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841A -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841A
KR20230024841A KR1020220097302A KR20220097302A KR20230024841A KR 20230024841 A KR20230024841 A KR 20230024841A KR 1020220097302 A KR1020220097302 A KR 1020220097302A KR 20220097302 A KR20220097302 A KR 20220097302A KR 20230024841 A KR20230024841 A KR 20230024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and
nozzle
edg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오리 히로세
마사히로 도코
겐이치 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23002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0Advancing webs by a feed band against which web is held by fluid pressure, e.g. suction or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4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 B05C5/0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only at particular part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26Mechanisms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on winding-web package, e.g. for regulating the quantity of air between web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4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3Details of the part distributing the air cushion
    • B65H2406/1132Multiple nozzle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2Fuel cell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기재의 에지를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이 덮는 띠상체의 권취 시의 부적합을 억제하여, 띠상체의 권취 품질을 향상 가능한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권취 장치는 권취 코어 및 기류 조정부를 구비한다. 권취 코어은, 폭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원료액이 토출되어 형성된 막의 에지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을 갖는 띠상체를 권취한다. 기류 조정부는, 기체의 토출 및 노즐에서의 흡인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띠상체의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의 주위의 기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WINDING APPARATUS,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STRIPE BODY}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재료가 용매에 용해된 원료액을 전계 방사법 등에 의해 기재의 표면에 토출시켜, 기재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지의 전극군에 있어서, 정극과 부극 사이를 절연하는 세퍼레이터를, 정극 또는 부극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세퍼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극(정극 또는 부극)의 표면에, 전계 방사법 등에 의해 유기 섬유의 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막이 세퍼레이터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기재의 표면에 막이 형성된 띠상체는, 권취 코어에 권취된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와 일체인 전극을 띠상체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락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폭 방향에 대하여 기재인 전극의 일방측의 에지가, 막의 에지 피복 부분에 의해 덮이고,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은, 기재의 에지로부터 띠상체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다. 이와 같이 에지 피복 부분이 막에 형성된 띠상체를 권취 코어에 권취하는 작업에서는, 권취 코어의 외주측으로의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의 절곡, 및 띠상체의 폭 방향(권취 코어의 축 방향)의 내측으로의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의 절첩 등에 의한 부적합의 발생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막의 에지 피복 부분에 있어서의 전술한 절곡 및 절첩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띠상체가 권취 코어에 권취된 부분에 있어서, 막의 에지 피복 부분 및 그 근방에서의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에 의한 부적합 등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기재의 에지를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이 덮는 띠상체의 권취 시의 부적합을 억제하여, 띠상체의 권취 품질을 향상 가능한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권취 장치는 권취 코어 및 기류 조정부를 구비한다. 권취 코어은, 폭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원료액이 토출되어 형성된 막의 에지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을 갖는 띠상체를 권취한다. 기류 조정부는, 기체의 토출 및 흡인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띠상체의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의 주위의 기류를 조정한다.
상기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에 따르면, 기재의 에지를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이 덮는 띠상체의 권취 시의 부적합을 억제하여, 띠상체의 권취 품질을 향상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띠상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노즐 및 급기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권취 장치)에 있어서, 권취 코어, 노즐 및 이들의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권취 코어, 노즐 및 이들 근방의 구성을, 횡방향의 일방측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권취 코어, 노즐 및 이들 근방의 구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띠상체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본 상태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동력 전달부의 일부를 도시하며, 베이스 샤프트 및 회동 통 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권취 코어, 노즐 및 동력 전달부에 있어서 노즐의 근방의 부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노즐, 및 동력 전달부에 있어서 노즐의 근방의 부위를 도시하며, 접속 샤프트 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어떤 변형예에 관한 권취부에 있어서, 노즐 및 흡인원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방사 장치(1)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 장치(1)는 송출부(2), 방사부(3), 권취 장치가 되는 권취부(4) 및 반송 경로(P)를 구비한다. 반송 경로(P)는, 송출부(2)부터 권취부(4)까지, 방사부(3)를 통하여 연장 설치된다. 방사 장치(1)에서는, 기재(10)가, 송출부(2)부터 권취부(4)까지, 반송 경로(P)를 따라 반송된다.
반송 경로(P)에서는, 기재(10)가 반송되는 반송 방향, 즉 권취부(4)를 향하는 방향이 하류측이 된다. 그리고, 반송 경로(P)에서는,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송출부(2)를 향하는 방향이 상류측이 된다. 또한, 반송 경로(P)에서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되는 제1 방향, 및 반송 방향 및 제1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제2 방향이 규정된다. 도 1에서는, 반송 경로(P)의 제1 방향(폭 방향)은,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또한, 반송 경로(P)에는, 송출부(2)로부터 권취부(4)로 기재(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도시 생략)가 1개 이상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경로(P)에 있어서, 송출부(2)와 방사부(3) 사이, 및 방사부(3)와 권취부(4) 사이 중 적어도 어느 곳에, 가이드 롤러가 배치된다. 또한, 방사부(3)의 내부에, 가이드 롤러가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송출부(2)부터 권취부(4)까지의 반송 경로(P)의 연장 설치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일례에서는, 반송 경로(P)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반송 경로(P)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또한, 송출부(2)와 권취부(4) 사이에, 반송 경로(P)의 절곡 부분 또는 절첩 부분 등이 1개소 이상 마련되며, 절곡 부분 또는 절첩 부분 등에 있어서, 반송 경로(P)의 연장 설치 방향이 변경되어도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송출부(2)와 방사부(3) 사이, 및 방사부(3)와 권취부(4) 사이 중 적어도 어느 곳에, 반송 경로(P)의 절첩 부분이 마련되고,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부(3)의 내부에, 반송 경로(P)의 절첩 부분이 마련된다.
