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100B1 -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100B1
KR102641100B1 KR1020230128689A KR20230128689A KR102641100B1 KR 102641100 B1 KR102641100 B1 KR 102641100B1 KR 1020230128689 A KR1020230128689 A KR 1020230128689A KR 20230128689 A KR20230128689 A KR 20230128689A KR 102641100 B1 KR102641100 B1 KR 10264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arrel
nozzle
outle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오
황윤남
Original Assignee
(주)대주개발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주개발, 주식회사 금송산업개발,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대주개발
Priority to KR102023012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텍스링, 벤츄리, 사이클론, 통노즐, 윈드터널, 송풍기, 풍력기, 다단풍력기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혼합폐기물 등을 선별, 파쇄, 분리, 자원화, 재활용 등으로 처리하고 토사, 석분, 골재 등을 생산하는 장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장치{Waste separator}
본 발명은 폐기물,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혼합폐기물 등의 선별, 파쇄, 분리, 분쇄, 마쇄, 박리 등과 관련되는 장치, 장비, 기구, 방법, 공법, 보텍스링, 벤츄리, 사이클론, 윈드터널, 다단풍력기 등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나 산업의 활동에 따라 폐기물, 부산물, 폐자재, 슬러지, 토사 등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의 발생량은 인구증가, 산업발달 등에 따라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슬러지 등의 처리가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자연보호, 오염방지, 민원, 님비현상 등에 의하여 매립장 조성 어려움, 소각장 조성 어려움, 해양투기 금지 등이 되어 폐기물, 슬러지 등의 처리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 슬러지,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등을 하나의 자원으로 생각하고, 이들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의거하여 폐기물 재활용에 관한 법규 등이 제정되고, 폐기물 재활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의 의무화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폐기물, 슬러지 등을 자원화,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선별, 파쇄, 탈수, 처리 등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선별기술, 파쇄기술, 탈수기술, 처리기술 등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선별, 파쇄, 탈수, 처리 등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 슬러지,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등의 선별, 파쇄, 처리, 자원화, 재활용 등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특히 다단풍력기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선별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보텍스링, 벤츄리, 사이클론, 통노즐, 윈드터널, 다단풍력기; b) 이들이 포함되는 폐기물 처리시설, 장치; c) 이를 이용하여 폐기물, 슬러지,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 등을 선별, 파쇄, 분리, 자원화, 재활용 등으로 처리하는 장치, 방법; 등을 고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텍스링 내지 다단풍력기; 이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기구, 장치, 장비, 선별기, 파쇄기, 처리기;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부산물, 폐자재, 슬러지, 순환토사, 순환골재 등의 선별, 분리, 파쇄, 분쇄, 자원화, 몰탈제거, 분진제거, 수분제거, 시멘트제거, 이물질제거 등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제1노즐을 통한 정상류 바람, 제2노즐을 통한 보텍스류 바람을 폐기물에 송풍하여 경량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다단풍력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측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2,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정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5, 6, 7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상세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텍스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9,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텍스체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방향, 압력, 속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11, 12, 13, 14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보텍스링, 벤츄리, 사이클론, 윈드터널, 다단풍력기가 포함되는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텍스링은 보텍스체가 된다. 본 발명은 제1풍력기(101)인 팬(6), 토출구(7), 제1노즐(70) 등을 통한 정상류 바람(11, steady wind)과 제2풍력기(102)인 팬(6), 토출구(8), 보텍스체(20), 벤츄리(40, 50), 사이클론(60), 제2노즐(80) 등을 통한 보텍스류 바람(12, votex wind)의 2종류 바람을 폐기물(110)에 송풍하여 경량물(120)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다단풍력기(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폐기물, 쓰레기, waste, 슬러지, 건설폐기물, 건축폐기물, 산업폐기물, 콘크리트폐기물, 건설현장 폐기물; b) 이중 하나의 투입, input, 피딩, feeding, 파쇄, crushinr, 선별, separation, 분리, 처리, treatment, 입자파쇄, 이물질선별, 경량물분리, 크기파쇄, 입도선별, 입도분리, 1차파쇄, 1차선별, 1차분리, 2차파쇄, 2차선별, 2차분리, 3차파쇄, 3차선별, 3차분리; c) 상기 중 하나를 하는 호퍼, hopper, 투입기, 피더, feeder, 피딩기, 파쇄기, crusher, 선별기, separator, 분리기, 처리기, treater, 1차파쇄기, 1차선별기, 1차분리기, 2차파쇄기, 2차선별기, 2차분리기, 크러셔, 죠크러셔, jawcrusher, 더블죠크러셔, dounle jawcrusher, 콘크러셔, concrusher, 풍력선별기, wind power separator, 건식선별기, dry type separator, 수선별기, 습식선별기, wet type separator, 비중선별기, 자력선별기, 인력선별,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 d)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토사, 골재,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 토사, 재활용 골재 등을 생산, 등으로 재활용; e)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하는 또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방법, 공법, 파쇄장치, 파쇄장비, 파쇄시설, 파쇄시스템, 파쇄방법, 파쇄공법, 선별장치, 선별장비, 선별시설, 선별시스템, 선별방법, 선별공법, 처리장치, 처리장비, 처리시설, 처리시스템, 처리방법, 처리공법; f)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생산 또는 순환 또는 재활용되는 토사, 골재,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 토사, 재활용 골재; g)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장치, 복합재, 복합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폐기물 내지 건설현장 폐기물 등은 상기 호퍼 내지 복합 등에 의하여 상기 투입 내지 복합 등이 되어 처리되거나, 또는 토사, 골재,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 토사, 재활용 골재 등으로 생산되거나, 또는 등으로 재활용된다. 상기 처리는 상기 투입 내지 3차분리 등이 해당되고, 상기 처리기는 상기 호퍼 내지 진동스크린선별기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퍼 내지 복합 등에 의하여 폐기물을 처리하거나 또는 폐기물에서 목재, 섬유, 종이, 금속, 이물질, 가연물 등을 선별, 분리, 제거 등을 하여 토사, 석분, 골재, 잔골재, 굵은골재 등을 생산 또는 재활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목재, 섬유, 종이, 금속, 가연물, 토사, 석분, 골재, 잔골재, 굵은골재 등은 재활용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슬러지 등은 폐기물, 부산물, 오니, 폐액, 슬러지, 음식물, 음폐수, 폐자재, 폐가전, 폐촉매, 폐시멘트, 폐콘크리트, 폐차, 폐가구, 폐자동차, 폐전기제품, 폐전자제품, 지정폐기물, 건설폐기물, 생활폐기물, 도시폐기물, 해체폐기물, 사업자폐기물, 유기성폐기물, 무기성폐기물, 건설슬러지, 수처리슬러지, 유기성슬러지, 무기성슬러지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폐기물은 상기 투입 내지 복합 등의 과정을 거쳐 크게 무기물, 유기물, 가연물 등으로 선별, 분리, 구분, 처리 등이 된다. 상기 무기물은 토사, 골재, 광물, 금속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토사에는 흙, 토사, 토석, 순환토사 등이 포함된다. 골재에는 모래, 자갈, 쇄사, 쇄석, 순환골재 등이 포함된다. 금속에는 철, 동, 납, 구리, 아연, 금속, 비금속, 귀금속, 희유금속, 휘귀금속, 비철금속, 알루미늄 등이 포함된다. 가연물은 종이, 목재, 섬유, 유기물, 가연물, 경량물 등이 포함되고, 이는 연료 또는 펠렛의 원료가 된다. 상기 유기물, 가연물, 경량물 등은 용융, 성형, 절단 등의 펠렛화 과정을 통하여 고형연료의 하나인 펠렛이 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토사, 골재, 광물, 모래, 자갈 등에는 이물질이 포함되고, 이는 선별, 분리, 풍력선별, 수조선별 등을 통하여 제거되어 고급의 상기 무기물 내지 자갈 등으로 조성되거나, 이의 재활용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경량물이나 이물질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매우 작은 종이, 목재, 섬유, 금속, 경량물, 유기물, 이물질, 유기이물질, 무기이물질 등이 포함된다. 폐기물로부터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금속 등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매우 작은 불순물인 이물질이나 경량물의 제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폐기물에서 양질의 토사, 석분, 골재, 잔골재, 굵은골재 등을 얻기 위해서는 폐기물에서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등의 선별, 분리가, 제거가 필요하다. 상기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등은 솜, 종이, 나무, 목재, 비닐, 섬유, 직포, 부직포, 이물질, 경량물, 가연물, 부유물, 지푸라기 등이 해당된다. 폐기물에서 얻어진 토사, 석분, 골재 등은 폐기물이 순환, 재활용, 리사이클링, recycling 등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순환토사, 순환석분, 순환골재, 재활용토사, 재활용석분, 재활용골재 등이라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선별기, 선별장치, 풍력선별기(100), 다단풍력선별기(100), 제1풍력선별기(101), 제2풍력선별기(102), 풍력선별장치(100), 건식선별기(100), 건식선별장치(100), 폐기물 선별기, 폐기물 선별장치, 폐기물(110)을 선별하는 선별기(100), 폐기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폐기물(100)을 바람이나 풍력(11, 12)으로 선별하는 선별기(100), 폐기물(110)을 바람이나 풍력(11, 12)으로 선별하는 선별장치(100), 선별에 의하여 순환골재생산 장치, 폐기물의 선별에 의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폐기물(100)에서 경량물(120)이나 이물질(120)을 선별하여 순환골재(130)를 생산하는 장치, 폐기물에서 경량물이나 이물질을 선별하여 잔존되는 순환골재(130)를 생산하는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선별기 내지 장치 등에는 보텍스체(20), 보텍스틀(20), 보텍스링(20), 보텍스통(20), votex body, votex form, votex mold, votex ring, votex module, votex frame, 와류체, 와류틀, 와류링, 와류통, 회오리체, 회오리틀, 회오리링, 회오리통, 소용돌이체, 소용돌이틀, 소용돌이링, 소용돌이통, 와류 또는 회오리 또는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체 또는 틀 또는 링 또는 통, 와류 또는 회오리 또는 소용돌이를 발생하는 체 또는 틀 또는 링 또는 통 등(20)이 구비된다. 상기 보텍스체(20)에서 보텍스는 보텍스, votex, 와류, 회오리, 소용돌이 등이 해당되고, 체는 체, 體, 틀, 링, 통, 막, 판, 시트, 바디, body, form, module, mold, ring, frame 등이 해당된다. 상기 보텍스체 또는 보텍스링은 상기 보텍스체 내지 소용돌이통 등이 가능하다. 상기 보텍스체 내지 소용돌이통 등으로는 바람, 공기, 물질, 유체, 물체 등이 통과되고, 상기 통과되는 바람, 공기, 물질, 유체, 물체 등이 와류, 보텍스, votex, 와류, 회오리, 소용돌리, 케비테이션, cav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통과되는 바람, 공기, 물질, 유체, 물체 등에 상기 와류 내지 cav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보텍스체 내지 소용돌이통 등에 상기 와류 내지 cavation 등의 현상이 생성된다.
상기 보텍스체(20)는 자신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거치된 내부 중공, 통, 원통, 둥근통, 사각통, 다각통, 내부 중공 통, 내부 중공 원통, 내부 중공 둥근통, 내부 중공 사각통, 내부 중공 다각통 등의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로 구성된다. 상기 보텍스체는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가 상호 이격되어 4중으로 구성되는 4중체, 4重體, 다중체, 多重體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에서 체는 체, 體, 틀, 링, 통, 막, 판, 시트, 바디, body, form, module, mold, ring, frame 등이 해당된다. 이중에서 링이 우선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상기 보텍스체는 제1링, 제2링, 제3링, 제4링이 상호 이격되어 4링으로 구성되는 4중링, 4重링, 다중링, 多重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텍스체에서 보텍스는 보텍스체 자신을 통과하는 바람이 또는 보텍스체를 구성하는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및 이들의 사이, 중공부 등을 통과하는 바람이 상기 와류 내지 cavation 등이 되기 때문에 상기 와류 내지 cavation 등을 나타내는 또는 대표하는 보텍스에서 유래된 것이다.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의 내경, 외경, 직경, 크기, 길이, 연장, 폭, 두께, 가로, 세로, 규모, 크기, 체적, 면적, 사이즈, 간격, 사이 간격, 상호 간격, 중공부, 사이 중공부, 상호 중공부 등은 동일, 차등, 차이, 상이, 순차적으로 차이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제1체의 내경 10cm, 제2체의 내경 11cm, 제3체의 내경 20cm, 제4체의 내경 30cm, 제1체의 길이 5cm, 제2체의 길이 7cm, 제3체의 길이 10cm, 제4체의 길이 30cm, 제1체와 제2체 사이의 간격 0.5cm, 제2체와 제3체 사이의 간격 4.5cm, 제3체와 제4체 사이의 간격 5cm, 제1체와 제2체 사이의 중공부 폭 0.5cm, 제2체와 제3체 사이의 중공부 폭 4.5cm, 제3체와 제4체 사이의 중공부 폭 5cm 등이다. 상기에서 10, 11, 20, 30, 5, 7, 10, 30, 0.5, 4.5, 5 등의 크기 또는 수치는 상수, 기수, 임의수, 자유수, 1∼100, 1∼1000, 1∼10000 등으로 대치가 가능하고, cm는 m, mm, nm, μm 등으로 대치가 가능하다.
