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473A -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 Google Patents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473A
KR20230024473A KR1020210106016A KR20210106016A KR20230024473A KR 20230024473 A KR20230024473 A KR 20230024473A KR 1020210106016 A KR1020210106016 A KR 1020210106016A KR 20210106016 A KR20210106016 A KR 20210106016A KR 20230024473 A KR20230024473 A KR 20230024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semi
mesh
fabr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91B1 (ko
Inventor
이광원
오새한
Original Assignee
이광원
오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원, 오새한 filed Critical 이광원
Priority to KR102021010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주제로 하는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메쉬 시트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메쉬 시트층의 상면에 발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발수 코팅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동(銅)판을 점착시키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점착된 상기 동판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동판 하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F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METHOD OF MANUFACTURING SEMI-INCOMBUSTIBLE STERILIZATION FILM BASED ON MESH TYPE NON-WOVEN FABRIC MATERIAL AND SEMI-INCOMBUSTIBLE STERILIZATION FILM MANUFACTURED THEREOF}
본 발명은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 내의 각종 균을 비롯한 다양한 바이러스들로부터 해당 공간에 머무르는 사람들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인테리어적으로도 방역, 멸균, 살균, 항균 등과 관련한 각종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건축물의 내장재 벽면에 사용되는 필름 자체가 이와 관련된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일정 항균 또는 살균성을 갖춘 필름들의 경우 실내 공간을 꾸준히 주기적으로 소독하는 것과 함께 공간 방역에 있어 시너지를 함께 부여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감염을 확연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텅스텐, 크롬, 바나듐, 몰리브데넘, 구리, 철, 코발트, 망간, 니켈, 백금, 금, 세륨, 카드늄, 아연, 마그네슘, 칼슘, 스트로니튬, 바륨, 라듐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인 가시광 활성 금속 산화물층을 화로용하여 다충구조의 항균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되는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5196호의"항균 필름, 항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항균 기능성 물품"(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항균 또는 살균 성능을 부가한 준불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들은, 항균 또는 살균성과 관련한 기능성의 부가를 위해 하나의 층을 이루는 영역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전체적인 필름의 두께까지도 두껍게 만들어 인테리어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다층 구조의 필름을 구성하는 층간 그리고 필름 자체의 부착에 있어 접착 성능의 결함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항균 또는 살균 성능을 부가한 준불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들은, 기술들은, 항균 또는 살균성과 관련한 기능성의 부가를 위해 하나의 층을 이루는 영역이 특정 금속물질에 기반을 두어 개발됨으로서 실내 공간 내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부식, 긁힘, 눌림 등의 손상을 받기 쉬워 기능성의 소실이 기간의 경과에 따라 급격해지며, 무엇보다 금속물질의 열과 전기 전도에 관한 특성 상 방화와 관련한 불연성능의 수준이 오히려 낮아지며 인테리어 필름으로서의 시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해 실질적이 사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 방화성, 방수성 및 발수성과 관련한 물성은 물론이고, 항균성 및 살균성과 관련한 물성 또한 우수하며 해당 물성간의 균형적 고도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필름의 외형 및 적층구조상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고 특정 물성의 저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필름의 부착 적용 시 심미적인 외적 요소로서 디자인 및 질감의 다양성 및 고급화를 이룰 뿐만 아니라 항균성 및 살균성에 관한 물성을 부여하는 층을 해당 물성의 저하 없이 외부 환경적 요소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은,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주제로 하는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메쉬 시트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메쉬 시트층의 상면에 발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발수 코팅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동(銅)판을 점착시키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점착된 상기 동판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동판 하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F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 시트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F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메쉬 시트층, 