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276A - 차량용 조작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작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24276A KR20230024276A KR1020227042928A KR20227042928A KR20230024276A KR 20230024276 A KR20230024276 A KR 20230024276A KR 1020227042928 A KR1020227042928 A KR 1020227042928A KR 20227042928 A KR20227042928 A KR 20227042928A KR 20230024276 A KR20230024276 A KR 202300242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ng
- lever
- articulating
- vehicle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639 Spr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47 mechan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60K37/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8—Axially displace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 B60K2370/126—
-
- B60K2370/128—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6—Control panel; Graphic display; Programme contro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1—Miscellaneous combined with other elements on the same substrate
- H01H2239/014—Miscellaneous combined with other elements on the same substrate on both si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조작유닛(10)은, 아래로 누름으로써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작동방향에서 이동가능한, 조작표면(18)을 갖는 조작요소(20)를 포함한다. 평행 가이드 장치(68)에 의해 조작표면(18)이 평행하게 움직이는 것이 보장된다. 평행 가이드 장치(68)는 조작요소(20)에 연결되는 지지요소(44) 상의 플레이에 의해 관절식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하는 제1 및 제2 레버(64, 66)를 갖는다. 지지요소(44)는 캐리어 요소(52) 상에서 축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레버(64, 66)는 거의 플레이 없이 피봇회전가능하게 베어링 블록(72, 74)에 장착되어, 조작요소(20)가 아래로 누르는 움직임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플레이 없이 작동한다. 평행 가이드 장치(68)는 제작과 관련하여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허용오차를 준수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유닛, 특히 대형 조작요소에 대하여 개선된 평행 가이드를 갖는 차량용 조작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조작하는 현대적 개념은 비교적 큰 터치 디스플레이를 갖는 조작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조작표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요구되는 조작기능이 시스템에 의해 받아들여졌는지 여부가 반드시 사용자에게 신호로 알려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입력한 명령이 수용되었는지를 확인하도록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피드백을 작동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려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햅틱 피드백"으로 알려진 피드백 개념이, 그 편의성 때문에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어왔다. 수동식 햅틱 피드백과 능동식 햅틱 피드백은 뚜렷이 구별된다. 능동식 햅틱 피드백은 조작요소(디스플레이)의 능동적인 펄스방식의 기계적인 여기(excitation)를 필요로 하고, 이는 액추에이터 기술과 원치않는 진동을 감쇠하는 두 가지 면에서 구조적으로 복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소위 수동식 햅틱 피드백이 유리한데, 조작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누르면 기계적 스위치 또는 보통 운동학이 조작요소에 기계적으로 순간적으로 작용하고, 이는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좀 더 친숙하다.
대형 조작표면을 갖는 조작요소는 틸트되는 경향이 있고, 특히 평행이동식으로 누르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대신 손으로 편심적으로 작동시키는 동안에 그렇다. 하지만, 수동 햅틱 피드백을 위해 이상적으로 단일 기계 스위치 또는 비슷한 기계적인 움직임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표면의 평행관계를 유지하면서조작요소를 누르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조작요소의 평행 스트로크 움직임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들은 예를 들어 DE-C-34 33 719, DE-A-36 43 927, DE-C-44 01 644, DE-C-196 01 492, DE-A-197 57 928, DE-A-10 2008 019 124, DE-A-10 2011 085 725, DE-B-10 2017 220 780, DE-A-10 2017 222 601, DE-A-10 2018 121 678, DE-A-10 2019 203 031, EP-A-0 304 847, EP-B-1 458 000, EP-B-2 449 448, US-A-5 813 521, US-A-2010/0172080, WO-A-2011/000910, WO-A-2014/198418 및 WO-A-2016/183498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트한 허용오차의 최소값을 준수하도록 차량용 조작유닛의 조작요소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평행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즉, 차량 내 설치된 장치)용 조작유닛으로서,
- 조작표면(18)을 갖고, 아래로 누름으로써 작동방향(56)에서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그리고 다시 돌아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조작요소(20), 및
- 움직이는 동안 작동방향(56)으로 그리고 반대방향으로 조작요소(20)를 평행하게 가이드하는 평행 가이드 장치(68)를 포함하고,
- 상기 평행 가이드 장치(68)는,
- 상기 조작요소(20) 쪽으로 향하는 상부면과 상기 조작요소(20)의 반대편에 있는 하부면을 갖는 캐리어 요소(52),
-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를 갖는 레버 조립체(62), 및
-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어링 블록(72)을 갖고, 상기 제1 베어링 블록에서 상기 제1 레버(64)가 상기 작동방향(56)에 대하여 횡단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어링 블록(74)을 갖고, 상기 제2 베어링 블록에서 상기 제2 레버(66)가 상기 작동방향(56)에 대하여 횡단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조립체(70)를 구비하고,
- 상기 레버(64, 66)의 상기 피봇축(76)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 작동방향(56)으로 상기 조작요소(20)로부터 튀어나오고 상기 캐리어요소(52)내 통로개구(54)를 통과하고 및/또는 측면에서 상기 캐리어요소(52)를 지나 하부면을 넘어서 까지 연장하는 상기 조작요소(20)용 두 개의 대향하는 지지요소(44)가 제공되고,
- 상기 레버 조립체(62)와 상기 베어링 조립체(70)는 상기 캐리어요소(52)의 아래에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지지요소(44)들 사이에 위치하고,
- 각각의 레버(64, 66)는 상기 피봇축(76)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레버 아암(78, 82)과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 반대편에서 피봇축(76)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레버 아암(80, 84)을 갖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레버(64)의 상기 제1 레버 아암(78)은, 오목부 개구(90)를 갖는 상기 지지요소(44)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88)에 의해 관절식으로 수용되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레버(66)의 상기 제1 레버 아암(82)은, 오목부 개구(90)를 갖는 다른 지지요소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92)에 의해 관절식으로 수용되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레버(64)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0, 84)은 서로 피봇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조작유닛의 개념은 작동방향으로 즉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까지 그리고 작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조작요소를 평행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고정 캐리어 요소 아래에 레버 조립체를 갖는 평행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레버 조립체는 디자인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선행기술로서 이미 알고 있는 데, 예를 들어 DE-C-44 016 44, DE-B-10 2017 220 789 또는 상술한 국제특허공보를 통해서도 이미 알고 있다.
