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974A -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974A
KR20230024974A KR1020237001041A KR20237001041A KR20230024974A KR 20230024974 A KR20230024974 A KR 20230024974A KR 1020237001041 A KR1020237001041 A KR 1020237001041A KR 20237001041 A KR20237001041 A KR 20237001041A KR 20230024974 A KR20230024974 A KR 20230024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units
resource
data
resource unit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민 리
지펑 위안
이화 마
지강 리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2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06월 12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538212.0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경우, 트래픽 전송 수요가 있는 상황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자원 및 파일럿 등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경쟁 액세스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송신기가 선택한 자원은 충돌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불안정하거나 전송이 실패하게 되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출원은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을 통해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 정보를 운반하여, 수신기가 전반적인 수신과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용량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송신기에 응용되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수신기에 응용되며,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결정 모듈-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신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여기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모순되지 않을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설명해야 할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전체 구조가 아닌 본 출원과 관련된 일부 구조만 도시하였다.
비승인 전송(Grant-free transmission)의 경우, 송신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는 스케줄링 요청을 송신하지 않고 동적 스케줄링을 기다릴 필요없이,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비승인 전송은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기의 전력소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비승인 전송은 비직교 전송과 결합되어,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송신기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승인 전송은 사전에 구성된(Semi-persistent Scheduling, 또는 Configured Grant) 비승인과 경쟁 기반(Contention-based) 비승인 등 두 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전에 구성된 비승인의 경우, 수신기(예를 들어 기지국)는 각 송신기에 시간 주파수 자원 및 파일럿 시퀀스 등을 미리 구성하거나 반영구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송신기가 상이한 시간 주파수 자원 및/또는 파일럿 시퀀스를 사용하도록 하여, 송신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 및 검출을 수행하도록 충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은 주기적이고, 주기적 트래픽에 비교적 적합하지만, 랜덤 버스트 트래픽에 사용될 경우 전송 효율이 비교적 낮고, 지연이 비교적 크다. 그러나, 경쟁 비승인의 경우, 송신기에 트래픽 전송 수요가 있을 경우, 시간 주파수 자원과 파일럿 시퀀스 등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경쟁 액세스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복수의 송신기가 사용하는 시간 주파수 자원, 파일럿 시퀀스 등이 충돌할 수 있으며, 수신기는 더 복잡한 블라인드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송신기에 대한 사용자 식별 및 검출을 구현해야 하고; 경쟁 기반 비승인은 랜덤 버스트 트래픽에 더 적합하며, 더 우수한 전송 효율과 보다 더 낮은 지연을 구비한다.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경우, 복수의 송신기가 사용하는 자원이 충돌하게 되면, 이러한 송신기의 데이터 전송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을 통해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 정보를 운반하여, 수신기가 전반적인 수신과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하며, 나아가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단계(110) 내지 단계(130)를 포함한다.
단계(110)에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단계(120)에서,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30)에서,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운반하며, 수신기의 처리에 신뢰성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의 기초상에서, 송신기가 특정 자원 유닛에서 기타 송신기와 충돌하지 않는 한, 해당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기에서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으며(신호 품질이 좋지 못하고, 간섭 또는 잡음의 영향을 받는 등 네트워크의 기타 요소가 불안정적인 경우를 제외함), 나아가 수신기는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해당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 유닛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시키며,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단계(110)와 단계(120)의 수행 순서를 한정하지 않으며, 즉, 송신기는 먼저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그 다음 해당 N개의 자원 유닛에 따라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할 수 있고; 먼저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고, 그 다음 해당 M개의 데이터 블록에 따라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먼저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고, 수행 과정에서 일부를 처리한 후,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며, 다음 계속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의 기타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10)는,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전송해야 하는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정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는 M개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블록 중 일부 비트의 비트 값을 통해,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며, 또는 N개의 자원 유닛 중의 시작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고; 또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블록 중의 일부 비트를 통해, 비트맵의 형식으로 어느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데이터 블록 등을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송신기는 각각의 데이터 블록 중의 이러한 비트 값에 따라, N개의 자원 유닛의 모든 위치를 결정하고, 다음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10)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결정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전송될 데이터 블록의 개수 M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결정하고, 구성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며; 먼저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고, 다음 데이터 블록의 개수 M에 따라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M=2이면, N=2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2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M과 N은 같을 수 있거나 같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전송 방안에 따라 N을 결정할 수 있다. M가 N보다 작으면, 자원 유닛이 비교적 충분하므로,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반복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M가 N보다 크면, 자원 유닛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을 중첩하여 송신할 수 있거나, 시간 도메인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20)는, M개의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각각의 데이터 그룹에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각각 추가하여,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그 다음, 송신될 M개의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며, 각각의 송신될 데이터 그룹의 기초상에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일부 비트를 추가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데이터 그룹에 일부 비트를 추가하여, 현재 데이터 블록이 사용하는 자원 유닛 외에 사용되고 있는 기타 자원 유닛의 개수(N-1)를 지시하고, N-1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은 등가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후자는 오버헤드가 약간 작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지정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지정 비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운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 비트는 암시적 지시 비트 또는 명시적 지시 비트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암시적 지시 비트일 수 있으며, 즉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기존의 의미를 갖는 데이터 비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정보를 운반하는 동시에,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며; 지정 비트는 명시적 지시 비트, 즉 송신될 데이터 그룹의 기초상에서 추가된 데이터 비트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공통 데이터 중의 데이터 비트이고, 여기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M개의 데이터 블록에 각각 포함되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M개의 데이터 블록에 각각 포함되는 공통 데이터 중의 데이터 비트일 수 있으며, 즉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해당 공통 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공통 데이터 중의 일부 데이터 비트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지정 비트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비트;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3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X개의 비트 그룹-여기서,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4 비트 및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5 비트; 중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제1 비트 및 제2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비트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2 비트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또는, 지정 비트는 제3 비트 및 적어도 하나의 비트 그룹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3 비트는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X개의 비트 그룹은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또는 지정 비트는 제1 비트맵을 포함하고, 제1 비트맵은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또는 지정 비트는 제4 비트 및 제5 비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4 비트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제5 비트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10)는 상기 지정 비트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맵의 값이 모두 0이거나 값이 1인 개수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제1 비트맵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제1 비트맵은 "01010101"이고, 여기서 값이 0인 것은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값이 1인 것은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함을 나타내며, 해당 제1 비트맵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를 4개로 결정할 수 있고, 각각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여덟 번째 자원 유닛이다. 비트맵의 방식을 이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동시에 지시할 수 있고, 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동시에 자원 유닛의 개수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제1 비트맵 중의 값이 모두 0이거나 값이 1인 개수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규칙을 사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트맵 중의 값이 모두 0인 경우, 모든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지정된 개수 및 지정된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데이터 블록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외에,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송신기에 대해 임의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미리 구성하지 않고,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중의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결정하거나, 송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지시 정보를 데이터 블록에 추가한다. 일 예시에서, 송신기에 대해 하나의 자원 유닛 풀(전체적인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라고도 함)을 미리 구성할 수 있고, 데이터 블록 중의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자원 유닛 풀로부터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부분적인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 또는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라고도 칭함)을 결정하거나, 송신기는 해당 자원 유닛 풀로부터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지시 정보를 데이터 블록에 추가한다. 송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는 N보다 크거나 같다.
