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929A -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929A
KR20230024929A KR1020230008619A KR20230008619A KR20230024929A KR 20230024929 A KR20230024929 A KR 20230024929A KR 1020230008619 A KR1020230008619 A KR 1020230008619A KR 20230008619 A KR20230008619 A KR 20230008619A KR 20230024929 A KR20230024929 A KR 2023002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machine
separator
wate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익
정용훈
정용진
Original Assignee
정하익
정용훈
정용진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익, 정용훈, 정용진,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정하익
Priority to KR102023000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929A/ko
Publication of KR2023002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929A/ko
Priority to KR1020230089726A priority patent/KR20230107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26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 B01D15/3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 B01D15/3861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separation mechanism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 not covered by one or more of groups B01D15/265 - B01D15/36 using an external stimulus
    • B01D15/3885Usin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5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radiation, e.g.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2Enhancing the particle separation by electrostatic or magnetic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중 하나가 구비된 장치, 물체, 물질;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등을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등으로 처리하는 장비, 장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Seperation, crushing, dewatering, incineration, landfill, treatment, recycling equipment and method for waste, sludge, aggregate, rock}
본 발명은 폐기물, 슬러지, 부산물, 음식물, 골재, 토사, 암석, 물질 등의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처리, 펠렛화,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집진 등과 관련 장치, 장비, 기구, 방법, 공법 등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나 산업의 활동에 따라 폐기물, 부산물, 폐자재, 슬러지, 토사 등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의 발생량은 인구증가, 산업발달 등에 따라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슬러지 등의 처리가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자연보호, 오염방지, 민원, 님비현상 등에 의하여 매립장 조성 어려움, 소각장 조성 어려움, 해양투기 금지 등이 되어 폐기물, 슬러지 등의 처리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슬러지, 토사, 암석 등을 하나의 자원으로 생각하고, 이들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의거하여 폐기물 재활용에 관한 법규 등이 제정되고, 폐기물 재활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의 의무화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슬러지 등을 자원화,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선별, 파쇄, 탈수, 처리 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선별기술, 파쇄기술, 탈수기술, 처리기술 등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선별, 파쇄, 탈수, 처리 등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등에 의하여 주변, 공기 등이 탁해지므로 분진, 먼지 등의 제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폐기물, 슬러지 등에는 균, 오염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환경적인 재활용, 자원화를 위해서는 이들을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 슬러지, 토사, 암석, 물질 등의 선별, 파쇄, 탈수, 처리, 자원화, 재활용 등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들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고, 상기 물질에 포함된 균, 오염 등을 청정, 정화, 살균, 소독 등을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중 하나가 구비된 장치, 장비, 기구, 물체, 물질;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등을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집진, 살균 등으로 처리하는 장치, 방법 등을 고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기구, 장치, 장비, 선별기, 파쇄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펠렛화기, 집진기;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부산물, 폐자재, 슬러지,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펠렛, 순환토사, 순환골재, 물질, 자재 등의 선별, 분리, 파쇄, 분쇄, 세척, 탈수, 건조, 분급, 처리, 펠렛화, 자원화, 몰탈제거, 분진제거, 수분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들을 살균, 소독, 청정, 정화, 세정 등을 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오염수, 오염물, 미세먼지 등을 제거 또는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이중 하나의 처리 공정, 장치, 물질; 등에 공기, 기포, 연무, 버블, 광원, 열기, 압기, 파동, 미스트, CO2,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등을 투입하여 상기 선별 내지 이물질제거, 살균 내지 세정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공기는 풍력선별 또는 폐기물선별, 기포는 수중선별, 연무는 먼지제거, 버블은 수조선별시 이물질 부유, 광원은 골재 살균, 열기는 골재 또는 가연물 건조, 압기는 세척 향상, 파동은 물질 파쇄, 미스트는 공기 중 분진제거, CO2는 탄산화작용, 이에 의한 골재에 부착된 몰탈 또는 시멘트 제거, LED광은 골재 소독, 살균광은 골재 살균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스크린선별의 경우에는 자화, 진동, 가진 등에 의하여 폐기물을 분리하는 스크린의 구멍막힘 현상이 방지되고, 습식선별의 경우에는 공기, 기포, 버블 등이 공급되어 수조 내에 투입된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부유가 촉진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향상되고, 풍력선별의 경우에는 링 송풍기의 링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바람에 의한 링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추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송풍기의 풍력 효율이 향상되고, 파쇄기의 경우에는 파쇄에 진동, 가진, 압력, 자기장, 펄스압 등이 추가되어 파쇄 효율이 향상되고,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연무, 미스트, 진진기 등에 의하여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질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질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링송풍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호퍼, 혼합기, 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 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산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산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줄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자화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튜브를 나타낸 모식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38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팬을 나타낸 모식도.
도 39는 본 발명에 의한 탈수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펠렛화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매립시설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이중 둘 이상의 복합(310) 및 상기 투입 ∼ 복합 등을 위한 장치, 장비, 방법, 공법 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관련하여 a)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40, 46), 복합기(30, 36), 복합물(40, 46);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30, 40) 이상이 구비된 또는 발생되는 기기, 기구, 케이스(7), 하우징(37, 102), 중공체(76); 등이 이용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처리에는 상기 투입 ∼ 복합 등이 포함되고, 상기 자원화에는 상기 투입 ∼ 펠렛화 등이 포함되고, 재활용에는 상기 투입 ∼ 처리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물질, 암석, 폐기물, 상기 폐기물 ∼ 자재 등(300)은 상기 투입 ∼ 복합 등의 과정을 거쳐 크게 무기물(301∼304), 유기물, 가연물(305∼309)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암석의 경우는 상기 투입 ∼ 복합 등의 과정을 거쳐 모래, 자갈, 골재, 쇄사, 쇄석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무기물(301∼304)은 토사, 골재, 광물, 금속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토사에는 흙, 토사, 토석, 순환토사 등이 포함된다. 골재에는 모래, 자갈, 쇄사, 쇄석, 순환골재 등이 포함된다. 금속(386)에는 철, 아연, 구리, 금속, 알루미늄 등이 포함된다. 가연물(305∼309)은 종이, 목재, 섬유, 유기물, 가연물 등이 포함되고, 이는 펠렛(385)의 원료가 된다. 상기 유기물, 가연물 등(305∼309)은 용융(371), 성형(372), 절단(373) 등의 펠렛화 과정을 통하여 고형연료의 하나인 펠렛(385)이 된다. 상기 무기물, 토사, 골재, 광물, 모래, 자갈 등(381, 382)에는 이물질(383)이 포함되고, 이는 선별, 분리, 풍력선별, 수조선별 등을 통하여 제거되어 고급의 상기 무기물 내지 자갈 등을 조성하고, 이의 재활용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이물질(393)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매우 작은 종이, 목재, 섬유, 금속, 유기물, 유기이물질, 무기이물질 등이 포함되고, 이는 재활용이 가능한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가연물 이외의 물질 또는 불순물이 해당된다. 따라서 폐기물(300)로부터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금속 등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매우 작은 불순물인 이물질(383)의 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청구항 1은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암석 중 하나의 물질을 처리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비는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 이로 투입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선별기, 상기 물질을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선별하는 수조선별기, 상기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 상기 자력선별기를 거친 물질에서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풍력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 상기 투입 또는 파쇄된 물질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2종 이상의 크기별로 분리하는 분급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 상기 물질 또는 용융 물질을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물질 또는 성형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로 구성된다.
상기 장비에 펄스기가 구비된다. 상기 펄스기는 a) 자기장(42)이 발생되는 중공형 자화기; b) 상기 자화기의 전단에 구비된 유입구(72); c) 상기 자화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티이관(75), 제1벤츄리관(77), 유출구(78); d)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체크밸브(91), 제1솔레노이드밸브(92), 제2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103),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e) 상기 제1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인젝터(93), 제2체크밸브(91), 제2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f)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g)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구비된 제1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구비된 제2호스(79); h) 상기 유입구와 자화기의 사이에 구비된 제1엘보관(73); 상기 자화기와 티이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2엘보관(74); i) 상기 티이관과 제1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1파이프(76); 상기 제1벤츄리관과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2파이프(76); j)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3파이프(76);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4파이프(76); 상기 제2벤츄리관과 압기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5파이프(76); k) 상기 인젝터와 제2체크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6파이프(76); 상기 제2체크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7파이프(76);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8파이프(76); ℓ)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m) 상기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기의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n) 상기 a) 자화기 내지 m) 스위치가 거치되는 케이스(102); 가 구비된 펄스기이다. 상기 유입구로 물질'이 유입되고, 상기 유출구로 상기 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물질'이 상기 처리에 이용된다.
상기 장비에서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전해물, 방전물이 발생된다. 이의 예로는 상기 호퍼에서 자화물, 상기 스크린선별기에서 진동물, 상기 수조선별기에서 가진물, 상기 파쇄기에서 오존물, 상기 자력선별기에서 음이온물, 상기 세척기에서 전해물, 상기 분급기에서 방전물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발생을 위하여 상기 장비 또는 펄스기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가 순차적으로 거치된다. 상기 장비에 거치되는 예로는 상기 집진기에 자화기, 상기 저장고에 진동기, 상기 성형기에 가진기, 상기 매립기에 오존기, 상기 분해기에 음이온기, 상기 분급기에 전해기, 상기 풍력선별기에 방전기가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자화기에서 상기 자화물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기에서 상기 진동물이 발생되고, 상기 가진기에서 상기 가진물이 발생되고, 상기 오존기에서 상기 오존물이 발생되고, 상기 음이온기에서 상기 음이온물이 발생되고, 상기 전해기에서 상기 전해물이 발생되고, 상기 방전기에서 상기 방전물이 발생된다.
상기 장비에서 살균광, 소독광, LED광이 방사된다. 상기 방사를 위하여 a) 상기 자화기에 살균기, 상기 가진기에 소독기, 상기 음이온기에 광원기가 각각 장착되거나, b) 또는 상기 펄스기에 살균기, 소독기, 광원기가 순차적으로 장착되거나, c) 또는 상기 호퍼에 살균기, 상기 스크린선별기에 소독기, 상기 파쇄기에 광원기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살균기에서 상기 살균광이 방사되고, 상기 소독기에서 상기 소독광이 방사되고, 상기 광원기에서 상기 LED광이 방사된다.
상기 펄스기, 물질', 자화물 내지 방전물, 자화기 내지 방전기, 살균광, 소독광, LED광, 살균기, 소독기, 광원기 등은 상기 장비, 처리, 물질, 투입, 호퍼, 선별, 스크린선별기, 선별, 수조선별기, 파쇄, 파쇄기, 금속 제거, 자력선별기, 경량물 또는 가연물 제거, 풍력선별기, 세척, 세척기, 수분 제거, 탈수기, 건조, 건조기, 분리, 분급기, 분해, 분해기, 소각, 소각기, 매립, 매립기, 용융, 용융기, 성형, 성형기, 절단, 절단기, 저장, 저장고, 분진 처리, 집진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내부에 경사스크린과 하부에 배출판이 구비되면서 오존이 발생되는 호퍼이고, 상기 오존 발생을 위하여 상기 호퍼에 오존기가 구비되고, 상기 오존은 상기 호퍼를 통과하는 물질을 살균하고, 상기 스크린선별기는 스크린과 이의 하부에 팬이 구비된 선별기이고, 상기 수조선별기는 수조에 물과 버블이 투입되는 선별기이고, 상기 풍력선별기는 팬의 송풍공기와 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동시에 부는 송풍기이고, 상기 자력선별기는 외주에 자석이 구비된 회전체이고, 상기 파쇄기는 죠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로 구성되고, 상기 파쇄기에 상기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pH저감제가 투입된다. 상기 세척기는 상기 물질이 이송되는 경사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노즐, 상기 노즐에 구비된 확장부, 상기 노즐 또는 파이프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부는 노즐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로서 상기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탈수기는 2개 이상의 필터가 이웃하여 구비된 필터프레스, 벨트에 물질이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건조기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건조기이고, 상기 자기장은 상기 건조기를 통과하는 물질을 자기장 처리한다. 상기 분급기는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분급기이다. 상기 음이온은 상기 분급기를 통과하는 물질을 청정하게 한다. 상기 분해기는 용기,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이온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 상기 용기의 유출구,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각기는 노(爐), 상기 노(爐)에 형성된 물질 투입구, 상기 노(爐)의 내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이 놓이는 화격자(火格子), 상기 화격자의 상부에 있으면서 물질을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있으면서 소각재를 모으는 깔대기 모양의 호퍼(hopper),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장치, 상기 연소실 상부에 구비된 보일러관, 상기 보일러관으로부터 소각열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상기 매립기는 매립물을 덤핑하는 트럭, 매립물을 펼치는 도져, 매립물을 다지는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용융기는 물질을 용융, 회전, 교반, 배출시키는 용융기이다. 상기 성형기는 상기 용융기에서 용융된 용융물을 펠렛형상으로 성형하는 기기이고, 상기 절단기는 상기 성형기에서 연속 배출되는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의 펠렛으로 절단하는 기기이고, 상기 집진기는 표면 등이 광촉매 코팅되고, 내부나 외부 등에 광(光)을 방사하는 광원기가 장착된 집진기이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암석 중 하나의 물질을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중 하나로 처리하는 방법은 사례 1, 3, 4, 5 등과 같다.
사례 1은 진동하면서 오존을 방사하는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에 장착되면서 음이온을 방사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거치되면서 자기장을 방사하는 가진기와, 상기 가진기에 부착되면서 전기방전하는 오존기와, 상기 오존기에 연계되면서 진동하는 음이온기로 구성된 복합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이 이용되는 것이다.
사례 3은 기능기와 기능제와 기능작용이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기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중 하나가 구비된 살균기이다. 상기 기능제는 상기 살균기에서 공급되는 살균제이다. 상기 기능작용은 상기 살균기 또는 살균제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살균처리하는 것이다.
사례 4는 살균기와 전해기가 이용되고, 상기 살균기는 자화기 장착 가진기가 거치된 오존기 구비의 살균기이고, 상기 전해기는 자화기 구비 진동기가 거치된 전해기이고, 상기 살균기에 의하여 상기 물질이 살균되고, 상기 전해기에 의하여 상기 물질의 pH가 저감되는 것이다.
사례 5는 상기 물질이 오존처리되고, 상기 처리를 하는 처리기가 가진되고, 상기 처리 중에 자기장과 살균기와 전해기가 이용되고, 상기 자기장은 자화기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살균기에서 살균물이 생성되고, 상기 전해기에서 전해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암석 중 하나의 물질을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의 순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사례 2, 6 등과 같다.
사례 2는 상기 선별 시에 자기장이 작용되고, 상기 파쇄 시에 음이온에 더하여 가진이 작용되고, 상기 분리 시에 오존에 더하여 펄스압이 작용되고, 상기 분쇄 시에 펄스압과 음이온이 작용되고, 상기 분별 시에 자기장과 진동이 작용되고, 상기 박리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된다. 상기 세척 시에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전해수가 이용된다. 상기 탈수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회전력이 작용되고, 상기 건조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팬에 의한 바람이 불고, 상기 분급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진동이 발생되는 스크린이 이용된다. 상기 분해 시에 열, 공기, 산소, 미생물,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면서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된다. 상기 소각 시에 열, 공기, 산소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면서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된다. 상기 매립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고, 상기 펠렛화 시에 열 또는 히터에 더하여 오존과 음이온이 투입되고, 상기 재활용 시에 오존과 음이온이 방사되면서 살균 기능을 가진 살균기가 이용되고, 상기 집진 시에 분진입자를 분리하는 사이클론이 이용되는 것이다.
사례 6은 상기 투입 시에 복수의 자화기와; 상기 자화기의 둘 사이에 거치된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 으로 구성된 기구가 이용된다. 상기 선별 시에 상기 이격판에 자화기가 구비되고, 상기 파쇄 시에 상기 물질이 가진되고, 상기 분리 시에 상기 물질에 광(光)이 방사되고, 상기 분쇄 시에 상기 물질이 진동되고, 상기 마쇄의 장비에 자화기가 구비되고, 상기 박리되는 물질에 오존이 방사되고, 상기 세척 시에 진동이 이용되어 세척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세정 시에 살균기가 이용되어 세정 물질이 살균된다. 상기 탈수 시에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중에 가진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중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이 발생되는 기구가 이용된다. 상기 건조 시에 가진기 측면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가 이용되고, 상기 분별 시에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된다. 상기 분급 시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의 발생 중에 자화기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의 발생 중에 가진기에 의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된다. 상기 분해 시에 전기분해기가 이용되고, 상기 소각 시에 오존기가 이용되고, 상기 매립 시에 음이온이 방사되고, 상기 펠렛화 시에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되고, 상기 자원화 시에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되고, 상기 재활용 시에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되고, 상기 집진 시에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가진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례 7은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암석 중 하나의 물질을 a)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하여 처리하거나, b) 상기 선별 내지 집진의 순으로 처리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별하는 선별기는 풍력선별기 또는 수조선별기이고, 상기 풍력선별기는 회전팬(27)과 이에 이격되어 하기의 중공링(221)이 구비된 풍력선별기(220)이고, 상기 파쇄하는 파쇄기는 죠크러셔, 콘크러셔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하는 분리기는 a) 중공체; dl 중공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이 팬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 b) 이 중공링의 노즐, 내측 곡면, 외측 평면; c) 상기 노즐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과 외측 평면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d)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 e) 상기 노즐을 통한 바람과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링선풍기; 가 이용되는 분리기이다.
상기 분쇄하는 분쇄기는 고속회전하는 봉에 부착된 해머로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이고, 상기 마쇄하는 마쇄기는 회전하는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이고, 상기 박리하는 박리기는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내부드럼, 내부 또는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중간드럼, 내부에 돌기가 형성된 외부드럼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하는 세척기는 수세척기이다. 상기 세정하는 세정기는 펌프, 이에 연계된 호스, 이의 호스에 연결된 분사기, 상기 분사기의 하부에 거치된 스크린, 상기 분사기를 통하여 물이 분사되는 상기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수하는 탈수기는 필터프레스 또는 벨트프레스이고, 상기 건조하는 건조기는 히터이고, 상기 분별하는 분별기는 스크린이고, 상기 분급하는 분급기는 망이다. 상기 분해하는 분해기는 용기, 이 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에 연결된 공기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각하는 소각기는 노(爐), 상기 노(爐)의 내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이 놓이는 화격자(火格子), 상기 화격자 상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을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있으면서 소각재를 모으는 깔대기 모양의 호퍼(hopper),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장치, 상기 연소실 상부에 거치된 보일러관, 이 보일러관으로부터 소각열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이 증기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상기 매립하는 매립기는 매립물을 덤핑하는 트럭, 매립물을 펼치는 도져, 매립물을 다지는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펠렛화하는 펠렛화기는 펠렛화 대상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펠렛화 대상을 용융하면서 회전 스크류가 구비되어 용융물이 교반 및 압출되는 용융기, 상기 용융기에서 공급되는 용융물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의 통과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로 구성된다. 상기 자원화하는 자원화기는 상기 펠렛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연소기이고, 상기 재활용하는 재활용기는 상기 물질을 운반하는 기기이고, 상기 집진하는 집진기는 수조, 사이클론, 필터의 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1에 의하면, a) a1) 진동(42)하면서 오존(44)을 방사하는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에 장착되면서 음이온(45)을 방사하는 진동기(32)와, 상기 진동기에 거치되면서 자기장(41)을 방사하는 가진기(33)와, 상기 가진기에 부착되면서 전기방전하는 오존기(34)와, 상기 오존기에 연계되면서 진동(42)하는 음이온기(35)로 구성된 복합기(30); a2) 상기 복합기(30)가 구비된 튜브(76), 관로(76), 벤츄리관(77), 인젝터(93), 노즐(66), 전극, 수단, 파이프(76), 중공체; 이는 도 32를 참조한다. 상기 튜브 내지 중공체 등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복합기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a3) 상기 복합기 내지 중공체 중 하나가 하는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자화(41), 진동(42), 가진(43), 전해, 방전, 오존(44), 음이온(45), 물질, 자기장(41), 자화수(41), 진동수(42), 가진수(43), 오존수(44), 음이온수(45), 전해수, 방전수, 복합수,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전해물, 방전물, 복합물(40);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b) 또는 상기 복합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b1)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b2) 또는 투입(311), 파쇄(313), 선별(312), 분쇄, 분리,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b3)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장비;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c) 또는 상기 복합기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c1)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300)의 상기 투입 내지 처리; c2)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장비; 중 하나 이상에 이용되는,
d) 또는 상기 이용되어 d1)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기(器) 내지 장비; d2) 상기 폐기물 내지 장비 중 하나의 균, 세균, 바이러스, 공기, 대기, 주변, 환경, 먼지, 분진,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청정, 정화, 정수, 살균, 멸균, 제균, 소독, 제독, 해독, 제거, 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a), b), c), d) 중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2에 의하면, a)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분별, 박리(314), 세척(315), 탈수(316), 건조(317),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재활용, 집진(323); b) 또는 투입(311), 파쇄(313), 선별(312), 분쇄, 분리, 박리(314), 분별, 세척(315), 탈수(316), 건조(317),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재활용, 집진(323); 중 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300)를 처리(310)하는 것으로
1) 상기 투입 시에 또는 투입에 이용되는 호퍼(311)에 오존(44)에 더하여 진동(42)이 작용되고, 2) 상기 선별 시에 또는 선별에 이용되는 선별기(312)에 펄스압(84), 자기장(41) 중 하나 이상이 작용되고, 3) 상기 파쇄 시에 또는 파쇄에 이용되는 파쇄기(313)에 음이온(45)에 더하여 가진(43)이 작용되고, 4) 상기 분리 시에 또는 분리에 이용되는 분리기에 오존(44)에 더하여 펄스압(84)이 작용되고, 5) 상기 분쇄 시에 또는 분쇄에 이용되는 분쇄기에 펄스압(84)과 음이온(45)이 작용되고, 6) 상기 분별 시에 또는 분별에 이용되는 분별기에 자기장(41)과 진동(42)이 작용되고, 7) 상기 박리 시에 또는 박리에 이용되는 박리기에 오존(44)과 음이온(45)이 방사되고, 8) 상기 세척 시에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전해수가 이용되거나, 또는 세척에 이용되는 세척기(315, 401)에서 상기 H+ 내지 NaOCl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전해수가 분사되고, 9) 상기 탈수 시에 또는 탈수에 이용되는 탈수기에 오존(44), 음이온(45)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면서 회전력이 작용되고, 10) 상기 건조 시에 또는 건조에 이용되는 건조기에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면서 팬에 의한 바람이 불고, 11) 상기 분급 시에 또는 분급에 이용되는 분급기에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면서 진동(42)이 발생되는 스크린(330)이 이용되고, 12) 상기 분해 시에 또는 분해(分解)에 이용되는 분해기에 열, 공기, 산소, 폐수, 폐기물, 미생물, 자기장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면서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고, 13) 상기 소각 시에 또는 소각에 이용되는 소각기에 열, 공기, 산소, 폐기물, 가연물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면서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고, 14) 상기 매립 시에 또는 매립에 이용되는 매립기에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거나, 또는 상기 매립기 또는 상기 매립되는 매립장(470)에는 오존기(34), 음이온기(35)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15) 상기 펠렛화 시에 또는 펠렛화에 이용되는 펠렛화기에 열 또는 히터(85)에 더하여 오존(44), 음이온(45)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고,16) 상기 재활용 시에 또는 재활용에 이용되는 재활용기에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면서 살균 기능을 가진 살균기(470)가 이용되고, 17) 상기 집진 시에 또는 집진에 이용되는 집진기에 분진입자를 분리하는 사이클론(86), 방전(放電)하여 분진입자를 제거하는 방전기(460), 상기 사이클론 또는 방전기의 입구 또는 출구에 거치된 필터(87)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된다.
18)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 이상에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력, 전해(電解), 살균(殺菌), 방전(放電),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회전력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고, 19)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기장기, 회전력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30)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것이고, 20) 상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중 하나(40)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거나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물질이고, 21) 상기 자화(41)는 진동, 가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자화기(31)에서 발생되고, 22) 상기 진동(42)은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진동기(32)에서 발생되고, 23) 상기 가진(43)은 오존, 음이온, 펄스압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가진기(33)에서 발생되고, 24) 상기 오존(44)은 진동, 가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오존기(34)에서 발생되고, 25) 상기 음이온(45)은 진동, 가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음이온기(35)에서 발생되고, 26) 상기 자기장(41)은 진동, 가진,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자화기(31)에서 발생되고, 27) 상기 회전력(回轉力)은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회전기에서 발생되고, 28) 상기 전해(電解) 즉, 전기분해(電氣分解)는 양극(431), 음극(432)이 투입되면서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전해기(450)에서 발생되고, 이는 도 26 c 참조한다. 29) 상기 살균(殺菌)은 광촉매 코팅 용기(102); 이의 용기에 구비된 히터(85), 광원기(90), 오존기(96); 가 구비되면서 음이온(45)을 방사하는 살균기(470)에 의하고, 이는 도 27 c 참조한다. 30) 상기 방전(放電) 즉, 전기방전(電氣放電)은 가진되거나 또는 광촉매 코팅된 용기(102, 431), 이 용기의 내부에 오존을 방사하는 전극(432), 상기 용기와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12)가 구비된 방전기에 의하고, 이는 도 27 d 참조한다. 31) 상기 H+ 내지 NaOCl, 전해수 중 하나 이상은 전극 및 전해액이 투입되는 전해기(45)에서 발생되고, 이는 도 26 c 참조한다. 32) 상기 펄스압(84)은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압기(83)의 공급과 중지가 반복되는 펄스기(50, 51)에 의하여 발생(도 33, 34, 35)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3에 의하면, a) 기능기(30), 기능제(40), 기능작용(40)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중 하나에 함유된 분진; 하기 투입 내지 재활용 중 하나 이상에 발생된 분진; 중 하나 이상이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 이상으로 처리(310)되는, b) 또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기능기(30), 기능제(40), 기능작용(40)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어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 이상(310)이 되는, c) 또는 상기 기능기(30), 기능제(40), 기능작용(40)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의하여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310)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기(30)는 기능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기 1은 오존(44) 발생하는 자화기(31), 오존기(34) 구비 자화기(31), 오존음이온 발생하는 자화기(31), 오존음이온기 구비 자화기(31)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기 2는 상기 자화기 중 하나 구비 진동기(32)이고, 상기 기능기 3은 상기 자화기 중 하나에 의하여 자기장(41)발생하면서 진동(42)하는 진동기(32)이고, 상기 기능기 4는 상기 자화기(31), 진동기(32) 중 하나 이상 구비 가진기(33)이고, 상기 기능기 5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41), 진동(42)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가진하는 가진기(33)이고, 상기 기능기 6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오존기(34)이고, 상기 기능기 7은 상기 자화기 내지 가진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발생하는 오존기(34)이고, 상기 기능기 8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음이온기(35)이고, 상기 기능기 9는 상기 자화기 내지 오존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발생하는 음이온기(35)이고, 상기 기능기 10은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 구비 또는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27, 340), 회전체, 회전팬(27), 회전축(410), 회전봉(411), 회전줄(411), 회전솔, 회전로프(411), 회전날개, 회전돌기, 회전나선, 회전스크류(426), 회전와이어(411), 회전다발줄(413), 회전방사줄, 회전축(410)에 구비된 상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기 11은 상기 자화기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회전하는 또는 상기 자화기 내지 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상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기 12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 이상 구비 전해기(450)이고, 상기 기능기 13은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방사줄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자신의 전극 회전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전기분해하는 전해기(450)이고, 상기 기능기 14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내지 회전방사줄, 전해기 중 하나 이상 구비 살균기(470)이고, 상기 기능기 15는 상기 자화기 내지 전해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회전, 전해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살균 또는 소독하는 살균기(470)이고, 상기 기능기 16은 상기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340), 전해기(450), 살균기(470) 중 하나 이상 구비 방전기(460)이고, 상기 기능기 17은 상기 자화기 내지 살균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자신의 전극 회전, 전해, 살균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전기방전하는 방전기(460)이고, 상기 기능기 18은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이 순차 또는 무순 조합된 복합기(30, 36)이다.
상기 기능제(40)는 기능제 1, 2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제 1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에서 공급되는 또는 하나를 거친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기장, 진동파, 가진파, 오존, 음이온, 회전파, 전해가스, 살균제, 대전입자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제 2는 상기 자화물 내지 대전입자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40, 46)이다.
상기 기능작용(40)은 기능작용 1, 2 중 하나이다. 상기 기능작용 1은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에 의한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처리(44), 음이온처리(45), 회전처리, 전해처리, 살균처리, 방전처리 중 하나이고, 상기 기능작용 2는 상기 자화 내지 방전처리 중 둘 이상의 복합(40, 46), 복합처리(40, 46)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용은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주입, 분사, 분무, 살수, 포설, 훈증, 침지, 수침, 함침, 코팅, 도장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4에 의하면, 상기 처리는 하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1은 a) 오존(44)과 음이온(45)과 진동(42)을 발생하는 자화기(31), 자화기(31) 구비 오존기(34)가 거치된 진동기(32), 자화기(31) 구비 진동기(32)가 거치된 가진기(33), 자화기(31) 구비 진동기(32)가 거치된 가진기(33)가 장착된 오존기(34), 오존기(34) 구비 음이온기(35)가 거치된 회전기(340), 자화기(31) 구비 진동기(32)가 거치된 전해기(450), 자화기(31) 장착 가진기(33)가 거치된 오존기(34) 구비의 살균기(470), 오존기(34) 구비 음이온기(35)가 거치되면서 자화기(31) 구비 진동기(32)에 거치된 방전기(46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b) 또는 오존음이온처리하는 자화기, 오존음이온발생하는 진동기, 자화진동하는 가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기, 자화가진하는 음이온기, 자화진동하는 회전기, 자화가진하는 전해기, 진동오존음이온발생하는 살균기, 자화진동가진하는 방전기,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c) 상기 장치,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물질; d) 상기 물질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물, 자화와 진동과 가진되는 물질, 오존처리외 음이온처리와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와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와 회전과 전해와 살균과 방전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등의, 또는 등을, 또는 등에 대한, 또는 등에 필요한, 또는 등에 소요되는 a) 투입,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b)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c) 살균형의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2는 a)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의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3은 상기 폐기물 ∼ 자재, 상기 처리를 하는 처리기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4는 a)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자기장(41),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340), 전해기(450), 살균기(470), 방전기(460),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5는 상기 장치, 물질, 이용, 자화 ∼ 회전,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물질이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 이상과 같이 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물질(380)은 a) 흙(381), 토사(381), 모래(382), 자갈(382), 금속(382), 광물, 골재(382), 가스, 열, H2, O2, CO2, CH4, 이물질(383), 케익(384), 펠렛(385); b) 상기 폐기물 ∼ 자재; c) 투입물, 선별물, 파쇄물, 분리물, 분쇄물, 마쇄물, 박리물, 세척물, 세정물, 탈수물, 건조물, 분별물, 분급물, 분해물, 소각물, 매립물, 펠렛화물, 자원화물, 재활용물, 집진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d) 투입되는 물질, 선별되는 물질, 선별되는 이물질, 파쇄되는 물질, 분리되는 물질, 분쇄되는 물질, 마쇄되는 물질, 박리되는 물질, 세척되는 물질, 세정되는 물질, 탈수되는 물질, 건조되는 물질, 분별되는 물질, 분급되는 물질, 펠렛화되는 물질, 자원화되는 물질, 재활용되는 물질, 집진되는 물질;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질;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5에 의하면, 상기 처리는 하기 ⅰ, ⅱ, ⅲ, ⅳ, ⅴ, ⅵ 중 하나이다. 상기 ⅰ은 상기 폐기물 ∼ 자재 등의, 또는 등을, 또는 등에 대한, 또는 등에 필요한, 또는 등에 소요되는 a) 투입,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b) 이중 둘 이상의, 즉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c) 살균형의 상기 투입 내지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ⅱ는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의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ⅲ은 상기 폐기물 ∼ 자재, 상기 처리를 하는 처리기 중 하나 이상이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이 되면서 수행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ⅳ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ⅴ는 a) 자화기(31) 구비 진동기(32)가 거치된 가진기(33)에 더하여, 오존기 구비 음이온기가 거치된 회전기; 자화기 구비 진동기에 거치된 회전기; 오존기 구비 음이온기가 거치되면서 상기 자화기 구비 진동기에 거치된 회전기; 오존기 또는 전해기 또는 살균기가 구비된 방전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b) 상기 장치에서 제공되는 물질; c) 상기 물질에 속하는 자화진동가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물, 자화와 진동과 가진되는 물질, 오존처리외 음이온처리와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와 회전되는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와 회전과 전해와 살균과 방전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ⅵ은 상기 장치, 물질, 이용, 자화 ∼ 회전,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물질이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 이상과 같이 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집진에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투입 ∼ 재활용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미세먼지 등의 집진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중 하나에는 하기 1, 2, 3, 4, 5, 6, 7, 8, 9 중 하나 이상이 된다. 이의 예로는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중 하나에는 하기 1의 로터가 구비된 장치가 적용, 하기 2의 자화기가 거치된 장치가 이용, 하기 3의 코일로 구성된 기구가 구비, 하기 4의 거치판에 복합기가 거치된 장치가 장착, 하기 5의 살균광이 방사. 하기 6의 공기에 소독광이 방사. 하기 7의 폐기물에 적용, 하기 8의 처리 효율이 향상, 하기 9의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이 살균, 중 하나 이상이 되고" 등이 해당된다.
상기 1은 케이스(7); 이의 내부에 스테이터(2); 이 스테이터의 안착대;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1); 이 로터의 회전축(3);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베어링(5);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축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 또는 요동하는 상기 케이스(7);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6);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8);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하우징(37); 상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캡과 몸체와 슈;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기 캡; 상기 케이스 또는 몸체의 하나인 봉 또는 통(7);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10) 또는 전원공급기(12); 상기 로터 또는 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9);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2는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3은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기구; b)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기구; c)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기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4는 상기 부착판, 코어, 코일, 이격판, 거치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5는 상기 장치에, 또는 상기 장치의 하나인, 또는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또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피톤촉매, 피톤치드,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디톡기, 광원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미스트기, 크리닝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액상물, 분해물, 전해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적용, 이용, 구비, 거치, 투입, 주입, 공급, 제공, 통과, 흐름, 거침, 분사, 방사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6은 a) 상기 처리 ∼ 복합; b) 이중 하나의 장비, 장치, 수단, 공정, 인부, 단계, 작업, 공장, 현장, 장소, 인근, 부근, 공간; c) 상기 장비 ∼ 공간 중 하나의 내부, 외부, 대기, 공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이용 내지 장착, 적용 내지 방사; 상기 이용 ∼ 방사 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7은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이용 ∼ 복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8은 상기 이용 ∼ 복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상기 처리 ∼ 복합; b) 이중 하나가 수행 또는 진행; c)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9는 상기 이용 ∼ 복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물질, 상기 폐기물 ∼ 자재, 상기 장비 ∼ 공기 중 하나 이상이 처리,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380)에는 a) 흙(381), 토사(381), 모래(382), 자갈(382), 골재(382), 광물(382), 석재(382), 유리(382), 종이(382), 비닐(382), 섬유(382), 철(382, 386), 금속(382, 386), 목재(382), 케익(384), 펠렛(385), 수분, 유기물, 무기물, 부유물, 가연물, 이물질(383), 플라스틱(382), 콘크리트(382), 순환토사(381), 순환골재(382), 직경 8mm 이하 골재(382), 직경 8∼25mm 골재(382), 직경 25∼40mm 골재(382), 직경 40mm 이상 골재(382); b) 상기 투입 내지 분급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상기 흙 ∼ 직경 40mm 이상 골재; c) 상기 투입 내지 매립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가스, H2, O2, CO2, CH4; d) 상기 투입 내지 펠렛화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펠렛; 중 하나(380, 381, 382, 383, 384, 385)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석재, 유리, 철, 금속, 목재, 케익, 펠렛, 수분, 유기물, 무기물 등은 부호 381 이외에 부호 301, 302, 303, 304 등도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 비닐, 섬유, 부유물, 가연물 등은 부호 382 이외에 부호 305, 306, 307, 308, 309 등도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철, 금속 등은 부호 382 이외에 부호 386도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이용 내지 장착, 적용 내지 방사, 이용 ∼ 복합, 처리 내지 소독 등은 상기 폐기물 ∼ 자재, 처리, 처리 ∼ 복합, 처리 물질, 처리된 물질, 투입 ∼ 복합 등의 물질, 투입 ∼ 복합 등이 된 물질,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장비 또는 수단, 장비 내지 공기 등에 이용 내지 소독 등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등(300)의 처리(310)는 실시예 6에 의하면, 상기 처리는 하기 ⅰ, ⅱ, ⅲ, ⅳ, ⅴ, ⅵ 중 하나이다. 여기서 ⅰ, ⅱ, ⅲ, ⅳ, ⅴ, ⅵ는 실시예 5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처리는 a)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가 되는 것이고' 에 근거하여 본 청구항의 실시에는 하기의 a) 내지 q) 중 하나 이상이 적용, 또는 하기의 a) 내지 q)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a) 상기 투입(311) 시에는 또는 상기 투입하는 호퍼(311)에는 하기 1, 2, 3 중 하나가 된다. 상기 1은 케이스; 이의 내부에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의 안착대;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베어링;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축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 또는 요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캡과 몸체와 슈;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기 캡; 상기 케이스 또는 몸체의 하나인 봉 또는 통;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로터 또는 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싱기 2는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되는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3은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a)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기구; b)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기구; c)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기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b) 상기 선별(312) 시에는, 또는 상기 선별하는 선별기(312)에는 상기 부착판, 코어, 코일, 이격판, 거치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30)가 거치된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된다. c) 상기 파쇄(313) 시에는, 또는 상기 파쇄하는 파쇄기(313)에는 c-1) 상기 장치에 속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30, 36); c-2)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회전, 음이온처리; 이중 둘 이상 복합(40, 46);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40)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중 하나가 된다. d) 상기 분리 시에는, 또는 상기 분리하는 분리기에는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d1) 진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미생물,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d2) 상기 진동 내지 회전물 중 둘 이상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적용, 투입, 주입, 공급, 제공, 통과, 흐름, 거침, 분사, 방사 중 하나가 된다.
e) 상기 분쇄 시에는, 또는 상기 분쇄하는 분쇄기에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회전, 음이온처리;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40)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f) f1) 상기 마쇄의 장비, 장치, 수단, 공정, 인부, 단계, 작업, 공장, 현장, 장소, 인근, 부근, 공간; f2) 상기 장비 ∼ 공간 중 하나의 내부, 외부, 대기, 공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 자화기 ∼ 복합기, 진동 ∼ 복합물, 자화 ∼ 복합 중 하나(30, 40)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g) 상기 박리(314)되는 물질; 박리하는 박리기(314);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30, 40)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 ∼ 복합은 상기 장치, 자화기 ∼ 복합기, 진동 ∼ 복합물, 자화 ∼ 복합이 해당된다.
h) 상기 세척(315) 시에는, 또는 상기 세척하는 세척기(315)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되어 세척, 세척 진행, 세척 효율 향상 중 하나가 된다. i) 상기 세정 시에는, 또는 상기 세정하는 세정기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되어 세정 물질이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중 하나가 된다. j) 상기 탈수(316) 시에는, 또는 상기 탈수하는 탈수기(316)에는 j1) 진동(42)이 발생되고, j2) 상기 진동(42)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33)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이 발생되고, j3) 상기 자기장(41)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43) 또는 진동(42)이 발생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k) 상기 건조(317) 시에는, 또는 상기 건조하는 건조기(317)에는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ℓ) 상기 분별 시에는, 또는 상기 분별하는 분별기에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41)를 발생하면서 오존(44), 음이온(45)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오존기, 자화오존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m) 상기 분급(318) 시에는, 또는 상기 분급하는 분급기(318)에는 m1) 자기장(41)이 발생되고, m2) 상기 자기장(41)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43) 또는 진동(42)이 발생되고, m3) 상기 가진(43) 또는 진동(42)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33)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 음이온(44)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음이온기, 자화음이온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n) 상기 분해(319) 시에는, 또는 상기 분해하는 분해기(319),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중 하나(319)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o) o1) 상기 소각(320) 시에는, o2) 또는 o21) 상기 소각하는 소각기(320), 소각로, 소성로; o22) 상기 소각의 장비, 장치, 수단, 공정, 인부, 단계, 작업, 공장, 현장, 장소, 인근, 부근, 공간; o23) 상기 소각로의 상기 장비 ∼ 공간; 중 하나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p) p1) 상기 매립(321) 시에는, p2) 또는 p21) 상기 매립하는 매립기(321), 매립장, 매립장비; p22) 상기 매립의 장비, 장치, 수단, 공정, 인부, 단계, 작업, 공장, 현장, 장소, 인근, 부근, 공간; p23) 상기 매립장의 상기 장비 ∼ 공간; p24) 상기 매립되는 폐기물; p25) 상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악취, 냄새, 침출수; 중 하나에는 상기 장치 ∼ 복합 중 하나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q) 상기 펠렛화(322) 시에는, 또는 상기 펠렛화하는 펠렛화기(322); 이 펠렛화기에 속하는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저장고(374); 중 하나 이상에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가진기, 진동가진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r) r1) 상기 자원화 시에, r2) 또는 r21) 상기 자원화하는 자원화기; r22) 이 자원화기에 속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기기, 기구, 장치, 장비; r23) 또는 소각기, 연소기; 중 하나 이상에는 전체 진동(42)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오존기, 진동오존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s) s1) 상기 재활용 시에, s2) 또는 s21) 상기 재활용하는 재활용기; s22) 이 재활용기에 속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기기, 기구, 장치, 장비; s23) 또는 트럭, 차량; 중 하나 이상에는 전체 진동(42)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t) t1) 상기 집진(323) 시에, t2) 또는 상기 집진하는 집진기(323)에는 또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323)에는 전체 진동(42)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가진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가진기, 오존기, 가진오존기 중 하나가 이용 또는 거치된다.
u) 상기 투입 ∼ 복합,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에는 a)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석재, 유리, 종이, 비닐, 섬유, 철, 금속, 목재, 케익, 펠렛, 수분, 유기물, 무기물, 부유물, 가연물, 이물질, 플라스틱, 콘크리트, 순환토사, 순환골재, 직경 8mm 이하 골재, 직경 8∼25mm 골재, 직경 25∼40mm 골재, 직경 40mm 이상 골재; b) 상기 투입 내지 분급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상기 흙 ∼ 직경 40mm 이상 골재; c) 상기 투입 내지 매립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가스, H2, O2, CO2, CH4; d) 상기 투입 내지 펠렛화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펠렛;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 6에서는 상기 a) 내지 t) 중 하나 이상이 적용, 또는 상기 a) 내지 t)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적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처리 장비는 실시예 7에 의하면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 이상을 a) 처리; b) 이의 처리에 속하는 투입,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c)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d) 살균형의 상기 처리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비 등이 해당된다.
1) 상기 장비, 처리 ∼ 복합 중 하나에 하기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중 하나가 된다. 상기 ⅰ은 a) 케이스; 이의 내부에 스테이터; 이 스테이터의 안착대;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되는 로터; 이 로터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베어링;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 상기 회전축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 또는 요동하는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튜브; 상기 케이스가 내장된 하우징; 상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캡과 몸체와 슈;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기 캡; 상기 케이스 또는 몸체의 하나인 봉 또는 통;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로터 또는 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또는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b)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다. c) 상기 케이스 ∼ 컨트롤러,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c1)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다른 자화기(31)로 구성된 기구, c2)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기구, c3)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기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ⅱ는 상기 부착판, 코어, 코일, 이격판, 거치판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상기 장치가 이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장착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 ⅰ의 c)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ⅲ은 상기 장치에, 또는 상기 장치의 하나인, 또는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또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피톤촉매, 피톤치드,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디톡기, 광원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미스트기, 크리닝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액상물, 분해물, 전해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적용, 이용, 구비, 거치, 투입, 주입, 공급, 제공, 통과, 흐름, 거침, 분사, 방사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 ⅰ의 c) 장치, ⅱ의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ⅳ는 a) 상기 처리 ∼ 복합; b) 이중 하나의 장비, 장치, 수단, 공정, 인부, 단계, 작업, 공장, 현장, 장소, 인근, 부근, 공간; c) 상기 장비 ∼ 공간 중 하나의 내부, 외부, 대기, 공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이용 내지 장착, 적용 내지 방사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ⅴ는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이용 내지 장착, 적용 내지 방사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ⅵ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상기 처리 내지 집진; b) 이중 하나가 수행 또는 진행; c)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의 효율이 향상;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상기 ⅶ은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 상기 폐기물 ∼ 자재, 장비 내지 공기 중 하나 이상이 처리,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2) 상기 자화기(31)는 a) 물질을 자화하는 기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을 증진시키는 기구, 2개 이상 자석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된 기구,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가 삽입된 기구,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코어에 감긴 코일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b) 자기장과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3) 상기 진동기(32)는 a) 진동하는 기구, 진동을 발생하는 기구, 진폭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 진동기, 진동 또는 유동하는 줄 또는 현(弦, chord) 또는 진자, 줄 또는 현 또는 진자에 부착된 진동기 또는 자화기; b) 진동과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4) 상기 가진기(33)는 a) 가진하는 기구, 물체를 가진하는 기구, 2개 이상의 압력으로 가진을 하는 편심 가진기, 진동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가진자 또는 피스톤, 봉에 부착된 가진기 또는 자화기; b) 가진과 자화, 진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5) 상기 오존기(34)는 a) 오존 발생 기구, 오존 처리하는 기구, 오존 살균하는 기구,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오존기(34),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는 오존기(34); b) 오존과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6) 상기 음이온기(35)는 a) 음이온 발생 기구, 음이온 처리하는 기구, 음이온 청정하는 기구,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음이온기,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 또는 바늘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b) 음이온과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7) 상기 회전기는 a) 팬(fan, 27), 로터(1), 롤러(355), 회전기(340), 회전축(410), 회전체(4, 425), 회전봉(411), 회전줄(411), 회전해머(415), 편심회전체(4),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자체 회전하는 회전기, 회전하여 회전물을 발생시키는 회전기, 돌기 달린 회전기, 갈퀴 달린 회전기; b) 오존음이온과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8) 상기 전해기는 a) 전해기(450), 전기분해기(450), 전극이 투입된 전해조, 전극과 전해액이 투입된 전해조(102), 상기 전극 중 양극(431)과 음극(432) 사이의 이온막(433)이 거치된 전해기; 이상은 도 26 c 참조, b) 상기 전극(431, 432)에 연결되는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전해기(450); c) 오존과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고,
9) 상기 살균기(470)는 a) 등(90), 램프(90), 히터(85), LED등, 자외선램프, 100℃ 이상 고온히터, 살균기, 제균기, 멸균기, 항균기,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디톡스기; b) 거치대(91)에 구비된 램프(90), 이동수단(92)에 구비된 램프(90); c) 광촉매 코팅된 용기(102)와 이에 구비된 히터(85), 램프(90), 오존기(96)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살균기(470); d) 상기 코팅된 광촉매와 상기 램프에 의한 빛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하여 살균 기능을 하는 살균기(470); 이상은 도 27 참조, e) 오존 및 음이온과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고,
10) 상기 방전기(460)는 a) 방전기(460), 전기방전기(460); b) 전극(432)이 투입된 용기(102, 431), 상기 전극 및 용기에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하는 방전기(460),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용기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분진이 대전되어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방전기(460); 이상은 도 26 d 참조, c) 오존 및 음이온과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전해, 살균, 방전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11) 상기 복합기는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기,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이다.
12) 상기 자화진동기(30, 36)는 a) 진동(42)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33)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41)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43) 또는 진동(42)이 발생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이다.
13) 상기 자화가진기는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중 하나이다. 14) 상기 자화오존기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면서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오존기, 자화오존기 중 하나이다. 15) 상기 자화음이온기는 a) 자기장이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c) 상기 가진 또는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음이온기, 자화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16) 상기 자화회전기는 자화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회전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자화기 중 하나이다. 17) 상기 진동가진기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가진기, 진동가진기 중 하나이다. 18) 상기 진동오존기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오존기, 진동오존기 중 하나이다. 19) 상기 진동음이온기는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20) 상기 진동회전기는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진동기 중 하나이다. 21) 상기 가진오존기는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가진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가진기, 오존기, 가진오존기 중 하나이다.
22) 상기 가진음이온기는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3)에 연계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7)에서 발생하는; 진동(42), 자기장(41),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기구, 가진기, 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23) 상기 가진회전기는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가진기 중 하나이다. 24) 상기 오존음이온기는 오존과 음이온 발생기, 오존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기,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와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음이온기(34)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25) 상기 오존회전기는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복합기,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오존기 중 하나이다. 26) 상기 음이온회전기는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음이온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27) 상기 자화진동가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을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28) 상기 자화진동오존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29) 상기 자화진동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0) 상기 자화진동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회전기, 자화하는 진동형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31) 상기 진동가진오존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2) 상기 진동가진음이온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3) 상기 진동가진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회전기, 진동하는 가진형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진동하고 가진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34) 상기 오존음이온회전기는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오존발생과 회전과 음이온처리하는 복합기,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오존처리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35)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6) 상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7) 상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형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38)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살균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39) 상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진동하면서 가진하고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진동가진하면서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40) 상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하는 오존 발생의 회전형 음이온기,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41)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중 하나이다. 42)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30, 36)는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자화(41)와 진동(42)과 가진(43)과 오존처리(44)와 음이온처리(45)를 하는 복합기(36), 자기장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청정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기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을 발생하는 기구, 상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중 하나이다.
43)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하는 가진의 오존발생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처리의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면서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44)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발생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자기장발생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45)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전해살균을 하는 방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중 하나이다.
46) 상기 자화기 ∼ 복합기에서 기는 기(器), 기(機), 조, 통, 함, 콘, 나선, 기기, 기구, 기계, 노즐, 튜브, 탱크, 박스, 장치, 시설, 수단,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 하나이다. 47) 상기 기구에는 상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48) 상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에서 물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액체, 분말, 공기, 재료,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오존, 음이온, 오존수, 회전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중 하나이다. a) 상기 회전물은 회전물, 回傳物, 회전하는 물질, 와류물, 회전하여 와류하는 물질 중 하나이다. b) 상기 회전수는 회전수, 回傳水, 회전하는 수, 와류수, 회전하여 와류하는 수 중 하나이다.
49) 상기 장비는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중 하나이다. 50) 상기 기 내지 장비 중 하나에는 상기 장치,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투입, 주입, 공급, 제공, 통과, 흐름, 거침, 분사, 방사 중 하나가 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51) 상기 투입하는 호퍼(311)는 호퍼, 깔대기, 중공통, 고깔통, 점축통, 내부에 경사판(345) 구비 호퍼(311), 내부에 교반형 경사판(345) 구비 호퍼, 내부에 경사스크린(330) 구비 호퍼, 경사스크린(330)과 배출판(346) 구비 호퍼, 내부에 선별용 경사스크린 구비 호퍼, 경사스크린(330)의 통과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346) 구비 호퍼(311) 중 하나이다.
상기 호퍼, 깔대기, 중공통, 고깔통, 점축통, 경사판, 경사스크린, 배출판 중 하나 이상에는 a) 상기 장치가 이용, b) 또는 상기 장치와 b1)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미생물,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2)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방전물; b3)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b4) 또는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52) 상기 선별하는 선별기(312)는 망(330), 체(330), 팬(fan, 27), 수조(176), 스크린(330), 선별기, 송풍기(332), 선풍기(332), 트롬멜(331), 사이클론(86), 팬선별기, 풍력선별기(332), 건식선별기, 수조선별기(334), 습식선별기, 자력선별기(333), 다단선별기, 진동스크린, 링형 또는 환형 노즐로 바람이 분사되는 송풍기(220), 스크린(330)과 이의 하부 팬(27)으로 구성된 선별기(312), 상기 수조의 수조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가 구비된 선별기, 상기 팬의 송풍 바람을 처리하는 집진기 또는 공기처리장치가 구비된 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망 내지 선별기 중 하나 이상에는 a) 상기 장치가 이용, b)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여기서 자화 ∼ 복합물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b) 또는 b1)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미생물,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2)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방전물; b3)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이 해당된다.
53) 상기 파쇄하는 파쇄기(313)는 볼밀, 해머(415), 로터(1), 롤러(355), 파쇄기(313), 분쇄기, 마쇄기, 회전체(4, 340), 회전기, 타격대(411, 412, 414, 415), 타격수단,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콘크러셔, 롤러크러셔, 임팩트크러셔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볼밀 내지 임팩트크러셔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54) 상기 분리하는 분리기는 a) 중공체(76, 102); 이 중공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26);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27); 이 팬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b)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c) 상기 노즐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과 외측 평면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d)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e) 상기 노즐을 통한 바람과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풍력 또는 송풍바람이 향상되는 송풍기(220), 선풍기, 링송풍기, 링선풍기(220); f) 상기 팬이 상기 중공체 내부에 있어 팬이 보이지 않는 송풍기, 선풍기, 링형 선풍기(220);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분리기이다. 이는 도 4를 참조한다.
상기 중공체 내지 선풍기, 분리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음이온기, 진동가진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55) 상기 분쇄하는 분쇄기는 고정판과 롤라 또는 이동판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압축하여 분쇄하는 분쇄기, 고속회전하는 봉에 부착된 해머로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 원추형의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내부통의 원운동 또는 편심원운동으로 분쇄하는 분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고정판, 이동판, 분쇄기, 봉, 해머, 외부통, 내부통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56) 상기 마쇄하는 마쇄기는 회전하는 로터 또는 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 또는 분쇄시키는 로터 또는 타격대, 봉에 거치된 해머, 회전 봉에 거치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해머,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회전하는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돌기 형성의 해머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로터, 타격대, 봉, 해머, 돌기, 마쇄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57) 상기 박리하는 박리기(314)는 a) 외부에 돌기(420)가 형성된 내부드럼(357); 내부 또는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중간드럼; 내부에 돌기가 형성된 외부드럼(358); 정회전하는 상기 내부드럼(357); 역회전하는 상기 중간드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상기 외부드럼(358); b) 상기 드럼 내부에 거치된 회전축(410); c) 이의 축을 따라 거치된 2개 이상의 봉, 줄(411); d) 상기 봉, 줄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해머(415); e) 상기 봉, 줄, 해머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돌기(42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는 도 19를 참조한다.