동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G단계;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메쉬 시트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G단계를 통해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H단계; 및 상기 H단계를 통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I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를 통해 상기 메쉬 시트층 마련에 이용되는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양모(Wool)를 이용한 모직용 천연섬유 89 중량부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를 이용한 합성섬유 12 중량부가 혼방되는 형태로 방적되어 0.16㎛ 내지 0.20㎛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를 갖춘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B단계를 통해 상기 코팅층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발수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 수지 15 중량부,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 상면에 0.03㎛의 두께를 갖춘 상기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원단재료의 하면에 0.008㎛의 두께를 갖춘 상기 동판을 점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F단계는 상기 E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동판 하면에 0.025㎛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F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메쉬 시트층, 동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상기 코팅층은 5 중량부를 갖추고,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은 9 중량부를 갖추고,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89 중량부를 갖추고, 동판은 52중량부를 갖추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은 1 중량부를 갖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일례로써 본 발명은 앞 서 설명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완전한 불연에 가까운 수준의 준불연성 및 방화성과 더불어, 발수 및 방수와 관련한 물성 또한 우수하며, 무엇보다 항균성 및 살균성과 관련한 물성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각각의 물성 간의 악영향 없이 상호 균형적 고도화를 이루어 필름의 외형 및 적층구조상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표면 경도, 치수 안정성, 표면 은폐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 또한 우수하되, 항균성 및 살균성에 관한 물성을 부여하는 층을 해당 물성의 제공을 수행함에 방해를 하지 않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메쉬 시트층을 가장 기저가 되는 층으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최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여 필름의 부착 적용 시 심미적인 외적 요소로서 디자인 및 질감의 다양성 및 고급화를 이룰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내 메쉬 시트층의 실제 제품구조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의 실제 제품구조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의 항균성능 시험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메쉬 시트층 제조단계 <S110, A단계>
본 단계(S110)는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주제로 하는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메쉬 시트층을 마련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메쉬 시트층 제조단계(S110)를 통해 메쉬 시트층(110) 형성에 이용되는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은 충진제 23 중량부, 안료 9 중량부에 무독안정체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조성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단 표면상에 방수 및 염색을 위해 시중에 판매중인 다양한 제품들 중에 선택되어 실시 가능하다.
일 예로,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은'Ciko Protect RHP'제품의 '00079456'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메쉬 시트층 제조에 이용되는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양모(Wool)를 이용한 모직용 천연섬유 89 중량부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를 이용한 합성섬유 12 중량부가 혼방되는 형태로 방적되어 0.16㎛ 내지 0.20㎛의 두께를 갖춘 상태로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도3에 도시된 건우텍스텍(주)의 'TNT Mesh'제품을 사용하여 앞 서 설명한 염색, 방염, 발수 코팅이 이미 완료된 상태로 사용되며, 해당 제품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메쉬 구멍의 사이즈는 3 내지 5mm X 3 내지 5mm의 크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적 특징을 갖춰 마련되는 메쉬 시트층(110)을 제조함에 있어,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메쉬 시트층(110)은 0.16㎛ 내지 0.20㎛의 두께를 갖춘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를 갖춘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하도록 마련됨이 바람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쉬 시트층(110)이 두께를 갖춘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를 갖춘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경우, 앞 서 설명한 조성적 특징을 기반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발수 및 방수의 물성이 추후 필름의 적층 구조를 통해 갖추게 되는 준불연 성능과의 균형적 고도화를 이루게 되고, 더 나아가 추후 설명될 메쉬 시트층(110)과 동판(120)간의 접착구조의 안정화를 통한 박리 또는 터널 현상의 예방이 가능해진다.