일 실시예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대역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본 실시예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은 일정한 대역폭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관련되므로,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비교적 강한 관련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수신기의 처리 및 구현을 간소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및/또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와 시퀀스 정보; 현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현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 현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와 시퀀스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기가 송신기에 대한 신원 식별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예를 들어 지정 메시지, 트래픽 데이터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수신기가 디코딩 및 처리를 수행한 후 상응하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30)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각각 처리한 다음,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의 대응되는 자원 유닛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는 인코딩, 스크램블링(부분 스크램블링을 포함함), 변조, 확장, 인터리빙, 프리코딩, 중첩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송신한 M개의 데이터 블록은 동일하며, 즉, 송신기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 D를 각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하므로,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 상황에서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송신기는 단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할 데이터 블록 D를 획득한 다음, 각 자원 유닛에서 해당 데이터 블록 D를 각각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으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다. 여기서, 지정 비트 그룹 0은 A개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A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A의 값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와 관련되고, 예를 들어, 4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다고 가정하면, A=2개 비트를 사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00", "01", "10", "11"은 자원 유닛의 개수 N=1, N=2, N=3, N=4를 각각 지시함)을 지시할수 있으며;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다고 가정하면, A=3개 비트를 사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N(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에 따라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정 비트 그룹 1~N은 A개의 비트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의 비트 그룹은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며, 해당 위치 정보는 하나의 자원 유닛의 인덱스일 수 있다.
여기서, 지정 비트 그룹 1~N은 연속된 N개의 비트 그룹일 수 있고, 연속적인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하나의 경우, 예를 들어, 연속된 N개의 비트 그룹 중의 비트는 모두 상이하고, 상이한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면, N개의 비트 그룹은 지정 비트로서,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비트 그룹과 이전의 특정 비트 그룹 중의 비트가 동일하면, 양자는 동일한 위치를 지시하고, 이러한 경우, 해당 비트 그룹을 사용하여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지 않고, 연기할 수 있으며, 다음의 비트 그룹이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다음의 비트 그룹과 이전의 비트 그룹 중의 비트가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N개의 비트 그룹을 사용하여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거나 결정할 때까지,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비트 그룹과 이전의 특정 비트 그룹 중의 비트가 동일하더라도, 즉 양자가 동일한 위치를 지시하더라도, 해당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기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가 사용하는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에 대해 알지 못하며, 어느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수 있는지도 불확실하기 때문에, 송신기는 각각의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 D에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수신기가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신뢰성 있는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3 비트)에 따라,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X는 1보다 크거나 같으며;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X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여기서, 비트 그룹 1~X 중의 각각의 비트 그룹은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며, 해당 위치 정보는 하나의 자원 유닛의 인덱스일 수 있다.
지정 비트 그룹 1~X 중의 비트가 모두 상이하면, 모두 직접 사용할 수 있고, X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정 비트 그룹 1~X 중의 일부 비트 그룹 중의 비트는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비트 그룹과 이전의 특정 비트 그룹 중의 비트가 동일하면, 양자는 동일한 위치를 지시하고, 이러한 경우, 해당 하나의 비트 그룹을 사용하여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지 않는다. 비트 그룹 중의 특정 비트 그룹 또는 일부 비트 그룹을 사용하지 않으면, 실제로 결정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는 X보다 작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그룹 X는 N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고, 1<=N<=X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 그룹 0은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비트 그룹의 개수가 X임을 지시하고, 해당 X개의 지정 비트 그룹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예시에서, 지정 비트 그룹 0과 지정 비트 그룹 1~X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및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을 공동으로 결정하고, 즉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해당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공동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지정 비트 그룹 1~X는 연속된 X개의 비트 그룹일 수 있고, 연속적인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비트 그룹 사이에는 지정된 간격이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2A에 도시된 예시에서, 데이터 블록 D의 마지막 위치 또는 지정 위치까지 연기되어도, 조건(상이함)을 충족하는 N개의 비트 그룹을 찾지 못하여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거나 결정하지 못한다면, 실제로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는 N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으며;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연속된 자원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한 후, 송신기는 첫 번째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N개의 자원 유닛을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한다. 사용 가능한 마지막 자원 유닛까지, 연속된 N개의 자원 유닛을 획득하지 못한다면, 첫 번째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자원 유닛을 획득하고, 이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하거나 획득한 N개의 자원 유닛이 순환적으로 연속되는 것에 해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한 후, 송신기는 첫 번째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간격을 갖는 N개의 자원 유닛을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한다. 유사하게,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순환적으로 획득한 자원 유닛과 이전에 결정된 자원 유닛이 동일하면, 해당 자원 유닛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이전에 결정된 자원 유닛과 상이한 다음의 자원 유닛으로 연기할 수 있고, 해당 자원 유닛을 기준으로 하여 지정된 간격을 만족하는 다음의 자원 유닛을 획득한다. 여기서, 지정된 간격은 미리 설정되거나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2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 그룹 1은 N개의 자원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지정된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여기서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경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무작위성은 좋지 못하게 되지만,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의 관련성은 더 좋아진다.