또한, 기재(10)에서는, 긴 변 방향, 긴 변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폭 방향, 및 긴 변 방향 및 폭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두께 방향이 규정된다. 기재(10)에서는, 폭 방향을 따른 치수(폭)가, 긴 변 방향을 따른 치수에 비하여 작고, 두께 방향을 따른 치수가, 폭 방향을 따른 치수에 비하여 작다.
송출부(2)는, 송출 코어(21)을 구비한다. 송출 코어(21)은, 예를 들어 릴에 의해 형성된다. 송출 코어(21)은, 중심축을 갖고, 송출 코어(21)에는 기재(10)가 롤상으로 감긴다. 송출 코어(2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은, 반송 경로(P)의 제1 방향(폭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송출 코어(21)에는, 기재(10)의 폭 방향이 송출 코어(2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또한 기재(10)의 긴 변 방향이 송출 코어(21)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기재(10)가 감긴다. 송출부(2)에서는, 모터 등의 구동 부재(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송출 코어(21)을 화살표(R1)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 경로(P)에 기재(10)가 송출되어, 반송 경로(P)에 기재(10)가 공급된다.
반송 경로(P)에서는, 송출부(2)로부터 송출된 기재(10)가, 권취부(4)를 향하여 반송된다. 기재(10)는, 기재(10)의 폭 방향이 반송 경로(P)의 제1 방향(폭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또한 기재(10)의 두께 방향이 반송 경로(P)의 제2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반송된다. 도 1에서는, 기재(10)의 폭 방향은,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방사부(3)는, 반송 경로(P)에 반송되는 기재(10)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11)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기재(10) 및 막(11)을 구비하는 띠상체(12)가 형성된다. 띠상체(12)에 있어서도, 기재(10)와 마찬가지로 하여, 긴 변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이 규정된다. 방사부(3)는 1개 이상의 방사 헤드(31)를 구비하며, 도 1의 일례에서는, 방사부(3)에 6개의 방사 헤드(31)가 마련된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은, 헤드 본체(32)와, 헤드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토출 노즐(33)을 구비한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에서는, 헤드 본체(32)의 내부에, 예를 들어 유기 재료가 용매에 용해된 원료액을 저류 가능하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에서는, 헤드 본체(32)의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원료액이, 토출 노즐(33)로부터 기재(10)로 토출된다. 기재(10)는, 방사 헤드(31)의 각각에 대하여, 원료액이 토출되는 측을 통하여 반송된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에는, 1개의 토출 노즐(33)이 마련되어도 되고, 복수의 토출 노즐(33)이 마련되어도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 헤드(31)의 각각에 복수의 토출 노즐(33)이 마련되고, 방사 헤드(31)의 각각에서는, 복수의 토출 노즐(33)이 반송 경로(P)의 제1 방향(도 1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노즐열이 형성된다.
또한, 방사부(3)에는, 전원(도시 생략)이 마련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전원은 직류 전원이다. 전원은, 방사부(3)에 있어서 방사 헤드(31)에 전압을 인가하고, 반송 경로(P)에 있어서 반송되는 기재(10)와 토출 노즐(33)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토출 노즐(33)로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대전된 원료액이, 토출 노즐(33)의 각각으로부터 기재(10)를 향하여 토출되어, 기재(10)의 표면에 막(11)이 형성된다. 또한, 원료액은, 플러스의 극성으로 대전되어도 되고, 마이너스의 극성으로 대전되어도 된다.
원료액에 사용되는 유기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케톤, 폴리술폰, 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불화비닐리덴 중 어느 1개 이상이 선택된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의 토출 노즐(33)과 기재(10) 사이의 전압은, 원료액에 있어서의 용매 및 용질의 종류, 원료액의 용매의 비점 및 증기압 곡선, 원료액의 농도 및 온도, 토출 노즐(33)의 형상, 및 기재(10)와 토출 노즐(33)의 거리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 헤드(31)의 각각의 토출 노즐(33)과 기재(1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전위차)은, 1kV 내지 100kV의 사이에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방사 헤드(31)의 각각의 토출 노즐(33)로부터의 원료액의 토출 속도는, 원료액의 농도, 점도 및 온도, 방사 헤드(31)의 각각의 토출 노즐(33)과 기재(10)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및 토출 노즐(33)의 형상 등에 대응하는 크기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방사부(3)는, 전계 방사법(전하 방사법 및 전하 유도 방사법 등이라고도 칭해짐)에 의해, 기재(10)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11)을 형성하고, 기재(10) 및 막(11)을 구비하는 띠상체(12)를 형성한다. 또한, 도 1의 일례에서는, 기재(10)의 양면에 원료액이 토출되지만, 어떤 일례에서는, 반송되는 기재(10)의 편면에만 원료액이 토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재(10)의 편면에만 막(11)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 헤드(31)로의 원료액의 공급원, 및 공급원과 방사 헤드(31) 사이의 원료액의 공급 경로 중 어느 것에, 전술한 전원 등에 의해 전압을 인가하여, 원료액을 대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도, 대전된 원료액이, 토출 노즐(33)의 각각으로부터 기재(10)를 향하여 토출된다.
또한,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부(3)에 있어서, 반송되는 기재(10)가 수집체(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 헤드(31)의 토출 노즐(33)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10)를 향하여 원료액이 토출된다. 이에 의해, 수집체 상에 설치되는 기재(10)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기재(10)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경우라도, 기재(10)의 표면에 막(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사부(3)에서는, 기재(10)의 표면으로의 유기 섬유의 막(11)의 형성이, 전계 방사법 이외의 방법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전계 방사법 대신에, 잉크젯법, 제트 디스펜서법 및 스프레이 도포법 중 어느 것에 의해, 기재(10)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11)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방사부(3)에서는, 방사 헤드(31)로부터 기재(10)의 표면으로, 유기 재료를 용매에 용해한 원료액이 토출된다.