상기 제1체(21)의 외부 또는 외면에 이격되어 상기 제2체(22)가 또는 상기 제2체의 내면이 거치되고, 상기 제2체(22)의 외부 또는 외면에 이격되어 상기 제3체(23)가 또는 상기 제3체의 내면이 거치되고, 상기 제3체(23)의 외부 또는 외면에 이격되어 상기 제4체(24)가 또는 상기 제4체의 내면이 거치된다. 상기 이격되는 부위에는 공간, 공벽, 사이, 중공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21)의 내부(27)에 중공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중공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와 제3체의 사이에 중공부(29)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와 제4체의 사이에 중공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의 내부 또는 내면에 중공부(27, 28, 29, 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21)의 내부(27)에 중공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와 또는 상기 제1체 외부와 상기 제2체의 또는 상기 제2체 내부의 사이에 중공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와 또는 상기 제2체 외부와 상기 제3체의 또는 상기 제3체 내부의 사이에 중공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제3체와 또는 상기 제3체 외부와 상기 제4체의 또는 상기 제4체 내부의 사이에 중공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보텍스체의 일측(31)에 또는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의 일측(31)에 판(26)이 구비된다. 상기 보텍스체(20),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이중 하나의 또는 이중 둘 간의 일측(31), 전체, 일부, 부분, 이격, 사이, 공간; 등에 판, plate, 막, 시트, 막판, 철판, 마개, 덮개, 카바, cover, 마감재, 막힘재, 닫힘재, 폐합재, 다공재, 타공재, 닫힌구조 등(2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보텍스체의 일측(31)에 또는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의 일측(31)에 판(26)이 없는 오픈형태 또는 오픈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오픈구조인 경우에는 오픈부를 통하여 외부의 바람, 공기, 압기 등이 상기 보텍스체의 내부 또는 중공부(27, 28, 29, 30)로 유입되어 상기 보텍스체의 후단에 있는 벤츄리, 사이클론, 노즐 등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체의 일측(31)이 상기 판(26)에 정착, 거치, 구비, 고정, 삽입 등이 된다. 상기 제2체의 일측(31)이 상기 판(26)에서 이격(33)되고, 이의 이격에 의하여 상기 제2체의 일측(31)과 상기 판(26)의 사이에 바람(12)이 통과되는 공간(28)이 생긴다. 상기 제3체(23)의 일측(31)이 상기 판(26)에 정착된다. 상기 제2체(22)의 타측(32)과 제3체(23)의 타측(32)의 사이에 곡면체(2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체(22)와 제3체(23)와 곡면체(25)로 에워싸인 중공부(29)가 형성된다. 상기의 중공부(27, 28, 29, 30)는 통형, 링형, 원통형, 내부 중공 등의 중공부가 될 수 있다. 상기 판(26)은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을 지지, 지보, 지탱, 유지, 정착, 거치, 이격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등은 상기 판(26)에 의하여 지지, 지보, 지탱, 유지, 정착, 거치, 이격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체(22)의 타측(32)에; 또는 상기 제2체(22)의 타측(32)과 제3체(23)의 타측(32)의 사이에; 곡면체, 곡면재, 부재, 곡면부, 완곡재, 완곡부, 둥근재, 둥근부, 원호재, 원호부, 아치재, 아치부, 폐합재, 폐합부, 연결재, 연결부 등(26)이 구비, 거치, 연장, 연결, 연계 등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체는 자신의 직선부(22), 이에 연장되는 곡면부(25)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자신의 직선체(22), 이에 연장되는 곡면체(25)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의 내면은 타측(32) 또는 하기 제1벤츄리(40)의 방향(32)으로 순차적으로 직선부(22), 곡선부(25)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체의 타측(32)과 제3체의 타측)32)의 사이에는 상기 곡면체 내지 연결부 등(25)이 구비되어 폐합구조(29)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체(22)와 제3체(23)와 곡면체(25)로 에워싸인, 둘러싼, 둘러싸인, 구성된, 이루어진, 조합된 등의 폐합부, 중공부, 폐합의 중공부, 중공의 폐합부 등(29)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2체(22), 제2체의 타단(32), 제3체(23), 제3체의 타단(32), 곡면체(25) 등으로 에워싸인 폐합부, 중공부, 폐합의 중공부, 중공의 폐합부 등(29)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은 a) 일측(31)에서 타측(32) 방향으로 직선, 직선부, 직선재, 일직선 등을 이루는 것이 우선이고, b) 기타 곡선, 곡선부, 곡선체, 곡선재, 곡면, 곡면부, 곡면체, 곡면재, 아치, 아치부, 아치재 등도 가능하고, c) 또한 직선, 직선부, 직선재, 일직선 등과 곡선, 곡선부, 곡선재, 곡선체, 곡면, 곡면체, 곡면부, 곡면재, 아치, 아치부, 아치재 등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보텍스체(20),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등에는 홀, hole, 구멍, 슬롯, slot, 천공부, 오픈, open, 닫힌부, 개구부, 오픈부, 2개 이상의 상기 홀 내지 오픈부, 다수개의 상기 홀 내지 오픈부 등의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슬롯은 슬롯, slot, 홀, 홈, 구멍, 천공부, 개구부, 오픈부, 가는 구멍, 긴 구멍, 가늘고 긴 구멍, 물질이 통과되는 가느다란 구멍, 가느다란 구멍,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구멍, 바람이 통과되는 구멍, 바람이 통과되는 가늘고 긴 구멍, 상기 홀 내지 오픈부 등이 해당된다. 상기 슬롯은 출구, 입구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3체(23)의 일측(31)과 타측(32)의 사이에 유입구(34)가 형성된다. 상기 제3체(23); 이의 일부, 일지점, 일정부위, 중간, 일측(31)과 타측(32)의 사이, 일측과 타측의 중간; 등에 홀, 구멍, 슬롯, 입구, 유입구, 바람이 유입되는 상기 홀 내지 유입구 등(34)이 형성된다. 상기 제3체에 형성된 유입구(34)가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파이프(35)가 상기 제4체(24)를 관통한다. 상기 유입구(34) 또는 파이프(35)에 하기의 제2토출구(8)가 연결된다. 상기 제3체에 형성된 유입구(34)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파이프(35)에 하기의 제2토출구(8), 이의 출구(16) 등이 연결, 연계, 접속, 체결, 합체, 거치, 장착, 정착 등이 될 수 있다. 하기의 제2토출구(9) 또는 이의 출구(16)에서 토출되는 제2바람(12)이 상기 유입구(34), 파이프(35), 제3체의 유입구(34), 유입구에 연결된 파이프(35) 등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3체의 유입구(34) 또는 파이프(35)로 유입된 바람이나 제2바람(12)이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29),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33),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된다. 상기 유입구(34)로 유입된 바람이나 제2바람(12)이 상기 제2체와 제3체 사이의 중공부(29),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29),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33),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 곡면부(25), 곡면체(25)의 내부, 제4체의 내부(29) 등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된다.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의 통기면적이 a)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29)의 통기면적보다 작으면서, b)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33)의 통기면적보다 작다. 상기 통기면적의 작음에 의하여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의 속도가 a)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29)를 통과하는 제2바람의 속도보다 크면서, b)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33)를 통과하는 제2바람의 속도보다 크다. 상기 통기면적의 작음 또는 바람속도의 큼에 의하여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12)이 와류된다. 상기 통기면적의 작음 또는 바람속도의 큼에 의하여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이 와류, 나선, 교란, 태풍, typhoon, 폭기, aeration, 회오리, 소용돌이, 사이클론, cyclone, 허리케인, hurricane, 윌리윌리, willy-willy, 팽이흐름, 회전, 회전흐름, 와류회전, 회오리회전, 소용돌이회전, 보텍스, votex, 케비테이션,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중공부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와류 또는 보텍스는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8)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2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직선부(22), 상기 제2체의 타측(32), 상기 제2체의 타측과 제3체의 타측의 사이에 구비된 곡면체의 곡면부(25), 상기 제3체의 타측(32), 상기 제4체의 내부의 중공부(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벤츄리(40) 또는 이의 확장부로 향한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방향은 상기 제2체의 직선부(22) 및 곡면부(25)의 구간에 있어서 순방향(37), 역방향(38), 변곡점(도 9의 z) 등으로 변화가 생긴다. 여기서 순방향(37)은 제1벤츄리(40)의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역방향(38)은 상기 판(26)의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변곡점(도 9의 z)은 순방향(37), 역방향(38)의 둘이 교차되거나 변화하는 지점 또는 순방향(37)도 아니고 역방향(38)도 아닌 방향이다. 여기서 변곡점(도 9의 z)의 위치는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이나 내면의 표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의 내부의 중심(도 9의 y)까지의 일지점이 해당된다. 상기 변곡점(도 9의 z)에서는 바람이 없고, 바람의 방향이 없고, 바람의 속도가 제로(0)가 된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방향의 예로는 도 9의 x에서 도 9의 y까지의 변화를 보면 1) 도 9의 a, b의 경우는 순방향(37), 변곡점(도 9의 z), 역방향(38)이고, 2) 도 9의 c의 경우는 역방향(38), 변곡점(도 9의 z), 순방향(37), 변곡점(도 9의 z), 역방향(38)이고, 3) 도 9의 d, e, f의 경우는 역방향(38), 변곡점(도 9의 z), 순방향(37)이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압력은 상기 제2체의 직선부(22) 및 곡면부(25)의 구간에 있어서 정압(37), 부압(38), 변곡점(도 9의 z) 등으로 변화가 생긴다. 여기서 정압(37)은 (+의 압력이고, 부압(38)은 (-)의 입력고, 변곡점(도 9의 z)은 정압(37), 부압(38)의 둘이 교차되거나 변화하는 지점 또는 정압(37)도 아니고 부압(38)도 아닌 방향이다. 여기서 변곡점(도 9의 z)의 위치는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이나 내면의 표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의 내부의 중심(도 9의 y)까지의 일지점이 해당된다. 상기 변곡점(도 9의 z)에서는 바람이 없고, 바람의 압력이 없고, 바람의 압력이 제로(0)가 된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압력의 예로는 도 9의 x에서 도 9의 y까지의 변화를 보면 1) 도 9의 a, b의 경우는 정압(37), 변곡점(도 9의 z), 부압(38)이고, 2) 도 9의 c의 경우는 부압(38), 변곡점(도 9의 z), 정압(37), 변곡점(도 9의 z), 부압(38)이고, 3) 도 9의 d, e, f의 경우는 부압(38), 변곡점(도 9의 z), 정압(37)이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는 상기 제2체의 직선부(22) 및 곡면부(25)의 구간에 있어서 (+)속도(37), (-)속도(38), 변곡점(도 9의 z) 등으로 변화가 생긴다. 상기 변곡점(도 9의 z)에서는 바람이 없고, 바람의 속도가 없고, 바람의 속도가 제로(0)가 된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의 예로는 도 9의 x에서 도 9의 y까지의 변화를 보면 1) 도 9의 a, b의 경우는 (+)속도(37), 변곡점(도 9의 z), (-)속도(38)이고, 2) 도 9의 c의 경우는 (-)속도(38), 변곡점(도 9의 z), (+)속도(37), 변곡점(도 9의 z), (-)속도(38)이고, 3) 도 9의 d, e, f의 경우는 (-)속도(38), 변곡점(도 9의 z), (+)속도(37)이다. 이상은 도 9을 참조한다.
도 10은 상기 제1체(21)의 내부 또는 중공부(27), 제4체(24)의 내부 또는 중공부(30)에 해당되는 판(26) 또는 만나는 판(26)이 또는 구간에 설치되는 판(26)이 무설치, 무거치, 없음, 홀, 구멍, 천공, 오픈, 오픈부 등(도 10의 m)이 되거나, 또는 상기 제1체(21)의 내부 또는 중공부(27), 제4체(24)의 내부 또는 중공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바람, 공기, 압기 등(11, 12)이 공급되는 경우에 대하여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이나 내면의 표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의 내부의 중심(도 9의 y)의 방향에 대한 바람의 방향, 압력, 속도 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36)의 중공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는 상기 제2체의 직선부(22)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이나 내면의 표면(도 9의 x)에서 제2바람(12)과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이나 내면의 표면(도 9의 x)의 저항에 의하여 a) 상기 제2체의 내부의 중심(도 9의 y)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37)하거나, b) 또는 상기 제2체의 내부의 중심(도 9의 x)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37)하면서 이후 상기 증가(37)된 것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체의 내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는 상기 곡선부(25)의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제2체 내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 내부 중심(도 9의 y)의 사이의 변곡점 또는 일정지점(도 9의 z)을 기준으로 상기 제2체 내면(도 9의 x)의 방향으로는 감소(38)하고, 상기 제2체 내부 중심(도 9의 y)의 방향으로는 증가(37)한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의 내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는 상기 곡선부(25)의 구간에 있에서,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의 내부 중심(도 9의 y)의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38)한 후에 증가(37)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체의 내부(36)를 지나는 제2바람(12)의 속도는 상기 곡선부(25)에서 상기 제2체의 내면(도 9의 x)의 표면(도 9의 x)에서 상기 제2체의 내부 중심(도 9의 y)의 방향으로 갈수록 크게 감소(38), 적게 감소(38), 감소 0, 변곡점, 감소 후 증가(37), 점차 감소(38) 후 점차 증가(37), 감소폭이 작아지면서 점차 증가(37), 감소(38) 정도가 작아지면서 점차 증가(37), 증가(37), 점차 증가(37), 적게 증가(37), 점차 크게 증가(37), 이후 일정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은 도 10을 참조한다.
