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439A -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 Google Patents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439A
KR20230025439A KR1020237001363A KR20237001363A KR20230025439A KR 20230025439 A KR20230025439 A KR 20230025439A KR 1020237001363 A KR1020237001363 A KR 1020237001363A KR 20237001363 A KR20237001363 A KR 20237001363A KR 20230025439 A KR20230025439 A KR 2023002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raided
barbed
thickness
elon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토리아 달레산드로
제이슨 티. 퍼킨스
로버트 스코냐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05Polyesters not covered by A61L17/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두께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포함한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도록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를 포함한다. 복합 코어는 두께를 갖고, 세장형 코어는 복합 코어의 중심에 위치된다. 세장형 코어 두께는 약 6 내지 8 mil이고, 복합 코어 두께는 약 13 내지 18 mil이다.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16 내지 0.91이다. 세장형 코어는 오목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전이 구역을 갖는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편조 시스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둘 모두에 대한 단일 파단점을 갖는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PDS 모노필라멘트 코어를 갖고, 편조 시스는 바이크릴 멀티필라멘트 얀 편조 시스이다.

Description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특허 출원은,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56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특허 출원은,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49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본 출원과 함께 동일자로 출원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ETH6071USNP1)와 관련된다.
기술분야
본 특허 출원은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처를 폐쇄하는 데 사용되는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수술용 봉합사는 상처 및 수술 절개부를 폐쇄하고, 손상된 근육, 혈관 및 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바늘이 수술용 봉합사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바늘은 조직을 통해 당겨져, 조직을 함께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루프를 형성한다. 종래의 봉합사의 경우, 봉합사는 후속적으로 하나 이상의 매듭으로 묶여, 조직이 함께 당겨진 채로 남아 있을 것이다.
봉합사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다수의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플랑크(Planck) 등의 미국 특허 제4,546,769호는 비-크림핑된 얀(non-crimped yarn)들과 같은 튜브형 편조 구조물로 제조된 재킷(jacket), 및 크림핑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재킷 내에 위치된 코어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개시한다. 재킷은 코어 둘레에 비-크림핑된 얀들을 편조함으로써 형성되며, 이는 구부리고 취급하기 더 용이하며 더 양호한 매듭을 만드는 봉합사를 제공한다.
봉합사가 상처를 폐쇄하기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종래의 봉합사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수의 난제가 있다. 이들 난제 중 많은 것은 봉합사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매듭과 직접 관련된다. 매듭이 적절하게 묶이지 않으면, 미끄러짐, 매듭 파손, 및 상처의 재개방을 포함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해 매듭을 사용하는 것은 조직을 왜곡시키고, 혈류를 제한하며, 흉터의 형성을 증가시키고, 상처 치유를 방해하며,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봉합사와 연관된 전술된 결점에 응답하여, 미늘(barb)을 갖는 봉합사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봉합사와 달리, 미늘-구비형(barbed) 봉합사는 돌출 미늘을 갖고, 돌출 미늘은 봉합사가 상처를 폐쇄하고, 조직에 근접하며, 조직을 팽팽히 하고, 매듭의 사용 없이 보철 장치를 부착시키는 데 사용되게 한다.
예를 들어,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에티콘, 인크.(Ethicon, Inc.)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8,216,497호는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생성하는 방법을 교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재료의 사전-형성된 리본이 펀칭되어 미늘-구비형 봉합사(50)를 형성하는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미늘-구비형 봉합사(5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코어(52) 및 코어(52)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미늘(54)을 갖는다. 코어(52)는 미늘-구비형 봉합사(50)에 강도 및 가요성을 제공한다.
미늘-구비형 봉합사와 연관된 하나의 문제점은 미늘이 코어로부터 박리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것이 장치 고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더 내구적인 미늘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braided barbed suture)가 개발되었다.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에티콘, 인크.에 양도된 콜리어(Collier) 등의 미국 특허 제8,663,277호는 편조되지 않은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비해 유지 강도(holding strength)에서 96% 개선을 제공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교시한다.
전통적으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미늘-구비형 삽입체를 편조 필라멘트 조립체 내로 수동으로 전달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작업자는 브레이더(braider)를 운전하여 제1 길이의 미늘-미구비형(unbarbed) 봉합사를 형성하는 단계, 브레이더를 끄는 단계, 필라멘트들이 편조 지점에서 수렴하는 브레이더 아일렛(eyelet)에 미늘-구비형 삽입체의 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브레이더를 다시 켜고 필라멘트들이 미늘-구비형 삽입체를 편조물 내로 끌어당기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 복합적인 일련의 단계들을 고수하여야 한다.
전술된 수동 전달 방법을 사용할 때, 편조 기기(braiding apparatus)로부터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로 전해지는 진동으로 인해 불균일한 편조 시스(braided sheath)가 미늘-구비형 봉합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 둘레에 형성될 것이다. 편조 장비에 의해 생성된 진동은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가 브레이더 아일렛 내로 당겨질 때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가 펄럭이게 하거나 꼬이게 하거나 필라멘트에 걸리게 하거나 원치 않는 회전을 누적시키게 할 수 있다.
진동에 기인한 전술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편조 절차 동안에 미늘-구비형 봉합 삽입체의 배향에 대한 제어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일부 노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에티콘, 인크.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8,210,085호, 제8,733,223호 및 제9,206,535호는 편조 필라멘트 조립체,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를 배향시키기 위한 통로를 한정하는 미늘-구비형 봉합 삽입체 분배기 개구를 갖는 가이드 조립체(예컨대, 전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교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화 시스템은 미늘(62)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60)를 가이드 조립체의 분배기 개구로부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66)를 제조하기 위해 미늘-구비형 봉합 삽입체 둘레에 복수의 필라멘트(64)를 편조하기 위한 편조 필라멘트 조립체 내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분배기 개구의 통로는 통로에 대한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60)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 동시에, 통로에 대한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꼬임 이동을 방지한다. 통로는 미늘-구비형 봉합 삽입체(60)의 미늘(62)들을 수용하기 위한 높이보다 더 큰 폭을 갖는 세장형 슬릿을 포함한다.
종래의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구성요소 및 편조 시스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봉합사 구성요소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미늘들을 포함한다. 편조 시스 구성요소는 미늘들이 조직과 맞물리기 위해 편조 시스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세장형 코어 둘레에 형성된다.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 둘레에 형성된 편조 시스의 복합 코어 구조물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backbone)을 형성한다.
종래의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서, 세장형 코어는 전형적으로,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미늘들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큰 두께 또는 직경을 갖는 볼록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필라멘트들이 세장형 코어 위에 편조될 때, 세장형 코어 및 편조 시스의 결과적인 조합은 전형적으로 각자의 미늘들의 두께들보다 더 큰 외경을 한정하며, 이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이 강성이게 하고 와이어-유사형이 되게 함으로써 가요성을 감소시킨다.