권취부(권취 장치)(4)는, 권취 코어(41)을 구비한다. 권취 코어(41)은, 예를 들어 릴에 의해 형성된다. 권취 코어(41)은, 중심축(C0)을 갖고, 권취 코어(41)에는, 반송 경로(P)를 통하여 반송된 띠상체(12)가 반입된다.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을 따르는 방향은, 반송 경로(P)의 제1 방향(폭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권취부(4)에서는, 모터 등의 구동 부재(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해 권취 코어(41)을 화살표(R2)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 경로(P)로부터 권취 코어(41)에 반입되는 띠상체(12)가, 권취 코어(41)의 외주부에 권취된다. 권취 코어(41)에는,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을 중심으로 하는 롤상으로, 띠상체(12)가 권취된다. 또한, 권취 코어(41)에는, 기재(10)(띠상체(12))의 폭 방향이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을 따르는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또한 기재(10)(띠상체(12))의 긴 변 방향이 권취 코어(41)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띠상체(12)가 권취된다.
도 2는, 권취 코어(41)에 권취되는 띠상체(12)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에서는, 긴 변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으로, 띠상체(12)가 도시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화살표(W1) 및 화살표(W2)로 나타내는 방향이, 띠상체(12)(기재(10))의 폭 방향이 되고, 화살표(T1) 및 화살표(T2)로 나타내는 방향이, 띠상체(12)(기재(10))의 두께 방향이 된다.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상체(12)에서는, 기재(10)는 한 쌍의 에지(E1, E2)를 구비한다. 기재(10)에서는, 에지(제1 에지)(E1)가, 폭 방향에 대하여 일방측의 에지가 되고, 에지(제2 에지)(E2)가, 폭 방향에 대하여 에지(E1)와는 반대측의 에지가 된다. 그리고, 기재(10)에서는, 에지(E1, E2)가, 긴 변 방향을 따른 한 쌍의 긴 변 에지가 된다.
도 2 등의 일례의 띠상체(12)에서는, 기재(10)의 양면에, 즉 기재(10)의 한 쌍의 주면의 양쪽에, 막(11)이 형성된다. 또한, 권취 코어(41)에 권취되는 띠상체(12)에서는, 폭 방향에 대하여 기재(10)의 일방측의 에지(E1)가, 막(11)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띠상체(12)의 막(11)에는, 기재(10)의 에지(E1)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13)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지 피복 부분(13)은, 폭 방향의 에지(E1)를 포함하는 기재(10)의 표면에 토출 노즐(33)로부터 원료액이 토출되어 형성된 막(11) 중, 에지(E1)를 덮는 부분이다.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은, 기재(10)의 에지(E1)로부터 띠상체(12)(기재(1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다. 또한, 도 2 등의 일례에서는, 기재(10)에 있어서 에지(E1)와는 반대측의 에지(E2)에는, 막(11)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에지(E2)는, 막(11)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권취 코어(41)에는, 기재(10)의 에지(E1)가 막(11)에 덮이고, 또한 기재(10)의 에지(E2)가 막(11)에 덮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띠상체(12)가 반입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방사부(3)에 있어서, 기재(10)의 에지(E1, E2)의 양쪽을 막(11)이 덮는 상태로, 막(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반송 경로(P)에 있어서 방사부(3)와 권취부(4) 사이에, 벗겨 내기부(도시 생략)가 마련된다. 벗겨 내기부는, 방사부(3)에서 형성된 막(11)의 일부를, 예를 들어 회전 브러시를 사용하여 기재(10)로부터 벗겨 낸다. 이때, 벗겨 내기부가, 기재(10)의 에지(E2)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막(11)을 기재(10)로부터 벗겨 냄으로써, 에지(E2)가 막(11)으로 덮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단, 벗겨 내기부에 의한 벗겨 내기가 행해진 띠상체(12)라도, 에지(E1) 및 그 근방은 막(11)으로 덮인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막(11)의 일부가 벗겨진 후, 띠상체(12)는 권취 코어(41)에 반입된다.
또한,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전술한 벗겨 내기부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반송되는 기재(10)의 에지(E2) 및 그 근방에 원료액이 토출되지 않는 상태로, 방사부(3)에 있어서, 방사 헤드(31)의 각각으로부터의 원료액의 토출 범위가 조정된다. 이에 의해, E1이 막(11)에 덮이고, 또한 에지(E2)가 막(11)에 덮여 있지 않은 상태로, 기재(10)의 표면에 막(11)이 형성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전극(정극 또는 부극)이 기재(10)가 되고, 기재(10)의 표면에, 유기 섬유의 막(11)으로서 세퍼레이터가 형성된다. 이 경우, 띠상체(12)로서, 세퍼레이터가 일체인 전극(정극 또는 부극)이 형성된다. 전지 및 콘덴서 등의 각각의 전극군에서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정극과 부극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또한, 기재(10)가 전극인 경우, 전극(기재(10))은, 집전체, 및 집전체의 표면에 담지되는 활물질 함유층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재(10)인 전극에서는, 폭 방향에 대한 일방측의 에지(E1)까지, 집전체 및 활물질 함유층이 형성된다. 단, 전극에서는, 에지(E1)와는 반대측의 에지(E2)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집전체가 활물질 함유층을 담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극에서는, 집전체의 활물질 함유층을 미 담지한 부분에 의해, 에지(E2)가 형성된다. 또한, 기재(10)는, 전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부(권취 장치)(4)는,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의 근방의 기류를 조정하는 기류 조정부(5)를 구비한다.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을 구비함과 함께, 노즐(51)에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부(50)를 구비한다. 도 3은, 노즐(51) 및 급기부(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3에서는, 권취 코어(41)의 일부를 도시함과 함께,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을 도시한다. 도 3에서는, 띠상체(12)의 긴 변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이 도시되고,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에 대하여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단면이 도시된다.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부(50)는, 노즐(51)에 공급되는 기체의 공급원이 되고, 기체 탱크(52), 밸브(53) 및 레귤레이터(55)를 구비한다. 노즐(51)은, 급기 경로(56)를 통하여, 급기부(50)에 접속된다.