상기 제2바람(12)이 순방향(37), 정압(37), (+)속도(37), 속도증가(37) 등이 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2바람(12)이 상기 제2체의 타측(32)의 방향으로 정상류(steady state flow)로 흐른다. 상기 제2바람(12)이 역방향(38), 부압(38), (-)속도(38), 속도감소(38) 등이 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2바람(12)이 상기 제2체의 타측(32)의 방향으로 흐르면서 와류(votx)된다. 상기 제2바람의 역방향(38), 부압(38), (-)속도(38), 속도감소(38) 등이 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제2체의 일측의 방향(31), 상기 제2바람이 통과하는 방향의 역방향(31), 상기 제2바람이 통과하는 순방향의 반대인 역방향(31) 등으로 흐르면서 와류, 나선, 교란, 태풍, 회오리, 소용돌이, 팽이흐름, 회전흐름, 보텍스, votex, 케비테이션,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바람의 속도가 감소되는 부위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제2바람이 통과하는 순방향(38)은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제2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직선부(22), 상기 제2체의 타측(32), 상기 제2체의 타측과 제3체의 타측의 사이에 구비된 곡면체의 곡면부(25), 상기 제3체의 타측(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4체(24)의 일측(31)이 상기 판(26), 닫힘판, 고정판, 폐합판 등(26)에 정착된다. 상기 제4체의 타측(32)에 제1벤츄리(40)의 일측(41)의 제1확장부(43)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4체의 타측(32)의 외주에 제1벤츄리(40)의 일측(41)의 제1확장부(43)의 외주가 연결된다. 상기 제4체의 타측(32)에 제1벤츄리(40)의 일측(41)의 제1확장부(43)의 사이에는 조, 통, 함, 단관, 단통, 단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체(24), 보텍스체(20); 이중 하나의 타측(32), 후단, 후위, 후방(32); 등에 제1벤츄리(40), 제1벤츄리의 일측(41), 제1벤츄리의 입구(41), 제1벤츄리의 유입부(41), 제1벤츄리의 일측 제1확장부(41) 등이 연결된다. 상기 제4체는 통, 함, 보텍스통, 보텍스함, 보텍스탱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4체(24)의 내부에는 상기 제1체, 제2체, 제3체 등(21, 22, 23)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체(23)의 내부에는 상기 제1체, 제2체 등(21, 22)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체(22)의 내부에는 상기 제1체(21)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일측(31, 41)은 일측, 일단, 선단, 전단, 앞단, 전위, 전향, 전방향, 타측의 반대측 등이 해당되고, 타측(32, 42)은 타측, 타단, 미단, 뒤단, 후단, 후위, 후향, 후방향, 일측의 반대측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벤츄리는 벤츄리, venturi, 벤츄리관, 벤츄리통로, 벤츄리통공, 벤츄리터널, 축소부가 형성된 관 또는 통로, 양측에 확장부와 내측에 축소부가 형성된 관 또는 통로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4체의 내부의 중공부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제1벤츄리의 일측의 제1확장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1벤츄리(40)는 일측(41)의 제1확장부(43), 중간의 제1축소부(44), 타측(42)의 제1확장부(45)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부(43, 45)는 확부, 확장부, 점확부, 내부 중공의 확부, 내부 중공의 확장부, 내부 중공의 점확부, 점점 확장되는 부, 점점커지는 부, 단면이 확장되는 확부, 단면이 확장되는 확장부, 단면이 점차 확장되는 점확부, 단면이 점점 확장되는 부, 단면이 점점커지는 부, 상기 축소부 보다 단면이나 통기면적이 큰 부 등이다. 축소부(44)는 축부, 축소부, 점축부, 내부 중공의 축부, 내부 중공의 축소부, 내부 중공의 점축부, 점점 축소되는 부, 점점작아지는 부, 단면이 축소되는 축부, 단면이 축소되는 축소부, 단면이 점차 축소되는 점축부, 단면이 점점 축소되는 부, 단면이 점점작아지는 부, 상기 확장부 보다 단면이나 통기면적이 작은 부 등이다. 상기 확장부와 축소부는 내부 중공, 통공, 통로 등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일측(41)의 제1확장부(43), 타측(42)의 제1확장부(45) 등의 내부 중공부에 제1베인(46)이 구비된다. 상기 확장부(43, 45), 제1확장부(43, 45), 일측의 제1확장부(43), 타측의 제1확장부(45); 이중 하나의 내부, 내면, 내측, 중앙, 중간, 통로, 통공, 중공부; 등에 돌기(47), 봉, 대, 판, 요철, 요부, 철부, 날, 날개, 팬, 베인(46), vane, 지지대나 거치대에 구비된 2개 이상의 상기 돌기 내지 vane 등이 구비 또는 형성된다. 상기 제1축소부(44)의 내부에 제1돌기(47)가 형성된다. 상기 축소부(44); 이의 내부, 내면, 내측, 중앙, 중간, 통로, 통공, 중공부; 등에 돌기(47), 봉, 대, 판, 요철, 요부, 철부, 와류판, 회전판, 베인(46), vane, 지지대나 거치대에 구비된 2개 이상의 상기 돌기 내지 vane 등이 형성된다. 상기 베인 또는 돌기는 상기 돌기 내지 vane; 일정의 폭, 두께, 길이, 직경, 가로, 세로, 면적, 체적 등을 가진 상기 돌기 내지 vane;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베인은 베인, vane, 깃, 날개, 판, 대, 터빈, 조각, 판조각, 조각판, 편, 조각편, 축이나 지지대에 설치된 상기 베인 내지 조각편, 축이나 지지대에 2개 이상이 설치된 상기 베인 내지 조각편, 압축기에서 유입된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붙어있는 작은 날개들, 풍향기와 같이 공기를 유연하게 흐르게 하는 깃, 유체의 흐름에 접하는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평평하거나 휘어지게 만들어진 날개 등이다.
상기 제1벤츄리(40)의 일측(41)의 제1확장부(43)로 유입된 제2바람(12)이 상기 중간의 제1축소부(44), 타측의 제1확장부(45)를 통과한다. 상기 일측의 제1확장부(43)를 통과하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1베인(46)에 의하여 와류된다. 상기 제1축소부(44)를 통과하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1돌기(47)에 의하여 와류된다. 상기 타측의 제1확장부(45)를 통과하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1베인(46)에 의하여 와류된다. 상기 확장부(43, 45), 축소부(44) 등을 통과하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1베인(46), 제1돌기(47) 등에 의하여 또는 부딪힘되어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축소부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와류는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1벤츄리(40)의 타측(42)의 제1확장부(45)에 제2벤츄리(50)의 일측(51)의 제2확장부(53)가 연결된다. 상기 제1벤츄리(40)의 타측(42)의 제1확장부(45)에 제2벤츄리(50)의 일측(51)의 제2확장부(53)의 사이에는 조, 통, 함, 단관, 단통, 단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벤츄리(40); 이의 타측, 후단, 후위, 후방, 제1확장부, 타측의 제1확장부(45); 등에 제2벤츄리(50), 제2벤츄리의 일측, 제2벤츄리의 입구, 제2벤츄리의 유입부, 제2벤츄리의 일측 제2확장부(53) 등이 연결된다. 상기 제1벤츄리의 타측의 제1확장부(45)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53)로 유입된다. 상기 제2벤츄리(50)는 일측의 제2확장부(53), 타측의 제2축소부(54)로 구성된다.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53)의 내부 중공부에 제2베인(46)이 구비된다. 상기 확장부, 제2확장부, 일측의 제2확장부 등의 내부, 내면, 내측, 중앙, 중간, 통로, 통공, 중공부 등에 돌기, 봉, 대, 판, 요철, 요부, 철부, 날, 날개, 팬, 베인, vane 등이 형성된다.
상기 제2축소부(54)의 내부에 제2돌기(47)가 형성된다.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53)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타측의 제2축소부(54)를 통과한다.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53)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베인(46)에 의하여 와류된다. 상기 제2벤츄리의 제2축소부(54)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돌기(47)에 의하여 와류된다. 상기 일측의 제2확장부(53), 제2축소부(54) 등을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베인(46), 제2돌기(47) 등에 의하여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축소부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와류는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해당된다. 상기 베인(46)이나 돌기(47)는 1개, 2개, 3개, 2개 이상, 다수개, 자유, 임의, 자유개, 임의개, 자유형, 임의형, 원형, 동심원, 조립형, 조각형, 배열형, 오, 1오, 2오, 3오, 다오, 열, 1열, 2열, 다열, 오열, 1오1열, 2오2열, 다오다열, 지그재그 등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벤츄리(50); 이의 타측(53), 후단, 후위, 후방(53), 제2축소부(54), 타측의 제2축소부(54); 등에 사이클론(60), 사이클론의 일측(61), 사이클론의 입구(62), 사이클론의 유입구(62), 사이클론의 유입부(62) 등이 연결된다. 일반 사이클론(60)은 유체를 선회 흐름으로 하고 유체 속에 함유되는 이상(異相) 입자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액체에서 분리 포집하는 장치이다. 이는 원통부(66), 이의 아래에 계속되는 원뿔부의 본체(63), 상기 원통부의 상부에 접선 방향으로 거치된 입구관(64), 상기 원통부의 천장에 거치된 출구관(65)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 사이클론에서는 외부의 유체가 입구관에서 접선 방향으로 원통부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유체가 원통부 안에서 선회 흐름이 되어 나선상으로 원통부와 원뿔부를 하강하고, 이 동안 유체 속의 입자는 원심력을 받아 원뿔부의 벽에 침착하고, 중력과 아래쪽을 향하는 공기에 의해 벽을 내려가서 집진 상자에 퇴적하고, 입자가 제거된 유체는 출구관(65)으로 배출된다. 본발명의 사이클론(60)은 사이클론, cyclone, 역사이클론, 역벙향사이클론 등이다. 이는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점점 확장되는 내부 중공의 점확통(63) 또는 원뿔부(63), 이의 상부에 거치된 원통부(66), 이의 하부에 거치된 유입구(64), 상부에 거치된 유출구(65)로 구성되거나, 또는 점확통(63), 이의 하부에 거치된 유입구(64), 상부에 거치된 유출구(65)로 구성된다.
상기 제2벤츄리의 타측의 제2축소부(54)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사이클론(60)의 일측(61)에 형성된 유입구(64)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60)은 자신의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점점 확장되는 내부 중공의 점확통(63), 상기 점확통의 일측(61)에 형성된 유입구(64), 상기 점확통의 타측(62)에 형성된 유출구(65)로 구성된다. 상기 점확통(63)의 유입구(64)는 상기 점확통(63)의 일측(6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확통의 연직 중심(67)에서 우측 방향(68)으로 편심되게 또는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점확통(63)의 유출구(64)는 상기 점확통(63) 타측(62)의 상부에 또는 원통부(66)의 타측(62)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확통(63) 또는 원통부(66)의 연직 중심(67)에서 좌측 방향(69)으로 편심되게 또는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벤츄리의 타측의 제2축소부(54)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63)의 일측(61)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64)로 또는 점확통(63)의 하부의 접선방향으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63)의 일측(61)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64)로 유입된 또는 접선방향으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점확통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상승한 후에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 또는 원통부의 타측(62)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65)를 통과한다.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점확통(63)의 연직 중심(67)에서 우측 방향(68)으로 하부에 편심되게 또는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유입구(64)로 유입되고, 상기 점확통(63)의 연직 중심(67)에서 좌측 방향(69)으로 상부에 또는 원통부(66)의 연직 중심(67)에서 좌측 방향(69)으로 편심되게 또는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유출구(65)로 상승되면서 상기 점확통(63), 원통부(66) 등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바람(12)이 와류된다. 상기 제2바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사이클론이나 점확통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63)의 유출구(65)에 제2통노즐(80) 또는 제2노즐(80)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클론, 점확통; 이중 하나의 타측, 후단, 후방, 유출구; 등에 제2통노즐; 이의 입구, 일측, 전단, 유입구;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노즐, 통노즐, 제1노즐(70), 제2노즐(80), 제1통노즐(70), 제2통노즐(80) 등은 a) 통, 원통, 판, 관, 배관, 관로, 파이프, 긴통, 길이통, 사각통, 다각통, 중공통, 통로통, 노즐통, 중공체, 중공판, 중공통, 속빈판, 속빈통, 속빈체, 통노즐, 판노즐, 관노즐, 통형상의 노즐; b) 일정의 직경이나 통공이나 길이를 가진 상기 통 내지 노즐통; c) 내부에 통로 또는 통공 또는 중공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노즐; d) 또는 통, 입구, 슬롯, 출구, 베인, 돌기 등이 구비된 노즐; e) 상기 통 내지 노즐통 등에 입구, 슬롯, 출구, 베인, 돌기 등이 구비된 노즐; f) 직경이나 내경이 5cm인 원통의 제2통노즐; 가로와 세로와 길이가 각각 5cm, 5cm, 130cm인 사각통의 제2통노즐; g) 직경이나 내경이 10cm 이하인 원통의 제2통노즐; 가로와 세로와 길이가 각각 10cm 이하, 10cm 이하, 130cm 이상인 사각통의 제2통노즐;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노즐, 통노즐, 제1노즐(70), 제2노즐(80), 제1통노즐(70), 제2통노즐(80); 이중 하나의 상, 하, 좌, 우, 전, 중, 후, 전면, 후면, 전단, 후단, 측면, 측부, 측방, 전방, 후방, 자유, 임의, 피막; 등에는 홀, 구멍, 슬롯, 입구, 출구, 유출구, 유입구, 바람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상기 홀 내지 유입구, 바람이 투입 또는 송풍되는 상기 홀 내지 유입구 등이 구비, 설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노즐(80)은 제2통(81), 상기 제2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82),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84), 상기 제2통의 타측에 형성된 출구(83)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2통노즐(80)은 제2통(81), 상기 제2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82),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84), 상기 제2통에 또는 상기 제2통의 피막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슬롯(83) 또는 출구(83)로 구성된다. 상기 제2통노즐(80), 제2통(81), 제2중공부(84) 등의 내부에 두개 이상의 터널(85)이 형성된다. 상기 제2통노즐(80); 이의 통(81), 내부, 통공, 통로, 중공부(84); 등에 두개 이상의 터널, 바람터널, 윈드터널, wind tunnel, 바람이 통과하는 터널, 암거, 통공, 통로, 세공, 굴, 동굴, 광, 탄광, 격자, 격자터널, 길, 바람길 등(85)이 형성된다. 여기서 터널이 형성되기 위하여 상기 제2통노즐 또는 제1통노즐의 내부, 통공, 통로, 중공부, 제2통(81), 제2중공부(84) 등에 벽, wall, 격벽, 격자, 네트, net, 판, 망, 봉, 대, rod, 틀, mold, 기둥, column, 돌기, 베인, vane, 홀, hole, 홈, home, 요홈, 요철, 요부, 철부, 굴, cave, 동굴, 구멍, 암거, 터널, tunnel, 통로, 통공, 수로, 공기로, 공기통로, 채널, channel, 호스, hose, 관로, 파이프, 집, 벌집, 빗, 깃, 빗살, comb, 허니콤, Honeycomb, 상기 터널 내지 바람길; 2개 이상의 상기 벽 내지 Honeycomb; 100개 의 상기 벽 내지 Honeycomb; 1000개의 상기 벽 내지 Honeycomb; 군집을 이루는 상기 벽 내지 Honeycomb; 10개씩 3열의 상기 벽 내지 Honeycomb; 100개씩 4열의 상기 벽 내지 Honeycomb; 이중 둘 이상 복합;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노즐, 제2통노즐; 이중 하나의 내부, 통공, 통로, 중공부; 등에 두개 이상의 터널, 바람터널, 윈드터널, wind tunnel, 격자터널, 바람이 통과하는 터널, 암거, 통공, 통로, 세공, 굴, 동굴, 광, 탄광, 길, 바람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노즐의 내부, 통공, 통로, 중공부 등에 상기 벽 내지 복합, 터널 내지 바람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널, 벽 내지 복합, 터널 내지 바람길 등에 의하여 상기 통노즐, 내부, 통공, 통로, 중공부 등을 통과하는 바람은 와류, 선회, 태풍, 회오리, 보텍스, votex, 사이클론, 소용돌이, 케비테이션, cav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ation 등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63)의 유출구(65)를 통과한 제2바람(12)이 상기 제2통노즐(80)의 입구(82)로 유입된다. 상기 제2통노즐의 입구(82)로 유입된 제2바람(12)이 상기 제2통(81)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84)를 거쳐 상기 제2통의 출구(83)로 배출된다. 또는 상기 제2통노즐의 입구(82)로 유입된 제2바람(12)이 상기 제2통(81)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84)를 거쳐 상기 제2통에 또는 상기 제2통의 피막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슬롯(83)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84)의 통과 시에 상기 제2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터널(85)에 의하여 또는 터널(85)을 통과하면서 와류된다.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의 통과 시에 상기 제2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터널에 의하여 또는 터널을 지나면서 또는 두개 이상의 터널(85)의 간섭현상에 의하여 또는 터널(85)의 축소부를 지나면서 또는 터널(85)과의 마찰이나 부딛힘에 의하여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제2바람이나 제2통노즐이나 상기 제2통의 내부의 제2중공부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보텍스체, 벤츄리, 사이클론, 노즐; 이중 하나의 내부, 내면, 표면, 중공부; 등에는 상기 돌기 내지 vane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노즐(80)의 측면에 제1통노즐(70) 또는 제1노즐(70)이 구비된다. 상기 제2통노즐(80)의 측면, 측부, 상부, 중간, 하부, 전면, 전단, 일측, 타측, 후면, 후단, 외부, 내부, 이격, 이격부, 이격지점 등에 제1통노즐(70)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1통노즐(70)의 측면, 측부, 상부, 중간, 하부, 전면, 전단, 일측, 타측, 후면, 후단, 외부, 내부, 이격, 이격부, 이격지점 등에 제2통노즐(8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노즐, 제1통노즐, 제1통노즐, 제1통, 제2통 등은 a) 통, 원통, 사각통, 다각통, 중공통, 통로통, 노즐통, 통형상의 노즐; b) 일정의 통공과 길이를 가진 상기 통 내지 노즐통; c) 내부에 통로 또는 통공 또는 중공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노즐; d) 또는 통, 입구, 슬롯, 출구, 돌기 등이 구비된 노즐; e) 상기 통 내지 노즐통 등에 입구, 슬롯, 출구, 돌기 등이 구비된 노즐; f) 직경이나 내경이 20cm인 원통의 제2통노즐; 가로와 세로와 길이가 각각 20cm, 20cm, 130cm인 사각통의 제1통노즐; g) 직경이나 내경이 20cm 이상인 원통의 제2통노즐; 가로와 세로와 길이가 각각 20cm 이상, 20cm 이상, 130cm 이상인 사각통의 제1통노즐; 등이 해당된다.