캐리어 요소 아래의 레버의 조립체는, 키(기계적으로, 용량성으로, 광학적으로, 유도성으로 작동), 록커(rocker), 회전 조절기, 회전/푸쉬 조절기, 디스플레이, 터치 디스플레이, "고정된" 기호를 갖는 터치 패드와 같은 여러 조작 개념에 대하여 캐리어 요소의 위에 공간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지지요소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가 상기 조작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관절식 오목부 내에서 피봇회전될 때, 상기 오목부 개구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제1 레버 아암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조작요소의 작동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소위 "슬라이딩 핏"(sliding fit)) 상기 관절식 오목부 내에서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버 조립체의 디자인은 매우 간단하고, 간단히 구현되는 길이 조절 보상을 갖는다. 제1 및 제2 레버의 관절식 조인트는 플레이(play)를 갖는 관절부에 의해 생성되고, 그 안에서 관절부의 고정 관절식 부분에 수용된 제1 레버와 제2 레버의 단부가 작동방향에 대하여 횡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두 레버 사이의 관절식 조인트에도 적용된다. 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은, 높은 허용오차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필요 없이 제조와 관련하여 수행하기가 쉬운 매우 간단한 레버 조립체 디자인을 가능케 한다.
조작요소,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및 특히 터치스크린은 고정된 캐리어 요소 위에 위치하고, 이는 예를 들어 조작유닛의 하우징에 배열되어 있다. 조작요소는 캐리어 요소쪽으로 향하는 반대편 지지요소를 갖고, 지지요소는 캐리어 요소를 넘어 튀어나오고 캐리어 요소 내의 통로개구를 통해 또는 캐리어 요소의 엣지 오목부를 통해 연장한다. 두 개의 베어링 블록은 캐리어 요소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이들 각각은 두 레버들 중 하나를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피봇회전 관절은 실질적으로 플레이(play)가 없다. 두 레버는, 캐리어 요소 아래에 배열되고 캐리어 요소에 거의 평행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레버가 피봇회전 되지 않는 경우). 두 레버는 서로 마주하는 단부들에서 플레이를 갖고 서로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들에서 지지요소 각각에 형성된 관절식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레버는 두 개의 레버 아암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레버 아암은 각각의 베어링 블록의 각각의 피봇회전 관절의 양측에 있다.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은 지지요소 상의 관절 오목부에 의해 수용되고, 두 레버의 각각의 제2 레버 아암은 서로 결합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톱니 맞물림(toothing)(바람직하게는 인벌류트 톱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두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을 각각의 지지요소에 수용시키는 것과 비슷한 관절식 포메이션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은, 조작요소가 눌러지거나 기능-트리거 위치로부터 정지위치로 돌아갈 때 각각의 지지부의 관절식 오목부에서, 약간 쉬프트이동(shift)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요소의 관절식 오목부에 의해, 관절식 오목부가 접하는 각각의 지지요소의 오목부 개구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방향으로(슬라이딩 핏) 각각의 제1 레버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조작유닛에서, 조작요소를 형성하는 터치스크린 내의 접촉센서시스템에 의해 또는 조작요소의 기능-트리거 위치에서 작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기능을 트리거할 수 있다. 두 가지 메커니즘을 조합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은 관절식 오목부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는 관절식 단부를 갖고, 각각의 관절식 오목부는 오목부 개구에 인접하는 수용공간을 갖고, 수용공간은 조작요소의 작동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방향으로 수용공간 내에서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를 둘러싸고, 수용공간은 링크 방식으로 수용공간 내에서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각각의 관절식 오목부는 기본적으로 U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레버 조립체의 두 레버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지요소 상의 각각의 관절식 오목부는 수평 "U" 방식으로 형성되고, "U" 형상의 개구는 오목부 개구이고, 관절식 오목부는 오목부 개구와 인접한다. 레버가 캐리어 부재에 거의 평행하게 향할 때 관절식 오목부에 의해 수용되는 두 레버 중 하나의 제1 레버 아암 각각의 관절식 단부가 관절식 오목부의 바닥에 대하여 플레이(play)를 갖도록, 그리고 레버 아암이 최대 피봇회전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가 관절식 오목부에 의해 여전히 수용되도록, 관절식 오목부의 깊이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1 레버 아암을 갖는 레버 각각은 각각의 지지요소에서 또는 지지요소의 각각 두개 또는 세개의 지지부(지지바) 상에서 각각의 관절식 단부를 형성하는 두개 또는 세개의 돌출부를 통해, 관절식으로 수용된다. 이로써 전체적인 조립체의 비틀림 강성을 보정할 수 있고,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의 평행 가이드가 보장되는데, 이는 아래로 눌러졌을 때, 심지어는 예를 들어 조작요소가 코너 영역이나 엣지 영역에서 아래로 눌러졌을 경우에도 보장되며, 특히 플라스틱 사출성형의 경우에 나아가 특히 대형 디자인을 갖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는 평행 가이드 또는 레버 조립체 및 물질의 비틀림에 대한 지지요소의 관절식 조인트의 감응성(susceptibility)을 줄여준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작요소는 두 개의 길이방향 엣지와 두 개의 횡방향 엣지를 갖는 거의 정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윤곽선을 갖는다. 또 다른 이점은, 지지요소가 작동방향에서 조작요소의 두 개의 길이방향 엣지를 따라서 또는 두 개의 횡방향 엣지를 따라서 조작요소로부터 돌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적으로 더 적절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요소는 두 개의 이격된 지지바를 갖고, 이는 길이방향 엣지와 횡방향 엣지에 의해 각각 형성된 조작요소의 코너 영역에서 작동방향으로 조작요소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바는 관절식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의 각각의 관절식 단부가, 각각의 지지요소의 지지바의 관절식 오목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관절식 단부 돌출부를 갖는 경우 바람직하다(슬라이딩 핏).