도 1 및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51)은, 급기부(50)로부터 급기 경로(56)를 통하여 공급된 기체를 토출하는 토출 노즐이다. 기류 조정부(5)에서는,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노즐(51)로부터 기체를 토출시킨다. 노즐(51)은,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즉, 띠상체(12)가 권취 코어(41)에 권취되는 위치) 및 그 근방을 향하여 기체를 토출한다. 이 때문에, 띠상체(12)에 있어서 전술한 반입 위치에 반입되기 직전의 부분, 및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있어서 전술한 반입 위치로부터 반입된 직후의 부분 등으로, 노즐(51)로부터 기체가 토출된다. 이때,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서는, 기재(10)의 에지(E1)를 덮는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여, 노즐(51)로부터 기체가 토출된다. 이 때문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서는, 노즐(51)로부터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는 기류가 발생하고(화살표(F1)), 에지 피복 부분(13)의 주위, 및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가 조정된다.
기체 탱크(52)에는, 노즐(51)에 공급하는 기체가 모인다. 밸브(53)는, 예를 들어 스로틀 밸브이며, 밸브(53)에 의해, 노즐(51)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이 조정된다. 노즐(51)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이 조정됨으로써, 노즐(51)로부터의 기체의 토출량이 조정된다. 또한, 레귤레이터(55)에 의해, 노즐(51)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이 조정된다. 노즐(51)에 대한 기체의 압력이 조정됨으로써,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압이 조정된다. 또한,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량 및 토출압이 조정됨으로써,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속도가 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량, 토출압 및 토출 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노즐(51)로부터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는 기류에 대하여, 즉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에 대하여, 유량, 속도 및 압력을 조정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권취부(권취 장치)(4)에 있어서 권취 코어(41), 노즐(51) 및 이들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부(4)에서는, 깊이 방향(화살표(X1) 및 화살표(X2)로 나타내는 방향), 깊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횡방향(화살표(Y1) 및 화살표(Y2)로 나타내는 방향), 및 깊이 방향 및 횡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교차하는(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높이 방향(화살표(Z1) 및 화살표(Z2)로 나타내는 방향)이 규정된다. 권취 코어(41)에는, 깊이 방향의 일방측(화살표(X1)측)으로부터, 띠상체(12)가 반입된다. 여기서, 도 4는 사시도이며, 도 5는 횡방향의 일방측(화살표(Y1)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깊이 방향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띠상체(12)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권취부(4)에서는,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은 횡방향을 따른다. 또한, 띠상체(12)는, 띠상체(12)의 폭 방향이 횡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권취 코어(41)에 권취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의 일례에서는, 반송 경로(P)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에 가까운 위치에, 가이드 롤러(57)가 배치된다. 띠상체(12)는, 가이드 롤러(57)에 의해 권취 코어(41)으로 가이드되어, 가이드 롤러(57)로부터 권취 코어(41)에 반입된다. 즉, 띠상체(12)는, 가이드 롤러(57)를 통하여,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까지 가이드된다. 가이드 롤러(57)는, 깊이 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높이 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에 대하여 상측(화살표(Z1)측)에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 롤러(57)의 중심축은, 횡방향을 따르고, 띠상체(12)의 폭 방향을 따른다.
권취부(4)에서는, 권취 코어(41)은 벽부(43)에 설치된다. 권취 코어(41)은, 횡방향의 일방측(화살표(Y1)측)으로부터 벽부(43)에 설치된다. 권취 코어(41)은, 벽부(43)에 대하여, 중심축(C0)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한다. 기류 조정부(5)는, 터치 롤(61), 및 터치 롤(61)로부터의 동력을 노즐(5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60)를 구비한다. 노즐(51)은, 동력 전달부(60)를 사이에 두고, 터치 롤(61)에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 등의 일례에서는, 동력 전달부(60)는 회동 샤프트(62), 한 쌍의 접속판(63), 타이밍 풀리(65, 68), 타이밍 벨트(71), 베이스 샤프트(66), 회동 통(67), 암판(72), 타이밍 풀리(73, 76), 타이밍 벨트(77), 접속 샤프트(75) 및 중계판(81, 82) 등을 구비한다. 회동 샤프트(62)는, 중심축(C1)을 갖고,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은 횡방향을 따른다. 회동 샤프트(62)는, 횡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이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벽부(43)에 설치된다. 회동 샤프트(62)는, 벽부(43)에 대하여,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 샤프트(62)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접속판(63)은, 회동 샤프트(62)에 고정되고, 횡방향에 대하여 서로에 대하여 떨어져 배치된다. 또한, 접속판(63)의 각각은, 높이 방향의 하측을 향하여 회동 샤프트(62)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권취 코어(41)을 향하여 회동 샤프트(62)로부터 연장 설치된다. 접속판(63)의 각각은, 횡방향으로 보아, 대략 C자상의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터치 롤(61)은, 접속판(63)을 사이에 두고, 회동 샤프트(62)에 연결된다. 터치 롤(61)은 중심축(C2)을 갖고, 터치 롤(61)의 중심축(C2)은 횡방향을 따른다. 터치 롤(61)은, 횡방향에 대하여, 벽부(43)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이 위치하는 측에 배치된다. 터치 롤(61)은, 접속판(63)에 대하여, 중심축(C2)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터치 롤(61)은, 벽부(43)에 대하여, 회동 샤프트(62) 및 접속판(63)과 함께,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는, 접속판(63)의 각각의 일부 및 터치 롤(61)은, 생략하여 도시한다.
