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570A -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570A
KR20230026570A KR1020210107953A KR20210107953A KR20230026570A KR 20230026570 A KR20230026570 A KR 20230026570A KR 1020210107953 A KR1020210107953 A KR 1020210107953A KR 20210107953 A KR20210107953 A KR 20210107953A KR 20230026570 A KR20230026570 A KR 2023002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pper body
seat
chair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524B1 (ko
Inventor
오상효
Original Assignee
(주)광일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일체어 filed Critical (주)광일체어
Priority to KR102021010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5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570A/ko
Priority to KR1020230076586A priority patent/KR102596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의자의 하부지지체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다양한 의자의 좌판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일측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타측은 잠금레버에 의해 상호 잠금/잠금해제되게 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 탄지된 회전지지구를 힌지 결합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에 작용하는 회전력으로 인해 회전지지구의 하단이 하부몸체의 걸림턱에 순차 계지되면서 좌판에 대한 단계별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다양한 의자의 좌판에 대한 각도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형태 또는 이용 목적에 따라 가장 최선의 좌판 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수평 상태에서의 좌판으로부터 단계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손쉽게 본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이 증대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기존의 일반적인 의자 또는 등받이 의자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Seat angle adjustment device of chair}
본 발명은 각종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의자의 하부지지체와 좌판 사이에 위치되게 한 별도 구비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장치로부터 상기의 좌판이 수평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의자에 대한 사용 형태 혹은 사용 목적에 따라 가장 최선의 좌판 각도로 변경 및 유지 혹은 수평상태로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좌판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지지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하부지지체는 프레임 형태의 다리 또는 캐스터를 갖는 방사상의 지지대를 갖는 축고정체 등 다양한 형태를 갖고 제작될 것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등받이 의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에 수직하게 위치되되 좌판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의 일부인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받이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편하게 지지하기 위해 등받이부를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틸팅장치(tilting apparatus)가 좌판부의 하단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틸팅장치가 더 구비될 경우 등받이부의 하단은 틸팅장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부의 상단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가 기지개를 펴거나 휴식을 위해 등을 뒤로 젖힐 때 등받이부가 이에 따라 전,후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구조로 된 의자의 좌판에 대한 각도 조절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시간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또는 사용자별 의자의 이용 형태나 목적에 따라 좌판에 대한 다양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형태의 의자가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등록실용신안 제20-0465274호와 같이 오발과 매커니즘 및 좌판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각도 조절 좌판부는 상기 매커니즘과 힌지 연결되는 좌판 플레이트를 포함한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게 배치되는 편심 캠; 및 상기 편심 캠을 회전할 수 있도록 편심 캠과 연결되는 환봉;을 포함하며, 상기 편심 캠은, 상기 환봉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는 환봉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환봉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편심 캠이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높이 및 상기 좌판부의 기울기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의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358007호와 같이 의자의 좌판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며 제1힌지홀과 지지홀이 형성된 좌판 프레임; 상기 지지홀과 체결되어 상기 좌판 프레임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이동되며 스프링 탄성체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지지축; 상기 제1힌지홀과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홀과, 상기 지지축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 중앙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홀에 노출된 지지축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홀과, 상기 스프링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홀과 대접하여 탄성지지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외주부를 가지는 지지유닛; 및 상기 가이드홀에서 상기 지지축이 지지되는 위치가 변화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레버유닛을 포함하는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89156호의 경우와 같이 양측면에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 중 하나의 면에 축공 일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일측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면에 축공 일측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축공과 상호대응하게 양측면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 일측으로 결합홈 및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각각의 케이스 축공에 관통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이드부 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범위에 따라 회전하되, 각각의 케이스에 형성된 결합홈에 안착되거나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로드부재로 구성되는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2222629호와 같이 의자에 설치되는 좌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의자 사용자의 선호하는 좌판의 각도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되어 의자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할 때 허리를 곧게 펴도록 하며, 휴식시에는 의자 사용자의 휴식에 따른 자세에 편안하게 좌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의자 사용자의 하반신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가 있도록 하는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의자 좌판의 각도 조절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합하면서도 효율적인 작동 관계를 갖고 있지 않아 생산성 저하 및 고비용의 제작비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지 