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034A -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 Google Patents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034A
KR20230024034A KR1020210106065A KR20210106065A KR20230024034A KR 20230024034 A KR20230024034 A KR 20230024034A KR 1020210106065 A KR1020210106065 A KR 1020210106065A KR 20210106065 A KR20210106065 A KR 20210106065A KR 20230024034 A KR20230024034 A KR 2023002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af
door
moving part
outdoor unit
leaf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504B1 (ko
Inventor
유병조
황상근
Original Assignee
유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조 filed Critical 유병조
Priority to KR102021010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에 위치한 환기 루버 설치 공간의 단열을 위해 설치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는 외부 온도의 영향이 큰 주거세대의 실외기실에 단열재를 포함한 단열문을 이용하여 단열 및 기밀을 강화함으로써, 실외기실 및 인접 공간의 단열 및 결로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냉기류의 침입을 방지하여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루버가 설치된 공간을 동절기에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공동주택 시공단계에서 단열재 설치공간 및 단열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Outdoor Unit Room Louver with Insulated Door}
본 발명은 주택 등의 실외기실 외벽의 단열문 구비 루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벽에 위치한 환기 루버 설치 공간의 단열을 위해 설치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법규의 변화로 기존 아파트에서 많이 사용되던 난간대 외부의 실외기 설치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에어컨 실외기 설치공간을 별도로 실내에 구획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주택성능 표지제도와 실내 공기 질 향상을 위한 기계 환기설비의 의무설치조항이 추가되어 아파트에 설치되는 기계설비장치가 늘어나고 있고, 더욱이 고급화된 아파트나 주상복합 등에서 제공되는 진공청소설비와 천정카세트형 공조장치는 대형화된 장비를 수반하고 있어 이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으로서 실외기실 또한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실외기실은 에어컨 가동시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환기 루버가 설치된다. 실외기실은 비 단열 공간으로 간주되어 단열 및 기밀 조치를 하지 않고 있으며, 환기 루버는 단열 및 기밀 성능이 취약하여 동절기시 실외기실의 활용성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실외기실에 면한 인접실에 냉기류 또는 결로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환기루버의 기밀 취약으로 인해 동절기에 외부의 강한 기류가 상기 환기루버를 관통함에 따라 소음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환기 루버가 있는 벽면은 환기 루버로 인해 단열 및 기밀 성능이 취약하기 때문에 실외기실의 인접공간의 단열과 결로 방지를 위해, 환기 루버가 있는 외벽면을 제외한 실외기실의 내벽면을 단열을 해야하는데, 이로 인해 단열재 설치벽면이 많아지고 따라서 단열재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2092243호는 단열구조의 루버에 관한 것으로, 루버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를 단열체로 연결한 루버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동절기시 환기루버를 닫은 상태에서 단위 루버간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교 현상 및 기밀성능 저하 문제와 환기루버 자체의 열전달을 통한 단열성능 저하문제는 여전히 보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실외기실의 단열 성능, 기밀 성능, 냉교 차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환기루버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224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기실의 외부에는 루버를 설치하고 루버 내부면으로 벌레등이 침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충망을 삽입한후 실내면에 단열문을 설치하여 실외기실의 환기 루버 실내측에 단열문을 설치하되, 단열문의 개폐가 편리하면서 개폐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실외기와 루버간의 간격을 좁혀서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바람 및 공기를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공동주택 시공단계에서 단열재 설치공간 및 단열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로, 상기 실외기실 루버는: 상기 실외기실 외벽 개구부의 내면에 외부면이 접하여 설치되며 내부면이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부 공간을 덮는 환기용 루버; 및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에 상기 루버와 대향하여 설치되며, 내리닫이 문 형태인 단열문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문은 프레임 내부 양측에 단열문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에 각각 설치되고 단열판을 구비하는 제1 내지 제3 단열문짝; 상기 프레임 실내측 상하 좌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상하 이동벨트; 및 상기 상하 이동벨트의 이동으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 이동부는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기 이동벨트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된 제1 문짝 이동부의 위치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및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에서, 펼쳐지는 상태까지 이동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부위와 상기 제3 문짝 이동부 부위 사이에 상기 두 부위를 연결하는 단열재가 개재된,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할 때 단열재로 서로 접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겹쳐지는 상태는, 상기 상하 이동벨트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하 슬라이딩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가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태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로 펼쳐지는 상태는, 상기 제1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상태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로 펼쳐지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는 단열재로 서로 접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도 단열재로 서로 접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 문짝 이동부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도르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와이어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측면 하부 도르래부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된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측면 상부 도르래부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기 이동벨트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함께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과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 사이에 방충망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상하 이동벨트는, 수동 또는 전동구동으로 개폐되며, 상기 전동구동은 홈 오토메이션과 연동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는 외부 온도의 영향이 큰 주거세대의 실외기실에 단열재를 포함한 단열문을 이용하여 단열 및 기밀을 강화함으로써, 실외기실 및 인접 공간의 단열 및 결로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냉기류의 침입을 방지하여 거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루버가 설치된 공간을 동절기에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외기와 단열루버의 공간이 밀착하여 원활한 통기가 가능하다. 