터치 롤(61)은,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즉, 권취 코어(41)에 권취되는 띠상체(1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터치 롤(61)은,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에, 외주측으로부터 접촉하며, 도 4 내지 도 6 등의 일례에서는, 노즐(51)의 근방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또한, 타이밍 풀리(65)는, 회동 샤프트(62)에 고정되고, 횡방향에 대하여, 접속판(63)에 대하여 벽부(43)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타이밍 풀리(65)는, 벽부(43)에 대하여, 회동 샤프트(62) 및 터치 롤(61) 등과 함께,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도 7는 동력 전달부(60)의 일부를 도시하며, 베이스 샤프트(66) 및 회동 통(67) 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사시도이며, 권취 코어(41), 노즐(51) 및 동력 전달부(60)에 있어서 노즐(51)의 근방의 부위를 도시한다. 도 8에서는 띠상체(12)를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노즐(51) 및 동력 전달부(60)에 있어서 노즐(51)의 근방의 부위를 도시하며, 접속 샤프트(75) 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으로 도시함과 함께, 베이스 샤프트(66) 및 회동 통(67) 등을 깊이 방향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본 상태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통(67)은, 베이스 샤프트(66)를 사이에 두고 벽부(43)에 설치된다. 회동 통(67)은, 중심축(C3)을 갖고,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은, 베이스 샤프트(66)의 중심축과 동축 또는 대략 동축이다.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은, 횡방향을 따르고, 회동 통(67)은, 횡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이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벽부(43)에 설치된다. 또한, 회동 통(67)(중심축(C3))은, 높이 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중심축(C0))과 회동 샤프트(62)(중심축(C1)) 사이에 배치되고, 깊이 방향에 대하여, 권취 코어(41)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에 배치된다. 회동 통(67)은, 벽부(43) 및 베이스 샤프트(66)에 대하여,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회동 통(67)에는, 타이밍 풀리(68) 및 암판(72)이 고정된다. 이 때문에, 타이밍 풀리(68) 및 암판(72)은, 회동 통(67) 등과 함께,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타이밍 풀리(68)는, 횡방향에 대하여, 암판(72)에 대하여 벽부(43)에 가까운 측에 위치한다. 또한, 동력 전달부(60)에서는, 타이밍 풀리(65, 68)에 타이밍 벨트(71)가 걸리고, 타이밍 풀리(68)는, 타이밍 벨트(71)를 사이에 두고, 타이밍 풀리(68)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타이밍 풀리(65)가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하면, 타이밍 풀리(65)로부터 타이밍 풀리(68)에 동력이 전달되고, 타이밍 풀리(68)는, 회동 통(67) 및 암판(72)과 함께,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
암판(72)은, 깊이 방향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회동 통(67)으로부터 연장 설치된다. 또한, 동력 전달부(60)에서는, 암판(72)에 접속 샤프트(75)가 고정되고, 접속 샤프트(75)는, 깊이 방향에 대하여, 회동 통(67)(중심축(C3))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동력 전달부(60)에서는, 접속 샤프트(75)는, 타이밍 풀리(76) 및 중계판(81, 82) 등을 사이에 두고, 노즐(51)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암판(72)이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하면, 접속 샤프트(75), 타이밍 풀리(76), 중계판(81, 82) 및 노즐(51) 등은, 암판(72) 등과 함께,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
또한, 동력 전달부(60)에서는, 베이스 샤프트(66)에 타이밍 풀리(73)가 고정되고, 타이밍 풀리(73)는, 횡방향에 대하여, 타이밍 풀리(68) 및 암판(72)에 비하여, 벽부(43)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한다. 회동 통(67) 및 암판(72) 등이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해도, 타이밍 풀리(73)는, 회동 통(67) 등과 함께 회동하지 않는다. 또한, 타이밍 풀리(76)는, 중심축(C4)을 갖고, 타이밍 풀리(76)의 중심축(C4)은 횡방향을 따른다. 타이밍 풀리(76)는, 암판(72) 및 접속 샤프트(75)에 대하여, 중심축(C4)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 풀리(76)(중심축(C4))는, 깊이 방향에 대하여, 회동 통(67)(중심축(C3))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타이밍 풀리(76)는, 접속 샤프트(75)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에 대하여 벽부(43)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암판(72)에 설치된다.