못하여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각도로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본래의 수평 상태로 빠르고 안정적으로 복귀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지지볼트 등을 강제 회전시켜 인위적인 형태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하중 지지력 및 편리성의 측면에서 매우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좌판 각도 조절장치는 의자의 하부지지체 및 좌판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존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는 기존의 다양한 의자에는 적용할 수 없어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 별도로 개발 및 고안된 장착 선단을 갖는 하부지지체 또는 록킹장치의 상부 및 좌판 하부가 필요한 것이고, 이 때문에 하부지지체의 선단 또는 록킹장치 및 좌판을 각도 조절장치와 연계시켜 함께 개발 및 제작하여야 하므로 고비용의 개발비와 개발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기존의 의자 하부지지체 또는 좌판과 록킹장치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은 물론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65274 (2013.02.0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58007 (2014.01.2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89156 (2016.01.2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222629 (2021.02.25.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의자의 하부지지체 상에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다양한 의자의 좌판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일측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타측은 잠금레버에 의해 상호 잠금/잠금해제되게 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스프링 탄지된 회전지지구를 힌지 결합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에 작용하는 회전력으로 인해 회전지지구의 하단이 하부몸체의 걸림턱에 순차 계지되면서 좌판에 대한 단계별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다양한 하부지지체와 좌판 사이에 장착 가능하여 효율성이 뛰어난 것이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좌판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우수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단계별 좌판의 각도 조절 및 수평상태로의 손쉬운 복귀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의 하부지지체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의자의 좌판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일측을 서로 힌지축핀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타측은 별도 구비의 잠금레버에 의해 상호 잠금/잠금해제되게 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선단이 상부몸체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구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지지구가 별도 구비의 스프링에 의해 하향 탄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바닥면에 상기 회전지지구의 하단이 계지되게 한 제1걸림단턱과 제2걸림단턱이 순차 형성된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에 의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간의 잠금해제 상태에서, 상부몸체에 작용하는 인위적인 상향 회전력에 의해 회전지지구의 하단이 상기 제1 및 제2걸림단턱에 순차 계지되면서 상기 상부몸체 및 좌판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의자의 좌판에 대한 각도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형태 또는 이용 목적에 따라 가장 최선의 좌판 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수평 상태에서의 좌판으로부터 단계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손쉽게 본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성 향상 및 내구성이 증대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기존의 일반적인 의자 또는 등받이 의자에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좌판의 하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와 좌판이 분리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상측 일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상측 타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하측 일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하측 타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회전지지구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상부몸체 및 회전지지구에 대한 상호 결합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잠금레버 결합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잠금레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일방향회전유도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일방향회전유도부에 대한 작용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의한 좌판 수평 상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의한 1단 각도 조절상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의한 2단 각도 조절상태도 및 단면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의한 좌판의 수평 상태 복귀상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의자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좌판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와 좌판이 분리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상측 일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상측 타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하측 일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하측 타방향에서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전체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판 각도 조절장치는, 의자(100)의 하부지지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210)와 의자(100)의 좌판(120)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의 일측을 서로 힌지축핀(230)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의 타측은 별도 구비의 잠금레버(240)에 의해 상호 잠금/잠금해제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의 하부몸체(210)는 의자(100)의 하부지지체(110)와 함께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의 상부몸체(220)는 하부몸체(210)로부터 힌지축핀(2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의 좌판(12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의자(100)는 등받이 의자 또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의자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고, 상기의 등받이 의자는 등받이체가 틸팅되는 형태 혹은 고정된 형태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의자(100)에서의 하부지지체(110)는 등받이가 틸팅되는 형태의 의자인 경우 하부지지체(110)의 선단에 등받이체의 각도 조절을 위한 별도 구비의 틸팅장치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고, 하부에는 캐스터를 갖는 지지각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을 것이며, 쇽업쇼버 등이 장착된 지지축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어, 등받이가 틸팅되지 않는 형태의 의자 또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의자인 경우 상기와 같은 하부지지체(110)는 단순 프레임 형태의 지지각 또는 쇽업쇼버가 장착된 지지축과 사방으로의 지지각을 갖고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정형 등받이 혹은 등받이가 없는 형태로 된 의자의 하부지지체(110) 선단에는 좌판(120)의 저면과 고정되는 사각 금속체로 된 고정플레이트 등이 구비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부몸체(210)는 