상기 돌기, 내부드럼, 중간드럼, 외부드럼, 회전축, 봉, 줄, 해머, 박리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진동음이온기, 가진오존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58) 상기 세척하는 세척기(315)는 세척기, 수세척기, 습식세척기, 건식세척기, 공기세척기, 노즐수세척기, 노즐공기세척기, 스크린세척기(330), 회전형 세척기, 진동스크린세척기, 원심분리세척기, 사이클론세척기(86), 원심회전세척기, 회전원통망세척기, 분사구멍(101) 형성 세척기(401), 세척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 구비 세척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척기 내지 회전원통망세척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59) 상기 세정하는 세정기는 펌프(63), 이에 연계된 호스(70, 71, 151), 이의 호스에 연결된 분사기(66) 또는 파이프(401), 이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101) 또는 노즐(66); 상기 분사기 내지 노즐 중 하나의 하부에 거치된 스크린(330), 상기 분사기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이 분사되는 상기 스크린(330), 상기 분사 물에 의하여 자신에 놓인 물질이 세정되는 상기 스크린, 세정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 구비 세정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는 도 2 등을 참조한다.
상기 펌프 내지 스크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0) 상기 탈수하는 탈수기(316)는 필터. 프레스, 탈수기, 압축기, 압착판, 가압탈수기, 압축탈수기, 압착탈수기, 원심탈수기, 진공탈수기, 발열탈수기, 필터프레스(360), 프레스필터, 벨트프레스(361), 롤러탈수기, 드럼탈수기, 회전탈수기, 전기탈수기, 전기삼투탈수기, 전기영동탈수기, 탈수된 탈수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가 구비된 탈수기(316, 360, 361)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39를 참조한다.
상기 필터 내지 전기영동탈수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1) 상기 건조하는 건조기(317)는 팬(fan), 히터, 오븐, 발열기, 발열선, 건조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팬 내지 건조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2) 상기 분별하는 분별기는 망, 체, 스크린, 분별기, 사이클론, 다단분별기, 진동스크린,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망 내지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3) 상기 분급하는 분급기(318)는 망(330), 체(330), 스크린(330), 분급기, 사이클론(86), 다단분별기, 진동스크린,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급기의 망 내지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4) 상기 분해하는 분해기(319)는 분해기,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발효기, 전기분해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용기(102), 이 용기의 내부에 양극(431)과 음극(432),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433),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96),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12) 또는 전원공급기(12),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85), 상기 용기에 연결된 공기라인 중 하나 이상이다. 여기서 공기라인은 용기에 공기, 산소 등을 공급하는 라인, 호스, 파이프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 26 a응 참조한다. 상기 분해기 내지 공기라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자화진동기, 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65) 상기 소각하는 소각기(320)는 소각기, 소각로, 소성로, 고정상로(固定床爐), 계단식스토커로, 로터리킬른(Rotary Kiln)로, 로터리킬른-스토커로, 유동층소각로, 회전상로(回轉床爐), 노(爐), 노(爐)에 형성된 투입구, 노(爐)의 내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이 놓이는 화격자(火格子) 또는 쇠살판, 상기 화격자 상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을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있으면서 소각재를 모으는 깔대기 모양의 호퍼(hopper),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장치, 상기 연소실 상부의 보일러관, 이 보일러관으로부터 소각열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이 증기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소각기 내지 발전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화진동기, 자화오존기, 진동가진기, 가진오존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66) 상기 매립하는 매립기(321)는 매립기, 매립기구, 매립장, 매립장비, 매립시설, 트럭, 도져, 롤러, 차수시설, 가스처리시설, 침출수처리시설, 매립물을 덤핑하는 트럭, 매립물을 펼치는 도져, 매립물을 다지는 롤러,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차단하는 차수시설,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가스처리시설,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처리하는 침출수처리시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매립기 내지 침출수처리시설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화진동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진동가진기, 가진오존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67) 상기 펠렛화하는 펠렛화기(322)는 a) 혼합기(370),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저장고(374); b) 펠렛화 대상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370),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펠렛화 대상을 용융하는 용융기(371), 회전 스크류 또는 돌기 구비 스크류가 구비되어 용융물이 교반 및 압출되는 용융기(371), 용융물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상기 성형기 통과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40을 참조한다. 상기 용융기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진동회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8) 상기 자원화하는 자원화기는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이상의 기기, 소각기, 연소기; 상기 펠렛을 소각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소각기; 상기 펠렛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연소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자원화기의 기기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가진회전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69) 상기 재활용하는 재활용기는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이상의 기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을 조성하는 기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을 운반하는 기기, 트럭, 차량;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활용기의 기기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오존회전기, 자화가진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70) 상기 집진하는 집진기(323)는 a) 필터(87), 수조(176), 분사기(66, 401), 집진기(323), 여과망(89), 여과필터(87), 수분사 유공관(401), 사이클론(86), 습식집진기, 다단집진기, 전기집진기; b) 물의 가압수단(63)과 이에 의한 가압수를 분사하는 유공관(401), 전단 필터와 후단 사이클론, 전단 사이클론(86)와 후단 필터(87), 수조(176)와 사이클론(86)과 필터(87), 침강조(175)와 수조(176)와 사이클론(86)과 필터(87); 이는 도 25 참조, 여기서 침강조는 물을 분사하여 공기 중 분진 등을 침강시키는 조이다. c) 분진 함유 공기가 주입되어 분진이 물속에서 제거되는 수조(176),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분사기(401), 전기 집진하는 집진기,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수분사 유공관(401),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유공관과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유공관(401)과 가압수단(63), 공기와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86); 중 하나 이상이다. 여기서 가압수단(63)은 펌프, 양수기, 콤프레셔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필터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오존기, 음이온회전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71) 상기 처리 ∼ 복합;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공정, 작업;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장치는 a)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살균조, 방류조; b) 순차 연계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c)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중 하나 탱크의 유입구, 이 유입구에 연계되면서 상기 탱크 내부에 거치되는 수직 파이프, 이 파이프 선단의 확공부; d) 상기 파이프 내부에 부착되는 판, 날개, 나선, 스크류, 수평판, 경사판, 교반수단, 폭기수단, 플레이트, 지그재그판, 지그재그경사판; e) 상기 탱크의 내부와 상기 파이프의 외부 사이에 거치되는 스크린, 경사스크린, 유공스크린; f) 상기 탱크 또는 유입구에 응집제를 주입하는 주입기, 상기 응집조 하부의 침전부, 이 침전부에 침전되는 침전물 또는 슬러지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라인, 이 유출라인의 밸브; g) 상기 침전물 또는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기, 상기 침전물 또는 농축된 농축물을 탈수하는 탈수기; h)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상등수 또는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이의 배출구에 연계된 정화수 이송라인; i) 상기 상등수 수면에 거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레이퍼, 이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깔대기, 이 깔대기에 연계되어 상기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류조 내지 배출라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된다.
72) 상기 처리 ∼ 복합;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공정, 작업; 중 하나에서 공기 또는 분진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장치는 a) 필터, 백필터, 필터통, 집진기, 필터탱크, 막필터, 판필터, 원통필터, 나노필터, 모래필터, 입상재필터, 섬유필터, 카본필터, 수지필터, 세라믹필터, 활성탄필터, 프리필터, 포스트필터, 침전필터, 정화필터, 청정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집진필터, 삼투필터, 역삼투필터, 일방향필터, 양방향필터, 울트라필터, 마이크로필터, 멤브레인필터, 중공사막필터; 여과재, 필터여과재, 여과필터재, 입상필터재, 모래여과재, 활성탄여과재, 여과재필터, 공기청정기, 공기정화기, 공기처리기, 사이클론과 이의 전처리 필터, 사이클론과 이의 후처리 필터, 상기 필터 후에 여과재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상기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와 상기 필터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b) 상기 필터 중 둘 이상의 복합필터; c) 상기 중 하나의 필터가 삽입된 필터기, 필터통,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이다.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진동가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장치 중 하나가 해당된다.
이하는 본 발명, 각 청구항, 실시예 등의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것이다.
1) 상기 처리(310)는 처리 1, 2, 3, 4, 5, 6, 7, 8, 9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1은 a)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b)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310); 이상은 도 1, 2 등 참조, c) 살균형의 상기 투입 내지 복합; d) 또는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300)의 상기 투입 내지 복합; e) 또는 e1)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자기장(41),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e2)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40, 46), 복합기(30, 36), 복합물(40, 46;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8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처리 2는 a) 투입(311), 파쇄(313), 선별(312), 분쇄, 분리,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b)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상기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c) 살균형의 상기 투입 ∼ 복합; d) 또는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의 상기 투입 ∼ 복합;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2는 상기 처리 1에서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등의 순서가 변경된 것이다. 이는 도 1, 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처리 3은 a) 물질을 투입(311), 물질을 선별(312),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파쇄(313), 물질 또는 파쇄된 물질을 분리, 선별 또는 분리된 물질을 분쇄,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마쇄, 파쇄 또는 분쇄된 물질을 박리(314),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315), 선별 또는 세척된 물질을 세정, 물질 또는 세척된 물질을 탈수(316), 물질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317), 물질 또는 건조된 물질을 분별,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분급(318),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분해(319),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소각(320),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매립(321), 물질 또는 건조된 물질을 펠렛화(322), 상기 물질 또는 펠렛화된 물질을 자원화, 상기 물질 또는 펠렛화된 물질을 재활용, 상기 투입 ∼ 재활용 중 하나 이상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323), 상기 물질 또는 분진을 처리(310); b)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310);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4는 a) 물질을 투입(311), 물질을 선별(312), 물질을 파쇄(313), 상기 물질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선별, 상기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파쇄,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박리(314), 상기 선별 또는 파쇄 또는 박리된 물질을 세척(315), 상기 물질 또는 세척된 물질을 탈수(316), 상기 물질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317),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분급(318),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분해(319),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소각(320), 물질 또는 선별된 물질을 매립(321), 상기 물질 또는 건조된 물질을 펠렛화(322), 상기 물질 또는 펠렛화된 물질을 자원화, 상기 투입 내지 자원화 중 하나 이상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323), 상기 물질 또는 분진을 처리(310); b)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310);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5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피톤촉매, 피톤치드,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디톡기, 광원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미스트기, 크리닝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액상물, 분해물, 전해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방전물; c)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40, 82, 83, 84)가 이용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6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30, 40, 82, 83, 84)가 이용되면서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처리이다. 이는 도 28, 3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처리 7은 다차 또는 1차 이상의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으로 또는 무순으로 되는 복합 또는 복합처리이다. 상기 다차는 2차, 3차, 4차, 다차, 2차 이상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7의 실시예에는 예 1, 2, 3, 4, 5, 6, 7, 8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예 1은 1차 선별, 2차 선별, 3차 선별, 5차 선별, 5차 선별, 6차 선별의 순으로 되는 복합이다. 상기 예 2는 1차 트롬멜 선별, 2차 풍력 선별, 3차 팬 선별, 4차 송풍기 풍력 선별, 5차 수조 선별, 6차 송풍 선별의 순으로 되는 복합이다. 상기 예 3은 1차 파쇄, 2차 파쇄, 3차 파쇄, 4차 파쇄의 순으로 되는 복합처리이다. 상기 예 4는 1차 죠크러셔 파쇄, 2차 더블죠크러셔 파쇄, 3차 콘크러셔 파쇄, 4차 임팩트크러셔 파쇄의 순으로 되는 복합처리이다. 상기 예 5는 a) 1차 선별, 1차 파쇄, 2차 선별, 2차 파쇄, 3차 선별, 3차 파쇄; b) 또는 1차 망 선별, 1차 회전체 파쇄, 2차 스크린 선별, 2차 회전봉 파쇄, 3차 사이클론 선별, 3차 콘크러셔 파쇄; 의 순으로 되는 복합이다.
상기 예 6은 a) 1차 선별, 1차 파쇄, 1차 집진, 2차 선별, 2차 파쇄, 2차 집진, 1차 세척, 2차 세척, 1차 건조, 2차 건조; b) 또는 1차 풍력 선별, 1차 봉 파쇄, 1차 필터 집진, 2차 수조 선별, 2차 해머파쇄, 2차 사이클론 집진, 1차 물 세척, 2차 공기 세척, 1차 열 건조, 2차 바람 건조; 의 순으로 되는 복합처리이다.
상기 처리 7은 a)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b) 처리 중 상기 정화 ∼ pH저감; c) 또는 오존, 음이온, 피톤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기,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중 하나 이상이 이용; d) 상기 이용에 의하여 상기 정화 ∼ pH저감; e) 상기 이용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 자재, 하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가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이다.
상기 처리 8은 a)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설비, 장치, 장비; b) 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기 내지 장비; c) 오존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기 내지 장비; 중 하나에 의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 또는 복합처리에는 선별과 파쇄, 선별과 파쇄와 분리, 선별과 파쇄와 분쇄, 분쇄와 마쇄, 선별과 파쇄와 박리, 선별과 파쇄와 박리와 세척, 파쇄와 분리와 세정, 선별과 탈수, 선별과 파쇄와 세척과 건조, 파쇄와 분리와 분별, 선별과 파쇄와 세척과 분급, 선별과 탈수와 건조와 펠렛화, 탈수와 펠렛화와 자원화, 선별과 파쇄와 집진, 선별과 파쇄와 박리와 처리, 선별과 파쇄와 박리와 세척과 탈수와 건조와 분급, 투입과 선별과 파쇄와 박리와 세척과 탈수와 건조와 분급과 펠렛화와 자원화와 재활용과 집진, 투입과 선별과 파쇄와 박리와 세척과 탈수와 건조와 분급과 분해와 소각과 매립과 펠렛화와 자원화와 재활용과 집진, 물질 투입과 이 투입 물질의 선별과 이 선별 물질의 파쇄와 이 파쇄 물질의 박리와 이 박리 물질의 세척과 이 세척 물질의 탈수와 이 탈수 물질의 건조와 이 건조 물질의 분급과 이 분급 물질의 분해와 상기 선별 물질의 소각과 상기 선별 물질의 매립과 상기 분급 물질의 펠렛화와 이 펠렛화 물질의 자원화와 상기 분급 물질의 재활용과 상기 파쇄 물질의 집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다차 또는 1차 이상이 포함되는 복합에는 a) 1차 선별과 1차 파쇄와 1차 선별과 2차 파쇄와 박리와 3차 선별과 3차 파쇄와 분급; b) 1차 트롬멜 선별과 1차 죠크러셔 파쇄와 1차 스크린 선별과 2차 더블죠크러셔 파쇄와 박리와 3차 진동 선별과 3차 콘크러셔 파쇄와 분급; c) 1차 파쇄와 1차 선별과 2차 파쇄와 2차 선별과 3차 파쇄와 3차 선별과 세정과 분급; d) 1차 죠크러셔 파쇄와 1차 스크린 선별과 2차 콘크러셔 파쇄와 2차 풍력 선별과 3차 임팩트 크러셔 파쇄와 3차 자력 선별과 세정과 분급;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2)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장비(310)는 장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장비 1은 a) 호퍼(311), 선별기(312), 파쇄기(313), 분리기, 분쇄기, 마쇄기, 박리기(314), 세척기(315), 세정기, 탈수기(316), 건조기(317), 분별기, 분급기(318), 분해기(319), 소각기(320), 매립기(321), 펠렛화기(322), 자원화기, 재활용기, 집진기(323), 처리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310);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설비, 장치, 장비;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장비; d)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장비;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장비; f) 오존 또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장비; g)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구비되는 상기 호퍼 내지 장비;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 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호퍼 내지 장비는 상기 a) 호퍼, 선별기, 파쇄기, 분리기, 분쇄기, 마쇄기, 박리기, 세척기, 세정기, 탈수기, 건조기, 분별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펠렛화기, 자원화기, 재활용기, 집진기, 처리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시설, 설비, 장치, 장비; 등이 해당된다. 여기서 하기 봉 내지 결합체는 하기 봉 내지 결합체, 또는 하기 봉 내지 복합체, 휠 내지 결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장비 2는 a) 선별 및 파쇄, 파쇄 및 선별, 선별 후에 파쇄, 파쇄 후에 선별, 선별 후에 파쇄 후에 선별, 파쇄 후에 선별 후에 파쇄, 선별 후에 파쇄 후에 세척, 파쇄 후에 선별 후에 세척, 선별 후에 파쇄 후에 세척 후에 분급, 파쇄 후에 선별 후에 세척 후에 분급, 선별 후에 파쇄 후에 세척 후에 탈수 후에 분급, 파쇄 후에 선별 후에 세척 후에 탈수 후에 분급, 선별 후에 파쇄 후에 세척 후에 탈수 후에 분급 후에 모래화, 파쇄 후에 선별 후에 세척 후에 탈수 후에 분급 후에 골재화, 선별 후에 파쇄 후에 탈수 후에 건조 후에 분급 후에 펠렛화, 파쇄 후에 선별 후에 탈수 후에 건조 후에 분급 후에 펠렛화, 파쇄 후에 선별 후에 탈수 후에 건조 후에 분급 후에 분해 후에 소각 후에 펠렛화; b) 상기 투입 내지 펠렛화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된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가스, 열, H2, O2, CO2, CH4, 이물질, 케익, 펠렛 중 하나 이상을 자재, 건자재, 건설자재, 에너지, 연료, 고형연료, 발전소연료 중 하나로 자원화 또는 재활용; c) 상기 투입 ∼ 재활용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질을 처리; d)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 공정; e) 상기 투입 ∼ 복합, 공정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제거, 처리, 여과, 집진;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공정; g)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공정; g)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공정;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3은 a) 물질 투입(311), 이의 물질 선별(312), 이의 선별 물질을 파쇄(313), 이의 파쇄 물질을 분리, 이의 분리 물질을 분쇄, 이의 분쇄 물질을 세척(315), 이의 세척 물질을 세정, 이의 세정 물질을 탈수(316), 이의 탈수 물질을 건조(317), 이의 건조 물질을 분별, 이의 분별 물질을 분급(318), 이의 분급 물질을 분해(319), 상기 물질 중 유기물을 분해, 상기 파쇄 물질을 소각(320), 상기 물질 중 가연물을 소각, 상기 선별 물질을 매립(321), 상기 물질 중 무기물을 매립, 상기 분급 물질을 펠렛화(322), 상기 물질 중 가연물을 펠렛화, 상기 물질 중 가연물을 용융하여 펠렛화, 용융되면서 사출되는 가연물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펠렛화, 상기 선별 또는 파쇄 물질을 골재로 자원화 또는 재활용, 상기 펠렛화 물질을 연료로 자원화 또는 재활용; b) 상기 투입 내지 또는 재활용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제거, 처리, 여과, 집진(323);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d)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진행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4는 a) 호퍼, 선별기, 파쇄기, 분리기, 분쇄기, 세척기, 세정기, 탈수기, 건조기, 분별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가연물 용융기, 펠렛 성형기, 펠렛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둘 사이의 이송수단(400), 벨트컨베이어(400); c) 상기 호퍼 내지 벨트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g)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h)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5는 a) 물질이 투입되는 복합줄 중 하나이고, 상기 투입된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312), 상기 투입 또는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313),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파쇄 또는 분리된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315),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정하는 세정기, 상기 투입 또는 선별된 물질을 탈수하는 탈수기(316),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317),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2종 이상의 종류로 분별하는 분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2종 이상의 골재로 분급하는 분급기(318), 상기 물질 중 선별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319), 상기 물질 중 선별된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320), 상기 물질 중 선별된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321), 상기 물질에서 선별된 가연물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370),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가연물을 용융 및 압출하는 용융기(371), 상기 용융 또는 압출 물질을 원통, 가래떡 등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상기 성형되어 추출되는 추출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b)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둘 사이의 이송수단, 벨트컨베이어(400); c) 상기 호퍼 내지 벨트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g)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h)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6은 a)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311), 상기 호퍼로 투입된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312), 상기 선별기로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313), 상기 파쇄기로 파쇄된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분리기로 분리된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로 분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315), 상기 선별기 또는 파쇄기를 거진 물질을 세정하는 세정기, 상기 호퍼 또는 선별기를 거친 물질을 탈수하는 탈수기(316), 상기 선별기 또는 탈수기를 거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317), 상기 선별기 또는 파쇄기를 거친 물질을 분별하는 분별기, 상기 선별기 또는 파쇄기를 거친 물질을 분급하는 분급기(318), 상기 선별기로 선별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319), 상기 파쇄기로 파쇄된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320), 상기 탈수기로 탈수된 물질을 매립하는 매립기(321),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물 중 가연물과 톱밥 등을 혼합하는 혼합기(370),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물 중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371), 상기 용융기를 거친 용융물을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상기 성형기에서 추출되는 추출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b)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둘 사이의 이송수단, 벨트컨베이어(400); c) 상기 호퍼 내지 벨트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7은 a) 순차 또는 무순으로 연계되는 호퍼(311), 트롬멜선별기(331), 컨베이어(400), 자력선별기(333), 컨베이어(400), 풍력선별기(332), 컨베이어, 수조선별기(334), 컨베이어, 진동스크린선별기, 1차파쇄기(350), 컨베이어, 스크린선별기(330), 2차파쇄기(352), 컨베이어, 스크린선별기, 3차파쇄기(353), 컨베이어, 스크린선별기(330), 컨베이어, 세척기(315), 컨베이어, 탈수기(316), 컨베이어, 건조기, 컨베이어,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컨베이어, 용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이다.
상기 장비 8은 a) 호퍼, 진동피더, 1차 파쇄기, 금속선별기, 회전원통선별기, 1차 에어블로어장치, 2차 에어블로어장치, 진동선별기, 2차 임팩트크러셔, 금속선별기, 스크린선별기, 3차 크러셔,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용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9는 a)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 이의 통과 물질을 진동을 가하면서 다음 공정에 투입하는 진동피더, 상기 투입 물질을 파쇄하는 1차 파쇄기, 상기 파쇄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금속선별기 또는 자력선별기, 상기 파쇄 또는 금속 제거된 물질을 선별하는 회전원통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에서 경량물을 제거하는 1차 에어블로어장치, 경량물을 추가 제거하는 2차 에어블로어장치,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파쇄하는 2차 크러셔,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금속선별기 또는 자력선별기, 상기 파쇄 또는 금속 제거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파쇄하는 3차 크러셔,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 상기 투입 또는 파쇄된 물질을 탈수하는 탈수기,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 상기 선별 또는 세척된 물질을 2종 이상의 입경별로 분리하는 분급기, 상기 선별된 선별물 중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 상기 분쇄된 분쇄물 중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 상기 선별된 선별물 중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 상기 건조된 건조물 또는 상기 선별된 선별물 중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 상기 용융된 용융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 b)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0은 a) 호퍼, 스크린선별기, 제1파쇄기, 송풍기, 자기선별기, 제2파쇄기, 스크린선별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융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1은 a) 순차적으로 물질을 투입, 선별, 파쇄, 송풍선별, 자기선별, 파쇄, 스크린선별, 세척, 건조, 분급, 용융, 성형, 절단하는 호퍼, 스크린선별기, 제1파쇄기, 송풍기, 자기선별기, 제2파쇄기, 스크린선별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융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2는 a) 투입, 1차선별, 1차파쇄, 금속제거, 2차선별, 세척, 탈수, 건조, 2차파쇄, 금속제거, 3차선별, 3차파쇄, 분급, 용융, 성형, 절단; b) 상기 투입 내지 절단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d)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진행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13은 a)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311), 1차선별되는 스크린선별기(330), 1차파쇄되는 죠크러셔(350), 금속제거되는 자력선별기(333), 2차선별되는 풍력선별기(332), 세척되는 세척기(315), 탈수되는 탈수기(316), 건조되는 건조기(317), 2차파쇄되는 콘크러셔(352), 금속제거되는 자력선별기(333), 3차선별되는 진동스크린, 3차파쇄되는 임팩트크러셔(353), 2종 이상 골재로 분급되는 분급기(318), 상기 투입 물질 또는 선별 중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319), 상기 투입 물질 또는 선별 중 가연물을 1000도 이상으로 소각하는 소각기(320), 상기 투입 물질 또는 선별된 선별물을 매립하는 매립기(321), 상기 투입 물질 또는 선별 중 가연물을 300도 이상으로 용융하는 용융기(371), 상기 용융된 용융물을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b)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이는 ㄷ 1, 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장비 14는 a) 1개 이상의 호퍼, 투입호퍼, 선별기, 분리기, 건식선별기(332), 풍력선별기(332), 습식선별기(334), 수조선별기(334), 비중선별기(334), 자력선별기, 금속선별기(333), 진동선별기, 경사선별기, 스크린선별기(330), 원통선별기(331), 원심선별기, 회전선별기, 평면망선별기, 트롬멜선별기(331), 파쇄기, 분쇄기, 죠크러셔(350), 더블죠크러셔(351), 콘크러셔(352), 롤러크러셔(354), 압축크러셔, 압착크러셔, 회전크러셔, 해머크러셔, 회전해머크러셔, 임팩트크러셔(353), 세척기(315), 수세척기, 진동세척기, 노즐수세척기, 스크린세척기, 탈수기(316), 필터탈수기, 전기탈수기, 건조기(317), 열풍건조기, 가열건조기, 분급기(318), 모래분급기, 토사분급기, 자갈분급기, 골재분급기, 직경 8mm 이하 입자 분리의 분급기, 직경 8∼25mm 입자 분리의 분급기, 직경 25∼40mm 입자 분리의 분급기, 직경 40mm 이상 입자 분리의 분급기, 분해기(319), 유기물 분해기, 소각기(320), 가연물 소각기, 매립기(321), 무기물 매립기, 가연물과 톱밥 혼합기(370), 용융기(371), 가연물 용융기, 성형기(372), 펠렛 성형기, 절단기(373), 성형물 절단기, 컨베이어(400), 이송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둘 사이의 이송수단, 벨트컨베이어(400); c) 상기 호퍼 내지 벨트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5는 a) 호퍼, 스크린선별기, 파쇄기, 자력선별기, 풍력선별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용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d)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g)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6은 a)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 이로 투입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선별기, 이 선별기를 통과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 상기 자력선별기를 거친 물질에서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풍력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 상기 투입 또는 파쇄된 물질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2종 이상의 크기별로 분리하는 분급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 상기 물질 또는 용융 물질을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물질 또는 성형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 b)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g)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7은 a) 호퍼, 제1파쇄기, 자력선별기, 제1스크린선별기, 제2파쇄기, 제2스크린선별기, 자력선별기, 송풍선별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용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d)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18은 a) 물질 투입, 스크린선별, 인력선별, 1차죠크러싱, 자력선별, 풍력선별, 2차죠크러싱, 콘크러싱, 임팩트크러싱, 스크린선별, 세척, 탈수, 건조, 분급, 분해, 소각, 매립, 펠렛화, 자원화; b) 상기 투입 내지 자원화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화; d)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수행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19는 a) 물질 투입, 이의 투입 물질을 스크린선별, 상기 선별된 물질을 인력선별, 상기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1차죠크러싱,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선별하는 자력선별,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바람으로 선별하는 풍력선별, 상기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2차죠크러싱, 상기 파쇄된 물질을 추가 파쇄하는 콘크러싱, 상기 파쇄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선별,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 상기 투입 또는 세척된 물질을 탈수,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2종 이상으로 분급, 상기 투입 또는 선별된 물질을 분해, 상기 선별 또는 분급된 물질을 소각, 상기 투입 또는 선별된 물질을 매립, 상기 건조 또는 분급된 물질을 용융, 상기 선별 또는 용융된 물질을 성형, 상기 선별 또는 성형된 물질을 절단; b) 상기 투입 내지 절단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d)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e)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투입 내지 집진;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수행되는 장비이다.
상기 장비 20은 a) 호퍼, 스크린, 죠크러셔, 자력선별기, 스크린, 송풍기, 스크린, 송풍기, 더블죠크러셔, 자력선별기, 스크린, 롤크러셔, 드럼크러셔, 송풍기, 자력선별기, 콘크러셔, 스크린, 임팩트크러셔, 스크린, 세척기, 탈수기, 건조기, 분급기, 분해기, 소각기, 매립기, 용융기, 성형기, 절단기; b) 상기 스크린 내지 절단기 중 둘 사이에 이송수단, 컨베이어; c) 상기 호퍼 내지 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21은 a)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311), 상기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330), 이의 스크린을 통과한 물질을 파쇄하는 죠크러셔(350), 상기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333), 상기 금속 제거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330), 상기 물질에서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풍력으로 날려 제거하는 송풍기(27, 332), 상기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330), 상기 물질을 바람으로 선별하는 송풍기(27, 332), 상기 물질을 파쇄하는 죠크러셔, 상기 물질을 자력으로 선별하는 자력선별기, 상기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 상기 물질을 파쇄하는 롤크러셔(352), 상기 물질을 회전드럼으로 파쇄하는 드럼크러셔(354), 상기 물질을 송풍 분리하는 송풍기, 상기 물질에서 금속을 분리하는 자력선별기, 상기 물질을 파쇄하는 콘크러셔, 상기 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린, 상기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315), 상기 물질을 탈수하는 탈수기(316), 상기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317),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의 입경을 가진 골재로 분리하는 분급기(318), 상기 물질 또는 이에서 선별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319), 상기 물질 또는 이에서 분급된 분급물을 소각하는 소각기(320), 상기 물질 또는 이에서 선별된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321), 상기 물질 또는 이에서 선별된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 상기 가연물 또는 용융 물질을 원통 모양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가연물 또는 성형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 b) 상기 스크린 내지 저장고 중 둘 사이에 이송수단, 컨베이어(400); c) 상기 호퍼 내지 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e)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g)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h)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22는 a) 물질을 파쇄하는 죠크러셔(350), 이에 의한 파쇄물을 선별하는 것으로 40mm 체구멍을 가진 1차 스크린(330), 상기 1차 스크린 통과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 20mm 체구멍을 가진 2차 스크린, 상기 2차 스크린 통과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 8mm 체구멍을 가진 3차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물질을 파쇄하는 더블죠크러셔(351), 이의 더블죠크러셔에서 파쇄된 물질을 다시 파쇄하는 콘크러셔(352), 상기 스크린 또는 크러셔 또는 물질에 바람을 가하여 상기 물질로부터 경량물을 선별하는 송풍선별기(27, 332), 상기 죠크러셔 내지 송풍선별기 중 둘 사이에 거치된 벨트켄베이어(400), 상기 물질로 부터 금속을 제거하는 또는 상기 물질이 이동되는 상부에 거치되어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333); b)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죠크러셔 내지 자력선별기; c)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죠크러셔 내지 자력선별기; d)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죠크러셔 내지 자력선별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23은 a) 회전 드럼(102), 경사진 드럼, 좌우왕복 운동형 드럼, 좌우왕복 반복형 드럼; 상기 드럼 중 하나(102) 내부에 거치된 회전 해머(415); 상기 해머의 거치대(411); 이의 거치대가 장착된 회전축(410); 상기 해머 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회전수단(26); 상기 드럼의 내면과 해머 사이의 물질 마쇄 작용;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파쇄기(313), b) 상기 파쇄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거치된 선별기(312), c) 상기 파쇄기 또는 선별기의 후단에 거치된 세척기(315), d) 상기 파쇄기 또는 선별기 또는 세척기 후단에 거치된 분급기(318),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분급기; f) 또는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청정형, 정화형, 살균형, 소독형 중 하나의 상기 호퍼 내지 분급기; g)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드럼 내지 분급기, h)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드럼 내지 분급기, i)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드럼 내지 분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비이다.
상기 장비 24는 a) 경사, 절곡, 강성, 연성, 탄성, 편심, 돌출, 1개, 다수, 1단, 다단, 1열, 다열, 1층, 다층, 1겹, 다겹, 1족, 다족, 1홀, 다홀, 무공, 유공, 다공, 타공, 단일, 멀티, 교차, 교번, 순차, 무순, 압축, 압착, 인장, 전단, 비틈, 마찰, 선별, 파쇄, 분쇄, 마쇄, 마모, 파단, 단차, 회전, 자화, 진동, 가진, 분산, 확산, 폭기, 반응, 응집, 여과, 살균, 소독, 반발, 반동, 맥동, 충돌, 충격, 타격, 와류, 이류, 대칭, 회오리, 비대칭, 원심회전, 물질압축, 물질인장, 물질전단, 물질비틈, 물질회전, 스파이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상기 경사 내지 음이온발생 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장비, 장비 1의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3; b)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장비,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3; c)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현상이 발생하는 상기 장비,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3; 중 하나이다. 상기 경사는 5도, 10도, 15도, 20도, 30도 45도, 50도, 60도, 70도, 80도, 89도, 경사, 1∼89도; 수평에 대하여 상기 5도∼89도; 중 하나이다.
상기 경사 내지 음이온발생 중 둘 이상 복합에서 복합에는 경사절곡, 경사강성, 경사연성, 경사탄성, 경사편심, 경사돌출, 경사비대칭, 경사스파이럴, 절곡강성, 절곡연성, 절곡탄성, 절곡편심, 절곡돌출, 절곡비대칭, 회전마찰, 회전분쇄마찰, 절곡스파이럴, 경사절곡강성, 경사절곡연성, 경사절곡탄성, 경사절곡편심, 경사절곡돌출, 경사절곡비대칭, 경사절곡스파이럴, 경사절곡탄성편심, 경사절곡탄성돌출, 경사절곡탄성비대칭, 경사절곡탄성스파이럴, 경사절곡탄성편심비대칭, 경사절곡탄성편심스파이럴, 경사절곡탄성편심비대칭스파이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경사절곡탄성편심비대칭스파이럴의 예에는 a) 경사절곡탄성편심비대칭스파이럴의 봉, b) 경사지고 절곡지고 탄성이고 편심지고 비대칭인 스파이럴 봉, c) 30도 경사지고 중간이 절곡지고 재질이 탄성이고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지고 비대칭인 스파이럴 형상의 봉, d) 경사진 봉과 중간이 절곡진 바와 재질이 탄성인 날개와 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진 해머와 비대칭인 망치와 스파이럴 형상의 나선이 구비된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25는 돌기(420), 소자, 회전체(340), 회전기(340), 돌기소자, 돌기회전체, 돌기소자회전체, 회전체돌기, 회전체소자, 회전체돌기소자, 회전형 돌기, 회전형 소자, 돌기형 소자, 돌기형 회전기, 돌기(420) 장착 회전기(340), 소자 장착 회전기, 회전기(340) 장착 돌기(420), 하기 봉 내지 복합체, 하기 휠 내지 결합체, 하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a) 구비된, b) 또는 자신의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상(上), 하(下), 면(面), 측(側), 위, 속,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좌측, 우측, 일단, 양단, 선단, 일부, 일면, 양면, 표면, 측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중앙, 중공, 통로, 내부, 내주, 내면,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중공, 공간, 이격, 주변, 주위, 인근,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연결부, 이격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장비, 장비의 구성체,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4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의 구성체는 a) 상기 장비 1의 상기 호퍼 내지 장비; b) 상기 장비 1 내지 24 중 하나 이상의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c) 상기 장비 22의 상기 죠크러셔 내지 자력선별기; d) 상기 장비 23의 상기 드럼 내지 분급기; e) 상기 장비 24의 상기 호퍼 내지 장비;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장비 25의 예에는 돌기가 구비된 상기 장비, 자신의 일부에 돌기가 거치된 상기 장비, 회전기가 장착된 상기 호퍼, 자신의 다지점에 회전기가 이용된 상기 호퍼, 돌기회전체가 부착된 상기 죠크러셔, 자신의 외주에 돌기회전체가 용접된 상기 죠크러셔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26은 자신의 상기 전(前) ∼ 중공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인 상기 장비, 장비의 구성체,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5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26의 예에는 자신의 일측이 탄성인 상기 장비, 자신의 외부에 오존을 발생하는 선별기, 자신의 내부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콘크러셔, 자신의 중앙이 원심회전하는 봉형 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27은 자신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인 상기 돌기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비, 장비의 구성체,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6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27의 예에는 자신의 측면에 음이온발생하는 돌기가 구비되는 상기 장비, 자신의 다지점이 절곡인 돌기가 구비된 드럼, 자신의 후방에 오존발생하는 소자가 부착된 선별기, 자신의 측면에 회오리치는 회전기가 거치된 봉형 파쇄기, 자신의 출구에 살균을 위한 오존을 방사하는 결합체가 구비된 사이클론 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장비 28은 a) 펄스압(84), 펄스수, 펄스공기, 펄스폭기, 펄스폭기수, 펄스폭기공기, 선별수조(335)로 투입되는 펄스압(84), 선별기(312, 330, 331)의 구멍 막힘을 방지하는 펄스압 내지 펄스폭기공기(84), 송풍압(28)에 펄스압(84)을 더하여 선별효율이 향상되는 풍력선별기(332) 또는 수조선별기(334);
여기서 도 33, 34, 35 등에서는 펌프(63), 콤프레셔(105) 등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기(83) 등이 타이머(98)에 의하여 조정되는 솔레노이드밸브(92)를 통과하면서 밸브의 반복적인 개폐에 의하여 공급, 중지, 공급, 중지 등이 반복적으로 되어 펄스압(84)이 되고, 이의 펄스압(84)이 함유된 펄스수, 펄스공기, 펄스폭기, 펄스물질, 펄스폭기공기 등(81)이 파이프(76), 벤츄리관(77), 유출구(78), 유출호스(79), 노즐(66) 등을 통하여 유출, 배출, 공급, 제공, 분사 등이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내지 노즐 등을 거치는 수, 물, 액, 유, 공기, 가스, 물질, 첨가제 등(80)에는 펄스압(84)이 추가되어 펄스수, 펄스공기, 펄스폭기, 펄스물질, 펄스폭기공기 등(81)이 되게 된다.
b) 무동력회전(340), 확산선별기(340), 무동력회전 확산선별기(340), 날개(420) 또는 돌기(420) 구비 회전체의 확산선별기(340), 낙하하는 물질(300)에 부딪혀 무동력회전하면서 상기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 선별기(340), 상기 확산하는 물질에 송풍(28)하여 상기 물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확산 선별기(340); 이는 도 11, 12 등을 참조하면 된다.
c) 송풍압(28)과 부압(225), 회전팬(27)에 의한 송풍압(28)과 하기의 중공링(221)에 의한 부압(225), 부압풍력기(220), 부압송풍기(220), 부압가속바람, 하기의 중공링(221)에 의하여 부압바람(225)이 더해지는 송풍기(220), 회전팬(26)에 의한 송풍 바람(28)과 부압(225)에 의한 유입 바람이 이용되는 풍력선별기(220);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된다. 도 4 a는 중공링 구비 송풍기, 도 4 b는 팬의 송풍압과 유입 바람이 부는 송풍기, 도 4 c는 중공체(102) 외부 팬(27) 및 이의 송풍압(28)과 중공체(102) 내부 팬(27) 및 이의 송풍압(28)과 중공링의 유입 바람(255)이 부는 송풍기, 도 4 d는 중공링(221)의 단면을 나타낸다.
d) 돌기팬, 1개 이상의 돌기(420) 구비 팬(27), 회전하는 돌기팬, 외면 또는 단부에 1개 이상의 돌기(420) 구비 팬(27), 외면 또는 단부에 1개 이상의 돌기(420) 구비 팬(27), 나노분쇄바람, 돌기팬의 회전시 1개 이상의 돌기(420)에 의한 나노분쇄바람, 회전팬과 이에 이격된 돌기팬, 회전팬과 돌기팬의 복합팬, 회전팬에 의한 송풍바람과 이에 이격된 돌기팬에 의한 분쇄바람,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팬, 상기 송풍바람과 분쇄바람이 이용되는 풍력선별기; 이는 도 38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돌기팬 내지 복합팬은 자신의 면, 표면, 외면, 외부, 선단, 단부, 양측, 측면 등에 돌기, 요철, 돌출물 등(420)이 형성된 팬(27)이고, 이의 팬이 모터(26) 등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 팬과 같이 회전하는 돌기, 요철, 돌출물 등(420)이 바람을 분쇄, 파쇄, 마쇄 등을 하여 분쇄바람, 파쇄바람, 마쇄바람, 나노분쇄바람, 나노파쇄바람, 나노마쇄바람 등(28)이 불게 된다.
e) 산성제, 산성수, 산성버블, 버블산성제, 버블산성수, 전기분해(도 26 c 참조), 전기분해 시 양극(431)에서 생성되는 산성수, CO2, CO2수, CO2제, CO2세척수, 산성수 또는 탄산수가 투입된 수조와 이 내부에 구비된 회전형 돌기스크류(426)(도 20 b 참조), 상기 산성제 내지 돌기스크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골재에 부착된 몰탈 또는 시멘트를 제거하는 장치, 상기 몰탈 또는 시멘트의 제거에 의하여 골재의 pH를 저감시키는 장치; 상기 몰탈 또는 시멘트에는 Ca 성분이 함유되어 pH가 높으므로 폐콘크리트 등의 골재에서 몰탈, 시멘트 등을 제거하면 pH가 저감된다.
f) 폭기노즐, 전해기가 장착된 노즐, 전해기가 장착되어 전해에 의하여 생성된 H2, O2, CO2, Cl2 등의 가스에 의하여 폭기가 분사되는 노즐, 상기 노즐 중 하나가 구비된 선별기 또는 세척기;
g) 자화미스트, 진동미스트, 가진미스트, 폭기미스트, 오존미스트, 오존폭기미스트, 이중 하나의 미스트가 분사되는 선별기 또는 세척기;
상기 자화미스트, 진동미스트, 가진미스트, 폭기미스트, 오존미스트, 오존폭기미스트 등은 자화, 진동, 가진, 폭기, 오존, 오존폭기 중 하나의 또는 하나가 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가 포함된 안개, 증기, 연무, 미스트, mist 등이 해당된다.
h) 강성줄(411), 연성줄(412), 탄성줄(412), 강성연성줄, 탄성복원줄, 휨성을가진줄, 강성(411)과 연성(412)의 조합줄, 탄성줄(412) 구비 박리기(314), 무동력 탄성복원 박리기, 회전축(410)에 장착된 강성줄(411) 또는 탄성줄(412) 구비 박리기, 회전하는 상기 강성줄 내지 박리기, 회전축(41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상기 강성줄 내지 박리기; 상기 강성줄은 단단한 줄, 연성줄은 부드러운 줄, 탄성줄은 탄성을 가진 줄 등의 의미를 가진다.
i) 다발줄(413), 방사형 다발줄, 탄성형 다발줄, 1점 또는 1줄에 2개 이상 가닥의 줄이 구비된 다발줄(413), 선단에 다발줄(413)이 구비된 줄 또는 로프(411), 축(410)에 구비된 줄(411, 412)과 이의 선단에 장착된 다발줄(413)로 구성된 복합줄, 다발줄이 구비된 박리기(314), 회전형 다발줄이 구비된 박리기(314), 축(41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상기 다발줄 내지 박리기;
j) 돌기(420) 구비 줄(411), 돌기(420)와 해머(415) 구비 로프(411), 회전하는 돌기 구비 줄, 돌기(420)와 해머(415) 구비 로프(411)가 거치된 축(410), 회전축에 장착된 돌기(420) 구비 다발줄(413)이 거치된 강성줄(411), 돌기 구비 로프와 이의 선단에 다발줄,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돌기 또는 해머 구비 줄, 회전축(410)에 장착된 돌기(420)와 다발줄(413) 구비 로프(411), 축(410)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상기 줄 또는 로프(411), 상기 줄 또는 로프 중 하나가 이용되는 파쇄기 또는 박리기(313, 314);
k) 회전축(410)의 상부 또는 일측에 파쇄기(313, 415)와 하부 또는 타측에 박리기(314, 411)가 구비된 파쇄박리기, 회전축(410)의 상부에 해머(415) 파쇄기와 하부에 줄(411) 박리기가 구비된 파쇄박리기, 회전축(410)의 상부에 해머(410) 장착 봉(411)의 파쇄기와 하부에 돌기(420) 장착 줄(411)의 박리기(314)가 구비된 파쇄박리기; 이는 도 13c, 14, 15, 16, 18a, 19 등을 참조하면 된다.
ℓ) 원통(357, 358)과 이 내부의 줄(411), 해머(415), 회전체(430), 스크류(426)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박리기 또는 파쇄기, 원통(357, 358)과 이 내부에 돌기(420) 장착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314) 또는 파쇄기(313), 원통과 이 내부에 로프(411) 장착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정회전 원통(358)과 이 내부 등에 역회전 원통(357)과 이 내부 등에 정회전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정회전 원통(357, 358)과 이 내부에 돌기(420) 및 로프(411) 장착의 역회전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 이는 도 20, 21을 참조하면 된다.
m) 라인(411, 412, 413) 박리기(314), 강선(411)과 연선(412) 구비의 라인 박리기, 강선(411)에 의한 반발력과 연선(412)에 의한 쿠션력에 의하여 박리하는 라인 박리기(314), 직선부(411)와 곡선부(412)를 가진 라인 박리기, 직선타격을 하는 직선부(411)와 접선타격을 하는 곡선부(412)를 가진 라인 박리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장비, 장비의 구성체,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7 중 하나이다. 상기 m)은 도 2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줄 또는 라인(411, 412, 413)은 줄, 라인(411), 로프, 강선, 연선(412), 강성줄, 연성줄, 탄성줄, 다발줄(413), 꼬임줄, 꽈배기줄, 스트랜드선, 강성연성줄, 2개 이상 줄의 다발줄, 이중 둘 이상 조합의 복합줄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29는 a) 고정형, 이동형, 공장형, 현장형, 탑재형, 차량탑재형, 트레일러탑재형, 오존형, 음이온형, 살균형, 오존살균형, 오존전해형, UVO3, 펄스형, 폭기형, 펄스폭기형; b) 또는 오존, 음이온, 살균제, 오존살균제, 오존전해제, UVO3제, UVO3촉매, 펄스압, 압기, 버블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상기 오존형 내지 펄스폭기형; 중 하나의 상기 장비, 장비의 구성체, 호퍼 내지 장비, 장비 1 내지 28 중 하나이다.
a) 상기 고정형은 땅, 지면, 공장, 처리공장, 폐기물처리공장, 현장, 해체현장, 건물해체현장, 폐기물발생현장 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다. b) 상기 이동형은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휠, 바퀴, 롤러 중 하나가 장착되거나, 또는 차, 차량, 트럭, 카트, 트레일러, 이동수단 중 하나에 탑재되어 이동하는 것이다. c) 상기 공장형은 공장, 업체, 처리공장, 폐기물처리공장, 처리업체, 폐기물처리업체 중 하나에 구비된 것이다. d) 상기 현장형은 현장, 야외, 해체현장, 건물해체현장, 재개발현장, 재건축현장, 폐기물발생현장 중 하나에 구비된 것이다. e) 상기 탑재형은 차, 차량, 트럭, 카트, 트레일러, 이동수단 중 하나에 탑재된 것이다. f) 상기 차량탑재형은 차량에 탑재된 것이다. g) 상기 트레일러탑재형은 트레일러에 탑재된 것이다. h) 상기 펄스형은 펄스, 버블, 펄스압, 펄스기, 펄스수단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펄스기(도 33, 34)가 구비된 기(器), 기(機), 수단, 노즐, 튜브, 파이프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i) 상기 폭기형은 버블, 펄스, 폭기압, 폭기기, 폭기수단, 폭기노즐, 폭기튜브, 폭기파이프 중 하나가 이용되거나, 전해기(도 26c)가 구비된 기(器), 기(機), 수단, 노즐, 튜브, 파이프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이다. j) 상기 오존형 내지 펄스폭기형 중 하나는 상기 오존 내지 버블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것이다.
3) 상기 투입하는 호퍼(311)는 호퍼 1, 2 중 하나이다. 상기 호퍼 1은 호퍼, 깔대기, 중공통, 고깔통, 점축통, 투입호퍼, 교반형 호퍼, 다공형 호퍼, 하부에 팬(27) 구비의 호퍼, 측면에 팬(27) 구비되어 송풍바람(28)이 유입되어 통과 물질(300) 중 이물질 또는 경량물(305)을 구멍(101)으로 배출시키는 다공형 호퍼(도 8a 참조), 측면에 팬(27) 및 내부에 스크린(330) 구비되어 송풍바람(28)이 유입되어 투입 물질(300) 중 이물질 또는 경량물(305)을 구멍(101)으로 배출시키고 투입 물질(300)을 선별(301, 302, 303)하는 다공형 호퍼, 내부에 경사판(345) 구비 호퍼(도 8a 참조), 내부에 교반형 경사판(345) 구비 호퍼, 내부에 선별기능을 가진 경사스크린(330) 구비 호퍼, 경사스크린(330)과 이의 통과물(301, 302, 303)을 배출시키는 배출판(346) 구비 호퍼(도 8b 참조), 내부에 선별용 경사스크린 구비 호퍼, 경사스크린(330)의 통과물(301, 302, 303)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346) 구비 호퍼(311) 중 하나이다.
상기에서 내부에 경사판(345)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호퍼가 교반기능을 가지는 것이고, 이는 하나의 믹서, 교반기, 혼합기 등이 될 수도 있다. 내부 또는 하부 등에 팬(27) 구비되는 경우에는 호퍼가 풍력 선별기능을 가진다. 내부 또는 하부 등에 스크린(33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호퍼가 스크린 선별기능을 가진다.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배출판(346)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호퍼가 내부의 스크린(330) 통과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선별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도 8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에서 스크린은 유공형이고, 경사판 및 배출판은 무공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축통(311)은 점축통, 점점축소되는 통, 단면적이 점점축소되는 통, 내경이 점점축소되는 통,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점축소되는 통,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축소되는 통 중 하나이다.
상기 호퍼 2는 상기 호퍼, 깔대기, 중공통, 고깔통, 점축통, 경사판, 경사스크린, 배출판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광원, 광선,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미생물, 액상물,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방전물; c)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d) 또는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호퍼 ∼ 배출판 구비 호퍼 중 하나이다.
상기 '하나 이상이 되는'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등이 되는'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이용은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설치, 존치, 위치, 장착, 함유, 포함, 주입, 투입, 분사, 포설, 코팅, 도장 등이 해당된다.