또한, 공동주택 시공단계에서 단열재 설치공간 및 단열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의 (a)단열문 개방 상태 및 (b)단열문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상하 이동벨트의 운동에 따라 제2 및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하 이동벨트와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문짝 이동부와 와이어 구조 및 상하 이동벨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문짝 이동부와 이동벨트가 프레임에 설치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a)프레임 상부의 단열재 배열구조, (b)제1 문짝 이동부 하부와 제2 문짝 이동부 상부가 접할 때 단열재 배열구조 및 (c)제3 문짝 이동부 하부와 프레임 하부의 단열재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의 (a)단열문 개방 상태 및 (b)단열문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실외기실 루버(1)는: 상기 실외기실 외벽 개구부(미도시)의 내면에 외부면이 접하여 설치되며 내부면이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부 공간을 덮는 환기용 루버(20); 및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에 상기 루버와 대향하여 설치되며, 내리닫이 문 형태인 단열문(30, 3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외기실 외벽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 않고 단열을 위해서 일부분만 개방된 형태를 취하므로 통상은 루버가 설치되는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외기실 루버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열문(30, 31)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아래 부분이 개방되면 루버(20)가 노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상하 이동벨트의 운동에 따라 제2 및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열문은 프레임(10) 내부 양측에 단열문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11 내지 13);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에 각각 설치되고 단열판을 구비하는 제1 단열문짝(미도시), 제2 단열문짝(31) 및 제3 단열문짝(30); 상기 프레임(10) 실내측 상하 좌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상하 이동벨트(16); 및 상기 상하 이동벨트의 이동으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를 이동시키는 와이어(14a, 14b, 14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11~13)는 상기 와이어(14a, 14b)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 문짝 이동부(11, 13)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고정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도르래부(1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각 단열문짝(30, 31)은 단열문(30, 31)의 외부 평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111)에 고정된 제1 와이어(14a)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 측면 하부 도르래부(112)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1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111)에 고정된 제2 와이어(14b)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 측면 상부 도르래부(112)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111)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와이어(14a) 및 제2 와이어(14b)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가 상기 이동벨트(16)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를 함께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동벨트(16)는 상부 및 하부에 이동벨트 도르래부(1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는 프레임(10)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가 상기 이동벨트(16)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된 제1 문짝 이동부(11)의 위치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및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도1a)에서, 펼쳐지는 상태(도1b)까지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및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펼쳐지는 상태(도1b)에서 상기 단열문(30, 31)이 위치하는 이동부 프레임(17)이 상기 프레임(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상하 이동벨트와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문짝 이동부와 와이어 구조 및 상하 이동벨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겹쳐지는 상태(도1a)는, 상기 상하 이동벨트(16)가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의 상하 슬라이딩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가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서로 펼쳐지는 상태(도1b)는,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하 이동벨트(16)는, 수동 또는 전동구동으로 개폐되며, 상기 전동구동은 홈 오토메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동벨트(16)를 상부 및 하부에서 구동하는 이동벨트 도르래부(15)는 도르래 연결축(151)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 연결축은 수동 또는 전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동구동 수단은 전기모터, 기계식 구동모터 등 상용화된 구동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동벨트(16)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체결부(131)를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문짝 이동부와 이동벨트가 프레임에 설치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a)프레임 상부의 단열재 배열구조, (b)제1 문짝 이동부 하부와 제2 문짝 이동부 상부가 접할 때 단열재 배열구조 및 (c)제3 문짝 이동부 하부와 프레임 하부의 단열재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와 평행한 위치와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와 평행한 위치 사이에 상기 두 위치를 연결하는 단열재(18)가 개재된다. 상기 개제된 단열재를 통해서 외기가 접하는 프레임의 외부 부위가 내부 부위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와 접할 때 단열재(113)로 서로 접하여 열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서로 펼쳐지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문짝 이동부(11)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는 단열재(113)로 서로 접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12)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13)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도 단열재(미도시)로 서로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과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 사이에 방충망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인 실외기실의 단열루버는 루버자체와 후레임에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의 단열재를 삽입하여 단열성을 확보하였다고 하지만 개폐식 루버의 단점인 루버 작동을 위한 루버(20)와 프레임(10) 사이의 결합부를 축으로 회전하므로, 이곳을 통하여 기밀성 및 단열성이 결여되어 발생하는 냉교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실외기실 루버의 기능과 방충망의 기능에 단열성을 추가하며 내부의 단열문 개폐시 별도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단열 루버와 실외기의 간격을 밀착시켜 원할한 통기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 실외기실 루버