다양한 의자의 하부지지체(110) 선단에 위치하는 틸팅장치 또는 고정플레이트 등에 체결됨에 따라 등받이 틸팅 의자 혹은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혹은 등받이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의 의자에 모두 장착 가능할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220)의 내부에는 선단이 상부몸체(220)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구(250)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지지구(250)가 별도 구비의 스프링(260)에 의해 하향 탄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는 바닥면에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계지되게 한 제1걸림단턱(211)과 제2걸림단턱(212)이 순차 형성된 수용홈부(213)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레버(240)에 의한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 간의 상호 잠금해제 상태에서, 좌판(120)을 통해 상부몸체(220)에 작용하는 인위적인 상향 회전력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상기 제1걸림단턱(211) 및 제2걸림단턱(212)에 순차적으로 계지되면서 상기 상부몸체(220) 및 좌판(120)에 대한 각도 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의자(100)에 착좌한 상태에서 상기의 잠금레버(240)를 횡방향으로 조작하여 하부몸체(210)에 대한 상부몸체(2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후, 사용자는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좌판(120)의 앞쪽을 일부러 가압하게 되면 상부몸체(220)의 후측이 상기 힌지축핀(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부몸체(220)의 내부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구(250)가 순차적으로 제1걸림단턱(211)와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되면서 단계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단계별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좌판(120)은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의 회전지지구(250)가 제1걸림단턱(211) 혹은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된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 각도 조절된 상태로 좌판(120)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평 상태의 좌판(120)을 단계별로 각도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수평 상태로 전환 혹은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좌판(120)을 상향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하강시키면 상기의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제1걸림단턱(211)과 제2걸림단턱(212)을 지나치며 일방향 회전하면서 제1걸림단턱(211)의 후측에 대기 위치하게 되므로 수평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좌판(120) 및 상부몸체(220)가 수평 상태로 복귀하는 동시에 상기의 잠금레버(240)는 자동으로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를 서로 결속시켜 상호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자에 대한 사용 목적이나 사용 형태에 따라 좌판(120)에 대한 다양한 각도 조절 상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필요한 경우 경사진 상태의 좌판(120)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평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기한 바와 같은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는 스프링(251)에 의해 외향 탄력 지지된 일방향유도핀(252)(252')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의 수용홈부(213) 내 양측면에는 중간부에 걸림돌조(214)를 갖는 타원형의 트랙 형태를 갖는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을 형성하여, 상기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에 삽입된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에서 일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에는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걸림돌조(214)의 하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전기한 제1걸림단턱(211) 및 제2걸림단턱(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경사단턱(215a)과 제2경사단턱(215b)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경사단턱(215a)(215b)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걸림돌조(214)의 일측 끝단 상측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1후퇴걸림턱(215c)과 상기 걸림돌조(214)의 타측 끝단 하측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2후퇴걸림턱(214d)을 순차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2후퇴걸림턱(214d)과 제1경사단턱(215a)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몸체(220)의 수평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2후퇴걸림턱(214d)에 간섭되어 일방향유도핀(252)(252')의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1걸림단턱(211)에 계지되는 경우 상부몸체(220)에 대한 1단 경사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1경사단턱(215a)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며,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되는 경우 상부몸체(220)에 대한 2단 경사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2경사단턱(215b)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상부몸체(220)의 2단 경사상태로부터 계속적인 상향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의 걸림돌조(214)를 따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걸림돌조(214)의 상측으로 이동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제1후퇴걸림턱(215c)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며, 좌판(120)을 통해 상부몸체(220)에 작용하는 하향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제2후퇴걸림턱(214d)을 지나 상기와 같은 제2후퇴걸림턱(214d)과 제1경사단턱(215a)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시 상부몸체(220)를 포함한 좌판(120)이 수평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삽입홈(253)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253)으로 전기한 스프링(251)과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순차 삽입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253)과 관통되게 한 슬롯공(254)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의 회면에는 상기 슬롯공(254)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돌기(252a)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공(254)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252a)가 슬롯공(254)의 횡방향 길이 범위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지지구(250)에 대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의 탄력 유동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은 제1걸림단턱(211)과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되면서 상부몸체(220) 및 좌판(120)에 대한 단계별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회전지지구(250) 양측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제1경사단턱(215a)과 제2경사단턱(215b) 및 제1후퇴걸림턱(215c)과 제2후퇴걸림턱(215d)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의 회전지지구(250)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트랙을 따라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도하면서, 좌판(120)에 대한 수평 상태와 1단계 각도 조절 및 2단계 각도 조절과 다시 수평 