지지부재에 대한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조인트와 관하여 물질 비틀림에 대한 감응성을 방지/감소하는 것에 관련해서, 상술한 것처럼,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은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섹션 내에서, 제1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은, "슬라이딩 핏"을 갖는 다른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의 관절식 오목부에 삽입하는 관절식 돌출부를 갖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이 각각 관절식 단부를 갖고, 두 개의 관절식 단부 중 하나가 관절식 오목부를 갖고, 관절식 오목부 안으로 나머지 관절식 단부가 삽입(plunge)되어, 관절식 오목부 내에서 작동방향 뿐만 아니라 반대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작동방향에 직교하는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면, 더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이 각각 관절식 단부를 갖고, 두 개의 관절식 단부가 서로 맞물려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레버 조립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한 쌍의 레버가 제1 레버와 제2 레버를 포함하고, 두 레버는 피봇회전가능하게 베어링 블록에 장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이미 설명하였다. 이러한 두 레버는 두 개의 플레이트와 같은 구조의 방식으로 비틀림 강성을 갖고, 이것은 특히 물질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레버 조립체에 대한(또한 지지요소와 베어링 블록에 대한) 적절한 물질로서,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금속 보다 훨씬 더 가볍고 처리하기가 편한 물질이다. 물질을 절약하기 위해, 플레이트와 같은 레버는 구조적으로 강성을 가져야만 하고, 이는 리브(rib)와 같은 것에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요소를 구조적으로 강성을 갖게 하는 것에 대하여 당업자는 친숙하여야한다.
상술한 것처럼,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은 예를 들어 손가락과 같은 작동물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접촉센서시스템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시, 적어도 하나의 록커 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 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노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푸쉬 조절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하여 조작요소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횡방향 가이드를 더 개선하기 위해, 조작요소가 예를 들어 핀-홀-수용 가이드에 의하여 원치않는 변위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작동방향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가이드되면 바람직하고, 이는 예를 들어 세 개의 포인트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세 개의 포인트는 공통 직선 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지요소와 조작요소 사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핀-홀-수용 슬라이딩 가이드에 의하여 실시된다.
조작요소는 또한 전방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조작요소가 배치되고, 캐리어 요소는 하우징 내에 및/또는 하우징에 장착된다.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이 접촉되어 아래로 눌러질 때 다른 조작기능을 트리거하는 복수의 기호 필드를 갖는 차량용 조작유닛에, 더 바람직하게 햅틱 피드백이 제공된다. 최근 몇년 동안, 이러한 개념이 광신호 및 소리신호에 의해 유효한 기능을 트리거하는 피드백 보다 점점 더 인기가 있게 되었다. 햅틱 피드백에서, 능동 시스템과 수동 시스템 사이에 차이가 있다. 능동 시스템에서, 조작요소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펄스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자극을 받고, 이를 조작자가 촉각으로 느낀다. 이러한 능동 햅틱 피드백 시스템은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그러나, 소위 수동 햅틱 피드백 시스템은 더 간단하게 되어 있고, 이는 작동 힘-변위 특성을 갖는 스위치를 이용하는데, 여기서 작동하는 힘이 증가할 때 스위치의 스위치 작동 부재가 초기에 점진적으로 이동되어 한 지점으로 이동되며, 이 지점에서 자동으로 기능-트리거 위치에 "스냅"(snap)식으로 끼워지는데, 이는 보통 곡선 스프링강 디스크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힘을 더 증가시키지 않아도 이루어지는 정도로 제공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스위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종래의 키와 같이 친숙한 동작에 대응한다. 이러한 스위치를 본 발명에 따른 조작유닛과 함께 사용하면, 하나의 이러한 스위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작유닛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유닛은 스위치 하우징과 스위치 작동부재를 갖는 기계 스위치를 갖고,
- 스위치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는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움직일 때 조작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스위치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의 하부측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는 서로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레버 아암 중 하나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스위치 하우징은 서로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레버 아암 중 하나에 배열되어 있고, 스위치 작동 부재는 캐리어 요소에 의해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이동할 때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스위치는 지지요소들 중 하나의 아래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는 각각의 지지요소에 의해 또는 각각의 지지요소의 연장부 내의 대향면(counterface)에 의해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조작요소가 이동할 때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는 캐리어 요소와 조작요소 사이에 배열되고, 따라서 고정요소와 이동요소 사이에 배열된다. 허용오차와 관련하여, 이러한 개념은 스위치가 레버와 조작요소 사이에 배열되어, 두 사이드로부터 둘 사이에 "압입되는"(pressed in) 경우에 바람직하다.