현재,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2개의 상이한 인장 강도 파단점(breaking point), 즉 코어 둘레에 권취되는 편조 구성요소에 대한 제1 파단점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코어 섹션에 대한 제2 파단점을 갖는다. 편조 구성요소 또는 코어 구성요소 중 하나만이 파단되는 경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장치의 전체 인장 강도가 손상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관찰자에게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전술된 결점을 고려하여, 가요성을 유지하는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또한, 복합 코어의 더 큰 부분이 편조 시스로 구성되게 하여(즉, 높은 편조 시스 대 코어 비) 더 강성이지 않고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편조 봉합사의 이익(예컨대, 취급, 가요성, 수술 기구와의 상용성)을 갖는 봉합사 구성을 허용하기 위해, 감소된 외측 치수(예컨대, 감소된 폭, 감소된 높이, 감소된 단면적)를 갖는 코어를 가진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또한, 인장 강도의 주 근원 및 봉합사를 위한 취급 특성이 코어라기보다는 편조 시스 부분에 의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코어가 미늘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주로 역할하지만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위한 실질적인 강도를 제공하지 않는,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장치의 세장형 코어 섹션 및 편조 섹션 둘 모두에 대해 단일 파단점을 갖는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또한, 로봇 파지기(grasper), 제한된 촉각 피드백, 및 제한된 시각화 모두가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조기 파손과 연관되는 장애의 원인이 되는 로봇 수술 환경에서 상처를 폐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환경에 존재하는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양호한 가요성 및 단일 파단점을 갖는 개선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접합되는 2개의 구성요소, 즉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편조 시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세장형 코어(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 및 세장형 코어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는 엔드 이펙터(end effector)(예컨대, 매듭-대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이펙터는 탭(tab), 정지부, 또는 루프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는, 개시 내용이 이에 이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제8,210,085호; 제8,733,223호; 및 제9,206,5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 편조 기계를 사용하여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미늘들의 두께들에 비해 감소된 두께, 감소된 직경 및/또는 감소된 외측 치수를 갖는다. 세장형 코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더 작다. 세장형 코어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오버-브레이딩된(over-braided) 복합체 내에서 세장형 코어의 단면 치수를 최소화하는데, 이는 편조 시스에 의해 감싸여진 후에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가 편조 시스에 의해 주로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는 세장형 코어를 감싸고,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와 편조 시스의 조합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가요성 복합 코어를 형성한다. 편조 시스의 두께, 직경 및/또는 외측 치수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 직경 및/또는 외측 치수의 비를 제어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두께를 가진 세장형 코어를 갖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를 사용할 때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인장 강도 및 개선된 가요성 및 취급 특성들을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에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즉, 오버-브레이딩된 섹션)을 단면에서 볼 때, 복합 코어의 두께(예컨대,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예컨대, 직경)의 비(즉, 코어 대 편조 시스 비)는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다. 따라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가 구성하는 것보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의 더 큰 단면적을 구성하며, 이는 편조 시스를 통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고, 통상의 세장형 코어보다 더 얇은 것으로 인해 가요성을 개선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를 감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할 때, 복합 코어의 총 두께(예컨대, 총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예컨대, 직경)의 비는 약 0.16 내지 0.85, 더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0.5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의 감소된 두께는 복합 코어(즉, 세장형 코어 둘레에 편조 시스를 권취함으로써 형성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의 더 큰 부분이 편조 시스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편조 봉합사의 이익, 예를 들어 취급, 가요성, 수술 기구와의 상용성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구성물을 허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는 미늘들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주로 기능하고,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위한 인장 강도를 제공하는 주 구성요소가 아니다. 오히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 및 취급 특성의 주 근원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에 의해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전체 인장 강도를 개선한다. 동시에,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의 감소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골격(즉, 중추)을 따른 세장형 코어와 편조 시스 조합의 부피를 최소화하며, 이는 편조 시스의 가요성 특성을 보존하고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전체 가요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구성물은 외과의에 의해 추구되는 두 가지 특징, 즉 인장 강도와 가요성 사이의 균형을 제공한다. 또한,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편조 시스를 통해 돌출되는 미늘들의 존재는, 매듭을 묶을 필요 없이 그리고 외과의 보조자가 봉합사 라인 상에 장력을 유지할 것을 요구함이 없이, 외과의가 조직을 봉합하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il,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mil 범위의 두께 또는 직경을 갖는 PDS 모노필라멘트 코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는 바람직하게는 바이크릴(VICRYL) 멀티필라멘트 얀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한 후에, 복합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30 mil,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18 mil 범위의 두께 또는 외경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특허 출원에 개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개선된 인장 강도 및 취급 특성을 제공하며, 이는 엄격하게 제한된 공간에서, 예를 들어 최소 침습 수술(MIS) 환경에서 조직을 봉합하는 데 매우 바람직하다. 역사적으로, 외과의는 상이한 이익들 및 특징들을 갖는 상이한 봉합사 제품들을 사용하도록 외과의에게 강요하는 절충안을 만들어야 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단일 봉합사 장치에서 최적화된 강도, 효율, 취급 및 융통성의 이득을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를 포함한다. 복합 오버-브레이딩된 시스는 두께(예컨대, 직경)를 갖는데, 이에 의해 복합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의 비는 약 0.16 내지 0.9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복합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의 비는 약 0.24 내지 0.73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제1 두께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을 포함하고, 제1 미늘은 세장형 코어의 제1 두께보다 더 큰 제2 두께를 갖는 내측 단부 및 제1 미늘의 내측 단부의 제2 두께보다 더 작은 제3 두께를 갖는 외측 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제1 미늘의 내측 단부를 세장형 코어와 연결하기 위해 세장형 코어와 제1 미늘의 내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이 구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전이 구역은 세장형 코어에 인접하여 더 얇고, 제1 미늘의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더 두껍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전이 구역은 세장형 코어로부터 제1 미늘의 내측 단부까지 넓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전이 구역들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에 위치될 수 있다. 세장형 코어의 제1 및 제2 전이 구역들 및 상부 표면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상부 측에 위치된 제1 오목 프로파일을 한정할 수 있고, 세장형 코어의 제1 및 제2 전이 구역들 및 저부 표면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저부 측에 위치된 제2 오목 프로파일을 한정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와 전이 구역들 둘 모두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는 섬유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후, 미늘들은 편조 시스의 외측 주연부를 지난 외향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시스 구성요소 및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구성요소 둘 모두에 대한 단일 파단점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볼록하게 만곡된 상부 표면 및 볼록하게 만곡된 저부 표면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 및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부 표면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상의 복수의 미늘들은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미늘들의 쌍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들의 각각의 쌍은 바람직하게는 미늘 팁간 거리(barb tip-to-tip distance, BTTD)를 한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복합 코어는 복합 코어 직경(CCD)을 갖고, 상기 복합 코어 직경(CCD)에 대한 미늘 팁간 거리(BTTD)의 비는 약 1.92 내지 4.5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복합 코어 직경(CCD)에 대한 미늘 팁간 거리(BTTD)의 비는 약 2.5 내지 3.8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또는 직경을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를 포함한다. 세장형 코어와 편조 시스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세장형 코어가 복합 코어의 중심에 위치되고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를 둘러싼다.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조합인 복합 코어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의 두께보다 더 크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복합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의 비는 약 0.16 내지 0.91, 더 바람직하게는 약 0.40 내지 0.5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오목 프로파일을 갖고, 세장형 코어는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미늘들의 내측 단부들보다 더 얇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와 제1 미늘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으로서, 이에 의해 제1 전이 구역은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제1 미늘의 내측 단부까지 넓어지는, 상기 제1 전이 구역; 및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방향 측부와 제2 미늘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전기 구역으로서, 이에 의해 제2 전이 구역은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제2 미늘의 내측 단부까지 넓어지는, 상기 제2 전이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와 결합된 엔드 이펙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엔드 이펙터를 통해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엔드 이펙터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 및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날개들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보다 더 두껍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오목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미늘들은 세장형 코어보다 더 두꺼운 내측 단부들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와 미늘들 중 적어도 일부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이 구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 및 적어도 하나의 전이 구역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복합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 또는 직경의 비가 약 0.16 내지 0.91,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4 내지 0.73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및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중합체 재료의 리본과 같은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예컨대, 오목 코어, 평탄하거나 둥근 상부 및 저부 표면들을 갖는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에 위치된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 섹션들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 섹션들은 (예컨대,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및/또는 절단되어,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미늘들 및 세장형 코어의 근위 단부에 고정된 엔드 이펙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미늘들 및 엔드 이펙터를 형성하기 위해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에서 펀칭되는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 섹션들의 두께들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비-원형 단면을 갖는 세장형 코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의 비-원형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의 중심에 위치된 제1 두께, 제1 측방향 측부 두께를 가진 제1 측방향 측부, 제2 측방향 측부 두께를 가진 제2 측방향 측부를 갖는다. 제1 두께를 갖는 중앙 섹션은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와 제2 측방향 측부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의 중심은 세장형 코어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보다 더 두껍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중심 영역에서 그리고 중심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세장형 코어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들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탄 상부 및 저부 표면들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더 얇은 세장형 코어와 더 두꺼운 미늘들 사이에 위치되는 전이 구역을 포함하며, 이는 미늘들 내로 실질적으로 연장됨이 없이 전체 코어 폭 및 높이까지 오버-브레이딩을 허용함으로써, 더 가요성인 골격(즉, 세장형 코어 및 편조 시스의 복합체)을 제공하면서,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를 통해 인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전이 구역은 더 얇은 세장형 코어와 더 두꺼운 미늘들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세장형 코어의 측방향 측부와 미늘들의 내측 단부들 사이에서 넓어지고/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전이 구역은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멀티필라멘트 편조 시스를 수용하는 릴리프(relief) 영역을 세장형 코어와 미늘들 사이에 제공하며, 이에 의해 멀티필라멘트 편조 시스의 섬유들은 미늘들의 기능을 제한할, 미늘들의 봉지 및/또는 매립을 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감소된 두께, 직경 및/또는 단면적을 갖는 세장형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의 기계적 특성을 대부분 나타내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생성하기 위해 편조 시스로 오버-브레이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모노필라멘트 코어 재료에 대한 멀티필라멘트 시스 재료의 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리 결정된 세장형 코어 대 편조 시스 비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것은, 매듭을 묶음으로써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강도가 감소되게 함이 없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장치가 편조 시스에 의해 제공되는 일축 인장 강도를 완전히 이용하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절한 세장형 코어 대 편조 시스 비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것은, 공간 및 시각화가 제한되는 최소 침습 수술 환경(예컨대, 로봇 수술)에서 이득을 제공하는 취급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복합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장치가 전통적인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의 굽힘 강성을 근사하게 복제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제1 인장 강도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고 제2 인장 강도를 갖는 편조 시스를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합된 인장 강도들은 세장형 코어의 제1 인장 강도 및 편조 시스의 제2 인장 강도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크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시스 구성요소 및 세장형 코어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구성요소 둘 모두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2개의 구성요소들은 2개의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보다 개별적으로 더 큰 조합된 파단 강도 값을 갖고, 여기서 복합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및 복합 구조물 내의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인장 파괴점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편조 시스 구성요소 및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구성요소의 세장형 코어 둘 모두에 대해 단일 파단점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봉합 장치가 장력 하에 있을 때 2개의 별개의 파괴점들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멀티필라멘트 봉합사는 고강도, 양호한 손상 저항성, 및 바람직한 취급 특성을 제공하지만, 본질적으로 모노필라멘트로서 처리되는 것에 적합하지 않거나,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중합체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미늘-구비형 봉합사 특징을 갖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미늘들을 가지고 제조될 수 있지만,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수술 기구로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는 경우 손상되기 쉽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2개의 별개의 인장 파괴점들의 발생을 피하면서, 모노필라멘트 봉합사의 강도와 균형을 이루는 편조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의 이득(예컨대, 취급, 가요성, 손상 저항성, 수술 기구와의 상용성)을 갖는 봉합사 구성물을 제공한다. 복합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동시에 장력이 파괴되는 편조 시스 및 세장형 코어를 가지며, 이는 2개의 별개의 인장 파괴점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세장형 코어 구성요소는 미늘들을 위한 정착 지점으로서 주로 기능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구성요소라기보다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구성요소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위한 인장 강도 및 취급 특성의 주 근원으로서 기능한다.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를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와 비교할 때, 멀티필라멘트 봉합사는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에 존재하는 편조물 구성으로 인해 더 큰 직선 인장 강도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장치의 하중 분포 및 일축 연신을 허용한다. 그러나, 임상 응용에서, 전통적인 멀티필라멘트 및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들의 인장 강도들은 본질적으로, 묶일 수 있는 매듭의 강도로 감소된다. 이와 비교하여,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매듭 묶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따라서 직선 인장 강도를 관련 상처 유지 값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미늘들을 갖는 종래 기술의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세장형 코어, 세장형 코어의 제1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세트의 미늘들, 및 세장형 코어의 제2 단부를 향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트의 미늘들을 갖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세장형 코어와 미늘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세장형 코어 위에 형성된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도 4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로부터 형성되고, 세장형 코어, 복수의 미늘, 및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중간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 5c-1은 도 5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중간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근위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5d-1은 도 5a, 도 5b 및 도 5d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e는 도 5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5f는 도 5d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5a 내지 도 5f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미늘-구비형 필라멘트 삽입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측면도이다.