상태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220)의 저면 내측에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회전지지구(25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탄력걸이구(226)(226')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상단에는 원형 단면의 힌지축부(255) 및 상기 탄력걸이구(226)(226')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힌지공(256)(256')을 형성하여 상호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회전지지구(250)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조립 상태에서 전기한 스프링(260)에 의해 하향 회전 반력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몸체(220)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225)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25)에는 상부몸체(220)의 하측으로부터 전기한 스프링(260)의 일단을 결합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스프링(260)은 곡선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 상측에는 상기 체결공(225)으로 탄력 삽입되게 한 절개걸림구(26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60)의 중간부는 전기한 회전지지구(250)의 상단 중간부를 관통하여 경사상으로 계지되게 하여 상기 스프링(26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에는 지속적인 하향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부몸체(220)의 일측 외면에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횡방향으로 레버삽입공(221)을 갖는 레버삽입부(22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레버삽입부(222)의 중간에는 유동슬롯(223)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삽입공(221)으로 별도 구비의 탄발스프링(241)과 잠금레버(240)를 순차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슬롯(223)을 통해 잠금레버(240)의 중간부에 걸림볼트(242)가 조립되어 유동슬롯(223)의 횡방향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의 잠금레버(240)는 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잠금레버(240)에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한 쌍의 잠금홈(243)(243')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홈(243)(243')의 내부 일측에는 하향경사면(244a)을 갖는 잠금턱(244)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잠금홈(243)(243')과 대응하는 상부몸체(220)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 잠금유도공(224)(224')을 통해 상기 잠금홈(243)(243')이 노출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하부몸체(210)의 외면에는 상부 일측에 슬립경사면(216a)을 갖는 잠금돌기(216)(216')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216)(216')가 잠금홈(243)(243')을 통해 잠금레버(240)의 잠금턱(244) 상에 계지되면서 하부몸체(210)에 대한 상부몸체(220)의 잠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단계별 작동 상태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의자(100)의 좌판(120)이 수평상태인 경우에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은 하부몸체(210)의 제1걸림단턱(211) 상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의 단부는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 제1경사단턱(215a)과 제2후퇴걸림턱(215d)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회전지지구(250)에 물리적인 충격이 작용하여 상향 회전되려하는 경우 내장된 스프링(251)에 의해 외향 탄발력을 갖고 있는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상기의 제2후퇴걸림턱(215d)에 상단이 걸린 상태가 이루어지므로 결국 상기의 회전지지구(250)는 상방향 즉,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좌판(120)의 수평 상태에서 좌판(120)의 후측이 들러올려진 경사 상태로 각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좌판(120) 후측에 위치한 노출 상태의 잠금레버(240)를 가압하여 잠금레버(240)의 잠금홈(243)(243')으로부터 하부몸체(210)의 잠금돌기(216)(216')가 이탈되도록 한 후, 몸을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좌판(120)의 후측을 강제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의 좌판(120) 및 상부몸체(220)가 힌지축핀(230)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향 회전하는 형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부몸체(220)의 후측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스프링(260)의 탄발력에 의해 하향 회전력을 받고 있는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은 제1걸림단턱(211)을 지나치며 상호 간의 간섭 마찰력에 의해 딸깍소리를 내면서 제1걸림단턱(211)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의 제1경사단턱(215a)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제1경사단턱(215a)을 지나치는 순간 확장되면서 제1경사단턱(214a)의 전방에 계지될 것이고, 이러한 상호 계지력에 의해 상기의 회전지지구(250)는 제1걸림단턱(211) 및 제1경사단턱(215a)과의 계지 상태로 인해 역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상기의 좌판(120)에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의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제1걸림단턱(211)에 견고하게 계지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좌판(120)은 안정적인 1단계 각도 조절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1단계의 각도 조절상태로부터 더욱 경사진 좌판(120)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몸을 더욱 앞쪽으로 기울여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좌판(120)의 앞쪽을 눌러 후측이 상승되도록 하거나 인위적으로 좌판(120)의 후측을 들어올리면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좌판(120)의 후측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의 회전지지구(250)는 제2걸림단턱(212)을 지나치며 역시 딸깍 소리를 내면서 도 18의 도시와 같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제2걸림단턱(212)의 전방에 계지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판(120)에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된 회전지지구(250)로 인해 상기의 좌판(120)은 2단계 각도 조절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2단계 각도 조절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 결합된 일방향유도핀(252)(252')의 끝단은 제2경사단턱(215b)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제2경사단턱(215b)을 지나치는 순간 확장되면서 제2경사단턱(215b)의 전방에 계지되는 것으로서, 역시 상기의 회전지지구(250)는 제2걸림단턱(212)과의 계지력 및 제2경사단턱(215b)에 계지된 일방향유도핀(252)(252')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처럼 2단계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의 좌판(120)은 수평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19의 도시와 같이 2단계 각도 조절 상태의 좌판(120) 후측을 상측 방향으로 더욱 들어올린 상태에서 연이어 하향의 하중을 가하게 되면 상기의 회전지지구(250) 하단이 일방향회전유도홈(215)(251')의 타원형 트랙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좌판(120)에 대한 수평 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좌판(120)에 대한 2단계 각도 조절 상태에서 상기 좌판(120)의 후측을 들어올리면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은 제2걸림단턱(2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고, 회전지지구(250) 양단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은 타원형의 트랙을 형성하고 있는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 걸림돌조(214)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조(214)의 전방 상측으로 유도되며 옮겨가게 된다.