4) 상기 선별하는 선별기(312)는 선별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선별, 분리 등은 a) 선별, 분리, 분별, 분급, 폐기물 선별, 파쇄물 선별; b) 또는 폐기물, 슬러지 등으로부터 흙, 철,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수분, 종이, 비닐, 금속, 유리, 물질, 초자류, 목재, 가연물, 몰탈, 시멘트, 무기물, 유기물, 이물질, 폐콘크리트, 플라스틱,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토사, 재활용골재, 펠렛 등을 선별, 분리; c) 또는 상기 흙 내지 펠렛 등으로부터 상기 종이 내지 플라스틱 등을 선별, 분리; d) 상기 흙 내지 펠렛, 폐기물, 슬러지 등을 8mm 이하, 8∼25mm, 25∼40mm, 40mm 이상 등으로 선별, 분리;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선별기 1은 망(330), 체(330), 팬(fan, 332), 수조, 선별팬, 돌기팬, 선별수조, 스크린(330), 선별기, 분리기, 분별기, 분급기, 분산기, 확산기, 송풍기(332), 선풍기(332), 트롬멜(331), 사이클론, 물질선별기, 망선별기, 체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 트롬멜선별기, 트롬멜스크린선별기, 자력선별기(333), 금속선별기, 진동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 건식선별기, 팬선별기, 풍선별기, 바람선별기, 풍력선별기(332), 송풍선별기, 선풍선별기, 수(手)선별기, 수(水)선별기, 습식선별기(334), 수조선별기, 비중선별기, 갈퀴선별기, 파쇄선별기, 분산선별기, 확산선별기(340), 집진선별기, 회전선별기, 타격선별기, 다단선별기, 다층선별기, 원심선별기, 중력선별기, 원통선별기, 자력선별기, 돌기선별기, 동력선별기, 무동력선별기, 쉐이킹선별기, 스프링선별기, 회전체선별기, 회전원통선별기, 다방향선별기, 다종구멍선별기, 교반형선별기, 살균형선별기, 소독형선별기, 정화형선별기,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기구,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기구, 상기 망 내지 기구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에는 구멍(101) 형성 또는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망(330), 구멍(101) 형성 체(330), 송풍하는 팬(fan, 332), 부력으로 물질을 선별하는 수조, 바람을 불어 선별하는 선별팬, 돌기가 형성된 팬인 돌기팬, 부력으로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수조, 구멍(101) 형성 스크린(330), 구멍(101) 형성 트롬멜(331),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사이클론, 물질선별기, 망선별기, 체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 트롬멜선별기, 트롬멜이 구비된 트롬멜스크린선별기, 자력으로 금속을 선별하는 자력선별기(333), 자력 등으로 금속을 선별하는 금속선별기, 진동하는 진동선별기, 진동스크린이 구비된 진동스크린선별기, 바람 등을 이용하는 건식선별기, 팬이 구비된 팬선별기, 바람이 이용되는 풍선별기, 바람으로 선별하는 바람선별기, 풍력으로 선별하는 풍력선별기(332), 사람의 손이 이용되는 수(手)선별기, 물이 이용되는 수(水)선별기, 물 또는 수조 등이 이용되는 습식선별기(334), 물이 투입되는 수조가 이용되는 수조선별기, 비중차로 믈질을 선별하는 비중선별기, 갈퀴가 구비된 또는 갈퀴가 회전하여 물질을 선별하는 갈퀴선별기, 파쇄기능을 가진 파쇄선별기, 물질을 분산하여 선별하는 분산선별기, 물질을 확산시켜 선별하는 확산선별기(340), 집진기능을 가진 집진선별기, 회전체가 구비된 또는 회전하여 선별하는 회전선별기, 타격기능을 가진 타격선별기, 2단 이상의 다단선별기, 2층 이상의 다층선별기, 원심furrl 이용되는 원심선별기, 중력이 이용되는 중력선별기, 회전하는 원통 구비의 원통선별기, 자력이 이용되는 자력선별기, 돌기 구비의 돌기선별기, 동력이 이용되는 동력선별기, 동력이 사용되지 않는 무동력선별기, 흔들면서 선별하는 쉐이킹선별기, 하부 등에 스프링이 구비된 스프링선별기, 회전체 구비의 회전체선별기, 회전원통 구비의 회전원통선별기, 2방향 이상으로 선별하는 다방향선별기, 2종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다종구멍선별기, 교반기능을 가진 교반형선별기, 살균기능을 다진 살균형선별기, 소독기능을 가진 소독형선별기, 정화기능을 가진 정화형선별기, 팬 구비 스크린 등의 복합선별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돌기팬은 돌기팬, 돌기날개, 돌기 회전팬, 돌기(420)가 형성된 팬(27), 돌기가 형성된 회전팬, 날개에 돌기(420)가 형성된 팬(27), 날개와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팬,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진 팬, 돌기가 장착된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진 팬, 날개의 외면 또는 외주에 돌기가 평성된 팬, 회전시 날개의 의하여 바람이 부는 팬, 회전시 상기 돌기에 의하여 분쇄 바람이 부는 팬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8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선별기 2는 링형(221) 또는 환형(221) 노즐(222)로 바람이 분사되는 송풍기, 이는 도 4 참조, 스크린(330)과 이의 하부 팬(27)으로 구성된 선별기, 이는 도 9 a, 도 9 e 참조, 선별 수조(335)의 수조수(80)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350)가 구비된 선별기, 이는 도 2 하단 우측의 수처리장치(350) 참조, 선별 팬(27)의 송풍 바람(28, 80)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또는 공기처리장치(323)가 구비된 선별기, 이는 도 3 등 참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선별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선별기 4는 망, 체, 팬(fan), 돌기, 갈퀴, 로터, 날개, 필터,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회전팬, 회전체, 송풍기, 선풍기, 분산기, 확산기, 정화기, 집진기, 사이클론, 일측에 팬, 타측에 집진기,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선별기 자신의 상기 전(前) ∼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선별기, 팬형 선별기, 분산형 선별기, 확산형 선별기, 집진형 선별기,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5는 촘촘한 구멍(101), 2개 이상의 구멍(101), 격자(29) 교차점에 구멍(101), 바둑판(29)을 이루는 선의 교차점에 구멍, 격자(29) 형상의 구멍, 바둑판 형상(29)의 통공(101)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9, 도 9 f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선별기 6은 선별기 자신에 형성된 구멍의 막힘을 방지하는 솔 또는 회전솔 구비 선별기, 선별기 자신을 타격하는 타격 망치 구비 선별기, 선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솔 또는 회전솔은 구멍에 솔, 이의 올 등이 삽입되어 선별 구멍의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타격 망치는 선별기를 타격하여 선별 구멍의 막힘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는 망(330), 체(330), 선별기(312), 트롬멜(도2 부호 331, 도 9e, 도 10 상부 그림), 선별원통(도2 부호 331, 도 9e, 도 10 상부 그림) 등이 외부에 거치대 등으로 거치되어 주기적으로 타격을 가하여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별기 7은 물, 열, 바람, 공기, 압기, 버블, 증기, 폭기, 열기, 가스, 산소, 수소, 질소, 기포, 음파, 진동, 오존, 음이온, 자기장, 압력수, 미스트, 초음파, 분해가스, 전해가스, 부패가스, 발효가스, 공기방울, 나노버블, 마이크로버블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투입 또는 분사되는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나노버블에서 나노는 나노미터, 10-9m, 10-7∼10-11m 중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버블에서 마이크로는 마이크로미터, 10-6m, 10-4∼10-8m 중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8은 상기 망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의 선별기 또는 하나가 구비된 선별기이다. 상기 선별기 9는 a)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망 내지 사이클론; b) 또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망 내지 복합선별기, 망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선별기 10은 a) 상기 선별; b) 이를 위한 망(330), 체(330), 기구, 수조(335), 송풍기(332), 선풍기(332), 선별기(312), 스크린(330), 사이클론(86); c) 상기 수조의 물, 유입수, 유출수(80), 유출되는 오염수; d) 상기 송풍기(27, 332)의 바람(28); e) 상기 망, 체, 스크린 중 하나의 구멍(101); f) 상기 바람(28)에 의한 풍력선별 후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 오염공기(80); g) 상기 선별 내지 구멍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선별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h) 상기 선별에 의하여 생성되는 흙(381), 토사(381), 모래(382), 자갈(382), 금속(382), 광물(382), 폐콘크리트(382), 골재(382), 이물질(383), 케익(384), 펠렛(385); i) 상기 선별 내지 구멍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된 또는 상기 유출수, 유출되는 오염수, 공기, 오염공기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분진, 먼지, 세균, 오염, 바이러스,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오존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빛, 열(熱), 파(波), 광(光), 풍(風), 버블, 물질, 광원, 열기, 압기, 파동, 미스트, CO2,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선별기이다. 상기 이용, 거치, 주입 등은 이용, 사용, 적용, 거치, 구비, 구성, 장착, 정착, 부착, 설치, 존치, 위치, 주입, 투입, 분사, 코팅 등이 해당된다.
상기 선별기 11은 a) a1)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411, 도 22 a6), 이의 선단에 상기 꼬임이 풀어진 2개 이상의 가닥 또는 다발줄(도 22 a7),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장착된 1개 이상의 봉(411), 이 봉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420), 상기 꼬임선이 1개 이상 장착된 축(410), 이의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회전수단(26),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기 또는 회전체; a2) 상기 자화 ∼ 복합물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a3)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망, 체, 스크린, 사이클론, 선별기, 건식선별기, 풍력선별기, 습식선별기, 수조선별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1) 타격, 부딪힘, 회전, 분산, 확산, 타격되어 분산, 타격되어 확산 중 하나 이상이 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회전물, 분산물, 확산물, 회전물인 폐기물, 회전물인 골재, 회전물인 토사, 회전물인 암석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2) 또는 상기 물질로부터 몰탈, 시멘트, 이물질, 경량물 중 하나 이상의 이물질을 선별하거나, b) 또는 상기 확산에 의하여 상기 물질 또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이다.
상기 선별기 12는 링형(221) 송풍기(220, 332), 팬(fan, 27)이 몸체(76, 102) 등에 삽입되어 보이지 않는 송풍기(220, 332),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링(221)이 구비된 송풍기, 부압 또는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링(221)이 구비된 송풍기, 팬(fan)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압력차에 의하여 측면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링이 구비된 송풍기(220, 332), 상기 링(221)에 구비된 노즐(222)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에 의하여 상기 링의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링(221)의 내부로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송풍기, 상기 팬의 송풍공기(28)와 상기 유입 외부공기(225)가 동시에 부는 송풍기(220, 332), 바람을 발생하는 회전팬이 구비된 상기 송풍기,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송풍기, 상기 자화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상기 부착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선별기 13은 a) 몸체 또는 중공체(76, 102); b) 이의 내부에 거치된 모터(26); c)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fan, 27); d) 이 팬(27)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8)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e)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f) 상기 노즐(222)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g)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h) 상기 팬의 송풍공기(28)와 상기 유입되는 외부 공기(225)가 함께 송풍되는 링형 송풍기(220, 332); i) 상기 송풍에 의하여 풍력이 향상되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 다른 송풍기; j)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k)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중공체 내지 다른 송풍기; ℓ) 상기 진동기가 상기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m) 상기 부착에 의하여 진동 공기가 발생되는 상기 송풍기; n)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선별기 14는 a) 상기 팬(27, fan)이 상기 몸체 또는 중공체(76, 102) 내부에 있어 팬이 보이지 않는 선풍기, 송풍기, 링선풍기, 링송풍기(220); b) 자신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하여 골재(301) 중 이물질(383)을 선별하는 상기 송풍기, 선풍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송풍기; d) 상기 가진기가 부착되는 상기 송풍기; e) 상기 부착에 의하여 가진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송풍기; f) 상기 송풍기가 구비된 스크린; 중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15는 a) 선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 또는 제거하는 망, 필터, 수조, 분사기, 집진기, 사이클론, 여과망, 여과필터, 분진 함유 공기가 주입되어 분진이 물속에서 제거되는 수조(176), 물을 분사(402)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분사기(401), 전기 집진하는 집진기, 공기와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86)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선별기; 이는 도 3 참조, b)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선별기; c) 상기 오존기가 자신 또는 상기 망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에 부착되는 상기 선별기; d) 상기 부착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선별기; e) 상기 오존에 의하여 선별 대상물을 오존 살균처리하는 상기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16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망(330), 체(330), 스크린(330), 사이클론(86), 선별기(312), 건식선별기(330, 331, 332, 333), 풍력선별기(332), 습식선별기(334), 수조선별기(334); 상기 망 내지 수조선별기; 상기 선별기 1 내지 15; 중 하나이다.
상기 선별기 17은 상기 망(330)에 상기 자화기(31), 상기 체(330)에 상기 진동기(32), 상기 스크린(330)에 상기 가진기(33), 상기 사이클론(86)에 상기 오존기(34), 상기 건식선별기(330, 331, 332)에 상기 음이온기(35), 상기 풍력선별기(332)에 상기 회전체(27, 340), 상기 습식선별기(334)에 상기 자화물인 자화수(41), 상기 수조선별기(334)에 상기 진동물인 진동수(42), 상기 중공체(76, 102)에 상기 자화기(31), 상기 중공링(221)에 상기 가진물인 가진공기(43), 상기 노즐(222)에 상기 오존물인 오존(44), 상기 송풍기(220, 332)에 상기 음이온물인 음이온(45), 상기 선풍기에 상기 회전물인 회전공기, 상기 집진기에 상기 복합기, 상기 수조에 상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투입되는 선별 장치이다.
상기 선별기 18은 a) 경사진 회전통(330, 357, 358) 또는 트롬멜(331) 선별기; 이는 도 2, 도 9, 도 10 등 참조, b) 유공구멍(101)으로 물질이 선별되는 경사진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c) 단부에 회전팬(27)이 구비된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이는 도 2, 도 9 등 참조, d) 송풍 구멍 형성의 유공봉(411)이 내부에 구비된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이는 도 19 등 참조, e) 수조 내의 회전통 또는 트롬멜 선별기; 이는 도 20 b 참조, f) 스크린(330)과 회전팬(27)으로 구성된 선별기; 이는 도 9 a, 도 10 c 등 참조, g) 스크린과 이의 하부에 회전팬으로 구성된 선별기; 이는 도 9 a, 도 10 c 등 참조, h) 상부에 슬롯(222)이 형성된 중공링(221)과 하부에 팬(27)이 구비된 유공 몸체(102)로 구성된 송풍기(220); 이는 도 4 참조, i) 상기 하부 팬(1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중공링(221)의 슬롯(222)으로 바람(28)이 배출되는 송풍기(220); j) 상기 슬롯으로 바람이 배출되어 상기 중공링(221)에 부압이 발생되는 송풍기(220); k) 상기 부압에 의하여 상기 중공링으로 외부 바람(225)이 유입되는 송풍기(220); ℓ) 상기 배출 바람(28)과 외부 바람(225)이 동시에 송풍되는 송풍기(220); m) 바람을 부는 회전팬(27)과 바람이 배출되는 슬롯 형성 중공링(221)이 구비된 풍력선별기(220, 312, 332); n) 풍력선별기(312, 332)와 이에 의한 풍력선별 후에 풍력 바람(80)이 유입 또는 흡입되는 수조(176), 사이클론(86), 미스트기, 데미스트, 엘리미네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집진형 풍력선별기; 이는 도 3, 도 11, 도 12 둥 참조, o) 또는 자신, 선별망, 선별물, 선별수조 중 하나에 버블, 폭기압, 펄스압, 와류공기, 선회공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선별기(312); p) 상기 버블, 폭기압, 펄스압, 와류공기, 선회공기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또는 버블기, 폭기기, 나선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선별기(312);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선별기 19는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중 하나(300)로 부터 흙(381), 토사(381), 모래(382), 자갈(382), 골재(382), 광물(382), 석재(382), 유리(382), 종이(382), 비닐(382), 섬유(382), 철(382, 386), 금속(382, 386), 목재(382), 케익(384), 펠렛(385), 수분, 유기물, 무기물, 부유물, 가연물, 이물질(383), 플라스틱(382), 콘크리트(382), 순환토사(381), 순환골재(382), 직경 8mm 이하 골재(382), 직경 8∼25mm 골재(382), 직경 25∼40mm 골재(382), 직경 40mm 이상 골재(382) 중 하나(380, 381, 382, 383, 384, 385) 이상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망은 망(330), net, 그물, 평망, 체망, 유공망, 다공망, 타공망, 격자망, 경사망, 진동망, 선별망, 분리망, 스크린망, 구멍이 있는 방, 촘촘한 구멍이 있는 망, 2개 이상의 구멍이 있는 망,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망 중 하나이다.
상기 체는 체(330), sieve, 평체, 망체, 유공체, 다공체, 타공체, 격자체, 경사체, 진동체, 선별체, 분리체, 스크린체, 거르는 기구, 물질을 거르는 기구, 구멍이 있는 체, 촘촘한 구멍이 있는 체, 2개 이상의 구멍이 있는 체,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체 중 하나이다.
상기 팬은 팬(27), fan, 날개, wing, 스크류, 블레이드, 풍력팬, 회전팬, 송풍팬, 선풍팬, 바람팬, 환기팬, 돌기팬, 바람을 부는 팬, 2개 이상 날개가 구비된 팬, 회전하여 바람을 부는 팬, 바람을 불어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팬, 바람을 불어 물질로부터 가연물 또는 경량물을 선별하는 기능을 가진 팬 중 하나이다.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330), 망스크린, 체스크린, 유공스크린, 다공스크린, 타공스크린, 격자스크린, 경사스크린, 진동스크린, 가진스크린, 자화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편심진동스크린, 고정스크린, 유동스크린, 비고정스크린, 물질 선별 스크린, 체구멍(101) 형성 스크린(330), 격자(29)구멍(101) 형성 스크린, 바둑판형(29) 스크린, 바둑판(29) 구멍(101) 형성 스크린, 2단 스크린, 3단 스크린, 다단 스크린(도 5, 6, 7 참조), 선별 스크린, 오존 발생 스크린, 음이온 발생 스크린, 물질 선별 기능을 가진 스크린, 촘촘한 구멍(101)이 있는 스크린, 상하로 배치된 다단 스크린(도 5, 6, 7 참조), 경사각이 동일한 2개 이상의 스크린(도 7 b), 경사각이 상호 다른 2개 이상의 경사판 또는 스크린(도 7 c), 측면에 송풍기 구비 스크린(도 5, 6, 7), 하부에 진동 또는 쿠션 등을 위하여 스프링 구비의 스크린, 진동 또는 쿠션 등을 위하여 하부의 4모퉁이에 스프링 구비의 스크린, 상부 또는 하부에 팬 등 회전기 구비의 스크린, 스크린 자신과 송풍기에 의하여 2회 선별되는 측면에 송풍기 구비의 스크린,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진동 또는 쿠션되는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진동스크린은 진동스크린, 다단 진동스크린, 상하 진동스크린, 좌우 진동스크린, 쉐이킹 진동스크린, 편심 진동스크린, 균등 진동스크린, 상하 편심 진동스크린, 좌우 편심 진동스크린, 4방향 편심 진동스크린, 하부에 스프링 구비의 진동스크린, 진동기가 구비되어 이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진동의 크기 또는 방향이 다른 2대 이상의 진동기가 구비되어 차등 또는 편심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진동기가 부착되어 이에 의하여 1차 진동하고 자신의 하부에 거치된 스프링에 의하여 2차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중 하나이다.
상기 망, 체, 원통, 스크린, 트롬멜, 회전체, 선별기 중 하나에는 자신에 형성된 구멍의 막힘 방지를 위하여 a) 솔, 볼, 망치, 해머, 회전솔, 진동체, 가진체, 타격체, 타격봉, 타격볼; b) 거치대에 구비된 상기 솔 내지 타격볼;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솔 내지 타격볼; d)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솔 내지 타격볼;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된다.
상기 분리기, 분별기, 분급기, 분산기, 확산기 중 하나는 a) a1) 물질을 분리, 분별, 분급, 분산, 확산, 분산시켜 분리, 확산시켜 분리; a2) 물질(300)을 2종 이상(301 ∼ 309)으로 상기 분리∼확산시켜 분리; 중 하나를 하는 기구, b) 또는 분리기, 분별기, 분급기, 분산기, 확산기, 낙하물에 부딪혀 회전하면서 상기 낙하물을 분산 또는 확산시키는 회전체, 회전하는 자신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신에 투입되는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키는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물질선별기는 a)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수분, 종이, 비닐, 금속, 유리, 물질, 초자류, 목재, 가연물, 몰탈, 시멘트, 무기물, 유기물, 이물질, 폐콘크리트, 플라스틱,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토사, 재활용골재, 펠렛;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로 부터 상기 흙 내지 펠렛;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로 부터 상기 종이 내지 플라스틱; 중 하나 이상을 선별하는 선별기이거나, b) 또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중 하나를 8mm 이하, 8∼25mm, 25∼40mm, 40mm 이상 중 하나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이다.
상기 회전선별기는 회전선별기(331, 340, 357, 358), 원심회전 선별기, 회전통 선별기, 회전드럼 선별기, 회전 트롬멜 선별기(331), 회전 다공통 선별기, 회전 다공드럼 선별기, 회전 다공트롬멜 선별기, 회전하는 선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선별하는 드럼통 선별기(도 9 e), 물질을 회전시키면서 선별하는 선별기, 물질을 회전시키면서 선별하는 사이클론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선별기 또는 타격선별기에는 a) 봉, 판, 회전체, 타격대, 봉타격대, 돌기타격대, 회전타격대, 와이어타격대, 해머(415) 구비 봉(411), 1차 타격대, 회전축(410)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타격대,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분리 또는 분산시키는 상기 봉 내지 타격대; b) 상기 봉 내지 타격대 중 하나의 하부에 스크린(330), 경사스크린, 진동스크린, 1차 스크린; c)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상기 봉 내지 타격대, 2차 타격대; d) 상기 봉 내지 타격대 중 하나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 2차 스크린; e)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상기 봉 내지 타격대, 3차 타격대; f) 상기 봉 내지 타격대 중 하나의 하부에 상기 스크린, 3차 스크린; g) 상기 봉 내지 스크린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팬(fan), 회전팬, 송풍기, 선풍기(27, 332); h) 상기 봉 내지 선풍기 중 하나 이상의 덮개(346), 삿갓(346), 연결대, 연결판, 거치대, 회전축, 플랫폼, 연결수단, 케이스, 하우징(102), 가두리, 중공통, 삽입통, 삽입박스(102); i) 상기 덮개 내지 삽입박스 중 하나에 연계된 것으로 상기 팬의 바람이 유입되는 저장통, 상기 바람(28, 255)에 의하여 비산되는 경량물 또는 가연물이 유입되어 낙하 및 저장되는 저장통; j) 상기 바람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바람이 유입되는 사이클론(86), 상기 바람이 유입되어 바람에 함유된 분진 또는 입자는 하향으로 유출되고 깨끗한 공기는 상향으로 유출되는 사이클론(86), 이 사이클론의 상부에 구비돠어 상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7);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이는 도 11, 12, 13, 14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망선별기, 체선별기, 진동선별기, 스크린선별기, 트롬멜선별기, 트롬멜스크린선별기 중 하나는 망, 체, 진동, 스크린, 트롬멜, 트롬멜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구비, 거치 등이 되는 선별기이다.
상기 자력선별기는 a) 자력, 자석, 자기장, 원통자석, 회전자석, 자력 1,000∼10,000G(가우스)의 자석, 자력 2,000∼4,000G의 자석, 자력 5,000∼7,000G의 자석, 이송벨트 또는 이의 표면에 거치된 자석, 자석 구비 회전체, 외주에 자석이 구비된 회전체, 외주에 자석이 구비된 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선별기, b) 또는 자력선별기, 자석선별기, 자기장선별기, 자력선별 회전체, 자력을 가진 회전체, 자력선별 컨베이어, 자력선별 벨트컨베이어, 자석 부착 회전체, 자석 부착 벨트, 자석 부착 컨베이어, 자석 부착 회전벨트, 자석 부착 회전컨베이어, 자석 부착 벨트컨베이어, 자력으로 물질 또는 금속을 선별하는 기구, 이송수단의 상부에 거치되어 이송수단에 올려진 물질에서 금속을 선별하는 기구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는 스크린, 이를 진동시키는 진동기 또는 로터리진동기, 상기 스크린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진동하는 스프링, 이 스프링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스크린,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스프링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호 진동 정도가 다른 2대 이상의 상기 진동기, 상기 다른에 의하여 편심진동이 발생되는 상기 스크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 정도는 진동의 폭, 주기, 진폭, 크기, 정도, 압력, 사이클 등이 해당된다.
상기 건식선별기, 풍선별기, 바람선별기, 풍력선별기, 송풍선별기, 선풍선별기 중 하나에는 a) 팬(27), 회전팬(27), 송풍기(27), 선풍기(27), 링형 선풍기(220), 팬송풍기, 회전팬송풍기, 에어콤프레셔 송풍기, 모터(26) 구비 팬(27), 팬이 없는 송풍기(220), 팬이 보이지 않는 송풍기(220), 송풍기(27) 구비 스크린(330), 송풍기 구비 켄베이어(400), 송풍기(27) 구비 원통스크린(330, 331), 집진기 구비 풍력선별기, 전단에 송풍기(27, 332)와 후단에 집진기(323)가 구비된 선별기(312), 자신의 측면 또는 하부에 송풍기(27, 332)가 구비된 또는 이의 구비에 의하여 경량물(305∼309)이 날아가 선별되는 스크린(330), 낙하 물질에 바람(28, 225)을 가하여 낙하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312, 332); b) 또는 중공체(76, 102); 이 중공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26);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27); 이 팬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속빈 중공링(221); c)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222), 오픈노즐(222),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d) 상기 노즐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과 외측 평면 사이에 발생되는 부압 또는 압력차; e) 상기 부압 또는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f) 상기 노즐을 통한 바람(28)과 유입되는 외부 공기(225)에 의하여 풍력 또는 송풍바람이 향상되는 송풍기(220), 선풍기, 링송풍기, 링선풍기(220); g) 상기 팬이 상기 중공체 내부에 있어 팬이 보이지 않는 송풍기(220), 선풍기, 링형 선풍기; 이상 도 4 참조, h) 상기 선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 또는 제거하는 망, 필터(87), 수조(176), 분사기(66), 집진기(323), 사이클론(86), 여과망, 여과필터, 분진 함유 공기(80)가 주입되어 분진이 물속에서 제거되는 수조(176), 이는 도 3 참조,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분사기(401), 이는 도 3 참조, 전기 집진하는 집진기, 공기와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86); i) 선별 과정 중 발생된 공기(80)를 처리하는 집진기(323) 또는 공기처리기가 구비된 건식선별기(312, 331, 332); j)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a) 팬 내지 h) 사이클론; k)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a) 팬 내지 h)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풍력선별기는 풍력선별기, 정압 풍력선별기(27, 332), 부압 풍력선별기(220), 상기 부압이 이용되는 부압 풍력선별기(220), 팬(27) 구비의 풍력선별기, 회전팬(27) 구비의 풍력선별기, 회전팬(27)과 이에 이격되어 상기 중공링(221)이 구비된 풍력선별기(220), 팬이 구비되나 이의 구비된 팬이 몸체 또는 중공체에 숨겨져 보이지 않는 풍력선별기(220), 바람(28)을 부는 풍력선별기(332), 바람(28)으로 물질을 선별하는 풍력선별기(332), 바람을 불어 물질을 선별하는 풍력선별기, 회전팬(27)의 바람(28)과 상기 중공링(221)으로 유입되는 바람(225)을 동시에 부는 풍력선별기(220) 중 하나이다.
상기 송풍기는 송풍기(27, 332), 송풍통로, 다단송풍기, 모터(26) 구비 팬(27),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스크린(330)에 구비된 송풍기(27, 332), 송풍기(27, 332)가 구비된 스크린(330), 낙하 물질(300)에 바람(28)을 보내는 송풍기(27, 332), 바람을 가하여 물질(300) 중 경량물(305∼309) 또는 이물질(383)을 선별하는 송풍기, 낙하 물질(300)에 바람을 보내어 낙하 물질에서 경량물(305∼309) 또는 이물질(383)을 선별하는 송풍기, 스크린에 구비된 송풍기, 스크린의 하부 또는 측면에 구비된 송풍기 중 하나(27, 332)이다.
상기 다단송풍기는 a) 2개 이상의 송풍기(도 5는 2개 송풍기), 2개 이상이 상하로 구비된 송풍기(도 6은 2개 송풍기), 2개 이상의 스크린에 각각 구비된 2개 이상의 송풍기(도 11은 3개의 스크린에 각각 구비된 3개의 송풍기), 2개 이상의 바람 통로가 형성된 송풍통로(101)(도 5는 4개의 바람 통로가 형성된 송풍통로), 팬과 이에 연계되는 2개 이상의 송풍통로(101)(도 5, 6, 7); b)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통로(101)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통로(101) 송풍기(도 5, 6),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통로 송풍기(도 5, 6, 7); 도 7은 1팬 5 통로 송풍기이다, c)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풍속 송풍기, 1팬 4 풍속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풍속 송풍기; d)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풍속 통로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풍속 통로 송풍기(도 5, 6의 경우 2개 팬의 4 풍속 통로 송풍기가 해당될 수 있음),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풍속 통로 송풍기(도 7의 경우 1개 팬의 5 풍속 통로 송풍기가 해당될 수 있음); e)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분리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분리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분리 송풍기; f) 또는 풍속, 풍압, 풍량 중 하나 이상이 상호 다른 2개 이상의 송풍기; g) 팬(fan)과 이에 연계되는 것으로 풍속, 풍압, 풍량 중 하나 이상이 상호 다른 2개 이상의 송풍통로(도 5, 6은 4개 송풍통로, 도 7은 5개 송풍통로)로 구성된 장치; h) 팬(fan)과 이에 연계되는 것으로 풍속, 풍압, 풍량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팬에서 제공되는 것과 상호 다른 2개 이상의 송풍통로(101)로 구성된 장치; 중 하나이다. 상기는 도 5, 6, 7, 11, 12, 13, 14, 15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는 도 5, 6, 7 등에서 송풍통로(101)는 경사판(345), 스크린(330) 등에 의하여 구분, 구획 등이 된다.
상기 팬, 팬 출구, 송풍통로, 송풍통로 입구, 송풍통로 내부, 송풍통로 출구, 2개 이상 송풍통로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입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내부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합산 중 하나의 풍속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40m/sec, 40m/sec, 37m/sec, 38m/sec, 37m/sec, 36m/sec, 20m/sec, 21m/sec, 19m/sec, 18m/sec, 38m/sec; 또는 10∼50m/sec, 10∼50m/sec, 9∼48m/sec, 8∼46m/sec, 7∼45/sec, 7∼44/sec, 7∼30m/sec, 6∼28m/sec, 6∼27m/sec, 5∼25m/sec, 9∼49m/sec;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의 예로는 팬, 팬 출구, 송풍통로, 송풍통로 입구, 송풍통로 내부, 송풍통로 출구, 2개 이상 송풍통로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입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내부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합산의 풍속이 상기 열거순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 40m/sec, 40m/sec, 37m/sec, 38m/sec, 37m/sec, 36m/sec, 20m/sec, 21m/sec, 19m/sec, 18m/sec, 38m/sec; 또는 10∼50m/sec, 10∼50m/sec, 9∼48m/sec, 8∼46m/sec, 7∼45/sec, 7∼44/sec, 7∼30m/sec, 6∼28m/sec, 6∼27m/sec, 5∼25m/sec, 9∼49m/sec인 것이다.
상기 팬 내지 합산 중 하나의 풍압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400Pa, 400Pa, 398Pa, 399Pa, 398Pa, 396Pa, 300Pa, 303Pa, 301Pa, 298Pa, 399Pa; 또는 100∼800Pa, 100∼800Pa, 98∼796Pa, 99∼798Pa, 97∼795Pa, 96∼794Pa, 50∼300Pa, 51∼303Pa, 50∼299Pa, 48∼296Pa, 99∼799Pa;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의 예로는 팬, 팬 출구, 송풍통로, 송풍통로 입구, 송풍통로 내부, 송풍통로 출구, 2개 이상 송풍통로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입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내부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합산의 풍압이 상기 열거순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 400Pa, 400Pa, 398Pa, 399Pa, 398Pa, 396Pa, 300Pa, 303Pa, 301Pa, 298Pa, 399Pa; 또는 100∼800Pa, 100∼800Pa, 98∼796Pa, 99∼798Pa, 97∼795Pa, 96∼794Pa, 50∼300Pa, 51∼303Pa, 50∼299Pa, 48∼296Pa, 99∼799Pa인 것이다.
상기 팬 내지 합산 중 하나의 풍량에는 순차적 또는 무순으로 1000m3/h, 1000m3/h, 996m3/h, 998m3/h, 995m3/h, 993m3/h, 400m3/h, 405m3/h, 400m3/h, 390m3/h, 996m3/h; 또는 1000∼10000m3/h, 1000∼10000m3/h, 996∼9996m3/h, 998∼9998m3/h, 995∼9994m3/h, 990∼9990m3/h, 500∼5000m3/h, 505∼5010m3/h, 498∼4998m3/h, 490∼4990m3/h, 998∼9997m3/h;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의 예로는 팬, 팬 출구, 송풍통로, 송풍통로 입구, 송풍통로 내부, 송풍통로 출구, 2개 이상 송풍통로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입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내부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각각, 2개 이상 송풍통로 출구 합산의 풍량이 상기 열거순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 1000m3/h, 1000m3/h, 996m3/h, 998m3/h, 995m3/h, 993m3/h, 400m3/h, 405m3/h, 400m3/h, 390m3/h, 996m3/h; 또는 1000∼10000m3/h, 1000∼10000m3/h, 996∼9996m3/h, 998∼9998m3/h, 995∼9994m3/h, 990∼9990m3/h, 500∼5000m3/h, 505∼5010m3/h, 498∼4998m3/h, 490∼4990m3/h, 998∼9997m3/h인 것이다.
상기 입구는 입구, 전단, 투입구 등이 해당되고, 내부는 내부, 중간 등이 해당되고, 출구는 출구, 후단, 배출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로, 송풍통로 등(101)은 홀, 문, 구멍, 창문, 슬롯, 통로, 오픈부, 송풍통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풍속, 풍압, 풍량 등은 마찰 저항 등 때문에 상기 팬에서 배출 방향, 송풍통로 등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된다.
상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통로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통로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통로 송풍기는 1개 또는 다수개 팬과 이에 연계되는 2개 통로, 4개 통로(도 5, 6), 다(多)수개 통로(도 7은 5개 통로)가 각각 구비된 송풍기이다.
상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풍속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풍속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풍속 송풍기는 1개 또는 다수개 팬에서 2종 풍속, 4종 풍속(도 5, 6은 2팬의 4종 풍속 송풍기 가능), 다(多) 풍속(도 7은 5종 풍속 가능)이 각각 송풍 또는 형성되는 송풍기이다.
상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풍속 통로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풍속 통로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풍속 통로 송풍기는 1개 또는 다수개 팬과 이에 연계되는 것으로 2종 풍속, 4종 풍속(도 5, 6), 다(多) 풍속(도 7은 5종 풍속)이 각각 송풍 또는 형성되는 통로가 구비된 송풍기이다.
상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2 분리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4 분리 송풍기, 1 팬 또는 다(多) 팬의 다(多) 분리 송풍기는 1개 또는 다수개 팬으로 물질 또는 폐기물(300)에서 2개 이상의 통로, 풍속, 풍압, 풍량 등에 의하여 2종 이물질(301 ∼ 309), 4종 이물질, 다(多)종 이물질(301 ∼ 309)을 각각 분리하는 송풍기이다.
a) 상기 수(手)선별기는 수(手), 사람, 인부, 인력, 사람의 수(手) 중 하나가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b) 상기 수(水)선별기, 습식선별기, 수조선별기, 비중선별기 중 하나는 수(水), 물, 수조, 비중차, 수조의 물, 물질의 비중차, 물속 물질의 비중차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상기 수조선별기(334)에는 a) 수조(335); 이 내부의 물; b) 상기 수조 또는 물 내부에 거치된 노즐(66), 버블기, 폭기기, 송풍기, 노즐기(66), 분사기(66), 폭기노즐(66); c) 상기 수조(335) 또는 물 또는 물공급라인(151)에 주입되는 버블, 공기, 폭기, 압기, 펄스, 펄스압, 초음파, 자기장,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산성제, pH저감제; d) 상기 버블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수조 내지 폭기노즐; e) 상기 버블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수단, 저장고, 펌프, 호스, 인젝터, 주입기, 투입기, 분사기, 버블기, 폭기기, 전해기, 송풍기, 콤프레셔,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상기 물공급라인(151)에 연계된 벤츄리관(77), 인젝터(93); 이상은 도 2 참조, f) 상기 노즐 또는 분사기(66)에 구비된 와류판(67), 확장부(68); 이는 도 24, 도 25, 도 33, 도 34 등 참조, 여기서 와류판(67)은 판, 보드, 와류판, 경사판, 돌기판 등이 해당됨, g) 상기 수단 또는 인젝터(93)에 거치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h)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98); i) 상기 개폐가 반복되어 공급되는 압기(83); j) 상기 압기 공급의 반복에 의하여 상기 수조 또는 물에 가해지는 펄스압(84); k) 이의 펄스압을 가하는 펄스기(50, 51); 이상 도 33, 34, 35 등 참조, ℓ) 상기 수조(335)의 상부 또는 수면에서 부유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형 팬 또는 스크레이퍼(336); 상기 수조 하부의 트렌치; 상기 하부 또는 트렌치에 거치되면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337); 상기 수조 내에서 비중 선별된 또는 경량물이 선별된 물질 또는 어중량 물질을 반출시키는 컨베이어, 갈퀴컨베이어, 돌기컨베이어, 유공컨베이어, 다공컨베이어(400); m) 상기 선별된 물질 또는 중량 물질을 탈수하는 진동탈수기 또는 진동스크린(330); n) 상기 침전물 또는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기, 상기 침전물 또는 농축된 농축물을 탈수하는 탈수기(316); o)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수조 내지 탈수기; p) 선별에 사용된 물을 수처리하는 수처리장치가 구비된 수조선별기; q)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수조 내지 탈수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갈퀴컨베이어, 돌기컨베이어 등(400)은 갈퀴, 고리, 돌기, 회전 갈퀴 등이 구비된 컨베이어로서, 자신이 회전하면서 수조 내의 골재, 자갈, 조대물질 등을 갈퀴, 고리, 돌기, 회전 갈퀴 등으로 낚아 올리는 컨베이어, 유공컨베이어, 다공컨베이어 등이다. 상기 유공컨베이어, 다공컨베이어 등은 구멍, 유공, 다공, 타공, 홀형성, 구멍형성 등의 컨베이어, 갈퀴컨베이어, 돌기컨베이어 등으로 컨베이어 상부의 물질 중 자신에 형성된 홀이나 구멍보다 작은 흙, 토사, 미세물질 등은 홀이나 구멍 등을 통하여 수조 하부로 침전되도록 하도록 하고, 자신 상부의 골재, 자갈, 조대물질 등은 진동탈수기 또는 진동스크린(330) 등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침전된 침전물은 수조 하부의 트렌치 내에 거치된 스크류(337)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 침전조(176)로 반출된다.
상기 갈퀴선별기(341)는 갈퀴, 고리, 돌기, 회전 갈퀴, 축에 구비된 2개 이상의 갈퀴, 회전축에 구비된 2개 이상의 갈퀴, 축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2개 이상의 갈퀴, 이송수단 상부에 거치된 회전 갈퀴, 이송수단 상부에 거치되어 회전하면서 이송수단, 켄베이어 등(400)의 위에 놓인 물질 중 경량물을 선별하는 갈퀴 중 하나가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이는 도 14, 15, 16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산선별기 또는 확산선별기(342)는 a) 분산선별기, 확산선별기, 물질(300)을 분산 또는 확산시켜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342); b) 낙하하는 물질(300)을 분산 또는 확산시켜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 낙하하는 물질(300)을 회전체, 돌기회전체, 날개회전체 등(340)으로 분산 또는 확산시켜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342), 낙하하는 물질(300)의 낙하력에 의하여 무동력 회전하는 회전체, 돌기회전체, 날개회전체 등(340)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켜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분리하는 선별기; c) 날개 또는 갈퀴가 구비된 회전체(340)의 회전에 의하여 물질(300)을 분산 또는 확산시켜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 날개 또는 갈퀴가 구비된 회전체(340)의 회전에 의하여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킨 후에 바람(28)을 불어 상기 물질을 2종 이상으로 선별하는 선별기; d) 물질 확산기(342)와 이의 하부에 송풍팬(27)으로 구성된 선별기(312),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기(342)와 이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확산 물질에 바람을 부는 송풍팬(27, 332)으로 구성된 선별기; 이는 도 11, 12, 16 등 참조, e) 또는 확산콘(346), 이에 구비된 호퍼(311), 물질이 유입되는 상기 호퍼(311), 상기 확산콘의 내부에 거치된 회전체(340), 모터(26)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340), 물질(300)의 낙하력에 의하여 날개 또는 갈퀴가 회전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340), 상기 회전에 의하여 낙하되는 물질(300)을 분산 또는 확산시키는 상기 회전체(340), 상기 확산콘의 하부 측면에 거치된 송풍팬(27), 상기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에 바람을 불어 상기 물질에서 경량물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상기 송풍팬(27), 상기 확산콘 내지 회전체가 포함되는 확산기(342), 이상은 도 12 참조, 상기 확산콘 내지 확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확산콘 또는 확산기에 연계된 집진기(323);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는 도 11, 12, 13, 14, 16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집진선별기는 집진선별기, 집진기(323)가 구비된 선별기(312), 집진 기능을 가진 선별기, 집진하여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 선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기능을 가진 선별기, 집진기(323) 또는 사이클론(86)이 구비된 선별기(312), 분진 및 먼지 등은 상부로 비산하므로 자신의 상부에 집진기 또는 사이클론이 구비된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다단선별기에는 다단선별기, 계단선별기, 계단식 다단선별기, 다단풍력선별기(도 5, 6, 7), 2단 이상의 선별기(도 11은 3단 선별기), 2단 이상의 스크린 선별기(도 11, 12, 13), 상하로 2단 이상 배치된 선별기(도 11, 12, 13), 3종 이상의 물질을 선별하는 다단선별기, 투입 물질(300)이 3종 이상의 물질(301∼309)로 선별되는 다단선별기, 2개 이상의 경사판(330, 345, 346)이 상하 지그재그로 설치된 선별기(도 8), 몸통(102) 내에 2개 이상의 경사판(330, 345, 346)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선별기(도 8), 바람이 부는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 팬과 이에 연계되는 송풍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도 5, 6, 7), 팬과 이에 연계되는 것으로 상기 팬의 바람이 통과되는 송풍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 상기 통로에서 통과하는 바람에 의하여 경량물이 분리되는 선별기(도 5, 6, 7), 풍력에 의하여 3종 이상의 물질로 선별되는 다단풍력선별기(도 5, 6, 7);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다단선별기 내지 다단풍력선별기;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다단선별기 내지 다단풍력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다층선별기는 다층선별기, 계단선별기, 계단식 다층선별기, 다층풍력선별기(도 5, 6, 7), 2층 이상의 선별기, 2층 이상의 스크린 선별기(도 11, 13, 14), 상하로 2층 이상 배치된 선별기, 3종 이상의 물질을 선별하는 다층선별기, 투입 물질이 3종 이상의 물질로 선별되는 다층선별기, 2개 이상의 경사판이 상하 지그재그로 설치된 선별기(도 8), 몸통 내에 2개 이상의 경사판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선별기(도 8), 바람이 부는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 팬과 이에 연계되는 송풍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 팬과 이에 연계되는 것으로 상기 팬의 바람이 통과되는 송풍 통로가 2개 이상인 선별기(도 5, 6, 7), 상기 통로에서 통과하는 바람에 의하여 경량물이 분리되는 선별기, 풍력에 의하여 3종 이상의 물질로 선별되는 다층풍력선별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다층선별기 내지 다층풍력선별기;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다층선별기 내지 다층풍력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원심선별기는 원심선별기, 원심력 선별기, 원심회전 선별기, 원심회전 선별기, 원심 회전통 선별기, 원심 회전드럼 선별기, 원심회전 다공통 선별기, 원심회전 다공드럼 선별기, 원심회전하면서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원심회전 다공통 선별기, 원심회전 다공드럼 선별기 등에서 다공의 홀, 구멍 등으로는 원심회전 시에 홀, 구멍 등의 크기보다 작은 물질, 세립자 등은 빠져나가 선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중력선별기는 a) 중력, 중력차, 물질의 중력, 낙하하는 물질의 중력, 풍력(28)에 의하여 비산한 후 낙하하는 물질의 중력(도 3); 도 3의 경우는 풍력(28)에 의하여 투입 물질 중 경량물이 비산한 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여 부호 305∼309의 5종 경량물이 선별됨, b) 또는 경사망, 경사체, 경사스크린, 경사판, 2개 이상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경사판, 통 내부에 2개 이상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330, 345)의 직하부에 설치된 배출판(346, 도 8), 상기 경사판(330, 345)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의 다공을 통과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346, 도 8); c) 낙하하는 물질이 투입되는 상기 경사망 내지 경사판; d) 송풍팬(27)이 설치된 상기 경사망 내지 경사판, 송풍팬이 설치되어 경량물을 외부로 비산 분리시키는 상기 경사망 내지 경사판; 중 하나를 이용하여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이다.
상기 원통선별기는 원통선별기(도 9 e), 트롬멜선별기(도 2의 부호 331), 다공(101) 원통 선별기(도 9 e), 회전 원통 선별기, 원심회전 원통 선별기, 수직 원통선별기, 수평 원통선별기, 경사 원통선별기, 일측에 송풍팬(27)이 거치된 원통선별기, 일측에서 바람이 부는 원통선별기, 일측에서 바람이 불어 원통의 다공과 바람의 풍력에 의하여 물질을 선별하는 원통선별기, 상기 다공을 통과하는 물질(도 9 e의 부호 301, 302)과 상기 다공을 미통과하는 물질(도 9 e의 부호 303)과 상기 풍력에 의하여 비산하는 물질(도 9 e의 부호 305)로 선별하는 원통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선별기는 돌기선별기, 돌기(420) 구비 선별기(312), 돌기가 표면에 구비된 망 또는 스크린 선별기, 돌기가 내부에 구비된 드럼 또는 회전통 선별기, 돌기(420)가 내부에 구비된 트롬멜(도 10 d) 또는 사이클론 선별기(도 35 b), 돌기가 이용되는 선별기, 회전 돌기가 이용되는 선별기, 이송수단 상부에 거치된 회전 돌기에 의하여 이송수단에 놓인 물질 중 경량물이 선별되는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동력선별기는 동력, 전기, 전원, 동력에 의한 진동, 전기에 의한 회전, 전원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드럼, 전기인가에 의하여 바람이 부는 송풍팬 중 하나가 이용되는 선별기이다.
상기 무동력선별기는 물, 바람, 풍력, 낙차, 비중차, 낙하력, 무동력(無動力), 무전기(無電氣), 무전원(無電源), 물속 비중차, 공중의 낙하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질을 선별하는 선별기이다. 이는 도 11, 12 등이 해당된다.
상기 다방향선별기는 a) 2방향선별기(도 9 a, b), 3방향선별기(도 9 c), 4방향선별기(도 9 d), 다방향선별기(도 9 a, b, c, d), 1각선별기(도 9 a, b), 2각선별기(도 9 c), 3각선별기, 4각선별기(도 9 d), 5각선별기, 다각선별기(도 9 c, d), 원통선별기(도 9 e); b) 2방향스크린선별기(도 9 a, b), 3방향스크린선별기(도 9 c), 4방향스크린선별기(도 9 d), 다방향스크린선별기(도 9 a, b, c, d), 1각스크린선별기(도 9 a, b), 2각스크린선별기(도 9 c), 3각스크린선별기, 4각스크린선별기(도 9 d), 5각스크린선별기, 다각스크린선별기, 원통스크린선별기; c) 2종 이상의 선별 구멍 크기를 가진 상기 선별기, 상기 각 또는 방향의 개수 만큼 스크린(330)이 구비된 선별기(도 9 a, b, c, d), 상기 각 또는 방향에 따라 각각의 스크린(330)이 구비된 선별기(도 9 a, b, c, d), 상기 각 또는 방향 또는 스크린(330)에 따라 2종 이상의 선별 구멍 크기를 가진 상기 선별기; d) 상기 선별기의 지지대, 상기 선별기의 일단 또는 양단에 축(410), 상기 축이 삽입된 베어링(5),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레버 또는 모터(26), 상기 축 또는 레버의 고정수단, 이의 고정수단이 정착된 상기 지지대; e) 상기 축(4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스크린(330) 또는 선별기(312);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9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축(410)의 회전에 의하여 선별에 적용되는 스크린; 이의 각, 방향; 등이 변경되게 된다. 이는 상기 각, 방향 등을 달리하는 스크린의 구멍 크기를 달리하여 선별 크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각 또는 방향에서 각은 1각선별기, 2각선별기, 3각선별기 등에서의 각이다. 방향은 2방향선별기, 3방향선별기 등에서의 방향이다.
상기 다종구멍선별기는 a) 2종구멍선별기, 3종구멍선별기, 4종구멍선별기, 5종구멍선별기, 6종구멍선별기, 다종구멍선별기; b) 2종(8mm, 12mm 등)의 선별 구멍크기(101)를 가진 2종구멍선별기, 3종(8mm, 12mm, 25mm 등)의 선별 구멍크기(101)를 가진 3종구멍선별기, 4종(8mm, 12mm, 25mm, 40mm 등)의 선별 구멍크기(101)를 가진 4종구멍선별기, 5종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5종구멍선별기, 6종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6종구멍선별기, 다종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다종구멍선별기; c) 또는 1각, 2각, 3각, 4각, 5각, 6각, 다각, 2방향, 3방향, 4방향, 5방향, 6방향, 다방향, 8mm 이하, 12mm 이하, 25mm 이하, 25mm 이상, 40mm 이하, 40mm 이상, 8∼12mm, 12∼25mm, 25∼40mm 중 하나 이상의 선별기 또는 하나 이상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선별기; d) 2종 이상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상기 1각 내지 다방향 중 하나의 선별기; e) 1개 또는 2개 이상의 스크린이 2종 이상의 선별 구멍크기를 가진 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쉐이킹선별기는 a) 이동선별기, 운동선별기, 진동선별기, 유격선별기, 요동선별기, 흔들림선별기, 쉐이킹선별기, 스프링 구비 선별기; b) 또는 상, 하, 전, 후, 좌, 우 중 하나 이상으로 흔들림되는 선별기; c) 진동기 또는 이동대 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이동, 운동, 흔들림, 쉐이킹 중 하나가 되는 선별기; d) 망에 진동기 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흔들림되는 선별기, 스크린 하부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흔들림되는 선별기, 일측에 이동대가 장착되어 자신을 밀고 당김으로 양측으로 반복 흔들림되는 선별기, 피스톤 또는 이동대가 장착되어 좌우로 반복 이동되는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이동대는 이동대, 피스톤, 왕복이동대, 선별기를 양측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피스톤, 선별기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대, 선별기를 좌우로 반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대 중 하나이다.
상기 스프링선별기는 스프링선별기, 스프링 구비 망, 스프링 구비 체, 스프링 구비 스크린, 스프링 구비 선별기, 스프링에 의하여 요동하는 선별기, 하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프링에 의하여 요동하는 망 또는 스크린 또는 선별기, 네 모서리의 하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프링에 의하여 요동하는 망 또는 스크린 또는 선별기, 하부에 탄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프링의 요동 정도가 상이한 망 또는 스크린 또는 선별기, 상기 요동에 의하여 선별 기능이 향상되는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선별기 또는 회전원통선별기는 회전체, 회전통, 회전원통, 회전드럼, 회전트롬멜, 회전중공체, 회전다공통, 회전다공드럼, 회전다공중공체, 원심회전체, 원심회전통, 원심회전드럼 중 하나에 의한 선별기이다.
상기 교반형선별기는 교반형선별기, 교반 기능을 가진 선별기, 교반과 선별을 하는 선별기, 다수의 경사판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교반형 선별기, 통 내부에 2개 이상의 경사판(330, 345)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교반형 선별기, 상기 경사판의 직하부에 설치된 배출판이 구비된 교반형 선별기, 상기 경사판(330, 345)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판의 다공을 통과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판(346)이 구비된 교반형 선별기(312) 중 하나이다. 이는 도 8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살균형선별기, 소독형선별기, 정화형선별기 중 하나는 a) a1)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a2) 또는 오존, 음이온, 피톤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기,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기능이 부여된 선별기; b) 또는 오존기, 음이온기,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선별기; c) 상기 구비되어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 기능을 가진 선별기; d) 상기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를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 기능을 가진 선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선별기에는 망(330)의 측면에 팬(27)이 설치되어 망의 구멍을 통과한 물질(301, 302)과 미 통과한 물질(303)과 팬의 바람에 의하여 비산되는 경량물(305)이 선별되는 복합선별기(도 9 a, e), 스크린 일측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스크린 구멍을 통과한 선별과 송풍기에 의하여 경량물이 확산되어 선별되는 확산기의 복합선별기(도 11, 12), 진동스크린선별기와 이의 후단에 설치된 트롬멜선별기의 복합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와 이를 통과한 물질 중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의 복합선별기, 풍력선별기와 이의 후단에 설치된 습식선별기의 복합선별기(도 2), 오존기가 설치된 수조가 이용되는 살균형 수조선별기의 복합선별기, 음이온이 발생되는 소독형 파쇄선별기의 복합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5) 상기 파쇄하는 파쇄기(313)는 파쇄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 분쇄 등은 a) 파쇄, 분쇄,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 파쇄, 폐기물 또는 콘크리트 분쇄; b) 상기 흙 내지 펠렛, 폐기물, 슬러지 등을 파쇄, 분쇄; c) 상기 흙 내지 펠렛, 폐기물, 슬러지 등을 8mm 이하, 8∼25mm, 25∼40mm, 40mm 이상 등으로 파쇄, 분쇄;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파쇄기 1은 볼밀, 돌기, 해머(415), 로터, 롤러, 돌기봉, 돌기해머, 해머밀, 롤러밀, 파쇄기, 분쇄기, 마쇄기, 박리기, 회전체, 회전기, 회전줄, 와이어(411, 412, 413), 타격대, 타격수단, 돌기회전체, 회전타격대, 회전로프, 회전와이어(411, 412, 413), 다발줄(413), 회전다발줄(413), 다단파쇄기, 다층파쇄기, 수직파쇄기, 수평파쇄기, 경사파쇄기, 박리파쇄기, 회전파쇄기, 선별파쇄기, 집진파쇄기, 다단파쇄기, 돌기파쇄기, 회전체파쇄기, 충돌형 파쇄기, 사이클론 파쇄기, 원심회전 파쇄기, 분산형 파쇄기, 확산형 파쇄기, 살균형파쇄기, 소독형파쇄기, 정화형파쇄기, pH저감형 파쇄기, 돌기(420) 구비 파쇄기(313), 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340, 355, 411, 412, 413, 415), 상기 볼밀 내지 pH저감형 파쇄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볼밀 내지 pH저감형 파쇄기에는 ball mill의 볼밀, 원통의 회전 용기 안에 볼(공)과 물질을 넣어 회전시켜 물질을 파쇄하는 볼밀. 볼의 낙하에 의한 충격과 갈아부수는 작용으로 분쇄가 이루어지는 볼밀, 파쇄기능을 가진 돌기, 타격 또는 회전하는 해머(415), 회전하는 로터, 회전하는 롤러, 돌기 구비 봉인 돌기봉, 돌기 구비 해머인 돌기해머, 해머 구비 밀(mill)인 해머밀, 롤러 구비 밀인 롤러밀,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 물질을 마쇄하는 마쇄기, 물질을 박리하는 박리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회전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회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회전줄, 물질을 파쇄하는 와이어(411, 412, 413), 물질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타격대, 물질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타격수단, 돌기 구비 회전체인 돌기회전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회전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회전로프,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회전와이어(411, 412, 413), 2가닥 이상의 줄인 다발줄(413),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회전다발줄(413), 2단 이상의 다단파쇄기, 2층 이상의 다층파쇄기, 수직으로 거치되는 수직파쇄기(도 13, 14, 15, 16), 수평으로 거치되는 수평파쇄기(도 17, 19), 경사파쇄기(도 17, 20, 21), 박리하여 파쇄하는 박리파쇄기, 회전하면서 파쇄하는 회전파쇄기, 선별과 파쇄를 하는 선별파쇄기, 집진기가 구비된 집진파쇄기, 2단 이상의 다단파쇄기, 돌기가 구비된 돌기파쇄기, 회전체가 구비된 회전체파쇄기, 물질과 충돌하여 파쇄하는 충돌형 파쇄기, 원심회전하여 파쇄하는 사이클론 파쇄기, 내부에 파쇄기능을 가진 돌기가 거치된 사이클론 파쇄기, 원심회전하면서 파쇄하는 원심회전 파쇄기, 물질을 분산시켜 파쇄하는 분산형 파쇄기, 물질을 확산시켜 파쇄하는 확산형 파쇄기, 살균기능을 가진 살균형파쇄기, 소독기능을 가진 소독형파쇄기, 정화기능을 가진 정화형파쇄기, 파쇄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pH저감형 파쇄기 등도 포함이 가능하다.