타이밍 풀리(76)는, 중계판(81, 82) 등을 사이에 두고, 노즐(51)에 연결된다. 또한, 동력 전달부(60)에서는, 타이밍 풀리(73, 76)에 타이밍 벨트(77)가 걸리고, 타이밍 풀리(76)는, 타이밍 벨트(77)를 사이에 두고, 타이밍 풀리(73)에 연결된다. 이 때문에, 타이밍 풀리(76) 및 노즐(51) 등이 암판(72) 등과 함께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하면, 타이밍 풀리(73)로부터 타이밍 풀리(76)에 동력이 전달되고, 타이밍 풀리(76), 중계판(81, 82) 및 노즐(51) 등은, 접속 샤프트(75) 및 암판(72) 등에 대하여, 타이밍 풀리(76)의 중심축(C4)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
중계판(81)은, 타이밍 풀리(76)에 접속됨과 함께, 굴곡 위치에 있어서 굴곡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계판(81)은, 타이밍 풀리(76)에 대한 접속 위치부터 굴곡 위치까지, 깊이 방향에 대하여 띠상체(12)가 반입되는 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중계판(81)은, 굴곡 위치에 있어서, 횡방향에 대하여 벽부(4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굴곡된다. 중계판(82)은, 중계판(81)에 있어서 벽부(4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굴곡된 부위에 접속된다. 중계판(82)은, 횡방향에 대하여 벽부(43)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중계판(81)에 설치된다. 노즐(51)은, 횡방향에 대하여 벽부(43)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중계판(82)에 설치된다. 노즐(51) 및 중계판(82)은, 깊이 방향에 대하여, 타이밍 풀리(73)와 타이밍 풀리(76)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의 권취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12)의 권취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시간의 경과와 함께,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직경이 증대되고,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에서부터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증대된다. 그리고,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가 변화함과 함께, 반입 위치에 반입되는 띠상체(12)의 경로도 변화한다. 도 4 내지 도 6 등의 일례에서는, 권취된 부분의 직경이 증대되면, 권취된 부분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가, 높이 방향의 상측(화살표(Z1)측)으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까지의 가이드 롤러(57)로부터의 띠상체(12)의 경로도 변화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터치 롤(61)은, 권취된 부분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이동하여, 권취 코어(41)에 대한 직경 방향 위치가 변화한다. 터치 롤(61)의 이동에 수반하여(즉, 권취 코어(41)에 대한 직경 방향 위치의 변화에 따라), 회동 샤프트(62) 및 타이밍 풀리(65) 등이, 터치 롤(61)과 함께,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도 5의 화살표(R3)). 그리고,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타이밍 풀리(65)가 회동함으로써, 타이밍 풀리(65)로부터 타이밍 풀리(68)에 동력이 전달되고, 회동 통(67), 암판(72), 타이밍 풀리(76), 중계판(81, 82) 및 노즐(51) 등은,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도 5의 화살표(R4)). 그리고, 타이밍 풀리(76) 및 노즐(51) 등이 암판(72) 등과 함께 회동 통(67)의 중심축(C3)의 축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타이밍 풀리(73)로부터 타이밍 풀리(76)에 동력이 전달되고, 중계판(81, 82) 및 노즐(51) 등은, 암판(72) 등에 대하여, 타이밍 풀리(76)의 중심축(C4)의 축 둘레로 회동한다(도 5의 화살표(R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이 증대되어도, 터치 롤(6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이, 동력 전달부(60)를 통하여 노즐(51)에 전달된다. 그리고, 전달된 동력에 의해 노즐(51)이 이동함으로써,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가 변화한다. 여기서, 권취된 부분의 직경이 증대되면, 권취된 부분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에 반입되는 띠상체(12)의 경로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터치 롤(61) 및 동력 전달부(60)가 기류 조정부(5)에 마련되기 때문에, 기류 조정부(5)는,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는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킨다. 즉,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가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하는 상태로, 노즐(51)을 이동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띠상체(12)가 권취 코어(41)에 권취되는 반입 위치의 변화에 따라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킨다.
또한, 중계판(82)은, 중계판(81)에 대하여,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51)은, 중계판(82)과 함께, 중계판(81) 등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기류 조정부(5)에서는, 노즐(51)을 중계판(81)과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즐(51)의 위치 등을 조정 가능하다.
또한, 노즐(51)은, 볼 조인트(87)를 사이에 두어 중계판(82)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노즐(51)은, 볼 조인트(87)의 회동축(C5)의 축 둘레로, 중계판(82) 등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동축(C5)은, 횡방향을 따름과 함께, 높이 방향에 대하여,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회동축(C5)은, 깊이 방향에 대하여, 회동 통(67)의 중심축(C3)과 타이밍 풀리(76)의 중심축(C4) 사이에 위치한다. 기류 조정부(5)에서는, 노즐(51)을 회동축(C5)의 축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노즐(51)의 자세 등을 조정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류 조정부(5)에서는, 터치 롤(61) 및 동력 전달부(60)에 의한 조정, 중계판(82)의 이동에 의한 조정, 및 볼 조인트(87)에 의한 조정 등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가 조정된다. 기류 조정부(5)에서는,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가 조정됨으로써, 노즐(51)로부터의 기체의 토출 방향이 조정된다. 그리고,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노즐(51)로부터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는 기류의 방향, 즉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의 방향을 조정한다.
또한, 중계판(81)에는 조인트 블록(83)이 고정됨과 함께, 중계판(82)에는 조인트 블록(86)이 고정된다. 그리고, 조인트 블록(83, 86)의 사이는, 배관(85)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조인트 블록(83)에는, 급기부(50)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배관(도시 생략)이 접속된다. 급기부(50)로부터 노즐(51)로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 경로(56)는, 급기부(50)부터 노즐(51)까지, 배관의 내부, 조인트 블록(83)의 내부, 배관(85)의 내부, 조인트 블록(86)의 내부, 및 볼 조인트(87)의 내부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9 등의 일례에서는, 노즐(51)에 2개의 개구(58)가 형성되고, 노즐(51)은, 개구(58)의 각각으로부터, 급기 경로(56)를 통하여 공급된 기체를 토출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51)의 개구(58)의 각각은, 기체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류 조정부(5)는,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노즐(51)로부터 기체를 토출시킨다. 그리고,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로부터의 기체의 토출에 의해, 권취 코어(41)에 권취되어 있는 띠상체(12)에 있어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의 외주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곡, 및 띠상체(12)의 폭 방향(권취 코어(41)의 축 방향)의 내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첩 등의 발생이 억제되는 상태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띠상체(12)의 권취에서는,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에 있어서의 전술한 절곡 및 절첩 등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과 띠상체(12)에 있어서 권취된 부분에 새롭게 반입되는 부분 사이에 절곡 또는 절첩이 발생한 에지 피복 부분(13)이 끼는 것 등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이에 의해, 띠상체(12)가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에 있어서,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및 그 근방에서의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띠상체(12)의 권취 코어(41)으로의 권취에 있어서,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에서의 전술한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권취된 띠상체(12)에 변형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띠상체(12)의 손상 등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 조정부(5)에 있어서,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방향, 토출량, 토출압 및 토출 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에 대하여, 방향, 유량, 속도 및 압력이 조정된다.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에 대하여 방향, 유량, 속도 및 압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에서의 전술한 절곡 및 절첩 등의 발생이 더 적절하게 억제된다. 이에 의해,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에서의 전술한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이 더 적절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는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해도,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을 향하여 노즐(51)로부터 적절하게 기체가 분출된다. 따라서,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가 변화해도,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 있어서, 기류가 적절하게 조정된다. 이에 의해,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에서의 전술한 절곡 및 절첩 등의 발생이 더 적절하게 억제되고,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에서의 전술한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이 더 적절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롤(61)은,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터치 롤(6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동력 전달부(60)에 의해 노즐(51)에 전달됨으로써,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가,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한다. 이 때문에,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성이, 터치 롤(61) 및 동력 전달부(60)에 의해 적절하게 실현된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관한 검증으로서,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노즐(51)로부터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여 기체를 토출하였다. 그리고, 띠상체(12)를 권취가 완료된 후에,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에 있어서, 에지 피복 부분(13) 및 그 근방에서의 국소적인 융기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검증에서는, 노즐(51)로부터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여 기체를 토출함으로써,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여 기체가 토출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융기가 억제되었다. 또한, 노즐(51)로부터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을 향하여 기체를 토출함으로써,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에서는, 에지 피복 부분(13) 및 그 근방에서의 국소적인 융기는, 띠상체(12)(기재(10))에 손상 등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억제되었다.