즉, 조작요소가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움직일 때 기계적인 움직임의 결과로서 기계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조작요소가 기능-트리거 위치에 도달할 때 조작요소에 작용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기계적인 작용하에서 펄스식으로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서, 기계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될수 있는 펄스 여기 부재를 갖는 운동학적 유닛을, 스위치가 갖는다.
스위치 하우징은 또한 스위치 매트의 돔(dome)(키 탑(key top)으로도 부름)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스냅 디스크가 일체로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부재의 기능은, 또한 안쪽으로 튀어나온 플런저를 갖는 돔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전방면은 전기전도성물질로 코팅되어 있고, 눌러진 상태에서 회로보드 상의 두 접촉 필드를 단락(short-circuit)시킨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조작요소는, 백라이트를 갖거나 갖고 있지 않은 그리고 조작표면으로서 예를 들어 기호, 아이콘, 알파벳 문자 또는 그래픽의 형태로 변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갖고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조작요소는 조작표면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기호, 아이콘, 알파벳 문자 또는 그래픽의 형태로 백라이트 조명을 받는 변하지 않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가질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본질적인 특징은 최소의 허용오차를 가지고 가능한 한 작에 여러 관절식 조인트 내에 접촉 및 슬라이딩 표면을 만들어서, 보통 플라스틱인 부품의 물질이 뒤틀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한 작게 되거나 간단하게 보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조작요소가 정지위치에 있는, 조작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조작요소가 눌러진 상태에 있고, 따라서 기능-트리거 위치에 있을 때, 조작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III-III을 따라 잘라낸 수평섹션에서의 조작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은 조작요소가 정지위치에 있는, 조작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조작요소가 눌러진 상태에 있고, 따라서 기능-트리거 위치에 있을 때, 조작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III-III을 따라 잘라낸 수평섹션에서의 조작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조작유닛(10)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이 개략적으로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조작유닛(10)은 전방면(14)에 하우징(12)을 포함하고, 그 전방면에 누름식 조작요소(20)의 조작표면(18)이 있다. 조작요소(20)는 조작표면(18)의 부분에 접촉센서시스템(24)을 갖는 디스플레이(22)를 갖는다. 조작표면(18)은 각각의 조작패널(26)을 갖는다. 접촉센서시스템(24) 아래에 디스플레이(22)의 실제 디스플레이유닛(28)이 있고, 그 뒤에 예를 들어 디퓨저(32)를 갖는 백라이트유닛(30)이 있다. 디스플레이(22)는 조작요소 캐리어(34)에 있는데, 캐리어에는 기계 조작요소(20)가 추가로 놓여 있다. 이 추가 기계 조작요소(2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인접하게 배열된 록커(rocker) 또는 토글키(36), 회전/푸쉬 조절기(38), 하나 이상의 누름키(40)를 포함한다. 조작표면(18)은 소위 커버판(42)으로 형성되며, 이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 기계 조작요소(20)의 영역에서, 커버판(42)은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는다. 또한, 조작요소(20)는 또한 용량성으로 작동하는 키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적용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 대신 "고정된" 기호를 갖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작요소(20)는 지지요소(44)를 가지고, 지지요소는 지지바(48)의 형태로서 하우징(12)의 바닥(46)쪽으로 향하는 형태이다. 보통, 조작요소 캐리어(34)에의 하부측에 4개의 지지바(48)가 있다.
조작요소(20)는 도면부호 50으로 표시된 것처럼 탄성적으로 캐리어 요소(52)에 장착되고, 캐리어 요소(52)는 하우징(12)을 통과하여 연장하거나 하우징(12)에 걸쳐 놓여있고 하우징(12)의 바닥(46)에 거의 평행한다. 캐리어판은 통로개구(54)를 포함하고, 통로개구를 통해 지지바(48)가 캐리어 요소(52)의 아래까지 연장한다. 조작요소 캐리어(34)는 캐리어 요소(52) 상에서 축방향으로 가이드되고 조작요소의 작동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이동(displacement)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해, 3개의 텅-홈(tongue-and-groove) 또는 핀-홀-수용 가이드(pin-and-hole receiving guide)가 제공되며, 이 중 2개가 도시되어 있고, 각각 조작요소 캐리어(34)에서 가이드 오목부(60)에 삽입(plunge)되는 캐리어요소(52)의 가이드핀(58)을 포함한다. 축방향 가이드가 재료의 비틀림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도록 서로 슬라이딩하는 표면들은 치수가 가능한 한 작게되어 있다. 캐리어 요소(52)는 고정 병진운동 가이드 요소의 기능을 갖고 있고, 고정 병진운동 가이드 요소에서, 움직일 수 있는 카운터 가이드 요소, 이 경우 지지바(48)가 축방향으로 플레이(play, 여유) 없이 가이드된다.
상술한 추가 조작요소(록커 또는 토글 키(36), 회전/푸쉬 조절기(38), 누름키(40))가 캐리어 요소(52)의 상부측에 배열되고, 커버판(42) 내의 개구(59)를 통과하여 커버판을 넘어 위쪽으로 튀어나온다. 이러한 추가 조작요소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 접촉부는 회로보드(57)에 위치하고, 회로보드는 캐리어 요소(52)의 하부측에 배열되어 있고, 스위치 매트(55)가 개재되어 있다. 스위치 접촉의 폐쇄를 실행하기 위한 조작요소 작동의 기계적인 트랜스미션이, 캐리어 요소(52)를 통과하는 플런저(53)에 의해 영향을 받고, 플런저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스위치 매트(55)의 스위치 돔에 안착되어 있는데, 이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다.