무엇보다도, 메쉬 시트층(110)이 0.18㎛의 두께를 갖춘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를 갖춘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되어야만 추후 설명될 동판(120)을 통한 살균성의 제공정도와 준불연성의 균형적 고도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발수 코팅단계 <S120, B단계>
본 단계(S120)는 앞 서 진행된 메쉬 시트층 제조단계(S110)를 통해 마련된 메쉬 시트층(110)의 상면에 발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발수 코팅을 수행 하여 코팅층(11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코팅 단계(S125)는 60℃ 내지 70℃의 온도 환경에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됨에 따라 0.03 ㎛ 두께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111)이 메쉬 시트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 수지(주식회사 미래화학, NS-CLEAR)를 주제로 하여, 주제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앞 서 마련된 메쉬 시트층(110) 자체가 갖춘 발수 및 방수 관련 물성에 최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와의 가장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 메쉬 시트층(110)의 상측면을 추가적인 발수 코팅 처리를 통해 더욱 해당 물성의 고도화 및 적정성을 부가하고, 준불연과 관련한 물성의 개선을 위해 마련된 적층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한 방수 관련 물성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3) 제1표면처리 단계 <S130, C단계>
본 단계(S130)는 앞 서 진행된 코팅 단계(S120)를 통해 상면에 코팅층(111)이 형성된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 이용해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제1프라이머층(112)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는 상면에는 코팅층(111)이 형성된 메쉬 시트층(110)과 아래 설명될 동판(120)의 상하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라이머 처리 형태의 표면처리과정이 사전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프라이머 조성물은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60℃ 내지 80℃(가장 바람직하게는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15 m/min 내지 25 m/min의 속도에 맞춰 6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코팅을 진행한 후, 45℃ 내지 55℃(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의 온도환경에서 2일간 숙성하여 0.011㎛ 두께의 제1프라이머층(112)이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코팅롤을 이용한 프라이머층 형성과정은 작업 속도 및 온도 조건이 반드시 앞 서 설명한 적정 조간하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벗어나 기준보다 높은 수준의 조건을 갖출 경우 경화가 너무 빨리 진행되어 메쉬 시트층(110)과 동판(120)간의 합지가 이루어지기 힘들어지고, 기준보다 낮은 수준의 조건을 갖출 경우 접착 유지성능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이어, 실시에 따라 상면에는 코팅층(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프라이머층(112)이 순차 형성된 메쉬 시트층(110)은 제1표면처리 단계(S130)를 통해 프라이머 처리 작업 후 엠보싱 작업을 추가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엠보싱 작업은 130℃의 온도환경에서 엠보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5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하여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처리에 이어 엠보싱 처리까지 이어져 진행된다.
(4) 동판 점착단계 <S140, D단계>
본 단계(S140)는 앞 서 진행된 제1표면처리 단계(S13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동(銅)판(120)을 점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과 동판(120) 사이에는 제1프라이머층(112)이 배치된다.
여기서, 메쉬 시트층(110) 아래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동판(120)은 'NUODE'사에서 출시되는 순도 99.9%의 동판인'HF02202103180285'제품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동판 점착단계(S140)에서 이용되는 동판(120)은 0.21㎛의 두께를 갖춘 메쉬 시트층(110) 및 0.025㎛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에 대비해 0.008㎛의 두께를 갖추도록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쉬 시트층(110)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 아래에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동판(120)은 최종적으로 다층 구조를 이루어 제조되는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특정 대상에 적용함에 있어 해당 적용 대상의 표면상의 요청에 대응되어 항균 또는 살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동판(120)의 기능성에 대한 발현 수준은 앞 서 설명한 메쉬 시트층(110)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에 대비한 두께가 적정 수준을 갖추도록 함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적층 구조상의 배치 순서 역시 메쉬 시트층(110)-동판(120)-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 순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한데, 이는 해당 구조를 통해 제공하고자하는 준불연 관련 물성과 메쉬 시트층(110) 자체 및 코팅 처리된 막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방수 및 발수 관련 물성 그리고 동판(120)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살균성능 간의 균형적 고도화와 함께 상호 각 층간의 점착 안정성을 위해서이다.