상기 제1통노즐(70)은 제1통(71), 상기 제1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72),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 상기 제1통의 타측에 형성된 출구(73)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통노즐(70)은 제1통(71), 상기 제1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72), 상기 제1통에 또는 상기 제1통의 피막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슬롯(73) 또는 출구(73),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 등으로 구성된다. 하기 제1토출구(11)에서 공급되는 바람(11)이 상기 제1통노즐의 입구(72)로 유입된다. 상기 제1통노즐의 입구(72)로 유입된 바람이 상기 제1통(71)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71)를 거쳐 상기 제1통의 출구(73)로 배출된다. 또는 상기 제1통노즐의 입구(72)로 유입된 바람이 상기 제1통(71)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71)를 거쳐 상기 제1통에 또는 상기 제1통의 피막에 형성된 2개 이상의 슬롯(73)이나 출구(73)로 배출된다. 상기 제1중공부의 내부에 두개 이상의 터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람이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의 통과 시에 상기 제1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터널에 의하여 와류될 수 있다. 상기 바람이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의 통과 시에 상기 제1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터널에 의하여 또는 터널을 지나면서 또는 두개 이상의 터널의 간섭현상에 의하여 상기 바람이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되거나, 또는 상기 바람에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이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바람이나 제2통노즐이나 상기 제2통의 내부의 제2중공부에서 상기 와류 내지 cavitation 등의 현상이 발현된다.
상기 보텍스체(20)의 전단에 팬(1, 6)이 구비된다. a) 상기 보텍스체,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제3체의 유입구, 벤츄리, 사이클론, 제1통노즐, 제2통노즐; b) 이중 하나의 전단, 전방, 후단, 후방, 일측, 타측, 주위, 주변, 현장, 장소, 설치장소; 등에 팬(6), fan, 날개(6), 회전날개(6), 임펠라(1), impella, 송풍기(1), 콤프레샤(1), 공기콤프레샤(1), 압기(壓氣)콤프레샤, 바람공급원, 바람이 공급되는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 모터(2),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4),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6)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벨트 또는 켄베이어는 벨트, 켄베이어, 벨트벨트, 컨베이어벨트 등이 해당된다. a) 상기 보텍스체 내지 제2통노즐; b) 이중 하나의 전단, 전방, 후단, 후방, 일측, 타측, 주위, 주변, 현장, 장소, 연결부, 설치장소; 등에는 관(7, 8), 관로(7, 8), 배관(7, 8), 호스(7, 8), 파이프(7, 8), 토촐구(7, 8), 토촐관(7, 8), 벨트(4), 컨베이어(4) 등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보텍스체 내지 컨베이어 등은 상호 이격, 접촉, 연결, 접속 등이 가능하다.
상기 팬은 팬(6), 휀, fan, 날개, blade, 송풍기(1), 풍력기(1), 회전팬, 환기팬, 환풍팬, 유입팬, 유출팬, 유입출팬, 발전팬, 모터팬, 풍력발전팬, 정방향회전팬, 역방향회전팬, 정역방향 회전팬, 무전원 회전팬, 동력 회전팬, 무동력 회전팬, 모터(2)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6),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 바람이나 풍력을 공급하는 팬, 회전하면서 바람을 배출시키는 팬, 회전하면서 바람을 토출시키는 팬, 모터의 의하여 회전하여 바람을 생성하는 팬, 모터(2)와 벨트(4)와 팬(6)의 조합체(1), 모터(2)와 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4)와 상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바람을 생성하는 팬(6)으로 구성된 송풍기(1)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1, 6); b) 이중 하나의 축(3), 중심축(3), 회전축(3); c) 상기 중 하나에 구비된 모터(2), 회전모터(2), 벨트(4), 회전벨트(4); d) 모터(2)의 중심축(3)이나 회전축(3)에 일측이 거치된 벨트(4), 회전벨트(4); e) 타측이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 등(6)의 축(5), 중심축(5), 회전축(5) 등이 거치된 벨트(4), 회전벨트(4);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 모터(2)의 중심축(2)이나 회전축(3)이 거치되고 타측에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 등(6)의 축(5), 중심축(5), 회전축(5) 등이 거치되어 상기 모터(2)의 중심축이나 회전축(3)의 회전에 의하여 이의 회전력이 상기 벨트, 회전벨트 등(4)에 전달되고, 이에 전단된 회전력이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 등(6)의 축, 중심축, 회전축 등(5)에 전달되어 상기 팬 내지 콤프레샤 등(6)이 회전하고, 이의 회전에 의하여 바람(11, 12), wind, 공기, 압기(壓氣), 압축공기 등(11, 12)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팬(1, 6)에 제1토출구(7)가 구비된다. 상기 팬(1, 6); 이의 전단, 전방, 후단, 후방, 측면, 일측, 타측, 상부, 중간, 하부, 일부, 일지점, 일정부위; 등에 통로(7, 8)), 호스, 관, 배관, 관로, 파이프, 배출구, 토출구(7, 8), 공급관, 배기구(7, 8); 이중 하나의 입구, 일측, 전단, 전방; 등이 구비된다. 상기 팬(1, 6)에서 바람, wind, 공기, 압기, 압축공기 등이 공급, 생성, 발생, 조성, 배출, 토출, 제공, 송풍 등이 된다. 상기 팬(1, 6)과 상기 보텍스체(20), 제3체, 제3체의 유입구, 제2토출구 등의 사이에 바람(11, 12)의 공급이나 이송을 위하여 상기 통로 내지 배기구 등(7, 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7, 8)는 상기 통로 내지 배기구 등이 해당된다. 상기 토출구, 통로 내지 배기구 등을 통하여 상기 팬(1, 6)에서 발생되는 바람, wind, 공기, 압기 등(11, 12)이 공급, 생성, 발생, 형성, 조성, 배출, 토출, 제공, 송풍 등이 된다. 상기 팬(1, 6)에서 생성되는 바람 또는 제1바람(11)이 상기 제1토출구(7) 또는 이의 입구(13)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팬(1, 6)에서 생성되는 바람 또는 제2바람(12)이 상기 제2토출구(8) 또는 이의 입구(15)에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토출구(7)의 입구(13)와 출구(14)의 사이에 제2토출구(8) 또는 이의 입구(15)가 거치, 구비, 위치, 설치, 인입, 삽입 등이 된다. 상기 제1토출구(7); 이의 입구(13), 출구(14), 전단(13), 전방, 후단(14), 후방, 측면, 일측(13), 타측(14), 초기(13), 말기(14), 상부, 중간, 하부, 일부, 일지점, 일정지점, 일정부위, 입구(13)와 출구(14)의 사이, 팬의 바람(11)이 유입되는 입구(13)와 상기 바람(11)이 토출되는 출구(14)의 사이; 등에 제2토출구(8), 이의 입구(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구(7)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1바람(11) 중에서 일부의 제2바람(12)이 상기 제2토출구의 입구(15)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안내판(17)이 상기 제1토출구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토출구(7)의 내부를 통과하는 바람(11) 중에서 일부의 바람(12)이 상기 제2토출구(8) 또는 이의 입구(15)로 유입되도록 또는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 guide, 안내, 도움, 유도 등을 하는 판, 대, 막, 턱, 담, 댐, 단턱, 언덕, 시트, 담장, 울타리, 돌출대, 돌출판, 방풍판, 가림판, 저항판, 가이드판, guide plate, 안내판, 도움판, 유도판 등(17)이 상기 제2토출구의 입구(15)가 거치된 상기 제1토출구(7)의 내부, 부위, 지점, 중공부 등에 설치된다. 상기 판 내지 유도판 등(17)은 상기 제1토출구(7)의 내부 중에서 상기 제2토출구의 입구(15); 이의 부위, 일부, 일지점, 대항편, 반대편; 또는 바람의 흐름에 대항되는 대항편, 바람의 흐름과 반대되는 반대편, 바람의 흐름과 반대되는 역방향, 바람이 부딪히는 방향, 바람에 부딪혀 이의 부딪힌 바람이 상기 제2토출구의 입구로 유입되도록하는 방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구(7) 또는 이의 출구(14)를 통하여 상기 팬(1, 6)에서 공급되는 제1바람(11)이 상기 제1통노즐(70)에 공급된다. 상기 제1토출구(7)를 통하여 또는 제1토출구의 출구(14)를 통하여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제1바람(11)이 상기 제1통노즐(70), 제1통노즐의 입구(72) 등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8) 또는 이의 출구(16)를 통하여 상기 팬(1, 6), 제1토출구(7) 등에서 공급되는 제2바람(12)이 상기 보텍스체(20), 제3체(23), 제3체의 유입구(34), 제3체의 유입구(34)의 파이프(35) 등으로 유입된다.
상기 팬(1, 6)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전체량을 100%로 하였을 경우 이의 비율을 보면 제1토출구 또는 이의 출구 90%, 제2토출구 10%, 제1바람 90%, 제2바람 10% / 제1토출구 또는 이의 출구 80%, 제2토출구 20%, 제1바람 80%, 제2바람 20% / 제1토출구 또는 이의 출구 70%, 제2토출구 30%, 제1바람 70%, 제2바람 30% / 제1토출구 또는 이의 출구 60%, 제2토출구 40%, 제1바람 60%, 제2바람 40% / 제1토출구 또는 이의 출구 50∼90%, 제2토출구 10∼50%, 제1바람 50∼90%, 제2바람 10∼50%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제3체(23)의 유입구(34) 또는 파이프(35)로 유입된 제2바람(12)이 상기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사이클론(60), 제2통노즐(80)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3체의 유입구(34) 또는 파이프(35)로 유입된 제2바람(12)이 상기 보텍스체(20), 상기 제2체와 제3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29), 상기 제2체(22)와 제3체(23)와 곡면체(25)에 의하여 형성된 중공부(29) 또는 폐합부(29), 상기 제2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8) 또는 직선부(22), 상기 제2체의 타측(32), 상기 제2체의 타측과 제3체의 타측의 사이에 구비된 곡면체의 곡면부(25), 상기 제3체의 타측(32), 상기 제4체의 내부의 중공부(30), 제1벤츄리(40), 제1벤츄리의 일측 확장부, 제1벤츄리의 축소부, 제1벤츄리의 타측 확장부, 제2벤츄리(50), 제2벤츄리의 일측 확장부, 제2벤츄리의 축소부, 제2벤츄리의 타측 확장부, 사이클론(60), 사이클론의 입구(64), 점증통(63), 사이클론의 출구(65), 제2통노즐(80), 제2통노즐의 입구(81), 제2통노즐의 출구(82), 제2통노즐의 슬롯(82) 등에 공급, 제공, 송풍, 유입, 유출, 배출;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 제공, 송풍, 유입, 유출, 배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텍스체(20), 벤츄리(40, 50), 사이클론(60), 제1통노즐(70), 제1통노즐(80) 등에는 팬, 제1팬, 제2팬, 제3팬, 1개팬, 2개팬, 3개팬, 한개의 팬, 각각의 팬 등(1, 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노즐(70)에 의하여 1차풍력선별(101), 제2통노즐(80)에 의하여 2차풍력선별(102)이 되어 본 발명에 의한 풍력선별기(100)는 다단풍력선별기(100)가 된다
상기 제1통노즐(70)과 제2통노즐(80)의 상부, 위, 상단, 상향, 상방향 등에 진동스크린선별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통노즐 및 제2통노즐에서 제1바람(11) 및 제2바람(12)이 송풍되는 상부에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이 위치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는 진동하는 스크린의 선별기로서 일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경사의 상부에 진동스크린선별기(140)의 선단(141)이 위치되고, 상기 경사의 하부에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하단(142)이 위치된다. 상기 선단(141)은 진동스크린선별기(130)로 폐기물이 유입되는 곳이고, 하단(142)은 진동스크린선별기(130)에서 폐기물이 유출 또는 배출 또는 낙하되는 곳이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전단에 호퍼(130) 또는 파쇄기(131) 또는 트롬멜선별기가 위치된다. 상기 호퍼(130)에 투입된 폐기물(110) 또는 상기 파쇄기(131)에서 파쇄된 폐기물(110) 또는 상기 트롬멜선별기에서 선별된 폐기물(110)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에 투입된다. 상기 호퍼(130)에 투입된 폐기물 또는 상기 파쇄기(131)에서 파쇄된 폐기물 또는 상기 트롬멜선별기에서 선별된 폐기물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 표면,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전단(141) 등에 투입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에 투입된 폐기물(110)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의 선단(141)에서 후단(142)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망이나 스크린(143)을 통하여 또는 통과하여 하부로 토사(150)가 배출된다. 상기 망이나 스크린(143)에 의하여 폐기물(110)에서 토사(150)이 선별되는 것이 스크린선별이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에 투입된 폐기물(110)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진동스크린선별기의 경사,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진동, 중력 등에 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 또는 표면을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에 형셩된 스크린(143)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 또는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하부로 토사(150)가 배출, 선별, 분리 등이 된다. 상기 스크린(143)은 스크린, 망, 체, 스크린망, 망스크린, 구멍, 구멍망, 격자망, 선별망, 분리망, screen, net, sieve 등이 해당된다. 폐기물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 또는 표면을 따라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스크린(144), 이의 홀, 구멍 등을 통과하는 토사, 물질, 이물질 등(150)은 하부 방향으로 배출, 선별, 분리 등이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를 거친 폐기물(110)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으로 배출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를 거친, 상부에 잔존되는, 상기 스크린으로 통과되지 않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를 거친, 상기 스크린의 망구멍이나 하부로 통과되지 않고 상부에 잔존되는, 입경이 상기 스크린의 망구멍보다 커서 상기 스크린으로 통과되지 않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를 거친, 입경이 상기 스크린의 망구멍보다 커서 상기 스크린의 망구멍이나 하부로 통과되지 않고 상부에 잔존되는 등의 폐기물(110)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으로 배출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에 상기 제1통노즐(70)이 위치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제1통노즐(70)에 이격되어 상기 제2통노즐(80)이 위치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에 상기 제1통노즐(70), 제2통노즐(80)이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제2통노즐(80)에 이격되어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벨트, 벨트컨베이어, 이송수단, 운송수단 등(144)이 구비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1통노즐(70), 제2통노즐(80), 컨베이어(144)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로 낙하하는 폐기물(110)에 상기 제1통노즐(70)에 의한 제1바람(11), 제2통노즐(80)에 의한 제2바람(12)이 송풍되어 경량물(120)이 비산, 제거, 선별, 격벽 월류(145) 등이 되고, 컨베이어(144)로 낙하하는 폐기물(110)이 더블죠크러셔(154), 2차진동스크린선별기(157), 콘죠크러셔(162) 등의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73)의 높이가 제2통노즐의 출구(83)의 높이보다 높다.