캐리어 부재(52) 아래에 두 개의 레버(64, 66)를 포함하는 레버 조립체(62)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64, 66)는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비틀림 강성을 갖는다. 캐리어 요소(52)와 함께, 조작패널(26)들 중 하나에 압력을 손으로 인가할 때 조작표면(18)이 평행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평행 가이드 장치(68)를 형성한다. 이러한 평행 가이드 장치(68)는 베어링 조립체(70)를 더 포함하고, 베어링 조립체는 제1 레버(64)를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제1 베어링 블록(72)과 제2 레버(66)를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제2 베어링 블록(74)을 갖는다.
두 레버(64, 66)의 피봇회전 장착은 제1 레버(64)의 양측에 제1 레버 아암(78)과 제2 레버 아암(80)을 생성한다. 제2 레버(66)에 대하여, 제1 레버 아암(82)과 제2 레버 아암(84)이 생성되어 있다. 두 레버(64, 66)의 제2 레버 아암(80, 84)들은 관절식 조인트(8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1 레버(64)의 제1 레버 아암(78)의 관절식 단부(77)는 관절식으로 두 개의 지지바(48)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레버(66)의 제1 레버 아암(82)의 관절식 단부(81)는 다른 두 개의 지지바(48)에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절식 단부(77, 81)들은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 돌출부(75, 79)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에 대한 그리고 지지바(48)에 대한 레버의 관절식 조인트가, 일차원에서 플레이(play)를 갖는 관절부(articulation)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바(48)는, 각각의 지지바(48)의 오목부 개구(90)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수용 공간(89)을 갖는 관절식 오목부(88)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관절식 조인트(86)는, 하나의 레버(이 실시예에서는 제1 레버(64))의 제2 레버 아암(80)의 관절식 단부(85)에 관절식 오목부(92)를 갖고, 오목부는 또한 수용 공간(93)을 갖고 오목부 개구(94)가 제공되는데, 오목부 개구를 통해 다른 레버(이 실시예에서는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4)의 관절식 단부(83)가 삽입(plunge)된다. 이 관절부의 조립체는, 즉, 작동방향(5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각각의 오목부 개구(94)를 향하고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레버 또는 레버 아암의 각각의 관절식 단부(77, 81, 83)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근법과 디자인에 대한 배경은, 조작요소(20)의 조작표면(18)에 압력이 가해질때 평행 가이드 장치(68)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2를 고려하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면, 제1 및 제2 레버(64, 66)이 피봇회전하고, 그 관절식 단부(77, 81)는 각각 관절식으로 지지바(48)에 장착되어 있는데, 각각의 관절식 오목부(88) 내에서 각각의 오목부 개구(슬라이딩 핏)쪽을 향하여 움직인다. 동일한 내용이 관절식 조인트(86)에서도 발생된다.
본 발명의 조작유닛(10)은 평가제어유닛(96)을 더 포함하고, 평가제어유닛은 디스플레이(22)의 접촉센서시스템(24)으로부터 신호(98)를 수신하고, 기계 스위치(102)로부터 신호(100)를 수신하고, 여러 다른 조작요소(20)로부터 신호(104)를 수신한다. 평가제어유닛(96)은 이제 수신한 신호에 따라 여러 조작기능을 제어하고 촉발(trigger)하며, 이는 그 자체로 자동차용 멀티기능 조작유닛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하우징(101)과 스위치 작동 부재(103)를 포함하는 기계 스위치(102)는, 조작패널(26)들 중 하나를 유효하게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감지되었다는 것을 평가제어유닛(96)에게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기계 스위치(102)는 추가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수동적인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손가락을 조작패널(26)들 중 하나 위에 놓고 조작요소(20)를 눌렀을 때, 스위치(102)의 메커니즘을 촉각으로 느낄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스위치(102)는 스위치 매트의 일체로 된 부분일 수 있는데, 즉 스위치를 눌렀을 때 스프링 와셔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돔이 제공되어 있고,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 스프링 와셔가 눌러져서 갑작스럽게 "점프"(jump over)하고 그 상태로부터, 스위치를 아래로 눌렀을때 조작요소에 압력을 가하는 힘이 제거될 때까지, 즉 조작요소가 그 정도로 "해제" 되었을 때까지, 비인장 상태(untensioned))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런식으로, 스위치는 또한 조작요소를 눌러진 위치로부터 정지위치로 다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는 도면부호 50으로 표시된 스프링에 대한 대안으로서 레버 조립체(62, 66)의 레버(64)의 부분인 웨이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조작요소가 아래로 이동할 때 두 개의 레버(64, 66)가 각각의 피봇회전 축(76)들 사이에서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웨이트가 이러한 레버들(예를 들어,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4))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거나 이에 통합되면, 조작요소에 대하여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즉 소위 조작요소가 해제되었을 때, 웨이트는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4)을 아래로 끌어당긴다. 이러한 대안에 의하면, 도면부호 50으로 표시된 탄성 장착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유일하게 제조 측면에서 비교적 엄격한 허용오차(tolerance)는 가이드 장치(68)의 디자인에서 반드시 준수되어야 하는데, 캐리어 요소(52) 상의 또는 캐리어요소(52)의 통로개구(54)의 엣지 상의 지지바(48)의 텅-그루브 가이드와, 두 레버(64, 66)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지지바(48)에 대한 관절식 조인트의 경우에 적용되며, 이는 특히 작동방향(56)의 치수에서 그렇다. 치수와 관련하여, 레버(64, 66)의 관절식 조인트 단부는 플레이(play)가 없거나 최소한의 플레이를 가져야만 한다.