(5) 제2표면처리 단계 <S150, E단계>
본 단계(S150)는 앞 서 진행된 동판 점착단계(S140)를 통해 메쉬 시트층(110) 하면에 점착된 동판(120)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제2프라이머층(12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2표면처리 단계(S150)는 상측으로 제1프라이머층(113)을 사이에 두고 메쉬 시트층(110)이 부착된 동판(120)과 아래 설명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의 상하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라이머 처리 형태의 표면처리과정이 사전에 처리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프라이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표면처리 단계(S150)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60℃ 내지 80℃(가장 바람직하게는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15 m/min 내지 25 m/min의 속도에 맞춰 6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코팅을 진행한 후, 45℃ 내지 55℃(가장 바람직하게는 50℃)의 온도환경에서 2일간 숙성하여 0.011㎛ 두께의 제2프라이머층(121)이 동판(120)의 하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코팅롤을 이용한 프라이머층 형성과정은 작업 속도 및 온도 조건이 반드시 앞 서 설명한 적정 조간하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벗어나 기준보다 높은 수준의 조건을 갖출 경우 경화가 너무 빨리 진행되어 메쉬 시트층(110)과 동판(120)간의 합지가 이루어지기 힘들어지고, 기준보다 낮은 수준의 조건을 갖출 경우 접착 유지성능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팅롤을 이용한 프라이머층 형성과정상의 적정 온도 조건은 합지 시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고온으로 인한 열 소비가 심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건이며, 작업 속도 조건은 합지 결과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에 해당하며, 마지막으로 숙성이 진행되는 온도 및 기일의 조건은 합지 상태의 과도한 건조로 인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열충격으로 인한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6) PET 필름층 점착단계 <S160, F단계>
본 단계(S160)는 앞 서 진행된 제2표면처리 단계(S15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동판(120)의 하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을 점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은 '한교아이씨'사에서 출시되는 열경화성 수지 기반의 인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제품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PET 필름층 점착단계(S160)에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은 0.21㎛의 두께를 갖춘 메쉬 시트층(110) 및 0.008㎛의 두께를 갖춘 동판(120)에 대비해 0.025㎛의 두께를 갖추도록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쉬 시트층(110) 아래 배치되는 또 하나의 필름층에 해당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은 메쉬 시트층(110)과 동판(120)의 아래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통해 메쉬 시트층(110)과 동판(120)의 신장성을 적정 수준으로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다층 구조를 이루어 제조되는 준불연 살균 필름(100)의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의 기능성에 대한 발현 수준은 앞 서 설명한 메쉬 시트층(110) 및 동판(120)에 대비한 두께가 적정 수준을 갖추도록 함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앞 서 진행된 제2표면처리 단계(S150)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동판(120)의 하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을 점착시키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50℃의 숙성온도 조건 하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을 진행 한 뒤, 다음 과정을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7)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 <S170, G단계>
본 단계(S170)는 앞 서 진행된 PET 필름층 점착단계(S160)를 거쳐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동판(12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또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는 50℃ 내지 60℃의 온도 환경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치고 난 다층 구조의 필름의 단면 구조는 주요 기능성 필름층인 메쉬 시트층(110), 동판(12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의 3층 필름 구조가 갖춰지고, 이를 통해 준불연성 방화 필름 및 방수 필름으로서의 충분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에 따라서는, 앞 서 설명한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동판(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의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연결이 단순 배치를 이룬 상태에서 상호 접하는 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통해 접착이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은 2액형으로 주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1중량부, 용제 6 중량부를 교반하여 마련되며, 60 Mesh 코팅 룰을 통해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침에 따라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동판(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각 층별 중량 수준의 대비 비율은 필름 전체(100)의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한정됨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11)은 5 중량부를 갖추고, 메쉬 시트층(110)은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은 9 중량부와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89 중량부를 갖추며, 제1프라이머층(112)은 6 중량부를 갖추며, 동판(120)은 52 중량부를 갖추며, 제2프라이머층(121)은 6 중량부를 갖추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은 1 중량부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체 준불연 살균 필름(100)의 적층 구조상의 각 층이 갖추고 있는 중량의 비율과 두께의 수준은 해당 필름 전체가 갖추고 있는 방수 및 방염성, 불연성, 살균성, 가스 차단성, 인체 무해성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해당 물성의 저해나 영향 없이 균형적으로 발수 및 방수와 관련한 물성이 효과적으로 제공함에 영향을 준다.
(8) 점착층 형성단계 <S180, H단계>
본 단계(S180)는 앞 서 진행된 드라이 라미네이팅 단계(S170)를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14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점착층 형성단계(S180)는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동판(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이 특정 설치 대상에 부착되어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일 아래 위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 아래에 수성 또는 유성의 아크릴계 수지 기반의 점착물질을 부가하게 된다.