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73)의 크기, 규모, 형상, 높이, 사이즈 등이 제2통노즐의 출구(73)의 크기, 규모, 형상, 높이, 사이즈 등 보다 높거나 크다. 상기 높이의 차(差)에 의하여 제1통노즐의 출구(73)에서 송풍되는 제1바람(11)이 상기 제2통노즐(80)에 의하여 막힘되지 않고 상기 제2통노즐(80)의 상부로 송풍되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에서 낙하하는 폐기물(110)에 송풍된다. 상기 크기, 규모, 형상, 높이, 사이즈 등의 차(差) 또는 차이(差異)에 의하여 제1통노즐의 출구에서 송풍되는 제1바람이 상기 제2통노즐에 의하여 막힘되지 않고 상기 제2통노즐의 상부로 송풍되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낙하하는 폐기물에 송풍된다.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에서 상기 제1바람이 송풍된다. 상기 제1통노즐(70)이나 제1통노즐에 형성된 출구(73) 또는 슬롯에서 상기 제1바람(11)이 송풍, 배출, 유출, 불기 등이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으로 배출되는 폐기물(110)에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73)를 통한 제1바람(11)이 송풍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또는 후단에서 낙하되는 폐기물에 상기 제1통노즐, 제1통노즐의 출구 또는 슬롯 등을 통한 제1바람이 송풍된다.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73)를 통한 제1바람(11)의 송풍에 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으로 배출되는 폐기물(110)에서 제1경량물(120)이 비산된다. 상기 제1통노즐이나 제1통노즐 출구를 통한 제1바람의 송풍에 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으로 배출, 토출, 낙하 등이 되는 폐기물에서 경량물, 가연물, 이물질, 종이, 비닐, 섬유, 목재, 플라스틱, 바람에 의하여 날리는 물질 등이 비산, 날림, 선별, 분리 등이 된다. 여기서 상기 경량물 내지 물질 등을 비산, 날림, 선별, 분리 등을 하는 이유는 폐기물로부터 상기 경량물 내지 물질 등을 제거하여 양질의 토사, 모래, 자갈, 골재, 광물, 금속 등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제1통노즐과 제2통노즐이 위치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 제1통노즐, 제2통노즐, 컨베이어는 상호 이격된다.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145)에 상기 제2통노즐(80)이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146)에 격벽(147)이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145)에 제2통노즐(80), 제1통노즐(70) 등이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146)에 벽, 판, 담, 널, 막, 널판, 격벽, 담장, 담벽, 월류벽, 가림판, 방풍판, 울타리, 가두리, 연직판, 수직판 등(147)이 구비된다. 상기 제2통노즐(80)와 컨베이어(144)와 격벽(147)은 상호 이격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 제1통노즐의 출구(73),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83), 격벽(147) 등의 폭(width)이나 길이는 동일, 상이, 차등, 큼, 작음, 일정크기, 일정 cm, 소정 cm, 임의 cm 등이 가능하다. 이의 예로는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 길이 130cm, 제1통노즐의 출구 길이 130cm,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 길이 130cm, 격벽 길이 130cm 등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 길이 160cm, 제1통노즐의 출구 길이 130cm,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 길이 140cm, 격벽 길이 170cm 등이다. 상기에서 제1통노즐의 출구 길이,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 길이, 격벽 길이 등이 130cm로 긴 것은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 길이 130cm로 낙하되는 폐기물의 전량에 바람을 가하여 격벽을 월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격벽은 제1통노즐 및 제2통노즐의 바람에 의한 풍력에 의하여 경량물 이외의 폐기물이 컨베이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막고, 폐기물 중에서 경량물만 원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의 하부이면서 상기 제1통노즐(70)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2통노즐(80), 컨베이어(144), 격벽(147)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비산된 제1경량물(120) 중에서 일부의 제1경량물(120)은 상기 격벽(147)을 월류한다. 상기 비산된 제1경량물 중에서 일부의 제1경량물은 상기 격벽을 월류, 월담, 넘기, 오버플로, over flow 등을 한다.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제1경량물(120)은 상기 컨베이어(144)의 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제2통노즐(80)에 형성된 출구(83)에서 상기 제2바람(12)이 송풍된다. 상기 제2통노즐, 제2통노즐의 출구, 제2통노즐 전면의 출구 등에서 상기 제2바람이 송풍, 배출, 유출, 불기 등이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에서 배출되는 폐기물(110)과 상기 낙하하는 나머지의 제1경량물(120)에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83)를 통한 제2바람(12)이 송풍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상기 나머지의 제1경량물에 상기 제2통노즐, 제2통노즐의 출구, 제2통노즐 타측의 출구 등을 통한 제2바람이 송풍된다.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를 통한 제2바람의 송풍에 의하여 a)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낙하하는 폐기물에 함유된 경량물과; b) 상기 낙하하는 나머지의 제1경량물이; 포함되는 제2경량물이 비산된다.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83)를 통한 제2바람(12)의 송풍에 의하여 a)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 토출, 낙하 등을 하는 폐기물(110)에 함유된 경량물과; b)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73)를 통한 제1바람(11)의 송풍에 의하여 비산된 제1경량물(120) 중에서 상기 격벽(147)을 월류한 일부의 제1경량물(120)을 제외한 나머지의 제1경량물(120)이; 포함되는 제2경량물이 비산, 날림, 선별, 분리 등이 된다.
상기 비산된 제2경량물 중에서 일부의 제2경량물(120)은 상기 격벽(147)을 월류한다.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제2경량물은 상기 컨베이어(144)의 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와 같이 a) 상기 제1통노즐(70)의 슬롯(73)이나 출구(73)에서 상기 제1바람(11)이 송풍되어 폐기물(110)에 함유된 경량물(120)이 비산, 선별 등이 되고, 이는 1차 풍력선별기(101)에 해당되고, b) 상기 제2통노즐(80)의 슬롯(83)이나 출구(83)에서 상기 제2바람(12)이 송풍되어 폐기물(110)에 함유된 경량물(120)이 비산, 선별 등이 되고, 이는 2차 풍력선별기(102)에 해당되어, c) 상기 제1통노즐 및 제2통노즐에 의한 풍력선별(100)은 다단풍력선별(100)이 되고, d) 상기 제1통노즐(70) 및 제2통노즐(80)이 포함되는 장치는 다단풍력선별기(100)가 된다.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에서 배출되는 폐기물(110) 중에서 상기 격벽을 월류한 제1경량물 및 제2경량물(120)이 제외된 폐기물(110)이 상기 컨베이어(144)에 의하여 이송된다. 상기 컨베이어(144)에 의하여 이송되는 폐기물(110)은 더블죠크러셔(154), 2치진동스크린(157), 콘크러셔(162), 자력선별기, 인력선별 등의 추가 공정에 의하여 상기 파쇄 내지 입도분리 등이 되어 토사, 골재, 순환토사, 순환골재, 재활용 토사, 재활용 골재 등으로 생산되거나, 또는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통노즐(70에서 송풍 또는 분사되는 바람(11)은 정류, steady flow, 정상류, steady state flow 등이 되고, 이에 의한 폐기물에서 경량물의 선별효율은 보통이 된다. 그리고 제2통노즐(80)에서 송풍 또는 분사되는 바람(12)은 와류, 난류, 나선, 교란, 태풍, typhoon, 폭기, aeration, 회오리, 소용돌이, 사이클론, cyclone, 허리케인, hurricane, 윌리윌리, willy-willy, 팽이흐름, 회전, 회전흐름, 와류회전, 회오리회전, 소용돌이회전, 보텍스, votex, 케비테이션, cavitation 등이 되고, 이는 와류, 난류, 나선류, 교란류, 태풍류, typhoon flow, 폭기류, aeration flow, 회오리류, 소용돌이류, 사이클론류, cyclone flow, 허리케인류, hurricane flow, 윌리윌리류, willy-willy flow, 팽이흐름류, 회전류, 회전흐름류, 와류회전류, 회오리회전류, 소용돌이회전류, 보텍스류, votex flow, 케비테이션류, cavitation flow 등이 되고, 이에 의한 폐기물에서 경량물의 선별효율은 향상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a) 바람을 공급하는 팬(1, 6), 팬(6)을 회전시키는 모터(2), 모터(2)에 연결되는 벨트(4), 모터(2)의 회전축(3)과 팬(6)의 회전축(5)을 연결하는 벨트(4) 또는 회전벨트(4), 모터의 회전축(3)과 팬의 회전축(5)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팬에 전달하여 팬(6)을 회전시키는 벨트(4), 중심축(1)이 회전하는 모터(2)와 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4)와 이에 의하여 중심축(5)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팬(6)의 회전에 의하여 생성되는 바람으로 구성된 송풍기(1), 상기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팬(6), 송풍기(1), 풍력기(1), 바람발생기(1); b) 상기 중 하나에 거치된 관, 배관, 관로, 호스, 파이프, 토출구(7, 8), 제1토출구(7), 제2토출구(8), 제1토출구(7)에 거치 또는 분지된 제2토출구(8), 제1토출구에 거치 또는 접속된 제2토출구(8), 제1토출구(7)에 자신의 입구(15)가 거치 또는 접속된 제2토출구(8); c) 바람(11, 12)을 공급하는 상기 팬 내지 제2토출구; d) 상기 중 하나에 연계되는 또는 상기 중 하나로 부터 바람이 공급되는 보톡스체(20), 제1통노즐(70); e) 상기 보톡스체(20)에 포함되는 제1체(21), 제2체(22), 제3체(23), 제4체(24); f) 상기 보톡스체(20)의 일측(31)을 폐합하는 판(26); g) 상기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중 둘 이상에 형성되는 중공부(27, 28, 29, 30) 또는 슬롯; h) 상기 보톡스체(20)에 순차적으로 연계되는 또는 상기 보톡스체로 부터 바람(12)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사이클론(60), 제2통노즐(80); i) 상기 제1벤츄리 및 제2벤츄리의 확장부(43, 45, 53), 축소부(44, 54); j)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베인(26), 돌기(27); k) 상기 사이클론(60)에 포함되는 점확통(63); ℓ) 상기 제1통노즐, 제2통노즐 등에 포함되는 통(81), 터널(85), 윈드터널(85), 슬롯(83), 출구(83), 노즐, 판노즐, 통노즐; m) 상기 제1통노즐(70)의 출구(73)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경량물(120)이 제거 또는 선별되는 폐기물(110); n)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83)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경량물(120)이 제거 또는 선별되는 폐기물(110); o)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컨베이어, 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140, 157), 분리기, 파쇄기, 크러셔, 죠크러셔(132), 더블죠크러셔(154), 콘크러셔(162); p)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q) 폐기물이 상기 투입 내지 복합 등이 되는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되거나, 또는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a) 팬, 모터, 송풍기, 제1토출구, 제2토출구, 보톡스체,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판, 슬롯, 제1벤츄리, 제2벤츄리, 확장부, 축소부, 베인, 돌기, 사이클론, 점확통, 노즐, 판노즐, 통노즐, 제1통노즐, 제2통노즐, 슬롯, 통, 터널, 윈드터널, 호퍼, 컨베이어, 선별기, 스크린선별기, 진동스크린선별기, 분리기, 파쇄기, 크러셔, 죠크러셔, 더블죠크러셔, 콘크러셔, 풍력기, 1단풍력기, 2단풍력기, 다단풍력기; b) 이중 하나의 입구, 출구, 중간, 중공부, 유입구, 유출구,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측면, 전단, 후단, 전방, 후방, 연결부; c) 상기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콘, cone, 망, net, 봉, bar, 틀, 나선, screw, 스크류, 돌기, 베인, vane, 팬, fan, 날개, 콤프, 압축기, 압력기, 콤프레셔, compressor, 공기(空氣)콤프레셔, 압기(壓氣)콤프레셔, 압력콤프레셔, 전선, 케이블, 전극, 전기, 전원, 플러그, 콘센트, 인젝터, 이젝터, 유입관, 유출관, 벤트, 벤트구, 벤트관, 밸브, 개폐밸브,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타이머, 온도계, 습도계, 측정기, 바람측정기, 계량기, 전기계량기, 전력량계, 풍속계, 풍량계, 풍압계, 풍향계, 풍향기, 먼지측정기, 미세먼지측정기, 소음측정기, 진동측정기, 살수기, 분사기,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소음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방전기, 전기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정화기, 청정기, 청소기, 정수기, 크리닝기; d) 상기 콘 내지 크리닝기 등이 구비된 상기 팬 내지 연결부; e)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등이 이용, 사용, 구비, 거치, 설치, 공급, 인가, 제공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의 형태는 원, 통, 타원,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다각, 자유, 임의, 중공, 슬롯, 무공, 유공, 다공, 타공, 원형, 통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다각형, 자유형, 임의형, 중공형, 슬롯형, 무공형, 유공형, 다공형, 타공형, 원통, 타원통, 삼각통, 사각통, 오각통, 육각통, 다각통, 자유통, 임의통, 중공통, 슬롯통, 무공통, 유공통, 다공통, 타공통 등이 가능하다.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은 1개, 2개, 쌍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다수개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은 상기 팬 내지 복합; 이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상부, 중간, 하부, 내, 외, 내부, 외부, 내면, 외면, 측면, 측부, 배면, 전방, 후방, 전단, 후단, 임의, 자유, 주변, 인근, 이격; 등에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다수개 등의 이용이나 구비가 가능하다. 이의 예 1로는 제1노즐, 이의 상부에 제2노즐, 이의 상부에 제3노즐, 이의 상부에 제4노즐 등이다. 예 2로는 제1노즐, 이의 인근에 제2노즐, 이의 측면에 제3노즐, 이의 배면에 제4노즐 등이다. 예 3으로는 팬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1노즐, 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팬의 토출부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2노즐, 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이클론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3노즐, 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벤츄리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4노즐 등이다. 예 4로는 송풍기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1노즐, 이의 인근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텍스체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2노즐, 이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텍스링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3노즐, 이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벤츄리의 축소부에서 바람이 공급되는 제4노즐 등이다.
