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932A -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932A
KR20230023932A KR1020210105825A KR20210105825A KR20230023932A KR 20230023932 A KR20230023932 A KR 20230023932A KR 1020210105825 A KR1020210105825 A KR 1020210105825A KR 20210105825 A KR20210105825 A KR 20210105825A KR 20230023932 A KR20230023932 A KR 2023002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wall
plate member
fluid
explosion pressure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
전상배
전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932A/ko
Publication of KR2023002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크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주입공을 구비하는 블래스트 월; 상기 유체 주입공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블래스트 월의 전체 중량을 변화시키는 유체공급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폭발 압력을 감지하는 폭발 압력 감지부; 및 상기 폭발 압력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폭발 압력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를 상기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BLAST WALL ASSEMBLY}
본 발명은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 그 중에서도 원유 또는 가스를 생산, 저장 및/또는 처리하는 해양 플랜트에서는 가스 누출 등으로 인한 폭발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블래스트 월(blast wall)은 폭발사고 시 폭발 충격으로부터 장치(utility) 또는 거주구(living quarter)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래스트 월은 폭발 구조해석을 통한 모델링 작업을 거쳐 설계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폭발 압력 주기가 설계 시의 예상 범위를 벗어나 예를 들어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와 동일해질 경우에 블래스트 월에 설계 범위 이상의 변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0761호(2016.12.28, 블래스트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폭발 압력 주기에 따라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크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주입공을 구비하는 블래스트 월; 상기 유체 주입공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블래스트 월의 중량을 변화시키는 유체공급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폭발 압력을 감지하는 폭발 압력 감지부; 및 상기 폭발 압력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폭발 압력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를 상기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와 상기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이면 상기 유체 주입공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폭발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전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후면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주입공의 입구는 상기 데크에 접하는 상기 블래스트월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데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체 주입공의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래스트 월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랫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랫 바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주입공은 상기 복수의 플랫 바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주입공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복수의 플랫 바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폭발 압력 주기와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가 일치하거나 근접하게 되면 블래스트 월에 유체를 주입하여 블래스트 월의 중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변형 예이고,
도 4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변형 예이고, 도 4는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10)는 블래스트 월(100), 유체공급부(200), 폭발 압력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래스트 월(100)은 제1 플레이트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플랫 바(1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10)는 데크(20)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데크(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재(110)는 제1 수평 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제2 수평 방향(Y축 방향) 및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플랫 바(12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1 플레이트부재(110)를 보강할 수 있다.
플랫 바(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플랫 바(12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의 폭 방향, 즉 제2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블래스트 월(100)은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주입공(101)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체 주입공(10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플레이트부재(110) 및 복수의 플랫 바(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래스트 월(100)에 보다 많은 유체 주입공(10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유체 주입공(101)으로의 유체 주입에 따른 블래스트 월(100)의 중량 조절 가능한 범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체 주입공(10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플레이트부재(110)에는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플랫 바(12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폭발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1차 부재인 제1 플레이트부재(110)의 강성이 유체 주입공(101)으로 인해 저하될 수도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반해, 1차 부재를 보강하는 2차 부재인 플랫 바(120)의 강성 저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유체공급부(200)는 유체 주입공(101)에 유체, 예를 들어 해수 또는 청수를 공급하여 블래스트 월(100)의 전체 중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유체공급부(200)는 데크(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유체 주입공(101)의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관(210)을 포함할 수 있고, 유체 이송관(210)에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펌프(2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체 이송관(210)에는 유체가 가압 상태로 보관된 압력 용기가 밸브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유체 주입공(101)의 입구는 데크(20)에 접하는 블래스트 월(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주입공(10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블래스트 월(100)의 상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 주입공(101)의 하단 입구를 통해 유체 주입공(101)에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 주입공(101)을 채우고 있던 공기는 유체 주입공(101)의 상단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폭발 압력 감지부(30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폭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폭발 압력이 블래스트 월(100)에 도달하기 전에 후술하는 것처럼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를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이를 대비하게 할 수 있다.
폭발 압력 감지부(300)는 제2 플레이트부재(310) 및 압력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부재(31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의 전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레이트부재(31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제1 수평 방향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제2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부재(31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와 마찬가지로 데크(20)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데크(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2 플레이트부재(310)는 제1 플레이트부재(11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와 폭을 가질 수 있다.
압력센서(320)는 제2 플레이트부재(310)에 결합되어 폭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압력센서(320)는 제2 플레이트부재(3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부재(310)의 전면에 가해지는 폭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압력센서(320)가 폭발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폭발 압력 감지부(300)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폭발 압력에 따라 폭발 압력 주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를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유체공급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는 유체공급부(200)에 의해 유체가 공급되기 이전의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일 수 있고, 이는 블래스트 월(100)의 설계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와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 예를 들어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와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가 동일해지면 유체 주입공(101)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체공급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블래스트 월(100)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여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는 폭발 압력 주기와 상이해지거나 폭발 압력 주기와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폭발 압력 주기와 블래스트 월(100)의 고유 주기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도록 유체공급부(200)에 의한 유체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산출한 폭발 압력을 기초로 블래스트 월(100)의 변형이 최소화되는 블래스트 월(100)의 중량을 계산할 수 있고, 블래스트 월(100)의 중량이 해당 계산 값에 이를 수 있도록 유체공급부(200)에 의한 유체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20: 데크
100: 블래스트 월 101: 유체 주입공
110: 제1 플레이트부재 120: 플랫 바
200: 유체공급부 210: 유체 이송관
220: 펌프 300: 폭발 압력 감지부
310: 제2 플레이트부재 320: 압력센서
400: 제어부