도 7d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e는 도 7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중간 섹션의 확대도이다.
도 8c-1은 도 8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중간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근위 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8d-1은 도 8d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8e는 도 8c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8f는 도 8d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들에 대한 인장 강도 특성들을 플로팅한(plot) 그래프이다.
도 10은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들에 대한 굽힘 강성의 특성들을 플로팅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및 미늘을 갖지 않는 편조 봉합사의 인장 강도들을 예측하는 모델 방정식의 그래프이다.
도 12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와 미늘을 갖지 않는 편조 봉합사 사이에 인장 강도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는 시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봉합사 크기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들 위에 형성된 편조 시스들의 복합 코어 직경들의 개략도이다.
도 15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봉합사 크기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들 위에 형성된 편조 시스들의 복합 코어 직경들의 개략도이다.
도 16a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봉합사 크기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들 위에 형성된 편조 시스들의 복합 코어 직경들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상이한 봉합사 크기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들에 대한 미늘 팁간 거리(BTTD)와 복합 코어 직경(CCD)에 관련된 비들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18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화 편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픽(pick)들을 가진 편조 시스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상의 픽들을 계수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상의 픽들을 계수하는 방법의 제1 스테이지를 예시한다.
도 22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상의 픽들을 계수하는 방법의 제2 스테이지를 예시한다.
도 23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상의 픽들을 계수하는 방법의 제3 스테이지를 예시한다.
도 24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상의 픽들을 계수하는 방법의 제4 스테이지를 예시한다.
도 25는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내의 픽들의 개수를 제어하는 도 18의 자동화 편조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최적화된 오버-브레이딩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 차트이다.
도 26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엔드 이펙터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엔드 이펙터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특허 출원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엔드 이펙터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정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제1 구성요소.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 세장형 코어를 포함한다. 세장형 코어의 원위 단부는 또한 바늘에 부착되는 세장형 코어의 단부인 선단 단부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미늘-구비형 섹션을 한정하도록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을 갖는다. 엔드 이펙터가 세장형 코어의 근위 단부에 부착되고, 세장형 코어의 커넥터 섹션이 엔드 이펙터와 미늘-구비형 섹션 사이에 위치된다.
복합 코어.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미늘들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섹션. 복합 코어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조합이다. 복합 코어는 세장형 코어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데니어. 데니어(D)는 섬유의 선형 질량 밀도에 대한 측정 단위이다. 이는 섬유의 9,000 미터당 질량(g)이다. 데니어 측정 단위는 자연적 기준에 기초하는데, 즉 견사의 단일 스트랜드가 대략 1 데니어이거나, 견사의 9,000 미터 길이의 스트랜드가 약 1g의 중량이다. 데니어 단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 데니어 = 1g/9,000m = 0.11 mg/m.
측방향 폭.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미늘의 최근접 외측 측방향 에지에 인접한, 세장형 코어의 중심축에 평행한 제1 선과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미늘의 최근접 외측 측방향 에지에 인접한, 세장형 코어의 중심축에 평행한 제2 선 사이의 거리.
선단 단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의 미늘-미구비형 구역. 선단 단부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의 원위 단부 또는 바늘 부착 단부를 형성한다. 필라멘트들이 세장형 코어의 선단 단부 둘레에 권취되어 복합 코어의 일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세장형 코어 두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미늘들은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미늘들은 제1 평면 내에 놓인다. 미늘들에 의해 한정되는 제1 평면에 직각인 제2 평면 내에 놓인 축을 따라 취해진 세장형 코어의 두께 측정치.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두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선단 단부에서 측정된 3개의 별개의 두께 측정치의 평균이다. 세장형 코어의 두께 측정치들을 기록하기 위해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세장형 코어 두께는 또한 세장형 코어 직경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합 코어 직경. 복합 코어 직경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외경의 측정치이다. 복합 코어 직경은 세장형 코어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인 평면 내에서 측정된다.
복합 코어 두께. 미늘들에 의해 한정되는 제1 평면에 직각인 제2 평면 내에 놓인 축을 따라 취해진 복합 코어의 두께 측정치. 일 실시 형태에서, 복합 코어 두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선단 단부에서 측정된 3개의 별개의 두께 측정치의 평균이다. 복합 코어의 두께 측정치들을 기록하기 위해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코어 두께는 또한 복합 코어 직경으로 지칭될 수 있다.
두께 비.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두께 비는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중합체 재료의 리본과 같은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가 사용되어,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102), 원위 단부(104),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길이를 따라 그의 근위 단부(102)와 원위 단부(104)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A1)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축(A1)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106), 세장형 코어(106)의 제1 측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섹션(108), 및 세장형 코어(106)의 제2 측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섹션(11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108, 110)들은 미늘들 및/또는 엔드 이펙터의 형성 동안 펀칭되거나 절삭될 수 있다.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06) 및 세장형 코어(106)의 양쪽 측부들 상에 위치된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108, 110)들을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사전-형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0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의 중심에 위치되고,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의 길이방향 축(A1)을 따라 연장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06)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108, 110)들의 제2 두께(T2)보다 더 작은 제1 두께(T1)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는 세장형 코어,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 및 세장형 코어의 근위 단부와 연결되는 엔드 이펙터(예컨대, 정지부)를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die) 또는 펀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는 미늘들 및 엔드 이펙터와 일체로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도 4a 내지 도 4e)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122) 및 원위 단부(124)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를 형성하도록 펀칭되거나 절삭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126)(예컨대,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130)을 한정하도록 세장형 코어(1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128)을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고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근위 단부(122)에 위치되는 엔드 이펙터(132)(예컨대, 정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엔드 이펙터(132)를 세장형 코어(126)의 근위 단부와 고정시키는 커넥터 섹션(134)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 및 커넥터 섹션(134)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도 4e에 도시되고 전술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의 세장형 코어(106)의 형상과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미늘(128)들의 두께들 이하인 두께를 갖는다.
도 5c 및 도 5c-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128A)들,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미늘(128B)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제1 및 제2 미늘(128A, 128B)들의 두께 이하인 두께를 갖는다. 각자의 미늘(128A, 128B)들의 두께들 이하인 두께를 가진 세장형 코어(126)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로 구성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전체 치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126) 둘레에 형성된 후에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20)의 가요성을 유지할 것이다.
도 5d 및 도 5d-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근위 단부(122)에서 세장형 코어(126)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는 엔드 이펙터(132)(예컨대, 정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49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ETH6071USNP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커넥터 섹션(134)을 포함하고, 이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130)(도 5a)이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1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엔드 이펙터(132)가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2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섹션(134)이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1 및 제2 트랙들을 상호연결하는 슬롯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미늘-구비형 섹션(130)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근위 단부(122)에 위치된 엔드 이펙터(132)를 통해서 연장된다. 도 5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코어(126)는 엔드 이펙터(132)의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136, 138)들의 각자의 두께(T2)들보다 더 작은 두께(T1)를 갖는다.