본 발명에서 팬, 송풍기 등의 예로는 a) 몸체, 유공 몸체, 토출구, 하부 유공 및 상부 비유공 몸체, 상부 단면이 좁아지는 몸체; b) 이의 몸체 내부에 거치된 모터(2); c) 회전 날개 또는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6); d) 상기 날개의 회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람(12)이 유입 또는 통과되는 링노즐(21, 22, 23, 24), 환노즐(21, 22, 23, 24), 링형상의 노즐(21, 22, 23, 24), 속빈 링노즐(21, 22, 23, 24), 둘레를 따라 틈(28) 또는 슬롯(28)이 형성된 속빈 링노즐(22), 내측이 곡면(25) 또는 둥근(25) 또는 경사진(25) 속빈 링노즐 또는 제2체,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내측이 곡면(25)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또는 제2체, 둘레를 따라 틈(28)이 형성되고 내측이 곡면(25)이고 외측이 평평한 속빈 링노즐 또는 제2체, 상기 틈(28) 또는 슬롯(28)으로 상기 바람(12)이 배출되는 상기 노즐(22); e) 상기 배출된 바람이 빠르게 흐르는 상기 내측(36), 직면(22), 직선면(22), 직선부(22), 곡면(25), 둥근면(25), 경사면(25); 또는 느리게 흐르는 상기 외측, 평평면; f) 상기 빠름 및 느림에 의하여 상기 외측, 평평면 중 하나보다 기압이 낮은 상기 내측, 곡면, 둥근면, 경사면; 내부(36)에 바람의 흐름에 의하여 기압이나 압력이 낮아지는 링노즐 또는 제2체(22), g) 상기 빠름, 기압 낮음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내측(36), 곡면(25), 둥근면(25), 경사면(25), 링노즐 또는 제2체(22); h)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람과 같이 상기 내측(36), 곡면(25), 둥근면(25), 경사면(25) 중 하나를 통하여 흐르는 또는 송풍되는 링 또는 제2체(22); i) 상기 틈(28) 또는 슬롯(28)이 개방된 또는 향하는 방향으로, 또는 상기 링(22)에서 외부 또는 먼거리 방향으로 또는 벤츄리(40, 50) 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송풍 공기; j) 상기 송풍 공기가 송풍되는 상기 링(21, 22, 23, 24));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된 송풍기(1)이다.
a) 본 발명에서는 b) 또는 b1) 상기 호퍼 내지 복합, 팬 내지 복합, 투입 내지 복합; b2) 이중 하나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 중간, 내부, 외부, 속, 내부, 내벽, 내면, 외부, 천장, 천정, 바닥, 벽면, 인근, 주변, 제조, 제작, 생산, 상차, 가동, 운전, 시행, 실시, 운반, 이동, 하차, 야적, 적치, 보관, 설치, 거치, 안치, 안착, 시공, 공사, 운영, 운영, 가동, 유지, 관리, 보수, 보강, 점검, 검사, 시험, 관측, 계측, 측정, 진단, 물질, 물체, 원료, 소재, 재료, 자재; 등은 또는 등에는 a) 자화, 자력, 전기장,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청정, 정화, 항균, 멸균, 제균, 살균, 소독, 해독, 제독, 방역, 방제, 전해, 방전, 대전, 방사, 분사, 탄화, 산화, 환원, 중화, 산성화, 염기화, 항산화, 이온화, 탄산화, 유리화, 디톡스화, 촉매화, 광촉매화, 반응, 광반응, 촉매반응, 광촉매반응; b) 자화기, 자장기, 자력기, 전기장기,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정화기, 항균기, 멸균기, 제균기, 살균기, 소독기, 해독기, 제독기, 방역기, 방제기, 전해기, 방전기, 대전기, 방사기, 분사기, 탄화기, 산화기, 환원기, 중화기, 산성화기, 염기화기, 이온화기, 탄산화기, 유리화기, 디톡스화기, 촉매화기, 광촉매화기, 반응기, 광반응기, 촉매반응기, 광촉매반응기; c) 등, 燈, 통, 筒, 전등, 電燈, 램프, lamp, 조명, LED, LED등, 조사기, 방사기, 적외선기, 자외선기, 살균광기, 소독광기, 원적외선기, 수단, 장치, 장비, 센서, sensor, 랜턴, lantern, 히터, heater, 박스, box, 항균기, 소독기, 살균기, 청정기, 정화기, 자화기, 방전기, 조명기, 라이트, light, 라이터, lighter, 측정기, 표시기, 통신기, 케이스, case, 제습기, 정화기, 전해기, 전기분해기, 방전기, 전기방전기, 오존기, 음이온기, 캠, cam, 카메라, camera,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모뎀, modem, 통신기, 통신망, 서버, server, 컴퓨터, 모니터, monitor, 스크린, screen, 단말기, 폰, phone, 핸드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display; d) 등, 燈, 전등, 電燈, 전구, 형광등, 조명등, 살균등, 소독등, 항균등, 자외선등, 적외선등, LED, LED등, 비상등, 경고등, 점멸등, 가스등, 전기등, 전자등, 표시등, 가스 농도 표시등, 가스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등, 경고등, 가스가 있음을 경고하는 경고등, 가스농도가 기준치 이내를 나타내는 파란등, 가스농가 기준치 이상을 나타내는 빨간등, 벨, 비상벨, 소리벨, 얼람, 얼람벨, 경고얼람, 경적수단, 사운더, 경고음발생기; e) 센서, 측정기, 계량기, 센싱기, 측정센서, 유해물질 측정기, 유해물질 측정센서, 밸브실 내의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측정기, 캠, 카메라, CCTV, 판독기, 영상이나 측정치를 판독하는 판독기, 비교수단, 상기 가스농도와 기준치 또는 허용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 결정수단, 상기 비교하여 가스농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 점등기, 상기 이하인 경우에 파른등을 점등하는 점등기, 상기 이상인 경우에 빨간등을 점등하는 점등기; f) 전선, 케이블, 전력선, 전기선,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전선, 레바, 스위치, ON/OFF스위치,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연계되는 스위치, 조정기, 조종기, 원격조종기, 컨트롤러, 리모트컨트롤러, 상기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컨트롤러, 전지, 전선, 케이블, 발전기, 전기장치, 전력장치, 발전용전지, 태양전지, 발전용태양전지, 태양발전기, 배터리, 폐배터리, 건전지, 폐건전지, 충전지, 폐충전지, 파워뱅크, 전원공급기, 한전전력선,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상기 중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상기 전지 내지 ESS; g) 상기 자화기 내지 ESS 등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 h) 상기 자화 내지 광촉매반응 등을 하는 또는 등이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ESS; i) 상기 자화 내지 ESS 등이 조합 또는 이용되는 상기 자화 내지 ESS; j)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생성, 가능, 가시, 발생, 조성, 형성, 발현, 조합,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투입 내지 복합 등에는 a) IT, IoT, ICT, 정보, 스마트, 정보, 기술, 통신, 송신, 수신, 사물, 인터넷, 사물인터넷, 아날로그기, 디지털기, 바이오, 미생물, 센서, 측정기, 캠, 카메라, CCTV, 모뎀, 통신기, 전송기, 수신기, 무선기, 유선기, 서버, 컴퓨터, 연산기, 연산정치, 판독기,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화면, 표시기, 모니터, 스크린, 경고등, 싸이렌, 디스플레이; b) 항균기, 살균기, 소독기, 청정기, 정화기, 항균장치, 항균기기, 항균기구, 항균수단, 항균시스템, 오존기, 음이온기, 오존발생기, 음이온발생기, 은이온발생기, 은나노발생기, 나노물질발생기, 이온물질발생기, 은이온방사기, 은나노방사기, 나노물질방사기, 이온물질방사기; c) 광원, 램프, 빛조사기, 광조사기, 선조사기, 광선기, 광원기, UV(ultra violet)기, LED(light emitting diode)기, 발광다이오드기, 자외선기, 적외선기, 원적외선기, X레이기; d) 광촉매, 밸브실의 내면이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 부속물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 상기 광촉매에 빛이나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빛이나 자외선와 광촉매에 의한 광촉매반응, 상기 빛이나 자외선와 광촉매의 접촉에 의한 광촉매반응, 광촉매에 빛이나 자외선이 보사되어 조성되는 광촉매반응, 이의 반응인 항균반응, 살균반응, 소독반응, 정화반응, 상기 반응에 의한 항균작용, 살균작용, 소독작용, 정화작용; e) 또는 전극, 양극, 음극, 양극과 음극 사이에 거치된 분리막, 상기 항균기 내지 분리막 등에 연결된 전선, 상기 항균기 내지 전선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이에 의한 전원 인가에 의하여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전극, 상기 전극이 내재된 케이스 또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투입된 전해액, 이들이 포함되는 전해기, 상기 전원 인가에 의하여 생성되는 또는 상기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H2, O2, Cl2, OCl, NaOCl, Fe+, 이온수, 전해수, 전해액, 이온물, 나노물, 은이온, 금이온, 구리이온, 금속이온, 나노금속, OH라디칼; 버블이나 살균 기능을 하는 상기 H2 내지 OH라디칼; f)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서모그램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이중 둘 이상의 복합, 복합기, 복합물; g) 수(水), 물(物), 액체(液), 유(油),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자장(磁場), 음파, 소나, sonar, 소닉, sonic, 소리, 압기, 가스,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암모니아, 기포, 연무, 펄스, 사운드, 버블,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미생물, 분해물, 전해물, 방전물, 발전물,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반응제, 포집제, 흡착제, 피톤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티탄촉매, 디톡촉매, 피톤촉매, 피톤치드, 항균제, 살균제, 소독제, 청정제, 정화제, 오존, 음이온, 은이온, 은나노, 나노물질, 이온물질; h) 기(器), 기(機), 부(部), 부위, 부분, 차(車), 체(體), 제(劑), 재(材), 구(具), 조(槽), 통, 함, 링, 팬, 소자, 밴드, 튜브, 박스, 탱크, 물체, 물품, 부품, 용품, 상품, 제품, 몸체, 신체, 의류, 로봇, 드론, 장비, 장치,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시설, 설비, 재료, 자재, 건물, 주택, 구조물, 스프링, 파이프, 벤츄리, 중공체, 시스템, 반도체, AI반도체, AI반도체, 아바타, 인플루언서, 사이클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모빌리티, 네트워크; i) 자화, 진동, 가진, 오존, 음이온, 회전, 분해, 전해, 살균, 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적외선기, 초음파기, 서모그램기, 마그네트론,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j) 열(熱), 파(波), 광(光), 선(線), 풍(風), 자장(磁場), 음파, 소나, 소닉, 소리, 압기, 가스, 수소, 산소, 질소, 메탄, 암모니아, 기포, 연무, 펄스, 사운드, 버블, 염소, 차염, 라디칼, 미스트, 광선, LED광, 살균광, 소독광, 자외선, 적외선, 촉매, 광촉매, 티탄, 티타늄, 산화티타늄, 미생물, 분해물, 전해물, 방전물, 발전물, 청정제, 정화제, 살균제, 소독제, 반응제, 포집제, 흡착제, 피톤제, 티탄제, 디톡제, 디톡스제, 티탄촉매, 디톡촉매, 피톤촉매, 피톤치드; k) 기(器), 기(機), 부(部), 부위, 부분, 차(車), 체(體), 제(劑), 재(材), 구(具), 조(槽), 통, 함, 링, 팬, 소자, 밴드, 튜브, 박스, 탱크, 물체, 물품, 부품, 용품, 상품, 제품, 몸체, 신체, 의류, 로봇, 드론, 장비, 장치, 기기, 기구, 기계, 수단, 시설, 설비, 재료, 자재, 건물, 주택, 구조물, 스프링, 파이프, 벤츄리, 중공체, 시스템, 반도체, AI반도체, AI반도체, 아바타, 인플루언서, 사이클론, 자화진동가진오존음이온회전기, 모빌리티, 네트워크; g)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등에서 제공되는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h)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등을 하는 또는 등이 생성되는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i)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등이 조합 또는 이용되는 상기 IT 내지 네트워크; j)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생성, 가능, 가시, 발생, 조성, 형성, 발현, 조합, 연결, 연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투입 내지 복합 등에는 압전소자, piezoelectric element, 壓電素子, 압전기(壓電氣)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 수정(quartz), 전기석, 로셸염, 피에조전기소자, 타이타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타르산에틸렌다이아민, 인공결정, 압전기, 어떤 종류의 결정판(結晶板)에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인 압전기, 한 장의 결정판에 나타나는 압전기는 미약, 금속박을 삽입하면서 여러 장을 겹칠 경우 그 양이 크게 증대, 결정판에는 고유의 진동이 있음, 탄성진동과 전기진동이 일치하면 압전기와 결합되어 더욱 강한 진동이 발생, 마이크로폰, 전축의 픽업, 전화기나 라디오의 스피커, 초음파 탐지기, 수정시계의 진동자, 방송기기, 원거리 통신회로, 압전 효과(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를 지닌 소자.