이어 상기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의 내측 상부에 계지되는 순간 상기의 좌판(120) 후측은 더이상 상승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는 좌판(120)이 더이상 상승되지 못하면 좌판(120)의 후측을 이번에는 하측으로 연이어 눌러주게 된다.
이렇게 상기의 좌판(120) 후측을 눌러주게 되면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은 트랙 형태의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을 따라 후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 제1후퇴걸림턱(215c)을 지나친 상태이므로 상기 제1후퇴걸림턱(215c)과의 간섭으로 인해 역방향으로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결국 경사진 형태의 회전지지구(250)는 순방향으로 하단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기의 좌판(120)은 후측이 하강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판(120)의 후측이 하강됨에 따라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 제2후퇴걸림턱(215d)을 지나쳐 제1경사단턱(215a)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상부몸체(220)에 결합되어 있는 잠금레버(240)의 잠금홈(243)(243') 내 잠금턱(244)의 하향경사면(244a)과 하부몸체(210)의 잠금돌기(217)(217) 상측의 슬립경사면(216a)이 서로 맞닿으면서 이들의 경사 슬립 작용에 의해 잠금레버(240)를 강제 후퇴시키게 되는 것이며, 잠금레버(240)의 강제 후퇴 작용과정에서 상기 잠금돌기(216)(216')은 잠금홈(243)(243') 내의 잠금턱(244)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내장된 탄발스프링(241)의 반력에 의해 잠금레버(240)가 전진하면서 상기의 잠금돌기(216)(216')를 자동으로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2단계 각조 조절 상태에서 상기의 좌판(120)을 들어올렸다가 다시 하강시키면 내장된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이 트랙 형태의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의 좌판(120)을 수평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고, 수평 상태로의 복귀와 동시에 상기의 잠금레버(240)에 의해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를 서로 잠금상태로 결속시켜 좌판(120)에 대한 수평 상태로의 고정 및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좌판(120) 수평 상태 및 잠금 상태에서 다시 좌판(120)을 경사진 상태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잠금레버(240)를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하부몸체(210)의 잠금돌기(216)(216')와 분리되도록 한 후, 좌판(120)의 후측을 들어올려 1단계와 2단계 및 수평 상태로 반복적이고 순차적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각도 조절장치는 좌판(120)의 수평상태와 1단계 각도 조절 및 2단계 각도 조절을 순환 형태로 반복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2단계의 각도 조절에 그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상기의 걸림단턱을 더욱 복수화 및 세분화함으로써 n차 단계별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더욱 다양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기존의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된 의자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성이 뛰어나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특징을 연출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의자
110 : 하부지지체
120 : 좌판
210 : 하부몸체 211 : 제1걸림단턱
212 : 제2걸림단턱 213 : 수용홈부
214 : 걸림돌조 215,215' : 일방향회전유도홈
216,216' : 잠금돌기
220 : 상부몸체 211 : 레버삽입공
222 : 레버삽입부 223 : 유동슬롯
224,224' : 잠금유도공 225 : 체결공
226,226' : 탄력걸이구
230 : 힌지축핀
240 : 잠금레버 241 : 탄발스프링
242 : 걸림볼트 243,243' : 잠금홈
244 : 잠금턱
250 : 회전지지구 251 : 스프링
252,252' : 일방향유도핀 253 : 삽입홈
254 : 슬롯공 255 : 힌지축부
256,256' : 힌지공
260 : 스프링 261 : 절개걸림구

Claims (6)

  1. 의자(100)의 하부지지체(110)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몸체(210)와 의자(100)의 좌판(120)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20)를 각기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의 일측을 서로 힌지축핀(230)에 의해 결합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의 타측은 별도 구비의 잠금레버(240)에 의해 상호 잠금/잠금해제되게 하며, 상기 상부몸체(220)의 내부에는 선단이 상부몸체(220)에 힌지 결합된 회전지지구(250)를 삽입하여 상기 회전지지구(250)가 별도 구비의 스프링(260)에 의해 하향 탄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의 상부에는 바닥면에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계지되게 한 제1걸림단턱(211)과 제2걸림단턱(212)이 순차 형성된 수용홈부(213)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잠금레버(240)에 의한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20) 간의 잠금해제 상태에서, 상부몸체(220)에 작용하는 인위적인 상향 회전력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상기 제1 및 제2걸림단턱(211)(212)에 순차 계지되면서 상기 상부몸체(220) 및 좌판(120)에 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는 스프링(251)에 의해 외향 탄력 지지된 일방향유도핀(252)(252')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10)의 