여기서, 점착층(141)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더원코리아(주)'사의 수성점착제 제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형성되는 점착층(141)은 0.04㎛ 두께와 40 중량부의 무게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 형성단계(S180)는 50℃ 내지 120℃의 온도 환경에서 점착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25 m/s에 맞춰 진행되도록 한다.
(9) 이형지 부착단계 <S185, J단계>
본 단계(S180)는 앞 서 진행된 점착층 형성단계(S180)를 통해 동판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141)에 이형지(140)를 부착시켜 점착층(141)이 외부 공기상에 상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준불연 살균 필름(100)의 사용 시에는 이형지(140)를 벗겨내고, 점착층(141)을 노출시켜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시작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제1프라이머층(112), 동판(120), 제2프라이머층(121)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이 설치 대상 표면 상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형지(140)은 백상지로서 0.05㎛ 두께와 120 중량부의 무게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2.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의 물성에 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메쉬 시트층(110)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100)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메쉬 시트층(110)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100)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열방출율, 가스유해성, 연소성과 관련된 물성등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수단에 의한 성질 등을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실험 방법들을 이용하였다.
우선, 각종 실험에 이용될 실시예를 마련하기 위해 앞 서 설명한 명 메쉬 시트층(110)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100 제조방법을 반복 진행하여 다수개의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양모(Wool)를 이용한 모직용 천연섬유 89 중량부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를 이용한 합성섬유 12 중량부가 혼방되는 형태로 방적되어 0.018㎛ 두께 및 89 중량부의 무게로 마련된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 및 9 중량부의 무게를 갖춘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해 메쉬 시트층(110)을 마련하였다.
이에 이어, 메쉬 시트층(110) 위에 우레탄 아크릴 수지(주식회사 미래화학, NS-CLEAR)를 주제로 하여, 주제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8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진행되어 0.03 ㎛ 두께 및 5 중량부의 코팅층(111)이 메쉬 시트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0 m/min에 맞춰 6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표면처리한 후 50도의 온도환경에서 2일간 숙성을 수행하여 0.011 ㎛ 두께 및 6 중량부의 무게를 갖춘 제1프라이머층(1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이어, 130℃의 온도환경에서 엠보싱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5m/s에 맞춰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프라이머 처리에 이어 엠보싱 처리까지 이어져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0.008㎛의 두께 및 52 중량부의 무게를 갖춘 동판(120)을 인쇄층(112)과 제1프라이머층(112)을 사이에 두고 메쉬 시트층(110)의 하면에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동판(120)의 하면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용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주제인 우레탄 아크릴 수지(진광(주), JR-100(Y)) 15 중량부와 경화제(진광(주), JL-600)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해 70℃의 온도 환경에서 프라이머 처리장치의 처리 속도가 20 m/min에 맞춰 60 Mesh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표면처리한 후 50도의 온도환경에서 2일간 숙성을 수행하여 0.011 ㎛ 두께 및 6 중량부의 무게를 갖춘 제2프라이머층(12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 후, 0.025㎛의 두께 및 1 중량부의 무게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동판(120)의 하면에 부착시킨 후, 50℃의 숙성온도 조건 하에서 24시간동안 대기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최상측의 코팅층(111)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메쉬 시트층(110), 동판(12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60℃의 온도 환경에서 드라이 라미네이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40 m/s에 맞춰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가 진행되도록 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130) 하면에 더원코리아(주)'사의 수성점착제 제품에 해당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해 100℃의 온도 환경에서 점착제 코팅 장치의 처리 속도가 25 m/s에 맞춰 점착층(141)을 형성하는 과정이 진행된 후 백상지를 이형지로 하여 점착층(141) 표면을 덮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를 3번 반복하여 도4와 같은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마련하였으며, 각 시험 당 반복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했다.