도 5e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128A)들,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미늘(128B)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중심에 위치되고,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방향 축(A1)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봉합 수술 동안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에 가요성을 제공하는 가요성 골격을 형성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미늘(128A)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전이 구역(145A)을 통해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와 연결되는 내측 단부(144A), 및 제1 미늘의 자유 단부를 한정하는 외측 단부(146A)를 갖는다. 제1 전이 구역(145A)은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와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144A)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전이 구역(145A)은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와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144A) 사이에서 넓어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제2 미늘(128B)은 바람직하게는 제2 전이 구역(145B)을 통해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와 연결되는 내측 단부(144B), 및 제2 미늘의 자유 단부를 한정하는 외측 단부(146B)를 갖는다. 제2 전이 구역(145B)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와 제2 미늘(128B)의 내측 단부(144B)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전이 구역(145B)은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0)와 제2 미늘(128B)의 내측 단부(144B) 사이에서 넓어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상부 측에 위치된 볼록 상부 표면(148)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저부 측에 위치된 볼록 저부 표면(150)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의 중심 영역(152)은 세장형 코어(126)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140, 142)들에서의 두께(T4)보다 더 큰 두께(T3)를 한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의 상부 표면(148)과 제1 및 제2 전이 구역(145A, 145B)들은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상부 측에 위치된 제1 오목 프로파일,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저부 표면(150)과 제1 및 제2 전이 구역(145A,145B)들은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저부 측에 위치된 제2 오목 프로파일을 한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미늘(128A)은 두께(T5)를 한정하는 내측 단부(144A) 및 두께(T5)보다 더 작은 두께(T6)를 한정하는 외측 자유 단부(146A)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144A)는 제1 미늘(128A)의 외측 단부(146A)보다 더 두껍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의 중심 영역(152)에서의 두께(T3) 및 세장형 코어(126)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140, 142)들에서의 두께(T4)는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144A)에서의 두께(T5)보다 더 작고 제1 미늘(128A)의 외측 단부(146A)에서의 두께(T6)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다. 제1 전이 구역(145A)은 세장형 코어(126)의 더 얇은 제1 측방향 측부(140)와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144A) 사이에서 넓어지고/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미늘(128B)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내측 단부(144B)에서 더 두껍고, 그의 외측 자유 단부(146B)에서 더 얇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미늘(128B)의 내측 단부(144B)는 두께(T7)를 갖고, 제2 미늘(128B)의 외측 단부(146B)는 내측 단부(144B)의 두께(T7)보다 더 작은 두께(T8)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의 중심 영역(152)에서의 두께(T3)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제1 및 제2 측방향 측부(140, 142)들에서의 두께(T4)는 제2 미늘(128B)의 내측 단부(144B)에서의 두께(T7)보다 더 작고 제2 미늘(128B)의 외측 단부(146B)에서의 두께(T8)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다. 제2 전이 구역(145B)은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와 제2 미늘(128B)의 내측 단부(144B) 사이에서 넓어지고/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도 5f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엔드 이펙터(132)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날개(136),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날개(138)를 포함한다. 엔드 이펙터(132)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126)의 제1 측방향 측부(140)와 제1 측방향 날개(136)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145A), 및 세장형 코어(126)의 제2 측방향 측부(142)와 제2 측방향 날개(138)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전이 구역(145B)을 포함한다. 세장형 코어(126)의 중심 영역(152)은 엔드 이펙터(132)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136, 138)들의 두께(T2)들보다 더 작은 두께(T1)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도 5f에 도시된) 엔드 이펙터(132)를 통해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126)의 두께(T1)는 (도 5d-1에 도시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미늘-구비형 섹션(130)을 통해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126)의 두께(T3)와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세장형 코어(126)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162)를 형성하도록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세장형 코어(126)(도 5e) 둘레에 필라멘트들을 권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와 편조 시스(150)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복합 코어(165)를 형성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120)의 제1 및 제2 미늘(128A, 128B)들은 바람직하게는 조직과 맞물리기 위해 편조 시스(162)의 외측 주연부를 지나 외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바람직하게는 종래 기술의 세장형 코어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감소된 두께, 직경 및/또는 더 작은 단면적을 갖는 세장형 코어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편조 시스를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되는 재료의 양은 부피가 덜 커서 더 낮은 굽힘 강성(즉, 더 많은 가요성)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공할 것이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예컨대, 코어의 크기, 오버-브레이딩의 정도, 코어 및 편조물 재료들)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취급 및 강도 특성에 직접 영향을 줄 것이다.
세장형 코어의 감소된 두께는 복합 코어(165)(즉, 편조 시스와 세장형 코어의 조합)의 더 큰 부분이 편조 시스(162)로 구성될 수 있게 하여, 편조 봉합사의 이익(예컨대, 취급, 가요성, 수술 기구와의 상용성)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구성물을 허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복합 코어(165)를 단면에서 볼 때, 편조 시스(162)를 포함하는 복합 코어(165)의 두께 또는 직경에 대한 세장형 코어(126)의 두께 또는 직경의 비(즉, 코어 대 편조 비)는 1 미만이다. 따라서, 편조 시스(162)는 세장형 코어(126)가 구성하는 것보다 복합 코어(165)의 더 큰 영역을 구성하며, 이는 편조 시스 구성요소를 통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고, 통상적인 세장형 코어 구성요소보다 더 얇은 것으로 인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전체 가요성을 개선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미늘(128A, 128B)들은 제1 평면(P1) 내에서 연장되고, 세장형 코어(126) 및 복합 코어(165)의 두께 및/또는 직경 측정치들은 제1 평면(P1)에 직각인 제2 평면(P2) 내에 놓인 축을 따라 취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두께 측정치들은 1/2 인치 직경을 갖는 원형 풋(foot)을 포함하는 미투토요(Mitutoyo) 게이지 ID-39 시험 기구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게이지는 두께 측정치가 기록되는 지점에서 봉합사 상에 놓일 때까지 완만하게 하강되도록 구성된 프레서 풋(presser foot)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봉합사가 제거되고 높이 측정치가 기록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프레서 풋이 봉합사 상으로 하강된 후, 두께 측정치가 기록되기 전에 대략 0.5초의 기간이 경과하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선단 단부에서 두께 측정치들이 측정된다. 3개의 두께 측정치는 바람직하게는 봉합사 스트랜드의 길이를 따라 별개의 위치들에서 취해진다. 미늘-구비형 봉합사 및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경우, 봉합사 재료의 선단 단부에서 하나의 측정치가 취해지고, 미늘-구비형 섹션에서 2개의 측정치가 취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162)가 세장형 코어(126)를 감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의 복합 코어(165)를 형성할 때, 복합 코어(165)의 총 두께(TCC)에 대한 세장형 코어(126)의 두께(TEC)의 비는 약 0.16 내지 0.91,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4 내지 0.73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128A, 128B)들의 두께들에 대한 더 얇은 세장형 코어(126)의 사용으로 인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160)는 멀티필라멘트 장치와 거의 동등한 극히 낮은 굽힘 강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유사한 두께 또는 외경을 갖는 모노필라멘트 미늘-구비형 장치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더 큰 인장 강도를 전달한다. 또한, 더 작은 세장형 코어(126)는 복합 코어(165)가 더 두꺼운 세장형 코어를 갖는 종래 기술의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에 의해 가능한 것보다 더 작은 두께 또는 외측 치수(예컨대, 외경)를 갖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중합체 재료의 리본과 같은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가 사용되어,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을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형성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202), 원위 단부(204),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의 길이를 따라 그의 근위 단부(202)와 원위 단부(204)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A2)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 축(A2)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206), 세장형 코어(206)의 제1 측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방향 섹션(208), 및 세장형 코어(206)의 제2 측방향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방향 섹션(210)을 포함한다.
도 7d 및 도 7e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06) 및 세장형 코어(206)의 양쪽 측부들 상에 위치된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208, 210)들을 포함하는 사전-형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0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의 중심에 위치되고,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의 길이방향 축(A2)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06)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208, 210)들의 제2 두께(T10)보다 더 작은 제1 두께(T9)를 갖는다.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06)의 제1 측방향 측부와 제1 측방향 섹션(208)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209), 및 세장형 코어(206)의 제2 측방향 측부와 제2 측방향 섹션(210)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전이 구역(211)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전이 구역(209, 211)들은 상대적으로 더 얇은 세장형 코어(206)와 제1 및 제2 측방향 섹션(208, 210)들의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내측 단부들 사이에서 넓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는 세장형 코어,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 및 세장형 코어의 단부와 연결되는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 또는 펀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도 7a 내지 도 7e)는 바람직하게는 근위 단부(222) 및 원위 단부(224)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를 형성하도록 펀칭되거나 절삭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226)를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230)을 한정하도록 세장형 코어(2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228)을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고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근위 단부(222)에 위치되는 엔드 이펙터(232)(예컨대, 정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49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ETH6071USNP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커넥터 섹션(234)을 포함하고, 이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230)(도 9a)이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1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엔드 이펙터(232)가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2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섹션(234)이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1 및 제2 트랙들을 상호연결하는 슬롯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도 7e에 도시되고 전술된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200)의 세장형 코어(206)와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미늘(228)들의 두께들 및 엔드 이펙터(232)의 제1 및 제2 날개들의 두께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일 섹션을 한정한다.