도 2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제1 비트맵(BitMap)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해당 비트맵은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된 T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T의 값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다고 가정하면, T=8이고, 해당 비트맵의 하나의 예시는 "01010101"이며, 값이 0인 위치는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값이 1인 위치는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함을 나타내므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는 4이고, 각각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및 여덟 번째 자원 유닛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트맵의 방식을 사용하면,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동시에 지시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동시에 자원 유닛의 개수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비트맵은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중의 기존의 의미를 갖는 데이터 비트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제1 비트맵 중의 비트가 모두 0이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자원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비트 반전을 수행한 것에 해당하며, 획득된 비트는 모두 1이고; 또는, 지정된 개수와 지정된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예를 들어 지정된 위치에 있는 하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지정된 위치에 있는 2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며, 홀수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짝수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며, 또는 전방, 후방 또는 중간에 위치하는 지정된 개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한다.
제1 비트맵 중의 비트가 모두 1인 경우(또는 1인 비트가 일정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모든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싶지 않으면(또는 일정한 개수를 초과하는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개수와 지정된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에 대해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을 V보다 작거나 같게 하고, 여기서 V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의 1/2, 1/3 등일 수 있다. 송신기에 의해 결정된 자원 유닛의 개수 N이 V보다 큰 경우, N=V라고 할 수 있고, 다음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의 비트 개수를 제한하여, N의 값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고,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를 최대 4로 제한한다고 가정하면, 2비트를 포함하는 비트 그룹 0만을 사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고,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각각의 비트 그룹은 여전히 3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비트 그룹 0과 기타 비트 그룹에 포함하는 비트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2D의 예시에서, T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에 따라 결정된 자원 유닛의 개수 N이 V보다 큰 경우, 지정된 위치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비트가 0인 경우, 짝수 위치의 V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을 사용하고; 첫 번째 비트가 1인 경우, 홀수 위치의 V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을 사용하며; 또는 앞의 2개의 비트가 00, 01, 10, 또는 11인 경우, 홀수 위치의 V개의 비트, 짝수 위치의 V개의 비트, 앞의 V개의 비트 또는 뒤의 V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을 각각 사용하고, 즉 제1 비트맵 중의 지정 비트를 이용하여 지정된 위치의 비트로 구성된 새로운 비트맵을 지시하며, 해당 새로운 비트맵은 실제로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2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4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데이터 블록 D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5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N개의 자원 유닛은 해당 첫 번째 자원 유닛과 해당 마지막 자원 유닛 사이의 모든 연속된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일 수 있다.
도 2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은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또는 부분적인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V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맵에 해당함)은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해당 비트맵은 비트 그룹 0이 지시하는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위치에 있는 V개의 자원 유닛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비트맵은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즉 비트 그룹 0에 따라 비트맵에 대응되는 자원 유닛 중의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하고, 비트맵에 따라 대응되는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송신기에 대해 구성한 전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일 수 있음)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할 수 있거나, 비트맵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과 순환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되고, 지정 비트 그룹 0에 따라 전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며, 비트맵에 따라 대응되는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 그룹 0, 지정 비트 그룹 1, ?? 등은 데이터 블록 D의 헤드로부터 시작되거나, 데이터 블록 D의 테일 또는 지정된 위치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으며, 지정된 규칙에 따라 분포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블록 D의 테일로부터 시작하여, 테일에서 헤드로의 방향으로 각각 지정 비트 그룹 0, 지정 비트 그룹 1, ?? 등일 수 있다. 지정 비트 그룹 1과 지정 비트 그룹 0은 인접할 수 있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지정 비트 그룹 1은 지정된 위치로부터 시작될 수 있고, 또는 지정 비트 그룹 1과 지정 비트 그룹 0 사이에는 지정된 간격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비트맵도 지정된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블록 D의 테일에 있는 T개의 비트는 테일에서 헤드로의 방향으로 각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사용 상황을 각각 지시하거나, 헤드에서 테일로의 방향으로 각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사용 상황을 각각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의 지정 비트를 통해 자원 유닛의 개수 N-1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데이터 블록이 사용하는 자원 유닛 외에, 기타 N-1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N이 고정값인 경우, 자원 유닛의 개수를 지시하지 않고,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만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맵은 자원 패턴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자원 패턴은 미리 구성되거나 반정적으로 구성되거나 지정된 규칙에 따라 획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조합하여 지정된 조합 형태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는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블록 D는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어느 송신기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블록 D는 언코딩된 데이터 블록, 인코딩되기 전의 데이터 블록 또는 인코딩된 후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지정 비트는 데이터 블록 D 중의 유효 데이터의 데이터 비트,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비트 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비트는 기존의 의미를 갖지만,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암시적으로 지시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예를 들어 프리앰블, 파일럿, 참조신호 등) 정보, 시퀀스(예를 들어 확장 시퀀스, 인터리빙 시퀀스, 스크램블링 시퀀스, 시퀀스 집합 등)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운반하면, 수신기의 처리에 대해 신뢰성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고, 수신기는 하나의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한 후, 이러한 정보에 따라 전송 심볼을 재구성하고 간섭을 제거하여 기타 자원 유닛의 데이터 디코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은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할 수 있고, n 번째 자원 유닛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은 현재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만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1<=n<=N이고, 이러한 경우, n 번째 자원 유닛에서 디코딩이 완료된 후, 기타 자원 유닛의 데이터 디코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와 시퀀스 정보 사이에 지정된 연관 관계가 존재하면, 데이터 블록 D는 파일럿 정보 또는 시퀀스 정보만을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와 유사한 비트 그룹의 형태일 수 있거나, 상기 임의의 실시예와 유사한 비트맵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데이터 중의 기존의 의미를 갖는 데이터 비트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암시적인 방식으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추가된 비트일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이가 각 자원 유닛에서 사용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무작위로 생성하거나 무작위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에 