(변형예)
또한, 터치 롤(61)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노즐(5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60)는, 전술한 실시 형태 등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변형예에서는, 타이밍 풀리(73, 76) 및 타이밍 벨트(77) 등 대신에 평행 링크 기구가 마련되고, 평행 링크 기구를 사이에 두고 타이밍 풀리(68)가 노즐(51)에 연결된다. 또한, 다른 어떤 변형예에서는, 회동 샤프트(62)로부터 높이 방향의 하측을 향하여 평행 링크 기구가 연장 설치되고, 평행 링크 기구를 사이에 두고 회동 샤프트(62)가 노즐(51)에 연결된다. 이 경우, 노즐(51)은, 회동 샤프트(62)와 함께, 회동 샤프트(62)의 중심축(C1)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다. 단, 어느 변형예에 있어서도, 동력 전달부(60)는, 터치 롤(61)로부터의 동력을 노즐(51)에 전달함으로써,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는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킨다.
또한,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방향, 토출량, 토출압 및 토출 속도를 조정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 등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류 조정부(5)에서는,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방향, 토출량, 토출압 및 토출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에 대하여, 방향, 유량, 속도 및 압력이 조정되면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어떤 변형예에서는, 노즐(51)은, 기체를 토출하는 대신에 흡인을 행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급기부(50) 대신에, 노즐(51)을 흡인 작동시키는 흡인원부(90)를 구비하고, 노즐(51)은 흡인을 행하는 흡인 노즐이 된다. 도 10은, 노즐(51) 및 흡인원부(9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권취 코어(41)의 일부를 도시함과 함께,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에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을 도시한다. 도 10에서는, 띠상체(12)의 긴 변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단면이 도시되고, 권취 코어(41)의 중심축(C0)에 대하여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인 단면이 도시된다. 도 1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원부(90)는 흡인 구동부(91) 및 퇴적부(92)를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51)은, 흡인 경로(93)를 통하여, 흡인원부(90)에 접속된다.
흡인 구동부(91)로서는, 흡인 펌프 및 블로워 등을 들 수 있다. 흡인 구동부(91)가 구동됨으로써, 노즐(51)은, 전술한 개구(58) 등을 흡인구로서 기체 등을 흡인한다. 그리고, 노즐(51)로부터 흡인된 기체 등은, 흡인 경로(93)를 통하여 흡인원부(90)를 향한다. 또한, 흡인원부(90)의 퇴적부(92)에는 필터 등이 마련되고, 기체와 함께 흡인된 분상물 등이 퇴적된다. 퇴적부(92)에 의해, 흡인 구동부(91)로의 분상물 등의 유입이 방지된다.
본 변형예의 기류 조정부(5)에서는, 권취 코어(41)으로의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노즐(51)이 흡인을 행한다. 노즐(51)은, 권취 코어(41)에 띠상체(12)가 권취된 부분의 외주면으로 띠상체(12)가 반입되는 반입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기체 등을 흡인한다. 그리고,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서는, 기재(10)의 에지(E1)를 덮는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으로부터 노즐(51)을 향하여 흡인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서는,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으로부터 노즐(51)을 향하는 기류가 발생하고(화살표(F2)),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가 조정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흡인 구동부(91)의 구동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흡인량, 흡인압 및 흡인 속도가 조정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하여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흡인 방향이 조정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흡인 방향, 흡인량, 흡인압 및 흡인 속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으로부터 노즐(51)을 향하는 기류에 대하여, 즉 노즐(51)과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에 대하여, 방향, 유량, 속도 및 압력을 조정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에서의 흡인에 의해, 권취 코어(41)에 권취되어 있는 띠상체(12)에 있어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의 외주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곡, 및 띠상체(12)의 폭 방향(권취 코어(41)의 축 방향)의 내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첩 등의 발생이 억제되는 상태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띠상체(12)가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에 있어서,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및 그 근방에서의 국소적인 융기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터치 롤(61) 및 동력 전달부(60)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기류 조정부(5)는,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는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의 변화에 추종시켜, 노즐(51)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해도,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 있어서 노즐(51)에 의한 흡인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권취 코어(41)에 권취된 부분의 직경의 증대에 수반하여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반입 위치로의 띠상체(12)의 경로가 변화해도, 권취된 부분으로의 띠상체(12)의 반입 위치 및 그 근방에 있어서, 기류가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한, 어떤 변형예에서는, 노즐(51)은 기체의 토출 및 흡인의 양쪽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기류 조정부(5)는, 노즐(51)에서의 기체의 토출 및 흡인에 의해, 권취 코어(41)에 권취되어 있는 띠상체(12)에 있어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한다. 또한, 노즐(51)의 수는 1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변형예에서는, 노즐(51)이 복수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어떤 노즐(51)은, 기체의 토출에 의해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하고, 다른 어떤 노즐(51)은, 흡인에 의해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해도 된다. 이들 변형예에서도, 띠상체(12)의 권취에 있어서, 권취 코어(41)의 외주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곡, 및 띠상체(12)의 폭 방향(권취 코어(41)의 축 방향)의 내측으로의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의 절첩 등의 발생이 억제되는 상태로,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사이의 기류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등에서는, 띠상체(12)로서 세퍼레이터와 일체인 전극을 예로 들었지만, 띠상체(12)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변형예의 띠상체(12)에서는, 폭 방향에 대하여 기재(10)의 양측의 에지(E1, E2)의 각각이 막(11)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띠상체(12)의 막(11)에는, 기재(10)의 에지(E1)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13), 및 기재(10)의 에지(E2)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13)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51)로부터의 기체의 토출 및 노즐(51)에서의 흡인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하여, 노즐(51)과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 각각의 사이의 기류를 조정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띠상체(12)에서는, 폭 방향에 대하여 기재(10)의 양측의 에지(E1, E2) 중 적어도 한쪽이 막(11)의 에지 피복 부분(13)에 덮여 있으면 된다.