준불연 살균 필름(100)의 상측으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시트층(110)이 가지고 있는 심미성과 관련한 디자인 및 질감을 그대로 갖추고 있되, 우수한 방수성 및 발수성을 갖추게 되고,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는 메쉬 시트층(110)과 연계되어 동판(120)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130)이 살균성능과 함께 준불연과 관련한 우수한 물성을 균형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1) 가스 유해성 시험
앞 서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이용해 2회에 걸친 가스 유해성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KS F 2271의 기준에 따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63호) 제3조(준불연재료) 제2호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1과 같다.
시험기준 시험결과
1회차 2회차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 9분 이상
14분 52초 14분 04초
- 실험용 쥐
계통 : ICR계(F) 2. 주령 : 5주 3.평균무게(g) : 18-2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 시간인 9분을 훨씬 넘긴 14분대의 수준으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유해물질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불연성 및 방화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열방출율 시험
앞 서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이용해 3회에 걸친 열방출율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KS F ISO 5660-1의 기준에 따라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8-771호) 제3조(준불연재료) 제1호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2와 같다.
시험기준 시험결과
1회차 2회차 3회차
총방출열량이 8 MJ/m2 이하 0.7 1.8 0.6
최대 열방출률이 200 kW/m2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 0.0 0.0 0.0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용 등이 없을 것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의 전부 용용, 소멸되는 것을 포함)
없음 없음 없음
수축률이 15% 이하일 것 7.0 9.0 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열방출율의 수준이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제공함에 충분한 물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45도 연소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이용해 3회에 걸친 45도 연소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20.0±15.0℃의 온도 조건과 50±30% R.H 습도 조건 하에서 방염성능기준(소방청고시 제2021-7호) 제6조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3과 같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실시예1
1회차 2회차 3회차
잔염시간 3초이내 0 0 0
잔신시간 5초이내 0 0 0
탄화면적 30cm2 이내 16.8 14.3 15.1
탄화길이 20cm 이내 5.7 4.7 5.6
접염횟수 3회 이상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우수한 방염성을 갖추고 있어, 준불연 방화 필름으로서 종래와 차별화된 우수한 수준의 불연성 및 방화성을 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
(4) 항균 성능 시험
앞 서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을 이용해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의 접종에 따른 항균활성에 관한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시험은 KSMISO 22196의 기준에 따라 한국표준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도출된 결과이다.
시험 조건은 대조군(Control)에 해당하는 표준필름은 'Sterilized Stomacher Film'을 이용하였고, 각 접종균별 접종균액의 양은 0.4ml에 해당하는 조한하에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4와 같다.
접종균 시험항목 Control 시료
황색포도상구균
(ATCC 6538P)
초기균수 2.0×104
24시간 후 균수 1.2×106 < 0.63
항균활성치(%) 99.9
항균활성치(log) 6.5
대장균
(ATCC 8739)
초기균수 1.5×104
24시간 후 균수 4.0×106 < 0.63
항균활성치(%) 99.9
항균활성치(log) 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살균 필름(100)에 해당하는 실시예는 표4와 더불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종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성능을 갖추어 충분한 살균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110 : 메쉬 시트층
111 : 코팅층
112 : 제1프라이머층
120 : 동판
121 : 제2프라이머층
130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140 : 이형지 141 : 점착층

Claims (8)

  1.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에 폴리우레탄 수지 및 안료를 주제로 하는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메쉬 시트층을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메쉬 시트층의 상면에 발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발수 코팅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B단계를 통해 상면 상에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C단계;
    상기 C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동(銅)판을 점착시키는 D단계;
    상기 D 단계를 통해 상기 메쉬 시트층의 하면에 점착된 상기 동판 하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E단계; 및
    상기 E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동판 하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F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시트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F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 메쉬 시트층, 동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에 대해 드라이 라미네이팅(Dry Laminating) 처리를 수행하여 인접한 상하 층간의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G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시트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G단계를 통해 드라이 라미네이팅을 거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하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층을 형성하는 H단계; 및