상응하는 비트를 추가하여, 명시적인 방식으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 다중화, 즉 일부 비트를 통해 복수의 정보를 동시에 지시하거나 운반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은 주파수 도메인상의 복수의 자원 유닛, 시간 도메인상의 복수의 자원 유닛, 또는 시간 주파수 도메인상의 복수의 자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은 관련되거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은 관련된 대역폭 및/또는 관련된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은 관련되거나 관련된 대역폭 및/또는 관련된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은 미리 구성되거나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은 송신기에 의해 자발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수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개수 또는 범위에 대해 알지 못하며, 이러한 경우,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 블록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전체 대역폭의 첫 번째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위치에 대한 오프셋, 또는 시작 자원 유닛의 인덱스 등을 운반할 수 있고; 도 2F에 도시된 예시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블록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를 운반할 수도 있고; 암시적인 방식 또는 명시적인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개수 또는 범위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를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하여, N 번의 전송을 형성할 수 있고, N개의 자원 유닛이 시간 도메인상의 N개의 자원 유닛인 경우(주파수 도메인 위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함), 해당 N 번의 전송은 첫 번째 전송과 재전송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송신기는 재전송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N개의 자원 유닛의 시간 도메인 간격 또는 기타 지정 비트에 따라 특정 재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에 대해 낮은 코드율 인코딩을 수행한 후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 중의 비트를 이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 등을 암시적으로 지시하므로, 지시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송신될 것이다. 송신기가 각 자원 유닛에서 송신하는 M개의 데이터 블록은 동일하고, 즉, 송신기는 동일한 데이터 블록 D를 각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 상황에서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고, 송신기가 무작위로 선택한 자원 유닛의 개수가 3이라고 가정하면,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3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예를 들어 각각 자원 유닛 1, 자원 유닛 3, 자원 유닛 6이다. 다음, 송신기는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될 데이터 블록 D를 획득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를 각각 송신한다.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먼저 송신될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며,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N(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을 추가하여, 각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하고, 해당 위치 정보는 하나의 자원 유닛의 인덱스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블록 D를 형성한다. 여기서, 비트 그룹 0과 비트 그룹 1~N에 포함되는 비트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가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송신기가 사용하는 자원 유닛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송신기가 최종적으로 형성하는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각 송신기의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비트 패딩을 고려할 수 있다.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가 사용하는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에 대해 알지 못하며, 어느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이 정확하게 디코딩될 수 있는지도 불확실하기 때문에, 각각의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 D을 통해 지시함으로써, 수신기가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한다.
도 3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먼저 송신될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3 비트)을 추가하여,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며,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X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한다.
도 3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해당 데이터 그룹에 제1 비트맵을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를 형성한다. 해당 제1 비트맵은 T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T의 값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와 관련되고, 예를 들어 상기 예시에 따라,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 중의 첫 번째, 세 번째, 여섯 번째 자원 유닛을 사용하면, T=8이고, 해당 비트맵은 "10100100"일 수 있으며, 값이 0인 위치는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값이 1인 위치는 대응되는 위치의 자원 유닛을 사용함을 나타낸다. 비트맵의 방식을 사용하면,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동시에 지시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동시에 자원 유닛의 개수를 암시적으로 지시한다. 해당 예시에서, 비트맵을 사용하여, N개의 자원 유닛을 지시함으로써, 비교적 작고 고정된 지시 오버헤드를 구비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고, 송신기가 무작위로 결정하거나 선택한 자원 유닛의 개수는 N=3이고,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무작위로 결정하거나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3개의 자원 유닛을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3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은 자원 유닛 2이면, 자원 유닛 2, 3, 4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3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한다. 다음 송신기는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될 데이터 블록 D를 획득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를 각각 송신한다.
도 3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며,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을 추가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고, 해당 위치 정보는 하나의 자원 유닛의 인덱스일 수 있으므로, 데이터 블록 D를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결정된 첫 번째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간격을 갖는 N개의 자원 유닛을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정된 간격은 미리 설정되거나, 송신될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2를 추가하여 지시될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N개의 자원 유닛 중 임의의 하나의 지정된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하여, 비트 그룹 1을 통해 지시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하여 지시하는 경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고 고정된 지시 오버헤드를 구비하게 되므로, N개의 자원 유닛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을 더 쉽게 보장하고, 단점은 자원 유닛의 위치의 무작위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 3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의 기초상에서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4 비트)을 추가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고; 지정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5 비트)을 추가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 중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한다. 송신기가 사용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은 해당 첫 번째 자원 유닛과 해당 마지막 자원 유닛 사이의 모든 연속된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에 대해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을 V보다 작거나 같게 하고, 여기서 V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1/2, 1/3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8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이 있다고 가정하면, 송신기는 그 중에서 하나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시작 자원 유닛으로 사용하고,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위치에 있는 V개의 자원 유닛을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또는 부분적인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 사용하며, 예를 들어, 자원 유닛 3을 시작 자원 유닛으로 사용하고, 자원 유닛 3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4개의 자원 유닛(즉, 자원 유닛 3, 4, 5, 6)을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 사용한다. 다음 송신기는 이러한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를 N=2로 무작위로 선택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2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으로 사용하며, 예를 들어 자원 유닛 3, 5이다. 유사하게,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송신기는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될 데이터 블록 D를 획득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를 각각 송신한다.