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 Piezoelectric Transducer, Ultrasonic Testing, 초음파탐상시험, 압전효과를 가진 소자의 총칭, 소결체 세라믹스, 압전센서, 초음파센서, 자동 점화장치, 충격력을 가하면 높은 전압을 발생하며 불꽃이 튐, 이 불꽃으로 가스레인지나 욕조 보일러 등을 착화, 외부로부터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기분극(分極)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素子), 기계나 전기 양 에너지간의 상호교환에 사용, 압전효과가 큰 로셸염, 티틴산 바륨, 압력이나 전기 변환을 집적하는 소자, 압전 효과를 가진 물질, 피에조 소자, 쿼츠 시계에 사용되는 수정, 크리스털 픽업에 사용되는 로셀염, 세라믹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티탄산바륨, 픽업, 마이크로폰, 기계적 필터, 압전 효과가 큰 로셸염이나 티탄산 바륨, 압력-전기 변환을 직접 하는 소자, 가스 기구의 점화, 압전 마이크로폰, 레코드 재생의 픽업, 수화기, 스피커, 초음파 발생기, 압전 마이크로폰, 레코드 플레이어의 픽업, 수화기, 확성기, 기계적 응력을 걸면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수정이나 압전 세라믹스 등을 사용한 소자,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 수정이나 티탄산바륨을 소결한 압전 세라믹, 티탄산 지르콘산납(약하여 PZT), 라이터나 가스 기구의 점화 장치, 자동차에서는 노크 센서나 각종 압력 센서, 상기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기(器), 기(機), 제, 재, 재료, 물질, 물체, 일, 업무, 작업, 바이오, 복합, 복합물, 복합제, 복합재, 복합체, 복합수단, 복합체, 복합수단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투입 내지 복합 등에는 a) 자화, 자기장, 진동, 가진, 오존, 오존처리, 오존살균, 오존소독, 음이온, 음이온처리, 음이온청정, 회전, 자체회전, 물체회전, 분해, 물질분해, 미생물분해, 전해, 전기분해, 버블, 폭기, 살균, 방전, 전기방전, 자화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회전기, 분해기, 버블기, 폭기기, 전해기, 살균기, 방전기, 자화물, 진동물, 가진물, 오존, 음이온, 오존물, 음이온물, 회전물, 분해물, 버블물, 폭기물, 전해물, 살균물, 방전물; b) 상기 자화 ∼ 방전물 중 둘 이상 복합, 복합작용, 복합처리, 복합기, 복합물; c) 상기 자화 내지 복합물 등이 투입되는 물질, 물체, 장비, 장치,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투입 내지 복합 등에는 a) 자화기, 자기장기, 진동기, 가진기, 오존기, 음이온기,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연수기, 세정기, 세척기, 살균기, 소독기, 방역기, 방제기, 분해기, 전해기(전기분해기), 방전기(전기방전기), 압전기, 피에조기, 열전기, 펠티에기, 배양기, 발효기, 가습기, 건조기, 가열기, 냉각기, 냉온기, 광학기, 발광기, 발열기, 방열기, 축열기, 연무기, 응축기, 전파기, 음파기, 초음파기, 인덕터, 인덕션, 펄스기, 폭기기, 임펄스기, 분사기, 와류기, 케비테이션기, 반응기, 응집기, 침전기, 여과기, 필터기, 절단기, 혼합기, 용융기, 추출기, 사출기, 수축기, 팽창기, 조사기, 방사기, 발사기, 가속기, 감속기, 압축기, 콤프레셔, 데미스터, 엘리미네이터, 서미스터, 미스트기, 다이오드, 웨이브기, 레이저기, 솔레노이드, 마그네트론기; b) 자화, 자기장발생, 진동, 가진, 오존살균, 음이온소독, 청정, 정화, 퓨리, 정수, 연수, 세정, 세척, 역세, 역세척, 살균, 소독, 방역, 방제, 분해, 전해(전기분해), 방전(전기방전), 압전, 열전, 배양, 발효, 가습, 건조, 가열, 냉각, 냉감, 온각, 온감, 냉온, 광학, 발광, 발열, 방열, 축열, 전열, 방전, 연무발생, 응축, 전파발생, 음파발생, 초음파진동, 전자기유도, 유도가열, 펄스발생, 폭기, 임펄스발생, 분사, 와류, 케비테이션, 반응, 응집, 침전, 여과, 필터링, 절단, 혼합, 용융, 추출, 사출, 수축, 팽창, 조사(照射), 방사(放射), 발사, 가속, 감속, 압축, 콤프레싱, 수분제거, 먼지제거, 열가변저항발생, 미스트발생, 발광, 웨이브발생, 레이저조사, 자기장발생, 마이크로파발생; c) 자화물, 자기장, 진동물, 가진물, 오존, 오존물, 음이온, 음이온물, 청정물, 정화물, 정수물, 연수물, 세정물, 세척물, 살균물, 소독물, 방역물, 방제물, 분해물, 전해물(전기분해물), 방전물(전기방전물), 압전물, 열전물, 배양물, 발효물, 가습물, 건조물, 가열물, 냉각물, 냉온물, 광학물, 발광물, 발열물, 방열물, 축열물, 연무, 응축물, 전파, 음파, 초음파, 전자기, 유도가열물, 펄스물, 폭기물, 임펄스, 분사물, 와류물, 케비테이션물, 반응물, 응집물, 침전물, 여과물, 필터물, 절단물, 혼합물, 용융물, 추출물, 사출물, 수축물, 팽창물, 조사물, 방사물, 발사물, 가속물, 감속물, 압축물, 콤프레싱물, 수분, 물방울, 눈, 스노우, snow, 먼지, 분진, 낙엽, 빗물, 수분, 얼음, 어름, 아이스, ice, 열가변저항(熱可變抵抗), 미스트, 발광물, 웨이브, 육각물, 레이저, 자기장물, 마이크로파; d) 처리, 자화처리, 자기장처리, 진동처리, 가진처리, 오존처리, 음이온처리, 청정처리, 정화처리, 정수처리, 연수처리, 세정처리, 세척처리, 살균처리, 소독처리, 방역처리, 방제처리, 분해처리, 전해처리, 방전처리, 압전처리, 냉온처리, 배양처리, 발효처리, 가습처리, 건조처리, 가열처리, 냉각처리, 냉온처리, 광학처리, 발광처리, 발열처리, 방열처리, 축열처리, 연무처리, 응축처리, 전파처리, 음파처리, 초음파처리, 전자기처리, 유도가열처리, 펄스처리, 폭기처리, 임펄스처리, 분사처리, 와류처리, 케비테이션처리, 반응처리, 응집처리, 침전처리, 여과처리, 필터처리, 절단처리, 혼합처리, 용융처리, 추출처리, 사출처리, 수축처리, 팽창처리, 조사처리, 방사처리, 발사처리, 가속처리, 감속처리, 압축처리, 콤프레싱처리, 데미스터처리, 엘리미네이터처리, 열가변저항처리, 미스트처리, 발광처리, 웨이브처리, 레이저처리, 자기장처리, 마이크로파처리; e)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처리, 복합기, 복합작용, 복합물, 복합처리; f)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처리 중 하나의 기능, 기능기, 기능물, 기능처리; g)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이 이용되는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h) 상기 수단 내지 복합수단 등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i) 일이나 수단이나 상기 투입 내지 복합 등에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j)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k)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을 하는 또는 등이 생성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ℓ)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등이 조합 또는 이용되는 상기 자화기 내지 기능처리; m)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생성, 가능, 가시, 발생, 조성, 형성, 발현, 조합, 연결, 연계, 주입, 투입,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투입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 등에는 a) 기(器), 기(機), 칩, 핀, 판, 팬, 침, 콘, 링, 망, 줄, 선, 실, 사, 바, 봉, 돌, 돌기, 솔, 빗, 캡, 알, 봉, 대, 폴, 틀, 붓, 볼, 삽, 끌, 톱, 칼, 날, 셀, 통, 램, 롬, 칼날, 구슬, 금속, 소자, 진자, 단자, 전지, 전극, 양극, 음극, 폴대, 자침, 코일, 나선, 노끈, 지퍼, 쟈크, 처크, 후크, 헤드, 테일, 배플, baffle, 센서, 필터, 기판, 키트, 카드, 모듈, 히터, 쿨러, 회로, 서버, 허브, 모뎀, 유닛, 도체, 모터, 펌프, 드론, 로봇, 수단, 노즐, 합금, 형상기억합금, 디퓨저, 절연체, 인버터, 컨버터, MLCC, 주유기, 주유소, 충전기, 충전소, 정류기, 정압기, 정전기, 정류자, 변류기, 발전기, 콘덴서, 트렌스, 릴레이, 휘슬, 호루라기, 호출기, 경보기, 통화기, 조명기, 통신기, 스프링, 아바타, 반도체, 시스템, 배터리, 폐배터리, 파워뱅크,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상기 IT 내지 4차산업기술; b) 상기 기 내지 내지 4차산업기술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복합기, 복합요소; c) 상기 자화기 내지 복합 등이 이용되는 상기 기(器) 내지 복합요소; d)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중 하나 이상이 관련되는 상기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투입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 e)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등에서 제공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f)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등을 하는 또는 등이 생성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g)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등이 조합 또는 이용되는 상기 기 내지 복합요소; h)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이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되는 복합, 복합기, 복합재, 복합물, 복합작용; 등이 이용, 사용, 적용, 구비, 거치, 장착, 생성, 가능, 가시, 발생, 조성, 형성, 발현, 조합, 연결, 연계, 주입, 투입, 발생, 생성, 공급, 제공, 분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 상기 팬 내지 복합, 호퍼 내지 자재, 자화 내지 복합, IT 내지 복합, 자화 내지 복합물, 투입 내지 복합, 자화기 내지 복합; b) 또는 1개, 2개, 3개, 4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의 상기 팬 내지 복합; c) 또는 1단, 2단, 3단, 4단, 다수단, 2단 이상 등의 상기 팬 내지 복합; d) 또는 상기 팬 내지 복합, 진동스크린선별기; 이의 상, 중, 하, 상부, 하부, 배면, 상면, 하면, 표면 등에 구비된 노즐, 1개 노즐, 2개 노즐, 다수 노즐, 2개 이상 노즐, 상기 팬 내지 복합; e)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의 상, 중, 하, 좌, 우, 전, 후,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측면, 측부 등에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이 구비된 상기 팬 내지 복합; f) 또는 풍, 풍력, 바람, 압기, 공기 등이 상, 중, 하, 좌, 우, 전, 후,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측면, 측부 등의 방향으로 송풍, 분사, 배출, 와류, 보텍스류; g) 상기 중 둘 이상 복합, 상기 중 둘 이상이 조합된 복합; h) 상기 중 하나 이상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팬 내지 복합; i)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상, 중, 하, 좌, 우, 전, 후, 상부, 하부, 전면, 후면, 배면, 중간, 전단, 후단, 측면, 측부, 이격, 임의 자유 등에 구비된 또는 1개, 2개, 3개, 다수개, 2개 이상 등이 이용이나 구비된 상기 팬 내지 복합; j)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상기 팬 내지 복합; 등이 이용, 가눙, 사용, 분사, 구비, 거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는 a)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하단, 상부, 배면 등에 각각 제1노즐, 제2노즐, 제3노즐; b) 상기 제1노즐, 제2노즐, 제3노즐 등에 각각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 c) 상기 제1토출구, 제2토출구, 제3토출구 등에 연계되는 팬, 제1팬, 제2팬, 제3팬; d) 상기 제1노즐, 제2노즐, 제3노즐 등에 각각 제1사이클론, 제2사이클론, 제3사이클론; e) 상기 제1사이클론, 제2사이클론, 제3사이클론 등에 각각 제1벤츄리, 제2벤츄리, 제2벤츄리; f) 상기 제1벤츄리, 제2벤츄리, 제2벤츄리 등에 제1보텍스체, 제2보텍스체, 제3보텍스체; 등이 이용 또는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추가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측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다단풍력기(100)는 바람(11, 12)을 송풍하여 진동스크린선별기(140)의 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하단에서 낙하하는 폐기물(110)에 포함된 경량물, 이물질 등(120)을 제1통노즐(70)과 제2통노즐(80)에 의한 2단 풍력으로 비산, 제거, 선별, 분리 등을 하는 것이다.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전단(141)에 투입된 폐기물(110)은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진동 및 경사에 의하여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스크린선별기에 형성된 스크린(143)으로 토사(150)가 통과하여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하부로 분리선별되고, 나머지 폐기물은 진동스크린선별기를 상부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142)에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제1통노즐(70)에서 송풍되는 바람(11)에 의하여 낙하하는 폐기물(110)에 함유된 경량물(120)이 비산하여 1차 선별(101)되고, 제2통노즐(80)에서 송풍되는 바람(12)에 의하여 낙하하는 폐기물(110)에 함유된 경량물(120)이 비산하여 2차 선별(102)된다. 여기서 제1통노즐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한 1차 풍력선별(101), 제2통노즐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한 2차 풍력선별(102)이 되어 본 기술의 풍력기는 2단의 다단풍력기(100)가 된다.
도 2,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정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진동스크린선별기(140)의 후단(142) 하부에 제1통노즐(70), 제2통노즐(80), 컨베이어(144), 격벽(147)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진동스크린선별기(140)의 후단(142)에서 낙하하는 폐기물(110) 중에서 경량물(120)이 제1통노즐(70)의 송풍(11), 제2통노즐(80)의 송풍(12)에 의하여 비산되어 격벽(147)을 월류(over flow)하여 선별되고, 경량물이 선별된 폐기물(110)은 컨베이어(144)에 안착되어 컨베이어(144)의 회전 및 이동에 따라 다으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도 2, 3은 팬(6)이나 송풍기(1)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동일한 크기, 면적, 단면적, 통풍면적 등을 가진 제1통노즐(70)과 사이클론(60)의 유출구(63)와 동일한 크기, 면적, 단면적, 통풍면적 등을 가진 제2통노즐(80)의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팬(6)이나 송풍기(1)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보다 큰 크기, 면적, 단면적, 통풍면적 등을 가진 제1통노즐(70)과 사이클론(60)의 유출구(63)와 동일한 크기, 면적, 단면적, 통풍면적 등을 가진 제2통노즐(80)의 예를 보여준다. 제1통노즐(70)의 유출구(73)와 제2통노즐(80)의 유출구(33)는 원형, 삼각, 사각, 다각, 타공, 다공, 직사각, 정사각, 긴사각, 슬롯, 긴슬롯, 벽 형성, 격벽 형성, 칸막이 형성, 기둥 형성; 2개 이상의 벽, 격벽, 칸막이, 기둥 형성; 등이 가능하다. 이중에서 2개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 긴사각형이 우선될 수 있다.
도 5, 6, 7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풍력기의 상세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에는 보텍스체, 제1벤츄리, 제2벤츄리, 사이클론, 제1통노즐, 제2통노즐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텍스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는 보텍스체에 포함되는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 판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텍스체에서 발생되는 바람의 방향, 압력, 속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판(26)이 설치되어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가 폐합된 경우에 대한 바람(12)의 방향, 압력, 속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에 홀, 구멍, 슬롯 등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로 유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형성된 홀, 구멍, 슬롯 등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 압기, 바람 등이 인위적으로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에 유입하는 경우에 대한 바람의 방향, 압력, 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이 무공, 유공, 다공, 타공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이 무공인 경우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가 폐합되어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으로부터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로 외부의 공기, 바람, 압기 등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이 유공, 다공, 타공 등인 경우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가 오픈되어 보텍스체(20)의 일측(31)에 설치된 판(26)으로부터 보텍스체(20)의 내부의 공간이나 중공부(27, 28, 29, 30)로 외부의 공기, 바람, 압기 등이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의 경우 보텍스체(20) 내부의 바람은 또는 보텍스체(20) 내부에서 벤츄리 방향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기존의 제2바람(12)과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 바람, 압기 등의 합이 된다.