도 8c 및 도 8c-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230)은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길이를 따라 그의 근위 단부(222)로부터 원위 단부(224)(도 8a)로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226)를 포함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228A)들, 및 제1 측방향 측부와 반대편인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미늘(228B)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세장형 코어(226)는, 세장형 코어(226)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각자의 제1 및 제2 미늘(228A, 228B)들의 두께 이하인 두께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감소된 두께를 가진 세장형 코어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편조 시스가 세장형 코어(226) 둘레에 형성된 후에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가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복합 코어(즉, 세장형 코어와 편조 시스의 조합)의 전체 단면 치수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8d 및 도 8d-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근위 단부(222)에서 세장형 코어(226)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는 엔드 이펙터(232)(예컨대, 정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49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ETH6071USNP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커넥터 섹션(234)을 포함하고, 이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미늘-구비형 중간 섹션(230)(도 8a)이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1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엔드 이펙터(232)가 가이드 카트리지의 제2 트랙을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커넥터 섹션(234)이 제1 및 제2 트랙들을 상호연결하는 슬롯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미늘-구비형 섹션(230)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근위 단부(222)에 위치된 엔드 이펙터(232)를 통해서 연장된다. 도 9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코어(226)는 엔드 이펙터(232)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236, 238)들의 두께(T10)들보다 더 작은 두께(T9)를 갖는다.
도 8e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228A)들, 및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2)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미늘(228B)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중심에 위치되고,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방향 축(A2)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봉합 수술 동안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에 가요성을 제공하는 가요성 중추(spine) 또는 골격을 형성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미늘(228A)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와 연결되는 내측 단부(244A), 및 제1 미늘의 자유 단부를 한정하는 외측 단부(246A)를 갖는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와 제1 미늘(228A)의 내측 단부(244A)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245A)을 포함한다. 제1 전이 구역(245A)은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와 제1 미늘(228A)의 내측 단부(244A) 사이에서 넓어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제2 미늘(228B)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2)와 연결되는 내측 단부(244B), 및 제2 미늘의 자유 단부를 한정하는 외측 단부(246B)를 갖는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2)와 제2 미늘(228B)의 내측 단부(244B) 사이에 위치된 제2 전이 구역(245B)을 포함한다. 제2 전이 구역(245B)은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0)와 제2 미늘(228B)의 내측 단부(244B) 사이에서 넓어지거나 더 두꺼워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는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상부 측에 위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248) 및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저부 측에 위치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부 표면(250)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및 저부 표면(248, 250)들은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11)를 한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미늘(228A)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내측 단부(244A)에서 더 두껍고, 그의 외측 자유 단부(246A)에서 더 얇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미늘(128A)의 내측 단부(244A)는 두께(T12)를 갖고, 제1 미늘(228A)의 외측 단부(246A)는 내측 단부(244A)의 두께(T12)보다 더 작은 두께(T13)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11)는 제1 미늘(228A)의 내측 단부(244A)에서의 두께(T12)보다 더 작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11)는 제1 미늘(228A)의 외측 단부(246A)에서의 두께(T13)보다 더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미늘(228B)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내측 단부(244B)에서 더 두껍고, 그의 외측 자유 단부(246B)에서 더 얇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2 미늘(228B)의 내측 단부(244B)는 두께(T14)를 갖고, 제2 미늘(128B)의 외측 단부(146B)는 내측 단부(144B)의 두께(T14)보다 더 작은 두께(T15)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11)는 제2 미늘(228B)의 내측 단부(246A)에서의 두께(T14)보다 더 작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126)의 두께(T11)는 제2 미늘(228B)의 외측 단부(246B)에서의 두께(T15)보다 더 작거나 이와 동일하다.
도 8f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엔드 이펙터(232)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방향 날개(236), 및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2)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방향 날개(238)를 포함한다. 엔드 이펙터(232)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226)의 제1 측방향 측부(240)와 제1 측방향 날개(236)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245A), 및 세장형 코어(226)의 제2 측방향 측부(242)와 제2 측방향 날개(238)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전이 구역(245B)을 포함한다. 세장형 코어(226)는 엔드 이펙터(232)의 각자의 제1 및 제2 측방향 날개(236, 238)들의 두께(T10)들보다 더 작은 두께(T11)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엔드 이펙터(232)를 통해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11)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도 8f-1)의 미늘-구비형 섹션(230)을 통해 연장되는 세장형 코어(226)의 두께(T9)와 동일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세장형 코어(226)를 둘러싸고/싸거나 감싸는 편조 시스를 형성하도록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220)의 세장형 코어(226) 둘레에 필라멘트들을 권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구성할 때,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및 치수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9의 그래프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의 조합에 의존하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 .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는 6.39 mil의 두께를 갖는다. 필라멘트들이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시스를 형성한다.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조합은 23.44 mil의 두께를 갖는 복합 코어를 형성한다. 복합 코어의 두께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의 비는 0.27(6.39/23.44 = 0.27)이다.
실시예 2 .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는 20.18 mil의 두께를 갖는다. 필라멘트들이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시스를 형성한다.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조합은 24.47 mil의 두께를 갖는 복합 코어를 형성한다. 복합 코어의 두께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의 비는 0.82(20.18/24.47 = 0.82)이다.
실시예 3 .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는 6.34 mil의 두께를 갖는다. 필라멘트들이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되어 편조 시스를 형성한다. 세장형 코어 및 세장형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조합은 13.4 mil의 두께를 갖는 복합 코어를 형성한다. 복합 코어의 두께에 대한 세장형 코어의 두께의 비는 0.47(6.34/14.4 = 0.47)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굽힘 강성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의 유형들 및 치수들을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굽힘 강성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의 조합에 의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가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0 mil, 더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8 mil의 두께를 갖고, 복합 코어(즉, 세장형 코어와 편조 시스의 조합)는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30 mil,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18 mil의 두께를 갖는다. 위에 열거된 범위(즉, 6 내지 8 mil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13 내지 18 mil의 복합 코어 두께) 내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굽힘 강성은 멀티필라멘트 봉합사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굽힘 강성과 일치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5 내지 10 mil의 세장형 코어 두께 및 11 내지 30 mil의 복합 코어 두께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매우 바람직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약 0.47의 세장형 코어/복합 코어 비를 위해 6 내지 8 mil의 세장형 코어 두께 및 11 내지 25 mil의 복합 코어 두께를 갖는다.
시험 모델들을 만들었고,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파괴 역학을 평가 및 분석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1)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전체 인장 강도에 대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와 편조 시스의 기여, 및 2)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전체 인장 강도에 대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미늘들과 편조 시스의 기계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파괴 역학의 분석을 완료하기 위해, 데이터를 2개의 별개의 스테이지로 컴파일링하였다. 제1 시험 스테이지는 편조 봉합사 시편들(그룹 I)의 파괴 역학의 분석을 포함하였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그룹 I 시편은 무-미늘(barb-free) 모노필라멘트 코어 및 무-미늘 모노필라멘트 코어 위에 놓인 편조 시스를 포함하였다. 제2 시험 스테이지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 시편(그룹 II)의 파괴 역학의 분석을 포함하였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그룹 II 시편은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및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세장형 코어 위에 놓인 편조 시스를 포함하였다.
그룹 I 시편들은 5 내지 20 mil 범위의 직경을 가진 다양한 크기(예컨대, USP 5-0, 2-0, 1)를 갖는 무-미늘 모노필라멘트 코어, 및 다양한 밀도(예컨대, 56 또는 80 데니어 얀, 1- 또는 2-겹, 및 16 캐리어)를 갖는 편조 시스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13 내지 31 mil 범위의 직경을 가진 최종 복합 코어를 생성하였다. 그룹 I 시편들이 미늘을 갖지 않았다는 사실은 무-미늘 모노필라멘트 코어 및 모노필라멘트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기계적 결합을 평가할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그룹 I 시편의 구성은 무-미늘 모노필라멘트 코어가 편조 시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편조 봉합사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계적으로 시험되게 하였다.
기계적 파괴 시험을 완료하기 위해 수학식 Fcs = Fc + Fs (수학식 1)을 이용하였는데, 여기서 F cs 는 모노필라멘트 코어와 편조 시스 복합물의 조합된 인장 강도이고, F c 는 모노필라멘트 코어의 인장강도이며, F s 는 편조 시스의 인장 강도이다. 도 11은 F cs F c + F s 에 대한 플롯을 보여준다. 모든 플로팅된 점들은 원점을 통과하는 것과 동일한 기울기의 선에 속하도록 투영된다.