도 3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추가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즉,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며, 해당 데이터 그룹에 비트맵(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맵)을 추가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 중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를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도 비교적 작고 고정된 지시 오버헤드를 구비하게 되므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유닛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리하고, 자원 유닛의 위치는 더 좋은 무작위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은 자원 유닛의 개수 N-1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자원 유닛 외에, 기타 N-1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에 의해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가 고정될 수 있으면, 송신될 데이터 그룹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지 않을 수 있고, 비트만을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가 모든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게 되면, 송신될 데이터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를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추가된 비트는 데이터 블록 D의 헤드에 추가될 수 있고, 데이터 블록 D의 테일 또는 지정된 위치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지정된 규칙에 따라 분포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블록 D의 테일에 추가되면, 테일에서 헤드로의 방향으로 각각 비트 그룹 0, 비트 그룹 1, .. 등일 수 있다.
유사하게, 비트맵의 방식의 경우, 비트맵은 지정된 위치에 추가되고 지정된 규칙에 따라 분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데이터 그룹의 테일에 T개의 비트를 추가하고, 테일에서 헤드로의 방향으로 각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사용 상황을 각각 지시하거나, 헤드에서 테일로의 방향으로 각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사용 상황을 각각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될 데이터 그룹은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될 데이터 그룹은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어느 송신기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송신될 데이터 그룹은 언코딩된 데이터 블록, 인코딩되기 전의 데이터 블록 또는 인코딩된 후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예를 들어 프리앰블, 파일럿, 참조신호 등) 정보, 시퀀스(예를 들어 확장 시퀀스, 인터리빙 시퀀스, 스크램블링 시퀀스, 시퀀스 집합 등)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운반하면, 수신기가 하나의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한 후, 전송 심볼을 재구성하고 간섭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며, 기타 자원 유닛의 데이터 디코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데이터 블록은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할 수 있고, n 번째 자원 유닛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블록은 현재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만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1<=n<=N이고, 이러한 경우, n 번째 자원 유닛에서 디코딩이 완료된 후, 기타 자원 유닛의 데이터 디코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와 시퀀스 정보 사이에 지정된 연관 관계가 존재하면, 데이터 블록 D는 파일럿 정보 또는 시퀀스 정보만을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 중의 비트 그룹의 형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실시예 중의 비트맵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데이터 중의 기존의 의미를 갖는 데이터 비트로부터 유래될 수 있고, 암시적인 방식으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하는 비트는 추가된 비트일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이가 각 자원 유닛에서 사용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무작위로 생성하거나 무작위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에 상응하는 비트를 추가하여, 명시적인 방식으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 다중화, 즉 일부 비트를 통해 복수의 정보를 동시에 지시하거나 운반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자원 유닛의 채널은 관련되거나 관련된 대역폭 및/또는 관련된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다. 송신기는 일정한 제어를 적용하거나 지정된 규칙에 따라 이러한 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될 데이터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 등을 명시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사용되는 자원 유닛을 제어하는데 유리하고, 효과적인 지시를 수행할 수 있지만, 지시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기는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M개의 상이한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므로,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 상황에서의 전송 용량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고, 각 자원 유닛에서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며, 다음 각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각각 송신할 것이고, 해당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일부 데이터는 동일할 수 있으며, 공통 데이터라고 한다. 해당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공통 데이터를 통해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를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운반할 수도 있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으며,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N(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에 따라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고, 다음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3 비트)에 따라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결정할 수 있고, X는 1보다 크거나 같으며,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X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비트 그룹과 이전의 특정 비트 그룹 중의 비트가 동일하면, 양자는 동일한 위치를 지시하고, 해당 하나의 비트 그룹을 사용하여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지 않으며, 비트 그룹의 연기도 수행하지 않는다. 지정 비트 그룹 X는 N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고, 1<=N<=X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 그룹 0과 지정 비트 그룹 1~X에 따라 자원 유닛의 개수 및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공동으로 결정하고, 즉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해당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공동으로 결정한다. 다음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거나 같으며;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송신기는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거나,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N개의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을 사용한다. 여기서, 지정된 간격은 미리 설정되거나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2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N개의 자원 유닛을 순환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수신기는 특정 자원 유닛에서 특정 데이터 블록에 대한 디코딩을 완료한 후, 송신기가 사용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및 현재 자원 유닛에 따라 송신기가 사용한 기타 자원 유닛을 추론할 수 있고, 다음 이러한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을 추가로 디코딩할 수 있다.
도 4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제1 비트맵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해당 비트맵은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된 T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다음,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맵 중의 비트가 모두 0인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비트맵 중의 비트가 모두 1(또는 1인 비트가 일정한 개수를 초과함)인 경우, 모든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싶지 않으면(또는 일정한 개수를 초과하는 자원 유닛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4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5 비트)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한다. 송신기가 사용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은 해당 첫 번째 자원 유닛과 해당 마지막 자원 유닛 사이의 모든 연속된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에 대해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을 V보다 작거나 같게 하고, 여기서 V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1/2, 1/3 등일 수 있다.
도 4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공통 데이터 중의 지정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에 따라 비트맵에 대응되는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공통 데이터 중의 V개의 비트로 구성된 비트맵(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맵)에 따라 대응되는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은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유효 데이터는 상이할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어느 송신기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공통 데이터는 이러한 데이터 블록이 모두 운반해야 하는 데이터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 특정된 지정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블록은 언코딩된 데이터 블록, 인코딩되기 전의 데이터 블록 또는 인코딩된 후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과 같고,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1, D_2, ..., D_N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원 유닛에서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보다 작고,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전송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보다 크고,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중첩 전송의 방식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일부 데이터 블록을 먼저 송신하고, 나머지 데이터 블록은 추후 전송 시각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는 N개의 자원 유닛 또는 현재 전송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할 수도 있다.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공통 데이터 또는 기타 기존의 의미를 갖는 데이터 비트를 통해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거나, 각 데이터 블록에 비트를 각각 추가하여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의 경우, 그 중의 하나의 데이터 블록만이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할 수 있고, 기타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지 않거나, 신원 식별정보의 부분 정보를 운반하거나, 소량의 신원 체크 정보를 운반한다. 수신기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고려하여, 두 가지 크기의 데이터 블록에 대해 디코딩을 각각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운반하지 않고, 기타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복수의 데이터 블록 중의 공통 데이터 부분의 비트를 이용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 등을 암시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시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기는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M개의 상이한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기 때문에,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 상황에서의 전송 용량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먼저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다음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고,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고,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가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N라고 가정하면, 해당 개수 N에 따라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를 N으로 결정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무작위로 선택한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먼저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은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전송될 것이며, 다음, 송신기는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N(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을 추가하여, 각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여기서, 각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는 비트는 동일하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3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X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및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도 5C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제1 비트맵을 각각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선택하고, 전송에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무작위로 선택하며,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N개의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간격을 갖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전송에 사용되는 N개의 자원 유닛으로 결정한다.