도면부호 리스트
10
조작유닛
12
하우징
14
전방면
18
조작요소의 조작표면
20
조작요소
22
디스플레이
24
조작요소의 접촉센서시스템
26
조작표면 상의 조작패널
28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유닛
30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32
디스플레이의 디퓨저
34
조작요소 캐리어
36
조작요소의 토글 키
38
조작요소의 회전/푸쉬 조절기
40
조작요소의 누름키
42
조작요소의 커버판
44
조작요소의 지지요소
46
하우징의 바닥
48
지지요소의 지지바
50
조작요소의 탄성 베어링
52
캐리어 요소
53
플런저
54
지지요소 내의 통로개구
55
스위치 매트
56
조작요소의 작동방향
57
회로보드
58
가이드 핀
59
커버판의 개구
60
가이드 오목부
62
평행 가이드 장치의 레버 조립체
64
레버 아암 장치의 제1 레버
66
레버 아암 장치의 제2 레버
68
평행 가이드 장치
70
레버용 베어링 조립체
72
제1 베어링 블록
74
제2 베어링 블록
75
관절식 단부 돌출부
76
두 레버의 피봇회전 축
77
제1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
78
제1 레버의 제1 레버 아암
79
관절식 단부 돌출부
80
제1 레버의 제2 레버 아암
81
제2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
82
제2 레버의 제1 레버 아암
83
제1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
84
제2 레버의 제2 레버 아암
85
제2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의 관절식 단부
86
관절식 조인트
88
지지바 상의 관절식 오목부
89
관절식 오목부의 수용공간
90
관절식 오목부의 오목부 개구
92
관절식 오목부
93
관절식 오목부의 수용공간
94
관절식 오목부의 오목부 개구
96
제어유닛
98
신호
100
신호
101
스위치의 스위치 하우징
102
스위치
103
스위치 작동 부재
104
신호
참고문헌
DE-C-34 33 719
DE-A-36 43 927
DE-C-44 01 644
DE-C-196 01 492
DE-A-197 57 928
DE-A-10 2008 019 124
DE-A-10 2011 085 725
DE-B-10 2017 220 780
DE-A-10 2017 222 601
DE-A-10 2018 121 678
DE-A-10 2019 203 031
EP-A-0 304 847
EP-B-1 458 000
EP-B-2 449 448
US-A-5 813 521
US-A-2010/0172080
WO-A-2011/000910
WO-A-2014/198418
WO-A-2016/183498
Claims (20)
- 차량용 조작유닛으로서,
- 조작표면(18)을 갖고, 아래로 누름으로써 작동방향(56)에서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그리고 다시 돌아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는 조작요소(20), 및
- 움직이는 동안 작동방향(56)으로 그리고 반대방향으로 조작요소(20)를 평행하게 가이드하는 평행 가이드 장치(68)를 포함하고,
- 상기 평행 가이드 장치(68)는,
- 상기 조작요소(20) 쪽으로 향하는 상부면과 상기 조작요소(20)의 반대편에 있는 하부면을 갖는 캐리어 요소(52),
-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를 갖는 레버 조립체(62), 및
-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어링 블록(72)을 갖고, 상기 제1 베어링 블록에서 상기 제1 레버(64)가 상기 작동방향(56)에 대하여 횡단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베어링 블록(74)을 갖고, 상기 제2 베어링 블록에서 상기 제2 레버(66)가 상기 작동방향(56)에 대하여 횡단하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 조립체(70)를 구비하고,
- 상기 레버(64, 66)의 상기 피봇축(76)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 작동방향(56)으로 상기 조작요소(20)로부터 튀어나오고 상기 캐리어요소(52)내 통로개구(54)를 통과하고 및/또는 측면에서 상기 캐리어요소(52)를 지나 캐리어요소의 하부면을 넘어서 까지 연장하는 상기 조작요소(20)용 두 개의 대향하는 지지요소(44)가 제공되고,
- 상기 레버 조립체(62)와 상기 베어링 조립체(70)는 상기 캐리어요소(52)의 아래에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지지요소(44)들 사이에 위치하고,
- 각각의 레버(64, 66)는 상기 피봇축(76)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레버 아암(78, 82)과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 반대편에서 상기 피봇축(76)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레버 아암(80, 84)을 갖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레버(64)의 상기 제1 레버 아암(78)은, 오목부 개구(90)를 갖는 상기 지지요소(44)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88)에 의해 관절식으로 수용되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레버(66)의 상기 제1 레버 아암(82)은, 오목부 개구(90)를 갖는 다른 지지요소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92)에 의해 관절식으로 수용되고,
-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레버(64)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0, 84)은 서로 피봇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에 있어서,
두 지지요소(44)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92)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가 상기 조작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관절식 오목부(88) 내에서 피봇회전될 때, 상기 오목부 개구(90)의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의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관절식 오목부(88) 내에서 상기 조작요소의 작동방향(56)과 그 반대방향으로 각각의 제1 레버 아암(78, 82)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레버 아암(78, 82)은 상기 관절식 오목부(88) 중 하나에 의해 수용되는 관절식 단부(77, 81)를 갖고, 각각의 상기 관절식 오목부(88)는 상기 오목부 개구(90)에 인접하는 수용공간(89, 93)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용공간(89, 93) 내에서 상기 조작요소(20)의 작동방향(56)으로 그리고 그 반대방향으로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의 관절식 단부(77, 81)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의 관절식 단부(77, 81)를 둘러싸고, 상기 수용공간은 링크 방식으로 상기 수용공간(89, 93) 내에서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의 관절식 단부(77, 81)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레버 아암(78, 82)의 관절식 단부(77, 81)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절식 오목부(88)는 거의 U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는 두 개의 길이방향 엣지와 두 개의 횡단방향 엣지를 갖는 거의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44)는 상기 조작요소(20)의 두 개의 횡단 엣지를 따라 또는 두 개의 길이방향 엣지를 따라 작동방향(56)으로 상기 조작요소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는 각각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지지바(48)를 포함하고, 네 개의 상기 지지바(48)가 사각형 코너와 