이들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에 따르면, 기체의 토출 및 흡인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띠상체의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의 주위의 기류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기재의 에지를 막의 에지 피복 부분이 덮는 띠상체의 권취 시의 부적합을 억제하여 띠상체의 권취 품질을 향상 가능한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의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의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폭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원료액이 토출되어 형성된 막의 상기 에지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을 갖는 띠상체를 권취하는 권취 코어와,
    기체의 토출 및 흡인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상기 띠상체의 상기 막의 상기 에지 피복 부분의 주위의 기류를 조정하는 기류 조정부
    를 구비하는,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노즐과 상기 막의 상기 에지 피복 부분 사이의 상기 기류에 대하여, 방향, 유량, 속도 및 압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권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띠상체가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반입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노즐의 위치 및 자세를 변화시키는, 권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조정부는,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상기 띠상체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터치 롤과,
    상기 터치 롤의 상기 권취 코어에 대한 직경 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의 상기 위치 및 상기 자세를 변화시키는 동력 전달부
    를 구비하는, 권취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취 장치와,
    상기 기재에 상기 원료액을 토출함으로써,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막을 형성하고, 상기 권취 장치의 상기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상기 띠상체를 형성하는 방사 헤드
    를 구비하는, 방사 장치.
  6. 폭 방향의 에지를 포함하는 기재의 표면에 원료액이 토출되어 형성된 막의 상기 에지를 덮는 에지 피복 부분을 갖는 띠상체의 권취 방법으로서,
    상기 띠상체를 권취 코어에 권취하는 것과,
    상기 권취 코어로의 상기 띠상체의 권취에 있어서, 노즐로부터의 기체의 토출 및 노즐에서의 흡인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막의 상기 에지 피복 부분의 주위의 기류를 조정하는 것
    을 구비하는, 권취 방법.
KR1020220097302A 2021-08-12 2022-08-04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KR20230024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1648A JP2023026050A (ja) 2021-08-12 2021-08-12 巻取り装置、紡糸装置及び帯状体の巻取り方法
JPJP-P-2021-131648 2021-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841A true KR20230024841A (ko) 2023-02-21

Family

ID=8517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302A KR20230024841A (ko) 2021-08-12 2022-08-04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50905A1 (ko)
JP (1) JP2023026050A (ko)
KR (1) KR20230024841A (ko)
CN (1) CN11570411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054A (en) * 1993-11-15 1995-07-25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for producing electrochemical cell
US7097673B2 (en) * 2001-06-07 2006-08-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edge control
JP2003136007A (ja) * 2001-10-31 2003-05-13 Toyota Motor Corp ダイレクトバーコーター
US9916927B1 (en) * 2012-12-19 2018-03-13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Thin insulation coatings by sol-ge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4115A (zh) 2023-02-17
JP2023026050A (ja) 2023-02-24
US20230050905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5292B1 (en) Fine fiber electro-spinning equipment, filter media systems and methods
US20230150068A1 (en) LASER NOTCING MACHINE SCRAP DRAlNAGE CONVEYOR AND SCRAP DRAlNAGE METHOD
KR101962779B1 (ko) 이차전지 전극 제조용 프레스 롤 세정장치
CN101905209B (zh) 启动加注处理方法和启动加注处理装置
US8627781B2 (en) Coating die and co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30024841A (ko) 권취 장치, 방사 장치 및 띠상체의 권취 방법
JP6067467B2 (ja) 薄膜静電塗装装置
JP2019029065A (ja) 電極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TWI832126B (zh) 複合電極之製造方法及複合電極之製造裝置
US9724710B2 (en) Film coating apparatus
JP2021038493A (ja) 電界紡糸ヘッド及び電界紡糸装置
JP6649514B2 (ja) 電界紡糸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電界紡糸方法
KR101902258B1 (ko) 이중 구조 롤투롤을 활용한 원자층 증착 시스템
JP5546516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CN110125057B (zh) 一种金属板材覆膜设备
JP2021070874A (ja) 不織布作製装置および不織布作製方法
JP5204164B2 (ja) 塗布装置およびノズルのプライミング処理方法
US20190061229A1 (en)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CN111212936A (zh) 电场纺丝装置
JP2022128984A (ja) 電界紡糸装置及び電界紡糸方法
JP2014205262A (ja) 液体吐出装置
JP2017051895A (ja) 塗工装置及びその塗工装置によって製造された電極
KR101879297B1 (ko) 롤투롤을 활용한 비접촉 이중 증착 시스템
JP2024053314A (ja) 電界紡糸装置及び電界紡糸方法
CN117615623A (zh) 用于制备钙钛矿太阳能电池的方法、喷头和喷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