도 5D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2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전송에 사용되는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지정된 간격은 미리 설정되거나,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2를 각각 추가하여 해당 지정된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수신기는 특정 자원 유닛에서 특정 데이터 블록에 대한 디코딩을 완료한 후, 송신기가 사용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및 현재 자원 유닛에 따라 송신기가 사용한 기타 자원 유닛을 추론할 수 있고, 다음 이러한 자원 유닛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을 추가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에 대해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을 V보다 작거나 같게 하고, 여기서 V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1/2, 1/3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하나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시작 자원 유닛으로 사용하고, 해당 자원 유닛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위치에 있는 V개의 자원 유닛을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송신기는 이러한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으로부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즉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맵(즉, 지정 비트 중의 제1 비트맵)을 각각 추가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 중의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및 각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도 5F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정 비트의 개략도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즉, 지정 비트 중의 제4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N개의 자원 유닛 중의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1(즉, 지정 비트 중의 제5 비트)을 각각 추가하여, N개의 자원 유닛 중의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송신기가 사용한 N개의 자원 유닛은 해당 첫 번째 자원 유닛과 해당 마지막 자원 유닛 사이의 모든 연속된 자원 유닛 또는 지정된 간격을 갖는 자원 유닛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가 n 번째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 블록 D_m을 송신하는 경우, 송신기는 데이터 블록 D_m을 통해 n 번째 자원 유닛 이외의 기타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만을 운반하고, 현재 n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운반하지 않으므로,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으며, 여기서 1<=n<=N이고, 1<=m<=M이다. 구체적으로,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M을 획득하고,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비트 그룹 0을 각각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또는 N-1(양자가 등가적인 것으로 사료될 수 있음)을 지시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N-1개의 비트 그룹을 각각 추가하여, 현재 자원 유닛 이외의 기타 자원 유닛의 위치 정보를 각각 지시함으로써,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을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는 비트는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에 의해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가 고정될 수 있으면, 송신될 데이터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를 지시하지 않을 수 있고, 비트만을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가 모든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게 되면, 송신될 데이터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와 위치를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은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유효 데이터는 상이할 수 있다. M개의 데이터 블록은 모두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가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어느 송신기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개의 데이터 블록은 언코딩된 데이터 블록, 인코딩되기 전의 데이터 블록 또는 인코딩된 후의 데이터 블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과 같고, 송신기는 송신될 데이터 그룹 E_1, E_2, ..., E_N을 획득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에 상기 지시 비트를 각각 추가하여, 데이터 블록 D_1, D_2, ..., D_N을 형성하고, 다음 해당 N개의 데이터 블록을 N개의 자원 유닛에서 각각 송신하며, 각각의 자원 유닛에서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보다 작고,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복수의 자원 유닛에서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전송 신뢰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M은 N보다 크고,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중첩 전송의 방식으로 복수의 데이터 블록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에서 M개의 데이터 블록 중의 일부 데이터 블록을 먼저 송신하고, 나머지 데이터 블록은 추후 전송 시각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의 기초상에서 상이한 지시 비트를 추가하여, 복수의 데이터 블록을 형성할 수 있고, 상이한 자원 유닛에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은 N개의 자원 유닛 또는 현재 전송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할 수도 있다. 암시적이거나 명시적인 방식으로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D_1, D_2, ..., D_M의 경우, 그 중의 하나의 데이터 블록만이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할 수 있고, 기타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지 않거나, 신원 식별정보의 부분 정보를 운반하거나, 소량의 신원 체크 정보를 운반한다. 수신기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고려하여, 두 가지 크기의 데이터 블록에 대해 디코딩을 각각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는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운반하지 않고, 기타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이한 송신될 데이터에 비트를 추가하여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 등을 명시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되는 자원 유닛을 제어하는데 유리하며, 효과적인 지시를 수행할 수 있지만, 지시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K개의 송신기 T_1, T_2, ..., T_K는 각각 상기 임의의 실시예 중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고, 여기서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각각의 송신기는 이에 의해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k 번째 송신기 T_k는 이에 의해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를 N_k로 결정하고, 상응하게 N_k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 또는 인덱스를 결정하며, 여기서, k는 1보다 크거나 같고 K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K개의 송신기에 의해 결정된 자원 유닛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상응하게 결정된 자원 유닛의 위치는 동일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는 이가 결정된 자원 유닛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획득하고, 결정된 자원 유닛에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기는 이에 의해 전송에 사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의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해당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는 해당 송신기가 사용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 K개의 송신기는 각자에 의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고, 하나의 송신기가 특정 자원 유닛에서 기타 송신기와 충돌하지 않은 경우, 해당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기에서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으며, 나아가 수신기는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해당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기타 자원 유닛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검출, 디코딩, 채널 추정, 간섭 제거 등 중 적어도 하나)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시키며,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수신기에 응용된다, 송신기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운반하며, 수신기의 처리에 신뢰성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의 기초상에서, 수신기는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해당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 유닛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시키며,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단계(210) 및 단계(220)을 포함한다.
단계(210)에서,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한다.
