
    내부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일 측은 상기 리턴 헤더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아웃렛 헤더와 연결되는 제2 튜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렛 헤더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더바디와 상기 제1 튜브들과 연결되는 연결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헤더바디 일측에 결합되는 헤더커버와 상기 헤더커버 타측에 결합되며 분배챔버를 형성하는 분배챔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 헤더는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상기 헤더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분배챔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플과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중 인접한 두 제1 배플 사이에서 상기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연결챔버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2 배플을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일부분이 상기 분배챔버 커버를 관통하는 구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플 각각은 상기 분배챔버에 대응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챔버의 단면적이 7.5 ~ 16.0 mm2이고,
    상기 복수의 분배홀 단면적의 합이 상기 분배챔버 단면적의 3.5배 이하인 열교환기.
KR1020210109131A 2021-08-19 2021-08-19 열교환기 KR20230027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31A KR20230027403A (ko) 2021-08-19 2021-08-19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31A KR20230027403A (ko) 2021-08-19 2021-08-19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03A true KR20230027403A (ko) 2023-02-28

Family

ID=85326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31A KR20230027403A (ko) 2021-08-19 2021-08-19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4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6010B2 (ja) 熱交換器
KR101338283B1 (ko) 냉매 유체의 분배 균일성이 향상된 다통로 열교환기
JP6202451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US10168083B2 (en) Refrigeration system and heat exchanger thereof
US10041710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2013137193A (ja) 熱交換器
JP2008528943A (ja) ヘッダ内で流体を膨張させる熱交換器
JP2013137193A5 (ko)
US11022372B2 (en) Air conditioner
WO2017175346A1 (ja) 分配器、熱交換器、空気調和装置
KR20170031556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JPH0886591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媒蒸発器
JP2003214727A (ja) 流体分配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5055411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1221580A (ja) 熱交換器
KR20230027403A (ko) 열교환기
WO2022030376A1 (ja) 熱交換器
JP7210744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927353B1 (ja) 熱交換器
JP6817996B2 (ja) 熱交換器用のヘッダ、熱交換器、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WO2021214849A1 (ja) 空気調和機、冷凍機及び分配器
JP7370501B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WO2024023891A1 (ja) 熱交換器
KR20150098141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20159681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