10. 프레임
20. 루버
11. 제1 문짝 이동부
12. 제2 문짝 이동부
13. 제3 문짝 이동부
14a. 제1 와이어
14b. 제2 와이어
15. 이동벨트 도르래부
16. 이동벨트
17. 이동부 프레임
18, 113. 단열재
30, 31. 단열문
111. 고정부
112. 도르래부
131. 체결부
151. 도르래 연결축

Claims (9)

  1.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로, 상기 실외기실 루버는:
    상기 실외기실 외벽 개구부의 내면에 외부면이 접하여 설치되며 내부면이 프레임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개구부 공간을 덮는 환기용 루버; 및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에 상기 루버와 대향하여 설치되며, 내리닫이 문 형태인 단열문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문은 프레임 내부 양측에 단열문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에 각각 설치되고 단열판을 구비하는 제1 내지 제3 단열문짝;
    상기 프레임 실내측 상하 좌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양 측면과 결합하는 상하 이동벨트; 및
    상기 상하 이동벨트의 이동으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 이동부는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기 이동벨트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정된 상기 제1 문짝 이동부의 위치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및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에서, 펼쳐지는 상태까지 이동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부위와 상기 제3 문짝 이동부 부위 사이에 연결 단열재가 개재된,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문짝 이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할 때 단열재로 서로 접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지는 상태는, 상기 상하 이동벨트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하 슬라이딩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가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태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지는 상태는, 상기 제1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상태인,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지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는 단열재로 서로 접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의 하단부에 상기 제3 문짝 이동부의 상단이 상하 미닫이 형태로 겹치는 부위도 단열재로 서로 접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3 문짝 이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 문짝 이동부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는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와이어 도르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된 제1 와이어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측면 하부 도르래부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상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문짝 이동부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된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문짝 이동부 측면 상부 도르래부를 통해 상기 제3 문짝 측면 하부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제3 문짝 이동부가 상기 이동벨트의 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제2 문짝 이동부를 함께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내측과 상기 프레임 내부면의 실외측 사이에 방충망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벨트는, 수동 또는 전동구동으로 개폐되며, 상기 전동구동은 홈 오토메이션과 연동되는,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KR1020210106065A 2021-08-11 2021-08-11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KR10256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65A KR102561504B1 (ko) 2021-08-11 2021-08-11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65A KR102561504B1 (ko) 2021-08-11 2021-08-11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34A true KR20230024034A (ko) 2023-02-20
KR102561504B1 KR102561504B1 (ko) 2023-07-28

Family

ID=8532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65A KR102561504B1 (ko) 2021-08-11 2021-08-11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89U (ja) * 1991-12-19 1993-07-0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開閉機能付き格子体
KR20130024060A (ko) * 2011-08-30 2013-03-08 유한회사 에스와이 한옥의 창호 시스템
KR20190042942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KR102092243B1 (ko) 2019-12-27 2020-03-23 주식회사 대진단열 단열구조의 루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89U (ja) * 1991-12-19 1993-07-09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開閉機能付き格子体
KR20130024060A (ko) * 2011-08-30 2013-03-08 유한회사 에스와이 한옥의 창호 시스템
KR20190042942A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KR102092243B1 (ko) 2019-12-27 2020-03-23 주식회사 대진단열 단열구조의 루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504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1127C2 (ru) Шторный воздушный клапан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закрытых зданий
WO2011162469A1 (ko)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US9598895B2 (en) Door sealing system
US6974383B2 (en) Cabinet for air handling equipment
US11473367B2 (en) Shutter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ES2890953T3 (es) Sistema de ventana de tejado con medios de transición mejorados entre una ventana de tejado y un conjunto de ventilación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KR102561504B1 (ko) 단열문을 구비한 실외기실 루버
US20100107510A1 (en) Attic Door Insulator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102334510B1 (ko)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US11215006B1 (en) Exterior ventilator door and ventilator assembly for bringing fresh air into a structure
JP2006078129A (ja) 換気装置
KR100662659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문
KR100692086B1 (ko) 열교차단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실외기실 환기루버
KR900000544Y1 (ko)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KR102458262B1 (ko) 환풍기의 소음 저감용 그릴 구조
US5123876A (en) Attic fan cover
KR20190027451A (ko) 편의설비 설치용 창호 프레임 조립체
JP3145348B2 (ja) 断熱通風ドア
US20020037697A1 (en) Ventilating structure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