상기 파쇄기 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볼밀 내지 복합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3은 크러셔, 죠크러셔(350), 더블죠크러셔(351), 콘크러셔(352), 롤크러셔, 돌기 구비의 돌기크러셔, 파동하면서 파쇄하는 파동크러셔, 롤러(355)가 이용되는 롤러크러셔(354), 로터가 이용되는 로터크러셔, 톱니가 구비된 톱니크러셔, 톱니바퀴가 구비된 톱니바퀴크러셔, 요철이 형성된 롤러가 이용되는 요철롤러크러셔, 톱니가 형성된 롤러가 이용되는 톱니롤러크러셔, 해머 파쇄기인 해머크러셔, 임팩트크러셔(353), 자이러트리크러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하는 크러셔, 축(410)에 구비된 회전체(340, 355, 411, 412, 413, 415)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하는 크러셔, 골재(382)를 생산하는 크러셔,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크러셔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4는 압축하여 파쇄하는 압축파쇄기, 충격으로 파쇄하는 충격식파쇄기, 절단하여 파쇄하는 절단식파쇄기, 충격절단식파쇄기, 죠크러셔 등(350)의 1차파쇄기, 콘크러셔 등(352)의 2차파쇄기, 임팩트크러셔 등(353)의 3차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5는 팬, 돌기, 갈퀴, 로터, 날개, 필터,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회전팬, 회전체, 송풍기, 선풍기, 분산기, 확산기, 정화기, 집진기, 사이클론, 일측에 팬, 타측에 집진기, 상기 볼밀 내지 회전타격대,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또는 자신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파쇄기, 팬형 파쇄기, 분산형 파쇄기, 확산형 파쇄기, 집진형 파쇄기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봉 내지 결합체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휠 내지 결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파쇄기 6은 회전하는 로터 또는 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 또는 분쇄시키는 로터 또는 타격대, 봉(410, 411)에 거치된 해머(415), 회전 봉(410)에 거치된 해머(415), 돌기(420) 형성 봉(410, 411)에 거치된 해머(415), 봉(410, 411)에 거치되면서 돌기(420)가 형성된 해머(415), 회전하는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돌기 형성의 해머, 파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13, 14, 15, 16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파쇄기 7은 고정판(356)과 롤라(355) 또는 이동판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300)을 압축하여 파쇄하는 기구(도 17 d), 고속회전하는 봉(410)에 부착된 해머(415)로 물질을 파쇄하는 기구(도 13, 14, 15, 16), 원추형의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내부통의 원운동 또는 편심원운동으로 파쇄하는 기구 중 하나이다.
상기 파쇄기 8은 죠크러셔(350)와 콘크러셔(352)와 임팩트크러셔(353), 죠크러셔(350)와 더블죠크러셔(351)와 콘크러셔(352)와 임팩트크러셔(352)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파쇄기 9는 a) 통(357), 드럼, 회전통, 트롬멜(357); b) 이중 하나 외부의 외부 드럼(358); c) 상기 통 내지 외부 드럼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바(359), 판, 격자(359), 발판, 타격판, 돌출바, 걸림턱(359); d) 상기 통 내지 외부 드럼 중 하나에 거치된 축(410); e) 이 축에 거치된 봉(411), 강선, 스프링(411); f) 상기 축, 봉 내지 스프링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 해머(415); g) 상기 통 내지 해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돌기(420); h) 상기 통 내지 해머, 돌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수단, 모터(26); i) 상기 회전 또는 역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파쇄기이다. 이는 도 19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파쇄기 10은 산성제, 산성물, 산성수, pH저감제,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볼밀 내지 복합파쇄기, 크러셔 내지 복합크러셔, 압축파쇄기 내지 3차파쇄기, 로터 내지 집진기, 통 내지 해머, 기구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11은 상기 산성제 내지 이산화탄소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어 파쇄 대상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상기 볼밀 내지 기구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1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볼밀 내지 기구,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볼밀 내지 기구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13은 a) 고정체; b) 이의 일측 또는 양측 또는 외부에 이격된 유동체; c) 상기 이격 사이를 통과하는 물질, 골재, 폐기물; d) 또는 상, 하, 좌, 우, 전, 후, 2방향, 3방향, 4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유동하는 상기 유동체; e) 상기 유동체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축 파쇄되는 물질, 골재, 폐기물; f) 상기 유동을 시키는 유동수단, 피스톤, 실린더, 왕복수단; g) 상기 고정체, 유동체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 봉, 판, 돌기, 강판, 금속판, 라이너; h) 상기 파쇄에 사용되는 상기 봉 내지 라이너; i) 상기 파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상기 봉 내지 라이너; j) 상기 고정체 및 유동체에 비하여 먼저 마모되는 상기 봉 내지 라이너; k) 상기 고정체 및 유동체의 마모를 방지하는 상기 봉 내지 라이너; ℓ) 상기 고정체 및 유동체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키는 상기 봉 내지 라이너; m) 상기 유동을 조정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파쇄기, 분쇄기, 박리기, 크러셔,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중 하나이다. 상기 고정체와 유동체에 상기 봉 내지 라이너 등이 장착되면 물질의 파쇄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가인 상기 고정체와 유동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 유동체 등에서 체는 체, 조, 통, 함, 탱크, 박스, 용기, 원통, 원추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파쇄기 14는 a) 상기 파쇄; b) 이를 위한 봉, 밀, 해머, 롤러, 카타, 기구, 파쇄기, 크러셔; c) 상기 파쇄 내지 크러셔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파쇄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선별물; d) 상기 파쇄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래, 자갈, 금속, 골재; e) 상기 파쇄 내지 크러셔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세균, 오염, 바이러스,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파쇄기이다.
상기 파쇄기 15는 a) a1)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a2) 상기 자화 ∼ 복합물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a3)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해머, 망치, 타격기, 파쇄기, 크러셔,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콘크러셔, 롤러크러셔(354), 해머크러셔, 분쇄파쇄기, 원통크러셔, 임팩트크러셔;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타격, 부딪힘, 회전, 분산, 확산, 타격되어 분산, 타격되어 확산 중 하나 이상이 된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분진, 암석, 바위, 물체, 물질, 재료, 자재, 회전물, 분산물, 확산물, 회전물인 폐기물, 회전물인 골재, 회전물인 토사, 회전물인 암석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파쇄하거나, b) 또는 상기 타격에 의하여 상기 물질을 파쇄하는 장치이다.
상기 파쇄기 16은 a) 회전하는 파괴력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와이어(411), 이에 장착된 봉(410), 상기 봉 또는 와이어에 형성된 돌기(420)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와이어 파쇄기; b) 이의 와이어 파쇄기가 포함되는 상기 해머 내지 임팩트크러셔; c) 상기 와이어가 자신의 축 또는 회전축(410)에 구비되는 파쇄기; d) 상기 선별 장치가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파쇄기; d) 파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가 구비된 파쇄기; e) 내부에 돌기(420)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의하여 물질이 파쇄되는 사이클론 파쇄기(도 35);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파쇄기 17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해머(415), 망치, 타격기, 파쇄기, 와이어(411), 크러셔, 죠크러셔(350), 더블죠크러셔(351), 콘크러셔(352), 롤러크러셔(354), 해머크러셔(415), 분쇄파쇄기, 원통크러셔(도 19), 임팩트크러셔(353); 상기 파쇄기 1 내지 16; 중 하나이다.
상기 파쇄기 18은 상기 해머에 상기 자화기, 상기 망치에 상기 진동기, 상기 타격기에 상기 가진기, 상기 파쇄기에 상기 오존기, 상기 크러셔에 상기 음이온기, 상기 죠크러셔에 상기 복합기, 상기 더블죠크러셔에 상기 자화물인 자화 폐기물, 상기 콘크러셔에 상기 진동물인 진동 골재, 상기 롤러크러셔에 가진 암석, 상기 해머크러셔에 오존처리된 골재, 상기 분쇄파쇄기에 음이온처리된 폐기물, 상기 원통크러셔에 회전물인 회전 골재, 상기 임팩트크러셔에 복합물의 폐기물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투입되는 파쇄 장치이다.
a) 상기 볼밀은 볼밀, ball mill, 볼파쇄기. 볼분쇄기, 볼밀링기, 회전 원통 안에 쇠구슬이나 돌기 내재되어 유입된 물질을 부수는 파쇄기 중 하나이다. b) 상기 해머밀은 해머밀, hammer mill, 해머밀링기, 해머파쇄기, 해머가 이용되어 밀링 또는 파쇄하는 기구 중 하나이다. c) 상기 롤러밀은 롤러밀, roller mill, 회전롤러밀, 롤러밀링기, 롤러파쇄기, 회전롤러 밀링기, 회전롤러 파쇄기, 롤러가 이용되어 밀링 또는 파쇄하는 기구, 롤러가 회전하여 밀링 또는 파쇄하는 기구 중 하나이다. d) 상기 로터는 로터, rotor, 회전체, 회전자, 회전대, 회전봉, 회전해머, 축에 구비된 로터, 회전축에 구비된 로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봉이 회전축에 거치된 파쇄기 중 하나이다. e) 상기 돌기봉은 돌기봉, 돌기 구비 봉, 돌기 구비 회전봉, 돌기가 구비되어 파쇄 효율이 향상되는 봉, 돌기와 봉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돌기 구비 봉 중 하나이다. f) 상기 돌기해머는 돌기해머, 돌기 구비 해머, 돌기 구비 회전해머, 돌기 구비 해머가 장착된 회전축, 돌기 구비 해머가 장착된 회전봉, 돌기가 구비되어 파쇄 효율이 향상되는 해머, 돌기와 해머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돌기 구비 해머 중 하나이다.
a) 상기 타격대, 타격수단, 회전타격대 중 하나는 타격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대, 봉, 해머, 돌기, 수단, 회전체, 회전대, 회전봉, 회전해머, 회전돌기, 회전수단 중 하나이다. b) 상기 와이어는 줄(411), 로프(411), 와이어(411), 2가닥 이상의 줄이 꼬아진 와이어(도 22 a6), 봉(410) 구비 와이어(411), 돌기(420) 구비 와이어(411), 상기 2가닥 이상에 봉이 끼움된 와이어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2를 참조하면 된다. c) 상기 분산기 또는 확산기는 분산기, 확산기, 물질을 분산하는 분산기(342),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기(342), 선별 또는 파쇄 또는 박리의 전(前) 또는 시(時)에 물질을 분산하여 선별 또는 파쇄 또는 박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분산기(342), 선별 또는 파쇄 또는 박리의 전(前) 또는 시(時)에 물질을 확산하여 선별 또는 파쇄 또는 박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확산기, 자신이 회전하면서 물질을 분산하는 분산기, 자신이 회전하면서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기,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키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1, 12 등을 참조하면 된다. d) 상기 돌기회전체는 돌기회전체, 돌기 구비 회전체, 회전체 구비 돌기, 회전하는 돌기, 돌기와 회전체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돌기 구비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다단파쇄기는 다단파쇄기(도 10은 3단파쇄기), 다층파쇄기(도 14는 3층파쇄기), 2단파쇄기(도 15 b, 도 17 c, 도 18 b, 도 18 c), 3단파쇄기(도 10, 14, 15 e), 다단봉 파쇄기(도 10, 14, 15), 다단줄 파쇄기(도 15 b, c, d), 다단체 파쇄기(도 10, 14, 15), 다단해머 파쇄기(도 15 f는 2단해머 파쇄기), 다단롤러 파쇄기(도 17 c는 2단롤러 파쇄기), 회전축(410)과 이에 거치된 다단체(411, 412, 413, 415)로 구성된 파쇄기, 회전축(410)과 이에 거치된 다단봉(411) 또는 다단줄(411)로 구성된 파쇄기, 회전축(410)에 2단 이상의 봉(411) 또는 해머(415)가 구비된 파쇄기(도 16 g의 경우 4단에 해당), 1차 죠크러셔와 2차 더블죠크러셔와 3차 콘크러셔가 구비된 다단파쇄기, 상부에 죠크러셔와 중간에 더블죠크러셔와 하부에 콘크러셔가 구비된 다단파쇄기, 상부에 회전해머와 하부에 회전줄이 구비된 파쇄기, 회전축의 상부에 해머와 하부에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도 14, 도 15 e, 도 16 g), 회전축의 상부에 물질 파쇄 해머와 하부에 물질 파쇄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 회전축의 상부에 2단 이상이면서 2개 이상의 해머와 하부에 2단 이상이면서 2개 이상의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 회전축의 상부에 2단 이상이면서 2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해머와 하부에 2단 이상이면서 2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를 추가 설명하면 도 16 g의 경우 상부에 2단의 회전해머와 하부에 2단의 회전줄이 구비된 파쇄기이고, 도 14 a의 경우 회전축의 상부에 2단의 물질 파쇄 해머와 하부에 1단의 물질 파쇄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이고, 도 15 f의 경우 회전축의 상부에 2단이면서 각각 5개의 해머와 하부에 3단 이면서 각각 5개의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이고, 도 15 f의 경우 회전축의 상부에 2단이면서 각각 5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해머와 하부에 3단이면서 각각 5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로프가 구비된 파쇄기이다.
상기 다층파쇄기는 a) 2층 또는 2개 이상의 해머(도 16 g의 경우 2층 해머, 각 층별 5개 해머), 2층 또는 2개 이상의 롤러(도 17 c의 경우 2층 롤러, 각 층별 2개 롤러), 2층 또는 2개 이상의 파쇄기(도 13 ∼ 18, 도 22), 2층 또는 2개 이상의 타격대(도 16 g의 경우 4층 타격대, 각 층별 5개 타격대), 2층 또는 2개 이상의 타격수단; b) 회전체에 거치된 2층 또는 2개 이상의 해머(도 16 g의 경우 회전축에 거치된 2층 해머, 각 층별 5개 해머), 회전체에 거치된 2층 또는 2개 이상의 바에 구비된 2층 또는 2개 이상의 해머(도 16 g의 경우 회전축에 거치된 2층의 바에 구비된 2층의 해머, 각 층별 5개 해머), 회전체와 이에 거치된 2층 또는 2개 이상의 바 및 와이어와 상기 바에 구비된 2층 또는 2개 이상의 해머(도 16 g의 경우 회전축에 거치된 2층의 바 및 와이어와 상기 바에 구비된 2층의 해머, 각 층별 5개 해머); c) 물질이 2회 이상 파쇄되는 파쇄기(도 13 a는 3회 파쇄, 도 15 b는 2회 파쇄, 도 15 c는 4회 파쇄, 도 15 f는 5회 파쇄); d) 물질이 상기 회전체(340), 바(411), 와이어(411), 해머(415) 중 하나 이상에 타격되어 2회 이상 파쇄되는 파쇄기(도 13 ∼ 18); e) 물질이 상기 회전체, 바, 와이어, 해머에 타격되어 1차, 2차, 3차, 4차 파쇄되는 파쇄기(도 13 ∼ 18);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수직파쇄기, 수평파쇄기, 경사파쇄기 중 하나는 수평 또는 물질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수직, 수평, 경사 중 하나로 배치된 파쇄기, 물질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파쇄하는 수직파쇄기, 물질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파쇄하는 수평파쇄기, 물질의 투입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파쇄하는 경사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박리파쇄기는 a) 물질 또는 폐기물; 이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에서 선별된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중 하나에 부착된 몰탈, 칼슘, 석회, 물질, 시멘트, 이물질, 코팅물, 페이스트, pH 7 이상 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박리 또는 제거하는 파쇄기; b) 또는 b1) 회전체,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회전수단(26), 상기 회전체 또는 모터의 축(410), 상기 축의 양단에 거치된 베어링(5), 상기 베어링의 거치대, 상기 회전체에 거치된 1개 이상의 바(411) 또는 돌기, 상기 바에 장착된 1개 이상의 해머(415), 상기 돌기의 하나인 와이어(411); 이상은 도 13 ∼ 18 참조, 도 22 참조, b2)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바, 돌기, 해머, 와이어; b3) 상기 물질 내지 골재, 몰탈 내지 페이스트 중 하나 이상을 박리시키는 상기 바 내지 와이어; b4) 상기 투입 내지 분급, 이중 하나 또는 둘 사이의 기(器 or 機), 기구, 장치, 공간, 틈새, 중간, 내부, 외부, 일부, 이격부, 연결부, 일지점, 2지점, 다지점, 컨베이어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상기 회전체 내지 와이어; b5)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된 1개 이상의 상기 회전체 내지 와이어, 컨베이어박리기; 이는 도 15 f 참조, b6)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이송 물질을 박리하는 1개 이상의 상기 회전체 내지 와이어, 컨베이어박리기; 이는 도 15 f 참조, b7)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컨베이어의 회전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 내지 와이어, 컨베이어박리기; 중 하나 이상이다. 도 15 f에 대하여 상기 b5), b6), b7)에 대하여 설명하면 b5)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된 5개의 회전체(340); b6)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이송 물질을 박리하는 5개의 회전체(340); b7) 컨베이어(400)의 상부에 거치되어 컨베이어의 회전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340)'가 해당된다.
상기 회전파쇄기는 a) 회전체(340, 410),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26), 상기 회전체의 하나인 봉(410), 상기 봉 또는 회전체의 양단에 회전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5), 상기 봉 또는 회전체에 거치된 1개 이상의 바(411, 412, 413); b) 상기 바 또는 이의 표면에 구비된 1개 이상의 해머(415), 타격수단, 임팩트크러셔; 이상은 도 13 ∼ 18 참조, 도 22 참조, c)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d) 상기 회전체 내지 임팩트크러셔 중 하나 이상의 상부, 하부, 자체, 사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회전체 내지 복합체,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회전체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여기서 회전체 내지 복합체는 'a) 회전체 내지 d)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집진파쇄기는 집진파쇄기, 집진기(323)가 구비된 파쇄기(313), 집진 기능을 가진 파쇄기, 파쇄하면서 집진하는 파쇄기, 파쇄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기능을 가진 파쇄기, 집진기(323) 또는 사이클론(86)이 구비된 파쇄기(313), 자신의 상부에 먼지, 분진 등이 날리기 때문에 상부에 집진기 또는 사이클론이 구비된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파쇄기는 돌기파쇄기, 돌기(420) 구비 파쇄기(313), 돌기가 표면에 구비된 파쇄기(도 15 a, 도 15 b, 도 17 e, 도 21 b, 도 22 a8),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회전봉 파쇄기(도 15 a, 도 15 b),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해머 파쇄기(도 22 f), 돌기가 파쇄용기 내부 또는 내벽에 구비된 임팩트크러셔, 돌기(420)가 내부에 구비된 트롬멜(도 10 d) 또는 사이클론 파쇄기(도 35 b), 파쇄기능을 가진 돌기(420)가 이용되는 파쇄기(313), 파쇄기능을 가진 회전 돌기가 이용되는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파쇄기는 회전파쇄기, 원심회전 파쇄기(도 35 b), 회전봉 파쇄기(도 13), 회전통 파쇄기(도 19, 20), 회전해머 파쇄기(도 14, 16), 회전드럼 파쇄기(도 19, 20), 회전 트롬멜 파쇄기, 회전 다공통 파쇄기(도 19, 20), 회전 다공드럼 파쇄기, 회전 다공트롬멜 파쇄기, 회전축(410)에 구비된 봉(411), 회전축에 구비된 해머(415), 회전축에 구비된 로프(411), 회전축에 구비된 봉과 해머와 로프, 회전하는 파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봉(411) 또는 드럼통(357, 358) 파쇄기, 물질을 회전시키면서 파쇄하는 파쇄기, 물질을 회전시키면서 파쇄하는 사이클론 파쇄기(도 35 b) 중 하나이다.
상기 충돌형 파쇄기는 충돌형 파쇄기, 물질 또는 골재와 충돌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골재 상호 충돌형 파쇄기, 물질 또는 골재와 충돌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물질을 파쇄한 후에 상기 파쇄된 물질을 상호 충돌시켜 재파쇄하는 파쇄기, 로터(340) 또는 해머(415)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한 후에 상기 파쇄된 물질을 상호 충돌시켜 재파쇄하는 파쇄기, 로터 또는 해머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한 후에 상기 파쇄된 물질을 돌기 또는 벽면에 부딪히게 하여 상호 충돌시켜 재파쇄하는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 파쇄기는 a) 사이클론 파쇄기(86, 도 35 b), 사이클론 선별파쇄기, 사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선별과 파쇄를 하는 선별파쇄기, 내부에 돌기(420)가 형성된 사이클론(86) 파쇄기, 내부에 형성된 돌기에 물질이 파쇄되는 사이클론 파쇄기; b) 물질이 편심 유입되는 사이클론(도 35 c), 유입 물질이 상향 및 하향으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편심 유입(도 35 c)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벽면 돌기(420)에 의하여 파쇄 또는 박리되는 사이클론 파쇄기(86), 편심으로 압력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벽면 돌기에 의하여 파쇄 또는 박리되면서 상향 및 하향으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원심회전 파쇄기는 a) 원심회전 파쇄기, 원심회전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b) 바(411) 또는 해머(415)가 원심회전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원심회전하는 와이어(411)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c) 또는 원심회전체(340, 도 16 a, b, c, d, e), 이에서 분산되는 물질을 파쇄하는 타격대(415, 도 16 g), 이 타격대의 하부에 거치되어 상기 타격대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박리하는 박리기(411, 도 16 g), 상기 물질에 바람을 분사하여 경량물을 선별하는 송풍기(27, 도 16 f), 상기 원심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26, 도 16 a), 상기 송풍기를 회전시키는 모터(26, 도 16 f); d) 상기 파쇄 중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323);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16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선별파쇄기 또는 파쇄선별기는 a) 선별(312)을 하는 파쇄기(313), 파쇄(313)를 하는 선별기(312), 선별(312)과 파쇄(313)를 하는 선별기(312), 이는 도 10 참조, 선별과 파쇄를 하는 파쇄기(313), 이는 도 13 참조, 선별 기능(312)을 가진 파쇄기(313), 이는 도 14 참조, 파쇄 기능(313)을 가진 선별기(312), 선별을 하면서 파쇄를 하는 파쇄기, 파쇄를 하면서 선별을 하는 선별기, 이는 도 15 참조, 풍력선별 기능을 가진 파쇄기(도 17), 타격파쇄 기능을 가진 선별기(도 10), 자신의 하부에 송풍기(27, 332)가 구비되어 선별 기능을 가진 파쇄기(도 17, 18, 19, 20), 자신의 하부에 타격대가 구비되어 파쇄 기능을 가진 선별기(도 10), 내부에 회전 타격대(410, 411, 415)가 구비된 트롬멜선별기(도 19), 중심축(410)에 회전 타격대(411, 415)가 구비된 트롬멜선별기(도 19), 회전형 크러셔(415)와 이에 바람(28)을 분사하는 송풍기(27) 또는 풍력선별기(도 14), 원심회전체(340)와 송풍기(27)와 파쇄기(415), 이는 도 14 및 16 참조, 원심회전체(34)와 이에서 분사된 물질을 선별하는 송풍기(27)와 파쇄하는 파쇄기(415); , 이는 도 14 및 16 참조, b) 또는 원심회전 타격대(340, 도 16 b), 이 원심회전 타격대에서 타격되어 1차 파쇄된 후 분산되는 물질을 타격하여 2차 파쇄하는 회전 해머(415, 도 16 g), 이 해머의 하부에 거치되어 상기 해머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3차 파쇄하는 회전 바(411, 도 16 g), 이 바의 하부에 거치되어 상기 바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4차 파쇄하는 회전 줄(411, 도 16 g), 상기 물질에 바람을 분사하여 경량물을 선별하는 송풍기(27, 도 16 f), 상기 선별에 이용된 바람이 유입되어 바람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는 사이클론(86, 도 16 h); c) 상기 원심 타격대(340)인 1차 파쇄기, 상기 회전 해머(415)인 2차 파쇄기, 상기 회전 바(411)인 인 3차 파쇄기, 상기 회전 줄(411)인 인 4차 파쇄기, 상기 송풍기(27)인 1차 선별기, 상기 사이클론(86)인 2차 선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16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원심회전 타격대(340, 도 16 b)는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회전시 물질을 타격하여 파쇄시킴, 물질을 회전시켜 물질 끼리 부딪히도록 하여 물질을 파쇄시킴, 회전체에 돌기 또는 돌출바가 구비되어 회전시 물질이 돌기 또는 돌출바에 부딪히도록 하여 물질을 파쇄시킴 등을 한다.
상기 분산형 파쇄기 또는 확산형 파쇄기는 a) 분산형 파쇄기, 확산형 파쇄기,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킨 후에 파쇄하는 파쇄기; b) 분산기(340, 342)에 의하여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분산기(340, 342)와 이에 의하여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313, 415)의 복합체; c) 날개 또는 갈퀴(420)가 구비된 회전체(340)의 회전에 의하여 분산 또는 확산된 분산기에 의하여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313), 날개 또는 갈퀴가 구비된 회전체(340)와 이의 회전에 의하여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415, 313, 342)의 복합체; d) 물질 확산기(340, 342)와 이의 측면 또는 하부에 물질 파쇄용 회전봉(411, 415)으로 구성된 파쇄기,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기(340, 342)와 이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확산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313, 411, 415)로 구성된 복합체; 이상은 도 11, 12, 16 참조, e) 또는 확산콘(346), 이에 구비된 호퍼(311), 물질(300)이 유입되는 상기 호퍼(311), 상기 확산콘의 내부에 거치된 회전체(340) 또는 돌기(420) 구비 회전체(340),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회전체(340), 상기 회전에 의하여 투입 물질을 분산 또는 확산시키는 상기 회전체회전체(340), 상기 확산콘의 하부 또는 측면에 거치된 타격대(313, 411, 415), 상기 분산 또는 확산된 물질을 타격하는 회전 타격대(313, 411, 415), 상기 확산콘 내지 타격대가 포함되는 확산기(340, 342), 상기 확산콘 내지 확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확산콘 또는 확산기에 연계된 집진기(323);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상은 도 11, 12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살균형파쇄기, 소독형파쇄기, 정화형파쇄기 중 하나는 a) a1)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a2) 또는 오존, 음이온, 피톤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기,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중 하나에 의한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기능이 부여된 파쇄기; b) 또는 오존기, 음이온기,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파쇄기; c) 상기 구비되어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 기능을 가진 파쇄기; d) 상기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를 상기 정화 ∼ pH저감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 기능을 가진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pH저감형 파쇄기는 a) pH저감형 파쇄기,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파쇄기, 파쇄하면서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파쇄기,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면서 파쇄하는 파쇄기; b) 또는 탄소, CO2, 산성제, 탄산수, 탄산가스, pH저감제 중 하나 이상을 투입시켜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c) 파쇄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파쇄기, 파쇄 전 또는 중 또는 후에 상기 탄소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 구비 파쇄기는 돌기 파쇄기, 돌기 구비 파쇄기, 돌기가 구비된 롤러 파쇄기, 돌기가 구비된 해머 파쇄기, 돌기가 표면에 구비된 봉 또는 해머 파쇄기, 외부에 돌기가 구비된 회전체 파쇄기, 내부 또는 내벽에 돌기가 구비된 사이클론 또는 임팩트크러셔, 물질 파쇄 돌기가 이용되는 파쇄기, 회전 돌기가 이용되는 파쇄기, 돌기가 구비된 봉 또는 해머가 이용되는 파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파쇄기에는 볼밀과 돌기의 결합체, 돌기가 형성된 볼밀, 물질을 파쇄하는 볼밀과 물질을 파쇄하는 돌기의 결합체, 해머와 로터의 결합체, 상부 해머와 하부 로터의 결합체, 돌기 봉과 해머의 결합체, 파쇄기와 박리기의 결합체, 상부 파쇄기와 하부 박리기의 결합체, 회전체가 구비된 타격대, 물질을 파쇄하는 회전체가 구비되면서 물질을 파쇄하는 타격대, 오존기가 설치된 파쇄기, 음이온기가 설치된 파쇄기, 오존 또는 음이온이 발생되는 파쇄기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롤크러셔는 롤크러셔(313, 354), 롤러크러셔, 회전크러셔, 2롤 크러셔(도 17 a, 도 17 b, 도 17 e, 도 17 f, 도 18 a), 3롤 크러셔(도 17 d, 도 18 b), 4롤 크러셔(도 17 c, 도 18 c), 5롤 크러셔(도 18 d), 다(多)롤 크러셔(도 17, 18), 2개 이상 회전롤로 구성된 크러셔(도 17, 18), 3롤 2회 크러셔(도 18 b), 4롤 3회 크러셔(도 17 c, 도 18 c), 5롤 4회 크러셔(도 18 d), n롤 n-1회 크러셔, 2개 이상 회전롤(355)의 압착력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롤크러셔(도 17, 18), 2개 이상 이웃하는 회전롤(355)의 압착력에 의하여 물질을 파쇄하는 롤크러셔(도 17, 18), 하부에 송풍기가 구비된 상기 롤크러셔(도 17, 18), 송풍기(27) 또는 스크린(33)이 구비되어 선별기능을 가진 상기 롤크러셔(도 17 d, 도 18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롤크러셔;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롤크러셔; 중 하나이다.
상기 롤러크러셔는 롤러크러셔(313, 354), 회전하며서 물질을 파쇄하는 롤러크러셔, 롤러(355)의 압력으로 물질을 파쇄하는 크러셔(313, 354), 진동하는 롤러(355)의 압력으로 물질을 파쇄하는 크러셔, 2개 이상의 롤러(355) 사이를 통과하는 물질을 롤러의 압력으로 파쇄하는 파쇄기, 2개 이상의 회전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물질을 롤러(355)의 압력으로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롤러크러셔 내지 파쇄기;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롤러크러셔 내지 파쇄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7, 18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해머크러셔는 해머크러셔, 해머(415)가 구비된 크러셔, 해머로 파쇄하는 크러셔, 봉(411) 구비 해머크러셔, 봉(411)에 장착된 해머(415)가 구비된 크러셔, 회전축(410)에 부착된 봉(411)에 장착된 해머(415)가 구비된 크러셔(313), 회전축에 부착된 봉에 장착되어 물질을 파쇄하는 해머가 구비된 크러셔, 회전축에 부착된 2개 이상의 봉에 장착된 해머가 구비된 크러셔, 회전축에 부착된 길이가 다른 2개 이상의 봉에 장착된 해머가 구비된 크러셔, 회전축(410)에 부착된 길이가 다른 2개 이상의 봉(411)에 장착된 해머(415)에 의하여 물질이 타격되어 파쇄되는 크러셔(313, 314), 상기 파쇄된 후에 상기 파쇄된 물질이 상호 충돌되어 재파쇄되는 크러셔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4, 15, 16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파쇄기, 크러셔 등은 파쇄기, 분쇄기, 마쇄기, 크러셔, crusher 등이 해당된다. 상기 파쇄기에 대하여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a) 압축파쇄기, 죠크러셔(jaw crusher) 등은 위치가 고정된 고정판과 유압 등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판의 사이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압축하여 파쇄되는 기구 등이다. b) 그리고 콘크러셔, 자이러트리크러셔(gyratory crusher) 등은 원추형의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로 유입되는 폐기물을 내부통의 원운동 또는 편심원운동으로 파쇄하는 기구 등이다. c) 그리고 충격식파쇄기, 임팩트크러셔(impact crusher) 등은 고속회전하는 적재기(loader)에 부착된 해머의 강력한 충격으로 폐기물을 파쇄하는 기구 등이다. 여기서 해머에 의해 가속된 폐기물은 파쇄기틀(casing)의 안쪽에 부착된 충격판에 충돌하여 다시 잘게 파쇄된다. 이는 폐기물의 2차 파쇄 등에 적당하다. d) 절단식파쇄기는 작두와 같은 고정칼과 왕복운동하는 이동칼로 폐기물을 절단 파쇄하는 왕복형 절단식파쇄기, 축에 칼이 부착된 회전칼과 고정칼로 구성된 회전식 절단파쇄기, 2개 축의 회전칼에 의해 폐기물을 파쇄하는 회전식 절단파쇄기 등이 있다. e) 충격절단식파쇄기는 충격, 절단, 압축 등으로 폐기물을 파쇄하는 기구 등이다. 이의 예로는 폐기물울 해머로 충격파쇄한 후 카타, 고정칼, 그라인더, 링그라인더 등으로 절단, 분쇄 등을 하는 기구이다.
6) 상기 분리하는 분리기는 분리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리기 1은 분리기, 스크린, 망스크린, 체스크린, 원심분리기, 회전분리기, 회전통분리기, 스크린분리기, 회전통스크린분리기, 재료분리기, 선별하는 분리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분리기, 진동하는 분리기, 가진하는 분리기, 오존 발생하는 분리기, 음이온 발생하는 분리기 중 하나이다.
상기 분리기 2는 a) 중공체(76, 102); 이 중공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26);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27); 이 팬의 회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28)이 유출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체에 연결된 중공링(221); b) 이 중공링의 노즐(222), 슬롯노즐, 오픈노즐, 내측 곡면(223), 외측 평면(224); c) 상기 노즐을 통하여 유출되는 바람(28)에 의하여 상기 내측 곡면과 외측 평면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 d) 상기 압력차에 의하여 외부 공기(225)가 유입되는 상기 중공링(221); e) 상기 노즐을 통한 바람(28)과 유입되는 외부 공기(255)에 의하여 풍력 또는 송풍바람이 향상되는 송풍기(220), 선풍기, 링송풍기, 링선풍기(220); f) 상기 팬이 상기 중공체 내부에 있어 팬이 보이지 않는 송풍기(220), 선풍기, 링형 선풍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분리기이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리기 3은 상기 중공체 내지 선풍기, 분리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음이온기, 진동가진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분리기이다.
7) 상기 분쇄하는 분쇄기는 분쇄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쇄기 1은 분쇄기, 카타기, 회전분쇄기, 충격분쇄기, 파쇄분쇄기, 밀링분쇄기, 입자분쇄기, 재료분쇄기, 다단분쇄기, 다단체분쇄기, 스크류분쇄기, 선별기능을 가진 선별분쇄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분쇄기, 진동하는 진동분쇄기, 가진하는 가진분쇄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분쇄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분쇄기, 통과 이 내부에 회전스크류가 구비된 분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분쇄기 2는 고정판(356)과 롤라(355) 또는 이동판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압축하여 분쇄하는 분쇄기(도 17 d), 고속회전하는 봉(411)에 부착된 해머(415)로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도 14, 15, 16), 원추형의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로 유입되는 물질을 내부통의 원운동 또는 편심원운동으로 분쇄하는 분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쇄기 3은 상기 고정판, 이동판, 분쇄기, 봉, 해머, 외부통, 내부통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분쇄기이다.
8) 상기 마쇄하는 마쇄기는 마쇄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마쇄기 1은 마쇄기, 재료마쇄기, 선별기능을 가진 선별마쇄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마쇄기, 진동하는 진동마쇄기, 가진하는 가진마쇄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마쇄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마쇄기, 회전통과 이 내부에 역방향 회전스크류가 구비된 마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마쇄기 2는 회전하는 로터 또는 타격대, 회전하면서 물질을 파쇄 또는 분쇄시키는 로터 또는 타격대, 봉에 거치된 해머, 회전 봉에 거치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해머, 봉(411)에 거치되면서 돌기(420)가 형성된 해머(415), 회전하는 봉에 거치되면서 돌기가 형성된 해머, 돌기 형성 봉에 거치된 돌기 형성의 해머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마쇄기 3은 상기 로터, 타격대, 봉, 해머, 돌기, 마쇄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마쇄기이다.
9) 상기 박리하는 박리기는 박리기, 1, 2, 3, 4, 5, 6, 7, 8, 9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박리기 1은 박리기, 재료박리기, 다단박리기, 다단체 박리기, 다단봉 박리기, 다단줄 박리기, 다단로프 박리기, 다발줄 박리기, 다발 방사줄 박리기, 다단 다발줄 박리기, 선별기능을 가진 선별박리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박리기, 진동하는 진동박리기, 가진하는 가진박리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박리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박리기, 줄이 풀림된 로프 박리기(도 22 a7), 묶여진 줄이 풀림된 로프 박리기(도 22 a7), 회전축(410)과 이에 구비된 다단체(411, 415)로 구성된 박리기(도 13, 14, 15, 16), 회전축(410)과 이에 구비된 다단봉(411) 또는 다단줄(411)로 구성된 박리기(도 13, 14, 15, 16), 회전통(357, 358)과 이 내부에 구비된 돌기 스크류(426)로 구성된 박리기(도 20) 중 하나이다.
상기 박리기 2는 a)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내부드럼(357); 내부 또는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중간드럼; 내부에 돌기가 형성된 외부드럼(358); 정회전하는 상기 내부드럼(357); 역회전하는 상기 중간드럼(358);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상기 외부드럼(358); b) 상기 드럼 내부에 거치된 회전축(410); c) 이의 축을 따라 거치된 2개 이상의 봉, 줄(411); d) 상기 봉, 줄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해머(415); e) 상기 봉, 줄, 해머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돌기(44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박리기이다. 이는 19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박리기 3은 상기 돌기, 내부드럼, 중간드럼, 외부드럼, 회전축, 봉, 줄, 해머, 박리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진동음이온기, 가진오존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박리기이다.
상기 박리기 4는 a) 드럼, 롤러, 원통, 박리기, 숏팅기, 파쇄기, 분쇄기, 크러셔, 트롬멜, 회전체, 망드럼, 5각드럼, 6각드럼, 8각드럼, 다각드럼, 유공드럼, 다공드럼, 돌기드럼, 2중드럼, 3중드럼, 다중드럼, 내부드럼, 중간드럼, 외부드럼, 2겹드럼, 3겹드럼, 다겹드럼, 돌기원통, 2중박리기, 회전체 박리기, 돌기 구비 박리기, 돌기박리기, 다중박리기; b)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내부드럼(357), 내부 또는 외부에 돌기가 형성된 중간드럼(358), 내부에 돌기가 형성된 외부드럼(358); c) 상기 내부드럼과 중간드럼과 외부드럼으로 구성된 3중드럼 또는 3겹드럼; d) 회전하는 또는 회전 모터가 구비된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 중 하나이다.
상기 박리기 5는 회전하는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 골재(300)가 이동되는 고정판(356) 또는 돌기판(356)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도 17 d); 골재의 몰탈을 박리하는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질(300)을 회전하면서 파쇄 또는 박리하는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도 19); 외부의 물질(300)을 회전하면서 접촉하여 파쇄 또는 박리하는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도 17, 18); 중 하나이다.
상기 박리기 6은 a) 드럼(357) 또는 원통(357)의 내면에 형성된 리프터(359), 3열의 리프터(359), 리프팅패드(359), 4열의 리프터, 5열의 리프터, 패드형 리프터, 리프팅형 패드(359), 상하좌우 4열의 리프터, 상기 드럼의 길이를 가진 패드형 리프터; b) 상기 드럼 내면의 물질(300)을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터(359); c) 상기 드럼 중앙의 중심축(410), 회전축; d) 상기 중심축에 부착된 해머(415), 날개, 절곡날개, 강선(411), 절곡강선, 와이어, 타격대(411, 412, 413, 415); e) 상기 와이어(411)에 부착된 해머(415) 또는 타격대; f) 상기 중심축 내지 타격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돌기(420); g) 상기 중심축 양단의 베어링(5); h)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26), 회전벨트; i) 상기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26); j) 상기 드럼의 외부에 거치된 외부드럼(358); k) 상기 외부드럼을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는 모터(26), 회전벨트; ℓ) 상기 회전과 역회전하는 상기 드럼(357)과 외부드럼(358); m) 상기 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골재를 박리하는 상기 드럼(357)과 외부드럼(358); n) 골재의 몰탈을 박리하는 상기 중심축 내지 돌기, 드럼, 외부드럼; o) 상기 리프터(359)에 의하여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후 자유낙하 또는 회전낙하하는 물질을 파쇄하는 상기 중심축 내지 돌기, 드럼, 외부드럼;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19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박리기 7은 팬, 돌기, 갈퀴, 로터, 날개, 필터,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다발줄, 꼬임줄, 회전팬, 회전체, 송풍기, 선풍기, 분산기, 확산기, 정화기, 집진기, 사이클론, 꼬임줄과 이의 선단에 조성된 다발줄, 일측에 팬, 타측에 집진기,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박리기, 팬형 박리기 또는 파쇄기, 원통 박리기, 분산형 박리기, 확산형 박리기, 집진형 박리기 중 하나이다.
상기 박리기 8은 a) 원통(357, 358), 원통형 회전체, 중공형 회전체, 수침된 회전체(도 19 b, 도 20 b); b) 이중 하나의 내부에 거치된 돌기(420), 회전축(410); c) 상기 회전체, 회전축 중 하나 이상에 장착된 돌기(420), 로프(411), 고무, 원바, 수평바, 경사날, 스크류(426), 리프터(359), 타이어, 갈고리, 다발줄(413), 꼬임줄(411), 꼬임줄(411)과 이의 선단에 조성된 다발줄(413); d) 상기 돌기 또는 로프에 부착된 해머(415) 또는 다른 돌기(420); e)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에 일측으로 투입되는 물질(300), 물질과 물; f)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상기 물, 물질 중 하나 이상의 회전; g) 상기 리프터(359)에 의한 상기 물질의 상승 후 낙하; h) 상기 회전에 의한 상기 물질 간의 충격, 마쇄작용, 상호마찰 운동; i) 상기 돌기(420)에 의한 돌기 파쇄, 상기 로프에 의한 줄 파쇄, 상기 물의 수력 또는 회전력 또는 와류력, 상기 리프터(359)에 의한 낙하 파쇄, 상기 고무 또는 타이어에 의한 반발력 또는 탄성 마쇄, 상기 해머(415)에 의한 타격 파쇄; j) 상기 파쇄에 의한 상기 물질에 부착된 몰탈 또는 시멘트 제거; k)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외주에 형성된 구멍으로 배출되는 상기 물질의 몰탈 또는 시멘트; ℓ)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에 타측으로 배출되는 물질, 파쇄물질, 박리물질; m) 상기 원통 또는 회전체의 하부에 거치된 풍력선별기(27, 312, 332); n) 상기 풍력선별기에 의하여 이물질이 선별되는 상기 배출 물질;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박리기이다. 이는 도 19, 20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다중박리기는 다중박리기 1, 2, 3, 4, 5, 6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다중박리기 1은 다중박리기(도 13, 14, 15, 16, 17, 18), 2중박리기(도 15 b), 4중박리기(도 15 c, d), 2개 이상 박리기가 연계된 박리기(도 13, 14, 15, 16, 17, 18), 2중드럼(도 19 b), 3중드럼, 외부드럼(358)과 내부드럼(357)의 2중드럼(도 19 b), 외부드럼과 중간드럼과 내부드럼의 3중드럼, 정회전 드럼과 이의 내부에 역회전 드럼의 2중드럼(도 19 b), 저속 정회전 드럼과 이의 내부에 중속 또는 고속 역회전 드럼의 2중드럼(도 19 b) 중 하나이다.
상기 다중박리기 2는 드럼(도 17, 18, 19), 2중드럼(도 19 b), 내부드럼(357), 외부드럼(358), 정회전의 내부드럼(357), 역회전의 외부드럼(358) 중 하나 이상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회전형의 로터(410, 430), 해머(415), 돌기(420), 로프(411), 고무, 원바, 발판, 나선체, 타격대, 스크류(426), 수평바, 경사날, 리프터(359), 타이어, 갈고리, 다발줄(413), 꼬임줄(411), 꼬임줄과 이의 선단에 조성된 다발줄(413),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이다. 이는 도 17, 18, 19, 20, 21, 22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원바는 원형의 바(bar) 또는 막대이다. 상기 수평바는 수평의 바(bar) 또는 막대이다.
상기 다중박리기 3은 드럼(357, 358)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2개 이상의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 저속 정회전 드럼(357, 358)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중속 역회전의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 외부 드럼(358)과 중간 드럼(357)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 저속 정회전 외부 드럼(358)과 중속 역회전 중간 드럼(357)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고속 정회전의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다중박리기 4는 1개 축에 거치된 것으로 외부 드럼(358)과 중간 드럼(357)과 이의 내부에 거치된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조합체이다.
상기 다중박리기 5는 외부 드럼(358)과; 이의 회전축(410)과; 중간 드럼(358)과; 상기 중간 드럼의 회전축(410)과; 상기 중간 드럼의 내부에 거치된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와;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회전수단; 의 조합체이다. 상기 회전수단에는 모터, 벨트, 체인, 회전모터, 회전벨트, 회전체인,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다중박리기 6은 상기 외부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벨트, 상기 중간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벨트, 상기 로터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벨트,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조합체 또는 박리기이다.
상기 숏팅기는 숏팅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숏팅기 1은 숏팅기, 블라스팅기, 숏블라스팅기, 숏팅박리기 중 하나이다. 상기 숏팅기 2는 볼, 모래, 규사, 슬래그, 슬래그볼, 볼슬래그, 파쇄슬래그, 수쇄슬래그, 풍쇄슬래그, 알루미늄 중 하나 이상의 재료 또는 연마재를 분사하여 물질 또는 이의 표면을 박리하는 장치, 기구, 숏팅기, 블라스팅기, 숏블라스팅기, 숏팅박리기 중 하나이다.
상기 숏팅기 3은 연마재가 투입되는 호퍼(311), 이에서 낙하하는 연마재를 가압하는 콤프레서(63), 상기 가압된 연마재를 이송하는 이송라인(65), 상기 이송된 연마재를 분사하는 노즐 또는 분사기(66), 연마재를 분사하여 골재에 부착된 몰탈을 제거하는 분사기(66), 상기 분사된 연마재가 투입되는 스크린(330) 또는 사이클론(68), 상기 투입에 의하여 연마재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린 또는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숏팅기이다. 이는 도 13 a를 참조하면 된다.
10) 상기 세척하는 세척기(315)는 세척기 1, 2, 3, 4, 5, 6, 7, 8, 9, 10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척기 1은 세척기, 수세척기, 습식세척기, 건식세척기, 공기세척기, 노즐세척기, 숏팅세척기, 원심세척기, 회전세척기, 분사세척기, 수분사세척기, 미스트분사세척기, 공기분사세척기, 압력세척기, 압력수세척기, 압력공기세척기, 노즐수세척기, 노즐공기세척기, 스크린세척기, 회전체세척기, 진동스크린세척기, 원심분리세척기, 사이클론세척기, 원심회전세척기, 회전원통망세척기, 분사구멍(101) 형성 세척기(315, 401), 물(402)이 분사되는 스크린세척기(315, 330), 물(402)이 분사되어 통과 또는 비통과 물질을 세척하는 스크린세척기(315, 330), 수처리장치(405) 구비 세척기, 세척수(80)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 구비 세척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세척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의 부호 315, 401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세척기 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세척기 3은 팬, 돌기, 갈퀴, 로터, 날개, 필터,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회전팬, 회전체, 송풍기, 선풍기, 분산기, 확산기, 정화기, 집진기, 사이클론;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세척기, 팬형 세척기, 분산형 세척기, 확산형 세척기, 정화형 세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세척기 4는 a) 골재가 중력 이송되도록 바닥이 경사진 수조; b) 이의 수조 내부에 연계된 버블기, 폭기기, 회전체, 타격대, 송풍기, 노즐기, 분사기; c) 상기 분사기, 이의 통로, 내부, 선단 중 하나에 구비된 와류판(67), 확장부(68); d) 상기 노즐기 또는 분사기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척기 5는 a) 물질 또는 골재(300)가 이송되는 경사 스크린(330); b) 이 스크린의 상부에 거치된 파이프(401); c) 이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101) 또는 노즐(66); d) 이 구멍 또는 노즐에 구비된 와류판(67), 확장부(68); e) 상기 노즐 또는 파이프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와류판(67)은 노즐 또는 분사기(66)의 내부, 통로, 선단 중 하나에 거치되어 노즐 또는 분사기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질과 충돌하여 상기 물질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판이다. 이는 도 24, 25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확장부(68)는 노즐 또는 분사기(66)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로서 노즐 또는 분사기의 선단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이는 도 24, 25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세척기 6은 a) 봉(411), 나선, 강선(411), 돌기(420), 스크류(426), 스프링; b) 이중 하나 이상이 형성된 축(410), 로터, 회전축(410); c) 상기 봉 내지 스프링, 축 내지 회전축 중 하나의 회전력, 압축력, 인장력, 전단력, 회전원심력; d) 상기 봉 내지 회전축 중 하나 이상이 내재된 드럼(357); e) 이 드럼의 외부에 거치된 외부 드럼(358); f) 경사진 상기 봉 내지 회전축, 스크류, 드럼, 외부 드럼; g)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외부 드럼; h) 역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외부 드럼; i) 상기 드럼(357, 358)에 채워진 물, 저류수, 탄산수, 폭기수; j) 상기 물에 공급되는 폭기, 버블, CO2; k) 상기 봉 내지 외부 드럼 중 하나 이상의 거치대, 지지대, 프레임; ℓ) 상기 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수단, 모터; m) 상기 회전 또는 역회전을 조정하는 스위치,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세척기이다. 이는 도 19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세척기 7은 a) 상기 수조, 호스, 물, 파이프, 노즐 중 하나 이상에 주입되는 버블, 공기, 폭기, 압기, 펄스, 펄스압,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산성제, pH저감제; b) 상기 버블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는 수단, 저장고, 펌프, 호스, 인젝터, 주입기, 투입기, 분사기, 버블기, 폭기기, 전해기, 송풍기, 콤프레셔,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c) 상기 수단 또는 인젝터(93)에 거치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d)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98); e) 상기 개폐가 반복되어 공급되는 압기(83); f) 상기 압기 공급의 반복에 의하여 상기 수조, 호스, 물, 파이프, 노즐 중 하나 이상에 가해지는 펄스압(84); j) 이의 펄스압을 가하는 펄스기(50, 51); 중 하나 이상이다. 이는 도 33, 34, 35 등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세척기 8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세척기, 상기 세척기 1의 세척기 내지 복합세척기, 상기 세척기 3의 수조 내지 호스, 상기 세척기 4의 스크린 내지 호스, 상기 세척기 5의 봉 내지 프레임, 상기 세척기 6의 수조 내지 펄스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척기 9는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세척기 내지 펄스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척기 10은 a) 상기 세척; b) 이를 위한 기구, 노즐, 세척수, 분사기, 세척기, 사이클론; c) 상기 세척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세척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모래 내지 골재, 선별물, 파쇄물; d) 상기 세척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오염, 오염수,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진동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세척기이다.
상기 숏팅세척기는 숏팅세척기, 숏팅하여 세척하는 세척기, 상기 호퍼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장치, 상기 호퍼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연마재를 물질에 분사하여 물질을 세척하는 장치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세척기는 편심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세척되는 세척기, 사이클론 내부로 편심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세척되는 세척기, 편심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사이클론 내벽의 돌기(420)에 충돌되면서 세척되는 세척기, 물질이 원심회전하면서 내벽의 돌기에 충돌되면서 세척되고 상기 물질 중 이물질이 상향으로 그리고 세척물이 하향으로 배출되는 사이클론 세척기 중 하나이다.
11) 상기 세정하는 세정기는 세정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세정기 1은 세정기, 물세정기, 공기세정기, 분사세정기, 수분사세정기, 공기분사세정기, 압력세정기, 압력수세정기, 압력공기세정기, 재료세정기, 선별기능을 가진 선별세정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세정기, 진동하는 진동세정기, 가진하는 가진세정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세정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세정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세정기 2는 펌프(63), 이에 연계된 호스(65), 이의 호스에 연결된 분사기 또는 파이프(401), 이 파이프 형성된 구멍(101) 또는 노즐(66); 상기 분사기 내지 노즐 중 하나의 하부에 거치된 스크린(330), 상기 분사기 내지 노즐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물(402)이 분사되는 상기 스크린(330), 상기 분사 물(402)에 의하여 자신에 놓인 물질이 세정되는 상기 스크린(330), 세정수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 구비 세정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기 3은 상기 펌프 내지 스크린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세정기이다.
12) 상기 탈수하는 탈수기(316)는 탈수기 1, 2, 3, 4, 5, 6, 7, 8, 9, 10, 11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1은 필터, 프레스, 탈수기, 압축기, 압착판, 가압탈수기, 압축탈수기, 압착탈수기, 원심탈수기, 진공탈수기, 발열탈수기, 필터프레스(360), 프레스필터, 벨트프레스(361), 롤러탈수기(362), 롤러압착탈수기, 드럼탈수기, 필터탈수기, 회전탈수기, 회전탈수기, 회전체 탈수기, 원심회전탈수기(363), 회전통탈수기, 전기탈수기, 전기삼투탈수기(364), 전기영동탈수기, 살균형탈수기, 소독형탈수기, 정화형탈수기, 압착판을 가압하는 피스톤, 전극 구비 탈수기, 발열체 구비 탈수기, 2개 이상의 필터(365) 사이에 슬러지(145)가 압축되어 탈수되는 필터프레스(360),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롤러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롤러탈수기,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드럼(425)과 이의 드럼에 연계되는 벨트(366)에 슬러지(145)가 압착되어 탈수되는 벨트프레스(361), 탈수된 탈수수(80)를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가 구비된 탈수기, 이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탈수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3은 벨트 또는 압착 벨트(366)가 구비된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2개 이상의 회전드럼(425) 사이에 벨트 또는 압착 벨트(366)가 구비된 탈수기,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중 하나와 벨트 사이에 물질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롤러 또는 드럼(425)과 벨트(366) 사이에 물질(415)이 압착되어 탈수되는 탈수기 중 하나(361)이다. 이는 도 39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4는 2개 이상의 필터(365)가 이웃하여 구비된 필터프레스(360), 2개 이상 필터(365)에 슬러지(415)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필터프레스, 상기 가압 해제 후에 필터 케익(384)이 낙하 또는 추출되는 필터프레스 중 하나(360)이다. 이는 도 39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5는 투수형, 투과형, 섬유형, 다공형, 타공형 등의 벨트(366)가 구비된 벨트프레스(361), 벨트에 물질 또는 슬러지가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1개 이상의 회전형 드럼(425)과 이에 감겨진 벨트(366)가 구비된 벨트프레스(361), 상기 드럼과 벨트 사이에 물질 또는 슬러지(145)가 투입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361)이다. 이는 도 39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탈수기 6은 a) 전기가 인가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b) 또는 상기 필터, 드럼, 벨트 중 하나 이상에 전기가 인가되는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여기서 전기 인가를 위하여 상기 필터, 드럼, 벨트 등은 도체, 철, 금속, 전도체, 전도재 등의 재질을 가지거나, 또는 물접촉, 수분접촉, 수분함유 등도 가능하다. c) 상기 전기 인가를 위하여 전극, 전극판 등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b) 벨트프레스; d)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전기삼투, 전기영동, 전기탈수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되는 상기 a) 필터 내지 c)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7은 전극, 발열체, 전원공급기, 전기가 인가되는 전극, 전기가 인가되는 발열체,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탈수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8은 상기 롤러, 사이, 물질, 벨트, 필터, 슬러지, 드럼,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전극 내지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9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탈수기 10은 a) 상기 물질, 슬러지; b) 탈수된 상기 물질, 슬러지; 중 하나를 고화 또는 고결하는 고화기가 구비된 상기 탈수기, 필터 내지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상기 탈수기 11은 a) 상기 탈수; b) 이를 위한 기구, 필터, 압축기, 압착판, 탈수기, 가압탈수기, 원심탈수기, 진공탈수기, 전기탈수기, 필터프레스, 프레스필터, 벨트프레스, 압착판을 가압하는 피스톤; c) 상기 탈수 내지 피스톤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탈수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모래 내지 골재, 선별물, 파쇄물, 세척물; c) 상기 탈수 내지 피스톤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케익, 탈수수, 탈수물, 탈수케익, 탈수 오염수,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가진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탈수기이다.