미늘을 갖지 않는 편조 봉합사(그룹 I 시편) 대 미늘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그룹 II 시편)의 파괴 역학의 평가. 그룹 I 시편 대 그룹 II 시편의 파괴 역학을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해, 그룹 I 및 그룹 II 시편들을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구성을 갖도록 제조하였다. 이어서, 그룹 I 시편(즉, Fcs) 대 그룹 II 시편(즉, Fbb)의 각자의 인장 강도들을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울기가 1이고 원점을 통과하는 기준선(이하 "기준선"이라 지칭됨)이 그려져 있는 F cs F bb 의 플롯이 구축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그룹 I 시편을 시험 후에, 데이터의 플롯은, 수학식 1에 의해 예측된 결과가 시험되었던 모든 시편들에 대해 들어맞는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룹 I 시편의 인장 강도가 무-미늘 모노필라멘트 코어 및 코어를 감싸는 편조 시스의 각자의 인장 강도들의 단순한 선형적인 합산이라는 것을 확인해준다. 시험 결과의 분석은 모노필라멘트 코어와 편조 시스 구성요소들 사이의 마찰력과 같은 임의의 다른 상당한 기계적 상호작용을 드러내지 않았다. 수학식 1이 입증된 상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추가의 기계적 파괴 시험을 수행하였다.
미늘을 갖지 않는 편조 봉합사(그룹 I 시편) 대 미늘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파괴 역학을 평가할 때, 이론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3개의 가능한 시나리오가 있다: 시나리오 #1) 데이터는 기준선 위에 놓이는 경향이 있어, 미늘 및 편조물의 상호작용이 수학식 1에 의해 예측되는 것에 비해 장치 인장 강도를 실제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내며; 시나리오 #2) 데이터는 기준선 상에 놓이는 경향이 있어, 이는 미늘이 수학식 1에 의해 예측된 것에 비해 인장 강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시나리오 #3) 데이터는 기준선 아래에 놓이는 경향이 있어, 미늘이 수학식 1에 의해 예측된 바와 같은 장치 인장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시험 결과들의 플롯이고, 시나리오 #2와 연관된 기준선을 도시한다. 시험 결과는 미늘의 존재가 봉합사의 인장 강도에 뚜렷한 영향을 제공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총 인장 강도는 편조 시스의 인장 강도와 합산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인장 강도의 조합과 동일하며, 이는 수학식 1과 일치한다.
시험 결과는 하기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첫째,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는 세장형 코어를 갖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이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시스 크기 및 상대적으로 더 작은 세장형 코어 크기(즉, 시스 대 코어 비)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공하는 것은 이상적인데, 그 이유는 이 설계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 부분의 고유 강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둘째, 주어진 직경에 대한 큰 편조 시스 대 세장형 코어 비의 이용은 더 큰 가요성(즉, 더 낮은 굽힘 강성)을 제공할 것이며, 이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취급 특성을 개선시킨다.
셋째, 편조 시스가 노출되고 수술 요원에 보이기 때문에, 검사 시 편조 시스의 임의의 손상이 명백하다. 따라서, 세장형 코어가 파단되는 있음직하지 않는 이벤트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양의 편조물은 장치의 인장 강도에서 최소 손실이 얻어지게 할 것이다. 손상 메커니즘에 대한 이러한 정도의 강건성은 더 작은 시스 대 코어 비를 갖는 편조 봉합사에 대해 달성될 수 없다.
넷째,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와 편조 시스 재료 사이의 물리적 상호작용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인장 강도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미늘 설계에 대한 미량의 조절은 인장 강도에 임의의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없다.
봉합사는 상이한 크기들, 즉 10-0, 9-0, 8-0, 7-0, 6-0, 5-0, 4-0, 3-0, 2-0, 0, 1, 2, 3, 4, 및 5로 나오는데, 이때 봉합사 크기는 10-0이 최소이고, 봉합사 크기 5가 최대이다. 봉합사 크기 3-0 및 2-0은 피부 폐쇄를 위해 종종 사용된다. 봉합사 크기 0 및 1은 크기 3-0 및 2-0보다 더 크고, 복부 수술 동안 그리고 무릎 및 고관절 수술에서 근막 층을 폐쇄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봉합사 크기 3-0, 2-0, 0, 및 1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코어(165)(도 6b)의 외경은 봉합사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봉합사 크기(예컨대, 크기 3-0)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외경을 갖는 복합 코어를 형성할 것이고, 더 큰 봉합사 크기(예컨대, 크기 1)는 상대적으로 더 큰 외경을 갖는 복합 코어를 형성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미늘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조직과 맞물릴 수 있도록 미늘이 충분한 거리만큼 복합 코어의 외경을 지나 외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늘의 팁이 복합 코어 내에 매립되는 경우(그리고 복합 코어의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 경우), 미늘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데 비효과적이게 될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36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326) 및 세장형 코어(326)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미늘 (328A, 328B)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320)(즉, 미늘-구비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미늘(328A, 328B)들은 제1 미늘(328A)의 팁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제2 미늘(328B)의 팁의 외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미늘 팁간 거리(BTTD)를 한정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362)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320)의 세장형 코어(326) 위에 편조된다. 세장형 코어(326)는 ECD로 지시되는 세장형 코어 직경을 정의하는 단면 치수를 갖는다. 세장형 코어(326)와 편조 시스(350)의 조합은 CCD로 지시되는 복합 코어 직경을 갖는 복합 코어(365)를 형성한다.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320)는 바람직하게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360)를 제자리에 정착시키도록 조직과 맞물리기 위해 복합 코어(365)의 외경을 지나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미늘(328A, 328B)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360)를 제자리에 정착시키도록 조직과 효과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미늘이 복합 코어로부터 충분한 거리로 돌출될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복합 코어(CCD)의 외경에 대한 미늘 팁간 거리(BTTD)를 위한 바람직한 비가 있다. 일반적으로, BTTD/CCD 비가 1:1에 가깝다면, 미늘(328A, 328B)들은 조직 내로 적절하게 정착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비가 더 크다면, 예컨대 약 1.90:1 내지 4.50:1인 경우, 미늘은 미늘이 조직 내로 효과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복합 코어의 외경을 지나 충분한 거리만큼 돌출될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42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코어(426) 및 세장형 코어(4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미늘(428A, 428B)들의 쌍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미늘(428A, 428B)들은 대략 33 mil의 미늘 팁간 거리(BTTD1)를 한정한다.
도 14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426)는 봉합사 크기 3-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1.86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1)을 갖는 제1 복합 코어(465A)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1)(3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1)(11.86 mil)의 비는 약 2.78: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426)는 봉합사 크기 2-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2.93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2)을 갖는 제2 복합 코어(465B)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1)(3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2)(12.93 mil)의 비는 약 2.55: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426)는 봉합사 크기 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5.07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3)을 갖는 제3 복합 코어(465C)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1)(3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3)(15.07 mil)의 비는 약 2.19: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426)는 봉합사 크기 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7.15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4)을 갖는 제4 복합 코어(465D)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1)(3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4)(17.15 mil)의 비는 약 1.92:1 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520)는 세장형 코어(526) 및 세장형 코어(5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미늘(528A, 528B)들의 쌍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미늘(528A, 528B)들은 대략 45 mil의 미늘 팁간 거리(BTTD2)를 한정한다.
도 15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526)는 봉합사 크기 3-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1.86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1)을 갖는 제1 복합 코어(565A)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2)(45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1)(11.86 mil)의 비는 약 3.79: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526)는 봉합사 크기 2-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2.93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2)을 갖는 제2 복합 코어(565B)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2)(45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2)(12.93 mil)의 비는 약 3.48: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526)는 봉합사 크기 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5.07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3)을 갖는 제3 복합 코어(565C)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2)(45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3)(15.07 mil)의 비는 약 2.99: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526)는 봉합사 크기 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7.15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3)을 갖는 제4 복합 코어(565D)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2)(45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4)(17.15 mil)의 비는 약 2.62:1 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620)는 세장형 코어(626) 및 세장형 코어(626)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및 제2 미늘(628A, 628B)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미늘(628A, 628B)들은 대략 53 mil의 미늘 팁간 거리(BTTD3)를 한정한다.