수용홈부(213) 내 양측면에는 중간부에 걸림돌조(214)를 갖는 타원형의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을 형성하여, 상기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에 삽입된 일방향유도핀(252)(252')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이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 내에서 일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에는 걸림돌조(214)의 하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전기한 제1걸림단턱(211) 및 제2걸림단턱(2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경사단턱(215a)과 제2경사단턱(215b)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경사단턱(215a)(215b)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걸림돌조(214)의 일측 끝단 상측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1후퇴걸림턱(215c)과 상기 걸림돌조(214)의 타측 끝단 하측에 해당하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제2후퇴걸림턱(214d)을 순차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회전지지구(250)의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2후퇴걸림턱(214d)과 제1경사단턱(215a)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몸체(220)의 수평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2후퇴걸림턱(214d)에 간섭되어 일방향유도핀(252)(252')의 역회전 방지되게 하고,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1걸림단턱(211)에 계지되는 경우 상부몸체(220)에 대한 1단 경사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1경사단턱(215a)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며,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제2걸림단턱(212)에 계지되는 경우 상부몸체(220)에 대한 2단 경사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2경사단턱(215b)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상부몸체(220)의 2단 경사상태로부터 계속적인 상향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일방향회전유도홈(215)(215')의 걸림돌조(214)를 따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걸림돌조(214)의 상측으로 이동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제1후퇴걸림턱(215c)에 간섭되어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며, 좌판(120)을 통해 상부몸체(220)에 작용하는 하향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은 제2후퇴걸림턱(214d)을 지나 상기와 같은 제2후퇴걸림턱(214d)과 제1경사단턱(215a) 사이에 위치하면서 다시 상부몸체(220)를 포함한 좌판(120)이 수평상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회전지지구(250)의 하단 양측에는 삽입홈(253)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253)으로 전기한 스프링(251)과 일방향유도핀(252)(252')이 순차 삽입되게 하되,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253)과 관통되게 한 슬롯공(254)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유도핀(252)(252')의 회면에는 상기 슬롯공(254)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돌기(252a)를 형성하여, 상기 슬롯공(254)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252a)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에 대한 일방향유도핀(252)(252')의 탄력 유동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220)의 저면 내측에는 전기한 회전지지구(25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탄력걸이구(226)(226')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구(250)의 상단에는 원형 단면의 힌지축부(255) 및 상기 탄력걸이구(226)(226')와 대응하는 복수 개의 힌지공(256)(256')을 형성하여 상호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220)의 일측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레버삽입공(221)을 갖는 레버삽입부(22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레버삽입부(222)의 중간에는 유동슬롯(223)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삽입공(221)으로 별도 구비의 탄발스프링(241)과 잠금레버(240)를 순차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슬롯(223)을 통해 잠금레버(240)의 중간부에 걸림볼트(242)가 조립되어 유동슬롯(223)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잠금레버(240)에는 한 쌍의 잠금홈(243)(243')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홈(243)(243')의 내부 일측에는 하향경사면(244a)을 갖는 잠금턱(244)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잠금홈(243)(243')과 대응하는 상부몸체(220)의 일측 내부에 형성된 잠금유도공(224)(224')을 통해 상기 잠금홈(243)(243')이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몸체(210)의 외면에는 상부 일측에 슬립경사면(216a)을 갖는 잠금돌기(216)(216')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잠금돌기(216)(216')가 잠금홈(243)(243')을 통해 잠금레버(240)의 잠금턱(244) 상에 계지되면서 하부몸체(210)에 대한 상부몸체(220)의 잠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220)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225)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25)에는 상부몸체(220)의 하측으로부터 전기한 스프링(260)의 일단을 결합 고정하되,