단계(220)에서,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구성된 모든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서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검출하며, 검출을 통해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할 수 있고, 지시 정보(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함)를 획득할 수 있으면, N개의 자원 유닛을 계속하여 검출 및 처리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수신기가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임의의 실시예의 송신기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응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파일럿 정보,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시퀀스 정보, 신원 식별정보, 유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검출 결과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것 외에,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는 검출될 자원 유닛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특정 송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하는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는 해당 송신기가 사용하는 상응한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는 어느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는 디코딩 및 처리를 통해, 대응되는 서비스 처리를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20)는,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상기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30)를 더 포함한다.
단계(230),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포함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처리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거나,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을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제1 검출 결과가 지시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따라, 검출해야 하는 다음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거나, 추가로 처리해야 하는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처리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 재구성, 채널 추정, 간섭 제거 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40) 및 단계(250)를 더 포함한다.
단계(240),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재구성을 수행하여, 재구성된 심볼을 획득한다.
단계(250), 재구성된 심볼에 따라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에 대해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60) 및 단계(270)를 더 포함한다.
단계(260), 상기 재구성된 심볼 및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여,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획득한다.
단계(270), 상기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2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 심볼은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초기 수신 심볼이거나, 간섭 제거를 수행하지 않은 수신 심볼일 수 있다. 재구성된 심볼 및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고, 추가로 검출을 수행하여, 제2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더 좋은 검출 성능을 획득하고, 전반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신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80)를 더 포함한다.
단계(280),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3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 심볼은 간섭 제거를 수행하지 않은 수신 심볼일 수 있고, 간섭 제거를 수행한 후의 심볼(예를 들어, 이전의 간섭 제거(previous interference cancellation)된 심볼 또는 금번에 간섭 제거된 심볼)일 수도 있다.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추가로 검출하여, 제3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더 좋은 검출 성능을 획득하고, 전반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신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K개의 송신기는 각자에 의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에서 전송을 각각 수행하고, 채널을 통해 전송한 후 수신단에 도착하며,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를 검출 및 디코딩한다. 여기서 K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단말 설비 또는 사용자 설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 설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P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검출될 자원 유닛으로 결정하고, P개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각각 수행하여, Q개의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P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Q는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Q는 송신기의 개수, 각각의 송신기가 사용하는 자원 등 요소와 관련된다. Q개의 검출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 결과로부터, 수신기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획득된 정보에 따라, 해당 송신기가 사용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해당 송신기에 대해 처리해야 하는 기타 자원 유닛을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처리는 검출, 디코딩, 채널 추정, 간섭 제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검출 결과로부터 예를 들어 트래픽 데이터, 지정 메시지 등과 같은 유효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검출 결과로부터 송신기의 신원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검출 결과로부터 파일럿 정보, 시퀀스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부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각종 크기의 데이터 블록에 대해 디코딩을 각각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가 송신한 복수의 데이터 블록 중, 일부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고, 일부는 신원 식별정보를 운반하지 않거나, 신원 식별정보의 부분 정보를 운반하기 때문에, 복수의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해당 송신기가 송신한 심볼을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심볼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재구성된 심볼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해당 과정은 적어도 현재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자원 유닛의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자원 유닛의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상기 재구성된 심볼 및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여, 업데이트된 수신 심볼을 획득할 수도 있다. 해당 과정은 적어도 현재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심볼은 수신기가 상응하는 자원 유닛에 대해 새로운 라운드 검출을 수행하여, 새로운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 추정 결과는 수신기가 상기 검출해야 하는 기타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새로운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개수 또는 범위를 알지 못하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을 검출될 자원 유닛으로 결정하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자원 유닛에서 검출 결과를 획득한 후, 수신기는 검출 결과로부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검출 결과로부터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상기 처리 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은 설명함에 있어서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앞뒤 순서를 강조하지 않는다. 하나의 경우,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검출을 수행할 경우, 이를 검출 결과로 통칭할 수 있고, 구현함에 있어서 동일한 파라미터 또는 변수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자원 결정 모듈(310),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320) 및 전송 모듈(330)을 포함한다.
자원 결정 모듈(310)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320)은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 모듈(330)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운반하며, 수신기의 처리에 신뢰성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의 기초상에서, 수신기는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 유닛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시키며,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원 결정 모듈(310)은,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자원 결정 모듈(310)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결정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
전송될 데이터 블록의 개수 M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하고,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320)은,
M개의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각각의 데이터 그룹에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각각 추가하여,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지정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 비트는 암시적 지시 비트 또는 명시적 지시 비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 비트는 공통 데이터 중의 데이터 비트이고, 여기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M개의 데이터 블록에 각각 포함되는 데이터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비트;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3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X개의 비트 그룹-여기서,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4 비트 및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5 비트;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원 결정 모듈(310)은,
상기 지정 비트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맵의 값이 모두 0이거나 값이 1인 개수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대역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동일한 구상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410) 및 검출 모듈(420)을 포함한다.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410)은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420)은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고,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운반하며, 수신기는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 유닛 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원 유닛의 데이터를 전반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충돌되는 상황에서의 전송 성능을 개선시키며, 경쟁 기반 비승인 전송의 성능과 용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파일럿 정보,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시퀀스 정보, 신원 식별정보, 유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420)은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획득하고; 상기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상기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410)을 더 포함한다.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410)은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포함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처리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거나,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을 업데이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재구성 모듈 및 채널 추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재구성 모듈은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재구성을 수행하여, 재구성된 심볼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추정 모듈은 재구성된 심볼에 따라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에 대해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간섭 제거 모듈 및 검출 모듈(420)을 더 포함한다.