도 16b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626)는 봉합사 크기 3-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1.86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1)을 갖는 제1 복합 코어(665A)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3)(5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1)(11.86 mil)의 비는 약 4.47: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626)626 봉합사 크기 2-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2.93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2)을 갖는 제2 복합 코어(665B)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3)(5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2)(12.93 mil)의 비는 약 4.10: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626)는 봉합사 크기 0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5.07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3)을 갖는 제3 복합 코어(665C)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3)(5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3)(15.07 mil)의 비는 약 3.52:1 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626)는 봉합사 크기 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코어 둘레에 권취된 편조 시스는 17.15 mil의 복합 코어 직경(CCD3)을 갖는 제4 복합 코어(665D)를 한정한다. 미늘 팁간 거리(BTTD3)(53 mil) 대 복합 코어 직경(CCD4)(17.15 mil)의 비는 약 3.09:1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 편조 시스템(700)은 바람직하게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704)들의 연속 롤을 보유하는 스풀(702)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704)는,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2020년 6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9,649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본 출원과 함께 동일자로 출원된,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호(대리인 문서 번호 ETH6071USNP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몸체(706)를 통해 (방향(DIR1)으로) 지향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세장형 몸체(706)는 각자의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들의 세장형 코어들 둘레에 얀을 오버-브레이딩하기 위해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704)를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공급한다. 자동화 편조 시스템(700)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몸체(706) 및 브레이더 아일릿(708)을 둘러싸는 복수의 셔틀 캐리어(7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셔틀 캐리어(710)는 바람직하게는 그 상에 장착된 보빈(bobbin)(712)을 가지며, 이는 미늘-구비형 필라멘트 삽입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편조 시스를 형성하도록 미늘-구비형 필라멘트 삽입체(704) 둘레에 권취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공급되는 얀(714)을 보유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자동화 편조 시스템(700)에 의해 사용되는 오버-브레이딩 파라미터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704) 위에 형성되는 편조 시스의 품질 및 사양을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되고/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오버-브레이딩 파라미터는 사용되는 보빈(712)들의 개수 및 보빈들 상에 제공되는 얀(714)의 데니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데니어(D)는 섬유의 선형 질량 밀도에 대한 측정 단위이다. 이는 섬유의 9,000 미터당 질량(g)이다. 데니어 측정 단위는 자연적 기준에 기초하는데, 즉 견사의 단일 9,000 미터 길이의 스트랜드가 약 1g 중량이거나 대략 1 데니어이다. 데니어 단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 데니어 = 1g/9,000m = 0.11 mg/m.
일 실시 형태에서, 자동화 브레이딩 시스템(700)에서 사용되는 보빈(712)들의 개수는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 위에 형성되는 편조 시스의 밀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결정되고/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많은 보빈의 사용은 더 많은 얀이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지향되게 할 것이고, 이는 더 높은 필라멘트 밀도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며; 더 적은 보빈의 사용은 더 적은 얀이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지향되게 할 것이고, 이는 더 낮은 필라멘트 밀도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보빈(712)은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공급되는 얀(714)을 수용한다. 얀의 데니어는 브레이더 아일릿(708) 내로 지향되는 필라멘트들의 개수를 제어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얀(714) 내의 각각의 필라멘트는 대략 2 데니어이다. 따라서, 28 데니어 얀은 14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56 데니어 얀은 28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며, 80 데니어 얀은 40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얀(714)의 데니어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위에 형성되는 편조 시스의 밀도를 제어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위에 형성되는 편조 시스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계수될 수 있는 뚜렷한 픽들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픽"은 편조 시스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측정된 편조물의 하나의 반복을 의미하도록 정의된다. 용어 "인치당 픽"(PPI)은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장치의 1 인치에 걸쳐 편조 시스의 길이방향 축을 따른 픽들의 개수를 의미한다.
도 19는 편조물 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조 시스(862)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를 도시한다. 단일 픽의 시작 및 종료 지점들이 도 19에서 식별된다. 미늘 쌍들 사이의 거리(distance between barb pairs, DBBP)는 약 0.075 인치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시스(862)의 인치당 픽(PPI)을 결정하기 위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도 19)를 검사하는 데 픽 계수 시스템(855)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픽 계수 시스템(855)은 바람직하게는 편조 시스를 보기 위한 현미경(865), 현미경(865)에 의해 캡처된 편조 시스의 이미지를 보기 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875),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875) 상에 보여지는 편조 시스 상에 시각적 십자선(crosshair)을 생성하는 디지털 십자선 생성기(885), 및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도 19)의 편조 시스(862) 상에서 인치당 픽(PPI)을 계수함에 있어서 조작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즉, PPI 소프트웨어)을 동작시키는 컴퓨터(895)를 포함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875) 상에, 그 중에서도, 거리 측정치들을 표시하기 위해 PPI 소프트웨어가 열린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는 현미경(895)의 시야 내에 있는 현미경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는 고정 구성요소(예컨대, 접착 테이프, 클램프)에 의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가 현미경(865) 아래에 있고 편조 시스(862)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875) 내에 보이는 상태에서, 디지털 십자선 생성기는 바람직하게는 십자선을 편조 시스의 제1 픽의 시작부와 정렬시킨다. 도 21에서, 십자선은 편조 시스(862)의 제1 픽의 시작부를 나타내는 위치에서 교차하는 Y 축 및 X 축을 포함한다. 십자선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875) 상에 표시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픽 계수 시스템의 컴퓨터(895)는 편조 시스(862)의 X 축을 따라 1.00 인치가 측정될 때까지 X 축(도 21)을 따라 위치된 픽들의 개수를 계수한다. 도 23에서, 4개 픽의 시작 및 종료 위치들이 강조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4개 픽은 1.00 인치보다 더 큰 총 길이를 갖는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1 인치의 거리에 걸쳐 계수되는 픽의 총 개수가 계산되고, 인치당 픽(PPI) 값이 컴퓨터(895)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미늘(828A, 828B)들의 쌍들을 갖는다. 편조 시스(862)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DBBP로도 지칭되는 미늘 쌍들 사이의 거리는 대략 0.075 인치이다.
도 18,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자동화 편조 시스템(700)에 의해 사용되는 오버-브레이딩 파라미터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860)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가 크기 3-0이고 DBBP가 0.075 인치인 경우, 28 데니어 얀(즉, 14개의 필라멘트)을 보유하는 하나의 보빈(712)을 각각 고정하는 16개의 셔틀 캐리어(710)를 사용하는 편조 구성이 55 PPI(인치당 픽)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다. PPI 수는 PPI의 역인 0.0182의 픽당 인치(inch per pick, IPP) 값으로서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BBP/IPP 비는 0.075/0.0182 = 4.13일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가 크기 2-0이고 DBBP가 0.075 인치인 경우, 56 데니어 얀(즉, 28개의 필라멘트)을 보유하는 하나의 보빈(712)을 각각 고정하는 12개의 셔틀 캐리어(710)를 사용하는 편조 구성이 50 PPI(인치당 픽)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다. PPI 수는 PPI의 역인 0.0200의 픽당 인치(IPP) 값으로서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BBP/IPP 비는 0.075/0.0200 = 3.75일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가 크기 0이고 DBBP가 0.075 인치인 경우, 56 데니어 얀(즉, 28개의 필라멘트)을 보유하는 하나의 보빈(712)을 각각 고정하는 16개의 셔틀 캐리어(710)를 사용하는 편조 구성이 48 PPI(인치당 픽)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다. PPI 수는 PPI의 역인 0.0208의 픽당 인치(IPP) 값으로서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BBP/IPP 비는 0.075/0.0208 = 3.60일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가 크기 1이고 DBBP가 0.075 인치인 경우, 80 데니어 얀(즉, 40개의 필라멘트)을 보유하는 하나의 보빈(712)을 각각 고정하는 16개의 셔틀 캐리어(710)를 사용하는 편조 구성이 41 PPI(인치당 픽)를 갖는 편조 시스를 생성할 것이다. PPI 수는 PPI의 역인 0.0244의 픽당 인치(IPP) 값으로서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BBP/IPP 비는 0.075/0.0244 = 3.08일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DBBP/IPP 비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시스의 얀 아래에 미늘을 매립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는 오버-브레이딩 파라미터이다. DBBP/IPP 비가 너무 낮으면, 얀은 너무 촘촘히 편조될 것이고, 미늘을 매립시킬 가능성이 더 많다. 대조적으로, DBBP/IPP 비가 너무 높다면, 얀은 너무 성기게 오버-브레이딩될 것이고,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그의 존재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기계적 특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지 못할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바람직한 DBBP/IPP 비는 약 2.75 내지 4.50이다.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봉합사 크기에 따라, 얀의 데니어 및 사용되는 보빈들의 개수는 DBBP/IPP 비가 2.75 내지 4.50 데니어인 것을 보장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의 엔드 이펙터들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들(예컨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 타원, 다이아몬드, 반원 등)을 가질 수 있다. 엔드 이펙터는 또한 엔드 이펙터의 길이를 따라 엔드 이펙터의 측방향 폭을 수정하기 위한 경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102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엔드 이펙터(1032)를 갖는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1120)는 만곡된 표면을 한정하는 근위 단부(1135)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엔드 이펙터(1132)를 갖는다. 도 29를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서, 미늘-구비형 봉합사 삽입체(1220)는 만곡된 표면을 한정하는 근위 단부(1235)를 가진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엔드 이펙터(1232)를 갖는다.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편조 엔드 이펙터는 편조 엔드 이펙터에 접합되거나 용접되는 2개의 단부 부착편과 적층되거나 이에 의해 개재될 수 있다. 단부 부착편들은 바람직하게는 엔드 이펙터와 동일한 일반적인 형상(예컨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 타원, 다이아몬드, 반원 등)의 것이고, 미늘-구비형 봉합사 블랭크(100)/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단부 부착편들은,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10,336,001호 및 제D780,918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편조 엔드 이펙터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그리고 추가의 실시 형태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기본적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에 도시되거나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실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에 도시되거나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과 통합될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한다.