상기 고화기는 고결제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 또는 슬러지를 고화시키는 고화기, 또는 상기 물질 또는 슬러지와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고결제, 바인더, 고화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고화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규산소다, 규산칼슘, 규산나트륨, 물유리, 실리카, 알루미나, 구연산, 황산마그네슘,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칼슘, 황산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제일철, 염화제이철,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코발트,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타늄,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리그닌술폰산,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의 하나 이상이다.
상기 발열체는 히터, 코일, 전극, 발열체, 발열선, 발열코일, 발열수단, 발열저항체, 펠티에소자, 유전발열체, 저항발열체, 전기저항체, 램프히터, 원적외선히터, 금속발열체, 비금속발열체, 초고온 유전발열체, 마이크로웨이브, SiC 발열체, SiC 비금속 발열체, Ni-Cr계 발열체, Fe-Cr-Al계 발열체, 몰리브덴 발열체, 텅스텐 발열체, 백금 발열체, 2규화 몰리브덴 발열체, 탄화규소 발열체, 흑연 발열체, 산화 지르코늄 발열체, 란탄크로마이트 발열체, 아크가열수단, 유도가열수단, 유전가열수단, 가스가열수단, 마이크로파가열수단, 플라즈마가열수단, 전기가 공급되는 상기 히터 내지 플라스마가열수단, 전기가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상기 히터 내지 플라스마가열수단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펠티에소자는 펠티에소자, Peltier device, Peltier element, Peltier effect device,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電子素子), 일정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 접점은 발열하고, 다른쪽 접점은 냉각하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유전발열체는 유전발열체, 誘電發熱體, 전기를 유도하여 많은 열을 내게 하는 물체. 발열체를 바른 암석 또는 화강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유전발열체는 a) 유전발열체, 誘電發熱體, 초고온 유전발열체, 유도전기 발열체, 전기를 유도하여 많은 열을 내게 하는 물체; b) 발열체가 도포된 물체, 자갈, 청석, 화강석, 세라믹, 인조석; c)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전기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상기 물체 내지 인조석; 등이 해당된다. 상기 초고온 유전발열체는 a) 초고온 유전발열체, MDHM, MEGA Dielectric Heating Material, 초스피드형 비금속 발열체, 특수 유전발열소재의 이온화작용을 통한 초고온 스피드형 발열체; b) 마이크로파 흡수형 고순도 유전발열소자 및 이온화 첨가제로 제조된 초스피드 유전가열 비금속 발열체로써 최고 2000℃ 온도까지 발열이 가능한 초고온 발열 신소재; c) 기존 열에너지 1/3수준의 전기에너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Energy Saving효과가 크며, CO2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청정에너지 초고온 열매체; d) 또는 고성능 마이크로웨이브장치, 탄화기, 용융로, 폐가스열분해장치 등에 적용되는 발열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Ni-Cr발열체는 금속 발열체의 대표적인 것으로, 이의 조성 예로는 Ni 80%, Cr 20% 등이 있다. 발열체 표면에 산화막(CrO3)이 생성되어 발열체가 보호가 되기도 한다. 상기 2규화 몰리브덴 발열체는 MoSi2의 금속재료의 표면에 SiO2 의 유리막이 형성된 발열체이다. 이 SiO2막은 발열체 보호막 역할을 하여 고온에도 견디게 한다. 상기 탄화규소 발열체는 대표적인 비금속 발열체로서, SiC 발열체라고도 하고, 자신의 표면에 SiO2막이 형성되는 것도 있다. 여기서 Si는 규소이다. C는 탄소가 된다. 상기 흑연 발열체는 흑연을 이용한 발열체로서, 불활성가스 등의 비산화 분위기로 2,600℃정도까지 고온의 발생이 가능하다. 그러나 산소, 수증기 등과 400℃에서부터 급속히 반응하기 때문에 산화 조건에서의의 사용은 할 수 없다.
13) 상기 건조하는 건조기(317)는 건조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건조기 1은 건조기, 열건조기, 열풍건조기, 열선건조기, 적외선건조기, 물질건조기, 선별기능을 가진 선별건조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건조기, 진동하는 진동건조기, 가진하는 가진건조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건조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건조기 중 하나이다.
상기 건조기 2는 팬(fan), 히터, 오븐, 발열기, 발열선, 건조기, 상기 팬 내지 발열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건조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건조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팬 내지 건조기 중 하나이다.
14) 상기 분별하는 분별기는 분별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별기 1은 분별기, 입자분별기, 토사분별기, 모래분별기, 자갈분별기, 골재분별기, 펠렛분별기, 물질분별기, 파쇄기능을 가진 파쇄분별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분별기, 진동하는 진동분별기, 가진하는 가진분별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분별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분별기, 2종 이상 입경으로 분리하는 분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분별기 2는 망(330), 체, 스크린(330), 분별기, 사이클론(86), 다단분별기, 진동스크린,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별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망 내지 경사스크린 중 하나이다.
15) 상기 분급하는 분급기(318)는 분급기 1, 2, 3, 4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급기 1은 분급기, 입자분급기, 토사분급기, 모래분급기, 자갈분급기, 골재분급기, 펠렛분급기, 물질분급기, 파쇄기능을 가진 파쇄분급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분급기, 진동하는 진동분급기, 가진하는 가진분급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분급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분급기, 2종 이상 입경으로 분리하는 분급기 중 하나이다.
상기 분급기 2는 망(330), 체(330), 스크린(330), 분급기, 사이클론(86), 다단분별기, 진동스크린, 경사스크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분급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망 내지 경사스크린 중 하나이다.
상기 분급기 4는 a) 상기 분급; b) 이를 위한 기구, 망, 체, 분급기; b) 상기 분급 내지 분급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분급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모래 내지 골재, 선별물, 파쇄물, 세척물, 탈수물; c) 상기 분급 내지 분급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조성되는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가스, 열, H2, O2, CO2, CH4, 이물질, 케익, 펠렛; d) 상기 분급 내지 분급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세균, 오염, 바이러스,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자기장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분급기이다.
16) 상기 분해하는 분해기(430)는 분해기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1은 분해기,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중 하나이다.
상기 분해기 2는 용기(102),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431)과 음극(432),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433),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6),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12),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85),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435), 상기 용기의 유출구(436),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43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16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분해기에서 용기에는 수, 물, 액, 유, 물질, 미생물, 유기물, 폐수, 하수, 폐기물 등의 유입이 되어 상기 수 내지 폐기물 등이 배양, 분해, 발효, 부숙, 숙성 등이 되는 곳이다. 상기 축전지는 상기 미생물 내지 폐기물 등의 반응에 의하여 미생물연료전지가 되는 경우 발생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기는 양극, 음극, 전극 등에 전기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분해기 3은 하기 배양기, 전해기, MFC, CO2; 또는 외부 반입 CO2;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CO2의 주입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흙 내지 펠렛, 상기 선별에 사용된 물 또는 폐수, 상기 세척에 사용된 물 또는 폐수 중 하나 이상에 함유된 Ca, CaO, 석회, 몰탈, 시멘트, 염분, NaCl 중 하나 이상을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CaCO3형성, Na분리, Cl분리, pH저감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산화는 CaCO3형성 등이 해당된다. CaCO3는 CaO + CO2 = CaCO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CaCO3형성에 의하여 상기 Ca 내지 시멘트 등이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pH저감 등이 된다. 상기 분해, 분리, 제거, 탈착, 탄산화 등에 의하여 pH저감이 된다. 상기 염분 또는 NaCl은 전기분해에 의하여 Na, Cl로 분리된다.
상기 분해기 내지 미생물연료전지, 용기 내지 공급라인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자화진동기, 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상기 배양기는 a) 용기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미생물; b) 상기 히터에 의한 열; c) 상기 공급라인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폐기물 내지 미생물 중 하나 이상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440)는 MFC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MFC 1은 폐기물 ∼ 자재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이다. 상기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431)과 음극(432)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상기 MFC 3은 a) 용기(102)의 양극부(431)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유기물; b) 상기 양극부(431)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433)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432)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431)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432)에 연결되는 전선(6)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1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이는 도 16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용기(102)는 조, 통, 함, 링, 관,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케이스, 하우스, 하우징 중 하나이다.
17) 상기 소각하는 소각기는 소각기, 소각로, 소성로, 고정상로(固定床爐), 계단식스토커로, 로터리킬른(Rotary Kiln)로, 로터리킬른-스토커로, 유동층소각로, 회전상로(回轉床爐), 노(爐), 노(爐)에 형성된 물질 투입구, 노(爐)의 내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이 놓이는 화격자(火格子) 또는 쇠살판, 상기 화격자 상부에 있으면서 물질을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있으면서 소각재를 모으는 깔대기 모양의 호퍼(hopper),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장치, 상기 연소실 상부의 보일러관, 이 보일러관으로부터 소각열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이 증기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소각기 내지 발전기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화진동기, 자화오존기, 진동가진기, 가진오존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상기 연소의 원료는 탄, 석탄, 연탄, 무연탄, 유연탄, H2, O2, 기름, 유류, 벙커C유, 가스, LPG가스, 브라운가스, 펠렛, 폐기물, 가연물, 유기물, 폐타이어 중 하나 이상이다.
18) 상기 매립하는 매립기는 매립기, 매립기구, 매립장, 매립장비, 매립시설, 트럭, 도져, 롤러, 차수시설, 가스처리시설, 침출수처리시설, 매립물을 덤핑하는 트럭, 매립물을 펼치는 도져, 매립물을 다지는 롤러,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차단하는 차수시설,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가스처리시설, 매립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처리하는 침출수처리시설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매립기 내지 침출수처리시설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장치가 이용, 또는 상기 장치와 자화 ∼ 복합물,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자화진동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진동가진기, 가진오존기, 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이용 ∼ 방사 중 하나가 된다.
상기 매립하는 매립장 또는 매립시설(470)은 가두리시설(471), 지하수배제시설(472), 차수시설(473), 침출수배제시설, 침출수처리시설, 가스처리시설, 복토시설, 배수시설(486);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가두리시설 내지 복토시설;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41을 참조한다.
a) 상기 가두리시설(471)은 매립장의 가두리 또는 가장자리를 이루는 것으로, 제방, 둔덕, 옹벽, 지면, 사면, 저류지, 굴착면;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중 하나의 표면에 설치되는 숏크리트층;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중 하나의 내부에 존치되는 그라우팅체;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투입되는 상기 제방 내지 그라우팅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b) 상기 지하수배제시설(472)은 상기 제방 내지 굴착면, 매립장 바닥, 차수시설 하부 중 하나에 굴착된 트렌치; 이 트렌치에 구비된 유공관, 집수정; 이의 집수정에 설치된 양수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c) 상기 차수시설(473)은 매립장 바닥, 사면, 법면 중 하나 이상에 포설된다. d) 상기 차수시설(473)은 a) 점토, 혼합토, 다짐토, 혼합다짐토, 벤토나이트혼합토, 토사와 벤토나이트의 혼합토, 토사와 벤토나이트와 기능제의 혼합토, 벤토나이트매트, 벤토나이트시트, GCL(geosybthetic clay liner), 막, 시트, PVC시트, EVA시트,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시트, 점토 또는 혼합토와 HDPE시트, 점토 또는 혼합토와 GCL, 점토 또는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b) 상기 점토 ∼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중 하나와 토목섬유, 지오텍스타일, 지오콤포지트; c) 상기 점토 ∼ 지오콤포지트 중 하나와 마대층, 토사마대층, 폐타이어층;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e) 상기 기능제는 석회, 석고, 수지, 시멘트, 고결제, 바인더, 고화제, 흡착제, 포집제,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이다.
f) 상기 침출수배제시설은 매립장 바닥, 사면, 법면; 또는 차수시설 상부;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유공관(474); 이 유공관에 포설되는 배수층(475), 모래층, 자갈층; 상기 유공관에 연계되는 집수정(476); 이의 집수정에 설치된 양수기; 상기 집수정에서 침출수처리시설로 침출수를 이송하는 이송라인(477);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g) 상기 침출수처리시설(405)은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 침전조, 살균조, 여과조, 방류조;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주입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중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i) 상기 가스처리시설은 매립장 내에 설치되는 가스 포집정(480); 이의 포집정에 설치된 펌프; 상기 포집정에 포집된 가스를 대기 확산하는 확산관; 상기 포집정에 포집된 가스를 이송하는 이송라인(481), 이 이송라인에 연계된 가스저장통, 가스발전기(48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j) 상기 복토시설(485)은 매립장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일일복토층(483), 중간복토층(484), 최종복토층(485)으로 구분된다. k) 상기 일일복토층(483)은 매립장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상부에 매일 복토되는 것으로 토사, 모래, 자갈, 골재, 분사재, 포설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ℓ) 상기 중간복토층(484)은 매립장에 폐기물 매립이 7일 이상 중지되는 경우에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분사재, 포설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m) 상기 최종복토층(485)은 매립장에 폐기물 매립이 종료된 후 폐기물의 상부에 복토되는 것으로 폐기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가스배제층, 차단층, 배수층, 식생대층 중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다. n) 상기 가스배제층, 배수층, 식생대층 중 하나 이상은 흙, 토사, 모래, 자갈, 골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o)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점토 ∼ 혼합토와 GCL과 HDPE시트 중 하나로 구성된다. p) 상기 배수시설(486)은 매립장의 외곽에 설치되는 수로, 배수로, 개수로, 트렌치, 플륨관, 배수시설 중 하나이다.
19) 상기 펠렛화하는 펠렛화기(322)는 펠렛화기 1, 2, 3, 4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펠렛화는 물질, 폐기물, 슬러지; 이중 하나의 또는 별도의 선별물, 파쇄물, 분쇄물, 비닐, 섬유, 종이, 목재, 톱밥, 유기물, 가연물; 등을 용융, 압착, 압축, 추출, 사출, 추출 후 절단, 원형 추출, 원형 추출 후 절단, 가래떡 뽑기, 가래떡 뽑으면서 절단, 가래떡 뽑기 후 절단, 용융 후 사출, 용융 후 사출 후 절단, 용융 후 사출 후 일정길이로 절단 등을 하여 펠렛 모양, 형상, 형태 등으로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펠렛은 펠렛, pellet, 알갱이, 분필 형상, 총알 형상, 담배꽁초 형상, 가늘고 긴 원통 형태, 일정길이의 원통 형상, 절단된 가래떡 형상, 2∼10cm 길이의 원통 형상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펠렛화기 1은 펠렛화기, 물질펠렛화기, 펠렛 제조기능을 가진 펠렛화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펠렛화기, 진동하는 진동펠렛화기, 가진하는 가진펠렛화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펠렛화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펠렛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펠렛화기 2는 a) 혼합기(370),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저장고(374); b) 펠렛화 대상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펠렛화 대상을 용융하는 용융기(370), 물질에서 선별된 가연물(305∼309) 또는 슬러지(145)를 용융하는 용융기, 회전 스크류(426) 또는 돌기 구비 스크류(426)가 구비되어 용융물이 교반 및 압출되는 용융기, 용융물을 원통 또는 가래떡 등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372), 상기 성형기 통과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373),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385)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상기 용융기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c)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용융기 내지 집진기;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용융기 내지 집진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40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펠렛화 대상은 a) 폐기물, 슬러지(145), 가연물(305∼309), 유기물; b) 또는 선별, 파쇄, 탈수, 건조 등이 된 상기 폐기물 내지 유기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펠렛화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진동회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상기 용융기 내지 집진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펠렛화기 4는 a) 상기 펠렛화; b) 이를 위한 기구, 혼합기(370), 용융기(371), 성형기(372), 절단기(373), 펠렛화 대상과 톱밥을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된 혼합물 또는 펠렛화 대상을 용융하는 용융기, 용융물을 원통 또는 가래떡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 통과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수cm 길이의 펠렛(385)을 저장하는 저장고(374); c) 상기 펠렛화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펠렛화되는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펠렛, 모래 내지 골재, 선별물, 파쇄물, 세척물, 탈수물, 분급물; 또는 상기 폐기물 내지 분급물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된 가연물; d) 상기 펠렛화에 의하여 조성된 펠렛, 연료펠렛; e) 상기 펠렛화 내지 절단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세균, 오염, 바이러스,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오존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펠렛화기이다. 상기 수cm는 3cmm 5cm, 7cm, 1∼10cm 등이 해당된다.
상기 용융기(371)는 a) 용융기, 가연물 용융기, 원통형 용융기, 가연물을 용융하는 기기, 히터가 구비된 원통, 히터가 구비된 일정길이의 원통, 회전 또는 돌기 스크류(426)가 내재된 용융기 또는 히터 원통, 돌기(420)가 구비된 회전형 스크류(426)가 내재된 용융기 또는 히터 원통, 물질을 회전시키면서 용융시키는 용융기; b) 물질을 용융, 회전, 교반, 배출시키는 용융기 또는 원통형 용융기; c) 돌기가 구비된 회전형 스크류에 의하여 물질을 용융, 회전, 교반, 배출시키는 용융기 또는 원통형 용융기; 중 하나이다.
상기 성형기(372)는 성형기, 펠렛 성형기, 펠렛 사출기, 펠렛으로 성형 또는 사출하는 성형기, 펠렛 모양으로 성형 또는 사출하는 성형기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상기 용융기에서 용융된 용융물을 펠렛, 펠렛연료, 펠렛형상 중 하나로 성형 또는 사출하는 기기이다.
상기 절단기(373)는 절단기, 펠렛(385)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펠렛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일정길이를 가진 펠렛으로 절단하는 절단기 중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성형기에서 사출 또는 연속 배출되는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의 펠렛(385)으로 절단하는 기기이다.
20) 상기 자원화하는 자원화기는 자원화기 1, 2, 3, 4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자원화는 자원화, 물질자원화, 폐기물자원화, 도시광산(urban mining, 都市鑛山)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자원화는 a) 상기 투입 ∼ 복합; 이중 하나의 공정; b) 이의 공정에 의하여 조성된 물질; 이 물질의 하나인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가스, 열, H2, O2, CO2, CH4, 이물질, 케익, 펠렛; c) 상기 물질 내지 펠렛 등을 자재, 건자재, 연료, 고형연료, 발전소 연료 등으로 사용; 등도 해당된다. 여기서 펠렛은 연료, 고형연료, 발전소 연료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자원화기 1은 이송수단, 운반수단, 연소기, 소각기, 소성기, 연소로, 소각로, 소성로, 자원화기, 물질자원화기,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을 자원화하는 자원화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자원화기, 진동하는 진동자원화기, 가진하는 가진자원화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자원화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자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원화기 2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이상의 기기, 소각기, 연소기, 상기 펠렛을 소각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소각기, 상기 펠렛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연소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자원화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가진회전기, 자화진동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ㅈ자원화기이다.
상기 자원화기 4는 a) 상기 자원화; b) 이를 위한 기구, 이송수단, 소각기, 상기 투입 내지 펠렛화; c) 상기 자원화가 되는 상기 흙 내지 펠렛, 모래 내지 골재; d) 상기 자원화 내지 펠렛화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오염, 오염수, 오염물질,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오존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자원화기이다.
21) 상기 재활용하는 재활용기는 재활용기는 재활용기 1, 2, 3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활용은 재활용, 재사용, 리사이클링, recycling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재활용기 1은 재활용기, 물질재활용기,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을 재활용하는 재활용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재활용기, 진동하는 진동재활용기, 가진하는 가진재활용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재활용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재활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재활용기 2는 상기 호퍼 내지 집진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이상의 기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을 조성하는 기기,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 물질을 운반하는 기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재활용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오존회전기, 자화가진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재활용기 또는 상기 기기이다.
22) 상기 집진하는 집진기(323)는 집진기 1, 2, 3, 4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집진은 먼지, 분진, 미세먼지 등의 제거, 저감, 처리, 여과, 필터, 집진, 집수, 집적, 수집, 포집, 흡착, 흡수, 침지, 침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집진기 1은 집진기(323), 먼지 집진기, 환기시설, 환기설비, 분사기, 살수기, 분무기, 물분사기(401), 스프링클러, 수조집진기(176), 물(402)을 분사하여 집진하는 분사기(401), 미스트(402)를 분사하여 집진하는 분사기(401), 공기를 주입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수조집진기(176), 광촉매 코팅된 집진기, 광원기가 장착된 집진기, 광촉매 반응 또는 살균을 하는 집진기, 광촉매 코팅되고 광원기가 장착된 집진기, 광촉매 코팅되고 광원기가 장착되어 광촉매 반응 또는 살균을 하는 집진기,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집진기, 진동하는 진동집진기, 가진하는 가진집진기, 오존 발생하는 오존집진기,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집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집진기 2는 a) 망, 필터, 수조, 분사기, 집진기, 여과망, 여과필터, 수분사 유공관, 사이클론, 습식집진기, 다단집진기, 전기집진기, 集塵機, net, filter, sprayer, water tank, cyclone, dust collector; b) 물의 가압수단과 이에 의한 가압수(402)를 분사하는 유공관(401), 전단 필터와 후단 사이클론, 전단 사이클론(86)와 후단 필터(87), 수조(176)와 사이클론(86)과 필터(87), 침강조(175)와 수조(176)와 사이클론(86)과 필터(87), 이는 도 25 참조; c) 분진 함유 공기가 주입되어 분진이 물속에서 제거되는 수조(도 3 c2),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분사기(도 3 c1), 전기 집진하는 집진기(도, 분진 26 d)을 집진하는 집진기,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수분사 유공관,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유공관과 상기 물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유공관과 가압수단, 공기와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1차 사이클론과 이의 상부 유출구에 유입구가 연계된 2차 사이클론으로 구성된 복수 사이클론; d)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기;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망 내지 사이클론;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망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집진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자화오존기, 음이온회전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집진기, 상기 필터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집진기 4는 a) 상기 집진; b) 상기 분진 내지 미세먼지 중 하나를 집진; c) 이중 하나를 위한 기구, 망, 필터, 수조, 분사기, 집진기, 사이클론, 여과망, 여과필터, 분진 함유 공기가 주입되어 분진이 물속에서 제거되는 수조,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분사기, 전기 집진하는 집진기, 공기와 분진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오존 또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살균광 중 하나 이상이 거치 또는 이용 또는 주입되는 집진기이다.
상기 전기집진기는 a) 전기집진기, 전기가 이용되는 집진기,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집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집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장치;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집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집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431)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432)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집진기; 이는 도 26 d 참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집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다단집진기는 다단집진기, 2개 이상이 연계된 집진기, 1차 집진기와 이의 배출구에 유입구가 연결된 2차 집진기로 구성된 집진기, 2개 이상 격막이 구비된 집진기, 2개 이상 격막과 수분사 노즐이 구비된 집진기(324) 중 하나이다.
상기 2개 이상 격막이 구비된 집진기(324)는 중공통(166); 이의 유출구(164); 이중 하나에 연계되는 팬, 펌프, 송풍기, 진공펌프(63); 상기 중공통(166)의 유입구(160); 상기 유출구 또는 유입구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팬 내지 진공펌프(63);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공기, 먼지공기 등(80)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160); 상기 중공통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입구에 연계되는 격막(161); 상기 격막 또는 중공통 내부에 구비된 노즐 또는 수분사 노즐(402); 이의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이 펌프에 연계된 물탱크; 상기 격막(161)의 상부에 거치되는 수분제거기 또는 엘리미네이터(162); 상기 유출구에 구비된 필터 또는 데미스터(163); 상기 중공통 하부에 형성된 깔대기(167);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수(402)에 의하여 상기 외부공기 또는 먼지공기(80) 중 먼지, 분진, 미세먼지 등이 포함되는 물이 침전되는 상기 깔대기; 상기 깔대기 하부에 거치된 배출구(165); 이 배출구에 연계되는 수조(176), 침강조(175), 원심분리기(177); 상기 수조 내지 원심분리기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중공통 내부, 유입구, 격막 중 하나에 주입하는 펌프 또는 순환펌프(63);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3을 차조한다.
상기 격막(161)은 막, 판, 격막, 이격막, 수직박, 경사막, 수평막, 다단막, 수직격막, 경사격막, 수평격막, 이격격막, 다단격막, 2개 이상이 이격된 격막, 1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막이 2개 이상 이격된 격막, 2개 이상이 이격되어 1개 이상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2개 이상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3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6개의 통로를 형성하는 격막, 일구간 수직 및 타구간 수평인 격막, 일구간 경사 및 타구간 수평인 격막, 일구간 경사 및 타구간 다른 경사인 격막, 일구간 수직 및 타구간 수평 및 다른 구간 수평인 격막, 2개 이상의 격막, 2개 이상의 경사 격막, 상호 이격된 2개 이상의 격막, 상호 이격된 2개 이상의 경사 격막, 2개의 변곡을 가진 격막, 3개의 변곡을 가진 격막, 2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격막, 2개 이상의 변곡을 가진 경사 격막, 노줄이 구비된 상기 격막, 물이 분사되는 상기 격막, 물이 분사되는 노즐 또는 유공관이 구비된 상기 격막, 상기 격막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격막 중 하나이다. 도 23 b에는 다수개의 격막, 이의 격막에 의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통로 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64), 수분제거기 또는 엘리미네이터(162), 필터 또는 데미스터(163) 등을 통과한 청정공기(81)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65)로 배출된 배출물(383)은 배출구에 연계되는 수조(176), 침강조(175), 원심분리기(177) 등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엘리미네이터, eliminator, 제거장치, 물방울 제거장치, 공기 중의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그재그형의 방해판, 지그재그로 접어 굽힌 아연 철판, 지그재그로 판을 좁은 간격으로 병치하고 그 틈으로 공기나 가스가 통과하면 배플 플레이트가 되어 물방울이 제거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데미스터는 데미스터, demister, 김 서림 방지 장치, 성에 방지 장치, 수분 제거 장치, 유체 중에 함유되어 있는 액적 또는 분진을 분리하고 제거하는 필터 장치, 그물망(網目) 등을 여러겹 포갠 것에 증기를 통하여 증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 섬유상태의 물체를 충전한 것이 많고 주로 관성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며 기류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23) 상기 컨베이어(400)는 컨베이어, conveyor, 이송로, 반송대, 전송대, 이송대, 이송수단,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회전컨베이어, 살균컨베이어, 돌기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roller conveyor), 트롤리컨베이어, 자바라컨베이어, 하우징컨베이어, 덮개구비컨베이어, 양단의 회전체(425)를 궤적으로 하여 회전하는 컨베이어(400), 양단의 회전체(425)를 궤적으로 하여 벨트가 회전하는 컨베이어(400), 양단의 회전체(425)와 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양단의 회전체를 감아도는 벨트로 구성된 컨베이어 중 하나이다.
상기 살균컨베이어는 a) 살균컨베이어, 소독컨베이어, 살균기능을 가진 살균컨베이어, 소독기능을 가진 살균컨베이어; b) 또는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LED, 살균제, 소독제 중 하나 이상이 조사되는 컨베이어; c) 또는 오존기, 음이온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LED기, 살균기, 소독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컨베이어; d) 광촉매 코팅되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컨베이어; 중 하나이다.
24) 상기 사이클론(86)은 사이클론 1, 2, 3, 4,. 5, 6, 7, 8, 9, 10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사이클론 1은 사이클론, cyclone, 다단 사이클론, 가압 사이클론, 건식 사이클론, 습식 사이클론, 공기 사이클론, 물 사이클론, 고압 사이클론, 돌기 사이클론, 선별 사이클론, 파쇄 사이클론, 박리 사이클론, 탄산수 사이클론, 원심회전 사이클론, 원심유동 사이클론, 하이드로 사이클론, 입자분리 사이클론; b) 펌프에 의하여 물질이 압력 또는 고속 유입되는 사이클론, 물질이 편심 유입되는 사이클론, 이는 도 35 c 참조, 측면으로 물질이 편심 유입되는 사이클론, 공기와 물질이 유입되는 건식 또는 공기 사이클론, 물과 물질이 유입되는 물 또는 습식 사이클론,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 2는 팬, 돌기(420), 갈퀴, 로터, 날개, 필터,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회전팬, 회전체, 송풍기, 선풍기, 분산기, 확산기, 정화기, 집진기,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사이클론, 팬형 사이클론, 분산형 사이클론, 확산형 사이클론, 정화형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여기서 상기 봉 내지 결합체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휠 내지 결합체 등이 해당된다. 도 35 b에는 내부, 내면, 내측 등에 돌기(420), 갈퀴, 날개, 해머, 망치, 타격봉, 타격대, 갈고리 등이 구비된 사이클론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타격봉은 타격봉, 물질을 타격하는 타격봉, 회전 또는 비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타격봉, 회전 또는 비회전하는 봉,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봉, 축에 직각으로 1개 이상의 봉이 거치된 타격봉, 회전축에 직각으로 1개 이상의 봉이 거치된 타격봉 중 하나이다.
상기 타격대는 타격대, 물질을 타격하는 타격대, 회전 또는 비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타격대, 회전 또는 비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축에 돌출되게 거치된 1개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축에 돌출되게 거치된 1개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 3은 내부에 돌기(420)가 형성된 사이클론, 내부에 돌기(420)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원심회전하는 물질을 파쇄하는 사이클론 파쇄기, 내부에 돌기(420)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원심회전하는 물질을 박리하는 사이클론 박리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5 b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사이클론 4는 1개의 입구와 2개 이상의 출구가 구비된 사이클론, 측면에 입구와 상부 및 하부에 출구가 구비된 사이클론, 호스(71)가 연결된 사이클론(86), 유입 및 유출 호스가 연결된 사이클론, 상기 호스(71)에 인젝터(93)가 구비된 사이클론(86), 상기 호스(71)에 축소부(77) 또는 벤츄리관(77)이 구비된 사이클론(86), 상기 축소부 또는 벤츄리관에 인젝터(93)가 구비된 사이클론(86)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5 d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사이클론 5는 유입 물질이 내부에서 회전 또는 원심회전하는 사이클론, 유입 물질이 내부에서 회전 또는 원심회전하여 2종 이상으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유입 물질이 내부에서 회전하여 하향과 상향으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유입 물질이 내부에서 회전하여 하향의 중량물과 상향의 경량물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유입 물질이 내부에서 회전하여 하향의 입자와 상향의 공기로 분리되는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 6은 유입구, 내부, 배출구 중 하나 이상에 필터(87)가 거치된 사이클론, 상기 필터(87) 대신에 여과재(88)가 거치된 사이클론, 상기 필터 또는 여과재(87)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 내부, 배출구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하는 물질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필터(87), 여과재(88)는 청정기, 살균기 등을 나타내는 도 27 b, c 등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 7은 습식선별기(334) 또는 이의 수조(335, 도 2)에 연결된 배수 파이프에 거치된 사이클론, 풍력선별기(332) 또는 이의 챔버(102)에 연결된 배기 파이프에 거치된 사이클론(도 3), 응집조 또는 정화조(140, 도 2)의 투입수 유입구에 거치된 사이클론, 수처리조(335, 도 2)의 투입수 유입구에 거치된 사이클론, 상기 거치에 의하여 물질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사이클론 8은 a) 중공체 또는 원추형 중공체,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는 중공체, 상기 중공체의 측벽에 형성된 유입구 또는 편심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호스(71, 도 35 d), 상기 호스에 물질을 가압하는 펌프(63) 또는 모터, 상기 중공체 내부에 형성된 돌기(420), 상기 중공체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 상기 중공체 하부에 구비된 유출구, 상기 배출구에 거치된 필터(97), 상기 유출구에 거치된 저장통; b) 상기 호스(71)에 구비된 축소부(77) 또는 벤츄리관(77); c) 상기 호스, 축소부, 벤츄리관 중 하나 이상에 거치된 인젝터(93); d) 상기 인젝터에 순차적으로 거치된 체크밸브(91), 튜브(76), 솔레노이드밸브(92), 튜브(76), 콤프레셔(105); e) 상기 인젝터 또는 튜브에 연계된 물질주입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계된 타이머(98);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사이클론이다. 이는 도 35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인젝터, 벤츄리관, 호스, 튜브, 물질주입기 등으로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오존, 음이온, 펄스압, 첨가제 등(82, 83, 84, 85)의 투입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클론 9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사이클론, 상기 사이클론, 상기 중공체 내지 주입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사이클론 10은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사이클론 내지 주입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다단 사이클론은 다단 사이클론, 2개 이상 사이클론이 연계된 다단 사이클론(도 35 e), 1차 사이클론의 상부 출구에 2차 사이클론의 측면 입구가 연결된 2단사이클론(도 35 e), 상기 2차 사이클론의 상부 출구에 3차 사이클론의 측면 입구가 연결된 3단사이클론, 상기 3차 사이클론의 상부 출구에 4차 사이클론의 측면 입구가 연결된 4단사이클론; 중 하나이다.
상기 입자분리 사이클론에는 원통부, 이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원통부 하부의 원뿔부 또는 깔대기, 상기 원뿔부 하부의 유출구, 이 유출구 하부의 집진조(60), 상기 원통부 상부의 유출구,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필터(87),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물질이 원심회전하는 상기 원통부, 상기 물질 중의 입자 또는 중량물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상기 집진조(60), 상기 물질 중의 경량물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상부의 유출구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는 도 35 b, 도 35 d 등의 그림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 인젝터(93, 94)는 관(93, 94), 튜브, 파이프, 인젝터, 이젝터, 경사관(94), 수직관(93),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의 외면에 경사진 경사관(94),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의 외면에 연직된 수직관(93) 중 하나(77)이다. 이는 도 32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인젝터, 호스, 축소부, 벤츄리관, 관 내지 수직관 중 하나에는 밸브,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역류차단용 체크밸브(91), 주기적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91), 상기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클론, 인젝터 내지 수직관, 밸브 중 하나 이상에는 하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주입된다.
상기 축소부, 벤츄리관 등(77)으로 물질이 통과되는 경우 통과 단면이 축소 또는 작기 때문에 통과 유속 증가, 통과 압력 작아짐, 부압 발생 등이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축소부, 벤츄리관 등에 연결된 인젝터 내지 수직관 등(93)을 통하여 무동력으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오존, 음이온, 펄스압, 첨가제 등(82, 83, 84, 85)을 상기 축소부, 벤츄리관 등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5) 상기 수조선별기, 수조선별 기구, 세척기, 세척 기구, 수조, 호스 중 하나 이상에는 a)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151), 펌프(63), 노즐(66); b) 상기 선별, 세척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된 물을 회수하는 회수라인; c) 상기 회수된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 d) 사이클론(86)이 구비된 상기 공급라인 내지 수처리장치; e)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공급라인 내지 수처리장치; f)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공급라인 내지 수처리장치; 중 하나 이상이 연계된다.
상기 공급라인, 회수라인 등에서 라인은 라인, 호스, 파이프, 파이프라인 등이 해당된다.
26) 상기 처리 ∼ 복합;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공정, 작업; 중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물을 처리하는 수처리장치(405)는 수처리장치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수처리장치 1은 a) 정화기(140, 도 2), 응집조(140, 도 2), 침전조, 정화조, 전해조, 수질정화기, 수처리장치, 폐수처리장치,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수처리장치, 진동하는 진동수처리장치, 가진하는 가진수처리장치, 오존 발생하는 오존수처리장치,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수처리장치; b) 또는 유입라인(70),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응집조(140), 침전조, 여과조, 살균조, 방류조, 농축기, 탈수기, 유출라인(151) 중 둘 이상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성되는 수처리장치; 중 하나이다.
상기 수처리장치 2는 a) 유입라인, 저류조, 폭기조, 반응조, 전해조, 응집조, 침전조, 여과조, 살균조, 방류조, 농축기, 탈수기, 유출라인; b)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되는 둘 이상의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c) 상기 저류조 내지 방류조 중 하나 탱크(140)의 유입라인(70), 이 유입라인에 연계되면서 상기 탱크 내부에 거치되는 수직 파이프(143), 이 파이프 선단의 확공부; d) 상기 파이프 내부에 부착되는 판, 날개, 나선, 스크류, 수평판, 경사판, 교반수단, 폭기수단, 플레이트, 지그재그판, 지그재그경사판; e) 상기 탱크의 내부와 상기 파이프의 외부 사이에 거치되는 스크린(146), 경사스크린, 유공스크린(146); f) 상기 탱크 또는 유입구에 응집제(84)를 주입하는 주입기(142), 상기 응집조 하부의 침전부(144), 이 침전부에 침전되는 침전물(145) 또는 슬러지(145)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라인, 이 유출라인의 밸브; g) 상기 침전물 또는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기, 상기 침전물 또는 농축된 농축물을 탈수하는 탈수기; h)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상등수(141) 또는 정화수(81)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라인(150), 이의 유출라인에 연계된 정화수 이송라인(151); i) 상기 상등수 수면에 거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레이퍼(147), 이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걸러진 부유물이 유입되는 깔대기(148), 이 깔대기에 연계되어 상기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라인(149); 이상은 도 2의 우측 하부 그림 참조, j)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저류조 내지 유출라인;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처리장치 3은 a) 전극, 양극, 음극, 전기, 전원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된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b) 상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폐수가 전해되어 가스, 버블,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전해물, 방전물, 전해수, 방전공기,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알카리수, OH라디칼,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c)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투입 내지 복합, 호퍼 내지 집진기 중 하나 이상에 공급 또는 주입하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d) 상기 가스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투입 내지 복합, 호퍼 내지 집진기 중 하나 이상을 폭기, 세척, 청정, 정화, 살균, 소독 중 하나를 하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처리장치 4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이중 하나 또는 둘의 전단, 후단, 연결부, 연결호스; 중 하나 이상에 사이클론(86)이 설치되어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하는 폐수에서 Ca, CaO, 석회, 몰탈, 시멘트, 이물질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또는 상기 제거하여 폐수의 pH, 이물질 중 하나 이상을 저감시키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유출라인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처리장치 5는 상기 유입라인 내지 배출라인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자화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기가진오존음이온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수처리장치이다.
상기 탈수기는 필터, 롤러, 압착롤러, 탈수기, 통탈수기, 전기탈수기, 압착탈수기, 회전통탈수기, 원심탈수기, 피스톤압착탈수기, 필터프레스,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다.
27) 상기 처리 ∼ 복합; 이중 하나의 기(器), 기(機), 장치, 공정, 작업; 중 하나에서 공기 또는 분진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장치는 공기처리장치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공기처리장치 1은 a) 청정기, cleaner, purifier, 공기청정기, 환기시설, 집진시설(323), 살수시설, 공기처리장치,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공기처리장치, 진동하는 진동공기처리장치, 가진하는 가진공기처리장치, 오존 발생하는 오존공기처리장치,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공기처리장치; b) 또는 회전팬, 프리필터, 헤파필러, 정화필터의 순으로 구성되는 공기처리장치; c) 또는 필터, 여과재, 회전팬, 유공판 중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되는 공기처리장치(도 27 b); 중 하나이다.
상기 공기처리장치 2는 a) 필터(87), filter, 백필터, back filter, 필터통, 집진기, 필터탱크, 막필터, 판필터, 원통필터, 나노필터, 모래필터, 입상재필터, 섬유필터, 카본필터, carbon filter, 수지필터, 세라믹필터, 활성탄필터, 프리필터, pre filter, 포스트필터, post filter, 침전필터, 정화필터, 청정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 집진필터, 삼투필터, 역삼투필터, 일방향필터, 양방향필터, 울트라필터, ultra filter, 마이크로필터, micro filter, 멤브레인필터, 중공사막필터; 여과재(88), 필터여과재, 여과필터재, 입상필터재, 모래여과재, 활성탄여과재, 여과재필터, 공기청정기, 공기정화기, 공기처리기, 사이클론과 이의 전처리 필터, 사이클론(86)과 이의 후처리 필터(87), 상기 필터(87) 후에 여과재(88)가 거치되는 필터여과재, 여과재 후에 상기 필터가 거치되는 여과재필터, 여과재(88)와 상기 필터(87)가 혼재된 여과재필터; b) 상기 필터 중 둘 이상의 복합필터; c) 상기 중 하나의 필터가 삽입된 필터기, 필터통, 필터케이스, 필터카트리지;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공기처리장치 3은 용기 또는 케이스(102); 이의 내부에 필터(87), 히터(85), 광원기(90), 오존기(96), 회전팬(27), 여과재(88), 유공판(89); 또는 상기 용기 외부에 광원기(90); 상기 광원기의 빛 반사판(93); 또는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반사판; 중 하나 이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순으로 구성된 공기처리장치이다. 이는 도 27 c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공기처리장치 4는 광원기(90), 이의 지지봉(91), 빛 반사판(93); 상기 지지봉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92); 자신에서 방사되는 빛에 의하여 공기를 살균 청정하는 상기 공원기(9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공기처리장치이다. 이는 도 27 a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광원기(90)는 빛, 광, 선, 광선,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 또는 방사하는 기구이다.
상기 공기처리장치 5는 상기 필터 내지 필터카트리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또는 진동가진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공기처리장치이다.
28) 상기 복합필터에는 침전필터와 카본필터와 울트라필터와 카본필터, 항균필터와 카본필터와 나노필터, 프리필터와 본필터와 포스트필터, 프리필터와 헤파필터와 탈취필터와 카본필터, 프리필터와 미디엄필터와 탈취필터와 헤파필터, 프리필터와 탈취필터와 헤파필터와 나노필터, 큰 입자를 여과하는 프리필터와 냄새를 탈취하고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탈취필터와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헤파필터 중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울트라필터는 반투막, 한외여과막(限外濾過膜), 반투막 필터, 울트라필터(ultrafilter), 10~500Å 범위의 세공 크기를 가지는 막 또는 필터, 입자 크기가 0.005~0.5μm인 물질을 분리하는 막 또는 필터 중 하나이다. 상기 나노필터는 나노미터의 구멍 크기를 가지는 막 또는 필터, 입자 크기가 나노미터인 물질을 분리하는 막 또는 필터 중 하나이다. 상기 마이크로필터는 마이크로미터의 구멍 크기를 가지는 막 또는 필터, 입자 크기가 마이크로미터인 물질을 분리하는 막 또는 필터 중 하나이다. 여기서 막 또는 필터의 재질은 유기막으로는 중공사형, 관형, 평막형, 스파이럴형, 플릿형, 셀룰로오스계, 합성수지계, 폴리설폰(polysulfon)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아크릴로니트륨계 등이 있고, 무기막으로는 관형, 모노리스형, 세라믹계, 산화알루미늄계, 산화지르코늄(zirconium)계 등이 있다.
29)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장치, 기구, 기(器 or 機) 내지 장비, 호퍼 내지 절단기 중 하나에 또는 둘 사이에 a) 호퍼(311), 슈트, 투입장치(feeder), 버블기, 폭기기, 주입기, 분사기, 집진기(323), 사이클론(86), 스크레이퍼(336), 이송수단(400), 컨베이어(400), 벨트컨베이어(400), 컨베이어벨트(400), 물질이송수단, 상기 자화 ∼ 복합물; b)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물질이송수단; c)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호퍼 내지 물질이송수단;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구비된다.
30)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것은, 또는 하나가 상기 처리에 이용되는 것은 하기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1은 a)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장치, 기구, 돌기, 회전체, 수조, 호스, 공급라인, 펌프, 노즐, 회수라인, 수처리장치, 펠렛화 기구, 폐기물 ∼ 자재, 선별기 내지 복합기, 호퍼 내지 집진기, 봉 내지 결합체, 복합기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장치 1의 상기 기(器) 내지 장비, 회전체 1의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선별기 1의 상기 망 내지 복합선별기, 건식선별기의 팬 내지 사이클론, 수조선별기의 수조 내지 탈수기, 파쇄기 1의 상기 볼밀 내지 복합파쇄기, 박리기 4의 상기 드럼 내지 다중박리기, 세척기 7의 상기 수조 내지 펄스기, 수처리장치의 탱크 내지 배출라인, 탈수기 1의 필터 내지 복합탈수기, 펠렛화 기구의 용융기 내지 집진기, 인젝터의 상기 관 내지 수직관, 또는 호퍼 내지 물질이송수단; b) 상기 a) 처리 ∼ 물질이송수단 중 하나의 또는 하나에 사용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사이클론, 물질, 수, 물, 선별수, 바람, 공기, 풍력공기, 재료,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골재, 광물, 펠렛, 무기물, 가연물, 폐기물, 침전물, 슬러지, 절차, 과정, 작업, 업무, 공정; c) 상기 처리 ∼ 물질이송수단 중 하나의 또는 하나로 수행되는 절차, 과정, 작업, 업무, 공정; d) 상기 a) 처리 ∼ c) 공정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 먼지, 미세먼지, 오탁수, 오염수, 침전물, 슬러지, 분진공기, 먼지공기; e) 상기 a) 처리 ∼ d) 먼지공기 중 하나 이상의 전, 후, 좌, 우, 상, 중, 하, 면, 속, 표면, 측면,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입구, 출구, 주변, 인근, 공기, 공중, 수중, 수조, 바닥, 지면, 땅바닥, 야적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이
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ⅱ) 또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파동, 미스트, CO2,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펄스압, 액상물, 탄산물, 탄산수, 산성수, 산성액, pH저감제,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ⅲ)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회전물; ⅲ) 상기 수 내지 회전물 중 둘 이상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이용,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투입, 주입, 함침, 수침, 침지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구비 내지 침지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재활용골재, 흙 내지 펠렛, a) 처리 ∼ e) 중공부, 하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이 또는 하나 이상에 자화, 진동, 가진, 정화, 청정, 정수, 세정, 세척, 살균, 제군, 멸균, 항균, 살충, 해독, 제독, 소독, 균제거, 오염제거, 오염정화, pH저감, 자기장 방사, 진동 방사, 오존 방사, 오존 살균, 오존 소독, 음이온 방사, 음이온 살균, 음이온 청정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3은 상기 자화 ∼ 복합물, 구비 내지 침지, 자화 내지 음이온 청정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재활용골재, 흙 내지 펠렛, a) 처리 ∼ e) 중공부, 하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의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중 하나 이상이 증가, 증대, 향상, 가속, 배가, 배속;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함침, 수침, 침지 중 하나는 조, 통, 함, 탱크, 함침조, 침지조, 수침조; 버블이 투입되는 상기 조 내지 수침조; 폭기가 되는 상기 조 내지 수침조;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조 내지 수침조; 중 하나에 의한다.
상기 수침의 예에는 a) 상기 토사 내지 슬러지 중 하나가 a1) 수침, a2) 상기 탄산물, 탄산수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에 수침, a3) 상기 조 내지 수침조 중 하나에 수침, a4) 상기 탄산물 내지 pH저감제 중 하나가 투입된 상기 조 내지 수침조 중 하나에 수침; b) 상기 수침에 의하여 상기 토사 내지 슬러지 중 하나에 탄산화반응 발생; c) 상기 수침 또는 탄산화반응에 의하여 상기 토사 내지 슬러지 중 하나의 pH가 저감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31) a) 상기 장비, 폐기물 ∼ 자재, 투입 ∼ 복합, 처리 ∼ 중공부, 흙 내지 재활용골재, 흙 내지 펠렛;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기(器 or 機), 기기, 기구, 장치; c)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가 된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가스, 열, H2, O2, CO2, CH4, 이물질, 케익, 펠렛, 상기 폐기물 ∼ 자재; d)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에 사용되는 기기, 장치, 장비, 물질, 물체, 수조, 물, 공기, 바람; d) 하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에 1) 오존, 음이온, 탄산물, 응집제, 정화제, 살균제, 피톤치드, 산성제, pH저감제, 이산화탄소, 상기 자화 ∼ 복합물; 2) 상기 오존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반응, 유입, 혼합, 가압, 이송, 주입, 분사, 함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저장고, 반응기, 호퍼, 혼합기, 펌프, 호스, 주입기, 분사기, 함침기; 중 하나 이상이 사용 또는 투입된다.
32) 상기 살균형, 소독형, 정화형, 수조, 물, 탱크, 선별기, 파쇄기, 박리기, 세척기, 탈수기,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탱크 내지 살균조 중 하나에 상기 오존 내지 복합물,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82, 83, 84, 85) 이상이 사용 또는 투입된다.
33) 상기 탄산물은 탄산, 탄산수, 탄산액, CO2, 탄산물, 탄산액, 탄산유, 탄산가스, 탄산공기, 탄산압기 중 하나이다.
상기 탄산물과 상기 흙 내지 펠렛, 토사 내지 슬러지; 상기 흙 내지 슬러지 중 하나에 포함된 Ca, CaO, Ca(OH)2, Mg, MgO, Mg(OH)2; 중 하나 이상이 접하는 조건에서는 a) 탄산화반응, 탄산화물생성, CaCO3생성, MgCO3생성, 몰탈탈락, 몰탈제거, 시멘트탈락, 시멘트제거, pH저감; b)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에 상기 탄산화반응 내지 pH저감; 중 하나 이상이 된다.
a) 상기 탄산화반응에는 CaO + CO2 = CaCO3, Ca(OH)2 + CO2 = CaCO3 + H2O, MgO + CO2 = MgCO3, Mg(OH)2 + CO2 = MgCO3 + H2O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b) 상기 탄산화물에는 CaCO3, MgCO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c) 상기 탄산물은 CO2조, CO2통, CO2함, CO2탱크, CO2챔버, 분해조, 전해조, 부패조, 미생물 분해조, 전기 분해조, 유기물 부패조, 미생물 분해에 의하여 CO2를 발생하는 분해조, 전기 분해에 의하여 CO2를 발생하는 전해조, 유기물 분해에 의하여 CO2를 발생하는 부패조; 이중 하나에 연계된 호스, 파이프, 노즐;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응집제는 응집제, 침강제, 백반, 녹말, 산화철, 황산철, 소석회, 침강촉진제, 폴리머, 칼슘염, 알루미늄염, 무기전해질, 수산화칼슘, 황산알루미늄, 황산제1철, 염화제2철, 염화알루미늄, 유기고분자화합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정화제는 오존, 음이온, 정화제, 청정제, 폭기제, 반응제, 응집제, 침전제, 여과제,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중 하나이다.
상기 살군제는 염소, 락스, 캡탄, 폴펫, 캡티폴, 베노밀, 살균제, 소독제, 포말린, 알코올, 벤조산, 구연산, 레몬산, 페놀수, 세레산, 차염산, 크레솔수, 폴리옥신, 승홍수(昇汞水), 클로르칼크, 크레솔비누액, 과산화수소수, 무기살균제, 보르도액, 석회황합제, 유기수은제, 유기살균제, 메탈락실, 농용항생제, 벤디미다졸제, 트라이아졸제, 차아염소산나트륨, 트라이아디메폰, 트라이시크라졸, 스트렙토마이신, 시크로헥사마이드, 발리다마이신, 프탈라마이드제, 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소르브산(sorbic acid), 구아니딘(guanidine), 아이소싸이아졸리논(isothiazolinone), MIT(methylisothiazolinone), C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pH저감제에는 초산, 질산, 염산, 황산, 젖산, 아세트산, 산성제, 산성물, 산성수, 산성액, 탄산수, 탄산액, 탄산물, CO2, CO2가스, pH저감제, pH 1∼6 물질, pH 6 이하 물질, 전해조(電解槽)에서 생성되는 산성수, 제1인산나트륨, 염화암모늄, 제1인산나트륨과 염화암모늄의 수용액; 버블이 포함된 상기 질산 내지 수용액; 폭기가 되는 상기 질산 내지 수용액;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34) a) 상기 처리 ∼ 중공부, 장치, 투입 ∼ 복합, 선별기 내지 복합기, 폐기물 ∼ 자재, 흙 내지 재활용골재, 흙 내지 펠렛; b)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기기, 장치, 공정, 작업; c) 하기 흙 내지 재활용골재, 흙 내지 펠렛;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에 또는 이상이 상기 구비 내지 침지, 자화 내지 음이온 청정, 증가 내지 배속 중 하나 이상이 된다.
35) 상기 31) a) 처리 ∼ b) 작업, 선별기 내지 복합기, 구비 내지 배속,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a) 상기 폐기물 ∼ 자재 중 하나로 부터 흙, 토사, 모래, 자갈, 금속, 광물, 골재, 석재, 유리, 종이, 비닐, 섬유, 철, 금속, 목재, 수분, 유기물, 무기물, 부유물, 가연물, 이물질, 플라스틱, 콘크리트, 순환토사, 순환골재, 직경 8mm 이하 골재, 직경 8∼25mm 골재, 직경 25∼40mm 골재, 직경 40mm 이상 골재, 펠렛; b) 또는 상기 살균 내지 음이온 청정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이 생성 또는 분리된다.
상기 처리 ∼ 작업은 상기 30) a) 상기 처리 ∼ b) 작업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구비 내지 배속은 상기 구비 내지 침지, 자화 내지 음이온 청정, 증가 내지 배속 등이 해당된다.
36) 상기 장비, 장치, 망, 스크린, 돌기, 해머, 드럼, 원통, 트롬멜, 회전체, 호퍼 내지 장비, 봉 내지 결합체, 선별기 내지 복합기, 장치 내지 물질이송수단 중 하나의 재료 또는 재질은 a) 철, 솜, 구리, 아연, 철재, 금속, 목재, 석재, 수지, 섬유, 헝겊, 고무, 합금재, 탄소재, 그래핀, 폴리머, 세라믹, 비금속, 아크릴, 금속재, 탄성재, 천연재, 인공재, 비탄성재, 비금속재, 금속비금속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두랄루민, 스티로폼, 복합수지, 인공수지, 스테인레스스틸, 덴드리머(dendrimer),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C(폴리카보네이트), PVC(poly vinyl chlorid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SUS(stainless steel, special use steel, steel special use stainless), STS(stainless steel); b) 상기 철 내지 STS 중 둘 이상의 혼합재, 복합재; 중 하나이다. 상기 장비 내지 물질이송수단은 '상기 1의 a) 상기 처리, 투입 ∼ 복합, 장치 ∼ 호퍼 내지 물질이송수단' 에서의 장치 ∼ 물질이송수단이 해당된다.