    상기의 스프링(260)은 곡선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 상측에는 상기 체결공(225)으로 탄력 삽입되게 한 절개걸림구(26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260)의 중간부에는 전기한 회전지지구(250)의 상단이 경사상으로 계지되게 하여 상기 스프링(26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지지구(250)에 지속적인 하향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0210107953A 2021-08-17 2021-08-17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54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53A KR102545524B1 (ko) 2021-08-17 2021-08-17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0230076586A KR102596301B1 (ko) 2021-08-17 2023-06-15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53A KR102545524B1 (ko) 2021-08-17 2021-08-17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586A Division KR102596301B1 (ko) 2021-08-17 2023-06-15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570A true KR20230026570A (ko) 2023-02-27
KR102545524B1 KR102545524B1 (ko) 2023-06-21

Family

ID=85329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953A KR102545524B1 (ko) 2021-08-17 2021-08-17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20230076586A KR102596301B1 (ko) 2021-08-17 2023-06-15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586A KR102596301B1 (ko) 2021-08-17 2023-06-15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55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613A (ja) * 2005-09-26 2007-04-12 Tatsuo Iwatake 起立補助装置と起立補助椅子
KR200465274Y1 (ko) 2012-08-22 2013-02-08 주식회사 리바트 좌판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325615B1 (ko) * 2012-05-10 2013-11-06 최창규 틸팅기능을 갖는 책상상판
KR101358007B1 (ko) 2012-04-05 2014-02-04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1589156B1 (ko) 2014-09-22 2016-01-27 정대훈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102222629B1 (ko) 2020-05-19 2021-03-04 안창규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9613A (ja) * 2005-09-26 2007-04-12 Tatsuo Iwatake 起立補助装置と起立補助椅子
KR101358007B1 (ko) 2012-04-05 2014-02-04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101325615B1 (ko) * 2012-05-10 2013-11-06 최창규 틸팅기능을 갖는 책상상판
KR200465274Y1 (ko) 2012-08-22 2013-02-08 주식회사 리바트 좌판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KR101589156B1 (ko) 2014-09-22 2016-01-27 정대훈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102222629B1 (ko) 2020-05-19 2021-03-04 안창규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301B1 (ko) 2023-10-31
KR102545524B1 (ko) 2023-06-21
KR20230093205A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529B2 (ja) 動的にバランスのとれたシートの組み立て
TWI722232B (zh) 具有凸輪傾斜機構之家具部件
US7497512B2 (en) Recliner drive mechanism for a rocker chair
JPH0852039A (ja) プレロードをかけた基部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スイベル式リクライニング/ロッキングチェア
US6533353B2 (en) Lift chair with adjustable arm rests
MXPA06010770A (es) Escritorio para estudiante.
RU2392839C2 (ru) Кресло
KR102545524B1 (ko) 의자용 좌판 각도 조절장치
CA2791131C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KR100553414B1 (ko) 위치제어용 의자
KR102276564B1 (ko) 착석 유동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자
JP7208766B2 (ja) 椅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55070A (ja) 椅子
JP3032359U (ja) 椅子における座席の方向復元装置
JP4217116B2 (ja) 座のスライド機構
CA2855283C (en) Mobile chair, method of operation associated thereto, and kit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320665B1 (ko)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US11590378B2 (en) Exercise chair
JP2006204488A (ja) 可動座席筋力訓練機
KR102318357B1 (ko) 등받이 틸팅 단계별 조절구조를 갖는 프레임 의자
JP5616134B2 (ja) 椅子
JPS59130Y2 (ja) 座席用ヘツドレスト装置
JP4682460B2 (ja) 椅子
JP5576187B2 (ja) 椅子
JP5965688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