Claims (28)

  1.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braided barbed suture)로서,
    세장형 코어 두께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상기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복합 코어 두께를 갖는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braided sheath)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16 내지 0.91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24 내지 0.73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시스는 상기 세장형 코어를 감싸고, 상기 세장형 코어는 상기 복합 코어의 중심에 위치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제1 평면 내에서 상기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세장형 코어 및 상기 복합 코어의 상기 두께들은 상기 제1 평면에 직각인 제2 평면 내에 놓이는 축을 따라 측정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상기 세장형 코어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미늘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두께보다 더 큰 제1 두께를 갖는 내측 단부, 및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제1 두께보다 더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외측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미늘;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를 상기 세장형 코어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코어와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이 구역을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세장형 코어에 인접하여 더 얇고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더 두꺼우며, 상기 전이 구역은 상기 세장형 코어로부터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까지 넓어지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시스는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의 상기 세장형 코어 및 상기 전이 구역 둘레에 권취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편조 시스의 외측 주연부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PDS 모노필라멘트 코어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시스는 바이크릴(VICRYL) 멀티필라멘트 얀(yarn)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상기 편조 시스와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둘 모두에 대해 단일 파단점(breaking point)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코어는 볼록하게 만곡된 상부 표면 및 볼록하게 만곡된 저부 표면을 갖고,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두께는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볼록하게 만곡된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볼록하게 만곡된 저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코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 및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부 표면을 갖고, 상기 세장형 코어의 직경은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미늘 팁간 거리(barb tip-to-tip distance, BTTD)를 한정하는 미늘들의 쌍들을 한정하고, 상기 복합 코어는 복합 코어 직경(composite core diameter, CCD)을 가지며, 상기 복합 코어 직경(CCD)에 대한 상기 미늘 팁간 거리(BTTD)의 비는 약 1.92 내지 4.5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코어 직경(CCD)에 대한 상기 미늘 팁간 거리(BTTD)의 비는 약 2.5 내지 3.8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6.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로서,
    세장형 코어 두께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상기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방향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로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제1 평면 내에 놓이고,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는 상기 제1 평면에 직각인 제2 평면 내에 놓인 축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는 상기 복합 코어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편조 시스는 상기 세장형 코어를 감싸며, 상기 복합 코어는 상기 제1 평면에 직각인 상기 제2 평면 내에 놓인 상기 축을 따라 측정되는 복합 코어 두께를 갖고,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16 내지 0.91인, 상기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는 약 6 내지 8 mil이고, 상기 복합 코어 두께는 약 13 내지 18 mil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24 내지 0.73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보다 더 큰 각자의 두께들을 갖는 내측 단부들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와 제1 미늘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1 전이 구역으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상기 제1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까지 넓어지는, 상기 제1 전이 구역;
    상기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방향 측부와 제2 미늘의 내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전이 구역으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상기 제2 미늘의 상기 내측 단부까지 넓어지는, 상기 제2 전이 구역을 더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코어 및 상기 제1 및 제2 전이 구역들은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상부 측의 제1 오목 프로파일 및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저부 측의 제2 오목 프로파일을 한정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상기 편조 시스와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둘 모두에 대해 단일 파단점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PDS 모노필라멘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편조 시스는 바이크릴 멀티필라멘트 얀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4. 제16항에 있어서, 세장형 코어와 결합되는 엔드 이펙터(end effector)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는 상기 엔드 이펙터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엔드 이펙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세장형 코어의 제1 측방향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세장형 코어의 제2 측방향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날개들은 상기 세장형 코어보다 더 두꺼운,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5.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로서,
    세장형 코어 두께를 갖는 세장형 코어, 및 상기 세장형 코어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미늘들을 포함하는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로서, 상기 미늘들은 상기 세장형 코어의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보다 더 두꺼운 내측 단부들을 갖고,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는 오목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코어와 상기 미늘들의 상기 내측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이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의 복합 코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는 편조 시스로서, 상기 세장형 코어는 상기 복합 코어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편조 시스는 상기 세장형 코어를 둘러싸며, 상기 복합 코어는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16 내지 0.91인, 상기 편조 시스를 포함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늘들은 제1 평면 내에 놓이고,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 및 상기 복합 코어 두께는 상기 복수의 미늘들의 상기 제1 평면에 직각인 제2 평면 내에 놓이는 축을 따라 측정되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코어 두께에 대한 상기 세장형 코어 두께의 비는 약 0.24 내지 0.73인,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는 상기 편조 시스와 상기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 둘 모두에 대해 단일 파단점을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KR1020237001363A 2020-06-16 2021-06-11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KR20230025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9656P 2020-06-16 2020-06-16
US63/039,656 2020-06-16
US17/336,692 2021-06-02
US17/336,692 US20210386423A1 (en) 2020-06-16 2021-06-02 Braided barbed sutures having barbed monofilament inserts with concave core profiles
PCT/IB2021/055170 WO2021255603A1 (en) 2020-06-16 2021-06-11 Braided barbed sutures having barbed monofilament inserts with concave core prof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439A true KR20230025439A (ko) 2023-02-21

Family

ID=7882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363A KR20230025439A (ko) 2020-06-16 2021-06-11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86423A1 (ko)
EP (1) EP4164507A1 (ko)
JP (1) JP2023531609A (ko)
KR (1) KR20230025439A (ko)
CN (1) CN115701941A (ko)
AU (1) AU2021291798A1 (ko)
BR (1) BR112022025662A2 (ko)
MX (1) MX2022016175A (ko)
WO (1) WO2021255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6402S1 (en) * 2021-06-10 2023-01-24 Cilag Gmbh International Bidirectional barbed suture
EP4324408A1 (en) * 2022-02-25 2024-02-21 Genesis Medtech Surgical Device (Wuxi) Co., Ltd Medical suture yarn and medical sutur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0972A1 (de) 1980-08-16 1982-04-01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Stuttgart, 7410 Reutlingen Chirurgischer naehfaden
US6162537A (en) * 1996-11-12 2000-12-19 Solutia Inc. Implantable fibers and medical articles
MXPA04012293A (es) * 2002-06-07 2005-07-25 Marlen Andreevich Sulamanidze Hilo quirurgico aptos para cirugia cosmetica.
US8236027B2 (en) * 2004-04-07 2012-08-07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ES2638301T3 (es) * 2004-05-14 2017-10-19 Ethicon Llc Dispositivos de sutura
US8663277B2 (en) * 2005-06-29 2014-03-04 Ethicon, Inc. Braided barbed suture
WO2007131019A2 (en) * 2006-05-04 2007-11-15 Ethicon, Inc. Tissue hold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747436B2 (en) * 2007-06-13 2014-06-10 Ethicon, Inc. Bi-directional barbed suture
US20090099597A1 (en) * 2007-10-12 2009-04-16 Isse Nicanor G Suture assembly with tissue engaging elements
DE102007058256A1 (de) * 2007-11-26 2009-05-28 Aesculap Ag Chirurgische Fadengeflecht
DE102008057216A1 (de) * 2008-11-06 2010-05-12 Aesculap Ag Chirurgischer Faden mit Kern-Mantel-Aufbau
US8210085B2 (en) 2009-08-27 2012-07-03 Ethicon, Inc. Autom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braided barbed sutures
US9044224B2 (en) * 2010-04-12 2015-06-02 Covidien Lp Barbed medical device and method
US20130204295A1 (en) * 2010-05-05 2013-08-08 William L. Hunter Surface texture configuration for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20130079815A1 (en) * 2011-09-28 2013-03-28 Surgimatix, Inc. Interlocking Sutures
US11672529B2 (en) * 2012-09-17 2023-06-13 Cilag Gmbh International Barbed sutures having contoured barbs that facilitate passage through tissue and increase holding strength
EP2919665B1 (en) * 2012-11-19 2020-05-06 Covidien LP Concentric barbed suture
USD780918S1 (en) 2015-09-04 2017-03-07 Ethicon, Inc. Welded end effector
US10336001B2 (en) 2015-09-04 2019-07-02 Ethicon, Inc. End effector for wound closure device
US10258326B2 (en) * 2016-02-08 2019-04-16 Ethicon, Inc. Elastic tissue reinforcing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1609A (ja) 2023-07-25
WO2021255603A1 (en) 2021-12-23
US20210386423A1 (en) 2021-12-16
EP4164507A1 (en) 2023-04-19
CN115701941A (zh) 2023-02-14
MX2022016175A (es) 2023-04-20
AU2021291798A1 (en) 2023-02-23
BR112022025662A2 (pt)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8540B2 (ja) バーブ付き縫合糸
JP5710679B2 (ja) 返しとげ付き縫合糸用返しとげ構成体
US8734485B2 (en) Sutures with barbs that overlap and cover projections
EP2201900B1 (en) Suturing construct with spliced tails
KR20230025439A (ko) 오목 코어 프로파일을 가진 미늘-구비형 모노필라멘트 삽입체를 갖는 편조 미늘-구비형 봉합사
EP2687238B1 (en) Bioresorbable suture thread and production method for bioresorbable suture thread
US11103292B2 (en) Bone cerclage constructs and methods
AU2013200710B2 (en)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