같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조작요소(20)로부터 돌출되어 작동방향(56)으로 향하고, 상기 지지바는 각각 관절식 오목부(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의 제1 레버 아암(78, 82)의 각각의 관절식 단부(77, 81)는, 각각의 상기 지지요소(44)의 지지바(48)의 관절식 오목부(88)에 삽입되는 두 개의 관절식 단부 돌출부(75, 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0, 84)은 각각 관절식 단부(83, 85)를 갖고, 두 개의 관절식 단부(83, 85) 중 하나는 관절식 오목부(92)를 갖고, 관절식 오목부 안으로 두 개의 관절식 단부(83, 85) 중 나머지 관절식 단부가 삽입(plunge)되어, 관절식 오목부(92) 내에서 작동방향(56) 뿐만 아니라 반대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작동방향(56)에 직교하는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의 제2 레버 아암(80, 84)은 각각 관절식 단부(83, 85)를 갖고, 두 개의 상기 관절식 단부(83, 85)는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레버(64)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버(66)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틀림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조립체(70)는 복수의 베어링 블록(72)과 복수의 제2 베어링 블록(7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어링 블록(72)과 상기 제2 베어링 블록(74)은 각각의 상기 레버(64, 66)의 피봇회전 축(76)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의 조작표면(18)은 예를 들어 손가락과 같은 작동물체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해, 접촉센서시스템(24)을 갖는 디스플레이(22) 및/또는 기호와 접촉센서시스템을 갖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록커 키(3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 키(4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노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푸쉬 조절기(38)가 상기 디스플레이(22)에 더하여 상기 조작요소(20)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는 예를 들어 텅-그루브 또는 핀-홀-수용 가이드(61)에 의하여 원치않는 이동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작동방향(56)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는, 예를 들어 텅-그루브 또는 핀-홀-수용 가이드(61)에 의하여 원치않는 이동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작동방향(56)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상기 캐리어요소(52) 상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갖는 전방면을 갖는 하우징이 제공되고, 상기 캐리어 요소(52)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및/또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52)에 장착되는 하우징(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스위치 하우징(101)과 스위치 작동부재(103)를 갖는 기계 스위치(102)가 제공되고,
-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은 상기 캐리어 요소(5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103, 53)는 상기 조작요소가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조작요소(20)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은 상기 캐리어 요소(52)의 하부측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103)는 서로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제2 레버 아암(80, 84) 중 하나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상기 스위치 하우징(101)은 서로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상기 제2 레버 아암(80, 84) 중 하나에 배열되어 있고, 스위치 작동 부재(103)는 상기 캐리어 요소(52)에 의해 상기 조작요소가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이동할 때 작동되도록 되어 있거나,
- 상기 스위치(102)는 상기 지지요소(44) 중 하나의 아래에 배열되고, 스위치 작동 부재(103)는, 각각의 상기 지지요소(44)에 의해 또는 각각의 상기 지지요소(44)의 연장부 내의 대향면에 의해, 상기 조작요소(20)가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이동할 때 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20)가 정지위치로부터 기능-트리거 위치로 움직일 때, 기계적인 움직임의 결과로서 기계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조작요소가 기능-트리거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조작요소(20)에 작용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기계적인 작용하에서 펄스식으로 기계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서, 기계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될수 있는 펄스 여기 부재를 갖는 운동학적 유닛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0115847.5A DE102020115847B4 (de) | 2020-06-16 | 2020-06-16 |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
DE102020115847.5 | 2020-06-16 | ||
PCT/EP2021/060117 WO2021254676A1 (de) | 2020-06-16 | 2021-04-19 |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24276A true KR20230024276A (ko) | 2023-02-20 |
Family
ID=7565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2928A KR20230024276A (ko) | 2020-06-16 | 2021-04-19 | 차량용 조작유닛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2087519B2 (ko) |
EP (1) | EP4164911B1 (ko) |
JP (1) | JP2023530928A (ko) |
KR (1) | KR20230024276A (ko) |
CN (1) | CN115803213A (ko) |
DE (1) | DE102020115847B4 (ko) |
WO (1) | WO202125467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3125U (ja) | 1983-09-20 | 1985-04-15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プッシュ型電気部品のスライドガイド構造 |
DE3643927A1 (de) | 1986-12-22 | 1988-07-07 | Grundig Emv | Einrichtung zum fuehren von drucktasten |
EP0304847B1 (de) | 1987-08-24 | 1992-04-22 |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 Drucktaste |
GB8921473D0 (en) * | 1989-09-22 | 1989-11-08 | Psion Plc | Input device |