37) 상기 물질은 물, 공기, 물질, 골재, 광물, 암석, 폐기물, 폐자재, 부산물, 슬러지,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해체폐기물,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폐기물은 폐수, 폐액, 폐기물, 폐자재, 부산물, 음식물, 음폐수, 슬러지,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해체폐기물,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 하수슬러지, 상수슬러지, 건설슬러지, 수처리슬러지, 혼합폐기물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이물질은 종이, 비닐, 금속, 섬유, 천류, 목재, 장판, 이물질, 가연물, 경량물, 플라스틱, 스치로폼, 유기이물질, 무기이물질, 유기불순물, 무기불순물 중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 방사 등은 이용, 사용, 적용, 활용, 주입, 투입, 삽입, 분사,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정착, 설치, 방사, 조사, 분사, 배출, 조성, 생성, 형성 등이 해당된다.
38) 상기 자화기(30, 31)는 자화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 1은 물질을 자화하는 기구, 물체를 자화하는 기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기구, 2개 이상 자석(131)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133)된 기구(130), 이는 도 31 a 참조,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132)가 삽입된 기구(130), 이는 도 31 a 참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135), 이는 도 31 b 참조, 코어(15)에 감긴 코일(16)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기구(135, 이는 도 31 b 참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 2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자화기, 가진자화기, 오존자화기, 음이온자화기, 회전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 3은 자기장과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 4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기 5는 a) 자화하면서 진동하는 자화진동기, 진동하면서 자기장을 발생하는 진동자화기; b) 자화하는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c) 또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30, 32)는 진동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1은 진동하는 기구, 자신이 진동하는 기구, 물질을 진동하는 기구, 물체를 진동하는 기구, 진동을 발생하는 기구, 진폭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진동을 발생하는 복합 또는 편심 진동기, 진동 또는 유동하는 줄 또는 현(弦, chord) 또는 진자, 줄 또는 현 또는 진자에 부착된 진동기 또는 자화기,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기구(32),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가 거치된 케이스(7)가 진동하는 기구(32), 로터(1)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기구(32), 로터(1)의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기구(32)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9를 참조한다.
상기 진동기 2는 자화,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진동기, 자화진동기, 가진진동기, 오존진동기, 음이온진동기, 회전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3은 진동과 자화,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진동기 내지 회전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기 5는 a) 진동하면서 자화하는 진동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진동하는 자화진동기; b) 진동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c) 또는 자화,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30, 33)는 가진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1은 가진하는 기구, 자신이 가진하는 기구, 물질을 가진하는 기구, 물체를 가진하는 기구, 2개 이상의 가진력으로 가진하는 복합 또는 편심 가진기, 진동하면서 압력을 가하는 가진자 또는 피스톤, 봉에 부착된 가진기 또는 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2는 자화,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가진기, 자화가진기, 진동가진기, 오존가진기, 음이온가진기, 회전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3은 가진과 자화,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가진기 내지 회전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기 5는 a) 가진하면서 자화하는 가진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가진하는 자화가진기; b) 가진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c) 또는 자화, 진동,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30, 34)는 오존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1은 오존 발생 기구, 오존 공급 기구, 오존 처리하는 기구, 오존 살균하는 기구, 오존 소독하는 기구, 물질을 오존 살균하는 기구, 물체를 오존 살균하는 기구,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오존기(34),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는 오존기(34)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9를 참조한다. 이는 도 30을 참조한다.
상기 오존기 2는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오존기, 자화오존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기, 음이온오존기, 회전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3은 오존과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회전, 회전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오존기 내지 회전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기 5는 a) 음이온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자화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진동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가진오존기;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30, 35)는 음이온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1은 음이온 발생 기구, 음이온 공급 기구, 음이온 처리하는 기구, 음이온 청정하는 기구, 물질을 음이온 처리하는 기구, 물체를 음이온 처리하는 기구,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음이온기,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 또는 바늘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0을 참조한다.
상기 음이온기 2는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회전, 회전력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음이온기,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음이온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3은 음이온과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회전, 회전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음이온기 내지 음이온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기 5는 a)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자화음이온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진동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가진음이온기;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오존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진동오존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340)는 회전기 1, 2, 3, 4, 5, 6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1은 팬(fan), 로터, 롤러, 회전기, 回轉器, 回轉機, rotator, 회전체, 회전추, 회전자, 회전팬, 회전축, 회전봉, 회전줄, 회전솔, 회전로프, 회전날개, 회전돌기, 회전나선, 회전스크류, 회전와이어, 회전다발줄, 회전방사줄, 편심회전체, 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스테이터(2)에 거치된 로터(1), 로터(1)에 구비된 회전축(3), 로터(1)에 구비된 회전축(3)에 거치된 회전체(4), 이는 도 29 참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자체 회전하는 회전기, 회전하여 회전물을 발생시키는 회전기, 돌기 달린 회전기, 갈퀴 달린 회전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팬 ∼ 갈퀴 달린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2는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회전기, 자화회전기, 진동회전기, 가진회전기,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3은 회전 또는 회전력과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또는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회전기 내지 음이온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기 5는 a) 1개 점 또는 1개 줄(411)에 연계된 2가락 이상의 줄(413), 상기 1개 점 또는 1개 줄(411)이 거치된 축(410), 이의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6)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는 도 22 등 참조, b) 또는 상기 점, 줄, 축, 회전수단, 회전기, 회전체, 회전기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다.
상기 회전기 6은 a)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411, 도 22 a6), 이의 선단에 상기 꼬임이 풀어진 2개 이상의 가닥(413, 도 22 a7),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장착된 1개 이상의 봉(411), 이 봉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420), 상기 꼬임선이 1개 이상 장착된 축(410), 이의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6)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는 도 22 등 참조, b) 또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수단, 회전기, 회전체, 회전기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 이다.
상기 전해기는 전해기 1, 2, 3, 4 중 하나이다. 상기 전해기 1은 a) 전해기, 電解器, 電解機, 전기분해기, 電氣分解機, 전해조(102);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431)과 음극(432) 사이의 이온막(433);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액;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H+, OH-, Na+, Cl-, Fe+, H2, O2, CO2, Cl2, HOCl, NaOCl,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전해수, 전해물,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10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6 c를 참조한다.
상기 전해기 2는 a) 전해조에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폐콘크리트, 염분, 염수, 해수, 전해액;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431)과 음극(432)에서 발생되는 상기 폐기물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폐기물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433)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전해기 4는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전원공급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b)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을 공급 또는 분사하는 호스, 노즐, 분사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c)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흙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이 살균, 소독, 청정, 정화, 탄산화, 몰탈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하는 상기 전해기 내지 저장탱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Fe+는 양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 또는 Fe+는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Na+, Cl-,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전해수, 전해물,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담수는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조성된 담수이다. 상기 전해액은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또는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유, 해수 등이고, 상기 전해수는 전기분해된 또는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수, 물, 액, 유, 담수 등이다. 상기 전해물은 전기분해된 물질로서, 이의 물질에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살균기(470)는 살균기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살균기 1은 등(90), 램프(90), 히터(85), LED등(90), 자외선램프(90), 100℃ 이상 고온히터(85), 살균기, 제균기, 멸균기, 항균기,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디톡스기, 청정기, 정화기, 세척기, 세정기, 오존기,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 플라즈마기, 증기발생기, 옷걸이램프, 오존분사기, 살균제분사기, 소독제분사기, 연막분사차, 약품분사기, 약품분사차, 약품분사대포, 살균연무분사차, 살균약품분사기, 살균약품분사차, 살균약품분사대포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디톡스기 등에서 디톡스는 detox, detoxification, 제독, 해독, 소독, detoxification의 약어 등을 나타낸다.
상기 살균기 2는 a) 용기(102), 이 용기의 입구 및 출구, 상기 입구에 스크린(88, 89) 및 팬(27), 상기 출구에 필터(87); b) 상기 용기 내부에 히터(85), 상기 용기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92), 상기 용기의 밀대 또는 손잡이; c) 상기 출구의 외부에 호스, 노즐, 분사기; d) 상기 용기의 중간에 벤츄리관(77); e) 상기 벤츄리관(77)의 외부에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호스, 콤프레셔(105);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g)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빛, 열, 스팀, 압기, 약품, 약물, 살균제, 소독제,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LED빛, 플라즈마, 살균가스,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램프; h)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램프; i)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용기 내지 램프; j) 상기 용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7 c를 참조한다.
상기 살균기 3은 a) 거치대(91); b) 이 거치대에 상기 빛 내지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램프(90); c) 상기 거치대에 바퀴 또는 이동수단(92); d) 상기 램프에 갓 또는 반사판(93); e) 광촉매 코팅된 상기 거치대 내지 반사판(93); e) 상기 거치대 또는 램프 주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f)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7 a를 참조한다.
상기 방전기는 방전기 1, 2, 3 중 하나이다. 상기 방전기 1은 a) 방전기, 放電器, 放電機, 전기방전기, 電氣放電機, 방전통(102, 431);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432); c)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d)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 전기방전, 코로나방전 중 하나가 발생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e)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는 도 26 d를 참조한다. 상기 대전입자는 정전기력 등에 의하여 방전통(102, 431)에 부착되게 되고, 이에 부착된 대전입자를 제거하면 방전통을 통과하는 공기의 분진이 제거된다.
상기 방전기 2는 a) 상호 이격된 양극(431) 및 음극(432); 이에 순차 연결되어 전기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선(6),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방전되거나, b) 또는 상기 전기방전되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방전기 3은 a)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방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방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방전기;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방전기; f) 원통(102)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431)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432)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102)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방전기; g) 상기 원통(102)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방전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26 d를 참조한다.
상기 복합기(30, 36)는 a)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기,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b) 상기 자화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중 하나가 구비된 콘, 망, 봉, 틀, 링, 대, 판, 막, 핀, 침, 칩, 솔, 관, 조, 통, 함,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센서, 소자, 진자, 전극, 금속, 시트, 종이, 박막, 동전, 엽전, 바늘, 나선, 돌기, 튜브, 밴드, 호스, 노즐, 관로, 박스, 몸체, 드론, 테이프, 파이프, 중공체, 케이스,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시스템, 플로터, 3D프린터, 벤츄리관; c) 상기 자화진동기 내지 벤츄리관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기(30, 36)는 a) 상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가 조합된 복합기(36), 상기 자화기(31)가 장착된 진동기(32), 상기 진동기(32)가 장착된 자화기(31)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진동(42)이 발생되고, b2) 상기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33) 또는 진동기(32)에 의한 자기장(41)이 발생되고, b3) 상기 자기장(41)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에 의한 가진(43) 또는 진동(42)이 발생되는 기구, 자화기, 진동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가진기(30, 36)는 a) 상기 자화기와 가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가진기, 상기 가진기가 장착된 자화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오존기(30, 36)는 a) 상기 자화기와 오존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가 장착된 자화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면서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오존기, 자화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음이온기(30, 36)는 a) 상기 자화기와 음이온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음이온기, 상기 음이온기가 장착된 자화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자기장이 발생되고, b2) 상기 자기장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b3) 상기 가진 또는 진동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자화기, 음이온기, 자화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회전기는 a) 상기 자화기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회전기가 장착된 자화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화와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회전기, 자기장을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자화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기는 a)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가진기, 상기 가진기가 장착된 진동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가진기, 진동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오존기는 a) 상기 진동기와 오존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가 장착된 진동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오존기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오존기, 진동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음이온기는 a) 상기 진동기와 음이온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음이온기, 상기 음이온기가 장착된 진동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음이온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기구, 진동기, 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회전기는 a) 상기 진동기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회전기가 장착된 진동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오존발생하는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진동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오존기는 a) 상기 가진기와 오존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가진기가 장착된 오존기, 상기 오존기가 장착된 가진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전체 진동 중 가진기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오존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기구, 가진기, 오존기, 가진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음이온기는 a) 상기 가진기와 음이온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가진기가 장착된 음이온기, 상기 음이온기가 장착된 가진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3)에 연계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7)에서 발생하는; 진동(42), 자기장(41),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기구, 가진기, 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회전기는 a) 상기 가진기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가진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회전기가 장착된 가진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자화하는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가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음이온기는 a) 상기 오존기와 음이온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오존기가 장착된 음이온기, 상기 음이온기가 장착된 오존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오존과 음이온 발생기, 오존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기,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와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음이온기(34)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회전기는 a) 상기 오존기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오존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회전기가 장착된 오존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진동하는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오존처리와 회전하는 복합기,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오존기 중 하나이다.
상기 음이온회전기는 a) 상기 음이온기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음이온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회전기가 장착된 음이온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가진하는 음이온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음이온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음이온 발생하는 회전기, 회전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을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오존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회전기, 자화하는 진동형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음이온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회전기, 진동하는 가진형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회전기, 진동하고 가진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오존음이온기는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가진과 오존발생과 음이온청정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가진하는 가진형 오존음이온기, 가진과 오존발생하는 음이온기,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음이온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오존회전기는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오존회전기, 가진하는 가진형 오존회전기, 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회전기, 가진 후에 오존발생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오존음이온회전기는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오존 처리와 음이온 청정과 회전하는 복합기, 오존발생하는 음이온회전기, 오존발생하는 오존형 음이온회전기, 오존음이온발생하는 회전기, 오존발생 후에 음이온처리 후에 회전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회전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진동기와 가진회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가진회전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살균과 음이온처리를 하는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기와 오존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가진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상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진동하면서 가진하고 오존 발생하는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진동가진하면서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하면서 오존발생하는 음이온회전기, 가진하고 오존음이온발생하는 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처리의 회전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30, 36)는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자화(41)와 진동(42)과 가진(43)과 오존처리(44)와 음이온처리(45)를 하는 복합기(36), 자기장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청정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기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을 발생하는 기구, 상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는 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는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회전기, 자화하면서 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발생의 회전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5종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기 중 중 하나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하는 가진의 오존음이온발생 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처리의 회전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발생하는 하는 회전기, 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면서 음이온청정하는 회전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5종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기 중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30, 36)는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발생과 회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발생하는 음이온처리형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음이온처리하는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발생하고 음이온청정하는 회전기, 자기장발생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처리하고 음이온발생하고 회전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6종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30, 36)는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와 회전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의 복합기(36),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전해살균을 하는 방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중 하나(40, 41, 42, 43, 44, 45, 46)는 a) 자화물,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의 복합물; b) 상기 자화물 내지 회전물 중 둘 이상의 물질; c) 상기 자화물 내지 회전물 중 셋 이상의 물질; d) 상기 자화 ∼ 회전 중 하나 이상의 물질; 상기 자화 ∼ 회전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물질; e)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기 중 하나 이상을 거친 물질,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기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된 물질, 자화처리물, 진동처리물, 가진처리물, 오존처리물, 음이온처리물, 회전처리물;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물은 a) 회전물, 회전수, 회전액, 와류물, 와류수, 와류액, b) 상기 꼬임선 내지 축, 회전기,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회전물질, c)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회전하는 물질,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회전하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분산하는 물질,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확산하는 물질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물(40, 46)은 자화진동물, 자화가진물, 자화오존물, 자화음이온물, 자화회전물, 진동가진물, 진동오존물, 진동음이온물, 진동회전물, 가진오존물, 가진음이온물, 가진회전물, 오존음이온물, 오존회전물, 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물, 자화진동오존물, 자화진동음이온물, 자화진동회전물, 진동가진오존물, 진동가진음이온물, 진동가진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오존회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 자화진동가진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진동가진오존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물은 상기 자화물과 진동물이 조합된 복합물, 상기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물, 상기 진동물이 투입된 자화물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40, 46)은 상기 자화물 내지 회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물의 복합물,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오존물이 포함된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진동물 내지 음이온물이 포함된 자화물이 투입된 회전물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40, 46)은 상기 자화물 내지 방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이 투입된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중 하나이다.
상기 자화가진물 ∼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은 상기 자화진동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의 기재 내용과 같은 형태, 형식을 가진다.
39) 상기 자화기 ∼ 복합기에서 기는 기(器), 기(機), 조, 통, 함, 콘, 나선, 기기, 기구, 기계, 노즐, 튜브, 탱크, 박스,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몸체, 물체, 시설, 수단,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 하나이다.
40)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에서 물은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물질(物質), 액체, 기체, 고체, 분말, 공기, 재료, 바람, 물질, 골재, 광물, 토사, 암석, 물체, 물질, 재료, 자재,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자화수, 진동수, 가진수, 오존, 음이온, 오존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회전수, 와류수, 회전액, 와류액 중 하나이다.
41) 상기 처리 ∼ 복합물, 호퍼 ∼ 집진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는 펄스, 펄스압, 펄스기, 펄스수. 펄스액, 펄스물, 펄스공기, 펄스압기, 펄스가스, 펄스오존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사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방사, 조사 중 하나가 된다.
상기 처리 ∼ 복합물은 상기 29) a) 처리 ∼ b) 작업, 선별기 내지 복합기, 구비 내지 배속, 자화 ∼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 내지 펄스오존 중 하나 이상은 펄스기에서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방사, 조사 중 하나가 된다. 상기 펄스수. 펄스액, 펄스물, 펄스공기, 펄스압기, 펄스가스, 펄스오존 등은 펄스, 펄스압, 상기 펄스수 내지 펄스오존 등이 포함된 수, 액, 물, 공기, 압기, 가스, 오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펄스기(50, 51)는 펄스기 1, 2, 3, 4, 5, 6 중 하나이다. 상기 펄스기 1은 a) 진동(42), 가진(43), 자기장(41) 중 하나(40, 41, 42, 43)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중 하나의 제1물체; b) 또는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c) 상기 제1물체의 전단에 구비된 유입구(72); d) 상기 제1물체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여기서 도 33, 34의 경우에는 4개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가 도시됨, e) 상기 제1물체의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f)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구비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제2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g)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h)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구비된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103); i) 상기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저장고(60),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j)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구비된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구비된 호스(79); k) 상기 유입구와 제1물체의 사이에 구비된 제1엘보관(73); 상기 제1물체와 제1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구비된 제2엘보관(74); ℓ)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1파이프(76); 상기 벤츄리관과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2파이프(76); m) 상기 인젝터와 체크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3파이프(76); 상기 체크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4파이프(76);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5파이프(76); n) 상기 오존유입구와 제6파이프의 사이에 구비된 제3엘보관(74); o) 상기 유입구 내지 제3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구비된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이의 저장고(60)에는 물질, 첨가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85)이 저장되고, 이의 저장물은 상기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등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에 주입되고, 이의 주입물은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을 흐르는 물질에 첨가되게 된다. p)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q) 상기 체크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r)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s)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t) 상기 a) 제1물체 내지 s)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장치, 펄스기, 압기펄스기, 오존펄스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3, 34, 35 등을 참조한다.
상기 펄스기 2는 상기 a) 제1물체 내지 t)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장치, 펄스기, 자화펄스기, 진동펄스기, 가진펄스기, 오존펄스기, 음이온펄스기, 회전펄스기, 복합펄스기 중 하나이다.
상기 펄스기 3은 a) 진동(41), 가진, 자기장(42) 중 하나(40, 41, 42)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진동기, 자화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중 하나의 제2물체; b) 또는 진동기, 자화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7); c) 상기 제2물체의 전단에 구비된 유입구(72); d) 상기 제2물체의 내부에 구비된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여기서 도 33, 34의 경우에는 4개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가 도시됨, e) 상기 제2물체의 후단에 구비된 제1티이관(75), 제1벤츄리관(77), 유출구(78); f)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체크밸브(91), 제1솔레노이드밸브(92), 제2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103), 저장고(60),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g) 상기 제1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인젝터(93), 제2체크밸브(91), 제2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h)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i)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구비된 제1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구비된 제2호스(79); j) 상기 유입구와 제2물체의 사이에 구비된 제1엘보관(73); k) 상기 제2물체와 제1티이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2엘보관(74); ℓ) 상기 제1티이관과 제1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1파이프(76); 상기 제1벤츄리관과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2파이프(76); m)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3파이프(76); o)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4파이프(76); 상기 제2벤츄리관와 압기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5파이프(76); n) 상기 인젝터와 제2체크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6파이프(76); 상기 제2체크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7파이프(76);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8파이프(76); o)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4파이프의 사이에 구비된 제3엘보관(74);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제8파이프의 사이에 구비된 제4엘보관(74); p) 상기 오존유입구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5엘보관 또는 제2티이관(75); q) 상기 유입구 내지 제2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3호스(76), 제3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이의 저장고(60)에는 물질, 첨가제,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상기 수 내지 피톤치드 등(85)이 저장되고, 이의 저장물은 상기 호스(76), 체크밸브(91), 펌프(63) 등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에 주입되고, 이의 주입물은 상기 파이프 또는 물질유입구 등을 흐르는 물질에 첨가되게 된다. r)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s) 상기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t)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u)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12); v) 상기 a) 제2물체 내지 u)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장치, 펄스기, 압기펄스기, 오존펄스기 중 하나이다. 이는 도 33, 34, 35 등을 참조한다.
상기 펄스기 4는 상기 a) 제2물체 내지 v)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장치, 펄스기, 자화펄스기, 진동펄스기, 가진펄스기, 오존펄스기, 음이온펄스기, 회전펄스기, 복합펄스기 중 하나이다.
상기 펄스기 5는 a) 유입 파이프; b) 상기 유입 파이프에 연결된 벤츄리; c) 상기 벤츄리의 축소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거치된 인젝터; d) 상기 벤츄리 후단에 연결된 유출 파이프; e) 상기 인젝터에 연결된 체크밸브; f) 상기 체크밸브에 연결된 호스; g) 상기 호스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기; h) 상기 호스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기; i) 상기 호스에 압기를 공급하는 콤프레셔; j) 상기 호스를 개폐하는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 k) 상기 밸브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 ℓ) 물 또는 공기가 통과되는 상기 파이프; m)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중 하나 이상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n) 상기 개폐 시간 조정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또는 충격적으로 공급되는 압기에 의한 펄스압이 투입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o) 상기 펄스압이 가미된 상기 오존, 음이온, 압기, 물, 공기 중 하나 이상이 배출되는 상기 유출 파이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유출 파이프에 연계되는 호스, 노즐, 분사기, 수조,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펄스기이다.
상기 펄스기 6은 상기 a) 유입 파이프 내지 o) 유출 파이프, 호스 내지 사이클론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중 하나가 거치된 장치, 펄스기, 압기펄스기, 자화펄스기, 진동펄스기, 가진펄스기, 오존펄스기, 음이온펄스기, 회전펄스기, 복합펄스기 중 하나이다.
42) 상기 장비에는 상기 처리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기(器), 기(機),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중 하나가 포함된다. 43) 상기 기 내지 장비 중 하나에는 상기 장비, 장치, 자화 ∼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이용, 적용, 구비, 거치, 투입, 주입, 공급, 제공, 통과, 흐름, 거침, 분사, 방사 중 하나가 된다.
44) 상기 돌기소자는 돌기와 소자, 돌기와 소자의 결합체, 돌기형 소자, 소자형 돌기, 돌기 구비 소자, 소자 구비 돌기 중 하나이다. a) 상기 돌기회전체 또는 회전체돌기는 돌기와 회전기, 돌기와 회전기의 결합체, 돌기형 회전기, 회전기형 돌기, 돌기 장착 회전기, 회전기 구비 돌기 중 하나이다. b) 상기 돌기소자회전체는 돌기와 소자와 회전기, 돌기와 소자와 회전기의 결합체, 돌기소자형 회전기, 회전체소자형 돌기, 돌기 및 소자 장착 회전기, 회전기 및 소자 구비 돌기, 돌기 및 회전기 구비 소자, 돌기 거치 소자가 구비된 회전기 중 하나이다. c) 상기 회전체소자는 회전기와 소자, 회전기와 소자의 결합체, 회전기형 소자, 소자형 회전기, 회전기 구비 소자, 소자 구비 회전기 중 하나이다. d) 상기 회전체돌기소자는 회전기 거치 돌기가 구비된 소자, 상기 돌기소자회전체 중 하나이다.
e) 상기 소자는 칩, 소자, 회로, 센서, 진자, 자심, 코일, 앰프, 기판, 모듈, 부품, 콘덴서, 저항체, 가진자, 인덕터, 안테나, 진공관, 전기회로, 집적회로, 능동소자, 수동소자, 전기소자, 전자소자,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압전소자, 열전소자, 발열소자, 온열조사, 냉온소자, 온냉소자, 복합소자, 다이오드, 서미스터, 페라이트, 마그네트, 마그네트론, 트랜지스터, 트랜스포머, 음이온소자, 펠티에소자, 반도체소자 중 하나 이상이다. f) 상기 자화소자, 진동소자, 가진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소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발생, 음이발생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소자이다. g) 상기 센서는 센서, 열센서, 광센서, 자기센서, 발열센서, 감지센서, 진동센서, 가진센서, 발광센서, 광원센서, 음파센서, 초음파센서, 복합센서 중 하나이다. h) 상기 진자는 진자, 가진자. 진동자, 단진자(單振子), 복진자(複振子), 용수철진자, 비틀림진자, 탄성력의 작용으로 진동하는 것, 줄 또는 실에 매달려 흔들리는 추,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줄 또는 실에 매달려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왕복운동하는 추 또는 물체, 중력이나 탄성력의 힘에 의해 평형점을 중심으로 진동운동을 반복하는 추 또는 물체 중 하나이다.
45) 상기 돌기(420)는 돌기 1, 2, 3, 4, 5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 1은 a) 봉, 콘, 망, 틀, 대, 바, 빔, 판, 체, 줄, 선, 솔, 볼, 공, 캠, 링, 축, 막, 핀, 침, 칩, 날, 끌, 못, 톱, 삽, 관, 컵, 조, 통, 함, 휠, 릴, 팬(fan), 팬(pan), 톱니, 치즐, 바늘, 송곳, 돌기, 구슬, 고리, 날개, 강선, 강봉, 강볼, 연선, 철선, 드럼, 밴드, 튜브, 밴드, 노즐, 니플, 소켓, 로터, 패들, 망치, 해머, 원통, 갈퀴, 로프, 나선, 칼날, 톱니, 고깔, 조리, 발판, 격자, 전극, 고무, 시트, 종이, 박막, 동전, 엽전, 와셔, 몸체, 블록, 쫄대, 앙카, 볼트, 너트, 네일, 아령, 커터, 꺽쇠, 쟁기, 냄비, 압정, 오링, 원체, 롤러, 바퀴, 얼레, 풀리, 윈치, 원통체, 반원체, 원호체, 곡선체, 직선체, 삼각체, 사각체, 다각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요철형, 마름모형, 사다리형, 중공링, 스프링, 와이어, 라이너, 플러그, 와이어로프, 깔대기, 스크류, 스크린, 디스크, 브러시, 경사판, 유도판, 반발판, 갈고리, 타이어, 타격체, 타격기, 돌기타격기, 편심체, 요철체, 오목체, 볼록체, 오목팬(pan), 볼록팬(pan), bump, swelling, 공명팬, 방열판, 테이프, 파이프, 케이블, 나이프, 중심축, 회전축, 경사체, 수평체, 수직체, 절곡체, 자화체, 진동체, 가진체, 강성체, 연성체, 탄성체, 편심체, 대칭체, 도르레, 베어링, 회전체, 회전기, 회전솔, 중공체, 이물체, 회전체, 1발체, 2발체, 3발체, 다발체, 다족체, 돌출체, 돌출물, 돌출대, 돌출봉, 돌출침, 금속체, 아연체, 구리체, 비금속체, 엠보싱체, 뽀족돌기, 완만돌기, 볼록돌기, 벤츄리관, 비대칭체, 스파이럴체, 엑센트릭, 블레이드, 다수돌기, 다단돌기, 다열돌기, 다층돌기, 회전돌기, 경사돌기, 절곡돌기, 특수돌기; b) 회전형의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 또는 파쇄하는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c) 상기 봉 내지 특수돌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줄 또는 선은 a) 줄, 선, 실, 사, 끈, 로프, 강선, 철선, 연선, 연줄, 꼰줄, 체인, 링줄, 체인줄, 꼬인줄, 꼬임줄, 연선줄, 나선줄, 동아줄, 2개줄, 다수줄, 다발줄, 방사줄, 평행줄, 수직줄, 수평줄, 경사줄, 곡선줄, 원호줄, 돌기줄, 와이어, 수지줄, 금속줄, 섬유줄, 탄성줄, PVC줄, 플라스틱줄, 비금속줄, 비섬유줄, 비탄성줄, 스트랜드선, 스트랜드줄, 와이어로프, string, cord, line, rope, 2개 이상 실을 꼰 줄, 돌기 형성 줄, 해머 장착 줄; b) 자신의 선단, 중간, 일부, 외부, 외면, 외주, 선단과 중간 사이 중 하나 이상에 돌기 또는 해머가 구비된 줄; c) 인장강도 0.001∼10, 10∼100, 100∼1000 중 하나 kg/㎠인 줄; d) 직경 또는 굵기가 1∼10 ㎛, mm, cm 중 하나인 줄; e) 수평에 대하여 15°, 30°, 45°, 60°, 80° 중 하나로 경사진 경사줄; f) 또는 봉, 축,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에 거치된 줄, 다수줄, 2개 이상 줄; g) 또는 봉, 축, 회전축, 회전체 중 하나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거치된 줄, 다수줄, 2개 이상 줄; h) 상기 줄 내지 와이어로프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줄; i) 회전축에 거치되어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 또는 파쇄하는 상기 줄 내지 복합물; 중 하나이다.
a) 상기 이물체는 이물체(異物體), 다른물체,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이외의 다른물체 중 하나이다. b) 상기 탄성체는 탄성체, 복원체, 회복체, 연성체, 스프링, 용수철, 탕성봉, 탄성줄, 탄성대, 탄성판, 탄성로프, 전체탄성체, 부분탄성체, 변형 후 복원체, 탄성체와 비탄성체의 결합체, 탄성체와 이에 구비된 비탄성체의 결합체, 비탄성체와 이에 거치된 탄성체의 결합체 중 하나이다. c) 상기 공명팬은 물질이 부딪혀 공명현상이 발생되는 팬(pan), 후라이팬 형상의 팬(pan), 오목한 용기 형상의 팬(pan), 전면의 볼록부에 물질이 부딪히면 후면의 오목부에 공명현상이 발생되는 팬(pan), 상기 공명현상에 의하여 물질 또는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착하게 하는 팬(pan) 중 하나이다. d) 상기 특수돌기는 물체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회전체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타격대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선별기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파쇄기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박리기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파쇄하는 해머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파쇄하는 해머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파쇄하는 해머와 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돌기 2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현상이 발생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 3은 자신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자신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자신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 4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데 이용되는 돌기, 상기 돌기,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돌기 5는 상기 투입 ∼ 복합 중 하나의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중 하나에 구비된 돌기, 상기 돌기,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a) 상기 체, 몸체, 편심체, 반원체, 경사체, 절곡체, 진동체, 자화체, 강성체, 연성체, 탄성체, 편심체, 돌출체, 비대칭체, 스파이럴체, 결합체 중에서 체는 체, 몸체, 물체,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다. b) 상기 다수돌기는 1개 돌기, 2개 돌기, 3개 돌기, 10개 돌기, 100개 돌기, 다수개 돌기, 축에 구비된 다수돌기 중 하나이다. c) 상기 다단돌기는 1단 돌기, 2단 돌기, 3단 돌기, 10단 돌기, 20단 돌기, 다수단 돌기, 축의 길이방향으로 다단 거치된 다단돌기 중 하나이다. d) 상기 다열돌기는 1열 돌기, 2열 돌기, 3열 돌기, 10열 돌기, 20열 돌기, 다수열 돌기, 축의 길이방향으로 다열 거치된 다열돌기 중 하나이다. e) 상기 다층돌기는 1층 돌기, 2층 돌기, 3층 돌기, 10층 돌기, 20층 돌기, 다수층 돌기, 봉의 외면에 다층 거치된 다층돌기 중 하나이다. f)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 자체회전, 동력회전, 무동력회전, 모터에 의하여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낙하물에 부딪혀 회전 중 하나를 하는 돌기, 또는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 또는 파쇄하는 돌기이다. g) 상기 경사돌기는 경사, 10도 경사, 30도 경사, 45도 경사, 70도 경사, 85도 경사, 1∼89도 경사, 축에 경사지게 거치된 경사돌기 중 하나가 된 돌기이다. h) 상기 절곡돌기는 절곡, 일부 절곡, 1회 절곡, 2회 절곡, 3회 절곡, 다수회 절곡, 1점 절곡, 다수 절곡, 다수점 절곡 중 하나가 된 돌기이거나, 또는 자신의 외면이 다지점 절곡된 절곡돌기,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절곡된 절곡돌기,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10°, 40°, 30°로 3지점이 절곡된 절곡돌기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체는 복합체 1, 2, 3, 4, 5, 6, 7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체 1은 상기 봉 내지 발판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몸체 내지 특수돌기, 상기 봉 내지 발판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된 상기 몸체 내지 특수돌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몸체 내지 특수돌기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2는 봉과 콘, 망이 구비된 틀, 대가 장착된 바, 빔이 구비된 판의 결합체, 줄이 구비된 볼, 돌기가 장착된 고리, 날개가 거치된 드럼, 밴드와 로터의 결합체, 패들이 구비된 망치, 해머가 장착된 원통, 나선이 구비된 몸체, 스프링이 장착된 몸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3은 a) 판 로터, 판과 로터, 판 구비 로터, 판형 로터, 판과 로터의 복합체; b) 나선 돌기, 나선과 돌기, 나선 구비 돌기, 나선형 돌기, 나선과 돌기의 복합체; c) 돌기 나선, 돌기와 나선, 돌기 구비 나선, 돌기형 나선, 돌기와 나선의 복합체; d) 스크류 로터, 스크류와 로터, 스크류 구비 로터, 스크류형 로터, 스크류와 로터의 복합체; e) 강선 와이어, 강선과 와이어, 강선 구비 와이어, 강선형 와이어, 강선과 와이어의 복합체; f) 나선 케이블, 나선과 케이블, 나선 구비 케이블, 나선형 케이블, 나선과 케이블의 복합체; g) 스프링 와이어, 스프링과 와이어, 스프링 구비 와이어, 스프링형 와이어, 스프링과 와이어의 복합체; h) 스프링 해머, 스프링과 해머, 스프링 구비 해머, 스프링형 해머, 스프링과 해머의 복합체; j) 강선 로프, 강선과 로프, 강선 구비 로프, 강선형 로프, 강선과 로프의 복합체; k) 스파이럴 와이어, 스파이럴과 와이어, 스파이럴 구비 와이어, 스파이럴형 와이어, 스파이럴과 와이어의 복합체; ℓ) 강선 로프 블레이드, 강선과 로프와 블레이드, 강선 및 로프 구비 블레이드, 강선현의 로프 및 블레이드, 강선과 로프와 블레이드의 복합체; m) 돌기 스크류 로터, 돌기와 스크류와 로터, 돌기 형성 스크류가 구비된 로터, 돌기 및 스크류가 형성된 로터, 돌기와 스크류와 로터의 복합체; n) 스파이럴 강선 와이어,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 스파이럴 형상의 강선 와이어, 스파이럴 형상의 강선이 구비된 와이어,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의 복합체; o) 스파이럴 강선 와이어 브러시,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와 브러시, 스파이럴 강선과 와이어 브러시, 스파이럴 강선이 구비된 와이어 브러시, 스파이럴과 강선이 구비된 와이어과 브러시,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와 브러시의 복합체; p) 스파이럴 강선 와이어 브러시 타격기,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와 브러시와 타격기, 스파이럴 강선이 구비된 와이어 브러시의 타격기, 스파이럴 강선 형식의 와이어와 브러시가 구비된 타격기, 스파이럴과 강선과 와이어와 브러시와 타격기의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4는 경사체와 절곡체, 강성체와 연성체의 복합체, 탄성체와 돌출체, 비대칭체와 스파이럴체의 복합체, 경사체가 구비된 절곡체, 강성체가 장착된 연성체의 복합체, 탄성체가 거치된 돌출체, 비대칭체가 구비된 스파이럴체의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5는 경사형 절곡체, 경사진 절곡형 강성체, 절곡진 경사형 연성체, 절곡지고 경사진 비대칭형 탄성체, 경사지고 절곡지고 비대칭인 돌출체, 경사진 탄성형의 비대칭체, 경사지고 절곡지고 탄성형의 비대칭인 스파이럴체, 경사지고 절곡지고 탄성형의 비대칭인 스파이럴 몸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6은 봉과 콘의 탄성체, 강성형 망이 구비된 틀, 탄성형 대가 장착된 바, 경사진 빔이 구비된 판의 복합체, 탄성형 줄이 구비된 볼, 스파이럴 돌기가 장착된 고리, 다수회 절곡형 날개가 거치된 드럼, 탄성형 밴드와 로터의 복합체, 견사지고 절곡진 패들이 구비된 망치, 강성형 해머가 장착된 원통, 절곡형 나선이 구비된 몸체, 경사진 강성형 스프링이 장착된 몸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7은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와 이에 거치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봉과 이에 거치된 해머의 복합체, 나선과 이에 거치된 스프링의 복합체, 연성체와 이에 거치된 비탄성체의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8은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에 또는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봉에 구비된 돌기, 콘이 구비된 날개, 나선에 구비된 스프링, 바가 구비된 날개, 발판이 구비된 타격기, 콘망이 구비된 봉틀나선, 콘망봉이 구비된 틀나선, 콘망봉틀이 구비된 나선, 콘망봉틀나선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콘망봉틀나선은 콘, 망, 봉, 틀, 나선 중 둘 이상이 구비된 복합체이다.
상기 복합체 9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장착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돌기가 거치된 와이어가 구비된 회전축; 30개의 돌기가 거치된 와이어가 3단으로 구비된 회전축;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10은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거치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나선이 거치된 경사체가 구비된 탄성체의 복합체, 봉이 거치된 해머가 구비된 절곡체, 봉이 거치된 해머가 구비된 절곡체가 장착된 비대칭체의 복합체, 봉이 거치된 해머가 구비된 절곡체가 장착된 비대칭형의 스파이럴체의 복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복합체 11은 a)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의 전, 후, 좌, 우, 상, 중, 하, 속,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측면, 내측, 외측, 중간, 전단, 후단, 일단, 선단, 양단, 상부, 하부, 연결부, 이음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b)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과 이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c)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과 이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과 이의 상기 전 내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복합체 12는 봉과 이의 중간에 콘과 이의 내부에 망과 이의 측면에 돌기가 구비된 복합체, 고리와 이의 선단에 망치와 이의 일단에 해머가 구비된 복합체, 경사체와 이의 일단에 절곡체와 이의 측면에 강성체와 이의 상부에 비대칭체가 구비된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46)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에는 회전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기 또는 회전체에는 부호 27, 331, 340, 355, 357, 358, 425, 42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 1은 a) 휠, 릴, 통, 관, 팬(fan), 원통, 롤러, 로터, 드럼, 버켓, 바퀴, 얼레, 풀리, 톱니, 윈치, 나선, 진자, 패들, 패달, 도르레, 샤프트, 스크류, 회전기, 회전체, 회전자, 회전추, 회전팬, 송풍팬, 선풍팬, 송풍기, 선풍기, 중공체, 중공통, 유공통, 타공통, 다공통, 무공통, 2중통, 3중통, 다중통, 트롬멜, 호이스트, 회전기구, 회전물체, 회전수단, 회전장치, 회전장비, 편심회전체, 원심회전체, 다수회전체, 다중회전체, 다열회전체, 다층회전체, 다겹회전체, 대칭회전체, 비대칭회전체, 동력회전체, 무동력회전체, 모터 구비 회전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b) 회전하는 상기 휠 내지 무동력회전체; 자력 또는 동력 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휠 내지 무동력회전체; c) 상기 휠 내지 무동력회전체 중 둘 이상이 조합된 결합체; d)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a) 상기 2중통은 내부통과 외부통, 또는 정방향 회전의 내부통과 역방향 회전의 외부통으로 구성된 통이다. b) 상기 3중통은 내부통, 중간통, 외부통으로, 또는 정방향 회전의 내부통, 역방향 회전의 중간통, 정방향 회전의 외부통으로 구성된 통이다. c) 상기 다중통은 2중, 3중, 4중, 다중, 2중 이상, 회전 방향이 상호 상이한 다중 중 하나의 통이다. d) 상기 무동력회전체는 무동력회전체, 낙수 또는 낙하물(300)의 낙하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340, 도 11), 바람 또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바람 또는 낙하물에 의하여 날개가 회전하여 회전하는 날개 회전체, 낙하하는 토사(300)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회전체(340, 도 11), 낙하하는 토사(300)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토사를 확산시키는 회전체(340, 도 11), 상기 확산된 토사에 바람을 가하여 상기 토사에 함유된 경량물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팬(fan, 27)이 구비된 회전체(340, 도 11) 중 하나이다. 이는 도 11을 참조한다.
상기 회전체 2는 a)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회전체; b) 또는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수단, 회전체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상기 회전체; c) 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체; 이다.
상기 회전체 3은 회전하는 돌기,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회전하는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4는 모터, 톱니, 벨트, 회전벨트, 회전체인, 회전수단, 모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회전벨트, 모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인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또는 하나 이상에 자신의 축이 거치되어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봉 내지 결합체는 상기 봉 내지 복합체, 휠 내지 결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전체 5는 돌기(420)가 구비된 회전체,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회전체, 해머(415)가 구비된 회전체, 갈퀴가 구비된 회전체, 와이어(411)가 장착된 회전축이 구비된 회전체, 해머(415)가 장착된 봉(410, 411)이 구비된 회전체, 돌기(420)가 형성된 해머(415)가 장착된 봉(410, 411)이 구비된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6은 a) 자신의 전, 후, 좌, 우, 상, 중, 하, 속, 내부, 내면, 내주, 외부, 외면, 외주, 측면, 내측, 외측, 중간, 전단, 후단, 일단, 선단, 양단, 상부, 하부, 연결부, 이음부, 중공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회전체; b) 외주에 돌기가 형성된 봉이 구비된 회전체, 선단에 돌기가 형성된 스프링이 구비된 회전축의 회전체, 외주에 돌기가 형성된 해머가 장착되면서 외부에 와이어가 형성된 봉이 구비된 회전체;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7은 축, 봉, 회전축, 중심축, 회전봉, 중심봉 중 하나(410)에 구비된 또는 상기 축 내지 중심봉 중 하나(41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체 8은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가 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상기 경사 내지 복합 중 하나의 현상이 발생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9는 편심, 좌우 편심, 좌우 무게 편심, 좌우 형상 편심,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편심 중 하나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회전체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가 편심되는 경우에는 편심되면서 회전 또는 편심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체에 의한 파쇄시 물질의 파쇄, 분쇄, 마쇄 등의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상기 회전체 10은 비대칭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좌우 비대칭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양측의 무게가 다른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양측의 크기가 다른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양측의 형상이 다른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11은 2개 또는 2단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길이가 상이한 2개 또는 2단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길이가 상이하여 원심 회전 길이가 상이한 2개 또는 2단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길이가 상이하여 물체의 타격 위치가 상이한 2개 또는 2단 이상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12는 회전하는 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rpm 60∼600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모터 또는 이의 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rpm은 round per minute, revolution per minute, 분당 회전수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전체 13은 수평 또는 수직 또는 경사진 상기 봉 내지 결합체, 방사형 또는 2방향 이상으로 배치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다단 또는 2단 이상으로 배치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체에 방사형 또는 2방향 이상으로 배치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체에 다단 또는 2단 이상으로 배치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14는 해머 또는 타격수단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선단 또는 중간에 해머가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표면에 해머 또는 돌기가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15는 1개 이상 또는 100개 이하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가 구비된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16은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선별 또는 파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회전하면서 물질을 타격하여 물질을 선별 또는 파쇄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체 17은 회전 몸체와 이의 외주에 바 및 강선과 상기 바에 해머가 구비된 회전체, 회전 봉과 이의 외주에 바 및 돌기와 상기 바의 선단에 해머가 구비된 회전체, 회전체와 이의 외주에 타격수단과 상기 타격수단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체 18은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상기 봉 내지 복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병합된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물질을 타격하는 상기 휠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다.
상기 회전체 19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오존이 발생되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 또는 방사되는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의 회전체이다.
상기 회전체 20은 투입,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처리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하는데 이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회전형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21은 투입,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박리, 세척, 세정, 탈수, 건조, 분별, 분급, 펠렛화, 자원화, 재활용, 집진, 처리 중 하나의 기(器 or 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중 하나에 구비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 회전형의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이다.
상기 회전체 22는 a) 상기 봉 내지 결합체; b) 상기 봉 내지 결합체 중 하나 이상이 또는 이상에 구비된 상기 봉 내지 결합체; c) 로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또는 편심회전체; d)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로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또는 편심회전체; e) 케이스 내부의 스테이터에 거치된 로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회전체 또는 편심회전체; 중 하나이다.
이하 그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이상 또는 이하의 내용, 문구, 용어, 단어, 문장, 단락 등은 본 발명의 내용, 청구항, 청구항 내용 등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질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등의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분리, 분쇄, 마쇄, 박리(314), 세척(315), 세정, 탈수(316), 건조(317), 분별, 분급(318), 분해(319), 소각(320), 매립(321), 펠렛화(322), 자원화, 재활용, 집진(323), 처리(310) 공정을 보여준다. 이의 처리에 의하여 흙(381), 토사(381), 골재(382), 이물질(383), 슬러지(384), 펠렛(385) 등이 조성된다. a)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투입 내지 처리, 흙 내지 펠렛; b) 상기 투입 내지 처리 중 하나의 장치, 물질; 등에는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기능기, 기능제, 기능물, 기능작용 등의 이용, 구비, 거치, 함유, 포함, 분사, 주입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질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투입(311), 선별(312), 파쇄(313), 박리(314), 세척(315), 탈수(316), 분급(318), 펠렛화(322), 집진(323) 등의 처리(310) 공정을 보여준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물질이 호퍼(311)에 투입, 트롬멜 선별(331), 송풍기 선별(332), 자력선별기 선별(333), 수조선별기 선별(334), 죠크러셔 파쇄(350), 더블죠크러셔 파쇄(351), 콘크러셔 파쇄(352), 임팩트크러셔 파쇄(353), 세척(315), 분급(318), 처리수 정화(405), 슬러지 탈수(316) 등이 공정으로 처리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수조선별기(334)에는 물을 담는 수조(335), 수조에 투입된 물질 중에서 자신에 형성된 구멍으로 미세입자가 빠져나간 조대물 또는 골재를 배출시키는 컨베이어(400), 이 컨베이어에 의하여 배출된 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330), 수조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형 스크류(337), 수면 상부의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형 스크레이퍼(336), 수조를 월류한 처리수를 저류하는 저류조(176)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정화조 또는 수처리장치(140)는 오염수(80) 유입구, 응집제(85) 주입기(142), 내부 유입 파이프(143), 침전지 또는 슬러지(144), 침전밸브(145), 다공필터(146), 회전형 스크레이퍼(147), 스컴 유입구(148), 스컴 배출구(149), 정화된 상등수 배출구(1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된 정화수는 선별수조(335), 세척기(401), 이송라인(151) 등에 주입되어 재활용되고, 상기 주입 시에 상기 기능기, 펄스기 등(30, 50, 51)이 구비된 튜브, 벤츄리관 등(77)을 통한 기능수의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수조 내지 저류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에 상기 기능기, 펄스기 등(30, 50, 51)의 거치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와 응집제의 교반, 와류 등이 왕성하여 고속 반응 및 침전이 발생하게 되어 오염수의 처리시간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이 된다. 여기서 오염수는 상기 유입구 내지 배출구 등을 통하여 정화되어 정화수가 된다.
상기 도 1 또는 2의 예로는 건설 폐기물(300)이 파쇄(323) 또는 죠크러셔 파쇄(351), 풍력선별(342), 트롬멜선별(341), 스크린선별(345), 풍력선별(342), 더블죠크러셔 파쇄(352), 콘크러셔 파쇄(353) 등응 통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풍력선별에 의하여 가연물이 선별되고, 이의 가연물로부터 용융, 성형, 절단 등의 펠렛화 과정을 통하여 연료 펠렛이 조성된다. 상기 공정, 파쇄, 선별, 용융, 파쇄 장치, 선별 장치, 용융 장치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돌기, 회전체, 회전기 등의 이용, 구비, 방사, 조사, 발생 등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팬(27), 송풍기(332) 등을 이용한 풍력선별기(312, 332)를 이용하여 물질(300) 중에서 토사, 골재 등의 중량물(301)과 종이, 비닐, 섬유 등의 가연물, 경량물 등(305∼309)을 선별하는 것이다. 이의 풍력선별 체임버(102)에는 다양한 집진기(323)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집진기는 풍력선별에 이용된 송풍 바람을 청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집진기로서 c1은 노즐(101) 또는 분사기(401)와 물분사(402), c2는 사이클론(86), c3는 수조(176), c4는 수조(176)와 사이클론(86)과 물분사(402), c5는 사이클론(86)과 필터(87), c6는 격막과 물분사(402) 등이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링송풍기(22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몸체(102), 이 내부에 팬(27) 및 모터(26), 상기 팬의 바람이 유출되는 링(221), 상기 링에 형성되면서 바람이 유출되는 노즐(222), 상기 링의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상기 내측 곡면(223)과 외측 평면(224)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링(221)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225)와 상기 팬의 바람(28)이 송풍되는 송풍기 등이 해당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31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용기 또는 체임버(102), 이 용기에 구비된 팬(27) 또는 송풍기(332), 상기 팬 또는 송풍기의 바람이 배출되는 슬롯(101), 상기 슬롯에 거치된 경사판(345) 또는 스크린(330), 상기 슬롯 사이의 바람 통로, 여기서는 4개 통로, 선별 후의 바람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323)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롯(101)에서 배출되는 송풍 공기(28)에 의하여 종이, 비닐, 섬유 등의 가연물, 경량물 등(305∼309)을 선별하는 것이다. 상기 종이, 비닐, 섬유 등의 가연물, 경량물 등(305∼309)는 펠렛의 원료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도 5와 동일하나 용기의 슬롯(101)과 슬롯(101) 사이에 스크린(330)이 구비되어 스크린 통과물(301, 302, 303)이 추가로 선별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a는 경사판 및 이에 의한 5개 바람 통로, b는 스크린 및 이에 의한 5개 바람 통로, c는 경사각이 상이한 경사판 및 이에 의한 5개 바람 통로, d는 경사판과 스크린 및 이에 의한 5개 바람 통로, e는 경사판과 스크린과 이들에 의한 5개 바람 통로와 집진기 등을 보여준다. 상기에서는 바람 통로의 개수만큼의 종류별로 경량물(305∼309)이 선별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호퍼, 혼합기, 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일정의 용기(102)에 경사판(345), 스크린(330), 배출판(346), 팬(27), 송풍기(332) 등이 거치되어 호퍼, 혼합기, 선별기 등으로 이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8은 경사판(345), 배출판(346), 스크린 경사판(345, 330), 경사 스크린(345, 330), 돌기 구비 경사판(345), 송풍기(27, 332), 하우징 내부의 경사판(345),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도출된 배출판(346) 등이 구비된 호퍼, 통로, 파이프, 하우징, 케이스, 중공통, 중공체, 다공체, 유공체, 유공통로, 다기능 호퍼 등(102)이다. 상기 호퍼 내지 다기능 호퍼 등은 물질 투입, 교반, 선별, 분리, 분쇄, 박리 등의 기능을 가진다.