Claims (7)

  1. 데크에서 상향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 주입공을 구비하는 블래스트 월;
    상기 유체 주입공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블래스트 월의 중량을 변화시키는 유체공급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폭발 압력을 감지하는 폭발 압력 감지부; 및
    상기 폭발 압력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폭발 압력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를 상기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산출한 폭발 압력 주기와 상기 블래스트 월의 고유 주기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이면 상기 유체 주입공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를 구동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발 압력 감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전면과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재의 후면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공의 입구는 상기 데크에 접하는 상기 블래스트월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데크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유체 주입공의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관을 포함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스트 월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랫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플랫 바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공은 상기 복수의 플랫 바에만 형성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입공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복수의 플랫 바에 각각 형성되는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KR1020210105825A 2021-08-11 2021-08-11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KR20230023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25A KR20230023932A (ko) 2021-08-11 2021-08-11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25A KR20230023932A (ko) 2021-08-11 2021-08-11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32A true KR20230023932A (ko) 2023-02-20

Family

ID=8532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25A KR20230023932A (ko) 2021-08-11 2021-08-11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9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61B1 (ko) 2015-03-26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61B1 (ko) 2015-03-26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래스트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118B1 (ko) 선박, 연료가스 공급장치 및 연료가스 공급방법
US4527632A (en) System for increasing the recovery of product fluids from underwater marine deposits
US8539723B2 (en) Back pressured hydraulic pump for sucker rod
MXPA05010750A (es) Aparato y metodo para mejorar la productividad de pozos de gas natural.
US20140074382A1 (en) Rail Pressure Control Strategy For Common Rail Fuel System
KR20180035640A (ko) 작업 기계의 유압 구동 장치
KR101032731B1 (ko) 해머장치를 구비한 굴삭기용 유압시스템
TWI615282B (zh) 調整裝置及其調整方法
KR20230023932A (ko)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CN105539061B (zh) 车辆的油气悬挂系统及具有其的车辆
CN107165881B (zh) 一种功能集成型大吨位塔机顶升油缸及控制油路
KR20120086313A (ko) 압력센서 오류를 겪는 유압 구동시스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N205618676U (zh) 一种新型外控式液压循环阀
KR20210139037A (ko) 레이저 센서와 온오프 밸브를 이용한 3개의 유압 실린더 구동 플랫폼 수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6801976U (zh) 三重补油的破碎机闭式液压系统
KR20230023936A (ko) 블래스트 월 어셈블리
KR101226017B1 (ko) 시추선의 버너 붐 방재용 해수공급장치
CN205136715U (zh) 迷宫式多级降压调节阀
KR102270342B1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공기압축기 제어시스템
KR101948438B1 (ko) 건물 냉난방 시스템용 배관 압력 조절시스템
KR20110072610A (ko)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CN108119349A (zh) 用于高压细水雾灭火系统的智能控制并联泵组及控制方法
JPS63230419A (ja) 立形ハイドロホイストの運転方法
CN107035726A (zh) 一种防止orc发电系统泵汽蚀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009508B1 (ko) 가스히트펌프 시스템 실외기용 엔진오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