EP0449448B1 (en) | 1990-03-29 | 1997-01-22 | The Boc Group, Inc. | Process for producing oxygen enriched product stream |
US5268545A (en) * | 1992-12-18 | 1993-12-07 | Lexmark International, Inc. | Low profile tactile keyswitch |
DE4401644C2 (de) | 1994-01-21 | 1997-02-06 | Kammerer Gmbh M | Drucktaste zur Betätigung von Regelgliedern, insbesondere Heizungs-, Klima- und Lüftungsreglern in Kraftfahrzeugen |
US5813521A (en) | 1995-08-11 | 1998-09-29 |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 Keyswitch having a reduced height and a keyboard using such a keyswitch |
TW281743B (en) | 1995-08-11 | 1996-07-21 | Fujitoru Takamisawa Parts Co Ltd | Keyswitch having a reduced height and a keyboard using such a keyswitch |
DE19757928C2 (de) | 1997-12-24 | 1999-10-28 | Hella Kg Hueck & Co |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insbesondere für eine Klimaanlage |
DE602004001250T2 (de) | 2003-03-10 | 2007-05-24 | Mitsumi Electric Co., Ltd., Tama | Tastatur |
DE102005049848B4 (de) * | 2005-10-18 | 2007-06-06 | Roland Ruegenberg | Ein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Hupkontakts an einem Lenkrad eines Kraftfahrzeugs |
EP2153306A4 (en) | 2007-06-14 | 2012-12-12 | Nokia Corp | SCREEN ASSEMBLY |
DE102008019124B4 (de) | 2008-04-16 | 2010-04-08 | E-LEAD ELECTRONIC CO., LTD., Shengang Shiang | Tastatur mit Mehrachsenbalancierungs-Berührungstasten |
FR2947645B1 (fr) | 2009-07-01 | 2011-06-10 | Coactive Technologies Inc | Dispositif de commande comportant un panneau superieur mobile et des bras d'actionnement d'un interrupteur de commutation |
DE102011085725A1 (de) | 2010-12-14 | 2012-06-14 |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insbesondere für eine Heizungs- oder Klimaanlage |
DE102014007988A1 (de) | 2013-06-13 | 2014-12-18 | Marquardt Gmbh | Schaltbedienanordnung |
US9997308B2 (en) | 2015-05-13 | 2018-06-12 | Apple Inc. |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
DE102017220789B4 (de) | 2017-07-28 | 2023-08-10 |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 Reibbelaghaltefeder zur verbesserten Bremskolbenfixierung |
DE102017220780B3 (de) | 2017-11-21 | 2019-02-2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Tastschalter und Kraftfahrzeug mit einem Tastschalter |
DE102017222601B4 (de) | 2017-12-13 | 2019-08-01 | Audi Ag |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8121678B4 (de) | 2018-09-05 | 2020-06-25 |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 Bedieneinheit für ein Fahrzeug |
DE102019203031A1 (de) | 2019-03-06 | 2020-09-10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Schaltungsanordnung |
-
2020
- 2020-06-16 DE DE102020115847.5A patent/DE102020115847B4/de active Active
-
2021
- 2021-04-19 KR KR1020227042928A patent/KR2023002427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4-19 WO PCT/EP2021/060117 patent/WO2021254676A1/de unknown
- 2021-04-19 US US17/928,555 patent/US12087519B2/en active Active
- 2021-04-19 EP EP21721014.5A patent/EP4164911B1/de active Active
- 2021-04-19 JP JP2022576794A patent/JP2023530928A/ja active Pending
- 2021-04-19 CN CN202180037537.3A patent/CN11580321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2087519B2 (en) | 2024-09-10 |
DE102020115847B4 (de) | 2021-12-23 |
DE102020115847A1 (de) | 2021-12-16 |
EP4164911B1 (de) | 2024-07-24 |
WO2021254676A1 (de) | 2021-12-23 |
EP4164911A1 (de) | 2023-04-19 |
US20230282429A1 (en) | 2023-09-07 |
CN115803213A (zh) | 2023-03-14 |
JP2023530928A (ja) | 2023-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72113B2 (ja) | キー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 |
US5466901A (en) | Keyswitch assembly having mechanism for controlling touch of keys | |
CN108944661B (zh) | 用于机动车辆的控制面板 | |
US6812421B2 (en) |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keyboard | |
JP3064801B2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 |
CN101083179A (zh) | 车辆用转向信号开关 | |
JP3201175B2 (ja) | キースイッチ | |
US6371671B1 (en) | Key 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 |
US5117076A (en) | Quieting device for keytop leveling mechanisms | |
US20080116048A1 (en) | Switch unit operable with rocker switches for control units | |
KR20230024276A (ko) | 차량용 조작유닛 | |
CA1160269A (en) | Pushbutton key switch | |
EP1164463A1 (en) | Keyboard switch | |
JP4720435B2 (ja) | キースイッチ | |
US11594384B2 (en) | Switch assembly | |
CN110189949B (zh) | 按键结构 | |
KR20060103225A (ko) | 회로 유닛 장치 | |
WO2023176248A1 (ja) | 入力装置 | |
JP2019185086A (ja) | 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装置 | |
KR100662292B1 (ko) | 세탁기용 조작부의 버튼장치 | |
JPH0541922Y2 (ko) | ||
JP2602421Y2 (ja) | キースイッチ | |
JP2023011305A (ja) | 操作装置 | |
JP3392841B2 (ja) | キースイッチ装置 | |
JP2020161254A (ja) | シーソースイッチ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