도 8 a는 유공체 또는 다공형 하우징(102) 내부에 경사판(345)이 상호 교호되게 또는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투입 물질이 교반, 선별 등이 되면서 낙하하는 호퍼(311), 상기 유공체의 일측에 송풍기(27, 332)가 설치되어 투입 물질로 부터 상기 유공체 외부로 경량물, 가연물 등(305)을 송풍배출시켜 선별 또는 다단선별하는 선별기(312), 상기 선별에 의하여 투입 물질을 2종 이상으로 분리하는 분리기(312), 투입 물질이 낙하하면서 2개 이상의 경사판(345) 또는 이의 돌기에 부딪혀 분쇄되는 분쇄기, 투입 물질이 낙하하면서 2개 이상의 경사판(345) 또는 이의 돌기에 부딪혀 박리되는 박리기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8 b는 하우징(102) 내부에 스크린 경사판(345, 330), 경사판 하부에 배출판(346) 등이 상호 교호되게 또는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투입 물질이 교반, 선별 등이 되면서 낙하하는 호퍼(311), 상기 경사판의 스크린을 통과한 물질을 배출판(34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 또는 다단선별시키는 선별기(312), 상기 배출에 의하여 투입 물질을 2종 이상으로 분리하는 분리기, 투입 물질이 낙하하면서 2개 이상의 경사판(345) 또는 이의 돌기에 부딪혀 분쇄되는 분쇄기, 투입 물질이 낙하하면서 2개 이상의 경사판(345) 또는 이의 돌기에 부딪혀 박리되는 박리기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호퍼 내지 박리기 등으로 거친 물질은 후단의 또는 추가의 선별기(312), 송풍기(332), 자력선별기(333), 파쇄기(313), 분급기 등을 통하여 무기물(301), 유기물(305), 토사(302), 골재(303), 모래(304), 자갈(305), 광물, 이물질(383), 가연물(309) 등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2면(a, b), 3면(c), 4면(d), 다면(a, b, c, d, e), 원형(e), 원통(e), 트롬멜(e), 회전형(a, b, c, d, e), 접이형(a, b, c, d) 등의 선별기(312, 330)를 나타낸다. 상기 2면 내지 접이형 등의 각 면 또는 방향에 형성된 홀, 구멍, 체구멍, 스크린 등(101)의 크기는 동일, 상이, 10mm, 18mm, 20mm, 25mm, 40mm 등으로 다양하여 상기 선별기의 면 또는 방향을 회전시키면 다양한 크기의 물질을 선별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하여 2면은 2종 크기, 3면은 3종 크기, 4면은 4종 크기, 다면은 다종, 원형은 다종 크기 등으로 물질을 선별할 수가 있다. 상기 회전을 위하여 선별기(312, 330)에 회전축(410), 회전축에 구비된 베어링(5),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또는 회전수단(26)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기, 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원통형, 사각형 등의 스크린 선별기(330), 이의 후단에 거치된 파쇄기(313), 박리기(314)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a는 2단 회전해머 및 1단 회전줄의 3단 파쇄기, b는 3단 회전줄의 3단 파쇄기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산선별기(312, 34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낙하 물질(300), 이의 낙하력에 의하여 무동력 회전하면서 물질을 확산하는 회전체(340) 또는 돌기 구비 회전체, 이 회전체 상부의 삿갓(346), 이 회전체 하부의 스크린(330), 이 스크린 하부의 송풍기(27, 332) 또는 파쇄기(313),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풍력선별에 사용된 바람 중에서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기(32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질의 확산에 의하여 스크린 선별, 풍력 선별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산선별기(312, 342)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회전체(340) 또는 돌기 구비 회전체, 이 회전체의 상부에 덮개 또는 삿갓(346), 이 삿갓의 상부에 호퍼(311),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팬(27) 또는 송풍기(332),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파쇄기(313) 또는 박리기(314), 상기 삿갓에 연계된 집진기(323) 등으로 구성된다. 그림 c는 다양한 형태의 삿갓(346)과 이 내부에 거치된 확산형 회전체(340)를 보여준다. 낙하 물질의 낙하력에 의한 상기 회전체의 무동력 확산에 의하여 상기 물질의 풍력선별, 파쇄, 박리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의 파쇄기(313), 박리기(314)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회전체(411, 415)에 의한 물질 파쇄 또는 박리와 상기 파쇄 물질의 스크린선별(330), 풍력선별(27, 332) 등을 보여준다. 여기서 그림 a는 3단 회전줄 또는 회전봉(411), 그림 c의 좌측은 4단 회전줄 또는 회전봉(411), 그림 c의 우측은 2단 회전해머(415) 및 1단 회전줄 또는 회전봉(411) 등의 파쇄기(313) 또는 박리기(314)가 해당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2단 회전해머(415) 및 1단 회전줄 또는 회전봉(411) 등의 파쇄기(313) 또는 박리기(314)가 해당된다. 여기에서는 3단 스크린선별(330), 3단 풍력선별(27, 332) 등도 포함이 가능하다. 여기서 그림 c는 용기, 체임버, 케이스, 하우징 등(102)에 구비된 파쇄기(313) 또는 박리기(314)가 해당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a는 돌기 구비 줄(411), 1단 4개 줄(411); 그림 b는 2단 각각 4개 줄(411), 돌기 구비 줄(411); 그림 c는 4단 줄(411); 그림 d는 하우징(102) 내부의 4단 줄(411); 그림 e는 하우징(102) 내부의 2단 해머(415)와 1단 줄(411); 그림 f는 2단 해머(415)와 3단 줄(411); 그림 g는 팬(27) 또는 송풍기(332); 그림 h는 켄베이어(400), 상부에 회전 갈퀴 선별기(341), 회전체 파쇄기(340); 등이 해당되고, 상기 줄, 해머, 갈퀴, 회전체 등은 모터(26), 회전축(410) 등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a) 물질을 확산하는 확산기 또는 회전체(340), b) 이에서 확산된 물질을 파쇄 또는 박리하는 파쇄기(313), 박리기(314), 회전해머(415), 회전줄(411); c) 상기 확산된 물질을 풍력 선별하는 송풍기(27, 332), d) 상기 풍력선별에 사용된 바람(80)을 집진하는 집진기(323); 등이 해당된다. 그림 a, b, c, d, e는 다양한 형태의 확산기 또는 회전체(340)를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a는 상하의 2개 롤러(355) 파쇄기와 이의 하부에 송풍팬(27, 332); 그림 b는 좌우 2개 롤러(355) 파쇄기; 그림 c는 상하 및 좌우의 각각 2개 롤러(355) 파쇄기와 이의 하부에 송풍팬; 그림 d는 3개의 경사진 롤러(355) 파쇄기와 이의 하부에 경사판(356) 또는 스크린(330) 및 이의 하부에 송풍기(27, 332); 그림 e는 돌기 형성되고 크고 작은 2개 롤러(355) 파쇄기; 그림 f는 돌기 형성 및 비형성이면서 동일한 크기의 2개 롤러(355) 파쇄기; 등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파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2개 롤러(355) 파쇄기, 회전팬(27), 회전 파쇄기(411, 415), 회전팬(27), 풍력선별기(332); 그림 b는 3개 롤러(355) 파쇄기, 회전팬(27); 그림 c는 4개 롤러(355) 파쇄기, 회전팬(27), 스크린(330); 그림 d는 5개 롤러(355) 파쇄기, 회전팬(27); 등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원통(357), 이의 내부에 회전축(410), 회전줄(411), 회전해머(415), 걸림턱(359); 그림 b는 내부원통(357), 외부원통(358), 이의 통 내부에 회전축(410), 회전줄(411), 회전해머(415), 걸림턱(359); 그림 c는 팬(27), 송풍기(332); 그림 d는 3단의 수직 파쇄기(313)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통의 내부에는 물의 투입, 수침 등이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2중 통(357, 358), 이의 내부에 스크류(426), 회전에 의하여 통 내부의 물질을 파쇄 또는 박리하는 스크류(426), 이 스크류의 회전축(410),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26), 상기 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25), 물에 수침된 상기 통, 상기 통의 후단에 거치된 회전 파쇄기(313) 등이 해당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일반 스크류(426); 그림 b는 돌기(420) 형성 스크류(426); 그림 c는 봉(411) 또는 다발줄(413) 구비 스크류(426); 그림 d는 돌기(420), 봉(411), 다발줄(413) 등 구비의 스크류(426) 등이 해당된다. 상기 돌기(420), 봉(411), 다발줄(413) 등에 의하여 스크류의 파쇄, 분쇄, 박리 등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줄 파쇄기, 박리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1은 연성줄, 곡선줄(102); a2는 다발줄(413); a3은 돌기(420) 형성의 다발줄(413); a4는 줄(411)과 다발줄(413); a5는 봉(411)과 다발줄(413); a6은 꼬임선, 동아줄, 스트랜드선(411); a7은 꼬임줄(411)과 다발줄(413); a8은 돌기 구비의 줄(411)과 다발줄(413); 그림 b는 수직 방향의 줄(411), 다발줄(413); 그림 c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4단 줄(411); 그림 d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5단 줄(411)과 다발줄(413); 그림 e는 회전축(410)에 구비된 줄(411), 해머(415), 다발줄(413); 그림 f는 곡선줄(412)에 구비된 봉(411), 해머(415), 다발줄(413); 등이 해당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격막(161), 미스트분사기(401), 분사미스트(402), 엘리미네이터(162), 데미스터(163) 등이 이용되는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회전팬(27), 이에 연계되는 물 공급수단, 상기 회전팬에 의한 물 또는 미스트가 분사되는 노즐(66), 상기 회전팬의 컨트롤러(100), 상기 회전팬의 하부 프레임(171), 이 프레임 하부의 이동수단(92), 상기 프레임의 손잡이 또는 운전수단(210) 등이 해당된다. 상기 노즐을 통하여 수, 물, 미스트, 오존, 음이온, 오존수, 음이온수 등(402)이 분사되어 공기(80) 중 분진, 먼지 등을 낙하시키면 공기(80)가 청정된다. 여기서 그림 b는 다양한 형태의 노즐(66)을 보여준다. 이의 노즐에는 충돌판(67), 확장부(68)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여기서 충돌판(67), 확장부(68) 등은 분사되는 물질이 와류, 확산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 공기청정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포집구(174), 호스(79), 펌프(63) 또는 흡입기, 침전조(175), 수조(176), 사이클론(86), 필터(87), 노즐(6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집구(17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침전조(175), 수조(176), 사이클론(86), 필터(87) 등을 통하여 집진, 청정, 정화 등이 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분해기, 전해기, 방전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용기(102), 양극(431), 음극(432), 히터(85) 등으로 구성된 분해기(430); 그림 b는 용기, 양극, 음극,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433) 등으로 구성된 MFC(440); 그림 c는 용기, 양극, 음극,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등으로 구성된 전해기(450); 그림 d는 용기(102), 전극(432) 등으로 구성된 방전기(460); 등이 해당된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기, 공기청정기 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램프(90), 지지대(91), 이동수단(92); 그림 b는 다공판(89), 팬(27), 여과재(88), 필터(87); 그림 c는 필터(87), 히터(85), 램프(90), 오존기(96), 팬(27), 여과재(88), 스크린(89), 이동수단(92); 등으로 구성되는 살균기, 공기청정기 등이다, 상기 램프 내지 이동수단 등은 광촉매 코팅 등이 되어 램프의 빛, 자외선 등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이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공기, 오염, 유기물, 주변 공기 등을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는 기능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등(30, 31, 32, 33, 34, 35, 36, 50, 51); 이에서 방사되는 기능물,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 상기 자화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물 등(40, 41, 42, 43, 44, 45, 46); 등을 나타낸다. 상기 기능기(30)를 통과하거나 접촉되는 수, 물, 액, 유, 물질, 액체, 기체, 고체, 물체, 기능제 등(80)은 상기 기능물,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물 등(40, 41, 42, 43, 44, 45, 46)이 되거나, 또는 등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장치, 장비, 물체, 기능기(30. 50, 51) 등의 전, 후, 전단, 후단, 일단, 선단, 양단, 유입구, 유출구 등에는 호스(64, 79), 파이프(70), 노즐(66), 펌프(63), 가압펌프(63), 진공펌프(63), 필터(160), 청정기(160), 집진기(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그림 a는 스테이터(2), 이에 연계되는 로터(1), 이 로터의 회전축(3), 회전축에 연계되는 회전체(4),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케이스(7) 등으로 구성되는 진동기(32)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림 b, c, d는 다양한 형태의 자화기, 진동기 등을 나타낸다.
도 36, 3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기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이는 콘, 망, 봉, 틀, 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이 구비된 기능기를 보여준다. 여기서 기능기는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도 36에서 그림 a는 순차적으로 도시된 콘(210), 망(211), 봉(212), 틀(213), 나선(214), θ의 경사도(216)를 가진 콘; 그림 b는 중앙(215)에 봉(212), 기능기(30) 등이 거치된 콘, 망, 봉, 틀, 나선; 그림 c는 튜브, 관로, 파이프, 중공관, 중공체 등(7)에 매입된 콘, 망, 봉, 틀, 나선; 그림 d는 거치대, 지지대 등(112)에 거치된 콘, 망, 봉, 틀, 나선; 등을 보여준다. 도 37은 상기 콘 내지 나선, 자화기 내지 복합기 등이 혼재되어 구성된 기능기를 보여준다. 상기 콘 내지 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에는 기능기(30) 거치, 물질(80) 흐름, 물질(80) 통과 등이 가능하다. 상기 콘 내지 나선, 콘망봉틀나선 등을 통과하는 물질, 물체 등은 충돌, 진동, 자화, 살균, 소독, 청정, 교반, 혼합, 믹싱, 섞임, 폭기, 기폭, 맥동, 와류, 선별, 분리, 여과, 거름, 파쇄, 파단, 분쇄, 컷팅, 부딪힘, 세립화, 미세화, 미소화, 나노화, 단락화, 단립화, 케비테이션화 등이 된다. 상기 콘 내지 나선, 콘망봉틀나선, 물질, 물체, 충돌 내지 케비테이션화 등이 상기 투입 내지 복합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a) 자화(40, 41), 자기장(40, 41), 진동(40, 42), 가진(40, 43), 오존(40, 44), 오존처리(40, 44), 오존살균(40, 44), 오존소독(40, 44), 음이온(40, 45), 음이온처리(40, 45), 음이온청정(40, 45), 회전(40), 자체회전(40), 물체회전(40), 분해(40), 물질분해(40), 미생물분해(40), 전해(40), 전기분해(40), 버블(40), 폭기(40), 살균(40), 방전(40), 전기방전(40), 자화기(30, 31), 진동기(30, 32), 가진기(30, 33), 오존기(30, 34), 음이온기(30, 35), 회전기(30), 분해기(30), 버블기(30), 폭기기(30), 전해기(30), 살균기(30), 방전기(30), 자화물(40, 41), 진동물(40, 42), 가진물(40, 43), 오존(40, 44), 음이온(40, 45), 오존물(40, 44), 음이온물(40, 45), 회전물(40), 분해물(40), 버블물(40), 폭기물(40), 전해물(40), 살균물(40), 방전물(40);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40, 46), 복합작용, 복합처리, 복합기(30, 36), 복합물(40, 46);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30, 40)이 투입되는 물질, 물체, 장비, 장치, 하기 수 ∼ 복합물, 하기 콘 ∼ 복합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자화∼ 전기방전 등(40)은 각자의 또는 복합의 기능, 기능성, 다기능 등(40)을 가진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30)은 하나의 기능기, 기능기구 등(30)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자화물 ∼ 복합물 등(40)은 하나의 기능물, 기능물질 등(40)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자화, 자기장, 자화기, 자화물 등(30, 31, 40, 41)은 a) 자화, 자석, 자성체, 자력체, 자기장, 자화기, 자화물, 자화수, 자화액, 전자석, 마그네트, 자기장체, 200∼20,000 가우스의 자기장, 자신이 자화, 물질을 자화, 자화기에 의한 자화, 자화기에 의한 자기장, 자신이 또는 물질을 자화하는 자화기,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기, 자기장에 의한 자화, 자화를 하는 자기장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자화, b2) 또는 등이 자기장, 자기에너지, 자력에너지 등 발생, b3) 또는 등에 자기장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진동기, 진동물 등(30, 32, 40, 42)은 a) 진동, 진동기, 진동물, 진동수, 진동액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진동, b2) 또는 등이 진동, b3) 또는 등에 진동을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진동은 진동, 진자, 자진, 振動, vibration, 편심진동, 상대진동, 펄스진동, 상하진동, 좌우진동, 경사진동, 대각진동, 폭기진동, 충격진동, 공진진동, 합성진동, 복합진동, 자화진동, 음파진동, 초음파진동, 1차원진동, 2차원진동, 3차원진동, 자신이 진동, 진동기 자신이 진동, 타체(他體)가 진동, 진동기 또는 가진기에 의한 진동, 진동의 여운, 진동의 잔여 진동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 가진기, 가진물 등(30, 33, 40, 43)은 a) 가진, 가진기, 가진물, 가진수, 가진액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b1) 등을 가진, b2) 또는 등이 가진, b3) 또는 등에 가진을 발생, 방사, 조사 등을 하는 것이다. 가진은 가진, 여진, 加振, excitation, 편심가진, 상대가진, 펄스가진, 상하가진, 좌우가진, 경사가진, 대각가진, 폭기가진, 충격가진, 공진가진, 합성가진, 복합가진, 자화가진, 음파가진, 초음파가진, 1차원가진, 2차원가진, 3차원가진, 타체(他體)를 진동, 진동기 또는 가진기에 의한 가진, 진동에 의한 가진, 가진의 여운, 가진의 잔여 가진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진은 계(系), 물질, 물체, 장치, 장비, 타체(他體), 하기 수 내지 복합물, 하기 콘 내지 복합체 a) 등을 가진, 진동하는; b) 또는 등에 진동을 가하는; c) 또는 등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도 해당된다.
상기 오존, 음이온, 오존물, 음이온물, 오존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30, 34, 35, 40, 44, 45)은 a) 오존, 음이온, 오존물, 음이온물, 오존수, 음이온수, 오존공기, 음이온공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이거나,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등을 살균, 소독, 항균, 멸균, 청정, 정화, 정수, 세정, 균제거, 오염제거, 공기청정, 오염정화, 공기정화, 수질정화, 새집증후군제거, 환경호르몬제거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오존(44)은 오존, ozone, O3, 자화오존, 진동오존, 가진오존, 압기오존, 펄스오존, 오존자기장, 자화진동오존, 자화가진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오존, 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 산소 원자 3개로 이루어진 산소의 동소체, 압기(83)가 주입되는 압기오존, 압기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펄스오존, 0.01∼20 ppm 오존, 1∼50 g/hr 오존, 1∼300 g/m3 오존; 상기 중 둘 이상의 복합 오존; 등이 해당된다. 상기 ppm, g/hr, g/m3 등은 오존 농도, 오존 발생량, 오존 생산량, 기체 또는 액체의 총량 중에서 오존이 차지하는 양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ppm은 parts per million, particle per million, g/hr은 그램/시간, 발생량/시간, g/m3은 그램/체적, 그램/부피 등을 의미한다.
상기 음이온(45)은 음이온, anion, negative ion, negatively charged ion, 마이너스의 전하를 가진 원자 및 원자단, 전자를 유입하여서 음전하를 띠고 있는 이온, 중성의 입자가 전자를 얻어 만들어지는 음전하를 띠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음이온은 자연, 숲, 나무, 음이온기, 음이온발생기, ionizer 등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인체, 신체 등에 이로운 물질이고, 이는 청정, 살균, 소독, 공기청정 등의 효능을 가진다.
상기 회전, 회전기, 회전물 등(30, 40)은 a) 회전, 회전기, 회전체, 회전축, 진자, 회전자, 회전물, 와류물, 교반물, 회전하여 와류된 물질, 회전하여 교반된 물질, b) 또는 자신, 물질, 물체,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b1) 등을 회전, b2) 또는 등이 회전, b3) 또는 등에 회전을 가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해, 분해기, 분해물, 전해, 전해기, 전해물, 버블, 버블기, 버블물, 살균, 살균기, 살균물, 방전, 방전기, 방전물 등(30, 40)은 a) 물질, 공기, 수, 물, 액, 전기, 전자, 세균, 미생물, 유기물, 폐기물 등의 분해, 발효, 부숙, 전해, 버블, 살균, 방전; b) 상기 분해 내지 방전 등을 하는 기(器), 기(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수단; c) 상기 분해 내지 방전 등의 수, 물, 액, 유, 공기, 가스, 물질, H2, O2, CO2, CH4;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 가진, 진동기, 가진기, 진동물, 가진물 등(30, 32, 33, 40, 42, 43)에는 자화, 자기장, 오존, 음이온, 자화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등이 이용 또는 방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자화 내지 방전물 등에는 상기 진동 내지 가진물 등이 이용 또는 방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펄스, 펄스기, 펄스압, 펄스수, 펄스물, 펄스액, 펄스유, 펄스공기, 펄스가스, 펄스물질, 펄스압력, 펄스오존, 펄스음이온; b) 이중 하나 이상이 이용, 포함, 함유, 주입, 분사, 구비, 조성, 발생, 방사, 공급, 제공 등이 되는 물질, 물체, 재료, 장비, 장치, 기능기, 기능물,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등도 가능하다. 상기 자화 ∼ 복합물, 물질 내지 내지 복합물 등에는 상기 펄스 내지 펄스음이온 등의 이용, 적용, 구비, 거치 등도 가능하다.
상기 펄스는 a) 펄스, pulse, 충격, 펄스압, 충격압, 충격펄스, 압력충격, 가압충격, 전기충격, 해머충격, 압기(壓氣, 82)충격, 압축공기충격,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 큰 진폭을 내는 전압이나 전류 또는 파동 또는 충격,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 타이머(98)의 조정에 의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 b) 솔레노이브밸브(92)의 개폐를 타이머(98)로 조정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수, 물, 액, 유, 압, 압력, 공기, 가스, 물질, 오존, 음이온; c)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수, 물, 액, 유, 압, 압력, 공기, 가스, 물질, 오존, 음이온 등에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상기 수 내지 음이온; 등이 해당된다. 상기의 예를 들면 펄스오존은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이 가해지는 오존, 일정한 주기를 두고 되풀이되는 충격이 포함되는 오존, 압기(壓氣)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는 오존, 압기가 일정 간격으로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포함되는 오존, 솔레노이브밸브(92)의 개폐를 타이머(98)로 조정하여 압기(83)가 일정 간격으로 오존에 주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오존 등이 해당된다.
상기에서 복합, 복합기의 복합, 복합물의 복합 등(36, 46)은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분해, 전해, 폭기, 살균, 방전; b) 또는 자기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폭기처리, 살균처리, 방전처리; c) 또는 자기장, 진동교반, 가진폭기,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분해제거, 전해팽창, 폭기교반, 살균소독, 방전살균; d) 또는 자기에너지, 진동폭기, 가진교반, 오존소독, 음이온소독, 분해폭기, 전해폭기, 폭기팽창, 살균폭기, 방전소독; 중 둘 이상이 해당된다. 이에는 자화진동, 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 자기장진동처리, 가진오존음이온처리, 자기장진동가진오존음이온처리, 자기장방사진동교반, 자기장방사가진폭기, 진동교반오존살균, 자기장방사음이온청정, 자기장방사진동교반가진폭기오존살균음이온청정,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 자기에너지발생가진교반, 오존음이온소독,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복합기에는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소독, 자화진동 ∼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의 기, 기기, 기구, 기계, 장비, 장치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복합물에는 상기 자화 내지 음이온소독, 자화진동 ∼ 자기에너지발생진동폭기가진교반오존살균음이온소독회전처리분해처리전해처리폭기처리살균방전 등의 수, 물, 액, 유, 기, 고, 제, 재, 물질, 재료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기능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은 또는 등에는 a) a1) 상기 자화 ∼ 복합물,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기능물; a2) 수(水), 물(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전원, 전기, 전압, 전류, 광원,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디톡스제,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첨가제, 피톤치드, 액상물,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회전력, 자기장,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청정기, 정화기, 살균기, 소독기, 디톡기, 광원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미스트기, 크리닝기; a3) 상기 자화 내지 크리닝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a4)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a5)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또는 등을 구비, 거치, 장착, 부착, 접촉, 점착, 접착, 분사, 분무, 폭기, 펄스, 포설, 방사, 조사, 방출, 발생, 생성, 공급, 제공, 인가, 허용, 포함, 사용, 발생, 코팅, 도장, 투입, 주입, 함침, 수침, 침지; b) 또는 물질, 물체, 물건, 제품, 용품, 상품, 액체, 공기, 대기, 재료, 자재, 장치, 장비,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또는 등을 자화, 진동, 가진, 청정, 정화, 세정, 자기장 방사, 진동 방사, 오존 방사, 음이온 방사, 분해처리, 전해처리, 살균, 소독, 방전처리; c) 또는 상기 물질 내지 장비, 수 내지 복합물 등의 유동성, 흐름성, 이동성, 분산성, 작업성, 정화성, 청정성, 환경성, 생태성, 살균성, 소독성, 항균성, 미립화, 나노화, 슬러리화, 에너지, 주입성, 투입성, 분사성, 교반성, 와류성, 침투성, 타설성, 다짐성, 인젝션성, 그라우팅성, 워커빌리티 등이 또는 등을 증가, 증대, 향상, 가속, 배가, 배속; 등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염은 차염, 락스, 차염소산, 차염소산나트륨 등이고, 그리고 티탄제, 피톤제, 디톡제, 살균제, 흡착제, 포집제, 피톤촉매 등은 티타늄제, 피톤치드제, 디톡스제, 피톤치드촉매 등이 해당되고, 디톡기는 디톡기, 디톡스기, 살균기, 소독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수는 수, 水, 물 등이다. 상기 물은 물, 物, 물질 등이다. 상기 액은, 액, 液, 액체 등이다. 상기 유는 유, 油, 기름 등이다. 상기 기는 기, 氣, 기체 등이다. 상기 고는 고, 固, 고체 등이다. 상기 제는 제, 劑, 소제, 소재, 첨가제 등이다. 상기 재는 재, 材, 재료 등이다. 상기 빛은 빛, 햇빛, 광원, 불빛, 전등빛 등이다. 상기 열은 열, 熱, 열기, heat 등이다. 상기 파는 파, 波, 단파, 장파, 파장, 음파, 전자파, 초음파, 적외선파 등이다. 상기 광은 광, 光, 빛, 광원 등이다. 상기 선은 선, 線, 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이다. 상기 풍은 풍, 風, 바람 등이다. 상기 살균광은 살균, 소독 등을 하는 광, 선, 빛, 광선, 광원 등이다.
상기 라디칼은 라디칼, radical, OH라디칼, 살균력을 가진 라디칼, 자유라디칼(free radical),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가진 원자(atom) 또는 분자(molecule), 자신의 결합이 균일 분해(homolytic cleavage) 과정을 거쳐 홀전자를 갖게 되는 원자, 탄소(carbon) 간의 공유결합이 균일 분해가 되어 형성된 탄소 라디칼, 원자간 공유결합에서 불균일 분해(heterolytic cleavage)되어 홀전자를 가지는 원자, 전자쌍(electron pair)으로 이루어진 원자 간의 공유결합(covalent bond)이 불균일 분해(heterolytic cleavage)되어 홀전자를 가지는 원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은 a)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b) 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중 하나의 상(上), 하, 좌, 우, 전, 후, 내부, 외부, 전단, 중간, 후단, 전위, 후위, 호스 파이프, 이음부, 연결부, 거치대, 지지대; c) 상기 또는 하기의 상(上) 내지 지지대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위치, 존치, 시행, 작용, 거동, 주입, 투입, 분사, 코팅, 도장, 라이닝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자화 후에 진동, 진동 후에 오존처리, 자화 처리 후 오존 처리, 자화 처리 후 진동 처리 후 오존 처리, 자화기 후단에 진동기, 진동기 후위에 오존기, 자화물에 투입된 진동물, 진동물의 내부에 주입된 오존물, 자화 후에 진동기 이용, 진동 후에 오존물 투입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자화 ∼ 복합물, 상(上) 내지 지지대 등은 상기 자화 내지 지지대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위치, 존치, 시행, 작용, 거동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자화기 구비의 지지대, 진동기의 상(上)에 가진기 존치, 오존기의 좌우에 음이온기가 거치된 거치대가 장착된 지지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의 일, 작업, 업무, 제조, 공사, 공정, 단계, 시행, 수행, 방법, 공법, 장비, 장치, 제품, 물질, 물품, 물체, 수단, 내용, 청구항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수 ∼ 복합물 등이 이용, 사용, 구비, 구성, 거치, 설치, 분사, 방사, 코팅, 도장, 라이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 기능물 등은 상기 수 내지 복합물, 구비 내지 침지, 자화 내지 방전처리, 유동성 내지 워커빌리티, 증가 내지 배속 등의 또는 등이 되는 또는 등을 하는 상기 자화 ∼ 기능물 등도 해당된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에는 폭기자화기, 폭기진동기, 폭기가진기, 폭기오존기, 폭기음이온기, 폭기기능기, 폭기복합기, 펄스자화기, 펄스진동기, 펄스가진기, 펄스오존기, 펄스음이온기, 펄스기능기, 펄스복합기, 살균성자화기, 살균성오존기, 와류성진동기 등도 포함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 31, 32, 33, 34, 35, 36)은 1) a) a1) 콘, 망, 봉, 틀, 링, 대, 판, 막, 핀, 침, 칩, 솔, 관, 조, 통, 함, 기(器, 機),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센서, 소자, 진자, 전극, 금속, 시트, 종이, 박막, 동전, 엽전, 바늘, 나선, 돌기, 튜브, 밴드, 호스, 노즐, 관로, 박스, 몸체, 드론, 블록, 돌기, 회전체, 회전기, 테이프, 파이프, 중공체, 중공관, 중공통, 케이스, 타설기, 분사기, 주입기, 시스템, 플로터, 3D프린터, 벤츄리관; a2) 상기 콘 내지 벤츄리관 중 둘 이상 복합체; a3)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전(前), 후(後), 좌(左), 우(右), 상(上), 하(下), 면(面), 측(側), 위, 속, 아래, 상부, 하부, 측, 일측, 양측, 좌측, 우측, 일단, 양단, 선단, 일부, 일면, 양면, 표면, 측면, 부분, 일부분, 점, 1점, 2점, 다점, 다지점, 곳, 1곳, 2곳, 3곳, 다수곳, 중앙, 중공, 통로, 내부, 내주, 내면, 외부, 외주, 외면, 주변, 인근, 근처, 입구, 중간, 출구, 전방, 후방, 전면, 후면, 중공, 공간, 이격, 주변, 주위, 인근, 1방향, 2방향, 3방향, 4방향, 연결부, 이격부, 중공부; 등에 또는 등이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b) 또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d)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을 구비한 또는 등에 내장된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기; e)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분해, 전해, 살균, 방전,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내지 기능기; f)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방사하는 상기 콘 내지 기능기; g)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로 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기능기; 등이 또는 등도 해당되거나, 2)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 형상, 형태, 모양 등을 가진다.
상기에 의거하여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에는 진동막, 자화판, 진동대, 가진링, 진동소자, 오존소자, 음이온시트, 막자화기, 종이자화기, 시트자화기, 돌기자화기, 막형 자화기, 판진동기, 판형 진동기, 링자화기, 봉형 자화기, 봉진동기, 회전형 진동기, 블록형 진동기, 오존살균하는 오존기, 돌기 구비 가진기, 회전기 구비 음이온기, 음이온청정하는 음이온기, 오존살균하는 자화기, 음이온청정하는 진동기, 판 형의 진동기, 침 형상의 자화기, 튜브 형상의 진동기, 파이프 형상의 기능기, 기능기가 내장된 튜브, 자화기가 부착된 파이프, 오존기가 구비된 중공체 등도 포함된다.
상기 중공체(37, 76)는 a) 링, 관, 조, 통, 함, 바늘, 튜브, 밴드, 호스, 노즐, 관로, 박스, 파이프, 중공관, 중공체, 벤츄리관; b) 중공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인젝터(93) 또는 이젝터(93) 구비 중공체; 밸브(56) 또는 체크밸브(91) 또는 솔레노이드밸브(92) 중 하나 구비 중공체; 역류방지용 체크밸브(91) 구비 중공체; 일정 간격으로 개폐가 반복되는 솔레노이드밸브(92) 구비 중공체; 상기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구비 중공체; 압기(83)가 주입되는 중공체; 압기(83)를 주입하는 콤프레셔(105) 구비 중공체; 인젝터 또는 이젝터와 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중 하나 구비 중공체; 인젝터(93)와 체크밸브(91)와 솔레노이드밸브(92)가 구비된 중공체; 인젝터(93)와 체크밸브(91)와 솔레노이드밸브(92)와 콤프레셔(105)와 상기 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가 구비된 중공체; d) 상기 봉 내지 나선 중 하나 이상이 구비 또는 매입된 중공체, 상기 링 내지 중공체; e)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중공체, 상기 링 내지 중공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체크밸브(91)의 예로는 스프링(54), 볼(55), 밸브(56),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밸브 걸림턱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물질(82, 83, 84), 오존(82), 압기(83) 등이 체크밸브를 통하여 체크밸브에 연계된 관 또는 벤츄리관 등(76, 77)의 내부로 유입시에는 유입압에 의하여 스프링(54)이 압축되어 밸브(56)가 열리고, 반대로 유입되는 것이 없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 스프링의 확장, 확장된 스프링의 압력 등에 의하여 밸브(56)가 닫히거나 또는 밸브(56)가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것으로, 상기 관 또는 벤츄리관 등(76, 77)의 내부로 물질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걸림턱은 스프링(54), 볼(55), 밸브(56)가 매입된 튜브, 파이프, 인젝터(93), 이젝터(93) 등의 내측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91)가 벤츄리관(77)에 설치되는 경우 벤츄리관으로 물질의 통과시 벤츄리관에 부압이 생겨 체크밸브(91)의 밸브(56)가 열려 체크밸브(91)를 통하여 무동력으로 벤츄리관(77) 내부로 첨가제 등(81, 82, 83)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벤츄리관(77)은 직관 내에 잘룩한 부위(53)가 있는 관, 길이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축소부(53)가 형성된 관, 상기 축소부(53)에 인젝터 또는 이젝터(93)가 구비된 관, 자신의 내부를 흐르는 물질에 의하여 부압이 발생되는 축소부(53)가 형성된 관, 상기 부압에 의하여 상기 인젝터 또는 이젝터를 통하여 물질(81, 82, 83)이 무동력으로 유입되는 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축소부는 뾰족하거나(L=0), 또는 일정의 폭이나 길이 등(L)을 가진다.
상기 인젝터 또는 이젝터(93)는 관, 파이프, 중공체, 벤츄리관 등(37, 76, 77)의 외면, 축방향, 길이방향, 흐름방향, 장길이방향 중 하나에 대하여 수직, 경사, 내각, 외각, 15도, 30도, 45도, 70도, 90도, 90도 이하, 90도 이상 중 하나(θ)로 거치가 가능하고, 상기 거치된 관, 관로, 통로, 튜브, 호스, 파이프, 중공관, 경사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중공체, 링 내지 복합체, 인젝터, 이젝터, 관 내지 경사관 중 하나 이상으로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중 하나 이상이 유입, 주입, 투입, 공급, 제공, 인가, 통과, 거침, 접촉, 흐름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다공형 또는 유공형의 상기 기능기; 다공형 또는 유공형의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에 또는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상기 전(前) ∼ 중공부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기능기; 상기 기능기 등이 또는 등에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을 제공하는 상기 기능기 또는 콘 내지 복합체;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등이 된다. 이의 예로는 콘에 구비된 자화기, 자화기가 구비된 콘, 망에 구비된 진동기, 자화기가 구비된 망, 틀에 구비된 오존기, 음이온기가 구비된 틀, 기능기가 또는 기능기에 구비된 콘망봉틀나선, 콘망봉틀나선이 또는 콘망봉틀나선에 구비된 기능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은 a) 자화기(31), 진동기(32), 가진기(33), 오존기(34), 음이온기(35),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진동기(36),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체,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b) 이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c) 또는 자화(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자기장(41), 진동처리(42), 가진처리(43), 오존처리(44), 음이온처리(45), 회전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버블처리, 폭기처리, 방전처리, 자화진동(46), 자화가진(46), 자화오존, 자화음이온, 자화회전기, 진동가진, 진동오존, 진동음이온, 진동회전체, 가진오존, 가진음이온, 가진회전기, 오존음이온, 오존회전기,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 자화진동오존, 자화진동음이온, 자화진동회전기, 진동가진오존, 진동가진음이온, 진동가진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 가진오존회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 자화진동가진음이온,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 진동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살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46)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 생성, 조성, 공급, 제공, 이용, 분사, 살수, 포설, 주입, 조사, 방사 등을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c) 또는 자신, 물질, 물체 등을 또는 등에 상기 자화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 등(40)을 하는 또는 등으로 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d) 또는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화진동물(46), 자화가진물, 자화오존물, 자화음이온물, 자화회전물, 진동가진물, 진동오존물, 진동음이온물, 진동회전체, 가진오존물, 가진음이온물, 가진회전물, 오존음이온물, 오존회전물, 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물, 자화진동오존물, 자화진동음이온물, 자화진동회전물, 진동가진오존물, 진동가진음이온물, 진동가진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오존회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 자화진동가진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진동가진오존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46) 등(40)을 발생, 생성, 조성, 공급, 제공, 이용, 분사, 살수, 포설, 주입, 조사, 방사 등을 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등(30)에서 자화(41),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폭기, 방전, 자화물(41), 진동물(42), 가진물(43), 오존물(44), 음이온물(45),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폭기물, 방전물, 복합물(46) 중 하나가 발생, 생성, 조성, 분사, 분무, 포설, 포함, 사용, 코팅, 도장, 투입, 주입, 함침, 수침, 침지, 조사, 방사, 발산 등이 된다.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중 하나에는 a)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회전, 분해, 전해, 폭기, 방전, 이중 둘 이상 복합 중 하나의 또는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b)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진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신(즉,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이의 속, 면, 표면, 중공, 내부, 내면, 외부, 외면, 선단, 일단, 양단, 타설구, 배출구, 분사구, 선단외부, 선단내부, 타설구외부, 타설구내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가 1개 이상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포함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로는 자화막, 진동판, 가진하는 대, 오존봉, 음이온 발생 링, 센서, 자화하는 소자, 진동진자, 가진 발생하는 시트, 종이 형상의 오존기, 튜브 형상의 음이온기, 밴드형 자화기, 진동하는 호스, 가진박스, 몸체, 테이프 형상의 진동기, 자신의 배출구에 자화기가 구비된 중공관, 자신의 타설구 외부에 진동기가 구비된 파이프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복합기(30, 36)는 a) 자화진동기, 자화가진기, 자화오존기, 자화음이온기, 자화회전기, 자화분해기, 자화전해기, 자화살균기, 자화방전기, 진동가진기, 진동오존기, 진동음이온기, 진동회전기, 진동분해기, 진동전해기, 진동살균기, 진동방전기, 가진오존기, 가진음이온기, 가진회전기, 가진분해기, 가진전해기, 가진살균기, 가진방전기, 오존음이온기, 오존회전기, 오존분해기, 오존전해기, 오존살균기, 오존방전기, 음이온회전기, 음이온분해기, 음이온전해기, 음이온살균기, 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오존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진동회전기, 자화진동분해기, 자화진동전해기, 자화진동살균기, 자화진동방전기,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회전기, 진동가진분해기, 진동가진전해기, 진동가진살균기, 진동가진방전기, 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오존분해기, 가진오존전해기, 가진오존살균기, 가진오존방전기, 가진오존회전기, 가진오존분해기, 가진오존전해기, 가진오존살균기, 가진오존방전기, 오존음이온회전기, 오존음이온분해기, 오존음이온전해기, 오존음이온살균기, 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회전기, 자화진동가진분해기, 자화진동가진전해기, 자화진동가진살균기, 자화진동가진방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회전기, 진동가진오존분해기, 진동가진오존전해기, 진동가진오존살균기, 진동가진오존방전기,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방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b) 이중 하나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상기 복합기, 자화진동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등(30, 31, 32, 33, 34, 35, 3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기(30, 36)에는 a) 복합자화기, 복합진동기, 복합가진기, 복합오존기, 복합음이온기, 복합회전기, 복합분해기, 복합전해기, 복합살균기, 복합방전기; b)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c) 복합의 상기 자화기 내지 방전기; 등도 포함된다. 이중에서 복합진동기의 예를 들면 복합진동기는 a) 자화진동기, 자화가진진동기, 자화가진오존진동기, 자화가진오존음이온진동기,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기, 자화진동복합기, 자화가진진동복합기, 자화가진오존진동복합기, 자화가진오존음이온진동복합기,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복합기, 봉형의 자화진동기, 봉형의 자화가진진동기, 봉형의 콘크리트진동기, 봉형의 자화가진콘크리트진동기; b)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살균, 음이온청정 등을 하는 진동기, 복합진동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는 a)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살균기와 방전기의 복합기(36),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과 방전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살균을 하는 방전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살균방전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방전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와 방전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와 살균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살균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살균을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살균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와 전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와 전해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전해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전해를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전해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전해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와 회전기와 분해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하는 복합기,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청정과 회전과 분해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기, 자화진동가진하면서 오존음이온 청정하고 회전분해하는 복합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음이온회전과 분해를 하는 복합기, 자화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 발생하고 회전하고 분해하는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분해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는 a)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회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회전과 음이온발생하는 복합기, 자화하는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처리하는 음이온회전기, 자화진동가진과 오존발생하는 회전형 음이온기, 자화하고 진동가진하고 오존음이온발생하고 회전기, 자화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발생하고 회전하는 복합기, 자기장발생하고 진동하고 가진하고 오존음이온처리하고 회전하는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회전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자화기 내지 오존기가 구비된 음이온기가 장착된 회전기, 상기 진동기 내지 음이온기가 구비된 자화기가 장착된 회전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 회전 등을 하거나 또는 발생하는 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오존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와 가진기(33)와 오존기(34)와 음이온기(35)의 복합기(36), 자화(41)와 진동(42)과 가진(43)과 오존처리(44)와 음이온처리(45)를 하는 복합기(36), 자기장과 진동과 가진과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음이온청정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기구,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을 발생하는 기구, 통과 물질을 자화진동가진오존소독음이온청정하는 기구,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처리음이온처리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기,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오존음이온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가진진동오존음이온기, 오존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진동가진오존기, 진동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가진진동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가진오존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또는 진동(42), 가진(43), 오존(44),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진동, 가진, 오존처리,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오존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자화가진음이온기, 가진자화진동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음이온기, 진동자화하는 가진음이온기, 가진자화하는 진동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또는 자기장(41), 진동(42), 가진(43),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c) 상기 발생을 지속적, 주기적, 간헐적, 반복적, 1초간격, 30초간격, 1분간격 중 하나로 하는 장치; d)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e) 물질 또는 물체를 순차적으로 자화, 진동, 가진, 음이온처리하는 장치; f)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 g)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장치, 장치1, 장치2 중 하나에 음이온기가 구비된 복합장치, 자화음이온기, 진동음이온기, 가진음이온기, 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음이온기, 자화가진음이온기, 자화오존음이온기, 진동가진음이온기, 진동오존기, 가진오존음이온기, 자화진동가진음이온기, 자화진동오존음이온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오존기(30, 36)는 a) 자화오존기, 오존자화기, 자화하는 오존기, 오존처리하는 자화기, 오존살균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b) 또는 상기 자화오존기는 b1) 진동(42), 가진(43), 자기장(41) 중 하나(40, 41, 42, 43)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b2) 또는 자화기(31), 진동기(32),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7); b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유출구(78); b4)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고전압발생기(99); 상기 오존유입구 대신에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103), 이의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 후단에 저장고(60), 콤프레서(105), 압기(壓氣) 공급 콤프레서(105); b5)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유입구 내지 엘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b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b7)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 b8) 상기 b1) 자화기 내지 b7)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등이 구비된 장치1(50)이다.
상기 장치1, b1) 자화기 내지 b8) 케이스 등에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음이온기는 자화음이온기, 음이온자화기, 자화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기, 자기장(41)과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자화(41)와 음이온처리(45)하는 장치, 자화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상기 오존발생기 대신에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상기 자화기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가진기(30, 36)는 a) 진동가진기, 가진진동기, 진동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등이 해당된다. b) 또는 상기 진동가진기는 b1) 진동(41), 가진, 자기장(42) 중 하나(40, 41, 42) 이상이 발생되는 중공형 또는 튜브형 자화기, 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30, 76); b2) 또는 진동기, 자화기, 고주파진동기, 저주파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진동기 중 하나가 구비된 튜브 또는 중공체(36, 37); b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의 전단에 유입구(72), 내부에 거치대(112) 또는 와류 형성 거치대(112) 또는 2개 이상 발이 구비된 다발 거치대(112), 후단에 티이관(75), 벤츄리관(77), 유출구(78); b4) 상기 티이관(75)의 중간(90)에 순차적으로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벤츄리관(77), 압기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103), 저장고(60),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105); b5) 상기 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인젝터(93), 체크밸브(91), 솔레노이드밸브(92),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오존유입구에 집속시키는 오존유입구 또는 물질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96),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99); b6)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호스(71);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호스(79); 상기 유입구와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 사이에 엘보관(73); 상기 자화기 내지 자화진동기 중 하나와 티이관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티이관 내지 유출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압기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인젝터 내지 오존유입구 중 둘 사이에 파이프(76);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파이프 사이에 엘보관(74); 상기 오존유입구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엘보관(74) 또는 티이관(75); 상기 유입구 내지 티이관 중 하나 이상에 무순 또는 순차적으로 호스, 체크밸브(91), 펌프(63), 저장고(60); b7)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98); b8) 상기 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반(97); 상기 전기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100); 상기 배전반에 순차 또는 무순 연계된 전선, 플러그(10), 콘센트(11), 전원공급기; b9) 상기 b1) 자화기 내지 b8)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되는 케이스(102); 등이 구비된 장치2(51)이다.
상기 장치2, b1) 자화기 내지 b9) 케이스 등에는 a)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기장, 회전,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은 상기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자화기 ∼ 복합기, 기능기, 장치 1, 장치 2 중 하나 이상이 구비, 결합, 병합, 체결,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으로부터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기능물 중 하나가 조성, 발생, 제공, 분사, 배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치 1, 장치 2 등에서 a) 유입 호스(72)의 전단에는 유입관, 수도관, 압력관, 유입파이프, 압력수, 수도수, 압력공기 등(70); b) 유출 호스(79)의 유출구에는 노즐(66), 분사기(66), 분무기(66), 와류판(67)이나 확장부(68) 등이 구비된 노즐(66) 등; c) 상기 관(73, 74, 75, 77), 호스(72, 79), 파이프(76), 중공형(37), 튜브형(37) 등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 오존, 음이온,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등(30, 31, 32, 33, 34, 35, 36, 40, 41, 42, 43, 44, 45, 46); 상기 펌프(63)에는 저장고(60); 상기 케이스(102)에는 공기 구멍(101); 등이 구비,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조성, 형성, 공급, 발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기(30, 36)는 a) 자화진동가진오존기, 진동자화가진오존기, 가진자화진동오존기, 오존자화진동가진기, 자화진동하는 가진오존기, 진동자화하는 가진오존기, 가진자화하는 진동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가진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상기 자화기 내지 진동가진오존기 중 둘 이상의 복합장치(36), b) 상기 장치1(50)과 장치2(5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과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와 이의 후단(78, 79)에 연결된 상기 장치1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1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2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2의 유출구 호스(79)에 상기 장치1의 유입구 호스(71)가 연계된 상기 장치1과 장치2의 복합장치, 상기 장치 1과 2가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1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1 및 2를 통과하여 상기 장치2의 유출구(78, 79)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상기 장치 2와 1이 연계되어 물질(80)이 상기 장치2의 유입구(70, 71, 72)로 유입되고 상기 장치 2 및 1을 통과하여 상기 장치1의 유출구(78, 79)로 배출되는 복합장치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오존음이온기는 a) 가진오존음이온기, 오존가진음이온기, 음이온가진오존기, 가진하는 오존음이온기, 오존 발생하는 가진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가진오존기, 가진기와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오존음이온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진동가진음이온기는 a) 진동가진음이온기, 가진진동음이온기, 음이온진동가진기, 진동가진하는 음이온기, 가진진동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가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오존음이온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진동가진오존기는 a) 진동가진오존기. 가진진동오존기. 오존진동가진기, 진동하는 가진오존기. 가진진동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가진기, 진동기와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 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장치 1, 장치 2, 튜브 내지 케이스; 유출구에 거치된 호스, 노즐,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진동가진기 등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음이온기는 a) 자화진동음이온기, 진동자화음이온기, 음이온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음이온기, 진동자화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1 또는 2의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음이온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음이온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오존기는 a) 자화진동오존기, 진동자화오존기, 오존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오존기, 진동자화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상기 장치 1 또는 2의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이 권선된 오존기, 일측 판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이 거치된 오존기, 일측 판의 중공부에 이격되어 솔이 대면되는 오존기 등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가진기는 a) 자화진동가진기, 진동자화가진기, 가진자화진동기, 자화하는 진동가진기, 진동자화하는 가진기, 가진자화하는 진동기, 자화기와 진동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또는 2, 자화기 ∼ 복합기, 상기 장치 1 또는 2에 구비된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에서 제공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중 하나와 상기 오존유입구(94), 오존깔대기(95), 오존발생기(9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공급되는 오존을 상기 유입구(72) 내지 유출구(78) 중 하나의 통과 물질에 유입하여 상기 통과 물질(80)을 처리; b2) 상기 유출구 내지 분사구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통과 물질(80)을 배출, 공급, 분사; b3) 상기 분사하여 물질 또는 물체를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오존음이온기는 오존음이온기, 음이온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음이온기, 음이온청정하는 기능을 가진 오존기, 오존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하는 장치, 오존와 음이온 처리하는 장치, 오존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 오존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오존발생기(96) 대신에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오존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음이온기는 a) 가진음이온기. 음이온가진기, 가진하는 음이온기. 음이온발생하는 가진기, 가진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장치 2, 유출구; b2)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 노즐, 타설구, 분사구;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음이온;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가진오존기는 a) 가진오존기, 오존가진기, 가진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가진기, 가진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이거나, b) 또는 b1) 상기 장치 1, 장치 2, 유출구(78); b2) 상기 유출구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장치에서 공급되는 진동, 가진, 자기장, 압기, 오존; 이중 하나 이상 포함 물질, 통과물질; 중 하나 이상을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등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음이온기는 a) 진동음이온기, 음이온진동기, 진동하는 음이온기, 음이온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음이온기의 복합기; b) 진동(42)과 음이온(45)을 발생하는 장치, 진동와 음이온 처리하는 장치, 진동기가 구비된 음이온기, 진동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상기 오존발생기(96); c) 진동 및 음이온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오존발생기(96) 대신에 진동 및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상기 튜브 내지 케이스 중 하나 이상에 진동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상기 장치1 또는 장치2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오존기는 a) 진동오존기, 오존진동기, 진동하는 오존기, 오존 발생하는 진동기, 진동기와 오존기의 복합기 중 하나 이거나, b) 또는 b1) 상기 타이머(98)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의 개폐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압기(壓氣), 오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간격 만큼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2)를 통하여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과하는 물질(80)에 유입시키거나, b2) 또는 이에 의하여 상기 주기로 유입되는 압기의 펄스압을 가진 상기 통과 물질 또는 펄스형의 통과 물질을 상기 유출구(78); 이에 연계된 호스(79), 노즐(66), 분사구(66);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배출, 공급, 분사; 분사하여 폭기, 와류, 펄스압제공, 오존처리, 살균처리; 중 하나를 하는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는 자화가진기, 가진자화기, 자화하는 가진기, 가진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가진기의 복합기; 하기 자화가진기 1, 2, 3, 4, 5, 6, 7;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가진기 1은 상기 자화기와 가진기가 합체된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2는 상기 자화기에 상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중 하나 이상이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3은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에 더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 또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4는 1개 이상의 자화기(31)와 이의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이격된 1개 이상의 자화기(31)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5는 자화기(31)와 이의 둘 사이에 코어(15)와 이의 코어를 감싸는 외주 코일(16)과 상기 코어 및 자화기로부터 이격된 이격판(17)으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가진기 6은 거치판(19)과 이에 거치된 자화기 부착판(18)과 이의 부착판에 부착된 자화기(31)와 상기 자화기와 부착판을 감싸는 외주 코일(16)로 구성된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부착판, 자화기, 코어, 코일, 이격판, 거치판, 부착판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분사, 주입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가진기 7은 a) 전원, AC, DC 중 하나를 제공하는 전원부(20), b) 상기 전원, AC 중 하나를 DC로 변환시키는 컨버터(21), c) 상기 전원, DC 중 하나를 AC 또는 정전압 정주파수의 AC로 변환 또는 증폭시키는 인버터(22), d)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를 스위칭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흐름방향을 조정하는 스위칭부(23), e) 상기 전원부,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AC, DC 중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24), f) 상기 컨버터, 인버터, 스위칭부, 검출부 중 하나의 통전패턴을 제어하는, 또는 상기 전원, AC, DC 중 하나의 크기, 지속, 통전, 차단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터(26)의 회전축에 연계된 회전체 또는 비대칭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또는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 또는 이가 삽입된 케이스(7)에서 발생하는 진동(42), 자기장(41), 가진,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자화가진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는 자화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하는 진동기, 진동하는 자화기, 자화기와 진동기의 복합기; 하기 자화진동기 1, 2, 3, 4, 5, 6, 7, 8, 9;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1은 상기 자화기(31)와 진동기(32)가 합체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2는 상기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중 하나 이상에 진동기가 거치된 것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3은 진동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가진기 측면 또는 후단에 자화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자화기 측면 또는 후단에 가진기가 구비되는 자화진동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4는 a) 진동이 발생되고, b) 상기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c)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5는 자기장, 1,000∼20,000 가우스의 가기장, 0.1∼2 테슬라의 자기장, 자기투자율(μ)×자계강도(H)의 자속밀도(B)를 가지는 자기장 중 하나를 발생하는 상기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6은 a) 상기 자기장 중 하나가 발생되고, b) 상기 자기장;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에 의한 가진 또는 진동이 발생되고, c) 상기 가진 또는 진동; 이의 발생 전, 중, 후, 동시, 전단, 중간, 후단, 동일지점, 이격지점; 중 하나 이상에 가진기 또는 진동기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 7은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와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 후에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와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전체 진동 중 자기장에 의한 진동 0.01∼49.99% 후에 진동기에 의한 진동 50∼99.99%을 발생 또는 교호발생 또는 지속발생하는 자화진동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화진동기 8은 케이스(7), 이의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2), 상기 모터 또는 스테이터에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터(1), 이의 로터 회전축(3), 이의 회전축 상하에 구비된 베어링(5), 상기 케이스 내부에 거치된 상기 베어링(5), 상기 로터 또는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 또는 비대칭 회전체(4), 이의 회전체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상기 케이스(7) 중 하나 이상에 자화기(31), 자화가진기(36),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또는 분사되는 자화진동기이다.