도 11, 12, 13, 14는 본 발명에 의한 풍력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에는 보텍스체(20),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판노즐(80)이 구비된 풍력기(100)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10 등에서는 원통형의 보텍스체(20),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및 통형상의 노즐 등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사각형의 보텍스체(20),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및 판형상의 노즐 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텍스체(20), 제1벤츄리(40), 제2벤츄리(50), 노즐(70, 80) 등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호퍼(130), 살수(131), 죠크러셔(132), 살수(133), 인력선별(134), 자력선별(135), 1차진동스크린선별기(140), 토사(150), 송풍기(151, 100), 인력선별(152), 살수(153), 더블죠크러셔(154), 살수(155), 자력선별기(156), 2차진동스크린선별기(157), 송풍기(158, 100), 자력선별(159), 인력선별(160), 살수(161), 콘크러셔(162), 13mm 이하 크기의 석분(171), 13∼25mm 크기의 골재(172), 25∼49mm 크기의 골재(173)로 되는 폐기물의 처리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에 의한 폐기물의 처리 공정은 상기 호퍼 내지 콘크러셔 등의 순으로 되고, 이를 통하여 폐기물에서 토사, 석분, 골재 등이 추출, 생산, 재활용 등이 된다. 여기서 재활용의 기준은 입경 100mm 이하, 이물질 함유량 1% 이하 등이다. 본 발명 청구항의 1의 내용은 상기 호퍼 내지 골재 중 하나 이상에 적용이 가능하나, 이중에서 1차진동스크린선별기(140), 송풍기(151, 100, 1, 6), 2차진동스크린선별기(157), 송풍기(158, 100, 1, 6) 등에 적용이 효과적이다.
상기 이용, 구비, 거치 등은 이용, 사용, 적용, 활용, 구비, 방사, 放射, 거치, 주입, 설치, 장착, 정착, 부착, 존치, 위치, 발현, 발생, 발사, 發射, 조사, 照射, 비침, 비춤, 공급, 제공, 생성, 조성, 형성, 시행, 실시, 진행, 주입, 注入, 투입, 유입, 분사, 분무, 분출, 배출, 함유, 포함, 침지, 침전, 훈증, 수침, 증착, 인가, 허가 등이 해당된다. 이의 적용 예로는 자화 발현, 진동 발생, 가진 조성, 오존 방사, 음이온 형성, 자화기 구비, 진동기 거치, 가진기 장착, 오존기 부착, 음이온기 존치, 자화물 주입, 진동물 포함, 가진물 유입, 오존물 인가, 음이온물 분사, 복합 적용, 복합기 이용, 복합물 발사 등이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등은 등, 하나, 둘 이상, 중 하나 이상, 중 둘 이상 등이 해당된다. 이의 예로는 a, b, c, d 등은 a, b, c, d, a와 b, a와 c, a와 d, b와 c, b와 d, c와 d, a와 b와 c, a와 b와 d, b와 c와 d, a와 b와 c와 d 등이 해당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내용, 실시예 등의 일부에 관한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내용, 실시예 등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내용, 문구, 용어, 단어, 문장, 단락, 기술, 장치 등은 본 발명의 내용, 청구항, 청구항 내용 등에 포함될 수 있다.
1 : 송풍기 6 : 팬 11 : 제1바람 12 : 제2바람
20 : 보텍스체 40 : 제1벤츄리 50 : 제1벤츄리 60 : 사이클론
70 : 제1노즐 80 : 제2노즐 100 : 풍력기 110 : 폐기물

Claims (1)

  1. 폐기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로서,
    보텍스체가 구비되고,
    상기 보텍스체는 자신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거치된 내부 중공의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체의 외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2체가 거치되고,
    상기 제2체의 외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3체가 거치되고,
    상기 제3체의 외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4체가 거치되고,
    상기 제1체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와 제3체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와 제4체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텍스체의 일측에 또는 상기 제1체, 제2체, 제3체, 제4체의 일측에 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체의 일측이 상기 판에 정착되고,
    상기 제2체의 일측이 상기 판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3체의 일측이 상기 판에 정착되고,
    상기 제2체의 타측과 제3체의 타측의 사이에 곡면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에 형성된 유입구가 또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된 파이프가 상기 제4체를 관통하고,
    상기 유입구 또는 파이프에 하기의 제2토출구가 연결되고,
    하기의 제2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제2바람이 상기 제3체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3체의 유입구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고,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의 통기면적이 a)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의 통기면적보다 작으면서, b)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의 통기면적보다 작고,
    상기 통기면적의 작음에 의하여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의 속도가 a) 상기 제2체와 제3체와 곡면체로 에워싸인 중공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의 속도보다 크면서, b) 상기 제2체와 상기 판의 사이에 이격되는 이격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의 속도보다 크고,
    상기 통기면적의 작음 또는 바람속도의 큼에 의하여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이 와류되고,
    상기 제1체와 제2체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배출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체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직선부, 상기 제2체의 타측, 상기 제2체의 타측과 제3체의 타측의 사이에 구비된 곡면체의 곡면부, 상기 제3체의 타측, 상기 제4체의 내부의 중공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상기 제4체의 일측이 상기 판에 정착되고,
    상기 제4체의 타측에 제1벤츄리의 일측의 제1확장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4체의 내부의 중공부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제1벤츄리의 일측의 제1확장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1벤츄리는 일측의 제1확장부, 중간의 제1축소부, 타측의 제1확장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의 제1확장부의 내부 중공부에 제1베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1축소부의 내부에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벤츄리의 일측의 제1확장부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중간의 제1축소부, 타측의 제1확장부를 통과하고,
    상기 일측의 제1확장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1베인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제1축소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1돌기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타측의 제1확장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1베인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제1벤츄리의 타측의 제1확장부에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벤츄리의 타측의 제1확장부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벤츄리는 일측의 제2확장부, 타측의 제2축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의 내부 중공부에 제2베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축소부의 내부에 제2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타측의 제2축소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2벤츄리의 일측의 제2확장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베인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제2축소부를 통과하는 제2바람이 상기 제2돌기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타측의 제2축소부에 사이클론이 연결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타측의 제2축소부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사이클론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은 자신의 단면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점점 확장되는 내부 중공의 점확통, 상기 점확통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 상기 점확통의 타측에 형성된 유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점확통의 유입구는 상기 점확통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확통의 연직 중심에서 우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점확통의 유출구는 상기 점확통의 타측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확통의 연직 중심에서 좌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벤츄리의 타측의 제2축소부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사이클론의 점확통의 타측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과하고,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점확통의 연직 중심에서 우측 방향으로 하부에 편심되게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점확통의 연직 중심에서 좌측 방향으로 상부에 편심되게 형성된 유출구로 상승되면서 상기 점확통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바람이 와류되고,
    상기 점확통의 유출구에 제2통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제2통노즐은 제2통, 상기 제2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 상기 제2통의 타측에 형성된 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2중공부의 내부에 두개 이상의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점확통의 유출구를 통과한 제2바람이 상기 제2통노즐의 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2통노즐의 입구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를 거쳐 상기 제2통의 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제2바람이 상기 제2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2중공부의 통과 시에 상기 제2중공부의 내부에 형성된 두개 이상의 터널에 의하여 와류되고,
    상기 제2통노즐의 측면에 제1통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제1통노즐은 제1통, 상기 제1통의 일측에 형성된 입구,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 상기 제1통의 타측에 형성된 출구로 구성되고,
    하기 제1토출구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상기 제1통노즐의 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1통노즐의 입구로 유입된 바람이 상기 제1통의 내부에 형성된 제1중공부를 거쳐 상기 제1통의 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보텍스체의 전단에 팬이 구비되고,
    상기 팬에 제1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팬에서 생성되는 제1바람이 상기 제1토출구에 공급되고,
    상기 제1토출구의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제2토출구의 입구가 거치되고,
    상기 제1토출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1바람 중에서 일부의 제2바람이 상기 제2토출구의 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안내판이 상기 제1토출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제1바람이 상기 제1통노즐에 공급되고,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팬에서 공급되는 제2바람이 상기 제3체의 유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3체의 유입구로 유입된 제2바람이 상기 제1벤츄리, 제2벤츄리, 사이클론, 제2통노즐에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통노즐과 제2통노즐의 상부에 진동스크린선별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통노즐 및 제2통노즐에서 제1바람 및 제2바람이 송풍되는 상부에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이 위치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전단에 호퍼 또는 파쇄기 또는 트롬멜선별기가 위치되고,
    상기 호퍼에 투입된 폐기물 또는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폐기물 또는 상기 트롬멜선별기에서 선별된 폐기물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에 투입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에 투입된 폐기물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스크린을 통하여 하부로 토사가 배출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상부를 거친 폐기물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으로 배출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의 하부에 상기 제1통노즐이 위치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제1통노즐에 이격되어 상기 제2통노즐이 위치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의 하부에 거치되면서 상기 제2통노즐에 이격되어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1통노즐, 제2통노즐, 컨베이어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의 높이가 제2통노즐의 출구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높이의 차(差)에 의하여 제1통노즐의 출구에서 송풍되는 제1바람이 상기 제2통노즐에 의하여 막힘되지 않고 상기 제2통노즐의 상부로 송풍되어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낙하하는 폐기물에 송풍되고,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에서 상기 제1바람이 송풍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에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를 통한 제1바람이 송풍되고,
    상기 제1통노즐의 출구를 통한 제1바람의 송풍에 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에서 제1경량물이 비산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제2통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에 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2통노즐과 컨베이어와 격벽은 상호 이격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의 하부이면서 상기 제1통노즐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2통노즐, 컨베이어, 격벽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비산된 제1경량물 중에서 일부의 제1경량물은 상기 격벽을 월류하고,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제1경량물은 상기 컨베이어의 방향으로 낙하하고,
    상기 제2통노즐에 형성된 출구에서 상기 제2바람이 송풍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상기 낙하하는 나머지의 제1경량물에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를 통한 제2바람이 송풍되고,
    상기 제2통노즐의 출구를 통한 제2바람의 송풍에 의하여 a)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낙하하는 폐기물에 함유된 경량물과; b) 상기 낙하하는 나머지의 제1경량물이; 포함되는 제2경량물이 비산되고,
    상기 비산된 제2경량물 중에서 일부의 제2경량물은 상기 격벽을 월류하고,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제2경량물은 상기 컨베이어의 방향으로 낙하하고,
    상기 진동스크린선별기의 후단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에서 상기 격벽을 월류한 제1경량물 및 제2경량물이 제외된 폐기물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230128689A 2023-09-26 2023-09-26 폐기물 선별장치 KR10264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689A KR102641100B1 (ko) 2023-09-26 2023-09-26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689A KR102641100B1 (ko) 2023-09-26 2023-09-26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100B1 true KR102641100B1 (ko) 2024-02-27

Family

ID=9005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689A KR102641100B1 (ko) 2023-09-26 2023-09-26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1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57A (ja) * 2005-02-08 2006-08-24 Dowa Mining Co Ltd 風力選別装置及び風力選別方法
US20080006565A1 (en) * 2006-07-05 2008-01-10 Tek-Dry Systems Limited Waste separation apparatus
JP2010188275A (ja) * 2009-02-18 2010-09-02 Matehan Eng Kk 気流分離装置
KR101598116B1 (ko) * 2014-04-25 2016-02-26 (주)대주개발 순환골재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57A (ja) * 2005-02-08 2006-08-24 Dowa Mining Co Ltd 風力選別装置及び風力選別方法
US20080006565A1 (en) * 2006-07-05 2008-01-10 Tek-Dry Systems Limited Waste separation apparatus
JP2010188275A (ja) * 2009-02-18 2010-09-02 Matehan Eng Kk 気流分離装置
KR101598116B1 (ko) * 2014-04-25 2016-02-26 (주)대주개발 순환골재 생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042B1 (ko) 폐기물, 폐콘크리트,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장비, 선별기, 풍력선별기
KR20240034710A (ko) 청소,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정수, 살균, 소독, 숏팅, 도장, 처리하는 장치, 장비, 시설, 시스템
CN103496761B (zh) 等离子体和超声波联合水处理装置及其工艺流程
US20080063558A1 (en) Odour Reduction Apparatus
KR20230079342A (ko)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세척기, 세정기, 청소기, 분사기, 샤워기, 집진기, 선별기, 처리기, 환기시설, 스프링클러
KR20230128952A (ko) 세척, 세정, 정화, 청정, 청소, 살균, 살수, 소독, 방역, 방제, 크리닝 장비
KR102641100B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102610194B1 (ko) 폐기물처리 및 순환골재생산 시스템
KR20210049060A (ko) 환기설비, 환기시설, 청정시설, 정화시설, 집진시설, 샤워시설, 스프링클러
KR20230073155A (ko) 선별, 파쇄, 분리, 분쇄, 처리 시설 및 방법
KR20210048772A (ko) 드론,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물대포, 분사기, 처리기, 미스트기, 환기시설
KR101689009B1 (ko) 폐가스 정화시스템
CN106914130A (zh) 空气分解为原子后重组分子的净化、优化的方法及设备
KR20210049065A (ko) 드론, 차량형 드론, 드론형 차량, 탑재형 드론, 정화형 드론
KR20210049061A (ko) 선별기, 분리기, 파쇄기, 처리기, 송풍기, 청정기
KR20210049040A (ko) 램프, 오존기, 청정기, 정화기, 소독기, 살균기, 분사기, 음이온기가 구비된 드론,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KR20210049039A (ko) 드론, 비행체, 부유체, 청정기, 처리기를 이용한 소독, 살균, 정화, 청정, 정수, 청소, 세척, 세정, 처리 방법
KR20210049063A (ko) 도장, 도색, 코팅, 페인팅을 하는 드론, 장치, 장비, 시설, 기구, 청정기
KR20210049037A (ko) 드론, 이동체, 부유체, 비행체,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소독기, 살균기, 집진기
KR20210049062A (ko) 정화, 청정, 샤워, 세척, 소독, 살균, 먼지제거 기능을 가진 통로, 아치, 터널, 박스, 드론, 장비, 게이트, 청정기, 샤워기, 정화기, 처리기
CN106587467A (zh) 一种水体净化循环系统
KR20210049066A (ko) 드론, 청정기, 정화기, 정수기, 청소기, 세척기, 세정기, 물대포, 분사기, 처리기, 집진기, 미스트기, 환기시설
AU2005282215A1 (en) Odour reduction apparatus
JPH02280900A (ja) 超音波処理装置
CN105727739A (zh) 具有净化器的除炉渣中二恶英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