간섭 제거 모듈은 상기 재구성된 심볼 및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여,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420)은 상기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2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420)은,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3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동일한 구상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의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데이터 전송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기에 통합된다. 상기 송신기는 단말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신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신기는 프로세서(510) 및 저장 장치(520)를 포함한다. 해당 송신기의 프로세서(5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도 9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51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송신기의 프로세서(510) 및 저장 장치(520)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 9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해당 송신기의 저장 장치(52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및 모듈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장치의 모듈, 자원 결정 모듈(310),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320) 및 전송 모듈(330)을 포함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저장 장치(5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하여 송신기의 각종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즉 상기 방법 실시예의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저장 장치(5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수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설비를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상기 실시예의 데이터 블록,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5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쉬 메모리 소자,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저장 장치(520)는 프로세서(510)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시로서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송신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때,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송신기와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동일한 구상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의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데이터 전송 장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에 통합된다. 상기 수신기는 기지국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기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기는 프로세서(610) 및 저장 장치(620)를 포함한다. 해당 수신기의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도 10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61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수신기의 프로세서(610) 및 저장 장치(620)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 10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해당 수신기의 저장 장치(62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및 모듈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장치의 모듈,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410) 및 검출 모듈(420)을 포함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저장 장치(6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하여 수신기의 각종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즉 상기 방법 실시예의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한다.
저장 장치(6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수요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설비를 사용함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데이터 블록, 제1 검출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6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쉬 메모리 소자,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저장 장치(620)는 프로세서(610)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시로서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신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를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수신기와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동일한 구상에 속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해당 방법은,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는, 해당 방법은,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소프트웨어 및 범용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플로피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쉬(FLASH), 하드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도면에서의 임의의 논리 흐름의 블록도는 프로그램 단계를 표시할 수 있거나, 서로 연결된 논리 회로, 모듈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거나, 프로그램 단계와 논리 회로, 모듈 및 기능의 조합을 표시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 저장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광학 메모리 장치 및 시스템(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또는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광디스크) 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는 로컬 기술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반한 프로세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6)

  1. 송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무작위로 결정하고,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전송될 데이터 블록의 개수 M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결정하고,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M개의 데이터 그룹을 획득하고, 각각의 데이터 그룹에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각각 추가하여, 상기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지정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비트는 암시적 지시 비트 또는 명시적 지시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비트는 공통 데이터 중의 데이터 비트이고, 여기서, 상기 공통 데이터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에 각각 포함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비트는,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2 비트;
    비트 그룹의 개수 X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3 비트,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X개의 비트 그룹-여기서,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첫 번째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4 비트 및 마지막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5 비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비트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맵의 비트의 값이 모두 0이거나 값이 1인 개수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대역폭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이 관련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이 관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정보;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 사용되는 시퀀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신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은 유효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수신기에 응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시작 위치 정보;
    사용 가능한 자원 유닛의 개수 정보;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파일럿 정보;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시퀀스 정보;
    신원 식별정보;
    유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상기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포함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에 따라, 처리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거나,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 결과에 따라 재구성을 수행하여, 재구성된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구성된 심볼에 따라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에서의 채널에 대해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심볼 및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에 대해 간섭 제거를 수행하여,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간섭 제거된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2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수신 심볼을 검출하여, 제3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응하는 N개의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자원 결정 모듈-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전송될 M개의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블록 획득 모듈-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상기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상기 N개의 자원 유닛에서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3. 검출될 자원 유닛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될 자원 결정 모듈;
    상기 검출될 자원 유닛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제1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여기서,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M개의 데이터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결과는 상기 M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개수 N 및 N개의 자원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유닛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26.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01041A 2020-06-12 2021-06-10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KR20230024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38212.0A CN111901892A (zh) 2020-06-12 2020-06-12 数据传输方法、装置、发射机、接收机及存储介质
CN202010538212.0 2020-06-12
PCT/CN2021/099385 WO2021249481A1 (zh) 2020-06-12 2021-06-10 数据传输方法、装置、发射机、接收机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974A true KR20230024974A (ko) 2023-02-21

Family

ID=7320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041A KR20230024974A (ko) 2020-06-12 2021-06-10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4110A1 (ko)
EP (1) EP4167676A1 (ko)
KR (1) KR20230024974A (ko)
CN (1) CN111901892A (ko)
CA (1) CA3182416A1 (ko)
WO (1) WO2021249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1892A (zh) * 2020-06-12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发射机、接收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1243B (zh) * 2016-08-29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传输方法及装置
KR20200035272A (ko) * 2017-08-18 2020-04-0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CN110267227B (zh) * 2018-03-12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1910383B2 (en) * 2018-07-27 2024-0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901892A (zh) * 2020-06-12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发射机、接收机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4110A1 (en) 2023-07-13
CA3182416A1 (en) 2021-12-16
WO2021249481A1 (zh) 2021-12-16
EP4167676A1 (en) 2023-04-19
CN111901892A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4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and storage medium
CN108347318B (zh) 一种上行传输方法及装置
US11671140B2 (en) Optimized combination of preamble and data fields for sensor networks having low electricity consumption on the basis of the telegram splitting method
US11070247B2 (en) Optimized hopping patterns for different sensor nodes and variable data lengths on the basis of the telegram splitting transmission method
KR102276099B1 (ko) 동기화 신호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
WO2021063318A1 (zh) 指示方法和装置、接收处理方法和装置、终端和存储介质
RU27544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US11272533B2 (en) Random-access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ransmitting end and receiving end
RU2584150C2 (ru) Отображение ресурсов данных для частотного закодирования символов
CN108882314B (zh) 多端口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US20210160929A1 (en) Method,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for preamble sequen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control network traffic
CN108260209B (zh) 一种用于随机接入的ue、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20230024974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송신기, 수신기 및 저장 매체
WO202114363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第一通信节点和第二通信节点
CN108696342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基站以及接收设备
CN111756483B (zh) 一种反馈信息传输方法和终端
KR20220125738A (ko) 신호 처리 방법, 장치, 제1 통신 노드, 제2 통신 노드 및 저장 매체
CN109475009B (zh) 免授权传输的方法和装置
WO2018171456A1 (zh) 在多天线通信系统中发射分集的方法及装置
WO2023193634A1 (zh) 传输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627163B1 (ko)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16140B2 (en) Termina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N118157827A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18339A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