상기 자화진동기(30, 36) 9는 자화진동기, 진동자화기, 자화기와 진동기의 복합기, 자화와 진동을 하는 복합기, 자기장과 진동을 발생하는 복합기, 자신이 자화진동하는 기구, 물질 또는 물체를 자화진동하는 기구, 자화진동물을 발생하는 기구, 통과 물질을 자화진동하는 기구, 상기 자화기와 진동기가 조합된 복합기, 상기 자화기가 장착된 진동기, 상기 진동기가 장착된 자화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의 자화진동기, 자화진동하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중 하나이고,
상기 자화기(30, 31)는 a) 자화기, 자성기, 자력기, 육각수기, 자석, 자성체, 막자석, 판자석, 전자석, 전기자석, 시트자석, 종이자석, 박막자석, 磁石, 磁化器, magnet, magnetizer, magnetizing coil, 물질을 자화(41)하는 자화기, 자기장(41)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기장(41)을 방사 또는 조사하는 자화기, 자기에너지(41)를 방사하는 자화기, 자기장(41)에 의하여 진동을 하는 자화기, 자기장(41)에 의하여 진동을 증진시키는 자화기, 2개 이상 자석이 매입 또는 코팅 또는 라이닝된 자화기, 상기 2개 이상 자석 사이에 이격재가 삽입된 자화기,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코어에 감긴 코일의 전기 인가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화기, 자화(41)하면서 진동(42)하는 자화진동기, 진동(41)하면서 자기장(41)을 발생하는 진동자화기; b) 자화(41)하는 또는 자화기능을 가진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자화기; d) 또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e) 자기장에 더하여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자화기; g) 또는 자화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기는 a) a1) 2개 이상 자석 구비, a2) 상기 2개 이상 자석의 사이에 이격재 삽입, a3) 상기 자석과 이격재 외주를 코팅 또는 라이닝; b) 또는 b1) 코어 구비, b2) 상기 코어 외주에 코일 감기, b3) 상기 코어, 코일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코어, 나선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이 공급되어 knI (여기서 k = 4π×10-7, n = 단위 길이당 나선의 감긴수, I = 전류 세기) 크기가 되는 자기에너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장, 자기에너지 등은 1,000∼20,000 가우스, 0.1∼2 테슬라 등이 되거나, 또는 등의 크기를 가지는 자기장, 자기에너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진동기(30, 32)는 a) 진동기, 振動機, 막진동기, 판진동기, 봉진동기, 진동소자, 압전소자, 음파기, 초음파기, 진동압전소자, 시트진자, 음파소자, 초음파소자, 자화진동기, 다기능진동기, 로타리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vibrator, 물질 또는 물체를 진동(42)하는 진동기, 자신이 진동(42)하는 진동기, 봉 또는 케이스(7)가 진동하는 진동기,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모터(26) 또는 로터(1)에 구비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스테이터(2)에 거치된 로터(1)에 구비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스테이터(2, 고정자)와 이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로터(1, 회전자)가 구비된 모터의 새프트(3,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N극 및 S극을 가진 스테이터(2, 영구자석)와 이의 내부에 코일이 감긴 로터(1)가 구비된 모터의 새프트(3)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N극 및 S극을 가진 로터(1, 영구자석)와 이의 외부에 코일이 감긴 스테이터(2)가 구비된 모터의 새프트(3, 회전축)에 거치된 회전체(4)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는 진동기, 진동(42)하면서 자화(41)하는 진동자화기, 자기장(41)을 발생하면서 진동(42)하는 자화진동기; b) 진동(42)하는 또는 진동하는 기능을 가진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진동기; d) 또는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진동기; e) 진동에 더하여 자기장, 가진,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진동기; g) 진동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기는 a) 케이스 구비, b) 이의 케이스 내부에 스테이터 거치, c) 상기 스테이터에 연계하여 로터 거치, d) 상기 로터에 회전축 거치, e) 상기 회전축에 회전체 거치, f) 상기 로터, 스테이터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모터는 모터, motor, 진동모터, 전기모터, 전동모터, 서보모터, 토크모터, 기어모터, AC모터, DC모터, 리니어모터, BLDC모터, Brush모터, Brushless모터, Pulse모터, Stepping모터, BrushlessDC모터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기(30, 33)는 a) 가진기, 加振機, 자극기, 여진기(勵振器), 여자기(勵磁機), 익사이터, 오실레이터, exciter, shaker, oscillator, 진동을 가하는 장치, 물체에 진동을 가하는 장치, 물질을 가진하는 가진기, 자신이 가진하는 가진기, 가진(43)하면서 자화(41)하는 가진자화기, 자기장을 발생하면서 가진하는 자화가진기; b) 가진하는 또는 가진하는 기능을 가진 자화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오존방사,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는 가진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가진기; e) 가진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오존,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가진기; g) 가진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기에는 진동, 편심진동, 상대진동, 펄스진동, 상하진동, 좌우진동, 경사진동, 대각진동, 폭기진동, 충격진동, 공진진동, 음파진동, 초음파진동, 1차원진동, 2차원진동, 3차원진동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하는 진동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진기에는 가진, 편심가진, 상대가진, 펄스가진, 상하가진, 좌우가진, 경사가진, 대각가진, 폭기가진, 충격가진, 공진가진, 음파가진, 초음파가진, 1차원가진, 2차원가진, 3차원가진 등의 또는 등을 하는 또는 등을 발생하는 가진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편심진동기, 펄스진동기, 상하진동기, 편심가진기, 펄스가진기, 상하가진기, 상하진동과 좌우진동을 하는 진동기, 편심진동과 상하진동과 좌우진동을 하는 진동기, 펄스가진과 3차원가진을 하는 가진기, 편심가진과 펄스가진과 3차원가진을 하는 가진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기(30, 34)는 a) 오존기,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기, 물질을 오존살균하는 오존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오존기,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오존기(34),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된 오존기(34),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는 오존기(34); b) 오존을 방사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음이온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음이온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오존기; e) 오존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가진, 음이온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또는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오존기; g) 오존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기, 원통관, 2중관, 내부, 외부, 코일, 판, 침, 중공부, 솔 등은 또는 등에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 구비, 분사, 주입 등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오존(O3)은 살균, 탈취, 공기정화 등의 효능이 있어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제거, 상수도의 살균, 폐수처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오존을 발생시키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절연체(121) 또는 공간(121) 사이에 +극(120)과 -극(122)을 두고 이에 고전압 등을 걸어주면 코로나방전 등이 일어나서 3O2 + electric E = 2O3 + heat 등과 같은 반응에 의하여 산소로부터 오존이 발생된다. 2) 세라믹판이나 공간 등(121)의 양쪽에 코팅, 인쇄, 부착 등이 된 금, 은, 동, 백금, 니켈 등의 물체(120, 122)에 고전압 등을 인가하면, 물체(120, 122) 간에 코로나방전 등이 발생된다. 상기 방전 시에 공기중의 산소(O2)가 산소원자로 분리되고, 이 분리된 산소원자가 분리되지 않은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오존(O3)을 형성한다. 3) 유리관이나 석영관 등의 유전체(123)와 이의 내부에 삽입된 봉 또는 관 형상의 +극(124)과 상기 유전체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 또는 스프링 형상의 -극(16)전압 등을 인가하면 방전이 발생되어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킨다. 4)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되고 상기 관과 코일에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5)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이 거치고 상기 판과 침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6)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이 대면되고 상기 판과 솔에 +, - 전원을 가하면 오존이 발생된다. 이는 도 30 참조. 도 30은 오존기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등이 구비된 복합기를 나타낸다. 상기 침은 침, 칩, 팁, 바늘, 니들, 1개 침, 2개 침, 다수개 침 등이 해당되고, 솔은 솔, 줄, 브러시, 1가닥 솔, 2가닥 솔, 다수가닥 솔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이온기(30, 35)는 a) 음이온기, 음이온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물질을 음이온 청정하는 음이온기, 오존을 방사하는 음이온기, 원통관(123) 또는 2중관(123, 124)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16)이 권선된 음이온기, 일측 판(126)에 이격되어 타측에 침(127) 또는 바늘이 거치된 음이온기, 일측 판의 중공부(128)에 이격되어 솔(129) 또는 바늘이 대면되는 음이온기, 표면적인 매우 적은 뾰족하고 날카로운 바늘(127, 129)에서 전하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 b) 음이온을 방사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상기 콘 내지 복합체; c) 또는 자화, 진동, 가진, 자기장발생, 오존방사 중 하나 이상을 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기; d) 또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중 둘 이상이 발생되는 음이온기; e) 음이온에 더하여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중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f)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의 형상을 가진 음이온기; g) 음이온기가 구비된 상기 콘 내지 복합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원통관, 2중관, 코일, 판, 침, 솔, 바늘 등에는 전기, 전원, 전류, 전압 등이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오존, 음이온 등이 발생된다.
상기 전하 또는 음이온은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분진, 꽃가루 등과 같은 입자와 결합, 낙하하여 공기를 깨끗하게 한다. 이는 전기집진기의 원리가 된다. 전기집진기의 예로는 봉이 내장된 원통에서 봉을 음(-)으로 하고 원통을 양(+)으로 하여 직류고전압을 가하면 원통 내를 통과하는 송풍 공기로 부터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되어 원통의 내면에 부착되어 청정공기가 되고, 원통에 부착된 분진은 세척, 충격 등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기집진기는 하나의 정전필터(electrostatic filter)가 된다.
상기 오존기, 음이온기 등은 a) 원통관 또는 2중관 구비, b) 상기 원통관 또는 2중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코일 권선, c) 판 구비, d) 상이 판에 이격되어 침 거치, e) 상기 원통관, 2중관, 코일, 판, 침 등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회전기는 하기 회전기 1, 2, 3, 4 등이 해당된다. 회전기 1은 휠, 릴, 팬(fan), 롤러, 로터, 드럼, 버켓, 바퀴, 얼레, 풀리, 톱니, 윈치, 나선, 패들, 패달, 도르레, 샤프트, 스크류, 회전기, 회전체, 회전자, 회전팬, 송풍팬, 선풍팬, 송풍기, 선풍기, 트롬멜, 호이스트, 회전기구, 회전수단, 편심회전체, 원심회전체, 다수회전체, 다중회전체, 다열회전체, 다층회전체, 다겹회전체, 대칭회전체, 비대칭회전체, 동력회전체, 무동력회전체, 모터 구비 회전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자신이 회전하는 회전기, 수 또는 물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물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물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장비를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회전기 등이 해당된다. 회전기 2는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 이의 선단에 상기 꼬임이 풀어진 2개 이상의 가닥,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장착된 1개 이상의 봉, 이 봉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 상기 꼬임선이 1개 이상 장착된 축, 이의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으로 구성된 회전기이다. 회전기 3은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 수단, 회전체의 하우징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가 이용되는 회전기이다. 회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회전기이다.
상기 회전기는 a) 2가닥 이상이 꼬인 꼬임선 구비, b) 상기 꼬임선 선단에 상기 꼬임을 풀어 2개 이상의 가닥 도출, c) 상기 가닥 또는 꼬임선에 1개 이상의 봉 구비, d) 이 봉의 양단에 돌기 형성, e)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 구비, f)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비, g) 상기 모터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분해기는 하기 분해기 1, 2, 3, 4 등이 해당된다. 분해기 1은 분해기, 부숙기, 발효기, 배양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미생물분해기, 미생물발효기, 미생물배양기,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微生物燃料電池) 등이다. 분해기 2는 용기,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또는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 상기 용기의 유출구,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등으로 구성된다. 분해기 3은 a) 용기에 투입되는 물질, 미생물; b) 히터에 의한 열; c) 공급라인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되는 공기, 산소, 영양소; d) 전기 인가에 의하여 용기 내의 양극에서 발생되는 H2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O2; e) 상기 물질, 미생물 등의 분해, 배양; f) 상기 분해 또는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H2, O2, CO2, CH4, 미생물, 증식미생물, 배양미생물, 바이오수, 바이오액, 바이오가스;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시행 또는 발생되는 것이다. 분해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분해기이다.
상기 분해기는 용기 구비,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설치,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막 설치,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거치, 이 전선에 연계된 축전지 구비, 상기 용기에 히터 설치,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구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MFC는 하기 MFC 1, 2, 3 등이 해당된다. MFC 1은 용기에 투입된 물질, 폐기물, 슬러지, 폐수 등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에너지를 미생물을 촉매로 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지이다. MFC 2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전자(e-)와 수소이온(H+)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물과 전기를 만들어내는 전지이다. MFC 3은 a) 용기의 양극부에 투입되는 물질, 폐기물, 슬러지, 폐수, 유기물; b) 상기 양극부에서 발생되는 H+, CO2, 전자(e-); c) 상기 이온막을 통하여 음극부로 향하는 상기 H+; d) 상기 음극부에서 상기 H+와 외부 유입 공기 중 O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H2O; e) 상기 양극부의 양극과 상기 음극부의 음극에 연결되는 전선을 흐르는 상기 전자(e-); f) 상기 전자(e-)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g) 상기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발생되는 전지이다.
상기 전해기는 하기 전해기 1, 2, 3, 4 등이다. 전해기 1은 a) 전해기, 전기분해기, 전해조;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전해액; c) 상기 전극 중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d) 상기 전극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e) 상기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어 전기분해되는 전해액; f)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H+, OH-, H2, O2, CO2, Cl2, HOCl, NaOCl, OH라디칼, 이온, 철이온, 금속이온, 버블, 가스, 담수, 염분농축수, 산성수, 알카리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되는 전해조; 등으로 구성된다. 전해기 2는 a) 전해조에 투입되는 수, 물, 액, 물질, 염분, 염수, 해수, 전해액; b) 전기 인가에 의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전기분해; c) 상기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d)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상기 수 내지 전해액 중 하나 이상의 분해, 탈염, 염분제거; e) 상기 이온막에 의하여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분리 배출되는 H2, O2, 염분농축수, 담수, 산성수, 알카리수;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발생, 형성, 시행, 배출 등이 되는 것이다. 전해기 3은 a) 상기 전해조에 순차 연계되는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b) 상기 H2, O2 중 하나 이상을 이송, 정제, 응축, 가압, 저장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파이프 내지 저장탱크; 등이 구비된 것이다. 전해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전해기이다. 상기 H+ 내지 차아염소산 등의 발생을 살펴보면 1) H+는 양극, OH-는 음극, H2는 양극, O2는 음극, CO2는 양극, OH라디칼은 음극, 이온은 양극, 산성수는 양극, 알카리수는 음극; 2) 그리고 Cl2, HOCl, NaOCl, 버블, 가스, 담수, 락스, 차염, 차아염소산 등은 전해조, 양극과 음극 사이; 등에서 발생된다.
상기 전해기는 a) 전해조 구비, b) 상기 전해조에 전극, 전해액 투입, c) 상기 전극 중 양극과 음극 사이의 이온막 거치, d) 상기 전해조에 파이프, 정제기, 응축기, 압축기, 저장탱크 등 연계, e) 상기 전극에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 연계; 등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살균기는 하기 살균기 1, 2, 3 등이 해당된다. 살균기 1은 등, 램프, 히터, LED등, 자외선램프, 100℃ 이상 고온히터, 살균기, 제균기, 멸균기, 항균기, 소독기, 제독기, 해독기, 디톡스기, 청정기, 정화기, 세척기, 세정기, 오존기,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 플라즈마기, 증기발생기, 옷걸이램프, 오존분사기, 살균제분사기, 소독제분사기, 연막분사차, 약품분사기, 약품분사차, 약품분사대포, 살균연무분사차, 살균약품분사기, 살균약품분사차, 살균약품분사대포 등이다. 살균기 2는 a) 용기, 이 용기의 입구 및 출구, 상기 입구에 스크린 및 팬, 상기 출구에 필터; b) 상기 용기 내부에 히터, 상기 용기의 바퀴 또는 이동수단, 상기 용기의 밀대 또는 손잡이; c) 상기 출구의 외부에 호스, 노즐, 분사기; d) 상기 용기의 중간에 벤츄리관; e) 상기 벤츄리관의 외부에 순차적으로 인젝터,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호스, 콤프레셔; 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g)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빛, 열, 스팀, 압기, 약품, 약물, 물질, 살균제, 소독제, 오존, 음이온,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LED빛, 플라즈마, 살균가스,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장치 또는 램프; h) 광촉매 코팅된 상기 용기 내지 램프; i) 상기 용기의 내부 및 외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용기 내지 램프; j) 상기 용기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등으로 구성된다. 살균기 3은 a) 거치대; b) 이 거치대에 상기 빛 내지 살균공기 중 하나 이상을 방사하는 1개 이상의 램프; c) 상기 거치대에 바퀴 또는 이동수단; d) 상기 램프에 갓 또는 반사판; e) 광촉매 코팅된 상기 거치대 내지 반사판; e) 상기 거치대 또는 램프 주변의 물질 또는 물체를 살균시키는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f) 상기 거치대 내지 램프 중 하나에 순차 연계된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살균기는 상기 용기 내지 전원공급기, 또는 상기 거치대 내지 전원공급기 등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구비하여 제조한다. 상기 용기는 조, 통, 함, 링, 관, 병, 장, 옷장, 서랍, 탱크, 박스, 용기, 튜브, 밴드, 호스, 관로, 파이프, 중공체, 중공통, 중공관, 사일로, 유리관, 석영관, 단일관, 2중관, 3중관, 케이스, 하우징, 신발장, 칫솔케이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방전기는 하기 방전기 1, 2, 3, 4 등이다. 방전기 1은 a) 방전기, 전기방전기, 방전통; b) 이중 하나에 투입된 전극; c)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중 하나 이상에 순차 연결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d) 상기 전선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어 방전, 전기방전, 코로나방전 중 하나가 발생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e) 상기 방전에 의하여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상기 방전기 내지 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방전기 2는 a) 상호 이격된 양극 및 음극; 이에 순차 연결되어 전기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선, 플러그, 콘센트, 전원공급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전기방전되거나, b) 또는 상기 전기방전되어 오존발생, 음이온발생, 분진부착, 분진응집, 분진제거, 대전입자제거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이다. 방전기 3은 a) 전기에 의한 코로나방전이 이용되는 방전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를 집진하는 방전기; b)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에 전기장을 작용시켜서 전기를 띠게 한 후 분진을 정전적인 힘으로 모아 제거하는 방전기; c) 4만∼7만 V의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d) 50∼60Hz의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고압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4만∼7만 V 전압이 사용되는 전기방전기; e)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긴 전하가 분진 입자에 부착됨으로 대전입자(帶電粒子)가 되어 정전기력(靜電氣力)에 의해 반대극성의 전극에 끌려 이동하여 집진되는 방전기; f) 원통의 집진전극(集塵電極)을 양극으로 하고 상기 원통의 중앙에 거치된 방전선(放電線)을 음극으로 한 후 원통 내에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통과시켜 분진이 음으로 대전(帶電)하여 원통의 내면에 부착 제거되는 방전기; g) 상기 원통에 침적된 분진을 물로 씻거나 상기 원통에 기계적 충격을 주어 분진이 제거되는 방전기; 등이다. 방전기 4는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이용되는 방전기이다. 상기 방전기는 상기 방전통 내지 전원공급기 등의 순서 또는 무순으로 제조한다.
상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복합물 등은 a)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 오존물, 음이온,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이중 둘 이상이 혼합된 복합물; b) 상기 자화 ∼ 복합 중 하나가 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진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c)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을 거친 또는 등으로 처리된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d) 물질 또는 물체를 상기 자화 내지 복합 중 하나를 하는 또는 하나를 시키는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e)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에 의하여 상기 자화 ∼ 복합 등이 된 물질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f) 상기 자화기 ∼ 복합기 등에서 처리된 자화처리물, 진동처리물, 가진처리물, 오존처리물, 음이온처리물, 분해처리물, 전해처리물, 살균처리물, 방전처리물, 복합처리물; g) 또는 상기 수 내지 복합물 등이 포함되는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처리물;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진동물의 경우 진동물은 진동수, 진동액, 진동재, 진동열, 진동파, 진동광, 진동풍, 진동버블, 진동물질, 진동광원, 진동미스트, 진동자화물, 진동음이온물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물에는 오존이 포함되고, 음이온물에는 음이온이 포함된다.
상기 복합물(40, 46)은 자화진동물, 자화가진물, 자화오존물, 자화음이온물, 자화회전물, 자화분해물, 자화전해물, 자화살균물, 자화방전물, 진동가진물, 진동오존물, 진동음이온물, 진동회전물, 진동분해물, 진동전해물, 진동살균물, 진동방전물, 가진오존물, 가진음이온물, 가진회전물, 가진분해물, 가진전해물, 가진살균물, 가진방전물, 오존음이온물, 오존회전물, 오존분해물, 오존전해물, 오존살균물, 오존방전물, 음이온회전물, 음이온분해물, 음이온전해물, 음이온살균물, 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물, 자화진동오존물, 자화진동음이온물, 자화진동회전물, 자화진동분해물, 자화진동전해물, 자화진동살균물, 자화진동방전물, 진동가진오존물, 진동가진음이온물, 진동가진회전물, 진동가진분해물, 진동가진전해물, 진동가진살균물, 진동가진방전물, 가진오존음이온물, 가진오존분해물, 가진오존전해물, 가진오존살균물, 가진오존방전물, 가진오존회전물, 가진오존분해물, 가진오존전해물, 가진오존살균물, 가진오존방전물, 오존음이온회전물, 오존음이온분해물, 오존음이온전해물, 오존음이온살균물, 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 자화진동가진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회전물, 자화진동가진분해물, 자화진동가진전해물, 자화진동가진살균물, 자화진동가진방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진동가진오존회전물, 진동가진오존분해물, 진동가진오존전해물, 진동가진오존살균물, 진동가진오존방전물, 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방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방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40, 41, 42, 43, 44, 45, 46)이 포함된다.
a) 상기 자화진동물은 자화진동물, 자화물과 진동물의 혼합물, 자화진동기를 거친 물질, 자화진동기로 처리된 물질, 자화 및 진동된 물질, 자화물과 진동물이 조합된 복합물, 상기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물, 상기 진동물이 투입된 자화물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의 혼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를 거친 물질,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기로 처리된 물질, 자화와 진동과 가진과 오존처리와 음이온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회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물의 복합물, 자화물이 투입된 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자화물 내지 오존물이 포함된 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물, 상기 진동물 내지 음이온물이 포함된 자화물이 투입된 회전물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은 상기 자화물 내지 방전물이 혼합된 또는 조합된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물과 오존물과 음이온물과 회전물과 분해물과 전해물과 살균물과 방전물이 투입된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물과 가진오존물과 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물과 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물과 진동물과 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과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회전물이 투입된 분해전해살균물과 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이 투입된 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과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자화진동가진물과 오존음이온물과 회전분해물이 투입된 전해살균방전물의 복합물; 등이 포함된다. e) 상기 자화가진물 내지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은 상기 자화진동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물,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분해전해살균방전물 등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물질이 해당된다.
상기 자화물은 자화물, 자화수, 육각수, 자화액, 자화제, 자화가스, 자화물질, 자기장물, 자화생성물, 자화된 물질, 자화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자화기에서 자화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진동물은 진동물, 진동수, 진동액, 진동제, 진동가스, 진동물질, 진동생성물, 진동된 물질, 진동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진동기에서 진동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가진물은 가진물, 가진수, 가진액, 가진제, 가진가스, 가진물질, 가진생성물, 가진된 물질, 가진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가진기에서 가진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오존물은 오존, 오존물, 오존수, 오존액, 오존제, 오존가스, 오존공기, 오존물질, 오존생성물, 오존처리된 물질, 오존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오존기에서 오존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음이온물은 음이온, 음이온물, 음이온수, 음이온액, 음이온제, 음이온가스, 음이온공기, 음이온물질, 음이온생성물, 음이온처리된 물질, 음이온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음이온기에서 음이온처리된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회전물은 a) 회전기, 회전체, 상기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회전물질, b)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회전하는 물질, c)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d) 회전하는 상기 회전기, 회전체, 꼬임선 내지 회전체 중 하나 이상에 부딪힌 물질, e)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분산 또는 비산하는 물질, f) 상기 회전 또는 부딪혀 확산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해물은 분해물, 분해수, 분해액, 분해제, 분해가스, 분해물질, 분해결과물, 분해생성물,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분해기에서 분해된 물질, 상기 H2 ∼ 바이오가스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물은 전해물, 전해수, 전해액, 전해제, 전해가스, 전해물질, 전기분해물, 전해결과물, 전해생성물, 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전해기에서 전해된 물질, 상기 H2 ∼ 차아염소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전해는 전해, 전기분해, electrolysis 등이 해당된다. 상기 살균물은 살균물, 살균수, 살균액, 살균제, 살균가스, 살균물질, 살균기능을 가진 물질, 살균기에서 공급되는 물질, 소독물, 소독수, 소독액, 소독제, 소독가스, 소독물질, 소독기능을 가진 물질, 소독기에서 공급되는 물질 등이 해당된다. 상기 방전물은 방전물, 방전수, 방전액, 방전제, 방전가스, 방전물질, 전기방전물, 방전결과물, 방전생성물, 오존, 음이온, 대전입자,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방전기에서 방전된 물질,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자화기 ∼ 복합기, 회전체, 기능기(30, 31, 32, 33, 34, 35, 36)에서 기 또는 체는 기(器 ), 기(機), 체(體), 기기, 기구, 기계, 장치, 장비, 시설, 설비, 몸체, 물체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자화기는 자화기, 자화기기, 자화기구, 자화기계, 자화장치, 자화장비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자화물 내지 복합물, 기능물(40, 41, 42, 43, 44, 45, 46)에서 물은 수(水), 물,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액체, 기체, 고체, 공기, 바람, 물질, 골재, 광물, 토사, 암석, 물체, 물질, 재료, 자재,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자화물은 자화수, 자화물, 자화액, 자화유, 자화기, 자화고, 자화제, 자화재, 자화물질, 자화액체, 자화분말, 자화공기, 자화재료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a) 모든 물체, 물품, 용품, 물질, 장비, 자재, 재료, 시설, 구조물; b) 상기 폐기물 내지 자재, 상기 흙 내지 펠렛; c) 상기 물체 내지 펠렛 중 하나 이상의 부품, 요소, 구성물, 구성요소; 등에는 1) 자화, 진동, 가진, 오존, 돌기, 소자, 음이온, 자기장,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2) 이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물; 4) 상기 자화 ∼ 복합물 중 하나(30, 40) 이상이 구비된 또는 발생되는 기기, 기구, 케이스, 하우징, 중공체; 등이 이용, 구비, 거치,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또는 등으로 처리, 처분, 정화, 청정;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또는 등에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이 또는 등에 이용, 구비, 거치, 결합, 연계, 연결, 병합, 발생, 생성, 조성, 주입, 투입, 분사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자화 ∼ 복합물 등은 A)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이중 둘 이상 복합기, 복합물; B) 또는 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 복합기; ⅱ) 또는 수(水), 물(物),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빛,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공기, 기포, 가스, 산소, 수소, 질소, 연무, 버블, 액체, 분말, 재료, 물질, 광원, 열기, 냉기, 압기, 염소, 차염, 라디칼, 파동, 미스트, CO2, LED광, 살균광, 소독광,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피톤치드, 펄스압, 액상물, 탄산물, 탄산수, 산성수, 산성액, pH저감제,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중 하나 이상이 방사되는 상기 자화기 ∼ 복합기; ⅲ) 상기 자화기 ∼ 복합기 중 하나를 거친 또는 하나로 처리된 또는 하나에서 방사되는 상기 수 내지 회전물; ⅲ) 상기 수 내지 회전물 중 둘 이상 복합물;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물질은 수(水), 물, 액(液), 유(油), 기(氣), 고(固), 제(劑), 재(材), 돌, 액체, 기체, 고체, 공기, 바람, 물질, 모래, 자갈, 골재, 토사, 토양, 석, 암석, 바위, 쇄석, 쇄사, 해사, 물체, 물질, 재료, 자재, 쌀, 콩, 벼, 보리, 대두, 곡식, 알곡, 곡물, 기름, 유류, 음식, 음식물, 식재료, 식자재, 목재, 철, 금속, 석재, 입자, 입자물, 입상물, 이물질,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슬래그, 부산물, 시멘트, 조대물질, 미세물질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폐기물, 슬러지 등은 폐기물, 부산물, 오니, 폐액, 슬러지, 음식물, 음폐수, 폐자재, 폐가전, 폐촉매, 폐시멘트, 폐콘크리트, 폐차, 폐가구, 폐자동차, 폐전기제품, 폐전자제품, 지정폐기물, 건설폐기물, 생활폐기물, 도시폐기물, 해체폐기물, 사업자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무기성폐기물, 건설슬러지, 수처리슬러지, 유기성슬러지, 무기성슬러지 등이 해당된다. c) 상기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등은 솜, 종이, 나무, 목재, 비닐, 섬유, 직포, 부직포,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부유물, 지푸라기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물질은 무기이물질, 유기이물질 등으로 구분되고, 상기 가연물은 펠렛 등의 원료가 된다. d) 상기 금속은 철, 동, 납,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귀금속, 희유금속, 휘귀금속, 비철금속, 알루미늄 등이 해당된다. e) 상기 광물은 광물, 희토류, 금속광물, 천연광물, 비금속광물 등이 해당된다. f) 상기 압기는 압기, 壓氣, 압축공기, 압력공기 등이 해당된다. g) 상기 봉, 대, 바, 빔, 줄, 선, 솔, 돌기, 날개, 강선, 연선, 철선, 강봉, 갈퀴, 로프, 나선, 스프링, 와이어, 브러시 등은 상기 봉 내지 브러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과 같은 상기 봉 내지 브러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이 구비된 상기 봉 내지 브러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봉은 대, 로프는 와이어, 봉 같은 바, 철선 같은 와이어, 바 구비 와이어, 돌기 구비 스프링 등이 해당된다.
상기 이송수단(400)은 a) 벨트, 체인, 차량, 트럭, 스크류, 나선체, 컨베이어(400), 이송벨트, 회전수단, 이송수단, 이송스크류, 이송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컨베이어벨트, 회전벨트, 회전스크류, 물질이송수단, 폐기물이송수단, 회전컨베이어, 회전벨트컨베이어, 회전컨베이어벨트, conveyer, belt conveyer, conveyer belt; b) 자신 또는 이의 상부에 놓여진 물질을 이송시키는 수단,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c) 물질을 이송, 배출, 혼합, 교반, 교반이송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d) 자신이 회전하면서 물질을 이송, 배출, 혼합, 교반, 교반이송 중 하나 이상을 하는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e) 양단의 롤러 또는 회전기를 포함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 롤러 또는 회전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 및 중간 회전체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양단의 롤러 또는 회전기를 지나는 궤적으로 회전하는 벨트 내지 conveyer belt; f) 또는 돌기, 갈퀴 등(420)이 구비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400), 표면에 돌기 또는 갈퀴(420)가 구비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400); g) 일정의 길이를 가진 통, 원통, 반원통 등에 내재된 상기 벨트 내지 conveyer belt, 특히 스크류; h) 원통 또는 반원통 등에 내재되어 원통 또는 반원통 등을 통과하는 물질을 교반시키면서 이송시키는 스크류, 회전스크류;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구멍, 부호 101 등은 홀, 구멍, 슬롯, 절개부, 오픈부, 천공부, 타공부, 유공부 등이 해당된다. b) 상기 직경은 직경, 공칭직경, 원형의 형상으로 변환할 시의 직경 또는 공칭직경 등도 해당된다. c) 상기 하우징, 케이스, 중공체 등(38, 76)은 조, 통, 함, 카바, 덮개, 탱크, 박스, 튜브, 호스, 가두리, 하우징, 하우스, 케이스, 파이프, 중공체, 중공관, 중공통, 상하오픈 중공통, 좌우오픈 중공통 등이 해당된다. d) 상기 모터, 회전수단 등(26)은 휠, 모터, 롤러, 회전체, 회전수단, motor, 전기모터, 회전모터, 회전롤러, 동력회전수단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톡, 디톡스 등은 해독, 제독, 소독, 살균, 제균, 멸균, 항균, 디톡, 디톡스, 독제거, detox, detoxification, detoxification약어 등을 나타낸다. 상기 디톡제는 디톡제, 디톡스제, 해독제, 멸균제, 살균제, 소독제,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티탄제는 티탄, 촉매, 티타늄, 티탄제, 광촉매,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피톤제는 피톤제, 피톤치드, 피톤치드수, 피톤치드액,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이 해당된다. 상기 디톡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등은 a) 살균기, 소독기, 해독기, 제독기, 디톡기, 멸균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b) 또는 디톡제, 디톡스제, 해독제, 멸균제, 살균제, 소독제, 이중 하나 이상 함유제 등을 조제, 조성, 형성, 발생, 생성, 공급, 제공, 주입, 분사, 분무, 코팅, 도장 등을 하는 기, 기기, 기구, 장치, 키트, 디톡기, 디톡스기, 디톡키트, 디톡스키트 등이 해당된다.
상기 분진, 먼지 등은 분진, 먼지, 티끌, 粉塵, dust, 부유물, 미세먼지, 미세분진, 공기 중 부유물, 미세한 고체입자, 150㎛ 이하의 입자, 공기 또는 가스 속에 존재하는 고체미립자, 0.01∼100μm의 입자, 대기 중에 부유하거나 비산강하(飛散降下)하는 미세한 고체상의 입자상 물질,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 50μm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 등이 해당된다. 상기 PM10은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이다. 상기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의 크기의 미세먼지이다. 통상의 미세먼지는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 질산염 등)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 검댕 등과 흙먼지, 폐기물 등에서 생기는 광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용, 구비, 방사, 거치 등은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방사, 放射, 거치, 주입, 설치, 장착, 정착, 부착, 존치, 위치, 발현, 발생, 발사, 發射, 조사, 照射, 비침, 비춤, 공급, 제공, 생성, 조성, 형성, 시행, 실시, 진행, 주입, 注入, 투입, 유입, 분사, 분무, 분출, 배출, 함유, 포함, 침지, 침전, 훈증, 수침, 증착, 인가, 허가 등이 해당된다. 이의 적용 예로는 자화 발현, 진동 발생, 가진 조성, 오존 방사, 음이온 형성, 자화기 구비, 진동기 거치, 가진기 장착, 오존기 부착, 음이온기 존치, 자화물 주입, 진동물 포함, 가진물 유입, 오존물 인가, 음이온물 분사, 복합 적용, 복합기 이용, 복합물 발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함유, 포함 등은 a) 함유, 포함, 혼합, 혼입, 이용, 구성, 구비; b) 일정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한 일정의 중량부 등이 함유, 포함, 혼합, 혼입, 이용, 구성, 구비; c) 0.001, 0.01, 1, 5, 10, 20, 25, 50, 75, 80, 90, 1∼99, 100, 10^(-10)∼10^(10), 10의 -10승 내지 10의 10승 등의 %, 중량부, 체적부, 중량%, 체적%, 배, 배수 등이 함유, 포함, 혼합, 혼입, 이용, 구성, 구비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함유 또는 포함이 0.01배 포함, 5% 함유, 10중량부 포함, 20체적부 주입, 25중량% 투입, 50체적% 혼입, 1∼99% 투입, 1∼99배 투입 등이 해당된다.
상기 함유, 포함 등에 있어서 제시된 함유, 포함 등이 100%, 100중량%, 100체적%, 100중량부, 100체적부 등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을 채우기 위하여 다른 물질, 기타 물질, 상기 a 이외의 b 내지 기타 등이 함유, 포함, 혼합, 혼입, 삽입, 투입, 추가, 첨가, 가미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a 함유 z, a 포함 z 등에 있어서 a가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이 되지 않는 경우 a 이외에 상기 b 내지 기타 등이 함유 내지 가미 등을 하여 상기 100% 내지 100체적부 등을 만족하는 z가 되도록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상기 b 내지 기타 등은 어떤 물질, 재료, 원소, 소재, 성분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수치, 규격, 크기, %, 중량부 등은 해당 사항, 조건, 환경, 물질, 물체 등에 대한 적정치, 최적치, 평균치, 최고치, 최저치, 임의치, 공칭치 등이 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에서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하나 이상', '둘 이상' 등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이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이의 예를 들면 'a, b, c, d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c, d 중 둘 이상' 등에 있어서 상기 a, b, c, d 각각의 함량, 구성비, 성분비 등은 각각 0∼100 %, 중량부, 중량%, 체적% 등이 된다. 이의 예를 들면 a, b, c, d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c, d 중 둘 이상 등은 a 90%와 b 10%, a 80중량%와 b 20중량%, a 90%와 b 10%, a 70체적%와 b 30체적%, a 70%와 b 10%와 c 20%, a 40중량%와 b 40중량%와 c 20중량%, a 60%와 b 20%와 c 10%와 d 10%, a 10중량부와 b 70중량부와 c 10중량부와 d 10중량부 등으로, 어떠한 형태의 구성비도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 내지 등은 ∼, 내지, ∼부터 ∼까지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 d, a 내지 d 등은 a ∼ d, a 내지 d, a부터 d까지, 즉 a, b, c,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 등은 ∼ 등, ∼ 등등, ∼ 중 하나, ∼ 중 하나 이상, ∼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등의 경우 1) a, b, c, d 등; 2) a, b, c, d 중 하나; 3) a, b, c, d 중 하나 이상; 4) a, b, c, d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컴마, 반점, comma, , 또는 세미콜론, 쌍반점, semicolon, ; 등은 용어, 단어, 단락, 어구, 문장, 내용, 물질, 물체, 장비, 2개 이상 나열된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의 구분, 구별, 쉼표, 따옴표, 묶음표, 마침표, 개별 구분, 각자 구분, 구분 나열, 나열 구분, 구분 나열 표시, 나열 구분 표시, 개별 구분 표시, 끊어 읽을 부분, 서로 다른 구분 표시, 서로 다른 개별 표시, 나열을 구분하는 표시, 2개 이상 나열을 각각 구분하는 표시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는 두개 이상의 ,를 그룹으로 구분하는 표시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e, f; g, h, i; 의 경우 이는 a, b, c 중 하나 이상의 그룹; d, e, f 중 하나 이상의 그룹; g, h, i 중 하나 이상의 그룹;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컴마, 반점, comma, , 또는 세미콜론, 쌍반점, semicolon, ; 등으로 나열되는 2개 이상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에서 1개 이상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을 선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당초의 상기 용어 내지 장비 등을 가감, 축소, 확대, 확장 등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e, f; g, h, i;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물질에서 상기 a, 상기 a와 e, 상기 a와 e와 h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기 a, b, c; d, e, f; g, h, i;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물질을 가감, 축소, 확대, 확장 등을 하지 않는 것이 된다. 상기는 원출원의 내용을 보정할 때, 원출원을 분할출원 할때, 또는 의견제출통지서, 거절결정서 등에 대한 보정서, 의견서 등의 작성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은 등, 하나, 둘 이상, 중 하나 이상,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등은 a, b, c, d, a와 b, a와 c, a와 d, b와 c, b와 d, c와 d, a와 b와 c, a와 b와 d, b와 c와 d, a와 b와 c와 d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구비, 구성, 거치, 포함 등은 a) 구비, 구성, 마련, 거치, 설치, 위치, 존치, 정착, 장착, 부착, 접착, 점착, 밀착, 압착, 처리, 처치 이용, 사용, 적용, 활용, 응용, 병용, 함유, 포함, 혼합, 배합, 매입, 투입, 삽입, 연계, 연결, 체결, 병합, 합체, 끼움, 내재, 내장, 외장, 조임, 밴딩, 묶음, 끼움, 조립, 조합, 연합, 관련, 관계, 형성, 조성, 완성; b) 또는 해당되는 전체, 부분, 일부, 일부분, 전체의 부분, 전체의 일부, 전체 중 부분, 전체 중 일부, 전체의 50%, 전체의 1∼99% 등이 상기 구비 내지 완성; 등이 해당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0 : 기능기 31 : 자화기 32 : 진동기
33 : 가진기 34 : 오존기 35 : 음이온기
36 : 복합기 40 : 기능물 41 : 자화물
42 : 진동물 43 : 가진물 44 : 오존물
45 : 음이온물 46 : 복합물 50, 51 : 펄스기
310 : 처리, 처리기 311 : 투입, 호퍼 312 : 선별, 선별기
313 : 파쇄, 파쇄기 314 : 박리, 박리기 315 : 세척, 세척기
316 : 탈수, 탈수기 317 : 건조, 건조기 318 : 분급, 분급기
319 : 분해, 분해기 320 : 소각, 소각기 321 : 매립, 매립기
322 : 펠렛화, 펠렛화기 323 : 집진, 집진기

Claims (1)

  1. 폐기물, 폐자재, 슬러지, 부산물, 골재, 토사, 암석 중 하나의 물질을 처리하는 장비로서,
    상기 장비는 물질이 투입되는 호퍼, 이로 투입된 물질을 선별하는 스크린선별기, 상기 물질을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선별하는 수조선별기, 상기 선별된 물질을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파쇄된 물질에서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 상기 자력선별기를 거친 물질에서 경량물 또는 가연물을 제거하는 풍력선별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세척하는 세척기, 상기 투입 또는 파쇄된 물질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기, 상기 선별 또는 탈수된 물질을 건조하는 건조기, 상기 선별 또는 파쇄된 물질을 2종 이상의 크기별로 분리하는 분급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소각하는 소각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무기물을 매립하는 매립기, 상기 물질에서 분리된 가연물을 용융하는 용융기, 상기 물질 또는 용융 물질을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물질 또는 성형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하여 조성된 펠렛을 저장하는 저장고, 상기 호퍼 내지 저장고 중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처리하는 집진기 로 구성되고,
    상기 장비에 펄스기가 구비되고,
    상기 펄스기는 a) 자기장이 발생되는 중공형 자화기; b) 상기 자화기의 전단에 구비된 유입구; c) 상기 자화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티이관, 제1벤츄리관, 유출구; d) 상기 티이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체크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벤츄리관, 압기유입구, 압기(壓氣)를 생성하는 콤프레서; e) 상기 제1벤츄리관의 중간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인젝터, 제2체크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오존유입구, 오존깔대기, 오존발생기; f) 상기 오존발생기에 고전압을 가하는 고전압발생기; g) 상기 유입구의 전단에 구비된 제1호스; 상기 유출구의 후단에 구비된 제2호스; h) 상기 유입구와 자화기의 사이에 구비된 제1엘보관; 상기 자화기와 티이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2엘보관; i) 상기 티이관과 제1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1파이프; 상기 제1벤츄리관과 유출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2파이프; j)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3파이프;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벤츄리관의 사이에 구비된 제4파이프; 상기 제2벤츄리관과 압기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5파이프; k) 상기 인젝터와 제2체크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6파이프; 상기 제2체크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사이에 구비된 제7파이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오존유입구의 사이에 구비된 제8파이프; ℓ)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간격을 조정하는 타이머; m) 상기 제1체크밸브, 제2체크밸브,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오존발생기, 고전압발생기 중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전기의 공급을 컨트롤하는 스위치; n) 상기 a) 자화기 내지 m) 스위치가 거치되는 케이스; 가 구비된 펄스기이고,
    상기 유입구로 물질'이 유입되고,
    상기 유출구로 상기 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물질'이 상기 처리에 이용되고,
    상기 장비에서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물, 음이온물, 전해물, 방전물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을 위하여 상기 장비 또는 펄스기에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전해기, 방전기가 순차적으로 거치되고,
    상기 자화기에서 상기 자화물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기에서 상기 진동물이 발생되고,
    상기 가진기에서 상기 가진물이 발생되고,
    상기 오존기에서 상기 오존물이 발생되고,
    상기 음이온기에서 상기 음이온물이 발생되고,
    상기 전해기에서 상기 전해물이 발생되고,
    상기 방전기에서 상기 방전물이 발생되고,
    상기 장비에서 살균광, 소독광, LED광이 방사되고,
    상기 방사를 위하여 a) 상기 자화기에 살균기, 상기 가진기에 소독기, 상기 음이온기에 광원기가 각각 장착되거나, b) 또는 상기 펄스기에 살균기, 소독기, 광원기가 순차적으로 장착되거나, c) 또는 상기 호퍼에 살균기, 상기 스크린선별기에 소독기, 상기 파쇄기에 광원기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살균기에서 상기 살균광이 방사되고,
    상기 소독기에서 상기 소독광이 방사되고,
    상기 광원기에서 상기 LED광이 방사되고,
    상기 호퍼는 내부에 경사스크린과 하부에 배출판이 구비되면서 오존이 발생되는 호퍼이고,
    상기 오존은 상기 호퍼를 통과하는 물질을 살균하고,
    상기 스크린선별기는 스크린과 이의 하부에 팬이 구비된 선별기이고,
    상기 수조선별기는 수조에 물과 버블이 투입되는 선별기이고,
    상기 풍력선별기는 팬의 송풍공기와 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동시에 부는 송풍기이고,
    상기 자력선별기는 외주에 자석이 구비된 회전체이고,
    상기 파쇄기는 죠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로 구성되고,
    상기 파쇄기에 상기 물질의 pH를 저감시키는 pH저감제가 투입되고,
    상기 세척기는 상기 물질이 이송되는 경사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 거치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노즐, 상기 노즐에 구비된 확장부, 상기 노즐 또는 파이프에 연결된 물 공급 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노즐의 선단에 형성된 확장부로서 상기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질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탈수기는 2개 이상의 필터가 이웃하여 구비된 필터프레스, 벨트에 물질이 투입된 후 가압되어 탈수가 되는 벨트프레스 중 하나이고,
    상기 건조기는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화건조기이고,
    상기 분급기는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분급기이고,
    상기 분해기는 용기, 이 용기의 내부에 상호 이격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이온막, 상기 양극과 음극에 연결된 전선, 이 전선에 연계된 전원공급기, 상기 용기에 장착된 히터, 상기 용기의 물질 투입구, 상기 용기의 유출구, 상기 용기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급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각기는 노(爐), 상기 노(爐)에 형성된 물질 투입구, 상기 노(爐)의 내부에 있으면서 소각대상이 놓이는 화격자(火格子), 상기 화격자의 상부에 있으면서 물질을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있으면서 소각재를 모으는 깔대기 모양의 호퍼(hopper),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장치, 상기 연소실 상부에 구비된 보일러관, 상기 보일러관으로부터 소각열을 공급받아 증기를 발생하는 증기발생기,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증기터빈, 상기 증기터빈의 회전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로 구성되고,
    상기 매립기는 매립물을 덤핑하는 트럭, 매립물을 펼치는 도져, 매립물을 다지는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용융기는 물질을 용융, 회전, 교반, 배출시키는 용융기이고,
    상기 성형기는 상기 용융기에서 용융된 용융물을 펠렛형상으로 성형하는 기기이고,
    상기 절단기는 상기 성형기에서 연속 배출되는 성형물을 일정한 길이의 펠렛으로 절단하는 기기이고,
    상기 집진기는 광촉매 코팅되고 광원기가 장착된 집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비, 방법, 장비, 방법, 장비, 방법, 장비, 방법, ??????????????
    ??????????????????????????
KR1020230008619A 2020-07-01 2023-01-20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20230024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619A KR20230024929A (ko) 2020-07-01 2023-01-20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89726A KR20230107783A (ko) 2020-07-01 2023-07-1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06A KR20220003679A (ko) 2020-07-01 2020-07-0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08619A KR20230024929A (ko) 2020-07-01 2023-01-20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06A Division KR20220003679A (ko) 2020-07-01 2020-07-0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726A Division KR20230107783A (ko) 2020-07-01 2023-07-1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929A true KR20230024929A (ko) 2023-02-21

Family

ID=79355402

Famil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06A KR20220003679A (ko) 2020-07-01 2020-07-0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20068964A KR20220079808A (ko) 2020-07-01 2022-06-0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20068975A KR20220079809A (ko) 2020-07-01 2022-06-0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08619A KR20230024929A (ko) 2020-07-01 2023-01-20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28558A KR20230037022A (ko) 2020-07-01 2023-03-03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28536A KR102602042B1 (ko) 2020-07-01 2023-03-03 폐기물,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장비, 선별기, 풍력선별기
KR1020230040351A KR20230047349A (ko) 2020-07-01 2023-03-28 폐기물, 슬러지, 부산물, 음식물,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집진, 처리, 펠렛화, 재활용 방법 및 장비
KR1020230089726A KR20230107783A (ko) 2020-07-01 2023-07-1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0534A KR20230110469A (ko) 2020-07-01 2023-07-12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1640A KR20230110698A (ko) 2020-07-01 2023-07-14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2144A KR20230112099A (ko) 2020-07-01 2023-07-1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102268A KR20230119095A (ko) 2020-07-01 2023-08-04 폐기물, 부산물, 음식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물질의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집진, 처리, 자원화, 연료화, 펠렛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40047239A KR20240051100A (ko) 2020-07-01 2024-04-08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40047247A KR20240049793A (ko) 2020-07-01 2024-04-08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06A KR20220003679A (ko) 2020-07-01 2020-07-0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20068964A KR20220079808A (ko) 2020-07-01 2022-06-0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20068975A KR20220079809A (ko) 2020-07-01 2022-06-0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58A KR20230037022A (ko) 2020-07-01 2023-03-03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28536A KR102602042B1 (ko) 2020-07-01 2023-03-03 폐기물,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장비, 선별기, 풍력선별기
KR1020230040351A KR20230047349A (ko) 2020-07-01 2023-03-28 폐기물, 슬러지, 부산물, 음식물,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집진, 처리, 펠렛화, 재활용 방법 및 장비
KR1020230089726A KR20230107783A (ko) 2020-07-01 2023-07-11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0534A KR20230110469A (ko) 2020-07-01 2023-07-12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1640A KR20230110698A (ko) 2020-07-01 2023-07-14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092144A KR20230112099A (ko) 2020-07-01 2023-07-17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30102268A KR20230119095A (ko) 2020-07-01 2023-08-04 폐기물, 부산물, 음식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물질의 선별, 파쇄, 세척, 탈수, 소각, 매립, 집진, 처리, 자원화, 연료화, 펠렛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40047239A KR20240051100A (ko) 2020-07-01 2024-04-08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1020240047247A KR20240049793A (ko) 2020-07-01 2024-04-08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4) KR202200036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1184B2 (en) 2014-09-19 2017-02-07 Velico Medic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stage drying of plasma
CN114602649B (zh) * 2022-03-15 2024-03-26 鞍钢集团北京研究院有限公司 基于风重磁复合力场的磁选以及方法
KR102420717B1 (ko) * 2022-03-25 2022-07-19 주식회사 동일 알앤이 MgO계 폐내화물 재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CN114535268B (zh) * 2022-03-30 2023-07-14 宁波绿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渣土回收处理方法及其回收处理系统
CN115403243B (zh) * 2022-05-06 2023-11-17 浙江同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泥处理系统
CN115155787B (zh) * 2022-07-07 2024-03-15 淄博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小麦育种选种装置
CN115351045B (zh) * 2022-08-29 2023-08-04 广东福利龙复合肥有限公司 有机物料空间多层静态好氧发酵系统及其发酵方法
US11975274B2 (en) 2022-09-15 2024-05-07 Velico Medical, Inc. Blood plasma product
US11841189B1 (en) 2022-09-15 2023-12-12 Velico Medical, Inc. Disposable for a spray drying system
CN115430250B (zh) * 2022-09-28 2024-02-27 袁势鹏 一种烟气净化环保设备
CN115959809A (zh) * 2022-12-28 2023-04-14 浙江筑微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污泥处理的实验和检测方法
CN116116041B (zh) * 2023-01-09 2023-10-20 哈尔滨商业大学 药用真菌提取纯化设备及方法
KR102573670B1 (ko) * 2023-03-06 2023-08-31 강동진 순환골재 제조 방법
CN116444030B (zh) * 2023-06-17 2023-10-31 山东中侨启迪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地埋式sbr污水处理装置
CN116809588B (zh) * 2023-07-03 2023-12-26 连云港华昌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羽毛蛋白提取的残渣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16899912B (zh) * 2023-09-12 2023-11-14 山东东铁铸锻有限公司 一种研磨棒筛选输送线
CN117259383B (zh) * 2023-10-30 2024-05-17 河南理工大学 一种有机固体废弃物处理工艺
CN117248996B (zh) * 2023-11-17 2024-01-09 山东比沃斯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柴油发电机组污垢处理设备
CN117379901B (zh) * 2023-11-20 2024-05-10 湖南金雕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过滤沉淀功能的节能高效除尘塔
CN117774177B (zh) * 2024-02-23 2024-05-28 江苏田园主义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淀粉基多孔材料的制备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56B1 (ko) * 2005-09-02 2008-10-13 (주)지오프리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KR20070011640A (ko) * 2007-01-04 2007-01-24 조명현 난분해성 및 고농도 오,폐수 정화장치
KR20100036129A (ko) * 2008-09-29 2010-04-07 이주형 폐기물복합처리장치
KR20120119485A (ko) * 2011-04-21 2012-10-31 이주형 고품질의 순환골재 및 가연물을 취득하기 위한 에코형 건설폐기물 재활용 처리 방법
JP2014023988A (ja) * 2012-07-25 2014-02-06 Yoshikawa Kikai Kogyo Kk 紙おむつ処理装置
CN108927272B (zh) * 2018-06-14 2021-02-23 颜彦 一种可去除铁屑的餐厨垃圾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698A (ko) 2023-07-25
KR20220003679A (ko) 2022-01-11
KR20230119095A (ko) 2023-08-16
KR20230107783A (ko) 2023-07-18
KR20230047349A (ko) 2023-04-07
KR20230110469A (ko) 2023-07-24
KR20240049793A (ko) 2024-04-17
KR20230037022A (ko) 2023-03-15
KR20240051100A (ko) 2024-04-19
KR20230037020A (ko) 2023-03-15
KR20230112099A (ko) 2023-07-26
KR20220079808A (ko) 2022-06-14
KR102602042B1 (ko) 2023-11-23
KR20220079809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24929A (ko) 폐기물, 슬러지, 골재, 토사, 암석, 물질의 선별, 파쇄, 탈수, 소각, 매립, 처리, 자원화, 연료화, 재활용 장비 및 방법
KR20240034710A (ko) 청소,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정수, 살균, 소독, 숏팅, 도장, 처리하는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KR101475137B1 (ko) 에코그린형 전처리, 선별처리 및 선별물의 재처리 및 재활용 방법
KR101564853B1 (ko) 전해형 습식선별기를 적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KR20230079342A (ko)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세척기, 세정기, 청소기, 분사기, 샤워기, 집진기, 선별기, 처리기, 환기시설, 스프링클러
KR20220086528A (ko) 기초, 파일, 피어, 자재, 재료, 장비, 드론, 시설, 수단
KR102426396B1 (ko) 진동기, 자화진동기, 오존진동기, 음이온진동기, 콘크리트진동기 및 이의 이용 공사 방법
CN108971189A (zh) 一种复杂成分建筑垃圾处理系统
CN111872075B (zh) 环保节能的垃圾处理方法
KR102641100B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102610194B1 (ko) 폐기물처리 및 순환골재생산 시스템
KR20210049064A (ko) 드론, 비행체, 부유체, 비행수단 및 이에 의한 청정, 정화, 소독, 살균, 청소, 분사, 살수, 집진, 처리, 크리닝 방법
CN111872078B (zh) 高效的垃圾灭菌杀毒分类处理方法
CN111872076B (zh) 城市垃圾无害化处理方法
KR20210049061A (ko) 선별기, 분리기, 파쇄기, 처리기, 송풍기, 청정기
KR20210049065A (ko) 드론, 차량형 드론, 드론형 차량, 탑재형 드론, 정화형 드론
CN104275340A (zh) 垃圾水洗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