    상기 H단계를 통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I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를 통해 상기 메쉬 시트층 마련에 이용되는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양모(Wool)를 이용한 모직용 천연섬유 89 중량부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수지를 이용한 합성섬유 12 중량부가 혼방되는 형태로 방적되어 0.16㎛ 내지 0.20㎛의 두께를 갖추도록 마련되며,
    상기 A단계는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물을 이용해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 상측에 0.03㎛의 두께를 갖춘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를 통해 상기 코팅층 형성에 이용되는 상기 발수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 수지 15 중량부, 경화제 2 중량부 및 시너(Thinner)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 상면에 0.03㎛의 두께를 갖춘 상기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원단재료의 하면에 0.008㎛의 두께를 갖춘 상기 동판을 점착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F단계는 상기 E단계를 통해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상기 동판 하면에 0.025㎛의 두께를 갖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층을 점착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를 통해 최상측의 코팅층을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상기메쉬 시트층, 동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의 필름 내 상기 코팅층은 5 중량부를 갖추고, 상기 방수 및 염색 처리층은 9 중량부를 갖추고, 상기 메쉬(Mesh)형 부직포(Non-woven fabric) 원단재료는 89 중량부를 갖추고, 동판은 52중량부를 갖추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은 1 중량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KR1020210106016A 2021-08-11 2021-08-11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KR10259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6A KR102597691B1 (ko) 2021-08-11 2021-08-11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6A KR102597691B1 (ko) 2021-08-11 2021-08-11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473A true KR20230024473A (ko) 2023-02-21
KR102597691B1 KR102597691B1 (ko) 2023-11-06

Family

ID=8532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16A KR102597691B1 (ko) 2021-08-11 2021-08-11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88A (ja) * 2000-03-30 2001-10-09 Yutaka Wada 殺菌部材
KR20030042130A (ko) * 2001-11-21 2003-05-28 정정자 온열매트및 그 제조방법
JP2017503930A (ja) * 2013-11-12 2017-02-02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耐摩耗性布帛
KR102188717B1 (ko) *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188A (ja) * 2000-03-30 2001-10-09 Yutaka Wada 殺菌部材
KR20030042130A (ko) * 2001-11-21 2003-05-28 정정자 온열매트및 그 제조방법
JP2017503930A (ja) * 2013-11-12 2017-02-02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耐摩耗性布帛
KR102188717B1 (ko) * 2020-06-04 2020-12-09 이광원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91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717B1 (ko)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US20160244880A1 (en) Protective covers
TWI483268B (zh) Radioactive protec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radioactive protective sheet
KR101600252B1 (ko) 적층시트
KR101684235B1 (ko) 부직포 사이 연질필름을 개재시켜 수분배출이 가능한 단열복합방수시트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단열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07167B (zh) 防火纤维织物
JP2019064078A (ja) 帯電防止性抗菌膜材
JP2019093620A (ja) 帯電防止性抗菌膜材
JP2009279814A (ja) 遮熱性膜材料
JP2019093621A (ja) 帯電防止性抗菌膜材
JP3994189B2 (ja) 採光性遮熱膜材
RU2008117420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ленка
KR20230024473A (ko)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통해 제조된 메쉬형 부직포 원단재료 기반의 준불연 살균 필름
JP2019059178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6232628B2 (ja) 不燃性膜材
JP5305157B2 (ja) 羽虫陰影痕防止性に優れた光天井用膜材、及びその光天井システム
JP2010229640A (ja) 昆虫陰影痕防止性に優れた光天井用膜材、及びその光天井システム
DE102013111421A1 (de) Mehrschichtigen Stoffbahn, insbesondere Faltenbalg, mit flammhemmenden Eigenschaften
JP2016145844A (ja) 放射能防護シート及び放射能防護シートの製造方法
RU2711076C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интумесцентное рулонное покрытие
JP2016205569A (ja) 遮熱シート
KR101768530B1 (ko) 기체 및 수분 차단 배리어필름 코팅층 형성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체 및 수분 차단 배리어필름
KR102528257B1 (ko) 친환경 방수 원단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친환경 방수 원단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CN209224658U (zh) 一种家居用品表面的装饰片材
KR20230024472A (ko)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cpp 필름층 기반의 준불연 방화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